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4214A -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 Google Patents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4214A
KR20240164214A KR1020230061820A KR20230061820A KR20240164214A KR 20240164214 A KR20240164214 A KR 20240164214A KR 1020230061820 A KR1020230061820 A KR 1020230061820A KR 20230061820 A KR20230061820 A KR 20230061820A KR 20240164214 A KR20240164214 A KR 20240164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ap
lung
sealing
cryobiops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6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4214A/en
Publication of KR20240164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421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4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n air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36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or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은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분기되어서 외부 카테터를 상기 메인 통로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분기 포트부를 구비하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분기 포트부의 실링을 위해 그 분기 포트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카테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The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tube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human organ and has a main passage formed through which an endoscope can be passed; a main insertion tube which has a branch port portion which protrudes out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tube portion and enables an external catheter to be guided toward the main passage; and a sealing cap which is coupled to the branch port portion for sealing the branch port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passage hole formed through which a catheter can pass.

Description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본 발명은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시 내시경과 지혈용 풍선 카테터 간의 간섭 없이 원활한 지혈을 가능하게 하고, 기관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mostatic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hat enables smooth hemostasis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an endoscope and a hemostatic balloon catheter during lung cryobiopsy using a bronchoscope, and prevents gas inside the trachea from leaking to the outside.

폐섬유화증을 포함한 간질성 폐질환(ILD, Interstitial lung disease)을 진단하는데 있어 폐간질의 조직검사가 필요할 경우 전통적으로 흉강경(VATS, video assisted thoracic surgery)이나 개흉술(thoracotomy)을 이용한 폐 쐐기절제술(wedge resection)이 사용되어져 왔다. Traditionally, when biopsy of the lung interstitium is required to diagnose interstitial lung disease (ILD) including pulmonary fibrosis,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or wedge resection using thoracotomy has been used.

하지만 이러한 수술적 방법은 폐기능이 저하된 간질성 폐질환 환자에서 악화의 위험성과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의 위험성이 있고, 최근 평균수명의 증가로 수술의 고위험군인 고령환자에서 간질성 폐질환의 진단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져 보다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이 연구되어져 왔다.However, these surgical methods have the risk of worsening and general anesthesia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 with reduced lung function. Recently, with the increase in average life expectancy,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in which diagnosis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is necessary in elderly patients who are a high-risk group for surgery, and thus, simpler and safer methods have been studied.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cryobiopsy)은 전신마취의 필요성이 없고 수술을 통한 절제보다 회복기간이 짧으며 동시에 유사한 진단율을 보여 최근 시술의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Lung cryobiopsy using a bronchoscopy does not require general anesthesia, has a shorter recovery period than surgical resection, and has a similar diagnostic rate, so its frequency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하지만 수술적 검사에 비해 출혈 시 지혈이 어려워 지혈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었고 두개의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방법이나 지혈용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for hemostasis, Fogarty catheter)를 사용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However, compared to surgical examination, it is difficult to stop bleeding, so many methods for stopping bleeding have been used, including a method using two bronchoscopes and a balloon catheter for hemostasis (Fogarty catheter).

이 중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전신마취가 필요한 경직성 기관지 내시경(rigid bronchoscopy)을 이용한 방법과,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수면마취 및 기관삽관용관(endotracheal tube)을 통해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flexible bronchoscopy)을 이용한 방법이 있는데, 전신마취의 경우 환자의 회복속도가 느리고 마취로 인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어서 주로 일반 기관삽관용관을 이용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Among these, there are two methods using a hemostatic balloon catheter: a rigid bronchoscopy method that requires general anesthesia, and a flexible bronchoscopy method that uses an endotracheal tube and general anesthesia. However, in the case of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s recovery rate is slow and side effects from the anesthesia may occur, so the procedure is mainly performed using a general endotracheal tube.

