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7302A -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7302A KR20240167302A KR1020230065168A KR20230065168A KR20240167302A KR 20240167302 A KR20240167302 A KR 20240167302A KR 1020230065168 A KR1020230065168 A KR 1020230065168A KR 20230065168 A KR20230065168 A KR 20230065168A KR 20240167302 A KR20240167302 A KR 20240167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unmanned
- guide arm
- gear
- surface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3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3/00—Equipment for handling lifeboats or the like
- B63B23/02—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 B63B23/04—Davits, i.e. devices having arms for lowering boats by cables or the like with arms pivoting on substantially horizontal axes, e.g. gravity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floating cargo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63B2027/165—Deployment or recovery of underwater vehicles using lifts or hoi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무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갑판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쌍의 제1레일과 교차되도록 상기 선체의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레일;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대차 상에 배치되는 무인수상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사이의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에 배치되는 무인잠수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빗;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수상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1도킹장비; 및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2도킹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대빗은,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 시 작동되어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상기 제2도킹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수상정 또는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marine system, comprising: a pair of first rail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a d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hull; a pair of second rails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first rails;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NV) arranged on a first bogi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ir of first rails; an unmanned submersible (UNV) arranged on a platform installed on the deck between the pair of second rails; a davit installed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a first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davit; And a second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unmanned submersib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unmanned submersible with the davit, wherein the davit is operated in a launching mode or a recovery mode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or the unmanned submersible using the first docking device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unmanned system and a vessel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해양무인시스템(Unmanned Maritime System)은 대잠전, 기뢰 대함전, 감시 정찰, 해양 정보 조사, 정보 작전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될 수 있는 무인 시스템, 무인수상정(Unmanned Surface Vehicle; USV) 시스템, 무인잠수정(Unmanned Underwater Vehicle; UUV)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unmanned maritime systems can be classified into unmanned systems, unmanned surface vehicle (USV) systems, and unmanned underwater vehicle (UUV) systems that can be used for various missions such as anti-submarine warfare, mine warfar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maritime intelligence investigation, and information operations.
이러한 해양무인시스템은 군사용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점차 일반 상선에도 운용이 가능하도록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These unmanned marine systems were developed for military purposes, but are gradually expanding to allow their operation on general commercial ships.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선박으로부터 진수 및 회수 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Unmanned surface vehicles and unmanned submersibles are frequently launched and recovered from ships to carry out their missions.
해양무인시스템과 관련된 기술로 대빗 타입(Davit type)의 진회수 시스템(Launch And Recovery System; LARS)이 있다.A technology related to marine unmanned systems is the Davit type Launch And Recovery System (LARS).
기존의 진회수 시스템은 대빗 프레임(Davit frame)과 갑판 간에 힌지로 연결되어 대빗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이동은 불가능하였다.The existing recovery system was configured so that the davit frame could rotate but was not able to move, with the davit frame connected by a hinge between the davit frame and the deck.
또한, 기존의 대빗은 진회수 용도로만 활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별도의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Mission Bay Handling System; MBHS)을 필요로 하고 있다.In addition, existing davits are configured to be used only for recovery purposes and require a separate Mission Bay Handling System (MBHS).
또한,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은 진회수 시 도킹장비와의 도킹/언도킹 작업이 필수적인데, 이때 잠수부는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과 도킹장비 사이의 원활한 도킹/언도킹 작업을 위해 반드시 수중으로 동원되어야 한다. 이 결과, 악천후와 같은 기상 악화 시 잠수부의 수중 동원에는 많은 제약이 수반되었고, 이로 인해 필요시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에 대한 해양 회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적절한 운용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In addition, when recovering an unmanned surface vehicle or an unmanned submersible, docking/undocking operations with the docking equipment are essential, and at this time, divers must be mobilized underwater to ensure smooth docking/undocking operations betwe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or unmanned submersible and the docking equipment. As a result, there have been many restrictions on underwater mobilization of divers in times of bad weather, such as bad weather, and as a result, not only has it been impossible to perform ocean recovery operations for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when necessary, but there have also been many difficulties in the proper operation of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 작업 시 무인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진회수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unmanned system and a vessel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achieve unmanned recovery operations of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thereby reducing recovery operation time and cost.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를 위한 도킹장비를 무인화로 운용 가능하게 하는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unmanned system that enables unmanned operation of docking equipment for recovery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or unmanned submersible,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와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을 통합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rine unmanned system and a ship including the same that enables integrated operation of recovery and mission bay handling systems of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은,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갑판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 상기 한 쌍의 제1레일과 교차되도록 상기 선체의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레일;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대차 상에 배치되는 무인수상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사이의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에 배치되는 무인잠수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빗;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수상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1도킹장비; 및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2도킹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대빗은,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 시 작동되어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상기 제2도킹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수상정 또는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rine unmanned system comprises: a pair of first rail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a d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hull; a pair of second rails install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first rails;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NV) arranged on a first bogi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ir of first rails; an unmanned submersible (UNV) arranged on a platform installed on the deck between the pair of second rails; a davit installed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a first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davit; And a second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unmanned submersib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unmanned submersible with the davit, wherein the davit is operated in a launching mode or a recovery mode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or the unmanned submersible using the first docking device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구체적으로,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갑판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2레일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레일; 및 상기 한 쌍의 제3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대차 상에 배치되는 컨테이너형 패키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패키지는,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컨테이너 이송용 스프레더를 이용하여 상기 대빗에 의해 진수 또는 회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hip further comprises a pair of third rail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ther side of the d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installed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second rails; and a container-shaped package arranged on a second bogi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pair of third rails, wherein the container-shaped package can be launched or retrieved by the davit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or the container transfer spreader.
구체적으로, 상기 대빗은,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주행장치;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연결하는 리프팅암으로 이루어지는 대빗암; 상기 리프팅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상기 제2도킹장비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권취하는 한 쌍의 제1윈치;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유닛;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대빗암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빗암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한 쌍의 보상기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vit may include: a pair of driving devices mov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pair of second rails; a davit arm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arm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driving devices; and a lifting arm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arms;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installed on the lifting arms and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device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a pair of first winches winding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a pair of tilting units tilting the davit arms; and a pair of compensators installed opposite the pair of tilting units and suppressing shaking of the davit arms during the process of tilting the davit arms.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은, 상기 대빗암의 틸팅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이고,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튜브;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ir of tilting units may be a pair of cylinder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of inclination in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davit arm, and each of the pair of cylinders may include a cylinder tub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driving devices; and a cylinder rod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support arms.
구체적으로, 상기 보상기는, 스프링 타입이고, 상기 틸팅유닛에 의해 상기 대빗암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빗암에 장력을 부여하여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ensator is a spring type and can suppress shaking by applying tension to the davit arm during the process of the davit arm being tilted by the tilting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킹장비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무인수상정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하향 기울기로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무인수상정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제1가이드부; 상기 무인수상정의 타측면을 잡아주는 제2가이드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제1기어부; 상기 보조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제2기어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킹로드; 및 상기 무인수상정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ocking device may include a main fram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an auxiliary fram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of downward inclination from the main frame so as to surround the front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guide portion that holds one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second guide portion that holds the other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gear portion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main frame and allows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o slide left and right on the main frame; a second gear portion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auxiliary frame and allows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o slide left and right on the auxiliary frame; a docking rod that is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a locking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fixes or detaches the docking rod.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제1메인가이드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연결되는 제1보조가이드암; 및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는 제2보조가이드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타측면을 잡아주는 제2메인가이드암;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연결되는 제3보조가이드암; 및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는 제4보조가이드암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guide portion may include a first main guide arm that holds one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auxiliary guide arm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is bent inwardly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a second auxiliary guide arm that is bent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main guide arm that holds the other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third auxiliary guide arm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is bent inwardly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a fourth auxiliary guide arm that is bent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 상기 제1기어박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제1기어박스의 일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하부와 기어결합되는 제1랙기어; 상기 제1기어박스의 타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제2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의 단부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랙기어의 단부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보조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 상기 제2기어박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2기어박스의 일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하부와 기어결합되는 제3랙기어; 상기 제2기어박스의 타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제4랙기어;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랙기어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2기어박스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랙기어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2기어박스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4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gear part includes: a first gear box fixedly installed to the main frame; a first pinion gea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gear box; a first rack gear install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gear-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a second rack gear install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 end of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gear-engaged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a first spring connecting an end of the first rack gear to an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a second spring connecting an end of the second rack gear to an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first gear box, wherein the second gear part includes: a second gear box fixedly installed to the auxiliary frame; a second pinion gear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box; It may include a third rack gear that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a fourth rack gear that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a third spring that connects a portion where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rack gear are connected and an inner surface on one side of the second gear box; and a fourth spring that connects a portion where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rack gear are connected and an inner surface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도킹장비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로 진입시킬 때 작동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doc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ctuator that rotates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actuator is operate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enters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operation can be stoppe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completes entering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구체적으로,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면,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을 밀어 상기 무인수상정이 진입되는 부분의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넓게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피니언기어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을 당겨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좁게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은,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일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넓고 타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좁은 사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actuator is operated, the first gear unit causes the first pinion gear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ctuator and rotate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out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to push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in the portion wher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enters is maintain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second gear unit causes the second pinion gear to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force caused by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to pull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are maintained in a narrower state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can maintain an oblique shape in which one side has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other side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아이들 상태가 되고,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을 당겨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오므라들게 하여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상기 제3스프링과 상기 제4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피니언기어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을 밀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게 하여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고,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은,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과 동일한 평행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상기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잡아줄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s stopped, the first gear part causes the first pinion gear to be in an idle state, and the first pinion gea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generated when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outward, and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thereby pulling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contracts,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second gear part causes the second pinion gea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and the fourth spring generated when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inward. The first pinion gear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out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to push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so as to cause a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to widen,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maintain a parallel form in whic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have the same width as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nd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구체적으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질량 중심에 설치되는 락킹프레임; 및 상기 락킹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한 쌍의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로드는,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구비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정렬되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무게추가 아래로 낙하하면서 낙하 관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락커를 밀고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device includes a locking frame installed at the center of ma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a pair of lockers installed on the locking frame to fix or detach the docking rod, wherein the docking rod has one end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a weight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align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he weight falls downward from the main frame and pushes and fixes the pair of lockers by falling inertia.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수상정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대차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사이의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의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설정위치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제1도킹장비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설정위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은,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켜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선체를 벗어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수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도록 작동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킹로드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고있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하여,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된 상기 제1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수상정으로부터 언도킹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aunching mo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selected, the first bogie moves along the pair of first rails to a set position between the pair of second rails so as to alig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at the set position, the pair of driving devices moves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set position so as to align the davit to the first docking equipment, the pair of first winches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and when connected, wind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at the set position, the pair of driving devices moves from the set position to the end of the pair of second rails, the pair of tilting units tilt the davit arms so as to caus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 leave the hull, and the A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uches the water surface, the locking device is operated to separate the docking rod, and the actuator is operated to separate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which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so that the first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can be undocked from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수상정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제1도킹장비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제1도킹장비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어 정렬되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도록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시켜 상기 제1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선체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설정위치에 대기중인 제1대차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대차에 실릴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대차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로 상기 무인수상정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selected, th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equipment so that the first docking equipment can be lowered to the water surface, the actuator is operated to separate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can enter, the actuator stops operating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grab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hen the entry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completed and aligned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the locking device is operated to fix the docking rod so that the first docking equipment is docked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wind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docked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can be lowered to the hull. Th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lift, and th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set position and align the davit with the first bogie waiting at the set position, th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separat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from the main frame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loaded onto the first bogie, th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and the first bogie is operated to move along the pair of first rails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can be stored in a docked state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도킹장비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고, 메인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리프팅와이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제2리프팅와이어를 권취하는 제2윈치;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풀고 감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사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 쌍의 관절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암;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심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후킹암;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에 마련되는 고리에 끼워져 삼각형 형태로 연결되는 후킹와이어; 및 상기 무인잠수정의 질량 중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킹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docking device comprises: a main frame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an auxiliary fram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lifting wir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frame; a second winch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winding the second lifting wire; a pair of joint frames installed so as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and which secure the center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when the second lifting wire is released and wound; a guide arm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rame and formed into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hap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a pair of hooking arm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frame and installed so as to be extended to both sides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elasticity; a hooking wire fixed to a portion where the pair of hooking arms are connected and inserted into ring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to be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And it may include a hooking rod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at the center of mass of the unmanned submarine.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관절프레임 각각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관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가 풀리고 감길 때 펴지고 접힐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pair of joint frames is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part thereof performs joint movement, and can be unfolded and folded when the second lifting wire is released and 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nch.
