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77486A - Dish washer - Google Patents

Dish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7486A
KR20240177486A KR1020230078905A KR20230078905A KR20240177486A KR 20240177486 A KR20240177486 A KR 20240177486A KR 1020230078905 A KR1020230078905 A KR 1020230078905A KR 20230078905 A KR20230078905 A KR 20230078905A KR 20240177486 A KR20240177486 A KR 20240177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ccant
dishwasher
heater
receiving portion
guide rib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규한
주병현
정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77486A/en
Priority to EP24182833.4A priority patent/EP4480376A1/en
Priority to AU2024204169A priority patent/AU2024204169A1/en
Priority to US18/748,279 priority patent/US20240423441A1/en
Publication of KR2024017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7486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1Drying arrangements by using water absorbent materials, e.g. Zeoli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7Temperat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하우징의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흡습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흡습제 사이에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로서 기능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메인하우징의 내부에서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에 대한 유로 저항의 편차 발생을 및 흡습량의 국지적 편차발생을 최소화하여 흡습효율의 악화할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which closes a space for receiving a desiccant in a main housing and forms a space between a cov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desiccant and the desiccant, which functions as an exhaust path through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flows,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deviation in resistance to the path for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in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and the occurrence of local deviation in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moisture absorption efficiency.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메인하우징의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흡습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흡습제 사이에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로서 기능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메인하우징의 내부에서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에 대한 유로 저항의 편차 발생을 및 흡습량의 국지적 편차발생을 최소화하여 흡습효율의 악화할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in which a space for receiving a desiccant in a main housing is closed,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a cov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desiccant and the desiccant, which functions as an exhaust path through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flows, thereby minimizing deviation in resistance to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in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and local deviation in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in moisture absorption efficiency.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washes items stored inside, such as dishes and cooking utensils, by spraying water such as water onto them. At this time, the water used for washing may contain detergent.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 dishwasher is generally configured to include a washing tank forming a washing space, a storage section for accommodating objects to be washed inside the washing tank, a spray arm for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storage section, and a sump for storing water and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pray arm.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By using this dishwasher,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wash dishes and other washable items after meals can be reduced, contributing to user convenience.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ypically, a dishwash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washing cycle for washing objects, a rinsing cycle for rinsing objects, and a drying cycle for drying objects that have been washed and rinsed.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한 후 터브로 재공급하여 하여 세척대상물에 대한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흡습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Recently, dishwashers equipped with a moisture absorption device that absorb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then resupplies it to the tub, thereby reducing the drying time for the items to be washed have been released.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858727호(선행문헌 001)에는, 건조행정 진행 시에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를 흡습제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를 다시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U.S. Patent Publication No. 8858727 (Prior Document 001) discloses a dishwasher having an absorbent device that removes water vapor contained in air discharged from a tub during a drying cycle using a desiccant and supplies ai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back to the tub.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의 흡습장치는, 흡습제를 통과한 공기를 터브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커버가 흡습제의 하류 측에, 즉 흡습제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The desiccant device of a dishwasher disclosed in prior document 001 is configured such that a cover having an outlet formed therein for supplying air passing through a desiccant to a tub is position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siccant, i.e., on the upper side of the desiccant.

다만, 선행문헌 001의 흡습장치의 커버와 흡습제의 상단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cover of the absorbent device of prior art document 001 and the upper part of the absorbent are configured so that a sufficient gap space is not secured.

즉. 커버의 배출구의 주위를 제외하고 배출구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는 커버와 흡습제의 상단 사이에 이격공간이 거의 형성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That is, except around the exhaust port of the cover, at locations far from the exhaust port, there is almost no gap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top of the desiccant.

따라서 선행문헌 001의 구성은, 이와 같이 배출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흡습제를 통과하는 공기를 배출구를 향해 안내할 유로가 흡습제의 하류 측에 형성되지 않게 됨에 따라 흡습제하우징의 내부에서 유로 저항에 대한 편차가 국지적으로 차이가 발생하고, 배출구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와 가까운 위치에 사이에 기류의 유동량 및 흡습량의 편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 및 전체적으로 흡습 효율이 악화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 of prior art document 001 has the problem that since a path for guiding air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at a location far from the outlet toward the outlet is not form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siccant, a local difference in the resistance of the path occurs inside the desiccant housing, and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airflow and moisture absorption inevitably occurs between locations relatively far from the outlet and locations close to it, and the overall moisture absorption efficiency is bound to deteriorate.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858727호United States Patent Publication No. 885872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하우징의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흡습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흡습제 사이에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로서 기능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메인하우징의 내부에서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에 대한 유로 저항의 편차 발생을 및 흡습량의 국지적 편차발생을 최소화하여 흡습효율의 악화할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which closes a space for receiving a desiccant in a main housing and forms a space between a cov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desiccant and the desiccant, which functions as an exhaust path through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flows, thereby minimizing deviation in resistance to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in the interior of the main housing and local deviation in the amount of moisture absorbed,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moisture absorp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커버의 내부에 배출구를 중심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를 배치하여 배출구를 행하여 유동하는 기류를 분할함으로써, 배출구를 향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고 유동하는 기류가 배출구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와류 및 난류 형성을 최소화하여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purpose of providing a dishwasher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 ribs arranged around an outlet are arranged inside a cover to divide airflow flowing through an outlet, thereby minimizing the formation of eddies and turbulence that may occur when airflows flowing with different directions toward the outlet flow into the outlet, thereby reducing flow loss.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가이드리브를 통해서 배출구로 유입되는 기류에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속도 성분을 생성하여 기류이 유동속도를 낮춤으로써,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를 낮추어 기류가 흡습제수용공간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흡습제의 흡습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in which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outlet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ribs generates a rotational speed component based on the flow direction, thereby lowering the flow speed of the airflow, thereby lowering the speed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thereby securing the maximum time that the airflow remains in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and maximizing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desiccant.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하단을, 흡습제의 상단을 규정하는 흡습제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자유단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리브의 하단이 흡습제홀더와 접촉하거나, 가이드리브와 흡습제홀더 사이의 간격이 소정 수준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흡습제홀더가 기류의 풍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hwasher in which the lower ends of a plurality of guide ribs are formed as free ends extending toward a desiccant holder defining an upper end of a desiccant, and the lower ends of the guide ribs are configured to contact the desiccant holder or maintain a gap between the guide ribs and the desiccant holder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siccant holder from being detached due to wind pressure of an airflow.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공기를 유동시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하류에 배치되는 흡습제;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습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습제로 공급될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고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히터수용부, 및 상기 히터수용부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고 상기 흡습제가 수용되는 흡습제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흡습제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상기 흡습제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배출구를 향해 안내하는 배출유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ub forming a washing space and accommodating dishes; and a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absorbing moisture from air discharged from the tub and supplying the moisture to the tub, wherein the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comprises: a blower fan forming an airflow by causing the air to flow; a desiccant disposed downstream of the blower fa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airflow; a heater disposed between the blower fan and the desiccan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airflow, the heater heating the airflow to be supplied to the desiccant; a heater receiving section having a heater receiving space through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flows and in which the heater is received, and a desiccant receiving section having a desiccant receiving space in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heater receiving section flows and in which the desiccant is received. And it includes a cover coupled to the open sid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to close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is exhausted; and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cover and the open sid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paration space serves as an exhaust path that guides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toward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부에 의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진행하면서 유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having a convex surface portion formed convex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nd the discharge port formed therethrough; and by the convex surface portion, the discharge path can gradually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ereof reduced as it progresses toward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볼록면부는, 각각 서로 다른 경사구배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 경사면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x surface portion may be a composite inclined surfa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each having a different slope.

또한, 상기 볼록면부는,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복수의 곡면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 곡면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x surface portion may be a composite surface formed by combining multiple surfaces, each having a different curvature.

또한,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면에 연결되는 고정단이 되고, 타단이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을 향해 상기 배출유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자유단이 되며,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상기 기류를 분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ribs formed in a wall shape, one end of which is a fixed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the other end being a free end extending across the discharge path toward the open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guide ribs can be arranged to divide the airflow flowing toward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균등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guide rib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centered on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이 되는 선단에지와, 하유측이 되는 후단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leading edge on the upstream side and a trailing edge on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can extend 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또한, 상기 선단에지와 상기 후단에지를 통과하는 연장선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 and the trailing edge can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선단에지와 상기 후단에지를 통과하는 연장선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 and the trailing edge may no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이 되는 선단에지와, 하유측이 되는 후단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비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leading edge on the upstream side and a trailing edge on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can extend non-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진행하면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may have a curve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along a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while progressing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또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흡습제수용공간의 상단을 규정하고, 상기 흡습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흡습제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기류가 통과하는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desiccant dry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desiccant holder that defines the upper end of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and prevents the desiccant from escaping;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desiccant holder through which the airflow passes.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may come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esiccant holder.

또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desiccant hol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determined gap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siccant holder.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곽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의 확장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면부의 내측에지와 외측에지 사이에는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실링리브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실링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surface portion in the shape of a flang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body, and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toward an open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re provided between an inner edge and an outer edge of the extension surface portion, and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that are combined with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may be provided on an edge of the open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실링리브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제2 실링리브 사이에 끼워지게 될 수 있다.Additionally, one of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ealing ribs.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확장면부의 외측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습제수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둘레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peripheral wall exten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and protruding towar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 실링리브와 상기 제2 실링리브가 결합되면, 상기 외둘레벽은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외측면과 면접촉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sealing rib and the second sealing rib are combined, the outer peripheral wall can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외둘레벽이 상기확장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1 실링리브가 상기 확장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t which the outer peripheral wall protrudes from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sealing rib protrudes from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메인하우징의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흡습제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커버와 흡습제 사이에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는 배출유로로서 기능하는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메인하우징의 내부에서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에 대한 유로 저항의 편차 발생을 및 흡습량의 국지적 편차발생을 최소화하여 흡습효율의 악화할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absorption efficiency by minimizing occurrence of deviation in flow resistance for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inside the main housing and occurrence of local deviation in moisture absorption amount 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cov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desiccant and the desiccant, which functions as an exhaust path through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flows, and closing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of the main hou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커버의 내부에 배출구를 중심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를 배치하여 배출구를 행하여 유동하는 기류를 분할함으로써, 배출구를 향해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고 유동하는 기류가 배출구로 유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와류 및 난류 형성을 최소화하여 유동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flow loss by minimizing the formation of eddies and turbulence that may occur when airflow flowing in different directions toward the discharge port flows into the discharge port by dividing the airflow flowing through the discharge por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guide ribs centered on the discharge port inside the co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복수의 가이드리브를 통해서 배출구로 유입되는 기류에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속도 성분을 생성하여 기류이 유동속도를 낮춤으로써, 흡습제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를 낮추어 기류가 흡습제수용공간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고 흡습제의 흡습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generating a rotational speed component based on the direction of flow in the airflow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ribs to lower the speed of the airflow, thereby lowering the speed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thereby maximizing the time that the airflow remains in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and maximizing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desicca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하단을, 흡습제의 상단을 규정하는 흡습제홀더를 향해 연장되는 자유단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리브의 하단이 흡습제홀더와 접촉하거나, 가이드리브와 흡습제홀더 사이의 간격이 소정 수준 이하가 되도록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흡습제홀더가 기류의 풍압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siccant holder from being detached due to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flow by forming the lower ends of a plurality of guide ribs as free ends extending toward a desiccant holder defining the upper end of the desiccant, and configuring the lower ends of the guide ribs to contact the desiccant holder or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guide ribs and the desiccant holder at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together with specific matter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개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흡습건조장치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터브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흡습건조장치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의 흡입덕트와 송풍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의 가열부, 하우징 및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가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2 커버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2 커버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2 커버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2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8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도 17의 부분확대도로서, 개별 가이드리브의 형상에 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흡습건조장치에 구비되는 제2 커버의 저면도이다.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hwasher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dishwasher illustrated in Figure 1 in an opened state.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base.
Figure 5 is a plan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Figure 4 with the tub removed.
Figure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7.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uct and blower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7.
Figures 10 and 11 are front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heating unit, housing, and cover of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shown in Figure 7 are combined.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s 10 and 11.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unit illustrated in Figure 12.
Figure 1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ver illustrated in Figures 11 and 12.
Figure 1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ver illustrated in Figure 14.
Figure 1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cover illustrated in Figure 14.
Fig. 17 is a bottom view of the second cover illustrated in Fig. 14.
Figure 18 is a partial enlargement of Figure 16.
Figure 19 is a partial enlargement of Figure 8.
Figures 20 to 22 are partial enlarged views of Figure 17, illustrating examples of shapes of individual guide ribs.
FIGS. 23 and 24 are bottom views of a second cover provided in a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a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phrase “any configuration is disposed on (or below)” a component or “on (or below)” a component may mean not only that any configura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r lower surface) of said component, but also that another configuration may be interposed between said component and any configuration disposed on (or below) said component.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one another,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b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s,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hould be construed as not including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hould be construed as not including some of the components or some of the steps, or may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ence is made to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otherwise stated, and when reference is made to "C through D", this means C or more and D or les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dishwas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verall structure of a dishwash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의 도어(3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mplified cross-sectional view brief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30) of the dishwasher (1) shown in FIG. 1 is ope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10) forming an outer shape, a tub (2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forming a washing space (21) in which objects to be washed are washed and having an open front, a door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a driving unit (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ub (20) for supplying, collecting, circulating, and drain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objects, a storage unit (50) detachably provided in the internal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for placing objects to be washed, and a spray unit (60) installed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50) for spraying washing water for washing objects.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objects to be washed placed in the storage unit (50) may be, for example, dishes, plates, spoons, chopsticks, and other cooking utensil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objects to be washed are referred to as dishes.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The tub (20) can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the front entirely open,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known as a so-called washing tank.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A washing space (21) is formed inside the tub (20), and the open fron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30).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tub (20) can be formed by pressing a metal plate that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example, a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number of brackets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to support and install functional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section (50) and injection section (60) described below within the tub (20).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riving unit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mp (41) that stores washing water, a sump cover (42) that separates the sump (41) from the tub (20), a water supply unit (43) that supplies washing water to the sump (41) from the outside, a drain unit (44) that discharges washing water from the sump (41) to the outside, and a washing pump (45) and a supply path (46) that supply washing water from the sump (41) to the spray unit (60).

급수부(43)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섬프(4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water supply unit (43) supplies wash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to the sump (41).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급수부(43)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워터재킷과, 워터재킷에 저장된 세척수를 연수화하는 연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water supply unit (43)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ter jacket for storing washing water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ource, and a water softening device for soften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jacket.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mp cover (42) is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mp (41) and can serve to separate the tub (20) and the sump (41). In addition, the sump cover (42) can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for recover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21) through the spray unit (60) into the sump (41).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That is, the washing water sprayed toward the dishes from the spray unit (60) falls to the lower part of the washing space (21) and can be returned to the sump (41) through the sump cover (42).

