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07371A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07371A KR20250007371A KR1020230087424A KR20230087424A KR20250007371A KR 20250007371 A KR20250007371 A KR 20250007371A KR 1020230087424 A KR1020230087424 A KR 1020230087424A KR 20230087424 A KR20230087424 A KR 20230087424A KR 20250007371 A KR20250007371 A KR 202500073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purified
- pollutants
- purificat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를 구비하되, 그 CCTV 카메라를 통해서 대상물 또는 대상공간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 및 살균시킬 수 있게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대기의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 및 살균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의 후방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흡입구에 구비된 끼움장착부에 삽입 설치되고,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패널;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패널을 통해 배출된 정화공기를 흡입하고 살균하여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의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CCTV영상녹화(블랙박스), 감성조명, 정화된 공기살균의 On/Off 기능을 수행시키는 스마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oting device having a CCTV camera for shooting a predetermined space in real time, and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that absorbs, stores, and decomposes odors or pollutants in an object or a target space to reduce them or purify and sterilize them through the CCTV camera, the shooting device comprising: a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to shoot a predetermined space; and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to purify and sterilize pollutants in polluted air in the atmosphere; wherein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comprises: a main bod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which has a first intake port for taking in air including pollutants and a first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purified and sterilized of the pollutants; a filtering panel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a f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intake port of the main body and allows pollutants in the polluted air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a sterilization module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bottom portion inside the main body and takes in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panel, sterilizes it,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And it comprises a smart control uni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inside the main body and performs the functions of CCTV video recording (black box), emotional lighting, and purified air sterilization On/Off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of th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ens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를 구비하되, 그 CCTV 카메라를 통해서 대상물 또는 대상공간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 및 살균시킬 수 있게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amera device having a CCTV camera for capturing real-time images of a predetermined space, and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that absorbs, stores, and decomposes odors or pollutants in a target object or target space to reduce them or purify and sterilize them through the CCTV camera.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건물의 실내에서, 그리고 자동차, 난방시스템 또는 산업시설인 발전소, 공장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시설물로부터 오염물질이 배출된다. Typically, pollutants are emitted indoors in buildings such as homes or offices, and from a variety of other facilities such as cars, heating systems, or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power plants and factories.
상기의 오염물질은 각종 분진이나 황산화물 등 해로운 입자상의 오염물질을 과량 포함하고 있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면 위험하며,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The above pollutants contain excessive amounts of harmful particulate pollutants such as various types of dust and sulfur oxides, and are dangerous whe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becoming a major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그리고, 상기 배출된 유해 오염물질이 대기중에 포함되어 있다가 안개, 구름, 비와 화학반응 및 물리적 변화하여 황산, 질산, 염산등 산성물질이 됨으로서 산성비가 되어 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산성비는 인간이 통제할 수 없으므로 넓은 지역과 많은 동. 식물과 인간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And, the above-mentioned harmful pollutants are contained in the atmosphere and then chemically react with fog, clouds, and rain and physically change into acidic substances such as sulfuric acid, nitric acid, and hydrochloric acid, and fall as acid rain. Since this acid rain cannot be controlled by humans, it harms a wide area and many plants, animals, and humans.
따라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Therefore, devices are being installed to purify pollutants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provide a more pleasant environment.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는 특정 건축물이나 시설물에서 특정 수신자를 대상으로 유선 또는 특수 무선 전송로를 이용하여 화상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In general,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s are systems that transmit images to specific recipients using wired or special wireless transmission lines in specific buildings or facilities, and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dustrial, educational, medical, traffic control surveillance, disaster prevention, and in-house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현재에는, 상기 CCTV 카메라 등에는 그의 용도 이외에 공기정화, 항온항습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과 결합하여서, 하나의 장치를 통해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용도의 다양성화를 도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장치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장치로 하여 이용되기 때문에 설치의 간편함과 장소 이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Currently, the CCTV cameras, etc. are being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air purification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n addition to their original purpose,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with a single device, thereby diversifying their uses. In addition, since the devices can be used as a single device without having to be installed individually, it can be seen that this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the usability of the space.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5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장치가 CCTV 카메라와 결합하여 이용되고 있는 장치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912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항온항습장치가 CCTV 카메라와 결합하여 이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That i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1588, an air purifying device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CCTV camera, an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69124, a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device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CCTV camera.
