KR20250015893A - Medium size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Google Patents
Medium size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5893A KR20250015893A KR1020240089822A KR20240089822A KR20250015893A KR 20250015893 A KR20250015893 A KR 20250015893A KR 1020240089822 A KR1020240089822 A KR 1020240089822A KR 20240089822 A KR20240089822 A KR 20240089822A KR 20250015893 A KR20250015893 A KR 202500158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od
- housing
- collection tube
- unit
- blood coll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9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01 bloo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506 Blood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7384 Blood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68 inflammatory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9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comprising robots or similar manipula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06—Calibrating, controlling or cleaning viscometers
- G01N2011/002—Controlling sample temperature; Thermal cycling during measur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2011/006—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 G01N2011/008—Determining flow properties indirectly by measuring other parameters of the system optical properti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346—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 G01N2035/00356—Holding samples at elevated temperature (incub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2035/1027—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 G01N2035/103—General features of the devices using disposable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를 채택하여 중형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혈액 혼합 시간, 혈액 점도 측정 시간 등을 고려한 이송 시퀀스 제어를 통해 복수개의 혈액샘플을 순차적으로 단시간내에 자동 점도 측정할 수 있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하우징; 혈액샘플이 담기고 상단에 밀폐캡이 체결된 채혈관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1 위치로 투입하고, 혈액샘플의 흡입 및 분주가 가능한 일회용 파이펫팁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2 위치로 투입하며, 혈액점도측정용 일회용 테스트키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3 위치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 및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제1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채혈관을 전처리하되, 상기 채혈관의 정보를 획득하는 스캔수단, 상기 채혈관에 담긴 혈액샘플을 혼합하는 혈액 혼합수단 및 상기 채혈관으로부터 밀폐캡을 분리하는 캡 분리수단이 구비된 전처리부; 상기 제2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파이펫팁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에 밀폐캡이 분리된 채혈관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흡입된 혈액샘플을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할 수 있는 혈액 흡입/주입부; 상기 제3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테스트키트가 장착되되,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점도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 투입부, 이송부, 전처리부, 혈액 흡입/주입부 및 점도측정부의 상태 확인 및 작동을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having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 each capable of gripp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and a test kit inserted into a housing, and adopting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a mutually interlocking manner, thereby being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device in a medium-sized size,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plurality of blood samples sequenti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transfer sequence control that takes into account blood mixing time, blood viscosity measuring time, etc.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input section for inserting a blood collection tube containing a blood sample and having a sealing cap fastened at the top into a first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disposable pipette tip capable of aspirating and dispensing a blood sample into a secon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disposable test kit for measuring blood viscosity into a thir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transfer section having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pable of gripp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by the input section, and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 preprocessing section for preprocess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and transferred, and having a scanning section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blood collection tube, a blood mixing section for mixing a blood sample containe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and a cap separating section for separating a sealing cap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od suction/injection unit capable of suctioning a blood sample from a blood collection tube with a sealed cap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using a pipette tip gripped and transferred by the second gripper, and injecting the suctioned blood sample into the test kit; a viscosity measurement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test kit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wherein the test kit gripped and transferred by the third gripper is mounted; and a monitoring/control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the injection unit, the transfer unit, the preprocessing unit,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and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를 채택하여 중형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혈액 혼합 시간, 혈액 점도 측정 시간 등을 고려한 이송 시퀀스 제어를 통해 복수개의 혈액샘플을 순차적으로 단시간내에 자동 점도 측정할 수 있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having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 each capable of gripp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and a test kit inserted into a housing, and adopting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a mutually interlocking manner, thereby being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device in a medium-sized size, and at the same time automatically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plurality of blood samples sequenti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rough transfer sequence control that takes into account blood mixing time, blood viscosity measuring time, etc.
혈액의 점도는 혈관 내 혈액의 유동에 의한 유동저항을 나타내는 물성치이며, 구체적으로 전혈점도와 혈장점도로 나눌 수 있다. 혈액 점도의 비정상적인 증가는, 혈관 내벽에 작용하는 전단응력 및 유동 저항의 증가를 일으켜 급성 심혈관 질환 및 미세혈관 질환의 발병 위험을 현저히 높이게 된다.Blood viscosity is a physical property that indicates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flow of blood in blood vessels, and can be specifically divided into whole blood viscosity and plasma viscosity. An abnormal increase in blood viscosity causes an increase in the shear stress and flow resistance ac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risk of developing acute cardiovascular disease and microvascular disease.
또한, 혈장점도는 체내의 염증상태를 진단하는데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전혈점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In addition, plasma viscosity is not only used to diagnose inflammatory conditions in the body, but is also one of the main causes of increased whole blood viscosity.
전혈점도는 심장의 수축기 및 이완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점도가 변화하는 유동 특성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전혈 안에 있는 적혈구와 혈장단백질들의 상호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혈액이 빠른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높을 때)에는 점도가 낮아지고, 반대로 혈액이 느린 속도로 흐를 때(전단율이 낮을 때)에는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Whole blood viscosity exhibits flow characteristics in which the viscosity changes continuously during the systole and diastole of the heart. This is because the viscosity decreases when the blood flows quickly (when the shear rate is high) due to the complex interaction of red blood cells and plasma proteins in the whole blood, and conversely, the viscosity increases when the blood flows slowly (when the shear rate is low).
이러한 유동 특성을 보이는 유체를 비뉴턴성 유체라고 부르며, 혈액의 비뉴턴성 유동 특성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체 전단율 (예: 1 ~ 1,000 s^-1)에 대한 전혈점도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Fluids that exhibit these flow characteristics are called non-Newtonian fluids, and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the non-Newtonian flow characteristics of blood,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easure whole blood viscosity over the entire shear rate (e.g., 1 to 1,000 s^-1).
근래의 혈액 점도 측정장치는 신체로부터 얻은 혈액이 유동 저항관(flow restrictor tube)을 통하도록 하고, 유동 저항관 내에서 혈액의 유동 특성을 측정하여 혈액의 점도나 혈구 응집률 등을 측정할 수 있다.Recent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s allow blood obtained from the body to pass through a flow restrictor tube, and measur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blood within the flow restrictor tube to measure blood viscosity, blood cell aggregation rate, etc.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1884호(혈액 점도와 혈구 응집률을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Utility Model No. 20-0331884 (a device for simultaneously measuring blood viscosity and blood cell aggregation rate) is disclosed.
하지만 기기조작자가 수작업으로 주사기를 통해 혈액을 주입하여 혈액의 점도가 측정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한 압력 및 일정한 유량으로 혈액을 공급하기 어려워 동일한 조건으로 혈액이 점도가 측정되도록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operator of the device must manually inject blood through a syringe to measure the viscosity of the blood, it is difficult to supply blood at a constant pressure and flow rate, making it difficult to measure the viscosity of the blood under the same conditions.
또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도 빈번하게 발생하였다.In addition, there was the problem that it took a long time to be done manually, and because it was done manually, the problem of infection through blood occurred frequently.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화된 혈액 점도 측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나, 하나의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완료되면 다음 혈액샘플에 대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an automated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is being develope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ork time was long because once the viscosity measurement for one blood sample was completed, the viscosity measurement for the next blood sample was also performed.
뿐만 아니라 대량으로 혈액 샘플을 측정할 시, 늦은 순번의 혈액 샘플일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혈구 등이 가라앉은 상태에서 혈액에 대한 점도 측정이 이루어져 점도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measuring a large number of blood sampl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viscosity measurement decreased because the viscosity measurement was performed when the blood sample was taken late in the sequence, as red blood cells settled over tim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2331945호(다채널모듈 혈액 점도 측정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Another prior art technolog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331945 (multi-channel module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하지만, 상기 다른 종래기술은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독립적으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이송과 관련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는 장비가 상대적으로 많아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장치가 대형으로 제작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other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configured to transport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independently, and thus require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quipment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housing in relation to transport, which requires a high manufacturing cost and requires the device to be manufactured in a large siz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샘플에 대한 투입부터 혼합, 흡입, 분주, 점도 측정, 폐기 등의 전 과정의 자동화가 가능하고, 중형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교체 대상이 되는 투입물의 교체가 용이한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that can automate the entire process from introduction of a blood sample to mixing, suction, dispensing, viscosity measurement, and disposal, can be manufactured in a medium size, and allows easy replacement of the input material to be repla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하우징; 혈액샘플이 담기고 상단에 밀폐캡이 체결된 채혈관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1 위치로 투입하고, 혈액샘플의 흡입 및 분주가 가능한 일회용 파이펫팁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2 위치로 투입하며, 혈액점도측정용 일회용 테스트키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3 위치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 및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제1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채혈관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2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파이펫팁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채혈관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흡입된 혈액샘플을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할 수 있는 혈액 흡입/주입부; 상기 제3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테스트키트가 장착되되,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점도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 투입부, 이송부, 전처리부, 혈액 흡입/주입부 및 점도측정부의 상태 확인 및 작동을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an input section for inserting a blood collection tube containing a blood sample and having a sealing cap fastened at the top into a first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disposable pipette tip capable of aspirating and dispensing a blood sample into a secon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disposable test kit for measuring blood viscosity into a thir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transfer section having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pable of gripp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inserted into the housing by the input section, respectively, and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 preprocessing section for preprocess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and transferred; a blood suction/injection section for suctioning a blood sample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preprocessed in the preprocessing section using a pipette tip gripped by the second gripper and transferred, and injecting the aspirated blood sample into the test kit; A test kit is loaded with the third gripper and transported, and includes a viscosity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test kit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and a monitoring/control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the injection unit, the transfer unit, the preprocessing unit,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and the viscosity measur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제1,2,3 위치를 각각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2,3 교체서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sec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that are supported to be able to slide back and forth o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so as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투입부는,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 복수개가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1,2,3 트레이; 상기 제1,2,3 트레이가 각각 상기 제1,2,3 교체서랍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1,2,3 트레이를 고정하는 제1,2,3 트레이홀더; 및 상기 제1,2,3 교체서랍이 각각 상기 제1,2,3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1,2,3 교체서랍을 잠글 수 있는 제1,2,3 서랍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3 교체서랍이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2,3 서랍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unit further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in which a plural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pipette tips, and test kits are vertically mounted in an aligned state, respectively; first, second, and third tray holders for fix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nd first, second, and third drawer locking means capable of loc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awer locking means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can be locked or open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 confirmed state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트레이가 각각 상기 제1,2,3 교체서랍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2,3 트레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제1,2,3 트레이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unit further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tray detection sensors that detect wheth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device by inclu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 detection senso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교체서랍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서 판단된 장치의 상태 중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와 관련된 투입부의 상태를 각각 구분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제1,2,3 상태표시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status display lamp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near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nd can visually display the status of the injection unit relat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among the statuses of the device determin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through color chan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에서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위치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하는 투입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투입물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측정 진행 정도에 따른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n injec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easur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jection detection sensor.
