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9082A - 문서 이미지화 시스템 및 문서를 이미지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이미지화 시스템 및 문서를 이미지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9082A KR20240169082A KR1020247036118A KR20247036118A KR20240169082A KR 20240169082 A KR20240169082 A KR 20240169082A KR 1020247036118 A KR1020247036118 A KR 1020247036118A KR 20247036118 A KR20247036118 A KR 20247036118A KR 20240169082 A KR20240169082 A KR 202401690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ument
- documents
- force
- packet
- twi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3 fric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63—Action taken as a result of detection
- H04N1/00774—Adjusting or controlling
- H04N1/00779—Adjusting settings, e.g. mode, feeding rate or type of pap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7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ov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65H3/5292—Retainers of the belt type, e.g.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the articles resting on rollers or bal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dium handling apparatus, e.g. a sheet sor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88—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to the scann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4—Transport tr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04N1/00633—Ejecting or stacking selectively to one of a plurality of output tray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41—Sorting, reordering or inver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49—Control or synchronising different handling operations
- H04N1/00652—Control of feeding speed, e.g. fast feeding to scanning posi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42—Detection methods
- H04N1/00745—Detecting the leading or trailing ends of a moving she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85—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 H04N1/00793—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using paper feeding mechanism, e.g. operate drive rollers at different spee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39—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Abstract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문서들은, 스캐너로 문서들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기로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스캐너는,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각 문서를 스캔하며, 그리고 이어서, 하나 이상의 출력 또는 분류 개소로 문서를 방출한다. 시스템은, 문서들이 스캐너로 급송될 때 문서들 내의 비틀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틀림 저감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은, 또한, 문서가 스캔되는 동안에 문서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그리고 이미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은, 추가로, 방출된 문서들의 적층을 개선하기 위한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본 명세서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통합되는, 2022년 3월 30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번호 제63/325,605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또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2023년 03월 30일 출원된, 미국 출원번호 제18/129,063호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문서 처리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문서들이 문서 스캐너와 같은 이미지화 시스템에 급송되는, 문서 이미지화의 분야에 대한 특별한 적용을 발견한다.
자동화된 그리고 반자동화된 기계들이, 문서들을 처리하기 위해 채택되어 왔다. 수신 메일과 같은 문서들을 스캔하고 분류하는 것을 포함하는, 문서 처리의 분야에서 수많은 개선들이 있었다. 그러나, 문서의 취급 및 처리를 개선하고자 하는 요구가 남아있다.
본 시스템은, 문서 취급 및 문서 스캐닝에 관한 별개의 발명들을 포함하는, 문서 처리의 분야에서의 다수의 개선을 제공한다. 비록 이러한 개선들 각각이 단일 시스템으로 조합되지만, 개선들 각각은, 문서 처리 시스템에서 별개의 발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양태에 따르면, 스캔된 문서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봉투들과 같은 문서들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를 구비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문서들을 수취하기 위한 컨베이어, 컨베이어로부터 문서들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출력 개소, 및 출력 개소들로 문서들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기를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컨베이어는, 문서들을 혼입시키지 않는 가운데, 문서 경로를 따라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스캐너, 컨베이어, 컨베이어로부터 스캐너로 문서들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기, 및 급송기가 문서들을 급송할 때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들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비틀림 저감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비틀림 저감 수단은, 급송기로부터 상류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급송기는,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진 지점에서의 문서의 제1 측부 상에 순 전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비틀림 저감 수단은, 순 전진력과 반대의 방향으로 그리고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문서의 제1 측부 상에 항력(drag force)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급송력이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도록, 문서의 폭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서 문서의 선행 부분에 대해 급송력을 가함으로써, 제1 방향으로 문서 경로를 따라 문서를 급송하는 단계, 및 급송력이 문서의 선행 부분에 가해지는 동안에 문서의 후행 부분에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로서, 비틀림 방지력은, 급송력의 방향과 반대이며 그리고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서 가해지는 것인,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인 양태에 따르면, 본 시스템은, 문서 운반체를 향해 복수의 문서를 급송하기 위한 수단 및 하나 이상의 출력 상자 내로 문서들을 분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분류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속도로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문서 운반체 및, 문서 운반체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하나 이상의 출력 상자 중의 제1 상자를 향해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그리고 제2 속도로 문서들의 속도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도록, 그리고 이어서 제1 속도 또는 제2 속도보다 더 낮은 제3 속도로 문서들을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방출 운반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시스템은, 문서 운반체를 향해 복수의 문서를 한 번에 하나씩 급송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출력 상자 내로 문서들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을 분류하기 위한 단계는, 문서가 방출될 때 문서 속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는, 방출되기 이전에 증속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증속된 이후에, 문서는, 이어서, 방출 이전에 감속될 수 있을 것이다.
방법들 및 장치가 본 명세서에서 여러 실시예들 및 예시적인 도면들에 대한 예로서 설명되지만, 당업자들은, 문서들을 스캐닝 및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들 및 장치가, 설명된 실시예들 또는 도면들로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그에 대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이 실시예들을 개시되는 특정 형태들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제목은, 단지 구성적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설명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미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어 "할 수 있을 것이다"는, 의무적 의미(즉,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의미)보다는, 허용적 의미(즉, ~할 가능성을 갖는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유사하게, 단어들 "포함한다", "포함하는", 및 "포함한다"는,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개요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읽을 때, 최상으로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급송기의 확대된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상승된 위치에서의 예비-급송기를 도시하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확대된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확대된 부분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이미지화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이미지화 조립체의 확대된 부분적 단부 도면이고;
도 8은 8-8선을 따라 취해진 도 6에 예시된 이미지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급송기 및 분류기의 분해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부분 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측방 입면도이다.
도 1은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급송기의 확대된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상승된 위치에서의 예비-급송기를 도시하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확대된 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확대된 부분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예시된 급송기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이미지화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예시된 이미지화 조립체의 확대된 부분적 단부 도면이고;
도 8은 8-8선을 따라 취해진 도 6에 예시된 이미지화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1에 예시된 시스템의 급송기 및 분류기의 분해된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부분 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도 9에 예시된 분류기의 일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 측방 입면도이다.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은, 특정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장치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는 2진 디지털 신호들에 대한 작동의 관점에서 제시된다. 이러한 특정 명세서의 맥락에서, 용어 "특정 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은,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작동 또는 처리는, 물리량들에 대한 물리적 조작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양들은, 저장, 전송, 조합, 비교, 또는 달리 조작될 수 있는,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비트, 데이터, 값, 요소, 기호, 문자, 용어, 숫자, 수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그러한 신호들을 참조하는 것이, 주로 일반적인 사용의 이유로, 때때로 편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또는 유사한 용어들은 모두 적절한 물리적 양과 연관되며 그리고 단지 편리한 라벨들일 뿐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뒤따르는 논의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처리하는", "컴퓨팅하는", "계산하는", "결정하는"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용어들을 활용하는 논의는,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장치와 같은, 특정 장치의 작업 또는 프로세스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장치는, 일반적으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장치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장치들, 전송 장치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들 내부에서 물리적인 전자적 또는 자기적 양으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작하거나 변환할 수 있다.
지금부터 전반적으로 도면들 그리고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문서 스캐닝 작업스테이션(10)이, 예시된다. 작업스테이션(10)은, 문서들을 이미지화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에 문서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무더기로 낙하시킴으로써, 문서들을 처리한다. 이미지화 스테이션은, 문서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화 장치로 문서들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문서들을 분리한다. 문서들은, 이어서, 하나 이상의 출력 상자 내로 분류된다.
