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5622A -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5622A
KR20240165622A KR1020230062975A KR20230062975A KR20240165622A KR 20240165622 A KR20240165622 A KR 20240165622A KR 1020230062975 A KR1020230062975 A KR 1020230062975A KR 20230062975 A KR20230062975 A KR 20230062975A KR 20240165622 A KR20240165622 A KR 20240165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monitoring
monitoring device
camera unit
response time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54169B1 (ko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06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4169B1/ko
Publication of KR2024016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41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 신호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ON-SITE MONITORING DEVICE AND ON-SITE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료하역기(Grab Type Ship Unloader, GTSU)란 부두에 정박된 선박으로부터 원료를 하역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실어주는 설비이다. 기존에는 원료하역기에 직접 운전자가 탑승하여 설비를 운전 및 제어하였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운전자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원격지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원료하역기를 제어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원료하역기는 높이가 40m에 이르는 대형 설비이기 때문에 현장 모니터링을 위하여 복수개의 카메라로 수집한 영상신호를 원격지에 있는 모니터 장치에 송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장의 장치와 원격지의 장치가 무선으로 동일한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정된 무선자원을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영상 신호의 전송에 소비되는 무선자원의 양이 많아지면 다른 신호의 전송에 소비되는 무선 자원의 양이 제한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영상 신호를 한꺼번에 원격지의 모니터 장치에 송신하는 경우, 영상 신호의 송신에 소비되는 데이터 양이 많기 때문에, 제어신호의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늦어지는 경우, 신속한 장치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현장과 원격지의 제어신호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을 일정 수준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0-0959888 B1
본 발명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현장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을 조절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영역과 다른 영역의 영상 신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영상 신호의 데이터양을 조절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는 소리 신호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고,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에서 수집한 영상 신호의 압축비율을 제어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여 제어신호의 응답 시간을 목표한 시간 내로 확보 가능한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 특정한 사고,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해당 구역에서는 고화질의 영상 정보를 확보하면서도, 제어신호의 응답 시간을 목표한 시간 내로 확보 가능한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간의 신호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원격 제어 장치(20),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로부터 1km 이상 떨어진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장비가 배치되어 있는 현장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부두에 정박된 선박으로부터 원료를 하역하여 컨베이어 벨트에 실어주는 설비인 원료하역기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원료하역기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한 모든 대형 설비에 적용 가능하다.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현장의 원료하역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수집부(100), 카메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00)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구성되어 원료 하역기의 여러 구역에 배치되며, 각 구역의 소리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수집부(100)는 진동 신호를 수집하는 진동 센서 또는 영상 신호를 수집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 수집부(100)는 마이크로 구성된 것으로 주로 설명하나, 수집부(100)는 마이크뿐만 아니라 진동 센서 또는 카메라 등의 신호를 수집하는 각종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200)는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수집부(100)와 함께 원료 하역기의 여러 구역에 배치되며, 여러 구역의 영상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및 이를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간의 신호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카메라로 영상 신호를 수집하여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에서 영상 신호를 확인하고, 원격 제어 장치(20)를 이용하여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를 제어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에서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원격 제어 장치(20)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응답 시간(t)로 정의될 수 있다.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에 사용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원격 제어 장치(20),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동일한 통신망(예를 들어, 5G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통신망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해야 시스템의 원활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만약, 적절한 무선 자원의 배분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격 제어 장치(20)의 제어 신호의 전송이 지연되거나, 사고가 발생하여 주요 부분의 모니터링이 필요한 경우에도 영상 신호의 전송 지연 혹은 끊김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설비사고를 유발하거나, 원격지 관리자가 비상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가 신속하게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에 도달하여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무선 자원을 배분하여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원격 제어 장치(20),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는 수집부(100), 카메라부(200), 제어부(300), 및 통신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00)는 원료 하역기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구역에 복수개 배치되어 소리 신호, 진동 신호, 또는 영상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부(100)에서 수집한 소리 신호, 진동 신호, 또는 영상 신호는 무선통신 혹은 유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서는 소리 신호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하역기 중에서 원료를 컨베이어벨트에 적치하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300)는 해당 부분에 배치된 마이크에서 수집한 소리 신호, 진동 신호, 또는 영상 신호에서 이상을 감지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수집부(100)와 함께 원료 하역기에서 모니터링이 필요한 구역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독립된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영상 정보를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송할 수 있다.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 및 원격 제어 장치(20)는 현장에서 1km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대형 설비인 원료하역기에 배치되는 카메라는 복수개이기 때문에 각각 영상 신호를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에 전송하는 데에 많은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00)는 수집부(100)와 연동될 수 있다. 특정 구역에 설치된 수집부(100)는 특정 구역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부(200)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역에 설치된 수집부(100)에서 수집한 소리 신호에서 이상이 감지된 경우, 해당 수집부(100)와 연동되어 주변에 설치된 카메라부(200)의 영상 신호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00)에서 특정 마이크의 소리 신호에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한 경우, 해당 마이크와 연동되어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카메라는 제1 카메라부(210), 해당 마이크와 연동되지 않아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카메라는 제2 카메라부(220)로 설정될 수 있다.