여기서, 상기 제1,2,3 트레이는, 각각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장착 가능 개수가 상호간 배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mountable blood collection tubes, pipette tips, and test kits respectively forms a multiple of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2,3 그리퍼가 X축 상에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1,2,3 그리퍼가 일체로 X축 및 Y축 상으로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2,3 그리퍼가 각각 독립적으로 Z축 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transport actu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as a linear actu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X-ax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n integral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on the X-axis and the Y-axi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n independently move up and down on the Z-ax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폐기할 수 있는 폐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폐처리부는, 상기 제2,3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정해진 폐기위치로 이송된 후 폐기되는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받아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폐기서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aste disposal unit capable of discarding used pipette tips and test kits, wherein the waste disposal unit includes a waste drawer support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slide back and forth and to be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herein the pipette tips and test kits, which are gripped by the second and third grippers and then transferred to a designated disposal location and then discarded, can be taken out of the housing by a user's operation.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사용자가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관리도어; 및 상기 관리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관리도어가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body; a management do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user can observe the internal state, and which covers a part of the housing body to enable internal opening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able; and a door locking means capable of locking the management door;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door locking means so that the management door can be locked or open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r a confirmed device stat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와,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의 구성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중형 크기로 제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being able to be manufactured in a medium size by configuring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 capable of gripp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and a test kit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a housing, respectively, and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교체서랍 방식으로 하우징의 외부에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replace blood collection tubes, pipette tips, and test kits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in a replaceable drawer manne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입부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투입부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투입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3 이송부의 사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 정면 사시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흡입/혼합부의 사용상태도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도측정부 사시도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input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input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third input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2 to 14 are diagrams showing the usage statu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fer unit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6 to 18 are perspective views of a preprocess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blood suction/mix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0 to 23 are perspective views of a viscosity measur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투입부의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투입부의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3 투입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2,3 이송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요부 정면 사시도이고,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부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액 흡입/혼합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도측정부 사시도이다.FIG. 1 and FIG.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nd FIG. 6 are perspective views of a first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nd FIG. 8 are perspective views of a second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nd FIG. 10 are perspective views of a third in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2 to 14 are usage view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nsfer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 to 18 are preprocessing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od suction/m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0 to 23 are perspective views of a viscosity measur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1)는 하우징(10), 투입부(20), 이송부(30), 전처리부(40), 혈액 흡입/주입부(50), 점도측정부(60), 폐처리부(70) 및 모니터링/제어부(80)를 포함한다.Looking at FIGS. 1 to 3,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n injection unit (20), a transfer unit (30), a preprocessing unit (40), a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a viscosity measuring unit (60), a waste processing unit (70), and a monitoring/control unit (80).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우징 본체(11), 관리도어(12), 도어 잠금수단(13), 하부지지대(14) 및 송풍팬(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10) is configured to form the overall exterior of an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housing body (11), a management door (12), a door locking means (13), a lower support (14), and a blower fan (15).
상기 하우징 본체(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1)의 다른 구성들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프레임 및 커버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housing body (11) can be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a frame and a cover plate to provide an internal space in which other components of an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uilt.
상기 관리도어(12)는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과 같은 투시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고, 장치(1)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전면 상부를 커버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management door (12)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acrylic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internal state of the housing (10), and can be install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covering the upper front part of the housing body (11) so that the internal opening of the housing (10) is possible when management of the device (1) is required.
상기 도어 잠금수단(13)은 상기 관리도어(12)가 개방되지 않게 잠글 수 있는 구성으로 인터락, 솔레노이드, 수동잠금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door locking means (13) can be configured to lock the management door (12) so that it is not opened, and can be composed of an interlock, a solenoid, a manual lock key, etc.
여기서, 모니터링/제어부(8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1)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관리도어(12)가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잠금수단(13)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Here,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locking means (13) so that the management door (12) can be 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on or the status of the confirmed device (1).
즉, 상기 관리도어(12)는 장치(1)의 작동 상태에서는 안전을 위해 기본적으로 상기 관리도어(12)가 도어 잠금수단(13)에 의해 잠긴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고, 전원버튼(82) 또는 비상정지스위치(83) 등의 조작에 의해 장치(1)가 멈춘 상태에서는 상기 관리도어(12)가 개방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That is, the management door (12) is controlled so that the management door (12) is basically locked by the door lock means (13) for safety when the device (1) is in an operating state, and when the device (1) is stopped by the operation of a power button (82) or an emergency stop switch (83), the management door (12) is controlled so that the management door (12) can be opened.
상기 하부지지대(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하부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하부 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 이동 바퀴를 통해 장치(1)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치(1)의 설치 위치가 정해진 경우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진동 흡수가 가능한 조절좌를 통해 장치(1)의 수평 조절과 동시에 위치 고정이 가능하고, 장치(1)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support member (14)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 as shown in FIG. 4, and allows easy movement of the device (1) through the movable wheels provid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housing body (11), and whe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vice (1) is determined, it can be configured to allow horizontal adjustment of the device (1) and fixation of the position at the same time through an adjustment seat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nd vibration absorption, and also minimize vibration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
상기 송풍팬(15)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하우징 본체(11)의 상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The above blower fan (15) is configured to release heat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and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units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body (11).
한편, 상기 송풍팬(15)의 냉각 효율 상승을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외부 공기의 내부 흡입을 위한 공기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lower fan (15), an air intake port (not shown) for sucking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상기 투입부(20)는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각각 하우징(10)의 내부 제1,2,3 위치(P1, P2, P3)로 투입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2,3 투입부(20A, 20B, 20C)로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injection unit (20) is configured to insert a blood collection tube (A), a pipette tip (B), and a test kit (C)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P1, P2, P3) inside the housing (10), respectively,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wi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jection units (20A, 20B, 20C).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제1,2,3 위치(P1, P2, P3)에 대한 일실시예는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nternal positions (P1, P2, P3) of the above housing (10) is illustrated in the plan view of Fig. 3.
상기 제1 투입부(20A)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샘플이 담기고 상단에 밀폐캡(A1)이 체결된 채혈관(A)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제1 위치(P1)로 투입하는 구성으로 제1 교체서랍(211), 제1 트레이(221), 제1 트레이홀더(231), 제1 서랍잠금수단(241), 제1 트레이감지센서(251) 및 제1 상태표시램프(261)을 포함한다.The above first injection unit (20A) is configured to insert a blood collection tube (A) containing a blood sample and having a sealing cap (A1) attached to the top into a first position (P1) inside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5 and 6, and includes a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a first tray (221), a first tray holder (231), a first drawer locking means (241), a first tray detection sensor (251), and a first status display lamp (261).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채혈관(A)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상기 제1 위치(P1)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a sliding manner back and forth on the housing (10) so that it can reciprocally move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first position (P1)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1 트레이(221)는 상기 채혈관(A) 복수개가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tray (221) is configured such that multiple blood collection tubes (A) are vertically mounted in an aligned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트레이(221)는 상기 채혈관(A) 24개가 4×6의 배열로 수직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y (221) is configured so that 24 blood collection tubes (A) can be vertically mounted in a 4x6 arrangement.
상기 제1 트레이홀더(231)는 상기 제1 트레이(221)가 각각 상기 제1 교체서랍(211)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1 트레이(221)를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tray holder (231) is configured to fix the first tray (221) while each of the first trays (221) is secured in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상기 제1 트레이홀더(231)는 이송부(30)의 제1 그리퍼(311)가 상기 제1 트레이(221)에 수직으로 장착된 채혈관(A)을 그리핑하여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제1 트레이(221)가 들썩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ray holder (231) above serves to prevent the first tray (221) from shaking when the first gripper (311) of the transfer unit (30) grips and lifts the blood collection tube (A) vertically mounted on the first tray (221).
상기 제1 서랍잠금수단(241)은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이 상기 제1 위치(P1)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을 잠글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drawer locking means (241) is configured to lock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while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P1).
상기 제1 서랍잠금수단(241)은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이 장치(1)의 작동 중과 같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인터락, 솔레노이드, 수동잠금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drawer locking means (241)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n interlock, solenoid, manual lock key, etc. to prevent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from being opened unexpectedly while the device (1) is in operation.
상기 제1 트레이감지센서(251)는 상기 제1 트레이(221)가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tray detection sensor (251)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first tray (221)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상기 제1 트레이감지센서(251)는 적어도 2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3점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트레이(221)가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의 정위치에 수평하게 장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tray detection sensor (251)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two points, preferably three points, so as to detect whether the first tray (221) is mounted horizontally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상기 제1 상태표시램프(261)는 상기 제1 교체서랍(211) 부근에 구비되어 모니터링/제어부(80)에서 판단된 장치(1)의 상태 중 상기 채혈관(A)과 관련된 제1 투입부(20A)의 상태를 구분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status display lamp (261) is provided near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and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status of the first injection unit (20A) relat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mong the statuses of the device (1) determin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through color changes.
