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00411A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 Google Patents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00411A KR20250000411A KR1020230082249A KR20230082249A KR20250000411A KR 20250000411 A KR20250000411 A KR 20250000411A KR 1020230082249 A KR1020230082249 A KR 1020230082249A KR 20230082249 A KR20230082249 A KR 20230082249A KR 20250000411 A KR20250000411 A KR 202500004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er pot
- flowerpot
- water
- drawer
- p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 투명 아크릴 소재의 물구멍이 있는 화분과 분리 가능한 서랍형 물받침대로 구성된, 화분받침대가 적층 및 분리 가능한 일체형 화분
(2) 해결과제 :
2-1) 배수구멍이 있는 투명 아크릴 화분인 본 발명으로 해결된 과제
2-1-1)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흙마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관수시기를 판단 가능하여 과습으로 인한 식물 사망을 방지한다.
2-1-2)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병충해 여부를 파악하여 식물 성장을 억제하는 병충해를 방지하고, 병충해가 화분밖으로 나오기전 조기 발견 및 퇴치가 가능하다.
2-1-3)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뿌리 상태가 확인 가능해 사용자들이 화분과 식물을 분리하는 불편한 없이 분갈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2-2) 분리가능한 서랍형 물받이가 있는 화분받침대로 해결된 것
2-2-1) 서랍형 화분받침대만 꺼내 편리하게 관수할 수 있는 형태로, 화분을 배수 가능한 곳으로 이동해 물을 비워내야 하는 불편함 해결한다.
2-2-2) 병충해의 주요 원인인 화분받침대에 고여있는 물과 화분이 붙어 있는 현상을 화분과 화분 받침대의 적층형 구조로 최소화하고자 한다.
(2) 해결과제 :
2-1) 배수구멍이 있는 투명 아크릴 화분인 본 발명으로 해결된 과제
2-1-1)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흙마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적절한 관수시기를 판단 가능하여 과습으로 인한 식물 사망을 방지한다.
2-1-2)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병충해 여부를 파악하여 식물 성장을 억제하는 병충해를 방지하고, 병충해가 화분밖으로 나오기전 조기 발견 및 퇴치가 가능하다.
2-1-3) 화분 외부에서 내부의 뿌리 상태가 확인 가능해 사용자들이 화분과 식물을 분리하는 불편한 없이 분갈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2-2) 분리가능한 서랍형 물받이가 있는 화분받침대로 해결된 것
2-2-1) 서랍형 화분받침대만 꺼내 편리하게 관수할 수 있는 형태로, 화분을 배수 가능한 곳으로 이동해 물을 비워내야 하는 불편함 해결한다.
2-2-2) 병충해의 주요 원인인 화분받침대에 고여있는 물과 화분이 붙어 있는 현상을 화분과 화분 받침대의 적층형 구조로 최소화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게 2가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첫 번째는 빛투과율 92%의 재생 친환경 투명 아크릴 소재로 화분을 제작하여 흙의 건조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느끼는 주요 어려움 중 하나인 관수 시점 판단, 흙의 과습으로 인한 병충해 발생 여부 확인, 뿌리성장에 따른 분갈이의 적절한 시점을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두 번째는 상단과 일체형인 하단 화분받침대가 서랍형 물받이의 형태라는 점이다. 상단과 하단은 서로 분리와 적층이 가능하다. 서랍형 물받이는 화분을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관수를 할 수 있게 하고, 관수 후 물받이의 물을 편리하게 버릴 수 있다. 또한, 병충해의 발생 근원인 고인물과 흙의 밀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받침대의 높이를 5cm 이상으로 제작함으로써 물과 흙이 만나지 않아 병충해 예방 및 조기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실내 관엽식물 키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수 시점이다. 이 관수 시점의기준이 되는 겉흙의 건조 정도를 명확하고 편리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던 중, 보이는 화분을 기본 전재로 유리, 플라스틱, 아크릴 소재 중 빛투과, 중량, 파손, 친환경의 관점에서 아크릴을 화분 소재로 선정하게 되었다. 또한, 관수 시 화분을 욕실, 다용도실, 야외 등 배수 가능한 곳으로 이동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없애는 방법을 찾던 중 일체형 화분받침대를 생각해내고, 물을 버리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하여 서랍형 물받이를 생각했으며, 받침대에서 물을 한 번만 비워내도 되도록 물받이의 사이즈를 설계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일체형 서랍형 물받침대는 시중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은 크게 네 가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본 발명은 흙의 건조 상태를 정확히 확인해 올바른 관수 시기를 판단하여, 관수 시기 오판으로 인한 식물의 죽음을 방지하고자 한다. 둘째,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본 발명은 식물에 해가 되는 병충해의 유무를 보다 빠르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본 발명은 식물과 화분을 분리해 뿌리 상태를 확인해야하는 불편함 없이, 심어져 있는 상태에서 뿌리 상태를 확인해 분갈이 시점을 판단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본 발명은 배수가 가능한 장소로 화분을 이동하는 번거로움 없이, 서랍형 받침만 분리해 물을 비워낼 수 있도록 하는 적층형 서랍형 화분을 설계하였다.
