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9069A - 뉴클레오사이드 line-1 억제제 - Google Patents
뉴클레오사이드 line-1 억제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9069A KR20240169069A KR1020247035986A KR20247035986A KR20240169069A KR 20240169069 A KR20240169069 A KR 20240169069A KR 1020247035986 A KR1020247035986 A KR 1020247035986A KR 20247035986 A KR20247035986 A KR 20247035986A KR 20240169069 A KR20240169069 A KR 20240169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ydroxymethyl
- disease
- amino
- tetrahydrofuran
- hydrox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777 nucleoside Substances 0.000 title 1
- 150000003833 nucleosid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title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8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62
- -1 5-Bromo-1-((2R,4S,5R)-5-ethyl-4-hydroxy-5-(hydroxymethyl)tetrahydrofuran-2-yl)-4-hydroxypyrimidin-2(1H)-one Chemical compound 0.000 claims description 297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90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9000012453 solv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08000015122 neurodegenerativ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4770 neurod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08000023275 Autoimmun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18412 transposition, RNA-mediated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06010002026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1000006417 multiple 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8000029560 autism spectrum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02780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01000011240 Frontotemporal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8000018737 Parkins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1000002212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2339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8000005069 pulmonary fib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1000000980 schizophren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6010003594 Ataxia telangiectas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53138 Congenital aplastic an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11878 Deafnes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1000004939 Fanconi an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1000009794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64930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706 cardiovascular dys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915 cell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10370 hearing lo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1100000888 hearing loss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16354 hearing loss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3958 hematopoietic stem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36971 interstitial lung disease 2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670 luciferase enzyme activity assa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8000011580 syndromic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1000000596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67889 Dementia with Lewy bodie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1000002832 Lewy body dement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ABLZXFCXXLZCGV-UHFFFAOYSA-N Phosphorous acid Chemical compound OP(O)=O ABLZXFCXXLZCG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06289 Rett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27061 mild cognitive impairment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33237 Aicardi-Goutières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11990 Corticobasal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3105 Huntington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01132 Osteoporos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21386 Sjogren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6010025135 lupus erythematos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1000008482 osteoarthriti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9759 skin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KEITBKYNOYEOH-VAOFZXAKSA-N 1-[(2r,4s,5r)-4-hydroxy-5-(hydroxymethyl)-5-methyloxolan-2-yl]-5-methylpyrimidine-2,4-dione Chemical compound O=C1NC(=O)C(C)=CN1[C@@H]1O[C@](C)(CO)[C@@H](O)C1 BKEITBKYNOYEOH-VAOFZXAK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GJJRUGQNZINQMK-QRPMWFLTSA-N Nc1nc(=O)c2ncn([C@H]3C[C@H](O)[C@@](CO)(O3)C=C)c2[nH]1 Chemical compound Nc1nc(=O)c2ncn([C@H]3C[C@H](O)[C@@](CO)(O3)C=C)c2[nH]1 GJJRUGQNZINQMK-QRPMWFLT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WTUBSAMHVDFFSA-JOAULVNJSA-N CC[C@@](CO)([C@H](C1)O)O[C@H]1N1C(N=CN=C2O)=C2N=C1 Chemical compound CC[C@@](CO)([C@H](C1)O)O[C@H]1N1C(N=CN=C2O)=C2N=C1 WTUBSAMHVDFFSA-JOAULVNJ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44 atroph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GQSGNUQLGRWZDK-PKIKSRDPSA-N 4-amino-1-[(2r,3r,4r,5r)-5-ethynyl-3-fluoro-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pyrimidin-2-one Chemical compound O=C1N=C(N)C=CN1[C@H]1[C@H](F)[C@H](O)[C@](CO)(C#C)O1 GQSGNUQLGRWZDK-PKIKSRDPSA-N 0.000 claims 2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4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5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group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6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4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6
- 238000004895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9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1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1
- 102100031780 Endonucle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0
- 235000019439 eth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5
- 108010092799 R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59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4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8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4
- 238000005160 1H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WQDUMFSSJAZKTM-UHFFFAOYSA-N Sodium methoxide Chemical compound [Na+].[O-]C WQDUMFSSJAZKT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1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IAZDPXIOMUYVGZ-WFGJKAKNSA-N Dimethyl sulfoxide Chemical compound [2H]C([2H])([2H])S(=O)C([2H])([2H])[2H] IAZDPXIOMUYVGZ-WFGJKAKNSA-N 0.000 description 36
- 230000002018 over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4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4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4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12472 biologica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2953 preparative HPLC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4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4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2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VHYFNPMBLIVWCW-UHFFFAOYSA-N 4-Dimethylaminopyridine Chemical compound CN(C)C1=CC=NC=C1 VHYFNPMBLIV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9
- FTVLMFQEYACZNP-UHFFFAOYSA-N trimethylsilyl trifluorom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Si](C)(C)OS(=O)(=O)C(F)(F)F FTVLMFQEYACZ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101710158030 Endonucl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440 colum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2230 colorless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11981 lindlar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898 silica gel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4100072530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2043 crude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QPJVMBTYPHYUOC-UHFFFAOYSA-N meth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OC(=O)C1=CC=CC=C1 QPJVMBTYPHYU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991 patho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480 el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818 flash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60000549 4-dimethylaminophenol Drugs 0.000 description 10
- JUJWROOIHBZHMG-UHFFFAOYSA-N 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JUJWROOIHBZHM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9
- OZAIFHULBGXAKX-UHFFFAOYSA-N 2-(2-cyanopropan-2-yldiazenyl)-2-methylpropanenitrile Chemical compound N#CC(C)(C)N=NC(C)(C)C#N OZAIFHULBGXA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OZAIFHULBGXAKX-VAWYXSNFSA-N AIBN Substances N#CC(C)(C)\N=N\C(C)(C)C#N OZAIFHULBGXAKX-VAWYXSNFSA-N 0.000 description 8
- OKKJLVBELUTLKV-MZCSYVLQSA-N Deuterated methanol Chemical compound [2H]OC([2H])([2H])[2H] OKKJLVBELUTLKV-MZCSYVLQSA-N 0.000 description 8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40095102 meth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8
- KOSYAAIZOGNATQ-UHFFFAOYSA-N o-phenyl chloromethanethioate Chemical compound ClC(=S)OC1=CC=CC=C1 KOSYAAIZOGNA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SIOVKLKJSOKLIF-HJWRWDBZSA-N trimethylsilyl (1z)-n-trimethylsilylethanimidate Chemical compound C[Si](C)(C)OC(/C)=N\[Si](C)(C)C SIOVKLKJSOKLIF-HJWRWDBZ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52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JGFZNNIVVJXRND-UHFFFAOYSA-N N,N-Diisopropylethylamine (DIPEA) Chemical compound CCN(C(C)C)C(C)C JGFZNNIVVJXRN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1150003085 Pdc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ZDWYFWIBTZJGOR-UHFFFAOYSA-N bis(trimethylsilyl)acetylene Chemical compound C[Si](C)(C)C#C[Si](C)(C)C ZDWYFWIBTZJGO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lass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704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HTJDQJBWANPRPF-UHFFFAOYSA-N Cyclopropylamine Chemical compound NC1CC1 HTJDQJBWANPRP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5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VZTDIZULWFCMLS-UHFFFAOYSA-N ammonium formate Chemical compound [NH4+].[O-]C=O VZTDIZULWFCM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98 dragé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396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UMJSCPRVCHMLSP-UHFFFAOYSA-N pyridine Natural products COC1=CC=CN=C1 UMJSCPRVCHMLS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25000004192 tetrahydrofuran-2-yl group Chemical group [H]C1([H])OC([H])(*)C([H])([H])C1([H])[H]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797 therapeutic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FQOHNJLBXOVJNP-UEQSERJNSA-N C(C)(=O)O[C@H]1[C@H](OC(C)=O)[C@H](OCC2=CC=CC=C2)[C@](O1)(COCC1=CC=CC=C1)C Chemical compound C(C)(=O)O[C@H]1[C@H](OC(C)=O)[C@H](OCC2=CC=CC=C2)[C@](O1)(COCC1=CC=CC=C1)C FQOHNJLBXOVJNP-UEQSERJNSA-N 0.000 description 4
- RTCFNJMZFUSXLZ-KBOKOGPMSA-N CC1=CC=C(C(=O)O[C@@H]2[C@](OC(C2)OC(C)=O)(COC(C2=CC=C(C=C2)C)=O)C#C)C=C1 Chemical compound CC1=CC=C(C(=O)O[C@@H]2[C@](OC(C2)OC(C)=O)(COC(C2=CC=C(C=C2)C)=O)C#C)C=C1 RTCFNJMZFUSXLZ-KBOKOGPMSA-N 0.000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GHASVSINZRGABV-UHFFFAOYSA-N Fluorouracil Chemical compound FC1=CNC(=O)NC1=O GHASVSINZRGA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254158 Lampy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6 Northern bl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392 so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96 transfe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0026 trimethylsilyl group Chemical group [H]C([H])([H])[Si]([*])(C([H])([H])[H])C([H])([H])[H] 0.000 description 4
- OISVCGZHLKNMSJ-UHFFFAOYSA-N 2,6-dimethylpyrid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N1 OISVCGZHLKNMS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FVKLKDEXOWFSL-UHFFFAOYSA-N 6-amino-5-bromo-1h-pyrimidin-2-one Chemical compound NC=1NC(=O)N=CC=1Br QFVKLKDEXOWFS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3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42407 Endonucl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089 Multiple system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34117 Oligo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41000242739 Renill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JLCPHMBAVCMARE-UHFFFAOYSA-N [3-[[3-[[3-[[3-[[3-[[3-[[3-[[3-[[3-[[3-[[3-[[5-(2-amino-6-oxo-1H-purin-9-yl)-3-[[3-[[3-[[3-[[3-[[3-[[5-(2-amino-6-oxo-1H-purin-9-yl)-3-[[5-(2-amino-6-oxo-1H-purin-9-yl)-3-hydroxy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5-methyl-2,4-di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5-methyl-2,4-di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4-amino-2-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5-methyl-2,4-di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5-methyl-2,4-di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4-amino-2-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4-amino-2-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4-amino-2-oxopyrimidin-1-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6-aminopurin-9-yl)oxolan-2-yl]methoxy-hydroxyphosphoryl]oxy-5-(4-amino-2-oxopyrimidin-1-yl)oxolan-2-yl]methyl [5-(6-aminopurin-9-yl)-2-(hydroxymethyl)oxolan-3-yl] hydrogen phosphate Polymers Cc1cn(C2CC(OP(O)(=O)OCC3OC(CC3OP(O)(=O)OCC3OC(CC3O)n3cnc4c3nc(N)[nH]c4=O)n3cnc4c3nc(N)[nH]c4=O)C(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P(O)(=O)OC3CC(OC3CO)n3cnc4c(N)ncnc34)n3ccc(N)nc3=O)n3cnc4c(N)ncnc34)n3ccc(N)nc3=O)n3ccc(N)nc3=O)n3ccc(N)nc3=O)n3cnc4c(N)ncnc34)n3cnc4c(N)ncnc34)n3cc(C)c(=O)[nH]c3=O)n3cc(C)c(=O)[nH]c3=O)n3ccc(N)nc3=O)n3cc(C)c(=O)[nH]c3=O)n3cnc4c3nc(N)[nH]c4=O)n3cnc4c(N)ncnc34)n3cnc4c(N)ncnc34)n3cnc4c(N)ncnc34)n3cnc4c(N)ncnc34)O2)c(=O)[nH]c1=O JLCPHMBAVCMAR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VFLDPWHFBUODDF-FCXRPNKRSA-N curcum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FCXRPNKR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86 cytos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AXXELZNTBOGNW-UHFFFAOYSA-N imidazole Natural products C1=CNC=N1 RAXXELZNTBOG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682 maximum tolerated dose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99 nitrogen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46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ITBWVILQPPLUAX-YGOYTEALSA-N 1-[(2r,4s,5r)-5-ethenyl-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5-methylpyrimidine-2,4-dione Chemical compound O=C1NC(=O)C(C)=CN1[C@@H]1O[C@@](CO)(C=C)[C@@H](O)C1 ITBWVILQPPLUAX-YGOYTEALSA-N 0.000 description 2
- LLKVXAAJAGWZGF-YGOYTEALSA-N 1-[(2r,4s,5r)-5-ethynyl-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5-methylpyrimidine-2,4-dione Chemical compound O=C1NC(=O)C(C)=CN1[C@@H]1O[C@@](CO)(C#C)[C@@H](O)C1 LLKVXAAJAGWZGF-YGOYTEALSA-N 0.000 description 2
- MPCMLKLBMSFTTJ-QRPMWFLTSA-N 2-amino-9-[(2r,4s,5r)-5-ethynyl-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3h-purin-6-one Chemical compound C1=2NC(N)=NC(=O)C=2N=CN1[C@H]1C[C@H](O)[C@](CO)(C#C)O1 MPCMLKLBMSFTTJ-QRPMWFLTSA-N 0.000 description 2
- CFIBTBBTJWHPQV-UHFFFAOYSA-N 2-methyl-n-(6-oxo-3,7-dihydropurin-2-yl)propanamide Chemical compound N1C(NC(=O)C(C)C)=NC(=O)C2=C1N=CN2 CFIBTBBTJWHPQ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RZBCHWVBQOTNZ-PSEXTPKNSA-N 3,5-di-O-caffeoyl 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C@H]([C@@H]1O)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PSEXTPKNSA-N 0.000 description 2
- PXEUAIUYMOPCER-UHFFFAOYSA-N 3-methyl-2H-pyrazolo[3,4-d]pyrimidine-4,6-diamine Chemical compound CC1=NN=C2N=C(NC(=C21)N)N PXEUAIUYMOPCE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GLKVYYPGGJFTH-VAOFZXAKSA-N 4-amino-5-bromo-1-[(2r,4s,5r)-5-ethynyl-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pyrimidin-2-one Chemical compound C1=C(Br)C(N)=NC(=O)N1[C@@H]1O[C@@](CO)(C#C)[C@@H](O)C1 VGLKVYYPGGJFTH-VAOFZXAKSA-N 0.000 description 2
- YFZZOJANIQVEMZ-VAOFZXAKSA-N 5-bromo-1-[(2r,4s,5r)-5-ethynyl-4-hydroxy-5-(hydroxymethyl)oxolan-2-yl]pyrimidine-2,4-dione Chemical compound C1[C@H](O)[C@](CO)(C#C)O[C@H]1N1C(=O)NC(=O)C(Br)=C1 YFZZOJANIQVEMZ-VAOFZXAKSA-N 0.000 description 2
- LQLQRFGHAALLLE-UHFFFAOYSA-N 5-bromouracil Chemical compound BrC1=CNC(=O)NC1=O LQLQRFGHAALL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BXJHWYVXLGLDMZ-UHFFFAOYSA-N 6-O-methylguanine Chemical compound COC1=NC(N)=NC2=C1NC=N2 BXJHWYVXLGLD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YWUSKBMXQERLH-UHFFFAOYSA-N 6-n-cyclopropyl-7h-purine-2,6-diamine Chemical compound C=12N=CNC2=NC(N)=NC=1NC1CC1 IYWUSKBMXQER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1710159080 Aconitate hydratase 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159078 Aconitate hydratase B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0044 Amne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LVWRFRNYQLQQS-CAHLUQPWSA-N C(#C)[C@]1([C@H](CC(O1)=O)O)CO Chemical compound C(#C)[C@]1([C@H](CC(O1)=O)O)CO ULVWRFRNYQLQQS-CAHLUQPW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4951 Genetic Transloc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13909 Human endogenous retro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6139 Mem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91093105 Nuclear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1710163270 Nucl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08 PCR amp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4 RNA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44126 RNA-Binding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710105008 RNA-binding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REFGVBLTWBCJP-UHFFFAOYSA-N alprazolam Chemical compound C12=CC(Cl)=CC=C2N2C(C)=NN=C2CN=C1C1=CC=CC=C1 VREFGVBLTWBC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08 ammon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GIXWDMTZECRIJT-UHFFFAOYSA-N aurintr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C(C(=O)O)=CC1=C(C=1C=C(C(O)=CC=1)C(O)=O)C1=CC=C(O)C(C(O)=O)=C1 GIXWDMTZECRI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75 cerebrospinal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YDDGKXBLOXEEMN-IABMMNSOSA-N chicoric acid Chemical compound O([C@@H](C(=O)O)[C@@H](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YDDGKXBLOXEEMN-IABMMNSO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PUCINDJVBIVPJ-LJISPDSOSA-N cocaine Chemical compound O([C@H]1C[C@@H]2CC[C@@H](N2C)[C@H]1C(=O)OC)C(=O)C1=CC=CC=C1 ZPUCINDJVBIVPJ-LJISPDSOSA-N 0.000 description 2
- ADEBPBSSDYVVLD-UHFFFAOYSA-N donepezil Chemical group O=C1C=2C=C(OC)C(OC)=CC=2CC1CC(CC1)CCN1CC1=CC=CC=C1 ADEBPBSSDYVV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26534 drug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85 fatty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65 filter ca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0 fluorescent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SUTZQLVASHGKV-JDFRZJQESA-N galanthamine Chemical compound O1C(=C23)C(OC)=CC=C2CN(C)CC[C@]23[C@@H]1C[C@@H](O)C=C2 ASUTZQLVASHGKV-JDFRZJQE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DGQSTZJBFJUBT-UHFFFAOYSA-N hypoxanthine Chemical compound O=C1NC=NC2=C1NC=N2 FDGQSTZJBFJU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1841 imino group Chemical group [H]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6 immunofluor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743 insertional mutagen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51 lactam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984 memory d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3060 memory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OQSJWQNOMXRCEL-UHFFFAOYSA-N methyl 4-methylbenzoate Chemical compound [CH2]C1=CC=C(C(=O)OC)C=C1 OQSJWQNOMXRC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24 mouth w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BDUZBHKKUFFRH-UHFFFAOYSA-N n-(2-oxo-1h-pyrimidin-6-yl)benzamide Chemical compound OC1=NC=CC(NC(=O)C=2C=CC=CC=2)=N1 XBDUZBHKKUF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CUPNJVFRBGYFW-UHFFFAOYSA-N n-(5-fluoro-2-oxo-1h-pyrimidin-6-yl)benzamide Chemical compound C1=NC(=O)NC(NC(=O)C=2C=CC=CC=2)=C1F KCUPNJVFRBGYF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VXQITNIMKKBBE-UHFFFAOYSA-N n-cyclopropyl-7h-purin-6-amine Chemical compound C1CC1NC1=NC=NC2=C1N=CN2 ZVXQITNIMKKB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1090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WUARLUWKZWEBQ-VQHVLOKHSA-N phenethyl caffeate Chemical compound C1=C(O)C(O)=CC=C1\C=C\C(=O)OCCC1=CC=CC=C1 SWUARLUWKZWEBQ-VQHVLOKH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612 plasm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924 primary amino group Chemical group [H]N([H])*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GRJJQCWNZGRKAU-UHFFFAOYSA-N pyridin-1-ium;fluoride Chemical compound F.C1=CC=NC=C1 GRJJQCWNZGRK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7 radio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ZFFBEXEKNGXKS-UHFFFAOYSA-N raltegravir Chemical compound O1C(C)=NN=C1C(=O)NC(C)(C)C1=NC(C(=O)NCC=2C=CC(F)=CC=2)=C(O)C(=O)N1C CZFFBEXEKNGXK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742 raltegravir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07 reversed phase HPLC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DAEPDZWVDSPTHF-UHFFFAOYSA-M sodium pyruvate Chemical compound [Na+].CC(=O)C([O-])=O DAEPDZWVDSPTH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11 suppository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268 sustain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30 sustained-releas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5 synergistic combin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OGXOCVLYRDXLW-UHFFFAOYSA-N tert-butyl nitrite Chemical compound CC(C)(C)ON=O IOGXOCVLYRDX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14 tert-butyl nit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PGGTKZVZWFYPV-UHFFFAOYSA-M tetrabutylammonium fluoride Chemical compound [F-].CCCC[N+](CCCC)(CCCC)CCCC FPGGTKZVZWFYPV-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90 trans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lass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2
- 229940121358 tyrosine kin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OKAXSHFTDPZHP-UHFFFAOYSA-N (1-bromo-2-methyl-1-oxopropan-2-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Br)=O OOKAXSHFTDPZ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JLUPGSPHOGFEOB-WQLSENKSSA-N (2z)-2-(2,2-dimethyl-5-oxo-1,3-dioxolan-4-ylidene)-n-[(4-fluorophenyl)methyl]-n-methoxyacetamide Chemical compound O\1C(C)(C)OC(=O)C/1=C/C(=O)N(OC)CC1=CC=C(F)C=C1 JLUPGSPHOGFEOB-WQLSENKSSA-N 0.000 description 1
- IWZSHWBGHQBIML-ZGGLMWTQSA-N (3S,8S,10R,13S,14S,17S)-17-isoquinolin-7-yl-N,N,10,13-tetramethyl-2,3,4,7,8,9,11,12,14,15,16,17-do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3-amine Chemical compound CN(C)[C@H]1CC[C@]2(C)C3CC[C@@]4(C)[C@@H](CC[C@@H]4c4ccc5ccncc5c4)[C@@H]3CC=C2C1 IWZSHWBGHQBIML-ZGGLMWTQSA-N 0.000 description 1
- ZEWJFUNFEABPGL-UHFFFAOYSA-N 1,2,4-triazole-3-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NC(=O)C=1N=CNN=1 ZEWJFUNFEABP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XPNQXFRVYWDDI-UHFFFAOYSA-N 1-methyl-2,4-dioxo-1,3-diazinane-5-carboximidamide Chemical compound CN1CC(C(N)=N)C(=O)NC1=O IXPNQXFRVYWD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APYIBBSTJFDAK-UHFFFAOYSA-N 2,4,6-tri(propan-2-yl)benzenesulfo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1=CC(C(C)C)=C(S(Cl)(=O)=O)C(C(C)C)=C1 JAPYIBBSTJFD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AUXRJCZDHHADG-UHFFFAOYSA-N 2,4-dioxo-1h-pyrimidine-5-carbonitrile Chemical compound O=C1NC=C(C#N)C(=O)N1 HAUXRJCZDHHAD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ZLCGUXUOFWCCN-UHFFFAOYSA-N 2-hydroxynonadecane-1,2,3-tr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O)(C(O)=O)CC(O)=O HZLCGUXUOFWC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WKFPIODWVPXLX-UHFFFAOYSA-N 2-methyl-5-methylpyridine Natural products CC1=CC=C(C)N=C1 XWKFPIODWVPXL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VCIFQBXXSMTQD-UHFFFAOYSA-N 3,5-di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C(=O)OC2CC(O)(CC(OC(=O)C=Cc3ccc(O)c(O)c3)C2O)C(=O)O)cc1C MVCIFQBXXSMT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FTBZKVVGZNMJR-UHFFFAOYSA-N 5-chlorouracil Chemical compound ClC1=CNC(=O)NC1=O ZFTBZKVVGZNMJ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QJXZVKXNSFHRI-UHFFFAOYSA-N 6-Benzamidopurine Chemical compound N=1C=NC=2N=CNC=2C=1NC(=O)C1=CC=CC=C1 QQJXZVKXNSFH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NWOYKVCNDZOLS-UHFFFAOYSA-N 6-amino-5-chloro-1h-pyrimidin-2-one Chemical compound NC=1NC(=O)N=CC=1Cl PNWOYKVCNDZOL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872 Addis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1497 Ag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88 Agno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047040 Agnos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2260 Alkaline Phospha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74 Alkaline Phospha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93088 Amplico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2942 A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6162 Astragalus gummif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827 Autoimmune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QOHNJLBXOVJNP-MBDJBHLASA-N C([C@]1(OC([C@@H]([C@@H]1OCC=1C=CC=CC=1)OC(C)=O)OC(=O)C)C)OCC1=CC=CC=C1 Chemical compound C([C@]1(OC([C@@H]([C@@H]1OCC=1C=CC=CC=1)OC(C)=O)OC(=O)C)C)OCC1=CC=CC=C1 FQOHNJLBXOVJNP-MBDJBHLASA-N 0.000 description 1
- JGLMVXWAHNTPRF-CMDGGOBGSA-N CCN1N=C(C)C=C1C(=O)NC1=NC2=CC(=CC(OC)=C2N1C\C=C\CN1C(NC(=O)C2=CC(C)=NN2CC)=NC2=CC(=CC(OCCCN3CCOCC3)=C12)C(N)=O)C(N)=O Chemical compound CCN1N=C(C)C=C1C(=O)NC1=NC2=CC(=CC(OC)=C2N1C\C=C\CN1C(NC(=O)C2=CC(C)=NN2CC)=NC2=CC(=CC(OCCCN3CCOCC3)=C12)C(N)=O)C(N)=O JGLMVXWAHNTPRF-CMDGGOBGSA-N 0.000 description 1