즉, 상기 제1 상태표시램프(261)는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채혈관(A)의 부족 상태, 상기 제1 트레이(221)의 안착 불량 상태, 상기 제1 교체서랍(211)의 잠금 불량 상태 등을 빨간, 파란, 초록, 주황, 백색 등의 서로 다른 색으로 시각적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tatus display lamp (26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and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a state of insufficient blood collection tube (A), a state of poor fixation of the first tray (221), a state of poor locking of the first replacement drawer (211), etc., in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orange, and white.
상기 제2 투입부(20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샘플의 흡입 및 분주가 가능한 일회용 파이펫팁(B)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제2 위치(P2)로 투입하는 구성으로 제2 교체서랍(212), 제2 트레이(222), 제2 트레이홀더(232), 제2 서랍잠금수단(242), 제2 트레이감지센서(252) 및 제2 상태표시램프(262)을 포함한다.The second input section (20B) is configured to input a disposable pipette tip (B) capable of aspirating and dispensing a blood sample into the second position (P2) inside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includes a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a second tray (222), a second tray holder (232), a second drawer locking means (242), a second tray detection sensor (252), and a second status display lamp (262).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파이펫팁(B)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상기 제2 위치(P2)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a sliding manner back and forth on the housing (10) so that it can reciprocally move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second position (P2)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pipette tip (B)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2 트레이(222)는 상기 파이펫팁(B) 복수개가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다.The above second tray (222)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pipette tips (B) are vertically mounted in an aligned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트레이(222)는 상기 파이펫팁(B) 96개가 8×12의 배열로 수직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ray (222) is configured so that 96 pipette tips (B) can be vertically mounted in an 8×12 array.
상기 제2 트레이(222)는 상부 거치대와 하부 거치대 2중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tray (222) can be manufactured with a double structure of an upper holder and a lower holder.
상기 제2 트레이홀더(232)는 상기 제2 트레이(222)가 각각 상기 제2 교체서랍(212)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2 트레이(222)를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above second tray holder (232) is configured to secure the second tray (222) while the second tray (222)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상기 제2 트레이홀더(232)는 이송부(30)의 제2 그리퍼(312)가 상기 제2 트레이(222)에 수직으로 장착된 파이펫팁(B)을 그리핑하여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제2 트레이(222)가 들썩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tray holder (232) prevents the second tray (222) from shaking when the second gripper (312) of the transfer unit (30) grips and lifts the pipette tip (B) vertically mounted on the second tray (222).
상기 제2 서랍잠금수단(242)은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이 상기 제2 위치(P2)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을 잠글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second drawer locking means (242) is configured to lock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while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2).
상기 제2 서랍잠금수단(242)은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이 장치(1)의 작동 중과 같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인터락, 솔레노이드, 수동잠금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drawer locking means (242)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n interlock, solenoid, manual lock key, etc. to prevent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from being opened unexpectedly while the device (1) is in operation.
상기 제2 트레이감지센서(252)는 상기 제2 트레이(222)가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above second tray detection sensor (252)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tray (222)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상기 제2 트레이감지센서(252)는 적어도 2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3점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트레이(222)가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의 정위치에 수평하게 장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tray detection sensor (252)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two points, preferably three points, so as to detect whether the second tray (222) is mounted horizontally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상기 제2 상태표시램프(262)는 상기 제2 교체서랍(211) 부근에 구비되어 모니터링/제어부(80)에서 판단된 장치(1)의 상태 중 상기 파이펫팁(B)과 관련된 제2 투입부(20B)의 상태를 구분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second status display lamp (262) is provided near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1) and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status of the second input section (20B) related to the pipette tip (B) among the statuses of the device (1) determin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through color changes.
즉, 상기 제2 상태표시램프(262)는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펫팁(B)의 부족 상태, 상기 제2 트레이(222)의 안착 불량 상태, 상기 제2 교체서랍(212)의 잠금 불량 상태 등을 빨간, 파란, 초록, 주황, 백색 등의 서로 다른 색으로 시각적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tatus display lamp (26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and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lack of the pipette tip (B), the poor fixation of the second tray (222), the poor locking of the second replacement drawer (212), etc., in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orange, and white.
상기 제3 투입부(20C)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점도측정용 일회용 테스트키트(C)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제3 위치(P3)로 투입하는 구성으로 제3 교체서랍(213), 제3 트레이(223), 제3 트레이홀더(233), 제3 서랍잠금수단(243), 제3 트레이감지센서(253) 및 제3 상태표시램프(263)을 포함한다.The third input section (20C) is configured to input a disposable test kit (C) for blood viscosity measurement into the third position (P3) inside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S. 9 and 10, and includes a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a third tray (223), a third tray holder (233), a third drawer locking means (243), a third tray detection sensor (253), and a third status display lamp (263).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테스트키트(C)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와 상기 제3 위치(P3)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is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a sliding manner back and forth on the housing (10) so that it can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and the third position (P3)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test kit (C)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제3 트레이(223)는 상기 테스트키트(C) 복수개가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다.The above third tray (223) is configured such that multiple test kits (C) are vertically mounted in an aligned st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 트레이(223)는 상기 테스트키트(C) 12개가 일렬로 수직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tray (223) is configured so that 12 test kits (C) can be vertically mounted in a row.
한편, 상기 제1,2,3 트레이(221, 222, 223)는 각각 상기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장착 가능 개수가 상호간 배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221, 222, 223)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number of blood collection tubes (A),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that can be mounted thereon are multiples of each other.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상기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교체주기가 상호 연동됨으로써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By means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replacement by interlocking the replacement cycles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트레이(221)는 24개의 채혈관(A), 상기 제2 트레이(222)는 96개의 파이펫팁(B), 상기 제3 트레이(223)는 12개의 테스트키트(C)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ray (221)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24 blood collection tubes (A), the second tray (222)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96 pipette tips (B), and the third tray (223)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12 test kits (C).
상기 제3 트레이홀더(233)는 상기 제3 트레이(223)가 각각 상기 제3 교체서랍(213)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3 트레이(223)를 고정하는 구성이다.The above third tray holder (233) is configured to secure the third tray (223) while each of the third trays (223) is secured in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상기 제3 트레이홀더(233)는 이송부(30)의 제3 그리퍼(313)가 상기 제3 트레이(223)에 수직으로 장착된 테스트키트(C)을 그리핑하여 들어 올리는 경우 상기 제3 트레이(223)가 들썩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third tray holder (233) serves to prevent the third tray (223) from shaking when the third gripper (313) of the transfer unit (30) grips and lifts the test kit (C) vertically mounted on the third tray (223).
상기 제3 서랍잠금수단(243)은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이 상기 제3 위치(P3)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을 잠글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third drawer locking means (243) is configured to lock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while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is positioned at the third position (P3).
상기 제3 서랍잠금수단(243)은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이 장치(1)의 작동 중과 같은 상태에서 예기치 못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인터락, 솔레노이드, 수동잠금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third drawer locking means (243)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may be configured with an interlock, solenoid, manual lock key, etc. to prevent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from being opened unexpectedly while the device (1) is in operation.
상기 제3 트레이감지센서(253)는 상기 제3 트레이(223)가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above third tray detection sensor (253)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third tray (223) is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상기 제3 트레이감지센서(253)는 적어도 2점 이상, 바람직하게는 3점 이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트레이(223)가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의 정위치에 수평하게 장착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tray detection sensor (253)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t least two points, preferably three points, so as to detect whether the third tray (223) is mounted horizontally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상기 제3 상태표시램프(263)는 상기 제3 교체서랍(211) 부근에 구비되어 모니터링/제어부(80)에서 판단된 장치(1)의 상태 중 상기 테스트키트(C)과 관련된 제3 투입부(20C)의 상태를 구분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third status display lamp (263) is provided near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1) and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status of the third input section (20C) related to the test kit (C) among the statuses of the device (1) determin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through color changes.
즉, 상기 제3 상태표시램프(263)는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테스트키트(C)의 부족 상태, 상기 제3 트레이(223)의 안착 불량 상태, 상기 제3 교체서랍(213)의 잠금 불량 상태 등을 빨간, 파란, 초록, 주황, 백색 등의 서로 다른 색으로 시각적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third status display lamp (26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and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lack of the test kit (C), the poor fixation of the third tray (223), the poor locking of the third replacement drawer (213), etc., in different colors such as red, blue, green, orange, and white.
한편, 상기 투입부(20)는 상기 제1,2,3 위치(P1, P2, P3)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하는 투입물감지센서(27) 포함한다.Meanwhile, the injection unit (20) includes an injection detection sensor (27) that detects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injec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P1, P2, P3),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투입물감지센서(2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30)의 이송 액추에이터(32)에 부착되어 이동되며 상기 제1,2,3 위치(P1, P2, P3)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할 수 있는 앰프 내장형 빔 타입 스캐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tection sensor (27) is attached to and moved by a transfer actuator (32) of a transfer unit (30) as illustrated in FIG. 12, and may be configured as a beam type scanning sensor with a built-in amplifier that can detect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A),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P1, P2, P3), respectively.
한편, 상기 투입물감지센서(27)에 레이저 또는 가시광 빔을 적용하여 감지 스폿의 위치를 사용자가 눈으로 직접 확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측정 오류를 즉각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put detection sensor (27)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check the location of the detection spot with their eyes by applying a laser or visible light beam, thereby enabling immediate detection of measurement errors.
