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75290A -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 Google Patents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5290A
KR20240175290A KR1020240010119A KR20240010119A KR20240175290A KR 20240175290 A KR20240175290 A KR 20240175290A KR 1020240010119 A KR1020240010119 A KR 1020240010119A KR 20240010119 A KR20240010119 A KR 20240010119A KR 20240175290 A KR20240175290 A KR 20240175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unit
output
pressure
control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0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세이슈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40175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529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2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line unwinding limi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4Means for controlling progress of starting sequence in dependence upon time or upon current, speed, or other motor parameter
    • H02P1/14Pressure-sensitive resistors centrifugally operated by the mo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에 있어서의 유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전동 릴(100)의 모터 제어 장치는, 제1 압압부(押壓部)(11)와 제1 조작부(13)와 모터 제어부(17)와 증가도 설정부(18)를 구비한다.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선택된 제어 모드로 모터(3)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만 제1 압압부(11)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3)의 출력을 제어한다. 증가도 설정부(18)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압압부(11)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른 모터(3)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3)의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13)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Task]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lure operation in an electric reel.
[Solution] A motor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reel (100) comprises a first pressurizing unit (11), a first operating unit (13), a motor control unit (17), and an increase setting unit (18). The motor control unit (17)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3) in a control mod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ing at least a first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3) in accordance with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first pressing unit (11) only while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first pressing unit (11) is continued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changes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motor (3)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13)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3)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first pressing unit (11)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Description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본 발명은, 모터 제어 장치, 특히,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 contro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tor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reel that drives a spool rotatably mounted on a reel body by a motor.

특허문헌 1에는, 압압부(押壓部)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otor control device for an electric reel that increases the output of a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that presses a pressing portion.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21-16316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21-16316

이와 같은 전동 릴에 있어서, 압압부의 압압 조작에 의한 유인 동작의 조작성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In such electric reels, there is a demand for improved operability of the guiding operation by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ction.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에 있어서의 유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inducing operation in an electric reel.

본 발명의 제1 측면의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을 모터로 구동한다. 모터 제어 장치는, 압압부와 제1 조작부와 모터 제어부와 증가도(增加度) 설정부를 구비한다. 압압부는, 압압 조작되도록 릴 본체에 설치된다. 제1 조작부는, 릴 본체에 설치된다. 모터 제어부는, 제1 제어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선택된 제어 모드로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제어부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압압부로의 압압 조작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만 압압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증가도 설정부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의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eel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rives a spool rotatably mounted on the reel body by a motor. The motor control device has a pressure unit, a first operation unit, a motor control unit, and an increase degree setting unit. The pressure unit is installed on the reel body to be operated by pressure. The first opera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reel body. The motor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in a control mod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ing at least a first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ure force that presses the pressure unit only while the pressure operation to the pressure unit is continued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increase degree setting unit changes the increase degree of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ure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is reached according to the pressure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이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의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압압부의 압압 조작에 의한 유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is electric reel,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motor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so the operability of the inducing operation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first pressing uni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는 제2 측면의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의 증가도 설정부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의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이 경우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압압력에 따른 모터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의 출력의 증가도를 신속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인 동작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The increase setting section of 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eel of the second aspec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motor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section,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In this case, for example, since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motor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is reached can be quickly changed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the operability of the inducing operation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따르는 제3 측면의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모터의 출력의 상한값을 변경하는 상한 설정부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는, 압압부의 압압 조작에 의한 유인 동작 중에, 낚시꾼이 상정(想定)한 이상으로 모터의 출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eel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upper limit setting section for changing the upper limit of the output of the motor in the first control mode.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put of the motor from increasing beyond what the angler has assumed during the luring operation by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ction.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는 제4 측면의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는, 릴 본체에 설치되는 제2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모터 제어부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압압부로의 압압 조작이 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조작부가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상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값까지 증가시킨다. 이 경우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값에 대응하는 모터의 출력으로 낚싯줄을 자동으로 감아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전동 릴의 조작성이 향상한다.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e electric reel of the fourth aspect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reel body, and the motor control unit increases the output of the motor to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ng unit when the pressing operation by the pressing unit is not performed in the first control mode. In this case, since it becomes possible to automatically wind up the fishing line with the output of the motor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operability of the electric reel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는 제5 측면의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의 모터 제어부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2 조작부가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상한값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제2 조작부가 재차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전동 릴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The motor control unit of the electric reel motor control device of the fifth aspect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put of the motor is maintained at the upper limit valu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in the first control mode, stops the output of the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again. In this case, the operability of the electric reel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릴에 있어서의 유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bility of the inducing operation in an electric reel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채용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2는 전동 릴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제1 제어 모드의 특성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의 평면도.
도 5는 제1 제어 모드의 특성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1 제어 모드의 특성의 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reel employ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electric reel.
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ontrol mode.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Figure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ontrol mode.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ontrol mode.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채용한 전동 릴(10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모터 구동되는 전동 릴이다.An electric reel (100) employ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 reel driven by a motor by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s shown in Fig. 1.