- WKDNQONLGXOZRG-HRNNMHKYSA-N CO[C@H]1CC[C@@]2(Cc3ccc(cc3[C@@]22N=C(C)C(N)=N2)-c2cncc(c2)C#CC)CC1 Chemical compound CO[C@H]1CC[C@@]2(Cc3ccc(cc3[C@@]22N=C(C)C(N)=N2)-c2cncc(c2)C#CC)CC1 WKDNQONLGXOZRG-HRNNMHK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342 Cervix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DDGKXBLOXEEMN-IABMMNSOSA-L Chicoric acid Natural products C1=C(O)C(O)=CC=C1\C=C\C(=O)O[C@@H](C([O-])=O)[C@H](C([O-])=O)OC(=O)\C=C\C1=CC=C(O)C(O)=C1 YDDGKXBLOXEEMN-IABMMNSOSA-L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404 Chromosome Aberra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943 Coelia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8 DNA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77 DNA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108010014303 D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28 DNA-directed DNA polym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39 De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YDDGKXBLOXEEMN-UHFFFAOYSA-N Di-E-caffeoyl-meso-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C=1C=C(O)C(O)=CC=1C=CC(=O)OC(C(O)=O)C(C(=O)O)OC(=O)C=CC1=CC=C(O)C(O)=C1 YDDGKXBLOXEE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142 Disinhibi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86 Eq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201 Exanth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331 Firefly luci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PXGOKWXKJXAPGV-UHFFFAOYSA-N Fluorine Chemical compound FF PXGOKWXKJXAP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186 Hemolytic Autoimmune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782 Heredit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1336 Horseradish Per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019 Human endogenous retrovirus 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850 Hyper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1245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350 Inborn Gene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DXPYRJPNDTMRX-VKHMYHEASA-N L-glutam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C(N)=O ZDXPYRJPNDTMRX-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16 L-glutam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1084 Luci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89 Lucifer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556 Mendelia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ZLVMXJERCGZMT-UHFFFAOYSA-N Methyl tert-but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C)(C)C BZLVMXJERCGZM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940 Mood alte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951 Mood swing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1000940870 Mus musculus Endonucl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PDQUKCPNSRTTR-UHFFFAOYSA-N N-hydroxy-4-[(quinolin-8-ylamino)methyl]benzamide Chemical compound ONC(C1=CC=C(C=C1)CNC=1C=CC=C2C=CC=NC=12)=O BPDQUKCPNSRT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902 Nervous syste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966 Neurologic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0 Nitro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43462 ORF2p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65 Polyethylene Glycol 40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0 RT-PCR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090 Renilla Luci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89 Ribonucle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1734 Ribonucle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FTALBRSUTCGOEG-UHFFFAOYSA-N Riluzole Chemical compound C1=C(OC(F)(F)F)C=C2SC(N)=NC2=C1 FTALBRSUTCGOE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SVMFMHYUFZWBK-NSHDSACASA-N Rivastigmine Chemical compound CCN(C)C(=O)OC1=CC=CC([C@H](C)N(C)C)=C1 XSVMFMHYUFZWBK-NSHDSACA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55 Ste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001060868 Strawberry mild yellow edge-associated virus Helic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2 Student's t-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981 Thrombocytopenic Idiopathic Purpu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15 Tragacant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105 Uterine Cervic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642 Vitiligo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7565 Zn—Cu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MEGJBVQLJJKKX-HOTMZDKISA-N [(2R,3S,4S,5R,6R)-5-acetyloxy-3,4,6-trihydr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H]1[C@H]([C@@H]([C@H]([C@@H](O1)O)OC(=O)C)O)O SMEGJBVQLJJKKX-HOTMZDKISA-N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ZQBYOMGUSA-N [14c]-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14C](=O)C1=CC=CN=C1 DFPAKSUCGFBDDF-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ETWJCDKMRHUPV-UHFFFAOYSA-N acet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l)=O WETWJCDKMRHUP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346 acet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735 acet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0563 aga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43 agarose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70 alkalin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40 analysis of vari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85 antago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01 aph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35 aqueous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98 atmosphe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448 autoimmune hemolytic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710 auto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863 bapineuzumab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QMFULTZZQBFBM-UHFFFAOYSA-N bis(trimethylsilyl)silyl-tr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SiH]([Si](C)(C)C)[Si](C)(C)C SQMFULTZZQBF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AMFGQBENKSWOF-UHFFFAOYSA-N bromo(methoxy)methane Chemical compound COCBr JAMFGQBENKSWO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YYIVELXUANFED-UHFFFAOYSA-N bromo(tri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Si](C)(C)Br IYYIVELXUANFE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WVKQTNONPWVEL-UHFFFAOYSA-N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1=C(O)C(O)=CC=C1C=CC(=O)OCC1=CC=CC=C1 WWVKQTNONPWV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JZGTCYPCWQAJB-UHFFFAOYSA-L calc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Ca+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JZGTCYPCWQAJB-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6 calcium 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39 calc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57 carboxymethyl group Chemical group [H]OC(=O)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37 cell 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67 cellular accu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40 cellular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81 cervic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DQQXEISLMTGAB-UHFFFAOYSA-N chloramine T Chemical compound [Na+].CC1=CC=C(S(=O)(=O)[N-]Cl)C=C1 VDQQXEISLMTG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4727 chloramine-t trihyd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5302 chronic primary adrenal insuffic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920 cichoric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20 coc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810 compound 20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7 compulsive behavior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70 controlled releas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TVZPLCNGKSPOJA-UHFFFAOYSA-N copper zinc Chemical compound [Cu].[Zn] TVZPLCNGKSPO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112 corn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58 cru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9262 curc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48 curcu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754 curcu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39 deleteri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8 delu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26 densi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PLBHPXCJGNMHL-UHFFFAOYSA-N di(propan-2-yloxy)phosphorylmethyl trifluorometha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C(C)OP(=O)(OC(C)C)COS(=O)(=O)C(F)(F)F YPLBHPXCJGNM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YDDGKXBLOXEEMN-PMACEKPBSA-N dicaffeoyl-D-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O([C@H](C(=O)O)[C@H](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YDDGKXBLOXEEMN-PMACEKPBSA-N 0.000 description 1
- YDDGKXBLOXEEMN-WOJBJXKFSA-N dicaffeoyl-L-tartaric acid Natural products O([C@@H](C(=O)O)[C@@H](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YDDGKXBLOXEEMN-WOJBJXKF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FLDPWHFBUODDF-UHFFFAOYSA-N diferuloylmethane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30 donepezi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3 dose–response relationship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64 dual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LUYTUMUWHWMC-UHFFFAOYSA-N edaravone Chemical group O=C1CC(C)=NN1C1=CC=CC=C1 QELUYTUMUWHW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9041 edarav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71 embryonic ste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57 embryonic structur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884 exanthe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91 fetal bovine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84 flow cy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66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49 fluorouraci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80 galan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ASUTZQLVASHGKV-UHFFFAOYSA-N galanthamine hydrochloride Natural products O1C(=C23)C(OC)=CC=C2CN(C)CCC23C1CC(O)C=C2 ASUTZQLVASHG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02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02 germ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AXFJECJQZDFJS-XHEPKHHKSA-N gtpl8555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CC(O)=O)C(=O)N[C@@H](C(C)C)C(=O)N[C@@H](C(C)C)C(=O)N1CCC[C@@H]1C(=O)N[C@H](B1O[C@@]2(C)[C@H]3C[C@H](C3(C)C)C[C@H]2O1)CCC1=CC=C(F)C=C1 JAXFJECJQZDFJS-XHEPKHHK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963 hair lo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FUAGWLWBBFQJT-UHFFFAOYSA-N hexamethyldisilazane Chemical compound C[Si](C)(C)N[Si](C)(C)C FFUAGWLWBBFQ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66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79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88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UFVKGYZPFZQRLF-UHFFFAOYSA-N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2C(C(O)C(OC3C(C(O)C(O)C(CO)O3)O)C(CO)O2)O)C(CO)O1 UFVKGYZPFZQRL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704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phthal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3532 hypothyroid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89 hypothyroid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19 immuno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64 immunohistochemi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1 in situ hybrid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02 inf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4 liquid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87 long-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208 low-grade fe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93 lumbar punc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1 lymp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5 lymph nod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39 lysi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UGYDGFZZOZRHP-UHFFFAOYSA-N memantine Chemical compound C1C(C2)CC3(C)CC1(C)CC2(N)C3 BUGYDGFZZOZR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640 meman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175 memory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52 methamphe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MYWUZJCMWCOHBA-VIFPVBQESA-N methamphetamine Chemical compound CN[C@@H](C)CC1=CC=CC=C1 MYWUZJCMWCOHBA-VIFPVBQE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00 methyl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93 micro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10 mood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417 myasthenia grav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YHYKUSGACIYRML-KRWDZBQOSA-N n-[3-[(5r)-3-amino-2,5-dimethyl-1,1-dioxo-6h-1,2,4-thiadiazin-5-yl]-4-fluorophenyl]-5-fluoropyridi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S(=O)(=O)N(C)C(N)=N[C@]1(C)C1=CC(NC(=O)C=2N=CC(F)=CC=2)=CC=C1F YHYKUSGACIYRML-KRWDZBQO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2 nasal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0 nitrocellulo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7 nonaqueous veh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2 numbnes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QIQXTHQIDYTFRH-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 QIQXTHQIDYTFR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QCDKBAXFALNLD-UHFFFAOYSA-N octadecano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 OQCDKBAXFALN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8 oral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1 organic solvent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70 path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0 patient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63 pharmaceutical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0 pharmaceutical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SWUARLUWKZWEBQ-UHFFFAOYSA-N phenylethyl ester of caffeic acid Natural products C1=C(O)C(O)=CC=C1C=CC(=O)OCCC1=CC=CC=C1 SWUARLUWKZWE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NGIFLGASWRNHJ-UHFFFAOYSA-L 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70 plasma concen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18 polyethylene glycol 400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987 polymyo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4 polypept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17 potato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846 protein fol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VIAPHVAGFEFFN-UHFFFAOYSA-N pyrimidine-5-carbonitrile Chemical compound N#CC1=CN=CN=C1 XVIAPHVAGFEF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43 quercet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844 ras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97 real-tim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6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9 reverse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86 rice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81 riluz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36 rivastig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18 sandwich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07 ser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53 shamp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46 skin ras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3 sodium algi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1 sodium algi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5550 sodium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4269 sodium pyruv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NZYOAGBNMCVQIV-UHFFFAOYSA-N sodium;chloro-(4-methylphenyl)sulfonylazanide;trihydrate Chemical compound O.O.O.[Na+].CC1=CC=C(S(=O)(=O)[N-]Cl)C=C1 NZYOAGBNMCVQ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39 solid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70 specific bi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61 standard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7 ste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032 substance abu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53 t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19 tauto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CNZYOJHNLTNEZ-UHFFFAOYSA-N tert-butyldimethylsil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C(C)(C)[Si](C)(C)Cl BCNZYOJHNLTN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WCKGOZZJDHMNC-UHFFFAOYSA-M tetraethylam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N+](CC)(CC)CC HWCKGOZZJDHMN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98 therapeutic candid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74 therapeutic index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5 therapeutic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WQNBRDOKXIBIV-UHFFFAOYSA-N thymine Chemical compound CC1=CNC(=O)NC1=O RWQNBRDOKXIBI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423 tissue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7 tragacan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6 tragacan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62 tragacant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61 trans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6683 trans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45 trans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8499 tricalcium phosph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1 tr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91 tri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25 ultraviolet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08700026220 vif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39 volatil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445 wheat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3—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tos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6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 A61K31/707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cytidine, cytidylic acid having two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yrimidine ring, e.g. uridine, uridylic acid, thymidine, zidovud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61K31/70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urine ring system, e.g. guanosine, guanyl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6—Antianaem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two nitrogen ato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 C07D473/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s 2 and 6 one oxygen and one nitrogen atom, e.g. guan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28—Oxygen atom
- C07D473/30—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hypoxanth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an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but not in both
- C07D473/32—Nitrogen atom
- C07D473/34—Nitro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6, e.g. adeni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 C07D473/4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urine ring systems with halogen atoms or perhalogeno-alk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or 6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56—Triazole or tetrazole radic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073—Pyrimidine radicals with 2-deoxy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06—Pyrimidine radicals
- C07H19/10—Pyrimidine radicals with the saccharide radical esterified by phosphoric or polyphosphoric aci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C07H19/173—Purine radicals with 2-deoxyrib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C07H19/19—Purine radicals with arabinosyl as the saccharide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9/00—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 C07H19/02—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sharing one ring hetero atom with a saccharide radical; Nucleosides; Mononucleotides; Anhydro-derivatives thereof sharing nitrogen
- C07H19/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nitrogen atoms as ring hetero atom
- C07H19/16—Purine radicals
- C07H19/20—Purine radicals with the saccharide radical esterified by phosphoric or polyphosphoric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LINE-1 억제제 및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LINE-1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LINE-1 억제제 및 LINE-1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tautomer)를 대상체(subject)에게 투여함으로써 대상체에서 LINE-1 역전위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condition)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긴 산재 요소-1(Long INterspersed Element-1; LINE-1 또는 L1) 레트로트랜스포손은 인간에서 유일하게 자율적으로 활성인 전위 가능한 요소 계열을 형성한다. 이들은 생식계열, 배아 줄기 세포 및 초기 배아에서 발현되고 이동하지만, 대부분의 체세포 조직에서는 침묵한다. LINE-1은 삽입 돌연변이유발 및 서열 형질도입을 통해 개별 게놈 변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때때로 유전 질환 및 장애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역전위 가능한 요소 활성은 많은 신경계 장애에서 증가한다. 예를 들어, 문헌[Terry and Devine, Front. Genet., 08 January 2020, https://doi.org/10.3389/fgene.2019.01244 및 WO 2020/154656]을 참조한다.
LINE-1 요소는 이동성에 필수적인 두 가지 단백질, ORF1p와 ORF2p를 코딩한다. ORF1p는 핵산 샤페론 활성을 갖는 RNA 결합 단백질이다. ORF2p는 엔도뉴클레아제 및 역전사효소 활성을 보유한다. 이러한 단백질과 LINE-1 RNA는 역전위 기구의 핵심인 리보핵단백질 입자(LINE-1 RNP)로 조립된다. LINE-1 RNP는 표적 DNA의 절단과 표적 부위에서 LINE-1 RNA의 역전사시 새로운 LINE-1 카피의 합성을 매개한다. LINE-1 요소는 세포 숙주 인자의 이점을 활용하여 수명 주기를 완료하지만, 여러 세포 경로는 또한 LINE-1 RNP의 세포 축적과 이들의 유해한 활성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문헌[Pizarro and Cristofari (2016) Front. Cell Dev . Biol . 4:14. doi: 10.3389/fcell.2016.00014]을 참조한다. 대상체에서 LINE-1 역전위에 의해 유발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LINE-1 억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표 1의 화합물(이하 참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표 2의 화합물(이하 참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및 표 3의 화합물(이하 참조),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제공한다. 표 1 내지 3의 화합물,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및/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는 집합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들"로서 지칭되거나 개별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로서 지칭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s),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s) 및 연령 관련 질환(age-associated diseases)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 예를 들어, 체세포 LINE-1 삽입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 예를 들어, LINE-1 RNA, ORF1p, 또는 ORF2p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생물학적 샘플에 바이오마커의 과발현이 존재하는 경우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한 치료의 후보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 예를 들어, LINE-1 RNA, ORF1p, 또는 ORF2p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바이오마커의 과발현이 존재하는 경우 대상체를 치료 후보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또는 (c) 바이오마커의 과발현이 부재하는 경우 대상체를 치료 후보가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에서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 예를 들어, LINE-1 RNA, ORF1p, 또는 ORF2p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a) 생물학적 샘플에 바이오마커의 과발현의 존재는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면 양호한 치료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b) 생물학적 샘플에 바이오마커의 과발현의 부재는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면 바람직하지 않은 치료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a) 상기 대상체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고; (b)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바이오마커, 예를 들어,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 예를 들어, LINE-1 RNA, ORF1p 또는 ORF2p의 과발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에게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kit)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세한 설명
I.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이다.
[표 1]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이다.
[표 2]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표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이다.
[표 3]
표 1 내지 3은 Chemdraw® Professional 버전 20.1.1.125에 의해 생성된 화학 구조와 관련 화학 명칭을 제공한다. 화학 구조와 화학 명칭 사이에 모호한 경우,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그들의 구조에 의해 정의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I. 치료 방법 및 용도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LINE-1 역전위를 억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LINE-1 역전위가 원인 역할을 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 예를 들어, 이미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앓고 있는 대상체;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것으로 의심되는 대상체; 또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앓을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그 의도는, 예를 들어,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활성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대상체에서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피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 및/또는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a)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았거나, (b)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지 않거나, (c) HIV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고/않거나, (d) HIV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II. 질환, 장애 및 상태
임의의 특정 이론에 결부시키고자 하지 않고,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LINE-1 역전위를 억제하기 때문에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실시예 35(아래 참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IC50)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한다. 또한, 문헌[Jones et al., (2008) PLoS ONE 3(2): e1547. doi:10.1371/journal.pone.0001547; Xie et al., (2011) Nucleic Acids Res. 39(3): e16. doi: 10.1093/nar/gkq1076; Kopera et al., Methods Mol Biol 1400:139-156 (2016)]을 참조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5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25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15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1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05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01μM 이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C50은 0.005μM 이하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및/또는 이의 증상(들)은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며, 여기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암(cancer)이 아니고/아니거나 감염성 질환(infectious disease)이 아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예를 들어, 문헌[Dugger and Dickson,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2016;9:a028035]을 참조한다. 예시적인 신경퇴행성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이소체 동반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DLB), 다계통 위축증(multi systems atrophy; MSA), 헌팅턴병(Huntington's disease), 전두측두엽 변성(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FTLD),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피질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CDB),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 nuclear palsy; PSP),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말초 퇴행성 질환(peripheral degenerative disease) 또는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Aicardi-Goutieres syndrome; AGS)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두측두엽 변성은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이다. 예를 들어, 문헌[Mohandas and Rajmohan, Indian J Psychiatry 51(Suppl 1):S65-S69 (2009)]을 참조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신경퇴행성 질환의 증상은 기억 상실(memory loss), 건망증(forgetfulness), 무관심(apathy), 불안(anxiety), 초조(agitation), 억제력 상실(a loss of inhibition) 또는 기분 변화(mood changes)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자가면역 질환이다. 예를 들어, 문헌[Wang et al., J Intern Med 278:369-395 (2016)]을 참조한다. 예시적인 자가면역 질환은 루푸스(lupu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또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자가면역 질환의 증상은 피로(fatigue), 근육통(achy muscles), 부종(swelling) 및 발적(redness), 미열(low-grade fever), 집중력 장애(trouble concentrating), 손발 무감각 및 따끔거림(numbness and tingling in the hands and feet), 탈모(hair loss) 또는 피부 발진(skin rash)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연령 관련 질환이다. 예를 들어, 문헌[Franceschi et al., Front. Med . 5:61. doi: 10.3389/fmed.2018.00061; De Cecco et al., Nature 5666:73-78 (2019); US2021/0106586]을 참조한다. 예시적인 연령 관련 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골다공증(osteoporosis), 류마티스 관절염(RA),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피부 노화(skin aging)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40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45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50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55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60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65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70세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연령 관련 질환을 갖는 대상체는 적어도 75세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심혈관 기능 장애(cardiovascular dysfunction), 청력 상실(hearing loss), 조혈 줄기 세포 기능(hematopoietic stem cell function), 폐 섬유증(pulmonary fibrosis),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또는 시력 상실(vision loss)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처 치유(wound healing)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조직 재생(tissue regeneration)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알츠하이머병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은 기억 상실, 물건 잘못 두기(misplacing items), 장소 또는 물체의 이름 잊어버림(forgetting the names of places or objects), 반복되는 질문(repeating questions), 덜 유연함(being less flexible), 혼란(confusion), 방향 감각 상실(disorientation), 강박 행동(obsessive behavior), 강박 행동(compulsive behavior), 망상(delusions), 실어증(aphasia), 수면 장애(disturbed sleep), 기분 변화(mood swings), 우울증(depression), 불안(anxiety), 좌절(frustration), 초조(agitation), 공간 작업 수행의 어려움(difficulty in performing spatial tasks), 실인증(agnosia), 보행 어려움(difficulty with ambulation), 체중 감소(weight loss), 언어 상실(loss of speech), 단기 기억 상실(loss of short term memory) 또는 장기 기억 상실(loss of long term memory) 및 이들의 조합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알츠하이머병의 증상(들)은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의 인지 하위 척도(ADAS-cog), 임상의 인터뷰 기반 인상 변화(CIBIC-plus) 또는 일상 생활 활동 척도(ADL)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알츠하이머병이고,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가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임의의 치료제는 도네페질, 갈란타민, 리바스티그민, 메만틴, 바피뉴주맙, ABBV-8E12, CTS-21166, 베루베세스타트(MK-8931), 라나베세스타트(AZD3293), LY2886721, 니코틴아미드, MPT0G211 또는 아다카누맙-avwa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이고,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가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임의의 치료제는 에다라본, 릴루졸, 랄테그라비르, 커큐민, 커큐민의 유도체, 치코르산, 치코르산의 유도체, 3,5-디카페오일퀸산, 3,5-디카페오일퀸산의 유도체, 아우린트리카르복실산, 아우린트리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 카페인산 페네틸 에스테르의 유도체, 티르포스틴, 티르포스틴의 유도체, 퀘르세틴, 퀘르세틴의 유도체, S-1360, 진테비르(AR-177), L-870812 및 L-25 870810, MK-0518, BMS-538158 또는 GSK364735C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ataxia-telangiectasia)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연령 관련 황반 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IFN-associated autoimmune disease),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psoriasis), 백반증(vitiligo),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항진증(hyperthyroidism),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autoimmune hemolytic anemia), 중증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애디슨병(Addison disease), 셀리악병(celiac disease), 다발근염(polymyositis) 또는 중첩된 자가면역 간염(superimposed autoimmune hepatitis), 판코니 빈혈(Fanconi Anemia), 특발성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또는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전신 홍반성 루푸스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 예를 들어, 건선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판코니 빈혈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특발성 폐 섬유증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전신 질환은 심혈관 질환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레트 증후군, AGS,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 ASD, 정신분열증, 코카인 또는 메탐페타민 남용(cocaine or methamphetamine abuse), FTLD 또는 ALS이다. 예를 들어, 문헌[Terry and Devine, Front. Genet., 08 January 2020, https://doi.org/10.3389/fgene.2019.01244]을 참조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단일 제제로서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와 함께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예를 들어, 신경퇴행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임의의 치료제에 대해 문헌[Duraes et al., Pharmaceuticals 2018, 11, 44; doi:10.3390/ph11020044]을 참조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하나의 임의의 치료제와 함께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두 개의 임의의 치료제와 함께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세 개의 임의의 치료제와 함께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다음 조건 중 하나 이상 하에 조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이한 주기성, 상이한 기간, 상이한 농도, 상이한 투여 경로 등.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단일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부로서 대상체에게 조합하여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둘 이상의 개별적인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대상체에게 조합하여 투여된다. 이 경우에, 두 개의 개별적인 약제학적 조성물 -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및 임의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하나 - 이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개별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상이한 주기성, 상이한 기간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고, 임의의 치료제는 정맥내 투여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 이전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의 투여 0.5, 1, 2, 3, 4, 5, 10, 12 또는 18시간 전, 1, 2, 3, 4, 5 또는 6일 전, 또는 1, 2, 3 또는 4주 전에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 이후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의 투여 0.5, 1, 2, 3, 4, 5, 10, 12 또는 18시간 후, 1, 2, 3, 4, 5 또는 6일 후, 또는 1, 2, 3 또는 4주 후에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동시에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연속 투여 스케줄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간헐적 투여 스케줄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경구 투여된다.