본 발명은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되어 화분 외부에서 내부가 다 보이는 형태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상술한 바와 같이 크게 네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흙의 건조 상태를 파악하지 못해 관수 시기를 오판하여 과습이나 흙 마름으로 식물이 죽는 문제점을 방지하며 물 주는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흙의 마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흙을 손으로 만져보거나 젓가락을 꽂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는 정확하게 흙 상태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식물가게에서 안내 받은 대로 보통 2주에 1회 물을 주는 방법은 식물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기준이 달라 키우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고객들이 많다. 이러한 불편사항을 해결하고자 투명 아크릴 소재로 본 발명을 제작하여 관수 시기를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된 본 발명은 벌레의 움직임이나 물길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병충해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불투명 화분 사용 시 발생하는, 공기 중에 병충해가 날아다니는 것을 뒤늦게 발견하고 흙을 열어보아 수습이 불가해진 상황을 방지하도록 한다. 셋째, 식물과 화분을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투명 아크릴 소재를 통해 뿌리 상태를 확인하여 분갈이 시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서랍형 화분받침을 세트로 구성하여 보편화되어 있는 시중의 트레이형 화분받침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한다. 화분과 분리되어 있는 트레이 형태의 받침이 세트로 구성된 기존의 화분을 사용할 경우, 화분을 욕실이나 주방과 같이 배수가 가능한 곳으로 이동하여 물이 다 빠진 후 원래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러한 불편함을 방지하고자 화분은 이동하지 않고 서랍형 받침만 분리해 이동하는 적층형 서랍형 화분을 설계하였다. 더 나아가 화분과 별도로 판매되는 물받이가 있는 상품의 경우 화분과 화분 받침대의 사이즈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적층형이자 일체형인 본 발명의 화분받침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처럼 관수, 병충해 조기 발견, 적절한 분갈이시기 판단의 과제를 본 발명을 제작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투명 아크릴 소재를 사용해 외부에서 내부의 흙 상태가 보인다는 점에서 정확한 관수 시기를 파악해 식물을 올바르게 키울 수 있고 식물의 성장을 돕는 우수한 환경을 제공하며, 화분을 이동하지 않고 서랍형 물받이만 이동하여 관수를 해결할 수 있다는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도1] 직사각형 화분의 형태 및 명칭에 관한 도면
[도2] 직사각형 화분의 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3] 직사각형 화분의 화분받침대의 상세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4] 정사각형 화분의 형태 및 명칭에 관한 도면
[도5] 정사각형 화분의 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6] 정사각형 화분의 화분받침대의 상세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7] 일체형 서랍형물받침대 사용방법에 관한 예시 사진
[도8] 직사각형 화분과 정사각형 화분의 출시 색상에 관한 도면
[도2] 직사각형 화분의 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3] 직사각형 화분의 화분받침대의 상세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4] 정사각형 화분의 형태 및 명칭에 관한 도면
[도5] 정사각형 화분의 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6] 정사각형 화분의 화분받침대의 상세규격을 표기한 도면
[도7] 일체형 서랍형물받침대 사용방법에 관한 예시 사진
[도8] 직사각형 화분과 정사각형 화분의 출시 색상에 관한 도면
[01] 소재 수색 및 선정 : 본 발명에 사용한 'ARISTAL( 아리스탈 )' 소재는 국내업체 PLAVEX에서 개발한 친환경 재사용 아크릴 소재로, 92%의 광 투과율로 기존 유리에 비해 우수한 투명도로 화분 외부에서 내부 흙의 건조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동일 사이즈의 유리에 비해 50% 가볍고, 파손의 위험이 가장 적은 소재이다.
