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74208A - Vacuum cleaner head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h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4208A
KR20240174208A KR1020230073328A KR20230073328A KR20240174208A KR 20240174208 A KR20240174208 A KR 20240174208A KR 1020230073328 A KR1020230073328 A KR 1020230073328A KR 20230073328 A KR20230073328 A KR 20230073328A KR 20240174208 A KR20240174208 A KR 20240174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opening
suction
area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3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순정
Original Assignee
고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순정 filed Critical 고순정
Priority to KR102023007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74208A/en
Publication of KR20240174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7420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72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흡입되는 헤드케이싱의 흡입슬릿의 면적을 제1회전자의 제1차단부와 제2회전자의 제2차단부로 차단하여 흡입력을 개방면으로 집중시키되 상기 제2회전자가 이동하면서 개방면의 면적이 가변되어 흡입력이 더욱 증폭되며, 제1회전자 및 제2회전자가 회전하면서 개방면의 위치가 이동하여 흡입슬릿이 전 면적을 커버하는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the area of a suction slit of a head casing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s blocked by a first blocking portion of a first rotor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of a second rotor to concentrate suction force on an open surface, and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changes as the second rotor moves, thereby further amplifying the suction force, and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moves as the first and second rotors rotate, so that the suction slit covers the entire surface.

Description

진공청소기 헤드 {Vacuum cleaner head}Vacuum cleaner head {Vacuum cleaner head}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흡입되는 헤드케이싱의 흡입슬릿의 면적을 제1회전자의 제1차단부와 제2회전자의 제2차단부로 차단하여 흡입력을 개방면으로 집중시키되 상기 제2회전자가 이동하면서 개방면의 면적이 가변되어 흡입력이 더욱 증폭되며, 제1회전자 및 제2회전자가 회전하면서 개방면의 위치가 이동하여 흡입슬릿이 전 면적을 커버하는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the area of a suction slit of a head casing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s blocked by a first blocking portion of a first rotor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of a second rotor to concentrate suction force on an open surface, and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changes as the second rotor moves, thereby further amplifying the suction force, and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moves as the first and second rotors rotate, so that the suction slit covers the entire surface.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청소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쓸거나 비산시키고, 비산된 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흡입력에 의해 흡입하여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청소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weeps or scatter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present in the cleaning area, and then sucks in the scatter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using suction power to clean the area to be cleaned.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업소에서 바닥을 깨끗하게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헤드부, 흡입력을 생성하는 모터, 먼지 및 쓰레기를 한 곳에 모으는 집진기, 헤드부와 집진기 사이를 잇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used to clean floors in homes, offices, or businesses consists of a head tha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a motor that generates suction, a dust collector that collects dust and debris in one place, and a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he head and the dust collector.

청소기 흡입구에 교체 가능하게 탈착되는 헤드부의 경우, 넓은 범위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일반 헤드, 창틀이나 문틈 같이 좁은 틈새를 청소할 수 있는 틈새 헤드 및 수납장 상부와 가구 사이 틈새 같이 다양한 사용 환경에 적합한 브러쉬 헤드가 구비된다. For the head part that can be detached and replaced on the vacuum cleaner suction inlet, there is a general head that can easily clean a wide area, a crevice head that can clean narrow gaps such as window frames or door gaps, and a brush head that is suitable for various usage environments such as the gap between the top of a storage unit and furniture.

너비가 길게 형성된 일반 헤드의 경우, 넓은 면적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거실이나 안방 또는 공연장 같이 넓은 바닥면을 청소할 때 일반 헤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일반 헤드의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어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무거운 이물질을 흡입할 시에 흡입력이 부족하여 청소 효과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general head formed with a long width,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easily clean a wide area. Therefore, a general head is used when cleaning a wide floor surface such as a living room, bedroom, or performance hall.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s distributed over the wide area of the general head, so when sucking up dust or heavy foreign substances stuck to the floor, the suction power is insufficient, and the cleaning effect is reduced.

창틀이나 가구 사이 틈을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틈새 헤드의 경우, 일반 헤드보다 흡입구의 면적이 좁다. 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좁은 면적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더 높은 흡입력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좁은 틈새 헤드로 넓은 공간을 청소하는 경우, 사용자가 청소기 흡입구를 일반 헤드보다 더 많이 움직이면서 청소해야하고, 장시간 청소시에 청소기의 무게로 인해 팔이나 허리 등 신체에 피로감과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a crevice head that can easily clean the gaps between window frames or furniture, the suction area is narrower than that of a regular head. Since the suction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is concentrated on a narrow area,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higher suction power. However, when cleaning a wide space with a narrow crevice head, the user has to move the vacuum cleaner suction more than a regular head and clean it, and when cleaning for a long time, the weight of the vacuum cleaner causes fatigue and discomfort in the body such as the arms and waist.

또한, 진공청소기 내 공기의 흐름으로 볼 때, 종래의 진공청소기에서 이물질이 청소기 헤드부, 연결부를 경유하여 집진기에 도달하며, 집진기에는 필터가 구비되어 있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를 걸러낸다. 공기를 흡입하는 모터는 집진기의 뒷편에 위치한다. 따라서 청소하면서 먼지, 머리카락 등 이물질이 집진기 내부의 필터에 쌓여 모터의 흡입 구멍을 막아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감소한 흡입력을 일정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면 청소기의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큰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Also, when looking at the air flow inside the vacuum cleaner, in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foreign substances pass through the cleaner head and connection to reach the dust collector, and the dust collector is equipped with a filter to filter out dust contained in the air. The motor that sucks in air is located at the back of the dust collector. Therefore, while clean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hair accumulate in the filter inside the dust collector, blocking the suction holes of the motor, which reduces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clean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duced suction power to a certain level,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increas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vacuum cleaner increase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of generating loud noise.