본원에 제공된 치료 방법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체별 요구는 다양하지만, 각 구성 요소의 최적 유효량 범위의 결정은 당업계의 기술 범위 내에 있다. 전형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약 0.01mg/kg 내지 약 500mg/kg, 약 0.05mg/kg 내지 약 100mg/kg, 약 0.05mg/kg 내지 약 50mg/kg, 또는 약 0.05mg/kg 내지 약 10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루에 한 번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루에 두 번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루에 세 번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루에 4회 투여된다. 이러한 투여량은 예시적이지만, 더 높거나 더 낮은 투여량이 바람직한 개별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실제로, 의사는 개별 대상체에게 가장 적합한 실제 투여 섭생을 결정하며, 이는 특정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위 용량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약 0.01mg 내지 약 1000mg, 예를 들어, 약 1mg 내지 약 500mg, 예를 들어, 약 1mg 내지 약 250mg, 예를 들어, 약 1mg 내지 약 100mg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단위 경구 용량은, 예를 들어, 1mg, 2mg, 3mg, 4mg, 5mg, 6mg, 7mg, 8mg, 9mg, 10mg, 11mg, 12mg, 13mg, 14mg, 15mg, 16mg, 17mg, 18mg, 19mg, 20mg, 21mg, 22mg, 23mg, 24mg, 25mg, 26mg, 27mg, 28mg, 29mg, 30mg, 31mg, 32mg, 33mg, 34mg, 35mg, 36mg, 37mg, 38mg, 39mg, 40mg, 41mg, 42mg, 43mg, 44mg, 45mg, 46mg, 47mg, 48mg, 49mg, 50mg, 51mg, 52mg, 53mg, 54mg, 55mg, 56mg, 57mg, 58mg, 59mg, 60mg, 61mg, 62mg, 63mg, 64mg, 65mg, 66mg, 67mg, 68mg, 69mg, 70mg, 71mg, 72mg, 73mg, 74mg, 75mg, 76mg, 77mg, 78mg, 79mg, 80mg, 81mg, 82mg, 83mg, 84mg, 85mg, 86mg, 87mg, 88mg, 89mg, 90mg, 91mg, 92mg, 93mg, 94mg, 95mg, 96mg, 97mg, 98mg, 99mg 또는 100mg을 포함할 수 있다. 단위 용량은 하루에 한 번 이상,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정제 또는 캡슐로서 투여될 수 있다. 단위 용량은 또한 대상체에게 임의의 적합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 IV, 흡입 또는 피하 투여될 수 있다. 실제로, 의사는 개별 대상체에게 가장 적합한 실제 투여 섭생을 결정하며, 이는 특정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또는 1일 4회 약 0.1mg 내지 약 100m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하루에 약 1mg 내지 약 50mg의 양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단일 용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2회 분할 용량으로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3회 분할 용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4회 분할 용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원료 화학물질의 형태로 또는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결합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부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비히클 및 보조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은 임의의 표준 약제학적 담체, 용매, 계면활성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은 수성 비히클 및 비수성 비히클을 포함한다. 표준 약제학적 담체 및 이들의 제형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19th ed. 1995]에 기재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약 0.01 내지 99중량%, 예를 들어, 약 0.25 내지 75중량% 함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약 1중량%, 약 5중량%, 약 10중량%, 약 15중량%, 약 20중량%, 약 25중량%, 약 30중량%, 약 35중량%, 약 40중량%, 약 45중량%, 약 50중량%, 약 55중량%, 약 60중량%, 약 65중량%, 약 70중량% 또는 약 75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경로, 예를 들어, 경구, 협측, 흡입, 설하, 직장, 질, 요추 천자를 통한 수조내 또는 척수강내, 경요도, 비강, 경피, 즉, 경피 또는 비경구(정맥 내, 근육내, 피하, 관상동맥내, 피내, 유방내, 복강내, 관절내, 척수강내, 안구뒤, 폐내 주사 및/또는 특정 부위에 외과적 이식 포함) 투여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 형태는 투여 경로에 따라 다르다. 투여 형태는 정제, 당의정, 서방형 로젠지, 캡슐, 액상 용액, 액상 현탁액, 경구/비강 스프레이, 경피 패치, 얇은 용해성 필름, 연고, 서방형 또는 제어 방출형 임플란트, 구강 세정제 및 구강 세척제, 젤, 헤어 린스, 헤어 젤, 샴푸 및 좌약뿐만 아니라 정맥내 주입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용액, 피하 주사 투여하기에 적합한 현탁액 및 재구성에 적합한 분말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는 바늘과 주사기를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경구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피하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대상체에게 정맥내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유익한 효과를 경험할 수 있는 임의의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상체"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투여가 필요하거나 투여로부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임의의 인간 또는 동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대상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이지만, 본원에 제공된 방법 및 조성물은 그렇게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른 대상체는 수의학 동물, 예를 들어, 소, 양, 돼지, 말, 개, 고양이 등을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동물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LINE-1 억제에 반응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인간이다.
본원에 제공된 약제학적 제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당의정 제조, 용해 또는 동결건조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경구 사용을 위한 약제학적 제제는 활성 화합물을 고체 부형제와 조합하고, 임의로 생성되는 혼합물을 분쇄하고, 목적하는 경우 또는 필요한 경우 정제 또는 당의정 코어를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의 혼합물을 처리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는 특히 당류, 예를 들어, 락토스 또는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 셀룰로스 제제 및/또는 인산칼슘, 예를 들어, 인산삼칼슘 또는 인산수소칼슘과 같은 충전제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및/또는 폴리비닐 피롤리돈을 사용하는 전분 페이스트와 같은 결합제이다. 목적하는 경우, 상기 언급된 전분 및 또한 카르복시메틸-전분, 가교결합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긴산 또는 이의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알기네이트와 같은 붕해제가 첨가될 수 있다. 보조제는 적절한 유동 조절제 및 윤활제일 수 있다. 적절한 보조제는, 예를 들어, 실리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이의 염,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당의정 코어는, 목적하는 경우, 위액에 대한 내성이 있는 적절한 코팅이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해, 아라비아 고무,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또는 이산화티타늄, 래커 용액 및 적절한 유기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농축된 당류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위액에 내성이 있는 코팅을 생산하기 위해, 아세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프탈레이트와 같은 적절한 셀룰로스 제제 용액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식별을 위해 또는 활성 화합물 용량의 조합을 특성화하기 위해 염료 재료 또는 안료가 정제 또는 당의정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경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약제학적 제제는 젤라틴으로 만들어진 푸시-핏 캡슐뿐만 아니라 젤라틴과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가소제(plasticizer)로 만들어진 연질 밀봉 캡슐을 포함한다. 푸시-핏 캡슐은 락토스과 같은 충전제, 전분과 같은 결합제, 및/또는 활석 또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임의로 안정제와 혼합될 수 있는 과립 형태로 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은 하나의 구현예에서, 지방 오일 또는 액체 파라핀과 같은 적절한 액체에 용해되거나 현탁된다. 또한, 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다.
직장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한 약제학적 제제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활성 화합물과 좌약 기제(base)의 조합으로 구성된 좌약을 포함한다. 적합한 좌약 기제는, 예를 들어,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파라핀 탄화수소이다. 또한, 활성 화합물과 기제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젤라틴 직장 캡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능한 기제 물질은, 예를 들어,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파라핀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수용성 형태의 활성 화합물 수용액, 예를 들어, 수용성 염 및 알칼리성 용액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현탁액이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친유성 용매 또는 비히클은 지방 오일, 예를 들어, 참기름, 또는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에틸 올레에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400을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액은, 예를 들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소르비톨 및/또는 덱스트란을 포함하여 현탁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 현탁액은 또한 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표준 제약 관행에 따라 제형화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가 표시되는지 여부는 개별 사례에 따라 다르며, 존재하는 징후, 증상 및/또는 기능 장애, 특정 징후, 증상 및/또는 기능 장애가 발생할 위험 및 기타 요인을 고려한 의학적 평가(진단)의 대상이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효량으로 투여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정확한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진단된 상태 또는 질환을 고려하여 개별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투여량과 투여 간격은 치료 효과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독성 및 치료 효능은, 예를 들어, 대상체에서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최고 용량으로 정의되는 화합물의 최대 허용 용량(MTD)을 결정하기 위해 세포 배양 또는 실험 동물의 표준 제약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최대 허용 용량과 치료 효과 사이의 용량 비율은 치료 지수이다. 투여량은 사용되는 투여 형태, 및 사용된 투여 경로에 따라 이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본원에 제공된 상세한 개시내용에 비추어 당업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다.
요법에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 중인 질환의 특성, 활성이 목적시되는 기간, 대상체의 연령 및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궁극적으로 담당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투여량 및 투여 간격은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혈장 수준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목적하는 용량은 편리하게 단일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적절한 간격으로 투여되는 다중 용량으로, 예를 들어, 하루에 1회,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의 하위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IV. 키트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에게 상기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이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패키징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키트는 밀봉된 병 또는 용기와 같은 용기에 패키징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며, 라벨은 용기에 부착되거나 본 개시내용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사용을 기재하는 키트에 포함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패키징된다. 키트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단일 용량 또는 다중 용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키트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또는 이의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포함한다.
V. 바이오마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은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a)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바이오마커가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바이오마커가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 경우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바이오마커"는 대상체에서 생체내로 또는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에서 검출 및/또는 정량화될 수 있는 임의의 생물학적 화합물, 예를 들어, 유전자, 단백질, 단백질의 단편, 펩티드, 폴리펩티드, 핵산 등, 또는 염색체 이상, 예를 들어, 염색체 전좌를 지칭한다. 바이오마커는 온전한 분자 전체일 수 있거나, 이는 이의 일부 또는 단편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발현 수준이 측정된다. 바이오마커의 발현 수준은, 예를 들어, 바이오마커의 단백질 또는 RNA, 예를 들어, mRNA 수준을 검출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일부 또는 단편은, 예를 들어, 항체 또는 다른 특정 결합제에 의해 검출되거나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측정 가능한 양태는 대상체의 연령과 같은 대상체의 제공된 상태와 연관되어 있다. 단백질 또는 RNA 수준에서 검출되는 바이오마커의 경우, 이러한 측정 가능한 양태는, 예를 들어, 대상체 또는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생물학적 샘플에서 바이오마커의 존재, 부재 또는 농도, 즉 발현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핵산 수준에서 검출되는 바이오마커의 경우, 이러한 측정 가능한 양태는, 예를 들어, 바이오마커의 대립 유전자 버전 또는 본원에서 돌연변이 상태로 지칭되기도 하는 바이오마커의 돌연변이의 유형, 속도 및/또는 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 또는 RNA의 발현 수준을 기반으로 검출되는 바이오마커의 경우, 상이한 표현형 상태 사이에서 측정된 발현 수준은, 예를 들어, 상이한 그룹에서 바이오마커의 평균 또는 중앙값 발현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계산되는 경우, 상이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통계적 유의성에 대한 일반적인 테스트에는 t-테스트, ANOVA, 크러스칼-월리스(Kruskal-Wallis), 윌콕슨(Wilcoxon), 만-휘트니(Mann-Whitney), 마이크로어레이의 유의성 분석(Significance Analysis of Microarrays), 오즈비(odds ratio) 등이 포함된다. 바이오마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대상체가 하나의 표현형 상태 또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에 속할 상대적 가능성의 척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은 특히 질환의 마커로서, 그리고 특정 치료적 치료 섭생이 유익한 환자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지표로서 유용하다. 용어 "과발현"은 질환, 상태 또는 장애가 있는 대상체에서 바이오마커의 발현 수준이,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에서의 바이오마커의 평균 또는 중앙값발현 수준보다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예를 들어, ORF1p, ORF2p, 및/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측정 가능한 양태는 이의 발현 상태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측정 가능한 양태는 바이오마커의 상승된 수준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의 측정 가능한 양태는 이의 돌연변이 상태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LINE-1의 발현 수준이다. LINE-1의 발현 수준을 결정하는 방법은 US 2020/0253888에 기재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ORF1p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LINE-1 mRNA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대상체의 세포 샘플에서 LINE-1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ORF2p의 수준을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레트로트랜스포손 RNA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RNA의 과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LINE-1 RNA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LINE-1 RNA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LINE-1 RNA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의 과발현이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ORF1p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ORF1p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ORF1p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ORF2p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ORF2p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ORF2p의 과발현이다.
바이오마커 표준은 미리 결정되거나, 동시에 결정되거나, 생물학적 샘플이 대상체로부터 수득된 후에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표준은, 예를 들어, 신경퇴행성 질환이 없는 대상체의 샘플로부터의 데이터; 신경퇴행성 질환이 있는 대상체의 샘플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부류의 대상체, 예를 들어, 질환이 있는 대상체 대 질환이 없는 대상체에 대해 소정의 역치 바이오마커 표준을 확립하기 위해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다. 표준은 동일한 검정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이전 검정으로부터 공지된 표준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레트로트랜스포손 DNA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핵 DNA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레트로트랜스포손 세포질 DNA의 과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 예를 들어, 질환이 없는 정상 대상체 또는 과발현 LINE-1 DNA가 없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갖는 대상체와 비교하여 하나의 표현형 상태의 대상체, 예를 들어, 연령 관련 질환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 차별적으로 존재하는 LINE-1 DNA 발현이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LINE-1 DNA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LINE-1 핵 DNA의 과발현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LINE-1 세포질 DNA의 과발현이다.
바이오마커의 평균 또는 중앙값 발현 또는 돌연변이 수준이 그룹 사이에서 상이하다, 즉 더 높거나 더 낮은 것으로 계산되는 경우, 바이오마커는 상이한 표현형 상태 그룹 사이에 차별적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바이오마커는 대상체, 예를 들어, ALS를 갖는 대상체가 하나의 표현형 상태 또는 또 다른 표현형 상태에 속한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개별적 생물학적 화합물, 예를 들어, LINE-1 RNA 이외에, 본원에 사용된 용어 "바이오마커"는 다중 생물학적 화합물의 그룹, 세트 또는 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INE-1 RNA 과발현과 ORF1p 과발현의 조합이 바이오마커를 포함할 수 있거나, LINE-1 RNA와 LINE-1 DNA의 과발현이 바이오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바이오마커"는 1개, 2개, 3개, 4개, 5개, 6개, 7개, 8개, 9개, 10개, 15개, 20개, 25개, 30개 또는 그 이상의 생물학적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생물학적 화합물을 포함한다.
대상체에서 바이오마커의 발현 수준 또는 돌연변이 상태의 결정은 당업계에 공지된 많은 방법 중 임의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 단백질의 정량화 및/또는 바이오마커 발현, 예를 들어, LINE-1 RNA 발현, ORF1p 발현 및/또는 ORF2p 발현 또는 환자 또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임의의 다른 바이오마커(들)의 발현 또는 돌연변이 수준을 검출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이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에는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 또는 RT-PCR, 유세포 분석법(flow cytometry), 노던 블롯(Northern blot), 웨스턴 블롯(Western blot), ELISA(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 RIA(방사선면역검정), RNA 발현의 유전자 칩 분석,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 또는 면역형광(immunofluorescence)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Slagle et al. Cancer 83:1401 (1998)]을 참조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구현예는 바이오마커 RNA 발현(전사)이 결정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구현예는 생물학적 샘플에서 단백질 발현이 결정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문헌[Harlow et al.,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Cold Spring Harbor, NY, (1988); 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rd Edition, (1995); Kamel and Al-Amodi, Genomics Proteomics Bioinformatics 15:220-235 (2017)]을 참조한다. 노던 블롯 또는 RT-PCR 분석의 경우, RNA는 RNAse 비함유 기술을 사용하여 조직 샘플로부터 단리된다. 이러한 기술은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대상체로부터 수득되고, 생물학적 샘플은 바이오마커 발현 또는 돌연변이 상태의 결정을 위해 검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종양 세포 샘플에서 바이오마커 전사의 노던 블롯 분석이 수행된다. 노던 분석은 샘플 내 mRNA 수준의 검출 및/또는 정량화를 위한 표준 방법이다. 초기에, RNA는 노던 블롯 분석을 사용하여 검정될 샘플로부터 단리된다. 분석에서, RNA 샘플은 먼저 변성 조건하에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을 통해 크기별로 분리된다. 그런 다음, RNA는 멤브레인으로 옮겨지고, 가교결합되고 표지된 프로브와 혼성화된다. 전형적으로, 노던 혼성화는 방사성 표지된 또는 비동위원소 표지된 DNA를 시험관내 중합하거나 혼성화 프로브로서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생성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RNA 샘플을 보유하는 멤브레인은 프로브 혼성화 전에 미리혼성화되거나 차단되어 프로브가 멤브레인을 코팅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비특이적 배경 신호를 줄인다. 혼성화 후, 전형적으로, 혼성화되지 않은 프로브는 여러 번 완충액 교환으로 세척하여 제거된다. 세척 및 혼성화 조건의 엄격성은 당업자에 의해 설계, 선택 및 구현될 수 있다. 검출은 검출 가능하게 표지된 프로브와 적절한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방사성 표지 및 비방사성 표지 프로브와 이들의 용도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검정될 바이오마커의 존재 및/또는 상대적 발현 수준은, 예를 들어, 밀도 측정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 발현 및/또는 돌연변이 상태는 RT-PCR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RT-PCR은 표적 유전자의 PCR 증폭의 진행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이오마커의 발현 및/또는 돌연변이 상태를 검출하는 데 필요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의 설계는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RT-PCR을 사용하여 조직 샘플에서 본 개시내용의 바이오마커를 인코딩하는 RNA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로부터의 RNA는 역전사효소에 의한 처리로 DNA로 전환되는 것보다 RNAse 비함유 조건 하에서 단리된다. RNA의 DNA로의 역전사효소 전환 방법은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PCR에 대한 설명은 다음 참조문헌에 제공되어 있다: Mullis et al., Cold Spring Harbor Symp. Quant. 51:263 (1986); EP 50,424; EP 84,796; EP 258,017; EP 237,362; EP 201,184; 미국 특허 번호 4,683,202; 4,582,788; 4,683,194.
RT-PCR 프로브는 표적 앰플리콘(바이오마커 유전자)에 혼성화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PCR에 사용되는 DNA 중합효소의 5'-3' 뉴클레아제 활성에 의존한다. RT-PCR 프로브는 5' 말단에 형광 리포터 염료가 부착되고 3' 말단에 퀀처 모이어티(quencher moiety)가 결합된(또는 그 반대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이다. 이러한 프로브는 PCR 산물의 내부 영역에 혼성화되도록 설계된다. 혼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광 물질과 플루오르와 퀀칭 분자의 근접성으로 인해 프로브로부터 형광 신호의 검출을 방지한다. PCR 증폭 동안, 중합효소가 RT-PCR 프로브가 결합된 주형을 복제할 때, 중합효소의 5'-3' 뉴클레아제 활성이 프로브를 절단한다. 이는 형광 염료와 퀀칭 염료를 분리하고, FRET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형광은 프로브 절단량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각 사이클에서 증가한다. 반응에서 방출되는 형광 신호는 일상적이고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시판되는 장비를 사용하여 경시적으로 측정되거나 추적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의 발현은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해 검출된다. 웨스턴 블롯(면역블롯으로 공지되기도 함)은 주어진 조직 균질물 또는 추출물 샘플에서 단백질 검출을 위한 방법이다. 이는 겔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변성된 단백질을 질량에 의해 분리한다. 그런 다음, 단백질은 겔에서 멤브레인(예: 니트로셀룰로스 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으로 옮겨지고, 여기서 이들은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1차 항체를 사용하여 검출된다. 그런 다음, 결합된 항체는 검출 가능한 표지(예: 비오틴, 서양고추냉이 퍼옥시다제 또는 알칼리성 포스파타제)로 접합된 2차 항체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2차 표지 신호의 검출은 단백질의 존재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의 발현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ELISA)에 의해 검출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샌드위치 ELISA"는 플레이트를 포획 항체로 코팅하는 단계; 존재하는 임의의 항원이 포획 항체에 결합하는 샘플을 첨가하는 단계; 항원에 또한 결합하는 검출 항체를 첨가하는 단계; 검출 항체에 결합하는 효소 결합된 2차 항체를 첨가하는 단계; 및 2차 항체의 효소에 의해 검출 가능한 형태로 전환되는 기질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차 항체로부터 신호의 검출은 바이오마커 항원 단백질의 존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 예를 들어, ORF1p, ORF2p의 발현은 단일 분자 어레이 검정(SimoaTM)에 의해 검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바이오마커에 의해 인코딩된 단백질, 예를 들어, ORF1p, ORF2p의 발현은 액적 디지털 ELISA(ddELISA)로 검출된다. ddELISA를 사용하면, LINE-1/ORF1p 단백질은 혈청에서 측정될 수 있다. 문헌[Cohen et al., ACS Nano 14:9491-9501 (2020)]을 참조한다.
VI. 정의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손 관련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레트로트랜스포손의 비정상적 역전위 활성과 관련된 무질서한 생리학적 과정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레트로트랜스포손은 LINE-1 및 인간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HERV), 예를 들어, HERV-K 및 HERV-E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Saleh et al, (2019) Front. Neurol . 10:894. doi: 10.3389/fneur.2019.00894]을 참조한다.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신경퇴행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연령 관련 질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심혈관 기능 장애, 청력 상실, 조혈 줄기 세포 기능, 폐 섬유증, 정신분열증 또는 시력 상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병태생리학적 LINE-1 관련 과정"은 비정상적 LINE-1(L1) 역전위 활성과 관련된 무질서한 생리학적 과정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문헌[Saleh et al, (2019) Front. Neurol . 10:894. doi: 10.3389/fneur.2019.00894; Zhao et al., PLoS Genet 15(4): e1008043. https://doi.org/10.1371/journal.pgen.1008043; Bundo et al., Neuron 81:306-313 (2014)]을 참조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은 대상체에서 병리학적 상태, 예를 들어, 질환 또는 장애를 초래하거나 촉진하는 LINE-1 역전위와 관련된 임의의 원인 인자, 예를 들어, 비정상적 전사, 대체 스플라이싱, 삽입 돌연변이유발, DNA 손상, 염색체 전좌, LINE-1 RNA, ORF1p(40kDa RNA 결합 단백질), ORF2p(엔도뉴클레아제(EN) 및 역전사효소(RT) 활성을 갖는 약 150kDa 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문헌[Beck et al., Annu Rev Genomics Hum Genet 12:187-215(2011); Pizarro and Cristofari(2016) Front. Cell Dev. 4:14, https://doi.org/10.3389/fcell.2016.00014]을 참조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LINE-1 역전위 사건은 체세포 LINE-1 삽입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LINE-1 역전위 사건은 대상체에서 LINE-1 RNA의 발현 증가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호변이성체"는 평형 상태로 함께 존재하고, 원자, 예를 들어, 수소, 또는 분자 내의 그룹의 이동에 의해 상호교환되는 화합물의 2개 이상의 이성체 각각을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화합물은 호변이성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호변이성체가 가능한 상황에서, 본 개시내용은 모든 호변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챠트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락팀 및 락탐 호변이성체가 모두 포함되며, 아미노 및 이미노 호변이성체가 모두 포함된다.
마찬가지로, 차트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락팀 및 락탐 호변이성체가 모두 포함되며, 아미노 및 이미노 호변이성체가 모두 포함된다.
차트 1과 2의 평형 화살표는 평형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두 호변이성체 형태 사이에 평형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생물학적 샘플"은 바이오마커를 검출하기에 적합한 대상체의 임의의 조직 또는 체액을 지칭한다. 유용한 생물학적 샘플의 예에는 생검된 조직 및/또는 세포, 예를 들어, 림프샘, 염증 조직, 상태 또는 질환과 관련된 조직 및/또는 세포, 혈액, 혈장, 장액, 뇌척수액, 타액, 소변, 림프, 뇌척수액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적합한 생물학적 샘플은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게 친숙할 것이다. 생물학적 샘플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화합물, 예를 들어, LINE-1 RNA, ORF1p 단백질, ORF2p 단백질의 발현 수준에 대해 분석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방법론,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RTPCR) 방법론 또는 형광 현장 혼성화와 결합된 세포질 경쇄 면역형광(cIg-FISH)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생물학적 샘플은 임상 의사의 통상적인 지식 범위 내에 있는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생물학적 샘플은 조직 또는 혈액 샘플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을 기재하는 맥락에서(특히 청구범위의 맥락에서) 용어 "a", "an", "the"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의 값의 범위의 언급은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그 범위 내에 속하는 각각의 개별 값을 개별적으로 지칭하는 약식 방법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되었으며, 각각의 개별 값은 본원에서 개별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원에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 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본 개시내용을 보다 잘 예시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대한 제한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어떠한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본 개시내용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은 인용된 수 ± 1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약 10"은 9 내지 11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치료" 등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및/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제거, 감소 또는 개선하는 것을 지칭한다. 배제되지는 않지만,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것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및/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들)이 완전히 제거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투여는 질환 및 관련 증상의 완전한 제거로 이어진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예방" 등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및/또는 이와 관련된 증상(들)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대상체가 질환, 장애 또는 상태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및 "예방"은 또한 질환, 장애 또는 상태 및/또는 이의 수반되는 증상(들)의 발병을 지연시키고 대상체가 질환, 장애 또는 상태에 걸릴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및 "예방"은 또한 "예방적 치료"를 포함하고, 이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재발하지 않았지만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재발할 위험이 있거나 취약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재발 가능성 또는 이전에 통제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재발을 줄이는 것을 지칭한다.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및 "예방"은 또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근본적인 병리, 예를 들어, 체세포 LINE-1 삽입에 의해 유발되는 돌연변이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역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개선을 초래하거나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진행을 방지하거나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퇴행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의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 반응을 유발하는, 예를 들어,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진행을 적어도 약 2%, 적어도 약 5%, 적어도 약 10%, 적어도 약 15%, 적어도 약 20%, 적어도 약 25%, 적어도 약 30%, 적어도 약 35%, 적어도 약 40%, 적어도 약 45%, 적어도 약 50%, 적어도 약 55%, 적어도 약 60%, 적어도 약 65%, 적어도 약 70%, 적어도 약 75%, 적어도 약 80%, 적어도 약 85%, 적어도 약 90%, 적어도 약 95% 또는 적어도 약 100%, 또는 그 이상 지연시키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양을 지칭할 것이다.
