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3907A - 네일용 장식물 - Google Patents

네일용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3907A
KR20240163907A KR1020230061099A KR20230061099A KR20240163907A KR 20240163907 A KR20240163907 A KR 20240163907A KR 1020230061099 A KR1020230061099 A KR 1020230061099A KR 20230061099 A KR20230061099 A KR 20230061099A KR 20240163907 A KR20240163907 A KR 2024016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decoration
decorative
magnetic
attach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1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트
Priority to KR1020230061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3907A/ko
Publication of KR2024016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390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은, 액상상태로 네일 외면에 도포된 후 경화하는 매니큐어와, 상기 매니큐어에 분말 형태로 분산되며 자력친화성을 가지는 금속재와, 자성을 가지는 자성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재와 자력에 의해 매니큐어 외측에 부착되는 장식부착물과, 상기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에 위치하여 자성발생부 변형시 전도를 제한하는 전도제한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네일용 장식물{Decoration for nail}
본 발명은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으로,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이물 등의 부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네일의 변형 및 통증, 감성불만이나 트러블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들뜬 부분으로 수분 샴프나 비누 세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침투하여 점착부재와의 화학반응 등으로 발생하는 습진 및 곰팡이, 네일 및 피부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일 외면에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되는 매니큐어에 자력친화성 소재를 포함시켜 외부에 네일 모양의 장식부착물을 자성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식부착물이 분리되었을 때 매니큐어만으로도 디자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장식부착물을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이나 가압성형에 의해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네일용 장식물 제조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장식부착물에 포함된 데코용자성체가 파손되었을 때 전도되지 않도록 전도제한층이 구비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도제한층이 매니큐어와 접촉하게 하여 데코용자성체와 네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네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식부착물 외측에 입체부착물을 부착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체부착물이 매니큐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이 추구하는 신체적 아름다움의 표현 방식의 하나로 미용 산업은 발달이 가속화되는 동시에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이후 급격한 시장 확대와 함께 일반인들에게 미용 산업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미용 산업 중에서도, 네일 아트(nail art)는 연령층과 성별의 관계없이 신체에 대한 표현 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최근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네일아트는 미용 예술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디를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네일의 길이나 모양 또는 색깔은 시대의 문화의 변화와 가치를 반영하여 표현되어 왔다.
종래의 네일아트는 다양한 컬러의 매니큐어와 같은 안료 등을 손톱 또는 발톱에 도포한 후 이를 UV램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경화시키는 UV 젤 네일이 각광 받고 있다.
UV 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다양한 장점을 갖는데,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쉽게 깨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햇빛에 노출되어도 변색되지 않고, 광택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UV 젤은 UV 젤층 형성용 조성물을 천연 네일에 도포한 후 UV 경화시켜 형성시키는데, 이를 통해서 천연 네일에 고급스러운 효과를 낼 수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천연 네일에 직접 UV 젤층을 형성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유해한 용매에 장시간 손가락을 침지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피부와 네일에 매우 유해할 뿐만 아니라, 이를 떼고 난 이후 천연 네일의 손상이 심각한 문제가 되어 왔다.
