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05800A -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05800A KR20250005800A KR1020230086069A KR20230086069A KR20250005800A KR 20250005800 A KR20250005800 A KR 20250005800A KR 1020230086069 A KR1020230086069 A KR 1020230086069A KR 20230086069 A KR20230086069 A KR 20230086069A KR 20250005800 A KR20250005800 A KR 202500058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ow
- remote terminal
- screen
- user
- user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원격 단말의 화면이 표시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원격 단말을 모니터링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의 일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사전 정의된 방향성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Claims (16)
-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전 정의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의 입력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중에서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복수의 원격 단말의 화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화면이 확대 표시된 것인,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V자 형상의 제스처인,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제1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1 좌표 정보는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위치의 대표 좌표를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 상의 대응 좌표로 변환한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좌표는 상기 입력 위치의 시작점인,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윈도우가 브라우저이면,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웹페이지에 관한 DOM(Document Object Model)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중에서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제2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사이즈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2 윈도우를 포함하는 부모 윈도우 중에서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의 사이즈를 가지는 최소 사이즈의 부모 윈도우를 상기 제1 윈도우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윈도우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2 윈도우를 상기 제1 윈도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 윈도우의 사이즈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결정된 제1 윈도우의 사이즈가 상기 제2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결정된 제1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즈가 확대된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기 타겟 원격 단말에 대한 모니터링 상태가 종료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이즈가 확대된 제1 윈도우의 사이즈를 확대 전의 사이즈로 되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정의된 방향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방향성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방향에 의하여 특정되는 제3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는 복수의 윈도우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윈도우는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인접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제3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윈도우의 프로세스 이름은 상기 제1 윈도우의 프로세스 이름과 동일한 것인,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전 정의된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의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을 확대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 통신 인터페이스;
컴퓨터 프로그램이 로드(load)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대한 사전 정의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
상기 사용자 입력의 입력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중에서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제1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시스템.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제1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1 좌표 정보는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해상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위치의 대표 좌표를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 상의 대응 좌표로 변환한 것인,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시스템.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중에서 상기 입력 위치에 대응되는 제2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제2 윈도우의 사이즈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2 윈도우를 포함하는 부모 윈도우 중에서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의 사이즈를 가지는 최소 사이즈의 부모 윈도우를 상기 제1 윈도우로서 결정하고, 상기 제2 윈도우의 사이즈가 상기 제1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제2 윈도우를 상기 제1 윈도우로서 결정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시스템.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전 정의된 방향성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방향성 사용자 입력에 따른 방향에 의하여 특정되는 제3 윈도우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에는 복수의 윈도우가 포함되고, 상기 제3 윈도우는 상기 타겟 원격 단말의 화면 상에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인접하는 것인, 인스트럭션들; 및
상기 제3 윈도우의 콘텐츠 영역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인스트럭션들을 더 포함하는,
원격 단말 모니터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6069A KR20250005800A (ko) | 2023-07-03 | 2023-07-03 |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6069A KR20250005800A (ko) | 2023-07-03 | 2023-07-03 |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05800A true KR20250005800A (ko) | 2025-01-10 |
Family
ID=94243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6069A Pending KR20250005800A (ko) | 2023-07-03 | 2023-07-03 |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0580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175B1 (ko) | 2008-10-27 | 2009-11-10 |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 원격지 컴퓨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
2023
- 2023-07-03 KR KR1020230086069A patent/KR20250005800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175B1 (ko) | 2008-10-27 | 2009-11-10 |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 원격지 컴퓨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52529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lter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user interface actions | |
US6356281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ranslucent overlapping graphical objects on a computer monitor | |
CN107122119B (zh) |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20200133475A1 (en) |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device | |
US20130283100A1 (en) | Testing device | |
KR20210110530A (ko) | 딥 러닝에 기반한 연산자 등록 처리 방법, 장치 및 전자 기기 | |
US2017019264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unintended user interface input | |
CN112579187A (zh) | 一种应用程序冷启动的优化方法及装置 | |
CN108197024B (zh) | 嵌入式浏览器调试方法、调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2016013976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use pointer to automatically follow cursor | |
US10956663B2 (en) | Controlling digital input | |
KR101796009B1 (ko) | 프로그램 자동 분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분석 방법 | |
JP7367917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10996963B2 (en) | Integrating web-based tutorials into websites using a tag manager | |
JP6528400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50005800A (ko) | 원격 단말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 |
US20120079402A1 (en) | Terminal,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adjusting attributes of user-input area based on user selection | |
JP2014119799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制御方法 | |
CN107728841B (zh) | 基于中标麒麟操作系统的多点触控方法及系统 | |
US1165083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drawing optimization with pointer input in a remote session | |
CN118409720A (zh) | 一种多屏显示方法、主显示设备及存储介质 | |
EP3525089A1 (en) |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ystem | |
JP7588885B2 (ja) |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生成方法、及び方法 | |
US2025024734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scrolling and capturing a dialogue box running on an android-based portable terminal | |
JP7466123B2 (ja) |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生成方法、及び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3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