용어 "용기"는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저장, 운송, 분배 및/또는 취급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용기 및 마개를 의미한다. 비제한적인 예시적 용기는 바이알, 앰플, 병 및 주사기를 포함한다.
용어 "삽입물"은 의사, 약사 및 대상체가 제품의 사용과 관련하여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안전성 및 효능 데이터와 함께 제품 투여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의약품에 수반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패키지 삽입물은 의약품의 "표지"로 간주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조합하여 투여될 때 둘 이상의 치료제는 상승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상승작용 효과" 또는 "상승작용 조합" 또는 "상승작용 조성물"에서와 같이 용어 "상승작용" 또는 "상승작용적" 또는 "상승작용적으로" 및 이의 파생어는 한 제제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치료제의 조합의 생물학적 활성이 개별적으로 투여될 때 각각의 제제의 생물학적 활성의 합보다 더 큰 상황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상승작용적으로 효과적인"은 약물의 총 효과가 각 약물의 개별 효과의 합보다 더 커지게 하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또 다른 치료제 사이의 상호작용을 지칭한다(참조: Berenbaum, Pharmacological Reviews 41:93-141 (1989)).
상승작용은 "상승작용 지수(SI)"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결정된 비율로부터 문헌[F. C. Kull et al. Applied Microbiology 9, 538 (196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QA는 성분 A와 관련된 종점을 생성하는 단독으로 작용하는 성분 A의 농도이고;
Qa는 종점을 생성하는 혼합물 중 성분 A의 농도이며;
QB는 성분 B와 관련된 종점을 생성하는 단독으로 작용하는 성분 B의 농도이고;
Qb는 종점을 생성하는 혼합물 중 성분 B의 농도이다.
일반적으로, Qa/QA와 Qb/QB의 합이 1보다 크면, 길항작용(antagonism)이 표시된다. 합이 1이면, 가산성(additivity)이 표시된다. 합이 1 미만이면, 상승작용이 입증된다. SI가 낮을수록, 해당 특정 혼합물이 나타내는 상승작용은 더 크다. 따라서, "상승작용적 조합"은 단독으로 사용될 때 개별 구성 요소의 관찰된 활성을 바탕으로 예상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활성을 갖는다. 또한, 구성 요소의 "상승작용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조성물에 존재하는 또 다른 치료제에서 상승작용 효과를 이끌어내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의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간헐적 용량 투여", "간헐적 투여 일정" 및 유사한 용어는 대상체에게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연속적이지 않은 투여를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간헐적 용량 투여는 지속적인 투여로 효능을 유지하거나 달성될 수 있지만 더 적은 부작용, 예를 들어, 더 적은 체중 감소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유용한 간헐적 용량 투여 섭생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임의의 불연속적 투여 섭생을 포함한다. 간헐적 투여 섭생은 연속 투여 섭생에 사용되는 것보다 동등하거나, 더 낮거나, 더 높은 용량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간헐적 용량 투여의 이점은 안전성 개선, 독성 감소, 예를 들어, 체중 감소 감소, 노출 증가, 효능 증가 및/또는 대상체 순응도 증가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점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단일 제제로 투여되거나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될 때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이 대상체에게 투여되도록 예정된 날에, 투여는 단일 용량으로 또는 분할 용량으로, 예를 들어, 1일 1회, 1일 2회, 1일 3회, 1일 4회 이상으로 일어날 수 있다. 투여는 또한 임의의 적절한 경로를 통해, 예를 들어, 경구, 정맥내 또는 피하로 발생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화합물이 투여되도록 예정된 날에 대상체에게 1회(QD) 또는 2회(BID) 투여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연속 투여 일정에 따라 투여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간헐적 투여 일정에 따라 투여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 어구 "조합하여"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가 대상체에 함께, 예를 들어, 단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의 일부로서 또는 개별적으로, 예를 들어, 둘 이상의 개별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의 일부로서 투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과 관련하여 사용된 어구 "조합하여"는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의 순차적 방식으로의 투여(여기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상이한 시간에 대상체에게 투여된다)뿐만 아니라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 방식으로, 예를 들어, 30분 미만의 간격으로 투여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동시 투여는,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 각각의 고정 비율을 갖는 단일 캡슐을 대상체에게 투여하거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 각각에 대한 다수의 단일 캡슐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의 순차적 또는 실질적 동시 투여는 경구 경로, 정맥내 경로, 피하 경로, 근육내 경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동일한 경로 또는 상이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와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조합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정맥내 주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또한 교대로 투여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는 별도로, 예를 들어, 둘 이상의 개별적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제형의 일부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VII. 특정 구현예
본 개시내용은 다음과 같은 특정 구현예를 제공한다.
구현예 1.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다음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구현예 2.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다음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구현예 3. 대상체에서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a)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 경우, 다음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구현예 4.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가진 대상체가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의 화합물로의 치료 후보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a)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b)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존재하는 경우 대상체가 치료 후보인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 또는
(c)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부재하는 경우 대상체가 치료 후보가 아닌 것으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5.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는 대상체에서 치료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이 대상체로부터 채취한 생물학적 샘플에 존재하는지 또는 부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a) 생물학적 샘플에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의 존재는 대상체에게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유리한 치료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b) 생물학적 샘플에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의 부재는 대상체에게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이 불리한 치료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
구현예 6.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대상체가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갖고;
(b) 상기 질환, 상태 또는 장애가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구현예 7.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8.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9.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방법.
구현예 10.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방법.
구현예 11.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방법.
구현예 12. 구현예 7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방법.
구현예 13. 구현예 12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방법.
구현예 14. 구현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표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15.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구현예 16.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구현예 17.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구현예 18.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구현예 19.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신경퇴행성 질환인, 방법.
구현예 20. 구현예 19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파킨슨병, 루이소체 동반 치매, 다계통 위축증, 헌팅톤병, 전두측두엽 변성, 경도 인지 장애, 피질기저핵 변성, 진행성 핵상 마비, 레트 증후군,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방법.
구현예 21.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구현예 22. 구현예 11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 질환이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또는 다발성 경화증인, 방법.
구현예 23.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질환인, 방법.
구현예 24. 구현예 23에 있어서, 상기 연령 관련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죽상동맥경화증, 골관절염,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황반 변성,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피부 노화인, 방법.
구현예 25.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심혈관 기능 장애, 청력 상실, 조혈 줄기 세포 기능, 폐 섬유증, 정신 분열증 또는 시력 상실인, 방법.
구현예 26.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진행성 핵상 마비인, 방법.
구현예 27.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인, 방법.
구현예 28.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는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방법.
구현예 29. 구현예 1 내지 3 또는 5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대상체에게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구현예 30. 구현예 1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a)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고; (b)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지 않고; (c) HIV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고/않거나; (d) HIV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방법.
구현예 31. 구현예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구현예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가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의 화합물, 및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가진 대상체에게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구현예 33. 구현예 32에 있어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키트.
구현예 34. 구현예 32에 있어서,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키트.
구현예 35. 구현예 33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키트.
구현예 36. 구현예 33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키트.
구현예 37. 구현예 33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키트.
구현예 38. 구현예 33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키트.
구현예 39. 구현예 33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키트.
구현예 40. 구현예 32에 있어서, 표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키트.
구현예 41.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및/또는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음의 화합물: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42.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을 억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음의 화합물: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43.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의 과발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다음의 화합물: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44. 구현예 4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45. 구현예 4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서,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46. 구현예 44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화합물.
구현예 47. 구현예 44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화합물.
구현예 48. 구현예 44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화합물.
구현예 49. 구현예 44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화합물.
구현예 50. 구현예 44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화합물.
구현예 51. 구현예 41 내지 43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표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화합물.
구현예 52. 구현예 41 또는 44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3. 구현예 41 또는 44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4. 구현예 41 또는 44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5. 구현예 41 또는 44 내지 51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6.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신경퇴행성 질환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7. 구현예 56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파킨슨병, 루이소체 동반 치매, 다계통 위축증, 헌팅턴병, 전두측두엽 변성, 경도 인지 장애, 피질기저핵 변성, 진행성 핵상 마비, 레트 증후군,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8.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가면역 질환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59. 구현예 58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 질환이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또는 다발성 경화증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0.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질환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1. 구현예 60에 있어서, 상기 연령 관련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죽상동맥경화증, 골관절염,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황반 변성,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피부 노화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2.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심혈관 기능 장애, 청력 상실, 조혈 줄기 세포 기능, 폐 섬유증, 정신분열증 또는 시력 상실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3.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진행성 핵성 마비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4.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5.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6.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가 대상체에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7. 구현예 41 내지 6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a)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고; (b)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지 않고; (c) HIV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고/않으며; (d) HIV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8. 구현예 41 내지 67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69. 구현예 68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0.25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70. 구현예 41 내지 69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구현예 71. 구현예 41 내지 69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82.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병태생리학적 레트로트랜스포존 관련 과정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다음의 화합물의 용도: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83.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유발하는 LINE-1 역전위 사건을 억제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다음의 화합물의 용도: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84. 과발현 레트로트랜스포손 RNA,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 또는 레트로트랜스포손 DNA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다음 화합물의 용도:
(i) 표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ii) 표 2,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iii) 표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구현예 85. 구현예 82 내지 8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서, 표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용도.
구현예 86. 구현예 85에 있어서, 표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용도.
구현예 87. 구현예 86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1,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용도.
구현예 88. 구현예 87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용도.
구현예 89. 구현예 88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8,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용도.
구현예 90. 구현예 89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9,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용도.
구현예 91. 구현예 90에 있어서, 상기 표 1의 화합물이 화합물 번호 4,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인, 용도.
구현예 92. 구현예 82 내지 84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표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를 포함하는, 용도.
구현예 93. 구현예 82 또는 85 내지 92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용도.
구현예 94. 구현예 82 또는 85 내지 92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용도.
구현예 95. 구현예 82 또는 85 내지 92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
구현예 96. 구현예 82 또는 85 내지 92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용도.
구현예 97.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신경퇴행성 질환인, 용도.
구현예 98. 구현예 97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파킨슨병, 루이소체 동반 치매, 다계통 위축증, 헌팅턴병, 전두측두엽 변성, 경도 인지 장애, 피질기저핵 변성, 진행성 핵상 마비, 레트 증후군,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아이카르-구티에르 증후군인, 용도.
구현예 99.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가면역 질환인, 용도.
구현예 100. 구현예 99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 질환이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또는 다발성 경화증인, 용도.
구현예 101.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질환인, 용도.
구현예 102. 구현예 101에 있어서, 상기 연령 관련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죽상동맥경화증, 골관절염, 골다공증, 류마티스 관절염, 황반 변성, 말초 퇴행성 질환 또는 피부 노화인, 용도.
구현예 103.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심혈관 기능 장애, 청력 상실, 조혈 줄기 세포 기능, 폐 섬유증, 정신분열증 또는 시력 상실인, 용도.
구현예 104.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진행성 핵성 마비인, 용도.
구현예 105.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인, 용도.
구현예 106.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용도.
구현예 107.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가 대상체에 투여되는, 용도.
구현예 108. 구현예 82 내지 107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a)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고; (b)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지 않고; (c) HIV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고/않으며; (d) HIV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용도.
구현예 109. 구현예 82 내지 10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용도.
구현예 110. 구현예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RNA가 LINE-1 RNA인, 방법.
구현예 111. 구현예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가 ORF2p인, 방법.
구현예 112. 구현예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DNA가 LINE-1 DNA인, 방법.
구현예 113. 구현예 43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RNA가 LINE-1 RNA인, 화합물.
구현예 114. 구현예 43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가 ORF2p인, 화합물.
구현예 115. 구현예 43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DNA가 LINE-1 DNA인, 화합물.
구현예 116. 구현예 84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RNA가 LINE-1 RNA인, 용도.
구현예 117. 구현예 84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역전사효소가 ORF2p인, 용도.
구현예 118. 구현예 84에 있어서, 상기 레트로트랜스포손 DNA가 LINE-1 DNA인, 용도.
구현예 119.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인, 방법.
구현예 120.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인, 방법.
구현예 121.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전신 홍반성 루푸스인, 방법.
구현예 122.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구현예 123. 구현예 122에 있어서, 상기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이 건선인, 방법.
구현예 124.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판코니 빈혈인, 방법.
구현예 125.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특발성 폐 섬유증인, 방법.
구현예 126. 구현예 1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심혈관 질환인, 방법.
구현예 127.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인, 화합물.
구현예 128.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인, 화합물.
구현예 129.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전신 홍반성 루푸스인, 화합물.
구현예 130.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인, 화합물.
구현예 131. 구현예 130에 있어서, 상기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이 건선인, 화합물.
구현예 132.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판코니 빈혈인, 화합물.
구현예 133.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특발성 폐 섬유증인, 화합물.
구현예 134. 구현예 41 내지 55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심혈관 질환인, 화합물.
구현예 135.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인, 용도.
구현예 136.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황반 변성인, 용도.
구현예 137.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전신 홍반성 루푸스인, 화합물.
구현예 138.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인, 화합물.
구현예 139. 구현예 138에 있어서, 상기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이 건선인, 화합물.
구현예 140.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판코니 빈혈인, 화합물.
구현예 141.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특발성 폐 섬유증인, 화합물.
구현예 142. 구현예 82 내지 96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심혈관 질환인, 화합물.
구현예 143. 구현예 1, 32, 41 또는 82 중 어느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i) 암; 또는 (ii) 감염성 질환이 아닌, 방법, 키트, 화합물, 또는 용도.
실시예
표 1 및 표 2의 화합물은 아래 실시예 및, 예를 들어, 문헌[Nomura et al, J. Med . Chem . 42:2901-2908 (1999); Ohrui et al., J. Med . Chem . 43:4516-4525 (2000), 일본 특허 제6767011호 및/또는 미국 특허 제10,933,06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표 4의 약어가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표 4]
다음과 같은 LC-MS 방법이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방법 A: UPLC-MS 방법: 40℃에서 Waters Acquity UPLC CSH C18, 1.8μm, 2.1 x 30mm; 5.2분 동안 5% 내지 100% B; 1.8분 동안 100% B 유지, 실행 시간 = 7.0분, 유속 0.9mL/분; 용출액: A = Milli-Q H2O + 1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 3.8; B = MeCN. Waters Acquity UPLC 시스템. UV 검출기 = Waters Acquity PDA, 198-360nm. MS 검출기 = Waters SQD ESI.
방법 B: 40℃에서 Waters Acquity CSH C18, 3.5μm, 4.6 x 30mm; 0.5분 동안 Iso 5% B, 5분 동안 5% 내지 100% B, 1.5분 동안 100% B 유지, 실행 시간 = 7.0분, 유속 0.9mL/분; 용출액: A = Milli-Q H2O + 1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3.8; B = MeCN. Waters Alliance 2695 시스템. UV 검출: Waters 2996 PDA, 198-360nm. MS 검출기: Waters ZQ 2000, ESI
방법 C: SHIMADZU LC20-MS2010: 50℃에서 MERCK, RP-18e 25-2mm; 물(용매 A)중 1.5 ML/4 L TFA 및 아세토니트릴(용매 B) 중 0.75 ML/4 LTFA, 0.7분 동안 용출 구배 5%-95%(용매 B)를 사용하고 1.5mL/분의 유속에서 0.4분 동안 95%에서 유지, 실행 시간 = 1.5분; UV 검출기 = 220nm, 254nm; MS 검출기 = ESI.
방법 D: LCMS-BT: SHIMADZU LC20-MS2020: 50℃에서 X bridge Shield RP-18,5 μm, 2.1*50mm; 물(용매 A) 및 아세토니트릴(용매 B) 중 0.8 mL/4L NH3·H2O, 2분 동안 용출 구배 0%-30%를 사용하고 1ml/분 유속에서 0.48분 동안 30%에서 유지, 실행 시간 = 3분; UV 검출기 = 220nm, 254nm; MS 검출기 = ESI.
방법 E: LCMS-AN: Agilent LC1200-MS6110: 50℃에서 X timate C18 2.1*30 mm, 3μm; 물(용매 A) 중 1.5 ML/4L TFA, 아세토니트릴(용매 B) 중 0.75 ML/4L TFA, 0.9분 동안 용출 구배 0%-60%(용매 B)를 사용하고 1.2mL/분의 유속으로 60%에서 0.6분 동안 유지, 실행 시간 = 2분; UV 검출기 = 220nm; MS 검출기 = ESI.
방법 F: LCMS-CI: Agilent LC1200-MS6110: Xbridge Shield RP-18,5um,2.1*50mm; 30℃; 물(4L) + NH3 .H2O(0.8mL)(용매 A) 및 아세토니트릴(용매 B), 2.0분 동안 용출 구배 0% - 60%(용매 B)를 사용하고 1ml/분의 유속으로 60%에서 0.48분 동안 유지, 실행 시간 = 3.0분; UV 검출기 = 220nm, 254nm; MS 검출기 = ESI.
방법 G: UPLC-MS 방법: 40℃에서 Waters Acquity UPLC CSH C18, 1.8μm, 2.1 x 30mm; 2.0분 동안 5% 내지 100% B; 0.7분 동안 100% B 유지, 실행 시간 = 2.7분, 유속 0.9mL/분; 용출액: A = Milli-Q H2O + 1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 3.8; B = MeCN. Waters Acquity UPLC 시스템. UV 검출기 = Waters Acquity PDA, 198-360nm. MS 검출기 = Waters SQD ESI.
방법 H: UPLC-MS 방법: 40℃에서 Waters Acquity UPLC Agilent Poroshell 120 EC C18, 1.8μm, 2.1 x 250mm; 5.0분 동안 5% 내지 100% B; 2.0분 동안 100% B 유지, 실행 시간 = 7.0분, 유속 0.5ml/분; 용출액: A = Milli-Q H2O + 1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pH = 3.8; B = MeCN. Waters Acquity UPLC 시스템. UV 검출기 = Waters Acquity PDA, 198-360nm. MS 검출기 = Waters SQD ESI.
실시예 1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62)의 합성
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은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18.0mg, 67.6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9:1 EtOAc/피리딘(653μl/22.5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18.0mg, 67.6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벌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H2 가스로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정했다. 목적하는 생성물을 실리카 겔(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11mg, 58%)을 산출했다. C12H16N2O5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268.11. 실측치 267.3 [M-H]-. 1H NMR: (400 MHz, CD3OD) 9.01 (s, 1H), 7.23 (t, J= 5.7 Hz, 1H), 6.99 (dd, J= 17.3, 10.9 Hz, 1H). 6.51 (dd, J= 17.3, 2.0 Hz, 1H), 6.30 (dd, J= 10.9, 1.2 Hz, 1H), 5.63 (t, J= 7.4 Hz, 1H), 4.65 (qAB, J= 11.9, 5.0 Hz, 2H), 3.30 (dd, J= 7.4, 5.8 Hz, 2H), 2.93 (s, 3H).
실시예 2
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64)의 합성
5-브로모-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은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5-브로모-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3.3mg, 9.97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9:1 EtOAc/피리딘(96.3μl/3.32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3.30mg, 9.97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벌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H2 가스를 버블링하여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정했다. 목적하는 생성물을 실리카 겔(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2.70mg, 81%)을 산출했다. C11H13BrN2O5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332.00. 실측치 331.2 [M-H]-. 1H NMR (400 MHz, CD3OD) δ 8.67 (s, 1H), 6.12 (t, J = 5.3 Hz, 1H), 5.92 (dd, J = 17.3, 10.9 Hz, 1H), 5.46 (dd, J = 17.3, 1.9 Hz, 1H), 5.28 (dd, J = 10.9, 1.9 Hz, 1H), 4.55 (t, J = 7.6 Hz, 1H), 3.69 (d, J = 12.0 Hz, 1H), 3.53 (d, J = 12.0 Hz, 1H), 2.27 (dd, J = 7.7, 5.5 Hz, 2H).
실시예 3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6)의 합성
단계 1. 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은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MeOH(2mL) 중의 [(2R,3S,5R)-2-에티닐-5-(5-메톡시-2,4-디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mg, 28.93μmol)의 혼합물에 린들라 촉매(7mg)를 H2(15psi)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15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5-메톡시-2,4-디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mg, 28.82μmol)의 혼합물에 NaOMe(156μg, 2.88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mg, 6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307.0 (M+Na)+. 1H NMR (400 MHz, DMSO-d 6) δ 11.28 (s, 1H), 7.77 (s, 1H), 6.17 - 6.07 (m, 1H), 5.97 - 5.85 (m, 1H), 5.44 (t, J = 4.8 Hz, 1H), 5.39 - 5.31 (m, 1H), 5.28 (d, J = 5.2 Hz, 1H), 5.23 - 5.15 (m, 1H), 4.54 - 4.46 (m, 1H), 3.65 - 3.55 (m, 1H), 3.59 (s, 3H), 3.43 - 3.36 (m, 1H), 2.24 - 2.15 (m, 1H), 2.13 - 2.04 (m, 1H).
실시예 4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화합물 번호 69)의 합성
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은 5-피리미딘카르보니트릴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8.9mg, 32.1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MeOH(321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8.9mg, 32.1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벌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H2 가스를 버블링하여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EtOAc로 세정했다. 목적하는 생성물을 실리카 겔(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1.36mg, 13%)을 수득했다. C12H13N3O5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279.1. 실측치 278.1 [M-H]-. 1H NMR (400 MHz, CD3OD) δ 9.13 (d, J = 4.5 Hz, 1H), 6.21 - 5.98 (m, 1H), 5.92 (dd, J = 17.3, 11.0 Hz, 1H), 5.46 (dd, J = 17.3, 1.9 Hz, 1H), 5.29 (dd, J = 11.0, 1.9 Hz, 1H), 4.60 - 4.45 (m, 1H), 3.72 (dd, J = 11.9, 6.9 Hz, 1H), 3.65 - 3.54 (m, 1H), 2.48 - 2.22 (m, 2H).
실시예 5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90)의 합성.
4-아미노-5-브로모-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은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4-아미노-5-브로모-1-((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64.0mg, 194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MeOH(1.94m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64mg, 194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벌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H2 가스를 버블링하여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MeOH로 세정했다. 목적하는 생성물을 EtOAc 중 0-100% 2-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31.6mg, 45%)을 산출했다. C11H14BrN3O4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331.02. 실측치 334.0 [M+3H]+. 1H NMR (400 MHz, CD3OD) δ 8.70 (s, 1H), 6.06 (dd, J = 6.9, 3.0 Hz, 1H), 6.02 - 5.82 (m, 1H), 5.46 (dd, J = 17.3, 1.8 Hz, 1H), 5.36 - 5.19 (m, 1H), 4.59 - 4.43 (m, 1H), 4.44 - 4.36 (m, 1H), 3.70 (dd, J = 12.0, 5.7 Hz, 1H), 3.55 (d, J = 12.0 Hz, 1H), 2.38 - 2.24 (m, 1H), 2.18 (ddd, J = 13.4, 7.1, 3.0 Hz, 1H).
실시예 6
2-아미노-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화합물 번호 9)의 합성
2-아미노-9-((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은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2-아미노-9-((2R,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125mg, 429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EtOAc/피리딘(4.15mL/143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125mg, 429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벌룬을 사용하여 30분 동안 H2 가스를 버블링하여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로 여과하고, MeOH로 세정했다. 목적하는 생성물은 IC, 10 x 250mm 5um 컬럼 및 25% MeOH, 0.1% NH4OH, 75% CO2의 등용매 구배, 10mL/분 유속 및 20분 실행 시간을 사용하는 SFC 정제로 정제하여 2-아미노-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2.62mg, 2%)을 산출했다. C12H15N5O4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293.1. 실측치 292.2 [M-H]-. 1H NMR (400 MHz, CD3OD) δ 8.17 (d, J = 99.1 Hz, 1H), 6.28 (dd, J = 7.9, 3.6 Hz, 1H), 6.04 (ddd, J = 17.3, 13.6, 11.1 Hz, 1H), 5.37 - 5.08 (m, 2H), 4.47 (dd, J = 6.5, 2.9 Hz, 1H), 3.58 - 3.37 (m, 2H), 3.04 - 2.84 (m, 1H), 2.37 - 2.23 (m, 1H).