또 다른 네일아트의 종류로서, 매니큐어나 UV 젤과 같은 액상 제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건식 네일 스티커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대부분 매니큐어와 동일한 원료로 구성된 필름으로, 부착 후의 내구성이 매우 약하여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내구성이 뛰어난 인조 네일도 있으나, 이는 유연성 및 신축성이 부족하여 착용감과 부착성이 떨어져 손톱에 자연스럽게 안착되지 못하기 때문에 심미성이 떨어지며, 손톱에서 인조 네일이 통째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모든 인조손톱이 접착부재로 부착되기 때문에 접착부재의 들뜬 부분으로 수분이나 음식물찌꺼기(불순물) 등이 침투하여 접착제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손톱에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908호에는 도 1과 같이 대지(10) 위에 코팅층(20)이 형성되어 있어 긁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손톱 스티커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접착층이 전면에 구비되어 있어 네일에 부착시 외부로 노출되므로 이물이 묻는 등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5332호에는 도 2와 같이 인조손톱 배면에 자동 기계에 의해 미리 접착된 접착테이프가 구비된 인조손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6682호에는 도 3과 같이 곡면을 포함하는 네일 바디(11), 기저층에 형성된 요철 형상의 패턴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형성되며, 네일 바디의 곡면을 덮도록 휘어진 입체 필름(15) 및 네일 바디(11)와 입체 필름(15)을 결합하는 접착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일 팁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8951호에는 도 4와 같이 금속층이 적층된 제1멤버와, 제1멤버와 자성 결합되도록 자성층이 적층된 제2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4의 종래기술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손톱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접착력으로 인한 이물 부착이 빈번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을 수시로 바꾸어 착용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도 4의 종래기술은 손톱 외측으로 돌출된 큰 사이즈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해야 하는 업무 중에는 제2멤버(200)를 분리하였을 때 제1멤버(100)의 외관이 미려하지 않아 감성불만을 야기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이물 등의 부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네일의 변형 및 통증, 감성불만이나 트러블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들뜬 부분으로 수분 샴프나 비누 세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침투하여 점착부재와의 화학반응 등으로 발생하는 습진 및 곰팡이, 네일 및 피부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일 외면에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되는 매니큐어에 자력친화성 소재를 포함시켜 외부에 네일 모양의 장식부착물을 자성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부착물이 분리되었을 때 매니큐어만으로도 디자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장식부착물을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출성형이나 가압성형에 의해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일용 장식물 제조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장식부착물에 포함된 데코용자성체가 파손되었을 때 전도되지 않도록 전도제한층을 구비하여 자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도제한층이 매니큐어와 접촉하게 하여 데코용자성체와 네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네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부착물 외측에 입체부착물을 부착하여 심미감을 갖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부착물이 매니큐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네일용 장식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은, 액상상태로 네일 외면에 도포된 후 경화하는 매니큐어와, 상기 매니큐어에 분말 형태로 분산되며 자력친화성을 가지는 금속재와, 자성을 가지는 자성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재와 자력에 의해 매니큐어 외측에 부착되는 장식부착물과, 상기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에 위치하여 자성발생부 변형시 전도를 제한하는 전도제한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제한층은, 상기 자성발생부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자성발생부 외측에서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발생부는, 일정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에 대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데코용자성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성발생부는, 상기 금속재에 대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데코용자성체와, 상기 데코용자성체와 데코레이션부 사이에 게재되어 결합력을 발생하는 결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착물은,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자성발생부가 부착된 전도제한층과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자성발생부가 부착된 전도제한층에 데코레이션부 및 결합층을 적층 가압하여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측에서 데코레이션부를 지지하는 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데코레이션부를 보호하는 탑코팅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부착물 외측에는,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재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입체부착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부착물은, 상기 장식부착물 외측에서 금속재와 자력으로 부착되어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의 구속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부착물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에 자력으로 부착하거나 상기 데코용자성체에 인력을 갖는 입체용자성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이물 등의 부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수축으로 인한 네일의 변형 및 통증, 감성불만이나 트러블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를 구비하지 않아 접착부재의 들뜬 부분으로 수분 샴프나 비누 세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침투하여 점착부재와의 화학반응 등으로 발생하는 습진 및 곰팡이, 네일 및 피부의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네일 외면에 도포 후 경화하여 형성되는 매니큐어에 자력친화성 소재를 포함시켜 외부에 네일 모양의 장식부착물을 자성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장식부착물이 분리되었을 때 매니큐어만으로도 디자인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디자인을 가지는 장식부착물을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출성형이나 가압성형에 의해 간소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며, 네일용 장식물 제조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장식부착물에 포함된 데코용자성체가 파손되었을 때 전도되지 않도록 전도제한층을 구비하여 자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도제한층이 매니큐어와 접촉하게 하여 데코용자성체와 네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네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착물 외측에 입체부착물을 부착하여 