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6036A -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6036A
KR20240166036A KR1020247037745A KR20247037745A KR20240166036A KR 20240166036 A KR20240166036 A KR 20240166036A KR 1020247037745 A KR1020247037745 A KR 1020247037745A KR 20247037745 A KR20247037745 A KR 20247037745A KR 20240166036 A KR20240166036 A KR 2024016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control
occupancy
control assembly
backplate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릭 리차드슨
패트릭 프렌더개스트
알렌 스테드맨
댄 블라세
크리스 키서
Original Assignee
데아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074,915 external-priority patent/US10063002B2/en
Application filed by 데아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데아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US15/253,815 external-priority patent/US1015311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5/253,819 external-priority patent/US20170115649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5/253,811 external-priority patent/US10078786B2/en
Publication of KR2024016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603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8Monitoring;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011Domotique, I-O bus, home automation, building autom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생활 공간 기능 제어 장치는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 무선 기능, 및 프로그래밍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생활 공간 기능 제어 장치는 접속 전선함, 백플레이트, 장치 제어 어셈블리 및 페이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으로 구성되어 제어 장치가 도구없이, 교환, 업그레이드 또는 교체되게 한다. 제어 장치는 상이한 사용자들을 식별하는 것, 사용자 선호도를 기록하는 것,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서 조명을 자동으로 켜고 끄는 것, 블라인드를 자동으로 닫는 것, 보안 동작을 개시하는 것, 인터컴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것, 점유자 위치를 삼각 측량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유도성 신호 및 전력 전달을 위한 유도성 코일과, 선택가능한 사용자 생활 공간 제어를 위한 회전식 광학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장치 제어기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빌딩 기능의 자동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업용 또는 거주용 빌딩에서의 기존의 전선 시스템을 변경하는 것은 주로 어렵고/거나 많은 비용이 든다. 상업용 또는 거주용 빌딩에서의 전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전선이 빌딩 전반의 고정된 위치에 위치한 전기 접속 전선함과 주전원 사이에서 라우팅되는 다수의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알려진 또는 예상되는 수요에 기초하여, 특정 전기 접속 전선함은 전기 전원으로 직접 액세스하도록 배선되지만(예를 들어, 전기 아웃렛), 전기 전원으로의 액세스가 전기 스위치(예를 들어, 조명 또는 스위칭된 전기 아웃렛)에 의해 제어되도록 다른 전기 접속 전선함이 배선된다. 전선은 통상적으로 빌딩의 건설 단계 동안 설치되고, 전기 및 빌딩 코드에 따라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며, 마무리 단계 동안 커버된다. 이와 관련하여, 변화하는 수요에 응답하여 기존 전선 시스템의 변경은 일반적으로 액세스가능한 전기 접속 전선함 내에서의 전기 접속의 작은 변경 및 새로운 전선의 설치로 제한되며, 주로 리모델링(remodeling) 및/또는 리피니싱(refinishing)을 필요로 한다.
또한, 주전원에 접속된 전기 아웃렛 또는 스위치와 같은 기존 전선 장치의 교체, 수리, 또는 변경은 주로 안전 우려 및/또는 적절한 전선 구성에 관한 불확실성 때문에 숙련공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주전원에 접속된 전기 아웃렛 또는 스위치를 교체 및/또는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안전하고, 시간 효율이 높은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개시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업그레이드가능하고 프로그래밍가능한 생활 공간 기능 제어 장치는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 및 사용자 접속 전선함 내부에 단단하게 하우징하고 접속 전선함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 수납기는 적어도 활성 상태 및 비활성 상태를 갖는 커버와,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해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를 수납기와 유도성으로 접속시키는 것 및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생활 공간 제어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기 수납기는 수납기와 함께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를 착탈식으로 수용하고, 활성화하며, 동작 제어를 위해 유지하도록 구성된 잠금장치(lock)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무선 어드레싱가능한 접속 및 조명 제어, 기기 제어, 음성 제어, 움직임 제어, 오디오 제어, 보안 제어, 비디오 제어, 및 실내 온도 제어(climate control)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무선 프로그래밍 생활 공간 기능을 위한 프로그래밍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생활 공간 기능의 촉각(청각, 시각, 터치) 사용자 제어 및 무선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차등적(differential)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도구없이(toollessly) 교체가능하고 시간에 따라 사용자 기능 선택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이전에 기록된 사용자 기능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기능 선택을 예측하고 사용자들 사이를 구별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적어도 창문 불투명도 및 창문 차양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선택적인 사용자 생활 공간 제어를 위해 제어기와 수납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회전식 광학 인코더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승인되지 않은 점유자가 검출되는 경우 보안 조치의 일부로서 점유자 잡음 및 사용자가 기록한 잡음을 재생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핸드 헬드 장치 또는 점유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적어도 3개의 제어기 및 수납기 쌍을 사용하여 삼각 측량을 수행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빌딩의 점유된 방에 대한 접속을 능동적으로 유지하는 인터컴 통신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 시스템 스위치의 구성요소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런트 디스플레이(dead front display)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전선함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모듈식 제어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갭 액츄에이터에 의해 차폐된 백플레이트 접촉부를 갖는 백플레이트의 등측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된 백플레이트 접촉부를 갖는 백플레이트의 등측도이다.
도 4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 어셈블리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도 4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에 연결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의 등측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전선함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모듈식 제어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직사각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인덕턴스 코일을 더 포함하는 백플레이트의 등측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코일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장치 제어 어셈블리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인덕턴스 코일을 더 포함하는 백플레이트의 등측도이다.
도 6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인덕턴스 코일을 포함하는 원형 장치 제어 어셈블리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내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의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론트 스위치의 "오프"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론트 스위치의 "디머(dimmer)"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9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론트 스위치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9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론트 스위치의 "알림"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9e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CIE 1931 색 공간 색도도를 도시한다.
도 9f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런트 스위치의 "색상 선택"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한다.
도 10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디머 회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디머 회로 위상 응답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0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백열 광원을 어둡게 할 때 선형화 패턴의 그래프 플롯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명령을 녹음하고 처리하는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 적외선 점유 센서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능동 적외선 점유 센서 어셈블리의 전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에서의 점유자를 검출하기 위해 이용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계속되는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위에 겹쳐지는 도 15a에 도시된 식별된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c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위에 겹쳐지는 도 15c에 도시된 식별된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e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식별되는 신체의 전면에서 팔을 들고 있는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f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도 15e에서의 사람의 팔이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의 전면에 존재하는 위치를 도시한다.
도 15g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적인 전면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 위에 겹쳐지는 식별되는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15h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사람의 하위 부분이 정적인 전면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식별되는 이미지에 위치하는 영역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직장으로부터 가정으로 복귀할 시에 점유자에 의해 계속되는 예시적인 루틴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집으로의 진입 시에 점유자에 의해 수행되는 예시적인 루틴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으로서 동작하고 점유자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는 3개의 점유 센서에 의한 블루투스 무선장치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으로서 동작하는 점유 센서에 의한 삼각법이 점유자의 위치에 대한 모호한 결과를 식별할 때의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점유자에 대한 안면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계속되는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의 조명을 자동화하는 다수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도시한다.
도 2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의 조명을 자동화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3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움직이고 있는 점유자에 대한 열전퇴(thermopile) 어레이 센서의 예시적인 출력을 도시한다.
도 23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정지된 점유자에 대한 열전퇴 어레이 센서의 예시적인 출력을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점유자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의 센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초전형 적외선 센서(pyroelectric infrared sensor)가 센서 어셈블리에서의 센서 중 하나일 때 방의 점유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점유자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계속되는 단계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6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을 활용하는 예시적인 인터컴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것이 가능한 점유자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을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다수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의 기능 및 이용할 수 있는 억제 조치를 도시한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이전에, 발명의 개념은 본 출원서에서 다음의 설명에 제시된 또는 도면에서 도시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방법의 구성 및 배열의 상세에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구체적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의 자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개념이 더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특정 상세가 제시된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이 이들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구체적인 개시의 장점을 취하는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다른 경우에, 잘 알려진 특징들은 구체적인 개시를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도록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에서 이용된 어법 및 전문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개시된 청구 대상에 대한 참조가 자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빌딩 기능을 자동화하는 장치 제어기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가 설명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빌딩에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제어기의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장치 제어기를 하나 이상의 부하와 페어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장치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페어링된 부하를 조정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구성가능한 네트워크 상에서 임의의 다른 장치 제어기에 연결된 임의의 부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에서의 장치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모듈식 장치 제어기의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원을 유지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백플레이트의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빌딩 점유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빌딩 점유 습관을 판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예상되는 빌딩 점유 습관에 기초하여 빌딩 기능을 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는 시스템 설정과 일치하도록 빌딩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자동화에 관한 것이다.
빌딩의 전선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전원(예를 들어, 주전원)으로부터 빌딩 전반에 위치한 다수의 전기 접속 전선함으로 라우팅하는 다수의 전기 회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전선을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은 전기 퓨즈함(회로 차단기 패널)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전력 분배 패널로부터 다수의 전기 접속 전선함으로 라우팅된다. 전기 접속 전선함은 또한 전력 케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전선에 전기 장치가 접속될 수 있거나, 전선을 종단시키는 엔클로저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분배 패널과 하나 이상의 전기 장치 또는 장치 제어기 사이의 전기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접속 전선함은 추가적으로 전기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구조적 지지를 제공한다.
