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14435A - Air purifier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14435A KR20250014435A KR1020230094428A KR20230094428A KR20250014435A KR 20250014435 A KR20250014435 A KR 20250014435A KR 1020230094428 A KR1020230094428 A KR 1020230094428A KR 20230094428 A KR20230094428 A KR 20230094428A KR 20250014435 A KR20250014435 A KR 202500144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opening
- open state
- air
- out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SQUKJJJFZCRTK-UHFFFAOYSA-N Urea Chemical compound NC(N)=O XSQUKJJJFZCR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02 carb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필터에 여과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유닛;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1 개방상태거나, 상기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보다 상기 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 개방상태거나,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킬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frame for filtering air; a fan unit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ame through the inlet and air filtered by the fil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 opening/closing unit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o as to be in a first open state that opens the outlet, a second open stat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outlet so that an open area of the outlet is formed smaller than when it is in the first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at closes the outlet;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closing unit; And an air purifier can be provided,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fan unit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unit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바꾸는 장치로서 유입된 공기를 공기정화필터에 통과시켜 먼지와 세균을 없애고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전면과 상면에 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이러한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필터 및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polluted air and changes it into fresh air,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removing dust and bacteria and removing odors by passing the intake air through an air purification filter. Such an air purifier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outlet formed on the front and top surfaces, a blower fan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to suck in air, an air purification filter that purifies the air, and an opening/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이러한 개폐수단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6070호”공기청청기”(특허문헌 1)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제1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외부 공기를 하우징의 내부로 흡입하여 제1 공기토출구로 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In relation to suc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46070 entitled “Air Purifier” (Patent Document 1) of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n air purifier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first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blower fan for draw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causing it to flow to the first air outlet,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tha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outlet.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공기청정기는 개패부재가 제1 공기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될 때, 제1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공기청정기의 개폐부재의 회전에 의해 제1 공기토출구의 개방면적이 변화되나, 송풍기의 송풍력은 개폐부재의 회전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제1 공기토출구를 통과되는 공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air purifier of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의 개폐유닛이 이동될 때,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reducing noise when an opening/closing unit of the air purifier is mov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필터에 여과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유닛;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1 개방상태거나, 상기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보다 상기 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 개방상태거나,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킬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a filter disposed inside the frame for filtering air; a fan unit providing a blowing force so that air is introduced into the frame through the inlet and air filtered by the fil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 opening/closing unit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o as to be in a first open state that opens the outlet, a second open stat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outlet so that an open area of the outlet is formed smaller than when it is in the first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at closes the outlet;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opening/closing unit; And an air purifier can be provided, including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fan unit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unit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복수 개의 이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동모드는, 상기 개폐유닛의 이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초기구동시간 동안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초기이동모드; 및 상기 초기구동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메인이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기이동모드일 때 상기 구동유닛이 초기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구동유닛이 상기 초기회전수보다 큰 메인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unit based on a plurality of movement modes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and the plurality of movement modes include an initial movement mode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for an initial operation time from a time when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is initiated; and a main movement mode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fter the initial operation time has elapsed, and an air purifier can be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riving unit rotates at an initial rotation speed when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driving unit rotates at a main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initial rotation speed w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기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감소속도로 감소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unit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to a preset reduction speed when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상기 감소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unit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maintains the reduction speed w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또한, 상기 제1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 상기 개폐유닛을 감지하는 단일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tha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including a single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closing unit when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이동모드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센서유닛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확인이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개폐유닛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정지시킨 이후, 상기 메인이동모드에서 상기 구동유닛이 회전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구동유닛을 재 회전시키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ovement modes further include a confirmation movement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ler, when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stop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stops, and t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re-rotates the driving uni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was rotated, thereby providing an air purifier.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감소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원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an unit so that, when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ncreases and is restored to the rotation speed before the decrease.