심미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입체부착물이 매니큐어에 자력으로 부착되게 함으로써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식부착물에 패턴과 증착 및 색상 인쇄등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908호에 개시된 손톱 스티커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5332호에 개시된 접착된 접착테이프를 부착한 인조손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6682호에 개시된 네일 팁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18951호에 개시된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요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5의 "A"부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B"부 부분확대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의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의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에서 일 구성인 입체부착물이 부착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14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이 형폐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
도 15 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16 은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이 형폐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150)이 분리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용 장식물(100)은 손톱이나 발톱 등 네일(N) 상면에 부착되어 장식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접착부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자력(磁力)에 의해 부착하여 사용하며, 필요시 떼어내 다른 디자인을 가지는 것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도 6과 같이 크게 매니큐어(120)와, 장식부착물(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매니큐어(120)는 일반적으로 네일(N) 외면에 도포하여 경화하는 매니큐어(120)와 유사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금속재(도 7의 도면부호 122)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착물(150)은 금속재(122)와 자력에 의해 매니큐어(120) 외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매니큐어(120)보다는 큰 사이즈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장식부착물(150)은 네일용 장식물(100)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외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매니큐어(120)는 장식부착물(150) 아래에 위치하여 네일(N) 외면에 경화되어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매니큐어(120)는 장식부착물(150)을 분리한 상태에서 그 자체만으로도 네일(N)을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매니큐어(120)는 염료를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장식부착물(150)이 없는 상태의 매니큐어(120)는 업무시간 중에 무난한 색상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매니큐어(12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내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5의 "A"부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매니큐어(120)에는 자력친화성을 가지는 금속재(122)가 분말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금속재(122)는 매니큐어(120)가 액상 상태일 때 고르게 분산된 형태이며, 사용자가 네일(N)의 외면에 매니큐어(120)를 도포한 후 경화시에 도 7과 같은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매니큐어(120)는 경화된 후에는 점착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머리카락이나 이물 등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재(122)는 자력친화성을 가지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15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5의 "B"부 부분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150)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8과 같이 상기 네일(N) 상면에는 금속재(122)가 내포된 매니큐어(120)가 위치하고, 상기 매니큐어(120)의 상측에는 장식부착물(150)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부착물(150)은 자성을 가지는 자성발생부(170)와, 상기 자성발생부(170) 외측에서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금속재(122)와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자성물질을 포함한 고무자석, 네오디뮴자석 등 다양한 소재가 적용 가능하며, 매니큐어(120)와 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얇은 사각판 형태의 네오디뮴자석이 라운드지게 변형시에 잘게 깨진 상태로 배열한 것으로서,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상기 금속재(122)와 자력으로 부착하는 데코용자성체(1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데코레이션부(160)가 사출 성형 방식으로 성형되는 경우,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압력을 갖는 상태로 유입될 때 얇은 판 형태의 데코용자성체(172)는 라운드지게 변형되면서 깨질수가 있는데, 이렇게 깨진 데코용자성체(172)는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가 데코레이션부(160)로 경화될 때 결속됨으로써 도 9와 같은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플라스틱 수지에 염료가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성발생부(170)의 하측에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전도제한층(190)이 구비된다. 상기 전도제한층(190)은 장식부착물(150)과 매니큐어(120) 사이에 위치하여 데코용자성체(172)가 변형하여 깨질 때 데코용자성체(172)의 전도를 제한함으로써 자기력선이 바뀌지 않고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전도제한층(190)은 상기 자성발생부(150)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얇은 필름 형태가 적용되되 사출성형이나 가압성형에 의해 데코용자성체(172)가 깨지더라도 데코용자성체(172)의 하면은 견고하게 잡은 상태를 유지하여 데코용자성체(172)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도제한층(190)은 깨진 데코용자성체(172)가 외부로 비치지 않도록 색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150)의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자성발생부(170) 상측에는 데코레이션부(160)가 구비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외부에서 보았을 때 심미감을 나타내는 구성으로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자성발생부(170) 외면에 투명하게 형성되며 외측에 패턴을 가지는 패턴층(162)과, 상기 패턴층(162) 외면에 금속질감을 갖도록 형성된 증착층(164)과, 상기 증착층(164) 외면에 광투과성 및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색상층(16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는 색상만 표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금속질감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턴층(162)은 자성발생부(170) 상면에 형성되고, 상면에는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패턴이 형성된 것으로서, 투명하게 형성되며 UV를 조사하거나 가열시 경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턴층(162) 상면에는 증착층(164)이 구비된다. 상기 증착층(164)은 패턴층(162)이 투명함에 따라 외부에서 패턴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패턴이 외부에서 금속질감을 갖는 상태로 육안 확인될 수 있도록 증착 형성된 것으로, 상기 패턴의 요철을 채워 형성된다.