구체적으로,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무인잠수정에 내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무인잠수정의 회수 모드 시에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무인잠수정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가 상기 한 쌍의 후킹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후킹와이어에 걸리게 되면 하강하고,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은, 상기 후킹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후킹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oking rod is install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unmanned submersible, and when the unmanned submersible is in a recovery mode, the hook provided at an end thereof is rais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and, while the unmanned submersible advances, the hook is lowered when caught by the hooking wire connecting the pair of hooking arms, and the pair of hooking arms are lowered so that, when the hooking rod is lowered and the hooking wire is pulled, both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come together toward the center and the guide arm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은, 양측단이 모아진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접히고, 상기 후킹로드가 상승되거나 상기 후킹로드로부터 분리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ir of hooking arms can be folded when pressed while both ends are brought together, and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when the hooking rod is raised or separated from the hooking rod.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는, 원격 조작으로 상기 후킹와이어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퀵 릴리즈 후크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ok may be a quick release hook that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hooking wire by remote operation.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잠수정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거치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된 상기 제2도킹장비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잠수정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위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은,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켜 상기 무인잠수정이 상기 선체를 벗어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수중에 잠길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도록 작동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후킹와이어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된 상기 제2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언도킹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launching mode of the AUV is selected, the pair of driving devices operates to move along th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position of the cradle and align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AUV, the pair of first winches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and when connected,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are wound to lift the AUV to whic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is docked, the pair of driving devices operates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the cradle to the end of the pair of second rails, the pair of tilting units operates to tilt the davit arms to cause the AUV to leave the hull, the pair of first winches operates to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until the AUV is submerged, and the hooking rod operates to separate the hooking wires. By operat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unmanned submersible can be undocking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구체적으로, 상기 무인잠수정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제2도킹장비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제2도킹장비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가이드암, 상기 후킹암, 상기 후킹와이어가 설치된 상기 보조프레임이 수중에 잠기도록 작동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에 상기 한 쌍의 후킹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후킹와이어에 걸리게 되면 하강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잠수정을 수면으로 끌어 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선체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거치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거치대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상기 거치대에 안착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로 상기 무인잠수정을 보관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AUV is selected, th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whic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is connected so that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can be lowered to the surface, the second winch is operated to release the second lifting wire so that the guide arm, the hooking arm, and the auxiliary frame on which the hooking wire is installed are submerged, the hooking rod is operated to ascend from the AUV, and the hooking rod is operated to descend when the hoo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UV is caught by the hooking wire connecting the pair of hooking arms while the AUV is moving forward, so that the guide arms are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AUV when both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are brought to the center, and the second winch is operated to wind the second lifting wire so that the AUV to whic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is docked can be pulled up to the surface, and the The first winch of the pair is operable to wind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 which the second docking device is docked up to the hull, the pair of driving devices is operable to move along the second pair of rails to a position of the cradle and align the davit with the cradle, the pair of first winches is operable to release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to separat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from the main frame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settled on the cradle, thereby sto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n a docked state, and the pair of driving devices is operable to move along the second pair of rails to an initial standby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선박은, 상기에 기재된 해양무인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A vesse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marine unmanned syst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무인수상정용 도킹장비와 무인잠수정용 도킹장비를 통해 진회수 작업을 무인화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잠수부 투입이 불필요하고 악천후와 같은 기상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안전하면서도 확실한 도킹/언도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enable unmanned recovery operations through docking equipment for an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docking equipment for an unmanned submersible, thereby making it unnecessary to deploy a diver and enabling safer and more reliable docking/undocking operations to be performed without being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such as bad wea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 작업을 무인화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인시스템 활용도 제고 및 진회수 작업 시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can perform the recovery work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or an unmanned submersible unmannedly,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unmanned system and reducing the time/cost of the recovery work.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 작업 위험도 감소 및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can reduce the risk of recovery work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or unmanned submersible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하나의 대빗으로 다양한 형태의 무인시스템(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 작업은 물론 컨테이너형 패키지와 같은 중량물의 권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can enable recovery operations of various types of unmanned systems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with a single davit, as well as lifting of heavy objects such as container-type packag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무인수상정이나 무인잠수정의 진회수와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을 통합 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선박의 공간 활용도 증대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enabl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recovery and mission bay handling systems of unmanned surface vehicles or unmanned submersibles,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vessel and reducing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을 통합 운용함으로써, 선박의 양쪽에서 유인/무인선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회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ine unmanne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ssel including the same can efficiently deploy and retrieve manned/unmanned vessels on both sides of the vessel by integrating and operating the mission bay handl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해양무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대빗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도킹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중지 상태에서 도 4의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도 4의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 (b) 및 (c)는 제1도킹장비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의해 무인수상정이 정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 (b) 및 (c)는 제1도킹장비의 도킹로드가 잠금장치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 (b), (c) 및 (d)는 제1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진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 (b), (c) 및 (d)는 제1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도킹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 (b), (c), (d) 및 (e)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잠수정의 도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의 (a), (b), (c) 및 (d)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진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 (b), (c) 및 (d)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unmanned marine system equipped on a shi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av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first d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a) and (b)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irst gear section and the second gear section of Figure 4 in a state where the actuator is in a stopped state.
Figures 6 (a) and (b)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irst gear section and the second gear section of Figure 4 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actuator.
Figures 7 (a), (b), and (c)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alignment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by the first guide section and the second guide section of the first docking equipment.
Figures 8 (a), (b), and (c) are drawings for explaining how the docking rod of the first docking device is fixed to the locking device.
Figures 9 (a), (b), (c), and (d)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launching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Figures 10 (a), (b), (c), and (d)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Figures 11 and 12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a), (b), (c), (d), and (e)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ocking process of an unmanned submersible using a second docking device.
Figures 14 (a), (b), (c), and (d)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launching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a second docking device.
Figures 15 (a), (b), (c), and (d)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a second docking device.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rpose,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s much as possible,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구비되는 해양무인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대빗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unmanned marine system equipped on a shi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drawings for explaining a dav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은 선박(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대빗(50)으로 선박(10)에 탑재된 무인수상정(20), 무인잠수정(30), 컨테이너형 패키지(40)와 같은 중량물, 이외 다양한 형태의 무인시스템은 물론 다양한 형태의 유인시스템에 대하여, 진회수 시스템(Launch And Recovery System; LARS)과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Mission Bay Handling System; MBHS)을 통합 운용 가능하도록 구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무인수상정(20), 무인잠수정(30), 컨테이너형 패키지(40)를 일례로 하여 하나의 대빗(50)으로 진회수 시스템 및 미션 베이 핸들링 시스템을 통합 운용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An unmanned marin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a ship (10), and is implemented to enable integrated operation of a Launch And Recovery System (LARS) and a Mission Bay Handling System (MBHS) for various types of unmanned systems as well as heavy objects such as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 unmanned submersible (30), a container-type package (40) mounted on a ship (10) with a single davit (50), and the like, and hereafte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Launch And Recovery System and the Mission Bay Handling System with a single davit (50) will be described, taking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 unmanned submersible (30), and a container-type package (40) as examples.
본 실시예에서, 선박(10)은 해양무인시스템을 운용하거나 탑재된 다양한 해양 운동체를 진수 및 회수하는 모든 해양구조물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erm ship (10) may be used to encompass all marine structures that operate marine unmanned systems or launch and retrieve various marine vehicle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무인시스템은 선박(10)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 unmanned marine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a ship (10).
