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5124A -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5124A KR20240165124A KR1020230062472A KR20230062472A KR20240165124A KR 20240165124 A KR20240165124 A KR 20240165124A KR 1020230062472 A KR1020230062472 A KR 1020230062472A KR 20230062472 A KR20230062472 A KR 20230062472A KR 20240165124 A KR20240165124 A KR 20240165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pace
- stool
- cuff
- control modu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03 subcutaneous f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61H9/0078—Pneumatic massage with intermittent or alternately inflated bladders or cuffs
- A61H9/0092—Cuff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09—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6—Control means thereof pneumatically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 호스연결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는 에어어댑터(130);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스툴본체에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일체로 장착되고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마사지하는 에어커프 및 공기압을 전달하는 에어호스를 스툴본체에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고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마사지 장치는 다리, 팔 또는 몸통 등의 신체 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공기압으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장치로서, 마사지를 통해 신체부위의 혈액이나 체액이 원활하게 순환되고 피하지방을 자극할 수 있어 체액 순환장애가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바디라인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이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에어마사지 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의 에어마시지 장치는 다리 등의 신체부위 둘레에 착용되고 연이어 배치되는 여러 개의 에어백(11)이 구비되어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하거나 수축하면서 신체를 압박하는 에어커프(10)와, 일단이 에어커프(10)의 각 에어백(11)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에어호스(12) 및, 각 에어호스(12)의 타단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0)의 팽창 및 수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신체를 이완시키기 위해 도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마사지를 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쇼파가 배치된 거실이나 침대가 있는 침실과 같이 별도의 착석공간이 마련된 장소에서만 에어마사지 장치를 이용가능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에어커프(11)는 신체 부위에 착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팔이나 다리에 착용되는 경우 여러 개가 함께 구비되어야 하며, 각 에어호스(12)는 사용자의 활동반경을 고려하여 1.5m 이상 연장된 길이를 갖기 때문에 미사용시 실내공간에 비치하게 되면 차지하는 공간이 과도할 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미사용시 에어마사지 장치를 옷장이나 선반과 같이 별도의 보관장소에 보관하였으며 사용시에는 보관장소에서 마사지 장소로 꺼내온 후 에어커프(10)와 제어모듈(5)을 에어호스(12)로 연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세팅절차가 필요했기 때문에 마사지 이용빈도가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스툴본체에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일체로 장착되고 다리, 팔 및 몸통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마사지하는 에어커프 및 에어를 전달하는 에어호스가 스툴본체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마사지하고자 할 때 장소의 제약없이 에어커프를 스툴본체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에어커프 및 에어호스를 스툴본체에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는,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 호스연결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는 에어어댑터(130);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여기서, 전원연결구(1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는 전원어댑터(16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 및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32)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수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획판(17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향 이격된 높이에 수평배치되면서 공간부(112)를 하부의 제1공간(112a)과 상부의 제2공간(112b)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구획하고, 일측이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배치되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제1공간(112a)을 상향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과 노즐호스(182)로 연결되도록 제1공간(112a)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1공간(112a)에 수납된 에어커프(140)를 향해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1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111)에는 제1공간(112a)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노즐(181)과 배기공(113)은 제2공간(112b)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11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에어노즐(181)은 측벽(1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공(113)은 측벽(111)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제2공간(112b) 내에 수납된 에어커프(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 또는 전원어댑터(16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일정량의 충전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18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배터리부(186)에 저장된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에어노즐(1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은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86)의 충전전원으로 구동하면서 자동적으로 에어노즐(181)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판(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112b)에 수납된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히팅부(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는,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호스연결구(131)가 구비된 에어어댑터(130);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에어호스(141)를 통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연결구(16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는 전원어댑터(16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제2공간(112b)으로 노출되며 타측이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구획판(170)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41)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에어커프(140)가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에어어댑터(130)에 에어를 주입하여 제2공간(112b)의 내부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측벽(111)에는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직립배치되는 지지다리(190); 상기 지지다리(190)의 상단에 장착되어 일정높이에 수평배치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다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114)이 마련된 스툴본체(110); 상기 거치면(114)을 커버하는 형태로 스툴본체(11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거치면(114)과의 사이에 수납공간(123)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마련된 스툴시트(120);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되는 에어커프(14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에어호스(141)를 통해 상기 에어커프(14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툴본체(110)는 상하로 개구된 호스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스툴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50)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공(116)에 관통삽입되어 타단이 에어커프(140)에 연결되면서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에어커프(140)로 공급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에 의하면,