상기 색상층(166)은 옅은 색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하측에 위치한 패턴이 외부로 투시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되며, 디지털 인쇄방식, 그라비아인쇄, 스크린 인쇄, 옵셋 인쇄 방식 등을 채택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색상층(166) 상측에는 탑코팅층(16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코팅층(168)은 외부의 자극이나 충격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는 데코레이션부(16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보다 탑코팅층(168)이 강도나 경도면에서 높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장식부착물(15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을 보인 도 8의 "C"부 확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탑코팅층(168)과 데코레이션부(160) 사이에는 지지층(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80)은 필름 형태로 게재된 것으로서, 하측에 위치한 데코레이션부(160)가 투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필름 형태로 게재됨으로써 상기 데코레이션부(16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에서 일 구성인 입체부착물(200)이 부착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은 입체부착물(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부착물(200)은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재(122)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10과 같이 입체적인 꽃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측에는 입체용자성체(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입체용자성체(220)는 매니큐어(120)의 금속재(122)와 자력으로 부착됨으로써 장식부착물(150)과 매니큐어(120) 사이의 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체부착물(200)은 일상생활 중에 걸림 등으로 인해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부착물(150)로부터 떼어내어 보관하고 있다가 필요시 부착하여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네일용 장식물(100)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M) 구조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M)이 형폐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금형(M)은 매니큐어(1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일체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형개된 상태에서 내부에 전도제한층(190)과 자성발생부(170)를 안착하여 제조가 시작된다.
즉 상기 전도제한층(190)과 자성발생부(170)는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자성발생부(170)가 성형중 잘게 깨지더라도 전도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도 14와 같이 형폐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하게 되면, 상기 자성발생부(170) 상측으로 데코레이션부(160)가 형성되며, 사출압에 의해 상기 자성발생부(170)와 전도제한층(190)은 가장자리가 아래로 라운드지게 휘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굴곡에 의해 조각나면서 깨지게 되며, 상기 전도제한층(190)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제조 방식은 플라스틱 수지에 염료가 포함되어 데코레이션부(160)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다른 성형 방식을 설명한다.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M) 구조를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네일용 장식물(100)의 일 실시예의 제조를 위한 금형(M)이 형폐된 모습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금형(M) 구조에서는 플라스틱 수지가 사출되지 않고 금형(M) 내부에 장입된 상태로 가압되어 성형되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금형(M) 내부에는 전도제한층(190)과 자성발생부(170) 및 데코레이션부(16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이런 상태에서 도 16과 같이 형폐하면서 가압하여 가장자리를 라운드지게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성발생부(170)는 데코용자성체(172)와 결합층(17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금형(M)에 의해 가압시 결합층(174)이 데코용자성체(172)와 데코레이션부(160) 사이에서 결합력을 발생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층(174)은 액상의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의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금형(M) 형폐시 가압되어 성형과 동시에 경화함으로써 상기 데코용자성체(172)가 데코레이션부(160)에 일체화된 상태로 결합력을 발휘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금형(M) 구조를 적용하여 상기 장식부착물(150)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큐어(120)에 금속재(122)가 포함되고 장식부착물(150)이 자력을 갖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면서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상기 매니큐어(120)에 자석 분말을 내장하고, 상기 장식부착물(150)에는 금속판재 등을 내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데코용자성체(172)는 금속재(122)에 대하여 자력을 발생할 수도 있으며, 상기 입체용자성체(220)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입체부착물(200)이 장식부착물(150)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입체용자성체(220)는 금속재(122)와 자력으로 부착되어 장식부착물(150)과 매니큐어(120) 사이의 구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입체용자성체(220)가 데코용자성체(172)에 대하여 인력을 발생함으로써 결합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100. 네일용 장식물 120. 매니큐어