세척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The washing pump (45) is install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sump (41) and serves to pressurize the washing water and supply it to the spray unit (60).

세척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One end of the washing pump (45) may be connected to the sump (4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th (46). The washing pump (45) may be equipped with an impeller (451) and a motor (453).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453), the impeller (451) rotates, and the washing water in the sump (41) may be pressurized and then supplied to the spray unit (60) through the supply path (46).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세척펌프(45)의 타단 측에는 세척행정 또는 가열헹굼행정 진행 시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세척수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세척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washing water heat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washing pump (45) to heat the washing water supplied during the washing cycle or the heated rinsing cycle. Meanwhile, the supply path (46) may play a role in selectively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shing pump (45) to the spray unit (60).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upply path (46) may include a first supply path (461) connected to the lower injection arm (61), a second supply path (463) connected to the upper injection arm (62) and the top nozzle (63), and the supply path (46) may be provided with a supply path switching valve (465)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upply paths (461, 463).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ly path switching valve (465) can be controlled so that each of the supply paths (461, 463) is open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Meanwhile, the spray unit (60) is provided to spray washing water on dishes, etc. stored in the storage unit (50).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pray unit (60) may include a lower spray arm (61)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tub (20)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lower rack (51), an upper spray arm (62)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and a top nozzle (63)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tub (20) and spraying washing water to the top rack (53) or the upper rack (52).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ower spray arm (61) and the upper spray arm (62) are rotatably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so as to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toward dishes in the storage section (50).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하부 랙(5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The lower spray arm (61) can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mp cover (42) so as to be able to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lower rack (51) while rotating at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ack (51).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pray arm (62)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a spray arm holder (467) so as to be able to spray washing water while rotating between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터브(20)의 하부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means for divert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lower spray arm (61) in an upward direction (U-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to increase the washing efficiency.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unit (60)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lready known in the art, so a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injection unit (60) will be omitted below.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storage compartment (50) for storing dishes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21).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The storage section (50) is provided so as to be withdrawable from the inside of the tub (20)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By way of example,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including a lower rack (51) located at the bottom of a tub (20) and capable of storing relatively large dishes, an upper rack (52) located above the lower rack (51) and capable of storing medium-sized dishes, and a top rack (53) located at the top of the tub (20) and capable of storing small dish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of a dishwasher provided with three storage compartments (50) as illustrated.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se lower racks (51), upper racks (52) and top racks (53) can each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through the open front of the tub (20).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레일(54)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레일(54)은 상부레일(542), 하부레일(541), 및 탑레일(5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guide rails (54)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wall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ub (20), and for example, the guide rails (54) may include an upper rail (542), a lower rail (541), and a top rail (543).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Wheels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each of the lower racks (51), upper racks (52), and top racks (53). The user can store dishes in them or easily take out washed dishes from them by pulling the lower racks (51), upper racks (52), and top racks (53) outward through the front of the tub (20).

가이드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The guide rail (54) may be provided as a fixed guide rail in the form of a simple rail for guiding the withdrawal and insertion of the injection unit (60) or as an elastic guide rail for guiding the withdrawal and storage of the injection unit (60) and whose withdrawal distan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the injection unit (60).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Meanwhile, the door (30) has the purpos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front of the above-described tub (20).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A hinge part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30)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normally open front, and the door (30) is opened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part as a rotation axis.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으로서 전방면 또는 상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Here, a handle (31) for opening the door (30) and a control panel (32)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1)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30), such as the front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의 전방면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control panel (3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33) that visually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the dishwasher, a button section (34) including a selection button for inputting a user's selection operation, and a power button for inputting a user's operation for turning the dishwasher on and off.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에 해당하는 전방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0) can form a front surfac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tub (20) when the door (30) is closed, and at the same time, can form a resting surface on which the lower rack (51) of the storage section (50) can be supported when the door (30) is fully opened.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when the door (30) is fully opened, it is desirable for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0) to form a horizontal plan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guide rail (54) along which the lower rack (51) is guided extends.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에는 터브(20)의 내부로 세제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detergent supply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30) to automatically supply detergent into the interior of the tub (20).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건조행정 진행 시에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수한 후에 공기를 다시 터브(20)로 재공급하는 흡습건조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a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ub (20) to absorb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tub (20)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then resupply the air back to the tub (20).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는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81)와,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82)와, 터브(2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83)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습제(8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duct (81)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tub (20) is sucked in, a blower (82) that generates an air current, a heating unit (83) that heats the air sucked in from the tub (20), and a desiccant (85) that absorbs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터브(20)의 하부면(25)에는 흡습건조장치(80)를 통해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가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An air supply hole (25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to allow air from which water vapor has been removed through a desiccant drying device (80)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tub (20).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일측면에는, 예시적으로 우측면에는 흡입덕트(81)의 입구에 결합되는 그릴캡(8113)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a grill cap (8113) coupled to the inlet of the suction duct (81) can be fixed to one side of the tub (20), for example, the right side.

흡습건조장치(8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below.

[흡습건조장치의 세부 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이하,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3.

먼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는 흡입덕트(81)의 메인덕트(811)와 토출가이드(89)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베이스(90)와 터브(20)의 하부면(25) 사이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S. 3 to 6,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80) can be arranged so that the remaining portion, excluding the main duct (811) and the discharge guide (89) of the suction duct (81), is accommodated between the base (90) and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and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91) of the base (90).

예시적으로 흡습건조장치(80)의 송풍부(82), 가열부(83) 및 하우징(84)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wer (82), heating unit (83), and housing (84) of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8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93) of the base (90) and may b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rear surface (93) of the base (90).

이러한 흡습건조장치(80)의 배치 위치는, 흡습제 건조모드 또는 흡습제 재생모드 작동 시에 대략 200℃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흡습건조장치(80)의 가열부(83)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The placement location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can b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ting unit (83)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that generates high heat of approximately 200°C or higher when the desiccant drying mode or desiccant regeneration mode is operated. In other words, a location that avoids electrical components that are relatively greatly affected by high heat can be selected.

이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의 송풍부(82), 가열부(83) 및 하우징(84)이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길게 배열됨으로써 도어(30)가 풀개방 상태일 때, 도어(3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식기세척기(1)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작용하는 웨이트 밸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blower (82), heating unit (83), and housing (84) of the moisture absorbing drying device (80) are arranged in a long manner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93) of the base (9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93) of the base (90), there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weight balance that prevents the dishwasher (1) from tilting due to the load applied to the door (30) when the door (30) is in a fully open state.

또한,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치 위치는 터브(20)의 하부면(25)에 형성되는 공기공급홀(254)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그리고 터브(20)의 전면에 근접해서 배치되는 연수기연통홀(255)과 구별을 위하여, 건조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공급홀(254)은 터브(20)의 하부면(25)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to 5, such arrangement positions may be selected based on the positions of the air supply holes (25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user and to distinguish it from the water softener communication hole (255) arranged close to the front of the tub (20), the air supply hole (254) through which dry air is discharged may be formed at a corner adjacent to the rear and left sides as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공기공급홀(254)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세척공간(21)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는 토출가이드(89)를 통해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hole (254)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through the discharge guide (89) positioned in a state exposed to the washing space (21).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공기공급홀(254)로 효과적으로 흡습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특히 흡습제(85)를 수용하는 흡습건조장치(80)의 하우징(84)은 공기공급홀(254)의 하부 측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supply the absorbed air to the air supply hole (254) formed at this location, the housing (84)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that accommodates the desiccant (85) may be placed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air supply hole (254).

다만, 이러한 흡습건조장치(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흡습건조장치(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베이스(90)의 후면(93)에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is merely exemplary, and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eft side (94), right side (95), or front side (92) of the base (90) rather than the rear side (93).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is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93) of the base (90)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ear side (93) of the base (90).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의 송풍부(82), 가열부(83) 및 하우징(84)이 베이스(90)의 후면(93)에 근접하여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공기공급홀(254)이 터브(20)의 하부면(25)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되는 경우에, 터브(20)로부터 습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흡입홀(271)은 터브(20)의 우측면으로서 우측면과 후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되되 터브(20)의 상부면(24)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to 6, when the blower (82), the heating unit (83), and the housing (84) of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80)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rear surface (93) of the base (90) and the air supply hole (254) is formed at a corner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and the left surface as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the air intake hole (271) through which moist air is discharged from the tub (20) is formed at a corner where the righ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meet as the right surface of the tub (20), but can be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surface (24) of the tub (20).

이러한 공기흡입홀(271)의 위치는, 터브(20)의 하부면(25)에 형성된 공기공급홀(254)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로서 선택될 수 있다.The location of the air intake hole (271) can be selected as a location that is as far away as possible from the air supply hole (25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이와 같이, 공기흡입홀(271)을 공기공급홀(254) 및 토출가이드(89)로부터 최대한 먼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공기공급홀(254) 및 토출가이드(89)를 통과한 공기가 세척대상물을 거치지 않고 직접 공기흡입홀로 재유입될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In this way, by arranging the air intake hole (271) as far away as possible from the air supply hole (254) and the discharge guide (89), the possibility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ir supply hole (254) and the discharge guide (89) will be re-introduced directly into the air intake hol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object to be cleaned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공기흡입홀(271)은, 가이드레일(54)을 구성하는 상부레일(542)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예시적으로 탑레일(543)과 상부레일(5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intake hole (271) may be position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upper rail (542) forming the guide rail (54), for example, between the top rail (543) and the upper rail (542).

따라서 공기흡입홀(271)은, 상부레일(542)에 거치되며 상부레일(542)에 의해서 이동이 안내되는 상부 랙(52)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을 고르게 거친 후에 공기흡입홀(271)로 유입되도록 세척공간(21)에서의 기류(F)의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Therefore, the air intake hole (271) can b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upper rack (52)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rail (542) and guided in movement by the upper rail (542), so that the movement of the air current (F) in the washing space (21) can be guided so that it evenly passes through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2) and then flows into the air intake hole (271).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홀(271)은 후술하는 메인덕트(811)와 함께,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41)로 공급될 세척수가 저장되는 워터재킷(11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air intake hole (271)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water jacket (110) in which the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ump (41)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tored, together with the main duct (811) described later.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재킷(110)에는 내부공간를 터브(20)의 세척공간(21)과 연통시키는 터브홀(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터브(20)의 우측면(27)에는 터브홀(118)에 대응하여 워터재킷연통홀(272)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a tub hole (118) that connects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jacket (110) with the washing space (21) of the tub (20) may be formed, and a water jacket communication hole (272) corresponding to the tub hole (118) may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27) of the tub (20).

공기흡입홀(271)은 워터재킷(110)을 회피할 수 있는 위치로서 워터재킷연통홀(272)보다는 더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intake hole (271) can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can avoid the water jacket (110) and is located higher than the water jacket communication hole (272).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홀(118)에는 세척수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공기흡입홀(271)의 그릴캡(813)과 유사한 형태의 그릴캡(118a)이 결합될 수 있다.As shown, a grill cap (118a) having a similar shape to the grill cap (813) of the air intake hole (271) described above can be combined in the tub hole (118) to minimize the inflow of washing water and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한편, 공기흡입홀(271)에는 그릴캡(813)이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릴캡(813)을 통해 터브(2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흡입덕트(81)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Meanwhile, a grill cap (813) can be combined with the air intake hole (271), and the washing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flying inside the tub (20) through the grill cap (813) can be minimiz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intake duct (81).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릴캡(813)은 공기흡입홀(271)을 통과하여 흡입덕트(81)를 구성하는 메인덕트(811)의 입구(811a)에 결합될 수 있다.As described below, the grill cap (813) can be connected to the inlet (811a) of the main duct (811) constituting the suction duct (81) by passing through the air intake hole (271).

도 7 내지 도 13에는, 흡습건조장치(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s 7 to 13 illustrat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는, 터브(20)로부터 흡입되고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부(82)와, 흡습제(85)에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831)를 구비하는 가열부(83)와,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송풍부(82)와 가열부(83)의 하류에 배치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는 다수의 흡습제(85)와, 내부에 가열부(83)가 수용되는 히터수용공간(S1)과 흡습제(85)가 수용되는 흡습제수용공간(S3)이 형성되는 하우징(84)과, 터브(20)의 공기흡입홀과 송풍부(82)를 연결하는 흡입덕트(8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lower (82) that generates an airflow (F) of air to be sucked from the tub (20) and supplied into the interior of the tub (20), a heating unit (83) having a heater (831) that heats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desiccant (85), a plurality of desiccants (85) that are arranged downstream of the blower (82) and the heating unit (83) based on the direction of air flow and that absorb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a housing (84) in which a heater receiving space (S1) in which the heating unit (83) is received and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in which the desiccant (85) is received are formed, and a suction duct (81) that connects the air intake hole of the tub (20) and the blower (82).

송풍부(82)는, 가열부(83) 및 흡습제(85)에 대해서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고, 흡입덕트(81)의 하류 측에 배치되며, 터브(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흡습제(85)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의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blower (82) is positioned upstream of the heating unit (83) and the absorbent (85)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current (F), and is positioned downstream of the suction duct (81). It sucks air from the tub (20) and generates an air current (F) so that the sucked air can pass through the absorbent (85).

송풍팬(미도시)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미도시)는 함께 모듈화되어 팬하우징(821)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A blower fan (not shown) and a blower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blower fan can be assembled together in a modular manner and accommodated inside a fan housing (821).

팬하우징(821)은, 커넥팅브라켓(822)을 통해 후술하는 메인하우징(84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an housing (821) can be fixed to the main housing (841) described later through a connecting bracket (822).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브라켓(822)은, 팬하우징(821)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원형플레이트 형상의 팬연결부(8221)와, 메인하우징(841)의 도입구(IN1) 측에 결합되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의 하우징연결부(8222)와, 일단이 팬연결부(8221)에 고정되고 타단이 팬하우징(821)의 타측면까지 막대형상으로 연장되는 브릿지부(8223)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nnecting bracket (822) may include a fan connection part (8221) in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fan housing (821), a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that is coupled to the inlet (IN1) side of the main housing (841), and a bridge part (8223) that has one end fixed to the fan connection part (8221) and the other end extending in a rod shape to the othe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팬연결부(8221)는 팬하우징(821)의 일측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팬하우징(821)의 일측면에 면접촉되는 상태로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팬하우징(821)에 체결될 수 있다.The fan connection part (8221)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fan housing (821), and may be fastened to the fan housing (821) us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an housing (821).

하우징연결부(8222)는, 팬연결부(8221)의 배치방향과 대체로 수직이 되는 상태로 배열되고 팬연결부(8221)의 외각 에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연결부(8222)와 팬연결부(8221)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is arranged so as to be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an connection part (8221) and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fan connection part (8221). Accordingly, 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and the fan connection part (8221) can be arranged to have an L-shape overall.

