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3923A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3923A KR20240173923A KR1020230073038A KR20230073038A KR20240173923A KR 20240173923 A KR20240173923 A KR 20240173923A KR 1020230073038 A KR1020230073038 A KR 1020230073038A KR 20230073038 A KR20230073038 A KR 20230073038A KR 20240173923 A KR20240173923 A KR 202401739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lower body
- studs
- slip function
- sports sho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14 Polyether block 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43B13/226—Profiled soles the profile being made in the foot facing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by adhesiv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가 형성된 고경도의 상부체와, 상부체의 스터드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저경도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도록 아웃솔을 구성함으로써 고경도의 상부체의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을 비롯한 무릎 등의 관절, 인대, 근육 등의 하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2),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3) 및 지면과 안정된 접지력을 주기 위한 아웃솔(100)을 포함하는 스포츠화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0)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형성되는 상부체(110)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부체(110)가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하부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터드가 형성된 고경도의 상부체와, 상부체의 스터드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저경도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도록 아웃솔을 구성함으로써 고경도의 상부체의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을 비롯한 무릎 등의 관절, 인대, 근육 등의 하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 밑창과, 이 신발 밑창에 접착 고정 내지 박음질로 고정되는 갑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신발 밑창은 접지력 향상을 위한 아웃솔과, 착용자가 착지시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미드솔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구기 종목은 축구, 풋살, 야구 등과 같이 유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운동 종목에 따라 운동장의 잔디 높이 또는 모래 등과 같은 지면의 상태가 달라진다.
이러한 구기 종목에 적합하도록 스포츠화도 그 지면의 특성에 따라 발전되어 왔다.
일예로, 축구라는 경기에 적합하도록 형성된 축구화는 장시간 반복적으로 달리면서 축구공을 차기에 적합하여야 하고, 특히 달리거나 또는 공을 차는 순간에 지면에서 미끄러지지 않아야 하며, 급격한 방향전환 동작이나 순간 회전동작, 순간 정지동작시 축구화 내부에서 발이 심하게 쏠리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종래 축구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축구화는 발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터드(11)가 형성된 아웃솔(10)과; 아웃솔(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미드솔(미도시)과; 발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발외측을 감싸주며 하단의 가장자리가 아웃솔(10)과 미드솔(미도시) 사이에 끼워져 재봉되는 갑피(2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축구화는 통상적인 신발과 가장 다른 점은 아웃솔(10)의 하단에 스터드(11)가 형성되어 지면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급격한 방향전환이나 회전에 대해서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이 부여된 점이다.
그러나, 상기의 축구화와 같이 아웃솔의 하부에 스터드가 형성된 스포츠화는 통상 지면과 접지되는 아웃솔이 고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연적이고 부드러운 접지력이 있는 천연잔디에는 적합하지만, 인조잔디에서는 오히려 더욱 미끄러지거나 반대로 과하게 접지되어 부상을 입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이 방지되는 효과는 있지만, 스터드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두가지 부분의 차이가 너무 크다보니 이로 인해 미끄럼 방지 효과는 저하되거나 부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으로는 지면접지(착지)가 아닌 틀어진 각도에서의 인조잔디 접지시에는 미끄러짐이 더욱 커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스터드가 형성된 고경도의 상부체와, 상부체의 스터드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저경도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도록 아웃솔을 구성함으로써 고경도의 상부체의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을 비롯한 무릎 등의 관절, 인대, 근육 등의 하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2),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3) 및 지면과 안정된 접지력을 주기 위한 아웃솔(100)을 포함하는 스포츠화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0)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형성되는 상부체(110)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부체(110)가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하부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상부체(110)는 고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20)는 저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하부체(120)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체(110)의 가장자리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가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상부체(110)의 하면은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 안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 접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상부체(110)의 가장자리는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하부체(120)의 스터드(121)의 끝단과 상기 상부체(110)의 스터드(111)의 끝단은 서로 대응되어 지면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하부체(120)는 상면 내측에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하부체(120)는 상면 내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고정구(124)에 고정되도록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상부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터드(111)는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기 상부체(110)의 스터드(111)는 끝단면은 절개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 의하면, 스터드가 형성된 고경도의 상부체와, 상부체의 스터드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저경도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도록 아웃솔을 구성함으로써 고경도의 상부체의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을 비롯한 무릎 등의 관절, 인대, 근육 등의 하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체를 고경도의 소재로 형성하고, 하부체를 상부체에 비해 저경도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지면과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은 저경도의 하부체에서 흡수하고, 고경도의 상부체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발목이나 무릎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체의 하면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하부체의 상면과 접착시 거친면에 의해 고정력이 증가되고, 또한 접착시 안정적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체의 가장자리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가 단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비해 굴곡진 부분이 하부체의 상면과 접착되어 접착력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체의 스터드 끝단과 상부체의 스터드 끝단을 대응되는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지면에 접지시 굴곡이 없이 접지되므로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체의 상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 상에 상부체를 안착시켜 접착함으로써 상부체가 안착홈 상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상부체와 하부체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체의 상부에 고정구를 형성하고, 고정구에 상부체가 고정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체가 하부체의 상면에 위치시 위치의 이탈이 없고 안정적인 고정 및 접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의 스터드의 끝단면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터드가 지면에 접지시 지면과 절개부의 마찰 등으로 인해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축구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부체와 하부체의 하부 끝단을 대비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하부체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하부체에 고정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부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부체와 하부체의 하부 끝단을 대비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하부체에 안착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하부체에 고정구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서 상부체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a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2a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1)는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2),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3) 및 지면과 안정된 접지력을 주기 위한 아웃솔(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아웃솔(100)은 상부체(110)와 하부체(120)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체(110)는 고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형성되고,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형성되어 진다.