이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모터를 가동하는 무선청소기나 로봇청소기의 경우, 증가된 소비전력에 맞추어 배터리의 용량을 늘려야한다. 용이하게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청소기가 무거운 배터리 무게로 인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고, 증가한 소비전력으로 인해 사용시간이 짧아져 자주 충전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cordless vacuum cleaners or robot vacuum cleaners that use batteries to operate the motor, the battery capacity must be increased to match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Cordless vacuum cleaners used for easy cleaning have the disadvantage of causing inconvenience to users due to the heavy weight of the battery, and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shortens the usage time and requires frequent charging.

따라서 넓은 바닥면에 달라붙은 먼지와 이물질을 강한 흡입력으로 제거하면서도 장시간 청소시에 신체에 무리가지 않고, 일정한 흡입력을 유지하여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청소기의 헤드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cuum cleaner head that can remove dust and foreign substances stuck to a wide floor surface with strong suction power, while not putting a strain on the body during long-term cleaning, and maintaining constant suction pow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KR 20-0243532 (Y1) 2001.08.08.KR 20-0243532 (Y1) 2001.08.08. KR 10-2020-0117358 (A) 2020.10.14.KR 10-2020-0117358 (A) 2020.10.1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소대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헤드케이싱의 흡입슬릿의 면적을 제1회전자의 제1차단부로 일부 차단하여 이물질이 흡입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흡입력을 강화하며, 제1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이 흡입되는 개방면이 흡입슬릿의 전체 면적을 커버함으로써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1회전자의 제1개구부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차단부로 가릴 수 있어 동일 흡입모터를 사용하면서 흡입력을 증폭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the area of a suction slit of a head casing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s in foreign substances is partially blocked by a first blocking portion of a first rotor to reduce the area in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ereby enhancing suction power, and in which, as the first rotor rotates, an open surface in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thereby enabling cleaning of a wide area, and in which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rotor can be covered with a second blocking portion as much as the user needs, thereby enabling amplification of suction power while using the same suction mo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회전자와 제2회전자가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제1회전자의 회전을 제2회전자에 전달하면서도 제2회전자를 제1회전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흡입면적을 축소시켜, 강한 흡입력을 필요로 할 때에 청소기의 흡입모터가 제공하는 최대 흡입력보다 더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ead which, by connecting a first rotor and a second rotor with splines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or to the second rotor while moving the second rotor axi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or and reducing the suction area, provides a suction force stronger than the maximum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motor of the cleaner when a strong suction force is requir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면적을 가변시키는 개폐조절기를 사용자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흡입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ead in which a user can manually or electrically control an opening/closing regulator that changes the suction area,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trengthen or weaken the suction power when necessar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기되어 회전하는 복수개 회전자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시킬 수 있어 모터의 회전력 변경없이 흡입력을 조절하는 진공청소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head that allows a user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otors that rotate synchronously, thereby controlling suction power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개구부(1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120)가 교대로 배치되며, 회전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자(100); 상기 제1회전자(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자(10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제1회전자(100)와 동기되어 회전하며,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개구부(2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220)가 교대로 배치되는 제2회전자(200);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동시키는 흡입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가 노출되는 흡입슬릿(310)이 형성되는 헤드케이싱(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자(200)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의 중첩 영역이 흡입슬릿(310) 내에서 변경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rotor (100) in which first openings (1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first blocking sections (1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which is rotated by a rotary motor (130); a second rotor (200)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has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synchronously with the first rotor (100), and in which second openings (2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second blocking sections (2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 head casing (300) is formed with a suction pipe (330) that moves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interior to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slit (310) through which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are exposed; an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is changed within the suction slit (310) according to the axial position of the second rotor (20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회전자(100)에는 제2회전자(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플라인(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자(200)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플라인(140)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In addition, the first ro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line (140) formed thereon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second rotor (200); and the second rotor (200)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line (140) by an extern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회전자(200)에는 상기 스플라인(140)이 삽입되는 보스(2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ss (250) formed into which the spline (140) is inserte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회전자(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공(26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60)에 삽입되는 결합핀(271)이 형성된 개폐조절기(27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자(200)는 상기 개폐조절기(27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자(10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한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26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o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having a coupling pin (271)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60) is provided; and the second rotor (200) slides within the first rotor (10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헤드케이싱(300)에는 상기 개폐조절기(27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구(3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liding member (320) that guide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formed in the head casing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회전자(200)의 축방향 이동으로 상기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가리며; 상기 흡입슬릿(310) 영역 중 제1차단부(120) 및 제2차단부(220) 어느 하나에도 가려지지 않은 영역인 개방면(311)에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due to the axial movement of the second ro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the open surface (311), which is an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that is not covered by either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r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회전자(100)와 제2회전자(200)는 원통형상이며,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는 나선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have a spiral shape.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는 청소대상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흡입하는 헤드케이싱의 흡입슬릿의 면적을 제1회전자의 제1차단부로 일부 차단하여 이물질이 흡입되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흡입력을 강화하며, 제1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이물질이 흡입되는 개방면이 흡입슬릿의 전체 면적을 커버함으로써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1회전자의 제1개구부를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 제2차단부로 가릴 수 있어 동일 흡입모터를 사용하면서 흡입력을 증폭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blocks the area of a suction slit of a head casing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s in foreign substances, with a first blocking portion of a first rotor, thereby reducing the area in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thereby enhancing suction power, and as the first rotor rotates, the open surfac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thereby enabling cleaning of a wide area. In addition, since the first opening of the first rotor can be covered with a second blocking portion as much as the user needs,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amplify suction power while using the same suction motor.

또한 본 발명은 제1회전자와 제2회전자가 스플라인으로 결합되어 제1회전자의 회전을 제2회전자에 전달하면서도 제2회전자를 제1회전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흡입면적을 축소시켜, 강한 흡입력을 필요로 할 때에 청소기의 흡입모터가 제공하는 최대 흡입력보다 더 강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uction force stronger than the maximum suction force provided by the suction motor of the vacuum cleaner when a strong suction force is required by reducing the suction area while transmitt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rotor to the second rotor by connecting the first rotor and the second rotor with a spline and moving the second rotor in th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or.