해양무인시스템은, 선체(11)의 길이 방향으로 갑판(12)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레일(R1)과, 한 쌍의 제1레일(R1)과 교차되도록 선체(11)의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레일(R2)과, 선체(11)의 길이 방향으로 갑판(12)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되, 한 쌍의 제2레일(R2)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레일(R3)과, 한 쌍의 제1레일(R1)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대차(21) 상에 배치되는 무인수상정(20)과, 한 쌍의 제2레일(R2) 사이의 갑판(12) 상에 설치되는 거치대(31) 상에 배치되는 무인잠수정(30)과, 한 쌍의 제3레일(R3)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대차(41) 상에 배치되는 컨테이너형 패키지(40)와,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빗(50)과, 무인수상정(20) 또는 컨테이너형 패키지(40)에 도킹시켜서 대빗(50)으로 무인수상정(20)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1도킹장비(60)와, 무인잠수정(30)에 도킹시켜서 대빗(50)으로 무인잠수정(30)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2도킹장비(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rine unmanned system comprises a pair of first rails (R1) installed at a certain length on one side of the deck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 a pair of second rails (R2)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ull (11)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first rails (R1), a pair of third rails (R3) installed at a certain length on the other side of the deck (1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11) but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second rails (R2),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placed on a first bogie (21) that can move along the pair of first rails (R1), an unmanned submersible (30) placed on a stand (31) installed on the deck (12) between the pair of second rails (R2), and a container-type vehicle placed on a second bogie (41) that can move along the pair of third rails (R3). It may include a package (40), a davit (50) that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a first docking device (60) for docking to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or a container-type package (40)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with the davit (50), and a second docking device (70) for docking to an unmanned submersible (30)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bmersible (30) with the davit (50).
무인수상정(20)은 승무원 없이 수상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1도킹장비(60)에 도킹되어 대빗(50)으로 진수 및 회수될 수 있는 소형 선박일 수 있다. 제1도킹장비(60)는 도 4 내지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소형 선박과 같은 형상(양측면이 평판이면서 평행한 형상)을 가진 대상물의 양측부를 수상에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can perform a mission on the water without crew, and can be a small vessel that can be docked to the first docking device (60) and launched and recovered by a davit (50). The first docking device (60) can be configured to guide both sides of an object having a shape similar to a small vessel (a shape in which both sides are flat and parallel) on the w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무인잠수정(30)은 승무원 없이 수중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2도킹장비(70)에 도킹되어 대빗(50)으로 진수 및 회수될 수 소형 잠수함일 수 있다. 제2도킹장비(70)는 도 11 내지 15을 참조하여 후술하겠지만 소형 잠수함과 같은 형상(실린더형 형상)을 가진 대상물의 상부를 수중에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unmanned submersible (30) can perform missions underwater without crew, and can be a small submarine that can be docked to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and launched and recovered by a davit (50).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can be configured to guide the upper part of an object having a shape similar to a small submarine (cylindrical shape) underwat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5.
컨테이너형 패키지(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컨테이너 이송용 스프레더(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대빗(50)에 의해 진수 또는 회수될 있다.A container-shaped package (40) can be launched or retrieved by a davit (50) using a commonly used container transport spreader (not shown).
또한, 컨테이너형 패키지(40)는 무인수상정(20)과 유사하게 양측면이 평판이면서 평행한 형상이어서 무인수상정(20)에 사용되는 제1도킹장비(60)를 이용하여 대빗(50)에 의해 진수 또는 회수될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type package (40) has a flat and parallel shape on both sides similar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so it can be launched or recovered by a davit (50)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60) used for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컨테이너형 패키지(40)의 진수 또는 회수 과정은 무인수상정(20)의 진수 또는 회수 과정과 유사할 수 있으며, 후술할 무인수상정(20)의 진수 또는 회수 과정으로 이해될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launching or recovery process of the container-type package (40) may be similar to the launching or recovery proce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will be understood as the launching or recovery proce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described later,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is embodiment.
한 쌍의 제1레일(R1)은 MBHS 레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레일(R1)이 한 쌍의 제2레일(R2)과 교차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한 쌍의 제2레일(R2)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 pair of first rails (R1) may be MBHS rails.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first rails (R1) ar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to extend in one direction while crossing a pair of second rails (R2),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extend in both directions based on a pair of second rails (R2).
한 쌍의 제2레일(R2)은 LARS 레일일 수 있다. 한 쌍의 제2레일(R2)은 무인수상정(20), 무인잠수정(30) 및 컨테이너형 패키지(40)를 대빗(50)을 이용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이들의 폭보다 큰 폭으로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second rails (R2) may be LARS rails. A pair of second rails (R2) may be installed with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 unmanned submersible vehicle (30), and a container-type package (40) so as to be able to transport them using a davit (50).
한 쌍의 제3레일(R3)은 MBHS 레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3레일(R3)이 한 쌍의 제2레일(R2)과 교차되어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한 쌍의 제2레일(R2)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제3레일(R3)은 한 쌍의 제1레일(R1)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The pair of third rails (R3) may be MBHS rails.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third rails (R3) are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so as to extend in one direction while crossing the pair of second rails (R2),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y may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in both directions based on the pair of second rails (R2). The pair of third rails (R3) may be identical to or similar to the pair of first rails (R1).
대빗(50)은 무인수상정(20), 무인잠수정(30) 또는 컨테이너형 패키지(40)를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하여, 선박(10)에 마련되는 해양무인시스템을 제어 및 조작하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서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를 선택하면 작동될 수 있다.The davit (50) can be operated by selecting a launching mode or a recovery mode from a controller (not shown) that controls and operates a marine unmanned system provided on a ship (10) to launch or recover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 unmanned submersible (30), or a container-type package (40).
대빗(50)은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 시 제1도킹장비(60) 또는 제2도킹장비(70)를 이용하여 무인수상정(20), 무인잠수정(30) 또는 컨테이너형 패키지(40)를 진수 또는 회수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주행장치(51), 대빗암(52),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 한 쌍의 제1윈치(55), 한 쌍의 틸팅유닛(56), 한 쌍의 보상기(57)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vit (50) can be operated to launch or recover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 unmanned submersible vehicle (30), or a container-type package (40) using the first docking device (60)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in the launching mode or the recovery mode, and can include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a davit arm (52),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a pair of first winches (55), a pair of tilting units (56), and a pair of compensators (57).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 및 작동 정지될 수 있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can be movably installed on each of a pair of second rails (R2).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can be operated and stopped by a controller.
즉,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컨트롤러에서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를 선택하면 작동될 수 있다.That is,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can be operated by selecting the launch mode or the recovery mode in the controller.
대빗암(52)은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대빗암(52)은 한 쌍의 지지암(521)과, 한 쌍의 지지암(521)을 연결하는 리프팅암(5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vit arm (52) can be rotatably installed for each of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The davit arm (52) can be composed of a pair of support arms (521) and a lifting arm (522)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arms (521).
한 쌍의 지지암(521) 각각은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과 제1힌지부재(5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Each of a pair of support arms (521) can be rotatably installed by each of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and the first hinge member (53).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는 리프팅암(52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는 제1도킹장비(60) 또는 제2도킹장비(70)와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 각각의 단부에는 체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은 원격 조작으로 제1도킹장비(60) 또는 제2도킹장비(70)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퀵 릴리즈 후크 타입일 수 있다.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interval on the lifting arm (522).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may be connected to a first docking device (60) or a second docking device (70). A connecting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each end of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he connecting means may be a quick release hook type that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first docking device (60)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by remote operation.
한 쌍의 제1윈치(55)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권취할 수 있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can wind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한 쌍의 제1윈치(55) 각각은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빗암(52) 등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Each of a pair of first winches (55) may be installed on each of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of course be installed on a davit arm (52), etc.
한 쌍의 제1윈치(55)는 컨트롤러에 의해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can be operated by a controller to release and reel in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한 쌍의 틸팅유닛(56)은 대빗암(52)을 틸팅시킬 수 있다.A pair of tilting units (56) can tilt the davit arm (52).
한 쌍의 틸팅유닛(56)은 대빗암(52)의 틸팅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일 수 있다.A pair of tilting units (56) may be a pair of cylinders installed to have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in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davit arm (52).
한 쌍의 틸팅유닛(56)이 한 쌍의 실린더일 경우, 한 쌍의 실린더 각각은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튜브(561)와, 한 쌍의 지지암(521)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562)를 포함할 수 있다.When a pair of tilting units (56) are a pair of cylinders, each of the pair of cylinders may include a cylinder tube (561)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driving devices (51), and a cylinder rod (562)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support arms (521).
실린더튜브(561)는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에 설치되는 제2힌지부재(563)에 연결되어 대빗암(52)이 틸팅하는 각도만큼 한 쌍의 주행장치(51) 각각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The cylinder tube (561) is connected to a second hinge member (563) installed on each of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and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driving devices (51) by the angle at which the davit arm (52) tilts.
실린더로드(562)는 한 쌍의 지지암(521) 각각에 설치되는 제3힌지부재(564)에 연결되어 대빗암(52)이 틸팅하는 각도만큼 한 쌍의 지지암(521) 각각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The cylinder rod (562) is connected to a third hinge member (564) installed on each of a pair of support arms (521) and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f the pair of support arms (521) by the angle at which the davit arm (52) tilts.
한 쌍의 보상기(57)는 한 쌍의 틸팅유닛(56)에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compensators (57) can be installed opposite a pair of tilting units (56).
한 쌍의 보상기(57) 대빗암(52)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대빗암(52)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A pair of compensators (57) can suppress the shaking of the davit arm (52) during the tilting process of the davit arm (52).
