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5594A -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 Google Patents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5594A
KR20250005594A KR1020230085467A KR20230085467A KR20250005594A KR 20250005594 A KR20250005594 A KR 20250005594A KR 1020230085467 A KR1020230085467 A KR 1020230085467A KR 20230085467 A KR20230085467 A KR 20230085467A KR 20250005594 A KR20250005594 A KR 20250005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ndle
treatment device
slider
gri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97287B1 (ko
Inventor
백재민
홍완기
Original Assignee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8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97287B1/ko
Publication of KR2025000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97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972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Instruments for taking body samples for diagnostic purposes; 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r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6Biopsy forceps, e.g. with cup-shaped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8Snares for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엄지가 끼워지고, 일측에 지시선이 형성된 핸들과;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핸들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 외측면에 상기 지시선이 가리키는 다수의 각도 표시선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시 가이드홀 내부에서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홀더와; 후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홀더에 파지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된 파지구와; 상기 와이어를 포위하는 와이어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핸들 내에서 손가락을 빼지 않고도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파지구를 회전시켜 파지구의 자세를 시술에 용이한 자세로 변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구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Endoscopic treatment device with easy rotation of the gripper}
본 발명은 연구과제(과제명: 영상을 이용한 요압 측정 방법 및 장치)의 연구결과로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신체 내부를 관찰하는 의료기구인 내시경의 사용과정에서 함께 사용되어 신체 내부의 생체조직에 의료적 처치를 하는 내시경용 처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신체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의료기구인 내시경에는 그 사용과정에서 각종 처치기구가 함께 사용되어 생체조직에 의료적 처치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는 내시경용 클립 처치기구, 포셉이 연결된 내시경 생검용 기구, 스네어가 연결된 내시경용 시술기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내시경용 클립 처치기구는 지혈 등을 목적으로 생체조직을 클립으로 파지(클립핑)하여 생체조직을 봉합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고, 포셉이 연결된 내시경 생검용 기구는 포셉을 체내로 삽입한 후 체외에서 시술자가 포셉을 조작하여 체내 조직을 파지하여 채취함으로써 생체검사를 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며, 스네어가 연결된 내시경용 시술기구는 올가미 형태로 만들어진 스네어로 용종을 파지하여 포획한 후 통전을 시킴으로써 용종을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내시경용 처치기구는 손가락을 삽입하는 핸들이 구비된 바디에 와이어가 설치되고, 이 와이어의 끝단에 클립, 포셉 또는 스네어 등과 같은 파지구가 연결되어 있는데, 체내의 생체조직이나 용종 등을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서는 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클립, 포셉 및 스네어 등과 같은 파지구를 생체조직 파지에 용이한 각도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렇게 클립, 포셉 및 스네어 등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수술을 하고 있던 사용자가 핸들 내에서 손가락을 꺼낸 후 바디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용이하지 않고 번거로우며 그 과정 중에 처치기구가 흔들리게 되어 오히려 주변 생체조직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38594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핸들 내에서 손가락을 빼내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의 끝단에 구비된 클립, 포셉 및 스네어 등과 같은 파지구를 생체조직 파지에 용이한 각도로 회전시켜 자세를 변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구의 회전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는 사용자의 엄지가 끼워지고, 일측에 지시선이 형성된 핸들과; 가이드홀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핸들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 외측면에 상기 지시선이 가리키는 다수의 각도 표시선이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시 가이드홀 내부에서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홀더와; 후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홀더에 파지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된 파지구와; 상기 와이어를 포위하는 와이어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핸들은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고, 상기 지시선이 형성된 고리와; 상기 고리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홀 내에 