하우징연결부(8222)는, 도입구(IN1)가 형성되는 메인하우징(841)의 선단부의 형상,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선단부의 형상을 고려하여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연결부(8222)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선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may be provided in a square plate shap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housing (841) where the introduction port (IN1) is formed, that is,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art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as described below. 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art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using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또한, 하우징연결부(8222)에는 팬하우징(821)의 토출구(8211)의 형상 및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quare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 (8211) of the fan housing (821) and the shape of the inlet por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art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팬하우징(821)의 토출구(8211)는 하우징연결부(8222)에 형성된 사각홀을 통과하여 메인하우징(841)의 도입구(IN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The outlet (8211) of the fan housing (821) can be extend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let (IN1) of the main housing (841) through a square hole formed in the housing connection part (8222).

브릿지부(8223)는 일단이 팬연결부(8221)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팬하우징(821)의 타측면까지 송풍팬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부(8223)의 타단에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릿지부(8223)에 의해서 커넥팅브라켓(822)은 팬하우징(821)의 타측면까지 체결되는 견고한 체결구조가 달성될 수 있다.The bridge portion (8223)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an connection portion (8221) and the other end extends along the rotation axis of the blower fan to the othe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may pass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ridge portion (8223). Accordingly, a sturdy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ng bracket (822) is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can be achieved by the bridge portion (8223).

한편, 흡입구가 형성되는 팬하우징(821)의 타측면에는 흡입덕트(81)를 구성하는 서브덕트(812)가 결합되고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a subduct (812) constituting a suction duct (81) can be joined and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where the suction port is forme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브라켓(822)의 하우징연결부(8222)와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선단부 사이에는 사각플레이트형상을 갖고 탄성체 재질로 형성되는 가스켓(823)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9, a gasket (823) having a square plate shape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laced between the housing connection portion (8222) of the connecting bracket (822) and the tip por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흡습건조장치(80)에 적용되는 송풍팬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blower fan applied to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but, for example, a sirocco fan is preferable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onstraints where the blower fan is installed.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팬하우징(821)의 타측면, 즉 후면으로부터 흡입덕트(81)의 서브덕트(812)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도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된 후 토출구(82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Based o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a sirocco fan is applied,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subduct (812) of the suction duct (81) from the other side, i.e. the rea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from the center of the sirocco fan, and the air can be accelerated toward the radial outside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8211).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기류(F)를 형성하며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히터하우징(832)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The accelerated and discharged air forms an airflow (F)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eater housing (832) described later by passing through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가열부(83)는,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술한 송풍부(82)와 흡습제(85) 사이에 배치되며, 흡습제 건조모드 또는 흡습제 재생모드 진행 시에 흡습제(85)를 건조 및 재생시키기 위해 공기의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The heating unit (83) is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unit (82) and the absorbent (85)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F), and serves to heat the air flow (F) to dry and regenerate the absorbent (85) when the absorbent drying mode or absorbent regeneration mode is in progress.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제 건조모드에서 고온의 기류(F)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히터(831)에 전력이 공급되어 기류(F)를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모드에서 저온의 기류(F)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히터(831)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31)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When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generates a high temperature air stream (F) in the desiccant drying mode,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831) to heat the air stream (F), and when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generates a low temperature air stream (F) in the desiccant drying mode, power supplied to the heater (831) may be cut off, causing the operation of the heater (831) to stop.

이 때, 흡습모드에서 저온의 기류(F)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송풍모터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a low-temperature airflow (F) is generated in the absorption mode, the operation of the blower motor can be maintain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에 구비되는 히터(831)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heater (831) provided in the moisture absorbing drying device (8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an example, a tube-shaped sheath heater that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excellent heat generation efficiency, and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leakage due to washing water flowing in from the tub (20) may be selected.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즈히터가 되는 히터(831)의 히터본체(8311)는 히터하우징(832)의 내부 공기통로에서 공기의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heat exchange efficiency, the heater body (8311) of the heater (831) that becomes the sheath heater is directly exposed to the air flow (F) in the internal air passage of the heater housing (832)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that is folded multiple times to secure the maximum heat transfer area.

도 13에는 예시적으로 U자 형태로 연장되는 히터본체(8311)를 다시 180도 절곡시켜 2열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실시예와 같이 히터본체(8311)가 2열로 연장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G. 1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heater body (8311) extending in a U shape is bent again by 180 degrees to form two row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heater body (8311) extends in two rows as in the example.

히터(831)의 히터본체(8311)는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일단부, 즉 선단부에 형성되는 도입구(IN1)와, 히터수용부(8411)의 타단부, 즉 후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OUT1) 사이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er body (8311) of the heater (831) can be arranged to extend between an inlet (IN1) formed at one end, i.e., the front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and an outlet (OUT1) formed at the other end, i.e., the rear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이 때, 히터본체(8311)는 그 길이방향이 히터수용공간(S1) 및 히터하우징(83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배열되는 상태로 히터수용부(8411)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er body (8311) can be placed in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align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and the heater housing (832).

이를 통해, 히터본체(8311)의 길이방향이 히터수용공간(S1)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경우에 비해서 히터본체(8311)의 열교환 성능 및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heater body (8311) can be improved compared to wh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body (8311) is arranged along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또한, 히터본체(8311)는 히터수용부(841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도입구(IN1)보다 히터수용부(8411)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배출구(OUT1)에 더 근접해서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er body (8311) can be placed in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closer to the outlet (OUT1)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than to the inlet (IN1)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즉, 히터본체(8311)의 선단부와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이, 히터본체(8311)의 후단부와 히터수용부(8411)의 배출구(OUT1)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gap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heater body (8311) and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can be formed larger than the gap form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eater body (8311) and the outlet (OUT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이를 통해, 히터본체(8311)는 송풍부(82)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히터본체(8311)의 복사열에 의해서 송풍부(82)의 송풍팬과 송풍모터가 손상될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heater body (8311) can be placed at a position as far away as possible from the blower (82), and the possibility of the blower fan and blower motor of the blower (82) being damaged by the radiant heat of the heater body (8311) can be minimized.

히터본체(831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히터하우징(832)의 전면 및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er body (8311) can extend through the front of the heater housing (832) and the front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또한, 히터본체(831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831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air of terminals (8312) for supplying power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er body (8311).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8312)는 단자고정부(8313)를 통해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에 설치 및 고정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a pair of terminals (8312) can be installed and fixed to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via a terminal fixing portion (8313).

이 때, 히터수용부(8411)의 전면부에는 단자고정부(831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슬롯(8411c1)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ing slot (8411c1)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so that a terminal fixing portion (8313) can be fitted in a sliding manner.

단자고정부(8313)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방향, 즉 상하방향(U-D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자고정부(8313)는 위에서 아래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고정슬롯(8411c1)의 에지가 슬릿형태의 홈에 삽입되면서 끼움결합될 수 있다.A slit-shaped groove extending in a sliding direction, i.e., an up-down direction (U-D direction), can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 fixing portion (8313), and the terminal fixing portion (8313) can be fitted by sliding from top to bottom and inserting the edge of the fixing slot (8411c1) into the slit-shaped groove.

이와 같이 히터본체(8311)의 선단 측은 단자고정부(8313)를 통해서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tip side of the heater body (8311) can be fixed and supported through the terminal fixing part (8313).

히터본체(8311)의 후단 측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히터브라켓(8314)을 통해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히터본체(8311)의 후단 측은 히터브라켓(8314)을 통해 히터하우징(832) 및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기통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The rear end side of the heater body (8311) can be fixed and supported through a single heater bracket (8314) as illustrated in Fig. 13. That is, the rear end side of the heater body (8311) can be supported on the air passag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heater housing (832) and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through the heater bracket (8314).

히터브라켓(8314)은, 고온이 생성되는 히터본체(8311)를 기능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The heater bracket (8314)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heater body (8311) that generates high temperature, and preferably, may be manufactured by pressing a metal plate that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example, a plate made of a stainless steel series material.

한편, 히터하우징(832)은 내부에 히터본체(8311)가 배치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하우징(832)의 내부의 공기통로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도입공간(S2)과 함께 제1 유동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heater housing (832)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so that an air passage is formed inside in which the heater body (8311) is placed. The air passage inside the heater housing (832) may form a first flow channel together with an air introduction space (S2)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본체(8311)는 길이방향이 기류(F)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히터하우징(83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본체(8311)와 마찬가지로 히터하우징(832)은 기류(F)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히터수용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body (8311) can be placed inside the heater housing (832)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F). Accordingly, like the heater body (8311), the heater housing (832) can be placed in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low of air (F).

이 때, 히터수용공간(S1)의 형상에 대응하여, 히터하우징(832)은 히터수용부(8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도입공간(S2)을 향해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shape of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the heater housing (832) can be linearly extended toward the air introduction space (S2)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다만, 히터본체(8311)를 전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히터하우징(832)의 길이는 히터본체(8311)의 길이보다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length of the heater housing (832)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heater body (8311) so as to accommodate the entire heater body (8311).

이 때, 기류(F)가 유동할 수 있도록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히터하우징(832)의 선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후단부는 각각 전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heater housing (832)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side and the rear end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 can be entirely opened so that the airflow (F) can flow.

이와 같이, 선단부와 후단부가 개방된 공기통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예시적으로 히터하우징(832)은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되는 로어하우징(8321)과 어퍼하우징(8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easily form an air passage with an open front end and a rear end, the heater housing (83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housing (8321) and an upper housing (8322) that are formed in a divided form based on the up-down direction (U-D direction).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32)이 상하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로어하우징(8321)과 어퍼하우징(8322)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heater housing (832) is formed by dividing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into a lower housing (8321) and an upper housing (8322), as shown in FIG. 13.

히터하우징(832)의 분할된 하부를 구성하는 로어하우징(8321)은,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히터하우징(832)의 전방면, 후방면 및 하부면을 형성한다.The lower housing (8321) constituting the divided lower part of the heater housing (832) forms the front surface, rear surface, and lower surface of the heater housing (832)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로어하우징(8321)의 전방면(8321c)에는 전술한 히터본체(8311)의 단자(8312)가 전방을 향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슬롯(8321a)이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 passage slot (8321a) may be formed in a U shape on the front surface (8321c) of the lower housing (8321) so that the terminal (8312) of the aforementioned heater body (8311) can pass forward.

내부 공기통로의 하단면을 형성하는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은,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저면부와 대략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터수용부(8411)의 저면부는 히터수용부(84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은 마찬가지로 히터수용부(8411)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forming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nal air passage can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As described below,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extend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can likewise exten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이 때,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의 선단 에지는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의 하단을 향해 연장되고,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의 후단 에지는 히터수용부(8411)의 배출구(OUT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ading edge of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may exten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may extend toward the outlet (OUT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여기서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의 후단 에지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의 선단부를 넘어선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rear edge of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can extend beyo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따라서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은 히터수용부(8411)의 저면부의 후단부와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의 선단부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형상에 대응하여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may have a bent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rner shape formed when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nd the front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meet.

보다 상세히는,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은 선단 에지부터 하단 에지까지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제1 교차각을 형성하면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면(8321e1)과, 제1 면(8321e1)으로부터 절곡되어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면(8321e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surface (8321e1) that extends 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 the lower edge while forming a first intersecting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a second surface (8321e2) that is bent from the first surface (8321e1) and extends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따라서 히터하우징(8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유동채널의 하단면은 로어하우징(8321)의 하부면(8321e)의 제2 면(8321e2)이 제1 면(8321e1)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위치에서 연장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low channel formed inside the heater housing (832) can have its extension direction changed at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urface (8321e2) of the lower surface (8321e) of the lower housing (8321)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8321e1).

한편, 로어하우징(8321)은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의 단면적보다 더 큰 유로면적을 갖는 공기통로를 제공한다. Meanwhile, the lower housing (8321) provides an air passage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이를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로어하우징(8321)의 선단부 측은 기류(F)의 유동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전후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확장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front end side of the lower housing (8321) may include an expansion section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expands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while proceeding along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

이와 같이 공기통로가 확장됨으로써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를 통과하면서 기류(F)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고, 히터본체(8311)와 기류(F)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s the air passage is expanded in this way, the flow rate of the air stream (F) can be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heater body (8311) and the air stream (F) can be improved.

한편, 어퍼하우징(8322)은, 로어하우징(8321)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며, 로어하우징(8321)의 상면을 폐쇄하여, 내부 공기통로의 상단면을 규정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upper housing (8322)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8321) and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8321), thereby defi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nal air passage.

이를 위해,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은 로어하우징(8321)의 개방된 상부면에 대응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은 후술하는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상면부(8411a)와 대략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may be formed to have a corresponding size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8321).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may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8411a)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described later.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의 선단 에지는 히터수용부(8411)의 도입구(IN1)의 상단을 향해 연장되고,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의 후단 에지는 히터수용부(8411)의 배출구(OUT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The leading edge of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may extend toward the upper end of the inlet (IN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nd the trailing edge of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may extend toward the outlet (OUT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여기서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의 후단 에지는 히터수용부(8411)의 배출구(OUT1)의 상단의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Here, the rear edge of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can be extend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OUT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또한, 로어하우징(8321)과 마찬가지로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은 선단 에지부터 하단 에지까지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제1 교차각을 형성하면서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lower housing (8321),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may be extended 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 the lower edge while forming a first intersecting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따라서 히터하우징(83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유동채널의 상단면은, 히터수용부(8411)의 배출구(OUT1)까지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low channel formed inside the heater housing (832) can be linearly extended to the outlet (OUT1)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또한,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의 전방 에지와 후방 에지에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면(8322c)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joining surface (8322c) may be formed by being folded downward on the front edge and the rea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8322).

어퍼하우징(8322)과 로어하우징(8321)의 결합 시에, 이들 결합면(8322c)은 각각 로어하우징(8321)의 전방면(8321c) 및 후방면(8321d)에 면접촉될 수 있다.When the upper housing (8322) and the lower housing (8321) are combined, the combining surfaces (8322c)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8321c) and the rear surface (8321d) of the lower housing (8321), respectively.

이를 통해, 로어하우징(8321)과 어퍼하우징(8322)의 사이의 결합 및 연결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onding and connection strength between the lower housing (8321) and the upper housing (8322) can be improved.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의 상측에는 온도감지부(87)를 구성하며, 히터본체(8311)의 과열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써모스탯(871)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3, a temperature sensing unit (87)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and a thermostat (871) may be placed to detect overheating of the heater body (8311).

예시적으로 써모스탯(87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써모스탯(871)은 히터본체(8311)의 국지적인 과열여부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히터본체(83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ermostat (871)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the pair of thermostats (871) may be arranged along the length of the heater body (8311) so as to effectively detect local overheating of the heater body (8311).

한편, 온도감지부(87)는, 기류(F)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87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써미스터(872)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전면부 및 서브하우징(842)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공기도입공간(S2)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87) may further include a thermistor (872)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 (F). As illustrated in FIGS. 10 and 11, the thermistor (872) may extend through the front of the desiccant receiving unit (8412) and the front of the sub-housing (842) to the inside of the air introduction space (S2).