첫째, 스툴본체(110)는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스툴시트(120)는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되고, 에어어댑터(130)는 호스연결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며, 에어커프(140)는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고, 제어모듈(150)은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스툴본체(110)에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이 일체로 장착되고 다리, 팔 및 몸통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가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마사지하고자 할 때 장소의 제약없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스툴본체(110)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둘째, 전원어댑터(160)는 전원연결구(1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며, 구획판(17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 및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32)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수납 가능하는 것과 같이, 제2공간(112b)에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수납할 때 외부 가압이나 접촉에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유지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구획판(170)은, 스툴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향 이격된 높이에 수평배치되면서 공간부(112)를 하부의 제1공간(112a)과 상부의 제2공간(112b)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구획하고, 일측이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배치되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제1공간(112a)을 상향 노출시키는 것과 같이, 제1공간(112a)에 배치되는 제어모듈(150), 전원어댑터(160),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 등의 보수나 교체시 구획판(170)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상향 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있다.
넷째, 에어노즐(181)은 제어모듈(150)과 노즐호스(182)로 연결되도록 제1공간(112a)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1공간(112a)에 수납된 에어커프(140)를 향해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마사지하면서 에어커프(140)에 뭍을 수 있는 땀 등의 수분을 수납상태에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측벽(111)에는 제1공간(112a)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되어 건조된 수분입자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효과가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에어노즐(181)과 배기공(113)은 제2공간(112b)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11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에어노즐(181)은 측벽(1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공(113)은 측벽(111)의 하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2공간(112b) 내에 수납된 에어커프(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커프(140)에 뭍은 수분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섯째, 배터리부(186)는 상기 제어모듈(150) 또는 전원어댑터(16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일정량의 충전전원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배터리부(186)에 저장된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에어노즐(181)로 에어를 주입함으로써,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전원케이블(162)을 분리하여 구동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에어노즐(181)을 통한 건조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사지를 완료한 후 건조시간 동안 전원어댑터(160)에 전원케이블(162)을 연결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어모듈(150)은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86)의 충전전원으로 구동하면서 자동적으로 에어노즐(181)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동작함으로써, 마사지를 완료하고 전원케이블(162)을 전원어댑터(160)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없이 에어노즐(181)을 통한 건조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여덟째, 히팅부(187)는 상기 구획판(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112b)에 수납된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킴으로써, 에어커프(140)에 뭍은 수분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하여 건조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아홉째, 스툴본체(110)는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스툴시트(120)는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되고, 에어어댑터(130)는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호스연결구(131)가 구비며, 에어커프(140)는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에어호스(141)를 통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고, 제어모듈(150)은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과 같이, 마사지하고자 할 때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스툴본체(110)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열째, 전원어댑터(160)는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연결구(16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고, 구획판(17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제2공간(112b)으로 노출되며 타측이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구획판(170)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41)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함으로써, 제2공간(112b)에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수납할 때 외부 가압이나 접촉에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유지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열한째, 지지다리(190)는 바닥면에 지지되어 직립배치되며, 스툴본체(110)는 상기 지지다리(190)의 상단에 장착되어 일정높이에 수평배치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다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114)이 마련되며, 스툴시트(120)는 상기 거치면(114)을 커버하는 형태로 스툴본체(11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거치면(114)과의 사이에 수납공간(123)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마련되고, 에어커프(140)는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되고, 제어모듈(15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에어호스(141)를 통해 상기 에어커프(14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미사용시 에어커프(140)가 수납공간(123)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으며 평상시 일반적인 스툴의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열둘째, 상기 스툴본체(110)는 상하로 개구된 호스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스툴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50)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공(116)에 관통삽입되어 타단이 에어커프(140)에 연결되면서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에어커프(140)로 공급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됨으로써, 마사지할 때마다 에어커프(140)와 제어모듈(150) 사이에 에어호스(141)를 일일이 연결하거나 마사지를 마친 후 연결된 에어호스(141)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장비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마사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170)의 구성 및 스툴본체에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 내부에 에어커프 및 에어호스가 수납되 상태를 나타낸 제품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이 회동하면서 제1공간이 상향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을 통해 수납된 에어커프에 뭍은 수분이 