전동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2)과 모터(3)와 핸들(4)과 카운터 케이스(5)와 제1 압압부(11)와 제2 압압부(12)와 모터 제어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압압부(11), 제2 압압부(12), 및 모터 제어부(17)는, 모터 제어 장치의 일부를 구성한다.An electric reel (100) comprises a reel body (1), a spool (2), a motor (3), a handle (4), a counter case (5), a first pressure unit (11), a second pressure unit (12), and a motor control unit (17). The first pressure unit (11), the second pressure unit (12), and the motor control unit (17) constitute part of a motor control device.

릴 본체(1)는, 프레임(6)과, 프레임(6)의 일방(一方) 측을 덮는 제1 측 커버(7)와, 프레임(6)의 타방(他方) 측을 덮는 제2 측 커버(8)와, 프레임(6)의 전부(前部)를 덮는 도시하지 않은 전(前) 커버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스풀(2)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도시하지 않은 레벨 와인드 기구나, 모터(3) 및 핸들(4)의 회전을 스풀(2)에 전달하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전달 기구 등이 배치되어 있다.The reel body (1) has a frame (6), a first side cover (7) covering one side of the frame (6), a second side cover (8) covering the other side of the frame (6), and a front cover (not shown) covering the front of the frame (6). Inside the reel body (1), a level wind mechanism (not shown)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 spool (2), a rotation transmission mechanism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motor (3) and the handle (4) to the spool (2), etc. are arranged.

스풀(2)은,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2)은, 제1 측 커버(7)와 제2 측 커버(8)와의 사이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e spool (2) is arranged inside the reel body (1). The spool (2)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el body (1) between the first side cover (7) and the second side cover (8).

모터(3)는,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3)는, 모터 제어부(17)에 의하여 PWM 제어되고, 제1 압압부(11) 및 제2 압압부(12)의 압압 조작에 따라, 스풀(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The motor (3) is placed inside the reel body (1). The motor (3) is PWM controlled by the motor control unit (17), and rotates the spool (2) in the line win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first pressure unit (11)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12).

핸들(4)은, 제1 측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e handle (4)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first side cover (7).

카운터 케이스(5)는, 릴 본체(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는, 프레임(6)에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5)에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표시부(10)와, 제1 압압부(11)와, 제2 압압부(12)와, 제1 ~ 제3 조작부(13 ~ 15)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압압부(11)는, 압압부의 일례이다.The counter case (5)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el body (1). The counter case (5) is fixed to the frame (6). The counter case (5) is provided with a display section (10) ha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a first pressing section (11), a second pressing section (12), and first to third operating sections (13 to 15). The first pressing section (11) is an example of a pressing section.

제1 ~ 제3 조작부(13 ~ 15)는, 주로 전동 릴(100)의 각종 설정을 할 때에 사용된다. 제1 ~ 제3 조작부(13 ~ 15)는, 압압 조작된다. 제1 ~ 제3 조작부(13 ~ 15)는, 표시부(10)에 설치된 터치 패널이어도 무방하다. 카운터 케이스(5)의 내부에는,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6)(도 2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The first to third operating sections (13 to 15) are mainly used when making various settings of the electric reel (100).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sections (13 to 15) are operated by pressure.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sections (13 to 15) may be touch panels installed on the display section (10). A control section (16) (see Fig. 2)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is accommodated inside the counter case (5).