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배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폐쇄상태일 때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제2 개방상태일 때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보다 상기 토출구에서 더 적은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 개방상태일 때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ir purifier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rame further has an outlet formed therein for discharging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utlet, and the opening/closing unit causes air to flow through the outlet when in the closed state, causes less air to flow through the outlet when in the second open state than when in the closed state, and closes the outlet when in the first open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청정기의 개폐유닛이 이동되어 배출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유닛이 구동될 때,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air purifier to open or close the exhaust por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또한, 구동유닛이 구동될 때,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개폐유닛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rive unit is driven,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can be reduced,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can be prevented from vibrating due to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또한, 구동유닛의 구동을 개시할 때, 구동유닛이 낮은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모터의 로터가 탈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tarting the drive unit, since the drive unit can be driven at a low rotational speed, the rotor of the motor can be prevented from losing its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개폐유닛이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 공기청정기를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개폐유닛이 제2 개방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공기청정기의 개폐유닛이 폐쇄개방상태에 놓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purifier taken along line A-A'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is in the first open stat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in a second open state.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ning/closing unit of the air purifier of Fig. 1 in a closed/open s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flows'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flowing with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it is to be noted in advance that the expressions such as top, bottom, side, etc. in this specification are explained based on the illustration in the drawing a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f the direction of the object is chang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dditionally, terms that include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such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word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specifying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and/or component, bu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other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opera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먼지, 냄새입자 등을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으며, 내부에서 정화된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1)는 프레임(100), 팬유닛(200), 필터(300), 센서유닛(400), 구동유닛(500), 개폐유닛(600) 및 제어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urify polluted air into clean air by filtering dust, odor particles, etc. of air drawn into the interior. The air purifier (1) can suck in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and discharge clean air purified inside to the exterior. The air purifier (1) can include a frame (100), a fan unit (200), a filter (300), a sensor unit (400), a driving unit (500), an opening/closing unit (600), and a controller (700).
프레임(100)은 팬유닛(200), 필터(300), 센서유닛(400), 구동유닛(500) 및 개폐유닛(600)을 수용하며, 공기청정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0), 및 이러한 배출구(120)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입구(110)와 토출구(130)는 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20)는 프레임(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임(100)의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frame (100) accommodates a fan unit (200), a filter (300), a sensor unit (400), a driving unit (500), and an opening/closing unit (600), and can form the exterior of the air purifier (1). In addition, the frame (100) can be formed with an inlet (110)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an outlet (120) for discharging air, and an outlet (130) for discharging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utlet (120). In other words,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3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 (100), and the outlet (120)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formed on another surface of the frame (100).
팬유닛(200)은 공기가 유입구(110)를 통해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팬유닛(200)의 송풍력에 의해 외부공기는 필터(300)에서 여과된 후, 프레임(100)의 내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배출구(120) 또는 토출구(13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또한, 팬유닛(200)은 개폐유닛(6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an unit (200) can provide blowing force so that air can be drawn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100) through the inlet (110). By the blowing force of the fan unit (200), the outside air can be filtered by the filter (300) and then guid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00) to flow toward the outlet (120) or the discharge port (130). In addition, the fan unit (200) can be placed lower tha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필터(300)는 프레임(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300)는 헤파 필터일 수 있다. 이러한 필터(300)는 유입구(110)와 팬유닛(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lter (300) can filter air flowing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100). For example, the filter (300) can be a HEPA filter. This filter (300) can be placed between the inlet (110) and the fan unit (200).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면, 센서유닛(400)은 개폐유닛(600)이 후술할 제1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에 놓일 때, 개폐유닛(600)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유닛(400)은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에 놓일 때, 미 감지한다. 센서유닛(400)은 센서(410) 및 복수 개의 자성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S. 3 and 4, the sensor unit (400) can detec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first open state and closed st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400) does not detec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when the second open state is placed. The sensor unit (400) can include a sensor (410) and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센서(41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410)는 프레임(100) 내부에서 배출구(120)와 유로부재(62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410)는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여 개폐유닛(600)을 감지할 수 있다. The sensor (410) may be placed only once inside the frame (100). In other words, the sensor (410) may be supported on the frame (100) so as to be plac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duct member (620) inside the frame (100). This sensor (410) may detec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by detect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복수 개의 자성체(420)는 개폐부재(610)에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자성체(420)는 개폐부재(6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어느 하나는 개폐부재(610)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다른 하나는 개폐부재(61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어느 하나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 센서(4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어느 하나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에 놓이도록 개폐부재(61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센서(4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다른 하나는 개폐유닛(600)이 폐쇄상태에 놓일 때, 센서(41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자성체(420) 중 다른 하나는 개폐유닛(600)이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개폐부재(61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센서(4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자성체(420)는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에 놓일 때, 센서(410)에 의해, 미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에 놓일 때, 복수 개의 자성체(420)의 사이에 센서(410)가 위치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another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arranged on the front side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41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In other words,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nsor (410) whe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In addition,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41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closed state. In other words, an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sensor (410) whe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s moved rearward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closed stat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may not be detected by the sensor (41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second open state. In other words, the sensor (4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4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second open state.