또한 본 발명은 흡입면적을 가변시키는 개폐조절기를 사용자가 수동 또는 전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흡입력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manually or electrically control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that changes the suction area,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strengthen or weaken the suction power when necessary.

나아가 본 발명은 동기되어 회전하는 복수개 회전자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사용자가 변경시킬 수 있어 모터의 회전력 변경없이 흡입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suction power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by allowing the user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s of a plurality of rotors that rotate synchronously.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의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헤드케이싱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저면사시도, (b)는 정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제1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제2회전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다른 실시예의 제2회전자를 나타낸 일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제2회전자가 제1회전자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일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제1개구부와 흡입슬릿이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가 막지 않은 상태의 일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에서 제1개구부와 흡입슬릿이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가 막은 상태로서, (a)와 (b)는 개방면의 면적이 서로 다른 개도율을 띄는 상태의 일면도.
Figure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head casing in a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and (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rotor in a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rotor in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ro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rot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rotor.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econd blocking portion does not block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and the suction slit overlap.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and the suction slit overlap is blocked b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and (a) and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state in which the areas of the open surfaces have different opening rat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을 축소함으로써 흡입력을 강화하되 흡입력이 작용하는 면적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흡입슬릿(310)의 전체에 대해 흡입력이 작용하게 함으로써 강한 흡입력으로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Referring to FIGS. 1 to 8, 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head capable of cleaning a wide area with strong suction power by reducing the area on which the suction power is applied and strengthening the suction power while moving the location of the area on which the suction power is applied so that the suction power is applied to the entire suction slit (310).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개구부(1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120)가 교대로 배치되며, 회전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자(100); A first opening (1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a first blocking portion (1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first rotor (100) rotated by a rotary motor (130);

상기 제1회전자(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자(10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제1회전자(100)와 동기되어 회전하며,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개구부(2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220)가 교대로 배치되는 제2회전자(200); A second rotor (200) arrang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having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first rotor (100) and rotating synchronously with the first rotor (100), and having a second opening (2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2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lternately arranged;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동시키는 흡입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가 노출되는 흡입슬릿(310)이 형성되는 헤드케이싱(300);을 포함한다.It includes a head casing (300) in which a suction pipe (330) is formed to move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interior to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slit (310) through which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are exposed.

이물질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청소대상면에 달라붙은 점착력이 달라지며, 끈적하거나 강하게 청소대상면에 점착되어 있는 경우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한 흡입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강한 흡입력으로 기능하는 흡입모터는 큰 무게와 부피를 갖추는 것이 불가피하였다. Depending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ubstance, the adhesive strength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varies, and if the foreign substance is sticky or strongly adher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a stronger suction force is required to suck up the foreign substance. However, it is inevitable that a suction motor that functions with strong suction force has a large weight and volume.

따라서 본 발명은 흡입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고 동일한 흡입모터로 흡입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흡입력이 발생하는 면적을 축소시켜서 흡입력을 그 면적에 더욱 집중시켜서 청소대상면에 강하게 달라붙은 이물질도 떼어내어 흡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흡입력이 집중되는 면적의 위치를 가변시켜서 본 발명의 헤드가 닿는 모든 면적에 강화된 흡입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area over which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 order to improve suction power with the same suction motor without increasing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thereby concentrating the suction power more on that area, so that foreign substances strongly adher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can be removed and suctioned, and the location of the area over which suction power is concentrated is varied so that enhanced suction power can be applied to all areas touched by 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는 외형을 이루는 헤드케이싱(300)에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슬릿(310)이 형성되되, 상기 헤드케이싱(3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회전자(100)의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의 일부 면적을 막아서 제1개구부(110)를 통하여만 이물질이 내부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차단부(120)가 막고 있는 흡입슬릿(310)에는 흡입력이 작용하지 않으며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겹쳐진 영역에 흡입모터의 흡입력이 집중되어 더욱 강한 흡입력이 작용함으로써 점착력이 강한 이물질도 청소대상면으로부터 분리하여 흡입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slit (310) formed in the head casing (300) forming the outer shap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f the first rotor (100)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ead casing (300) blocks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nly through the first opening (110). Accordingly, the suction force is not applied to the suction slit (310) block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and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is concentrated in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so that a stronger suction force is applied, thereby allowing even foreign substances with strong adhesiveness to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ed in.

게다가, 상기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의 위치가 가변되되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이 제1개구부(110)와 중첩된다. 따라서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강화된 흡입력이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에 작용하므로 동일한 용량(출력)의 흡입모터에서도 더욱 강력한 흡입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이물질을 흡입하는 면적이 축소되지 않고 그대로 보존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the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is changed, but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overlaps the first opening (110). Therefore,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the enhanced suction force acts on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so that a suction motor with the same capacity (output) can exhibit a more powerful suction performance, and there is an effect in which the area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s not reduced but is preserved as is.