온도감지부(87)의 출력신호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감지부(87)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히터본체(8311)의 과열여부 및 기류(F)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 시에 제어부는 히터본체(8311)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히터본체(8311)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The outpu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87)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the output signal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87)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er body (8311) is overheat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 (F). When overheating occurs, the control unit can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heater body (8311)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body (8311).

한편, 어퍼하우징(8322)의 상부면(8322a)에는 상측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제2 비드포밍부(8322b)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second bead forming portions (8322b) that are formed convexly toward the upper sid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8322a) of the upper housing (8322).

이와 같은 제2 비드포밍부(8321b)를 통해서, 어퍼하우징(8322)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커버(881)와 어퍼하우징(8322) 사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분리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second bead forming portion (8321b), a separation space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ver (881)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housing (8322) and the upper housing (8322)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이와 같은 분리공간은, 전술한 로어하우징(8321)에 대한 분리공간과 유사하게 어퍼하우징(8322)에 대한 단열공기층으로 작용할 수 있다.A separation space like this can act as an insulating air layer for the upper housing (8322), similar to the separation space for the lower housing (8321) described above.

한편, 내부에 고온이 발생하는 히터본체(8311)가 배치되는 점을 고려하여, 로어하우징(8321)과 어퍼하우징(8322)은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대략 두께가 균일한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considering that the heater body (8311) generating high temperature inside is arranged, the lower housing (8321) and the upper housing (8322) can be formed by pressing a metal plate that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 and moisture, for example, a plate made of a stainless steel series material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thickness.

흡습제(85)는,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모드로 작동되면 터브(20)로부터 배출 및 흡입되는 공기의 기류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고,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제 건조모드로 작동되면 흡수한 습기를 기류(F)에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The desiccant (85) absorbs moisture contained in the air stream discharged and sucked from the tub (20) when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is operated in the desiccant drying mode, and discharges the absorbed moisture into the air stream (F) when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is operated in the desiccant drying mode.

즉, 흡습제(85)는 작동온도 범위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흡수한 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가역적 흡습 물질(reversibly dehydratabl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esiccant (85) can be formed as a reversibly dehydratable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or releasing the absorbed moisture depending on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적용 가능한 가역적 흡습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카겔(silica gel),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을 갖는 조성물이 될 수 있다.The applicable reversible hygroscopic material may be a composition comprising one of aluminum oxide, silicon oxide, silica gel, alumina silica or zeolit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lected from these.

본 발명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에는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산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재질을 갖는 흡습제(85)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흡습제(85)가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bent (85) having an alumina silica series material including aluminum oxide and silicon oxide may be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in which an alumina silica series absorbent (85) is applied.

이와 같이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흡습제(85)는, 공기의 기류(F)에 대한 접촉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입경을 갖는 입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수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재질로 제작되는 흡습제에 비해서 보다 낮은 온도범위에서 흡습 작용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온도범위에서 재생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absorbent (85) formed of an alumina silica series material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air flow (F) can be secured to the maximum extent. In addition, the absorbent can have a moisture absorption effect at a lower temperature range than the absorbent manufactured from pure aluminum oxide or silicon oxide, and the regeneration effect can have a lower temperature range.

다만, 공기의 기류(F)는 입자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흡습제(85) 사이를 통과하면서 흡습제(85)와 접촉하여 습기가 흡수되거나, 흡습제(85)로부터 배출되는 습기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air flow (F)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a plurality of absorbents (85) provided in the form of particl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absorbents (85), and absorb moisture, or absorb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absorbents (85).

따라서 흡습제(85)는 공기의 기류(F)에 대한 유동저항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극이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최적의 흡습 효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흡습제(85)의 입경이 선택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bsorbent (85) cannot help but act as a flow resistance to the air flow (F). To minimize such flow resistance, a gap can be effectively formed, and the particle size of the absorbent (85) can be selected to secure optimal moisture absorption efficiency.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 2mm 내지 6mm 범위의 입경을 갖는 흡습제(85)가 선택 및 적용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n absorbent (85) having a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2 mm to 6 mm can be selected and applied, for example.

한편, 흡습제(85)는,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송풍부(82) 및 가열부(83)의 하류에 배치된다.Meanwhile, the desiccant (85) is placed downstream of the blower (82) and the heating unit (83)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F).

상세히는, 흡습제(85)는 송풍부(82) 및 가열부(83)의 하류에 형성되는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공간(S3)에 수용될 수 있다.In detail, the desiccant (85) can be accommodated in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of the main housing (841) formed downstream of the blower (82) and the heating unit (83).

흡습제수용공간(S3)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흡습제홀더(86)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can be formed by a pair of desiccant holders (86) that are provided inside the desiccant receiving sec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and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한 쌍의 흡습제홀더(86)는 흡습제수용공간(S3)의 하단면을 규정하고 흡습제수용부의 내부를 흡습제수용공간(S3)과 공기도입공간(S2)으로 분할하는 제1 흡습제홀더(861)와, 흡습제수용공간(S3)의 상단면을 규정하는 제2 흡습제홀더(8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2, a pair of desiccant holders (86)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desiccant holder (861) defining a lower surface of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and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into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and an air introduction space (S2), and a second desiccant holder (862) defining an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제1 흡습제홀더(861)와 제2 흡습제홀더(862)는 각각 흡습제수용공간(S3)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규정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and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can be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defin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respectively.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흡습제홀더(861)는 전체적인 강도 유지를 위한 외각 에지부(8611)와, 외각 에지부(8611)의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부(8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edge portion (8611) for maintaining overall strength, and a mesh portion (8612) form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edge portion (8611) and through which air can pass.

마찬가지로 제2 흡습제홀더(862)는 전체적인 강도 유지를 위한 외각 에지부(8621)와, 외각 에지부(8621)의 내부에 형성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부(86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edge portion (8621) for maintaining overall strength and a mesh portion (8622) form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edge portion (8621) and through which air can pass.

이를 통해, 제1 흡습제홀더(861)의 메쉬부(8612)와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 사이에는 공기의 기류(F)가 통과할 수 있는 제2 유동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a second flow channel through which air flow (F) can pass can be formed between the mesh portion (8612) of 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and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이 때, 흡습제(8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흡습제홀더(861)의 메쉬부(8612) 및 제2 흡습제(85)의 메쉬부(8622)의 격자 사이즈는 흡습제(85)의 입경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desiccant (85), the grid size of the mesh portion (8612) of 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and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85)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particle size of the desiccant (85).

한편,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 흡습제홀더(861)의 메쉬부(8612)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에 대해서 소정의 교차각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may be arrang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the mesh portion (8612) of 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may be arranged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sect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보다 상세히는 제1 흡습제홀더(861)의 메쉬부(8612)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제2 교차각을 형성하는 제1 홀딩면(8612a)과,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와 제3 교차각을 형성하는 제2 홀딩면(8612b)을 구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esh portion (8612) of the first desiccant holder (861) may have a first holding surface (8612a) forming a second intersecting angle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a second holding surface (8612b) forming a third intersecting angle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한편, 흡습건조장치(80)의 하우징(84)은 전술한 가열부(83) 및 흡습제(85)를 수용하며, 히터본체(8311)를 통과하는 기류(F)의 제1 유동채널 및 흡습제(85)를 통과하는 기류(F)의 제2 유동채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housing (84)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accommodates the aforementioned heating unit (83) and desiccant (85), and serves to form a first flow channel for airflow (F) passing through the heater body (8311) and a second flow channel for airflow (F)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85).

예시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4)은 가열부(83)가 수용되는 히터수용공간(S1)과 흡습제(85)가 수용되는 흡습제수용공간(S3)을 구비하는 메인하우징(841)과, 메인하우징(841)의 외둘레면에 결합되는 서브하우징(8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10 to 12, the housing (8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housing (841) having a heater receiving space (S1) in which a heating element (83) is received and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in which a desiccant (85) is received, and a sub-housing (842)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housing (841).

먼저 메인하우징(841)은, 내부에 히터수용공간(S1)이 형성되는 히터수용부(8411)와, 내부에 흡습제수용공간(S3)이 형성되는 흡습제수용부(8412)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the main housing (841) may include a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in which a heater receiving space (S1) is formed inside, and a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in which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is formed inside.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히터수용부(8411)는 상면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을 갖는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is positioned on the base (90) and has an entirely open upper surface, and may have a hollow box shape having an overall hexahedral shape.

히터수용부(8411)의 개방된 상면부를 통해 히터하우징(832) 및 히터본체(8311)가 삽입될 수 있다.The heater housing (832) and the heater body (8311) can be inserted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히터수용부(8411)의 개방된 상면부는, 이와 같이 가열부(83)의 배치 및 조립이 완료된 후 후술하는 제1 커버(881)가 결합되어 폐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커버(881)의 체결보스(8812)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히터수용부(8411)의 전면부(8411c) 및 후면부(8411d)에는 체결보스(8411g)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can be closed by joining the first cover (881) described later after the arrangement and assembly of the heating portion (83) are completed. To this end, a fastening boss (8411g) can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8411c) and the rear portion (8411d)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8812) of the first cover (881).

중공의 히터수용부(8411)의 내부에는 히터하우징(832)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히터수용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A heater receiving space (S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eater housing (832) can be formed inside the hollow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한편, 베이스(90)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는 상면부가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을 갖는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it is placed on the base (90), the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is entirely open and may have a hollow box shape having an overall hexahedral shape.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는,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출구(OUT2)로서 기능할 수 있다.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function as an outlet (OUT2)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85) is exhausted.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는, 내부에 흡습제홀더(86) 및 흡습제(85)의 배치가 완료된 후 후술하는 제2 커버(882)가 결합되어 폐쇄될 수 있다.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closed by joining the second cover (882) described later after the desiccant holder (86) and desiccant (85) are placed inside.

이를 위해, 제2 커버(882)의 체결보스(8823)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흡습제수용부(8412)의 외둘레면부 중에서 전면부, 후면부, 우측면부 및 좌측면부에는 체결보스(8412g)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fastening boss (8412g)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ont, rear, right, and left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 (8823) of the second cover (882).

한편, 서브하우징(842)은, 메인하우징(841)의 외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메인하우징(841)에 결합되며, 메인하우징(841)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단열시키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sub-housing (842) is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841) in a form that at least partially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housing (841) and serves to insulate the inner space of the main housing (841) from the outside.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하우징(842)은 메인하우징(841)의 외둘레면부와 저면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sub-housing (842) can be arranged to externally surround the outer perimeter and bottom surface of the main housing (841).

이 때, 서브하우징(842)의 내측면과 메인하우징(841)의 외둘레면부 및 저면부 사이는 적어도 국지적으로 유격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gap can be formed at least locally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ub-housing (842)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bottom surface of the main housing (841).

이와 같은 유격에 의해서, 전술한 히터하우징(832)과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 사이의 단열공기층과 유사하게 서브하우징(842)과 메인하우징(841) 사이에는 단열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By this kind of clearance, an insulating air layer can be formed between the sub-housing (842) and the main housing (841), similar to the insulating air layer between the heater housing (832) and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described above.

따라서 메인하우징(841)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열전달량이 최소화될 수 있고, 메인하우징(841)의 내부 온도는 흡습모드 또는 흡습제 재생모드로 작동하기 적합한 온도환경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고 세척대상물의 건조시간 및 흡습제의 재생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mount of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housing (841) can be minimized,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housing (841) can be maintained at a temperature environment suitable for operation in the moisture absorption mode or the moisture absorbent regeneration mode.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drying time of the object to be washed and the moisture absorbent regen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서브하우징(842)은, 제조 및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을 따라 분할된 분할체로서 구비될 수 있다. The sub-housing (842) may be provided as a divided body divid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12, taking into account ease of manufacturing and assembly.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의 개방된 상면부 및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는 커버(88)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and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closed by a cover (88).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하우징(841)의 형상을 고려하여 커버(88)는 히터수용부(8411)에 결합되는 제1 커버(881)와, 흡습제수용부(8412)에 결합되는 제2 커버(8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main housing (841), the cover (88)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cover (881) coupled to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and a second cover (882) coupled to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히터수용부(8411)에 결합되는 제1 커버(881)는, 히터하우징(832)의 어퍼하우징(8322)의 형상에 대응하여 판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881) coupled to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upper housing (8322) of the heater housing (832).

제1 커버(881)에는 전술한 써모스탯(871)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관통홀(8811)이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through holes (8811)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ver (881) to allow the aforementioned thermostat (871) to pass through.

또한, 제1 커버(881)의 외곽 에지에는 메인하우징(841) 및 서브하우징(842)에 대한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보스(8812)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은 체결보스(8812)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11g) 또는 서브하우징(842)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8812) for fastening to the main housing (841) and the sub-housing (842)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first cover (881).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 bolts may extend through the fastening bosses (8812) and may be screw-connected to the fastening boss (8411g) provided in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or the fastening boss (8421) provided in the sub-housing (842).

전술한 히터하우징(832)의 로어하우징(8321)과 메인하우징(841)의 히터수용부(8411) 사이의 단열공기층과 유사하게, 제1 커버(881)와 어퍼하우징(8322) 사이에는 단열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insulating air layer between the lower housing (8321) of the aforementioned heater housing (832) and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of the main housing (841), an insulating air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cover (881) and the upper housing (8322).

한편, 제1 커버(881)와는 달리 흡습제수용부(8412)에 결합되는 제2 커버(882)는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과 유사한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unlike the first cover (881), the second cover (882) coupled to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form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similar to an inverted funnel shape.

즉, 제2 커버(882)는 전술한 흡습제(85) 및 제2 흡습제홀더(862)를 통과한 공기가 수렴될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cover (882) can be configured to have an upwardly convex, inverted funnel shape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aforementioned desiccant (85) and second desiccant holder (862) can converge.

따라서 제2 커버(882)에는 위로 볼록한 수렴면(8821)이 구비됨에 따라 흡습제수용공간(S3)의 상단면을 규정하는 제2 흡습제홀더(862)와 제2 커버(882)의 수렴면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이격공간(S4)이 형성될 수 있고, 이격공간(S4)은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의 배출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배출유로는, 한 쌍의 흡습제홀더(86)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동채널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3 유동채널로 칭하기로 한다.Accordingly, since the second cover (882) is provided with an upwardly convex convergence surface (8821),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S4) can be formed overall between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defin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and the convergence surface of the second cover (882), and the separation space (S4) forms an exhaust path for air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85). Since the exhaust path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second flow channel formed between a pair of desiccant holders (86), it will be referred to as a third flow channel.

제2 커버(882)의 내부 수렴면(8821)의 최상단에는 배출유로가 되는 제3 유동채널을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An exhaust port may be forme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flow channel, which serves as an exhaust path, is exhausted at the top of the inner convergence surface (8821) of the second cover (882).