구동유닛(500)은 개폐유닛(6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50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개폐부재(610)와 유로부재(6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500)은 회전됨으로써, 개폐부재(610)와 유로부재(62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유닛(500)이 일방향(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부재(61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되고, 유로부재(620)는 후방을 향해 이동될 있다. 또한, 구동유닛(500)이 일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방향(도 2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개폐부재(610)는 후방을 향해 이동되고, 유로부재(620)는 전방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유닛(500)은 모터(510) 및 기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500) can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0). The driving unit (500) can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can be arranged betwee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By rotating, the driving unit (500) can move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in different directions. In other words, when the driving unit (5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counterclockwise in FIG. 2),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moved forward,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can be moved backward. In addition, when the driving unit (50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clockwise in FIG. 2),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one directio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moved backward,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can be moved forward. This driving unit (500) may include a motor (510) and a gear unit (520).
모터(510)는 개폐유닛(6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510)는 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510)는 유로부재(620)와 개폐부재(61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에 지지될 수 있다.The motor (510) can provide a driving force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0). The motor (510) can be supported on the frame (100). For example, the motor (510) can be supported on the frame (100) so as to be placed between the urea member (62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기어부(520)는 개폐유닛(600)에 맞물려 모터(510)의 구동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폐유닛(6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기어부(520)는 개폐부재(610)와 유로부재(620)에 동시에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어부(520)는 개폐부재(610)와 유로부재(620)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기어부(520)가 회전되면, 유로부재(620)와 개폐부재(6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gear part (520) can be engaged with the opening/closing unit (600) and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510)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0). The gear part (520) can be engaged with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gear part (520) can be rotated betwee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the flow path member (620). When the gear part (520) is rotated, the flow path member (620) and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moved in different directions.
개폐유닛(600)은 프레임(10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프레임(100)을 배출구(120) 및 토출구(130)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은 구동유닛(500)에 의해 이동되어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일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movably arranged inside the frame (100) and can open/close at least one of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outlet port (130) of the frame (100). In other words, the opening/closing unit (600) can be moved by the driving unit (500) and placed in any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제1 개방상태는 개폐유닛(600)이 배출구(120)를 개방하고 토출구(130)를 폐쇄하는 상태이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에 놓이면 여과된 공기는 배출구(120)에서 배출되고 토출구(130)에서 배출될 수 없다. The first open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600) opens the discharge port (120)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130).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first open state, filter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0) and cannot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30).
제2 개방상태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보다 배출구(120)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배출구(120)의 일부를 개방하고, 토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은 폐쇄상태일 때, 배출구(120)와 토출구(130)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에 놓이면, 여과된 공기는 배출구(120) 및 토출구(130)에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20)의 개방면적은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후술할 개폐부재(610)의 커버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econd open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discharge port (120) is opened and the discharge port (130) is opened so that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ort (120) is formed smaller tha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first open state.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closed state, air can flow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 (13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second open state, filtered 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 (130).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ort (120) may mean an uncovered area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described below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폐쇄상태는 개폐유닛(600)이 배출구(120)를 폐쇄하고 토출구(130)를 개방한 상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이 폐쇄상태에 놓이면, 여과된 공기는 토출구(130)에서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폐쇄상태일 때, 개폐유닛(400)은 토출구(130)로 더 많은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The closed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unit (600) closes the discharge port (120) and opens the discharge port (130).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closed state, filtered air can onl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30). In addition, when in the closed state, the opening/closing unit (400) can allow more air to flow into the discharge port (130).
이러한 개폐유닛(600)은 개폐부재(610)와 유로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This opening/closing unit (600)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member (610) and a flow member (620).