상부체(110)를 이루는 고경도의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TPU, PEBAX 등)인 것으로, 경도는 70도 이상이다.
상부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11)는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스터드(111)의 끝단면은 절개부(113)가 형성되어 진다.
절개부(113)는 스터드(111)가 지면에 접지시 지면과 절개부의 마찰 등으로 인해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개부(113)는 중심측을 기준으로 3 방향으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중심측을 기준으로 2 내지 4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부체(110)의 하면은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거친면이라 함은 돌기, 엠보싱, 울퉁불퉁, 뽀족뽀족과 같이 형성되는 것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은 잘 알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부체(110)의 하면을 거친면으로 형성함으로써 하부체(110)의 상면과 접착제로 접착시 거친면에 의해 고정력이 증가되고, 또한 접착시 안정적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부체(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복수개의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12)은 하부체(120)에 형성되는 고정구(124)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체(120)의 고정구(124)에 고정홈(112)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체(110)는 하부체(120)의 상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부체(11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앞꿈치와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일반적인 아웃솔의 외주면 형성과 같이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체(11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앞꿈치와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부체(110)의 가장자리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가 단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비해 굴곡진 부분이 하부체(120)의 상면과 접착되어 접착력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부체(120)는 저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지지며,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부체(110)가 안착되어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22)이 형성되어 진다.
하부체(120)를 이루는 저경도의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라바, 고무재인 것으로, 경도는 70도 이하 이다.
하부체(120)의 가장자리는 상부체(110)의 가장자리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부체(110)가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 안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체(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터드(111)와 상부체(110)의 스터드(111)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서 형성되되, 하부체(120)의 스터드(121)의 끝단과 상부체(110)의 스터드(111)의 끝단은 서로 대응되어 지면에 접지되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20)의 관통홀(122)을 통해 관통되어 지면와 접지되는 상부체(110)의 스터드(111)의 끝단은 하부체(120)의 스터드(121)의 끝단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접지 및 맞닿게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하부체(120)의 스터드(121) 끝단과 상부체(110)의 스터드(111) 끝단을 대응되는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지면에 접지시 굴곡이 없이 접지되므로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하부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내측에 안착홈(123)이 형성되어 진다.
이때, 상부체(110)는 하부체(120)의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착홈(123)에 안착되도록 한다.
하부체(120)의 상면에 안착홈(123)을 형성하고, 안착홈(123) 상에 상부체(110)를 안착시켜 접착함으로써 상부체(110)가 안착홈(123) 상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상부체(110)와 하부체(120)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1)에서 하부체(120)의 안착홈(123)은 도 7의 (a)를 참고하여 상부체(110)의 가장자리 형상을 설명한 바와 같이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 부분이 일반적인 아웃솔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 부분이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부체(110)의 가장자리가 일반적인 아웃솔의 형상일 경우에는 하부체(120)의 안착홈(123)도 일반적인 아웃솔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체(110)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하부체(120)의 안착홈(123)도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체(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내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4)가 형성되고, 상부체(110)는 하부체(120)의 고정구(124)에 고정되도록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하부체(12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진다.