따라서, 본 출원인은, COVID19 팬더믹을 경험하면서 상시 바이러스 또는 유해가스 노출에 대응하여 건강 케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현 실정에서, 공기정화 및 살균을 위해서 별도의 장치 및 장소를 이용할 필요없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장치와 그 장치가 설치된 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본 발명을 구현하였다.Therefor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interest in health care is heightened in response to constant exposure to viruses or harmful gases while experiencing the COVID19 pandemic,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lemented a method that can utilize the currently used device and the place where the device is installed without having to use a separate device and place for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588호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51588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9124호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69124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 또는 대상공간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 및 살균시키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소정의 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에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기정화 및 살균을 위한 별도의 장치 및 장소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that absorbs, stores and decomposes to reduce or purify and sterilize odors or pollutants in a target object or target space, by installing the device on a CCTV camera for filming a predetermined space in real time,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device and location for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는, 전면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대기의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 및 살균모듈;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와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의 후방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흡입구에 구비된 끼움장착부에 삽입 설치되고,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패널;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패널을 통해 배출된 정화공기를 흡입하고 살균하여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살균모듈; 및 상기 본체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의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CCTV영상녹화(블랙박스), 감성조명, 정화된 공기살균의 On/Off 기능을 수행시키는 스마트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omprises: a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to photograph a predetermined space; and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to purify and sterilize pollutants in polluted air in the atmosphere; wherein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comprises: a main bod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which has a first intake port for sucking in air containing pollutants and a first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air purified and sterilized of the pollutants; a filtering panel inserted into a fitt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intake port of the main body and allowing pollutants in the polluted air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a sterilization module fixedly installed at a bottom portion inside the main body, sucking in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panel, sterilizing the purified air,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first exhaust port; And it comprises a smart control unit tha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inside the main body and performs the functions of CCTV video recording (black box), emotional lighting, and purified air sterilization On/Off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of th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ens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 패널은,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과, 상기 제1 외부층과 상기 제2 외부층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제1 필터링 부재와, 상기 제1 외부층, 상기 제2 외부층 및 제1 필터링 부재를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외부층 및 상기 제2 외부층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필터링 부재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panel comprises a first outer layer and a second outer layer formed of a net-shaped structure, a first filter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first outer layer and the second outer layer to purify and discharge pollutants in pollut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and a support plate that supports the first outer layer, the second outer layer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wherein the first outer layer and the second outer layer are made of polyester or polypropylene,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is made of porous activated carbon having a pore size of 300 microns to 500 micr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모듈은, 상기 필터링 패널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 및 정화된 공기가 살균된 후에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통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알루미늄 기판 및 상기 알루미늄 기판의 외면에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코팅된 이산화티탄(TiO2) 코팅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2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정화공기를 살균하는 광촉매필터와, 상기 광촉매필터를 향해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UV-A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좌우에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원유닛의 테두리 부위가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게 하는 탄성블록과, 상기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필터 및 상기 광원유닛을 소정의 전후 간격으로 지지하고, 양단에는 상기 광촉매필터 또는 상기 광원유닛을 고정시키고 소정의 설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핀이 나사결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필터링 패널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살균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유닛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ing modul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econd intake port for sucking in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ing panel and a second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after being sterilized; a photocatalytic filter having a ventilation port a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having an aluminum substrate and a titanium dioxide (TiO2) coating laye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uminum substrate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ethod, and sterilizing purified air drawn in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a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UV-A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toward the photocatalytic filter; an elastic block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edge portions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light source unit are elastically fitted together; an elastic block disposed between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light source unit, support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and the light source unit at a predetermined front-back interval, and fix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or the light source unit at both ends and providing a predetermined It consists of a spacer into which an adjustment pin for adjusting the installation interval is screwed, and a fan unit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housing to introduce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ing panel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and to discharge sterilized air outside the housing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본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기 전 또는 배출될 때에 상기 본체(210) 내부의 공기 조건이 상기 스마트제어부(240)를 통해서 점등되거나 영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공기정화 표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to cause the air conditions inside the main body (210) to be lit or displayed as an image through the smart control unit (240) before or when the purified and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살균모듈에는 상기 광원유닛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되, 프리필터(pre-filter), 헤파필터 또는 카본필터로 이루어져서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재차 정화시키는 제2 필터링 부재가 구비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riliz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second filtering member, which is arranged at a rearward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unit and is composed of a pre-filter, a HEPA filter or a carbon filter to re-purify the air purified by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When using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대상물 또는 실내 또는 실외 등의 대상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CCTV 카메라에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그 공간에서 발생한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 및 살균시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 또는 유해가스 노출에 의한 건강 케어에 대한 염려를 놓을 수 있게 하고, If a CCTV camera is equipped with a pollution purification device to capture real-time footage of an object or an indoor or outdoor space, it can absorb, store, and decompose any foul odors or pollutants generated in the space, thereby reducing them or purifying and sterilizing them for use. This allows you to put aside concerns about health care due to exposure to viruses or harmful gases.
아울러, 기 설치된 CCTV 카메라 등에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정화를 위해서 별도의 장치 및 장소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치 설비를 위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장소의 효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on existing CCTV cameras, etc.,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device or location for air purification, which saves on the cost of installing the device and also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ty of the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정화 및 살균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필리링 패널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결합단면도.
도 6은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필터링 패널을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살균모듈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살균모듈의 전방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상기 살균모듈 일례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상기 살균모듈 다른 일례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상기 살균모듈 다른 일례에 대한 부분 확대사시도.
도 12는 상기 상기 살균모듈에 필리터링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상기 살균모듈의 광촉매필터의 표면 조직을 보인 확대도.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lling panel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st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panel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a sterilizing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sterilizing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xample of the above sterilization module.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other example of the sterilizing module.
Figure 11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above sterilizing module.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above sterilizing module.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of the above sterilizing modu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정화 및 살균모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필리링 패널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의 필터링 패널을 관통하는 공기의 흐름상태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살균모듈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살균모듈의 전방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살균모듈 일례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살균모듈 다른 일례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살균모듈 다른 일례에 대한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상기 살균모듈에 필리터링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13은 상기 살균모듈의 광촉매필터의 표면 조직을 보인 확대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ing panel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 5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filtering panel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of a sterilization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sterilization module of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 exampl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and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another example of the sterilization module.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sterilizing module,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sterilizing module,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of the sterilizing module.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or par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정의 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되, 그 카메라를 통해서 대상물 또는 대상공간에 있는 악취나 오염물질을 흡수, 저장 및 분해하여 저감시키거나 정화 및 살균시킬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공간을 촬영하는 카메라(100), 바람직하게는 CCTV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100)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대기의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 및 살균모듈(200);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space in real time and capable of absorbing, storing, and decomposing odors or pollutants in an object or a target space to reduce them or purify and sterilize them, as illustrated in FIG. 1, is configured with a camera (100), preferably a CCTV camera, installed at the front to photograph a predetermined space; and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100) to purify and sterilize pollutants in polluted air in the atmosphere.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필터링 패널(220), 살균모듈(230) 및 스마트제어부(240)로 구성된다. The abov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s composed of a main body (210), a filtering panel (220), a sterilization module (230), and a smart control unit (240), a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본체(210)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211)와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212)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100)의 후방에 그리고 벽 등의 고정체(미도시)에 설치된다.The above main body (210) is equipped with a first intake port (211) for sucking in air containing pollutants and a first exhaust port (212) for discharging air purified and sterilized of the pollutants, and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100) and on a fixed body (not shown) such as a wall.