접속 전선함 사이에서 라우팅되는 전선의 수 뿐만 아니라 전기 접속 전선함 사이의 전선의 구성의 토폴로지는 접속 전선함 내에 설치될 전기 장치의 예상되는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전선 시스템과 연관된 전력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벽과 연관된 스터드와 빌딩의 천장과 연관된 조인트 사이에서 라우팅되고 통상적으로 빌딩 및 전기 코드에 따라 고정된다. 따라서, 전기 접속 전선함 사이의 전선의 수 및 구성의 변경은 어려울 수 있고/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전선 시스템에 연결된 장치 제어기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고 데이터 통신에서 전기 부하의 조정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 제어기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은 전선 시스템과 연관된 전선 전기 접속의 기능을 보충하고/거나 확장시켜 부하 조정에 대한 완전하게 사용자 지정가능한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장치 제어기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에 추가적인 장치(예를 들어, 차양, 센서, 조명 기구, 전기 기기 등)를 통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추가 실시예는 통합된 추가 장치(예를 들어, 센서, 조명 기구, 전기 기기 등)를 시스템 설정에 따른 기능에 대해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장치 제어기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의 유연한 변경을 위한 상호교환가능한 장치 제어 어셈블리를 갖는 모듈식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원에 설명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되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 및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모듈식 제어 유닛(100)에 및/또는 자동화 가정용 제품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조명 스위치, 디머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190)에 연결된다. 여기서 부하 장치는 하나 이상의 부착된 전기 장치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명 기구, 팬, 또는 전기 아웃렛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유형의 부하 장치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전원(122)에 접속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조명 제어기 시스템(10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되고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공급하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는 마이크로폰(124), 기계적 스위치(128), 용량성 센서(162), 또는 트랙패드(18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메쉬 회로(17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항성 센서는 트랙패드(18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랙패드(180)는 터치 및/또는 터치 제스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감지 회로 및 로직 회로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제어 유닛 어셈블리(101)에서 마이크로제어기의 범용 입력/출력 프로세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기계적 스위치(128)(예를 들어, 돔 스위치 등)로부터의 입력을 사용하여 기계적 구동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적 스위치(128)가 눌러지면 부하 장치(190)가 토글된다(활성화됨). 예를 들어, 기계적 스위치(128)가 눌러지면 조명이 꺼지는 것에서 켜지는 것으로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기계적 스위치(128)가 눌러지면 디밍 회로(166)는 발광 부하 장치(190)의 조명 레벨을 낮추도록 조명 디머(184)를 활성화시킨다. 다른 예시로서, 기계적 스위치(128)가 눌러지면 팬은 켜지는 것으로부터 꺼지는 것으로 스위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디스플레이(182), 마이크로폰(124)을 위한 구멍,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126)를 포함하는 전면부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124)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126)는 오디오 코덱(160)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LED 드라이버(164)가 디스플레이(182)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가 디스플레이(18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는 아크릴 또는 유리로부터 제조된다. 디스플레이(182)는 시각적 데이터를 나타내기에 적합한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유형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2)는, 액정 디스플레이, 데드 프런트 디스플레이, 또는 백릿 오버레이 디스플레이(backlit overlay display)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데드 프런트 디스플레이(24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42)는 데드프런팅으로서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라이트(248)는 하나 이상의 LED, 하나 이상의 광 가이드, 하나 이상의 레이저, 하나 이상의 균질기, 하나 이상의 필터, 또는 하나 이상의 편광자와 같은 조명을 생성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조명 부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라이트(248)는 백색 조명 또는 특정 색의 조명과 같은 임의의 색상의 조명을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라이트(248)에 의해 제공되는 조명의 색상은 조정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데드프런팅 기술은 이미지가 반투명 매체(244)의 상부에 불투명한 매체(246)로 프린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투명 매체(244)는 백라이트(248)에 의해 조명되지 않는 경우 불투명하게 보인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투명 매체의 그래픽은 불투명한 매체(246)가 백라이트(248)에 의해 조명되는 경우 커버 렌즈(242)를 통해 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의 분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장착하고 전선 시스템으로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백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기 접속 전선함(102) 및 백플레이트(130)는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로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백플레이트(130)와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전기 접속 전선함(102)을 커버하도록 구성된 페이스플레이트(faceplate)(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백플레이트(13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위해 표준화된 장착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치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를 통해 전선 시스템에 제거가능하게 및/또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부하 장치(110)는 전선 시스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된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 장치(110)는 조명 기구 또는 팬과 같이 배선된 부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부하 장치(110)는 부하가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아웃렛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이동, 업그레이드, 또는 교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침실에 설치된 스위치를 위해 욕실에 설치된 디머를 교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장치 제어기로부터 전선 시스템으로의 안전하고 단순한 전기 접속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AC 아웃렛, USB 충전기, 또는 상이한 조명 설비(1방향, 3방향 및 4방향)를 제어하기 위한 AC 주전원 및 다수의 전선 구성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 단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로의 접속이 정확하게 배향되도록 맞춰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가 이미 접속 전선함(102)에 설치되어있는 종래의 제어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존 AC 아웃렛 리셉터클 또는 조명 스위치로부터의 인터포저가 교환가능한 플러그를 만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포저는 비장치 제어 어셈블리 장치를 장착하고 기존 스위치 단자로부터 백플레이트(130)에서 정확한 접속에 대해 인터페이싱하는 플러그에 접촉하도록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가구가 벽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리세싱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백플레이트(130)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액세스가능한 플러그의 위치는 백플레이트(130)로의 인터페이스의 위치와 동일하여서 리셉터클 깊이가 백플레이트(130) 리셉터클의 깊이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전선 시스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를 작동, 조정, 또는 제어하는 전기 회로 및/또는 기계적 부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하나 이상의 버튼, 기계적 스위치, 하나 이상의 전기 계전기, 하나 이상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또는 하나 이상의 TRIAC(triode for alternating current)를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토글 스위치, 디머 스위치, 교류(AC) 전기 아웃렛, 직류(DC) 전기 아웃렛(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아웃렛), 기계적 스위치, 또는 다기능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장치 제어기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하나 이상의 스피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을 통해 전선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서 종단되는 전선 시스템을 통해 전력 분배 패널에 연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백플레이트(130)는 2개의 도체 전력 케이블, 3개의 도체 전력 케이블, 또는 4개의 도체 전력 케이블과 같이 임의의 수의 도체를 갖는 전력 케이블을 종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백플레이트(130)는 임의의 구성으로 임의의 전선 시스템과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는 접지 소스(예를 들어, "접지"선), 전원에 접속된 전선(예를 들어, "열"선), 또는 중성 모선(neutral bar)(예를 들어, "중성"선),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전선(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트래블러"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백플레이트(130)는 임의의 게이지의 전선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14-게이지 전선(예를 들어, 14/2 전력 케이블 또는 14/3 전력 케이블)을 수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12-게이지 전선(예를 들어, 12/2 전력 케이블 또는 12/3 전력 케이블)을 수용한다. 전기 시스템은 부품들 사이에 임의의 수의 스위치 또는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전선 시스템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제시되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을 통해 전선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트위스트 온(twist-on) 전선 접속기를 통해 전기 배선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는 트위스트 온 전선 접속기를 통해 전력 케이블에 연결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푸쉬 인(push-in) 전선 접속기를 통해 전기 배선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는 "열"선, "중성"선, "접지"선, 또는 "트래블러"선과 같은 전력 케이블에서 도체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푸쉬 인 접속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백플레이트(130)과 전기 배선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의 변경 없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상호교환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제거될 수 있고 백플레이트(130) 또는 전선 네트워크로의 연관된 전기 접속에 대한 변경 없이 디머 스위치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로 교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전선 시스템 및 상호교환가능한 기능 유닛(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 반영구 요소(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크류를 통해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 부착된 백플레이트(130))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가 전선 어셈블리로부터 전원을 통하게 하도록 연결되는 동안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가 백플레이트(130)로 삽입될 수 있거나 백플레이트(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에 설정된 전기 접속은 "열"선 접속을 설정하기 이전에 접지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서 하나 이상의 장치 위치를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서 하나의 위치를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단일 백플레이트(130)는 1-갱 전기 접속 전기함(102)에 장착될 수 있고, 두 백플레이트(130)는 2-갱 전기 접속 전기함(102)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백플레이트(130)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장치와 나란히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 및 통상적인 조명 스위치가 2-갱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가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둘 이상의 위치를 점유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단일 백플레이트(130)는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서 단일 위치를 효과적으로 점유한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서 둘 이상의 위치를 점유하는 백플레이트(130)는 임의의 크기의 하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일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의 임의의 부분을 효과적으로 점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백플레이트(13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의 일부를 커버하는 페이스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페이스플레이트(104)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하나 이상의 요소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10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플레이트(104)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스피커,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106)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페이스플레이트(104)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하나 이상의 요소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반면, 전기 접속 전선함(102)의 노출된 영역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 부착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또는 백플레이트(130)는 노출된 전기 접속 전선함(102)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남길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페이스플레이트(104)는 접속 전선함의 하나 이상의 노출된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도 4a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130)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에 의해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인접 요소(예를 들어, 케이싱(132))와 연관된 마찰을 통해 유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는 저항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폐쇄 위치로 남아있도록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를 강제하는 장력(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으로 유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힘이 인가되어야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로부터 케이싱 내의 전자 부품으로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 패드(118)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를 통해 전선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 패드(118)는 브라스(brass)와 같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백플레이트(130) 사이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백플레이트(130) 사이의 전기 접속이 설정되었을 경우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백플레이트(130)에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잠금 기능(12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삽입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하나 이상의 접촉 패드(118)와 전선 어셈블리(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력 케이블) 사이에 하나 이상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백플레이트 접촉(15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예를 들어, 백플레이트 접촉(152)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접촉 패드(118)와 연결되어 있음) 백플레이트(130)에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고정하는 잠금 레버(1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에어 갭 액츄에이터(144)의 이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에어 갭 액츄에이터 잠금 장치(14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갭 액츄에이터 잠금 장치(148)는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싱(132)은 백플레이트(130)로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키 피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피쳐(158)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유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 피쳐(158)는 양각된 피쳐, 리세싱된 피쳐,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키 피쳐(158)는 잠금 위치에서 에어 갭 액츄에이터 잠금 장치(148)의 높이 이상의 높이를 갖는 양각된 피쳐이다. 이와 관련하여, 에어 갭 액츄에이터 잠금 장치(148)는 하나 이상의 키 피쳐(158)(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상의 키 피쳐)를 갖는 물체에 액세스가능하다.
도 4b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노출된 백플레이트 접촉(152)을 갖는 백플레이트(130)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전기 접촉을 만든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상에서 접촉 패드(118)와의 전기 접촉을 만들도록 구성된 백플레이트 접촉(152)을 포함한다.