건조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배터리부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에어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제품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제품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이용방식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와 스툴시트 사이의 수납공간에 에어커프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로부터 스툴시트가 개방되면서 내부의 에어커프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프가 스툴본체의 거치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170)의 구성 및 스툴본체에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 내부에 에어커프 및 에어호스가 수납되 상태를 나타낸 제품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이 회동하면서 제1공간이 상향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을 통해 수납된 에어커프에 뭍은 수분이 건조되는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이 배터리부의 충전전원을 이용하여 에어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제품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제품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이용방식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와 스툴시트 사이의 수납공간에 에어커프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로부터 스툴시트가 개방되면서 내부의 에어커프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커프가 스툴본체의 거치면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스툴본체(110)에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이 일체로 장착되고 다리, 팔 및 몸통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을 마사지 하는 에어커프(140) 및 에어를 전달하는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마사지 하고자 할 때 스툴본체(110)에 착석할 수 있어 장소의 제약없이 에어커프(140)를 스툴본체(110)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스툴본체(110)에 수납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마사지 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제어모듈(150)이 장착되는 위치, 스툴본체(110)의 형태에 따라 실시예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제어모듈(150) 및 에어어댑터(130)가 스툴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마사지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툴본체(110), 스툴시트(120), 에어어댑터(130), 에어커프(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상기 스툴본체(110)는 에어어댑터(130) 및 제어모듈(150)을 수용하고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스툴본체(110)가 사각 육면체의 외형을 갖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원통형, 삼각 육면체, 다각면체 등 다양한 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툴본체(110)는 착석한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한 재질 및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툴본체(110)는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툴시트(120)는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툴시트(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스툴본체(110)의 상단에 안착되고 상단으로부터 상향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측이 스툴본체(11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면서 스툴본체(110)의 개구된 공간부(112)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툴시트(120)의 내부에는 쿠션재(122)가 구비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가 안락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에어어댑터(130)는 제어모듈(150)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에어커프(140)에 공급되도록 하는 커넥터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호스(14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연결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툴본체(110)의 측벽(111)에 장착된다.
상기 에어커프(140)는 공기압으로 신체부위를 마사지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한다.
여기서, 도 4에는 에어커프(140)가 긴 장화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면서 감싸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가 동일한 신체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신체부위에 착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벨크로, 지퍼 및 버튼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미사용시 에어커프(14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에어커프(140)에 의해 신체가 가압되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및 설정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부(151) 및 동작 및 설정상태를 나타낸 표시부(1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툴본체(11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도 2에는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가 서로 다른 측벽(111)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측벽(111)에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에어어댑터(130)가 제어모듈(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어댑터(160)가 구비되는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어댑터(160)는 전원연결구(1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한다. 여기서, 도 2에는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가 서로 다른 측벽(111)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측벽(111)에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원어댑터(160)가 제어모듈(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스툴본체(110)에 공기압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이 일체로 장착되고 다리, 팔 및 몸통 등의 신체부위를 공기압으로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에어를 전달하는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수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마사지하고자 할 때 장소의 제약없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스툴본체(110)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스툴본체(110)의 공간부(112)를 에어커프(140)가 수납되는 공간과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170)은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 및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32)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수납 가능하는 것과 같이, 제2공간(112b)에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수납할 때 외부 가압이나 접촉에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유지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170)은 도면에서와 같이 스툴본체(110) 내부에 수평배치되어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직립배치되어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을 측방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70)이 스툴본체(110) 내에 고정 장착된 경우, 제1공간(112a)에 배치되는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연결호스(132), 전원어댑터(160) 및 전원라인(163)에 정비 및 교체 소요가 발생하게 되면 스툴본체(110)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획판(170)은 회동구조로 이루어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구획판(170)은, 스툴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향 이격된 높이에 수평배치되면서 공간부(112)를 하부의 제1공간(112a)과 상부의 제2공간(112b)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구획하고, 일측이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배치되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제1공간(112a)을 상향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112a)에 배치되는 제어모듈(150), 전원어댑터(160),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 등의 보수나 교체시 구획판(170)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상향 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있다.