그리고, 상기 본체(2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 표출부(215)가 구비되며, 그 공기정화 표출부(215)는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될 때 스마트제어부(240)를 통해서 점등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210) is provided with an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as shown in Fig. 1, and the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is formed to be lit through a smart control unit (240) when purified and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상기 필터링 패널(220)은 본체(210)의 제1 흡입구(211)에 구비된 끼움장착부(213)에 삽입 설치되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221) 및 제2 외부층(222)과, 상기 제1 외부층(221)과 제2 외부층(222) 사이에 설치된 제1 필터링 부재(223)와, 상기 제1 외부층(221), 제2 외부층(222) 및 제1 필터링 부재(223)를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224)로 이루어진다. The above filtering panel (22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fitting portion (213) provided in the first intake port (211) of the main body (210), and as shown in FIG. 6, it serves to purify and discharge pollutants in polluted air drawn in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1), and as shown in FIGS. 4 and 5, it is composed of a first outer layer (221) and a second outer layer (222) formed of a net-shaped structure, a first filtering member (22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and a support plate (224) that supports the first outer layer (221), the second outer layer (222),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링 부재(223)는 제1 외부층(221)과 제2 외부층(222) 사이에 스티칭 또는 열용접을 통해서 영구적 또는 비영구적으로 결합된다.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is permanently or non-permanent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through stitching or heat welding.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링 부재(223)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다.Here,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is made of porous activated carbon having a pore size of 300 microns to 500 microns.
상기 제1 필터링 부재(223)인 활성탄소의 기공의 크기를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으로 한정한 이유는, 필터링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오염물질을 필터링 효과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pore size of the activated carbon, which is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is limited to 300 microns to 500 microns is because it was found to have the best filtering effect on contaminan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fficiency of filtering.
즉, 기공의 크기가 작을수록 필터링 효율은 우수하지만, 맛, 냄새성분 등 미세한 오염물질의 흡착율 및 통기성을 고려하여, 300 미크론 이하에서는 공기의 통기성이 약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500 미크론 이상에서는 오염물질의 흡착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That is, the smaller the pore size, the better the filtering efficiency, but considering the adsorption rate and breathability of fine pollutants such as taste and odor components, below 300 microns, the air breathability becomes weak, and above 500 microns, the adsorption rate of pollutants decreases.
상기 제1 외부층(221)과 제2 외부층(222)에 있어서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게 하였고, 이는 단순히 제1 필터링 부재(223)를 지지해주는 역할과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넘어서, 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사전에 미리 필터링할 수 있게 하며 항균성을 가지면서 공기의 투과를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are made of polyester or polypropylene, and beyond simply supporting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and allowing air to pass through, they enable pre-filtering of contaminants in the air and have an antibacterial property while promoting air permeation.
그리고, 상기 제1 외부층(221)과 제2 외부층(222)은 공기내 휘발성 미세 입자와 수분을 가두어 놓을 수 있도록 미세 직물로 이루어지되 망상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are made of fine fabrics with a mesh structure so as to trap volatile fine particles and moisture in the air.
상기 지지플레이트(2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외부층(221), 제2 외부층(222) 및 제1 필터링 부재(223)로 이루어진 필터링 패널(220)를 일괄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체(210)의 제1 흡입구(211)에 구비된 끼움장착부(213)에 필터링 패널(220)이 용이하게 삽입 설치되거나 그 끼움장착부(21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였다. As described above, the above support plate (224) serves to collectively support the filtering panel (220) composed of the first outer layer (221), the second outer layer (222),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so that the filtering panel (220) can be easily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fitting portion (213)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port (211) of the main body (210), o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tting portion (213).
상기 살균모듈(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내부의 바닥부에 나사 등으로 고정설치되어서,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 배출된 정화공기를 흡입하고 살균하여 제1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31), 광촉매필터(232), 광원유닛(233), 탄성블록(234), 스페이서(235) 및 팬유닛(237)으로 구성된다.The above sterilizing module (23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with screws, etc., as shown in FIG. 3, and serves to suck in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sterilize it, and discharge it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12). As shown in FIGS. 7 to 12, it is composed of a housing (231), a photocatalytic filter (232), a light source unit (233), an elastic block (234), a spacer (235), and a fan unit (237).
상기 하우징(231)은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231-1) 및 정화된 공기가 살균된 후에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231-2)를 구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등을 통해서 본체(210)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된다.The above housing (231) is provided with a second intake port (231-1) for sucking in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and a second discharge port (231-2)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after being sterilized, a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10) using screws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상기 광촉매필터(232)는 정화 또는 살균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는 통기구(232-1)를 구비하여 하우징(231) 내부에 배치되고, 알루미늄 기판 및 상기 알루미늄 기판의 외면에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코팅된 이산화티탄(TiO2) 코팅층을 구비하여, 제2 흡입구(231-1)를 통해 유입된 정화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photocatalytic filter (232)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232-1) that allows purified or sterilized air to pass through, is placed inside the housing (231), and has an aluminum substrate and a titanium dioxide (TiO2) coating laye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uminum substrate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method, thereby sterilizing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1-1).
상기 광촉매필터(232)는 하우징(231)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bove photocatalytic filter (232)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housing (231) into front and back.
또한, 상기 광촉매필터(232)는 하우징(231)의 내벽에 지지되어, 하우징(231) 내부의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31)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231).