끼워지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의 샤프트가 관통되는 바디의 내주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샤프트 외주면에는 상기 요홈 내부에 끼워지는 환형리브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리브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돌기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바디의 가이드홀 양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의 후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토퍼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는 핸들이 바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핸들 내에서 엄지를 빼지 않은 상태에서 바디를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회전되어 와이어의 끝단에 결합된 파지구의 자세가 변환되고, 따라서 시술 중에도 파지구의 자세 변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바디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홀더의 후진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므로, 와이어 홀더와 핸들이 지나치게 많이 후진되어 선단의 파지구가 지나치게 강하게 압박되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의 핸들을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서 파지구 회전 전후의 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서 슬라이더의 전후진시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의 핸들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서 파지구 회전 전후의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에서 슬라이더의 전후진시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는 핸들(10)과, 상기 핸들(10)과 연결되는 바디(20)와, 상기 바디(2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바디(20)의 선단에 체결되는 고정캡(40)과, 상기 슬라이더(30) 내부에 설치되는 와이어 홀더(50)와, 후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홀더(50)에 파지되는 와이어(60)와, 상기 와이어(60)의 선단에 구비된 파지구(70)와, 상기 와이어(60)를 포위하는 와이어 튜브(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10)은 바디(20)의 후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엄지가 끼워지고, 일측에 지시선(11a)이 형성된다. 이러한 핸들(10)은 바디(2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바디(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핸들(10)은 고리(11)와, 상기 고리(11)의 외측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의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11)는 사용자의 손가락, 특히 엄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고리(11)의 외측면에는 지시선(11a)이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2)는 바디(20)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홀(22) 내에 끼워진다. 이러한 샤프트(12)는 외주면에 환형리브(12a)가 형성되고, 이 환형리브(12a)에는 돌기홈(12b)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13)는 샤프트(12)의 끝단에 형성되어 바디(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23)에 걸린다.
상기 바디(20)는 그 전체적인 형태가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가이드홀(21)이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20)의 후단에는 핸들(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의 외측면에는 지시선(11a)이 가리키는 다수의 각도 표시선(2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21)은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형성되되 바디(20)의 와주측을 관통하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바디(20)는 후단 끝면에서 안쪽을 향해 일직선으로 삽입홀(22)이 형성되고, 바디(20)의 삽입홀(22)을 따라 안쪽으로 일정거리 진입하면 단턱(2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10)의 샤프트(12)가 관통되는 바디(20)의 내주면에는 삽입홀(22)과 연통되는 요홈(24)이 환형(環形)으로 형성된다.
한편, 핸들(10)의 샤프트(12) 외주면에는 요홈(24) 내부에 끼워지는 환형리브(12a)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요홈(24)에는 하나 이상의 돌기(24a)가 돌출 형성되고, 환형리브(12a)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24a)가 삽입되는 다수의 돌기홈(1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엄지를 핸들(10)에 끼운 상태에서 바디(20)를 돌리면 요홈(24) 내에서 환형리브(12a)도 회전을 하고, 이때 돌기(24a)는 특정 돌기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가 회전에 따라 옆쪽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홈 내에 삽입된다.
이렇게 바디(20)가 회전할 때 바디(20)에 형성된 다수의 각도 표시선(25)은 핸들(10)에 형성된 지시선(11a)을 지나치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바디(20)가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바디(20)의 회전각도를 알 수 가 있다.
그리고, 바디(20)에는 후크(13)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시홀(26)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홀(26)은 바디(20)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데, 이 투시홀(26)을 통해서 단턱(23)에 결합되어 있는 후크(13)를 볼 수 있다. 따라서 핸들(10)을 바디(2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는 투시홀(26) 내에 도구를 넣어 후크(13)를 누른 다음 핸들(10)을 바디(20) 밖으로 당기면 된다.
또한, 바디(20)의 가이드홀(21) 양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에는 스토퍼(2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7)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스토퍼(27)는 와이어 홀더(50)의 후진을 방지한다.