본 명세서는, 문서를 처리하는 것에 관련되는 작업스테이션들에 대한 특정 적용을 가지며,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문서들을 스캔하기 위해 문서들의 패킷들을 처리하는 것에 관한 특정 적용을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업스테이션은, 봉투들로부터 추출되는 문서들과 같은, 접힌 문서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문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반-자동화된 시스템으로서 구성된다. 시스템은, 개방된 봉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스테이션 및 추출을 위해 사용자에게 문서들을 제시하기 위해 봉투를 개방하기 위한 추출 스테이션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하는, 더 큰 시스템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스테이션들은, 그의 전체 개시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미국 특허 제9,079,730호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시스템은, 문서 추출 특징부들을 포함하지 않는 대신에 일반적으로 문서들을 처리하는 것에 관련되는 시스템들에 대한 적용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의 특징부들은, 추출 특징부들을 포함하지 않지만, 컨베이어, 이미지화 스테이션 및 분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시스템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뒤따르는 논의에서, 설명 및 청구항들 전체에 걸쳐 사용될 때,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문서'는, 임의의 유형의 필기물 또는 인쇄물을 지칭할 수 있으며, 그리고 봉투들 및 다른 우편물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시스템의 특징부들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내로 급송하기 위한 패킷들을 구성하거나 또는 달리 준비하지 않는 가운데, 시스템 내로 문서들의 패킷들을 수동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문서 처리 시스템에 관한 적용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작업스테이션(10)은, 문서들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문서들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6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작업스테이션은, 스캐너로 문서들을 급송하기 위한 다양한 급송 메커니즘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또는 수평의 배향으로 문서들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수평 드롭 컨베이어(4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낙하 컨베이어(40)는, 문서들을 급송기(50)로 이송한다. 급송기는, 스캐너(60)로 문서들을 연속적으로 급송하도록 구성된다. 급송기(50)는, 바람직하게, 급송기가 낙하 컨베이어(40)로부터 패킷을 수취할 수 있도록 문서들의 패킷을 수용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문서들이 스캐너(60)로 연속적으로 급송되도록 문서들의 패킷을 단일화하도록 구성된다.
스캐너(60)에서, 각 문서는, 각 문서에 대한 광학적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스캔된다. 스캔된 이후에, 문서들은, 이어서, 복수의 출력 상자(70) 중의 하나로 분류된다. 대안적으로, 스캔된 이후에, 문서들은, 우회로 또는 통과 경로(75)로 방출된다.
개요
상기한 것을 염두에 두고, 작업스테이션(10)을 통한 문서들의 흐름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초기에, 하나 이상의 문서가, 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과제물로 지칭되는, 문서들의 적층체가, 제공된다. 문서들을 처리하기 위해,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문서를 펼치며 그리고, 스캐너 또는 이미지화 스테이션(60)을 향해 문서들을 운반하는, 낙하 컨베이어(40) 상에 문서들을 떨어뜨리거나 놓는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50)가, 낙하 컨베이어(40)로부터 문서들을 수취하며, 그리고 이미지화 스테이션(60) 내로의 문서들의 급송을 제어한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50)는, 다양한 크기 및 상태의 문서들을 수취하고 급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문서들은, 봉투로부터 추출되는 문서들과 같이, 접히거나 주름질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이 추출되고 개방될 때, 문서들은, 이들이 평평하게 놓이지 않도록, 주름지거나 접혀 있다. 급송기(50)는, 바람직하게, 그러한 주름진 또는 접힌 문서를 수취하도록, 그리고 작업자에 의한 최소의 수동적 준비를 동반하는 가운데, 접힌 문서들을 이미지화 스테이션(60) 내로 연속적으로 급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화 스테이션(60)은, 문서가 장치를 지나치게 이송될 때 각 문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화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각 문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레이 스케일 또는 컬러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이미지화 장치는, 스캐너이다. 스캐너는, 문서가 스캐너를 지나치게 이송될 때, 복수의 지점에서 각 문서를 스캔한다. 스캐너에 의해 취득되는 데이터는, 이어서, 하나 이상의 이미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다. 이미지 프로세서들은, 라인 스캔 카메라와 연결되는 별개의 이미지화 컴퓨터 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형태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 이미지 프로세서는, 라인 스캔 카메라 조립체 내의 내장 프로세서이다. 이미지 프로세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8-비트 그레이 스케일과 같은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는, 문서 이미지의 흑백 표현을 생성하기 위해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 데이터를 2진화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이미지 데이터는, 이어서, 단기 또는 장기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문서 이미지들이 내보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파일 서버와 같은 서버(250) 상에 저장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서버는, 로컬일 수 있거나, 또는 원격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흑백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2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사례에서, 2진화된 데이터는, 문서의 추가적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분석되고 사용된다. 그러나, 2진화된 이미지 데이터는, 파일 서버 상에 저장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서버 상에 저장된다.
이미지화 장치로부터, 이미지화 운반체가, 문서들을 복수의 출력 상자 내로 분류하는 분류 스테이션(70) 내로, 문서들을 이송한다. 문서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들은, 이미지화 스테이션(60)에서 수취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획득되는 문서 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작업자는, 문서가 스캔되기 이전에 문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문서는, 작업자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분류된다. 또 다른 대안은, 단순히 문서들이 처리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문서들이 하나 이상의 상자 내에 적층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이한 스테이션들의 작동은, 마이크로프로세서(90)와 같은 중앙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중앙 컨트롤러(90)는, 작업스테이션(10)의 다양한 개소들에 있는 다양한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응답하여 그리고 작업자에 의해 과제물에 대해 설정된 파라미터들에 응답하여, 우편물의 처리를 제어한다. 중앙 컨트롤러는, 또한, 이미지 프로세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스캐너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90)는, 텍스트를 식별 및 판독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미지 프로세서는 바코드와 같은 표식을 식별 및 판독하려고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시스템은, 작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그리고 작업자가 처리되는 문서들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어떻게 문서들의 묶음(batch)이 처리되는지를 제어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작업자는, 어떻게 특정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이 처리되는지를 제어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출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마우스, 터치 패드, 스타일러스 또는 키보드와 같은, 다양한 입력 메커니즘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컨베이어
작업자는, 하나 이상의 문서를 준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급송기 내로 직접적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시스템은, 이미지화 스테이션 급송기를 향해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한 입력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컨베이어는, 다양한 수직 또는 수평 컨베이어들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입력 컨베이어가 대체로 수평 배향으로 문서들을 수취하도록 구성되는 수평 컨베이어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입력 컨베이어는, 입력 컨베이어가 입력 컨베이어 상에 떨어진 문서들을 수취하도록 그리고 떨어진 문서들을 이미지화 급송기로 전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낙하 컨베이어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입력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가 작업스테이션의 전방 에지에 인접하게 그리고 전방 에지에 평행하게 문서들을 이송하기 위해 작동 가능하도록, 작업스테이션(10)의 전방 에지를 따라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 도 1의 관점에서 작업스테이션의 좌측을 향해 떨어진 문서들을 이송한다.
바람직하게, 컨베이어(100)는, 상이한 크기 및 상이한 배향을 갖는 다양한 문서를 용이하게 수취하도록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 주름진 문서와 같은, 반드시 평평하지 않은 문서들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입력 컨베이어는, 단순히 컨베이어 상에 떨어지는 문서들을 수취하도록, 그리고 이어서 떨어진 문서들을 이미지화 스테이션(210)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자는, 문서를 쉽게 펼칠 수 있으며 그리고, 스캔하기 위해 문서들을 준비하기 위한 문서들에 대한 최소한의 사전 처리를 동반하는 가운데, 컨베이어 상으로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을 간단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도 1은, 낙하 컨베이어가 롤러 베드 컨베이어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롤러들의 베드는, 문서들이 그 위에 떨어질 수 있는, 대체로 수평의 표면을 제공한다. 롤러 베드는, 차례로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들의 바닥과 맞물리는 벨트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원통형 롤러를 포함한다. 롤러들 상에 배치되거나 떨어질 때, 문서들은, 롤러들 상에 놓인다. 따라서, 롤러들(102)이 회전함에 따라, 롤러들은, 문서들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롤러들(102)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며 그리고 이동 방향에 수직일 수 있으며, 따라서 문서들이, 롤러 베드(100)를 따라 직선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롤러들은, 롤러들이 문서들을 롤러 베드를 따라 전방으로 그리고 정렬 레일(105)을 향해 측방으로 구동하도록, 비틀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틀린 롤러들(102)은, 문서들의 에지를 레일에 대해 에지 정렬하거나 정돈하기 위해, 레일(105)에 대해 문서들을 구동한다.
