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0353U -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0353U
KR20250000353U KR2020230001737U KR20230001737U KR20250000353U KR 20250000353 U KR20250000353 U KR 20250000353U KR 2020230001737 U KR2020230001737 U KR 2020230001737U KR 20230001737 U KR20230001737 U KR 20230001737U KR 20250000353 U KR20250000353 U KR 20250000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evice
control plate
groove
upper body
fl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7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지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이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이유지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20202300017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00353U/ko
Publication of KR20250000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0353U/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61M2205/584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having a color co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에게 정확하게 수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규정된 수액 파우치 고정 높이와 설치된 수액 파우치 높이가 다르더라도 환자에게 정확한 양의 수액을 공급할 수 있는 수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A fluid suppl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n accurate amount of fluid}
본 고안은 환자에게 정확하게 수액을 공급하기 위한 수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규정된 수액 파우치 고정 높이와 설치된 수액 파우치 높이가 다르더라도 환자에게 정확한 양의 수액을 공급할 수 있는 수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수술이나 입원 시에 수액을 맞게 되는데, 수액은 쇼크, 탈수증, 영양실조 등이 발생했을 때 인체에 주입하는 액체로서, 혈액 및 혈액과 삼투압이 같은 생리적 식염수, 포도당 등의 여러 가지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약물의 일종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수액을 공급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수액 파우치를 수액 폴대에 매달아 인체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키고, 중력을 이용해 수액을 떨어뜨려 수액 파우치에 연결된 튜브, 점적통, 롤러 클램프 및 주사 바늘을 통해 인체에 수액을 주입하고 있다.
한편, 수액을 환자에게 준비할 때에는 수액의 종류, 수액에 혼합한 약제의 종류, 환자의 상태, 앓고 있는 병의 종류 등에 따라 주입 유량을 의사가 처방하여서 처방한 유량으로 주입되도록 수액 유량 조절기를 사용한다.
환자에게 처방된 수액의 주입속도와 주입량이 잘못되면 부작용을 동반한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수액치료 부작용은 경증부터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수액이 적정속도보다 느리게 투여되는 경우 약물 효과가 반감되고, 적정속도보다 빠르게 투여하면 심장마비 등의 치명적인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항암제와 항생제 등은 수액 투여 속도에 따라 생명과 직결되는 부작용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수액의 정확한 투여를 위해 자동 조절장치인 인퓨전 펌프(infusion pump)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를 사용하면 세팅된 속도로 가장 정확하게 수액 투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가격이 비싸서 중환자 등 일부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환자에게 치명적인 부작용을 남길 수 있는 상황이다.
수액 주입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은 수액 유량 조절기인 레귤레이터(dosi flow)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레귤레이터는 수액량, 수액 설치 높이, 환자 혈관의 저항, 점도 등 여러 수액 주입 속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레귤레이터는 환자로부터 1미터 높이에 수액을 설치한 것을 전제로 레귤레이터에 표시된 눈금을 맞추어 수액의 유량 조절이 이루어지는데, 사용 환경과 설치 미숙 등으로 인해 규정된 높이로 수액을 설치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처방된 속도로 수액이 주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941531호,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579호,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838953호,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952322호,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 환경의 제약으로 수액을 규정된 높이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레귤레이터에서 이를 보정하여 정확한 속도와 양으로 수액을 환자에게 주입할 수 있는 수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는 수액이 유동하는 튜브(30)와 유량 조절기(100)를 포함하는 수액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액 조절기(100)의 몸체 또는 튜브(30)에 환자와 수액 파우치(10)의 높이 차를 표시하는 레벨 마킹부(31)가 표시되고, 상기 레벨 마킹부(31)의 표시에 따라 유량 조절기(100)에서 튜브(30)를 유동하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기(100)는 상부는 폐쇄되어 유입관(111)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상부 몸체(110); 상부는 폐쇄되고, 상부 면에 천공된 형태로 형성된 유입구(122)와, 상기 유입구(12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리시브 홈(124)과, 상기 유입구(122)와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된 배출관(121)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110)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120); 원판 형태의 몸체 상부면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센터홈(131)과, 상기 센터홈(121)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소정 개수의 통공(132)과, 상기 센터홈(131)과 각각의 통공(132)을 개별 연결하는 분기 유로(133)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몸체(120)와 상부 몸체(110) 사이에 위치하는 조절판(130); 및 상기 조절판(130)이 상부 몸체(1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 회전부;로 구성다.