보상기(57)는 스프링 타입일 수 있으며, 틸팅유닛(56)에 의해 대빗암(52)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대빗암(52)에 장력을 부여하여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다.The compensator (57) may be of a spring type and can suppress shaking by applying tension to the davit arm (52) during the process of the davit arm (52) being tilted by the tilting unit (5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도킹장비(60)를 설명한다.Below, the first docking device (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제1도킹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의 (a) 및 (b)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중지 상태에서 도 4의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의 (a) 및 (b)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상태에서 도 4의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의 (a), (b) 및 (c)는 제1도킹장비의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에 의해 무인수상정이 정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의 (a), (b) 및 (c)는 제1도킹장비의 도킹로드가 잠금장치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의 (a), (b), (c) 및 (d)는 제1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진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의 (a), (b), (c) 및 (d)는 제1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nd (b) of FIG. 5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of FIG. 4 in the state of the actuator being stopped, (a) and (b) of FIG. 6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of FIG. 4 in the state of the actuator being operated, (a), (b) and (c) of FIG. 7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alignment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by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of the first docking equipment, (a), (b) and (c) of FIG. 8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fixing of the docking rod of the first docking equipment to the locking device, (a), (b), (c) and (d) of FIG. 9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launching proce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and (a), (b), (c) and (d) of FIG. 10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launching proce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This is a drawing to explain 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도킹장비(60)는 무인수상정(20)을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도록 무인수상정(20)과 도킹 또는 언도킹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61), 보조프레임(62), 제1가이드부(63), 제2가이드부(64), 제1기어부(65), 액츄에이터(66), 제2기어부(67), 도킹로드(68), 잠금장치(6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도킹장비(60)는 부유식 도킹장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10, the first docking device (60) can dock or undocking with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so as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may include a main frame (61), an auxiliary frame (62), a first guide unit (63), a second guide unit (64), a first gear unit (65), an actuator (66), a second gear unit (67), a docking rod (68), and a locking device (69). The first docking device (6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floating docking device.
메인프레임(61)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와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frame (61) can b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메인프레임(61)은 제1도킹장비(60)의 기본 틀로서,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프레임(62), 제1가이드부(63), 제2가이드부(64), 제1기어부(65) 및 도킹로드(68)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61)에 설치되는 제1기어부(65)는 후술하겠지만, 메인프레임(61)에 제1가이드부(63) 및 제2가이드부(6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frame (61) is a basic frame of the first docking device (60),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ans (not shown) for connection with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and an auxiliary frame (62), a first guide part (63), a second guide part (64), a first gear part (65), and a docking rod (68) may be installe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gear part (65)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be slid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보조프레임(62)은 무인수상정(20)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메인프레임(61)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하향 기울기로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62) can be installed at a certain downward angle from the main frame (61) to surround the front part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보조프레임(62)은 메인프레임(61)에 설치되어 무인수상정(20)의 선수부를 감싸도록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6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to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to surround the bow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즉, 보조프레임(62)은 메인프레임(61)의 전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상부프레임(621)과, 무인수상정(20)의 저면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부프레임(621)과 평행을 이루는 하부프레임(622)과, 상부프레임(621)과 하부프레임(62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623) 등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uxiliary frame (62) can be formed 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 are connected, such as an upper frame (621) that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frame (61), a lower frame (622) tha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is parallel to the upper frame (621), and a connecting frame (623) that connects the upper frame (621) and the lower frame (622).
상기에서, 하부프레임(622)에는 제1가이드부(63), 제2가이드부(64) 및 제2기어부(67)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622)에 설치되는 제2기어부(67)는 후술하겠지만, 하부프레임(622)에 제1가이드부(63) 및 제2가이드부(6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a first guide part (63), a second guide part (64), and a second gear part (67) can b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622).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gear part (67)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622)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be installed slidably on the lower frame (622).
제1가이드부(63)는 무인수상정(20)의 일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메인가이드암(631), 제1보조가이드암(632), 제2보조가이드암(63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unit (63) can be configured to hold one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can include a first main guide arm (631), a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and a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제1메인가이드암(631)은 무인수상정(20)의 일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main guide arm (631) may be a long, rod-shaped structure that can hold one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제1보조가이드암(632)은 제1메인가이드암(631)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기어부(65)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can be extended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n bent inwar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unit (65).
제1보조가이드암(632)은 제1기어부(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art (65).
제2보조가이드암(633)은 제1메인가이드암(631)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기어부(67)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can be bent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unit (67).
제2보조가이드암(633)은 제2기어부(6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art (67).
제2가이드부(64)는 무인수상정(20)의 타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메인가이드암(641), 제3보조가이드암(642), 제4보조가이드암(6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unit (64) can be configured to hold the other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can include a second main guide arm (641), a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and a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제2메인가이드암(641)은 무인수상정(20)의 타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일 수 있다.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may be a long, rod-shaped structure that can hold the other si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제3보조가이드암(642)은 제2메인가이드암(641)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1기어부(65)와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can be extended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and then bent inwar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unit (65).
제3보조가이드암(642)은 제1기어부(6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art (65).
제4보조가이드암(643)은 제2메인가이드암(641)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기어부(67)와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can be bent inward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unit (67).
제4보조가이드암(643)은 제2기어부(6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can be slidably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unit (67).
제1기어부(65)는 메인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63)와 제2가이드부(64)가 메인프레임(61)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gear part (65)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and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be slid left and right on the main frame (61).
제1기어부(65)는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어박스(651), 제1피니언기어(652), 제1랙기어(653), 제2랙기어(654), 제1스프링(655), 제2스프링(656)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ear unit (65) may include a first gear box (651), a first pinion gear (652), a first rack gear (653), a second rack gear (654), a first spring (655), and a second spring (656), as shown in (a) of FIG. 5 and (a) of FIG. 6.
제1기어박스(651)는 메인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기어박스(651)는 메인프레임(61)에 고정 설치되어 메인프레임(61)에 대해 제1가이드부(63) 및 제2가이드부(6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The first gearbox (651)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The first gearbox (65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slid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61).
제1피니언기어(652)는 제1기어박스(651)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pinion gear (652)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gear box (651).
제1피니언기어(652)는 액츄에이터(6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pinion gear (652) can rotate by receiv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actuator (66).
제1피니언기어(652)는 액츄에이터(6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을 때에는 아이들 상태가 된다.The first pinion gear (652) is in an idle state when it does not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the actuator (66).
제1랙기어(653)는 제1기어박스(651)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보조가이드암(632)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rack gear (653) can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gear box (651).
제1랙기어(653)는 제1피니언기어(652)의 하부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ack gear (653) can be gear-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652).
제2랙기어(654)는 제1기어박스(651)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3보조가이드암(642)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rack gear (654) can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651).
제2랙기어(654)는 제1피니언기어(652)의 상부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ack gear (654) can be gear-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652).
제1스프링(655)은 제1랙기어(653)의 단부와 제1기어박스(651)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spring (655)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end of the first rack gear (65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651).
제2스프링(656)은 제2랙기어(654)의 단부와 제1기어박스(651)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pring (656)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end of the second rack gear (654)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ear box (651).
액츄에이터(66)는 제1피니언기어(6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6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66)는 컨트롤러에 의해 작동 및 작동 정지될 수 있다.An actuator (66) can be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to rotate the first pinion gear (652). The actuator (66) can be operated and stopped by a controller.
즉, 액츄에이터(66)는 무인수상정(20)을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로 진입시킬 때 작동될 수 있고, 무인수상정(20)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면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That is, the actuator (66) can be operate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enters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and operation can be stoppe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completes entering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제2기어부(67)는 보조프레임(62)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63)와 제2가이드부(64)가 보조프레임(62)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gear part (67)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62), and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be slid left and right on the auxiliary frame (62).
제2기어부(67)는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기어박스(671), 제2피니언기어(672), 제3랙기어(673), 제4랙기어(674), 제3스프링(675), 제4스프링(676)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ear unit (67) may include a second gear box (671), a second pinion gear (672), a third rack gear (673), a fourth rack gear (674), a third spring (675), and a fourth spring (676), as shown in (b) of FIG. 5 and (b) of FIG. 6.
제2기어박스(671)는 보조프레임(62)의 하부프레임(6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박스(671)는 보조프레임(62)에 고정 설치되어 보조프레임(62)에 대해 제1가이드부(63) 및 제2가이드부(6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The second gearbox (671)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622) of the auxiliary frame (62). The second gearbox (671) is fixedly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62) so that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can slid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rame (62).
제2피니언기어(672)는 제2기어박스(671)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pinion gear (672) can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box (671).
제2피니언기어(672)는 액츄에이터(66)로부터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고, 간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항상 아이들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pinion gear (672) may receive rotational power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from the actuator (66), and may be configured to always maintain an idle state.
즉, 제2피니언기어(672)는 액츄에이터(66)의 작동에 의해 제1피니언기어(652)가 회전되면, 그 회전력을 제1가이드부(63)와 제2가이드부(64)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pinion gear (652)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the second pinion gear (672) can rotat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first guide part (63) and the second guide part (64).
제3랙기어(673)는 제2기어박스(671)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2보조가이드암(633)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third rack gear (673) can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gear box (671).
제3랙기어(673)는 제2피니언기어(672)의 하부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The third rack gear (673) can be gear-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672).
제4랙기어(674)는 제2기어박스(671)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4보조가이드암(643)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fourth rack gear (674) can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the end of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671).
제4랙기어(674)는 제2피니언기어(672)의 상부와 기어 결합될 수 있다.The fourth rack gear (674) can be gear-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672).
제3스프링(675)은 제2보조가이드암(633)과 제3랙기어(673)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2기어박스(671)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spring (675)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and the third rack gear (673) are connected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ear box (671).
제4스프링(676)은 제4보조가이드암(643)과 제4랙기어(674)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2기어박스(671)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ourth spring (676)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portion where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and the fourth rack gear (674) are connect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671).
상기에서, 액츄에이터(66)의 작동되면, 제1기어부(65)는 제1피니언기어(652)가 액츄에이터(6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피니언기어(652)의 회전력에 의해 제1랙기어(653)와 제2랙기어(654)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보조가이드암(632)과 제3보조가이드암(642)을 밀어 무인수상정(20)이 진입되는 부분의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무인수상정(20)의 폭보다 넓게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한다.In the above, when the actuator (66) is operated, the first gear part (65)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ctuator (66) to the first pinion gear (652),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652) causes the first rack gear (653) and the second rack gear (654) to move outward, thereby pushing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in the section wher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enters is maintain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액츄에이터(66)의 작동되면, 제2기어부(67)는 제1기어부(65)에 의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벌어지게 될 때,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벌어지는 힘에 의해 제2피니언기어(672)가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피니언기어(672)의 회전력에 의해 제3랙기어(673)와 제4랙기어(674)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보조가이드암(633)과 제4보조가이드암(643)을 당겨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무인수상정(20)의 폭보다 좁게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When the actuator (66) is operated, the second gear part (67) causes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to be separated by the first gear part (65), and the second pinion gear (672)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force caus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and the third rack gear (673) and the fourth rack gear (674)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672), thereby pulling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is maintained in a narrower state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66)가 작동되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은 제1기어부(65) 및 제2기어부(67)의 작동에 의해 일측의 폭이 무인수상정(20)의 폭보다 넓고 타측의 폭이 무인수상정(20)의 폭보다 좁은 사선 형태를 유지한다.When the actuator (66)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maintain an oblique shape in which the width on one side is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and the width on the other side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du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65) and the second gear unit (67).