실시예 7
4-아미노-5-브로모-1-((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70)의 합성
4-아미노-5-브로모-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은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4-아미노-5-브로모-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5.45mg, 16.4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MeOH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PtO2(0.500mg, 2.20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벌룬으로 30분 동안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했다. 조 혼합물을 실리카 겔(EtOAc/hep 1:1 내지 100% EtOAc)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아미노-5-브로모-1-((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0.750mg, 13%)을 회백색 분말인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산출했다. C11H15BrN3O4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332.03. 실측치 332.2 [M-H]-. 1H NMR (400 MHz, CD3OD) δ 8.55 (s, 1H), 6.11 - 6.03 (m, 1H), 4.47 - 4.34 (m, 1H), 4.12 - 4.00 (m, 1H), 3.70 (d, J = 11.7 Hz, 1H), 3.61 - 3.44 (m, 1H), 2.43 (ddd, J = 26.1, 18.8, 13.1 Hz, 1H), 2.23 (ddd, J = 13.8, 6.9, 5.5 Hz, 1H), 1.86 (dd, J = 15.3, 7.5 Hz, 1H), 1.68 (t, J = 7.6 Hz, 1H), 0.96 (tt, J = 22.6, 11.3 Hz, 3H).
실시예 8
1-((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68)의 합성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은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7.20mg, 28.7μmol)을 고무 격막이 있는 5-mL 바이알 중 MeOH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고체 린들라 촉매(7.20mg, 28.7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벌룬으로 30분 동안 플러싱했다. 이 반응물은 표적 화합물로의 완전한 전환이 LC-MS로 관찰될 때까지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Celite®를 통해 여과하고 MeOH로 세척하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 4-아미노-1-((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1H)-온(5.75mg, 66%)을 백색 분말인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수득했다. C12H18N3O5에 대한 LC-MS (ESI) m/z 계산치: 284.13. 실측치 284.4 [M-H]-. 1H NMR (400 MHz, CD3OD) δ 7.82 (d, J = 22.7 Hz, 1H), 6.38 - 6.07 (m, 1H), 4.55- 4.10 (m, 1H), 3.64 - 3.37 (m, 2H), 3.33 (s, 3H), 2.33 (td, J = 7.0, 6.0 Hz, 1H), 1.95 - 1.75 (m, 1H), 1.62 (dd, J = 41.8, 7.6 Hz, 1H), 1.54 (m, 1H), 0.96 (dt, J = 11.9, 7.6 Hz, 3H).
실시예 9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94)의 합성
((2R,3S,5R)-5-(6-클로로-9H-퓨린-9-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는 N-사이클로프로필-9H-퓨린-6-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t-BuOH(2mL) 중의 [(2R,3S,5R)-5-(6-클로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5g, 94.17μmol)와 사이클로프로판아민(8mg, 141.25μmol)의 혼합물에 DIEA(24mg, 188.34μmol)를 N2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 5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45mg, 87%)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6 (s, 1H), 8.24 (s, 1H), 8.06 - 8.00 (m, 2H), 7.87 - 7.80 (m, 2H), 7.30 (d, J = 8.0 Hz, 2H), 7.19 (d, J = 8.0 Hz, 2H), 6.65 - 6.55 (m, 1H), 6.21 - 6.13 (m, 1H), 4.91 (d, J = 12.0 Hz, 1H), 4.63 (d, J = 12.0 Hz, 1H), 3.47 - 3.30 (m, 1H), 3.00 - 2.90 (m, 1H), 2.74 (s, 1H), 2.44 (d, J = 16.0 Hz, 6H).
단계 2. MeOH(2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45mg, 81.58μmol)의 용액에 린들라 촉매(17mg)를 H2(15psi)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직접 농축시켜 화합물(45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MeOH(5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45mg, 81.29μmol)의 혼합물에 NaOMe(439μg, 8.13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30%/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6mg, 5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1H), 8.24 (s, 1H), 7.96 (s, 1H), 6.40 - 6.30 (m, 1H), 6.03 - 5.91 (m, 1H), 5.44 - 5.32 (m, 2H), 5.28 (d, J = 5.2 Hz, 1H), 5.23 - 5.16 (m, 1H), 4.68 - 4.61 (m, 1H), 3.56 - 3.41 (m, 2H), 2.66 - 2.61 (m, 1H), 2.31 - 2.21 (m, 1H), 0.76 - 0.68 (m, 2H), 0.65 - 0.55 (m, 2H).
실시예 10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5)의 합성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N-사이클로프로필-2-플루오로-9H-퓨린-6-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EtOAc(3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 87.78μmol)의 용액에 25℃에서 린들라 촉매(18mg, 8.78μmol, 순도 10%)를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H2로 세 번 탈기시키고, 25℃에서 H2(15psi) 하에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46mg, 9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594.1 (M+Na)+.
단계 2. MeOH(3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45mg, 78.73μmol)의 용액에 25℃에서 NH3 .H2O(1mL, 6.49mmol, 25% 순도)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27%/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1mg, 5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4 (br s, 1H), 8.37 (s, 1H), 6.28 - 6.20 (m, 1H), 6.00 - 5.90 (m, 1H), 5.42 - 5.36 (m, 1H), 5.30 (br d, J = 4.8 Hz, 1H), 5.26 - 5.18 (m, 1H), 5.10 (br t, J = 5.6 Hz, 1H), 4.71 - 4.59 (m, 1H), 3.55 - 3.45 (m, 2H), 2.93 (br s, 1H), 2.61 - 2.70 (m, 1H), 2.31 - 2.22 (m, 1H), 0.79 - 0.60 (m, 4H).
실시예 11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4)의 합성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은 N6-사이클로프로필-9H-퓨린-2,6-디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t-BuOH(15mL) 중의 [(2R,3S)-5-(2-아미노-6-클로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20g, 366.32μmol)와 사이클로프로판아민(31mg, 549.48μmol)의 혼합물에 DIEA(95mg, 732.64μmol)를 N2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 5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0.04g, 19%)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5 - 7.97 (d, J = 8.4 Hz, 2H), 7.90 (d, J = 8.0 Hz, 2H), 7.59 (s, 1H), 7.30 (s, 2H), 7.21 (d, J = 7.6 Hz, 2H), 6.43 - 6.37 (m, 1H), 6.20 - 6.13 (m, 1H), 5.04 (d, J = 11.6 Hz, 1H), 4.59 (d, J = 11.6 Hz, 1H), 3.42 - 3.33 (m, 1H), 3.13 - 2.97 (m, 1H), 2.81 - 2.72 (m, 1H), 2.68 (s, 1H), 2.43 (d, J = 16.4 Hz, 6H), 0.96 - 0.85 (m, 2H), 0.67 - 0.60 (m, 2H).
단계 2. MeOH(2mL) 중의 [(2R, 3S, 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2g, 35.30μmol)의 용액에 린들라 촉매(7mg)를 25℃에서 H2(15psi)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0.02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MeOH(5mL) 중의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2g, 35.17μmol)의 용액에 25℃에서 NaOMe(190μg, 3.52μmol)를 한 분량으로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4-34%/0.05% NH3 .H2O)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4mg, 5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5 (s, 1H), 7.37 (s, 1H), 6.17 (t, J = 6.4 Hz, 1H), 6.03 - 5.90 (m, 1H), 5.81 (s, 2H), 5.43 (s, 1H), 5.37 - 5.31 (m, 1H), 5.22 (s, 1H), 5.20 - 5.15 (m, 1H), 4.58 (t, J = 6.4 Hz, 1H), 3.55 - 3.47 (m, 1H), 3.45 - 3.38 (m, 1H), 2.57 - 2.52 (m, 1H), 2.22 - 2.14 (m, 1H), 0.69 - 0.62 (m, 2H), 0.62 - 0.55 (m, 2H).
실시예 12
4-아미노-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8)의 합성
(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온은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DMF(30mL) 중의 (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온(1g, 6.4mmol)과 이미다졸(1.31g, 19.2mmol)의 용액에 20℃에서 TBSCl(1.06g, 7.1mmol)을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물을 EtOAc(80mL)로 희석하고 염수(50mL x 2)로 세척했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석유 에테르 중 20% 내지 30% EtOAc)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0.7g, 4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53 - 4.50 (m, 1H), 3.95 - 3.87 (m, 2H), 2.99 - 2.93 (m, 1H), 2.83 (s, 1H), 2.61 - 2.55 (m, 1H), 2.39 - 2.37 (m, 1H), 0.89 (s, 9H), 0.10 (s, 6H).
단계 2. THF(50mL) 중의 (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4 하이드록시디하이드로푸란-2(3H)-온(3g, 11mmol)의 용액에 NaH(665mg, 16mmol, 광유 중 60% 분산액)를 0℃에서 첨가했다.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MOMBr(2.77g, 22mmol)을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추가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붓고, DCM(50mL x 2)으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50mL x 2)로 세척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석유 에테르 중 10% 내지 20% EtOAc)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2.1g, 6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4.81 - 4.69 (m, 2H), 4.56 - 4.53 (m, 1H), 3.95 - 3.85 (m, 2H), 3.42 (s, 3H), 2.97 - 2.91 (m, 1H), 2.72 (s, 1H), 2.68 - 2.62 (m, 1H), 0.89 (s, 9H), 0.10 (s, 6H).
단계 3. DCM(30mL) 중의 (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4-(메톡시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온(1.1g, 3.5mmol)의 용액에 -70℃에서 DIBAL-H(4.2mL, 4.2mmol)를 적가했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물을 메탄올(5mL)로 급냉시키고, 시트르산 수용액(10wt%, 30mL) 및 염수(30mLx2)로 세척하고, 농축시켜 1.1g의 조 (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4-(메톡시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올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이를 DCM(20mL)에 용해시켰다. Et3N(457mg, 4.52mmol), DMAP(42mg) 및 Ac2O(426mg, 4.17mmol)를 0℃에서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MTBE(100mL)로 희석하고, 시트르산 수용액(10wt%, 50mL)과 염수(50m x 2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석유 에테르 중 10% 내지 30% EtOAc)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0.9g, 7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4. MeCN(10mL) 중의 N-(5-플루오로-2-하이드록시-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100mg, 0.43mmol)와 BTMSA(219mg, 1.29mmol)의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20℃로 냉각시키고, TMSOTf(148mg, 0.66mmol)와 MeCN(5mL) 중의 [ (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4-(메톡시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 아세테이트(0.12g, 0.33mmol)의 용액을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물(50mL)에 붓고, EtOAc(50mLx2)로 추출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 3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40mg, 2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3.10 (s, 1H), 8.30 - 8.19 (m, 3H), 7.58 - 7.54 (m, 1H), 7.48 - 7.44 (m, 2H), 6.28 - 6.26 (m, 1H), 4.75 - 4.71 (m, 2H), 4.43 (t, J = 7.6 Hz, 1H), 4.10 - 4.07 (m, 1H), 3.94 - 3.91 (m, 1H), 3.42 (s, 3H), 2.76 - 2.71 (m, 1H), 2.67 (s, 1H), 2.40 - 2.35 (m, 1H), 0.97 (s, 9H), 0.18 (s, 6H). LCMS (ESI): m/z 532.5 (M+H)+.
단계 5. MeOH(5mL) 중의 N-[1-[(2R,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5-에티닐-4-(메톡시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10mg, 18μmol) 및 린들라 촉매(10mg)의 혼합물을 20℃에서 2시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10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534.1 (M+H)+.
단계 6. MeOH(5mL) 중의 N-[1-[(2R,4S,5R)-5-[[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4-(메톡시메톡시)-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80mg, 0.15mmol)의 용액에 20℃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118mg, 1.5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FA)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7mg, 1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d 8.32 (d, J = 7.6 Hz, 1H), 7.70 (s, 1H), 7.46 (s, 1H), 6.00 - 5.97 (m, 1H), 5.93 - 5.85 (m, 1H), 5.38 - 5.31 (m, 2H), 5.23 - 5.18 (m, 2H), 4.40 (t, J = 7.6 Hz, 1H), 3.60 - 3.56 (m, 1H), 3.40 - 3.37 (m, 1H), 2.13 - 2.04 (m, 1H). LCMS (ESI): m/z 294.0 (M+Na)+.
실시예 13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96)의 합성
((2R,3S,5R)-5-(6-클로로-9H-퓨린-9-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는 N-사이클로프로필-9H-퓨린-6-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t-BuOH(2mL) 중의 (2R,3S,5R)-5-(6-클로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5g, 94.17μmol)와 사이클로프로판아민(8mg, 141.25μmol)의 혼합물에 DIEA(24mg, 188.34μmol)를 N2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의 5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45mg, 87%)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66 (s, 1H), 8.24 (s, 1H), 8.06 - 8.00 (m, 2H), 7.87 - 7.80 (m, 2H), 7.30 (d, J = 8.0 Hz, 2H), 7.19 (d, J = 8.0 Hz, 2H), 6.65 - 6.55 (m, 1H), 6.21 - 6.13 (m, 1H), 4.91 (d, J = 12.0 Hz, 1H), 4.63 (d, J = 12.0 Hz, 1H), 3.47 - 3.30 (m, 1H), 3.00 - 2.90 (m, 1H), 2.74 (s, 1H), 2.44 (d, J = 16.0 Hz, 6H).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0.07g, 126.91μmol)의 혼합물에 25℃에서 H2(15psi) 하에 탄소 상 10% 팔라듐(2mg)을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직접 농축시켜 화합물(0.07g, 99%)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단계 3. MeOH(5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7g, 125.98μmol)의 혼합물에 25℃에서 NaOMe(681μg, 12.60μmol)를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5-35%/0.05% NH3.H2O + 10mM NH4HCO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mg, 4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4 (s, 1H), 8.23 (s, 1H), 7.94 (s, 1H), 6.35 - 6.27 (m, 1H), 5.25 - 5.12 (m, 2H), 4.46 - 4.36 (m, 1H), 3.60 - 3.49 (m, 1H), 3.46 - 3.39 (m, 1H), 2.94 - 2.84 (m, 1H), 2.31 - 2.22 (m, 1H), 1.72 - 1.51 (m, 2H), 0.88 (t, J = 7.5 Hz, 3H), 0.75 - 0.68 (m, 2H), 0.64 - 0.56 (m, 2H).
실시예 14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97)의 합성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은 N6-사이클로프로필-9H-퓨린-2,6-디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t-BuOH(15mL) 중의 [(2R,3S)-5-(2-아미노-6-클로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20g, 366.32μmol)와 사이클로프로판아민(31mg, 549.48μmol)의 혼합물에 DIEA(95mg, 732.64μmol)를 N2 하에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의 5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0.04g, 19%)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5 - 7.97 (d, J = 8.4 Hz, 2H), 7.90 (d, J = 8.0 Hz, 2H), 7.59 (s, 1H), 7.30 (s, 2H), 7.21 (d, J = 7.6 Hz, 2H), 6.43 - 6.37 (m, 1H), 6.20 - 6.13 (m, 1H), 5.04 (d, J = 11.6 Hz, 1H), 4.59 (d, J = 11.6 Hz, 1H), 3.42 - 3.33 (m, 1H), 3.13 - 2.97 (m, 1H), 2.81 - 2.72 (m, 1H), 2.68 (s, 1H), 2.43 (d, J = 16.4 Hz, 6H), 0.96 - 0.85 (m, 2H), 0.67 - 0.60 (m, 2H).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 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 벤조에이트(0.02g, 35.30μmol)의 용액에 탄소 상 10% 팔라듐(24mg)을 25℃에서 H2(15psi)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0.02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MeOH(5mL) 중의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퓨린-9-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2g, 35.05μmol)의 용액에 NaOMe(189μg, 3.50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1 (s, 1H), 7.34 (s, 1H), 6.21 - 6.10 (m, 1H), 5.80 (s, 2H), 5.17 - 5.26 (m, 1H), 5.10 (d, J = 4.4 Hz, 1H), 4.43 - 4.30 (m, 1H), 3.52 - 3.45 (m, 1H), 3.44 - 3.39 (m, 1H), 2.81 - 2.69 (m, 1H), 2.23 - 2.13 (m, 1H), 1.69 - 1.49 (m, 2H), 0.86 (t, J = 7.6 Hz, 3H), 0.70 - 0.63 (m, 2H), 0.61 - 0.54 (m, 2H).
실시예 15
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4-하이드록시-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화합물 번호 98)의 합성
[(2R,3S,5R)-5-(5-시아노-2,4-디옥소-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MeOH(3mL) 중의 [(2R,3S,5R)-5-(5-시아노-2,4-디옥소-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mg, 97.37μmol)의 용액에 탄소 상 10% 팔라듐(10mg, 83.33μmol)을 25℃에서 H2(15psi)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25mg, 50%)을 백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5-시아노-2,4-디옥소-피리미딘-1-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96.61μmol)의 용액에 NaOMe(521.94μg, 9.66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3-33%/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9mg, 7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91 (s, 1H), 5.94 (t, J = 6.0 Hz, 1H), 5.32 - 5.25 (m, 1H), 5.17 - 5.12 (m, 1H), 4.31 - 4.23 (m, 1H), 3.60 - 3.52 (m, 1H), 3.45 - 3.39 (m, 1H), 2.37 - 2.22 (m, 2H), 1.65 - 1.55 (m, 1H), 1.54 - 1.39 (m, 1H), 0.86 (t, J = 7.6 Hz, 3H).
실시예 16
(9-((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화합물 번호 1)의 합성
[(2R,3S,5R)-2-에티닐-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9H-퓨린-6-올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MeOH(5mL) 중의 [(2R,3S,5R)-2-에티닐-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 97μmol)와 린들라 촉매(20mg)의 혼합물을 H2(15psi) 하에 20℃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40mg, 7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THF(3mL) 중의 [(2R,3S,5R)-2-에틸-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40mg, 77μmol)의 용액에 0℃에서 MeOH(2mL) 중의 NaOMe(2mg, 38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3mg, 2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2 (s, 1H), 7.99 (s, 1H), 6.26 - 6.23 (m, 1H), 4.41 - 4.38 (m, 1H), 3.52 - 3.33 (m, 2H), 2.83 - 2.76 (m, 1H), 2.30 - 2.24 (m, 1H), 1.68 - 1.53 (m, 2H), 0.87 (t, J = 7.2 Hz, 3H). LCMS (ESI): m/z 302.9 (M+Na)+.
실시예 17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99)의 합성
[(2R,3S,5R)-5-(6-클로로-2-플루오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N-사이클로프로필-2-플루오로-9H-퓨린-6-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t-BuOH(2mL) 중의 [(2R,3S,5R)-5-(6-클로로-2-플루오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00mg, 0.364mmol)의 용액에 DIPEA(63μl, 0.364mmol) 및 사이클로프로판아민(22mg, 0.383m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10mL)로 희석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 x 2)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석유 에테르 중의 0-33% EtOAc)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140mg, 6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2 (d, J = 8.0 Hz, 2H), 7.93 (d, J = 8.0 Hz, 2H), 7.85 (s, 1H), 7.29 (d, J = 8.0 Hz, 2H), 7.23 (d, J = 8.0 Hz, 2H), 6.51 (t, J = 6.4 Hz, 1H), 6.08 - 6.02 (m, 1H), 4.83 (d, J = 12.0 Hz, 1H), 4.66 (d, J = 12.0 Hz, 1H), 3.23 - 3.16 (m, 1H), 3.04 (br s, 1H), 2.96 - 2.78 (m, 1H), 2.69 (s, 1H), 2.43 (d, J = 15.2 Hz, 6H), 0.98 - 0.92 (m, 2H), 0.70 - 0.64 (m, 2H).
단계 2. EtOAc(5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90mg, 158.01μmol)의 혼합물에 탄소 상 팔라듐(25mg, 47.40μmol, 순도 20%)을 25℃에서 H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75mg, 8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MeOH(3mL) 중의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퓨린-9-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70mg, 122.03μmol)의 용액에 NH3.H2O(1mL, 6.49mmol, 순도 25%)를 25 ℃에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4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역상 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27%/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mg, 16%)을 백색 고체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3 (br s, 1H), 8.33 (s, 1H), 6.20 (t, J = 6.8 Hz, 1H), 5.17 (d, J = 4.8 Hz, 1H), 4.92 (t, J = 5.2 Hz, 1H), 4.46 - 4.36 (m, 1H), 3.53 - 3.40 (m, 2H), 2.93 (br s, 1H), 2.84 - 2.76 (m, 1H), 2.36 - 2.23 (m, 1H), 1.70 - 1.49 (m, 2H), 0.92 - 0.83 (m, 3H), 0.75 - 0.61 (m, 4H).
실시예 18
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화합물 번호 100)의 합성
[(2R,3S,5R)-2-에티닐-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9H-퓨린-6-올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MeOH(20mL) 중의 [(2R,3S,5R)-2-에티닐-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 98μmol)와 린들라 촉매(20mg)의 혼합물을 20℃에서 30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여과했다.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35mg, 6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THF(3mL) 중의 [(2R,3S,5R)-5-(6-하이드록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0mg, 39μmol)의 용액에 0℃에서 MeOH(2mL) 중의 NaOMe(1.1mg, 19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mg, 3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s, 1H), 8.00 (s, 1H), 6.29 - 6.26 (m, 1H), 5.98 - 5.92 (m, 1H), 5.40 - 5.35 (m, 1H), 5.24 - 5.18 (m, 1H), 4.62 (t, J = 6.4 Hz, 1H) 3.52 - 3.33 (m, 2H), 2.62 - 2.57 (m, 1H), 2.26 - 2.21 (m, 1H). LCMS (ESI): m/z 279.1 (M+H)+.
실시예 19
5-브로모-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4-하이드록시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2)의 합성
[(2R,3S)-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WO 2007/038507 A2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합성했다.
단계 1. MeOH(10mL) 중의 [(2R,3S)-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00mg, 458.24μmol)의 용액에 25℃에서 H2(15psi) 하에 탄소 상 10% 팔라듐(9.00mg)을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화합물(0.2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CN(10mL) 중의 5-브로모-1H-피리미딘-2,4-디온(173.4mg, 908.09μmol)의 용액에 25℃에서 N2 하에 BTMSA(309.5mg, 1.82mmol)를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25℃로 냉각시킨 후, TMSOTf(131.2mg, 590.26μmol)와 MeCN(5mL) 중의 [(2R,3S)-5-아세톡시-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2g, 454.05μmol)의 용액을 25℃에서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물을 10mL의 시트르산 수용액(10wt%)을 첨가하여 급냉시킨 다음, EtOAc(20mL)로 추출했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염수(1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의 50%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52mg, 2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5 (s, 1H), 7.99 - 7.86 (m, 5H), 7.34 - 7.27 (m, 4H), 6.35 - 6.26 (m, 1H), 5.85 - 5.75 (m, 1H), 4.65 - 4.58 (m, 1H), 4.56 - 4.48 (m, 1H), 2.76 - 2.66 (m, 1H), 2.55 - 2.48 (m, 1H), 2.44 (d, J = 8.8 Hz, 6H), 2.05 - 1.91 (m, 1H), 1.90 - 1.76 (m, 1H), 1.08 (t, J = 7.6 Hz, 3H).
단계 3. MeOH(5mL) 중의 [(2R,3S,5R)-5-(5-브로모-2,4-디옥소-피리미딘-1-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2g, 35.00μmol)의 용액에 NaOMe(189μg, 3.50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30%/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4mg, 4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 d6) δ 8.47 (s, 1H), 6.03 (t, J = 6.4 Hz, 1H), 5.27 - 5.18 (m, 1H), 5.14 (d, J = 4.8 Hz, 1H), 4.33 - 4.21 (m, 1H), 3.56 - 3.49 (m, 1H), 3.45 - 3.40 (m, 1H), 2.31 - 2.24 (m, 1H), 2.22 - 2.13 (m, 1H), 1.64 - 1.53 (m, 1H), 1.52 - 1.41 (m, 1H), 0.85 (t, J = 7.6 Hz, 3H).