배출구에는 기류(F)를 터브(20)의 하부면(25)을 향해 안내하는 연결덕트부(883)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a connecting duct section (883) that guides the airflow (F) toward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또한, 제1 커버(881)와 마찬가지로 제2 커버(882)의 외곽 에지에는 메인하우징(841) 및 서브하우징(842)에 대한 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보스(8823)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은 체결보스(8823)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12g) 또는 서브하우징(842)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first cover (881),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8823) for fastening to the main housing (841) and the sub-housing (842)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second cover (882), as shown in FIG. 1 .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 bolts may extend through the fastening bosses (8823) and may be screw-connected to the fastening boss (8412g) provided in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or the fastening boss (8421) provided in the sub-housing (842).

제2 커버(882)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1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ver (882) i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4 and below.

한편, 흡습건조장치(80)는, 제2 커버(882)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구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덕트부(8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8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duct section (883) that is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formed through the second cover (882) and has an air passage formed therein.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83), 송풍부(82), 흡습제(85)는 터브(20)의 하부면(25)의 아래에 배치된다. 연결덕트부(883)는 제2 커버(882)의 아래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4)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F)가 터브(20)의 하부면(25)에 형성된 공기공급홀(254)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unit (83), the blower unit (82), and the desiccant (85) are arranged below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The connecting duct unit (883) serves to guide the air flow (F)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space (S4) formed below the second cover (882) to move toward the air supply hole (25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덕트부(883)의 덕트본체(8831)는, 기류(F)를 안내할 수 있도록 터브(20)의 공기공급홀(254)과 히터하우징(832)의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uct body (8831) of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can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that can connect the air supply hole (254) of the tub (20) and the exhaust port of the heater housing (832) so as to guide the air flow (F).

예시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83)의 덕트본체(8831)는 하단부가 제2 커버(882)의 배출구에 유체연통되고 상단부가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공기공급홀(254)을 통과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duct body (8831) of the connecting duct portion (883) may be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port of the second cover (882) and the upper portion extends upward (U-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air supply hole (254).

한편,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덕트본체(8831)의 외주면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면(8832)과, 수나사부(8833)가 각각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s a mea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astening and preventing leakage, a ring-shaped flange surface (8832) and a male screw portion (8833)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body (8831).

덕트본체(8831)의 상단부는 터브(20)의 하부면(25)을 관통하여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덕트본체(8831)의 상단부와 수나사부(883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브(20)의 하부면(25)을 통과하여 터브(2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8831) can extend upward (U-direction) through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and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8831) and the screw part (8833) can at least partially pass through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and protrude toward the interior of the tub (20).

터브(2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치되는 수나사부(8833)에는 체결너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A fastening nut (not shown) can be attached to the screw portion (8833) that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tub (20).

덕트본체(8831)의 고정 및 체결 시에, 터브(20)의 내부에서 수나사부(8833)에 체결너트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덕트본체(8831)의 상단부(8511)가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When fixing and connecting the duct body (8831), the upper part (8511) of the duct body (8831) can be fixed in a state where it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tub (20) by screwing the fixing nut into the screw part (8833) inside the tub (20).

한편, 덕트본체(8831)의 상단부에는 연결덕트부(883)를 통해 공급되는 기류(F)의 토출방향을 전환하는 토출가이드(89)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discharge guide (89) that changes the discharge direction of airflow (F)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duct part (883) can be combined at the upper part of the duct body (8831).

토출가이드(89)를 통해, 기류(F) 중 일부는 터브(20)의 하부면(25)을 향하도록 전환되고, 기류(F) 중 일부는 터브(20)의 상부면(24)을 향하도록 전환될 수 있다.Through the discharge guide (89), some of the airflow (F) can be diverted toward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and some of the airflow (F) can be diverted toward the upper surface (24) of the tub (20).

한편, 흡습건조장치(80)는, 선단부가 터브(20)의 공기흡입홀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송풍부(82)에 연결되며, 공기공급홀(254)을 통해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F)를 송풍부(82) 및 가열부(83)를 거쳐 흡습제(8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흡입덕트(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oisture-absorbing drying device (8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duct (81) whose front end is connected to the air intake hole of the tub (20) and whos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lower (82), and which serves to guide the air flow (F) discharged from the tub (20) through the air supply hole (254) to the blower (82) and the heating unit (83) and to the desiccant (85).

보다 상세히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81)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터브(20)의 우측면의 외측에 배치되는 메인덕트(811)와, 메인덕트(811)의 후단부와 송풍부(82) 사이로서 터브(20)의 하부면(25)의 아래에 배치되는 서브덕트(8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S. 7 to 9, the suction duct (8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in duct (811)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tub (20), and a sub duct (812) that is positioned below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between the rear end of the main duct (811) and the blower (82).

메인덕트(811)는, 터브(20)의 우측면의 외부로서 우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고, 터브(20)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공기흡입홀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기류(F)를 터브(20)의 하부면(25)의 아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duct (811)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right side of the tub (2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ight side, and serves to guide the air flow (F) of air sucked in through the air intake hole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tub (20) to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811)는 상단으로부터 하단 사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최대한 길게 선형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메인덕트(811)의 내부에서 습기에 대한 응축이 최대로 발생할 수 있다.To this end, as illustrated, the main duct (811) may be arranged to extend linearly as long as poss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rough this, condensation of moisture can occur to the maximum extent inside the main duct (811).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811)의 내부는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되며 하측방향으로 기류(F)가 이동하는 공기통로(C)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8, the interior of the main duct (811) extends generally vertically, and an air passage (C) through which airflow (F) moves downward can be formed.

메인덕트(811)의 공기통로(C)를 통과한 공기는 후술하는 서브덕트(812)를 거쳐 송풍부(82)로 도입될 수 있다. 송풍부(82)를 통과한 기류(F)는 하향 경사를 갖는 히터수용부(8411)의 히터수용공간(S1)으로 도입될 수 있다.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age (C) of the main duct (811) can be introduced into the blower (82) via the sub-duct (812) described later. The airflow (F) passing through the blower (82) can be introduced into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of the heater receiving unit (8411) having a downward slope.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수용부(8411)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저면부(8412a)에 대해서 제1 교차각이 되는 하향 경사를 갖고 연장된다. 따라서 히터수용공간(S1)에서의 기류(F)의 유동방향은 메인덕트(811)에 대해서 90보다 더 큰 둔각을 형성하면서 전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er receiving portion (8411) is extended with a downward slope that forms a first intersect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8412a)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ccordingly,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 in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can be switched while forming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with respect to the main duct (811).

또한, 히터수용공간(S1)을 통과한 기류(F)는 흡습제수용부(8412)의 공기도입공간(S2)으로 유입되면서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히터수용공간(S1)의 유동방향에 대해서 90보다 더 큰 둔각을 형성하면서 전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flow (F) passing through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can change its flow direction while flowing into the air introduction space (S2)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in this case, it can change while forming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with respect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히터수용공간(S1)에서 유동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흡습제수용공간(S3)으로 도입되고, 흡습제(85)를 거쳐 연결덕트부(883)로 유입되면서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흡습제(85)를 거치는 과정 및 연결덕트부(883)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유동방향의 전환은 90보다 더 큰 둔각을 형성하게 된다. The air whose flow direction has been changed in the heater receiving space (S1) is introduced into the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and its flow direction can be changed while flowing through the desiccant (85) and into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In this case, the change in flow direction forms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during the process of flowing through the desiccant (85) and flowing into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따라서 메인덕트(811), 메인하우징(841), 연결덕트부(883)를 따라 진행하면서 기류(F)의 대체적인 유동방향의 전환이 90보다 더 큰 둔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예각을 형성하는 유동방향 전환이 최소로 유지될 수 있고 유동방향 전환에 따른 유동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F)를 형성하기 위한 소비전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Accordingly, by configuring the general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F) to be changed to an obtuse angle greater than 90 as it proceeds along the main duct (811), main housing (841), and connecting duct section (883), the flow direction change forming an acute angle can be kept to a minimum, and the flow resistance due to the flow direction change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power consumption for forming the airflow (F)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메인덕트(811)의 내부에는 공기의 기류(F)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terior of the main duct (811) can be manufactured in a hollow shape so that an air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 (F) can flow can be formed.

중공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하고 제작의 편의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메인덕트(811)는 수직면을 따라 분할된 분할체로 구비되는 제1 덕트바디(8111)와 제2 덕트바디(8112)로 형성될 수 있다.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a hollow shape and for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s illustrated in FIG. 9, the main duct (811) may be formed by a first duct body (8111) and a second duct body (8112) provided as divided bodies divided along a vertical plane.

제1 덕트바디(8111)는, 내부에 뒤집어진 U자형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좌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duct body (8111) can be formed in a hollow box shape with the left side open so that an inverted U-shaped air passage can be formed inside.

제1 덕트바디(8111)의 내부는 중공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1 덕트바디(8111)의 내부에는 우측면으로부터 좌측면을 향해 공기통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보강리브(8113)가 우측면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body (8111) is maintained in a hollow state. Accordingly, a reinforcing rib (8113) extend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ir passage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interior of the first duct body (8111).

제1 덕트바디(8111)의 하단부에는 하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며, 공기의 기류가 통과하는 출구(811b)를 구비하는 출구형성부(8115)가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first duct body (8111)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forming part (8115) that is open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and has an outlet (811b) through which air flow passes.

제2 덕트바디(8112)는, 제1 덕트바디(8111)의 개방된 좌측면에 결합되어 제1 덕트바디(8111)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duct body (8112) is coupled to the open left side of the first duct body (8111) and serves to close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first duct body (8111).

이를 위해, 제2 덕트바디(8112)는 제1 덕트바디(8111)의 개방된 좌측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second duct body (8112)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 left side of the first duct body (8111).

제2 덕트바디(8112)에는 터브(20)의 공기흡입구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입구(811a)가 형성되는 입구형성부(81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입구형성부(8114)는 터브(20)의 공기흡입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의 형상에 대응하여 링 형상의 리브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811a)가 형성되는 입구형성부(8114)에는 세척수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캡(813)이 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duct body (8112)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forming part (8114) in which an inlet (811a) having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air intake of the tub (20) is formed. For example, the inlet forming part (8114) may be a ring-shaped rib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ir intak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ir intake of the tub (20). As described above, a grill cap (813) may be fastened to the inlet forming part (8114) in which the inlet (811a) is formed to minimize the inflow of washing water and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제2 덕트바디(8112)의 하단부는 하측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공기의 기류가 통과하는 출구(811b)를 구비하는 출구형성부(8115)의 나머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second duct body (8112) can be opened downward and form the remaining part of an outlet forming part (8115) having an outlet (811b) through which an air flow passes.

한편, 제1 덕트바디(8111)의 하단부와 제2 덕트바디(8112)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출구형성부(8115)는, 후술하는 서브덕트(812)의 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서브덕트(81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덕트(811)의 출구형성부(8115)와 서브덕트(812)의 입구(812a) 사이에는 누설방지를 위한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814)이 배치될 수 있다. 서브덕트(812)는, 메인덕트(811)의 하단부와 송풍부(82)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덕트(811)의 출구(811b)를 통과한 기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송풍부(8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outlet forming part (811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duct body (8111)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duct body (8112) can be connected to the subduct (812) in a form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let of the subduct (812) described later. An elastic sealing ring (814) for preventing leakage can be arranged between the outlet forming part (8115) of the main duct (811) and the inlet (812a) of the subduct (812). The subduct (812) is arrang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main duct (811) and the blower (82), and serves to change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outlet (811b) of the main duct (811) and guide it to the blower (82).

메인덕트(811)와 마찬가지로, 서브덕트(812)의 내부에는 메인덕트(811)를 통과한 공기의 기류(F)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As with the main duct (811), an air passage can be formed inside the subduct (812) through which the air flow (F) passing through the main duct (811) can flow.

다만, 메인덕트(811)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여 송풍부(82)의 팬하우징(821)의 유입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서브덕트(812)의 내부에는 대략 L자형상으로 연장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air flow through the main duct (811) and guide it to the inlet of the fan housing (821) of the blower (82), an air passage extending roughly in an L shape may be formed inside the sub duct (812).

마찬가지로 서브덕트(812)의 외형은 내부의 공기통로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L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Likewise, the outer shape of the subduct (812) can be formed to have an approximate 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ternal air passage.

L자형상의 일단부 즉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공기의 기류가 도입되는 입구(812a)가 형성되고, L자형상의 일단부에는 출구(812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브덕트(812)의 출구(812b)는 입구(812a)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n inlet (812a) for introducing air flow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end of the L-shape, that is, based on the illustrated state, and an outlet (812b)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shape. That is, the outlet (812b) of the subduct (812) may be formed at a lower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inlet (812a).

서브덕트(812)의 입구(812a)는, 메인덕트(811)의 출구(811b)의 형상에 대응하여 4각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서브덕트(812)의 출구(812b)는 팬하우징(82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원형 흡입구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inlet (812a) of the subduct (812) may have a square cross-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let (811b) of the main duct (811), and the outlet (812b) of the subduct (812) may have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ircular suction port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an housing (821).

한편, 서브덕트(812)의 출구(812b) 주위에는 팬하우징(821)에 대한 체결수단으로서 브릿지부(8123)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 bridge portion (8123) may be provided around the outlet (812b) of the subduct (812) as a fastening means to the fan housing (821).

전술한 커넥팅브라켓(822)의 브릿지부(8223)와 유사하게, 서브덕트(812)의 브릿지부(8123)는 일단이 서브덕트(812)의 출구(812b)의 상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팬하우징(821)의 일측면까지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Similar to the bridge portion (8223) of the connecting bracket (822) described above, the bridge portion (8123) of the subduct (812) may have one e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outlet (812b) of the subduct (812) and the other end provided in a rod shape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fan housing (821).

서브덕트(812)의 브릿지부(8123)의 타단에는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수단은 체결홀을 통과하여 팬하우징(821)의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bridge portion (8123) of the subduct (81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bolt may pass, and the fastening means may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and be fixed to one side of the fan housing (821).

[제2 커버의 세부 구성][Details of the second cover]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흡습건조장치(80)에 구비되는 제2 커버(882)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2,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ver (882) provided in the moisture absorption and drying device (80) of the dishwash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커버(882)는,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흡습제수용공간(S3)을 폐쇄하고,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8822)를 구비하는 커버본체(882a)를 포함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4, the second cover (882) may include a cover body (882a) that is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a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a main housing (841) to close a desiccant receiving space (S3) and has an exhaust port (8822)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desiccant (85) is exhausted.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882a)는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과 유사한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cover body (882a) can be configured to have a three-dimensional shape similar to an inverted funnel shape.

이 때, 전술하 바와 같이 세척공간(21) 내에서의 기류의 유동을 고려하여 공기공급홀(254)은 터브(20)의 가장 안쪽 구석으로서 터브(20)의 좌측면과 후방면에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기공급홀(254)의 위치를 고려하여, 커버본체(882a)로부터 기류(F)가 빠져나가는 배출구(8822)는 커버본체(882a)의 후방에지와 좌측에지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측에 치우쳐서 배치되는 상단면부(882a11)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e flow of air current within the washing space (21) as described above, the air supply hole (254) may be formed close to the left side and rear side of the tub (20) as the innermost corner of the tub (20).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air supply hole (254), the exhaust port (8822) through which the air current (F) escapes from the cover body (88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that is arranged to be offset from the corner formed by the rear edge and the left edge of the cover body (882a).