도 4c는 커플링 탭(168)을 포함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커플링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가 백플레이트(130)와 상호교환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백플레이트(130)에 연결하는 경우 커플링 탭(168)은 에어 갭 액츄에이터 잠금 장치(148)를 작동시키기 위해 백플레이트(130)의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수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는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하우징하기 위한 센서 패널(11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패널은 마이크로폰(124), 스피커(126), 및/또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를 하우징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 및/또는 센서 패널(114)은 페이스플레이트(104)의 하나 이상의 개구(106)를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전자 및/또는 기계 부품(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12) 및 디스플레이(182)와 연관된 부품, 부하 조정과 연관된 부품, 센서 패널(114) 내의 하나 이상의 센서 등)을 둘러싸는 케이싱(11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케이싱(116)은 밀폐된 엔클로저를 제공한다. 또한, 케이싱(116) 내의 콘텐츠로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제거가능한 패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4d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백플레이트(130)에 연결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모든 전기 접속(예를 들어, 접촉 패드(118))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액세스불가능하도록 백플레이트(130)의 개구(142) 내에 단단하게 끼워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를 수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하우징하기 위한 센서 패널(11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패널은, 마이크로폰(124), 스피커(126), 및/또는 점유 센서를 하우징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2) 및/또는 센서 패널(114)은 페이스플레이트(104)의 하나 이상의 개구(106)를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의 전선 접속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 및/또는 전력은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플레이트(130)는 로직, 메모리 및 통신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트랜시버는 1-선, I2C, SPI, USB, 또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4d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상호교환가능하게 수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수용하는 부분적으로 둘러싸인 개구(142)(예를 들어, 캐비티 등)를 형성하는 케이싱(13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장착 플레이트(134)를 포함한다. 장착 플레이트(134)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 상에서 대응하는 장착 홀과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 참조). 또한, 백플레이트(130)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홀(136)을 통해 하나 이상의 스크류에 의해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백플레이트(130)는 전기 접속 전선함(102)에 반영구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134)는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메커니즘에 의해 케이싱(13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 플레이트(134)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138)를 통해 케이싱(132)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장착 플레이트(134)는 하나 이상의 캐치(catches)를 사용하여 케이싱(13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장착 플레이트(134)는 케이싱(132) 상으로 "스냅핑(snap)"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백플레이트(130)는 통합된 장착 플레이트(134) 및 케이싱(132)을 포함할 수 있어서 장착 플레이트(134) 및 케이싱(132)은 연속적인 조각의 동일한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본원에서 상술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의 설명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되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페이스플레이트(104) 또는 백플레이트(130)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페이스플레이트(104)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 없이 전선 시스템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백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와 연결되는 경우 전기 접속 전선함을 완전하게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전선 시스템에 직접 연결하도록 구성된 장치 제어 유닛(100)을 포함하고 전선함을 완전하게 커버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의 분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전기 접속 전선함(102) 내에 장착하고 전선 시스템으로의 전기 접속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키 피쳐(158)를 포함하는 백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포함하고 백플레이트(130)의 키 피쳐(158)와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6a는 백플레이트(130) 상에서 유도성 코일(175) 및 키 피쳐(158)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엔클로저 백플레이트(130)를 도시하는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식 제어 유닛(100)은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의 데이터 통신 및/또는 전력 전달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유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백플레이트(130)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위치한 유도성 코일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가 백플레이트(130)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 차폐를 위한 필요성을 제거하고 전기 접속을 제거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인덕턴스 코일(176)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6)은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의 인덕턴스 전력 전달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6)은 백플레이트(130)를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6b는 직사각형 하우징(132)에 의해 구성되고 인덕턴스 코일(178)을 포함하며 백플레이트(130) 상에 키 리세스(150)를 포함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8)은 백플레이트(130)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사이의 인덕턴스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8)은 백플레이트(130)로부터의 인덕턴스 전력 전달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의 인덕턴스 코일(176)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인덕턴스 코일(178)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백플레이트(130)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6c는 원형 엔클로저 리세스 상의 유도성 코일(176) 및 키 피쳐(158)를 포함하는 원형 엔클로저 리세스 백플레이트(130)를 도시하는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6)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백플레이트(130) 사이의 인덕턴스 전력 전달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6)은 백플레이트(130)를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는 광학 판독기(156) 위에 위치한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15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판독기(156)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상에서 광학 마크(159)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원형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가 백플레이트(130)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광학 마크(159)가 광학 판독기(156) 위에서 움직일 것이고 스캐닝될 것이다.
도 6d는 원형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후면의 등측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인덕턴스 코일(178)을 포함하고 키 리세스(150)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덕턴스 코일(178)은 백플레이트(130)로부터 인덕턴스 전력 전달을 수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백플레이트(130)의 인덕턴스 코일(176) 및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인덕턴스 코일(178)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백플레이트(130)를 통신가능하게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회전식 인코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식 인코더는 판독기 및 표시 마크를 포함한다. 인코더는 표시 마크가 인코더를 거쳐 움직이는 것을 측정하고 인코더가 이동한 위치, 속도 및 거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백플레이트(130)는 광학 인코더, 자기 인코더, 용량성 인코더 또는 광섬유 인코더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마스킹된 광학 인코더 또는 위상 어레이 광학 인코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하우징의 뒷부분 상의 광학 마크(159)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마크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 하우징의 뒷부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라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마크(159)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하우징의 뒷부분에 원형으로 배치된 패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백플레이트(130)의 광학 판독기(156) 위에 광학 마크(159)를 이동시킬 것이고 스캐닝될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가능한 네트워크(700)의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된 네트워크(700)는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되고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702 내지 710) 및 하나 이상의 부하 장치(720 내지 74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연결된 모바일 장치(712)(예를 들어, 전화기, 태블릿,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 등)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2 및 704)는 부하 장치(720 및 722)에 물리적으로 페어링되고 3방향 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6)는 부하 장치(726 내지 730)와 물리적으로 페어링되고 부하 장치(726 내지 728) 및 부하 장치(73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는 다기능 키패드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8 및 710)는 부하 장치(732 내지 736)와 물리적으로 페어링되고 3방향 스위치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8)는 항상 온(on)이 되도록 구성되어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8)만이 부하 장치(732 내지 736)를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724, 738, 및 740)는 네트워크(700)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임의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702 내지 710)와 물리적으로 페어링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702 내지 710)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경로를 통해 네트워크(700) 내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네트워크 회로 및 연관된 네트워크 하드웨어는 메쉬 네트워크 토폴로지(예를 들어, 유체 메쉬 토폴로지)에서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BLE 메쉬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주로 BLE 광고 패킷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들 사이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모바일 장치(712) 및 부하 장치(724, 738, 및 740)는 메쉬 네트워크(700) 내의 노드들이다. 이와 관련하여, 메쉬 네트워크 상의 각각의 노드는 메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송 또는 재전송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단일 홉 또는 다중 홉 경로를 통해) 메쉬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712)는 네트워크(700)를 통해 부하 장치(738 및 740)와 페어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장치(712)는 부하 장치(738)에 도달하기에 불충분한 데이터 범위(718)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장치 제어 어셈블리(708)는 (예를 들어, 유체 메쉬 네트워크에서) 리피터(repeater)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데이터 범위(716)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712)의 데이터 범위(718) 및 부하 장치(738)의 데이터 범위(714)와 중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노드는 네트워크와 연관된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모바일 전화기, 태블릿, 차고 문 제어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20), 문/창문 센서, 온도 센서(1212), 습도 센서(1210), 하나 이상의 연기 탐지기(1216), 일산화탄소 탐지기(1214), 또는 다른 원격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BLE 메쉬 네트워트에 연결된 모든 장치는 이들이 장치 제어기 어셈블리(110)인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메쉬 네트워크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메쉬 네트워크는 장치 제어기 어셈블리(110), 모바일 전화기, 태블릿, 텔레비젼, 조명 기구, 센서, 원격 제어기, 컴퓨터,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712)는 네트워크(700) 내에서 부하 장치(190)와의 통신을 위해 장치 제어 어셈블리(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706))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장치 제어 어셈블리(706)는 모바일 장치(712)와 네트워크(700) 상의 임의의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브릿지로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장치(712) 또는, 대안으로 임의의 연결된 장치(예를 들어, 연결된 텔레비전, 연결된 전기 기기, 착용가능한 장치 등)는, 네트워크(700) 상에서 정확하게 통신하는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장치 제어 어셈블리(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706))는 제 1 프로토콜(예를 들어, 유체 메쉬 프로토콜) 상의 네트워크(700) 및 제 2 프로토콜(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 상의 연결된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어서 네트워크(700) 상에서 연결된 장치와 하나 이상의 장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브릿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제어(702) 어셈블리(702 내지 710), 모바일 장치(712), 및 부하 장치(720 내지 740) 사이를 페어링하는 임의의 수의 장치가 구성가능한 네트워크(700)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페어링의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내의 구성가능한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집의 평면도(800)이다. 여기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벽에 연결된 반원으로서 평면도(800)에 도시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평면도(800)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DC1 내지 DC11로 표시되고 벽에 연결된 반원에 의해 표현된다. 평면도(800)에서 문 및 창문 센서는 S1 내지 S9로 표시되고 문 또는 창문 위치에 연결된 직사각형에 의해 표현된다. 평면도(800)는 메쉬 연결된 조명 기구를 별표로서 도시하고 ML1 내지 MLS 3로서 메시 연결된 조명 기구를 표시한다. 평면도(8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 기구를 중간의 구멍과 함께 별표로 도시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 조명기구는 EC1 내지 EC14로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부품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키패드, 조명 디머, 색상 제어기 또는 조명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 광원 또는 메쉬 네트워크 연결된 광원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부하 장치(190)에 연결된 메쉬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메쉬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 또는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임의의 전술된 예시에서 본원에 설명된 장치의 그룹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조명 스위치로서 기능하고 연결된 부하 장치의 상태를 토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램프의 색상, 조명 색조를 변하게 하는 색상 제어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연관된 부하 장치(190)의 선형 패턴에 따라 연결된 부하 장치의 밝기를 설정하는 디머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부하 장치(190)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되면, 전달되는 에너지가 디머 회로를 사용하여 제한된다. 