개폐부재(610)는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배출구(120)를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부재(610)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일 때, 배출구(120)를 개방하고,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일 때, 배출구(120)의 일부를 개방하고, 개폐유닛(600)이 폐쇄상태일 때, 배출구(120)를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610)는 구동유닛(500)에 의해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부재(610)는 배출구(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배출구(120)를 개방하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되거나, 배출구(120)를 폐쇄하기 위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610)는 배출구(120)를 개방하면, 전방 측이 배출구(120)의 전방측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로 놓이도록 이동되면, 개폐부재(610)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배출구(120)의 개방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및 재2 개방상태에 놓이도록 이동되면, 개폐부재(610)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배출구(120)의 개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s movably supported on the frame (100) and can open/close the discharge port (120). In other words,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open the discharge port (1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first open state, open a part of the discharge port (1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second open state,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the closed state.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reciproc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within the frame (100) by the driving unit (500). For example,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arranged at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0) and moved forward to open the discharge port (120) or moved backwar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120).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opens the discharge port (120), the front side can be arranged in front of the front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moved to be placed in either the second open state or the closed state,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moved rearward, thereby reducing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ort (120).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moved to be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or the second open state,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can be moved forward, thereby increasing the open area of the discharge port (120).
유로부재(620)는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토출구(130)를 개폐할 수 있다. 유로부재(620)는 의해 개폐부재(610)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620)는 구동유닛(500)에 의해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유로부재(620)는 내부로 유입된 여과된 공기를 토출구(130)를 향해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부재(62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유로부재(620)의 후단이 프레임(100)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유로부재(620)의 통로와 프레임(100)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 놓이면, 유로부재(620)는 프레임(100)의 내측과 이격되어,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여과된 공기는 유로부재(620)의 내부 통로를 통해 토출구(13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6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유로부재(620)의 후단이 프레임(100)의 내측에 접촉되어 유로부재(620)의 통로와 프레임(100)의 내부가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에 놓여, 유로부재(6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프레임(100)의 내측에 접촉되면,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여과된 공기는 유로부재(6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620)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이동될 때의 이동거리는 개폐부재(610)의 이동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부재(620)는 개폐유닛(400)이 제1 개방상태일 때, 후단이 프레임(100)의 후면과 접촉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하여 토출구(130)를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620)는 개폐유닛(400)이 제2 개방상태일 때, 후단이 프레임(100)의 후면으로부터 소정의 제1 거리로 이격되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외부로 토출구(130)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유로부재(620)는 개폐유닛(400)이 폐쇄상태일 때, 후단이 프레임(100)의 후면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로 이격되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30)를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유로부재(62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개폐유닛(600)이 제2 개방상태일 때보다 폐쇄상태일 때, 더 많을 수 있다.The flow member (620) is movably supported on the frame (100) and can open and close the outlet (130). The flow member (620) can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n addition, the flow member (620) can be recipr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side the frame (100) by the driving unit (500). The flow member (620) can provide a passage for guiding filtered air introduced into the inside toward the outlet (130). When the flow member (620) is moved forward, the rear end of the flow member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passage of the flow member (620) and the inside of the frame (100) can be communicated.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either the second open state or the closed state, the flow path member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filtered air flowing inside the frame (100) can flow to the outlet (130) throug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flow path member (620). In addition, when the flow path member (620) moves rearward, the rear end of the flow path member (62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ame (100), so that the passage of the flow path member (620) and the inside of the frame (100) can be blocked.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the flow path member (620) moves rear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rame (100), the filtered air flowing inside the frame (100) can be block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low path member (620). In additio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flow member (62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moves from the first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can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opening/closing member (610). In other words,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400) is in the first open state, the flow member (620) can block air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by having its rear end contact the rear of the frame (100), thereby closing the discharge port (130).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400) is in the second open state, the flow member (620) can have its rear end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ame (100) by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thereby allowing air to flow into the inside and out toward the discharge port (130).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400) is in a closed state, the rear end of the vortex member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frame (100) by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first distance, so that air drawn into the interior can flow toward the discharge port (130). The amount of air drawn into the vortex member (620) may be greater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 a closed state than when it is in the second open state.
제어기(700)는 팬유닛(200) 및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700)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구동유닛(500)을 구동시킬 때,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도록 팬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구동유닛(500)이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면, 팬유닛(200)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감소속도로 감소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fan unit (200) and the driving unit (500). The controller (8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When the controller (700) drives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fan unit (200)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is reduced. In other words, when the driving unit (500) starts to rotate in a stopped state, the controller (700) can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to a preset reduction speed.