이때, 상기 연동 회전부는 조절판(1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상부 몸체(110) 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14)가 삽입되어 상부 몸체(110)와 조절판(130)이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130)의 상부 면은 상부 몸체(110)의 내부 상부 면에 밀착되고, 조절판(130)의 하부 면은 하부 몸체(120)의 외부 상부 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판(13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20)의 외면에 리시브 홈(124)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디케이터(127)가 표시되고, 상부 몸체(110)의 외면에 각각의 통공(132)들에 해당하는 위치로 보정 마킹부(116)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127)에 해당하는 하부 몸체(120) 외면 위치에 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보정 마킹부(116)에 해당하는 상부 몸체(110)의 내면 위치에 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126)가 홈(115)에 삽입되며 사용자에게 구분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수액 공급장치는 수액을 규정된 높이로 설치할 수 없더라도, 튜브에 표시된 레벨 마킹부를 통해 수액과 환자 사이의 높이 편차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를 적용하여 레귤레이터에서 높이 편차를 적용한 유량으로 수액을 환자에게 정확한 양과 속도로 주입함으로써, 높은 수액 치료효과를 낼 수 있고, 부정확한 수액 주입으로 인한 안전사고 및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를 분해 도시한 평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를 분해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가 제1 통공으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가 제3 통공으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레귤레이터가 off 상태가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는 유량 조절기(100)를 포함한다.
유량 조절기(100)는 수액 파우치(10)로부터 주사바늘(50)까지 유동하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처방대로 정확하게 수액을 환자에게 주입하도록 한다.
유량 조절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상부 몸체(110)와, 원통 형태의 하부 몸체(120)와, 상기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삽입되는 원판 형태의 조절판(130)으로 구성된다.
상부 몸체(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부 면은 막히고 하부 면은 개방된 원통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부 면에는 튜브(30)와 결합되는 유입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몸체(110)의 내부 일측에는 고정돌기(114)가 형성된다.
하부 몸체(1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부 면은 막히고 하부 면은 개방된 원통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상부 면의 중심에는 상부 면이 천공된 형태로 유입구(12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22)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홈 형태로 리시브 홈(124)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22)와 리시브 홈(124)을 연결하는 홈 형태로 리턴 유로(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122)와 연통되어 튜브(30)와 연결되는 배출관(121)이 돌출된다.
조절판(130)은 원판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는데, 상부 면의 중심에는 홈 형태로 센터 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 홈(13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통공(132)이 형성되며, 각각의 통공(132)은 홈 형태의 개별 분기 유로(133)를 통해 센터 홈(131)과 연결된다.
그리고 조절판(130)의 모서리에는 고정홈(134)이 형성된다.
상,하부 몸체(110,120) 및 조절판(130)이 체결된 상태에서 조절판(130)의 센터 홈(131)은 상부 몸체(110) 내부 유입관(111)의 배출구(113)와 접하고, 통공(132)들 중 선택되는 어느 통공(132)은 하부 몸체(120)의 리시브 홈(124)과 접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통공(132)은 제1 통공(132a), 제2 통공(132b), 제3 통 공(132c)으로 3개의 통공(132)을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는데, 통공(132)의 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공(132a)의 직경은 제2 통공(132b)의 직경보다 크고, 제2 통공(132b)의 직경은 제3 통공(132c)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각각의 통공(132)을 개별로 센터 홈(131)과 연결하는 분기 유로(133)는 그 폭과 깊이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절판(130)은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에 결합되는데, 조절판(130)은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조절판(130)의 상부 면이 상부 몸체(110)의 내부 상부 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 돌기(114)가 조절판(130)의 고정홈(134)에 삽입되도록 조절판(130)이 상부 몸체(110)와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몸체(120)가 상부 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하부 몸체(120)의 상부 면이 조절판(130)의 하부 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유량 조절기(100)는 상부 몸체(110)의 유입관(111)과 하부 몸체(120)의 배출관(121)에 튜브(30)가 체결되어 튜브(30)를 유동하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한다.
즉, 상부 몸체(11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수액은 유량 조절기(100)를 통해 유량이 조절되어 하부 몸체(120)의 배출관(121)으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0)의 외면에 소정 간격마다 보정 마킹부(116)가 형성된다.
각각의 보정 마킹부(116)는 조절판(130)의 제1,2,3 통공(132a,132b,132c)에 해당하는 위치로 상부 몸체(110)의 외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하부 몸체(120)의 외면에는 인디케이터(127)가 표시되는데, 상기 인디케이터(127)는 하부 몸체(120)의 리시브 홈(124)에 해당하는 위치로 하부 몸체(120)의 외면에 표시된다.