비록, 낙하 컨베이어(100)가, 롤러 베드 컨베이어로서 설명되었지만, 대안적인 유형의 컨베이어들이, 낙하 컨베이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하 컨베이어는, 수평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 벨트는, 레일(105)을 향해 비틀리며, 따라서 벨트는, 레일에 대해 문서들을 정렬한다. 대안적으로, 단일 컨베이어 벨트 대신에, 낙하 컨베이어는, 문서들이 그 위로 떨어질 수 있는, 복수의 더 작은 컨베이어 벨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컨베이어(100)는 수평 컨베이어로 지칭되지만, 바람직하게, 낙하 컨베이어는, 중력이 가이드 레일(105)을 향해 문서들을 압박하도록,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바람직하게, 컨베이어(100)는, 대략 5도로 기울어지지만, 각도는, 더 높을 수 있으며, 그리고 실제로, 컨베이어의 각도는, 컨베이어가 수평이 아닌 수직인 지점으로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바람직하게, 이미지화 스테이션 및 분류 스테이션은, 낙하 컨베이어와 유사하게,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의 상세도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는, 낙하 컨베이어(100)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따라서 낙하 급송기는, 문서들을, 차례로 문서들을 이미지화 스테이션(210)으로 급송하는,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로 이송한다. 문서들이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로 이송됨에 따라, 문서들은, 낙하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놓이도록, 대체로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정렬 레일(105)에 대해 에지 정렬된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는, 낙하 컨베이어(100)로부터 이미지화 스테이션(210)으로 문서들을 연속적으로 급송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따라서 문서들이 개별적으로 이미지화될 수 있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는, 개별적인 문서들, 봉투들, 및 봉투들의 패킷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상이한 유형의 문서를 수취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뒤따르는 논의에서, 문서들의 패킷이, 관련될 수 있지만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다수의 문서들과 대조적으로, 중첩 관계에 있는 2개 이상의 문서의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패킷은, 2개의 문서만큼 적을 수 있지만, 상당히 더 많을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은, 50개, 100개 또는 수백 개의 문서의 대형 패킷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의 그룹이 커질 때, 이는, 통상적으로 적층체로 지칭된다. 그러나, 논의의 용이함을 위해, 패킷은, 통상적으로 적층체로 지칭되는 대형 패킷들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문서의 임의의 그룹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패킷들을 처리할 때,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는, 문서들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며, 그리고 패킷 내의 각 문서를 이미지화 스테이션(210)으로 연속적으로 급송한다. 이미지화 진입 급송기(110)는, 예비-급송기 조립체(120) 및 싱귤레이터(180)를 포함한다. 예비-급송기 조립체(120)는, 그로 인해 패킷이 진입하거나 급송기에 의해 처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용지 걸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도록, 급송기(110) 내로의 진입을 위해 패킷들을 준비하도록 구성된다.
예비-급송기 조립체(120)는, 낙하 컨베이어(100)로부터 급송기(110)로 이동하는 문서들의 패킷을 제어하는, 제1 예비-급송기(130) 및 제2 예비-급송기(140)를 포함한다.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는, 파지부(nip)를 형성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롤러(132 및 134)를 포함한다. 기울어진 벨트(115)가, 정렬 레일(105)의 단부에서, 컨베이어(100)에 매달리며, 그리고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의 파지부를 향해 하방으로 문서들을 유도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펼쳐졌지만 주름진 상태로 유지되는 접힌 문서들, 또는 달리 평평하지 않은 문서들에 대해, 문서들의 상측 에지가, 낙하 컨베이어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향이 있다. 정렬 레일(105)은, 낙하 컨베이어(100)에 매달리는 립부(lip)를 구비하고, 따라서 문서들의 상측 에지는, 컨베이어가 문서들을 정렬 레일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렬 레일의 립부 아래에서 변위되는 경향이 있다. 기울어진 벨트는, 정렬 레일(105)과 상호 작용하고, 따라서, 접힌 문서들의 상측 에지는, 컨베이어를 향해 하방으로 평탄해지며, 따라서 문서의 선행 에지는, 접히지 않고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의 파지부에 진입할 수 있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는, 파지부를 형성하는 상측 롤러(132) 및 하측 롤러(134)를 포함한다. 상측 롤러(132)는 구동 롤러이며, 그리고 하측 롤러(134)는 종동 롤러이다. 상측 롤러(132)는, 선회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변위 가능한 아암 상에 장착된다. 편향 요소가, 하측 롤러(134)를 향해 상측 롤러(132)를 압박하기 위해, 선회 샤프트를 편향시킨다. 문서들이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에 진입함에 따라, 롤러 및 선회 아암은,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에 진입하는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큰 간극을 형성하기 위해, 편향 요소의 편향에 대항하여 하측 롤러로부터 멀어지게 선회한다.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의 후행 단부가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를 빠져나감에 따라, 상측 롤러(132)는, 후속 문서 또는 패킷이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에 진입할 때까지, 종동 롤러(134)와 맞물린 상태에서 선회한다. 대안적으로, 패킷이 다수의 문서를 포함하는 경우, 액추에이터가, 패킷이 제1 예비-급송기에 진입할 때 제1 예비-급송기(122)가 패킷으로부터 상측 문서들을 밀어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측 롤러(132)를 상방(도 4의 관점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로부터, 문서들은, 제2 예비-급송기 조립체(140)에 진입한다. 제2 예비-급송기 또한,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해 종동 하측 롤러(144)를 향해 편향되는 종동 상측 롤러(142)를 포함한다.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예비-급송기(130) 및 제2 예비-급송기(140)는, 대향하는 종동 롤러들을 향해 편향되는 구동 롤러들을 포함한다. 비록 상측 구동 롤러들(132, 142)이 문서들의 두꺼운 패킷들을 수용하기 위해 선회 가능하지만, 상측 롤러들은, 패킷이 예비-급송기들에 진입할 때 적층체 내의 상측 문서들을 후방으로 (즉, 낙하 컨베이어를 향해 상류측으로) 밀어내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패킷들을 정돈된 적층체로 유지하기 위해, 패킷이 제1 예비-급송기(130)에 진입하기 이전에, 예비-급송기들의 상측 롤러들(132, 142)을 자동적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예비-급송기 조립체(120)는, 예비-급송기 아암들이, 각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이 예비-급송기에 진입하기 이전에, 상방으로 선회하도록,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예비-급송 롤러(132 및 142)를 들어 올리는 것은, 주로, 패킷이 상당한 개수의 문서의 두꺼운 패킷일 때, 유익하다. 따라서, 시스템은, 문서들의 두께를, 이들이 낙하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동될 때, 모니터링한다. 문서들의 패킷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예비-급송기 아암들은, 패킷이 예비-급송기 조립체에 진입하기 이전에, 들어 올려진다.
다양한 센서가, 컨베이어(100) 상의 패킷들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사례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가, 예비-급송기로부터 상류의 정렬 레일 상에 장착된다. 센서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께를 검출하는 경우, 컨트롤러는, 아암들을 들어 올리기 위해 예비-급송 아암들에 연결된 모터들로 신호를 전송한다.