즉, 슬라이더(30)가 바디(20)를 따라 후진할 때 와이어 홀더(50)는 가이드홀(2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0)와 함께 후진하는데, 이때 와이어 홀더(50)가 지나치게 많이 후진을 하면 와이어(60) 끝단에 구비된 파지구(70)가 너무 큰 힘으로 물려 파지구(70)가 비틀리거나 절곡되는 것과 같은 파손을 당할 수 있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홀더(50)의 지나친 후진을 방지하는 스토퍼(27)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스토퍼(27)는 삼각 단면을 갖기 때문에 와이어 홀더(50)는 스토퍼(27)의 상면을 타고 앞쪽에서 뒤쪽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까지는 살짝 올라갈 수 있다. 이로써 파지구(70)가 비틀리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의 강한 힘으로는 물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30)는 원기둥 형태인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중앙부분에는 관통홀(3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31) 내에 바디(20)가 삽입되어 슬라이더(30)는 바디(20)를 둘러싼 형태가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30)는 바디(20)를 둘러싼 형태로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바디(2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엄지를 핸들(10)의 고리(11) 내부에 끼웠을 때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는 슬라이더(30)의 외주면을 파지한다.
상기 고정캡(40)은 바디(20)의 선단에 나선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와이어 홀더(50)는 슬라이더(30)의 관통홀(31) 내에 삽입되면서 동시에 바디(20)의 가이드홀(21) 내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가 바디(20)를 따라 이동할 때 가이드홀(21) 내부에서 슬라이더(30)와 함께 이동한다. 이러한 와이어 홀더(50) 때문에 슬라이더(30)는 바디(2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바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를 핸들(10)의 고리(11)에 끼운 상태에서 왼손으로 바디(20)를 잡고 회전시키면 슬라이더(30), 고정캡(40) 및 와이어 홀더(50)도 함께 회전하여, 와이어 홀더(50)에 물려 있는 와이어(60)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와이어(60)의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파지구(70)도 회전을 함으로써 파지구(70)의 자세가 변경된다.
상기 와이어(60)는 선단에 파지구(70)가 결합되고 후단부분은 와이어 홀더(50)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파지구(70)는 생체조직을 파지하기 위하여 와이어(60)의 선단에 구비한 것으로서, 클립 형태일 수도 있고, 포셉 형태일 수도 있으며, 스네어 형태일 수도 있다.
파지구(70)가 클립일 때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바디(20)를 따라 슬라이더(30)를 앞쪽으로 밀면 즉 슬라이더(30)를 핸들(10) 반대쪽으로 밀면 와이어 튜브(80)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닫혀 있던 한 쌍의 클립이 벌어지고, 슬라이더(30)를 뒤쪽으로 당기면 즉 슬라이더(30)를 핸들(10) 쪽으로 당기면 벌어져 있던 한 쌍의 클립 끝부분이 닫히면서 피가 나고 있는 생체조직 부분을 양쪽에서 물게 된다. 이렇게 클립이 피가 흐르고 있는 생체조직 부분을 파지하면 그 생체조직 부분에서는 신속하게 지혈이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와이어 튜브(80)는 와이어(60) 주위를 포위한다.
10: 핸들 11: 고리
11a: 지시선 12: 샤프트
12a: 환형리브 12b: 돌기홈
13: 후크 20: 바디
21: 가이드홀 22: 삽입홀
23: 단턱 24: 요홈
24a: 돌기 25: 각도 표시선
26: 투시홀 27: 스토퍼
30: 슬라이더 31: 관통홀
40: 고정캡 50: 와이어 홀더
60: 와이어 70: 파지구
80: 와이어 튜브

Claims (5)

  1. 사용자의 엄지가 끼워지고, 일측에 지시선(11a)이 형성된 핸들(10)과;
    가이드홀(2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핸들(10)이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 외측면에 상기 지시선(11a)이 가리키는 다수의 각도 표시선(25)이 형성된 바디(20)와;
    상기 바디(2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가이드홀(21)에 삽입되어, 슬라이더(30)의 이동시 가이드홀(21) 내부에서 함께 이동하는 와이어 홀더(50)와;
    후단 부분이 상기 와이어 홀더(50)에 파지되는 와이어(60)와;
    상기 와이어(60)의 선단에 구비된 파지구(70)와;
    상기 와이어(60)를 포위하는 와이어 튜브(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은 사용자의 엄지가 삽입되고, 상기 지시선(11a)이 형성된 고리(11)와;
    상기 고리(11)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20)의 후단에 형성된 삽입홀(22) 내에 끼워지는 샤프트(12)와;
