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8073A -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 Google Patents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8073A KR20240178073A KR1020230079804A KR20230079804A KR20240178073A KR 20240178073 A KR20240178073 A KR 20240178073A KR 1020230079804 A KR1020230079804 A KR 1020230079804A KR 20230079804 A KR20230079804 A KR 20230079804A KR 20240178073 A KR20240178073 A KR 20240178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bers
- yarn
- fabric
- pile
- pile fabr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9000010985 leath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2
- 229920005594 polymer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06 polyurethan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994 synthetic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M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396 Polyurea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4 inorganic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7 miner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906 Deat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6 Product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일원단은 바닥사 및 파일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함으로써, 인장강도, 인열강도 및 신율이 향상된 파일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원단은 직조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써 파일 빠짐 현상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일원단은 바닥사 및 파일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가 향상된 파일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원단은 직조방식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써 파일 빠짐 현상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파일원단은 베이스원단에 깃털 형태의 필라멘트사가 파일(Pile) 형태로 심어지게 직조되는 섬유 또는 직조된 후 기모하여 파일을 생성하는 원단으로써, 흔히 자동차 내장재, 일반 바닥재, 방한용 의류, 양탄자, 담요 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파일원단은 오랫동안 사용시 파일의 눌림으로 인해 파일 복원력이 떨어지고, 파일 뽑힘으로 지저분한 외관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들은 파일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의 Back면 부위에 접착력이 있는 성분으로 코팅을 하거나, 추가 층(layer)을 접착함으로써 쿠션감을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접착력이 있는 성분으로 코팅을 할 경우 별도의 접착제 및 코팅 공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쿠션감을 보강하기 위해 다층을 접합할 경우 원단의 무게 및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추가 접착제의 사용 없이, 최소한의 층으로 구성되어 파일 빠짐, 파일 복원력 및 원단의 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원단설계에 대한 연구개발 중, 파일 부분에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고, 파일사의 굵기 및 원단설계에 의하여 파일 빠짐, 파일 눌림 및 원단의 물성(강도 및 신율 등)을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5252호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사와 POY(Partially Oriented Yarn) 및 DTY(Draw Textured Yarn)를 사용하여 상기 파일사로 형성된 파일을 고정시키는 바닥사로 제조되는 파일원단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파일사로서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닥사 및 파일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파일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원단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사 또는 파일사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경사 또는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닥사는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 외에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 외에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죽섬유 및 더 포함되는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은 1:0.5 내지 4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의 두께는 200 데니어(D) 내지 1,000 데니어(D)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300 g/yd 내지 1,100 g/yd의 중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열강도가 200 N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장강도가 900 N/50m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신율이 30%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원단은 파일사로서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파일의 복원력 및 쿠션감이 향상 되고, 직조설계 방식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파일 빠짐 문제가 개선되었으며, 인열/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우수한 물성 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 값을 가지기 때문에 파일원단의 성형 작업이 용이하고, 자동차 내장재 및 일반 바닥재 등에 적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일원단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의해 정의될 뿐이다.