상기 광촉매필터(232)는 통기구(232-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통기구(232-1)는 광촉매필터(232)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그 광촉매필터(232)의 전후로 살균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photocatalytic filter (232)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232-1), and the ventilation hole (232-1) is formed to penetrate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from front to back, thereby providing a flow path for sterilized air from front to back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상기 통기구(232-1)는 광촉매필터(232)의 전후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형태나 배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bove ventilation hole (232-1)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or arrangements as long as it can provide an air flow path before and after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본 실시예의 경우 통기구(232-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광촉매필터(232)의 외면에 다 수개가 구비된 형태로 예시되고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ntilation hole (232-1) is formed in a slit shape extending approximate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9, and is exemplified as having several of them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또한 다수의 통기구(232-1)는 광촉매필터(232)의 외면에서 전후 및 좌우로 이격되어, 광촉매필터(232)의 전면(全面)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23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so that they can b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상기와 같은 통기구(232-1)는 공기가 광촉매필터(232)의 주위에서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above-described ventilation hole (232-1) enables air to have a sufficient residence time aroun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그리고, 필요에 따라 통기구(232-1)는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And, as needed, the ventilation hole (232-1)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upper or lower side.
즉, 통기구(232-1)는 광촉매필터(232)의 전면에서 공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ventilation hole (232-1) can be formed to discharge air upward or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특히 후술할 바와 같이 다수의 광촉매필터(232)가 구비되는 경우, 각 광촉매필터(232)의 통기구(232-1)는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측을 향한 통기구(232-1)를 가진 광촉매필터(232)와 하측을 향한 통기구(232-1)를 가진 광촉매필터(232)가 교대로 반복해 배치되는 일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hotocatalytic filters (232) are provided as described later, the ventilation holes (232-1) of each photocatalytic filter (232) are formed to open toward the upper or lower side, and it is possible for a photocatalytic filter (232) having a ventilation hole (232-1) facing upward and a photocatalytic filter (232) having a ventilation hole (232-1) facing downward to be alternately and repeatedly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air flow.
상기와 같은 구성은 공기가 하우징(231) 내부에서 보다 충분한 체류시간을 갖도록 하고, 공기의 전 영역에서 고르게 유해물질 제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The above configuration allows the air to have a sufficient residence time inside the housing (231) and enables the removal of harmful substances evenly throughout the entire area of the air.
한편 상기 광촉매필터(130)는 기판 및 이산화티탄(TiO2) 코팅층을 포함해 구성된다. Meanwhile, the photocatalytic filter (130) is composed of a substrate and a titanium dioxide (TiO2) coating layer.
바람직하게 기판은 알루미늄 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탄 코팅층은 알루미늄 기판에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ubstrate may include an aluminum substrate, and as illustrated in FIG. 13, a titanium dioxide coating layer may be coated on the aluminum substrate through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참고로 광촉매필터(130)의 제작에 있어 이산화티탄 코팅층을 형성하는 고정화 방법으로는 분말혼합방식, 표면산화방식, 졸-겔(sol-gel)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production of a photocatalytic filter (130), fixation methods for forming a titanium dioxide coating layer may include a powder mixing method, a surface oxidation method, and a sol-gel method.
분말혼합방식은 분말화된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제조가 쉬워 도료, 코팅제, 종이, 유리섬유, 부직포, 불소시트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 powder mixing method is a method that uses powdered titanium dioxide, and is generally easy to manufacture, so it is widely used in paints, coatings, paper, glass fiber, non-woven fabrics, fluorine sheets, etc.
다만 본 출원인이 시험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광촉매필터(232)에 있어서, 분말혼합방식은 바인더에 의해 활성 표면이 감소되고, 분말이 비교적 쉽게 탈리되며, 바인더의 열화 또한 발생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test conducted by the applicant, in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der mixing method has the problem that the active surface is reduced by the binder, the powder is relatively easily detached, and the binder also deteriorates.
이에 따라 반응성이 낮고, 상대적으로 긴 파장을 갖는 UV-A 광원에 의한 활성화도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activity is low and the activation by UV-A light sources with relatively long wavelengths is insufficient.
표면산화방식은 금속 티타늄과 티타늄 합금판을 이용한 방식으로, 이산화티탄 전극, 음극산화 건축재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The surface oxidation method is a method that uses metal titanium and titanium alloy plates, and is used in titanium dioxide electrodes and cathode oxidation building materials.
표면산화방식은 기판에 상대적으로 치밀한 구조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나,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이 큰 대상물의 대상물에는 적합하지 않아, 본 실시예와 같은 광촉매필터(130)에는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The surface oxidation method can form a thin film with a relatively dense structure on a substrate, but it is not suitable for objects with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its application to a photocatalytic filter (130) such as the present embodiment is limited.
졸-겔방식은 유기 티타늄 화합물과 티타니아 졸(titania sol)을 이용한 방식으로, 주로 유리 제품이나 금속 세라믹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The sol-gel method is a method that uses organic titanium compounds and titania sol, and is mainly used in the fields of glass products and metal ceramics.
졸-겔방식은 주형이 되는 유기물을 혼합해 표면적 확대가 가능한 이점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450~600도의 고온에서 소성이 필요해 생산성이 좋지 않고, 본 출원인이 시험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화학기상증착법 대비 반응성 또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The sol-gel method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surface area to be expanded by mixing an organic material that serves as a mold, but it generally requires firing at a high temperature of 450 to 600 degrees, so the productivity is not good, and according to tests conducted by the applicant, the reactivity is also lower than that of the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of the present example.
이는 특히 앞서 분말혼합방식과 마찬가지로 UV-A 광원에 의해 활성화도가 충분히 높아지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This causes a problem, especially as with the powder mixing method above, in that the activation level is not sufficiently increased by the UV-A light source.
상기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필터(232)는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기판에 이산화티탄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a method of forming a titanium dioxide coating layer on a substrate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상기와 같은 방식은 막 두께나 조성 표면적의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집적도 및 반응 표면적을 증가시켜 UV-A 광원을 통해서도 충분한 활성화도를 얻을 수 있게 한다. The above method not only facilitates control of the film thickness and surface area of the composition, but also increases the integration and reaction surface area, thereby enabling sufficient activation even through a UV-A light source.
