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6834A - 농수산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6834A KR20240166834A KR1020230064579A KR20230064579A KR20240166834A KR 20240166834 A KR20240166834 A KR 20240166834A KR 1020230064579 A KR1020230064579 A KR 1020230064579A KR 20230064579 A KR20230064579 A KR 20230064579A KR 20240166834 A KR20240166834 A KR 202401668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agricultural
- drying device
- driving unit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6—Sea weed; Marine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산물, 특히 다시마나 미역의 건조시 대량의 물품을 건조 효율이 높게 건조하기 위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대량으로 피처리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산성이 높으며, 장치의 내구성이 좋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산물, 특히 다시마나 미역의 건조시 대량의 물품을 건조 효율이 높게 건조하기 위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 기술로는 노지 건조, 열풍 건조, 냉동 건조, 스프레이 건조 등이 있으며, 건조 대상물에 따라 적당한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노지 건조 방식은 최근에 와서 중국발 미세먼지나 중금속 이물질과 같은 비위생적인 물질들로 인한 오염과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량으로 건조하기가 부적합하므로 인위적인 건조 장치를 사용하여 한정된 공간에서 농수산물을 대량으로 건조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건조장치는 건조실 내부선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선반을 형성한 다음 선반 상에 그 내에 건조대상의 농산물, 수산물(피건조물)이 수납된 채반을 선반으로 적층 수납하여 열선장치 또는 열풍장치를 통해 건조한다.
이러한 건조방식은 적층 수납된 다수의 채반에 의해 전체 피건조물의 고른 열전달이 방해되어 균일한 건조 효율을 얻을 수 없었다.
그리고 피 건조물 전체의 고른 건조를 위해 일정 시간마다 채반의 위치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피 건조물을 섞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건조물의 질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특히, 고온 열기와 열풍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건조함에 따른 고온 열기가 직접적으로 닿은 피건조물의 겉만 건조되고 속은 거의 건조되지 않아 건조된 후의 농산물의 내부에서 부패가 발생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 피건조물의 속의 건조에는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 장치의 장시간 가동에 따라 에너지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면만 과하게 구어져서 타는 단점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었다.
건조 장치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573439호(2006년04월17일)에는 각종 농수산물을 건조할 시에 집 주위에 설치할 수 있어 도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다량의 농수산물을 동시에 건조가 가능하고, 뒷손질이 필요 없고, 사용상의 제반 편의성, 공간점유률은 최소화하면서도 많은 량의 농수산물을 건조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 용이성, 부분파손 시 부분 교환이 가능하고, 사계절 전천후로 사용 가능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7-0004622호(2017년01월11일)에는 개폐도어를 갖는 본체, 본체 내부에 형성된 건조실, 본체 측벽을 따라 형성된 격실, 격실과 연통되도록 건조실의 측벽에 형성된 통공, 본체 상부에 위치한 팬과 모터, 개폐가능한 급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본체 후벽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송풍실과, 복수 개의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실과 건조실이 연통되도록 본체 후벽에 복수 개 설치되는 발열 송풍부와; 상기 송풍구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각 송풍구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히터를 거쳐 건조실 내로 인입된 열풍은 상기 통공과 격실을 거쳐 팬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327721호(2021년11월12일)에는 다양한 물성의 부정형 피건조물의 파쇄 및 건조에 적용되며, 폐열을 회수하지 않고도 가능한 최대의 투입 열량을 건조에 활용할 수 있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 내부공간에 피건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건조결과물을 내부공간에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지며, 하기 벨트 컨베이어와 스크루를 내장하는 건조처리실; (B) 상기 건조처리실 내부공간의 상부에 건조처리실의 종축 방향으로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 (C) 상기 벨트 컨베이어와 건조처리실 하면 사이에 종축 방향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크루; (D) 최소한 상기 건조처리실의 하면으로 직간접으로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수단; 및 (E) 상기 건조처리실 상부로부터 내부의 함습배기를 배기하는 배기수단;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건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건조 장치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나, 특정 농수산물에 대하여 특화되고 효율이 높은 대용량 건조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조 장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효율적으로 작동되며 내구성이 있는 건조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건조 장치가 대용량의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산성이 높으며 장치의 내구성이 좋으며 유지 관리가 용이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용량의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산성이 높으며 장치의 내구성이 좋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복수의 송풍기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 전원 공급,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송풍기의 송풍량,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는 복수의 건조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대량으로 피처리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생산성이 높으며, 장치의 내구성이 좋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동부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건조판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커버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건조판과 커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건조판의 메쉬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다시마를 건조판에 배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건조판에서 메쉬망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동부의 정면 설명도이다.