덧붙여,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섬유"는 "섬유 그 자체" 또는 "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가죽섬유, 일반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는 각각 가죽사, 일반사 또는 폴리머사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가죽섬유" 외에 "일반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가죽섬유" 외에 "일반섬유" 또는 "폴리머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천연가죽 재생복합사로도 지칭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내에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은 각각 원단을 기준으로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닥사 및 파일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파일 원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물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바람직하게는 모켓원단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 원단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사 또는 파일사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경사 또는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닥사는 경사 및 위사에 사용되고, 상기 파일사는 위사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사는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반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천연섬유, 단백질계 천연섬유, 광물질계 섬유, 셀룰로오스계 인조섬유, 단백질계 인조섬유, 고무계 섬유, 무기질 섬유, 아세테이트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머 섬유는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우레아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스틸렌계 섬유,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섬유,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계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원단의 신율 증과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기 후술할 파일사가 바닥사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일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파일사에 포함된 천연가죽 재생사가 바닥사에 일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파일 부분의 복원력과 쿠션감을 확보하여 파일 눌림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고, 원단 표면의 마모성 또한 증가 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폐가죽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가죽스크랩을 섬유화 과정을 거친 뒤, 수득된 가죽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상기 가죽섬유에 일반섬유, 폴리머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여 제조한 방적사인 것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섬유를 더 포함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반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천연섬유, 단백질계 천연섬유, 광물질계 섬유, 셀룰로오스계 인조섬유, 단백질계 인조섬유, 고무계 섬유, 무기질 섬유, 아세테이트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 섬유는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우레아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스틸렌계 섬유,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섬유,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머섬유는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계 섬유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폐가죽을 재활용하여 제조한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상기 파일원단은 재활용 소재의 제품개발에 적용 가능한 것일 수 있고, 재활용소재 적용에 의한 폐차처리지침(ELV)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 내에 일반섬유 및/또는 폴리머 섬유가 함께 포함되는 경우, 가죽섬유와 일반섬유 및/또는 폴리머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은 1:0.5 내지 4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3인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2.1 내지 2.3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죽섬유와 일반섬유 및/또는 폴리머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1:0.5 미만일 경우 일반섬유 및/또는 폴리머 섬유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너무 적기 때문에 제조되는 파일원단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일 수 있으며, 1:4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가죽섬유의 함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이를 포함함으로써 발현될 수 있는 파일의 복원력 및 쿠션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의 두께는 200 데니어(D) 내지 1,000 데니어(D)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0 데니어(D) 내지 950 데니어(D)인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65.75 데니어(D) 또는 900 데니어(D)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의 두께가 200 데니어(D) 미만일 경우 천연가죽 재생사의 두께가 너무 얇아 이를 포함하는 파일원단이 가죽의 질감을 잘 나타내지 못할 수 있으며, 1,000 데니어(D) 초과일 경우 바닥사의 두께 대비 이를 포함하는 파일사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파일 원단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 외에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일반섬유는 셀룰로오스계 천연섬유, 단백질계 천연섬유, 광물질계 섬유, 셀룰로오스계 인조섬유, 단백질계 인조섬유, 고무계 섬유, 무기질 섬유, 아세테이트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머 섬유는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폴리우레아계 섬유, 폴리아크릴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염화비닐계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섬유,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폴리에틸렌계 섬유, 폴리스틸렌계 섬유, 폴리플루오르에틸렌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터계 섬유, 폴리우레탄계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폴리우레탄계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원단의 신율 증과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파일사의 굵기 및 원단설계 방식에 의하여 파일 빠짐, 파일 눌림 현상이 개선되고, 인열강도, 인장강도 및 신율과 같은 우수한 물성값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단설계 방식은 바람직하게 직조방식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BCF(Bulk Continuous Filament) 원단은 백킹(backing)층에 파일원사를 통과하도록 하여 심는 방식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나, 본원발명은 파일원사와 바닥원사를 직조방식으로 제조함으로써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파일 빠짐, 파일 눌림 현상이 개선되고, 더욱 우수한 강도 및 신율값을 가지는 원단의 제조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에 천연가죽 재생사 외에 일반섬유 및/또는 폴리머 섬유가 더 포함되는 경우, 천연가죽 재생사와 더 포함되는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은 1:0.01 내지 1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0.5인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0.07 인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300 g/yd 내지 1,100 g/yd 의 중량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0 g/yd 내지 1,050 g/yd 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g/yd 내지 1,000 g/yd 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원단의 중량은 파일사에 포함되는 천연가죽 재생사의 함량 및 원단 설계 방식에 따라 상이해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장강도가 900 N/50mm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0 N/50mm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100 N/50mm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원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인장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잘 끊어지지 않고, 파일 빠짐 현상이 개선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신율이 모두 30%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9%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율이 30% 미만일 경우, 원단이 충분히 늘어나지 않아 추후 성형 작업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열강도가 200 N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20 N 이상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30 N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원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한 인열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잘 찢어지지 않고, 파일 빠짐 현상이 개선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내마모성 값이 3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원단은 자동차 바닥재, 일반 바닥재 및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단은 자동차 트렁크 부품, 크래쉬패드, 패키지트레이, 헤드라이너, 도어트림, 시트커버링 등과 같은 자동차 내장부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가죽 재생복합사를 포함하는 모켓원단의 제조
실시예 1
1-1. 천연가죽 재생복합사의 제조
폐가죽을 재활용하여 가죽스크랩을 제조하고, 상기 가죽스크랩을 섬유화 과정을 거쳐 가죽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가죽섬유에 나일론 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를 혼합하여 천연가죽 재생복합사를 준비하였다. 이때, 상기 천연가죽 재생복합사의 굵기는 900 데니아(D)이었고, 상기 가죽섬유, 나일론 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은 30:16:54 이었다.
