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01559A -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01559A KR20250001559A KR1020230083930A KR20230083930A KR20250001559A KR 20250001559 A KR20250001559 A KR 20250001559A KR 1020230083930 A KR1020230083930 A KR 1020230083930A KR 20230083930 A KR20230083930 A KR 20230083930A KR 20250001559 A KR20250001559 A KR 202500015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bobbin
- winding
- coil
- wou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4—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 B21C47/143—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the guide being a tub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04—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 B21C47/045—Winding-up or coiling on or in reels or drums, without using a moving guide in rotat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B21C47/10—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 B21C47/14—Winding-up or coiling by means of a moving guide by means of a rotating guide, e.g. laying the material around a stationary reel or drum
- B21C47/146—Controlling or influencing the laying pattern of the co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2—Tongs or gripp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el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과 탄성이 큰 스테인레스 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내측과 외측에 이중으로 형성되는 이중 코일을 생성하는 스테인레스 이중 코일 제조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파이프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기 위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보빈(bobbin);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 및 상기 보빈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권취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에 상기 파이프를 1차 권취한 후, 상기 권취된 파이프의 종단이 상기 절취홈을 따라 노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상에 상기 권취 커버를 씌운뒤 상기 보빈에 상기 권취 커버를 고정하고,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권취 커버에 상기 파이프를 2차 권취하는 이중코일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ainless steel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which uses a stainless steel pipe having high rigidity and elasticity to produce a double coil formed in two layer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including: a frame; a bobbin which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for winding a pipe into a coil shape, and which is connected to a shaft of a motor and rotates; a pipe transfer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frame and transfers the pipe to the bobbin; and a winding cover which is mounted on the bobbin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body which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and a cut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fter first winding the pipe on the bobbin, the winding cover is placed on the pipe so that the end of the wound pipe is exposed along the cut groove, and the winding cover is fixed to the bobbin, and the bobbin is rotated to secondarily wind the pipe on the winding co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중코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파이프를 내측과 외측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유형의 스테인레스 이중 코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ainless steel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of a ty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a stainless steel pipe are formed continuously.
열교환장치는 열 전달을 위해 단위 체적당 넓은 접촉면적이 요구되고, 넓은 접촉면적을 얻기 위해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의 파이프를 파이프를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중 코일은 하나의 입수관과 하나의 출수관을 가지는 금속 파이프가 단위 체적당 최대의 접촉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나선형 코일 형상을 가지며, 나선형 코일 내부에 또 다른 나선형 코일 구조물을 형성한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코일 구조물을 통상 이중 코일이라 하며 열교환기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열교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Heat exchangers require a large contact area per unit volume for heat transfer, and in order to obtain a large contact area, hollow pipes with an empty interior are manufactured by spirally winding the pipes. A double coil refers to a metal pipe having one inlet and one outlet pipe having a spiral coil shape to secure the maximum contact area per unit volume, and forming another spiral coil structure inside the spiral coil. Such a coil structure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double coil, and can reduce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and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그러나, 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이중 코일은 나선형 코일 내부에 또 다른 나선형 코일 구조를 적재해야 하므로 내측에 적재되는 코일은 단일 코일에 비해 단면 지름이 작아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의 파이프를 권취하여 이중 코일을 만들고 있으나, 열교환기의 특성에 따라서는 내식성과 강도가 요구되며, 이러한 경우, 이중 코일로 권취하기 쉬운 알루미늄 대신 스테인레스 재질로 만들어진 이중 코일이 요구된다. However, since the dual coil used in the heat exchanger must load another spiral coil structure inside the spiral coil, the coil loaded inside cannot help but have a smaller cross-sectional diameter than the single coil. Accordingly, the dual coil is made by winding an aluminum pipe, bu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 exchanger,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ngth are required, and in this case, a dual coil made of stainless steel is required instead of aluminum, which is easy to wind into a dual coil.
스테인레스 재질의 파이프는 알루미늄 재질에 비해 강성이 커서 쉽게 권취되지 않고, 권취하는 도중에도 탄성에 의해 나선형 구조물을 유지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 더욱이 이중 코일을 구현할 때, 내측에 형성되는 코일의 지름이 외측에 비해 더 작아지므로 이러한 경향이 매우 커지는 문제가 있다. Pipes made of stainless steel have greater rigidity than pipes made of aluminum, so they are not easily coiled, and even during coiling, they have difficulty maintaining a spiral structure due to elasticity. Furthermore, when implementing a double coil, the diameter of the coil formed on the inner side becomes smaller than that on the outer side,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is tendency becomes very significant.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과 탄성이 큰 스테인레스 제질의 파이프를 내측 코일과 외측 코일, 즉 이중 코일로 형성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that forms a stainless steel pipe having high rigidity and elasticity into an inner coil and an outer coil, that is, a double coi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성과 반발력이 강한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중 코일을 제조 시, 이중 코일을 이루는 각 파이프 사이의 피치가 균일하고 촘촘하게 구현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in which, when manufacturing a dual coil with a stainless steel material having strong rigidity and repulsive force, the pitch between each pipe forming the dual coil is implemented to be uniform and dens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파이프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기 위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보빈(bobbin);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 및 상기 보빈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권취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에 상기 파이프를 1차 권취한 후, 상기 권취된 파이프의 종단이 상기 절취홈을 따라 노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상에 상기 권취 커버를 씌운뒤 상기 보빈에 상기 권취 커버를 고정하고,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권취 커버에 상기 파이프를 2차 권취하는 이중코일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including: a frame; a bobbin installed on the fram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winding a pipe into a coil shape, the bobbin being connected to a shaft of a motor and rotating; a pipe transfer member installed on the frame and transferring the pipe to the bobbin; and a winding cover mounted on the bobbin and having a hollow cylindrical body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and a cut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after first winding the pipe on the bobbin, the winding cover is placed on the pipe so that the end of the wound pipe is exposed along the cut groove, and the winding cover is fixed to the bobbin, and the bobbin is rotated to secondarily wind the pipe on the winding cover.