실시예 20
(2R,3S,5R)-5-(2-아미노-6-메톡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102)의 합성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6-메톡시-9H-퓨린-2-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MeOH(2mL) 중의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0mg, 36.93μmol)]의 용액에 린들라 촉매(8mg)를 25℃에서 H2(15psi)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20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7mg, 31.27μmol)의 혼합물에 NaOMe(169μg, 3.13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mg, 2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308.2 (M+H)+. 1H NMR (400 MHz, CD3OD) δ 8.61 (s, 1H), 6.46 - 6.39 (m, 1H), 6.06 - 6.95 (m, 1H), 5.62 - 5.51 (m, 1H), 5.38 - 5.31 (m, 1H), 4.65 (t, J = 7.6 Hz, 1H), 4.08 (s, 3H), 3.76 - 3.67 (m, 1H), 3.61 - 3.56 (m, 1H), 2.53 - 2.39 (m, 2H).
실시예 21
(2R,3S,5R)-5-(2-아미노-6-메톡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125)의 합성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6-메톡시-9H-퓨린-2-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EtOAc(5mL) 중의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1g, 184.65μmol)의 혼합물에 Pd/C(60mg, 순도 10%)를 H2(15psi) 하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80mg, 수율 7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5-(2-아미노-6-메톡시-퓨린-9-일)-2-에틸-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80mg, 146.63μmol)의 혼합물에 0℃에서 MeOH(2mL) 중의 NaOMe(1mg, 14.66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7mg, 1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50 (s, 1H), 6.41 (t, J = 6.4 Hz, 1H), 4.53 (t, J = 5.6 Hz, 1H), 4.08 (s, 3H), 3.70 - 3.64 (m, 1H), 3.61 - 3.56 (m, 1H), 2.63 - 2.50 (m, 2H), 1.85 - 1.73 (m, 1H), 1.71 - 1.60 (m, 1H), 1.01 (t, J = 7.6 Hz, 3H).
실시예 22
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03)의 합성
[(2R,3S,5R)-2-에티닐-5-(5-메톡시-2,4-디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MeOH(5mL) 중의 [(2R,3S,5R)-2-에티닐-5-(5-메톡시-2,4-디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mg, 28.93μmol)의 혼합물에 탄소상 10% 팔라듐(9mg)을 25℃에서 H2(15psi)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15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5mL) 중의 [(2R,3S,5R)-2-에틸-5-(5-메톡시-2,4-디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mg, 28.71μmol)의 혼합물에 NaOMe(155μg, 2.87μmol)를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2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3mg, 2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87 (s, 1H), 6.25 (t, J = 6.4 Hz, 1H), 4.55 - 4.47 (m, 1H), 3.76 - 3.72 (m, 1H), 3.71 (s, 3H), 3.63 - 3.58 (m, 1H), 2.45 - 2.27 (m, 2H), 1.79 - 1.66 (m, 1H), 1.64 - 1.52 (m, 1H), 0.97 (t, J = 7.6 Hz, 3H).
실시예 23
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7)의 합성
[(2R,3S,5R)-2-에티닐-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EtOAc(2mL) 중의 (2R,3S,5R)-2-에티닐-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30mg, 59.23μmol)와 린들라 촉매(12mg)의 혼합물을 20℃에서 10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30mg,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531.1 (M+Na)+.
단계 2. MeOH(2mL)와 THF(3mL) 중의 [(2R,3S,5R)-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30mg, 59μmol)와 NaOMe(3.19mg, 59μmol)의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이를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3mg, 2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6 (d, J = 7.2 Hz, 1H), 6.06 - 6.04 (m, 1H), 5.90 - 5.80 (m, 1H), 5.48 (s, 1H), 5.35 - 5.30 (m, 2H), 5.20 - 5.17 (m, 1H), 4.42 - 4.31 (m, 1H), 3.68 - 3.33 (m, 2H), 2.21 - 2.04 (m, 2H). LCMS (ESI): m/z 295.0 (M+Na)+.
실시예 24
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8)의 합성
[(2R,3S,5R)-2-에티닐-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MeOH(5mL) 및 EtOAc(5mL) 중의 [(2R,3S,5R)-2-에티닐-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 98.72μmol) 및 린들라 촉매(5mg)의 혼합물을 20℃에서 5시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화합물(40mg, 7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533.1 (M+Na)+.
단계 2. MeOH(2mL) 및 THF(3mL) 중의 [(2R,3S,5R)-2-에틸-5-(5-플루오로-4-하이드록시-2-옥소-피리미딘-1-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40mg, 78.35μmol) 및 NaOMe(4.23mg, 78.35μmol)의 혼합물을 2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이를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8mg, 2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00 (d, J = 7.2 Hz, 1H), 6.07 (t, J = 6.8 Hz, 1H), 5.10 - 5.08 (m, 2H), 4.26 (t, J = 6.0 Hz, 1H), 3.50 - 3.30 (m, 2H), 2.18 - 2.08 (m, 2H), 1.59 - 1.45 (m, 2H), 0.85 (t, J = 7.6 Hz, 3H). LCMS (ESI): m/z 297.0 (M+Na)+.
실시예 25
4-아미노-1-((2R,4R,5S)-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77)의 합성
단계 1. MeCN(15mL) 중의 N-(2-옥소-1H-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148mg, 687.36μmol)의 혼합물에 BTMSA(234mg, 1.37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했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TMSOTf(99mg, 446.78μmol)와 [(2S,3R)-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0mg, 343.68μmol)의 용액을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재가열했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10mL)에 붓고, EtOAc(20mL x 2)로 추출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FC(DAICEL CHIRALPAK AD, (250mm*30mm, 10um); 초임계 CO2/EtOH + NH4OH= 45/55; 80mL/분)로 정제하여 화합물(50mg, 2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71 (s, 1H), 8.49 (d, J = 7.2 Hz, 1H), 7.97 (d, J = 8.4 Hz, 2H), 7.92 (d, J = 7.6 Hz, 2H), 7.79 (d, J = 8.4 Hz, 2H), 7.67 - 7.62 (m, 1H), 7.58 - 7.52 (m, 2H), 7.30 (d, J = 8.0 Hz, 2H), 7.20 (d, J = 8.0 Hz, 2H), 6.39 - 6.30 (m, 1H), 5.92 - 5.85 (m, 1H), 4.70 - 4.61 (m, 2H), 3.28 - 3.14 (m, 1H), 2.79 (s, 1H), 2.73 - 2.64 (m, 1H), 2.45 (s, 3H), 2.37 (s, 3H).
단계 2. MeOH(2mL) 중의 [(2S,3R,5R)-5-(4-벤즈아미도-2-옥소-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50mg, 84.52μmol)의 혼합물에 0℃에서 NaOMe(9mg, 169.03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15%/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5mg, 1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5 (s, 1H), 7.37 (s, 1H), 6.17 (t, J = 6.4 Hz, 1H), 6.03 - 5.90 (m, 1H), 5.81 (s, 2H), 5.43 (s, 1H), 5.37 - 5.31 (m, 1H), 5.22 (s, 1H), 5.20 - 5.15 (m, 1H), 4.58 (t, J = 6.4 Hz, 1H), 3.55 - 3.47 (m, 1H), 3.45 - 3.38 (m, 1H), 2.57 - 2.52 (m, 1H), 2.22 - 2.14 (m, 1H), 0.69 - 0.62 (m, 2H), 0.62 - 0.55 (m, 2H) [M+H]+ 252.1.
실시예 26
2-아미노-9-[(2R,4R,5S)-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온(화합물 번호 79)의 합성
단계 1. MeCN(10mL) 중의 N-(6-하이드록시-9H-퓨린-2-일)-2-메틸-프로판아미드(84mg, 378.05μmol)의 용액을 N2로 세 번 탈기시켰다. 그런 다음, 트리메틸실릴 (1E)-N-트리메틸실릴에탄이미데이트(349mg, 1.72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88mg, 395.23μmol)를 첨가한 다음, 아세토니트릴(2mL) 중의 [(2S,3R)-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0mg, 343.68μ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10mL)로 희석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54-85%/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화합물(25mg, 1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97 (s, 1H), 8.31 (s, 1H), 8.27 (br s, 1H), 7.97 (d, J = 8.0 Hz, 2H), 7.84 - 7.73 (m, 2H), 7.30 - 7.21 (m, 4H), 6.34 - 6.27 (m, 1H), 5.89 - 5.81 (m, 1H), 4.73 - 4.66 (m, 1H), 4.63 - 4.57 (m, 1H), 3.15 - 3.06 (m, 1H), 2.96 - 2.86 (m, 1H), 2.75 - 2.71 (m, 1H), 2.67 - 2.56 (m, 1H), 2.42 (d, J = 11.6 Hz, 6H), 1.28 (dd, J = 2.0, 6.8 Hz, 6H).
단계 2. MeOH(2mL) 중의 [(2S,3R,5R)-2-에티닐-5-[6-하이드록시-2-(2-메틸프로파노일아미노)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1mg, 35.14μmol)의 용액을 수산화암모늄(30mg, 105.42μmol, 28wt%)을 첨가했다. 용액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20%/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mg, 2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84 (br s, 1H), 8.24 (s, 1H), 6.50 - 6.41 (m, 1H), 6.15 (s, 2H), 5.52 (d, J = 5.2 Hz, 1H), 5.36 (t, J = 5.6 Hz, 1H), 4.53 - 4.41 (m, 1H), 3.72 - 3.53 (m, 2H), 3.51 (s, 1H), 2.46 - 2.34 (m, 2H). [M+Na]+ 313.9.
실시예 27
(2R,3S,5R)-5-(4-아미노-6-플루오로-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75)의 합성
[(2R,3S,5R)-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6-디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MeOH(15mL) 중의 [(2R,3S,5R)-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20mg, 221.99μmol)의 혼합물에 NaOMe(24mg, 443.98μmol)를 0℃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디클로로메탄(1% NH4OH) 중의 9% MeOH)로 정제하여 화합물(60mg, 8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327.1 (M+Na)+.
단계 2. 피리딘(2mL) 중의 (2R,3S,5R)-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60mg, 197.17μmol)의 혼합물에 피리딘-하이드로플루오라이드(237mg, 1.68mmol, 순도 70%) 및 3급-부틸 니트라이트(61mg, 591.51μmol)를 0℃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DCM(15mL) 및 H2O(5mL)로 희석했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10mL x 3)으로 추출했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0-40%/0.225% 포름산)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58mg, 3%)을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4 (s, 1H), 7.51 (s, 1H), 6.37 - 6.23 (m, 1H), 5.46 (d, J = 6.0 Hz, 1H), 4.98 (t, J = 6.0 Hz, 1H), 4.60 - 4.47 (m, 1H), 3.61 - 3.53 (m, 1H), 3.48 - 3.39 (m, 2H), 2.82 - 2.69 (m, 1H), 2.53 (s, 3H), 2.40 - 2.34 (m, 1H).
실시예 28
(2R,3S,5S)-5-(4-아미노-6-플루오로-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화합물 번호 3)의 합성
[(2R,3S,5S)-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는 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4,6-디아민을 사용하여 WO 2007/038507 A2에 따라 제조했다.
단계 1. MeOH(15mL) 중의 [(2R,3S,5S)-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1g, 184.99μmol)의 혼합물에 NaOMe(20mg, 369.98μmol)를 0℃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DCM(1% NH4OH)(Rf = 0.3) 중의 10% MeOH로 용출시키는 pre-TLC로 정제하여 화합물(50mg, 8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피리딘(2mL) 중의 (2R,3S,5S)-5-(4,6-디아미노-3-메틸-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60mg, 197.17μmol)의 혼합물에 HF-피리딘(237mg, 1.68mmol, 70% 순도) 및 3급-부틸 니트라이트(61mg, 591.51μmol)를 0℃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DCM(15mL) 및 H2O(5mL)로 희석했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DCM(10mL)으로 추출했다. 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0-40%/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mg, 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27 (s, 1H), 7.53 (s, 1H), 6.27 (t, J = 6.4 Hz, 1H), 5.73 (d, J = 8.8 Hz, 1H), 5.21 (t, J = 6.4 Hz, 1H), 4.38 - 4.30 (m, 1H), 3.48 - 3.40 (m, 3H), 2.79 - 2.71 (m, 1H), 2.68 - 2.62 (m, 1H), 2.53 (s, 3H). [M+H]+ 308.2.
실시예 29
4-아미노-1-[(2S,5S)-5-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2H-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온(화합물 번호 74)의 합성
단계 1. 아세토니트릴(3mL) 중의 N-(5-플루오로-2-하이드록시-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59mg, 253.94μmol)의 용액을 N2로 세 번 탈기시켰다. 그런 다음, 트리메틸실릴 (1E)-N-트리메틸실릴에탄이미데이트(129mg, 634.85μ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56mg, 253.94μmol)를 첨가한 다음, 아세토니트릴(1mL) 중의 [(2S,4S,5R)-5-벤조일옥시-2-에티닐-4-(p-톨릴설파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100mg, 211.62μmol)를 25℃에서 N2 하에 첨가했다.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10mL)로 희석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의 EtOAc 25%)로 정제하여 화합물(21mg, 1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Cl3) δ 8.33 - 8.25 (m, 2H), 8.09 (d, J = 7.2 Hz, 2H), 7.73 - 7.65 (m, 1H), 7.60 - 7.42 (m, 6H), 7.27 (s, 2H), 7.22 (d, J = 5.6 Hz, 1H), 7.04 (d, J = 7.6 Hz, 2H), 6.32 - 6.13 (m, 1H), 4.69 (d, J = 11.6 Hz, 1H), 4.55 (d, J = 12.0 Hz, 1H), 3.63 - 3.46 (m, 1H), 2.95 - 2.82 (m, 1H), 2.79 (s, 1H), 2.53 - 2.39 (m, 1H), 2.16 (s, 3H).
단계 2. MeCN(2mL) 중의 [(2S,4S,5S)-5-(4-벤즈아미도-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1-일)-2-에티닐-4-(p-톨릴설파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40mg, 68.54μmol)의 용액에 [클로로(p-톨릴설포닐)아미노]나트륨(22mg, 95.95μ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에 물(10mL)을 첨가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n-BuOH(2m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용액을 90℃에서 3시간 더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석유 에테르 중의 25% EtOAc)로 정제하여 화합물(39mg, 5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460.0 (M+H)+.
단계 3. MeOH(1mL) 중의 [(2S,5S)-2-(4-벤즈아미도-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1-일)-5-에티닐-2H-푸란-5-일]메틸 벤조에이트(20mg, 43.53μmol)의 용액에 0℃에서 MeONa(3mg, 53.53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용액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27%/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93mg, 1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8 (br s, 1H), 7.92 (d, J = 7.2 Hz, 1H), 7.85 (br s, 1H), 7.61 (br s, 1H), 6.92 (s, 1H), 6.33 - 6.26 (m, 1H), 6.03 (d, J = 5.6 Hz, 1H), 3.76 - 3.56 (m, 3H). [M+Na]+ 273.8.
실시예 30
4-아미노-1-((2S,4R,5S)-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76)의 합성
단계 1. MeCN(15mL) 중의 N-(2-옥소-1H-피리미딘-4-일)벤즈아미드(148mg, 687.36μmol)의 혼합물에 BTMSA(234mg, 1.37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했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TMSOTf(99mg, 446.78μmol)와 [(2S,3R)-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0mg, 343.68μmol)를 순차적으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재가열했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10mL)에 붓고, EtOAc(20mL x 2)로 추출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FC(DAICEL CHIRALPAK AD, (250mm*30mm, 10um); 초임계 CO2/EtOH+NH4OH= 45/55; 80mL/분)로 정제하여 화합물(20mg, 2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2. MeOH(2mL) 중의 [(2S,3R,5S)-5-(4-벤즈아미도-2-옥소-피리미딘-1-일)-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0.02g, 33.81μmol)의 혼합물에 0℃에서 NaOMe(4mg, 67.61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17%/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8mg, 1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37 (s, 2H), 7.80 (d, J = 7.2 Hz, 1H), 7.23 - 7.07 (m, 2H), 6.20 - 6.10 (m, 1H), 5.73 (d, J = 7.6 Hz, 1H), 4.24 (d, J = 4.8 Hz, 1H), 3.74 (d, J = 11.2 Hz, 1H), 3.63 (d, J = 11.2 Hz, 1H), 3.51 (s, 1H), 2.78 - 2.69 (m, 1H), 1.85 - 1.77 (m, 1H). [2M+H]+ 503.1.
실시예 31
2-아미노-9-((2S,4R,5S)-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화합물 번호 78)의 합성.
단계 1. 아세토니트릴(10mL) 중의 N-(6-하이드록시-9H-퓨린-2-일)-2-메틸-프로판아미드(84mg, 378.05μmol)의 용액을 N2로 세 번 탈기시켰다. 그런 다음, 트리메틸실릴 (1E)-N-트리메틸실릴에탄이미데이트(349mg, 1.72mmol)를 첨가했다.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88mg, 395.23μmol)를 첨가한 다음, 아세토니트릴(2mL) 중의 [(2S,3R)-5-아세톡시-2-에티닐-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150mg, 343.68μ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20mL)로 희석하고 EtOAc(3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54-85%/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화합물(21mg, 1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49 - 8.36 (m, 2H), 8.00 (d, J = 8.0 Hz, 2H), 7.87 (d, J = 8.0 Hz, 2H), 7.32 (d, J = 8.0 Hz, 2H), 7.34 - 7.30 (m, 1H), 7.22 (d, J = 8.0 Hz, 2H), 6.79 - 6.69 (m, 1H), 6.12 - 6.01 (m, 1H), 4.81 (d, J = 11.6 Hz, 1H), 4.66 (d, J = 11.6 Hz, 1H), 3.27 (s, 1H), 3.20 - 3.09 (m, 1H), 2.98 - 2.88 (m, 1H), 2.76 - 2.69 (m, 1H), 2.43 (s, 3H), 2.38 (s, 3H), 1.24 - 1.21 (m, 6H).
단계 2. 메틸 알코올(2mL) 중의 [(2S,3R,5S)-2-에티닐-5-[6-하이드록시-2-(2-메틸프로파노일아미노)퓨린-9-일]-3-(4-메틸벤조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4-메틸벤조에이트(21mg, 35.14μmol)의 용액에 수산화암모늄(300mg, 1054.2umol, 28% 순도)을 첨가했다. 용액을 6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1-20%/0.225% 포름산)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0mg, 2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0.84 (br s, 1H), 8.24 (s, 1H), 6.50 - 6.41 (m, 1H), 6.15 (s, 2H), 5.52 (d, J = 5.2 Hz, 1H), 5.36 (t, J = 5.6 Hz, 1H), 4.53 - 4.41 (m, 1H), 3.72 - 3.53 (m, 2H), 3.51 (s, 1H), 2.46 - 2.34 (m, 2H). [M+Na]+ 313.9.
실시예 32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1,2,4-트리아졸-3-카르복스아미드(화합물 번호 11)의 합성
단계 1: (2R,3S)-5-(3-카바모일-1H-1,2,4-트리아졸-1-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 MeCN(3.88mL) 중의 1H-1,2,4-트리아졸-3-카르복스아미드(57.7mg, 504μmol)의 현탁액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590μL, 2.29mmol)를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MeCN(3.88mL) 중의 (2R,3S)-5-아세톡시-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200mg, 458μmol)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적가한 다음,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27μL, 687μmol)를 적가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약 18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70℃로 가온시킨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을 포화 NaHCO3 수용액(10mL)으로 급냉시키고, 포화 NaCl 수용액(12mL)으로 희석하고, 유기물을 EtOAc(3 x 30mL)로 추출했다. 결합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무수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용출액: 헵탄 중 50-100% 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2mg, 270μmol, 59%)을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더 극성인 아노머의 경우, LC-MS(ESI) m/z 489.2 [M+H]+. LC-MS RT = 1.52분; 방법 G. 덜 극성인 아노머의 경우, LC-MS (ESI) m/z 489.2 [M+H]+. LC-MS RT = 1.54분; 방법 G.
단계 2: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1,2,4-트리아졸-3-카르복스아미드. MeOH(901μmol) 중의 (2R,3S)-5-(3-카바모일-1H-1,2,4-트리아졸-1-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132mg, 270μmol)의 용액에 28% 수성 NH4OH(60μL)를 적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약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이 시간 후, 추가 분량의 28% 수성 NH4OH(60μL)를 적가하고, 혼합물을 약 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45℃로 가열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C18에서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10mM 암모늄 포르메이트 수용액 중 0-100% MeCN)로 직접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1(61.3mg, 243μmol, 90%)을 약 2:1의 아노머 혼합물로서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주요 아노머의 경우, 1H NMR (400 MHz, CD3OD) δ 8.72 (s, 1H), 6.30 (dd, J = 7.2, 3.0 Hz, 1H), 4.72 (dd, J = 8.6, 6.8 Hz, 1H), 3.80 (d, J = 12.2 Hz, 1H), 3.72 (d, J = 12.2 Hz, 1H), 3.09 (s, 1H), 2.75 (ddd, J = 13.3, 6.8, 3.0 Hz, 1H), 2.70 - 2.64 (m, 1H). 부차적 아노머의 경우, 1H NMR (400 MHz, CD3OD) δ 8.79 (s, 1H), 6.24 (dd, J = 7.1, 3.6 Hz, 1H), 4.47 (dd, J = 6.7, 4.6 Hz, 1H), 3.73 (d, J = 12.0 Hz, 1H), 3.67 (d, J = 12.1 Hz, 1H), 3.15 (s, 1H), 2.93 (dt, J = 13.9, 6.9 Hz, 1H), 2.61 (ddd, J = 14.0, 4.6, 3.7 Hz, 1H). LC-MS (ESI) m/z 253.1 [M+H]+. LC-MS RT = 0.13분; 방법 A.
실시예 33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5)의 합성
단계 1: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5-브로모-1H-피리미딘-2-온(0.38g, 2.00mmol)의 혼합물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1.22g, 6.00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25℃로 냉각시킨 후, TMSOTf(390mg, 1.76mmol) 및 (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0.5g, 1.17mmol)를 25℃에서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10 중량%의 시트르산 수용액(10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급냉시키고, EtOAc(20m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15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 DCM/MeOH = 50/1)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64g, 98%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48 (s, 1H), 7.40 - 7.20 (m, 10H), 6.08 (d, J = 2.4 Hz, 1H), 5.49 - 5.45 (m, 1H), 4.63 (d, J = 12 Hz, 1H), 4.52 - 4.47 (m, 1H), 4.45 - 4.39 (m, 1H), 4.36 (d, J = 11.6 Hz, 1H), 4.27 (d, J = 6.0 Hz, 1H), 3.60 (d, J = 10.4 Hz, 1H), 3.31 (d, J = 10.4 Hz, 1H), 2.14 (s, 3H), 1.28 (s, 3H).
단계 2: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 MeOH(15mL) 중의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638g, 1.14mmol)의 혼합물에 NaOH(2M, 2mL) 수용액을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 디클로로마탄/MeOH = 100/0 내지 50/1)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g, 8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5 (s, 1H), 7.40 - 7.23 (m, 10H), 6.58 (s, 1H), 5.93 (d, J = 3.6 Hz, 1H), 5.66 (s, 1H), 4.77 (d, J = 12.0 Hz, 1H), 4.60 - 4.46 (m, 3H), 4.40 - 4.30 (m, 1H), 4.11 (d, J = 5.6 Hz, 1H), 3.61 - 3.51 (m, 2H), 3.37 (d, J = 10.4 Hz, 1H), 1.35 (s, 3H).
단계 3: O-((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0.5g, 968.27μmol)의 혼합물에 DMAP(355mg, 2.90mmol)를 첨가한 다음, O-페닐 클로로메탄티오에이트(251mg, 1.45mmol)를 25℃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 DCM/MeOH = 100/0 내지 99/1)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5g, 87%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32 (s, 1H), 7.49 - 7.28 (m, 14H), 7.06 - 7.01 (m, 2H), 6.32 (d, J = 3.2 Hz, 1H), 6.05 - 5.95 (m, 1H), 5.68 (s, 1H), 4.75 (d, J = 11.6 Hz, 1H), 4.63 - 4.53 (m, 1H), 4.50 - 4.42 (m, 3H), 3.63 (d, J = 10.8 Hz, 1H), 3.38 (d, J = 10.4 Hz, 1H), 1.30 (s, 3H).
단계 4: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 톨루엔(12mL) 중의 O-((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0.55g, 842.84μmol)의 혼합물에 AIBN(69mg, 421.42μmol) 및 TTMSS(1.05g, 4.21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25℃로 냉각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TLC(DCM/MeOH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70mg, 수율 40%)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단계 5: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5). DCM (9mL) 중의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0.15g, 299.77μmol)의 혼합물에 BCl3(1M, 2.1mL)을 -78℃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40℃로 가온시키고 0.5시간 더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40℃에서 MeOH(1mL) 및 NH4OH(1mL)를 첨가하여 급냉시켰다. -40℃에서 10분 동안 더 교반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0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5(2.7mg, 수율 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3 OD) δ 8.59 (s, 1H), 6.12 - 6.03 (m, 1H), 4.36 (t, J = 6.8 Hz, 1H), 3.67 - 3.54 (m, 2H), 2.53 - 2.42 (m, 1H), 2.31 - 2.21 (m, 1H),1H NMR (400 MHz, CD3OD) δ 8.59 (s, 1H), 6.12 - 6.03 (m, 1H), 4.36 (t, J = 6.8 Hz, 1H), 3.67 - 3.54 (m, 2H), 2.53 - 2.42 (m, 1H), 2.31 - 2.21 (m, 1H), 1.17 (s, 3H). LC-MS (ESI) m/z 661.0 [2M+Na]+. LC-MS RT = 1.420분; 방법 D.
