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0795A -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 Google Patents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0795A
KR20240160795A KR1020230057551A KR20230057551A KR20240160795A KR 20240160795 A KR20240160795 A KR 20240160795A KR 1020230057551 A KR1020230057551 A KR 1020230057551A KR 20230057551 A KR20230057551 A KR 20230057551A KR 20240160795 A KR20240160795 A KR 2024016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damper
clothing
vacuum suction
h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75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시양
Original Assignee
유시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시양 filed Critical 유시양
Priority to KR1020230057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60795A/en
Publication of KR2024016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079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7/00Apparatus for moiste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the article to be ironed or press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2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 D06F81/04Ironing boards  with collapsible underframe with means for adjusting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제조 및 다림질 시 의류를 테이블 상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진공흡입 기능을 갖추도록 하면서, 진공흡입을 제어하는 발판을 작업자가 일일이 누르지 않고도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테이블 상판의 높낮이 자동 조절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모터 용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먼지 집진기를 테이블과 함께 배치하여 복잡한 설치 없이 간편하게 작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서 의류가 올려져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서 필요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의 일부가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와; 상기 작업대 및 우마대의 하측에 연계 설치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와; 상기 진공흡입장치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면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다리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의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재는 높낮이 작동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진공흡입시에 작업대와 우마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which has a vacuum suction function so that clothing can be fixed to a table top during the manufacture and ironing of clothing, while maintaining a vacuum state without the worker having to press a foot pedal that controls vacuum suction one by one, and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of the table top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so a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s work, while minimizing motor capacity and noise, and allowing the work table to be used simply without complicated installation by arranging a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tabl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leg member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height-adjustable; a work table installed so that clothing can be lifted and vacuum-sucked from the upper portions of the leg members; a step tabl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hen necessary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so that a part of the clothing can be vacuum-sucked; a vacuum suction devic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ork table and the step table so as to generate a suction pressure;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vacuum suction device so as to filter the sucked air and capture dus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comprising: a footrest installed between horizontally connecting the leg members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and to control whether or not the work table is sucked; wherein the leg members are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ir height by a height-adjusting means, and the footrest further includes a damper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ork table and the horse table when vacuum-sucking.

Description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의류의 제조 및 다림질 시 의류를 테이블 상판에 고정할 수 있도록 진공흡입 기능을 갖추도록 하면서, 진공흡입을 제어하는 발판을 작업자가 일일이 누르지 않고도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테이블 상판의 높낮이 자동 조절하도록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모터 용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먼지 집진기를 테이블과 함께 배치하여 복잡한 설치 없이 간편하게 작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which has a vacuum suction function so that clothing can be fixed to a table top during the manufacture and ironing of clothing, while maintaining a vacuum state without the worker having to individually press a foot pedal that controls vacuum suction, and is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of the table top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s work, while minimizing motor capacity and noise, and allowing the work table to be used easily without complicated installation by arranging a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table.

일반적으로, 의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싱작업을 수행하거나 세탁소와 같은 곳에서 다림질을 할 때, 테이블에 진공 흡입 기능을 갖는 진공 테이블(또는 바큠보드)이 사용되어, 의류가 테이블 상판에 용이하게 고정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In general, when performing sewing work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lothing or ironing in places such as laundry, a vacuum table (or vacuum board) with a vacuum suction function on the table is used to easily fix clothing to the table top,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상기 진공 테이블은 의류가 올려지는 상판이 구성되어 있고, 상판의 하부에 진공흡입장치가 고정 설치되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된 발판의 제어를 통해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열거나 닫는 형태로 진공제어를 하게 된다.The above vacuum table is composed of a top plate on which clothing is placed, a vacuum suction devic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top plate, and vacuum control is performed by opening or closing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through the control of the foot plate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table.

이러한 작동방식으로 인해 발판을 밟은 상태에서만 진공 흡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수시로 발판을 밟았다가 떼었다가를 반복하게 된다. 또한, 장시간 진공 흡입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발판을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는 가중될 수 밖에 없다.Because this method of operation allows vacuum suction only when the foot pedal is pressed, the worker has to repeatedly step on and release the foot pedal.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vacuum suction state for a long time, the worker's fatigue is bound to increase.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발판을 계속 누르기가 어려워 발판의 상부에 벽돌과 같은 중량체를 올려놓거나, 발판을 누르는 방향으로 끈으로 잡아당겨 고정하는 등의 번거로운 형태로 사용하고 있다.In actual work sites,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ess down on the foothold, so it is used in a cumbersome manner, such as placing a heavy object such as a brick on top of the foothold or pulling and securing it with a str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hold is pressed.