제1 압압부(11) 및 제2 압압부(12)는, 압압 조작되도록 릴 본체(1)에 설치된다. 제1 압압부(11) 및 제2 압압부(12)는, 시소식의 감압 스위치이다. 제1 압압부(11)는, 압력 센서(11a)를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11a)는, 제1 압압부(11)를 압압 조작하는 압압력(이하, 제1 압압력이라고 적는다)의 크기에 따른 검출값을 전기 신호로서 모터 제어부(17)에 출력한다. 제2 압압부(12)는, 압력 센서(12a)를 가지고 있다. 압력 센서(12a)는, 제2 압압부(12)를 압압 조작하는 압압력(이하, 제2 압압력이라고 적는다)의 크기에 따른 검출값을 전기 신호로서 모터 제어부(17)에 출력한다.The first pressure unit (11)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12) are installed in the reel body (1) to be pressure-operated. The first pressure unit (11)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12) are seesaw-type pressure-reducing switches. The first pressure unit (11) has a pressure sensor (11a). The pressure sensor (11a) outputs a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essure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ressure force) for pressurizing the first pressure unit (11)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motor control unit (17). The second pressure unit (12) has a pressure sensor (12a). The pressure sensor (12a) outputs a det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essure for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ressure force) for pressurizing the second pressure unit (12) as an electric signal to the motor control unit (17).

제어부(16)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 구성으로서 모터(3)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7)와, 증가도 설정부(18)와, 상한 설정부(19)와, 표시부(10)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20)를 가지고 있다. 모터 제어부(17)는, 모터(3)를 PWM 구동하는 모터 구동 회로(21)를 통하여,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 또는 제2 압압부(12)로의 압압 조작에 따라 모터(3)의 출력(이하, 모터 출력이라고 적는다)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6) has a motor control unit (17) for controlling the motor (3), an increase setting unit (18), an upper limit setting unit (19), and a display control unit (20)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10) as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e motor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3) (hereinafter referred to as motor output) according to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first pressing unit (11) or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second pressing unit (12) through a motor driving circuit (21) that PWM-drives the motor (3).

제어부(16)에는, 제1 압압부(11), 제2 압압부(12), 및 제1 ~ 제3 조작부(13 ~ 1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6)에는, 표시부(10), 스풀(2)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기 위한 스풀 센서(22) 및 기억부(23)가 접속되어 있다. 기억부(23)는, 예를 들어 불휘발성 메모리이고,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정보 및 뱃전 정지 위치의 정보 등의 전동 릴(100)의 각종 설정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The control unit (16) is connected to a first pressure unit (11), a second pressure unit (12), and first to third operating units (13 to 15).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 is connected to a display unit (10), a spool sensor (22) for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and rotation direction of the spool (2), and a memory unit (23). The memory unit (23) is, for example, a nonvolatile memory, and stores various setting information of the electric reel (100), such as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sh habitat layer and information on the boat stop position.

모터 제어부(17)는, 모터 출력을 정지 상태로부터 최대 출력까지 단계적으로 제어한다. 모터 제어부(17)는, 모터(3)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고 있고, 최대 출력은 듀티비 100%이다. 모터 출력은, 예를 들어 모터(3)의 회전 속도이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부하가 걸려 스풀(2)의 회전 속도가 저하하였을 때는, 소정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도록 피드백 제어되어 있다.The motor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motor output stepwise from a stop state to maximum output. The motor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motor (3) in a PWM manner, and the maximum output is a duty ratio of 100%. The motor output is, for exampl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In addition, here, when a load is applied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spool (2) decreases, feedback control is performed to maintain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출력은 0으로부터 Nmax까지의 복수의 단계(Nmax+1 단계)로 단계적으로 조정되어 있다. 0단계는 모터(3)의 정지 상태이고, Nmax 단계는 모터(3)가 최대 출력으로 구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모터 출력은, 예를 들어 31단계로 조정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otor output is adjusted in steps from 0 to Nmax (Nmax+1 step). Step 0 is a state in which the motor (3) is stopped, and the Nmax step is a state in which the motor (3) is driven at maximum output. The motor output is adjusted in, for example, 31 steps.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모드로 모터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제어부(17)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선택된 제어 모드로 모터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제어부(17)는, 예를 들어, 제3 조작부(15)의 압압 조작에 따라 제어 모드를 전환한다.The motor control unit (17)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tor output in one of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ing at least the first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motor output in a control mod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The motor control unit (17) switches the control mode according to, for example, a pressure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on unit (15).