통신부(400)는 원격 제어 장치(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의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부(100)의 소리 신호를 수신하고 카메라부(200)의 압축 비율을 제어하는 신호를 카메라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집부(100)는 복수개의 마이크로 구성되어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장치의 여러 구역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200)는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 구역에 배치된 마이크와 연동되어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수집부(100)가 4개의 마이크(100-1, 100-2, 100-3, 100-4)로 구성되고,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장치 중 특정 구역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한 구역과 가장 가까이에 위치한 마이크(100-1)에서 수집한 소리 신호에서 이상이 감지되어 이벤트 발생이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마이크(100-1)와 연동된 카메라는 제1 카메라부(210), 해당 마이크(100-1)과 연동되지 않은 카메라는 제2 카메라부(220)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300)는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310),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 및 학습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듈의 동작은 제어부(300)의 동작으로 설명될 수도 있다.
제어부(300)의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310)은 수집부(100)에서 수집한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소리 신호의 주파수, 또는 크기 등을 분석하여 평소와 다른 이상 소리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310)은 특정 마이크에서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감지 모듈(310)은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비정상적 신호를 감지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210)의 영상 신호는 고화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220)의 영상 신호는 저화질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카메라부(20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제어하여 영상 신호의 화질 및 영상 신호의 데이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21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은 0% 내지 30%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22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간이란 원격 제어 장치에서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원격 제어 장치(20)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에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0.5초 이내로 해야 하는 경우, 목표 응답 시간을 0.5초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응답 시간이 목표 응답 시간에 도달하도록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목표 응답 시간은 0.1초 내지 1초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은 0% 내지 100%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영상 신호가 낮은 비율로 압축될수록 고화질의 영상 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영상 신호가 높은 비율로 압축될수록 저화질의 영상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의 영상 압축 모듈은 모든 카메라부(200)의 영상 신호를 동일한 압축 비율로 설정하여, 목표 응답 시간에 이르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300)의 영상 압축 모듈은 제1 카메라부(210)의 영상 신호는 기 설정된 낮은 비율로 압축하여, 제1 카메라부(210)의 영상 신호가 고화질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2 카메라부(220)의 영상 신호는 응답 시간을 고려하여 목표 응답 시간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학습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학습 모듈(330)은 카메라부(20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과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의 학습 모듈(330)은 카메라부(200)의 N개의 카메라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임의로 변화시키면서 응답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학습 모듈(330)은 카메라부(200)의 영상 압축 비율을 조절하여 응답 시간을 확인하여 상관관계를 학습하여, 목표 응답 시간에 도달하기 위하여 영상 압축 비율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의 학습 모듈(330)은 무선 통신망의 상태와 응답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학습 모듈(330)은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와 원격 제어 장치(20)간의 거리와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응답 시간은 전송하는 신호의 데이터양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의 상태, 단말 사이의 거리, 날씨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어부(300)의 학습 모듈(330)은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 또는 영상 신호의 데이터 양, 무선 통신의 상태, 및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와 원격 제어 장치(20) 간의 거리와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의 압축 비율 설정 모듈(320)은 학습 모듈(330)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응답 시간이 목표 응답 시간을 보장하도록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수행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한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이벤트 발생 감지 단계, 압축 비율 설정 단계, 학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 감지 단계는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설비에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 마이크에서 수집하는 소리 신호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압축 비율 설정 단계는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21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시간은 원격 제어 장치(20)에서 현장 모니터링 장치(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에서 원격 제어 장치(20)로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어 해당 구역의 영상 신호를 수집하는 카메라는 기 설정된 값으로 압축 비율이 설정되어 고화질로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카메라는 최소 응답 시간을 보장하도록 압축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 비율 설정 단계는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1 카메라부(210) 및 제2 카메라부(22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은 응답 시간이 목표 응답 시간에 도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학습 단계는 제2 카메라부(220)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과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단계는 무선 통신망의 상태, 또는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10)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20) 간의 거리와 상기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모니터링 장치(10), 원격 제어 장치(20),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30)는 동일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은 한정된 무선 자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 부'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로직 회로,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 펌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내용은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직접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프로세서 중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으로 구현되어 수행 완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과 같은 종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술한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현장 모니터링 장치