하부 몸체(120)에 대해 상부 몸체(110)를 회전시키거나, 상부 몸체(110)에 대해 하부 몸체(120)를 회전시켜서 인디케이터(127)를 상부 몸체(110)에 표시된 보정 마킹부(116) 중 어느 하나에 맞추면, 하부 몸체(120)의 리시브 홈(124)이 조절판(130)의 통공(132)들 중 어느 한 통공에 접한다.
본 고안의 유량 조절기(100)에서 유량이 조절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하부 몸체(120)의 인디케이터(127)를 상부 몸체(110)의 보정 마킹부(116) 중 제1 통공(132a) 위치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에 맞춘 상태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 통공(132a)은 3개의 통공(132) 중 직경이 가장 큰 통공이다.
이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이 제1 통공(132a)이 조절판(130)의 리시브 홈(124)과 접한 상태가 된다.
수액 파우치(10)의 수액이 튜브(30)를 통해 상부 몸체(110) 유입관(111)의 유입구(112)로 유입되면, 수액은 유입관(111)을 따라 조절판(130)의 센터홈(131)으로 유동하고, 센터홈(131)으로 유입된 수액은 분기유로(133)을 따라 제1 통공(132a)으로 유동한다.
이때,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된 조절판(130)의 상부 면은 상부 몸체(110)의 내측 상부 면과 밀착한 상태이므로 분기 유로(133)를 따라 유동하는 수액은 분기 유로(133)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는다.
제1 통공(132a)으로 유동한 수액은 제1 통공(132a)에서 낙하하여 제2 몸체(120)의 리시브 홈(124)으로 유입되고, 리시브 홈(124)으로 유입된 수액은 리턴 유로(125)를 따라 제2 몸체(120)의 유입구(122)로 유동한다.
조절판(130)을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하면, 조절판(130)이 상부 몸체(110)의 내부 하부 면 및 하부 몸체(120)의 외부 상부 면과 밀착하면서 분기 유로(133)와 리턴 유로(125)에서 수밀이 유지되어 수액이 새어나가지 않는다.
유입구(122)로 유동한 수액은 제2 몸체(120)의 배출관(121)의 배출구(123)로 배출되고, 배출된 수액은 튜브(30)를 따라 유동하여 환자의 체내로 주입된다.
도 6은 하부 몸체(120)의 인디케이터(127)를 상부 몸체(110)의 보정 마킹부(116) 중 제3 통공(132c) 위치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에 맞춘 상태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3 통공(132c)은 3개의 통공(132) 중 직경이 가장 작은 통공이다.
이때의 수액 흐름은 상술한 유동과 동일한데, 제1 통공(132a)의 직경보다 제3 통공(132c)의 직경이 작으므로 제3 통공(132c)에서 낙하하는 수액의 양은 제1 통공(132a)에서 낙하하는 수액의 양보다 작다.
즉, 사용자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성형된 제1 통공(132a), 제2 통공(132b) 및 제3 통공(132c) 중 선택하여 유입관(111)으로 유입되어 배출관(121)으로 배출되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하부 몸체(120)의 인디케이터(127)를 상부 몸체(110)의 보정 마킹부(116) 중 'off' 위치에 맞추면, 도 7과 같이 조절판(130)의 리시브 홈(124)이 통공(132)과 접하지 않게 되므로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수액의 유동이 멈추어 수액 주입이 차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10)에 대해 하부 몸체(120)를 회전시키거나, 하부 몸체(120)에 대해 상부 몸체(110)를 회전시켜서 인디케이터(127)를 어느 한 보정 마킹부(116)에 맞추어 유량을 조절하는데, 정확한 위치에 맞추어 고정되도록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하부 몸체(120) 내면에 인디케이터(127)에 해당하는 위치로 돌기(126)를 형성하고, 상부 몸체(110) 내면에 각 보정 마킹부(116)에 해당하는 위치로 홈(115)을 형성함으로써, 상부 몸체(110) 또는 하부 몸체(120)를 회전시킬 때 인디케이터(127)가 정확한 보정 마킹부(116)에 이르렀을 때 돌기(126)가 홈(115)에 삽입되어 사용자에게 구분감을 제공하여 정확하게 통공(132)을 리시브 홈(124)에 맞출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점적통(20), 롤러 클램프(40) 및 주사바늘(50)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튜브(30)에 소정 간격마다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한다. 상기 레벨 마킹부(31)는 다양한 형태 또는 숫자 등으로 표시할 수 있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색깔의 띠 형태로 레벨 마킹부(31)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일 높은 위치에 위치한 레벨 마킹부(31)의 색상은 파란색으로, 그 하부에 위치한 레벨 마킹부(31)는 순서대로 초록, 빨강 색깔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도 8과 같이 유량 조절기(100)의 상부 몸체(110)에 표시된 각각의 보정마킹부(116)는 순서대로 제1 통공(132a), 제2 통공(132b), 제3 통공(132c) 및 off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1 통공의 보정 마킹부(116)에는 빨간 색깔로 60, 초록 색깔로 50, 파란 색깔로 35가 표시되고, 제2 통공의 보정 마킹부(116)에는 빨간 색깔로 40, 초록 색깔로 30, 파란 색깔로 20이 표시되며, 제3 통공의 보정 마킹부(116)에는 빨간 색깔로 20, 초록 색깔로 15, 파란 색깔로 10이 표시된다.