이 외에도 진공테이블의 특성상 발판과 진공흡입장치의 댐퍼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진공테이블의 높이는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작업자의 신장이 제각각인 점을 고려할 때 진공테이블 높이조절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because the vacuum table is connected to the foot plate and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vacuum table could not be adjusted.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each worker is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vacuum table.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82435호(진공흡입식 다림질대), 등록실용신안 제20-0127505호(의류제조용 다림질대의 풍향전환장치)에는 상기 설명한 테이블에 진공으로 흡입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다림질 또는 의류제조시 옷이 테이블에 고정되어 작업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As related prior art,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82435 (vacuum suction type ironing table)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27505 (wind direction conversion device of ironing table for clothing manufacturing) install a vacuum suction device on the table described above, thereby fixing clothes to the table during ironing or clothing manufacturing,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모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공흡입장치를 작동시키는 발판이 누를 때에만 작동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다리나 발의 피로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선행기술 모두 구조적으로 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However, all of the above prior technologies have the problem that the fatigue of the worker's legs or feet increases because the foot pedal that operates the vacuum suction device is pressed as explained above, and all of the prior technologies have the common problem that the height of the table cannot be structurally adjusted.

또한, 현장에서 작업 테이블에서 진공 흡입되는 미세 먼지는 별도의 배관이나 덕트 팬 구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좁은 작업공간에서 장치 구성이 너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진공흡입과 공기배출에 따른 대용량의 모터의 구동에 따른 소음으로 작업환경을 어렵게하는 여러 요인 및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addition, the fine dust vacuumed from the work table in the fiel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separate pipe or duct fan structure, which makes the device configuration too complicated in a narrow work space, and there are various factors and problems that make the work environment difficult due to noise from the operation of a large-capacity motor for vacuum suction and air discharg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82435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8243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27505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27505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흡입을 하는 2중 팬 구조로 모터 용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먼지 집진기를 테이블과 함께 배치하여 복잡한 설치 구조 없이 간편하게 작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is to provide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minimizes motor capacity and noise with a dual fan structure that performs vacuum suction and allows the use of a work table easily without a complex installation structure by arranging a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t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동식 높낮이 작동수단을 제공하여 작업 테이블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provides an electric height-raising operating means to automatic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thereby adjusting it to suit the height of the worker or the work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판의 작동에 의해 진공흡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발판을 누른 상태에서 발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수행할 때 발판을 지속적으로 누르지 않고도 진공흡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can control vacuum suction by the operation of a footrest, but h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while the footrest is pressed, thereby allowing a worker to maintain a vacuum suction state without continuously pressing the footrest when performing work for a long time,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배관이나 덕트의 구조 없이 흡입된 먼지를 바로 흡입하여 공기는 정화하여 배출하고 미세 먼지는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can directly suck in sucked dust without a complex pipe or duct structure,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and capture and process fine dus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용 진공 테이블에서 테이블의 높낮이, 진공흡입제어 및 먼지 집진을 하나의 테이블에 일원화하면서 자동화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ing vacuum table system that automates the table height adjustment, vacuum suction control, and dust collection while integrating them into a single table,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서 의류가 올려져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서 필요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의 일부가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와; 상기 작업대 및 우마대의 하측에 연계 설치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와; 상기 진공흡입장치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면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다리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의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재는 높낮이 작동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진공흡입시에 작업대와 우마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es, comprising: a plurality of leg member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height-adjustable; a work table installed so that clothes are lifted and vacuum-suck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s; a step table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hen necessary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so that a part of the clothes is vacuum-sucked; a vacuum suction devic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ork table and the step table to generate suction pressure; a dust collector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vacuum suction device to filter the sucked air and collect dust; and a foo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leg members connected horizontally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a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to control whether the work table is sucked; wherein the leg members are installed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by a height-adjusting means, and the foot plate further includes a damper control means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ork table and the step table when vacuum-sucking.

또한, 상기 다리부재는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의 일측에서 랙구조로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낮이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idge member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frame that supports the floor; a vertical frame that extends a certain length upward from the support frame; a driving fram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and a height-lowering driving means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nked with a rack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driving frame.