상기 투입물감지센서(27)는 장치(1)의 구동 초기에 상기 제1,2,3 위치(P1, P2, P3)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이후의 상태는 모니터링/제어부(80)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투입물감지센서(27)에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측정 진행 정도에 따른 장치(1)의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input detection sensor (27)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P1, P2, P3) respectively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device (1), and the subsequent status can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measur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bove-mentioned input detection sensor (27) through software i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상기 이송부(30)는 상기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각각 이송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퍼(31)와, 이송 액추에이터(32)가 구비된다.The above transport unit (3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respectively, and is equipped with a gripper (31) and a transport actuator (32), as shown in Fig. 11.
상기 그리퍼(31)는 상기 투입부(2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311, 312, 313)로 구성된다.The above gripper (31) is composed of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that can grip a blood collection tube (A), a pipette tip (B), and a test kit (C) that ar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through the introduction portion (20),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그리퍼(311)는 상기 채혈관(A)의 밀폐캡(A1)을 상부에서 파지할 수 있는 집게 형태로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gripper (311)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ceps capable of gripping the sealing cap (A1)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from above.
도 12에는 채혈관(A)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30A)로서 제1 그리퍼(311)가 제1 트레이(221)에 수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채혈관(A) 중 어느 하나를 그리핑한 후 이송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하였다.Figure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irst transfer unit (30A) for transferr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is used, in which a first gripper (311) grips one of a plural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A) vertically mounted on a first tray (221) and then transfers the same by a transfer actuator (32).
즉,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리퍼(311)는 그리핑 대상이 되는 채혈관(A)의 상부로 이동되고, 도 12의 (b)와 같이 그 위치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되며, 도 12의 (c)와 같이 집게 형태의 제1 그리퍼(311)가 채혈관(A)의 밀폐캡(A1)을 파지하고, 도 12의 (d)와 같이 상기 제1 그피퍼(311)가 상부로 수직 이동됨으로써 파지된 채혈관(A)을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2, the first gripper (311)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that is the gripping target, and as shown in (b) of FIG. 12, it is vertically moved downward from that position, and as shown in (c) of FIG. 12, the first gripper (311) in the form of forceps grips the sealing cap (A1)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as shown in (d) of FIG. 12, the first gripper (311) is vertically moved upward, thereby enabling the gripped blood collection tube (A) to be transferred upward.
그 후 상기 제1 그리퍼(311)에 파지된 채혈관(A)은 모니터링/제어부(80)의 제어에 따른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작동에 의해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스캔위치 또는 혼합위치 등 정해진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Thereafter, the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311) is moved in the X-axis, Y-axis or Z-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actuator (32)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transferred to a set position such as a scan position or a mixed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그리퍼(312)는 상기 파이펫팁(B)의 후단이 압입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gripper (312)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pipette tip (B) can be press-fit and fixed.
도 13에는 파이펫팁(B)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30B)로서 제2 그리퍼(312)가 제2 트레이(222)에 수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파이펫팁(B) 중 어느 하나를 그리핑한 후 이송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하였다.Figure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second transfer unit (30B) for transferring a pipette tip (B) is configured such that a second gripper (312) grips one of a plurality of pipette tips (B) vertically mounted on a second tray (222) and then transfers the same by a transfer actuator (32).
즉,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그리퍼(312)는 그리핑 대상이 되는 파이펫팁(B)의 상부로 이동되고, 도 12의 (b)와 같이 그 위치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되며 파이펫팁(B)의 후단이 압입 고정되며, 도 12의 (c)와 같이 상기 제2 그피퍼(312)가 상부로 수직 이동됨으로써 압입 고정된 파이펫팁(B)을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3, the second gripper (312)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pipette tip (B) that is the gripping target, and as shown in (b) of FIG. 12, it is mov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at position, and the rear end of the pipette tip (B) is press-fixed, and as shown in (c) of FIG. 12, the second gripper (312) is moved vertically upward, so that the press-fixed pipette tip (B) can be transferred upward.
그 후 도 13의 (d)와 같이 제2 그리퍼(312)에 의해 고정된 파이펫팁(B)은 모니터링/제어부(80)의 제어에 따른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작동에 의해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밀폐캡(A1)이 분리된 상태로 채혈관 집게(421)에 의해 몸체부가 파지된 채혈관(A)의 상부로 이송되어 혈액의 흡입을 준비하게 되고, 혈액의 흡입이 완료된 경우 점도측정부(70)에 장착된 테스트 키트(C)의 상부로 이동되어 혈액의 분주를 준비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d) of Fig. 13, the pipette tip (B) fixed by the second gripper (312) is moved in the X-axis, Y-axis or Z-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actuator (32)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whose body is gripped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with the sealing cap (A1) removed, thereby preparing for blood suction, and when the blood suction is completed, it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test kit (C) mounted on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70), thereby preparing for blood dispens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3 그리퍼(313)는 상기 테스트키트(C)의 상단 중앙부를 상부에서 파지할 수 있는 집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gripper (313)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ceps capable of gripping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test kit (C) from above.
도 14에는 테스트키트(C)를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30C)로서 제3 그리퍼(313)가 제3 트레이(223)에 수직으로 장착된 복수개의 테스트키트(C) 중 어느 하나를 그리핑한 후 이송 액추에이터(32)에 의해 이송시키는 상태를 도시하였다.Figure 1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hird transfer unit (30C) for transferring a test kit (C) is used, in which a third gripper (313) grips one of a plurality of test kits (C) vertically mounted on a third tray (223) and then transfers it by a transfer actuator (32).
즉,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그리퍼(313)는 그리핑 대상이 되는 테스트키트(C)의 상부로 이동되고, 도 14의 (b)와 같이 그 위치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된 후 집게 형태의 제3 그리퍼(313)가 테스트키트(C)의 상단 중앙부를 파지하고, 도 14의 (c)와 같이 상기 제3 그피퍼(313)가 상부로 수직 이동됨으로써 파지된 테스트키트(C)를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14, the third gripper (313)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test kit (C) that is the gripping target, and as shown in (b) of FIG. 14, it is moved vertically downward from that position, and then the third gripper (313) in the form of forceps grips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test kit (C), and as shown in (c) of FIG. 14, the third gripper (313) is moved vertically upward, thereby enabling the gripped test kit (C) to be transferred upward.
그 후 도 14의 (d)와 같이 상기 제3 그리퍼(313)에 파지된 테스트키트(C)는 모니터링/제어부(80)의 제어에 따른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작동에 의해 X축, Y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이동되며 점도측정부(60)의 상부로 이동되고, 도 14의 (e)와 같이 그 위치에서 하부로 수직 이동되며 파지된 테스트키트(C)를 채널유닛(61)에 삽입 장착시킬 수 있게 되고, 도 14의 (f)와 같이 상기 제3 그리퍼(313)가 테스트키트(C)의 파지를 해제한 상태에서 상부로 수직 이동된다.Thereafter, as shown in (d) of FIG. 14, the test kit (C) held by the third gripper (313) is moved in the X-axis, Y-axis, or Z-axis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actuator (32) under the control of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and is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and as shown in (e) of FIG. 14, it is vertically moved downward from that position so that the held test kit (C)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hannel unit (61), and as shown in (f) of FIG. 14, the third gripper (313) is vertically moved upward while releasing the grip of the test kit (C).
한편, 집게 형태로 구성된 상기 제1, 3 그리퍼(311)의 경우는 상기 채혈관(A) 또는 테스트키트(C)의 접촉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파지력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과도한 파지력에 의해 상기 채혈관(A) 또는 테스트키트(C)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first and third grippers (311) configured in the form of forceps, a groove for preventing slipping may be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or test kit (C), and a gripping force monitoring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prevent the blood collection tube (A) or test kit (C) from being damaged by excessive gripping force.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는 상기 제1,2,3 그리퍼(311, 312, 313)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mentioned transport actuator (32) is configured to move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in mutual linkag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 그리퍼(311, 312, 313)가 X축 상에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1,2,3 그리퍼(311, 312, 313)가 일체로 X축 및 Y축 상으로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2,3 그리퍼(311, 312, 313)가 각각 독립적으로 Z축 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actuator (32) may be configured as a linear actuato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X-axis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can integrally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on the X-axis and the Y-axi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can each independently move up and down on the Z-axis.
상기와 같은 단일의 제1,2,3 그리퍼(311, 312, 313)와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조합 및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한 이송 시퀀스 제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전 과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면서도,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중형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ingle 1st, 2nd, 3rd grippers (311, 312, 313) and the transfer actuator (32) as described above and the transfer sequence control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e the entire process while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enabling production in a medium size.
상기 전처리부(40)는 상기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채혈관(A)을 전처리하는 구성으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수단(41), 혈액 혼합수단(42) 및 캡 분리수단(43)을 포함한다.The above preprocessing unit (40) is configured to preprocess a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first gripper (311), and includes a scanning means (41), a blood mixing means (42), and a cap separation means (43) as shown in FIGS. 16 to 18.
상기 스캔수단(41)은 상기 채혈관(A)의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회전모터(411) 및 채혈관 (412)를 포함한다.The above scanning means (41) is configured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tation motor (411) and a blood collection tube (412).
상기 제1 회전모터(411)는 상기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되어 정해진 스캔위치로 이송된 채혈관(A)을 Z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그리퍼(311)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The above first rotation motor (411)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gripper (311)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311) and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scan position rotates about the Z-axis as the rotation center.
상기 채혈관 스캐너(412)는 상기 스캔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모터(41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채혈관(A)을 스캔하여 상기 채혈관(A)에 표기된 채혈관 정보를 획득하는 구성이다.The above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12) is configured to scan a blood collection tube (A) that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rotation motor (411) and obtain blood collection tube information indicated on the blood collection tube (A).