그러나, 일한 기관삽관용관을 이용한 시술의 경우, 냉동생검검체(biopsy specime)나 기관지 내시경에 의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가 밀려나올 수 있고, 카테터에 의해 냉동생검검체(biopsy specime)의 소실이 있을 수 있으며, 기관지 내시경관의 마찰로 지혈용 풍선 카테터가 들어가지 않을 수 있으며, 기관지 내시경으로 인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원하는 구역 기관지(segmental bronchus)에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procedures using a tracheal intubation tube,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possibility that the hemostatic balloon catheter may be pushed out by the frozen biopsy specimen or the bronchoscope, the loss of the frozen biopsy specimen may occur due to the catheter, the hemostatic balloon catheter may not be inserted due to friction of the bronchoscope tube, and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hemostatic balloon catheter in the desired segmental bronchus due to the bronchoscop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566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5666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12013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912013 일본등록특허 제5264063호Japanese Patent No. 52640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을 하는 경우에도 지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시술 후 환자의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하고, 시술시 인체 기관에 삽입된 도관을 통해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which enables smooth hemostasis even when performing lung cryobiopsy using a flexible bronchoscope without general anesthesia, thereby enabling rapid recovery of the patient after the procedure, and preventing ga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tube inserted into the human organ during the proced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은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분기되어서 외부 카테터를 상기 메인 통로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분기 포트부를 구비하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분기 포트부의 실링을 위해 그 분기 포트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카테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which comprises: a main tube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human trachea and has a main passage through which an endoscope can be passed; a main insertion tube having a branch port portion which protrudes out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tube portion and enables an external catheter to be guided toward the main passage; and a sealing cap which is coupled to the branch port portion for sealing the branch port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passage hole through which a catheter can pass.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은 상기 분기 포트부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캡본체부; 및 상기 캡본체부의 관통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캡본체부에 결합되고, 중심에 카테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링력 확보를 위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캡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cap include: a cap body part that is coupled to the branch port part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cap stopper part that is coupled to the cap body part so as to close the through hole of the cap body part,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a catheter can pass,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secure sealing force.

상기 캡본체부는, 외주면이 상기 분기 포트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포트 밀착부; 및 상기 포트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포트 밀착부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포트 밀착부보다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의 내경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그 단차진 부분에 상기 캡마개부가 안착되게 하는 포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p body part include a port sealing part whose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ort part; and a port cover par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 sealing part and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rt sealing part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branch port part and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rt sealing part so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port part so that the cap plug part is settled on the stepped portion.

본 발명은 상기 실링캡의 캡본체부와 캡마개부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카테터의 일방향 삽입시에 탄성 변형되어서 그 카테터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게 하고 삽입 이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카테터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heck valve formed on one of the cap body portion and the cap stopper portion of the sealing cap,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atheter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catheter and maintains a seal with the catheter by elastic force after insertion.

상기 카테터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도관부; 및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서 기관 내 일정각도로 분기된 기관지의 환부에 원활하게 접근되는 제2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atheter include a first conduit portion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conduit portion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ortion to smoothly access a bronchial tube branched at a certain angle within the trachea.

상기 제2도관부는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에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 그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정 각도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제2도관부가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제2도관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링캡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와이어의 제1도관부에 대한 상대길이에 따라 상기 제2도관부의 제1도관부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cond conduit part may be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when folded flat relative to the first conduit par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and to unfold at the predetermined angle by the elasticity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ir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tip of the second conduit par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cap, so that the second conduit part can maintain a flat folded state relative to the first conduit part.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wire so that the angle of the second conduit part relative to the first conduit par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상기 제1도관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제1도관부에 대한 상대길이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에 대응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In the above first conduit section,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may be marked so as to easily estimate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to the first conduit s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은 메인 삽입관의 메인 도관부를 통해서 내시경을 기관지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메인 삽입관의 분기 포트부를 통해서 내시경의 이동로인 메인 도관부의 통로와는 구획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과 간섭 없이 생검 위치까지 배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검 후 내시경을 후퇴시켜 검체를 운반하는 동안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출혈 즉시 풍선 카테터를 작동시켜 지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폐냉동생검 시술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시술 후 빠른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효과와, 상기 실링캡에 의해 외부 카테터와 분기 포트부 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여 기관 내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The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enables the endoscope to be positioned in the bronchus through the main conduit part of the main insertion tube, and the hemostatic balloon catheter can be positioned to the biopsy loca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endoscope through a separate path separated from the passage of the main conduit part, which is the path of the endoscope, through the branch port part of the main insertion tube, so that even if bleeding occurs while the endoscope is withdrawn after the biopsy and the specimen is transported, the balloon catheter can be operated to stop the bleeding immediately,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efficiency of the lung cryobiopsy procedure and ensuring rapid stabilization of the patient after the procedure, thereby providing a high-quality medical service, and by maintaining the sealing cap so that the sealing between the external catheter and the branch port par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trachea.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의 구조 및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지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의 구조 및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usage example of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hemostasis process us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cryobiopsy of a lu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 and 6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process of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order to mak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iques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xamples are detailed descriptions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obvious that they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대한 기재 내용과 중복되는 이하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관한 설명 역시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 means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known technologie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descriptions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that serves as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will also be omit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의 구조 및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이용한 지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usage example of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part A of FIG. 1 in an enlarged manner, and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hemostatic process us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은,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폐냉동생검시 사용되는 것으로, 메인 삽입관(1)과 실링캡(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lung cryobiopsy using a bronchoscope, and comprises a main insertion tube (1) and a sealing cap (2).