더욱이 본 발명의 헤드는 제1회전자(100)의 내부에 제2회전자(200)가 수용되어 제1회전자(100)의 제1개구부(110)를 제2회전자(200)의 제2차단부(220)가 가려서 흡입면적을 축소한다. 따라서 제1개구부(110)와 제2회전자(200)의 제2개구부(210)가 중첩되는 영역에서 흡입력이 더욱 증폭된다. 제1회전자(100)의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의 일부 면적을 가리고, 상기 제2회전자(200)의 제2차단부(220)가 제1회전자(100)의 제1개구부(110)를 가림으로써 흡입력이 더욱 증폭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제2회전자(200)를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켜서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를 가리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흡입력의 증폭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rotor (200)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so that the first opening (110) of the first rotor (100) is covered b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of the second rotor (200), thereby reducing the suction area. Therefore, the suction force is further amplified in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of the second rotor (200) overlap. The suction force is further amplified because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f the first rotor (100) covers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of the second rotor (200) covers the first opening (110) of the first rotor (100). And, the user can control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suction force by adjusting the range in which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s the first opening (110) by reciprocating the second rotor (200)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 헤드는 청소대상면을 훑으며 청소대상면에 존재하는 머리카락, 먼지 등 이물질(청소대상물)을 헤드케이싱(300)의 흡입슬릿(310)을 통해 흡입한다. 흡입력은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는 흡입모터에서 생성되어 흡입슬릿(310)에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자(100)의 제1개구부(110), 제2회전자(200)의 제2개구부(210) 및 흡입슬릿(310)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진다. 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weeps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s in foreign substances (objects to be cleaned) such as hair and dust present on the surface to be cleaned through the suction slit (310) of the head casing (300).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and applied to the suction slit (310). In addition, the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an area overlapping the first opening (110) of the first rotor (100), the second opening (210) of the second rotor (200), and the suction slit (310).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서 청소대상면에 맞닿아 이물질을 흡입하는 헤드에 관한 것으로, 적용 대상이 되는 진공청소기는 유선청소기, 무선청소기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변형되지 않는 선에서 로봇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for sucking up foreign substances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 surface to be cleaned in a vacuum cleaner. The vacuum clean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a corded vacuum cleaner or a cordless vacuum cleaner,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a robot vacuum cleaner without modify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 헤드의 외형을 이루는 헤드케이싱(300)은 하면에 흡입슬릿(310)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흡입슬릿(310)을 통해 내부로 흡입하며,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은 헤드케이싱(300)의 후단에 형성되는 흡입관(330)을 통해 집진기로 이동시킨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head casing (300) forming the outer shape of the vacuum cleaner hea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ction slit (3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suck foreign substance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foreign substances sucked into the interior are moved to a dust collector through a suction pipe (330)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ead casing (300).

상기 흡입슬릿(310)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통로로서, 청소대상면과 맞닿아서 이물질을 흡입하므로 청소의 효율성을 위해 많은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사용자가 청소를 진행할 시에 청소기 헤드를 전방을 향하여 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한번의 전진에 많은 면적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슬릿(310)은 청소기 헤드의 진행방향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슬릿(310)이 도 1에 지시된 축방향으로 와이드하게 형성됨으로써 강한 흡입력으로 한번의 전진에 넓은 면적을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축방향은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가 회전하는 축을 의미한다. 또한 스플라인(140)이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의 회전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제2회전자(200)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The above suction slit (310) is a passage through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introduced, and since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to be cleaned and sucks up foreign substances, it is preferable to form it with a large surface area so that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up for cleaning efficiency. Normally, when a user cleans, the vacuum cleaner head is pushed forward, so in order to clean a large area in one forward movement, the suction slit (310) is formed with a wide width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acuum cleaner head. Accordingly, since the suction slit (310) is formed wide in the axial direction indicated in FIG. 1, a large area can be cleaned in one forward movement with strong suction power. The axial direction illustrated in FIG. 1 means the axis along which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rotate. In addition, the spline (140) protrude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so that the second rotor (200)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가 헤드케이싱(300)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헤드케이싱(300)을 출입하는 부분은 흡입슬릿(310)과 흡입관(330)이 된다. 흡입슬릿(310)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을 내부로 유입시키고, 흡입관(330)을 통해 헤드케이싱(300)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집진기)로 배출한다.When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are assembled inside the head casing (300), the parts entering and exiting the head casing (300) are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suction pipe (330).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re introduced inside through the suction slit (310),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inside of the head casing (30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dust collector) through the suction pipe (330).

상기 헤드케이싱(300)에는 후술할 개폐조절기(270)가 흡입슬릿(310)의 폭방향(도 1에 도시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구(320)가 형성된다. 개폐조절기(270)는 제2회전자(200)에 구비되되 제2회전자(20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구(320)에 끼워진다. 상기 슬라이딩구(320)는 단턱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폐조절기(270)가 제2회전자(200)의 회전력을 받더라도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한다.The above head casing (300) is formed with a sliding member (320) that guides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to reciprocate in the width direction (axial direction shown in FIG. 1) of the suction slit (310).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provided on the second rotor (200), but is fitted into the sliding member (320) so as no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or (200). The sliding member (320) is formed in a step shape to prevent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from rotating even when it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rotor (200).

도 1, 도 3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헤드케이싱(300)의 내부에는 제1회전자(100)가 끼워진다. 상기 제1회전자(100)는 흡입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흡입슬릿(310)의 면적을 축소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3, and 6, a first rotor (100) is fitted inside the head casing (300). The first rotor (1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forms an empty space inside, with a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to enhance suction force.

상기 제1회전자(100)의 외주면에는 이물질이 제1회전자(10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제1개구부(110)와, 이물질이 제1회전자(100)의 내,외부를 출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1차단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개구부(110)와 제1차단부(120)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or (100), a first opening (110) is formed to allow foreign substances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rotor (100), and a first blocking portion (120) is formed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irst rotor (100).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are arranged alternately.

그리고 제1개구부(110)와 제1차단부(120)는 상기 제1회전자(1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And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otor (100).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의 개방된 면적을 축소시키면서 흡입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이 흡입슬릿(310)의 전체면적에 작용하지 않고 제1개구부(110)와 후술할 제2개구부(210)에 의해 막히지 않은 면적에서만 흡입력이 작용한다. As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reduces the open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does not act on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but acts only on the area not blocked by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described later.

상기 제1회전자(100)는 회전모터(1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상기 회전모터(130)는 헤드케이싱(3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회전자(100)에 풀리를 통한 동력 전달 또는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above first rotor (100)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a rotary motor (130). The rotary motor (130) can be placed inside or outside the head casing (300) and can transmit power to the first rotor (100) through a pulley or directly.