또한, 액츄에이터(66)의 작동이 정지되면, 제1기어부(65)는 제1피니언기어(652)가 아이들 상태가 되고, 액츄에이터(66)의 작동 시 제1랙기어(653)와 제2랙기어(654)가 외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제1스프링(655)과 제2스프링(656)의 탄성력에 의해 제1피니언기어(652)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피니언기어(652)의 회전력에 의해 제1랙기어(653)와 제2랙기어(654)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보조가이드암(632)과 제3보조가이드암(642)을 당겨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오므라들게 하여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이 무인수상정(20)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is stopped, the first gear part (65) causes the first pinion gear (652) to be in an idle state, and when the first rack gear (653) and the second rack gear (654) move outw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the first pinion gear (652)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655) and the second spring (656), and when the first rack gear (653) and the second rack gear (654)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652),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632)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642) are pulled, caus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to contract,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is configured to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액츄에이터(66)의 작동이 정지되면, 제2기어부(67)는 액츄에이터(66)의 작동 시 제3랙기어(673)와 제4랙기어(674)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제3스프링(675)과 제4스프링(676)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피니언기어(672)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피니언기어(672)의 회전력에 의해 제3랙기어(673)와 제4랙기어(674)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제2보조가이드암(633)과 제4보조가이드암(643)을 밀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벌어지게 하여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이 무인수상정(20)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is stopped, the second gear part (67) rotates the second pinion gear (672)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675) and the fourth spring (676) generated when the third rack gear (673) and the fourth rack gear (674) move inwar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and the third rack gear (673) and the fourth rack gear (674) move out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672), thereby pushing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633)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643) to cause a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Make sure to hold both sides.
상기와 같이 액츄에이터(66)의 작동이 정지되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은 제1기어부(65) 및 제2기어부(67)의 작동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폭이 무인수상정(20)의 폭과 동일한 평행 형태를 유지하고, 무인수상정(20)의 양측면을 제1스프링(655) 및 제2스프링(656)의 탄성력으로 잡아준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 is stopped,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maintain a parallel shape with the width of one side and the width of the other side being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65) and the second gear unit (67), and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655) and the second spring (656).
도킹로드(68)는 메인프레임(61)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docking rod (68) can be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61).
도킹로드(68)는 일단이 메인프레임(61)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The docking rod (68)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wing on one end of the main frame (61), and a weight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end.
도킹로드(68)는 무인수상정(20)이 제1가이드부(63)와 제2가이드부(64) 사이에 정렬되면 메인프레임(61)으로부터 무게추가 아래로 낙하하면서 낙하 관성에 의해 잠금장치(69)의 한 쌍의 락커(692)를 밀고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The docking rod (68) can be fixed by pushing a pair of lockers (692) of the locking device (69) by the inertia of the falling weight as it falls down from the main frame (61)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is aligned between the first guide section (63) and the second guide section (64).
잠금장치(69)는 무인수상정(20)에 설치될 수 있다.A locking device (69) can be installed on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잠금장치(69)는 도킹로드(68)를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락킹프레임(691), 한 쌍의 락커(6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device (69) may be configured to secure or separate the docking rod (68) and may include a locking frame (691) and a pair of lockers (692).
락킹프레임(691)은 무인수상정(20)의 질량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The locking frame (691) can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mas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한 쌍의 락커(692)는 락킹프레임(691)에 설치되어 도킹로드(68)를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A pair of lockers (692) are installed on the locking frame (691) and can fix or separate the docking rod (68).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도킹장비(60)를 이용한 무인수상정(20)의 진수 과정을 도 9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aunching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a), (b), (c), and (d) of FIG. 9.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무인수상정(20)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제1대차(21)는, 한 쌍의 제1레일(R1)을 따라 한 쌍의 제2레일(R2) 사이의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제1도킹장비(60)가 도킹된 상태의 무인수상정(20)을 설정위치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한다.First, when the launching mo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is selected by the controller, the first bogie (21) moves along the first pair of rails (R1) to a set position between the second pair of rails (R2), and operates to alig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docked with the first docking device (60) to the set position.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대빗(50)을 제1도킹장비(60)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a set position to align the davit (50) with the first docking device (60).
한 쌍의 제1윈치(55)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메인프레임(61)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감아 제1도킹장비(60)가 도킹된 무인수상정(20)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61), and once connected, wind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to which the first docking device (60) is docked.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설정위치로부터 한 쌍의 제2레일(R2)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from a set position to the end of a pair of second rails (R2).
한 쌍의 틸팅유닛(56)은, 대빗암(52)을 틸팅시켜 무인수상정(20)이 선체(11)를 벗어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tilting units (56) tilt the davit arm (52) to allow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to leave the hull (11).
한 쌍의 제1윈치(55)는, 무인수상정(20)이 수면에 닿을 때까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operate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reaches the water surface.
잠금장치(69)는, 도킹로드(68)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한다.The locking device (69) operates to separate the docking rod (68).
액츄에이터(66)는, 무인수상정(20)의 양측면을 잡고있는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하여, 무인수상정(20)에 도킹된 제1도킹장비(60)를 무인수상정(20)으로부터 언도킹시킨다.The actuator (66) operates to separate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that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thereby undock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60) docked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from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상기한 과정을 통해 무인수상정(20)의 진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aunching work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can be comple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도킹장비(60)를 이용한 무인수상정(20)의 회수 과정을 도 10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a), (b), (c), and (d) of FIG. 10.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무인수상정(20)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한 쌍의 제1윈치(55)는, 제1도킹장비(60)가 연결된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제1도킹장비(60)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한다.First,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is selected by the controller, a pair of first winches (55) are operated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device (60) so that the first docking device (60) is lowered to the water surface.
액츄에이터(66)는, 무인수상정(20)이 진입할 수 있도록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한다.The actuator (66) operates to open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can enter.
액츄에이터(66)는, 무인수상정(20)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어 정렬되면 제1메인가이드암(631)과 제2메인가이드암(641)이 무인수상정(20)의 양측면을 잡도록 작동을 중지한다.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enters and is aligned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the actuator (66) stops operating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631)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641) grasp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잠금장치(69)는, 도킹로드(68)를 고정시켜 제1도킹장비(60)를 무인수상정(20)에 도킹시키도록 작동한다.The locking device (69) operates to secure the docking rod (68) to dock the first docking device (60)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한 쌍의 제1윈치(55)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감아 제1도킹장비(60)가 도킹된 무인수상정(20)을 선체(11)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operate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docked with the first docking device (60) up to the hull (11) by winding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대빗(50)을 설정위치에 대기중인 제1대차(21)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a set position and operate to align the davit (50) with the first bogie (21) waiting at the set position.
한 쌍의 제1윈치(55)는, 무인수상정(20)이 제1대차(21)에 실릴 때까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메인프레임(61)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operate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separat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from the main frame (61) until it is loaded onto the first bogie (21).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제1대차(21)는, 한 쌍의 제1레일(R1)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제1도킹장비(60)가 도킹된 상태로 무인수상정(20)을 보관하도록 한다.The first bogie (21) operates to move along a pair of first rails (R1)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thereby sto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in a docked state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60).
상기한 과정을 통해 무인수상정(20)의 회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20) can be comple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도킹장비(70)를 설명한다.Below,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2도킹장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의 (a), (b), (c), (d) 및 (e)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잠수정의 도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의 (a), (b), (c) 및 (d)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진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의 (a), (b), (c) 및 (d)는 제2도킹장비를 이용한 무인수상정의 회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S. 11 and 12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 (c), (d), and (e) of FIGS. 13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ocking process of an unmanned submersible us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a), (b), (c), and (d) of FIGS. 14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launching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and (a), (b), (c), and (d) of FIGS. 15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rface vehicle us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도킹장비(70)는 무인잠수정(30)을 진수 또는 회수할 수 있도록 무인잠수정(30)과 도킹 또는 언도킹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71), 보조프레임(72), 제2리프팅와이어(73), 제2윈치(74), 한 쌍의 관절프레임(75), 가이드암(76), 한 쌍의 후킹암(77), 후킹와이어(78), 후킹로드(7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2도킹장비(70)는 반잠수식 도킹장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to 15,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can dock or undocking with an unmanned submersible (30) so as to launch or recover the unmanned submersible (30), and may include a main frame (71), an auxiliary frame (72), a second lifting wire (73), a second winch (74), a pair of joint frames (75), a guide arm (76), a pair of hooking arms (77), a hooking wire (78), and a hooking rod (79).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emi-submersible docking device.
메인프레임(71)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와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frame (71) can b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메인프레임(71)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윈치(74), 한 쌍의 관절프레임(75)이 설치될 수 있다.The main frame (71) may be equipped with a connecting means (not shown) for connection with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and a second winch (74) and a pair of joint frames (75) may be installed.
보조프레임(72)은 메인프레임(71)과 연결되고, 메인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72)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71) and can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in frame.
보조프레임(72)은 무인잠수정(30)의 회수 모드 시 수중에 잠수되는 프레임으로서, 무인잠수정(30)을 도킹하기 위해 가이드 및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암(76) 및 한 쌍의 후킹암(77)이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메인프레임(71)과 연결하기 위한 제2리프팅와이어(73) 및 한 쌍의 관절프레임(75)이 설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rame (72) is a frame that is submerged underwater when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in recovery mode. A guide arm (76) and a pair of hooking arms (77) for guiding and aligning the unmanned submersible (30) for docking can be installed, and a second lifting wire (73) and a pair of joint frames (75) for connecting to the main frame (71) can also be installed.