여기서, 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에 고정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의 종단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을 따라 곡률을 가지는 완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완곡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의 일 영역을 감싸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bobbin and fixes the pipe to the bobbin, and an end of the fastening member forms a curved portion having a curvatur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and the curved portion can wrap around an area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detached.
여기서, 상기 권취 커버가 상기 보빈에 체결된 후, 상기 권취 커버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보빈의 종단에 체결되는 권취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after the winding cover is fastened to the bobbin, a winding cap fastened to the end of the bobbin may be further included to prevent the winding cover from coming off.
여기서, 상기 권취 캡은, 외주연 지름은 상기 보빈 지름보다 작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보빈에 권취된 지름보다 큰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캡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cap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n outer peripheral diameter smaller than the bobbin diameter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pe wound on the bobbin, with one side being open and the other side being formed with a cap.
여기서, 상기 권취 캡은, 상기 원통 형상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원형을 이루며 음각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안착하는 파이프 홈; 상기 파이프 홈의 종단과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캡 테두리; 및 상기 캡 테두리의 일 영역에 상기 파이프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winding cap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ipe groov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pipe; a cap edge formed to protrude and form a step with an end of the pipe groove; and a gap formed in one area of the cap edge to discharge the pipe.
여기서, 상기 갭은, 길이가 상기 권취 캡의 지름 대비 4.5%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ap is preferably 4.5% to 11% in length relative to the diameter of the winding cap.
여기서, 상기 권취 커버는, 상기 파이프가 상기 보빈에 권취된 후, 상기 보빈의 종단에 이르면 상기 보빈에 권취된 파이프 상에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ing cover is placed on the pipe wound on the bobbin when the pipe reaches the end of the bobbin after being wound on the bobbi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보빈에 파이프의 일측을 고정하고,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에 권취함으로써 내측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빈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권취 커버를 준비하고, 권취된 파이프의 종단이 상기 절취홈을 따라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코일 상에 씌운 뒤 고정하는 단계; 상기 권취 커버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보빈의 종단에 권취 캡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를 상기 권취 커버의 외주에 권취함으로써 외측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step of fixing one side of a pipe to a bobbin that is connected to a shaft of a motor and rotates, and forming an inner coil by winding the pipe around the bobbin by rotating the bobbin; a step of preparing a hollow cylindrical body that wrap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and a winding cover having a cut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covering the inner coil with the winding cover so that the end of the pipe is exposed along the cut groove and then fixing it; a step of fastening a winding cap to the end of the bobbin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winding cover; and a step of forming an outer coil by rotating the bobbin and winding the pip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cover.
본 발명에 따르면, 강성과 탄성이 큰 스테인레스 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내측과 외측에 이중으로 형성되는 이중 코일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uble coil formed in two layers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can be created using a pipe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high rigidity and elastic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이중 코일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코일 제조장치로 스테인레스 파이프로 권취하는 과정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체결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이중 코일 형상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권취 커버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권취 캡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출원인이 제품화 중인 권취 캡의 사진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이중 코일 형성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nless steel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15 illustrate perspective views of the process of winding a stainless steel pipe using the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16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stening piece.
Figure 1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dual coil configuration.
Figure 18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cover.
Figure 19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the winding cap.
Figure 20 shows a photographic image of a winding cap that the applicant is currently commercializing.
Figure 21 illustrates a flow chart of a dual coil 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인레스 이중 코일 제조장치(이하, 이중코일 제조장치라 한다)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 내지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이중코일 제조장치로 스테인레스 파이프를 권취하는 과정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inless steel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15 are perspective views of a process of winding a stainless steel pipe using the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15를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이중코일 제조장치(100)는, 프레임(101), 모터(102), 모터 지지대(103), 보빈(110), 파이프 이송부(120)로 구성되며, 파이프 이송부(120)는 이송 레일(121), 이송 패널(122), 이송 롤러(123)를 포함하고, 이송 롤러(123)는 제1 이송 롤러(123a) 및 제2 이송 롤러(1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터(102)는 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며, 모터 지지대(103)에 의해 고정되고, 모터(102)의 회전축(미도시) 종단은 보빈(110)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15 together, a dual-coil manufactu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mprises a frame (101), a motor (102), a motor support (103), a bobbin (110), and a pipe conveying unit (120). The pipe conveying unit (120) comprises a conveying rail (121), a conveying panel (122), and a conveying roller (123). The conveying roller (123) may comprise a first conveying roller (123a) and a second conveying roller (123b). The motor (102) is installed on the frame (101) and is fixed by the motor support (103). The end of the rotational axis (not shown) of the motor (102) may form a bobbin (110).
보빈(110)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중공형일 수 있다. 다른 한편, 보빈(110)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bobbin (110) has a cylindrical shape, is formed with a uniform diameter, and may be hollow with an empty interior. On the other hand, the bobbin (110) may be implemented with a cylindrical shape with a non-empty interior to improve durability.