수액 파우치(10)가 규정된 높이인 환자로부터 1m 높이에 설치된 경우 유량 조절기(100)의 빨간색 색상으로 표시된 숫자의 유량만큼 수액이 환자에게 주입된다.
예를 들면, 수액 파우치(10)가 1m 높이에 설치되었을 때 의사 처방인 20cc 주입을 따르기 위해 유량 조절기(100)를 제3 통공(132c)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에 맞추면, 20cc에 해당하는 유량으로 환자에게 수액이 공급된다.
만일, 설치 환경이나 여러 문제로 수액 파우치(10)를 규정된 높이인 1m 보다 낮은 0.6m 높이로 설치한 경우에는 튜브(30)에 표시된 0.6m에 해당하는 파란 색깔을 확인하고, 파란 색깔로 20cc가 표시된 제2 통공(132b)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에 맞추면 규정보다 낮은 위치로 수액 파우치(10)를 설치하였음에도 의사 처방에 따른 유량으로 수액을 환자에게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레벨 마킹부(31)를 튜브에 형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액 파우치(10), 또는 유량 조절기(100)에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수액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점적통(20), 롤러 클램프(4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는 단순히 튜브(30)에 레벨 마킹부(31)를 표시 - 파란 색깔은 0.6m, 초록 색깔은 0.8m, 빨간 색깔은 1.0m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 표시 - 한 것인데 도 9에 도시한 실시에는 튜브(30)에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하되, 레벨 마킹부(31)가 의미하는 실제 거리에 각각의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한다.
도 9와 같이, 수액 파우치(10)로부터 0.6m 거리 위치의 튜브(30)에 파란 색깔의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하고, 수액 파우치(10)로부터 0.8m 거리 위치의 튜브(30)에 초록 색깔의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하며, 수액 파우치(10)로부터 1.0m 거리 위치의 튜브(30)에 초록 색깔의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튜브(30)에 표시된 레벨 마킹부(31)를 통해 수액 파우치(10)로부터 환자까지의 높이(h)를 쉽게 확인하고, 유량 조절기(100)를 조절하여 의사가 처방한 대로 수액을 주입한다.
도 9에서 수액 파우치(10)로부터 환자까지의 높이는 빨간 색상의 레벨 마킹부(31)를 통해 1.0m 인 것을 확인하고, 의사 처방인 20cc에 맞추기 위해 유량 조절기(100)를 제3 통공(132c)에 해당하는 보정 마킹부(116)에 맞추면, 20cc에 해당하는 유량으로 환자에게 수액이 주입된다.
즉, 레벨 마킹부(31)를 수액 파우치(10)로부터 각 색깔이 의미하는 실제 거리에 각 색깔의 레벨 마킹부(31)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액 파우치(10)로부터 환자까지의 높이를 육안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해당 높이에 해당하는 유량을 조절하여 의사 처방대로 정확하게 수액치료를 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고안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고안의 권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수액 파우치
20 : 점적통
30 : 튜브
31 : 레벨 마킹부
40 : 롤러 클램프
50 : 주사바늘
100 : 유량 조절기
110 : 상부 몸체
111 : 유입관
112 : 유입구
113 : 배출구
114 : 고정돌기
115 : 홈
116 : 보정 마킹부
120 : 하부 몸체
121 : 배출관
122 : 유입구
123 : 배출구
124 : 리시브 홈
125 : 리턴 유로
126 : 돌기
127 : 인디케이터
130 : 조절판
131 : 센터홈
132 : 통공
132a : 제1 통공
132b : 제2 통공
132c : 제3 통공
133 : 분기 유로
134 : 고정홈

Claims (8)

  1. 수액이 유동하는 튜브(30)와 유량 조절기(100)를 포함하는 수액 공급장치에 있어서,
    수액 조절기(100)의 몸체 또는 튜브(30)에 환자와 수액 파우치(10)의 높이 차를 표시하는 레벨 마킹부(31)가 표시되고,
    상기 레벨 마킹부(31)의 표시에 따라 유량 조절기(100)에서 튜브(30)를 유동하는 수액의 유량을 조절하여 환자에게 주입하도록 구성된 수액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기(100)는,
    상부는 폐쇄되어 유입관(111)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상부 몸체(110);
    상부는 폐쇄되고, 상부 면에 천공된 형태로 형성된 유입구(122)와, 상기 유입구(122)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리시브 홈(124)과, 상기 유입구(122)와 연통되도록 몸체 내부에 형성된 배출관(121)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몸체(110)에 삽입되는 하부 몸체(120);
    원판 형태의 몸체 상부면 중심에 홈 형태로 형성된 센터홈(131)과, 상기 센터홈(121)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소정 개수의 통공(132)과, 상기 센터홈(131)과 각각의 통공(132)을 개별 연결하는 분기 유로(133)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몸체(120)와 상부 몸체(110) 사이에 위치하는 조절판(130); 및