도 3은 건조판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커버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건조판과 커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건조판의 메쉬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다시마를 건조판에 배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건조판에서 메쉬망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복수의 송풍기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 전원 공급,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송풍기의 송풍량,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는 복수의 건조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 장치에서 전방은 우측으로, 후방은 좌측으로 설정하고, 구동부(200)의 구동은 체인(23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동부의 정면 설명도이며, 도 3은 건조판의 사시 설명도이고, 도 4는 커버의 사시 설명도이며, 도 5는 건조판과 커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설명도이고, 도 6은 건조판의 메쉬망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설명도이며, 도 7은 다시마를 건조판에 배열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건조판에서 메쉬망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 장치는 구동부의 구조, 건조판의 구조와 결합 형태 및 커버의 구조들이 조화를 이루어 농수산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고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며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한 다양한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는 크게 하우징(100), 구동부(200), 건조부(300) 및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11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중앙에 구동부(200)가 설치되고, 전방에 다시마를 포함하는 건조 대상물의 준비와 배치를 위한 작업대(500)와 후방에 건조된 대상물을 회수하는 회수부재(600)가 구비되며, 양측면에 복수의 송풍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사이즈는 제한될 필요는 없으나 용이한 설명을 목적으로 예를 들면, 길이가 45m 이상이고, 폭은 5~15m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700)의 내측은 격벽(12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120)은 공기 순환용 도어들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200)의 우측에는 작업대(500)와 일체로 형성된 경사판(5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5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부(300)가 원만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가이드 레일(510)로 슬라이딩 되도록 기하학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순환용 도어들은 공기 및 폐열이 에너지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순환될 수 있도록 좌우의 높이가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측 출입구(110)을 기준으로 우측의 격벽(120)에 형성되는 공기 순환용 도어는 예를 들면 100 x 50 cm의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지면으로 부터 150 cm의 높이로 형성되고, 좌측의 격벽(120)에 형성되는 공기 순환용 도어는 100 x 50 cm의 4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저면이 지면으로 부터 50cm의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개 설치됨으로써, 건조에 이용된 더운 공기의 일부는 외부로 빠져 나가고, 일부의 신선한 공기는 외부에서 유입되어 건조를 위해 가열되는 방식으로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기(700)의 외측에는 하우징(100)의 프레임이나 패널이 구비되며, 패널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도어들과 에어필터들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20)에서 일부는 내부의 상태를 점거하기 위한 투시창으로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검검을 위하여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무한궤도식 체인 또는 컨베이어 벨트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직선부와 코너부가 육상 트랙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수직으로 구동하는 무한궤도식 체인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200)는 복수의 스프로켓(210)의 외측에 체인(230)이 2열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필요한 지점에 복수의 텐션롤러(220)가 설치되어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체인(230)이 구동되는 상부 높이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건조부(300)의 사이즈가 가로 220 cm, 세로 200 cm인 경우, 하부 높이는 가이드 레일(510)으로 부터 110~170 c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로 인하여 건조부(300)는 피건조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면과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일정 속도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스프로켓(210)은 하나만 구비되어도 작동이 가능하나, 상하 2개조의 총 4개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우측의 상하 스프로켓(210)은 하부의 스프로켓(210)이 상부의 스프로켓 보다 Y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스프로켓(210) 상의 체인(230)은 우측에서 90°이하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30°~ 89°사이로 형성되어 체인(230)의 이동에 의해 작업대(500)의 인접 지점에 건조부(300)가 도달될 때 작업대(500) 상에 건조부(300)가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조 작업, 구체적으로는 피건조물의 배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후단의 회수 부재(600)의 인접 위치에서 좌측의 상하 스프로켓(210)은 하부의 스프로켓(210)이 상부의 스프로켓 보다 Y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좀 더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후단부에서 