예를 들어, 교류를 위한 3극관(TRIAC) 디머가 부하 장치(190)에 연결될 수 있어서 장치의 발광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부하 장치(190)에 연결된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는 부하 장치(19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노드에 메쉬 네트워크 커맨드를 송신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동일한 부하 장치(190) 또는 부하 장치(190)의 그룹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에 연결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다른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가 동일한 부하 장치(190)에 연결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메쉬 네트워크는 3방향 또는 4방향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3방향 조명 스위치 구성은 두 조명 스위치가 조명 또는 조명의 그룹을 디밍하거나 턴 온(turn on) 및 턴 오프(turn off)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통상적인 4방향 스위치는 둘 이상의 스위치를 3방향 구성에 추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이들 3방향 및 4방향 스위치는 스위치를 제어하는 특수 전선을 필요로 할 수 있고 보수를 하지 않는다면 집 건축 이후에 전선은 통상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표 1은 집의 다양한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부하 장치(190)를 예시하는 페어링된 장치와 조명 L1 내지 L26의 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가 동일한 부하 장치(190)에 연결되는 경우, 전선을 업데이트하는 것 없이 3방향 스위치 기능이 달성된다. 예를 들어, 3방향 스위치 기능이 표 1에 예시되고 H1A 및 H1B의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가 광원(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쉬 연결된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 LR1 및 조명 L6, L7 및 L15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 H1A 또는 H1B를 작동시키는 것은 모든 조명이 동일한 상태에 있다면 조명 L6, L7, 및 L15의 상태를 토글한다. 여기서 조명(15)은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 H1A, H1B 및 LR1에 의해 제거가능하여, 상황은 더 복잡해지고 이러한 스위치 동작이 표 2에 설명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주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표 3은 상이한 디스플레이 모드에 액세스하는 상이한 방식의 예시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드가 데드프런팅 및 터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디스플레이(182)는 오프, 디머, 알림, 색상 선택, 및 키패드의 모드에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디스플레이 모드는 사용자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상이한 피쳐와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표 4는 사용자가 LUC(Load Under Control)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 제어 장치 어셈블리(110)와 인터랙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a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의 "오프"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의 "디머" 디스플레이 모드(904)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9c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의 "키패드"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9d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의 "알림"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고, 알림은 적색 백라이트(248)에 의해 발광하는 삼각형(906)으로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탭, 이중 탭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182) 상에서의 깜박이는 형상과 인터랙팅할 수 있어서 알림에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삼각형(906)은 문(예를 들어, 차고 문, 정문 등)이 개방 또는 잠금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적색으로 깜박일 수 있다. 응답하여, 사용자는 차고 문을 닫거나, 정문을 잠그고, 알림을 리셋하도록 삼각형(906)을 탭핑할 수 있다(예를 들어, 삼각형(906)을 공칭 조명 프로파일로 리턴함).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형상은 상이한 알림(문 개방, 창문 개방, 부재중 전화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형상은 임의의 수의 조명 프로파일(예를 들어, 색상 및 조도의 조합)에 의해 발광하여 임의의 수의 알림을 나타낸다. 도 9e는 녹색 파장(912), 청색 파장(914), 및 적색 파장(916)을 갖는 CIE 1931 색 공간 색도 다이어그램 차트(910)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도 9f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 위에서 중첩된 1931 CIE 색상 차트(9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의 "색상 선택" 디스플레이 모드를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CIE 1931 색 공간 색도 다이어그램 차트(910)의 근사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 위에 중첩되고 원형 이미지 위에 녹색 파장(912), 삼각형 이미지 위에 청색 파장(914), 및 정사각형 이미지 위에 적색 파장(916)을 위치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트랙패드(902) 상에서 1931 CIE 색상 차트(910)의 근사로부터 디스플레이를 위한 색상을 선택한다.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부하 장치(190)로 전달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전자 조명 디머 회로(1001)를 갖는다. 예를 들어, TRIAC 기반 디머 회로는 요청된 딤 레벨을 AC 라인 위상각으로 변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의 요청된 딤 레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딤 레벨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결정된다. 도 10a는 접지(1002)에 대해 AC 라인(1004)의 파형의 영점 교차(zero-crossing)(1010)을 검출하는 디머 회로(1001)를 도시하는 회로 도면이다. 도 10b는 도 10a에 의해 파형 위상 각도(1012)의 연관된 분석을 도시하는 AC 파형 위상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제어기 시스템(108)은 영점 교차(101)를 검출하고 위상 각도(1012)와 동일한 시간 지연까지 계산하여 전류가 TRIAC(1008)을 통과하여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TRIAC(1008)의 게이트(1006)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TRIAC(1008) 디머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하 장치(190) 상에서만 동작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밍 레벨은 또한 위상 각도 대신 반원의 비율로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C 라인은 부하 장치(190)에 진입하는 하위 평균 전압 레벨(1003)을 가질 것이고, 부하 장치(190)에 대한 디밍 효과를 야기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00)는 자체에 연결된 부하 장치(190)의 유형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부하 장치(190)가 형광등, 백열등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는 직도선에 의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는 자기 저전압 변압기에 의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가 전자 저전압 변환기에 의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부하 장치(190)가 디밍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의 유형은 시간에 따라 부하 장치(190)를 통과하는 전류를 측정하고 현재 레벨을 알려진 전류 대 시간 프로파일에 매칭시킴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센서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 부하 장치(190)가 디밍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활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제어기 시스템(108)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 부하 장치(190)에 동조된 선형 패턴(1020)을 선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제어기 시스템(108)은 조정되는 특정 부하 장치(190)에 대해 선택된 선형 패턴(1020)에 따라 부하 장치(190)의 발조명 레벨을 조정한다. 도 10c는 백열 부하 장치(190)에 대한 정규화 광 커브를 도시하는 조명 장치 조명 레벨 플롯 다이어그램이다. 여기서 부하 장치의 유형에 따라 최적 선형 패턴이 변화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나의 유형의 부하 장치에 대한 선형 패턴은 다른 유형의 부하 장치를 선형화시키도록 기능하지 않을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형화 패턴은 각각의 디밍 레벨에서 생성되는 광량을 정규화시킨다. 예를 들어, 증가하는 에너지 양을 부하 장치가 수신함에 따라 방의 조명 레벨이 일정한 램핑 방식으로 증가하는 것이 사용자에 의해 관찰된다. 선형화 없이 부하 장치(190)의 디밍 패턴이 비선형 방식(1022)으로 디밍하거나 밝아질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연결된 부하 장치(190)의 유형이 변하는 경우 부하 장치(190)에 적용되는 선형 패턴이 또한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LED 부하 장치가 백열등으로 교체된다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새로운 부하 장치(190)를 식별하고 선형 패턴을 적용하여 백열등을 위한 선형 디밍 커브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삽입되는 경우 새로운 부하 장치(190)에 대해 측정된 전류 속성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제어하는 모바일 전화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부하 장치(190) 유형을 선택하도록 프롬프팅(prompted)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센서는 부하 장치로부터 출력된 조명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예측되는 조명 레벨을 측정된 조명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디밍 비율을 조정하여 조명 레벨을 예측과 일치하게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음성 커맨드를 녹음하고 이들을 프로세싱을 위해 사전결정된 음성 서비스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음성 프로세싱을 위한 서비스는 시리(Siri), 코타나(Cortana) 또는 알렉사(Alexa)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데아코"와 같은 키워드를 들으면 음성 서비스로의 스트리밍을 시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서비스는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고 요청을 프로세싱하며 스트림의 수신을 확인응답한다. 도 11은 사용자가 이들의 음성 스트림 프로세스 요청이 수신되고 허용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확인응답(Ack) 및 비확인응답(Nack) 루틴(110)은 발신음을 울리는 것, 녹색 조명을 번쩍이는 것, 또는 적색 조명을 번쩍이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알림에 의해 사용자에게 이들의 음성 스트림 요청의 상태를 통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서비스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 응답을 다시 스트리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맨드 패킷은 사용자 액션으로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디코딩된다. 예를 들어, 커맨드 패킷은 사용자가 집의 모든 조명이 턴 오프되도록 요청했다고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게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와이파이 회로(170) 또는 인터넷에 연결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가정용 와이파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브릿지 또는 액세스 포인트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액세스 포인트 허브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로 통합될 수 있고 메쉬 네트워크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허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개별 액세스 포인트 허브 장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메쉬 네트워크 및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음성 커맨드를 국부적으로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데이터를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프로세싱하여 음성 커맨드를 뽑아낸다.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는 커맨드 명령어가 후속하는 키워드로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가 "데아코"이면, 부엌 조명을 턴 오프하는 것과 같은 커맨드가 후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구어(spoken words)를 문자열로 해석하도록 화자 독립적인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동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CMU 스핑크스)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DNN(deep neural network) 접근방식은 음성을 인식하기 위해 활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두로 발화된 키워드는 커맨드의 단독 액션이다. 여기서 더 긴 키워드는 음성 인식 시스템이 더 적게 손실된 커맨드를 야기하는지 식별하는데 더 쉽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데아코 토글 조명"과 같이 더 긴 키워드는 단순화된 인터페이스 및 더 높은 정확도 음성 인식을 달성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시간에 "데아코 토글 조명"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식별되면, 조명 상태가 토글될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키워드 "데아코 토글 조명"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식별되고 조명이 온 되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조명을 턴 오프할 것이다. 다른 예시로서, 키워드 "데아코 토글 조명"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식별되고 조명이 오프되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조명을 턴 온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하 장치(190)가 디밍되면, 토글 커맨드가 주어지는 경우 디밍 레벨이 유지된다. 예를 들어, 부하 장치(190)가 60% 온 레벨에 있고 토글 커맨드가 주어지면, 부하 장치는 60% 오프 레벨로 구성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USB(universal serial bus)허브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백플레이트(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USB 충전기로 구성되는 USB 허브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백플레이트(130)에 플러그를 꽂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SB 허브는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치(예를 들어, 애플 아이패드, 삼성 갤럭시 S5 폰, 또는 아마존 킨들 파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USB 허브에 연결된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갖추어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와이파이 회로(170)를 대신하여 장치가 BLE 메쉬 네트워크와 와이파이 접속 사이를 브릿징하도록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USB 허브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포함한다.
태블릿 홀더는 백플레이트(130)에 연결되며, 하나 이상의 USB 충전기 포트를 갖고 애플 아이패드, 삼성 갤럭시 S5 폰, 또는 아마존 킨들 파이어와 같은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들 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갖추어지면 BLE 브릿지에 대한 와이파이 또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도 16) 대신에 BLE 메쉬 네트워크와 와이파이 사이의 브릿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태블릿 홀더는 또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 및 활성 적외선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를 구성하는 부품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두 부분으로 설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전면 제어 유닛(1201) 및 후면 전력 유닛(120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201)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점유 프로세서(1202) 및 센서 어셈블리(12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 유닛(1203)은 조명 디머(18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 유닛(1203)은 전력 모니터링 회로 및 AC/DC 전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력 유닛(1203)은 전력 라인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201)은 실시간 클럭(1222)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201)은 LED 다운 조명(121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201) 및 전력 유닛(1203)은 전선을 통해 연결되어 제어 유닛(1201)과 통신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회로(1220)로부터의 통신 신호가 제어 어셈블리의 진위를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설비에서 전력 유닛(1203)과 동작하도록 설계되지 않은 제어 어셈블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방이 사람에 의해 점유되는 동안 방에서 조명을 유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이 더 이상 사람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경우 방의 조명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턴 오프된다. 통상적인 방 점유 스위치 검출 시스템은 초전형 적외선(PIR) 센서를 활용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추가적으로 사람이 시야(FOV)에 존재해야 하고 또한 검출되도록 이동하는 것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PIR 센서가 점유 검출기로서 신뢰할 수 없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여기서 센서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PIR 센서 검출은 효율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센서 어셈블리(120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CCD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CMOS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CMOS 센서는 가시적인 파장 뿐만 아니라 IR 조명 모두에 민감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TFL(tri-field lens)(1209)를 포함한다.