복수의 제어 모드는, 통상(通常) 제어 모드를 포함한다. 모터 제어부(17)는, 통상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력에 따라 모터 출력(예를 들어, 모터(3)의 회전 속도)을 증가시키고, 제2 압압력에 따라 모터 출력(예를 들어, 모터(3)의 회전 속도)을 감소시킨다. 모터 제어부(17)는, 통상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 혹은 제2 압압부(12)로의 압압 조작이 해제되었을 때의 모터 출력을 유지한다.The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e a normal control mode. In the normal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increases the motor output (e.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according to the first pressing force, and decreases the motor output (e.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according to the second pressing force. In the normal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maintains the motor output when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first pressing unit (11) or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second pressing unit (12) is released.

덧붙여,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는 압압력의 하한값 및 상한값(예를 들어, 하한값 30그램, 상한값 2킬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한값과 상한값의 범위 내를 임의의 단계로 분할(예를 들어, 31등분)한 후,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의 단계 증가수 및 단계 감소수가 설정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e.g., lower limit 30 grams, upper limit 2 kilograms) of the pressure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1a, 12a) are set. Then, after dividing the range of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into arbitrary steps (e.g., 31 equal parts), the number of steps increased and decreased in the motor output corresponding to each step is set.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만 제1 압압력에 따라 모터 출력을 제어한다.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이 해제된 것에 따라, 모터 출력을 0단계까지 감소시킨다.The motor control unit (17) controls the motor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force only while the pressure operation to the first pressure unit (11) continues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reduces the motor output to level 0 when the pressure operation to the first pressure unit (11) is released in the first control mode.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력의 크기에 비례하여 모터 출력을 증가시킨다. 덧붙여, 제1 제어 모드에서는, 압력 센서(11a)로부터 출력되는 제1 압압력의 하한값 및 상한값의 범위 내를 임의의 단계로 분할(예를 들어, 31등분)한 후,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여기에서는, 모터(3)의 회전 속도)이 설정되어 있다.The motor control unit (17) increases the motor output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first pressure in the first control mode. In addition,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range of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of the first pressure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1a) is divided into arbitrary steps (e.g., divided into 31 equal parts), and then the motor output (her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corresponding to each step is set.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가 압압 조작되면,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압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 단계(N1)까지 모터 출력을 증가시킨다. 이 때, 모터 제어부(17)는, 증가도 설정부(18)에서 설정된 증가도로 모터 출력을 증가시킨다. 여기에서의 증가도는, 예를 들어, 모터(3)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로부터 모터 출력 단계(N1)에 대응하는 모터(3)의 회전 속도에 도달시킬 때의 가속도(각가속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모터 출력 단계(N)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pressurizing unit (11) is subjected to a pressurizing operation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motor control unit (17) increases the motor output to the motor output stage (N1)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first pressurizing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At this time, the motor control unit (17) increases the motor output by the increase set in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The increase here is, for example, the acceleration (angular acceleration)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corresponding to the motor output stage (N1) is reached from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motor (3) is stopped. In Fig. 3,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motor output stage (N).

증가도 설정부(18)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13)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 여기에서는, 증가도 설정부(18)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모터 출력 단계(N1)에 대응하는 모터(3)의 회전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3)의 가속도를 제1 조작부(13)의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The increase setting unit (18) changes the increase of the motor output until the motor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13). Here,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changes the acceleration of the motor (3) unti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corresponding to the motor output stage (N1)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13).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가도 설정부(18)가 설정 가능한 가속도의 설정값은, 예를 들어, 고가속도(H), 중가속도(M), 저가속도(L)의 3단계이다. 고가속도(H)에 대응하는 듀티비는, 중가속도(M)에 대응하는 듀티비보다도 높다. 중가속도(M)에 대응하는 듀티비는, 저가속도(L)에 대응하는 듀티비보다도 높다.As shown in Fig. 3, the setting values of the acceleration that can be set by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are, for example, three stages of high acceleration (H), medium acceleration (M), and low acceleration (L). The duty ratio corresponding to high acceleration (H) is higher than the duty ratio corresponding to medium acceleration (M). The duty ratio corresponding to medium acceleration (M) is higher than the duty ratio corresponding to low acceleration (L).