따라서 배출구(8822)가 이와 같이 후방 및 좌측방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본체(882a)는 비대칭의 깔때기 형상을 갖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exhaust port (8822) is formed in a position tilted toward the rear and left, the cover body (882a) has an asymmetrical funnel shape.

이 때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8822)는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확장면부(882a2)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4 to 17, the exhaust port (8822) may be formed with a portion that partially protrudes outward beyond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described later.

그러나 확장면부(882a2)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출구(8822)의 부분은, 터브(20), 베이스(90) 및 기타 다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물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량은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8822) that protrudes outward beyond the extended surface (882a2) may cause interference with the tub (20), base (90), and other components of the dishwasher (1), so it is desirable to keep the protrusion amount to a minimum.

이와 같이 배출구(8822)가 부분적으로 확장면부(882a2)를 넘어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배출구(8822)의 돌출 부분과 상단면부(882a11)가 연결되는 위치에 절단부가 발생할 수 있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절단부와 연결덕트부(883)의 하단을 완만하게 이어주는 연결부(8822a)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discharge port (8822) is formed to partially protrude outwardly beyond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in this way, a cut portion may be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882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are connected, and as illustrated in FIG. 18, a connection portion (8822a) that gently connects the cut portion and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duct portion (883) may be formed.

한편, 커버본체(882a)의 상단면부(882a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83)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된다.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덕트부(883)의 연장방향을 고려하여 커버본체(882a)의 상단면부(882a11)는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duct part (88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art (882a11) of the cover body (882a) as shown. Consider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nection duct part (883) extending approximately vertically, the upper surface part (882a11) of the cover body (882a) may have a plane shape having a directionality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와 같은 비대칭 형상의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커버본체(882a)는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면부(882a1)를 구비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an inverted funnel shape of such an asymmetrical shape, the cover body (882a) may be provided with a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that is formed to be convex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sid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부(882a1)는 두께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면부(882a1)의 내부면과 외부면의 형상은 대략 동일하게 깔때기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s shown,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thickness is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Accordingly, the shapes of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in a funnel shape.

비대칭 형상의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볼록면부(882a1)는 전체적으로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8412c) 및 제2 흡습제홀더(862)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분리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As implemented as an inverted funnel shape with an asymmetrical shape,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can be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upwardly from the open upper surface portion (8412c)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이를 통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부(882a1)의 내부면과 제2 흡습제홀더(86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공간(S4)을 통해서,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유동할 수 있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rough this,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S4)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and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as illustrated in Fig. 19. Through this separation space (S4), an exhaust path can be formed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can flow with minimal flow resistance.

한편, 볼록면부(882a1)는 배출구(8822)를 향해 진행하면서 유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렴면(8821)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x surface (882a1) may be provided with a converging surface (8821) to allow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w path to be gradually reduced as it progresses toward the discharge port (8822).

비대칭의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을 고려하여, 수렴면(8821)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다수의 곡면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복합 곡면이 되거나, 서로 다른 경사구배를 갖는 다수의 경사면을 조합하여 형성되는 복합 경사면이 될 수 있다.Considering the asymmetric inverted funnel shape, the convergence surface (8821) can be a composite surface formed by combining multiple surfaces with different curvatures, or a composite inclined surface formed by combining multiple inclined surfaces with different slopes.

도 14 이하에는 볼록면부(882a1)의 수렴면(8821)이 서로 다른 경사구배를 갖는 다수의 경사면의 조합을 통해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14 and below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a convergence surface (8821) of a convex surface (882a1) is formed through a combination of multiple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slopes.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볼록면부(882a1)의 수렴면(8821)이 서로 다른 경사구배를 갖는 다수의 경사면의 조합을 통해서 형성되는 구성을 기준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below, as an example, a configuration in which a convex surface (8821) of a convex surface (882a1)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having different slopes will be described as a standard.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렴면(8821)이 복수의 경사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합 경사면이 되는 경우에, 예시적으로 수렴면(8821)은 상단면부(882a11)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제1 수렴면(8821a)과, 상단면부(882a11)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제2 수렴면(8821b)과, 상단면부(882a11)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제3 수렴면(882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the case where the convergence surface (8821) is a composite slop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multiple slopes, the convergence surface (8821)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nvergence surface (8821a) position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882a11), a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positioned to the lef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882a11), and a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positioned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882a11).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면부(882a11)가 후방에지와 좌측에지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측에 치우쳐서 배치되기 때문에, 상단면부(882a11)로부터 제1 수렴면(8821a)의 폭이 가장 작고, 상단면부(882a11)로부터 제3 수렴면(8821c)의 폭이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is positioned so as to be biased toward the corner formed by the rear edge and the left edge meeting, the width of the first convergent surface (8821a)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can be formed to be the smallest, and the width of the third convergent surface (8821c)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can be formed to be the largest.

따라서 제1 수렴면(8821a)에 가장 큰 경사구배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수렴면(8821c)에 가장 작은 경사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argest slope gradient can be formed on the first convergence surface (8821a), and the smallest slope gradient can be formed on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제1 수렴면(8821a), 제2 수렴면(8821b) 및 제3 수렴면(8821c)이 각각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8821d) 및 제1 수렴면(8821a), 제2 수렴면(8821b) 및 제3 수렴면(8821c)과 상단면부(882a11)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8821d)에는 유동하는 기류(F)에 와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모따기면(8821e)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6 and 17, a chamfered surface (8821e) may be formed at a corner (8821d) formed when the first convergence surface (8821a),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and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meet, respectively, and at a corner (8821d) formed when the first convergence surface (8821a),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and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and the upper surface (882a11) meet.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면(8821e)은 상단면부(882a11)를 향해 진행하면서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연장되거나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복합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따기면(8821e)에는 상단면부(882a11)를 향해 진행하면서 3차원적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the chamfered surface (8821e) may extend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or in a composite linear shape combining straight and curved lines while progressing toward the upper surface (882a11). Accordingly, a three-dimensional curve may be formed on the chamfered surface (8821e) while progressing toward the upper surface (882a11).

한편, 제2 커버(882)는 커버본체(882a)의 외곽에지에 일체로 연결되고, 커버본체(88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및 확장되는 확장면부(882a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ver (882)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surface portion (882a2)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cover body (882a) and extends and expa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body (882a).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확장면부(882a2)는, 위로 볼록한 입체적 형상을 갖는 커버본체(882a)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확장되기 때문에 플랜지면으로서 볼 수도 있다.Based o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may be viewed as a flange surface because it exten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body (882a)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convex up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확장면부(882a2)는, 볼록면부(882a1)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can be formed to have a generally uniform thickness, similar to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는 커버본체(882a)의 볼록면부(882a1)의 외곽에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inner edge (882a21)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edg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of the cover body (882a).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면부(882a1)의 형상에 의해서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 및 볼록면부(882a1)의 외각에지에는 단차면이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s illustrated, a step surface can be formed on the inner edge (882a21)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and the outer edg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due to the shap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와 외측에지(882a22) 사이에서 확장면부(882a2)의 수평방향 폭은 볼록면부(882a1)의 외곽에지를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Between the inner edge (882a21) and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uniformly while procee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다만, 볼록면부(882a1)의 비대칭형상에 대응하여 확장면부(882a2)는 전체적으로 비대칭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However, in response to the asymmetrical shap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may be formed to have an asymmetrical shape overall.

한편, 제2 커버(882)는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를 따라 연장되고,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둘레벽(88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econd cover (882)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peripheral wall (882b) that extends along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and protrudes towar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도시된 바와 같이 외둘레벽(882b)은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로부터 흡습제수용부(8412)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소정의 장벽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can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barrier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towar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외둘레벽(882b)이 확장면부(882a2)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 및 두께는 전체적으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height and thickness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extended surface (882a2) can be maintained approximately constant throughout.

특히, 외둘레벽(882b)의 하단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고, 제2 커버(882)의 체결 시에 흡습제수용부(8412)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meter wall (882b) may be extend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and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when the second cover (882) is fastened.

또한, 외둘레벽(882b)은 후술하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가 확장면부(882a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큰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may have a protrusion height greater than the height at which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described later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한편, 외둘레벽(882b)은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long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도 14 이하에는 식기세척기(1)를 구성하는 타구성물에 대한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영역, 즉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 중에서 전방 에지와 우측 에지가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해서 외둘레벽(882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외둘레벽(882b)이 이와 같이 소정의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Below Fig. 14, there is shown an embodiment in which an outer peripheral wall (882b) is formed continuously in an area excluding a corner area formed by the front edge and the right edge among the outer edges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forming the dishwasher (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i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tended surface portion (882a2) except for a predetermined area.

이와 같이 외둘레벽(882b)이 확장면부(882a2)의 외측에지(882a22)를 따라 대체로 균일한 돌출 높이를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확장면부(882a2)의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with a generally uniform protrusion height, the rigidity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can be reinforced.

한편, 외둘레벽(882b)의 외면에는 복수의 체결보스(8823)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각각의 체결보스(8823)를 통과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12g) 또는 서브하우징(842)에 구비되는 체결보스(8421)에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제2 커버(882)가 메인하우징(841) 및 서브하우징(842)에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8823) may be integrally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erimeter wall (882b). As described above, fastening means such as screw bolts may be extended through each fastening boss (8823), and the second cover (882) may be firmly fastened to the main housing (841) and the sub-housing (842) by being screw-connected to the fastening boss (8412g) provided in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or the fastening boss (8421) provided in the sub-housing (842).

한편, 이와 같은 제2 커버(882)의 체결 시에 외둘레벽(882b)의 내부면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외측면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면접촉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cover (882) is fastene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can be in at least partial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이를 통해, 제2 커버(882)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 사이의 결합강도가 보강될 수 있으며, 제2 커버(882)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 사이에 대한 누설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cover (882) an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can be reinforced, and the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between the second cover (882) an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can be improved.

한편, 제2 커버(882)는, 확장면부(882a2)의 하부면으로부터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8412c)를 향해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ver (882)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that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ded surface (882a2) toward the open upper surface (8412c)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는,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와 외측에지(882a22)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장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rrier that is arranged between the inner edge (882a21) and the outer edge (882a22) of the expansion surface portion (882a2) and extends parallel to each other.

이 때,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가 확장면부(882a2)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s at which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pansion surface portion (882a2)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16 및 도 19에는 예시적으로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의 돌출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의 돌출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FIG. 16 and FIG. 19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aling rib arranged on the outer side among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is formed larg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sealing rib arranged on the outer side among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is formed larger as illustrated.

이와 같이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가 더 큰 돌출 높이를 갖게 되나, 전술한 외둘레벽(882b)의 돌출 높이 보다는 더 작은 돌출 높이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among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the sealing rib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has a greater protrusion height, but may have a smaller protrusion height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described above.

한편,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중에서 더 큰 돌출 높이를 갖고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는, 제2 커버(882)의 체결 시에 후술하는 제2 실링리브(8412c1)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제2 실링리브(8412c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Meanwhile, among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the sealing rib that has a larger protrusion height and is positioned on the outside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ribs (8412c1) in a state where it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sealing ribs (8412c1) described later when fastening the second cover (882).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가 서로 평행한 장벽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사이에는 하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상하반전된 U자형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s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are arranged in a parallel barrier shape, a U-shaped first coupling groove that is inverted downward and opens downward can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제1 결합홈에는,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상단 테두리, 즉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8412c)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 중 어느 하나가 삽입 및 끼움결합될 수 있다.In the first coupling groove, one of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i.e., on the edge of the open upper surface (8412c)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inserted and fitted.

제1 실링리브(882a23)와 마찬가지로,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가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들 제2 실링리브(8412c1)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As with the first sealing rib (882a23),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ar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and these second sealing ribs (8412c1) can extend parallel to each other.

따라서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 사이에는 상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는 U자형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 U-shaped second joining groove that opens upward can be formed between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예시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홈에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가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second coupling groov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ealing rib positioned on the outside among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또한, 제1 결합홈에는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 중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가 삽입 및 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oupling groov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sealing rib positioned on the inside among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is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882)가 메인하우징(841)의 흡습제수용부(8412)에 체결되면, 제1 실링리브(882a23)와 제2 실링리브(8412c1) 사이에 기어물림 구조와 유사한 형태의 누설방지구조 또는 실링구조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실링부재의 생략이 가능하거나 실링부재의 체적을 최소화로 유지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비용의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9, when the second cover (882) is fastened to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of the main housing (841), a leak prevention structure or sealing structure having a similar shape to a gear meshing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between the first sealing rib (882a23) and the second sealing rib (8412c1).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mit a separate sealing member as in the past o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sealing member, so that the assembling efficiency of the desiccant drying devic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rov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한편, 전술한 외둘레벽(882b)과 제1 실링리브(882a23)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은 대략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orizontal gap between the aforementioned outer circumferential wall (882b) and the first sealing rib (882a23) can be configured to correspond approximately to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rib arranged on the outer side among the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이를 통해 외둘레벽(882b)과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 중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실링리브 사이에 면접촉 상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커버(882)에 대한 누설방지 성능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Through this, an additional surface contact state can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882b) and the sealing ribs (8412c1)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and the leakage prevention performance of the second cover (882) can be further improved.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둘레벽(882b)의 돌출 높이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882a23) 및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의 돌출 높이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882b) can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protrusion heights of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882a23) and the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이를 통해, 외둘레벽(882b)의 하단은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가 형성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low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882b) can be extended to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are formed.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둘레벽(882b)은, 제2 커버(882)의 체결 시에 한 쌍의 제2 실링리브(8412c1)를 넘어서 하측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고 외둘레벽(882b)의 내부면은 흡습제수용부(8412)의 외측면과 직접 면접촉되는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can be extended further downward beyond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8412c1) when the second cover (882) is fasten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can be formed in direct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이와 같이, 제2 커버(882)의 외둘레벽(882b)이 흡습제수용부(8412)의 외측면에 직접적으로 면접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2 커버(882)와 흡습제수용부(8412) 사이의 결합강도가 추가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outer peripheral wall (882b) of the second cover (882)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econd cover (882) an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제2 커버(882)는, 일단이 되는 상단이 커버본체(882a)의 볼록면부(882a1)의 내부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되는 하단이 흡습제수용부(8412)의 개방된 상면부(8412c)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리브(88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over (882)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ib (8824)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vex surface (882a1) of the cover body (882a) and whose lower end is extended toward the open upper surface (8412c)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제2 커버(882)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가이드리브(8824)는 상단이 커버본체(882a)의 볼록면부(882a1)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단이 되고, 하단이 배출유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자유단이 되며,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벽체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cover (882) is placed, the guide rib (8824)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end is a fixed e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vex surface (882a1) of the cover body (882a), the lower end is a free end extending across the discharge path, and has a wall shape having a generally uniform thickness.