즉, 상기 광촉매필터(232)를 향해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UV-A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유닛(233)을 이용하였다.That is, a light source unit (233) was used to irradiate UV-A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towar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광원유닛(233)은 광촉매필터(232)와 대응되도록 하우징(231)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The light source unit (233) has a plate shape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housing (231) into front and back to correspon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또한 광원유닛(233)은 하우징(231)의 내벽에 지지되어, 하우징(231)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unit (233)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31)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231).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유닛(233)은 광촉매필터(232)와 대응되도록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다만 광원유닛(233)의 형상은 하우징(231)의 형상 등에 대응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233) is exemplified as having a generally square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However, the shape of the light source unit (233)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using (231), etc.,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exemplified shape.
상기 광원유닛(233)은 광촉매필터(232)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광촉매필터(232)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형성된다. The above light source unit (23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is formed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유닛(233)은 광촉매필터(232)의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광촉매필터(232)의 후면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예시되어 있지만, 광원유닛(233)과 광촉매필터(232) 간의 전후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23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hin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toward the rea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but the front-back position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33) an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exemplified.
상기 광원유닛(233)은 통기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고, 그 통기구는 광원유닛(233)을 전후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231) 내부의 공기가 전후로 유동될 수 있는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above light source unit (233) may be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not shown), and the ventilation hol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light source unit (233) forward and backward, thereby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housing (231) may flow forward and backward.
상기 통기구는 광원유닛(233)의 전후로 공기의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고, 다양한 형태나 배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 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ventilation hole may be any hole that can provide an air flow path before and after the light source unit (233),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or arrangements, and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as needed.
상기 광원유닛(233)은 기판과, 기판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light source unit (233) may be equipped with a substrate and one or more light-emitting diodes (LEDs) arranged on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 발광다이오드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정의 간격이나 배치를 갖고 광원유닛(233)의 전면(全面)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이는 광촉매필터(232)의 전면(全面)을 반응에 충분히 활용해 살균이나 여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Preferably,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diodes are provided and can be evenly arrang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light source unit (233)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r arrangement. This is to ensure sterilization or filtration performance by sufficiently utiliz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for reaction.
본 실시예에서 발광다이오드는 광촉매필터(232)로 UV-A 광선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발광다이오드는 UV-A 램프로 이뤄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ight-emitting diode can irradiate UV-A light with a photocatalytic filter (232). That is, the light-emitting diode can be formed with a UV-A lamp.
상기 UV-A 램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광촉매필터(232)로 조사할 수 있다. The above UV-A lamp can irradiate ultraviolet rays having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s described above.
화학기상증착법을 통해 이산화티탄 코팅층이 형성된 광촉매필터(232)는, UV-A 광선에 반응해 공기 중의 유기물 및 무기물을 분해하고 물과 이산화탄소로 환원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A photocatalytic filter (232) having a titanium dioxide coating layer formed through 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can be operated to decompose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in the air and reduce them to water and carbon dioxide in response to UV-A light.
상기 탄성블록(234)은 하우징(231)의 내측 좌우에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의 테두리 부위가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게 한다.The above elastic blocks (234) are plac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231) so that the edges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are elastically fitted together.
상기 탄성블록(234)은 하우징(231)의 일측 내벽과, 대응되는 반대측 내벽에 한 쌍이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elastic blocks (234) may be provided in pairs corresponding to one inner wall of the housing (231) and the corresponding inner wall of the opposite side.
도 11은 일측 내벽에 배치된 탄성블록(234)을 확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그 상기 탄성블록(23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진 탄성체로 형성된다. Figure 11 is an enlarged view of an elastic block (234) placed on one inner wall, and the elastic block (234)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또한 탄성블록(234)은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소정의 전후 폭 및 상하 높이를 가지고 연장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lock (234) can be formed to be extended with a predetermined front-back width and vertical height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positions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상기와 같은 탄성블록(234)은 광촉매필터(232) 등의 테두리 부위에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광촉매필터(232) 등을 하우징(231) 내부에서 고정시키게 된다.The elastic block (234) as described above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edge portion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thereby fix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etc., inside the housing (231).
상기 광촉매필터(232) 등은 탄성블록(234)의 상측에서 하방으로 끼워지는 방식을 통해 하우징(231)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광촉매필터(232) 등의 조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The above photocatalytic filter (232), etc.,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31) by being insert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block (234), thereby making assembly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etc., easier.
또한 탄성블록(234)은 하우징(231)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기능을 겸비함으로써, 광촉매필터(232) 등에 대한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lock (234) has the function of buffering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231), damage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etc.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스페이서(23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을 소정의 전후 간격으로 지지하고 있다.The above spacer (235) is placed between the photocatalyst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as shown in FIG. 11, thereby supporting the photocatalyst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at a predetermined front-back interval.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35)의 양단에는 광촉매필터(232) 또는 광원유닛(233)을 고정시키고 소정의 설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핀(236)이 나사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n adjustment pin (236) for fixing a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a light source unit (233) and adjusting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interval is screwed onto both ends of the spacer (235).
상기 조정핀(236)은 스페이서(235)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광촉매필터(232) 또는 광원유닛(233)을 사이에 두고 스페이서(235)의 단부에 결합되어, 광촉매필터(232) 또는 광원유닛(233)을 스페이서(235)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above adjustment pin (236) can be screw-connected to the spacer (235)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spacer (235) with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the light source unit (233) interposed therebetween, thereby fixing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the light source unit (233) to the spacer (235).