제1개구부(110)와 제1차단부(120)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회전자(100)가 회전모터(130)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흡입슬릿(310)과 중첩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을 막고 있던 위치가 변화하며,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의 위치가 변화한다. 어느 일 순간에는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이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 중 일부이지만, 상기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이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한다. Sinc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are formed in a spiral shape, the position where they overlap with the suction slit (310) changes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by the rotary motor (130).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blocks the suction slit (310) changes, and the position of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changes. At a certain moment,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is a part of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but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상기 제1회전자(100)에는 제2회전자(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플라인(140)이 형성된다. 상기 스플라인(140)은 상기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는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자(100)에 고정결합되어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플라인(140)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스플라인(14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십자(十)형상으로 형성되나, 제2회전자(200)에 형성되는 보스(250)에 회전방향으로 걸리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형상이여도 좋다. The first rotor (100) is formed with a spline (140)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or (200). The spline (14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which the first rotor (100) rotates, and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rotor (100), so that the spline (14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or (100). The shape of the spline (14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also have a shape tha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by a boss (250) formed on the second rotor (200) bu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도 1,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자(200)는 제1회전자(100)의 제1개구부(110)를 추가적으로 가려서 흡입면적을 더욱 축소함으로써 흡입력을 증폭하기 위한 회전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2회전자(200)는 제1회전자(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1회전자(100)가 제2회전자(200)를 감싸나, 다른 실시예로서 제2회전자(200)의 내부에 제1회전자(100)가 수용될 수도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4, and 6, the second rotor (200) is a rotor for further reducing the suction area by additionally covering the first opening (110) of the first rotor (100) to amplify the suction for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tor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so that the first rotor (100) surrounds the second rotor (200), but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otor (1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rotor (200).

상기 제2회전자(200)에는 이물질이 제2회전자(200)의 내,외부를 출입하는 제2개구부(210)와, 이물질이 제2회전자(200)의 내,외부를 출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제2차단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개구부(210)와 제2차단부(220)는 서로 교대로 배치된다. The second rotor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210) that allows foreign substances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rotor (200),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220) tha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and exi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cond rotor (200). The second opening (210)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are arranged alternately.

상기 제2개구부(210)와 제2차단부(220)는 상기 제2회전자(20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The second opening (210)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or (200).

제2회전자(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스플라인(140)이 삽입되는 보스(250)가 형성된다. 상기 보스(250)는 스플라인(140)과 회전방향으로 걸림구조를 이루어, 스플라인(140)의 회전을 제2회전자(200)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1회전자(100)가 회전모터(130)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 스플라인(140)을 통해 제2회전자(200)도 회전한다. A boss (250) into which the spline (140) is inser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rotor (200). The boss (250) forms a structure that engages with the spline (14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spline (140) to the second rotor (200). Therefore, when the first rotor (100) rotates by receiving power from the rotary motor (130), the second rotor (200) also rotates through the spline (140).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회전모터(130)는 제1회전자(100)를 회전시키고 스플라인(140)을 통하여 제2회전자(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나, 다른 실시예로 제2회전자(200)를 회전시켜서 스플라인(140)을 통하여 제1회전자(10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motor (130) rotates the first rotor (100) and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or (200) through the spline (140). However, 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rotor (200) may be rotated and the rotational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otor (100) through the spline (140).

보스(250)는 스플라인(140)과 회전 방향으로 걸려서 제2회전자(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되, 축방향으로 슬립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2회전자(200)가 제1회전자(100)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 The boss (250) is rotated along the spline (140) to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or (200), but slips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rotor (200) moves relative to the first rotor (100).

상기 제2회전자(20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회전자(200)에는 개폐조절기(27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조절기(27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271)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271)이 제2회전자(2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공(260)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핀(271)이 결합공(26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단턱(272)이 결합핀(271)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단턱(272)은 상기 결합공(260)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결합공(260)을 통과할 수 없다. In order to move the second rotor (200), the second rotor (200) is equipped with an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As shown in FIG. 4, a coupling pin (271) is formed on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and the coupling pin (271) is inserted into a coupling hole (260)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otor (200), and a coupling step (272) is formed on the coupling pin (271) so that the coupling pin (271) does not fall out of the coupling hole (260). The coupling step (272) is formed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upling hole (260) so that it cannot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260).

상기 개폐조절기(270)를 이동시키면 상기 제2회전자(200)가 도 6처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2회전자(200)가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제1회전자(100)와 회전방향으로 걸림구조를 이루어 제2회전자(200)가 제1회전자(100)와 함께 회전한다.When the above-mentioned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moved, the second rotor (200)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even if the second rotor (20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it forms a locking structure with the first rotor (10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otor (20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tor (100).

상기 개폐조절기(270)는 제2회전자(200)의 회전과 무관하며, 제2회전자(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개폐조절기(270)와 제2회전자(200)는 핀결합되되 약간의 유격을 주거나 베어링을 설치하여, 제2회전자(200)가 회전하더라도 개폐조절기(270)는 회전하지 않고 헤드케이싱(300)의 슬라이딩구(320)에 위치한다. The above-mentioned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independent of the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200) and does not receive the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rotor (200).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and the second rotor (200) are pin-connected, but a slight amount of play is provided or a bearing is installed, so that even if the second rotor (200) rotates,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does not rotate and is positioned in the sliding member (320) of the head casing (3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자(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제2회전자(200)의 제2차단부(220)는 제2회전자(200)의 내부로 두께가 연장되어 중심부까지 채울 수 있다. 이런 형상에서 제2개구부(210)는 내부까지 계속하여 비어있는 중공면(240)이고, 제2차단부(220)는 내부까지 채워진 바디면(230)이 된다. 여기서 제2개구부(210)와 제2차단부(220)는 제2회전자(200)의 외면을 의미하며, 중공면(240)과 바디면(230)은 제2회전자(200)의 내부공간을 의미한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rotor (200)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may extend in thickness into the inside of the second rotor (200) to fill the center thereof. In this shape, the second opening (210) is a hollow surface (240) that continues to be empty all the way to the inside,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becomes a body surface (230) that is filled all the way to the inside. Here, the second opening (210)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denote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rotor (200), and the hollow surface (240) and the body surface (230) denote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rotor (200).