제어기(700)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복수 개의 이동모드에 기초하여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모드는 초기이동모드, 메인이동모드 및 확인이동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개폐유닛(600)을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로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초기이동모드, 메인이동모드 및 확인이동모드로 구동유닛(500) 및 팬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초기이동모드, 메인이동모드 및 확인이동모드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500) based on a plurality of movement modes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plurality of movement modes can further include an initial movement mode, a main movement mode, and a confirmation movement mod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500) and the fan unit (200)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the main movement mode, and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so as to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0) to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initial movement mode, the main movement mode, and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can be performed sequentially.
초기이동모드는 개폐유닛(600)의 이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초기구동시간 동안 상기 구동유닛(500)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제어기(700)는 초기이동모드일 때, 구동유닛(500)이 초기회전수로 회전되도록 구동유닛(5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초기구동시간 동안, 구동유닛(500)을 초기회전수로 회전시켜,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제2 개방상태 및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개폐유닛(6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회전수는 모터가 200pps(pulse per sec)로 회전될 때의 회전수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초기이동모드일 때,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속도로 감소되도록 팬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초기이동모드에서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면, 프레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배출구(120) 및 토출구(130)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프레임(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된 공기도 감소될 수 있다.The initial movement mode is a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500)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initiated.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drive unit (500) so that the drive unit (500) rotates at the initial rotation speed when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700) can move the opening/closing unit (600)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by rotating the drive unit (500) at the initial rotation spee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time. For example, the initial rotation speed can be the rotation speed when the motor rotates at 200 pps (pulse per second).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fan unit (200)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decreases at a decreasing speed when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is reduced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the air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frame (100) and the filtered air discharged to the exterior of the frame (100) through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 (130) may also be reduced.
메인이동모드는 초기구동시간이 경과된 이후 구동유닛(500)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다시 말해, 메인이동모드는 초기이동모드 이후 수행되는 모드이다. 제어기(700)는 메인이동모드일 때, 초기회전수보다 큰 메인회전수로 구동유닛(500)이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메인회전수는 모터(430)가 500pps로 회전될 때의 회전수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메인이동모드일 때,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속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main movement mode is a mode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500) after the initial operation time has elapsed. In other words, the main movement mode is a mode that is performed after the initial movement mode.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driving unit (500) to rotate at a main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initial rotation speed w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For example, the large main rotation speed can be the rotation speed when the motor (430) rotates at 500 pps.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to maintain a decreasing speed w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확인이동모드는 개폐유닛(600)이 센서유닛(600)에 의해 감지될 때, 구동유닛(500)을 제어하는 모드이다. 다시 말해, 확인이동모드는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놓일 때, 수행되어 개폐유닛(600)이 제1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에 올바르게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모드일 수 있다. 제어기(700)는 확인이동모드일 때, 개폐유닛(600)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구동유닛(500)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확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을 정지시킨 이후, 메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이 회전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유닛(500)을 재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700)는 메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었다면, 확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을 일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메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이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되었다면, 확인이동모드에서 구동유닛(500)을 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is a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500)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600). In other words,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may be a mode that is performed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or closed state to confirm whether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correctly positioned in the first open state or closed state. The controller (700) may stop the driving unit (50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600) is stopped when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may re-rotate the driving unit (50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500) rotated in the main movement mode after stopping the driving unit (500)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For example, if the drive unit (500) wa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the main movement mode, the controller (700) can rotate the drive unit (500) in one direction again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In addition, if the drive unit (500) wa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one direction, in the main movement mode, the controller (700) can rotate the drive unit (500) in the other direction again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또한, 제어기(700)는 확인이동모드일 때, 구동유닛(500)이 정지되면,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원되도록 팬유닛(20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700)는 초기이동모드에서 감소되었던 팬유닛(200)의 회전속도를 초기이동모드 이전의 회전속도로 형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이동모드에서 팬유닛(200)의 회전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120) 및 토출구(130) 중 하나 이상을 외부로 배출되는 여과된 공기가 다시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ler (700) is in the confirmation movement mode, if the driving unit (500) is stopped,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is restored to the rotation speed before the decrease.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700) can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that was decreased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to be formed to the rotation speed before the initial movement mode. Since the rotation of the fan unit (200) can be increased in this initial movement mode, the filter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least one of the exhaust port (120) and the discharge port (130) can be increased agai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구동유닛(500)이 구동될 때,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개폐유닛(400)이 진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n air purifier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ing unit (500) is driven,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can be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opening/closing unit (400) from vibrating due to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20).