상기 조정핀(236)은 하우징(231)에 구비된 지지리브(239)나, 복수의 조정핀(236)이 구비된 경우 다른 조정핀(236)의 단부에 지지되어, 각 광촉매필터(232) 또는 광원유닛(233)을 하우징(231) 내부에서 적절히 고정할 수 있다. The above adjustment pin (236) is supported by a support rib (239) provided in the housing (231) or, if a plurality of adjustment pins (236) are provided, by an end of another adjustment pin (236), so that each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light source unit (233) can be appropriately fixed inside the housing (231).
또한 조정핀(236)은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 시 광촉매필터(232) 등의 위치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pin (236) can have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position or spacing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the like during assembly through screw connection.
상기 팬유닛(237)은 하우징(231)의 전방(도 3 및 도 7 참조) 또는 후방(도 10 내지 도 12 참조)에 설치되어서, 제2 흡입구(231-1)를 통해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하우징(231)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2 배출구(231-2)를 통해 살균된 공기를 하우징(231)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an unit (237) is installed at the front (see FIGS. 3 and 7) or rear (see FIGS. 10 to 12) of the housing (231), and serves to draw purified air into the housing (231)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via the second intake port (231-1), and to discharge sterilized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31) via the second discharge port (231-2).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팬유닛(237)은 다 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multiple fan units (237) may be provided as needed.
예컨대 상기 팬유닛(237)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의 좌우 폭이나 상하 높이에 대응되게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n unit (237) may be provided in multiple units corresponding to the left-right width or up-down height of the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본 실시예에서는 팬유닛(237)이 좌우로 2개가 구비된 형태로 하였다.In this embodiment, two fan units (237)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그리고, 상기 살균모듈(23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유닛(233)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되, 프리필터(pre-filter), 헤파필터 또는 카본필터로 이루어져서 정화 및 살균모듈(200)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재차 정화시키는 제2 필터링 부재(238)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2이상의 필터요소가 조합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일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ltering member (238) that i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light source unit (233) and is composed of a pre-filter, a HEPA filter, or a carbon filter to re-purify the air purified by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ilter elements.
상기 제2 필터링 부재(238)는 전술한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어, 광촉매필터(232) 및 광원유닛(233)의 전단계에서 공기를 전처리 여과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filtering member (238)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described above, so that air can be pre-filtered in a stage before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즉, 상기 제2 필터링 부재(238)는 전술한 광촉매필터(232)나 광원유닛(233)과 대응되도록 전체적으로 하우징(231) 내부를 전후로 구획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하우징(231)의 내벽에 지지되어, 하우징(231)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second filtering member (238) may have a plate shape that divides the entire interior of the housing (231) into front and back s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aforementioned photocatalytic filter (232) or light source unit (233), and may be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231) and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housing (231).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필터링 부재(238)는 광촉매필터(232) 등과 대응되도록 대체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것으로 예시되고 있지만, 하우징(231)의 형상 등에 대응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filtering member (238) is exemplified as having a generally square plate shape to correspond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etc.,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ousing (231), etc.,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exemplified.
상기 스마트제어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내부의 바닥부에 나사 등으로 고정설치되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의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CCTV영상녹화(블랙박스), 감성조명, 정화된 공기살균의 On/Off 기능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smart control unit (240), as shown in Fig. 3,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 with screws, etc., and performs the functions of CCTV video recording (black box), emotional lighting, and purified air sterilization on/off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of th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ensing unit.
상기 스마트제어부(240)에 내장된 센서가 실내 또는 주변의 공기의 질을 아주 위험, 위험, 보통, 청정 등의 4단계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카메라(100)의 영상정보에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출하게 한다.The sensor built into the above smart control unit (240) detects the indoor or surrounding air quality in four stages: very dangerous, dangerous, normal, and clean, and displays the detected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OSD (On Screen Display) on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camera (100).
즉,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200)을 통해서 정화 및 살균된 공기가 배출되기 전 또는 배출될 때에 본체(210) 내부의 공기 조건이 스마트제어부(240)를 통해서 점등되거나 영상으로 표출되도록 한다.That is, before or when the air purified and sterilized through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s discharged,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main body (210) is displayed as a light or image through the smart control unit (240).
여기서, 상기 스마트제어부(240)에서 공기정화, 센싱부에서 센싱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공기오염지수가 공기정화 표출부(215)를 통해서 설정된 색깔 조명으로 단계별로, 바람직하게는 3단계로 표출 제어된다.Here, the air pollution index is controlled to be displayed in stages, preferably in three stages,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using set color lighting according to the fine dust concentration sensed by the air purification and sensing unit in the smart control unit (240).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제어부(240)의 센싱부를 통해 감지된 공기오염지수가 정화되기 전에는 빨간색, 정화된 후에는 노란색, 살균된 후에는 파란색으로 공기정화 표출부(215)를 통해서 표출되게 한다.For example, the air pollution index detected through the sensing unit of the smart control unit (240) is displayed in red before purification, yellow after purification, and blue after sterilization through the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따라서, 상기 스마트제어부(240)를 통해서, 공기의 외부 유입 및 이상징후 발생에 의해 갑자기 공기질이 하락하게 되면 살균모듈(230)의 팬유닛(237)을 가동시켜 정화 및 살균모듈(200)로 오염된 공기를 유입시켜서 빠른 시간 내에 공기의 질이 개선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rough the smart control unit (240), when the air quality suddenly deteriorates due to external inflow of air or occurrence of abnormal symptom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an unit (237) of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to operate and introduce contaminated air into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so that the air quality can be improv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100), 블랙박스(미도시), 공기 정화 및 살균 모듈(200), 공기정화 표출부(215) 기능을 갖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의 작동과정에 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100), a black box (not shown), an air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and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having an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상기 카메라(100)와 결합된 정화 및 살균 모듈(200)을 벽 등의 고정체(미도시)에 설치한다.First,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combined with the camera (100) is installed on a fixed body (not shown) such as a wall.