도 13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전면을 도시하는 페이스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의 정면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마이크로폰(124)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점유 프로세서(120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사람이 정지 상태이거나 센서 어셈블리(1208)의 시야의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공간에서 점유자를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는 소정 시간 동안 IR 조명으로 방을 조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TFL(1209)는 거울과 같은 반사 표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단단한 투명 재료로부터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TFL(1209)는 이미지 센서 상에서 3개의 상이한 섹션을 생성하여 외부 섹션이 중간 섹션과 비교하여 하나의 축에 반영(mirrored)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TFL(1209)의 거울(1207)은 거의 180도 FOV를 생성한다. 여기서 TFL(1209)의 외부 섹션은 어안 렌즈와 같이 왜곡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잡음이 사람에 의한 점유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공간에서 주변 잡음을 듣기 위해 마이크로폰(124)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프로세서(1202)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프로세서(1202)는 점유 검출 및 공실 검출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지를 변환하고 TFL(1209)에 기인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이 사용된다. 도 14는 점유 검출의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IR 조명에 의해 조명되는 방은 이미지로서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다. 여기서 IR 조명은 현재 주변 조명 레벨과 상관 없이 일정한 방식으로 방을 관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CMOS 센서는 공간을 조명하는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에 의해 그리고 IR 에미터 없이 이미지를 캡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프로세서는 두 획득된 이미지의 차이를 찍음으로써 제 3 이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차이는 두 획득된 이미지를 찍은 것이고 하나의 이미지는 IR 에미터(1206)에 의해 조명되는 공간을 찍은 것이고 다른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에 의해 조명되는 공간 없이 찍은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프로세서(1202)는 주변 조명에 기인한 변형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미지를 렌더링한다. 예를 들어, 공간을 찍은 이미지의 차이를 찍음으로써 획득된 이미지는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에 의해 조명되는 경우와 하나 이상의 IR 에미터(1206)에 의해 조명되지 않는 경우 주변 조명에 기인한 변형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미지 프로세싱은 배경 및 전경 이미지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경 이미지는 점유되지 않은 공간의 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경 이미지는 점유를 판정하기 위해 분석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IR 에미터(1206)는 CMOS 센서 이미지 캡쳐로 동시에 변조되어 다른 IR 에미터의 효과를 상쇄시킬 것이다. 갑자기 창문 블라인드를 움직이는 것 및/또는 문을 여는 것으로부터의 반사는 IR 에미터로서 동작할 것이다. 도 15a 내지 도 15H는 식별 마킹 및 와이어프레임을 포함하는 예시의 센서 이미지이고 정적인 물체를 식별하기 위한 형태 검출을 도시한다. 도 15a는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되는 사람을 도시한다. 도 15b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의해 식별된 사람의 식별을 도시하도록 중첩된 도 15a로부터의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 표현을 사용한 사람의 이미지이다. 도 15c는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된 사람을 도시하는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 도면이다. 도 15d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에 의해 식별된 사람의 식별을 도시하도록 중첩된 도 15c로부터의 사람의 와이어 프레임 표현을 사용한 사람의 이미지이다. 도 15e는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된 사람의 몸의 전면에서 팔을 들고있는 사람을 도시하는 중첩된 와이어 프레임 표현을 포함하는 사람의 이미지이다. 도 15f는 도 15e에서 사람의 팔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된 사람의 전면에 있는 위치를 도시하는 분석된 이미지이다. 도 15g는 정적인 전경 이미지로부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되고 획득된 사람을 도시하는 중첩된 와이어 프레임 표현을 포함하는 사람의 이미지이다. 도 15h는 도 15g의 사람의 하위 부분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된 이미지에 위치하는 영역을 도시하는 분석된 이미지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형태 및 움직임 검출은 움직이는 물체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즉, 센서 근처의 사람 거주자 및 동물 또는 곤충 사이의 구별).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2000)은 임의의 위치에 연결되고 점유 검출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2000)은 벽, 천장, 아치길 또는 기둥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가정을 예시적인 장소로 사용하는 것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개시에 대해 제한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도 16은 사람이 집에 들어가고 루틴을 따르는 경우의 시나리오를 도시하기 위해 집을 통과하는 사람의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1600)이다. 예를 들어, 하루의 끝에서 직장으로부터 집으로 복귀하여 집에 들어갈 때의 루틴 경로를 따라간다. 예를 들어, 사람은 문 S7에 들어가 점선에 의해 나타낸 경로를 따라간다. 평면도(1600)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00)는 DC1 내지 DC11로 표시되고 벽에 연결된 반원으로 나타낸다. 평면도(1600)에서 문 및 창문 센서는 S1 내지 S9로 표시되고 문 또는 창문 위치에 연결된 직사각형에 의해 나타낸다. 평면도(1600)는 숫자로서 경로를 따라가는 사람에 의한 액션을 포함하고 이들 액션은 표 5의 상태표에서 요약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S7에서 집으로 들어가서 입구(815)를 통과하고 거실(811)을 통과하여 주방(808)으로 걸어가서 사람이 그의 열쇠 및 지갑을 내려놓는다. 예시는 사람이 주방(808)으로부터 제 1 복도(812)를 통과하여 제 1 침실(802)로 걸어가고 사람은 그의 가방을 내려놓는 것으로 계속된다. 예시는 사람이 제 1 침실(802)로부터 제 1 복도(812)를 통해 부엌(808)의 냉장고로 걸어간다. 예시는 사람이 부엌을 나와 제 1 복도(812)를 통과하여 거실(811)의 소파(818)까지 걸어가서 텔레비전(819)를 켜는 것으로 끝난다.
상태 표 5는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대한 단순화된 점유 상태를 보여준다.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는 물체가 공간을 통과하여 움직임에 따라 물체를 추적하는 이미징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면도(1600)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메쉬 네트워크는 집을 통과하여 움직이는 사람의 액션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갖는다.일부 실시예에서, 점유자 액션의 점유 상태는, 입장(N), 퇴장(X), 정지(S), 및 이동(M)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자 위치의 점유 상태는, 평면 우측(FR), 평면 좌측(FL), 평면 중간(FM), 하단 우측(LR), 하단 중간(LM), 하단 좌측(LL), 상단 우측(UR), 상단 중간(UM), 및 상단 좌측(UL)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상태 잡음 유형은, 발끌기(SF), 텔레비전(TV), 대화(TK), 음악(MC), 및 타이핑(TP)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태를 논의하는데 사용되는 관습은 액션 위치 또는 가청 잡음 유형에 의해 설명된다. 데이터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액션 상태 및 하나 이상의 가청 상태가 존재할 수 있다.
평면도(1600)에서, 사람이 입구(815)에서 액션 1을 수행하는 예시적인 도시를 고려하면,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사람이 센서 FOV의 우측으로부터 방으로 들어가서(N-FR), 액션 2에 의해 우측으로부터 방의 중간까지 계속가고, 좌측으로 센서 FOV를 나간다(X-FL). 평면도(1600)에서 액션의 복합 상태 이름 및 설명은 상태 표 6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는 계속해서 점유자가 있는 곳 및 점유자가 있었던 곳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는 데이터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네트워크 상에 모든 다른 노드로 상태 데이터를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통상적인 점유자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실 1의 점유자가 아침에 일어나 나가서(X-FR), 복도1(812)를 걸어가고(N-FR, M-FM, X-FL), 시스템은 과거 행동에 기초하여, 점유자가 부엌(808)으로 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침실2(804)의 점유자가 나가면(X-FR), 복도2(814)를 걸어가고(N-FR, M-FM, X-FM), 시스템은 점유자가 욕실(816)로 갈 것임을 예측한다.일부 실시예에서, 예측 엔진은 RBE(Recursive Bayesian Estimation)에 기초할 수 있고 이 장치에서 동적으로 가중된 STM(state-transition model) 예측 학습 알고리즘과 함께 칼만 필터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표 9에 예시된 관찰 모델 표는 모든 시스템에 대해 시간이 지나면서 채워지고 STM에 의해 인증된다.
도 17은 사람이 차고를 통과하여 집으로 들어가는 시나리오를 고려하는 것에 의한 검증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평면도(1700) 다이어그램이다. 이 예시에서, 복도2 A 및 복도2 B는 액션 1 동안 사람을 선택하고, 사람은 복도 2로 계속해서 걸어가고(814) 속도 벡터가 사람에 대해 생성된다. 예시는, 사람이 세탁실로 가는 문에 접근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이 예시에서, 예측 엔진은 사람이 STM을 사용하여 다음으로 들어가는 방을 예측하여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룩업 테이블(LUT)을 채운다.
표 7의 예측 LUT는 시간의 75%는 사람이 복도 1(814)로 가고, 시간 10%는 침실2(804)로 가고, 시간의 15%는 세탁실(810)로 가서, 차고(817)까지는 가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스템의 예측되는 다음 상태는 H1A를 위한 N-FR 및 H1B를 위한 N-FM이 될 것이다.
표 8은 예측 시스템이 차고(817)로 가고 있는 사람이 복도1(814)에 들어갈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음 점유 상태가 검출된 이후에, STM 가중치가 업데이트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침실2(804)로 들어가면, STM은 이 움직임을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된다. 표 9에 예시된 것과 같이, STM은 관찰된 행동을 사용하고 복도1(814)은 74% 가중 인자를 나타내도록 업데이트되고 침실(804)은 다음번을 위해 11% 가중 인자를 갖고 예측 LUT가 채워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하나 이상의 블루투스 무선장치(120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무선장치(1204)는 비콘으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콘은 블루투스 무선장치(1204)를 사용하여 비콘 근처에 서있는 사람의 신원을 판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셋 이상의 비콘이 공간의 사람을 감지하는 경우, 사람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8은 셋 이상의 비콘이 어떻게 삼각 측량을 사용하여 블루투스 인에이블 장치를 갖고 있는 사람의 정확한 위치를 판정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평면도(1800)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평면도(18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실(810)의 사람은 세탁실(810)의 비콘 A, 복도1(814)의 비콘 A, 및 욕실(806)의 비콘 A에 의해 감지될 것이어서 사람의 위치가 삼각 측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도 19는 삼각 측량이 어떻게 점유자의 두 가능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평면도(1900)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평면도(1900)에 도시된 삼각 측량은 점유자가 부엌(808) 또는 거실(811)에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콘을 사용하는 장치의 삼각 측량된 위치는 점유 센서 시스템 어셈블리(1200)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도(19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두 비콘(808A 및 808B)으로부터 거의 등거리인 경우, 세번째 비콘(811A)은 다른 두 비콘의 통합된 벡터와 평행하고 점유자의 위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0)에 의해 검증된다. 평면도(1900)에서, 부엌(808) 및 거실(811)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의 데이터는 점유자의 정확한 위치가 부엌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콘 기능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사용자의 신원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신원은 예측 엔진에서 STM의 가중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안면 이식 및/또는 지문 인식을 통해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은 개별 센서를 통해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면 이식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 및 점유 프로세서(1202)는 안면 특징을 검출하고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면 인식 기능은 IR 에미터(1206)을 사용하여 향상되어 얼굴의 양쪽에 그림자를 생성한다. 도 20은 인증 목적을 위해 얼굴을 식별하기 위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쉬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출력은 메쉬 네트워크에서 모든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프레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쉬 네트워크 전반의 데이터는 고정된 시간에 리프레쉬된다. 예를 들어, 메쉬 네트워크의 데이터는 매 500ms마다 또는 2Hz 속도에서 리프레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메쉬 네트워크를 전반에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프레임은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에 의해 기록되는 임의의 조합의 데이터 세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프레임은 점유, 인증된 사용자,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 환경 데이터, 및 예측되는 다음 상태와 관련된 복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측되는 상태는 데이터 표의 "시간" 컬럼에서 "t+1"로 표시된다. 데이터의 메쉬 네트워크 프레임의 예시적인 표가 표 10에서 예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람 및 환경 조건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위치한 주변 영역 또는 방에서 사람 및 환경 조건을 검출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생체 인식 방법을 사용하여 점유자를 식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점유자가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지를 예측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데이터를 인식하고 이 데이터를 연결된 메쉬 네트워크의 모든 다른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 전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부하 장치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조명 기구, 보안 시스템, 또는 사람을 위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른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1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데이터가 조명 시스템에 적용되는지를 예시하는 예시의 평면도(1600)에 조명을 추가한 평면도(210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점유자가 방에 있는 경우 조명을 턴 온하고 점유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방에서 활동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타이머를 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활동 또는 점유자가 방에서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카운트 다운 타이머를 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만료되면 방의 조명이 턴 오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타이머가 사전결정된 값에 도달하면 방의 조명이 턴 오프된다. 예를 들어, 타이머가 기록된 비활성의 5분에 도달하거나 3분 동안 방에 점유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의 조명이 턴 오프된다. 표 11은 평면도(2100)의 각각의 방에서 조명 거동을 예시한다. 표 11은 표 5에 존재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부하 장치(190)의 상태를 추가로 포함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표 11은 추가적으로 3분 타이머에 기초하여 부하 장치(190)의 상태를 나타낸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메쉬 네트워크로부터 기록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더 복잡한 솔루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 11에 정의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더 복잡한 솔루션이 가능하고 이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라 표 12에 예시된 예측 조명 시스템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회색으로 강조된 이전 시스템에 대한 향상으로 향상된 솔루션의 결과가 표 12에 예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상태는 환경 조건에 적응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상태는 주변 조명 레벨, 주변 온도, 지연 시간, 위도, 경고, 및 날짜에 적응하도록 변경된다. 예를 들어, 표 12에 예시된 예시에서, 북위 48°서경 122°에서 1월 10일 PDT 오후 6시를 고려한다. 