제2리프팅와이어(73)는 메인프레임(71)의 중심과 보조프레임(72)의 중심을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lifting wire (73) can connect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71)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frame (72).
제2윈치(74)는 메인프레임(71)에 설치되고, 제2리프팅와이어(73)를 권취할 수 있다.The second winch (74) is installed on the main frame (71) and can wind the second lifting wire (73).
제2윈치(74)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2리프팅와이어(73)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 second winch (74)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ler to release and reel in the second lifting wire (73).
한 쌍의 관절프레임(75)은 메인프레임(71)의 양측과 보조프레임(72)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A pair of joint frames (75) can be installed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71) an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72).
한 쌍의 관절프레임(75)은 제2리프팅와이어(73)를 풀고 감을 때 메인프레임(71)과 보조프레임(72) 사이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air of joint frames (75) can serve to maintain the center between the main frame (71) and the auxiliary frame (72) when releasing and winding the second lifting wire (73).
한 쌍의 관절프레임(75) 각각은 메인프레임(71)과 보조프레임(72)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관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ach of a pair of joint frames (75) is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main frame (71) and the auxiliary frame (72), and at least one par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joint movement.
즉, 한 쌍의 관절프레임(75)은 제2윈치(74)의 작동에 의해 제2리프팅와이어(73)가 풀리고 감길 때 펴지고 접힐 수 있다.That is, a pair of joint frames (75) can be unfolded and folded when the second lifting wire (73) is released and 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nch (74).
가이드암(76)은 보조프레임(7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무인잠수정(3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arm (76) is installed symmetrically around the auxiliary frame (72), and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hap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가이드암(76)은 다수의 프레임으로 늑골 형태 등 무인잠수정(30)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guide arm (76)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ib shape with multiple frames, to guide the unmanned submarine (30).
한 쌍의 후킹암(77)은 보조프레임(72)의 중심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게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킹암(77)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 pair of hooking arms (77)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frame (72), but may be installed so as to extend to both sides at a certain angle. The pair of hooking arms (77)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한 쌍의 후킹암(77)은 도 13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잠수정(30)의 회수 모드 시에 무인잠수정(30)으로부터 상승된 후킹로드(79)가 후킹와이어(78)에 체결되어 후킹로드(79)가 하강하면서 후킹와이어(78)를 당기면 한 쌍의 후킹암(77)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가이드암(76)이 무인잠수정(30)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a) to (d) of FIG. 13, when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is in recovery mode, a hooking rod (79) raised from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is connected to a hooking wire (78), and when the hooking rod (79) is lowered and the hooking wire (78) is pulled, the two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77) come together in the center, so that the guide arm (76)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또한, 한 쌍의 후킹암(77)은 양측단이 모아진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접히고, 후킹로드(79)가 상승되거나 후킹로드(79)로부터 분리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hooking arms (77) can be folded when pressed while both ends are brought together, and can b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hape when the hooking rod (79) is raised or separated from the hooking rod (79).
후킹와이어(78)는 한 쌍의 후킹암(77)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고, 한 쌍의 후킹암(77)의 양측단에 마련되는 고리에 끼워져 삼각형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The hooking wire (78) is fixed to the part where a pair of hooking arms (77) are connected, and can be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by being inserted into a ring provided on both ends of a pair of hooking arms (77).
후킹로드(79)는 무인잠수정(30)의 질량 중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hooking rod (79)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to the center of mass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후킹로드(79)는 무인잠수정(30)에 내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hooking rod (79)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unmanned submarine (30).
후킹로드(79)는 무인잠수정(30)의 회수 모드 시에 무인잠수정(30)으로부터 상승되어 무인잠수정(30)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791)가 한 쌍의 후킹암(77) 사이를 연결하는 후킹와이어(78)에 걸리게 되면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후크(791)는 원격 조작으로 후킹와이어(78)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퀵 릴리즈 후크일 수 있다.The hooking rod (79) can be raised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n the recovery mod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and can be lowered when the hook (791) provided at the end is caught by the hooking wire (78) connecting a pair of hooking arms (77) while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moving forward. Here, the hook (791) can be a quick release hook that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hooking wire (78) by remote oper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도킹장비(70)를 이용한 무인잠수정(30)의 진수 과정을 도 14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aunching process of an unmanned submarine (30) us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 (c), and (d) of FIG. 14.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무인잠수정(30)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거치대(31)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무인잠수정(30)에 도킹된 제2도킹장비(70)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한다.First, when the launch mod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selected by the controller, a pair of driving devices (51) are operated to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the position of the stand (31) and align it with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docked to the unmanned submersible (30).
한 쌍의 제1윈치(55)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메인프레임(71)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감아 제2도킹장비(70)가 도킹된 무인잠수정(30)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71), and once connected, wind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lift the unmanned submersible (30) to which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is docked.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거치대(31)의 위치로부터 한 쌍의 제2레일(R2)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the stand (31) to the end of a pair of second rails (R2).
한 쌍의 틸팅유닛(56)은, 대빗암(52)을 틸팅시켜 무인잠수정(30)이 선체(11)를 벗어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tilting units (56) tilt the davit arm (52) to allow the unmanned submarine (30) to leave the hull (11).
한 쌍의 제1윈치(55)는, 무인잠수정(30)이 수중에 잠길 때까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operate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until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submerged in water.
후킹로드(79)는, 후킹와이어(78)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무인잠수정(30)에 도킹된 제2도킹장비(70)를 무인잠수정(30)으로부터 언도킹시킨다.The hooking rod (79) operates to separate the hooking wire (78) and undock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70) docked to the unmanned submersible (30)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30).
상기한 과정을 통해 무인잠수정(30)의 진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aunching operation of an unmanned submarine (30) can be comple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도킹장비(70)를 이용한 무인잠수정(30)의 회수 과정을 도 15의 (a), (b), (c) 및 (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recovery process of an unmanned submarine (30) us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b), (c), and (d) of FIG. 15.
먼저. 컨트롤러에 의해 무인잠수정(30)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한 쌍의 제1윈치(55)는, 제2도킹장비(70)가 연결된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제2도킹장비(70)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한다.First,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selected by the controller, a pair of first winches (55) are operated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connected to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so that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is lowered to the surface.
제2윈치(74)는, 제2리프팅와이어(73)를 풀어 가이드암(76), 후킹암(77), 후킹와이어(78)가 설치된 보조프레임(72)이 수중에 잠기도록 작동한다.The second winch (74) operates to release the second lifting wire (73) so that the auxiliary frame (72) with the guide arm (76), hooking arm (77), and hooking wire (78) installed is submerged in water.
후킹로드(79)는, 무인잠수정(30)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작동된다.The hooking rod (79) is operated to rise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30).
후킹로드(79)는, 무인잠수정(30)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791)에 한 쌍의 후킹암(77) 사이를 연결하는 후킹와이어(78)에 걸리게 되면 하강하도록 작동되어, 한 쌍의 후킹암(77)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가이드암(76)이 무인잠수정(30)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한다.The hooking rod (79) is operated to descend when it is hooked on the hooking wire (78) connecting a pair of hooking arms (77) to a hook (791) provided at the end while the unmanned submersible (30) is moving forward, so that both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77) come together in the center and the guide arm (76)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30).
제2윈치(74)는, 제2리프팅와이어(73)를 감아 제2도킹장비(70)가 도킹된 무인잠수정(30)을 수면으로 끌어 올리도록 작동한다.The second winch (74) operates to pull up the unmanned submersible (30) docked with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to the surface by winding the second lifting wire (73).
한 쌍의 제1윈치(55)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감아 제2도킹장비(70)가 도킹된 무인수상정(20)을 선체(11)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operate to lift an unmanned surface vehicle (20) docked with a second docking device (70) to the hull (11) by winding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거치대(31)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대빗(50)을 거치대(31)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the position of the stand (31) and align the davit (50) to the stand (31).
한 쌍의 제1윈치(55)는, 무인잠수정(30)이 거치대(31)에 안착 때까지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54)를 풀어 메인프레임(71)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제2도킹장비(70)가 도킹된 상태로 무인잠수정(30)을 보관하도록 한다.A pair of first winches (55) are operated to release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54) to separate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from the main frame (71) until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is secured on the stand (31), thereby storing th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30) in a docked state with the second docking device (70).