가속도의 설정값은,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다. 증가도 설정부(18)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모터 출력 단계(N1)에 대응하는 모터(3)의 회전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가속도를 제1 조작부(13)로의 압압 조작에 따라 변경한다.The acceleration setting value is stored in the memory (23).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changes the acceleration unti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3) corresponding to the motor output stage (N1)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reach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13)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도 4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10)의 평면도이다. 표시 제어부(20)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증가도 설정부(18)에서 설정된 가속도의 설정값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가속도(H)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있어서, 표시부(10)에 [H]라고 표시시킨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unit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20) causes the display unit (10) to display the acceleration setting value set by the increase setting unit (18)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 the display control unit (20) causes the display unit (10) to display [H] when high acceleration (H) is selected.

상한 설정부(19)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모터 출력의 상한값을 변경한다. 즉, 모터 제어부(17)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모터 출력의 최대값을 상한 설정부(19)에서 설정된 값으로 제한한다. 여기에서는, 모터 제어부(17)는, 모터 출력의 단계를 상한 설정부(19)에서 설정된 상한 단계(NM)로 제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한 단계(NM)에 대응하는 제1 압압력보다도 큰 압압력으로 제1 조작부(13)가 압압 조작되었을 경우, 모터 출력은, 상한 단계(NM)로 제한된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제1 압압력을 나타낸다.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changes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motor output in the first control mode.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motor control unit (17) limits the maximum value of the motor output to the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in the first control mode. Here, the motor control unit (17) limits the stage of the motor output to the upper limit stage (NM)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Specifically, in the first control mode, when the first operating unit (13) is pressed with a pressing force greater than the first press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stage (NM), the motor output is limited to the upper limit stage (NM). In Fig. 5,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first pressing force.

제어부(16)는, 예를 들어, 제3 조작부(15)의 압압 조작에 따라 상한 설정부(19)의 설정용 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표시 제어부(20)는, 상한 단계(NM)의 설정용 모드를 표시부(10)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예를 들어, 제1 조작부(13) 또는 제2 조작부(14)를 압압 조작하여, 상한 단계(NM)를 임의의 단계로 선택하고, 제3 조작부(15)를 재차 조작하는 것으로 상한 단계(NM)가 변경된다.The control unit (16) switches to the setting mode of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according to, for example,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third operation unit (15).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20) displays the setting mode of the upper limit stage (NM) on the display unit (10). Then, for example, the first operation unit (13) or the second operation unit (14) is pressure-operated to select the upper limit stage (NM) as an arbitrary stage, and the upper limit stage (N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third operation unit (15) again.

표시 제어부(20)는,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한 설정부(19)에서 설정된 상한값을 표시부(10)에 표시시킨다. 덧붙여, 도 4에서는, 상한값에 대응하는 상한 단계(NM)의 값이 22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The display control unit (20) displays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on the display unit (10)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In addition,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value of the upper limit step (NM)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value is set to 22.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로의 압압 조작이 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조작부(14)가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 출력을 상한 설정부(19)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값(여기에서는, 상한 단계(NM))까지 증가시켜, 상한 설정부(19)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값으로 모터 출력을 유지한다. 모터 제어부(17)는, 스풀(2)로부터 방출된 낚싯줄이 정지 줄 길이에 도달하였을 때에, 모터 출력을 정지시킨다. 정지 줄 길이는, 예를 들어, 낚싯줄에 취부(取付)된 채비가 잡기 쉬운 위치로 설정된다. 모터 제어부(17)는, 예를 들어, 제3 조작부(15)가 길게 눌렸을 때의 줄 길이를 정지 줄 길이로서 설정한다.As shown in Fig. 6, in the first control mode, if the pressure operation by the first pressure unit (11) is not performed, the motor control unit (17) increases the motor output to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here, the upper limit step (N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14), and maintains the motor output at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19). The motor control unit (17) stops the motor output when the fishing line released from the spool (2) reaches the stop line length. The stop line length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tackle attached to the fishing line is easy to catch, for example. The motor control unit (17) sets, for example, the line length when the third operation unit (15) is pressed for a long time, as the stop line length.