이와 같이 하부체(120)의 상부에 고정구(124)를 형성하고, 고정구(124)에 상부체(120)가 고정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체(110)가 하부체(120)의 상면에 위치시 위치의 이탈이 없고 안정적인 고정 및 접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1)에서 하부체(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착홈(122), 고정구(124)는 도면상에서 각각 형성하였지만, 하부체(120)의 상면에 안착홈(123)과 고정구(1240)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에 의하면, 스터드가 형성된 고경도의 상부체와, 상부체의 스터드가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저경도의 하부체로 이루어지도록 아웃솔을 구성함으로써 고경도의 상부체의 스터드에 의해 미끄러짐 및 비틀림이 방지되어 지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발목을 비롯한 무릎 등의 관절, 인대, 근육 등의 하지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체를 고경도의 소재로 형성하고, 하부체를 상부체에 비해 저경도의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지면과 접지시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은 저경도의 하부체에서 흡수하고, 고경도의 상부체로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발목이나 무릎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체의 하면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하부체의 상면과 접착시 거친면에 의해 고정력이 증가되고, 또한 접착시 안정적이고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체의 가장자리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장자리가 단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에 비해 굴곡진 부분이 하부체의 상면과 접착되어 접착력이 높아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체의 스터드 끝단과 상부체의 스터드 끝단을 대응되는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지면에 접지시 굴곡이 없이 접지되므로 안정적인 접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하부체의 상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 상에 상부체를 안착시켜 접착함으로써 상부체가 안착홈 상에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기 때문에 상부체와 하부체의 접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체의 상부에 고정구를 형성하고, 고정구에 상부체가 고정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체가 하부체의 상면에 위치시 위치의 이탈이 없고 안정적인 고정 및 접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의 스터드의 끝단면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스터드가 지면에 접지시 지면과 절개부의 마찰 등으로 인해 미끄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2 : 갑피 3 : 미드솔
100 : 아웃솔
110 : 상부체 111 : 스터드
112 : 고정홈 113 : 절개부
120 : 하부체 121 : 스터드
122 : 관통홀 123 : 안착홈
124 : 고정구
2 : 갑피 3 : 미드솔
100 : 아웃솔
110 : 상부체 111 : 스터드
112 : 고정홈 113 : 절개부
120 : 하부체 121 : 스터드
122 : 관통홀 123 : 안착홈
124 : 고정구
Claims (10)
-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2), 지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미드솔(3) 및 지면과 안정된 접지력을 주기 위한 아웃솔(100)을 포함하는 스포츠화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100)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형성되는 상부체(110)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스터드(121)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상부체(110)가 안착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터드(111)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22)이 형성되는 하부체(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는 고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져 플라스틱 사출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하부체(120)는 저경도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20)의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체(110)의 가장자리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체(110)가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의 하면은 거친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 안착되어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 접착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의 가장자리는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 내측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20)의 스터드(121)의 끝단과 상기 상부체(110)의 스터드(111)의 끝단은 서로 대응되어 지면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20)는 상면 내측에 안착홈(123)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안착홈(1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착홈(123)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20)는 상면 내측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구(124)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체(110)는 상기 하부체(120)의 고정구(124)에 고정되도록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체(12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스터드(111)는 발앞꿈치 및 발뒤꿈치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110)의 스터드(111)는 끝단면은 절개부(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3038A KR20240173923A (ko) | 2023-06-07 | 2023-06-07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3038A KR20240173923A (ko) | 2023-06-07 | 2023-06-07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3923A true KR20240173923A (ko) | 2024-12-16 |
Family
ID=9403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3038A Pending KR20240173923A (ko) | 2023-06-07 | 2023-06-07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7392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299Y1 (ko) | 2005-11-11 | 2006-01-26 | 윤동준 | 축구화 |
-
2023
- 2023-06-07 KR KR1020230073038A patent/KR20240173923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299Y1 (ko) | 2005-11-11 | 2006-01-26 | 윤동준 | 축구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16723B2 (en) | Midfoot insert construction | |
US6705027B1 (en) | Traction elements for an article of footwear | |
CN102793331B (zh) | 具有可缩回牵引元件的物品 | |
US4327503A (en) | Outer sole structure for athletic shoe | |
EP0990397B1 (en) | Athletic shoe midsole design and construction | |
US6161315A (en) | Shoe outsole having a stability ridge | |
KR101977114B1 (ko) | 신발류 물품용 가요성 밑창 및 갑피 | |
US6016613A (en) | Golf shoe outsole with pivot control traction elements | |
EP0515547B1 (en) | Shock absorbing outsole for footwear | |
CN103619204A (zh) | 具有触球构件的鞋类物件 | |
US12256807B2 (en) | Article of footwear with athletic cleats | |
US20100050475A1 (en) | Footwear sole structure | |
EP3397103B1 (en) | Football boot | |
JPS6329522B2 (ko) | ||
JP2003052404A (ja) |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組立体 | |
US5224279A (en) | Athletic shoe sole design and construction | |
KR20240173923A (ko) |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스포츠화 | |
KR200489122Y1 (ko) | 등산화 밑창 | |
KR100420468B1 (ko) | 큐션기능이 향상된 뒷굽없는 신발밑창 | |
JP3155765U (ja) | 靴底 | |
KR200436521Y1 (ko) | 신발용 바닥부재 | |
CN220859545U (zh) | 一种弹性鞋底及具有其的运动鞋 | |
CN222656406U (zh) | 一种减震回弹鞋底以及鞋子 | |
CN219877586U (zh) | 一种鞋垫 | |
KR20120036086A (ko) | 걸음걸이 교정 및 근력 강화용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