1-2. 모켓 원단의 제조
위사용 실로서 폴리에스터계 300D/96f 원사(바닥사)를 준비하였으며, 경사용 실로서 하기 1) 및 2)의 실을 준비하였다.
1) 폴리에스터계 300D/96f 원사 - 바닥사
2)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 900D - 파일사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경사용 실 및 위사용 실을 이용하여 직물모켓 제직기에서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된 모켓원단은 구조 특성상 바닥실 및 파일사 모두 일부 천연가죽 재생복합사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편, 상기 경사용 실 1)의 소요량은 114.38 g/Y, 2)의 소요량은 213.64 g/Y 이었으며, 위사용 실의 소요량은 76.11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404 g/yd 이었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를 포함하는 모켓원단의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경우, 사용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의 두께 265.75 데니아이고,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32:68 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한편, 경사용 실 1)의 소요량은 129.22 g/Y, 2)의 소요량은 359.97 g/Y 이었고, 위사용 실의 소요량은 80.12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569 g/yd 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원단의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경우, 사용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가 두께 265.75 데니아의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32:68 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3의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때, 경사용 실 1)의 소요량은 99.68 g/Y, 2)의 소요량은 353.05 g/Y 이었으며, 위사용 실의 소요량은 80.12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533 g/yd 이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원단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사용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가 두께 265.75 데니아의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32:68 이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4의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이때, 소요된 경사용 실 1)의 중량은 38.4 g/Y, 2)의 중량은 215.95 g/Y 이었고, 소요된 위사용 실의 중량은 80.12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450 g/yd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334 g/yd 이었다.
한편,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원단의 사진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사용된 위사용 실이 폴리에스터사 (300D/96f) 및 폴리우레탄사 (140D)로 이루어진 합사이었고, 사용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가 두께 265.75 데니아의 가죽섬유,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계 섬유로 이루어져, 상기 가죽섬유, 폴리에스터계 섬유 및 폴리우레탄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30:67:3 이었다는 것 그리고 바닥사로 쓰여진 경사용 실 1)이 폴리에스터사 300D/96f 및 폴리우레탄사 140D로 이루어진 합사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5의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한편, 소요된 경사용 실 1)의 중량은 170.49 g/Y, 2)의 중량은 370.31 g/Y 이었고, 소요된 위사용 실의 중량은 111.63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652 g/yd 이었다.
실시예 6
경사용 실 3)에 파일사로서 폴리에스터사 300D/96f 및 폴리우레탄사 140D로 이루어진 합사가 추가되었고, 사용된 천연가죽 재생복합사가 두께 265.75 데니아의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죽섬유 및 폴리에스터계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이 32:68 이었다는 것, 위사용 실로는 폴리에스터사 150D 및 폴리우레탄사 280D로 이루어진 합사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및 방법으로 실시예 6의 모켓원단을 제조하였다.
한편, 소요된 경사용 실 1)의 중량은 71.44 g/Y, 2)의 중량은 793.79 g/Y, 폴리에스터사 300D/96f 및 폴리우레탄사 140D로 이루어진 추가된 경사용 실 3)의 소요량은 55.4 g/Y 이었고, 소요된 위사용 실의 중량은 72.38 g/Y 이었으며, 제조된 원단의 총 중량은 993 g/yd 이었다.
하기 표 1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모켓원단의 조성 및 소요량을 나타내었다.
[표 1]
비교예
효성社에서 제조한 자동차 플로워(Floor) 카페트 원단(BCF)을 구매하여 비교예로 준비하였다.