모터 제어부(17)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2 조작부(14)가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 출력을 상한값(여기에서는, 상한 단계(NM))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제2 조작부(14)가 재차 조작된 것에 따라 모터 출력을 정지시킨다.The motor control unit (17) stops the motor output when the second operating unit (14) is operated again while maintaining the motor output at the upper limit value (here, the upper limit step (NM)) in the first control mode.

이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서는,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제1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 출력의 증가도를, 제1 조작부(13)의 조작에 따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압압부(11)의 압압 조작에 의한 유인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motor control device of this electric reel, in the first control mode, the increase in the motor output until reaching the motor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pressing force in the first control mod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ng unit (13), so the operability of the inducing operation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first pressing unit (11) can be improved.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 제1 조작부(13)를 조작하는 것으로, 제1 압압력에 따른 모터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모터 출력의 증가도를 신속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인 동작의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the increase in motor output until reaching the motor output according to the first pressure can be quickly changed by operating the first operating unit (13), so the operability of the manipulating operation is further improved.

모터 제어 장치는, 상한 설정부(19)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1 압압부(11)의 압압 조작에 의한 유인 동작 중에, 낚시꾼이 상정한 이상으로 모터 출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motor control device is equipped with an upper limit setting section (19), in the first control mode, it can prevent the motor output from increasing beyond what the angler expected during the luring operation by the pressure operation of the first pressure section (11).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한 설정부(19)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 단계(NM)에 대응하는 모터 출력으로 낚싯줄을 자동으로 감아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전동 릴의 조작성이 향상한다.In the first control mod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wind up the fishing line with the motor output corresponding to the upper limit step (NM)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section (19), so the operability of the electric reel in the first control mode is improved.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제1 ~ 제3 조작부(13 ~ 15)의 조작에 따라, 제1 압압부(11)와 제2 압압부(12)의 기능이 서로 교체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units (13 to 15), the functions of the first pressure unit (11) and the second pressure unit (12) may be interchanged.

압력 센서(11a, 12a)는 감압 소자와 같은 단체(單體) 부품이 아니고, 큰 용수철 정수의 용수철로 압압된 부재의 미소한 변위량에 따라 출력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The pressure sensor (11a, 12a) may not be a single component such as a pressure reducing element, but may be one that outputs according to the minute displacement amount of a member pressed by a spring with a large spring constan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출력으로서 스풀(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피드백 제어하고 있었지만, 모터(3)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감아올림 토크(torque)가 소정값이 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혹은 스풀(2)의 줄 감기 직경을 산출하여 장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제어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spool (2) was detected as the motor output and feedback controll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motor (3) so that the winding torque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line winding diameter of the spool (2) and control the tension so that it becomes a predetermined value.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전기 신호에 따라 모터(3)를 회전시킬 때의 제어 방법을, 소정의 스풀 회전 속도로 제어하는지, 소정의 토크값으로 제어하는지의 2개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trol method for rotating the motor (3) according to the electric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1a, 12a)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rom two methods: controlling at a predetermined spool rotation speed or controlling at a predetermined torque value.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력 센서(11a, 12a)로부터 출력되는 압압력의 하한값과 상한값의 범위 내를 임의의 단계로 분할할 때는, 그 범위를 균등하게 분할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모터(3)의 출력 단계의 단계 증가수 및 단계 감소수가 낮은 단계에 대응하는 압압력의 범위를, 높은 단계의 범위에 비하여 크게 하여도 무방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dividing the range of the lower limit and upper limit of the pressure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11a, 12a) into arbitrary steps, the range does not have to be divided equally. The range of the pressure corresponding to a step with a low step increase number and step decrease number of the output step of the motor (3) may be made larger than the range of a high step.