실시예 34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화합물 번호 16)의 합성
단계 1: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시아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15mL) 중의 4-아미노-5-브로모-1H-피리미딘-2-온(400mg, 2.1mmol)의 용액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1.6mL, 6.3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490uL, 2.7mmol)를 첨가한 다음, 아세토니트릴(8mL) 중의 (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시아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600mg, 1.4mmol)를 첨가했다. 10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물(20mL)로 급냉시키고, EtOAc(3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302mg, 0.53mmol, 수율 39%)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Cl3): δ 7.99 (s, 1H), 7.38 - 7.30 (m, 8H), 7.25 - 7.18 (m, 2H), 5.97 (s, 1H), 5.62 (d, J = 5.2 Hz, 1H), 4.69 (d, J = 11.6 Hz, 1H), 4.51 - 4.42 (m, 4H), 3.90 (d, J = 10.8 Hz, 1H), 3.61 (d, J = 10.8 Hz, 1H), 2.18 (s, 3H).
단계 2: (2R,3S,4R,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디옥산(8mL) 중의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시아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300mg, 526.9μmol)의 용액에 25℃에서 수성 NaOH(1M, 1.0m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물(5mL)로 급냉시키고, EtOAc(10mL)로 추출하고, 염수(1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260mg, 94%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아세토니트릴(5mL) 중 (2R,3S,4R,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일)-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260.0mg, 493.0μmol)의 용액을 N2로 세 번 탈기시켰다. 그런 다음, DMAP(78.3mg, 640.9μmol)와 O-페닐 클로로메탄티오에이트(170.2mg, 986.0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물(5mL)로 희석하고, EtOAc(10mL)로 추출하고 염수(1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251.0mg, 378μmol, 76% 수율)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663.0 [M+H]+. LC-MS RT = 1.025분; 방법 C.
단계 4: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톨루엔(5mL) 중의 (2R,3S,4R,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일)-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250mg, 376.8μmol)의 용액을 N2로 5분 동안 퍼징했다. 비스(트리메틸실릴)실릴-트리메틸-실란(281.1mg, 1.13mmol) 및 AIBN(29.0mg, 176.8μ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95.0mg, 186μmol, 4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5: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화합물 번호 16). DCM(3mL) 중의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벤질옥시)-2-((벤질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95.0mg, 186μmol)의 용액에 N2로 세 번 탈기시키고, -78℃로 냉각시킨 다음, BCl3(DCM 중 1M, 0.5mL)를 적가했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45℃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45℃에서 MeOH(1mL)로 급냉시키고, 0℃로 가열했다. 반응은 1mL NH3.H2O(순도 28%)로 pH > 7로 조정하고, 잔류물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30%/NH3 .H2O+NH4HCO3)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5mg, 10.6μmol, 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MeOD-d4): δ 8.23 (s, 1H), 6.35 - 6.26 (m, 1H), 4.59 (t, J = 6.8 Hz, 1H), 4.01 - 3.86 (m, 2H), 2.55 - 2.37 (m, 2H). LC-MS (ESI) m/z 331.0 [M+H]+. LC-MS RT = 1.312분; 방법 F.
실시예 35
1-((2R,5R)-5-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9)의 합성
단계 1: ((2R,4R,5R)-5-(벤조일옥시)-2-에티닐-4-(p-톨릴티오)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 TBAF(THF 중 1M, 15.4mL, 15.4mmol)의 용액을 주위 온도에서 THF(50.0mL) 중의 ((2R,4R,5R)-5-(벤조일옥시)-4-(p-톨릴티오)-2-((트리메틸실릴)에티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7.01g, 12.9mmol)의 교반된 용액에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은 20% 수성 NH4OAc 용액으로 급냉시키고,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용출액: 0-30% EtOAc/헥산)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5g, 5.30mmol, 41%)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했다. LC-MS (ESI) m/z 490.2 [M+H2O]+. LC-MS RT = 2.02분; 방법 A.
단계 2: ((2R,4R,5R)-2-에티닐-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4-(p-톨릴티오)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 자기 교반기 바가 장착된 화염 건조 환저 플라스크에 5-플루오로우라실(231mg, 1.78mmol)과 MeCN(3.00mL)을 질소 하에 충전시켰다. HMDS(201μL, 1.78mmol)와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511μL, 2.79mmol)를 모두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고체 ((2R,4R,5R)-5-(벤조일옥시)-2-에티닐-4-(p-톨릴티오)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600mg, 1.27mmol)를 한 분량으로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교반했다. 반응물은 물(1.00mL) 중 K3PO4(138mg, 635μmol)의 용액으로 급냉시켰다. 그런 다음, 유기물을 EtOAc로 추출하고, 건조시키고(무수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용출액: 헥산 중 0-90% 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10mg, 1.06mmol, 8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479.3 [M-H]-. LC-MS RT = 1.65분; 방법 A.
단계 3: ((2R,5R)-2-에티닐-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 ((2R,4R,5R)-2-에티닐-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4-(p-톨릴티오)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510mg, 1.06mmol)를 교반하면서 MeCN(8.00mL)에 용해시키고, 클로라민-T 삼수화물(366mg, 1.27mmol)과 AcOH(6.14μL, 106μmol)를 모두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약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반응물을 10중량% NH4OAc 수용액(5mL)을 첨가하여 급냉시켰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물을 건조시키고(무수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n-BuOH(8.00mL)에 용해시키고, 생성되는 용액을 약 3시간 동안 95℃로 가열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진공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SiO2(용출액: 헥산 중의 0-95% 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00mg, 0.56mmol, 53%)을 투명한 오일로서 공급했다. LC-MS (ESI) m/z 374.4 [M+H2O]+. LC-MS RT = 0.98분; 방법 A.
단계 4: 1-((2R,5R)-5-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9). ((2R,5R)-2-에티닐-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틸 벤조에이트(200mg, 561μmol)를 주위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MeOH(25mL)에 용해시키고, DBU(4.3μL, 28.1μ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LCMS에 의해 결정될 때까지 60℃로 가열했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고, 실리카 겔에 흡착시키고, SiO2(용출액: DCM 중의 0-10% MeOH)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9(76mg, 300μmol, 5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92 (s, 1H), 8.01 (d, J = 7.2 Hz, 1H), 6.87 (dt, J = 2.0, 1.5 Hz, 1H), 6.37 (dd, J = 5.8, 2.0 Hz, 1H), 6.05 (dd, J = 5.8, 1.3 Hz, 1H), 5.60 (t, J = 5.8 Hz, 1H), 3.71 (dd, J = 12.1, 5.5 Hz, 1H), 3.70 (s, 1H), 3.61 (dd, J = 12.1, 6.1 Hz, 1H). LC-MS (ESI) m/z 251.3 [M-H]-. LC-MS RT = 0.96분; 방법 B.
실시예 36
1-((2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20)의 합성
단계 1: (2R,3S)-5-(5-브로모-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 MeCN(2.00mL) 중의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104μL, 687μmol)의 용액에 5-브로모우라실(44.7mg, 229μmol)을 첨가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약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했다. 그런 다음,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50.3μL, 275μmol) 및 (2R,3S)-5-아세톡시-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100mg, 229μ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교반한 후, 주위 온도로 냉각시켰다. 반응물을 물과 EtOAc에 분배했다. 결합된 유기물을 건조시키고(무수 Na2SO4)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iO2(용출액: 헵탄 중 0-90% EtOAc)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1mg, 213μmol, 93%)을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투명한 오일로서 수득했다. 더 극성인 아노머의 경우, LC-MS(ESI) m/z 568.3 [M+H]+. LC-MS RT = 1.70분; 방법 A. 덜 극성인 아노머의 경우, LC-MS (ESI) m/z 567.3 [M-H]-. LC-MS RT = 1.73분; 방법 A.
단계 2: 5-브로모-1-((2S,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2R,3S)-5-(5-브로모-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에티닐-2-(((4-메틸벤조일)옥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4-메틸벤조에이트(454mg, 213μmol)를 MeOH(2.00mL)에 용해시키고, NaOMe 용액(MeOH 중 25wt.%, 2.00mL, 427μmol)을 교반하면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LCMS에 의해 결정될 때까지 주위 온도에서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 겔에 흡착시키고 SiO2(용출액: DCM 중 0-20% MeOH)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4.9mg, 13.6μmol, 64%)을 백색 고체로서 아노머의 혼합물로서 수득했다. prep-HPLC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00mg)을 단일 입체이성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1.81 (br. s, 1H), 8.32 (s, 1H), 6.09 (dd, J = 7.2, 3.4 Hz, 1H), 5.73 (d, J = 4.4 Hz, 1H), 5.32 (t, J = 6.3 Hz, 1H), 4.27 (dt, J = 6.1, 3.9 Hz, 1H), 3.74 (s), 3.50 (dd, J = 11.8, 5.9 Hz, 1H), 3.46 (dd, J = 11.8, 6.8 Hz, 1H), 2.74 - 2.66 (m, 1H), 2.01 (dt, J = 14.1, 3.5 Hz, 1H).
단계 3: 5-브로모-1-((2S,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자기 교반기 바가 장착되고 고무 격막으로 캡핑된 유리 바이알에서, 5-브로모-1-((2S,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6.00mg, 18.1μmol)을 교반하면서 MeOH(181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린들라 촉매(6.00mg)를 첨가하고, 용기를 벌룬으로부터 수소 가스로 플러싱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약 3시간 동안 수소(1기압) 하에 교반했다. 혼합물을 Celite®의 짧은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4.85mg, 14.5μmol, 80%)을 제공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45 (s, 1H), 6.34 (dd, J = 7.8, 2.0 Hz, 1H), 6.12 (dd, J = 17.4, 11.2 Hz, 1H), 5.44 (dd, J = 17.4, 1.7 Hz, 1H), 5.35 (dd, J = 11.2, 1.7 Hz, 1H), 4.40 (dd, J = 5.9, 0.9 Hz, 1H), 3.51 (d, J = 11.8 Hz, 1H), 3.43 (d, J = 11.8 Hz, 1H), 2.97 - 2.89 (m, 1H), 2.06 - 2.00 (m, 1H).
단계 4: 1-((2S,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20). 자기 교반기 바가 장착되고 고무 격막으로 캡핑된 유리 바이알에서, 5-브로모-1-((2S,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6.04mg, 18.1μmol)을 교반하면서 MeOH(181μl)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PtO2(2.06mg, 9.06μmol)를 첨가하고, 용기를 벌룬으로부터 수소 가스로 플러싱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약 4시간 동안 수소(1기압) 하에 교반했다. 혼합물을 Celite®의 짧은 플러그를 통해 여과하고, 필터 케이크를 MeOH로 세척하고, 여과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SiO2(용출액: 헵탄 중의 50-100% EtOAc, 이어서 100% IPA)에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잔류물을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20(2.45mg, 9.6μmol, 53%)을 무정형 백색 고체로서 제공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00 (d, J = 8.1 Hz, 1H), 6.15 (dd, J = 7.9, 2.6 Hz, 1H), 5.67 (d, J = 8.1 Hz, 1H), 4.22 (dd, J = 6.0, 1.4 Hz, 1H), 3.46 (q, J = 11.8 Hz, 2H), 2.87 (ddd, J = 14.7, 7.9, 6.0 Hz, 1H), 2.01 - 1.92 (m, 1H), 1.59 - 1.46 (m, 1H). LC-MS (ESI) m/z 255.2 [M-H]-. LC-MS RT = 1.05분; 방법 H.
실시예 37
4-아미노-5-브로모-1-((2R,4S,5R)-5-(플루오로메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17)의 합성
단계 1: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5-브로모-1H-피리미딘-2-온(0.26g, 1.37mmol)의 혼합물에 트리메틸실릴 (1E)-N-트리메틸실릴에탄이미데이트(835.14mg, 4.11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25℃로 냉각시킨 후, TMSOTf(373.37mg, 1.68mmol) 및 (2S,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0.5g, 1.12mmol)를 25℃에서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10중량%의 시트르산 수용액(10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급냉시킨 다음, EtOAc(20m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15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마탄 중의 2%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326g, 51%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6 (s, 1H), 7.40 - 7.26 (m, 12H), 6.21 (d, J = 4.0 Hz, 1H), 5.63 (s, 1H), 5.53 - 5.45 (m, 1H), 4.72 - 4.35 (m, 7H), 3.90 - 3.82 (m, 1H), 3.60 - 3.53 (m, 1H), 2.11 (s, 3H).
단계 2: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 MeOH(15mL) 중의 (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325g, 563.83μmol)의 혼합물에 NaOH(2M, 2mL) 수용액을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2%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9g, 9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09 (s, 1H), 7.40 - 7.27 (m, 10H), 6.73 (s, 1H), 5.93 (d, J = 4.8 Hz, 1H), 5.59 (s, 1H), 4.81 - 4.52 (m, 6H), 4.46 - 4.40 (m, 1H), 4.28 (d, J = 5.6 Hz, 1H), 3.89 - 3.76 (m, 2H), 3.68 - 3.61 (m, 1H).
단계 3: O-((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3-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0.29g, 542.69μmol)의 용액에 DMAP(198.90mg, 1.63mmol)을 첨가한 다음, O-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141mg, 814.04μmol)를 25℃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1%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66g, 73%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17 (s, 1H), 7.42 - 7.28 (m, 13H), 7.05 - 6.99 (m, 2H), 6.41 (d, J = 5.2 Hz, 1H), 6.03 (t, J = 5.2 Hz, 1H), 4.73 (d, J = 11.2 Hz, 1H), 4.70 - 4.50 (m, 6H), 3.91 - 3.86 (m, 1H), 3.71 - 3.65 (m, 1H).
단계 4: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 톨루엔(12mL) 중의 O-((2R,3R,4S,5R)-2-(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0.266g, 396.69μmol)의 혼합물에 AIBN(33mg, 198.35μmol) 및 TTMSS(493.21mg, 1.98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TLC(DCM/MeOH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mg, 19%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단계 5: 4-아미노-5-브로모-1-((2R,4S,5R)-5-(플루오로메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17). DCM(9mL) 중의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플루오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브로모피리미딘-2(1H)-온(0.04g, 77.16μmol)의 혼합물에 BCl3(DCM 중 1M, 0.5mL)을 N2 하에 -78℃에서 적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40℃까지 가온시키고 0.5시간 동안 더 교반했다. 그런 다음, -40℃에서 MeOH(1mL) 및 NH4OH(1mL)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급냉시켰다. -40℃에서 10분 동안 더 교반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0분 동안 더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염기성)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6mg, 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Cl3) δ 8.42 (s, 1H), 6.24 (t, J = 6.4 Hz, 1H), 4.68 - 4.62 (m, 1H), 4.55 - 4.46 (m, 2H), 3.75 - 3.71 (m, 2H), 2.55 - 2.42 (m, 1H), 2.35 - 2.24 (m, 1H).
실시예 38
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20)의 합성
단계 1: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클로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0mL) 중의 5-클로로-1H-피리미딘-2,4-디온(0.22g, 1.50mmol)과 BTMSA(767.51mg, 4.50mmol)의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MeCN(10mL) 중의 (0.5g, 1.17mmol)의 용액과 TMSOTf(520mg, 2.34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용액을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하고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0.5g, 83%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537.0 [M+Na]+. LC-MS RT = 0.901분; 방법 C.
단계 2: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4(1H,3H)-디온. MeOH(10mL) 중의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클로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5g, 970.96μmol)와 NaOH(2M, 1mL)의 혼합물을 20℃에서 0.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농축시키고,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켜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되는 조 표제 화합물(0.4g, 87%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O-((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클로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20mL) 중의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4(1H,3H)-디온(0.2g, 422.91μmol) 및 DMAP(155mg, 1.27mmol)의 용액에 O-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109mg, 634.36μmol)를 첨가한 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100/1 내지 100/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23g, 수율 89%)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4: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4(1H,3H)-디온. 톨루엔(15mL) 중의 O-((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클로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0.33g, 541μmol), TTMSS(673.6mg, 2.71mmol) 및 AIBN(44mg, 270μ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20℃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 100/1 내지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11g, 44%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479.0 [M+Na]+. LC-MS RT = 0.892분; 방법 C.
단계 5: 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20). MeOH(10mL) 중의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4(1H,3H)-디온(50mg, 109.43μmol)과 PdCl2(9.7mg, 54.71μmol)의 혼합물을 26℃에서 20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그 후,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pre-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27%/FA-MeCN)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20(13.9mg, 46%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MeOD-d 4 ): δ 8.45 (s, 1H), 6.17 - 6.14 (m, 1H), 4.41 - 4.39 (m, 1H), 3.64 - 3.57 (m, 2H), 2.42 - 2.34 (m, 2H), 1.16 (s, 3H).
실시예 39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22)의 합성
단계 1: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2-(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5mL) 중의 5-메틸-1H-피리미딘-2,4-디온(0.2g, 1.59mmol)의 혼합물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811mg, 4.76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25℃로 냉각시킨 후, TMSOTf(519mg, 2.33mmol) 및 (2S,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0.5g, 1.17mmol)를 25℃에서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10중량%의 시트르산 수용액(10mL)을 첨가하여 반응물을 급냉시킨 다음, EtOAc(20m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15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0.5g, 87%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517.1 [M+Na]+. LC-MS RT = 0.876분; 방법 C.
단계 2: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MeOH(15mL) 중의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2-(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5g, 1.01mmol)의 혼합물에 NaOH(2M, 2mL) 수용액을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0.45g, 98%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O-((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2-(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15mL) 중의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0.35g, 773.48μmol)의 혼합물에 DMAP(283.5mg, 2.32mmol)를 첨가한 다음, O-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200mg, 1.16mmol)를 25℃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 DCM/MeOH = 9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4g, 수율 88%)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611.1 [M+Na]+. LC-MS RT = 0.981분; 방법 C.
단계 4: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톨루엔(12mL) 중의 O-((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2-(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0.2g, 339.75μmol)의 혼합물에 AIBN(28mg, 169.87μmol)과 TTMSS(422mg, 1.70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TLC(DCM/MeOH = 99/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0mg, 67%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437.0 [M+Na]+. LC-MS RT = 0.886분; 방법 C.
단계 5: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22). MeOH(2mL) 중의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0.08g, 183.28μmol)의 혼합물에 25℃에서 H2(15psi) 하에 PdCl2(3mg)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20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HPLC(FA)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22(10.2mg, 수율 2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7.90 (s, 1H), 6.21 (t, J = 6.4 Hz, 1H), 4.40 (t, J = 6.0 Hz, 1H), 3.66 - 3.51 (m, 2H), 2.34 (t, J = 6.4 Hz, 2H), 1.88 (s, 3H), 1.17 (s, 3H).
실시예 40
4-아미노-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31)의 합성
단계 1: (2R,3R,4S,5R)-2-(4-아미노-5-클로로-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5-클로로-1H-피리미딘-2-온(0.21g, 1.44mmol)의 혼합물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881mg, 4.33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그런 다음,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25℃로 냉각시킨 후, TMSOTf(389mg, 1.75mmol) 및 (2S,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0.5g, 1.17mmol)를 25℃에서 적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10wt%의 시트르산 수용액(10mL)을 첨가하여 급냉시킨 다음, EtOAc(20m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15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2%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9g, 98% 수율)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236.1 [M+Na]+. LC-MS RT = 0.846분; 방법 C.
단계 2: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1H)-온. MeOH(15mL) 중의 (2R,3R,4S,5R)-2-(4-아미노-5-클로로-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55g, 1.07mmol)의 혼합물에 NaOH(2M, 2mL) 수용액을 25℃에서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30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2%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g, 수율 9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3: O-((2R,3R,4S,5R)-2-(4-아미노-5-클로로-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15mL) 중의 4-아미노-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1H)-온(0.5g, 1.06mmol)의 혼합물에 DMAP(388mg, 3.18mmol)를 첨가한 다음, O-페닐 클로로메탄티오에이트(274mg, 1.59mmol)를 25℃에서 N2 하에 적가했다.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의 1%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컬럼 높이: 250mm, 직경: 100mm, 100-200 메쉬 실리카 겔)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5g, 78% 수율)을 담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22 (s, 1H), 7.42 - 7.28 (m, 13H), 7.07 - 7.01 (m, 2H), 6.33 (d, J = 3.2 Hz, 1H), 6.02 - 5.96 (m, 1H), 5.58 (s, 1H), 4.75 (d, J = 11.6 Hz, 1H), 4.58 - 4.52 (m, 1H), 4.50 - 4.40 (m, 3H), 3.64 (d, J = 10.4 Hz, 1H), 3.38 (d, J = 10.4 Hz, 1H), 1.31 (s, 3H).
단계 4: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1H)-온. 톨루엔(12mL) 중의 O-((2R,3R,4S,5R)-2-(4-아미노-5-클로로-2-옥소피리미딘-1(2H)-일)-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0.5g, 822.23μmol)의 혼합물에 AIBN(68mg, 411.11μmol) 및 TTMSS(1.02g, 4.11mmol)를 25℃에서 N2 하에 한 분량으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11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p-TLC(DCM/MeOH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0mg, 21%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단계 5: 4-아미노-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131). MeOH(2mL) 중의 4-아미노-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클로로피리미딘-2(1H)-온(0.02g, 43.87μmol)의 혼합물에 25℃에서 H2(15psi) 하에 PdCl2(778ug)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0.3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직접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27/0.225% FA)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31(2.6mg, 수율 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CD3OD) δ 8.50 (s, 1H), 6.15 - 6.05 (m, 1H), 4.36 (t, J = 6.4 Hz, 1H), 3.68 - 3.51 (m, 2H), 2.55 - 2.41 (m, 1H), 2.35 - 2.20 (m, 1H), 1.17 (s, 3H).
실시예 41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화합물 번호 113)의 합성
단계 1: (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벤조에이트. 아세토니트릴(20mL) 중의 N-(9H-퓨린-6-일)벤즈아미드(1.0g, 4.2mmol)의 혼합물을 N2로 3회 탈기시켰다. 그런 다음,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2.2g, 10.5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그 후,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873.0mg, 3.9mmol)를 첨가한 다음, 아세토니트릴(10mL) 중의 (3R,4S)-2-아세톡시-4-((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벤조에이트(1.3g, 3.4m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30mL)로 희석하고 EtOAc(40mL)로 추출하고 염수(3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석유 에테르 중 0-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0.8g, 수율 4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Cl3) δ 8.83 (s, 1H), 8.49 (s, 1H), 8.08 - 7.93 (m, 5H), 7.56 - 7.50 (m, 5H), 6.53 (s, 1H), 5.64 (s, 1H), 4.59 - 4.52 (m, 1H), 4.50 - 4.43 (m, 2H), 0.88 (s, 9H), 0.17 (s, 3H), 0.08 (s, 3H).
단계 2: (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벤조에이트. THF(10mL) 중의 (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3급-부틸디메틸실릴)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벤조에이트(0.8g, 1.4mmol)의 용액에 0℃에서 THF 중의 TBAF(1M, 1.4m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물(10mL)로 희석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 x 2)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0.35g, 5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Cl3) δ 9.06 (s, 1H), 8.85 (s, 1H), 8.18 (s, 1H), 8.06 (t, J = 8.4 Hz, 4H), 7.71 - 7.63 (m, 2H), 7.58 - 7.46 (m, 4H), 6.90 (d, J = 10.8 Hz, 1H), 6.02 (s, 1H), 5.62 (s, 1H), 4.73 - 4.66 (m, 1H), 4.43 - 4.35 (m, 1H), 4.32 - 4.25 (m, 1H).
단계 3: 디이소프로필 ((((3S,4R,5R)-5-(6-벤즈아미도-9H-퓨린-9-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 THF(15mL) 중의 (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벤조에이트(700.0mg, 1.6mmol) 및 디이소프로폭시포스포릴메틸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516.0mg, 1.6mmol)의 용액을 N2로 세 번 탈기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NaH(189.0mg, 4.7mmol, 순도 60%)를 여러 배치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 수성(10mL)으로 급냉시키고 EtOAc(20mL)로 추출했다. 유기층을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350mg, 4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CDCl3) 9.00 (s, 1H), 8.80 (s, 1H), 8.23 (s, 1H), 8.06 - 8.00 (m, 2H), 7.66 - 7.60 (m, 1H), 7.57 - 7.50 (m, 2H), 6.03 (d, J = 4.4 Hz, 1H), 4.91 (t, J = 4.0 Hz, 1H), 4.81 - 4.71 (m, 2H), 4.40 - 4.27 (m, 3H), 4.03 - 3.96 (m, 1H), 3.85 - 3.76 (m, 1H), 1.33 (d, J = 6.0 Hz, 12H).