즉, 상기 채혈관(A)에는 통상 채혈관 정보가 내장된 바코드가 부착되는데, 부착된 바코드가 항상 상기 채혈관 스캐너(412)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채혈관(A)이 상기 이송부(30)에 의해 스캔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채혈관(A)이 상기 제1 회전모터(411)에 의해 수평 회전됨으로써 회전되는 과정에 상기 채혈관(A)에 부착된 바코드를 상기 채혈관 스캐너(412)가 스캔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a barcode with blood collection tube information is usually 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but since the attached barcode is not always aligned in a direction fac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12), the blood collection tube (A) is configured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12) can scan the barcode 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during the rotation process by horizontally rotating the blood collection tube (A) by the first rotation motor (411) while the blood collection tube (A) is moved to the scan position by the transfer unit (30).
또한, 상기 채혈관 스캐너(412)의 경우 상기 채혈관(A)에 부착된 바코드의 기울어짐이나 부착위치에 따른 스캔 오류 또한 해결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스캔 범위를 갖는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채혈관 스캐너(412)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미도시)를 적용하여 스캔 범위를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12), it is desirable to use equipment having a scan range greater than a certain level so as to be able to resolve scan errors due to the inclination or attachment position of the barcode 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expand the scan range by applying an actuator (not shown) that can move the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12) in the Z-axis direction.
상기 혈액 혼합수단(42)은 상기 채혈관(A)에 담긴 혈액샘플을 혼합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채혈관 집게(421) 및 혼합용 회전모터(422)를 포함한다.The above blood mixing means (42) is configured to mix the blood sample containe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and a mixing rotation motor (422).
상기 채혈관 집게(421)는 상기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되어 정해진 혼합위치로 이송된 채혈관(A)의 몸체부를 파지하는 구성이다.The abov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is configured to grip the bod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that has been transferred to a predetermined mixing position by being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311).
상기 혼합용 회전모터(422)는 상기 채혈관 집게(421)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The above mixing rotation motor (42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용 회전모터(422)에 의해 상기 채혈관 집게(421)에 파지된 채혈관(A)은 X축 또는 Y축을 회전 중심으로 360° 회전됨으로써 내부에 담긴 혈액샘플이 혼합되어 혈액 흡입/주입부(50)에 의해 흡입되기 전 대기시간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적혈구 침강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혈액 조성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17, the blood collection tube (A) hel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by the mixing rotation motor (422) is rotated 360° around the X-axis or Y-axis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the red blood cell sediment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the waiting time before the blood sample contained therein is mixed and drawn in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and maintaining the blood composition uniformly.
상기 캡 분리수단(43)은 상기 채혈관(A)으로부터 밀폐캡(A1)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캡 집게(431) 및 캡 회전모터/액추에이터(432)를 포함한다.The above cap separation means (43)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sealing cap (A1)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p forceps (431) and a cap rotation motor/actuator (432).
상기 캡 집게(431)는 상기 채혈관(A)의 몸체부가 상기 채혈관 집게(421)에 파지된 상태에서 상기 채혈관(A)의 상단에 체결된 밀폐캡(A1)을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cap forceps (431) are configured to hold the sealing cap (A1) attached to the top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while the bod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is held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 집게(43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그리퍼(311)로 대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gripper (431) may be replaced with the first gripper (311) as shown in FIG. 13.
상기 캡 회전모터/액추에이터(432)는 상기 캡 집게(431)를 Z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cap rotation motor/actuator (432) is configured to rotate the cap gripper (431) around the Z-axis and move it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캡 회전모터/액추에이터(43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모터(411) 및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 rotation motor/actuator (432) may be replaced with a combination of the first rotation motor (411) and the transport actuator (32) as shown in FIG. 13.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혈관(A)의 몸체부가 상기 채혈관 집게(421)에 파지된 상태에서 도 18의 (b)와 같이 캡 집게(431) 및 캡 회전모터/액추에이터(432)의 조합에 의해 상기 밀폐캡(A1)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방으로 이동되며 도 18의 (c)와 같이 상기 채혈관(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As shown in (a) of Fig. 18, while the bod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is held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as shown in (b) of Fig. 18, the sealing cap (A1) is rotated and moved upward by a combination of the cap forceps (431) and the cap rotation motor/actuator (432), and is separated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s shown in (c) of Fig. 18.
상기 캡 분리수단(43)에 의해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은 혈액 흡입/주입부(50)를 통해 내부에 담긴 혈액샘플이 흡입되게 되고, 상기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의 흡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사용 완료된 채혈관(A)에 분리되었던 밀폐캡(A1)은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해 상기 캡 분리수단(43)이 역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됨으로써 상기 채혈관(A)에 재체결되고, 상기 밀폐캡(A1)이 재체결된 상태의 사용 완료된 채혈관(A)은 상기 제1 그리퍼(311) 및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1 위치(P1)로 복귀되게 된다. The blood collection tube (A) from which the sealing cap (A1) is separated by the cap separation means (43) has the blood sample contained therein suctioned through the blood suction/injection part (50), and when the blood sample is completely suctioned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the sealing cap (A1) that was separated from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is re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by controlling the cap separation means (43) to operate in reverse by the monitoring/control part (80), and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the sealing cap (A1) reattached is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P1) by controlling the first gripper (311) and the transfer actuator (32).
한편, 상기 전처리부(4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채혈관(A)의 수용이 가능하고, 수용된 채혈관(A)을 각각 독립적으로 전처리할 수 있는 멀티 공간 구조를 갖고, 여기서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채혈관(A)이 상기 전처리부(40)의 멀티 공간 중 빈 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preprocessing unit (40) has a multi-space structure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two blood collection tubes (A) and independently preprocessing each of the accommodated blood collection tubes (A),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port actuator (32)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s (A)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first gripper (311) are sequentially accommodated in empty spaces among the multi-spaces of the preprocessing unit (40).
상기와 같이 전처리부(40)가 멀티 공간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혈액 혼합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송 시퀀스 제어가 가능하고, 장치(1)의 처리 시간 등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processing unit (40) has a multi-space structure,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fer sequence by considering the blood mixing time,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and can shorten the processing time of the device (1).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는 상기 제2 그리퍼(312)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처리부(40)에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도 1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도측정부(60)에 장착된 테스트키트(C)로 주입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is configured to suck a blood sample from a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a sealed cap (A1)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40) as shown in (a) of FIG. 19 using a pipette tip (B) gripped and transferred by the second gripper (312), and to inject the blood sample into a test kit (C) mounted on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as shown in (b) of FIG. 19.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는 상기 파이펫팁(B)이 혈액샘플을 흡입 및 분주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펫팁(B)의 후단이 압입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그리퍼(312)를 매개로 상기 파이펫팁(B)의 후단에 연통되는 피스톤(51)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includes a piston (51)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ipette tip (B) via a second gripper (312) formed in a shape that allows the rear end of the pipette tip (B) to be press-fitted and fixed so that the pipette tip (B) can suck and dispense a blood sample.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는 검사에 필요한 정밀한 혈액 흡입량 및 토출량 조절을 위하여 Conductive 타입의 일회용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 변화에 따른 ±1.0% 이내에서 정밀 볼륨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또는 압력 타입의 일회용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압력변화에 따른 정밀 볼륨 제어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abov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can apply a precision volume control technology within ±1.0% according to changes in electrical conductivity by using a disposable pipette tip (B) of the conductive type to control the precise blood suction and discharge amount required for the examination, or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precision volume control technology according to changes in pressure by using a disposable pipette tip (B) of the pressure type.
한편,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와 관련하여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40)에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는 경우 혈액샘플의 표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깊이에서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채혈관(A)에 담긴 혈액샘플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파이펫팁(B)이 승강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한다.Meanwhile, in relation to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ontrols the transfer actuator (32) so that the pipette tip (B)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blood sample containe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A) so that when a blood sample is suctioned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the sealing cap (A1)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40) using the pipette tip (B), the blood sample can be sucked at a certain depth based on the surface of the blood sample.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혈액샘플의 혼합에 있어 상기 혈액 혼합수단(42)에 의한 1차 혼합에 이어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에 의한 2차 혼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혈액샘플의 균일한 혼합을 통해 혈액 점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second mixing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following the first mixing by the blood mixing means (42) in mixing the blood sample,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blood viscosity measurement through uniform mixing of the blood sample.
상기 점도측정부(60)는 상기 제3 그리퍼(313)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테스트키트(C)가 장착되되,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C)로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viscosity measuring unit (6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test kit (C)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while the test kit (C) is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third gripper (31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도측정부(60)는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모듈(61), 항온유지수단(62), 점도측정수단(63), 키트감지센서(64), 진행알림램프(65) 및 방진수단(66)을 포함한다.A viscosity measuring unit (6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nnel module (61), a temperature maintaining means (62), a viscosity measuring means (63), a kit detection sensor (64), a progress notification lamp (65), and a dustproof means (66), as shown in FIGS. 20 to 23.
상기 채널모듈(61)은 상기 제3 그리퍼(313)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테스트키트(C)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며 장착되는 구성이다.The above channel module (61) is configured such that a test kit (C) that is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third gripper (313) is inserted and moun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채널모듈(61)에는 상단부 중앙에 상기 제3 그리퍼(313)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리퍼 간섭방지홈(611)이 형성되고, 내부에 탄성스프링(612)이 구비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module (61) has a gripper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61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third gripper (313), and an elastic spring (612) provided inside.