실험예 1. 모켓 원단의 물성 확인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모켓 원단 및 비교예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모켓원단의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및 내마모성을 측정하여 이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2에 기재된 시험규격은 HKMC MS343-15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 규격을 의미하는 것이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모켓 원단의 길이 방향/폭 방향 인장강도 값은 각각 2,300 N/50mm 및 1,120 N/50mm 이었고, 비교예의 길이 방향/폭 방향 인장강도 값은 각각 1,088 N/50mm 및 811 N/50mm 이었다. 즉, 실시예 5의 모켓원단은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 인장강도 규격 기준을 우수하게 통과할 뿐만 아니라. 비교예의 원단 보다 매우 우수한 인장강도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5의 모켓원단은 길이 방향/폭 방향 신율 값이 66% 및 39% 이었고, 비교예 원단의 신율 값은 길이방향/폭 방향 각각 43% 및 36% 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모켓원단은 높은 신율을 가짐으로써 성형이 용이하여 자동차 내장재 및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5에 따른 모켓원단의 길이 방향/폭 방향 인열강도는 각각 284 N 및 236 N 이었고, 비교예의 인열강도는 각각 267 N 및 248 N 이었다. 즉,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원단의 인열강도 값은 자동차 플로워 카페트 시험규격을 우수하게 합격하고, 높은 인열강도 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는 3급의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모켓원단은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및 내마모성과 같은 다양한 물성기준에에서 매우 뛰어난 물성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 바닥사 및 파일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경사 및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사 또는 파일사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경사 또는 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되는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사는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사는 천연가죽 재생사 외에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는 가죽섬유 외에 일반섬유, 폴리머 섬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를 더 포함하는 것인 파일원단.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죽섬유 및 더 포함되는 섬유의 중량혼합비율은 1:0.5 내지 4인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가죽 재생사의 두께는 200 데니어(D) 내지 1,000 데니어(D)인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300 g/yd 내지 1,100 g/yd 의 중량을 가지는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열강도가 200 N 이상인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인장강도가 900 N/50mm 이상인 것인 파일원단.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신율이 30% 이상인 것인 파일원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804A KR20240178073A (ko) | 2023-06-21 | 2023-06-21 |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804A KR20240178073A (ko) | 2023-06-21 | 2023-06-21 |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8073A true KR20240178073A (ko) | 2024-12-30 |
Family
ID=9403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9804A Pending KR20240178073A (ko) | 2023-06-21 | 2023-06-21 |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78073A (ko) |
-
2023
- 2023-06-21 KR KR1020230079804A patent/KR20240178073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94723A (en) | Tufting carpet | |
US7300691B2 (en) | Moldable construction incorporating non-olefin bonding interface | |
EP2432925B1 (en) | Tufted carpet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
CA2598555C (en) | Composite secondary carpet backing,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carpet made therefrom | |
JPH08260303A (ja) | 二次成形しうる熱安定性化可能な編織布パイル材料 | |
JPH08280418A (ja) | 二次成形しうる熱安定化可能な編織布ループパイル材料 | |
AU2018249356B2 (en) | Washable floor mat with reinforcement layer | |
KR20120106971A (ko) | 제1 카펫 백킹 | |
KR20170018820A (ko) | 비닐 바닥 깔개용 캐리어 재료 | |
US5725705A (en) | Dust-control mat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US3535192A (en) | Carpet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20070178790A1 (en) | Secondary carpet backing and buckling resistant carpet made therefrom | |
KR20240178073A (ko) | 천연가죽 재생사를 포함하는 파일원단 | |
JPS59620B2 (ja) | 成形用経編地 | |
JP7587773B2 (ja) | 天井用表皮材 | |
JPS6040537B2 (ja) | 成形用布帛 | |
JP7420697B2 (ja) | 車両内装材向けスエード調表皮材 | |
JPH0641842A (ja) | ポリエステル/高湿潤モジユラス・レーヨンの横糸を用いたタイヤ用繊維布 | |
US20150224943A1 (en) | Tufted carpet for automotive applications | |
CN113015466A (zh) | 聚酯纱线缓冲地垫及其制造方法 | |
JP3752352B2 (ja) | 内装用モケット | |
JP7706805B1 (ja) | 車両内装用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 |
JPH0235056B2 (ko) | ||
KR20230055409A (ko) | 자동차용 시트커버 | |
JPS6031108Y2 (ja) | タフテット・カ−マ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