상기 메인 삽입관(1)은 메인 도관부(11)와 분기 포트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도관부(11)는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도관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도 기관(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 main insertion tube (1) comprises a main conduit section (11) and a branch port section (12). The main conduit sect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human organ and has a main conduit section (11) formed through which an endoscope can pass.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duit section (11) be made of a flexible resin material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an organ (A) without general anesthesia.

상기 분기 포트부(12)는 상기 메인 도관부(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분기되어서 외부 카테터(3)를 상기 메인 도관부(11)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카테터(3)는 지혈을 위해 환부(B) 근처에서 팽창되는 벌룬을 가지는 지혈용 풍선 카테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 branch port portion (12) branches out in a form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conduit portion (11) so as to guide an external catheter (3) toward the main conduit portion (11).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heter (3) be a hemostatic balloon catheter having a balloon that is inflated near the affected area (B) for hemostasis.

상기 실링캡(2)은, 상기 분기 포트부(12)의 실링을 위해 그 분기 포트부(12)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카테터(3)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221)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 카테터(3)를 분기 포트부(12)를 통해 상기 메인 도관부(11)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카테터(3) 통과시 기밀성을 제공하여 기관 내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above sealing cap (2)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is joined to the branch port portion (12) for sealing the branch port portion (12), and has a passage hole (221) formed through which a catheter (3) can pass, so that it can guide an external catheter (3) to the main conduit portion (11) through the branch port portion (12), and also provides airtightness when the catheter (3) passes through, thereby preventing gas inside the organ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은, 도 1과 같이 상기 메인 삽입관(1)의 메인 도관부(11)를 통해서 내시경을 기관지(C)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고, 도 3과 같이 메인 삽입관(1)의 분기 포트부(12)를 통해서 내시경의 이동로인 메인 도관부(11)의 매인 통로와는 구획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지혈용 풍선 카테터(3)를 내시경과 간섭 없이 생검 위치까지 배치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생검 후 내시경을 후퇴시켜 검체를 운반하는 동안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출혈 즉시 풍선 카테터(3)를 작동시켜 지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폐냉동생검 시술의 정밀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환자의 시술 후 빠른 안정을 도모할 수 있게 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장점과, 상기 실링캡(2)에 의해 외부 카테터(3)와 분기 포트부(12) 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하여 기관 내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enables the endoscope to be positioned in the bronchus (C) through the main conduit part (11) of the main insertion tube (1) as shown in FIG. 1, and the hemostatic balloon catheter (3) can be positioned to the biopsy posi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endoscope through a separate path separated from the main passage of the main conduit part (11), which is the path of the endoscope, through the branch port part (12) of the main insertion tube (1) as shown in FIG. 3, so that even if bleeding occurs while the endoscope is withdrawn after the biopsy and the specimen is transported, the balloon catheter (3) can be operated immediately to stop the bleeding, thereby improving the precision and efficiency of the lung cryobiopsy procedure and ensuring rapid stabilization of the patient after the procedure, thereby providing a high-quality medical service, and the sealing cap (2) prevents the external catheter (3) and the branch port part (12) from being connec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intain confidentiality and prevent internal gas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실링캡(2)은 하나의 재질에 의해 1-piece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더욱 개선된 실링력 제공을 위해 캡본체부(21)와 캡마개부(22)로 이루어진 2-piece 구조가 채택되었다. The above sealing cap (2) can be composed of a single piece made of a single material, but in this embodiment, a two-piece structure composed of a cap body part (21) and a cap stopper part (22) is adopted to provide a more improved sealing force.