상기 탄성스프링(612)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모듈(61)에 삽입된 테스트키트(C)를 상기 혈류감지센서(631)가 구비된 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구성이다.The above elastic spring (612)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pressurize the test kit (C) inserted into the channel module (61) in a direction such that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equipped with th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as shown in FIG. 2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3개의 탄성스프링(612)를 통해 상기 채널모듈(61)에 삽입된 테스트키트(C)를 상기 혈류감지센서(631)가 구비된 일단 및 일면 방향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kit (C) inserted into the channel module (61)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pressed in one direction and one side direction where th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is provided through three elastic springs (612).
상기 탄성스프링(612)의 구성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C)가 상기 혈류감지센서(631)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By configuring the elastic spring (612), the test kit (C) is brought into maximum contact with th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thereby minimizing measurement errors.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채널모듈(61)은 멀티 채널 구조를 갖도록 복수개로 구성되고, 여기서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제3 그리퍼(313)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테스트키트(C)가 상기 복수개의 채널 모듈(61) 중 빈 채널모듈(61)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nel module (61) is configured to have a multi-channel structure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and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port actuator (32) so that the test kit (C)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third gripper (313) is sequentially mounted on an empty channel module (61)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 modules (61).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15에는 상기 채널모듈(61)을 6개로 구성한 예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hannel modules (61) are configured with six,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와 같은 채널모듈(61)의 멀티 채널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점도 측정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송 시퀀스 제어가 가능하고, 장치(1)의 처리 시간 등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며, 다수의 혈액 샘플에 대해 동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By means of the multi-channel structure of the channel module (61)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transfer sequence by taking into account the viscosity measurement time, which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and can shorten the processing time of the device (1), and can simultaneously process a plurality of blood samples.
상기 항온유지수단(62)은 상기 채널모듈(61)에 장착된 테스트키트(C)가 정해진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키트(C)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구성이다.The above temperature maintenance means (62) is configured to heat or cool the test kit (C) mounted on the channel module (61) so that the test kit (C) can maintain a set temperatur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항온유지수단(62)은 온도센서(621), 히터(622), 냉각팬(623) 및 온도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aintenance means (62)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621), a heater (622), a cooling fan (623),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상기 온도센서(621)는 상기 채널모듈(61)에 장착된 테스트키트(C)의 온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온도감지부가 상기 채널모듈(61)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temperature sensor (621) is configured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test kit (C) mounted on the channel module (61), and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module (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히터(622)는 상기 채널모듈(61)에 장착된 테스트키트(C)를 가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플렉서블한 구조를 갖고 상기 채널모듈(61)의 양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를 갖는 패치형 U타입 히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heater (622) is configured to heat the test kit (C) mounted on the channel module (61),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tch-type U-type heater having a flexible structure and a shape that can wrap around both sides of the channel module (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냉각팬(623)은 상기 채널모듈(61)에 장착된 테스크키트(C)를 냉각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채널모듈(61)의 측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cooling fan (623)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hannel module (61) in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oling the task kit (C) mounted on the channel module (6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온도제어기(미도시)는 상기 온도센서(621)에 감지되는 온도가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622) 또는 상기 냉각팬(623)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구성이다.The above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rate the heater (622) or the cooling fan (623) so that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621) can maintain a set temperature similar to body temperature.
상기 온도제어기(미도시)는 상기 점도측정부(60)에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모니터링/제어부(80)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in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or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at role.
상기 점도측정수단(63)은 상기 테스트키트(C)로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The above viscosity measuring means (63)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above test kit (C).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테스트키트(C)는 일측 상단으로 혈액샘플이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혈액샘플이 높이차에 의해 타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U자형 튜브(C1)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st kit (C) includes a U-shaped tube (C1) through which, when a blood sample is injected from one upper side, the injected blood sample can flow in the other direction due to a height difference.
상기 U자형 튜브(C1)를 포함하는 테스트키트(C)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1-0087898호에 공개된 '소형 혈액점도측정 키트 및 그 카트리지'가 이용될 수 있다.The test kit (C) including the above U-shaped tube (C1) can use the 'Miniature blood viscosity measurement kit and cartridge thereof'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0087898.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점도측정수단(63)은 상기 채널모듈(61)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U자형 튜브(C1)의 타측으로 유동되는 혈액샘플의 속도를 감지하는 혈류감지센서(631)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cosity measuring means (6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annel module (61) and includes a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that detects the speed of a blood sample flowing to the other side of the U-shaped tube (C1).
상기 혈류감지센서(631)는 CIS 센서(Contact Image Sensor)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may be configured based on a CIS sensor (Contact Imag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채널모듈(61)에 구비된 탄성스프링(612)의 구성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C)가 상기 혈류감지센서(631)에 최대한 밀착됨으로써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elastic spring (612) provided in the channel module (61) allows the test kit (C) to be in maximum contact with th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thereby minimizing measurement errors.
상기 점도산출기(미도시)는 상기 혈류감지센서(631)에 감지된 혈액샘플의 속도를 이용하여 혈액샘플의 점도를 산출하는 구성이다.The above viscosity calculator (not shown)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using the speed of the blood sample detected by the blood flow detection sensor (631).
즉, 혈액샘플의 점도가 높은 경우 상기 U자형 튜브(C)의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유동되는 혈액샘플의 속도는 감소하게 되는데, 상기 점도산출기(미도시)는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U자형 튜브(C)의 타측으로 유동되는 혈액샘플의 속도를 통해 혈액샘플의 점도를 산출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viscosity of the blood sample is high, the speed of the blood sample flowing from one side of the U-shaped tube (C) to the other side decreases, and the viscosity calculator (not shown) uses this phenomenon to calculate the viscosity of the blood sample through the speed of the blood sample flow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U-shaped tube (C).
상기 점도산출기(미도시)는 상기 점도측정수단(63)에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모니터링/제어부(80)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 viscosity calcula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component to the viscosity measuring means (63), or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at role.
상기 키트감지센서(64)는 상기 채널모듈(61)에 상기 테스트키트(C)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The above kit detection sensor (64)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test kit (C) is mounted on the channel module (61).
상기 진행알림램프(65)는 상기 키트감지센서(64)에 감지된 정보 및 상기 채널모듈(61)에서의 측정진행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progress notification lamp (65)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detected by the kit detection sensor (64) and the progress of measurement in the channel module (6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진행알림램프(65)는 상기 채널모듈(61)의 하부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테스트키트(C)를 투과하여 발산되는 빛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채널모듈(61) 각각의 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ess notification lamp (65) may be configured to irradiate l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channel module (61)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statu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 modules (61) through the light emitted by passing through the test kit (C).
상기 방진수단(66)은 상기 채널모듈(61)에 전해지는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상기 채널모듈(61)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다.The above-mentioned vibration-proof means (66) is configured to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hannel module (61) to attenuat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hannel module (61).
상기 방진수단(66)은 석정반, 사각방진패드, base plate, 원형방진패드 등 다층형 방진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dustproof means (66) may be applied with a multi-layer dustproof structure such as a stone plate, a square dustproof pad, a base plate, or a circular dustproof pad.
상기 폐처리부(70)는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폐기할 수 있는 구성이다.The above disposal unit (70) is configured to discard used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폐처리부(70)는 상기 제2,3 그리퍼(312, 313)에 그리핑되어 정해진 폐기위치로 이송된 후 폐기되는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받아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폐기서랍(71)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te disposal unit (70) receives and accommodates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that are gripped by the second and third grippers (312, 313) and transferred to a designated disposal location, and then discarded, inside the housing (10), and includes a waste drawer (71) that is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slide back and forth in the housing (10) so that the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can be taken out of the housing (10) by a user's operation.
여기서, 모니터링/제어부(80)는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각각 상기 제2,3 그리퍼(312, 313)를 이용하여 상기 폐처리부(70)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한다.Here,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ontrols the transfer actuator (32) to transfer the used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to the waste disposal unit (70) using the second and third grippers (312, 313), respectively.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하우징(10), 투입부(20), 이송부(30), 전처리부(40), 혈액 흡입/주입부(50), 점도측정부(60) 및 폐처리부(70)의 상태 확인 및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이다.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check the status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10), the injection unit (20), the transfer unit (30), the preprocessing unit (40),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and the waste processing unit (70).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터치 디스플레이(81), 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버튼(82), 비상 정지를 위한 비상정지스위치(83) 및 경고 알람을 위한 타워램프(84)가 포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mponent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80) may include a touch display (81)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 power button (82) capable of turning the power of the device (1) on and off, an emergency stop switch (83) for emergency stop, and a tower lamp (84) for a warning alarm.
한편,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연산, 장치(1)의 상태 판단 및 제어를 위한 컴퓨터와 같은 본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may be equipped with a main body (not shown) such as a computer for calculation, status judgment, and control of the device (1).
구체적으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1)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관리도어(12)가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잠금수단(13)을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door locking means (13) so that the management door (12) can be 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on or the status of the confirmed device (1).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1)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3 교체서랍(211, 212, 213)이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2,3 서랍 잠금수단(241, 242, 243)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awer locking means (241, 242, 243)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211, 212, 213) can be 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on or the status of the confirmed device (1).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제1,2,3 트레이감지센서(251, 252, 253)에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여 장치(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determine the status of the device (1) by inclu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 detection sensors (251, 252, 253).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투입물감지센서(27)에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측정 진행 정도에 따른 장치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determine the status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measur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input detection sensor (27).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채혈관(A)이 상기 전처리부(40)의 멀티 공간 중 빈 공간에 순차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transport actuator (32)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first gripper (311) is sequentially received in an empty space among the multi-spaces of the preprocessing unit (40).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40)에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는 경우 혈액샘플의 표면을 기준으로 일정한 깊이에서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채혈관(A)에 담긴 혈액샘플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파이펫팁(B)이 승강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transfer actuator (32) so that the pipette tip (B) is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eight of the blood sample contained in the blood collection tube (A) so that when a blood sample is aspirated from a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a sealing cap (A1)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40) using the pipette tip (B), the blood sample can be aspirated at a certain depth based on the surface of the blood sample.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파이펫팁(B)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40)에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는 경우 혼합된 상태로 흡입이 가능하도록 정해진 회수만큼 흡입 및 분주를 반복한 후 흡입하도록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5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to repeat suction and dispensing a set number of times and then suction the blood sample in a mixed state when suctioning the blood sample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the sealing cap (A1)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40) using the pipette tip (B).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상기 제3 그리퍼(313)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테스트키트(C)가 상기 복수개의 채널모듈(61) 중 빈 채널모듈(61)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can control the transport actuator (32) so that the test kit (C)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third gripper (313) is sequentially mounted on an empty channel module (61) among the plurality of channel modules (61).