제2개구부(210)를 통해 회전자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제2차단부(220)의 바디면(230)을 경계를 따라 중공면(240)으로 이동하여 이물질이 제2회전자(200) 내에서의 유동경로가 최단거리로 유도됨으로써 이물질이 신속히 흡입관(330)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제2회전자(200) 내부에서 계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entered the interior of the rotor through the second opening (210) move along the boundary of the body surface (230) of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to the hollow surface (240),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quickly discharged to the suction pipe (330) and from being held inside the second rotor (200) by guiding the foreign substances to the shortest flow path within the second rotor (200).

이때 바디면(230)은 제2회전자(200)의 중심(회전축)까지 완전히 채워지지 않고 중공면(240) 가장자리와 바디면(230)의 경계가 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고, 중심이 일부 제외될 수 있다. 상기 바디면(230)의 단면은 사각형상 또는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ody surface (230) may not be completely filled up to the center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or (200), but may form a surface that is the boundary between the edge of the hollow surface (240) and the body surface (230), and the center may be partially excluded. The cross section of the body surface (230)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triangular shape.

상기 제1회전자(100)의 내부에 제2회전자(200)가 수용될 때에 상기 제2차단부(220)는 제1차단부(120)와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된다. 즉, 상기 제2차단부(220)의 외면이 제1차단부(120)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차단부(120)와 제2차단부(22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면 그 틈으로 흡입력이 누수되어, 본 발명의 효과인 개방면적의 축소를 통해 흡입력을 증폭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상기 제1차단부(120)와 제2차단부(220)가 밀착되어도 미끄러짐이 허용되어서 제2회전자(200)가 제1회전자(10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이 일어난다. When the second rotor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the second blocking part (220) is pressed so that there is no clearance with the first blocking part (12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ing part (220) is pressed so that there is no clearance with the first blocking part (120). If clearance occurs between the first blocking part (12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20), suction power leaks through the gap, making it difficult to amplify the suction power through reduction of the open area, which i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even if the first blocking part (120) and the second blocking part (220) are pressed so that slippage is allowed, the second rotor (200) moves relative to the first rotor (100).

본 발명에 따른 헤드는 흡입모터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흡입슬릿(310)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이 아닌 일부 영역에 집중시켜서 흡입력을 강화하고 흡입력이 작용하는 영역의 위치를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도록 가변시킨다. The he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suction force by concentrating it on a certain area rather than evenly distributing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and changes the location of the area where the suction force acts so as to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이를 위하여 흡입슬릿(310)의 일부 면적을 제1차단부(120)가 폐쇄하여, 흡입모터의 흡입력을 흡입슬릿(310)과 제1개구부(110)가 중첩된 영역에만 집중시켜 더욱 강화된 흡입력으로 이물질을 흡입한다. To this end, a portion of th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is clos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so that the suction power of the suction motor is concentrated only in the area where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first opening (110) overlap, thereby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with a more enhanced suction power.

그리고 제1회전자(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을 폐쇄하는 영역, 흡입슬릿(310)과 제1개구부(110)가 중첩된 영역이 흡입슬릿(310)의 전체면적을 커버한다. 여기서 '커버한다'는 것은, 특정 영역이 어느 일 순간에는 흡입슬릿(310)의 일부인 영역이지만 제1회전자(100)가 회전함에 따라 흡입슬릿(310)의 전체 영역을 훑는다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And by rotating the first rotor (100), the area where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closes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area where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first opening (110) overlap, c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Here, the term 'cover' is used to mean that a specific area is a part of the suction slit (310) at some moment, but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is scanned as the first rotor (100) rotates.

상기 제1회전자(100)의 형상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의 일부 영역을 가림으로써 흡입력이 강화되어도 그 강화된 흡입력은 변하지 않고 고정된 수치를 가진다. Since the shape of the first rotor (100) is fixed,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does not change. Therefore, even if the suction force is strengthened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covering a part of the suction slit (310), the strengthened suction force does not change and has a fixed value.

본 발명은 흡입력을 강화시키되 그 증폭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2회전자(200)가 제1회전자(100) 내부에 도 6 및 도 8과 같이 구비된다. 제2회전자(200)는 제2차단부(220)를 통하여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더욱 축소시켜서 흡입력을 더욱 증폭시키며, 축소시키는 영역을 가변함으로써 흡입력의 증폭 정도를 조절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을 가림으로써 흡입력이 향상되는 것을 '강화'로 표현하였고,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220)가 가림으로써 흡입력이 더욱 향상되는 것을 '증폭'으로 표현하였다. In order to strengthen the suction force and control the degree of amplifica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rotor (200) inside the first rotor (100) as shown in FIGS. 6 and 8. The second rotor (200) further reduce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through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to further amplify the suction force, and by varying the area where the reduction occurs,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suction force is controlled. For reference, in this specification, the enhancement of the suction force by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covering the suction slit (310) is expressed as 'strengthening', and the enhancement of the suction force b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ing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is expressed as 'amplification'.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슬릿(310)의 전체 영역에서 제1차단부(120) 또는 제2차단부(2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려져서 이물질의 흡입이 차단되는 영역을 차단면(312)이라 지칭하고, 제1차단부(120) 및 제2차단부(220) 어느 하나에도 가려지지 않아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개방면(311)이라 지칭한다. 상기 개방면(311)은 제1개구부(110) 및 제2개구부(210)가 중첩된 영역이며, 흡입슬릿(310) 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방면(311)은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의 회전함에 따라 또는 제2회전자(200)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된다. 차단면(312)은 도면상에서 짙게 음영처리한 영역이며, 개방면(311)은 도면상에서 상기 차단면(312)보다 얕게 음영처리한 영역이다. 차단면(312) 및 개방면(311)을 도면 상에서 어느 한 영역에 음영처리하였으나, 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함이며 차단면(312) 및 개방면(311)은 흡입슬릿(310)의 전체 영역에서 이루어진다.And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an area in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where the suction of foreign substances is block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r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is referred to as a blocking surface (312), and an area where the suction of foreign substances is performed because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is not covered by either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r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is referred to as an open surface (311). The open surface (311) is an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overlap and is located within the suction slit (310).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311) changes as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rotate or according to the axial position of the second rotor (200). The blocking surface (312) is a darkly shaded area in the drawing, and the open surface (311) is a shallower shaded area than the blocking surface (312) in the drawing. The blocking surface (312) and the open surface (311) are shaded in one area in the drawing, but this is for the convenience of illustration, and the blocking surface (312) and the open surface (311) are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제1회전자(100)가 회전하여도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을 가리는 면적을 고정되는 반면, 상기 제2차단부(220)가 개방면(311)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어 흡입력의 증폭 정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소대상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의 특성과 점착도를 고려하여서 더욱 강한 흡입력을 얻고자 하는 경우, 개방면(311)의 면적을 더욱 축소시켜서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While the first rotator (100) rotates, the area of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covering the suction slit (310) is fixed, while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an vary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so that the degree of amplification of the suction power is adjusted. Accordingly, if the user wants to obtain a stronger suction power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adhesiveness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the user can proceed with cleaning by further reducing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본 발명에서 개방면(311)의 면적을 조절하기 위해 개폐조절기(270)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개폐조절기(270)를 통해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와 흡입면적이 중첩된 영역을 얼마나 가릴 것인지 조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ing/closing controller (270) is provided to control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and the user controls how much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overlaps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area is covered by the opening/closing controller (270).