보빈(110)의 외주연 일 영역은 평면을 이루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홀(111a)이 형성되는 코일 마운트(111)가 체결될 수 있다. 코일 마운트(111)는 체결편(130)과 체결되어 스테인레스 파이프(이하, 파이프라 기재한다)가 보빈(110)에 고정된 상태로 보빈(110)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uter peripheral area of the bobbin (110) is flat and a coil mount (111) having at least one fastening hole (111a) formed therein can be fastened. The coil mount (111) is fastened to a fastening piece (130) so that a stainless steel pi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pe) can rotate on the bobbin (110) while being fixed to the bobbin (110).
체결편(130)은 체결홀(111a)과 대응하는 위치에 홀(131)이 형성되어 코일 마운트(111)와 나사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130) has a hole (131)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11a) and can be fixed to the coil mount (111) by screw connection.
또한, 체결편(130)의 종단은 파이프(P)의 외주연을 따라 곡률을 이루며 파이프(P)의 외주연을 감싸 파이프(P)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도 1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130) can be curv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P) and wrap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P) to prevent the pipe (P) from being detached. This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16.
도 16은 체결편(1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을 함께 참조하면, 체결편(130)은 홀(131)을 구비하고, 홀(131)은 체결홀(111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후, 체결편(130)은 홀(131)과 체결홀(111a)을 체결하는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Fig. 16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astening member (130). Referring to Fig. 16 together, the fastening member (130) has a hole (131), and the hole (1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111a). Thereafter, the fastening member (130) can be fixed by a screw that fastens the hole (131) and the fastening hole (111a).
체결편(130)의 종단은 파이프(P)의 외주연을 따라 곡률(RS)을 갖는 완곡부(130a)를 구비한다. 완곡부(130a)에 파이프(P)가 마운트되면 파이프(P)의 외주연 일 영역은 완곡부(130a)에 의해 감싸지며, 파이프(P)는 완곡부(130a)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완곡부(130a)에 의해 파이프(P)는 체결편(130)에 고정된 상태로 보빈(110)에서 회전하게 된다.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130) has a curved portion (130a) having a curvature (R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P). When the pipe (P) is mounted on the curved portion (130a), an area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P) is wrapped by the curved portion (130a), and the pipe (P) does not come off the curved portion (130a). The pipe (P) is fixed to the fastening member (130) by the curved portion (130a) and rotates on the bobbin (110).
파이프 이송부(120)는 프레임(101) 상에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두 개의 이송 롤러(123a, 123b)를 구비한다. 한 쌍의 이송 롤러(123a, 123b)는 롤러 지지대(124)에 설치되며, 롤러 지지대(124)는 프레임(101)에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pipe transport section (120) is installed on a frame (101) and has at least two transport rollers (123a, 123b) facing each other. A pair of transport rollers (123a, 123b) are installed on a roller support (124), and the roller support (124) can b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frame (101).
한 쌍의 이송 롤러(123a, 123b)는 각각 둘 또는 셋 이상의 롤러(a1 내지 a3, b1 내지 b3)로 구성되고, 각 롤러(a1 내지 a3, b1 내지 b3)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롤러(a1 내지 a3, b1 내지 b3) 사이로 파이프(P)를 통과시켜 파이프(P)를 편평화할 수 있다. A pair of transport rollers (123a, 123b) are each composed of two or three or more rollers (a1 to a3, b1 to b3), and each roller (a1 to a3, b1 to b3) i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a pipe (P) can pass between the facing rollers (a1 to a3, b1 to b3) to flatten the pipe (P).
여기서, 참조부호 123a를 제1 이송 롤러라 하고, 참조부호 123b를 제2 이송 롤러라 할 때, 제1 이송 롤러(123a)는 상측으로 두 개의 롤러(a1, a2)가 배치되고, 하측으로 하나의 롤러(a3)가 배치되며, 상측의 롤러(a1, a2)와 하측의 롤러(a3) 사이에는 파이프(P)가 지나갈 정도의 공간이 마련된다. Here, when reference numeral 123a is referred to as a first transport roller and reference numeral 123b is referred to as a second transport roller, the first transport roller (123a) has two rollers (a1, a2)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one roller (a3) arranged on the lower side, and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rollers (a1, a2) and the lower roller (a3) that allows a pipe (P) to pass through.
반면, 제2 이송 롤러(123b)는 상측에 하나의 롤러(b1)가 배치되고, 하측에 두 개의 롤러(b2, b3)가 배치되며, 롤러(b1)와 롤러(b2, b3) 사이에는 파이프(P)가 지나갈 정도의 공간을 형성한다. 파이프(P)가 롤러(b1, b2, b3)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파이프(P)의 구부러진 곳이나 직선으로 정렬되지 않은 부분이 편평화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port roller (123b) has one roller (b1) arranged on the upper side and two rollers (b2, b3) arranged on the lower sid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ollers (b1) and (b2, b3) that is large enough for a pipe (P) to pass through. As the pipe (P)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rollers (b1, b2, b3), any bent portions of the pipe (P) or portions that are not aligned in a straight line are flattened.
제1 이송 롤러(123a)와 제2 이송 롤러(123b)가 서로 역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파이프(P)는 제1 이송 롤러(123a)를 통과할 때는 상측 위주의 편평화 처리를 받고, 제2 이송 롤러(123b)를 통과할 때는 하측 위주의 편평화 처리를 받아 파이프(P)는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편평화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transfer roller (123a) and the second transfer roller (123b)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pipe (P) receives a flattening treatment centered on the upper side when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nsfer roller (123a), and receives a flattening treatment centered on the lower side when passing through the second transfer roller (123b), so that the pipe (P) can be flattened in a straight line overall.