도 16 이하에는, 대체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총 4개의 가이드리브(8824)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대체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총 4개의 가이드리브(8824)를 구비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Below Fig. 16, an embodiment is illustrated in which a total of four guide ribs (8824)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ize are provided.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an embodiment in which a total of four guide ribs (8824)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nd size are provided.

편의상 4개의 가이드리브(8824) 중에서 볼록면부(882a1)의 제2 수렴면(8821b)에 가장 근접해서 배치되는 것을 제1 가이드리브(8824a)로 칭하고, 제1 가이드리브(8824a)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2 가이드리브(8824b)로 칭하고, 제2 가이드리브(8824b)의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3 가이드리브(8824c)로 칭하며, 제3 가이드리브(8824c)와 볼록면부(882a1)의 전방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제4 가이드리브(8824d)로 칭하기로 한다.For convenience, among the four guide ribs (8824), the one arranged closest to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of the convex surface (882a1) is referred to as the first guide rib (8824a), the on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guide rib (8824a)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guide rib (8824b), the on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is referred to as the third guide rib (8824c), and the one arranged between the third guide rib (8824c) and the front edge of the convex surface (882a1) is referred to as the fourth guide rib (8824d).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제2 흡습제홀더(862)를 통과한 후 배출구로 유입되는 기류(F)의 배출유로를 대체로 균일하게 분할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serve to substantially evenly divide the discharge path of the air flow (F)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배출구(8822)를 중심으로 하여 배출구(8822)의 주위에 대체로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arranged with generally equal spacing around the discharge port (8822) with the discharge port (8822) as the center.

이 때,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단순 판상형상으로 구성되고, 기류방향을 기준으로 상류가 되는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하류가 되는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배출구(8822)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6 and 17, when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configured in a simple plate shape and extend linearly between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that is upstream and the trailing edge (8824a1, 8824b1, 8824c1, 8824d1) that is downstream based on the airflow direction,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be arranged radially with the exhaust port (8822) as the center.

따라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를 통과하는 가상의 연장선(L1)은, 각각 배출구(8822)의 중심(CE)을 통과하게 된다.Accordingly, the virtual extension lines (L1)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s (8824a2, 8824b2, 8824c2, 8824d2) and the trailing edges (8824a1, 8824b1, 8824c1, 8824d1)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each pass through the center (CE) of the exhaust port (8822).

이를 통해, 배출구(8822)로 도입되는 기류(F)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에 의해 균등하게 분할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고 유동하는 기류(F)가 배출구(8822)로 도입되기 전에 합류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 및 난류의 생성 비율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airflow (F) introduced into the outlet (8822) is evenly divided by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so that the generation rate of eddies and turbulence that may occur when airflows (F) flowing in different directions merge before being introduced into the outlet (8822)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배출유로를 상하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배출구(8822)의 주위에 방사형으로 배열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arranged to extend across the discharge pa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discharge port (8822).

따라서, 배출구(8822)를 향해 유동하는 기류(F)는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의 모서리 및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의 모서리와 충돌하면서 와류 또는 난류가 생성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Accordingly, the airflow (F) flowing toward the exhaust port (8822) is likely to generate a vortex or turbulence by colliding with the edges of the lower end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and the leading edges (8824a2, 8824b2, 8824c2, 8824d2)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이와 같은 충돌에 의한 와류 및 난류 저감을 위한 수단으로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각각 제1 캠퍼면(8824a5, 8824b5, 8824c5, 8824d5), 제2 캠퍼면(8824a6, 8824b6, 8824c6, 8824d6) 및 제3 캠퍼면(8824a7, 8824b7, 8824c7, 8824d7)을 구비할 수 있다.As a means for reducing eddy currents and turbulence caused by such collisions,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each have a first camber surface (8824a5, 8824b5, 8824c5, 8824d5), a second camber surface (8824a6, 8824b6, 8824c6, 8824d6), and a third camber surface (8824a7, 8824b7, 8824c7, 8824d7).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캠퍼면(8824a5, 8824b5, 8824c5, 8824d5)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과 일측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및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과 타측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각진 모서리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모따기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8, the first camper surface (8824a5, 8824b5, 8824c5, 8824d5) can be formed by chamfering a corner formed when the lower end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nd one side meet and an angled corner formed when the lower end (8824a4, 8824b4, 8824c4, 8824d4) and the other side meet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제2 캠퍼면(8824a6, 8824b6, 8824c6, 8824d6)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일측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모서리 및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타측면이 만나서 형성되는 각진 모서리를 소정의 폭을 갖도록 모따기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amphor surface (8824a6, 8824b6, 8824c6, 8824d6) can be formed by chamfering the corner formed when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eets one side and the angled corner formed when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meets the other side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또한, 제3 캠퍼면(8824a7, 8824b7, 8824c7, 8824d7)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이 만나서 생성되는 각진 모서리를 모따기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camphor surface (8824a7, 8824b7, 8824c7, 8824d7) can be formed by chamfering the angled corners created when the leading edges (8824a2, 8824b2, 8824c2, 8824d2) and the lower end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eet.

이와 같이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 측 또는 상류 측에 배치되는 모서리 부분을 모따기 처리하여 캠퍼면을 형성함으로써, 기류(F)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 측에 해당하는 가이드리브의 단면적이 축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서리 부분과 기류(F)의 충돌에 의한 와류 및 난류 생성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류(F)의 유동손실이 저감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this way, by chamfering the corner portion located on the leading edge or up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airflow (F) to form a camper surfa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guide rib corresponding to the leading edg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flow of airflow (F)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generation of eddies and turbulence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he corner portion and the airflow (F)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flow loss of the airflow (F).

한편,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연결덕트부(883)가 일체로 연결되는 배출구(8822)의 주위의 상단면부(882a11)에 대한 보강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additionally perform a reinforcing function for the upper surface (882a11) around the discharge port (8822) to which the connecting duct portion (883) is integrally connected.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버(882)는, 상단면부(882a11)에 연결덕트부(883)의 하단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연결덕트부(883)는 터브(20)의 하부면(25)에 형성되는 공기공급홀(254)에 삽입 및 체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cover (88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duct part (88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art (882a11), and the connection duct part (883) is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254)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5) of the tub (20).

따라서 터브(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한 응력 또는 메인하우징(841)으로부터 전달된 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한 응력이 커버본체(882a)의 상단면부(882a11)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Therefo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tress due to impact or load transmitted from the tub (20) or stress due to impact or load transmitted from the main housing (841) will be concentrated on the upper surface (882a11) of the cover body (882a).

이와 같은 응력 집중에 의한 커버본체(882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수단으로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function as reinforcing means to prevent damage to the cover body (882a) due to such stress concentration.

보다 상세히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리브(8824a)의 후단에지(8824a1)와 제2 가이드리브(8824b)의 후단에지(8824b1)는 배출구(8822)가 형성되는 상단면부(882a11)에 위치되고, 제1 가이드리브(8824a)의 선단에지(8824a2)와 제2 가이드리브(8824b)의 선단에지(8824b2)는 볼록면부(882a1)의 제1 수렴면(8821a)에 위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17, the rear edge (8824a1) of the first guide rib (8824a) and the rear edge (8824b1)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where the discharge port (8822) is formed, and the leading edge (8824a2) of the first guide rib (8824a) and the leading edge (8824b2)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may be positioned at the first converging surface (8821a)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따라서 제1 가이드리브(8824a)와 제2 가이드리브(8824b)는 상단면부(882a11)로부터 제1 수렴면(8821a)까지 연장됨으로써, 상단면부(882a11)와 제1 수렴면(8821a)이 만나서 생성되는 모서리 측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guide rib (8824a) and the second guide rib (8824b)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882a11) to the first convergent surface (8821a), so that the rigidity of the corner side created when the upper surface (882a11) and the first convergent surface (8821a) meet can be effectively reinforced.

한편, 제3 가이드리브(8824c)의 후단에지(8824c1)와 제4 가이드리브(8824d)의 후단에지(8824d1)는 배출구(8822)가 형성되는 상단면부(882a11)에 위치되고, 제3 가이드리브(8824c)의 선단에지(8824c2)와 제4 가이드리브(8824d)의 선단에지(8824d2)는 볼록면부(882a1)의 제3 수렴면(8821c)에 위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ar edge (8824c1) of the third guide rib (8824c) and the rear edge (8824d1) of the fourth guide rib (8824d)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882a11) where the discharge port (8822) is formed, and the leading edge (8824c2) of the third guide rib (8824c) and the leading edge (8824d2) of the fourth guide rib (8824d) may be positioned on the third converging surface (8821c) of the convex surface (882a1).

따라서 제3 가이드리브(8824c)와 제4 가이드리브(8824d)는 상단면부(882a11)로부터 제3 수렴면(8821c)까지 연장됨으로써, 상단면부(882a11)와 제3 수렴면(8821c)이 만나서 생성되는 모서리 측의 강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rd guide rib (8824c) and the fourth guide rib (8824d)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882a11) to the third convergent surface (8821c), so that the rigidity of the corner side created by the meeting of the upper surface (882a11) and the third convergent surface (8821c) can be effectively reinforced.

한편,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제2 흡습제홀더(862)가 흡습제수용부(8412)에 대한 고정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additionally perform a stopper function to prevent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from being dislodged from the fix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은,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configured to extend toward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이 때,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은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거나,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에 대해서 소정의 분리 간격을 갖고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end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arranged to directly contact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or to be spaced upwardly with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이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에 가압력을 작용하지 않을 정도로 단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lower end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it is preferable that the simple contact state be maintained to the extent that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이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의 작용 시에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에 의해서 제2 흡습제홀더의 메쉬부(86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from being damaged by the lower portion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when subjected to external impact or vibration.

또한,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에 대해서 소정의 분리 간격을 갖고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 소정의 분리 간격은 제2 흡습제홀더(862)의 외각 에지부(8621)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absorbent holder (862)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upper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separation interval, the predetermined separation interval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er edge portion (8621) of the second absorbent holder (862).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흡습제홀더(862)는 전체적으로 흡습제수용부(8412)의 상단에 삽입된 상태로 흡습제수용부(8412)에 결합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제2 흡습제홀더(862)가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제2 흡습제홀더(862)의 외각 에지부(8621)의 두께보다 더 작은 분리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이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흡습제홀더(862)가 전체적으로 정위치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is combined with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s a whole, and even i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is subjected to a force that causes it to be dislodg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ion gap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uter edge portion (8621)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is maintained, so that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completely dislodg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as a whole.

한편, 이와 같은 스토퍼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은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for such a stopper function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lower portion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흡습제홀더(862)의 메쉬부(8622)가 수평방향에 나란한 판상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이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하단(8824a4, 8824b4, 8824c4, 8824d4)은 메쉬부(8622)에 나란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mesh portion (8622) of the second desiccant holder (862) is configured in a plate shape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19, the lower portions (8824a4, 8824b4, 8824c4, 8824d4)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have a shape parallel to the mesh portion (8622).

한편, 제2 커버(882)의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커버본체(882a)에 배열되는 형태 또는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형상을 변형하여 배출구(8822)로 도입되는 기류(F)에 회전속도 성분이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of the second cover (882) may be arranged in the cover body (882a) or the shap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changed so that a rotational speed component is generated in the airflow (F)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ort (8822).

도 21에는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커버본체(882a)에 배열되는 형태를 달리 구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arranged in a different manner on the cover body (882a).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각각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로부터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까지 선형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1, similarly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0,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configured to extend 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to the trailing edge (8824a1, 8824b1, 8824c1, 8824d1), respectively.

다만,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와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를 통과하는 가상의 연장선(L1)은 배출구(8822)의 중심(CE)을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However,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20, the virtual extension line (L1)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and the trailing edge (8824a1, 8824b1, 8824c1, 8824d1)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be configured not to pass through the center (CE) of the exhaust port (8822).

즉, 도면을 기준으로 도 20의 배열 상태로부터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각각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을 따라 소정의 각도(a)로 회전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That is, based on the drawing,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be arranged in a state where they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 clockwise around the rear edge (8824a1, 8824b1, 8824c1, 8824d1) from the arrangement state of FIG. 20.

따라서 각각 인접한 가이드리브들 사이를 통과한 기류(F)는 배출구(8822)의 중심을 향하지 않는 방향성을 갖게 된다.Therefore, the airflow (F) passing between each adjacent guide rib has a direction that is not directed toward the center of the exhaust port (8822).

이에 따라 배출구(8822) 및 연결덕트부(883)로 도입되면서 기류(F)에 회전속도 성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속도 성분이 생성됨에 따라 연결덕트부(883)를 따라 유동하는 기류(F)의 선형속도 성분은 감소될 수 있다.Accordingly, a rotational velocity component may be generated in the airflow (F) as it is introduced into the outlet (8822) and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As the rotational velocity component is generated in this way, the linear velocity component of the airflow (F) flowing along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may be reduced.

도 22에는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형상을 달리 구성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s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configured differently.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선단에지(8824a2, 8824b2, 8824c2, 8824d2)로부터 후단에지(8824a1, 8824b1, 8824c1, 8824d1)를 향해 진행하면서 비선형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extend in a non-linear manner from the leading edge (8824a2, 8824b2, 8824c2, 8824d2) toward the trailing edge (8824a1, 8824b1, 8824c1, 8824d1).

도 22에는 비선형 형태로 연장되는 구성의 예시로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선형으로 연장되는 선형연장부(P1) 및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곡면연장부(P2)로 구성되는 복합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in a nonlinear manner,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re formed to have a composite shape composed of a linear extension portion (P1) that extends linearly and a curved extension portion (P2) that extends curvedly.

이 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곡면연장부(P2)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선형연장부(P1)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후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illustrated in FIG. 22, a curved extension portion (P2) may be formed on the leading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nd a linear extension portion (P1) may be formed on the trailing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형연장부(P1)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 측에 형성되고, 곡면연장부(P2)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후단 측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변형예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linear extension portion (P1) is formed on the leading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nd the curved extension portion (P2) is formed on the trailing end sid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may also be applied.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based on an exemplary embodiment illustrated.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연장부(P2)가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의 선단 측에 형성됨에 따라, 곡면연장부(P2)에 의해서 안내되는 기류(F)에는 회전 속도 성분이 생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22, as the curved extension portion (P2) is formed on the leading edge side of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 rotational speed component can be generated in the airflow (F) guided by the curved extension portion (P2).

이와 같이 회전속도 성분이 생성되어 배출구(8822)로 도입됨에 따라 연결덕트부(883)를 따라 유동하는 기류(F)의 선형속도 성분은 감소될 수 있다.As the rotational velocity component is generated in this way and introduced into the exhaust port (8822), the linear velocity component of the air flow (F) flowing along the connecting duct section (883) can be reduced.