즉,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본체부(21)는 외부 카테터(3)가 통과될 수 있게 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마개부(22)는 상기 캡본체부(21)에 결합되어서 상기 캡본체부(21)의 관통공(211a)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심에 카테터(3)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221)이 형성되어 있고, 실링력 확보를 위해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다. That is, as well illustrated in FIG. 2, the cap body part (2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211a) through which an external catheter (3) can pass, and the cap stopper part (22) is coupled to the cap body part (21) to close the through hole (211a) of the cap body part (21). A through hole (221) through which a catheter (3) can pass is formed in the center,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to secure sealing force.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캡본체부(21)와 캡마개부(22)를 가진 실링캡(2)을 이용하여 분기 포트부(12)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1-piece 구조의 실링캡(2)으로 이루어진 비교 실시예에 비해 실링캡(2)의 분기 포트부(12)에 대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한 결합시에 더욱 큰 실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삽한 실링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한다.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seal the branch port portion (12) by using a sealing cap (2) having a cap body portion (21) and a cap stopper portion (22)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mbodiment having a sealing cap (2) of a one-piece structure, a greater sealing force can be secured when the sealing cap (2) is joined to the branch port portion (12) by a forced fit method. This enables a greater sealing force to be secured.

본 실시예에 채용된 캡본체부(21)는 포트 밀착부(211)와 포트 커버부(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트 밀착부(211)는 외주면이 상기 분기 포트부(1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포트 커버부(212)는 상기 포트 밀착부(2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마개부(22)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부분이다. The cap body part (21) employed in this embodiment comprises a port sealing part (211) and a port cover part (212). The port sealing part (211) is a part whose out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ort part (12), and the port cover part (2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 sealing part (211) and is a part to which the cap plug part (22) is joined in a force-fit manner.

즉, 상기 포트 커버부(212)는 포트 밀착부(211)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12)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포트 밀착부(211)보다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12)의 내경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그 단차진 부분에 상기 캡마개부(22)가 안착되게 한다.That is, the port cover part (212)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rt sealing part (211) so that it is sealed against the end of the branch port part (12), and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port sealing part (211) so that a step is formed between it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port part (12), so that the cap plug part (22) is secured to the stepped portion.

이와 같이 상기 포트 밀착부(211)와 포트 커버부(212)로 이루어진 캡본체부(21)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트 밀착부(211)가 분기 포트부(12)에 밀착 결합되게 하여 1차적인 실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포트 커커부가 포트 밀착부(211)에 밀착 결합되게 하여 2차적인 실링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하여, 기밀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which has a cap body part (21) composed of the port sealing part (211) and the port cover part (212),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sealing performance by ensuring a primary sealing force by ensuring that the port sealing part (211) is tightly coupled to the branch port part (12), and by ensuring a secondary sealing force by ensuring that the port cover part is tightly coupled to the port sealing part (211).

본 실시예에 채용된 카테터(3)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도관부(31)와, 상기 제1도관부(31)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서 기관 내 일정각도로 분기된 제2도관부(32)를 포함하여서, 기관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꺽여 접근이 어려운 기관지의 환부 측에도 카테터(3)를 원활하게 접근시킬 수 있게 한다. The catheter (3)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duit portion (31) that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conduit portion (32) that is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ortion (31) and branches off at a certain angle within the trachea, thereby enabling the catheter (3) to be smoothly approached even to a part of the trachea that is difficult to access due to being bent at a certain angle from the trachea.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Meanwhile,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is embodiment is formed by further including a check valve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체크 밸브(5)는 상기 실링캡의 캡본체부와 캡마개부(42)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4의 (b)와 같이 플랫한 상태에서는 캡마개부(42)의 통과구멍을 폐쇄시키고, 상기 카테터의 일방향 삽입시에 도 4의 (a)와 같이 탄성 변형되어서 그 카테터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게 하고, 삽입 이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카테터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above check valve (5) is formed in one of the cap body portion and the cap stopper portion (42) of the sealing cap, and when in a flat state as shown in (b) of FIG. 4, it closes the passage hole of the cap stopper portion (42), and when the catheter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it is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a) of FIG. 4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catheter, and after insertion, it maintains an airtight seal with the catheter by elastic force.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cryobiopsy of the lu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본 실시예에 채용된 카테터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도관부(61)와 제2도관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도 5와 같이 상기 제2도관부(62)는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도관부(61)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에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도 6과 같이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정 각도로 펼쳐지게 된돠. The catheter employed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including a first conduit part (61) and a second conduit part (62) as in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but unlike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duit part (62) is folded flat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unfolds to the above-described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e elastic force.