한편, 에어커프(140)는 센체부위에 착용되면서 피부와 접촉하여 땀 등의 수분이 쉽게 뭍게 된다. 이 경우 수분이 뭍은 상태 그대로 밀폐된 스툴본체(110)의 공간부(112)에 수납하게 되면 악취나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에어노즐(181)를 이용한 건조기능을 통해 수납된 에어커프(140)의 수분이 건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노즐(181)은 제어모듈(150)과 노즐호스(182)로 연결되도록 제1공간(112a)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1공간(112a)에 수납된 에어커프(140)를 향해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분사함으로써 마사지하면서 에어커프(140)에 뭍을 수 있는 땀 등의 수분을 수납상태에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측벽(111)에는 제1공간(112a)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되어 건조된 수분입자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어 건조효과가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노즐(181)과 배기공(113)은 제2공간(112b)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11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에어노즐(181)은 측벽(1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공(113)은 측벽(111)의 하부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2공간(112b) 내에 수납된 에어커프(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여 에어커프(140)에 뭍은 수분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모듈(150) 또는 전원어댑터(16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일정량의 충전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배터리부(186)에 저장된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에어노즐(1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전원케이블(162)을 분리하여 구동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에어노즐(181)을 통한 건조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마사지를 완료한 후 건조시간 동안 전원어댑터(160)에 전원케이블(162)을 연결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은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86)의 충전전원으로 구동하면서 자동적으로 에어노즐(181)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동작함으로써, 마사지를 완료하고 전원케이블(162)을 전원어댑터(160)로부터 분리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조작없이 에어노즐(181)을 통한 건조기능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획판(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112b)에 수납된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히팅부(1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커프(140)에 뭍은 수분의 증발효과를 극대화하여 건조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제어모듈(150) 및 에어어댑터(130)가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마사지 장치로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와,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와,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호스연결구(131)가 구비된 에어어댑터(130)와,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에어호스(141)를 통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툴본체(110)와 에어커프(1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에어어댑터(130)와 제어모듈(150) 및 후술되는 전원어댑터(160)가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세부 구성 및 기능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15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어댑터(160)가 구비되는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어댑터(160)는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연결구(16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가 공간부(112) 내에서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측벽(111)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본체(110), 스툴시트(120), 에어어댑터(130), 에어커프(140) 및 제어모듈(15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마사지하고자 할 때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스툴본체(110)에서 꺼내 바로 이용가능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가 스툴본체(110)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판(17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며,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제2공간(112b)으로 노출되며 타측이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구획판(170)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41)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함으로써, 제2공간(112b)에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를 수납할 때 외부 가압이나 접촉에 쉽게 손상되거나 변형될 수 있는 연결호스(132) 및 전원라인(163)이 에어커프(140) 및 에어호스(141)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의 수명을 유지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신체를 마사지 하는 경우 스툴본체(110)에 착석하지는 못하나 에어커프(140)의 수납시 에어호스(141)를 에어어댑터(13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수납후에는 일반적인 스툴과 같이 사용자가 스툴본체(110)에 착석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의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는 스툴본체(110)가 지지다리(190)에 지지되어 일정높이에 배치되는 마사지 장치로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190), 스툴본체(110), 스툴시트(120), 에어커프(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지다리(190)는 스툴본체(110)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바닥면에 지지되어 직립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하나의 지지다리(190)가 구비되어 스툴본체(110)의 중앙에 상단이 장착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지지다리(190)가 스툴본체(110)의 하부에 함께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스툴본체(110)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단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다리(190)가 스툴본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다리(190)는 상하로 길이가 조절되는 신축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사선택에 따라 직립된 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툴본체(110)는 스툴시트(120)와 함께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함과 동시에 마사지시에 사용자의 다리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지지다리(190)의 상단에 장착되어 일정높이에 수평배치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사용자의 다리 즉, 에어커프(140)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114)이 마련된다.