한 쌍의 주행장치(51)는, 한 쌍의 제2레일(R2)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한다.A pair of driving devices (51) operate to move along a pair of second rails (R2)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상기한 과정을 통해 무인잠수정(30)의 회수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covery operation of the unmanned submarine (30) can be comple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ombinations o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ccordingly,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선박
11: 선체
12: 갑판
20: 무인수상정
21: 제1대차
30: 무인잠수정
31: 거치대
40: 컨테이너형 패키지
41: 제2대차
50: 대빗
51: 주행장치
52: 대빗암
521: 지지암
522: 리프팅암
53; 제1힌지부재
54; 제1리프팅와이어
55: 제1윈치
56: 틸팅유닛(실린더)
561: 실린더튜브
562: 실린더로드
563: 제1힌지부재(53)
564: 제2힌지부재
57: 보상기
60: 제1도킹장비
61: 메인프레임
62: 보조프레임
621: 상부프레임
622: 하부프레임
623: 연결프레임
63: 제1가이드부
631: 제1메인가이드암
632: 제1보조가이드암
633: 제2보조가이드암
64: 제2가이드부
641: 제2메인가이드암
642: 제3보조가이드암
643: 제4보조가이드암
65: 제1기어부
651: 제1기어박스
652: 제1피니언기어
653: 제1랙기어
654: 제2랙기어
655: 제1스프링
656: 제2스프링
66: 액츄에이터
67: 제2기어부
671: 제2기어박스
672: 제2피니언기어
673: 제3랙기어
674: 제4랙기어
675: 제3스프링
676: 제4스프링
68: 도킹로드
69: 잠금장치
691: 락킹프레임
692: 락커
70: 제2도킹장비
71: 메인프레임
72: 보조프레임
73: 제2리프팅와이어
74: 제2윈치
75: 관절프레임
76: 가이드암
77: 후킹암
78: 후킹와이어
79: 후킹로드
791: 후크
R1: 제1레일
R2: 제2레일
R3: 제3레일10: Ship 11: Hull
12: Deck 20: Unmanned Surface Vehicle
21: 1st vehicle 30: Unmanned submarine
31: Stand 40: Container type package
41: 2nd bogie 50: davit
51: Driving gear 52: Davit arm
521: Support arm 522: Lifting arm
53;
55: 1st winch 56: Tilting unit (cylinder)
561: Cylinder tube 562: Cylinder rod
563: First hinge member (53) 564: Second hinge member
57: Compensator 60: 1st docking device
61: Mainframe 62: Auxiliaryframe
621: Upper frame 622: Lower frame
623: connecting frame 63: first guide section
631: 1st main guide arm 632: 1st auxiliary guide arm
633: Second auxiliary guide arm 64: Second guide section
641: 2nd main guide arm 642: 3rd auxiliary guide arm
643: 4th auxiliary guide arm 65: 1st gear
651: 1st gearbox 652: 1st pinion gear
653: 1st rack gear 654: 2nd rack gear
655: 1st spring 656: 2nd spring
66: Actuator 67: Second gear
671: 2nd gearbox 672: 2nd pinion gear
673: 3rd rack gear 674: 4th rack gear
675: 3rd spring 676: 4th spring
68: Docking rod 69: Locking device
691: Locking frame 692: Locker
70: Second docking device 71: Mainframe
72: Auxiliary frame 73: Second lifting wire
74: 2nd winch 75: Joint frame
76: Guide arm 77: Hooking arm
78: Hooking wire 79: Hooking rod
791: Hook R1: 1st rail
R2: 2nd rail R3: 3rd rail
Claims (22)
상기 한 쌍의 제1레일과 교차되도록 상기 선체의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레일;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대차 상에 배치되는 무인수상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사이의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에 배치되는 무인잠수정;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빗;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수상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1도킹장비; 및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시켜서 상기 대빗으로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기 위한 제2도킹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대빗은,
진수 모드 또는 회수 모드 시 작동되어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상기 제2도킹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수상정 또는 상기 무인잠수정을 진수 또는 회수하는, 해양무인시스템.A pair of first rails installed at a certain length on one side of the d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A pair of second rails installed transversely along the hull so as to intersect the pair of first rails;
An unmanned surface vehicle placed on a first bogie capable of moving along the first pair of rails;
An unmanned submersible placed on a cradle installed on the deck between the pair of second rails;
A davit movably installed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A first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davit; and
Including a second docking device for docking to the abov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launching or recovering the abov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with the davit,
The above davit is,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operates in launching mode or recovery mode and launches or recovers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or the unmanned submersible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or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상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갑판의 타측에 일정 길이로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제2레일과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3레일; 및
상기 한 쌍의 제3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대차 상에 배치되는 컨테이너형 패키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형 패키지는,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컨테이너 이송용 스프레더를 이용하여 상기 대빗에 의해 진수 또는 회수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A pair of third rail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c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to a certain length and install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pair of second rails;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shaped package placed on a second bogie that can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third rails,
The above container-type package,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is launched or recovered by the davit us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or the container transfer spreader.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주행장치;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지지암을 연결하는 리프팅암으로 이루어지는 대빗암;
상기 리프팅암에 설치되고, 상기 제1도킹장비 또는 상기 제2도킹장비와 체결되는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권취하는 한 쌍의 제1윈치;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유닛;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대빗암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빗암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한 쌍의 보상기를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davit,
A pair of driving devices mov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A davit arm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arms rotatably installed for each of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nd a lifting arm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arms;
A pair of first lifting wires installed on the above lifting arm and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device or the second docking device;
A pair of first winches for winding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A pair of tilting units for tilting the above-mentioned davit arm;
An unmanned marine system, comprising a pair of compensators installed opposite to the pair of tilting units and configured to suppress the shaking of the davit arm during the process of the davit arm being tilted.
상기 대빗암의 틸팅 방향으로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실린더이고,
상기 한 쌍의 실린더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튜브;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암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pair of tilting units,
A pair of cylinders installed to have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in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above-mentioned davit arm,
Each of the above pair of cylinders,
A cylinder tube rotatably installed for each of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nd
An unmanned marine system comprising a cylinder rod rotatably installed on each of the above pair of support arms.
스프링 타입이고,
상기 틸팅유닛에 의해 상기 대빗암이 틸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대빗암에 장력을 부여하여 흔들림을 잡아주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compensator,
It is a spring type,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applies tension to the davit arm to prevent shaking during the process of the davit arm being tilted by the tilting unit.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무인수상정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각도의 하향 기울기로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무인수상정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제1가이드부;
상기 무인수상정의 타측면을 잡아주는 제2가이드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제1기어부;
상기 보조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보조프레임에서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제2기어부;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킹로드; 및
상기 무인수상정에 설치되고,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first docking device,
A main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An auxiliary frame installed at a certain downward angle from the main frame to surround the front part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guide section that holds one si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A second guide section that holds the other si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gear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allowing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to slide left and right on the main frame;
A second gear part fixedly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and allowing the first guide part and the second guide part to slide left and right on the auxiliary frame;
A docking rod that is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nd
An unmanned marine system, which is installed o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includes a locking device for fixing or detaching the docking rod.
상기 무인수상정의 일측면을 잡아주는 제1메인가이드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연결되는 제1보조가이드암; 및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는 제2보조가이드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타측면을 잡아주는 제2메인가이드암;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의 중간에서 상향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기어부와 연결되는 제3보조가이드암; 및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기어부와 연결되는 제4보조가이드암을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sixth paragraph, the first guide part,
A first main guide arm that holds one si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A first auxiliary guide arm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n bent inwar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It includes a second auxiliary guide arm that is bent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portion.
The above second guide section,
A second main guide arm that holds the other si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A third auxiliary guide arm extending upward from the middle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then bent inwar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A marine unmanned system including a fourth auxiliary guide arm that is bent inwardly from one end of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unit.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1기어박스;
상기 제1기어박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피니언기어;
상기 제1기어박스의 일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하부와 기어결합되는 제1랙기어;
상기 제1기어박스의 타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제2랙기어;
상기 제1랙기어의 단부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랙기어의 단부와 상기 제1기어박스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보조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기어박스;
상기 제2기어박스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피니언기어;
상기 제2기어박스의 일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하부와 기어결합되는 제3랙기어;
상기 제2기어박스의 타측에 삽입되는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의 단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상부와 기어결합되는 제4랙기어;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랙기어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2기어박스의 일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3스프링; 및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랙기어가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제2기어박스의 타측 내면을 연결하는 제4스프링을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seventh paragraph, the first gear part,
A first gearbox fixedly installed on the above main frame;
A first pinion gea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gearbox;
A first rack gear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A second rack gear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pinion gear;
A first spring connecting the end of the first rack gea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ear box; and
Including a second spring connecting the end of the second rack gear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first gear box,
The above second gear part,
A second gearbox fixedly installed on the above auxiliary frame;
A second pinion gea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box;
A third rack gear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second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A fourth rack gear is installed so as to extend a certain length from an end of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and is gear-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inion gear;
A third spring connecting the part where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rack gear are connected and on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ear box; and
A marine unmanned system including a fourth spring connecting a portion where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rack gear are connecte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gear box.
상기 제1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로 진입시킬 때 작동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면 작동이 정지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8th paragraph, the first dock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first pinion gear,
The above actuator,
It is operated when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enters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A marine unmanned system, wherein operation is stopped when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enters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상기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면,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상기 액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을 밀어 상기 무인수상정이 진입되는 부분의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넓게 벌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피니언기어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을 당겨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좁게 오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은,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일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넓고 타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보다 좁은 사선 형태를 유지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9,
When the above actuator is operated,
The above first gear part,
The first pinion gear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ctuator and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out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thereby pushing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in the section wher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enters is maintained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 above second gear part,
The second pinion gear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by the force generated by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and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thereby pulling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is maintained in a narrower state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 abov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above second main guide arm,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maintains a diagonal shape in which one side has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the other side has a narrow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아이들 상태가 되고,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상기 제1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피니언기어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랙기어와 상기 제2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3보조가이드암을 당겨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오므라들게 하여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고,
상기 제2기어부는,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내측으로 이동할 때 발생된 상기 제3스프링과 상기 제4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피니언기어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3랙기어와 상기 제4랙기어가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보조가이드암과 상기 제4보조가이드암을 밀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게 하여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아주도록 하고,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은,
상기 제1기어부 및 상기 제2기어부의 작동에 의해 일측 및 타측의 폭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폭과 동일한 평행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상기 제1스프링 및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10,
When the above actuator stops operating,
The above first gear part,
When the first pinion gear is in an idle state and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outward, the first pinion gear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and the first rack gear and the second rack gear move i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pinion gear, thereby pulling the first auxiliary guide arm and the third auxiliary guide arm to cause the space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to contract,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 above second gear part,
The second pinion gear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hird spring and the fourth spring generated when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inward, and the third rack gear and the fourth rack gear move out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inion gear, thereby pushing the second auxiliary guide arm and the fourth auxiliary guide arm to widen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 abov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above second main guide arm,
An unmanned marine system in which the widths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re maintained in a parallel shape equal to the width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n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are hel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nd the second spring.
상기 무인수상정의 질량 중심에 설치되는 락킹프레임; 및
상기 락킹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한 쌍의 락커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로드는,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스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구비되고,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정렬되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무게추가 아래로 낙하하면서 낙하 관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락커를 밀고 들어가 고정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sixth paragraph, the locking device,
A locking frame installed at the center of mass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and
A pair of lockers installed on the above locking frame to fix or separate the docking rod,
The above docking rod is,
An unmanned marine system, wherein one end is swingably installed on the main frame, a weight is provided on the other end, and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aligned between the first guide section and the second guide section, the weight falls downward from the main frame and pushes and fixes the pair of lockers by the inertia of the fall.