본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상기 제2도관부(62)가 상기 제1도관부(61)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제2도관부(62)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링캡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와이어(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is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wire (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econd conduit part (62) and the oth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cap, so that the second conduit part (62) can be maintained in a flat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as shown in FIG. 5.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와이어(7)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상대길이에 따라 상기 제2도관부(62)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다양한 각도로 꺾인 기관지(C)의 환부(B) 측에 더욱 원활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angle of the second conduit part (6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7)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thereby enabling smoother access to the affected area (B) of the bronchial tube (C) bent at various angles, thereby enabling the provision of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그리고, 상기 제1도관부(61)에는, 상기 와이어(7)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상대길이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에 대응되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눈금에 각도가 표시되게 하여 제1도관부(61)의 와이어(7)에 대한 상대길이에 따라 제2도관부(62)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절곡 각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시술 정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duit part (61) is marked with a scale corresponding to the angle so that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7)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can be easily estimated.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is configuration displays the angle on the scale so that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conduit part (62)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can be visually confirmed according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first conduit part (61) to the wire (7),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precision of the procedure.

또한, 시술자가 와이어(7)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상대 길이 조절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와이어(7)가 연결되고 제1도관부(6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기 본체(81)와 상기 조작기본체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이동을 선택적으로 록킹 및 록킹해제시키기 위한 록킹버튼(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conveniently adjust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7)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section (61), the device comprises a manipulator body (81) to which the wire (7) is connected and slidably installed on the first conduit section (61), and a locking button (82) for selectively locking and unlocking the movement of the manipulator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section (61).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록킹버튼(82)을 누르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기본체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록킹상태가 유지되어서 와이어(7) 길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되고, 록킹버튼(82)을 누리는 경우에만 조작기본체가 와이어(7)와 함께 제1도관부(61)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하여, 결국 사용자가 기관지(C)의 꺾인 각도에 대응하여 제2도관부(62)의 제1도관부(61)에 대한 절곡 각도를 편리하게 형성시켜 줄 수 있게 한다. 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locking button (82) is not pressed, the locking state of the first conduit part (61) of the operating body is maintained, making it im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re (7), and when the locking button (82) is pressed, the operating body slides together with the wire (7)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ultimately allowing the user to conveniently form a bending angle of the second conduit part (62)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art (61) in response to the bent angle of the trachea (C).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only clearly illustrate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will be obvious that all modified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메인 삽입관 11:메인 도관부
111:메인 통로 12:분기 포트부
2:실링캡 21:캡본체부
211:포트 밀착부 211a:관통공
212:포트 커버부 22:캡마개부
221:통과구멍 3:카테터
31:제1도관부 32:제2도관부
1: Main insertion tube 11: Main conduit section
111: Main passage 12: Branch port
2: Sealing cap 21: Cap body
211: Port seal 211a: Through hole
212: Port cover part 22: Cap stopper part
221: Pass-through hole 3: Catheter
31:1st Conduit Division 32:2nd Conduit Division

Claims (7)