단계 4: O-((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디이소프로폭시포스포릴)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10mL) 중의 디이소프로필 ((((3S,4R,5R)-5-(6-벤즈아미도-9H-퓨린-9-일)-4-하이드록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350.0mg, 673μmol)의 용액에 DMAP(82.0mg, 674μmol) 및 O-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151.0mg, 876μ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물(10mL)로 희석하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180.0mg, 41%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5: 디이소프로필 ((((3R,5R)-5-(6-벤즈아미도-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 톨루엔(6mL) 중의 O-((2R,3R,4S)-2-(6-벤즈아미도-9H-퓨린-9-일)-4-((디이소프로폭시포스포릴)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180.0mg, 274μmol)의 용액을 5분 동안 N2로 퍼징했다. AIBN(36.0mg, 219.0μmol) 및 TTMSS(341.0mg, 1.37m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90mg, 65%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504.0 [M+H]+. LC-MS RT = 0.754분; 방법 C.
단계 6: 디이소프로필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 MeOH(2mL) 중의 디이소프로필 ((((3R,5R)-5-(6-벤즈아미도-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90.0mg, 179μmol)의 용액에 NH4OH(1mL, 28% 순도)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DCM 중 0-3% MeOH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0mg, 수율 7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400.2 [M+H]+. LC-MS RT = 1.615분; 방법 F.
단계 7: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화합물 번호 113). MeCN(3mL) 중의 디이소프로필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포네이트(50.0mg, 125μmol)의 용액에 25℃에서 2,6-루티딘(107.0mg, 1.00m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TMSBr(153.0mg, 1.00mmol)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1M TEAB 용액(1mL)으로 급냉시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pre-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15%/FA)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13(2.5mg, 수율 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D2O) δ 8.49 (s, 1H), 8.22 (s, 1H), 6.40 (d, J = 6.4 Hz, 1H), 4.47 - 4.40 (m, 1H), 4.33 (d, J = 10.0 Hz, 1H), 4.11 - 4.02 (m, 1H), 3.62 - 3.56 (m, 2H), 2.80 - 2.56 (m, 2H). LC-MS (ESI) m/z 315.9 [M+H]+. LC-MS RT = 0.193분; 방법 C.
실시예 42
5-(아미노메틸)-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40)의 합성
단계 1: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시아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10mL) 중의 2,4-디옥소-1H-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0.25g, 1.82mmol)과 BTMSA(932mg, 5.47mmol)의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MeCN(10mL) 중의 (2S,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0.5g, 1.17mmol)의 용액 및 TMSOTf(520mg, 2.34mmol)를 첨가한 다음, 혼합물을 3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용액을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0.55g, 수율 93%)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528.0 [M+Na]+. LC-MS RT = 0.888분; 방법 C.
단계 2: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MeOH(10mL) 중의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시아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0.59g, 1.17mmol)와 NaOH(2M, 1.20mL)의 혼합물을 20℃에서 0.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농축시키고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한 다음, 농축시켜 조 표제 화합물(0.5g, 92%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했다.
단계 3: O-((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시아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O-페닐 카르보노티오에이트. MeCN(20mL) 중의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0.5g, 1.08mmol) 및 DMAP(395.39mg, 3.24mmol)의 용액에 O-페닐 클로로티오노포르메이트(279mg, 1.62mmol)를 첨가한 후, 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EtOAc(50mL)로 희석하고 염수(30mL x 2)로 세척한 다음, 유기층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100/1 내지 100/5)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47g, 수율 73%)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4: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톨루엔(15mL) 중의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3-페녹시카르보티오일옥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0.47g, 783.79umol), TTMSS(974.48mg, 3.92mmol) 및 AIBN(64.35mg, 391.89 umol)의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MeOH =100/1 내지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9g/수율 26%)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470.1 [M+Na]+. LC-MS RT = 0.882분; 방법 C.
단계 5: 5-(아미노메틸)-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화합물 번호 140). MeOH(10mL) 중의 1-((2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0.05g, 111.74umol) 및 PdCl2(9.91mg, 55.87umol)의 혼합물을 26℃에서 수소(15psi) 하에 20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용액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 - 28%/FA-MeCN)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140(13.08mg, 43%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 MHz, MeOD-d 4 ): δ 8.29 (s, 1H), 6.19 - 6.16 (m, 1H), 4.39 - 4.36 (m, 1H), 3.81 - 3.80 (m, 2H), 3.62 - 3.60 (m, 2H), 2.42 - 2.32 (m, 2H), 1.19 (s, 3H). LC-MS (ESI) m/z 293.8 [M+Na]+. LC-MS RT = 0.168분; 방법 C.
실시예 43
4-아미노-5-플루오로-1-((2R,5S)-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219)의 합성
단계 1: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 MeCN(8mL) 중의 5-플루오로-1H-피리미딘-2,4-디온(0.9g, 7.3mmol)의 용액에 N,O-비스(트리메틸실릴)아세트아미드(5.4mL, 21.9mmol)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7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MeCN(20mL) 중의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1.4mL, 7.9mmol) 및 (2S,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3-디일 디아세테이트(2g, 4.7mmol)를 첨가했다. 생성되는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물을 물(20mL)로 급냉시키고, EtOAc(50 x 2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용매 구배: 디클로로메탄 중 0-3% MeOH)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2.3g, 99% 수율)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499.3 [M+H]+. LC-MS RT = 0.955분; 방법 C.
단계 2: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THF(25mL) 중의 (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2-(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아세테이트(2.3g, 4.6mmol)의 용액에 수성 NaOH(2M, 6.9mL)를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물(15mL)로 급냉시키고, EtOAc(50mL)로 추출하고, 염수(1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100-200 메쉬 실리카 겔, 석유 에테르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출)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2.0g, 98.8% 수율)을 수득했다. LC-MS (ESI) m/z 479.1 [M+Na]+. LC-MS RT = 0.898분; 방법 C.
단계 3: 1-((2R,3R,4S,5R)-3,4-디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MeOH(10mL) 중의 1-((2R,3R,4S,5R)-4-(벤질옥시)-5-((벤질옥시)메틸)-3-하이드록시-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1g, 2.2mmol) 및 PdCl2(388.5mg, 2.2mmol)의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H2로 3회 퍼징한 다음,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H2 분위기(15psi) 하에 교반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물질을 수득했다.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100-200 메쉬 실리카 겔, 석유 에테르 중 0-5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출)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561.7mg, 93% 수율)을 무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단계 4: ((2R,3R,4S,5R)-4-브로모-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 MeCN(4mL) 중의 1-[(2R,3R,4S,5R)-3,4-디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디온(200mg, 724.1umol)의 용액에 (2-브로모-1,1-디메틸-2-옥소-에틸) 아세테이트(1.6g, 7.2mmo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물(10mL)로 급냉시키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100-200 메쉬 실리카 겔, 석유 에테르 중 0-25%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출)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62.5mg, 95%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510 [M+H]+. LC-MS RT = 0.753분; 방법 C.
단계 5: ((2S,5R)-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 MeOH(4mL) 중의 ((2R,3R,4S,5R)-4-브로모-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40mg, 78.5umol), AcOH(44.9uL, 785.4umol) 및 Zn-Cu(30mg, 232.7 umol)의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N2로 3회 퍼징한 다음, 혼합물을 N2 분위기 하에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런 다음, 반응물을 물(5mL)로 급냉시키고, EtOAc(10mL)로 추출하고, 염수(1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용매 구배: 디클로로메탄 중 0-3% MeOH)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25mg, 85% 수율)을 수득했다. LC-MS(ESI) m/z 393.1 [M+Na]+. LC-MS RT = 0.773분; 방법 C.
단계 6: ((2S,5R)-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 MeOH(4mL) 중의 ((2S,5R)-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25mg, 67.5umol)의 용액에 PdCl2(12mg, 67.5umol)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25℃에서 1시간 동안 H2(15psi) 하에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했다.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100-200 메쉬 실리카 겔, 석유 에테르 중 0-25%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출)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4mg, 95% 수율)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했다. LC-MS (ESI) m/z 395.1 [M+Na]+. LC-MS RT = 0.768분; 방법 C.
단계 7: ((2S,5R)-5-(4-아미노-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1(2H)-일)-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 MeCN(3mL) 중의 ((2S,5R)-5-(5-플루오로-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50.0mg, 134.0μmol), Et3N(60.0μL, 402.8μmol) 및 DMAP(16.0mg, 134.0μmol)의 용액에 2,4,6-트리이소프로필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82.0mg, 268.6μ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MeOH 중 NH3(7M, 1mL)의 용액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물(10mL)로 급냉시키고, EtOAc(20mL)로 추출하고, 염수(20mL)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용매 구배: 디클로로메탄 중 0-3% MeOH)로 정제하여 표제 생성물(30.0mg, 80% 수율)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LC-MS(ESI) m/z 394.1 [M+Na]+. LC-MS RT = 0.654분; 방법 C.
단계 8: 4-아미노-5-플루오로-1-((2R,5S)-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화합물 번호 219). MeOH(2mL) 중의 ((2S,5R)-5-(4-아미노-5-플루오로-2-옥소피리미딘-1(2H)-일)-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메틸 2-아세톡시-2-메틸프로파노에이트(30.0mg, 80.8μmol)의 용액에 NaOMe(5.0mg, 80.8μmol)를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5℃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혼합물을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prep-HPLC(물 중 아세토니트릴 0-30%/NH3.H2O+NH4HCO3)로 정제하여 화합물 번호 219(9.4mg, 4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했다. 1H NMR (400MHz, MeOD-d 4 ) δ 8.48 (d, J = 7.2 Hz, 1H), 6.07 - 6.01 (m, 1H), 3.73 - 3.65 (m, 1H), 3.60 - 3.53 (m, 1H), 2.60 - 2.52 (m, 1H), 2.20 - 2.11 (m, 1H), 2.08 - 2.00 (m, 1H), 1.75 -1.66 (m, 1H), 1.20 (s, 3H). LC-MS (ESI) m/z 487.2 [2M+H]+. LC-MS RT = 1.040분; 방법 D.
실시예 44
본 개시내용의 대표적인 화합물에 대한 분석적 특성화는 표 5에 제공되어 있다.
[표 5]
실시예 33
인간 LINE-1 역전위 검정
본 개시내용의 대표적인 화합물은 다음 절차에 따라 HeLa 세포에서 인간 LINE-1의 역전위 활성의 억제에 대해 시험했다.
HeLa 자궁경부암 세포를 10%의 열 불활성화 태아 소 혈청(Thermo Fisher)이 보충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 4500mg/L 글루코스를 갖는 높은 글루코스, L-글루타민, 나트륨 피루베이트 및 중탄산나트륨(Sigma)에서 가습된 5% CO2 배양기에서 37℃에서 배양했다.
검정은 몇 가지 변형을 가하여 기재된 바와 같이(Xie, et al., 2011) 리포터 플라스미드 pYX017을 사용하여 수행했다. 리포터 검정은 96웰 백색 광학 바닥 플레이트에서 수행했다. HeLa 세포는 형질감염 및 화합물 처리 24시간 전에 웰에 시딩하여 세포가 형질감염 당일에 약 30% 합류되도록 했다. 상이한 세포 플레이팅 밀도를 시험하고, 2X103 세포의 밀도가 최적이라고 결정되었다.
화합물을 DMSO에 재현탁시켰다. 연속 희석액(1:3)을 DMSO에서 제조했다. 상이한 농도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배지는 1ml의 배양 배지에 2μl의 화합물 희석액을 첨가하여 제조했다. 배지 중 DMSO의 최종 농도는 0.2%였다.
FuGENE® HD 형질감염 시약(Promega, E2311, Lot 382574 및 Lot 397842)을 사용하여 플라스미드를 세포로 형질감염시켰다. 형질감염 시약: DNA 혼합물은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OpiMEM(Thermo Fisher)에서 제조했다. 형질감염 시약 대 DNA의 상이한 비율을 시험하였고, 3:1의 비율이 최적으로 결정되었다. 배양 배지는 세포로부터 제거하여 폐기했다. 형질감염 시약: DNA 혼합물(5μl)을 화합물 함유 배지(100μl/웰)와 혼합하고, 이를 각 웰의 세포에 첨가했다. 세포를 37℃/5% CO2 에서 상이한 배양 시간 동안 배양했다. 72시간의 배양 시간이 최적으로 결정되었다.
루시퍼라제 리포터 활성은 완전한 세포 용해를 보장하기 위해 부드럽게 진탕시키면서 실온에서 20분 동안 30μl의 수동적 용해 완충액(PLB)으로 다중웰 플레이트에서 직접 세포를 용해시킨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중웰 플레이트에 대해 제조업체의 설명서에 따라 이중 루시퍼라제® 리포터 검정 시스템(Promega)으로 정량화했다.
반딧불이와 레닐라 루시페라제 신호는 SpectraMax i3x 다중 모드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100ms와 10ms의 적분 시간을 사용하여 반딧불이와 레닐라 신호를 각각 측정했다. 상대적 L1 활성은 반딧불이/레닐라*1000 또는 반딧불이/레닐라*10,000으로 계산된다. 용량 반응 억제 데이터는 비선형 회귀(Graphpad Prism 8 사용)를 사용하여 4개의 매개변수 로지스틱 방정식에 적합화하여 각 억제제에 대한 IC50 값을 결정했다. 결과는 표 6에 제공되어 있다.
[표 6]
이제, 본원에서 화합물, 방법, 키트 및 조성물을 충분히 기재하였으므로, 본원에 제공된 방법, 화합물 및 조성물의 범위 또는 이의 임의의 구현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동일한 것이 광범위하고 동등한 범위의 조건, 제형 및 기타 매개변수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간행물은 본원에 전체가 참조로 완전히 포함된다.
Claims (23)
-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subject)에서 질환, 장애 또는 상태(condition)를 치료 또는 예방하고/하거나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9-((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5-브로모-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4-하이드록시피리미딘-2(1H)-온;
(2R,3S,5S)-5-(4-아미노-6-플루오로-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
1-((2S,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아미노-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아미노-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
(2R,3S,5R)-5-(2-아미노-6-(메틸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1,2,4-트리아졸-3-카르복스아미드;
4-아미노-1-((2R,3R,4R,5R)-5-에티닐-3-플루오로-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R,4R,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에티닐-4-플루오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5R)-5-(6-아미노-9H-퓨린-9-일)-2-에티닐-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탄올;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1-((2R,5R)-5-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1-((2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9-((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2R,3S,5R)-5-(2-아미노-6-메톡시-9H-퓨린-9-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3R,5R)-5-(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
4-아미노-5-브로모-1-((2R,4S,5R)-5-(플루오로메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6-아미노-2-메톡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2R,3S,5R)-5-(6-아미노-2-메톡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4-아미노-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4-아미노-5-플루오로-1-((2R,3aS,6aR)-6a-(하이드록시메틸)-2,3,3a,6a-테트라하이드로푸로[3,2-b]푸란-2-일)피리미딘-2(1H)-온;
5-(아미노메틸)-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2R,3S,4S,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4-디올;
4-아미노-5-플루오로-1-((2R,5S)-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2-아미노-6-(메틸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4S,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4-디올; 또는
1-((2R,3R,4S,5R)-3,4-디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tautomer)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신경퇴행성 질환(neurodegenerative disease), 자가면역 질환(autoimmune disease), 연령 관련 질환(age-associated disease),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심혈관 기능 장애(cardiovascular dysfunction), 청력 상실(hearing loss), 조혈 줄기 세포 기능(hematopoietic stem cell function), 폐 섬유증(pulmonary fibrosis),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시력 상실(vision loss),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 nuclear palsy),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Aicardi-Goutieres syndrome),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ataxia-telangiectasia), 연령 관련 황반 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IFN-associated autoimmune disease), 판코니 빈혈(Fanconi Anemia), 특발성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또는 심혈관 질환(cardiovascular disease)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신경퇴행성 질환인,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퇴행성 질환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이소체 동반 치매(dementia with Lewy Bodies), 다계통 위축증(multi systems atrophy),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전두측두엽 치매(frontotemporal dementia; FTD), 전두측두엽 변성(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경도 인지 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피질기저핵 변성(corticobasal degeneration), 진행성 핵상 마비(progressive supra nuclear palsy), 레트 증후군(Rett Syndrome), 말초 퇴행성 질환(peripheral degenerative disease), 또는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Aicardi-Goutieres syndrome)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가면역 질환인,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면역 질환이 루푸스(lupu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또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연령 관련 질환인,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령 관련 질환이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죽상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골관절염(osteoarthritis), 골다공증(osteoporos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황반 변성(macular degeneration), 말초 퇴행성 질환(peripheral degenerative disease), 또는 피부 노화(skin aging)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심혈관 기능 장애, 청력 상실, 조혈 줄기 세포 기능, 폐 섬유증, 정신분열증, 또는 시력 상실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진행성 핵상 마비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아이카르디-구티에르 증후군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가 운동실조증-모세혈관 확장증, 연령 관령 황반 변성, 전신 홍반성 루푸스, IFN 관련 자가면역 질환, 판코니 빈혈, 특발성 폐 섬유증, 또는 심혈관 질환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장애 또는 상태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시험관내 HeLa 세포 기반 이중 루시퍼라제 검정에서 0.1μM 이하의 절반의 최대 억제 농도로 인간 LINE-1 역전위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키트(kit)로서, 상기 키트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및 대상체에게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
- (9-((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5-브로모-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4-하이드록시피리미딘-2(1H)-온;
(2R,3S,5S)-5-(4-아미노-6-플루오로-3-메틸-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5R)-5-(2-아미노-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5R)-5-(6-(사이클로프로필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톡시피리미딘-2,4(1H,3H)-디온;
1-((2S,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2,4-디옥소-1,2,3,4-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4-아미노-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아미노-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퓨린-6(9H)-온;
(2R,3S,5R)-5-(2-아미노-6-(메틸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1-((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1H-1,2,4-트리아졸-3-카르복스아미드;
4-아미노-1-((2R,3R,4R,5R)-5-에티닐-3-플루오로-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R,4R,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에티닐-4-플루오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5R)-5-(6-아미노-9H-퓨린-9-일)-2-에티닐-2,5-디하이드로푸란-2-일)메탄올;
4-아미노-5-브로모-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4-아미노-5-브로모-2-옥소피리미딘-1(2H)-일)-3-하이드록시-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카르보니트릴;
5-플루오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1-((2R,4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1-((2R,5R)-5-에티닐-5-(하이드록시메틸)-2,5-디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
1-((2S,5R)-5-에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9-((4S,5R)-5-에티닐-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9-((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9H-퓨린-6-올;
(2R,3S,5R)-5-(2-아미노-6-메톡시-9H-퓨린-9-일)-2-에티닐-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3R,5R)-5-(5-메틸-2,4-디옥소-3,4-디하이드로피리미딘-1(2H)-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
((((3R,5R)-5-(6-아미노-9H-퓨린-9-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옥시)메틸)포스폰산;
4-아미노-5-브로모-1-((2R,4S,5R)-5-(플루오로메틸)-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6-아미노-2-메톡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비닐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메틸피리미딘-2,4(1H,3H)-디온;
(2R,3S,5R)-5-(6-아미노-2-메톡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4-아미노-5-클로로-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4-아미노-5-플루오로-1-((2R,3aS,6aR)-6a-(하이드록시메틸)-2,3,3a,6a-테트라하이드로푸로[3,2-b]푸란-2-일)피리미딘-2(1H)-온;
5-(아미노메틸)-1-((2R,4S,5R)-4-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4(1H,3H)-디온;
(2R,3S,4S,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에틸-2-(하이드록시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4-디올;
4-아미노-5-플루오로-1-((2R,5S)-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피리미딘-2(1H)-온;
(2R,3S,5R)-5-(2-아미노-6-(메틸아미노)-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올;
(2R,3S,4S,5R)-5-(6-아미노-2-플루오로-9H-퓨린-9-일)-2-(하이드록시메틸)-2-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3,4-디올; 및
1-((2R,3R,4S,5R)-3,4-디하이드록시-5-(하이드록시메틸)-5-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5-플루오로피리미딘-2,4(1H,3H)-디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 제2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제21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체, 또는 이의 호변이성체, 및 대상체에게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기 위한 설명서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263325442P | 2022-03-30 | 2022-03-30 | |
US63/325,442 | 2022-03-30 | ||
PCT/US2023/016921 WO2023192491A2 (en) | 2022-03-30 | 2023-03-30 | Nucleoside line-1 inhibito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9069A true KR20240169069A (ko) | 2024-12-02 |
Family
ID=8820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5986A Pending KR20240169069A (ko) | 2022-03-30 | 2023-03-30 | 뉴클레오사이드 line-1 억제제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4499106A2 (ko) |
KR (1) | KR20240169069A (ko) |
CN (1) | CN119278043A (ko) |
AU (1) | AU2023243106A1 (ko) |
IL (1) | IL315961A (ko) |
WO (1) | WO2023192491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7850A1 (en) * | 2022-11-15 | 2024-05-23 | Rome Therapeutics, Inc. | Halo-dehydro-3'-deoxyuracil phosphoramidates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medical condition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0129260D0 (en) * | 2001-12-06 | 2002-01-23 | Eisai London Res Lab Ltd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their uses |
WO2003062255A2 (en) * | 2002-01-17 | 2003-07-31 | Ribapharm Inc. | Sugar modified nucleosides as viral replication inhibitors |
MX2023010657A (es) * | 2021-03-15 | 2023-09-21 | Transposon Therapeutics Inc | Inhibidores de los retrotransposones largos intercalados del elemento 1 (line-1) para tratar enfermedades del sistema nervioso central (snc) y sistemicas. |
-
2023
- 2023-03-30 CN CN202380041072.8A patent/CN119278043A/zh active Pending
- 2023-03-30 KR KR1020247035986A patent/KR20240169069A/ko active Pending
- 2023-03-30 IL IL315961A patent/IL315961A/en unknown
- 2023-03-30 EP EP23781816.6A patent/EP4499106A2/en active Pending
- 2023-03-30 WO PCT/US2023/016921 patent/WO2023192491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3-30 AU AU2023243106A patent/AU2023243106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92491A3 (en) | 2023-11-02 |
EP4499106A2 (en) | 2025-02-05 |
CN119278043A (zh) | 2025-01-07 |
IL315961A (en) | 2024-11-01 |
WO2023192491A2 (en) | 2023-10-05 |
AU2023243106A1 (en) | 2024-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92460B2 (en) | Carbazole compounds useful as bromodomain inhibitors | |
CN105793251B (zh) | 具有亲电子官能性的杂芳基吡啶酮和氮杂-吡啶酮化合物 | |
TWI468409B (zh) | 吡咯并嘧啶化合物及其用途 | |
CN112236172A (zh) | 用于治疗病症的方法和化合物 | |
CA2950911C (en) | Use of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 (iap) antagonists in hiv therapy | |
CN113874016A (zh) | 化合物及其用途 | |
JP6437140B2 (ja) | ピロロピリミジン化合物による抗腫瘍効果増強剤 | |
US11884683B2 (en) | Tricyclic heterocycle compounds useful as HIV integrase inhibitors | |
US10934312B2 (en) | Tricyclic heterocycle compounds useful as HIV integrase inhibitors | |
KR101947289B1 (ko) | 신규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및 이것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 특히 nae 저해 작용에 기초하는 종양 등의 예방제 및/또는 치료제 | |
CN114149432B (zh) | 用于癌症治疗的双重clk/cdk1抑制剂 | |
US11858915B2 (en) | Polo like kinase 4 inhibitors | |
WO2024040131A1 (en) | Pyridopyrimidine kras inhibitors | |
KR20240169069A (ko) | 뉴클레오사이드 line-1 억제제 | |
CN117916234A (zh) | 作为tyk2/jak1假激酶结构域抑制剂的化合物及合成和使用方法 | |
KR20230107543A (ko) |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line-1 억제제 | |
TW202115036A (zh) | 橋雜環基取代的嘧啶類化合物及其製備方法和醫藥用途 | |
US11976069B2 (en) |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useful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HIV infection | |
CN116669745A (zh) | 治疗疾病的line-1抑制剂 | |
US20210115044A1 (en) | Tricyclic heterocycle compounds useful as hiv integrase inhibito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