    상기 조절판(130)이 상부 몸체(110)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연동 회전부;로 구성된 수액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회전부는 조절판(13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상부 몸체(110) 내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14)가 삽입되어 상부 몸체(110)와 조절판(130)이 연동 회전하도록 구성된 수액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130)의 상부 면은 상부 몸체(110)의 내부 상부 면에 밀착되고, 조절판(130)의 하부 면은 하부 몸체(120)의 외부 상부 면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130)은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20)의 외면에 리시브 홈(124)에 해당하는 위치로 인디케이터(127)가 표시되고, 상부 몸체(110)의 외면에 각각의 통공(132)들에 해당하는 위치로 보정 마킹부(116)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127)에 해당하는 하부 몸체(120) 외면 위치에 돌기(126)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보정 마킹부(116)에 해당하는 상부 몸체(110)의 내면 위치에 홈(115)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126)가 홈(115)에 삽입되며 사용자에게 구분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수액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마킹부(31)는 튜브(30)를 따라 각각의 레벨 마킹부(31)가 의미하는 해당 거리만큼 수액 파우치(10)로부터 이격된 튜브(30)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공급장치.
KR2020230001737U 2023-08-17 2023-08-17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Pending KR20250000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737U KR20250000353U (ko) 2023-08-17 2023-08-17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1737U KR20250000353U (ko) 2023-08-17 2023-08-17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0353U true KR20250000353U (ko) 2025-02-25

Family

ID=9482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737U Pending KR20250000353U (ko) 2023-08-17 2023-08-17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00353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953B1 (ko)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73579B1 (ko) 2017-12-22 2018-07-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941531B1 (ko) 2017-02-06 2019-01-23 이상운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101952322B1 (ko) 2018-05-15 2019-02-26 이시영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531B1 (ko) 2017-02-06 2019-01-23 이상운 수액세트용 유량 조절장치
KR101838953B1 (ko)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73579B1 (ko) 2017-12-22 2018-07-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952322B1 (ko) 2018-05-15 2019-02-26 이시영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6229A (en) Medical liquid administration set for rate or volume delivery
CA1317841C (en) Cartridge and adapter for introducing a beneficial agent into an intravenous delivery system
CA2821031C (en) Insert and vial for the infusion of liquids
AU628054B2 (en) Implantable infusion apparatus
US4874366A (en) Housing enabling passive mixing of a beneficial agent with a diluent
KR101487754B1 (ko) 수액유량조절기
US6183441B1 (en) Variable rate infusion apparatus with indicator and adjustable rate control
US20080154216A1 (en) Pressure compensating IV flow control regulator
US5910135A (en) Intravenous infusion system
CA1289027C (en) Selectable drop size infusion metering device
US20020177809A1 (en) Variable rate infusion apparatus with indicator and adjustable rate control
EP3320931B1 (en) Selector
JP2005510306A (ja) 静脈注入用薬液の流量調節デバイス
US20200093983A1 (en) Drip chamber assembly that functions irrespective of orientation
KR101952322B1 (ko)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CA1261220A (en) Housing enabling passive mixing of a beneficial agent with a diluent
US11938300B2 (en) Device for the dosed dispensing of an infusion fluid
KR20250000353U (ko) 정확한 수액 공급을 위한 수액 공급장치
US7232420B1 (en) Multiple flow rate selection valve
JP2807698B2 (ja) 移植可能な薬液注入装置
KR810002118B1 (ko) 다수(多數)의 약품의 정맥투여용 다위치(多位置) 정지콕 밸브
HK1105901B (en)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HK1135050B (en) Device for regulating flow rate
HK1105901A1 (zh) 一种用於调节流速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308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5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