상기 무인수상정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대차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제2레일 사이의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의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설정위치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제1도킹장비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설정위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은,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켜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선체를 벗어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수면에 닿을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도록 작동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킹로드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고있는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하여,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된 상기 제1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수상정으로부터 언도킹시키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9,
When the launch mo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selected,
The above first bogie moves along the above pair of first rails to a set position between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and operates to alig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ith the above first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set position.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above set position to align the davit with the above first docking device,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and when connected, wind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 which the above first docking equipment is docked.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from the above set position to the end of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he above pair of tilting units operate to tilt the davit arm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leaves the hull.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reaches the water surface,
The above locking device operates to separate the docking rod,
The above actuator operates to separate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that hold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reby undocking the first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from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상기 무인수상정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제1도킹장비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제1도킹장비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가 벌어지도록 작동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 사이에 진입이 완료되어 정렬되면 상기 제1메인가이드암과 상기 제2메인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수상정의 양측면을 잡도록 작동을 중지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킹로드를 고정시켜 상기 제1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수상정에 도킹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선체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설정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설정위치에 대기중인 제1대차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수상정이 상기 제1대차에 실릴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1대차는, 상기 한 쌍의 제1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1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로 상기 무인수상정을 보관하도록 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13,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abov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selected,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connected to the above first docking equipment so that the above first docking equipment is lowered to the water surface.
The above actuator operates to open the gap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so tha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can enter.
The above actuator stops operating so that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grasp both sides of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when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has entered and is aligned between the first main guide arm and the second main guide arm.
The above locking device operates to secure the docking rod to dock the first docking equipment to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operate to wind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 whic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is docked up to the hull.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above set position and align the davit with the first bogie waiting at the above set position.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separate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from the main frame until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s loaded onto the above first bogie,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A marine unmanned system in which the first bogie is operated to move along the first pair of rails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thereby storing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in a docked state with the first docking equipment.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과 연결되고, 메인프레임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심을 연결하는 제2리프팅와이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고, 제2리프팅와이어를 권취하는 제2윈치;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과 상기 보조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풀고 감을 때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사이의 중심을 잡아주는 한 쌍의 관절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되,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암;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심에 설치되되, 양측으로 일정 각도 벌어지게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탄성력을 갖는 한 쌍의 후킹암;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에 마련되는 고리에 끼워져 삼각형 형태로 연결되는 후킹와이어; 및
상기 무인잠수정의 질량 중심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킹로드를 포함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third paragraph, the second docking device,
A main frame connected to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An auxiliary frame connected to the main frame and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in frame;
A second lifting wir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main frame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frame;
A second winch installed on the above main frame and winding the second lifting wire;
A pair of joint frames installed to connect both sides of the main frame and both sides of the auxiliary frame, and to maintain the center between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when releasing and winding the second lifting wire;
A guide arm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hape of the unmanned submarine and installed symmetrically around the auxiliary frame;
A pair of elastic hooking arm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above auxiliary frame and extended to both sides at a certain angle;
A hooking wire that is fixed to the part where the above pair of hooking arms are connected and is inserted into a ring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above pair of hooking arms and connect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n unmanned marine system including a hooking rod that is installed to be able to ascend and descend at the center of mass of the unmanned submersible.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관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윈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가 풀리고 감길 때 펴지고 접히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15th paragraph, each of the pair of joint frames,
Each of the main frame and the auxiliary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and at least one part is configured to perform joint movement.
A marine unmanned system that unfolds and folds when the second lifting wire is released and 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inch.
상기 무인잠수정에 내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무인잠수정의 회수 모드 시에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상승되어 상기 무인잠수정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가 상기 한 쌍의 후킹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후킹와이어에 걸리게 되면 하강하고,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은,
상기 후킹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후킹와이어를 당기면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15th paragraph, the hooking rod,
It is installed to be embedded in the above unmanned submarine, and when the unmanned submarine is in recovery mode, it ascends from the unmanned submarine and when the unmanned submarine moves forward, the hook provided at the end is caught by the hooking wire connecting the pair of hooking arms, and descends.
The above pair of hooking arms,
A marine unmanned system, wherein when the hooking rod is lowered and the hooking wire is pulled, the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come together to the center, thereby aligning the guide ar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양측단이 모아진 상태에서 누르게 되면 접히고, 상기 후킹로드가 상승되거나 상기 후킹로드로부터 분리되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해양무인시스템.In the 17th paragraph, the pair of hooking arms,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folds when pressed while both ends are gathered,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hooking rod is raised or separated from the hooking rod.
원격 조작으로 상기 후킹와이어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한 퀵 릴리즈 후크인, 해양무인시스템.In the 17th paragraph, the hook,
A marine unmanned system, which is a quick release hook that can be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hooking wire by remote operation.
상기 무인잠수정의 진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거치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된 상기 제2도킹장비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연결시키고, 연결이 되면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잠수정을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거치대의 위치로부터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의 끝단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틸팅유닛은, 상기 대빗암을 틸팅시켜 상기 무인잠수정이 상기 선체를 벗어나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수중에 잠길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도록 작동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후킹와이어를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상기 무인잠수정에 도킹된 상기 제2도킹장비를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언도킹시키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15,
When the launch mode of the above unmanned submarine is selected,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position of the cradle and align wit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unmanned submersible,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connect them to the main frame, and when connected, wind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operate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to lift the docked unmanned submersible.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the above stand to the end of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he above pair of tilting units operate to tilt the davit arm so that the unmanned submersible leaves the hull.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until the AUV is submerged,
The above hooking rod is an unmanned marine system that operates to separate the hooking wire, thereby undocking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docked to the unmanned submersible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상기 무인잠수정의 회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제2도킹장비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제2도킹장비가 수면까지 내려가도록 작동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가이드암, 상기 후킹암, 상기 후킹와이어가 설치된 상기 보조프레임이 수중에 잠기도록 작동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무인잠수정으로부터 상승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후킹로드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전진하는 동안에 단부에 구비되는 후크에 상기 한 쌍의 후킹암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후킹와이어에 걸리게 되면 하강하도록 작동되어, 상기 한 쌍의 후킹암의 양측단이 중심으로 모아지면서 상기 가이드암이 상기 무인잠수정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제2윈치는, 상기 제2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잠수정을 수면으로 끌어 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감아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기 무인수상정을 상기 선체까지 들어올리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상기 거치대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대빗을 상기 거치대에 정렬시키도록 작동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윈치는, 상기 무인잠수정이 상기 거치대에 안착 때까지 상기 한 쌍의 제1리프팅와이어를 풀어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작동하여, 상기 제2도킹장비가 도킹된 상태로 상기 무인잠수정을 보관하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주행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레일을 따라 최초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해양무인시스템.In Article 20,
When the recovery mode of the above unmanned submarine is selected,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connected to the above second docking equipment so that the above second docking equipment is lowered to the water surface.
The above second winch operates to release the second lifting wire so that the guide arm, the hooking arm, and the auxiliary frame with the hooking wire installed are submerged in water.
The above hooking rod is operated to rise from the unmanned submersible,
The above hooking rod is operated to descend when the hook provided at the end of the unmanned submersible is caught by the hooking wire connecting the pair of hooking arms while the unmanned submersible is moving forward, so that the ends of the pair of hooking arms come together in the center and the guide arm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nmanned submersible.
The above second winch operates to wind the second lifting wire to pull the unmanned submersible docked wit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to the surface.
The above pair of first winches operate to wind the above pair of first lifting wires to lift the unmanned surface vehicle to which the second docking equipment is docked up to the hull.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are operated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position of the stand and align the davit with the stand,
The first pair of winches are operated to release the first pair of lifting wires to separate the unmanned submersible from the main frame until the unmanned submersible is secured on the cradle, thereby allowing the second docking device to store the unmanned submersible in a docked state.
A marine unmanned system in which the above pair of driving devices operates to move along the above pair of second rails to the initial standby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5168A KR20240167302A (en) | 2023-05-19 | 2023-05-19 |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5168A KR20240167302A (en) | 2023-05-19 | 2023-05-19 |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7302A true KR20240167302A (en) | 2024-11-26 |
Family
ID=9370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5168A Pending KR20240167302A (en) | 2023-05-19 | 2023-05-19 |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7302A (en) |
-
2023
- 2023-05-19 KR KR1020230065168A patent/KR2024016730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23293C2 (en) | Methods of lowering and lifting for submersible vehicles and other payloads | |
US8186295B2 (en) | Submarine provided with a device for releasing and recovering a secondary underwater vehicle | |
US1166735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launch and recovery of a marine vessel | |
US20120118217A1 (en) | Unmanned underwater vehicle and method for recovering such vehicle | |
US11091229B2 (en) | Ship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vehicles | |
JP5759246B2 (en) | Landing method for landing of underwater vehicle and holding metal fitting used for landing of underwater vehicle | |
JP5884978B2 (en) | Underwater vehicle lifting device and method | |
WO2007033384A2 (en) | Launch and recovery system | |
EP3188960B1 (en) | Vess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 |
AU2020259058B2 (en) | System for recovering a surface marine craft from a carrier ship | |
JP7419322B2 (en) | Boat launch and recovery platforms and associated launch and recovery methods | |
US3507241A (en) | 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 handling system | |
US20140060417A1 (en) | Unmanned Underwater Vehicle Launcher | |
NO347397B1 (en) | Intermediate docking station for underwater vehicles | |
JP6825177B2 (en) | Underwater equipment input device | |
US20230135453A1 (en) | Ship comprising a system for adapting a removable module and adapted removable module | |
US3807334A (en) | Motion compensating device for surface supported underwater structures | |
US10232915B2 (en) |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marine and submarine devices assisted by tiltable protective components | |
US8234992B1 (en) | Launch and recovery system | |
EP2452869B1 (en) | Unmanned underwater vehicle | |
KR20240167302A (en) | Unmanned Maritime System and Ship having the same | |
GB227904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survivors off-shore from ships lifeboats and the like | |
EP3400164B1 (en) | Aparatus for handling boats from a midships hangar or mission bay of a mother vessel | |
KR102733433B1 (en) | Unmanned submersible launching and recovery apparatus, control system thereof, unmanned submersible launching method and recovery method | |
KR20250009042A (en) | Cradle and launching and recovering system with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