일단 상측 롤러들(132, 142)이 상승되면, 낙하 컨베이어(100)는, 패킷을 전방으로 예비-급송기 조립체 내로 계속 구동한다. 제1 예비-급송기와 제2 예비-급송기 사이의 제1 센서가, 패킷의 선행 에지를 검출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일단 제1 센서가 두꺼운 패킷의 선행 에지를 검출하면, 제1 예비-급송 아암은, 구동 롤러(132)가 패킷 내의 상측 문서와 접촉하도록, 하방으로 선회한다. 제2 예비-급송 롤러(142)는, 동시에 하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검출기(145)가,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와 제2 예비-급송기 조립체(140) 사이에 배치된다. 패킷 검출기는, 제1 예비-급송기 조립체(130)로부터 제2 예비-급송기 조립체로 이송되는 문서들의 개수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방식에서, 두께 검출기가, 문서 또는 문서들의 패킷의 두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어서, 개별적인 문서에 대한 추정된 두께에 기초하여 문서들의 개수를 추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 두께 검출기(145)는, 문서 또는 패킷의 두께를 직접적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대신에, 두께 검출기(145)는, 송신기로부터 방출되고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초음파를 사용하는, 초음파 검출기이다.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종이들의 시트들 사이의 전이부들의 개수가, 얼마나 많은 문서가 적층체 내에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결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패킷 검출기(145)는, 예비-급송기 내의 트랜잭션이 단일 문서와 대조되는 2개 이상의 문서의 패킷인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비-급송기들(130, 140)로부터, 문서들은, 싱귤레이터(180)로 전진한다. 싱귤레이터는, 일련의 롤러들 둘레에서 회전하는 급송 벨트이다. 급송기에 대향하는 지연체(retard)가, 문서들의 패킷을 위한 진입 경로를 형성한다. 제1 방향으로의 싱귤레이터의 회전은, 지연체가 패킷 내의 남아 있는 문서들의 변위를 방해하는 가운데, 문서들의 패킷으로부터 상측 문서를 급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급송기는, 문서들을 이미지화 스테이션으로 한 번에 하나씩 급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20)의 제1 에지가 정렬 레일에 대해 정렬될 때, 싱귤레이터(180)는, 정렬된 에지에 인접한 문서에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싱귤레이터(180)는,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가해지는, 전진 구동력을 문서(20) 상에 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문서에 가해지는 전진력은, 싱귤레이터가 문서를 전방으로 구동할 때, 문서가 비틀리는 것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비틀림은, 종이의 에지들이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이동 또는 회전하도록 야기하는, 문서의 임의의 회전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적절하게 배향된 문서는, 정렬 레일(105)에 평행한 에지들을 구비한다. 비틀림은, 문서의 에지가 정렬 레일을 가로지르는 배향으로 선회 또는 이동하도록 야기하는 경향이 있는, 정렬 레일을 가로지르는 각도로의 문서의 변위를 지칭한다.
비틀림은, 문서들의 스캔된 이미지들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예비-급송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문서들이 이미지화 스테이션으로 급송될 때, 비틀림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비틀림 저감 조립체(150)가 예시된다.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싱귤레이터(180)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응답하여 문서가 회전 또는 비틀리는 경향을 방해하는, 힘을 문서(20) 상에 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비틀림 저감 조립체(150)는, 싱귤레이터(180)에 의해 가해지는 구동력과 반대되는, 후방으로 지향되는 항력을 문서 상에 가한다. 부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항력이 정렬된 에지에 인접하게 가해지도록, 정렬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항력은, 구동력이 싱귤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동일한 측면 상에서,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가해진다. 따라서, 도 5의 관점에서, 비틀림 저감 조립체에 의해 생성되는 항력은, 문서에 가해지는 반시계 방향 토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는 가운데, 싱귤레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구동력은, 문서에 가해지는 시계 방향 토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싱귤레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토크와 반대되는 토크를 문서에 가하는 경향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틀림 저감 조립체(150)의 세부사항들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조립체는, 문서들의 적층체의 상부에 놓이는 가중된 지연체(155)를 포함한다. 가중된 지연체(155)는, 문서들의 적층체에 적용될 요구되는 가중물을 제공하는, 재료의 블록을 포함한다. 전체 블록은, 고마찰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 고마찰 패드(157)가, 가중된 블록(155)의 하측 표면에 적용된다. 고마찰은, 일반적으로, 표준 종이보다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마찰 계수는 0.5보다 높다. 선택적으로, 마찰 계수는, 0.75보다 높으며 그리고 1.0보다 높을 수 있을 것이다.
지연체 블록(155)은,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상승된 위치에서, 지연체는, 블록이 컨베이어(100) 상의 그리고 예비-급송기 조립체(120) 내의 문서들 위에 놓이도록, 종이 경로 위로 변위된다. 하강된 위치에서, 지연체 블록(155)은, 문서들의 패킷의 상부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하강된 위치에서, 지연체 블록은, 간극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와 지연체 블록의 하측 표면(157) 사이에 형성되도록,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하강된 위치에서의 간극은, 단일 시트들이 지연체 블록과 맞물리지 않는 가운데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높다. 선택적으로, 간극은, (몇 개의 시트를 갖는 패킷과 같은) 작은 패킷들이 지연체 블록과 맞물리지 않는 가운데 통과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클 수 있을 것이다.
가중된 지연체(155)는, 장착 아암(152)에 의해 상승된 위치와 하강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본 사례에서, 장착 아암은, 제1 예비-급송기(130)와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2 예비-급송기(140)와 연결되고, 따라서 제1 예비-급송기 및/또는 제2 예비-급송기(140)의 변위가, 또한, 장착 아암을 변위시킨다.
비틀림 저감 조립체(150)는, 패킷의 선행 단부가 싱귤레이터(180)에서 머무를 때, 문서들의 패킷의 후행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패킷의 길이의 중간 지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패킷 상에 작용한다.
장착 아암(152)은, 제1 예비-급송기(13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아암일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장착 아암(152)은, 가중된 지연체(155)를 컨베이어(100) 위에 배치하기 위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장착 아암(152)은 또한, 가중된 지연체를 정렬 레일에 인접하게 배치하기 위해 정렬 레일을 향해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가중된 지연체(155)는, 장착 아암(152)과, 고정적으로 또는, 지연체가 아암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가중된 지연체는, 아암(152)과 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리프팅 탭(158)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체의 몸체로부터 멀어지게 외향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리프팅 탭(158)은, 리프팅 탭이 아암에 대향하도록, 장착 아암(152)의 단부 위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장착 아암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질 때, 아암은, 그로 인해 지연체(155)를 들어 올리도록, 리프팅 탭과 맞물린다. 반대로, 아암(152)이 하방으로 변위될 때, 지연체(155)의 가중물은, 가중물이 장착 아암의 단부에 안착하도록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야기한다. 그러나, 지연체(155)의 하측 표면(157)이 문서들의 패킷의 상부와 맞물리는 경우, 탭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장착 아암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것이다.
비틀림 저감 조립체(150)는, 또한, 지연체(155)가 수직으로 변위될 때 지연체를 가이드하기 위한 트랙(159)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트랙(159)은, 수직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지연체(155)는, 지연체의 수직 변위를 가이드하기 위해 수직 채널 내로 돌출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화 스테이션
급송 스테이션(110)으로부터, 문서들은, 각 문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문서들을 스캔하는, 이미지화 스테이션(200)에 진입한다. 바람직하게, 이미지화 장치는, 문서의 양자 모두의 측면을 스캔하기 위한 한 쌍의 스캐너(21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이미지화 장치(200)는, 하측 스캐너(210)가 위치되는 하측 플레이트, 및 상측 스캐너가 위치되는 상측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하측 스캐너(210)는, 문서의 하면을 스캔하며, 그리고 상측 스캐너는, 문서의 상면을 스캔한다.