또한, 공기청정기(1)의 개폐유닛(400)이 이동되어 배출구(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동유닛(500)이 구동될 때, 팬유닛(200)의 회전속도가 감소되어 배출구(12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배출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400) of the air purifier (1) is moved to open or close the exhaust port (120),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200) is reduced, so that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20) can be reduced, and thus noise generat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20) can be reduced.
또한, 구동유닛(500)의 구동을 개시할 때, 구동유닛(500)이 낮은 회전수로 구동될 수 있으므로, 모터(320)의 로터가 탈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유닛(500)이 초기회전수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모터가 초기이동구간에서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tarting the drive unit (500), since the drive unit (500) can be driven at a low rotational speed, the rotor of the motor (3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engaged. In other words, since the drive unit (500) can be rotated at the initial rotational speed, the motor can be driven stably in the initial movement s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specific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should be interpreted to have the widest scop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implement a pattern of a shape not specified by combining/substituting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this also does not go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change or modify the disclosed embodiments based on this specification, and it is clear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기청정기
100: 프레임
110: 유입구
120: 배출구
130: 토출구
200: 팬유닛
300: 필터
400: 센서유닛
410: 센서
420: 자성체
500: 구동유닛
510: 모터
520: 기어부
600: 개폐유닛
610: 개폐부재
620: 유로부재
700: 제어기1: Air purifier
100: Frame 110: Inlet
120: outlet 130: outlet
200: Fan unit 300: Filter
400: Sensor unit 410: Sensor
420: Magnet 500: Drive Unit
510: Motor 520: Gear
600: Opening unit 610: Opening member
620: Euro Absence 700: Controller
Claims (8)
상기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필터에 여과된 공기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유닛;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1 개방상태거나, 상기 제1 개방상태에 놓일 때보다 상기 배출구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일부를 개방하는 제2 개방상태거나,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개폐유닛;
상기 개폐유닛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 및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구동시킬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A frame having an inlet for introducing outside air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air;
A filter arranged inside the frame to filter air;
A fan unit that provides blowing force so that air is drawn into the frame through the inlet and air filtered by the fil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An opening/closing unit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so as to be in a first open state that opens the outlet, a second open state that opens a portion of the outlet so that the open area of the outlet is formed smaller than when in the first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that closes the outlet;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move the above opening/closing unit; and
The above opening/closing unit includes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fan unit so that the above opening/closing unit is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above controller
When the driving unit is driven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fan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Air purifi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제1 개방상태, 상기 제2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 중 어느 하나에 놓이도록 복수 개의 이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동모드는,
상기 개폐유닛의 이동이 개시된 시점으로부터 초기구동시간 동안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초기이동모드; 및 상기 초기구동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메인이동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기이동모드일 때 상기 구동유닛이 초기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구동유닛이 상기 초기회전수보다 큰 메인회전수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In paragraph 1,
The above controller,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based on a plurality of movement modes so that the opening/closing unit is placed in one of the first open state, the second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above multiple movement modes are:
An initial movement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during an initial operation time from the time when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is initiated; and a main movement mod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fter the initial operation time has elapsed.
The above controller,
When in the initial movement mode,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riving unit rotates at the initial rotation speed, and when in the main movement mode,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driving unit rotates at the main rotation speed greater than the initial rotation speed.
Air purifi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초기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미리 설정된 감소속도로 감소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ntroller,
When in the above initial movement mode, the fan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s reduced to a preset reduction speed.
Air purifi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상기 감소속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ntroller,
When in the above main movement mode, the fan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maintains the reduction speed.
Air purifier.
상기 제1 개방상태 및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 상기 개폐유닛을 감지하는 단일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In the second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sensor unit including a single sensor that detects the opening/closing unit when placed in the first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Air purifier.