먼저, 상기 개폐조절기(270)는 슬라이딩구(320)에 끼워져서 축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개폐조절기(270)가 이동하면서 제2회전자(200)의 위치가 이동하여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가리게 된다. 따라서 흡입슬릿(310)의 영역중 제1차단부(120) 및 제2차단부(220) 어느 하나도 가려지지 않은 영역인 개방면(311)의 면적이 축소되며, 흡입력이 축소된 개방면(311)에만 작용하기 때문에 흡입력이 더욱 증폭될 수 있다. 사용자는 증폭하고자 하는 흡입력의 세기를 고려하여 개방면(311)의 면적을 얼마나 축소시킬지 선택할 수 있다. First,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fitted into the sliding member (320) and moves axially back and forth. As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mov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rotor (200) moves so that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Accordingly,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which is th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where neither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nor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is covered, is reduced, and since the suction force acts only on the reduced open surface (311), the suction force can be further amplified. The user can select how much to reduce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by considering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to be amplified.

이때 상기 개폐조절기(27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는 액추에이터, 모터 등을 이용하여 전동으로도 조절할 수 있다. 전동으로 개폐조절기(270)를 조절하는 경우, 청소기 조절 버튼이 있는 손잡이(미도시) 주변에 전동장치를 조절하는 조작버튼(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can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user's hand, or can be controlled electrically using an actuator, motor, etc. In the case of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electrically, it is preferable to have an operating button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evice around a handle (not shown) having a vacuum cleaner control button.

수동으로 개폐조절기(270)를 조절하는 경우, 그 조절된 위치에 개폐조절기(27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볼트를 관통시키거나 또는 커터칼에서 칼날을 인출하는 구조와 같은 요철구조를 차용할 수 있다. 이로써 수동 또는 전동으로 조절된 개폐조절기(270)는 청소시에 발생하는 진동에 간섭받아 그 위치가 바뀌는 것이 방지된다. In the case of manually adjusting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a structure such as a bolt passing through or a structure for extracting a blade from a cutter knife can be used to fix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to the adjusted position. This prevents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adjusted manually or electrically from changing its position due to interference from vibrations generated during cleaning.

제2회전자(200)의 구체적인 사용형태로 도 7과 같이,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를 가리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회전자(100)의 제1차단부(120)가 흡입슬릿(310)의 일부 영역을 가리며,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220)가 가리지 않는다. 개방면(311)은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이 되어 흡입력이 집중되어 강화된다. As a specific usage form of the second rotor (200),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may be in a state where the first opening (110) is not covered.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of the first rotor (100) covers a part of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does not cover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The open surface (311) become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so that the suction force is concentrated and strengthened.

또 다른 사용 형태로 도 8과 같이,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220)가 일부 가리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차단부(220)가 가리는 영역은 사용자가 흡입력을 증폭시키는 정도에 따라 조절된다. 도 7(b)는 도 7(a)보다 개방면(311)의 면적을 더욱 축소한 사용형태이다. 도 7(b)의 경우 흡입력은 도 7(a)에 비하여 더욱 증폭된다. In another usage form, as shown in Fig. 8,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may be partially covered b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The area covered by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amplifies the suction power. Fig. 7(b) is a usage form in which the area of the open surface (311) is further reduced compared to Fig. 7(a). In the case of Fig. 7(b), the suction power is further amplified compared to Fig. 7(a).

이처럼 본 발명은 제1차단부(120)가 흡입면적의 일부 영역을 가려서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에 흡입력을 집중시키되, 그 중첩된 영역을 제2차단부(220)가 가리는 범위를 사용자가 조절함으로써 강화된 흡입력을 증폭시키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the suction force on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by covering a portion of the suction area with the first blocking portion (120), and the extent to which the enhanced suction force is amplified can be controlled by the user adjusting the extent to which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s the overlapping area.

그리고, 회전모터(130)의 동력으로 제1회전자(100)와 제2회전자(200)가 회전하여 개방면(311)의 위치가 흡입슬릿(310)의 전체 면적을 커버하게 되어 흡입슬릿(310)의 전체영역에 강화되고 증폭된 흡입력이 작용하는 효과가 발생하고 사용자가 강력한 흡입력으로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And,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rotate with the power of the rotary motor (1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open surface (311)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so that an effect of strengthened and amplified suction force is genera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suction slit (310),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cleaning with strong suction force.