이제 이 경우를 시작하여, 사람이 침실1(802)에 들어가기 전에,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복도1(812) 및 침실1(802)의 주변 조명 레벨, 침실1(802)의 온도를 판독하고, 태양의 위치를 인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환경 조건 및 점유자의 과거 행동에 기초하여 조명 레벨을 계산한다. 도 22는 점유된 방에서 조명 레벨을 자동으로 조정 및/또는 설정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단계들을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환경 조정 입력(2208)은 이전에 점유된 방의 조명 레벨, 예측되는 다음 방의 조명 레벨, 주변 온도, 태양의 위치, 및 날짜에 기초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명 레벨은 총 주변 조명이고, 자연적인 조명 레벨 더하기 인공적인 조명 레벨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조명 레벨은 자연적인 조명 레벨 더하기 인공적인 조명 레벨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흐름도(2200)에서 사용자 선호도 입력(2210)은 설정을 무시하고 매뉴얼로부터 도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선호도 입력(2210)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식별되는 인증되는 사용자의 사전선택된 선호도로부터 도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 선호도 입력(2210)은 디폴트 프로파일 설정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조명 및 온도를 능동적으로 관리하도록 블라인드 및 파사드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프로젝터를 사용하기 위해 방을 어둡게 하기를 원하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용자가 인공 조명 레벨을 낮추고 블라인드를 닫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들의 손가락을 트랙패드(180)로 끌어내림으로써 방의 조명을 낮출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및 부하 장치(190) 조명 기구 둘다 트랙패드(180) 상에서 동시에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들의 손가락을 트랙패드(180)로 끌어내림으로써 방의 인공적인 조명 레벨을 낮추는 것에 의해 총 조명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들의 손가락을 트랙패드(180)로 끌어내리는 것은 방의 조명 기구로부터의 인공적인 조명을 디밍하고 블라인드를 닫아서 태양으로부터의 자연적인 조명 중 일부를 차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블라인드 또는 파사드는, 공실에 대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 동안 거의 하루종일 태양에 노출된 창문은 집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방의 주변 조면, 표면 온도 및 주변 온도를 측정하여 블라인드가 올라가서 집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지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열린 블라인드가 집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야기한다고 검출하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블라인드를 닫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블라인드가 닫혀야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점유자의 거동을 고려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점유자가 창문을 열면, 점유 센서 어셈브리 시스템(1200)은 태양을 차단하기 위해 일부 블라인드를 닫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전퇴 센서는 센서의 FOV의 절대 온도를 측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열전퇴 어레이(TPA) 및 방향성 렌즈는 그리드로 분할된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TPA 측정치는 열 지도 그리드에서 보고되고 더 어두운 그리드 위치는 더 높은 측정치 판독을 나타낸다. 도 23a는 TPA의 출력을 예시하는 사람의 이미지 및 연관된 TPA 이미지이다. 도 23a에서 움직이는 사람(2302)은 TPA에 의해 이미지화되고 결과는 열 지도 그리드(2304)에 표현된다. 도 23b는 TPA의 출력을 예시하는 사람의 이미지 및 연관된 TPA 이미지이다. 도 23b에서, 정지 상태 사람(2306)은 TPA에 의해 이미지화되고 결과는 열 지도 그리드(2308)에 표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TPA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다른 센서 이외에 TPA를 포함하여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는 TPA 및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로부터의 렌즈는 FOV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점유 프로세서(1202)는 여전히 이미지를 정규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24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 센서 어셈블리(1208)의 블록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CMOS 센서 및 TPA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TPA만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는 CMOS 센서 및 PIR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CMOS 센서와 함께 PIR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PIR 센서는 CMOS 센서의 강도인 움직임만을 검출하지만, PIR 센서는 온도에서의 변화에 대한 감지 요소 또는 감도의 이득을 증가시킴으로써 장거리에서 더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어셈블리(1208)에서의 PIR 센서를 포함하는 것은 다른 센서로부터의 긍정 오류(false positive)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PIR 센서는 활동을 검출할 수 있고 CMOS 센서의 단거리를 보완할 수 있는 장거리 센서를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에 제공한다. 여기서 증가된 범위는 장거리에서 몸을 움직이는 것 및 온기의 움직임을 선택하기 위해 중요하고 CMOS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을 중지하면 점유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5는 PIR 센서에 의한 점유 상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흐름도(2500)에 의해 예시되는 시스템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서의 모든 계산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분리된 프로세서는 계산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로컬 허브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클라우드 서비스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집 전반에 인터컴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컴은 마이크로폰(124), 커맨드 인터페이스, 트랙패드(180), 메쉬 네트워크, 점유 센서 어셈블리(1205), 및 스피커(126)를 활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컴의 커맨드 인터페이스는 음성 커맨드, 제어 패널, 모바일 전화, 또는 범용 원격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인터컴 "호출"은 트랙패드의 사전정의된 부분을 누름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다른 것으로의 인터컴 "호출"은 음성 커맨드를 언급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커맨드 "데아코 방 호출"은 집 전반의 인터컴을 개시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컴은 무선으로 또는 전선으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연결되는 장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호출"이 개시되면 사람은 음성을 디지털화하고 데이터를 메쉬 네트워크로 스트리밍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이야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에서 모든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대해 음성 스트림이 사용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스트림은 오직 점유된 방으로만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조명이 켜진 방으로만 전달된다. 도 26은 사람이 집을 통과하여 이동함에 따른 장치 제어 어셈블리(100)의 인터컴 기능을 예시하는 평면도(2600)이다. 예를 들어, 평면도(2600)에서, 사람 1(820)은 부엌(808)에 있고 아침을 위해 점유자 사람 2(822) 및 사람 3(822)을 호출한다. 예시는, 각각의 방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받지만, 침실2(804) 및 차고(817)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만이 음성 스트림을 전달하는 것으로 계속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침실2(804) 및 차고(817)의 조명을 제어하고 사전정의된 패턴으로 조명을 변경함으로써 인터컴 메시지를 점유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조명이 펄스 디밍 효과를 갖거나 조명이 색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집의 적용가능한 공간 전반에서 사용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용자가 방들 사이를 자유롭게 걸어다니고 활성 인터컴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26에서, 사람(820)은 점선으로 나타낸 상이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람(820)이 이동함에 따라 활성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따라간다. 예를 들어, 부엌(808)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람(820)이 남아 있는 것을 검출하고 H1A 및 H1B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람(820)이 복도 1(812)에 있다는 것을 검출할 것이다. 액션 2에서, H1B는 활성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되고, 사람(820)이 침실1(802)에 들어가고 BR1이 활성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될 때까지 사람(820)의 음성을 네트워크의 나머지로 스트리밍한다. 예시는, 개시자가 인터컴을 종료하는 시간에 호출이 종료되는 것으로 끝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트랙패드 상에 사전정의된 영역을 터치하여 인터컴을 종료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키워드를 언급하고 인터컴이 종료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데아코 호출 종료"를 말할 수 있고 인터컴이 종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스트림은 모바일 장치에 연결되어 집의 외부에 전화를 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성 스트림은 모바일 방치에 연결되어 스피커폰으로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사람은 "데아코 데이브에게 전화"를 말할 수 있고 데이브가 장치 제어 어셈블리(100)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공간이 있다면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이 공간에 전화를 걸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사람이 음성 커맨드를 개시하여 데이브에게 전화를 걸면 데이브는 집에 있지 않고, 장치 제어 어셈블리(100)는 음성 커맨드를 프로세싱하고 커맨드를 사람의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여 데이브와의 전화 통화를 개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핸드 프리" 스피커폰으로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용가능한 공간 전반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사람에 의해 활용되어 블루투스를 통해 모바일 장치로부터의 인터컴 전화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모바일 장치 블루투스 무선장치의 범위를 확장하는 블루투스 중계기로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사람은 부엌(808)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이 모바일 장치의 블루투스 연결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개시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제 예시를 계속하여, 모바일 장치는 부엌(808)에서 멈추고 사람은 도 26에 점선으로 나타낸 경로를 가로지르기 시작하고 부엌(808)을 떠나서 복도1(812)로 이동할 시에 부엌(808)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스피커폰 기능은 복도1(812)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 전달된다. 여전히 예시를 계속하여, 사람은 침실1(802)로 이동하고 침실1(812)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부엌(808)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을 통해 스피커폰으로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헤드셋, 모바일 장치, 또는 다른 주변 장치의 블루투스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도 27은 비디오를 스트리밍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기능을 예시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 및 와이파이 접속을 포함하는 장치 제어 어셈블리(110)의 블록도(270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CMOS 센서는 각각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네트워크로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단말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단말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모바일 전화기, 비디오 시계, 태블릿, 텔레비전 또는 헤드셋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자고 있는 유아의 방에서 잡음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오디오 피드를 모바일 전화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에 연결되어 사전정의된 시간이 기록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에 사람이 일상적으로 집을 떠나고 집으로 돌아가면, 비디오 스트림은 감시 카메라로서 비점유의 기간 동안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안면 인식을 사용하여 누가 빌딩에 들어가고 이들이 빌딩 내부에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연결된 단말은 새로운 진입자에 대한 알람을 받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연결된 단말은 어떻게 새로운 진입자에 대해 응답하는지에 관한 선택이 주어진다. 예를 들어, 새로운 진입자가 집의 점유자에게 알려지면, 진입자에 대한 인터컴 접속이 개시될 수 있거나 진입자가 건물로의 액세스를 허가받을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새로운 진입자가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게 알려져 있지 않으면, 알람이 집의 점유자에게 전송될 수 있고 알람을 울리거나 새로운 진입자를 환영하기 위한 옵션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네트워크는 창문 및 문을 통해 입구를 모니터링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도 28은 창문 및 문의 센서를 갖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의 네트워크를 예시하는 평면도(2800)이다. 평면도(2800)는 벽, 문 및 창문의 직사각형 심볼에 의해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예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창문 및 문 입구 센서는 움직임을 검출하는 가속도계를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 테이프 및 센서는 문 및/또는 창문의 현재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자기 테이프는 문 또는 창문이 열리거나 닫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자기 테이프는 창문 또는 문이 잠기거나 잠금 해제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네트워크는 블루투스를 사용하여 문 및/또는 윈도우 센서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창문 및 문 센서를 포함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네트워크는 보안 시스템으로서 보안 시스템 제어기와 함께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안 시스템 제어기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네트워크에 의해 인식되어 마지막 점유자가 빌딩을 떠나고 보안 시스템 제어기는 보안 시스템을 "무장(arm)"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안 시스템이 무장되고 창문 및/문 센서가 활성화되면 보안 시스템 제어기는 승인된 사용자를 알릴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창문 및/또는 문 센서가 활성화되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네트워크는 활성화된 창문 및/또는 문 센서에 가장 가까운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에 의한 감시를 시작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시 카메라가 캡쳐되고 나중 사용을 위해 서버 상에 저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시 카메라가 캡쳐되고 나중 사용을 위해 로컬 전자 장치 상에 저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새로운 진입자가 허용되는 시간에 보안 시스템이 무장해제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신청자는 보안 시스템 제어를 사용하여 보안 시스템을 무장 해제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새로운 진입자는 생체 인증을 사용하여 보안 시스템을 무장 해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안 시스템이 무장된 이후에 사전정의된 양의 시간 내에서 무장 해제되지 않는다면, 보안 시스템 제어기는 "제지 조치(deterrent measures)"를 개시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보안 시스템은 점유자가 보안 시스템이 무장되는 20 초 내에 시스템을 무장 해제시킬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안 시스템의 제지 조치는 집의 다른 부분에서 조명을 켜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안 시스템의 제지 조치는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외부에서 소리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28에서, 사람이 정문을 통과하여 들어가고 무장 해제 타이머를 개시하기 위해 보안 시스템 제어기를 알림을 울리는 문 센서를 활성화시킨다. 이 예시를 계속하여, 입구(815)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은 점유자를 검출하고 보안 시스템 제어기는 입구(815)의 점유자 위치에 기초하여 판정해서 보안 시스템이 무장 해제되지 않는다면 제지 조치로서 가상 부엌 활동을 사용한다. 다른 예시로서, 보안 시스템이 무장되는 동안 점유자가 입구(815)에서 식별되면 제지 조치는 부엌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 또는 H1A 복도의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을 통해 복도1(812)에서 조명을 켜는 것 또는 거실(811)에서 소리를 재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엌(808)에서의 제지 조치 소리는 부엌 활동을 흉내낸다. 