상기 복수 개의 이동모드는,
상기 개폐유닛이 상기 센서유닛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확인이동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개폐유닛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을 정지시킨 이후, 상기 메인이동모드에서 상기 구동유닛이 회전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구동유닛을 재 회전시키는,
공기청정기.In paragraph 5,
The above multiple movement modes are:
When the above opening/closing unit is detected by the above sensor unit, a confirmation movement mode for controlling the above driving unit is further included.
The above controller,
When in the above confirmation movement mode, the driving unit is stopp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is stopped, and then the driving unit is re-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was rotated in the main movement mode.
Air purifier.
상기 제어기는,
상기 확인이동모드일 때, 상기 팬유닛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감소 이전의 회전속도로 복원되도록 상기 팬유닛을 제어하는,
공기청정기.In paragraph 6,
The above controller,
When in the above confirmation movement mode, the fan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unit increases and is restored to the rotation speed before the decrease.
Air purifier.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배출구와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유닛은, 상기 폐쇄상태일 때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유동시키고, 상기 제2 개방상태일 때 상기 폐쇄상태에 놓일 때보다 상기 토출구에서 더 적은 공기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 개방상태일 때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공기청정기.In paragraph 1,
In the above frame, an outlet is further formed to discharge air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utlet,
The above opening/closing unit, when in the closed state, allows air to flow through the discharge port, when in the second open state, allows less air to flow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an when in the closed state, and closes the discharge port when in the first open state.
Air purifi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4428A KR20250014435A (en) | 2023-07-20 | 2023-07-20 | Air purifier |
PCT/KR2024/010146 WO2025018754A1 (en) | 2023-07-20 | 2024-07-16 | Ai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4428A KR20250014435A (en) | 2023-07-20 | 2023-07-20 | Ai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14435A true KR20250014435A (en) | 2025-02-03 |
Family
ID=9428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4428A Pending KR20250014435A (en) | 2023-07-20 | 2023-07-20 | Air purifi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14435A (en) |
WO (1) | WO2025018754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070A (en) | 2016-10-27 | 2018-05-08 | 코웨이 주식회사 | Air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48765B1 (en) * | 1997-09-23 | 2000-04-01 | 윤종용 | Operation control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oper 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JP4170676B2 (en) * | 2001-07-16 | 2008-10-22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Vane control device fo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060081810A (en) * | 2005-01-10 | 2006-07-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JP2007040628A (en) * | 2005-08-04 | 2007-02-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ir conditioner |
KR20100078478A (en) * | 2008-12-30 | 2010-07-08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
KR20220050539A (en) * | 2020-10-16 | 2022-04-25 | 코웨이 주식회사 | Air cleaner |
-
2023
- 2023-07-20 KR KR1020230094428A patent/KR20250014435A/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7-16 WO PCT/KR2024/010146 patent/WO2025018754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070A (en) | 2016-10-27 | 2018-05-08 | 코웨이 주식회사 | Air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5018754A1 (en) | 2025-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7648B1 (en) | Apparatus of air shower for clean-room | |
EP3330624B1 (en) |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 |
KR100776602B1 (en) | Air circul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 |
EP1614972A2 (en) | Air cleaning system | |
KR20220050539A (en) | Air cleaner | |
JP4276907B2 (en) | Air cleaner | |
KR20120033590A (en) | Air conditioner for controling space of filter | |
KR101276193B1 (en) | Air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 | |
KR20060023457A (en) | air cleaner | |
KR20250014435A (en) | Air purifier | |
KR101013379B1 (en) | air cleaner | |
KR20080098935A (en) | Car Air Purifier | |
KR102016911B1 (en)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Ventilation Fan Cover | |
KR20200025037A (en) | Changeable filter unit and air purifier having thereof | |
KR20240163342A (en) | Air purifier | |
KR20240163308A (en) | Air purifier | |
JP2697617B2 (en) | Air volume adjustment device with silencer | |
CN107367040B (en) | Shield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 |
KR20220050540A (en) | Air cleaner | |
JP2003028486A (en) | Air purification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 |
KR20240064217A (en) | Air cleaner | |
KR101284962B1 (en) | Air washer | |
KR20220144711A (en) | Air cleaner | |
KR100666376B1 (en) | Air purification structure that can filter the magnetic force | |
KR20160047856A (en) | Air washe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