파이프(P)가 보빈(110)에 의해 권취되어 코일 형상을 가질 때, 파이프(P)는 보빈(110)의 일측 종단에서 타측 종단으로 권취되는 위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경된다. When the pipe (P) is wound around the bobbin (110) to have a coil shape, the position at which the pipe (P) is wound from one end of the bobbin (110) to the other end changes over time.
만일, 제1 이송 롤러(123a)와 제2 이송 롤러(123b)의 위치가 고정된다면, 파이프(P)가 보빈(110)에 권취될 때, 보빈(110)의 양측 종단으로 파이프(P)가 쏠리면서 귄취될 우려가 있다. 파이프(P)는 보빈(110)이 회전하면서 권취되고, 보빈(110)의 내측에서 종단 사이를 이동하며 권취되므로 이송 롤러(123)는 파이프(P)가 보빈(110)에서 권취되는 위치에 맞추어 이동할 필요가 있다. If the positions of the first transport roller (123a) and the second transport roller (123b) are fixed, there is a risk that the pipe (P) will be wound while being pulled toward both ends of the bobbin (110) when the pipe (P) is wound on the bobbin (110). The pipe (P) is wound while the bobbin (110) rotates and moves between the ends on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so the transport roller (123) needs to m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pipe (P) is wound on the bobbin (110).
이송 롤러(123)는 롤러 지지대(124)에 고정되고, 롤러 지지대(124)는 한 쌍의 이송 레일(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롤러 지지대(124)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이송 레일(121) 상에서 d1 방향 또는 d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 지지대(124)는 파이프(P)가 보빈(110)에 권취될 때, 이송 롤러(123)에서 보빈(110)을 향하는 파이프(P)가 보빈(110)의 종단이나 내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파이프(P)가 권취되는 위치를 따라 이동한다. The conveying roller (123) is fixed to the roller support (124), and the roller support (124) can move along a pair of conveying rails (12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ller support (124) can move in the d1 direction or the d2 direction on the conveying rail (121) by a separate motor. When the pipe (P) is wound on the bobbin (110), the roller support (124) moves along the position where the pipe (P) is wound so that the pipe (P) facing the bobbin (110) from the conveying roller (123) is not pushed toward the end or inside of the bobbin (110).
다시 도 2 내지 도 15를 통해 파이프(P)가 보빈(110)에 권취되는 과정을 순차로 살펴보기로 한다. Let us examine the process of winding the pipe (P) onto the bobbin (110) sequentially through FIGS. 2 to 15 agai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이송 롤러(123)를 통해 편평화된 파이프(P)는 보빈(110)의 권취 위치를 향해 정렬한다. 파이프(P)에 대한 권취를 시작할 때, 파이프(P)는 보빈(110)의 내측 방향(모터와 가까운 방향)에서 외측 방향으로 권취되므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송 패널(122)은 d1 방향으로 이동하며, 보빈(110)에서 파이프(P)가 최초 권취되는 초기 위치까지 이송 패널(122)이 이동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flattened pipe (P) through the transfer roller (123) is aligned toward the winding position of the bobbin (110). When winding on the pipe (P) starts, the pipe (P) is wound from the inner direction (the direction close to the motor) of the bobbin (110) to the outer direction, so the transfer panel (122) moves in the d1 direction as shown in Fig. 3, and the transfer panel (122) can move to the initial position where the pipe (P) is initially wound on the bobbin (110).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파이프(P)는 보빈(1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초기 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보빈(110)은 원통형 외주연의 일 영역이 평면을 이루는 코일 마운트(111)에 파이프(P)가 정렬된다. 코일 마운트(111)에는 체결편(130)과의 체결을 위한 쌍의 체결홀(111a)이 마련된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pipe (P) extends into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to reach the initial position, and at this time, the pipe (P) is aligned with the coil mount (111) of which one area of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y of the bobbin (110) forms a plane. The coil mount (111) is provided with a pair of fastening holes (111a) for fastening with the fastening piece (130).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파이프(P)가 초기 위치에 정렬된 후, 코일 마운트(111)에는 체결편(130)이 결합되어 파이프(P)를 보빈(110)에 고정한다. 체결편(130)에 구비되는 홀(131)은 체결편(130)이 코일 마우트(111)에 마운트될 때, 코일 마운트(111)에 구비되는 체결홀(111a)과 마주보게 형성되며,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편(130)이 코일 마운트(111)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편(130)이 코일 마운트(111)에 고정된 형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Next, referring to FIG. 5, after the pipe (P) is aligned to the initial position, a fastening piece (130) is coupled to the coil mount (111) to fix the pipe (P) to the bobbin (110). The hole (131) provided in the fastening piece (130) is formed to face the fastening hole (111a) provided in the coil mount (111) when the fastening piece (130) is mounted on the coil mount (111), and the fastening piece (130) can be fixed to the coil mount (111) by screw coupling. The form in which the fastening piece (130) is fixed to the coil mount (111) is as illustrated in FIG. 6.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파이프(P)는 보빈(110)의 초기 위치에서 보빈(110)의 회전에 의해 보빈(110)에 권취된다. 파이프(P)가 보빈(110)에 권취되면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보빈(110)에 파이프(P)를 조밀하게 권취하며,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권취된 파이프(P)가 보빈(110)의 종단에 이르면 모터(102)는 보빈(110)의 회전을 일시 정지시킨다. Next, referring to FIGS. 7 to 9, the pipe (P) is wound on the bobbin (110) by the rotation of the bobbin (11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bobbin (110). As the pipe (P) is wound on the bobbin (110), the pipe (P) is wound tightly on the bobbin (110) as shown in FIG. 8, and when the wound pipe (P) reaches the end of the bobbin (110) as shown in FIG. 9, the motor (102) temporarily stops the rotation of the bobbin (110).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모터(102)가 회전을 일시 정지할 때, 권취 커버(140)가 파이프(P)가 권취된 상태의 보빈(110)에 씌워진다. Next, referring to Fig. 10, when the motor (102) stops rotating, the winding cover (140) is placed on the bobbin (110) on which the pipe (P) is wound.