여기서, 도 12에서와 같이 스툴본체(110)의 내부에는 쿠션재(115)가 구비되어 거치한 사용자의 다리가 안락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툴시트(120)는 스툴본체(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수단으로서, 스툴본체(110)의 거치면(114)을 커버하는 형태로 스툴본체(11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거치면(114)과의 사이에 수납공간(123)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마련되다.
여기서, 상기 스툴시트(120)는 도면에서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착탈수단(124)이 배치되어 스툴본체(11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착탈수단(124)으로는 지퍼, 스냅단추 및 벨크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다양한 착탈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툴시트(120)는 스툴본체(110)의 테두리 상에서 일부가 부착된 형태로 수납공간(123)을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직물이나 비닐과 같이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툴본체(110)에 부착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스툴본체(110)의 테두리로부터 분리되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스툴시트(120)가 스툴본체(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스툴시트(120)를 별도로 보관해야 하나, 상기와 같이 일부가 스툴본체(110)에 장착된 상태로 수납공간(123)을 개방할 수 있어 마사지시에 에어커프(140)를 사용하는데 간섭을 주지 않으면서도 분리된 스툴시트(12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스툴본체(110)에 보다 용이하게 재장착할 수 있다.
상기 에어커프(140)는 공기압으로 신체부위를 마사지하는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도 13과 같이 접혀진 상태로 수납공간(123)에 수납된다.
여기서, 도 15 및 도 16에는 에어커프(140)가 긴 장화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면서 감싸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가 동일한 신체부위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착용되는 신체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신체부위에 착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벨크로, 지퍼 및 버튼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에어커프(140)에 의해 신체가 가압되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해 공기압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스툴본체(11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에어호스(141)를 통해 상기 에어커프(14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지지다리(190), 스툴본체(110), 스툴시트(120), 에어커프(140) 및 제어모듈(15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미사용시 에어커프(140)가 수납공간(123)에 수납되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실내 인테리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별도의 보관장소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으며 평상시 일반적인 스툴의 용도로 이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에어호스(141)는 에어커프(140)와 함께 수납공간(123)에 수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사용시마다 에어호스(141)를 에어커프(140)에 결합하고 사용후에는 에어커프(14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100)에서는 에어호스(141)를 번번히 재결합 및 분리할 필요없이 에어커프(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에어커프(140)가 수납공간(123)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툴본체(110)는 상하로 개구된 호스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스툴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50)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공(116)에 관통삽입되어 타단이 에어커프(140)에 연결되면서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에어커프(140)로 공급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12에서와 같이 스툴본체(110)에 스툴시트(120)를 장착하여 스툴시트(120)의 착석면(121)을 통해 일반적인 스툴용도로 이용하고, 마사지시에는 도 13과 같이 스툴본체(110)로부터 스툴시트(120)를 분리하면 도 14와 같이 수납공간(123)에 수납된 에어커프(140)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마사지 중에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스툴본체(110)의 거치면(114)에 사용자의 다리를 거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쇼파나 다른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에 착용한 에어커프(140)를 스툴본체(110)에 편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사지할 때마다 에어커프(140)와 제어모듈(150) 사이에 에어호스(141)를 일일이 연결하거나 마사지를 마친 후 연결된 에어호스(141)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장비의 세팅이 용이하여 마사지 이용빈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110...스툴본체 111...측벽
112...공간부 112a...제1공간
112b...제2공간 113...배기공
114...거치면 116...호스공
120...스툴시트 121...착석면
123...수납공간 130...에어어댑터
131...호스연결구 140...에어커프
141...에어호스 142...에어백