예를 들어, 부엌 활동 소리는, 수돗물, 쨍그랑거리는 접시, 냉장고 문 열기, 동작 중인 전자레인지, 난로 타이머 소리, 또는 음식 쓰레기 처리 구동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정의된 시간의 양 이후에 보안 시스템이 무장되면, 제지 조치가 개시된 이후에 보안 시스템은 모든 승인된 사용자에게 침입 이벤트를 알리는 "알람 조치"를 개시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알람 조치는 보안 회사에 연락하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알람 조치는 집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의 스피커(126)의 외부에서 시끄러운 알람 벨 소리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알람 조치는 집에서 조명을 계속적으로 깜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창문 및/또는 문 입구 센서는 배터리, 센서, 및 BLE 무선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센서는 가속도계 및 자기 센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속도계는 움직임을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 센서는 창문 및/또는 문의 상태를 검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 센서는 창문이 잠겨있는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는 잠금 메커니즘 및 잠금 메커니즘 상의 자기 테이프의 일부에 충분히 근접하게 위치해서 센서가 잠금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기 센서는 문이 열려있거나 닫혀있는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자기 센서는 문에 위치하고 자기 테이프가 자기 센서에 충분히 근접하게 문틀에 위치하여 문이 닫히는 경우를 감지하고 문이 열리는 경우를 감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가 움직임을 검출하는 자기 센서 및 테이프 또는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문 및/또는 창문의 상태에서의 변화를 검출하는 경우, 센서는 빌딩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 네트워크에 알림을 울릴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유 센서 어셈블리 시스템(1200) 네트워크는 보안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 사전에 규정된 액션을 수행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 장치는 업그레이드가능하고 프로그래밍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실질적으로 접속 전선함 내부에서 하우징되고 접속 전선함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접속 전선함(102)으로 라우팅되는 중성 라인 및 AC 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에 대한 전기 접속을 기계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적어도 활성 및 비활성 상태로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 기능 제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가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에 접속되지 않은 경우 활성 상태의 접속 전선함 제어기 커버는 전기 접촉을 차폐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해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를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와 유도성으로 접속시키는 것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와 함께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를 착탈식으로 수용하고, 활성화하며, 동작 제어를 위해 유지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무선 어드레싱가능한 접속 및 조명 제어, 음성 제어, 움직임 제어, 오디오 제어, 보안 제어, 비디오 제어, 및 실내 온도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생활 공간 기능을 무선으로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프로그래밍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접속 전선함 제어기 수납기는 적어도 하나의 생활 공간 기능의 촉각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 및 무선 제어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차등적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도구없이 교체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시간에 따라 사용자 기능 선택을 기록하기 위한 레코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적어도 두 사용자의 선택을 검출하고 구별하기위한 사용자 검출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사용자 근접도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이전에 기록된 사용자 기능 선택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기능 선택을 예측하기 위한 예측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창문 불투명도 및 창문 차양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선택가능한 사용자 생활 공간 제어를 위해 제어기를 수납기와 상호 연결하기 위한 회전식 광학 인코더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적어도 일부 생활 공간이 점유되지 않았을 경우 점유 잡음 중 적어도 하나 및 플레이백을 위한 사용자 기록된 점유 잡음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하기 위한 사운드 플레이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생활 구역 내의 점유자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기 위한 적어도 3개의 제어기 및 수납기 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하나 이상의 점유 사용자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판정함으로써 점유자의 위치를 판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오디오 통신 구성을 포함하고 둘 이상의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 전송, 및 재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생활 공간 기능 제어기는 점유자가 위치한 방들 사이의 오디오 신호 통신을 능동적으로 유지한다.
본원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메모리에서 방법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의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는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고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저장 매체 또는 당 기술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적합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매체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로서, 메모리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디스크), 자기 테이프,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함께 공통 제어기 하우징에 하우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매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기의 물리적 위치에 대해 원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결과가 저장된 이후에, 결과가 저장 매체에서 액세스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또는 시스템 실시예에 의해 사용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포맷팅되고,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 방법 또는 시스템 등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과는 "영구적으로", "반영구적으로", 임시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가 될 수 있고, 결과는 반드시 저장 매체에 무한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설명된 청구 대상은 보통 다른 구성요소 내부에 포함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는 상이한 부품을 예시한다. 이러한 도시된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많은 다른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개념적인 의미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의 임의의 배치는 효과적으로 "연관"되어서 원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된 본원의 임의의 두 구성요소는 서로 "연관"되는 것으로서 볼 수 있어서 구조 또는 개재하는 구성요소와는 상관 없이 원하는 기능이 달성된다. 유사하게, 이와 같이 연관된 임의의 두 구성요소는 또한 서로 "연결" 또는 "커플링"되어 원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이와 같이 연관되는 것이 가능한 임의의 두 구성요소는 또한 서로 "커플링가능"해서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는 것으로서 볼 수 있다. 커플링가능한 특정 예시들은 물리적으로 짝을 짓는 것이 가능하고/거나 무선으로 인터랙팅하는 구성요소 및/또는 논리적으로 인터랙팅하고/거나 논리적으로 인터랙팅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특히 첨부된 청구항(예를 들어, 첨부된 청구항의 본문)에서 사용된 용어는 일반적으로 "열린" 용어(예를 들어, 용어 "포함하는"은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음"으로서 해석될 수 있고, 용어 "갖는"은 "적어도 갖는"으로서 해석될 수 있음)로서 일반적으로 의도된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특정 수의 도입된 청구항 개시가 의도되었다면, 이러한 의도는 청구항에 의해 명시적으로 개시될 것이고, 이러한 개시의 부재는 이러한 의도가 존재하지 않는 것임이 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해에 대한 도움으로서, 다음의 첨부된 청구항은 청구항 개시를 도입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이라는 도입 구절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절의 사용은 부정 관사에 의한 청구항 개시의 도입이 이러한 도입된 청구항 개시를 포함하는 임의의 특정 청구항을 오직 하나의 이러한 개시를 포함하는 발명으로 제한하는 것을 암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동일한 청구항이 도입 구절 "하나 이상의" 또는 "적어도 하나" 및 부정 관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예를 들어, 부정 관사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함), 청구항 개시를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관사의 사용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특정 수의 도입된 청구항 개시가 명시적으로 되었을 경우에도, 당업자는 이러한 개시가 통상적으로 적어도 개시된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함을 인식할 것이다(예를 들어, "두 개시"의 단순한 개시는 다른 수식어 없이 통상적으로 적어도 두 개시, 또는 둘 이상의 개시를 의미함).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습이 사용되는 경우에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습(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함께, A와 C 함께, B와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관습이 사용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관습(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시스템"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와 B 함께, A와 C 함께, B와 C 함께, 및/또는 A, B, 및 C 함께 등을 갖는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라는 의미로 의도된다. 또한, 가상으로 둘 이상의 대안적인 용어를 나타내는 임의의 이접적(disjuctive) 단어 및/또는 구절은, 상세한 설명, 청구항, 또는 도면에 있는지 여부와는 상관 없이, 용어들 중 하나, 용어들 중 한쪽, 또는 용어들 중 양쪽을 포함하는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이 당 기술 분야 내의 당업자에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절 "A 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의 가능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 및 이들의 부수적인 장점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이해될 것임을 명백하고 개시된 청구 대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또는 이들의 실질적인 장점을 모두 희생하는 것 없이 다양한 변경이 형태, 구성 및 배열로 수행될 수 있음이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된 형태는 단지 설명적인 것이고, 다음의 청구항이 이러한 변경을 포함한다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개시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 또는 "일부 실시예"에 대한 임의의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구성요소,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워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다양한 위치에서 구절 "일부 실시예"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은 아니고,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는 명시적으로 설명된 또는 본원에서 본질적으로 제시된 특징들 중 하나 이상, 또는 구체적인 개시에서 반드시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본질적으로 제시되는 것은 아닌 임의의 다른 특징들과 함께, 둘 이상의 이러한 특징들의 서브 조합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예측 제어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둘 이상의 백플레이트들 중 임의의 선택된 백플레이트에 삽입하거나 제거하도록 구성된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을 포함하되,
    상기 둘 이상의 백플레이트들은 건물 전체에 분산된 둘 이상의 전기 접속 전선함(electrical junction box)들 내에 장착되고, 상기 선택된 백플레이트의 위치는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detection zone)들을 정의하며, 상기 둘 이상의 백플레이트들 각각은 상기 둘 이상의 전기 접속 전선함들의 전기 접속 전선함 내의 전선(electric wiring)에 연결된 백플레이트 전기 접촉부(backplate electrical contact),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백플레이트 전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차폐하고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백플레이트 전기 접촉부를 노출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이동식 커버(user-translatable cover), 및 분리되지 않는 한 상기 사용자 이동식 커버를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잠금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은 서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 각각은,
    상기 둘 이상의 백플레이트들 중 하나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 장치를 분리하여 상기 사용자 이동식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기능(feature)과,
    상기 사용자 이동식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백플레이트 전기 접촉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장치 제어 어셈블리 전기 접촉부와,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감지 구역의 현재 점유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점유 센서 - 점유 상태는 하나 이상의 점유자가 점유하거나 점유자가 없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은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들의 현재 및 과거 점유 상태를 기반으로 점유 루틴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현재 점유 상태와 상기 점유 루틴을 기반으로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미래 점유 상태를 예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예측된 미래 점유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백플레이트 중 하나에 연결된 전선을 통해 전기 부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에는 잡음 상태가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음 상태에는 침묵, 발소리, 주변 잡음, 음악, 대화 또는 텔레비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에는 점유자가 점유하는 것이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에는 상기 점유자의 액션이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자의 액션에는, 상기 점유 센서의 시야에 진입하는 것, 상기 시야를 통과하는 것, 상기 시야 내에서 정지 상태 유지하는 것 또는 상기 시야를 벗어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점유 상태에는 상기 점유 센서의 시야 내에서의 상기 점유자의 위치가 포함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래 점유 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재귀적 베이지안 추정(recursive bayesian estimation)을 사용하여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상기 현재 점유 상태 및 상기 점유 루틴을 기반으로 상기 미래 점유 상태를 예측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점유자 중 적어도 한 점유자가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 사이를 이동할 때 상기 점유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 중 제1 장치 제어 어셈블리가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 중 제1 감지 구역을 떠나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 중 제2 감지 구역으로 이동하는 점유자를 감지하고, 상기 전기 부하는 제2 감지 구역 내에 있으며, 상기 점유자가 상기 제2 감지 구역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제1 장치 제어 어셈블리가 상기 전기 부하를 작동시키는,
    예측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 중 제1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 중 제2 장치 제어 어셈블리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치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둘 이상의 점유자 중의 점유자가 전송하고 상기 제1 장치 제어 어셈블리가 수신한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자신과 상기 점유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은 그들 사이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신호의 강도에 기반하여 그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포함하는,
    예측 제어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구역은 실내인,
    예측 제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선택된 감지 구역들의 구역은 실외인,
    예측 제어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장치 제어 어셈블리들은 상기 둘 이상의 백플레이트들에 도구 없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예측 제어 시스템.