전술한 모터 제어부(17)의 모터 제어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실행하는 것으로 모터 제어 처리가 행하여져도 무방하다.It is also possible to recor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otor control processing of the aforementioned motor control unit (17)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have the program recorded in the recording medium be executed by, for exampl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1: 릴 본체
2: 스풀
3: 모터
11: 제1 압압부(압압부의 일례)
13: 제1 조작부
14: 제2 조작부
17: 모터 제어부
18: 증가도 설정부
19: 상한 설정부
100: 전동 릴
1: Reel body
2: Spool
3: Motor
11: 1st pressure unit (Example of pressure unit)
13: 1st Control Unit
14: Second Control Unit
17: Motor control unit
18: Increase setting section
19: Upper limit setting section
100: Electric Reel

Claims (5)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을 모터로 구동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압압(押壓) 조작되도록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압압부와,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제1 조작부와,
상기 압압부로의 압압 조작이 계속되어 있는 동안만 상기 압압부를 압압하는 압압력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드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선택된 제어 모드로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모터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압압력에 따른 상기 모터의 출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상기 모터의 출력의 증가도를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하는 증가도 설정부
를 구비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In a motor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reel that drives a spool rotatably mounted on a reel body by a motor,
A pressure unit installed on the reel body to be operated by pressure,
A first op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above reel body,
A motor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motor in a control mode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control modes, including at least a first control mode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ing force that presses the pressing unit only while the pressing operation to the pressing unit continues;
An increase setting section that changes the increase in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pressure in the first control mode until the output of the motor is reached according to the pressure.
Equipped with,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도 설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가도를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변경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increase setting section changes the increas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on section when the first control mode is selected.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출력의 상한값을 변경하는 상한 설정부를 더 구비하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n upper limit setting section for changing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output of the motor in the first control mode.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제2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로의 압압 조작이 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2 조작부가 조작된 것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기 상한 설정부에 의하여 설정된 상한값까지 증가시키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op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above reel body,
The above motor control unit, in the first control mode, if the pressure operation by the pressure unit is not performed, increases the output of the motor to the upper limit value set by the upper limit setting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부가 조작된 것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상한값으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상기 제2 조작부가 재차 조작된 것에 따라 상기 모터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전동 릴의 모터 제어 장치.
In paragraph 4,
The above motor control unit, in the first control mode, when the output of the motor is maintained at the upper limit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stops the output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unit agai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KR1020240010119A 2023-06-12 2024-01-23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Pending KR2024017529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096121A JP2024177787A (en) 2023-06-12 2023-06-12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s
JPJP-P-2023-096121 2023-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5290A true KR20240175290A (en) 2024-12-19

Family

ID=93756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119A Pending KR20240175290A (en) 2023-06-12 2024-01-23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177787A (en)
KR (1) KR20240175290A (en)
CN (1) CN11911148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6316A (en) 2019-07-17 2021-02-15 株式会社シマノ Motor control unit of electrical ree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6316A (en) 2019-07-17 2021-02-15 株式会社シマノ Motor control unit of electrical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177787A (en) 2024-12-24
CN119111480A (en) 202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0001B2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CN107616152B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fishing reel
CN107302905B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fishing reel
KR20240175290A (en)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KR102638428B1 (en) Motor control device for motor driven reel
JP5021589B2 (en) Fishing electric reel
JP2017189150A5 (en)
CN107296022B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fishing reel
JP2019080540A5 (en)
JP2008043303A (en) Fishing electric reel
KR20250032848A (en) Moto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al fishing reel
JP2017189151A5 (en)
CN107361032B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fishing reel
CN112425575A (en) Motor control device
JP2894534B2 (en) Electric fishing reel
JP7149698B2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
JP7114541B2 (en) Electric reel control device and electric reel
JP2017192319A5 (en)
JP2002051674A (en) Motor control circuit of electric reel
JP2023118338A (en) Motor control device of electric reel and program
JP2023118337A (en) Motor control device of electric reel and program
JP2024119408A (en) Motor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els
JP2019080539A5 (en)
JPH02107146A (en) Controller for motor in fishing reel
JPH099834A (en) Fishing electrically-driven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