비록 스캐너들이 흑백 또는 그레이 스케일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스캐너들(210)은, 컬러 스캐너들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하게, 스캐너들(210)은, 스캐닝 요소로서 작동하는 포토다이오드들의 어레이들 및 LED 광원들로 형성되는, 접촉 이미지 센서(CIS) 모듈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화 스테이션(200)의 상세도들이, 예시된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미지화 스테이션은, 상측 스캐너 및 하측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측 스캐너 및 하측 스캐너의 세부사항은, 상측 스캐너가 하측 스캐너에 대해 반전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뒤따르는 논의에서, 스캐너들 중의 단지 하나만이, 예시되고 설명된다. 스캐너에 대한 설명은, 상측 스캐너 및 하측 스캐너(210) 양자 모두에 적용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스캐너/이미지화 조립체(210)는, 문서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세장형 하우징(215)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스캐너에 의해 처리될 가장 넓은 문서의 폭만큼 길거나 그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하우징은, 대체로, 개방된 상측 표면을 갖는, 박스 형상이다. 유리 커버 또는 렌즈(230)가, 하우징의 상측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접촉 이미지 센서 PCB 회로(CIS)(220)가, 하우징(215)의 바닥에 배치된다. CIS는, CIS가 종이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미지화 센서는, 종이 경로의 폭을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조명 요소(225)가, 문서들이 CIS 위로 통과할 때, 문서들을 조명하는 광을 제공한다.
이미지화 스테이션(200)은, 선택적으로, 스캐너(210)에 대향하는 롤러 조립체(25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롤러 조립체는, 문서들 및 하나 이상의 구동 롤러들을 위한 배경 표면을 제공하여, 스캐너와 배경 표면 사이를 통과할 때 문서들이 걸리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롤러 조립체(250)는, 한 쌍의 롤러들, 즉 선행 롤러(270) 및 후행 롤러(275) 위에 놓이는, 롤러 하우징(260)을 포함한다. 하우징 및 롤러들은, 종이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그리고 스캐너(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이다. 롤러들(270, 275)은, 간극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롤러들 사이의 간극은, 롤러들(270, 275)이 스캐너의 시야 외부에 놓이도록, 스캐너(210)의 시야보다 더 넓다. 각 롤러(270, 275)의 단부는, 롤러들을 평행하게 그리고 서로 적절하게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는, 단부 브라켓(265)에 의해 지지된다. 선택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들은, 롤러들이 동기식으로 구동되도록, 예컨대 타이밍 벨트에 의해,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롤러들은, 도 7 및 도 8의 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동기식으로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롤러 조립체(250)는, 스캐너(210)의 상측 표면을 향해 편향된다. 단부 브라켓들(265)은, 단부 브라켓이 스캐너의 상측 표면(230)과 접촉할 때 롤러들(270, 275)이 스캐너(210)의 상측 표면(23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롤러들(270, 275)과 스캐너 표면(23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은, 도 8에서 참조부호 '235'로 지정된다. 이러한 간극(235)은, 바람직하게, 종이의 표준 두께의 두께보다 더 크다. 예를 들어, 간극(235)은, 0.020"의 높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스캐너(210)의 이미지 센서(220)는, 선행 롤러(270)와 후행 롤러(275) 사이의 간극을 향해 상방으로 지향된다. 달리 표현하면, 롤러들(270, 275)은, 스캐너(210)의 시야 양쪽에 걸쳐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 하우징(260)의 내측 표면(262)은, 스캐너(210)를 위한 배경을 제공한다. 내측 표면(262)은, 이미지화 어레이를 향해 다시 반사되는 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내측 표면은, 단조로운 검은색과 같은, 실질적으로 광 흡수 표면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내측 표면은, 플로킹(flocking)과 같은, 광 흡수 마감재로 커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서가 롤러 조립체(250)와 이미지화 조립체(210) 사이를 통과할 때, 문서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하우징(260)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검은색으로 스캔될 것이다. 그에 따라, 이미지 프로세서는, 문서 에지의 표시자로서 어두운 검은색 에지들을 사용함으로써, 문서의 에지들을 식별하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문서의 선행 에지 및 후행 에지는, 연속적인 문서들 사이의 간극이 가이드를 커버되지 않은 상태로 남길 것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검은색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롤러들(270, 275)은, 스캐너 표면(23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들은, 스캐닝 스테이션을 통해 문서를 구동하는 파지부를 형성하지 않는다. 대신에, 스캐너로부터 상류에 있는 롤러들은, 문서들을 파지하며, 그리고 스캐닝 스테이션을 통해 문서들을 구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스캐너로부터 하류에 있는 파지 롤러들은, 스캐닝 스테이션으로부터 멀어지게 문서들을 구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각 문서와 맞물린다.
전진 구동력을 제공하는 대신에, 롤러들(270, 275)은, 선택적으로, 롤러들과 스캐너 사이의 간극(235) 내로 문서들을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롤러들(270, 275)은, 도 8의 관점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문서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경우, 문서는, 간극(235)을 통해 바로 그리고 스캐너(210) 위로 통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롤러들(270, 275)은, 문서와 맞물리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문서가 주름지거나 접힌 경우, 문서의 선행 에지는, 간극(235)의 상한보다 위로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선행 롤러(270)는, 문서의 선행 에지와 맞물릴 것이며, 그리고 선행 에지를 스캐너(210)의 상측 표면(230)을 향해 하방으로 가이드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행 에지는, 간극(235)을 통해 가이드될 것이다. 유사하게, 스캐너의 시야 위로 통과한 이후에, 선행 에지는, 구부러지거나 주름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간극(235)의 높이 위로 상방으로 돌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후행 롤러는, 선행 에지를 간극(235)을 통해 하방으로 가이드할 것이다. 일단 선행 에지가 후행 롤러와 더불어 간극(235)을 통과하면, 문서의 선행 에지는, 이후에 간극을 통해 그리고 스캐너 표면 위로 문서를 당기는, 하류측 파지 롤러들에 의해 맞물린다.
분류 스테이션
스캐닝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문서들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 스테이션(300)으로 이송된다. 분류 스테이션은, 스캔된 문서들을 수취하기 위한 복수의 분류 상자(400, 402, 404, 406, 408)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문서들은, 스캔될 수 있으며 그리고 우회 경로로 그리고 우회 상자(410) 내로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 경로는, 스캐닝 스테이션(200)으로부터 분류 상자들(400-408)로 연장된다. 본 사례에서, 문서 경로는, 수직 경로(310)를 따라 문서들을 구동하도록 상방으로 전환된다. 수직 경로는, 각각 상자들(400-408) 중의 하나로 이어지는, 복수의 분류 경로(340)로 이어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경로(310)는, 경로의 길이를 따라 구동 파지부들을 형성하는 일련의 대향하는 롤러들(320)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롤러(320)는, 수직 경로가 문서들을 전방으로 구동하기 위해 문서의 폭을 가로질러 문서들과 맞물리도록, 문서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이격되는 복수의 롤러를 포함한다.