권취 커버(140)는 원통형 몸체(141)의 종단에 형성되며, 보빈(110)과의 체결을 위한 플랜지(142)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 18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을 함께 참조하면, 귄취 커버(140)의 플랜지(142)에는 모터 지지대(103)와의 체결을 위한 플랜지 체결홀(143)이 등각을 이루며 마련된다. The winding cover (140)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body (141) and is provided with a flange (142) for fastening with the bobbin (110).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Referring to FIG. 18, a flange fastening hole (143) for fastening with the motor support (103) is provided at an equal angle on the flange (142) of the winding cover (140).
도 18에서는 플랜지 체결홀(143)이 3개가 120도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일 예를 도시하며, 도 10에 예시된 3개 이외에 이보다 더 많은 수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ig. 18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ree flange fastening holes (143) are arranged at an angle of 120 degrees. It is obvious that more than the three illustrated in Fig. 10 may be provided.
플랜지(142)는 원통형의 몸체(141)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일측에서 몸체(141) 방향으로 일 영역을 절취한 개구부(OP)가 형성되고, 개구부(OP)의 일 단에서 보빈(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T)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OP)는 보빈(110)에 최초 권취될 때 보빈(110)에 권취되지 않고 돌출된 파이프 일단(S1)을 노출시켜 파이프(P)를 2차 권취하여 이중 코일을 형성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The flange (14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141), and an opening (OP) is formed by cutting an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141) on one side, and a cutting groove (T) can b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bobbin (110) at one end of the opening (OP). The opening (OP) exposes one end (S1) of the pipe that is not wound on the bobbin (110) when initially wound on the bobbin (110) so as not to cause interference when the pipe (P) is wound a second time to form a double coil.
절취홈(T)은 파이프(P)가 보빈(110)의 종단까지 1차 권취된 후, 2차 권취를 시작하는 파이프(P)의 타단(S2)을 노출시키고, 파이프(P)의 타단(S2)을 권취 커버(140)의 외주연으로 유도할 수 있다. The cutting groove (T) exposes the other end (S2) of the pipe (P) that starts the second winding after the pipe (P) is first wound to the end of the bobbin (110), and can guide the other end (S2) of the pipe (P)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cover (140).
권취 커버(140)는 파이프(P)가 보빈(110)에 1차 권취를 완료한 후, 즉, 파이프(P)가 보빈(110)의 종단에 이르면 보빈(110)에 씌워질 수 있다.The winding cover (140) can be placed on the bobbin (110) after the pipe (P) completes the first winding on the bobbin (110), that is, when the pipe (P) reaches the end of the bobbin (110).
도 10 도시된 권취 커버(140)가 파이프(P)가 1차 권취된 보빈(110)에 씌워지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이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커버(140)는 파이프(P)의 일단(S1)은 노출시키고, 타단(S2)은 권취 커버(140)의 외주연으로 유도하여 타단(S2)이 권취 커버(140)의 외주연에서 2차 권취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winding cover (140) illustrated in FIG. 10 is put on the bobbin (110) on which the pipe (P) is first wound, the shape is as illustrated in FIG. 11.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winding cover (140) exposes one end (S1) of the pipe (P) and guides the other end (S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cover (140) so that the other end (S2) can perform a second winding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cover (140).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권취 커버(140)가 보빈(110)에 체결된 후, 권취 커버(140)가 보빈(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빈(110)의 종단에는 권취 캡(145)이 체결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2, after the winding cover (140) is fastened to the bobbin (110), a winding cap (145) can be fastened to the end of the bobbin (110) to prevent the winding cover (140)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bbin (110).
권취 캡(145)은 일 측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타 측은 캡(145b)이 형성되며, 개구부는 보빈(110)의 내주연을 따라 삽입된다.The winding cap (145)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a cap (145b)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opening is inser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110).
또한, 캡(145b)에는 복수의 나사홀(145a)이 형성되어 보빈(110)의 종단에 형성되는 나사홀(110a)에 나사 결합되어 권취 캡(145)이 권취 커버(14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권취 캡(145)이 보빈(110)에 나사 결합되어 권취 커버(140)를 보빈(110)에 고정한 형상을 나타낸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crew holes (145a) are formed in the cap (145b) and are screw-connected to the screw holes (110a) formed at the end of the bobbin (110) so that the winding cap (145) can fix the winding cover (140). Fig. 13 shows a shape in which the winding cap (145) is screw-connected to the bobbin (110) so as to fix the winding cover (140) to the bobbin (110).
권취 캡(145)은 외주연 지름이 보빈 지름(110)의 지름보다 작고, 파이프(P)가 보빈(110)에 1차 권취된 상태의 보빈(110)의 지름 보다는 큰 원통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권취 캡(145)은 보빈(110)에 파이프(P)가 1차 권취된 상태에서 권취 커버(140)의 종단에 결합되어 권취 커버(140)가 보빈(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The winding cap (145)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bobbin diameter (110)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bbin (110) in which the pipe (P) is first wound around the bobbin (110). Accordingly, the winding cap (145)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inding cover (140) in which the pipe (P) is first wound around the bobbin (110) to prevent the winding cover (14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bbin (110).