또한,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사용 완료된 채혈관(A)에 분리되었던 밀폐캡(A1)이 상기 채혈관(A)에 재체결되도록 상기 캡 분리수단(43)을 역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밀폐캡(A1)이 재체결된 상태의 사용 완료된 채혈관(A)을 상기 제1 그리퍼(31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P1)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며,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를 각각 상기 제2,3 그리퍼(312, 313)를 이용하여 상기 폐처리부(70)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operates the cap detachment means (43) in reverse so that the sealing cap (A1) that was separated from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is re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controls the transfer actuator (32) to return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the sealing cap (A1) reattached to the first position (P1) using the first gripper (311), and can control the transfer actuator (32) to transfer the used pipette tip (B) and test kit (C) to the waste disposal unit (70) using the second and third grippers (312, 313), respectively.
나아가,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는 멀티 공간 구조를 갖는 전처리부(40)에서의 혈액 혼합 시간, 멀티 채널 구조를 갖는 점도측정부(60)에서의 점도 측정 시간 등을 고려한 단일의 제1,2,3 그리퍼(311, 312, 313) 및 이송 액추에이터(32)의 이송 시퀀스 제어를 통해 복수개의 혈액샘플을 순차적으로 단시간내에 자동 점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Furthermore, the monitoring/control unit (80)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viscosity of multiple blood samples sequenti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controlling the transfer sequence of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311, 312, 313) and a transfer actuator (32) in consideration of the blood mixing time in the preprocessing unit (40) having a multi-space structure, the viscosity measurement time in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having a multi-channel structure, etc.
상기 모니터링/제어부(80)에 의한 이송 시퀀스 제어의 예를 들면, 장치(1)의 구동 초기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액추에이터(32)에 부착되어 이동되는 투입물감지센서(27)가 제1,2,3 위치(P1, P2, P3)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A), 파이펫팁(B) 및 테스트키트(C)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제1 동작).As an example of the transport sequence control by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80),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device (1), as shown in Fig. 15, the input detection sensor (27) attached to the transport actuator (32) and moved is controlled to detect the positions and quantities of blood collection tubes (A), pipette tips (B), and test kits (C)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P1, P2, P3), respectively (first operation).
그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311)가 제1 위치(P1)에 위치된 채혈관(A)을 그리핑하도록 제어한다(제2 동작). Thereafter,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gripper (311) is controlled to grip the blood collection tube (A)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P1) (second operation).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리퍼(312)가 제2 위치(P2)에 위치된 파이펫팁(B)을 그리핑하도록 제어한다(제3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gripper (312) is controlled to grip the pipette tip (B)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P2) (third operation).
그 후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된 채혈관(A)을 전처리부(40)의 스캔위치로 이송시켜 스캔수단(41)에 의해 채혈관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도록 제어한다(제4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6, the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to the first gripper (311) is moved to the scan position of the preprocessing unit (40) and controlled to obtain blood collection tube information by the scanning means (41) (4th operation).
그 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311)에 그리핑된 채혈관(A)을 혼합위치로 이송시켜 채혈관 집게(421)가 채혈관(A)의 몸체부를 파지하도록 하고, 혼합용 회전모터(422)를 작동시켜 혈액 혼합수단(42)에 의해 혈액이 혼합되도록 제어한다(제5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7, the blood collection tube (A) gripped by the first gripper (311) is moved to the mixing position so that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grips the bod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the mixing rotation motor (422) is operated to control the blood to be mixed by the blood mixing means (42) (fifth operation).
그 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그리퍼(313)가 제3 위치(P3)에 위치된 테스트키트(C)를 그리핑하여, 점도측정부(60)의 채널유닛(61)에 삽입 장착되도록 제어한다(제6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4, the third gripper (313) grips the test kit (C) located at the third position (P3) and controls it to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channel unit (61) of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sixth operation).
그 후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분리수단(43)을 통해 채혈관 집게(421)에 파지된 채혈관(A)으로부터 밀폐캡(A1)을 분리하도록 제어한다(제7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8, the sealing cap (A1) is contro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blood collection tube (A) held by the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1) through the cap separation means (43) (seventh operation).
그 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흡입/주입부(50)가 전처리부(40)에 밀폐캡(A1)이 분리된 채혈관(A)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점도측정부(60)에 장착된 테스트키트(C)로 주입하도록 제어한다(제8 동작).Thereafter, as shown in Fig. 19,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50) is controlled to suck a blood sample from a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a sealed cap (A1) separated from the preprocessing unit (40) and inject it into a test kit (C) mounted on a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operation 8).
그 후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B)을 폐처리부(70)로 폐기하도록 제어한다(제9 동작).After that, the used pipette tip (B) is controlled to be disposed of in a waste disposal unit (70) (9th operation).
그 후 캡 분리수단(43)을 도 18에 도시된 순서의 역으로 작동시켜 사용 완료된 채혈관(A)에 분리되었던 밀폐캡(A1)이 상기 채혈관(A)에 재체결되도록 하고, 밀폐캡(A1)이 재체결된 상태의 사용 완료된 채혈관(A)을 제1 그리퍼(311)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위치(P1)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제10 동작).Thereafter, the cap separation means (43) is opera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order shown in Fig. 18 so that the sealing cap (A1) that was separated from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is reattach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A), and the used blood collection tube (A) with the sealing cap (A1) reattached is controlled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P1) using the first gripper (311) (10th operation).
그 후 다른 혈액샘플의 점도 측정을 위해 상기 제2 내지 제10 동작을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Thereafter, the second to tenth operations are controlled to be repeated to measure the viscosity of other blood samples.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멀티 공간 구조를 갖는 전처리부(40)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내지 제10 동작 중간에 상기 제2 동작 및 제4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멀티 채널 구조를 갖는 점도측정부(60)를 활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내지 제10 동작 중간에 점도 측정이 완료되어 사용 완료된 테스트키트(C)를 폐처리부(70)로 폐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fourth operation can be controlled to be performed during the second to tenth operations so as to utilize the preprocessing unit (40) having a multi-space structure, and the viscosity measurement unit (60) having a multi-channel structure can be controlled to be disposed of in the disposal unit (70) after the viscosity measurement is completed during the second to tenth operations.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embodiments that are improv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1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
10 하우징
11 하우징 본체
12 관리도어
13 도어 잠금수단
14 하부지지대
15 송풍팬
20 투입부
211, 212, 213 제1,2,3 교체서랍
221, 222, 223 제1,2,3 트레이
231, 232, 233 제1,2,3 트레이홀더
241, 242, 243 제1,2,3 서랍 잠금수단
251, 252, 253 제1,2,3 트레이 감지센서
261, 262, 263 제1,2,3 상태표시램프
27 투입물감지센서
30 이송부
311, 312, 313 제1,2,3 그리퍼
32 이송 액추에이터
40 전처리부
41 스캔수단
411 제1 회전모터, 412 채혈관 스캐너
42 혈액 혼합수단
421 채혈관 집게, 422 혼합용 회전모터
43 캡 분리수단
431 캡 집게, 432 캡 회전모터/액추에이터
50 혈액 흡입/주입부
51 피스톤
60 점도측정부
61 채널모듈
611 그리퍼 간섭방지홈, 612 탄성스프링
62 항온유지수단
621 온도센서, 622 히터, 623 냉각팬
63 점도측정수단
631 혈류감지센서
64 키트감지센서
65 진행알림램프
66 방진수단
70 폐처리부
71 폐기서랍
80 모니터링/제어부1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10 Housing
11 Housing Body
12 Management Door
13 Door locking mechanism
14 Lower support
15 Blower Fan
20 Input
211, 212, 213 1st, 2nd, 3rd replacement drawers
Trays 1, 2, 3 221, 222, 223
231, 232, 233 Tray holders 1, 2, 3
241, 242, 243 Drawer locking means 1, 2, 3
251, 252, 253 Tray detection sensor 1, 2, 3
261, 262, 263 1st, 2nd, 3rd status indicator lamps
27 Input detection sensor
30 Transport section
311, 312, 313 1st, 2nd, 3rd grippers
32 Transfer Actuator
40 Preprocessing section
41 Scanning Method
411 1st rotary motor, 412 blood collection tube scanner
42 Blood Mixing Method
421 Blood collection tube forceps, 422 Mixing rotary motor
43 Cap Separation Means
431 Cap Clamp, 432 Cap Rotation Motor/Actuator
50 Blood suction/infusion site
51 piston
60 Viscosity Measuring Section
61 channel module
611 gripper interference prevention home, 612 elastic spring
62 Temperature maintenance means
621 Temperature sensor, 622 Heater, 623 Cooling fan
63 Viscosity Measuring Device
631 Blood flow sensor
64 Kit Detection Sensor
65 Progress notification lamp
66 Dustproofing means
70 Waste Treatment Unit
71 Scrap Drawer
80 Monitoring/Control Unit
Claims (10)
혈액샘플이 담기고 상단에 밀폐캡이 체결된 채혈관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1 위치로 투입하고, 혈액샘플의 흡입 및 분주가 가능한 일회용 파이펫팁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2 위치로 투입하며, 혈액점도측정용 일회용 테스트키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제3 위치로 투입하는 투입부;
상기 투입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각각 그리핑할 수 있는 단일의 제1,2,3 그리퍼 및 상기 제1,2,3 그리퍼를 상호 연동시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송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이송부;
상기 제1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채혈관을 전처리하는 전처리부;
상기 제2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되는 파이펫팁을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부에서 전처리된 채혈관으로부터 혈액샘플을 흡입하고, 흡입된 혈액샘플을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할 수 있는 혈액 흡입/주입부;
상기 제3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이송된 테스트키트가 장착되되, 상기 혈액 흡입/주입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키트로 주입된 혈액샘플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점도측정부; 및
상기 하우징, 투입부, 이송부, 전처리부, 혈액 흡입/주입부 및 점도측정부의 상태 확인 및 작동을 제어하는 모니터링/제어부;를 포함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housing;
An input section for inserting a blood collection tube containing a blood sample and having a sealing cap attached to the top into a first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disposable pipette tip capable of aspirating and dispensing a blood sample into a secon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nd a disposable test kit for measuring blood viscosity into a thir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A transfer unit having a singl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 capable of gripping a blood collection tube, a pipette tip, and a test kit each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y the insertion unit, and a transfer actuator capable of mov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 preprocessing unit for preprocessing a blood collection tube gripped and transported by the first gripper;
A blood suction/injection unit capable of suctioning a blood sample from a blood collection tube preprocessed in the preprocessing unit using a pipette tip gripped and transferred by the second gripper, and injecting the suctioned blood sample into the test kit;
A test kit is loaded with the third gripper and transported, and a viscosity measuring unit capable of measuring the viscosity of a blood sample injected into the test kit by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and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monitoring/control unit for checking the status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the input unit, the transfer unit, the preprocessing unit, the blood suction/injection unit, and the viscosity measuring unit.