122. 금속재 150. 장식부착물
160. 데코레이션부 162. 패턴층
164. 증착층 166. 색상층
168. 탑코팅층 170. 자성발생부
172. 데코용자성체 180. 지지층
190. 전도제한층 200. 입체부착물
220. 입체용자성체 M . 금형
N . 네일

Claims (12)

  1. 액상상태로 네일 외면에 도포된 후 경화하는 매니큐어와,
    상기 매니큐어에 분말 형태로 분산되며 자력친화성을 가지는 금속재와,
    자성을 가지는 자성발생부를 구비하여 상기 금속재와 자력에 의해 매니큐어 외측에 부착되는 장식부착물과,
    상기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에 위치하여 자성발생부 변형시 전도를 제한하는 전도제한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제한층은,
    상기 자성발생부와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자성발생부 외측에서 색상, 무늬, 문자, 패턴, 금속질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데코레이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발생부는,
    일정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에 대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데코용자성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발생부는,
    상기 금속재에 대하여 자력을 발생하는 데코용자성체와,
    상기 데코용자성체와 데코레이션부 사이에 게재되어 결합력을 발생하는 결합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착물은,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자성발생부가 부착된 전도제한층과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자성발생부가 부착된 전도제한층에 데코레이션부 및 결합층을 적층 가압하여 일체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착물은,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측에서 데코레이션부를 지지하는 지지층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부 외면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데코레이션부를 보호하는 탑코팅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착물 외측에는,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재와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입체부착물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부착물은,
    상기 장식부착물 외측에서 금속재와 자력으로 부착되어 장식부착물과 매니큐어 사이의 구속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부착물 일측에는,
    상기 금속재에 자력으로 부착하거나 상기 데코용자성체에 인력을 갖는 입체용자성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용 장식물.
KR1020230061099A 2023-05-11 2023-05-11 네일용 장식물 Pending KR20240163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099A KR20240163907A (ko) 2023-05-11 2023-05-11 네일용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1099A KR20240163907A (ko) 2023-05-11 2023-05-11 네일용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3907A true KR20240163907A (ko) 2024-11-19

Family

ID=93670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1099A Pending KR20240163907A (ko) 2023-05-11 2023-05-11 네일용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639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824B1 (ko) 인조네일
US8539960B2 (en) Flexible artificial nai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130139840A1 (en) Multiple Style Nail Applique
KR101919951B1 (ko) 플랙서블 인조손톱
US20120263905A1 (en) Adhesive stick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U2435504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кладного ногтя или кончика ногтя, содержащая несколько частей
US20040079381A1 (en) Artificial fingernail and fingernail extension
KR20180137680A (ko) 탈부착형 네일 데코레이션 부재의 제조방법
CA27987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nail decals
CN111328264A (zh) 人造指甲及其施术方法
CA2782951C (en) Manufacturing method of artificial nail with 3-dimension ornament
US20050087204A1 (en) Artificial nail
KR102053587B1 (ko) 네일용 장식물
KR20240163907A (ko) 네일용 장식물
KR101831790B1 (ko) 부착이 용이한 간편 인조손톱
KR20240163898A (ko) 네일용 장식물
KR102415498B1 (ko) 네일용 장식물
WO2004089151A2 (en) Artificial nail containing liquid
US20030154995A1 (en) Artificial nail having design on underside
KR102717258B1 (ko) 젤네일 스티커
JP6118101B2 (ja) 化粧用具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化粧用具
KR20010104822A (ko) 입체장식을 갖는 인조손톱 및 그 제조방법
CN2171244Y (zh) 图案式化妆指甲
KR102418951B1 (ko) 탈부착 가능한 네일 아트용 인조손톱
KR100452280B1 (ko) 인조 팁네일 및 인조 팁네일 부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