150...제어모듈 160...전원어댑터
161...전원연결구 162...전원케이블
170...구획판 171...힌지축
181...에어노즐 186...배터리부
187...히팅부 190...지지다리
110...스툴본체 111...측벽
112...공간부 112a...제1공간
112b...제2공간 113...배기공
114...거치면 116...호스공
120...스툴시트 121...착석면
123...수납공간 130...에어어댑터
131...호스연결구 140...에어커프
141...에어호스 142...에어백
150...제어모듈 160...전원어댑터
161...전원연결구 162...전원케이블
170...구획판 171...힌지축
181...에어노즐 186...배터리부
187...히팅부 190...지지다리
Claims (13)
-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
호스연결구(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는 에어어댑터(130);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조작부(151) 및 표시부(15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연결구(16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는 전원어댑터(16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 및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스툴시트(120)의 측벽(111)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연결호스(132)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한 에어커프(140)를 수납 가능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170)은,
상기 스툴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상향 이격된 높이에 수평배치되면서 공간부(112)를 하부의 제1공간(112a)과 상부의 제2공간(112b)으로 상하 구분되도록 구획하고,
일측이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어 수직배치되도록 회동하면서 상기 제1공간(112a)을 상향 노출시키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50)과 노즐호스(182)로 연결되도록 제1공간(112a)의 내부에 장착되어 제1공간(112a)에 수납된 에어커프(140)를 향해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1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111)에는 제1공간(112a)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181)과 배기공(113)은 제2공간(112b)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111)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에어노즐(181)은 측벽(111)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공(113)은 측벽(111)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제2공간(112b) 내에 수납된 에어커프(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기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50) 또는 전원어댑터(16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일정량의 충전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부(18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배터리부(186)에 저장된 충전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면서 상기 에어노즐(181)로 에어를 주입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150)은 전원어댑터(16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배터리부(186)의 충전전원으로 구동하면서 자동적으로 에어노즐(181)에 에어가 주입되도록 동작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17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공간(112b)에 수납된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설정온도로 가열하여 에어커프(140) 및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키는 히팅부(187);를 더 포함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측방 둘레를 따라 측벽(1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상향 개구된 공간부(112)가 형성된 스툴본체(110);
상기 스툴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개구된 공간부(112)를 개폐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형성된 스툴시트(120);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호스연결구(131)가 구비된 에어어댑터(130);
상기 호스연결구(131)에 에어호스(141)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에어호스(141)를 통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따라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는 에어커프(140); 및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어댑터(13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112)는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연결구(161)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라인(163)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연결구(161)에 전원케이블(162)이 연결되면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제어모듈(150)에 인가하는 전원어댑터(16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간부(112)를 제1공간(112a)과 제2공간(112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 에어어댑터(130) 및 전원어댑터(160)는 일측이 제2공간(112b)으로 노출되며 타측이 제1공간(112a)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구획판(170)에 장착되고 상기 제어모듈(150)과 에어어댑터(130)를 연결하는 에어호스(141) 및 상기 제어모듈(150)과 전원어댑터(160)를 연결하는 전원라인(163)은 상기 제1공간(112a) 내에 연장배치되며,