도 14는 권취 캡(145)에 의해 권취 커버(140)가 보빈(110)에 체결된 이후, 모터(102)가 재차 구동을 시작하면서 보빈(110)에 2차 권취를 진행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2차 권취는 파이프(P)가 권취 커버(140) 상에서 이루어지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내측, 즉 모터(102) 방향으로 파이프(P)가 권취 완료되면 2차 권취는 종료된다. 2차 권취를 마친 파이프(P)의 형상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 17에 도시된 파이프는 1차 권취된 내측 코일(P1)과, 2차 권취된 외측 코일(P2)로 구성되어 이를 이중 코일이라 지칭한다.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중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실시예에 따른 권취 커버(140)와 권취 캡(145)이 요구되는데, 이는 파이프(P)가 스테인레스 재질일 경우, 파이프(P)의 강성과 탄성 및 권취 시 발생하는 반발력이 강해서 권취 커버(140)에 의해 이중 코일을 형성할 때, 내측 코일(P1)과 외측 코일(P2)의 형상이 균일하게 구현되지 않고 외주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원래 형태로 복귀하려는데 있다. 내측 코일(P1)을 형성 후, 권취 커버(140)를 씌워 내측 코일(P1)의 반발과 탄성을 억제하고, 이후, 권취 커버(140) 상에 2차 권취를 진행하여 파이프(P)를 보빈(110)에 권취할 때 발생하는 반발과 탄성을 억제할 수 있다.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tor (102) starts driving again after the winding cover (140) is fastened to the bobbin (110) by the winding cap (145) and the second winding is performed on the bobbin (110). The second winding is performed on the pipe (P) on the winding cover (140), and as shown in Fig. 15, when the pipe (P) is wound toward the inside of the bobbin (110), i.e., toward the motor (102), the second winding is completed. The shape of the pipe (P) that has completed the second winding is as shown in Fig. 17. The pipe shown in Fig. 17 is composed of an inner coil (P1) that has been first wound and an outer coil (P2) that has been secondarily wound, and is referred to as a double coil. In order to form a double coil with stainless steel material, a winding cover (140) and a winding cap (145)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required. This is because, when the pipe (P) is made of stainless steel, the rigidity and elasticity of the pipe (P) and the repulsive force generated during winding are strong, so that when forming a double coil with the winding cover (140), the shapes of the inner coil (P1) and the outer coil (P2) are not uniformly implemented and they spread out toward the outer periphery or try to return to their original shape. After forming the inner coil (P1), the winding cover (140) is covered to suppress the repulsion and elasticity of the inner coil (P1), and then, a second winding is performed on the winding cover (140) to suppress the repulsion and elasticity generated when winding the pipe (P) onto the bobbin (110).
도 19는 권취 캡에 대한 상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0은 본 출원인이 제품화 중인 시제품의 사진 이미지를 도시한다. Figure 19 show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of a winding cap, and Figure 20 shows a photographic image of a prototype that the applicant is currently commercializing.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권취 캡(145)은 캡(145b)의 내주연을 따라 파이프(P)가 안착할 파이프 홈(145c)을 구비한다. 파이프 홈(145c)은 캡 내측에서 원형을 이루며 진행되다가, 파이프 홈(145c)와 단차를 갖고 돌출 형성되는 캡 테두리(145d)와 근접할수록 캡 테두리(145d) 갭(gap) 방향으로 급격히 추종하면서 타원의 형상으로 변경된다.Referring to FIGS. 19 and 20, the winding cap (145) has a pipe groove (145c)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cap (145b) in which a pipe (P) is to be seated. The pipe groove (145c) extends in a circular shape on the inner side of the cap, and as it approaches the cap edge (145d) that is formed by protruding with a step from the pipe groove (145c), it abruptly follows in the direction of the gap of the cap edge (145d) and changes into an elliptical shape.
캡 테두리(145d)에는 파이프(P)의 배출을 위한 갭(gap)이 형성되며, 갭(gap)의 폭(d3)은 파이프(P)가 배출되기에 충분하면서 너무 길어지지 않도록 억제될 필요가 있다. 갭(gap)의 길이(d3)가 길어지면 보빈(110)에서 파이프(P)가 2차 권취될 때, 파이프(P)가 갭(gap)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여 파이프(P)의 형상이 온전한 원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될 수 있다. A gap is formed in the cap edge (145d) for discharging the pipe (P), and the width (d3) of the gap needs to be suppressed so that it is sufficient for discharging the pipe (P) but not too long. If the length (d3) of the gap becomes long, when the pipe (P) is wound a second time on the bobbin (110), the pipe (P) may not be supported by the gap, and thus the shape of the pipe (P) may not maintain a perfect circular shape and may be deformed.