인체의 기관 내측에 삽입되고, 내시경이 드나들 수 있는 메인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 도관부와, 상기 메인 도관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분기되어서 외부 카테터를 상기 메인 통로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하는 분기 포트부를 구비하는 메인 삽입관; 및
상기 분기 포트부의 실링을 위해 그 분기 포트부에 결합되고,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카테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링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A main insertion tube having a main conduit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n organ of a human body and has a main passage through which an endoscope can pass, and a branch port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conduit portion and allows an external catheter to be guided toward the main passage; and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aling cap which is joined to the branch port portion for sealing the branch port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passage hole formed through which a catheter can p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은,
상기 실링캡은 상기 분기 포트부에 결합되고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캡본체부; 및
상기 캡본체부의 관통공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그 캡본체부에 결합되고, 중심에 카테터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링력 확보를 위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캡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aling cap is,
The above sealing cap is a cap body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branch port part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ap stopper part that is joined to the cap main body part so as to be able to close the penetration hole of the cap main body part, has a passage hole formed in the center through which a catheter can pass,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secure sealing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본체부는,
외주면이 상기 분기 포트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포트 밀착부; 및
상기 포트 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포트 밀착부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의 끝단에 밀착되고, 상기 포트 밀착부보다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분기 포트부의 내경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그 단차진 부분에 상기 캡마개부가 안착되게 하는 포트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ap body part,
A port sealing portion whose outer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ranch port portion; and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rt cover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rt sealing part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port sealing part so as to be sealed against an end of the branch port part and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port sealing part so as to form a step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branch port part and the port sealing part, thereby allowing the cap plug part to be seated in the steppe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의 캡본체부와 캡마개부들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카테터의 일방향 삽입시에 탄성 변형되어서 그 카테터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게 하고 삽입 이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카테터와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the second paragraph,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check valve formed on one of the cap body and cap stopper parts of the sealing cap,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catheter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of the catheter and maintains a seal with the catheter by elastic force after inse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도관부; 및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어서 기관 내 일정각도로 분기된 기관지의 환부에 원활하게 접근되는 제2도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atheter,
A first conduit formed in a long direction; and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tracheal section that is bent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cheal section to smoothly access a bronchial tube branched at a certain angle within the trach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관부는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에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되고 그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정 각도로 펼쳐지게 되며,
상기 제2도관부가 상기 제1도관부에 대해 플랫하게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제2도관부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링캡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와이어의 제1도관부에 대한 상대길이에 따라 상기 제2도관부의 제1도관부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paragraph 5,
The above second conduit part maintains elastic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is folded flat relative to the above first conduit part,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it unfolds to the above-described constant angle due to the elasticity.
A hemostasis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ir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tip of the second conduit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cap so that the second conduit portion can be maintained in a flat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ortion, and is configured so that the angle of the second condui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or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dui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관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제1도관부에 대한 상대길이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에 대응되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냉동생검을 위한 지혈용 기관 삽입관 유닛.
In Article 6,
A hemostatic tracheal insertion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duit section has markings corresponding to the angles so that the relative length of the wire to the first conduit section can be easily estimated.
KR1020230061820A 2023-05-12 2023-05-12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Pending KR2024016421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820A KR20240164214A (en) 2023-05-12 2023-05-12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820A KR20240164214A (en) 2023-05-12 2023-05-12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4214A true KR20240164214A (en) 2024-11-19

Family

ID=9367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820A Pending KR20240164214A (en) 2023-05-12 2023-05-12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6421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063U (en) 1975-11-04 1977-05-12
KR20170056666A (en) 2014-09-17 2017-05-23 메타랙티브 메디컬, 인크. Expandable body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912013B1 (en) 2016-11-08 2018-10-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Double type fogarty cath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4063U (en) 1975-11-04 1977-05-12
KR20170056666A (en) 2014-09-17 2017-05-23 메타랙티브 메디컬, 인크. Expandable body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1912013B1 (en) 2016-11-08 2018-10-25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Double type fogarty cath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2593B2 (en) Bronchoscope adapter
JP5242581B2 (en) Trocar seal with retract-inducing hinge
JP4290392B2 (en) Trocar
CN107361827B (en) Optical trocar visualization system and apparatus
JP4977907B2 (en) Wire guide holder
US7100616B2 (en) Bronchoscopic lung volume reduction method
JP5567867B2 (en) Surgical portal device with movable housing
JP2016512080A (en) Dual lumen endobronchial tube device
US20090149813A1 (en) Trocar seal with reduced contact area
KR20060069322A (en) Trocar sealing assembly
JP2008296022A (en) Self-contracting orifice seal
US20090124999A1 (en) Dual lumen catheter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endoluminal surgery
JP6310985B2 (en) Endoscope cap with separable arm
JP2009247904A (en) Access assembly with multi-flapper design
JP2018183588A (en) Guidewire manipulator
US11992196B2 (en) Needle handle with vacuum chamber
KR20240164214A (en)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US20080015508A1 (en) Telescopic wire guide
US20140265313A1 (en) Instrument port attachment adapter
KR20210048863A (en) Hemostatic endotracheal tube unit for lung cryobiopsy
CN113367643A (en) Double-cavity endoscope sleeve and endoscope assembly
KR102688422B1 (en) tissue clipping device
CN218356178U (en) Double-cavity endoscope sleeve and endoscope assembly
CN112971900A (en) Conveying device
CN118633894B (en) Fixed terminal, traction mechanism and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