상기 제2공간(112b)은 에어커프(140)를 접은 부피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에어커프(140)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에어커프(140)는 호스연결구(13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에어커프(140)가 호스연결구(13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에어어댑터(130)에 에어를 주입하여 제2공간(112b)의 내부로 에어가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측벽(111)에는 제2공간(112b)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공(113)이 형성된,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바닥면에 지지되어 직립배치되는 지지다리(190);
상기 지지다리(190)의 상단에 장착되어 일정높이에 수평배치되고 상부에는 사용자의 다리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면(114)이 마련된 스툴본체(110);
상기 거치면(114)을 커버하는 형태로 스툴본체(110)의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상기 거치면(114)과의 사이에 수납공간(123)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착석면(121)이 마련된 스툴시트(120);
사용자의 신체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되며 내부에는 기밀한 에어백(142)이 형성되어 내부로 주입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 및 수축 동작하면서 신체를 압박하여 마사지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접혀진 상태로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되는 에어커프(140); 및
상기 스툴본체(110)의 하부 또는 내부에 장착되고 에어호스(141)를 통해 상기 에어커프(140)와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거나 주입된 에어를 흡입하면서 에어커프(140)의 팽창동작 및 수축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툴본체(110)는 상하로 개구된 호스공(116)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스툴본체(11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에어호스(141)는 일단이 제어모듈(150)에 연결되고 상기 호스공(116)에 관통삽입되어 타단이 에어커프(140)에 연결되면서 제어모듈(150)로부터 주입되는 에어를 에어커프(140)로 공급하며,
상기 에어커프(140)는 에어호스(141)가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 상기 수납공간(123)에 수납되는,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2472A KR20240165124A (ko) | 2023-05-15 | 2023-05-15 |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2472A KR20240165124A (ko) | 2023-05-15 | 2023-05-15 |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5124A true KR20240165124A (ko) | 2024-11-22 |
Family
ID=9370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2472A Pending KR20240165124A (ko) | 2023-05-15 | 2023-05-15 |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512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2695B1 (ko) | 1998-12-28 | 2002-07-04 | 다까따 모토유끼 | 에어 마사지 시스템 |
-
2023
- 2023-05-15 KR KR1020230062472A patent/KR20240165124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2695B1 (ko) | 1998-12-28 | 2002-07-04 | 다까따 모토유끼 | 에어 마사지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17344B1 (ko) | 스트레칭 에어 매트리스 | |
KR100323631B1 (ko) | 의자식 에어 마사지기 | |
JP3012780B2 (ja) | エアーマッサージ機 | |
US7360266B2 (en) | Multiple position air mattress system | |
KR101398677B1 (ko) | 침대에 고정 설치가 가능한 휴대용 에어 마사지 매트리스 | |
US20020144343A1 (en) | Portable patient turning and lifting device | |
JPH09506289A (ja) | 動的支持構造体 | |
US20020091344A1 (en) | Foot massaging apparatus utilizing air inflated nodes and air inflated nodes combined with a fluid | |
CA3115317C (en) | Patient support with cushioning layer and foam crib | |
US20060162084A1 (en) | Inflatable sex support unit for mattress | |
JPH08336564A (ja) | 椅子式エアーマッサージ機 | |
KR101669858B1 (ko) | 개폐형 팔 에어안마부를 갖는 안마의자 | |
CN218784505U (zh) | 一种折叠自主按摩技师床 | |
KR20240165124A (ko) | 스툴형 에어마사지 장치 | |
US20210282567A1 (en) | Accupressure foam system with inflatable bladders | |
WO2006008794A1 (ja) | 頭髪,頭皮のセルフ自動洗髪並びにセルフ自動ケア装置 | |
JP2001178791A (ja) | エアーマッサージ機 | |
KR200393712Y1 (ko) | 치질 돌출 방지용 방석 | |
JP2003116943A (ja) | エアマッサージ機 | |
JP3665703B2 (ja) | マッサージ機 | |
JP3819488B2 (ja) | エアーマッサージ用クッショ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アーマッサージ機 | |
JP3668007B2 (ja) | エアーマッサージ機 | |
RU235531U1 (ru) | Портативная мини сауна | |
JP2003033411A (ja) | マッサージ装置 | |
CN209694654U (zh) | 一种模块化可调节高度的久卧气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