    상기 샤프트(12)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단턱(23)에 걸리는 후크(1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핸들(10)의 샤프트(12)가 관통되는 바디(20)의 내주면에는 요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핸들(10)의 샤프트(12) 외주면에는 상기 요홈(24) 내부에 끼워지는 환형리브(12a)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요홈(24)에는 돌기(24a)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리브(12a)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24a)가 삽입되는 돌기홈(1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20)의 가이드홀(21) 양측면 중 어느 한쪽 측면에는 상기 와이어 홀더(50)의 후진을 방지하는 스토퍼(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7)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갈수록 점점 높아지는 삼각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KR1020230085467A 2023-07-03 2023-07-03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Active KR102797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67A KR102797287B1 (ko) 2023-07-03 2023-07-03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5467A KR102797287B1 (ko) 2023-07-03 2023-07-03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5594A true KR20250005594A (ko) 2025-01-10
KR102797287B1 KR102797287B1 (ko) 2025-04-21

Family

ID=9424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5467A Active KR102797287B1 (ko) 2023-07-03 2023-07-03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9728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727B2 (ja) * 1995-06-19 2003-06-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バスケット型把持具
JP4085148B2 (ja) * 2002-09-27 2008-05-14 有限会社エスアールジェイ 高周波スネア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4-04-16 최동열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KR101559273B1 (ko) * 2015-02-25 2015-11-03 김창보 의료용 스네어
KR101958720B1 (ko) * 2018-03-23 2019-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의료용 스네어
JP6931427B2 (ja) * 2018-07-23 2021-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KR102537383B1 (ko) * 2023-05-04 2023-05-30 주식회사 메디바이스 미세 회전 조절용 결속 장치를 갖는 의료용 스네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7727B2 (ja) * 1995-06-19 2003-06-16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用バスケット型把持具
JP4085148B2 (ja) * 2002-09-27 2008-05-14 有限会社エスアールジェイ 高周波スネア
KR101385942B1 (ko) 2013-08-20 2014-04-16 최동열 내시경용 바이옵시 포셉
KR101559273B1 (ko) * 2015-02-25 2015-11-03 김창보 의료용 스네어
KR101958720B1 (ko) * 2018-03-23 2019-03-18 주식회사 코스와이어 의료용 스네어
JP6931427B2 (ja) * 2018-07-23 2021-09-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KR102440229B1 (ko) * 2021-09-15 2022-09-02 김창보 일체형 와이어홀더가 구비된 내시경용 겸자
KR102537383B1 (ko) * 2023-05-04 2023-05-30 주식회사 메디바이스 미세 회전 조절용 결속 장치를 갖는 의료용 스네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97287B1 (ko) 202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7638B1 (en) Endoscopically inserting surgical tool
US6755843B2 (en) Endoscopic suturing device
EP2627262B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KR20050031449A (ko) 내시경 디바이스용 핸들
KR20050031450A (ko) 가요성의 엔도스코픽 장치용 작동 메카니즘
US20190208988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US10390818B2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KR101822606B1 (ko) 의료용 스네어 장치
US20180338760A1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JP3718372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4481029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7369624B2 (ja) 縫合糸配置装置および方法
KR101601911B1 (ko)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US10136798B2 (en) Endoscopic system
US9549661B2 (en) Medical device actu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797287B1 (ko) 파지구 회전이 용이한 내시경용 처치기구
JP7113087B2 (ja) 内視鏡用処置具
JP6996000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6165397B1 (ja) 処置具挿通具
JP2020527392A (ja) 縫合糸配置装置および方法
KR20240096019A (ko) 내시경용 처치기구
WO2007010208A1 (en) Surgical device for trans-nasal use
JP2000201939A (ja) 医療用処置具
KR101764720B1 (ko) 내시경 시술기구
KR102440444B1 (ko) 케이스 분리형 내시경 겸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