[02] 5회 이상의 샘플 제작을 통한 디자인 확정 :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였던 흙 건조, 관수량, 아크릴 이음 부분의 누수여부, 서랍형물받침을 사용한 물 버림의 편리함 해결여부, 꺽쇠 장착을 통한 상단과 하단의 연결 부분 안정성의 해결 여부를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 5차례 이상의 샘플 제작을 진행하여 최종 디자인을 확정하였다.
[03] 1달간 식물 키우기 : 본 발명이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는 과정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사에서 2년간의 시공과 판매를 통해 선정된 공기정화기능 상위 10위에 해당되는 실내관엽식물 중 5종을 선정해 식재하여, 해결 과제가 해결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식물의 성장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1]과 [도4]에 기재된 부호에 관한 설명
[10] 화분
[20] 배수구멍
[30] 화분 받침대
[40] 서랍형 물받이
[50] 서랍형 물받이 손잡이
[60] 적층용 부착 꺽쇠
[70] 사이드 탭 장식
[10] 화분
[20] 배수구멍
[30] 화분 받침대
[40] 서랍형 물받이
[50] 서랍형 물받이 손잡이
[60] 적층용 부착 꺽쇠
[70] 사이드 탭 장식
Claims (1)
- [청구항1] 투명 아크릴 소재의 배수구멍이 있는 화분
[청구항2] 분리 가능한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화분 받침대
[청구항3] 화분과 화분 받침대가 분리, 적층이 가능한 일체형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2249A KR20250000411A (ko) | 2023-06-26 | 2023-06-26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82249A KR20250000411A (ko) | 2023-06-26 | 2023-06-26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00411A true KR20250000411A (ko) | 2025-01-03 |
Family
ID=9424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82249A Pending KR20250000411A (ko) | 2023-06-26 | 2023-06-26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00411A (ko) |
-
2023
- 2023-06-26 KR KR1020230082249A patent/KR20250000411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73159U (ja) | 簡易栽培用具 | |
KR20080004674U (ko) | 난 재배용 화분 | |
KR20250000411A (ko)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 가능한 일체형화분 | |
KR200214155Y1 (ko) | 화분 | |
KR20250000391A (ko) | 서랍형 물받침대가 있는 아크릴 소재의 분리가능한 일체형화분 | |
CN204350717U (zh) | 一种观赏性蔬菜花卉架 | |
KR101421006B1 (ko) | 삼의 씨앗 또는 모종 배양토 및 이를 포함하는 화분 | |
CN207284359U (zh) | 一种组合式立体植物栽培器 | |
KR20110003274U (ko) | 기능성 화분 | |
KR20020032504A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
JP2014030377A (ja) | 栽培装置 | |
JP2002058349A (ja) | 植木鉢用内容器 | |
JP2517105Y2 (ja) | 蘭等の植物栽培用ポット | |
KR200259874Y1 (ko) | 장식용 화분 | |
CN201657657U (zh) | 植物自动恒湿盆 | |
KR200281182Y1 (ko) |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 |
US10667476B2 (en) |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 |
US20110179707A1 (en) | Sloped Slot Pot | |
KR20160064910A (ko) | 인삼을 재배하기 위한 화분 및 화분 받침대 | |
CN205681962U (zh) | 新型养殖盆 | |
CN110583291A (zh) | 一种泥水过滤型全景植物花盆 | |
KR200365120Y1 (ko) | 수조가 구비된 화분 | |
CN213755863U (zh) | 一种花盆底座 | |
CN219844207U (zh) | 一种能自动浇水的景观花盆 | |
CN203015572U (zh) | 芽苗菜培育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