체인(230)은 90°이상의 각도로 형성되어 건조부(300)가 이 지점을 통과하게 되면 건조된 대상물이 자유 낙하하여 회수 부재(600)의 내로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300)는 양단부가 상기 구동부(200)의 일측 또는 체인(230)에 힌지 결합되어 체인(230)의 이동에 수반되어 이동되면서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부재로써, 복수의 건조판(301과 커버(401)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판(301)은 수평 프레임(340, 350)과 수직 프레임(310, 320, 330)이 볼트 결합이나 용접 결합 등에 의하여 접하여 이루어고, 상기 수직 프레임 상에 복수의 가로재(360)가 일정 높이(예, 3cm)와 간격(예, 40 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판(301)은 인접하는 건조판(301)과 10cm의 간격으로 체인(230)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301)의 외측에는 메쉬망(391)이 결합되며, 상부는 외측에 돌출부(380)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체인(230)에 힌지 결합되며, 상부 내측에는 복수의 결합 부재(370, 예를 들면 장석 등)가 구비되어 커버(401)와 힌지 결합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결합 부재(370)는 커버(401)가 건조판(301)의 전장에 걸쳐서 이격된 틈을 형성하지 않도록 겹쳐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결합 부재의 높이는 가로재(360)의 높이 보다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301)의 하부에는 양측에 캐스터(390)가 구비되어 지면에서는 가이드 레일(510)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1)는 수평 프레임(440, 450)과 수직 프레임(410, 420, 430)이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하여 이루어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의 가로재(460)가 일정 두께(예, 3cm)와 간격(예, 40 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에는 메쉬망이 결합되며, 상면에는 수직 프레임(420) 상에 가압탄성 부재(470)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301)과 커버(401)은 힌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건조판(301) 상의 가로재(360)와 상기 커버(401)의 가로재(460)는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들의 재질은 금속재나 수지재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압 탄성 부재(47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판 스프링을 예시할 수 있으며, 중앙부가 일정 높이(예, 7~10 cm)로 구비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이가 너무 낮으면 가압 효과가 약하고 높이가 너무 높으면 피재료에 작용되는 하중이 너무 강하여 피처리물의 상태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상기 커버(401)가 우측에 인접한 건조판(301)의 하중에 의해 피건조물이 일정 압력하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피건조물은 반듯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건조되게 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판(301) 상의 가로재(360) 사이에 피건조물(P)이 안정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401)의 가로재(460)가 피건조물(P)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므로 건조부(300)가 일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면서 이동하더라도 피건조물(P)의 위치 이동이 없으며, 피건조물의 상태 역시 반듯한 형상을 유지하여 모양이 양호하면서도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판(301)과 커버(401)는 메쉬망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홀(392)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500)의 상부에는 일정 폭의 작업판(520)이 구비되고, 좌측에는 경사판(5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기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재질들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소재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대(500)의 작업판(520)의 좌측 단부는 상기 건조판(301)의 하단부와 어느 정도 겹침(예, 5 cm)이 일어날 수 있는 거리로 배치됨으로써, 작업자들이 일정 시간 동안 건조판(301)이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피건조물의 배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경사판(530)은 단부가 가이드 레일(510)에 원만한 각도(예, 탄젠트 구속 또는 각도)로 접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건조판(301)은 가이드 레일(510)까지 자연스러운 각도를 형성하며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와 추가로 온도 제어를 위한 히터, 습도계 및 작동 상태나 조건을 파악하기 위한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200)의 작동(시간, 속도 등), 전원 공급, 하우징(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송풍기(700)의 송풍량,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작동 스위치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 조건을 세팅한 다음, 구동부(200)의 작동 스위치를 온 시켜 장치의 모터를 포함한 구동 장치들이 구동되게 한 다음, 건조판(301) 상에 피건조물을 배치한 다음 커버(301)를 닫는다.
건조판(301)에 배치된 피건조물은 체인(230)의 이동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우측에서 좌측으로 가이드레일(510) 상에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커버(301) 상에 형성된 탄성 가압 부재(470)의 누름 압력에 의해 피건조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건조되게 된다.
건조판(301)이 회수 부재(600) 설치 지점에 이르게 되면 건조판(301)이 수직 상태를 이루게 되고 압력 상태가 해제되어 건조를 마친 피건조물은 하방의 회수 부재(600)의 내부로 자동 회수되게 할 수 있다. 상기 건조판(301)은 체인(230)의 상부에서는 일정 각도를 유지하다가 우측 단부(작업대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점점 더 직각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건조판(301)이 작업대(500)에 인접하여 도달하였을 때 대기하는 작업자는 커버(401)가 오픈된 상태에서 건조판(301) 상에 피건조물을 배치하고 커버(401)를 닫는다.