상기 투입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상기 제1,2,3 위치를 각각 왕복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2,3 교체서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input section is,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that are support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betwee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so as to enable replacement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상기 투입부는,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 복수개가 각각 정렬된 상태로 수직하게 장착되는 제1,2,3 트레이;
상기 제1,2,3 트레이가 각각 상기 제1,2,3 교체서랍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제1,2,3 트레이를 고정하는 제1,2,3 트레이홀더; 및
상기 제1,2,3 교체서랍이 각각 상기 제1,2,3 위치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1,2,3 교체서랍을 잠글 수 있는 제1,2,3 서랍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1,2,3 교체서랍이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1,2,3 서랍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input section is,
Trays 1, 2, and 3, each having a plurality of blood collection tubes, pipette tips, and test kits mounted vertically in an aligned stat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 holders for fix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whi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second, and third drawer locking means capable of lock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while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re positioned 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drawer locking means are controlled so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can be 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a user's operation or a confirmed device status.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트레이가 각각 상기 제1,2,3 교체서랍의 정위치에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2,3 트레이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제1,2,3 트레이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를 포함하여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input section is,
Further comprising first, second, and third tray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s are respectively seated in the correct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status of the device by includ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tray detection sensors.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교체서랍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모니터링/제어부에서 판단된 장치의 상태 중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와 관련된 투입부의 상태를 각각 구분하여 색상 변화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제1,2,3 상태표시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input section is,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status display lamps,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near the first, second, and third replacement drawers and can visually display, through color changes, the status of the input section related to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among the statuses of the devices judged by the monitoring/control unit.
상기 투입부는,
상기 제1,2,3 위치에 각각 투입된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위치 및 수량을 감지하는 투입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상기 투입물감지센서에 감지된 정보를 기반으로 측정 진행 정도에 따른 장치의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input section is,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and quantity of the blood collection tube, pipette tip, and test kit insert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positions, respectively;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us of the device is judg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measurement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bove-mentioned input detection sensor.
상기 제1,2,3 트레이는,
각각 상기 채혈관,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의 장착 가능 개수가 상호간 배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1st, 2nd and 3rd trays,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mountable blood collection tubes, pipette tips, and test kits respectively forms a multiple of each other.
상기 이송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1,2,3 그리퍼가 X축 상에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제1,2,3 그리퍼가 일체로 X축 및 Y축 상으로 전후좌우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2,3 그리퍼가 각각 독립적으로 Z축 상으로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ransport actuator,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X-axis,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n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s one unit on the X-axis and the Y-axi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ippers can independently move up and down on the Z-axis. It is configured as a linear actuator.
상기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는,
사용 완료된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폐기할 수 있는 폐처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폐처리부는,
상기 제2,3 그리퍼에 그리핑되어 정해진 폐기위치로 이송된 후 폐기되는 파이펫팁 및 테스트키트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받아 수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폐기서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posal unit capable of disposing of used pipette tips and test kits;
The above waste treatment unit is,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aste drawer that is supported in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slide back and forth so as to receive and accommodate pipette tips and test kits that are gripped by the second and third grippers and then transferred to a designated disposal location and then discarded, and to be taken out of the housing by a user's operation.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본체;
사용자가 내부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소재로 제작되고, 내부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본체의 일부를 커버하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관리도어; 및
상기 관리도어를 잠글 수 있는 도어 잠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확인된 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관리도어가 잠기거나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도어 잠금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형 크기의 자동 혈액 점도 측정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using,
Housing body;
A management do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internal state, covers a part of the housing body so that the internal opening is possibl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able; and
Including a door locking means capable of locking the above management door;
The above monitoring/control unit,
A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locking means is controlled so that the management door can be locked or opened depending on the user's operation or the status of the verified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4/010358 WO2025018808A1 (en) | 2023-07-19 | 2024-07-18 | Medium-sized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emen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3910 | 2023-07-19 | ||
KR20230093910 | 2023-07-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5893A true KR20250015893A (en) | 2025-02-03 |
Family
ID=9461290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89822A Ceased KR20250015893A (en) | 2023-07-19 | 2024-07-08 | Medium size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KR1020240089853A Pending KR20250015894A (en) | 2023-07-19 | 2024-07-08 | Blood processing module for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KR1020240089871A Active KR102800113B1 (en) | 2023-07-19 | 2024-07-08 | Blood viscosity measurement module for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ement device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89853A Pending KR20250015894A (en) | 2023-07-19 | 2024-07-08 | Blood processing module for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KR1020240089871A Active KR102800113B1 (en) | 2023-07-19 | 2024-07-08 | Blood viscosity measurement module for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emen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20250015893A (en)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79460A (en) | 2002-03-26 | 2003-10-02 | Kaname Wakasugi | Rheology measuring method for liquid and its device |
KR100958447B1 (en) | 2009-11-16 | 2010-05-18 | (주)바이오비스코 | Device for automatically measuring viscosity of liquid |
KR101476923B1 (en) * | 2013-08-28 | 2014-12-26 | 김보곤 | Apparatus for measuring viscosity of blood and method using the same |
KR101831303B1 (en) * | 2014-12-19 | 2018-02-22 | 헬스 온벡터, 아이엔씨. | Viscometers and Methods of Measuring Liquid Viscosity |
KR101811786B1 (en) * | 2015-05-14 | 2017-12-22 | 바디텍메드(주) | Station for test device with integrated reaction and detection means |
KR102151189B1 (en) | 2020-05-27 | 2020-09-02 | (주)유바이오시스 | Apparatus for measuring automatic multi blood viscosity |
KR102331945B1 (en) * | 2020-08-19 | 2021-12-01 | 주식회사 바이오리올로직스 | Multi-channel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KR102410659B1 (en) * | 2020-08-19 | 2022-06-20 | 주식회사 바이오리올로직스 | Viscosity measurement module of Multi-channel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
2024
- 2024-07-08 KR KR1020240089822A patent/KR20250015893A/en not_active Ceased
- 2024-07-08 KR KR1020240089853A patent/KR20250015894A/en active Pending
- 2024-07-08 KR KR1020240089871A patent/KR10280011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5895A (en) | 2025-02-03 |
KR102800113B1 (en) | 2025-04-28 |
KR20250015894A (en) | 2025-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133314B (en) | Full-automatic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analyzer | |
US9823109B2 (en) | Chemical analyzer | |
ES2949406T3 (en) | Automated analyzer that punctures aspiration caps | |
KR102382222B1 (en) | Automatic culturing device | |
US5443790A (en) | Device for automatically analyzing samples | |
KR102372535B1 (en) | Culturing device | |
US7906075B2 (en) | Pipette tip rack and pipette tip assembly | |
JP2019002935A (en) | Automatic staining system and reaction chamber | |
CN111094991A (en) | Blood analyz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WO2019000707A1 (en) | 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analyser | |
JPH0158460B2 (en) | ||
US20250164515A1 (en) |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ing device | |
JPH0545190B2 (en) | ||
PT82882B (en) | AUTOMATIC SYSTEM OF ANALYSIS OF SPECIMENS | |
EP0589899A1 (en) |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aliquotting blood serum or blood plasma | |
CN113804906A (en) | Automatic fluorescence quantitative analyzer | |
CN114752491A (en) | Gene extraction module and gene detection equipment | |
KR102800113B1 (en) | Blood viscosity measurement module for automatic blood viscosity measurement device | |
CN113049800A (en) | Immunoassay analyzer, detection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CN211955494U (en) | POCT detection system | |
WO2020034613A1 (en) | Biochemical analyzer | |
JP3733431B2 (en) | Automatic dispensing device | |
JP2019507350A (en) | Automatic analysis system for in vitro diagnosis | |
CN1900716B (en) | Sample analyzer and assembly thereof | |
CN111257546B (en) | POCT detec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8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504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