갭(gap)의 길이(d3)는 권취 캡(145)의 지름(R) 대비 4.5% 내지 11%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보다 작으면 파이프(P)가 파이프 홈(145c)에 끼어 추후 권취 캡(145)의 탈착을 곤란하게 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갭(gap)의 길이가 을 따라 유도되는 파이프(P)가 내주연 지름(R) 대비 12% 이상인 경우 파이프(P)가 갭(gap)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지 않아 2차 권취 시, 이중 코일, 특히 외부 코일(P2)의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The length (d3) of the gap can be formed in a range of 4.5% to 11% of the diameter (R) of the winding cap (145). If it is smaller than thi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ipe (P) may become caught in the pipe groove (145c), making it difficult to remove the winding cap (145) later.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of the gap is 12% or more of the inner diameter (R) of the pipe (P) guided along ,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hape of the double coil, especially the outer coil (P2), may be deformed during the second winding because the pipe (P) is not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gap.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일 권취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Figure 21 illustrates a flow chart for a dual coil winding meth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2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이중 코일을 권취하기 위해 보빈(110)에 파이프(P) 일측을 고정하고(S10), 파이프(P)가 고정된 후, 보빈을 회전시켜 내측 코일(P1)을 형성한다(S11).The description of Fig. 21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0 described above. First, in order to wind a double coil, one side of a pipe (P) is fixed to a bobbin (110) (S10), and after the pipe (P) is fixed, the bobbin is rotated to form an inner coil (P1) (S11).
보빈(110)은 파이프(P)가 원형을 이루면서 권취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는 비어있거나 또는 강성 유지를 위해 내부가 비어있지 않은 형성일 수도 있다. The bobbin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pipe (P) can be woun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be formed with an empty interior or may be formed with a non-empty interior to maintain rigidity.
파이프(P)는 코일 마운트(111) 상에 위치한 후, 코일 마운트(111)와 나사 결합하는 체결편(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체결편(13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에 완곡부(130a)를 구비하며, 파이프(P)의 외주연 일 영역을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파이프(P)가 완곡부(130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보빈(110)이 회전할 때, 파이프(P)가 보빈(110)의 회전에 따라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The pipe (P) can be fixed by a fastening member (130) that is positioned on the coil mount (111) and then screw-connected with the coil mount (111). As shown in Fig. 16, the fastening member (130) has a curved portion (130a) at the end and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an area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pipe (P). This prevents the pipe (P)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urved portion (130a), and when the bobbin (110) rotates, the pipe (P) can be wou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obbin (110).
다음으로, 보빈(110)에 내측 코일(P1) 형성이 종료되면, 권취 커버(140)가 내측 코일(P1) 상에 씌워져서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S12). 권취 커버(140)는 내측 코일(P1)과 외측 코일(P2)를 구분하기 위해 마련된다. 파이프(P1)가 보빈(110)에서 권취되면서 내측 코일(P1) -> 외측 코일(P2)로 연이어서 권취될 수 있도록 권취 커버(140)는 원통형 외주연 일 측에 절취홈(T)을 구비한다. 절취홈(T)을 통해 권취과 완료된 내측 코일(P1)이 권취 커버(140) 밖으로 노출되며, 권취 커버(140) 상에서 외측 코일(P2)의 권취를 시작할 수 있다.Next, when the inner coil (P1) is formed on the bobbin (110), the winding cover (140) can be mounted and fixed by covering the inner coil (P1) (S12). The winding cover (140) is provided to distinguish the inner coil (P1) and the outer coil (P2). The winding cover (140) has a cutting groove (T) on one side of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y so that the pipe (P1) can be wound continuously from the inner coil (P1) to the outer coil (P2) while being wound on the bobbin (110). The inner coil (P1) that has been wound is exposed outside the winding cover (140) through the cutting groove (T), and the winding of the outer coil (P2) can start on the winding cover (140).
다음으로, 권취 커버(140)가 내측 코일(P1)상에 씌워진 후, 권취 캡(145)을 권취 커버(140)에 체결한다(S13). 권취 캡(145b)을 권취 커버(140)에 체결 및 고정 후, 보빈(110)이 회전하고, 권취 커버(140) 상에 외측 코일(P2)이 권취되어 도 17에 도시된 형태의 이중 코일이 형성될 수 있다(S14).Next, after the winding cover (140) is placed on the inner coil (P1), the winding cap (145) is fastened to the winding cover (140) (S13). After the winding cap (145b)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winding cover (140), the bobbin (110) rotates, and the outer coil (P2) is wound on the winding cover (140), so that a double coil of the form illustrated in Fig. 17 can be formed (S14).
100 : 이중코일 제조장치 101 : 프레임
102 : 모터 103 : 모터 지지대
110 : 보빈 120 : 파이프 이송부
121 : 이송 레일 122 : 이송 패널
123 : 이송 롤러 123a : 제1 이송 롤러
123b : 제2 이송 롤러 a1, a2, a3, b1, b2, b3 : 롤러100: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101: Frame
102: Motor 103: Motor support
110: Bobbin 120: Pipe conveyor
121: Transfer rail 122: Transfer panel
123: Transfer roller 123a: First transfer roller
123b: Second transfer roller a1, a2, a3, b1, b2, b3: Roller
Claims (8)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파이프를 코일 형상으로 권취하기 위해 원통 형상을 가지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보빈(bobbin);
상기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이송부; 및
상기 보빈에 장착되며, 상기 보빈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권취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에 상기 파이프를 1차 권취한 후, 상기 권취된 파이프의 종단이 상기 절취홈을 따라 노출되도록 상기 파이프 상에 상기 권취 커버를 씌운뒤 상기 보빈에 상기 권취 커버를 고정하고,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권취 커버에 상기 파이프를 2차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코일 제조장치.frame;
A bobbin installed on the above frame,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winding the pipe into a coil shape,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to rotate;
A pipe transport unit installed on the above frame and transporting the pipe to the bobbin; and
A winding cover mounted on the bobbin and having a hollow cylindrical body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and a cutting groov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Including,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first winding the pipe on the bobbin, the winding cover is placed on the pipe so that the end of the wound pipe is exposed along the cutting groove, the winding cover is fixed to the bobbin, and the pipe is secondarily wound on the winding cover by rotating the bobbin.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보빈에 고정하는 체결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편의 종단은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을 따라 곡률을 가지는 완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완곡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연의 일 영역을 감싸 상기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coupled to the bobbin and fixing the pipe to the bobbin;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piece forms a curved portion having a curvatur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ove-mentioned pipe, and the curved portion wraps around a region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above-mentioned pipe to prevent the pipe from being detached.