다양한 분류 기준 또는 분류 체계가, 문서들을 상이한 상자들(400-410) 내로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들은, 단순히 상자가 가득 찰 때까지 가장 위쪽 상자(408) 내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시점에 문서들은, 이어서, 상자(406)와 같은 다음 상자로 유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서 분류는, 문서들이 그것으로 가득 찰 때까지 상자로 급송되는 폭포와 같이 작용할 수 있으며, 그 시점에서 문서들은, 다음 상자로 분류된다. 대안적으로, 문서들은, 문서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자들 중의 하나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전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문서들은, 우회 상자(410)로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제1 유형의 문서인 것으로 식별되는 문서들은, 상자(400)로 분류될 수 있는 가운데, 제2 유형의 문서인 것으로 식별되는 문서들은, 상자(402)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에 대한 문서 유형은, 길이, 두께, 폭 등과 같은, 문서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문서 유형은, 문서에 대해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식별되는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문서가 특정 표식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식을 구비하는 문서들은, 상자들(400-410) 중의 특정 상자로 유도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의 묶음을 위해 활용되는 분류 체계와 무관하게, 상자들(400-408) 중의 하나로 유도될 문서들로서 식별되는 문서들은, 수직 경로(310)로 위로 유도된다. 수직 경로(310)는, 문서들을 분류 경로를 향해 상방으로 구동한다. 상자들(400-406)과 연관되는 일련의 게이트들(330)이, 문서들을 적절한 상자로 전환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된다. 구체적으로, 각 게이트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제1 위치에서, 게이트는, 문서가 수직 경로를 따라 계속되는 것을 허용한다. 제2 위치에서, 게이트는, 인접한 분류 경로로 문서를 전환시킨다.
각 분류 경로는, 선택적으로, 한 쌍의 대향하는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진입 파지부(342)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각 분류 경로는, 한 쌍의 대향하는 롤러에 의해 형성되는 방출 파지부(345)를 포함한다. 수직 경로(310)의 롤러들(320)과 더불어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진입 파지부 및 방출 파지부의 롤러들은, 종이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일련의 대향하는 롤러들이다.
진입 파지부(342) 및 방출 파지부(345)는, 분류 경로 내의 롤러들이 또한 수직 경로에 의해 구동되도록, 수직 구동의 롤러들(320)과 상호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 별개의 구동기가, 각 분류 경로 내의 롤러들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분류기(300)는, 수직 경로(310)를 구동하는 제1 모터(37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분류기는, 선택적으로, 분류 경로들의 하나 이상의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별개의 모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류기는, 제1 분류 경로를 상자(400)로 구동하기 위한 제1 분류 경로 모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분류기는, 상자들(402, 404, 406, 408)에 대한 각각의 분류 경로를 위한 별도의 모터(362, 364, 366, 368)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의 별개의 분류 경로 구동 모터(360-368)는, 각각의 개별적인 분류 경로 내의 모든 롤러와 상호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사례에서, 각 분류 경로 모터는, 개별적인 분류 경로의 단지 방출 파지부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분류 상자(402)로 이어지는 분류 경로(340)는, 방출 파지부(345)를 포함한다. 분류 경로 구동 모터(362)는, 방출 파지부(345)의 구동 롤러 축을 직접적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분류 경로 구동 모터(362)의 작동은, 방출 파지부(345)의 작동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분류 경로(340)로의 진입 파지부(342)는, 선택적으로 수직 경로 구동 모터(37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 벨트가, 진입 파지부(342)의 구동 롤러를 수직 경로의 롤러들(320)과 상호 연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입 파지부(342)는, 수직 경로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며, 그리고 수직 경로 구동 모터(370)의 작동에 의해 제어된다.
분류 스테이션은, 문서들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류 스테이션은, 경로 양쪽에 걸쳐지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IR 방출기가, 문서 경로의 일측에 있으며, 그리고 IR 검출기가, 문서 경로의 반대측에 있다. 문서가 센서를 통과할 때, 문서는, 그로 인해 문서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검출기를 차단한다. 중앙 컨트롤러는, 센서들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에 응답하여, 분류기의 다양한 양태들의 작동을 제어한다. 센서들은, 수직 경로 및 분류기 경로를 포함하는, 문서 경로를 따라 다양한 지점들에 배치된다. 센서가 위치되는 경로를 따르는 각 지점에서, 센서는, 문서 경로의 폭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조립체일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센서(325)는, 문서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PCB 조립체로서, PCB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인, PCB 조립체이다.
부가적으로, 시스템은, 분류 경로들(340)을 따르는 문서들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각 분류 경로는, 문서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센서(350)는, 분류 경로(340)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는, 수직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부 적용에서, 분류 경로 내의 문서 센서들(325)로부터의 신호들은, 문서들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직 경로(310) 및 정렬 경로 양자 모두를 통해 이동할 때, 문서들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사례에서, 센서(350)는, 방출 파지부(345)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그리고 방출 파지부로부터 상류에 놓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센서(350)는, 방출 파지부(345)에 진입하기 이전에 각 문서의 선행 에지를 검출한다. 부가적으로, 센서는, 방출 파지부에 진입하기 이전에, 각 문서의 후행 에지를 검출한다.
센서(350)와 방출 파지부(345) 사이의 거리는, 사전 결정된 거리이고, 따라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이후에 선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선행 에지가 센서를 통과한 이후에 문서가 이동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알려진다. 유사하게, 센서(350)를 통과한 이후에 후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문서가 센서를 통과한 이후에 문서가 이동하는 속도에 기초하여 알려진다.
예를 들어,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문서가 방출 파지부(345) 상류에서 방출 경로(340)를 따라 이동할 때, 문서는, 문서가 수직 경로(310)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와 동일한, 제1 속도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문서가 일단 센서(350)를 통과하면, 방출 파지부(345)에 진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센서(350)와 방출 파지부 사이의 거리 및 제1 속도에 기초하여 알려진다.
일단 문서가 방출 파지부(345)에 진입하면, 문서의 속도는, 방출 파지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 속도는, 방출 파지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단 선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345)에 진입하면, 방출 파지부의 속도는, 제2 속도로 증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방출 파지부는, 제1 속도로 계속 작동하는 진입 파지부(342)를 통과한 문서를 당기는 당김 파지부로서 작용한다. 유사하게, 방출 파지부는, 문서의 속도를, 제2 속도 미만이며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1 속도 미만인, 제3 속도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문서가 방출 파지부를 통해 이동함에 따른 속도의 증가 및/또는 감소의 시점은, 센서(350)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선택적으로, 분류 상자들(400-408) 내의 문서들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문서들을 주름지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이 상자 내로 방출될 때 문서들을 주름지게 하는 것은, 문서들의 적층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방출 파지부(345)는, 축(349) 상에 장착되는 복수의 상측 롤러(348)를 포함한다. 상측 롤러들(348)은, 롤러들이 문서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축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다. 유사하게, 방출 파지부는, 추가로, 축(347) 상의 복수의 하측 롤러(346)를 포함한다. 하측 롤러들(346)은, 롤러들이 문서 경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축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된다. 본 사례에서, 하측 롤러들(346)은 종동 롤러들이며, 그리고 상측 롤러들(348)은 유동 롤러(idler roller)들이다. 구체적으로, 축(347)은, 분류 경로 모터들(360-368) 중의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주름 형성 요소(380)가, 축들(347, 349)의 길이를 따라 상측 롤러(348)와 하측 롤러(346) 사이의 간극들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주름 형성 요소들(380)은, 하측 롤러들(346)의 상측 표면 위에서 상방으로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름 형성 요소들(380)은, 문서(20)를 상방으로 미는 가운데, 파지부(345)는, 하측 평면에서 문서의 부분들을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름 형성 요소들(380)은, 문서가 방출 파지부(345)를 통해 방출될 때, 문서(20)에 주름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본 사례에서, 주름 형성 요소들(380)은, 가변적인 주름 형성력을 제공한다. 특히, 주름 형성 요소가 종이 경로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하는 높이는, 변화한다. 예를 들어, 주름 형성 요소가 상방으로 돌출하는 높이는, 문서의 두께에 기초하여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택적으로, 주름 형성 요소들이 종이 경로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하는 거리는, 문서의 두께에 반비례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주름 형성 요소는, 종이 경로와 각도를 이루도록 상방으로 돌출하는, 세장형 핑거(380)일 수 있을 것이다. 핑거(380)는, 선회 지점(382)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선회 가능 레버일 수 있을 것이다. 핑거는, 상방으로 편향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핑거(380)의 후방 단부는, 핑거의 후방 단부를 하방으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소(384)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핑거의 상측 단부를 상방으로 편향시키는 경향이 있다. 문서가 핑거(380) 위로 구동될 때, 핑거는, 종이를 주름지게 하기 위해 종이를 상방으로 민다. 문서는, 스프링의 편향력에 대해 핑거를 하방으로 압박하도록, 핑거 상에서 아래로 눌린다. 핑거 상에 문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양은, 문서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름 형성 요소는, 얇은 문서들에 비해 두꺼운 문서들에 대해 더 적게 상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주름의 높이는, 문서의 두께에 의존하여 가변적이고, 따라서 더 두꺼운 문서들은, 더 얇은 문서들보다 더 얕은 주름을 갖는다.