20: 원격 제어 장치
30: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
100: 수집부
200: 카메라부
210: 제1 카메라부
220: 제2 카메라부
300: 제어부
400: 통신부

Claims (16)

  1.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소리 신호, 진동 신호, 또는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고,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상기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답 시간이 목표 응답 시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설정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 신호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학습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모듈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과 상기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듈은 무선 통신망의 상태, 또는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간의 거리와 상기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더 학습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한정된 무선 자원을 갖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
  9. 원격 제어 장치 및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수행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소리 신호, 진동 신호, 또는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제1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과 관련되지 않은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에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을 상기 응답 시간에 기반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은 상기 응답 시간이 목표 응답 시간에 도달하도록 설정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는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 신호의 압축 비율과 상기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방법은,
    무선 통신망의 상태, 또는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간의 거리와 상기 응답 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모니터링 장치, 상기 원격 제어 장치, 및 상기 원격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한정된 무선 자원을 갖는, 현장 모니터링 방법.
KR1020230062975A 2023-05-16 2023-05-16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Active KR10275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975A KR102754169B1 (ko) 2023-05-16 2023-05-16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975A KR102754169B1 (ko) 2023-05-16 2023-05-16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5622A true KR20240165622A (ko) 2024-11-25
KR102754169B1 KR102754169B1 (ko) 2025-01-14

Family

ID=9367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975A Active KR102754169B1 (ko) 2023-05-16 2023-05-16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4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0206B1 (ko) * 2024-12-20 2025-04-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역기의 충돌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225A (ja) *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映像蓄積装置及び映像蓄積方法
KR20150099990A (ko) * 2014-02-24 2015-09-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감시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영상신호 수신방법, 카메라 및 그 영상신호 전송방법
US20150296188A1 (en) * 2014-04-14 2015-10-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virtual zone based camera parameter updates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225A (ja) *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映像蓄積装置及び映像蓄積方法
KR20150099990A (ko) * 2014-02-24 2015-09-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감시 시스템, 관리서버 및 그 영상신호 수신방법, 카메라 및 그 영상신호 전송방법
US20150296188A1 (en) * 2014-04-14 2015-10-1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of virtual zone based camera parameter updates in video surveillance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90206B1 (ko) * 2024-12-20 2025-04-0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하역기의 충돌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4169B1 (ko) 202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4169B1 (ko) 현장 모니터링 장치 및 현장 모니터 방법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56854B1 (ko)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JP435439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827408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승강기 내부 데이터 및 영상 전송시스템
JP3838784B2 (ja) 画像伝送システム
US20090231428A1 (en) Surveillance apparatus and program
US20170048101A1 (en) Method and unit for handling deteriorating hardware
KR101948010B1 (ko) 센서용 터미널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분산형 센서 네트워크 관제 시스템
KR102056858B1 (ko) 아이피(ip) 비디오 월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471060B1 (ko) 통합형 무선영상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시스템
KR101438645B1 (ko)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JP2003272066A (ja) ビル群管理システム
JP2003259343A (ja) 画像遠隔監視システム
CN116844071A (zh) 电缆巡检中的自识别系统及方法
JP4581234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4703664B2 (ja) 番組送出系統切替システムおよび切替方法
KR102622062B1 (ko) 아이피 전송 시스템의 케이블 자동 전환 방법
KR102333547B1 (ko) 광케이블 센서와 주파수분할다중화장치를 이용한 비상방송 송출시스템
JP2021097336A (ja) 監視用テレビモニタ装置の故障予兆検知システム
CN116091975A (zh) 算法执行处理方法、装置及相关设备
KR102214483B1 (ko) 스마트 시티 통합관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279370Y1 (ko) 디지털 다중 원격감시 시스템
JPH10136332A (ja) 双方向catv伝送路利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20024031A (ko) 디지털 다중 원격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