그 다음, 상기 스마트제어부(2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팬유닛(237)이 구동되어, 오염된 공기가 제1 흡입구(211)를 통해서 본체(210)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게 한다.Next, the fan unit (237)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smart control unit (240), so that the contaminat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1).
그 다음, 상기 제1 흡입구(211)를 통해서 유입된 오염 공기가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서 정화되면서, 동시에 스마트제어부(240)에 구비된 센싱장치(미도시)를 통해서 미세먼지를 센싱시킨다.Next, the polluted air drawn in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1) is purified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while at the same time, fine dust is sensed through a sens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smart control unit (240).
그 다음, 상기 정화된 공기는 팬유닛(237)의 작동을 통해서 제2 흡입구(231-1)를 통해 살균모듈(230)로 이동된다. Next, the purified air is moved to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through the second suction port (231-1) by the operation of the fan unit (237).
여기서, 상기 정화된 공기가 살균모듈(230)로 이동하기 전에, 제2 필터링부재(238)를 통해서 재차 정화시키는 일도 가능하다.Here, before the purified air moves to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it is also possible to purify it again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member (238).
그런 다음, 광촉매필터(232)에 광원유닛(233)를 통한 UV-A 광선(자외선)을 조사하여 정화된 공기를 살균시킨다.Then, the purified air is sterilized by irradiating UV-A rays (ultraviolet rays) through the light source unit (233) to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그런 다음, 살균 처리된 공기는 제2 배출구(231-2)를 통해서 본체 내부로 배출된다. Then, the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31-2).
이때 상기 살균 처리된 공기는 스마트제어부(240)의 센싱부에 의해 감지되고, 동시에 상기 공기정화 표출부(215)가 파란색으로 표출된다. At this time, the sterilized air is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of the smart control unit (240),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is displayed in blue.
그 다음, 상기 살균 처리된 공기는 본체(210)의 제1 배출구(21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Next, the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12) of the main body (210).
그리고, IrDA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가 구동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해서 스마트제어부(240)로 전달시킨다.And, the IrDA infrared sensing unit detects human body movements and transmits them to the smart control unit (240).
이때, 스마트제어부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의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CCTV영상녹화(블랙박스), 감성조명, 공기정화 On/Off 기능을 수행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mart control unit can also perform CCTV video recording (black box), emotional lighting, and air purification On/Off functions according to the human body detection signal of the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ensing unit.
그 다음, 상기 카메라(100)가 구동되어, 실내공간을 영상촬영한다.Next, the camera (100) is operated to capture video of the indoor space.
끝으로,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블랙박스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되게 한다.Finally, the image data captured by the above camera (100) is stored in the black box memory (not shown). Let it be saved.
상기 블랙박스 메모리부는 일반적인 카메라(100)에 구비된 동일한 형태의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 black box memory unit is of the same type as that provided in a general camera (1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means of limit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카메라 200: 정화 및 살균모듈
210: 본체 211: 제1 흡입구
212: 제1 배출구 213: 끼움장착부
215: 공기정화 표출부
220: 필터링 패널 221: 제1 외부층
222: 제2 외부층 223: 제1 필터링 부재
224: 지지플레이트
230: 살균모듈 231: 하우징
231-1: 제2 흡입구 231-2: 제2 배출구
232: 광촉매필터 232-1: 통기구
233: 광원유닛 234: 탄성블록
235: 스페이서 236: 조정핀
237: 팬유닛 238: 제2 필터링 부재
239: 지지리브
240: 스마트제어부100: Camera 200: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10: Body 211: First intake
212: First outlet 213: Fitting
215: Air purification display section
220: Filtering panel 221: First outer layer
222: Second outer layer 223: First filtering member
224: Support plate
230: Sterilization module 231: Housing
231-1: Second intake port 231-2: Second exhaust port
232: Photocatalytic filter 232-1: Ventilation hole
233: Light source unit 234: Elastic block
235: Spacer 236: Adjustment pin
237: Fan unit 238: Second filtering unit
239: Support rib
240: Smart Control Unit
Claims (5)
상기 카메라(100)의 후방에 설치되어서 대기의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 및 살균하는 정화 및 살균모듈(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 및 살균모듈(200)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흡입구(211)와 상기 오염물질이 정화 및 살균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 배출구(212)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상기 제1 흡입구(211)에 구비된 끼움장착부(213)에 삽입 설치되고,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필터링 패널(220);
상기 본체(210)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 배출된 정화공기를 흡입하고 살균하여 상기 제1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하는 살균모듈(230); 및
상기 본체(210) 내부의 바닥부에 고정설치되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적외선 센싱부 인체감지의 인체감지신호에 따라 CCTV영상녹화(블랙박스), 감성조명, 정화된 공기살균의 On/Off 기능을 수행시키는 스마트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
A camera (100) installed in the front to take pictures of a certain space; and
It consists of a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bove camera (100) to purify and sterilize pollutants in the polluted air of the atmosphere;
The abov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is
A main body (2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amera (100) and having a first intake port (211) for sucking in air containing pollutants and a first exhaust port (212) for discharging air purified and sterilized of the pollutants;
A filtering panel (220)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fitting (213) provided in the first suction port (211) of the main body (210) and allows pollutants in polluted air to be purified and discharged;
A sterilizing module (230)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sucking in purified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sterilizing it, and discharging it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ort (212); and
A camera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mart control unit (240)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inside the main body (210) and configured to perform CCTV video recording (black box), emotional lighting, and On/Off functions of purified air sterilization according to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of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infrared sensing unit.