상기 권취 커버가 상기 보빈에 체결된 후, 상기 권취 커버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보빈의 종단에 체결되는 권취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winding cap that is fastened to an end of the bobbin to prevent the winding cover from coming off after the winding cover is fastened to the bobbin.
상기 권취 캡은,
외주연 지름은 상기 보빈 지름보다 작고, 상기 파이프가 상기 보빈에 권취된 지름보다 큰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winding cap is,
The outer circumference diameter is smaller than the bobbin diameter, and the pipe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wound on the bobbin.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is open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cap.
상기 권취 캡은,
상기 원통 형상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원형을 이루며 음각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안착하는 파이프 홈;
상기 파이프 홈의 종단과 단차를 이루며 돌출 형성되는 캡 테두리; 및
상기 캡 테두리의 일 영역에 상기 파이프 배출을 위해 형성되는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paragraph 4,
The above winding cap is,
A pipe groov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above cylindrical shape to accommodate the pipe;
A cap edge formed by protruding and forming a step with the end of the pipe groove; and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gap formed in one area of the cap edge for the pipe discharge.
상기 갭은,
길이가 상기 권취 캡의 지름 대비 4.5% 내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gap is,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4.5% to 11% of the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winding cap.
상기 권취 커버는,
상기 파이프가 상기 보빈에 권취된 후, 상기 보빈의 종단에 이르면 상기 보빈에 권취된 파이프 상에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inding cover,
A double coil manufactu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pipe is wound on the bobbin, it is covered over the pipe wound on the bobbin when it reaches the end of the bobbin.
상기 보빈의 외주를 감싸는 상기 속이 빈 원통형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취홈이 형성되는 권취 커버를 준비하고, 권취된 파이프의 종단이 상기 절취홈을 따라 노출되도록 상기 내측 코일 상에 씌운 뒤 고정하는 단계;
상기 권취 커버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보빈의 종단에 권취 캡을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보빈을 회전하여 상기 파이프를 상기 권취 커버의 외주에 권취함으로써 외측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 코일 제조장치의 제조방법.A step of forming an inner coil by fixing one end of a pipe to a bobbin that is connected to a shaft of a motor and rotates, and winding the pipe around the bobbin by rotating the bobbin;
A step of preparing a hollow cylindrical body that wrap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bbin and a winding cover having a cut groove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and fixing the cover by covering it over the inner coil so that the end of the wound pipe is exposed along the cut groove;
A step of attaching a winding cap to the end of the bobbin to prevent the winding cover from coming off;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ual coil manufacturing device,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n outer coil by rotating the bobbin and winding the pipe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inding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3930A KR20250001559A (en) | 2023-06-29 | 2023-06-29 |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3930A KR20250001559A (en) | 2023-06-29 | 2023-06-29 |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01559A true KR20250001559A (en) | 2025-01-07 |
Family
ID=9423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3930A Pending KR20250001559A (en) | 2023-06-29 | 2023-06-29 |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01559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0481B1 (en) | 2018-02-23 | 2019-06-18 |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 Flexible double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23
- 2023-06-29 KR KR1020230083930A patent/KR20250001559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0481B1 (en) | 2018-02-23 | 2019-06-18 | 주식회사 유니온기업 | Flexible double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135 (금속판 권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02737B2 (en) | Helically coiled heat exchange array | |
EP1700078B1 (en) | Method of making multi-tube in spiral heat exchanger | |
CN101903272B (en) | Unwinding method for level-wound coil | |
JPH082832A (en) | Integral type relex feed tube | |
EP3365258B1 (en) | Multiple high pressure flexible lance hose take up drum | |
FI95222C (en) | Apparatus for producing wrapped plastic pipe | |
AU2014343444A1 (en) | Heat exchange array | |
KR20250001559A (en) | stainless coil winding apparatus | |
JPH1172091A (en) | Squeeze type pump and elastic tube used for it | |
CN111132816A (en) | Tape winding device for spirally winding a tape on a tube | |
JP5505865B2 (en) | Insulated tube and superconducting cable | |
EP0735335A2 (en) |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dehydration apparatus | |
JPS581326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guiding metal strips | |
JP3597015B2 (en) | Insulated pipe and spacer for insulated pipe | |
JPS641329Y2 (en) | ||
US4497449A (en) | Method of and arrangement for assembling electrical coils around transformer cores | |
KR19980079807A (en) | Core element connector for remote control assembly | |
JPH0238237Y2 (en) | ||
JP2013237457A (en) | Packing material and method for supplying metal tube body | |
CN115837550B (en) | A compensating connection device for a drum welding robot | |
CN217647234U (en) | Processing device | |
JP2000266487A (en) | Heat exchanger | |
KR20230001816U (en) | Winding roller device for simultaneous winding of flexible tube and outer jacket | |
JP2011122615A (en) | Heat-resistant duct hose | |
JP2767630B2 (en) | Bellows tu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