사용 방법
작업스테이션(10) 및 분류 스테이션(300)은, 다양한 문서 작업흐름을 사용하여 다양한 문서들을 처리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스테이션(10) 및 분류 스테이션은, 문서들의 상이한 묶음들에 대해 활용될 수 있는 대안적인 작업흐름들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된다. 예를 들어, 문서들의 제1 묶음이, 봉투들로부터 추출된 내용물의 형태의 문서들의 적층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과제물에 대해, 작업자는, 그러한 과제물에 대한 문서들이 스캐너(60)에 의해 스캔되어야 하며 그리고 출력 상자들(70)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다.
시스템을 위한 이미지 프로세서(90)는 스캐너(60)에 의해 문서에 대해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작동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특히, 이미지 프로세서는, 문서 상의 표식들을 식별하고 판독하기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미지 프로세서(90)는, 문서 상에 인쇄되는 수신자 주소와 같은, 텍스트를 식별하기 위해 OCR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이미지 프로세서는, 바코드와 같은 표식들을 식별하고 판독할 수 있을 것이다. 식별 표식은, 이어서, 이상에 논의된 바와 같은 분류 스테이션(300)에서의 문서의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분류 스테이션은, 분류 상자들(400-408) 내에서의 문서들의 질서정연한 적층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수직 경로(310)는, 설정 속도로 작동할 수 있을 것이다. 50 내지 70 in/sec(또는 125 내지 175 cm/sec)의 예시적인 속도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트랙 속도는, 대략 60 in/sec(또는 150 cm/sec)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서들이 질서정연한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해 분류 상자들 내로 부드럽게 방출되도록, 상당히 더 낮은 트랙 속도로 문서들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들을 방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낮은 트랙 속도는, 대략 15 내지 30 in/sec(또는 35 내지 75 cm/sec)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방출 속도는, 대략 20 in/sec(또는 50 cm/sec)일 수 있을 것이다.
방출 시 문서들을 감속하는 것은, 후행 문서들과의 상류측 어려움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류의 문서들은, 트랙이 문서를 방출하기 위해 감속될 때, 걸림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방출되는 문서와 후행 문서 사이에 분리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문서를 방출하기 이전에, 분류 경로 속도는, 문서가 방출 시에 후속적으로 감속되기 이전에, 상당히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는, 대략 120 내지 150 in/sec(또는 300 내지 375 cm/sec)까지 가속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높은 속도는, 135 in/sec(또는 340 cm/sec)이다.
예시적인 방법론에서, 문서는, 제1 속도(예를 들어, 60 in/sec)로 수직 운반체를 따라 이송된다. 문서는, 분류 경로들 중의 하나로 유도되며; 예를 들어, 게이트가, 문서를 제1 분류 경로로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다. 분류 경로에서, 문서 경로 속도는, 특정 시간 동안 또는 문서가 특정 거리를 이동할 때까지, 제2 속도(예를 들어, 135 in/sec)로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의 후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에 진입하기 이전에, 문서 경로 속도는, 제1 속도 및 제2 속도(예를 들어, 20 in/sec)보다 작은, 제3 속도로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의 후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345)를 통과한 이후에, 문서 경로 속도는, 분류 경로의 문서 경로 속도가 수직 경로의 문서 경로 속도와 정합하도록, 제1 문서 경로 속도로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직 경로(310) 및 분류 경로의 진입 파지부는,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작동할 수 있는 가운데, 방출 파지부의 속도는, 분류될 문서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는, 문서가 수직 경로 및 진입 파지부에 의해 운반될 때, 트랙 속도(예를 들어, 60 in/sec)로 이송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는, 문서가 방출 파지부와 맞물릴 때까지, 트랙 속도로 계속된다. 문서가 방출 파지부에 진입함에 따라, 모터(360)는 방출 파지부 롤러들(345)의 속도(예를 들어, 135 in/sec)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방출 롤러들은, 그로 인해 문서와 후행 문서 사이의 간극을 증가시키도록, 수직 경로에서 문서를 뒤따르는 문서에 대한 문서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방출 파지부를 통한 문서를 당긴다. 방출 파지부(345)는, 문서의 대부분이 방출 파지부를 통과할 때까지, 증가된 속도로 작동한다. 모터(360)는 이어서, 문서의 후행 단부가 낮은 속도로 방출 파지부를 통해 구동되도록, 상당히 감속된다(예를 들어, 20 in/sec). 이러한 방식으로, 문서는, 분류 상자(400) 내에 문서들의 질서정연한 적층체를 제공하기 위해 낮은 속도로 방출된다. 모터(360)는, 트랙 속도(예를 들어, 60 in/sec)로 방출 파지부를 구동하기 위해, 다시 가속된다.
속도 변화들의 시점은, 문서의 존재를 검출하는 센서들(325, 350) 중의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가 유도되는 분류 경로에 바로 선행하는 수직 경로 내의 센서(325)는, 문서 운반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문서는, 제1 속도(예를 들어, 문서가 문서 경로를 따라 그리고 분류 경로 내로 구동될 때, 60 in/sec)로 구동될 수 있을 것이다. 문서가 분류 경로에 인접한 센서(325)를 통과한 이후에, 센서는, 문서의 후행 에지를 검출한다. 문서의 후행 에지의 검출은, 방출 파지부(345)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시작시킨다. 특히, 일단 문서의 후행 에지가 검출되면, 방출 파지부 속도는, 운반 속도로 이동할 때 문서의 선행 에지가 센서로부터 방출 파지부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상응하는, 특정 사전 결정된 시간에 증가된 속도(예를 들어, 120 in/sec)로 증가된다. 방출 파지부는, 사전 결정된 기간 동안 증가된 속도로 구동된다. 특히, 사전 결정된 기간은, 후행 에지가 방출 파지부로부터 상류의 사전 결정된 지점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양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후행 에지가 센서(325)로부터 방출 파지부 전방의 1인치까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일 수 있을 것이다. 사전 결정된 기간 이후에, 모터(360)는, 문서가 방출 파지부를 통과하는 데 그리고 상자(400) 내로 방출되는 데 충분한 기간 동안, 느린 속도(예를 들어, 20 in/sec)로 감속된다. 이러한 기간 이후에, 방출 파지부의 속도는, 운반 속도로 증가된다.