도 21과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에 의해서 기류(F)에 대해서 회전속도 성분이 생성되고 선형 속도 성분이 감소됨에 따라 메인하우징(841)이 흡습제수용부(8412) 및 제2 커버(882)를 통과하는 기류(F)의 평균 유속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21 and 22, the rotational velocity component of the airflow (F) is generated by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and the linear velocity component is reduced, so that the average velocity of the airflow (F) passing through the main housing (841),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8412) and the second cover (882) can be reduced.

따라서 기류(F)가 흡습제수용부(8412)에서 잔류되는 시간이 추가적 확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습제(85)의 흡습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ime for which the airflow (F) remains in the absorbent receiving portion (8412) can be additionally secured, and accordingly, the absorption efficiency of the absorbent (85) can be improved.

한편, 도 23 및 도 24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배출구(8822)가 확장면부(882a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실시예, 즉, 배출구(8822)가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와 중첩되지 않도록 내측에지(882a21)보다 더 내측에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S. 23 and 24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unlik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discharge port (8822)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that is, the discharge port (8822) is positioned further inward than the inner edge (882a21)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inner edge (882a21).

이와 같이, 배출구(8822)가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보다 더 내측에 볼록면부(882a1)의 중앙 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배출구(8822)와 확장면부(882a2)의 내측에지(882a21) 사이에 배출구(8822)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가이드리브가 배치되기에 충분한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discharge port (8822) is arrang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further inward than the inner edge (882a21)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sufficient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8822) and the inner edge (882a21) of the expanded surface portion (882a2) for arranging the guide ribs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 (8822).

따라서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각각 배출구(8822)의 주위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be arranged to completely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 (8822).

이 때,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배출구(8822)로 유입되는 기류의 유로를 균등하게 분할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리브 내지 제4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는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evenly divide the airflow path flowing into the exhaust port (8822)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forementioned embodiment, the first to fourth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can be arrange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따라서 인접한 가이드리브들 사이의 간격은 대략 90도 이하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spacing between adjacent guide ribs can be arranged to be approximately 90 degrees or less.

한편,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총 4개의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접한 가이드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더 분할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리브가 추가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23 and 24 are illustrated as having a total of four guide ribs (8824a, 8824b, 8824c, 8824d)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embodiments, but guide ribs not illustrated may be added to further divide the flow path formed between adjacent guide ribs.

예를 들어, 인접한 제1 가이드리브(8824a)와 제2 가이드리브(8824b) 사이, 제2 가이드리브(8824b)와 제3 가이드리브(8824c) 사이, 제3 가이드리브(8824c)와 제4 가이드리브 사이, 그리고 제4 가이드리브(8824d)와 제1 가이드리브(8824a) 사이에 각각 보조가이드리브(미도시)가 더 배치될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uxiliary guide ribs (not shown) may be further arranged between adjacent first guide ribs (8824a) and second guide ribs (8824b), between the second guide ribs (8824b) and third guide ribs (8824c), between the third guide ribs (8824c) and fourth guide ribs, and between the fourth guide ribs (8824d) and the first guide rib (8824a).

이와 같이 복수의 보조가이드리브들이 추가되는 경우에도 유로가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도록 가이드리브와 인접한 보조 가이드리브 사이의 간격은 균등하게 설정될 수 있다. Even when multiple auxiliary guide ribs are added in this way, the spacing between guide ribs and adjacent auxiliary guide ribs can be set to be equal so that the flow can be divided evenly.

따라서 복수의 보조가이드리브들이 추가되는 경우에 각각의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와 보조가이드리브 사이의 간격은 대략 45도 이하가 될 수 있다.Therefore, when multiple auxiliary guide ribs are added, the gap between each guide rib (8824a, 8824b, 8824c, 8824d) and the auxiliary guide ribs can be approximately 45 degrees or less.

한편, 도 23에는 각각의 가이드리브(8824a, 8824b, 8824c, 8824d)가 서로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2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guide rib (8824a, 8824b, 8824c, 8824d) has the same shape and size.

다만,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리브(8824b, 8824d)의 형상 및 사이즈가 나머지 다른 가이드리브(8824a, 8824c)의 형상 및 사이즈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However, as illustrated in FIG. 24, the shape and size of at least one guide rib (8824b, 8824d) may be set differently from the shapes and sizes of the remaining guide ribs (8824a, 8824c).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8822), 및 배출구(8822)가 형성되는 상단면부(882a11)가 볼록면부(882a1)의 중앙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수렴면(8821b)과 제3 수렴면(8821c)의 길이와 면적이 제1 수렴면(8821a)과 제4 수렴면(8821d)의 길이와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since the outlet (8822)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882a11) on which the outlet (8822) is formed are arrang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convex surface portion (882a1), the length and area of the second convergent surface (8821b) and the third convergent surface (8821c) can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ength and area of the first convergent surface (8821a) and the fourth convergent surface (8821d).

이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길이와 면적을 갖는 제2 수렴면(8821b)과 제3 수렴면(8821c)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도록 제2 가이드리브(8824b)와 제4 가이드리브(8824d)는 제1 가이드리브(8824a) 및 제3 가이드리브(8824c)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reinforce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and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having relatively larger lengths and areas, the second guide rib (8824b) and the fourth guide rib (8824d) may be extended longer than the first guide rib (8824a) and the third guide rib (8824c).

도 23에는 제2 가이드리브(8824b)와 제4 가이드리브(8824d)의 연장길이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배출구(8822)의 형성 위치 및 제2 수렴면(8821b) 제3 수렴면(8821c)의 길이에 따라 제2 가이드리브(8824b)와 제4 가이드리브(8824d)의 연장길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In FIG. 23, the extension lengths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and the fourth guide rib (8824d) are illustrated as being the same, but, unlike this, the extension lengths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and the fourth guide rib (8824d)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8822) and the lengths of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and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렴면(8821b)의 면적 및 길이가 제3 수렴면(8821c)의 면적 및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에, 제2 수렴면(8821b)을 보강하는 제2 가이드리브(8824b)의 연장길이가 제4 가이드리브(8824d)의 연장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4, when the area and length of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and length of the third convergence surface (8821c), the extension length of the second guide rib (8824b) reinforcing the second convergence surface (8821b) may be configured to be larger than the extension length of the fourth guide rib (8824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examples,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흡습건조장치
90: 베이스
1: Dishwasher 10: Case
20: Tub 30: Door
40: Drive unit 50: Storage unit
60: Injection unit 80: Hygroscopic drying device
90: Base

Claims (20)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 및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여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장치;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로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공기를 유동시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팬;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의 하류에 배치되는 흡습제;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팬과 상기 흡습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흡습제로 공급될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송풍팬을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고 상기 히터가 수용되는 히터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히터수용부, 및 상기 히터수용부를 통과한 기류가 유동하고 상기 흡습제가 수용되는 흡습제수용공간을 구비하는 흡습제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흡습제수용공간을 폐쇄하고, 상기 흡습제를 통과한 공기가 배기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와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흡습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배출구를 향해 안내하는 배출유로가 되는 식기세척기.
A tub forming a washing space and accommodating dishes; and
A moisture absorption drying device that absorbs moisture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bove tub and supplies it to the above tub;
A dishwasher comprising:
The above moisture absorbing and drying device,
A blower fan that forms an airflow by flowing the air;
A desiccant placed downstream of the blower fan based on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air current;
A heater disposed between the blower fan and the desiccant based on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air current, and heating the air current to be supplied to the desiccant;
A housing having a heater receiving section having a heater receiving space in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blower fan flows and the heater is received, and a desiccant receiving section having a desiccant receiving space in which airflow passing through the heater receiving section flows and the desiccant is received; and
A cover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receiving portion to close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receiving space and having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is exhausted;
Including,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pen side of the cover and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 dishwash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space serves as an exhaust path that guides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desiccant toward the exhaust port.
제1 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커버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부에 의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진행하면서 유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1,
The above cover,
A cover body having a convex surface formed convexly in a direction away from an open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absorbent receiving portion, and through whic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cluding,
A dishwasher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ath gradually decreases as it progresses toward the discharge port due to the convex surface.
제2 항에서,
상기 볼록면부는, 각각 서로 다른 경사구배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 경사면이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A dishwasher in which the above convex surface is a composite inclined surfa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inclined surfaces, each having a different slope.
제2 항에서,
상기 볼록면부는,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복수의 곡면이 조합되어 형성되는 복합 곡면이 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A dishwasher in which the above convex surface is a composite surfac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urfaces, each having a different curvature.
제2 항에서,
상기 커버는,
일단이 상기 커버본체의 내부면에 연결되는 고정단이 되고, 타단이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을 향해 상기 배출유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자유단이 되며, 벽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리브;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배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상기 기류를 분할하도록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above cover,
A plurality of guide ribs formed in a wall shape, wherein one end is a fixed end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extending across the discharge path toward the open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Including more,
A dishwasher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ribs are arranged to divide the air flow toward the discharge port.
제5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배출구를 중심으로 하여 균등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5,
A dishwasher in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rib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centered on the discharge port.
제5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이 되는 선단에지와, 하유측이 되는 후단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선형으로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5,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leading edge on the upstream side and a trailing edge on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A dishwasher in which the plurality of guide ribs extend 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제7 항에서,
상기 선단에지와 상기 후단에지를 통과하는 연장선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7,
A dishwasher in which an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 and the trailing edge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제7 항에서,
상기 선단에지와 상기 후단에지를 통과하는 연장선은, 상기 배출구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7,
A dishwasher in which the extension line passing through the leading edge and the trailing edge does no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ort.
제5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이 되는 선단에지와, 하유측이 되는 후단에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비선형으로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5,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leading edge on the upstream side and a trailing edge on the downstream side based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flow.
A dishwasher wherein the plurality of guide ribs extend non-linearly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제10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는 각각 상기 선단에지로부터 상기 후단에지를 향해 진행하면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을 따라 연장되는 곡면연장부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0,
A dishwasher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curved extension portion that extends along a curv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from the leading edge toward the trailing edge.
제5 항에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흡습제수용공간의 상단을 규정하고, 상기 흡습제의 이탈을 방지하는 흡습제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기류가 통과하는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5,
The above moisture absorbing and drying device,
A desiccant holder defining the upper part of the above desiccant receiving space and preventing the desiccant from escaping;
Including more,
A dishwasher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desiccant holder through which the air flow passes.
제12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에 접촉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2,
A dishwasher in which at leas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esiccant holder.
제12 항에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리브의 타단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일면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2,
A dishwasher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guide ribs is spaced apart from one side of the desiccant hold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4 항에서,
상기 소정의 간격은 상기 흡습제홀더의 두께보다는 더 작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4,
A dishwashe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gap is formed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siccant holder.
제2 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본체의 외곽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커버본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 형상의 확장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장면부의 내측에지와 외측에지 사이에는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실링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개방된 일면의 테두리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실링리브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2 실링리브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In paragraph 2,
The above cover,
An extended surface portion in the shape of a flange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extends away from the cover body;
Including mor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above-mentioned expansion surface,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are provided that protrude toward the open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desiccant receiving portion.
A dishwasher, wherein a pair of second sealing ribs coupled with a pair of first sealing ribs are provided on the edge of an open side of the above-mentioned desiccant receiving portion.
제16 항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실링리브 중에서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제2 실링리브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6,
A dishwasher, wherein one of the pair of first sealing ribs is sandwich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sealing ribs.
제16 항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확장면부의 외측에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흡습제수용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외둘레벽;
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6,
The above cover,
An outer peripheral wall extending along the outer edge of the above-mentioned expanded surface and protruding toward the above-mentioned desiccant receiving portion;
Dishwasher including:
제18 항에서,
상기 제1 실링리브와 상기 제2 실링리브가 결합되면, 상기 외둘레벽은 상기 흡습제수용부의 외측면과 면접촉하게 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8,
A dishwasher in which, when the first sealing rib and the second sealing rib are combined, the outer peripheral wall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desiccant receiving portion.
제18 항에서
상기 외둘레벽이 상기확장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제1 실링리브가 상기 확장면부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크게 되는 식기세척기.
In Article 18
A dishwasher in which the height at which the outer peripheral wall protrudes from the expande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height at which the first sealing rib protrudes from the expanded surface.
KR1020230078905A 2023-06-20 2023-06-20 Dish washer Pending KR20240177486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905A KR20240177486A (en) 2023-06-20 2023-06-20 Dish washer
EP24182833.4A EP4480376A1 (en) 2023-06-20 2024-06-18 Dish washer
AU2024204169A AU2024204169A1 (en) 2023-06-20 2024-06-19 Dishwasher
US18/748,279 US20240423441A1 (en) 2023-06-20 2024-06-20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905A KR20240177486A (en) 2023-06-20 2023-06-20 Dish 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7486A true KR20240177486A (en) 2024-12-27

Family

ID=9158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905A Pending KR20240177486A (en) 2023-06-20 2023-06-20 Dish wash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423441A1 (en)
EP (1) EP4480376A1 (en)
KR (1) KR20240177486A (en)
AU (1) AU2024204169A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52083A1 (en) * 2007-10-31 2009-05-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omestic appliance with adsorption dryer
WO2010012689A1 (en) 2008-07-28 2010-02-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ishwasher machine comprising a sorption drying device
DE102008040789A1 (en) * 2008-07-28 2010-02-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Dishwasher with sorption drying device
DE102009048005A1 (en) * 2009-10-02 2011-04-07 Zeo-Tech Gmbh Sorption dryer with zeolite
DE102012000013A1 (en) * 2012-01-02 2013-07-04 Zeo-Tech Zeolith-Technologie Gmbh Sorber with sorbent for dehumidification
DE102013213359B3 (en) * 2013-07-08 2014-10-30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DE102015211210A1 (en) * 2015-06-18 2016-12-22 BSH Hausgeräte GmbH Dishwasher with a Sorptionstrocknungseinrichtung
DE102015211193A1 (en) * 2015-06-18 2016-12-22 BSH Hausgeräte GmbH Dishwasher with a Sorptionstrocknungs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423441A1 (en) 2024-12-26
EP4480376A1 (en) 2024-12-25
AU2024204169A1 (en) 202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370A1 (en) Dishwasher
KR20240177486A (en) Dish washer
KR20250014561A (en) Dish washer
US20230210343A1 (en) Dishwasher
KR20240153738A (en) Dish washer
KR20240153896A (en) Dish washer
KR20240153909A (en) Dish washer
KR20240153739A (en) Dish washer
KR20240153907A (en) Dish washer
KR20230130908A (en) Dish washer
KR20230103444A (en) Dish washer
KR20250041443A (en) Dish washer
EP4449971A1 (en) Dishwasher having a sorption drying device
KR20240153908A (en) Dish washer
US20240341562A1 (en) Dishwasher
KR20240153895A (en) Dish washer
KR20230020232A (en) Dish washer
CN118806178A (en) dishwasher
KR20230020231A (en) Dish washer
US20250098932A1 (en) Dish washer
KR20250039620A (en) Dish washer
JP7186659B2 (en) washing machine
KR20250038986A (en) Dish washer
KR20250018071A (en) Dish washer
KR20230103439A (en) Dish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