100:제1회전자 110:제1개구부 120:제1차단부 130:회전모터 140:스플라인
200:제2회전자 210:제2개구부 220:제2차단부 230:바디면 240:중공면
250:보스 260:결합공 270:개폐조절기 271:결합핀 272:결합단턱
300:헤드케이싱 310:흡입슬릿 311:개방면 312:차단면
320:슬라이딩구 330:흡입관

100: 1st rotor 110: 1st opening 120: 1st blocking part 130: Rotating motor 140: Spline
200: Second rotor 210: Second opening 220: Second blocking part 230: Body surface 240: Hollow surface
250: Boss 260: Joint 270: Open/close regulator 271: Joint pin 272: Joint step
300: Head casing 310: Suction slit 311: Open surface 312: Blocking surface
320: Sliding hole 330: Suction tube

Claims (7)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1개구부(1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차단부(120)가 교대로 배치되며, 회전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자(100);
상기 제1회전자(10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자(10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고 제1회전자(100)와 동기되어 회전하며, 이물질을 흡입하는 제2개구부(210)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차단부(220)가 교대로 배치되는 제2회전자(200);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질을 집진기로 이동시키는 흡입관(330)이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자(100) 및 제2회전자(200)가 노출되는 흡입슬릿(310)이 형성되는 헤드케이싱(300);을 포함하며,
상기 제2회전자(200)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의 중첩 영역이 흡입슬릿(310) 내에서 변경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A first opening (1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a first blocking portion (1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a first rotor (100) rotated by a rotary motor (130);
A second rotor (200) arranged inside the first rotor (100), having the same rotational axis as the first rotor (100) and rotating synchronously with the first rotor (100), and having a second opening (210) for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and a second blocking portion (220) for blocking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alternately arranged;
A head casing (300) is formed with a suction pipe (330) that moves foreign substances sucked inside to a dust collector, and a suction slit (310) through which the first rotor (100) and the second rotor (200) are exposed;
The overlapping area of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is changed within the suction slit (310) depending on the axial position of the second rotor (200).
Vacuum cleaner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자(100)에는 제2회전자(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플라인(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회전자(200)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플라인(140)의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the first paragraph,
A spline (140) that transmits rotational power to the second rotor (200) is formed on the first rotor (100);
The above second rotor (200)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line (140) by an external force.
Vacuum cleaner he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자(200)에는 상기 스플라인(140)이 삽입되는 보스(250)가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the second paragraph,
A boss (250) into which the spline (140)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second rotor (200);
Vacuum cleaner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자(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공(26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60)에 삽입되는 결합핀(271)이 형성된 개폐조절기(27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전자(200)는 상기 개폐조절기(27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자(10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the first paragraph,
A joining hole (26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rotor (200);
An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provided, in which a joining pin (271)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above joining hole (260);
The above second rotor (200) slides within the first rotor (100)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Vacuum cleaner hea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케이싱(300)에는 상기 개폐조절기(270)의 왕복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라이딩구(320)가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paragraph 4,
A sliding member (320) that guides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regulator (270) is formed in the above head casing (300).
Vacuum cleaner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자(200)의 축방향 이동으로 상기 제2차단부(220)가 제1개구부(110)와 흡입슬릿(310)이 중첩된 영역을 가리며;
상기 흡입슬릿(310) 영역 중 제1차단부(120) 및 제2차단부(220) 어느 하나에도 가려지지 않은 영역인 개방면(311)에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blocking portion (220) covers the area wher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uction slit (310) overlap due to the axial movement of the second rotor (200);
In the above suction slit (310) area, the foreign substance is sucked in through the open surface (311), which is an area that is not covered by either the first blocking section (120) or the second blocking section (220);
Vacuum cleaner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자(100)와 제2회전자(200)는 원통형상이며,
제1개구부(110)와 제2개구부(210)는 나선형상을 갖는
진공청소기 헤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rotor (100) and second rotor (200) are cylindrical in shape,
The first opening (110) and the second opening (210) have a spiral shape.
Vacuum cleaner head.
KR1020230073328A 2023-06-08 2023-06-08 Vacuum cleaner head Pending KR202401742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328A KR20240174208A (en) 2023-06-08 2023-06-08 Vacuum cleaner h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3328A KR20240174208A (en) 2023-06-08 2023-06-08 Vacuum cleaner h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74208A true KR20240174208A (en) 2024-12-17

Family

ID=9408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3328A Pending KR20240174208A (en) 2023-06-08 2023-06-08 Vacuum cleaner h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7420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32Y1 (en) 2000-10-24 2001-10-25 권철신 Vacuum Cleaner with a Sliding Scale Type Head-Beam and an Auxiliary Brush
KR20200117358A (en)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532Y1 (en) 2000-10-24 2001-10-25 권철신 Vacuum Cleaner with a Sliding Scale Type Head-Beam and an Auxiliary Brush
KR20200117358A (en) 2019-04-04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5583B1 (en) Floor suction tool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JP4477565B2 (en)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KR100837360B1 (en) Upright vacuum cleaner using exhaust reflux
NL1028419C2 (en) Aspiration brush unit for use in vacuum cleaner, has cover with opening that aspirates external air, space formed between rotatable body and unit body, and holes formed at level of edge of sound attenuation unit
CN100577079C (en) Electric cleaner and suction mouth body
KR20240174208A (en) Vacuum cleaner head
JPH08173355A (en) Suction opening body for vacuum cleaner
US7051401B2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2378303B1 (en) A Vacuum Cleaner Head
AU2005200553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controllable cleaning brush
KR101084122B1 (en) Suction nozzle of vacuum cleaner
KR100445807B1 (en) Suction hose assemble of an upright-type vacuum cleaner
KR102747811B1 (en) A Vacuum Cleaner Head
JP4755736B2 (en) Rotating rotor, vacuum cleaner floor suction tool and vacuum cleaner
US10980381B1 (en) Nozzle assembly for vacuum device
JP2004141539A (en) Floor suction tool
JP5286332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0492581B1 (en) Wheel for automatic running cleaner with dust inletport
JP3337190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KR100572773B1 (en) Hose adapter for vacuum cleaner of upright type
KR20240020600A (en) Vacuum cleaner
JP3449514B2 (en) Vacuum cleaner suction body
KR200159712Y1 (en) Su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KR102367199B1 (en) Robot cleaner
JPH09248261A (en) Suction port body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