본 발명의 넓은 발명적 개념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들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들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이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및 수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3)
-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문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문서들의 패킷을 스캔하기 위한 스캐너;
문서들의 패킷을 스캐너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로서, 패킷의 면이 상방으로 지향하는 가운데 대체로 수평 배향으로 패킷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컨베이어;
컨베이어로부터 스캐너로 패킷 내의 문서들을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급송기로서, 문서들을 스캐너로 연속적으로 급송하기 위해 문서들을 단일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급송기; 및
급송기가 문서들을 급송할 때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들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한 급송기로부터 상류의 비틀림 저감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인,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급송기는,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측방으로 떨어진 지점에서의 문서의 제1 측부 상에 순 전진력을 제공하고,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순 전진력과 반대의 방향으로 그리고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문서의 제1 측부 상에 항력(drag force)을 제공하는 것인,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급송기가 패킷의 선행 부분과 맞물리는 동안에, 패킷의 후행 부분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가중물(weight)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패킷은 길이를 가지며, 그리고 패킷의 후행 부분은 상기 길이의 중심점 후방의 부분을 포함하며 그리고 선행 부분은 상기 중심점 전방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가중물은, 패킷의 상측 문서와 맞물리기 위한 고마찰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패킷의 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및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비틀림 저감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은, 패킷의 두께를 나타내는 특성이며, 그리고 컨트롤러는, 임계값 미만의 두께를 갖는 패킷을 나타내는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비틀림 저감 조립체를 변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비틀림 저감 조립체는, 패킷과의 맞물림 상태로 또는 패킷과의 맞물림 해제 상태로 비틀림 저감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변위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변위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 문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급송력이 제1 방향으로 토크를 생성하는 경향이 있도록, 문서의 폭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되는 개소에서 문서의 선행 부분에 급송력을 가함으로써, 문서의 경로를 따라 제1 방향으로 문서를 급송하는 단계;
급송력이 문서의 선행 부분에 가해지는 가운데 문서의 후행 부분에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로서, 비틀림 방지력은, 급송력의 방향과 반대이며 그리고 문서의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개소에 가해지는 것인,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급송하는 단계는, 문서를 스캐너로 급송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리고 방법은, 문서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각 문서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문서를 스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문서의 상측면이 상방으로 지향하는 가운데, 대체로 수평 배향으로 급송기를 향해 문서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대체로 수평 배향으로 급송기를 향해 문서를 이송하는 단계는, 상측면과 맞물리지 않는 가운데 문서의 하측면과 맞물리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선행 부분은, 문서의 길이의 중간점 전방에 있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후행 부분은, 문서의 길이의 중간점 후방에 있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문서를 급송하는 단계는, 문서의 중심선에 대해 문서의 제1 측부에 급송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는, 문서의 중심선에 대해 문서의 제1 측부에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는, 문서의 중심선에 대해 문서의 제1 측부에 수직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수직력을 가하는 단계는, 문서에 가중물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문서는 문서들의 패킷의 일부이며, 그리고 문서에 가중물을 적용하는 단계는, 패킷의 상부에 가중물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력을 제거하기 위해 가중물을 선택적으로 들어 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비틀림 방지력을 가하는 단계는, 문서의 특성에 응답하여 비틀림 방지력을 선택적으로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방지력은, 임계값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 패킷의 일부인 문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가해지는 것인, 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방지력은, 단일 문서인 또는 임계값 미만의 두께를 갖는 패킷의 일부인 문서의 검출에 응답하여 가해지지 않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263325605P | 2022-03-30 | 2022-03-30 | |
US63/325,605 | 2022-03-30 | ||
PCT/US2023/017006 WO2023192544A1 (en) | 2022-03-30 | 2023-03-30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9082A true KR20240169082A (ko) | 2024-12-02 |
Family
ID=8820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6118A Pending KR20240169082A (ko) | 2022-03-30 | 2023-03-30 | 문서 이미지화 시스템 및 문서를 이미지화하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4) | US11985280B1 (ko) |
EP (1) | EP4500838A1 (ko) |
JP (1) | JP2025510895A (ko) |
KR (1) | KR20240169082A (ko) |
CN (1) | CN118947105A (ko) |
AU (1) | AU2023245781A1 (ko) |
MX (1) | MX2024010282A (ko) |
WO (1) | WO202319254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85280B1 (en) * | 2022-03-30 | 2024-05-14 | Opex Corporatio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679491B2 (en) * | 2001-09-17 | 2004-01-20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Mail piece feeder control system and method |
US8157254B2 (en) | 2004-06-04 | 2012-04-17 | Opex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il to obtain image data of contents |
US7537203B2 (en) | 2003-06-07 | 2009-05-26 | Opex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il obtain image data of contents |
US7992853B2 (en) | 2003-06-07 | 2011-08-09 | Opex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ail to obtain image data of contents |
USD574881S1 (en) | 2005-03-07 | 2008-08-12 | Opex Corporation | Document processing device |
US7922169B2 (en) * | 2008-10-29 | 2011-04-12 | Xerox Corporation | Friction retard feeder |
BR112012026761A2 (pt) | 2010-04-19 | 2017-10-10 | Opex Corp | aparelho para processamento de documentos,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documentos |
US8596634B2 (en) * | 2010-09-13 | 2013-12-03 | Pitney Bowes Inc. | System for controlling a singulating belt in a mailpiece feeder |
EP2891308B1 (en) | 2012-08-29 | 2020-11-25 | Opex Corporation | Imaging assembly for scanner |
AU2013347917B2 (en) | 2012-11-21 | 2017-06-29 | Usnr, Llc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nging the direction/speed of a workpiece |
US20140199109A1 (en) * | 2013-01-17 | 2014-07-17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kew reduction in print media |
US20150319330A1 (en) | 2014-05-02 | 2015-11-05 | Opex Corporatio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 |
JP6783227B2 (ja) | 2014-05-02 | 2020-11-11 | オペ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 文書処理システム及び文書を撮像するための方法 |
JP2018182442A (ja) | 2017-04-07 | 2018-11-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 |
AU2019223190A1 (en) | 2018-02-23 | 2020-09-17 | Opex Corporatio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WO2020227113A1 (en) | 2019-05-03 | 2020-11-12 | Opex Corporatio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US11985280B1 (en) * | 2022-03-30 | 2024-05-14 | Opex Corporatio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
2023
- 2023-03-30 US US18/129,063 patent/US11985280B1/en active Active
- 2023-03-30 WO PCT/US2023/017006 patent/WO20231925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3-30 KR KR1020247036118A patent/KR20240169082A/ko active Pending
- 2023-03-30 MX MX2024010282A patent/MX2024010282A/es unknown
- 2023-03-30 EP EP23781840.6A patent/EP4500838A1/en active Pending
- 2023-03-30 CN CN202380030804.3A patent/CN118947105A/zh active Pending
- 2023-03-30 JP JP2024557129A patent/JP2025510895A/ja active Pending
- 2023-03-30 AU AU2023245781A patent/AU2023245781A1/en active Pending
- 2023-09-13 US US18/466,078 patent/US12212722B2/en active Active
- 2023-09-19 US US18/370,229 patent/US12138662B2/en active Active
-
2024
- 2024-10-08 US US18/909,542 patent/US20250025919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2212722B2 (en) | 2025-01-28 |
US12138662B2 (en) | 2024-11-12 |
AU2023245781A1 (en) | 2024-08-29 |
MX2024010282A (es) | 2024-08-28 |
US20240024921A1 (en) | 2024-01-25 |
US20240179255A1 (en) | 2024-05-30 |
EP4500838A1 (en) | 2025-02-05 |
JP2025510895A (ja) | 2025-04-15 |
WO2023192544A1 (en) | 2023-10-05 |
CN118947105A (zh) | 2024-11-12 |
US11985280B1 (en) | 2024-05-14 |
US20240333851A1 (en) | 2024-10-03 |
US20250025919A1 (en) | 2025-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08818A (en) | Mixed mail transport | |
US689739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ocument processing | |
US12139361B2 (en) | Feeder for feeding document to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feeding documents | |
AU261500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going bulk mail | |
US20250025919A1 (en) | Document Imaging Apparatus with Leading Edge Engagement for Improved Performance | |
CA1090737A (en) | Flat mail sorter and loader | |
US10757274B2 (e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
US10855864B2 (e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
US690335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dge detection | |
US8939447B2 (en) | Item collating system and method | |
US20220219203A1 (e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
US11973908B2 (e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 | |
NZ726130B2 (en) | Document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documents | |
JPH09169462A (ja) | 紙葉類搬送装置 | |
AU200623587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going bulk m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