망상 구조(net-shaped structure)로 이루어진 제1 외부층(221) 및 제2 외부층(222)과,
상기 제1 외부층(221)과 상기 제2 외부층(222)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 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 내의 오염물질이 정화되어서 배출되게 하는 제1 필터링 부재(223)와,
상기 제1 외부층(221), 상기 제2 외부층(222) 및 제1 필터링 부재(223)를 지지해주는 지지플레이트(224)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외부층(221) 및 상기 제2 외부층(222)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필터링 부재(223)는 기공 크기가 300 미크론 내지 500 미크론인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
In claim 1, the filtering panel (220)
A first outer layer (221) and a second outer layer (222) made of a net-shaped structure,
A first filtering member (22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to purify and discharge pollutants in polluted air drawn in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11),
It is composed of a support plate (224) that supports the first outer layer (221), the second outer layer (222)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outer layer (221) and the second outer layer (222) are made of polyester or polypropylene, and the first filtering member (223) is made of porous activated carbon having a pore size of 300 microns to 500 microns.
상기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2 흡입구(231-1) 및 정화된 공기가 살균된 후에 배출되게 하는 제2 배출구(231-2)를 구비하는 하우징(231)과,
통기구(232-1)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231) 내부에 배치되고, 알루미늄 기판 및 상기 알루미늄 기판의 외면에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을 통해 코팅된 이산화티탄(TiO2) 코팅층을 구비하여, 상기 제2 흡입구(231-1)를 통해 유입된 정화공기를 살균하는 광촉매필터(232)와,
상기 광촉매필터(232)를 향해 320~400nm의 파장을 갖는 UV-A 광선을 조사하는 광원유닛(233)과,
상기 하우징(231)의 내측 좌우에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필터(232) 및 상기 광원유닛(233)의 테두리 부위가 탄성적으로 끼움 결합되게 하는 탄성블록(234)과,
상기 광촉매필터(232) 및 상기 광원유닛(2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촉매필터(232) 및 상기 광원유닛(233)을 소정의 전후 간격으로 지지하고, 양단에는 상기 광촉매필터(232) 또는 상기 광원유닛(233)을 고정시키고 소정의 설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핀(236)이 나사결합되는 스페이서(235)와,
상기 하우징(23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 흡입구(231-1)를 통해 상기 필터링 패널(220)을 통해서 정화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231) 내부로 유입시키고, 상기 제2 배출구(231-2)를 통해 살균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231)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유닛(237)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기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촬영장치.
In claim 1, the sterilizing module (230)
A housing (231) having a second intake port (231-1) for sucking in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and a second discharge port (231-2) for discharging purified air after it has been sterilized,
A photocatalytic filter (232) having a ventilation hole (232-1)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31), and having an aluminum substrate and a titanium dioxide (TiO2) coating layer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luminum substrate through 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and sterilizing the purifi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1-1),
A light source unit (233) that irradiates UV-A rays with a wavelength of 320 to 400 nm toward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 elastic block (234) is arranged on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ousing (231) so that the edge portions of the photocatalytic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are elastically fitted together,
A spacer (235) is placed between the photocatalyst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supports the photocatalyst filter (232) and the light source unit (233) at a predetermined front-back interval, and has an adjustment pin (236) screw-connected at both ends to fix the photocatalyst filter (232) or the light source unit (233) and adjust the predetermined installation interval.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n unit (237)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housing (231) to introduce purified air through the filtering panel (220) into the housing (231)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231-1) and to discharge sterilized ai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231) through the second exhaust port (231-2).
A photographing device equipped with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laim 1, it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display unit (215) installed in the main body (210) of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so that the air conditions inside the main body (210) are lit or displayed as an image through the smart control unit (240) before or when the purified and sterilized air is discharged.
A photographing device having an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 claim 1, the sterilization module (230) is provided with a second filtering member (238) that is arranged at a rear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unit (233) and is composed of a pre-filter, a HEPA filter or a carbon filter to re-purify the air purified by the purification and sterilization module (2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7424A KR20250007371A (en) | 2023-07-05 | 2023-07-05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7424A KR20250007371A (en) | 2023-07-05 | 2023-07-05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07371A true KR20250007371A (en) | 2025-01-14 |
Family
ID=9424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7424A Pending KR20250007371A (en) | 2023-07-05 | 2023-07-05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07371A (en) |
-
2023
- 2023-07-05 KR KR1020230087424A patent/KR20250007371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62913B2 (en) | Ai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system | |
US6464760B1 (en) | Ultraviolet air purifier | |
US7326387B2 (en) | Air decontamination devices | |
KR101594142B1 (en) | a air cleaning system of IOT based | |
KR101860891B1 (en) | Wall penetration type selectively clean air supply system | |
US6224655B1 (en) | Biostatic air filter | |
KR101761908B1 (en) | Air purification device | |
JP2007202826A (en) | Portable clean air supply device | |
US20060286921A1 (en) | Safe rooms and other such spaces and air processing systems for such safe rooms and spaces | |
KR20210065430A (en) | Air Cleaner | |
KR20180067465A (en) | Support plate supportting clean air supply device, window frame installing clean air supply device, a cap for closing the hole formed in the window frame | |
KR20220052872A (en) | Virus sterilization fine dust air purifier with virus sterilization, fine dust removal and deodorization function | |
KR20250007371A (en) |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air pollutant purification device | |
US20220258089A1 (en) | Activated Charcoal Air Ventilation System Filter | |
KR20230011524A (en) | Multifunctional air purification filter and purif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205664497U (en) | LED light exposure type photocatalyst air purifier | |
KR200481159Y1 (en) | Wall Tapestry Type Air Cleaner | |
CN104613551A (en) | Air purifier | |
JP200204836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ir or exhaust | |
KR20180083113A (en) | Air conditioner to check filter pollution in real time | |
KR102413948B1 (en) | Air cleaner using air conditioning system | |
TWI702368B (en) | Air purifier and air purifying cylinder | |
JP2006145183A (en) | Air conditioner using highly functional photocatalyst | |
JP5153979B2 (en) | Photocatalytic unit | |
JP4388734B2 (en) | Air cleaning device and photocatalys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