KR1020247037745A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Pending KR20240166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12388P 2015-08-31 2015-08-31
US62/212,388 2015-08-31
US15/074,915 2016-03-18
US15/074,915 US10063002B2 (en) 2015-08-31 2016-03-18 Configurable device control network
US15/145,624 2016-05-03
US15/145,624 US10069235B2 (en) 2015-08-31 2016-05-03 Modular device control unit
US15/253,815 2016-08-31
PCT/US2016/049797 WO2017040729A1 (en) 2015-08-31 2016-08-31 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US15/253,819 2016-08-31
US15/253,815 US10153113B2 (en) 2015-08-31 2016-08-31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cy prediction
US15/253,811 2016-08-31
KR1020187005970A KR20180051505A (ko)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US15/253,819 US20170115649A1 (en) 2015-08-31 2016-08-31 Occupancy-Based Communication Network
US15/253,811 US10078786B2 (en) 2015-08-31 2016-08-31 Occupancy sensing apparatus networ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70A Division KR20180051505A (ko)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6036A true KR20240166036A (ko) 2024-11-25

Family

ID=581886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7745A Pending KR20240166036A (ko)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KR1020187005970A Pending KR20180051505A (ko)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970A Pending KR20180051505A (ko) 2015-08-31 2016-08-31 생활 공간 기능 제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67288B1 (ko)
JP (2) JP6845854B2 (ko)
KR (2) KR20240166036A (ko)
WO (1) WO2017040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5625B2 (en) * 2015-08-31 2023-03-28 Deako, Inc.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US10700477B1 (en) 2017-08-31 2020-06-30 Deako, Inc. Modular device backbone for a network of user-swappable products
GB2560368B (en) * 2017-03-09 2022-11-23 Laporta Giovanni A control unit
CN107422703B (zh) * 2017-06-23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10893596B2 (en) 2018-03-15 2021-01-12 RAB Lighting Inc. Wireless controller for a lighting fixture
WO2021173024A1 (ru) * 2020-02-26 2021-09-0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сайт Пермь" Потолочный модуль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ы "умный дом"
JP7609614B2 (ja) 2020-11-27 2025-01-07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センサ装置
US11743955B2 (en) * 2021-08-18 2023-08-29 Level 3 Communications, Llc Faceplate-based wireless functionality device
WO2024054582A2 (en) * 2022-09-07 2024-03-14 Deako, Inc. Configurable devices and other systems and methods
JP2024079487A (ja) * 2022-11-30 202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9390A (en) 1990-10-15 1992-03-24 American Stabilis, Inc. Multiple orientation mounting thermostat
US5224649A (en) * 1992-03-23 1993-07-06 Emerson Electric Co. Digital thermostat with single rotary encoder switch for establishing set point temperature
JPH0629056U (ja) * 1992-09-11 1994-04-15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装置間接続用コネクタ
JP3039601B2 (ja) * 1994-05-09 2000-05-08 株式会社ヨコオ 液晶モニター用コネクタ装置
US5789702A (en) * 1996-05-17 1998-08-04 Perella; Paul Modular component of appliance housing
US5675194A (en) 1996-06-07 1997-10-07 Walker Systems, Inc. Modular power distribution system
JP3052843B2 (ja) 1996-07-03 2000-06-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US5853098A (en) * 1997-03-28 1998-12-29 Elder; Rodger D. Repositioning backplate for an electrical outlet box
US6132070A (en) * 1998-07-30 2000-10-17 Hubbell Incorporated Self-aligning canopy structure for connection to a mounting plate adapter utilized for attaching an exit sign to a junction box
US6909921B1 (en) 2000-10-19 2005-06-21 Destiny Networks, Inc. Occupancy sensor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system
EP1260886A3 (en) * 2001-05-23 2003-11-05 ABB Sace S.p.A. Home automation system
WO2005032887A2 (en) 2003-10-03 2005-04-14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Occupant detection system
JP2006029056A (ja) 2004-07-21 2006-02-02 Yasuaki Kanbayashi 水利施設操作桿の保護管
US7400239B2 (en) * 2004-09-03 2008-07-15 Simply Automated, Incorporated Univers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JP4349246B2 (ja) * 2004-09-22 2009-10-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の設定装置
US8836580B2 (en) * 2005-05-09 2014-09-16 Ehud Mendelson RF proximity tags providing indoor and outdoor navigation and method of use
US8089032B2 (en) 2006-10-27 2012-01-0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Wall mount electronic controller
US7497273B2 (en) 2007-03-07 2009-03-03 Optimal Innovations, Inc. Plug and play utility control modules
US7915528B2 (en) 2008-05-15 2011-03-29 Wenzhou Mtlc Electric Appliances Co., Ltd. Face slide weatherproof electric enclosure
US20100025483A1 (en) 2008-07-31 2010-02-04 Michael Hoeynck Sensor-Based Occupancy and Behavior Prediction Method for Intelligently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Within a Building
US7947901B2 (en) 2008-09-30 2011-05-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Environmentally sealed wiring device with integral weather-resistant cover
US8427278B2 (en) * 2008-10-17 2013-04-23 Robert Bosch Gmbh Automation and security system
CA2762163C (en) 2009-05-18 2017-12-12 Alarm.Com Incorporated Remote device control and energy monitoring
MX2012014027A (es) 2010-06-11 2013-07-17 Victor Alexander Sultana Toma de corriente retractil con capacidad inalambrica de bajo voltaje.
JP5554665B2 (ja) * 2010-09-09 2014-07-23 ミネベア株式会社 照明用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収納するスイッチモジュール収納ボックス
US8510255B2 (en) 2010-09-14 2013-08-13 Nest Labs, Inc. Occupancy pattern detection, estimation and prediction
BE1019838A3 (nl) 2011-02-23 2013-01-08 Delta Light Nv Systeem voor montage en elektrische aansluiting van verlichtingselementen.
CN103890667B (zh) * 2011-10-21 2017-02-15 谷歌公司 用户友好、网络连接的学习型恒温器及相关系统和方法
US8759674B2 (en) 2012-05-29 2014-06-24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box with multi-directional partition plate
US8878058B2 (en) 2012-06-28 2014-11-04 Hubbell Incorporated Raised access floor box with partitions
US20140022793A1 (en) * 2012-07-17 2014-01-23 Procter And Gamble, Inc. Home network of connected consumer devices
JP6062530B2 (ja) 2013-03-14 2017-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9122449B2 (en) 2013-11-01 2015-09-01 Switchform, LLC Modular gang box docking system for computing devices
US11651258B2 (en) 2014-01-08 2023-05-16 Yechezkal Evan Spero Integrated docking system for intelligent devices
US9583924B2 (en) 2014-03-20 2017-02-28 Allied Moulded Products, Inc. Resilient aperture cover
US9437978B2 (en) 2014-06-10 2016-09-06 Wesley G. Green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JP6265865B2 (ja) 2014-08-12 2018-01-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
EP3869922A1 (en) 2014-08-22 2021-08-25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Load control system responsive to location of an occupant and mobile devices
US9653897B2 (en) 2014-11-25 2017-05-16 The Wiremold Company Outdoor electrical box
US10063002B2 (en) * 2015-08-31 2018-08-28 Deako, Inc. Configurable device control network
US10066820B2 (en) * 2016-07-12 2018-09-04 Abl Ip Holding Llc Wall mounted battery-powered wirel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7288B1 (en) 2022-06-21
JP6845854B2 (ja) 2021-03-24
JP2018536264A (ja) 2018-12-06
JP2021101425A (ja) 2021-07-08
KR20180051505A (ko) 2018-05-16
JP7126579B2 (ja) 2022-08-26
WO2017040729A1 (en)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1960B2 (en) System for controlling living space features
JP7126579B2 (ja) 生活空間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699131B2 (en) User-upgradeable load control network
US101531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cy prediction
US11216246B2 (en) Audio-based load control system
US11490248B2 (en) Privacy mode for a wireless audio device
US20170115649A1 (en) Occupancy-Based Communication Network
US9179058B1 (en) Control of video camera with privacy feedback to capture images of a scene
CN105376874B (zh) 网络化生活和工作空间的电源插座无线接入点设备
US10412811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CN108476351A (zh) 照明和声音系统
US11039520B1 (en)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lights
US20230419672A1 (en) Configurable modular devices and other systems and methods
US20230281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ccupancy prediction
WO2015143099A2 (en) Home autom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JP2008252884A (ja) 通信デバイスとして使用される光スイッチ
JP2018506921A (ja) 住宅のための自動化制御システム
US202500222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occupancy prediction
KR102510499B1 (ko)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의 공동주택의 스마트홈 시스템
WO2024054582A2 (en) Configurable devices and other systems and methods
O'Driscoll Manage Your Smart Home With An App!: Learn Step-by-Step How to Control Your Home Lighting, Thermostats, IP Cameras, Music, Alarm, Locks, Kitchen and Garden with an App!
KR20230018287A (ko)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동선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EP3969968A1 (en) Integrated scalable system for managing and monitoring a home or work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05970

Filing date: 2018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