상기 구동부(200)는 일일 기준으로 체인(230)이 2~3 회전하는 매우 느린 속도로 가동되기 때문에 피건조물의 배치 작업에 부하가 걸리지 않으며, 건조 장치가 저속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다수의 건조판(예, 900 개)을 사용하므로 대량 건조가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하우징
200: 구동부
300: 건조부
400: 커버
500: 작업대
600: 회수대
200: 구동부
300: 건조부
400: 커버
500: 작업대
600: 회수대
Claims (4)
- 건조 장치의 외관을 이루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출입구가 구비되고, 양측면에 복수의 송풍기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작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어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구동부의 작동, 전원 공급, 하우징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송풍기의 송풍량,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부는 복수의 건조판과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의 스프로켓의 외측에 체인이 결합되어 형성되고, 우측의 상하 스프로켓은 하부의 스프로켓이 상부의 스프로켓 보다 Y축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판은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외측에는 메쉬망이 결합되며,
상기 커버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외측에는 메쉬망이 결합되며, 상면에는 가압탄성 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판과 커버는 상부에서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의 외측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격벽은 공기 순환용 도어들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외측에는 작업대와 일체로 형성된 경사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579A KR20240166834A (ko) | 2023-05-18 | 2023-05-18 | 농수산물 건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579A KR20240166834A (ko) | 2023-05-18 | 2023-05-18 | 농수산물 건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6834A true KR20240166834A (ko) | 2024-11-26 |
Family
ID=93703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4579A Pending KR20240166834A (ko) | 2023-05-18 | 2023-05-18 | 농수산물 건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6834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3439B1 (ko) | 2004-07-07 | 2006-04-26 | 정정호 | 농수산물 건조기 |
KR100640292B1 (ko) | 2004-04-27 | 2006-11-06 | 이충규 | 강제 순환식 건조기 |
KR20170004622A (ko) | 2015-07-03 | 2017-01-11 | 주식회사 썸백 | 건조기 |
KR102327721B1 (ko) | 2021-07-26 | 2021-11-17 | 김상민 | 하이브리드 건조기 |
-
2023
- 2023-05-18 KR KR1020230064579A patent/KR20240166834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0292B1 (ko) | 2004-04-27 | 2006-11-06 | 이충규 | 강제 순환식 건조기 |
KR100573439B1 (ko) | 2004-07-07 | 2006-04-26 | 정정호 | 농수산물 건조기 |
KR20170004622A (ko) | 2015-07-03 | 2017-01-11 | 주식회사 썸백 | 건조기 |
KR102327721B1 (ko) | 2021-07-26 | 2021-11-17 | 김상민 | 하이브리드 건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40328A1 (en) | Continuous air flow dehydrator and method for improved energy efficiency | |
CN107830696B (zh) | 一种模块化换向通风干燥机 | |
KR102206227B1 (ko) |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 |
CN103919250A (zh) | 果蔬烘干机 | |
RU2468315C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овой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 |
CN111780534A (zh) | 一种基于侧通风结构的料盘架定轨移动干燥机 | |
CN103919249A (zh) | 一种果蔬烘干机 | |
CN109013463A (zh) | 一种基于吸尘清洗并联合烘干的农业玉米加工用筛选设备 | |
CN206583238U (zh) | 一种可变风向的多通道混流干燥箱 | |
KR20240166834A (ko) | 농수산물 건조 장치 | |
US3237315A (en) | Grain dryer | |
CN104172445B (zh) | 平面往复式果蔬干燥机 | |
RU2238492C1 (ru) | Суш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 |
US3673699A (en) | Grain drying apparatus | |
CN103005656B (zh) | 全自动烤烟房 | |
CN208779874U (zh) | 卧式烘干机 | |
RU2175427C1 (ru) | Установка сушильная конвейерна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 |
US1608263A (en) | Dehydrator | |
CN104146320B (zh) | 往复阶梯式果蔬干燥机 | |
CN2418445Y (zh) | 节能型翻板式气流烘干机 | |
US844252A (en) | Drier. | |
CN220507601U (zh) | 一种物料烘干设备 | |
JPH10225283A (ja) | 食品等冷凍物の業務用解凍装置 | |
CN203776116U (zh) | 一种果蔬烘干机 | |
CN215176743U (zh) | 烘干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