또한, 상기 높낮이 작동수단은 상기 수동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랙바와; 상기 랙바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축으로 연결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팬벨트와; 상기 팬벨트를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lowering operating means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ack bar installed to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nual frame; a pinion gear installed to drive the rack bar up and down; a fan belt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by an axis to transmit driving force; and a driving motor installed to drive the fan belt.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와 팬벨트를 연결하는 축은 장축 구조로서, 장축의 좌우 단부에 각 한 쌍의 피니언 기어 및 팬벨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장축 구동에 의해 좌우 피니언 기어 및 팬벨트가 동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ft connecting the pinion gear and the fan bel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long shaft structure, and being configured with a pair of pinion gears and fan belts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 shaft, so that the left and right pinion gears and fan belts are driven simultaneously by driving one long shaft.

또한,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상기 작업대의 중심 하측에 결합되어 진공흡입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바로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대에서 흡입 압력으로 집진장치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덕트와; 상기 통로덕트와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우마대에서 흡입 압력을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 연결덕트와; 상기 통로덕트의 통로상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통로덕트 및 우마대 연결덕트의 통로 상에 설치되어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device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suction duct install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work table to form a vacuum suction port; a passage duct connected directly below the suction duct to discharge air from the work table to the dust collector with suction pressure; a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age duct to discharge suction pressure from the horse saddle; a plurality of blower fans installed on the passage of the passage duct; and a first damper and a second damper installed on the passage of the passage duct and the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또한, 상기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구성하되,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통로덕트 상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발판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동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우마대 연결덕트 상에 설치되어 다른 발판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are configured, and the first damper is formed as a left and right pair on the passage duct and installed so as to b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 foot plate, and the second damper is installed on the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and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nother foot plate.

또한, 상기 제1 댐퍼 및 제2 댐퍼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을 당기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부는 탄성력을 주도록 탄성수프링으로 형성되어 작동로드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판에 복원력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mper and the second damp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ning plate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a link member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opening plate; and an operating rod that is installed to pull one side of the link member, wherein an end of the operating rod is formed as an elastic spring to provide elasticity so as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opening plate that is rotated by the operating rod.

또한, 상기 댐퍼제어수단은 작업대에 설치되는 전기 스위치에 조작으로 상기 댐퍼제어수단에서 작동판에 랙바를 연결 설치하고 피니언 기어에 구동모터로 수평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전자동으로 댐퍼제어수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mper control mean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damper control means only by operating the switch by connecting a rack bar to an operating plate of the damper control means by operating an electric switch installed on a workbench and installing a driving motor on a pinion gear so as to enable horizontal and linear movement.

또한, 상기 집진장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팬모터의 전방에 다수로 관통되어 흡입된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쌓이는 먼지를 포집하여 일시에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먼지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or may b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as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fan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suck air from the vacuum suction device; a filter memb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n motor to filter fine dust;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that penetrate the front of the fan motor to discharge the sucked internal air; and a dust collection bin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to collect accumulated dust and discharge it at once.

또한, 상기 발판은 상기 다리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봉과; 상기 설치봉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누름판과; 상기 설치봉에 연계 설치되어 누름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누름판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누름판은 진공흡입시에 상기 작업대의 댐퍼를 제어하는 제1 누름판과, 상기 우마대의 댐퍼를 제어하는 제2 누름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제어수단은 상기 제1 누름판 및 제 2 누름판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t plat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tallation rod installed between the leg members horizontally connected; a push plat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ro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and a damper control mean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installation rod and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plate to fix the position of the push plate, wherein the push plate is formed of a first push plate that controls the damper of the work table during vacuum suction, and a second push plate that controls the damper of the horse saddle, and the damper control mean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irst push plate and the second push plate.

본 발명은 진공흡입을 하는 2중 팬 구조로 모터 용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먼지 집진기를 테이블과 함께 배치하여 복잡한 설치 구조 없이 간편하게 작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minimizes motor capacity and noise with a dual fan structure that performs vacuum suction and allows the use of a work table easily without a complex installation structure by arranging a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table.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식 높낮이 작동수단을 제공하여 작업 테이블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ic height-raising operating means so that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ereby increasing work convenience by adjusting it to suit the height of the worker or the work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작동에 의해 진공흡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발판을 누른 상태에서 발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수행할 때 발판을 지속적으로 누르지 않고도 진공흡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work convenience by allowing a worker to maintain a vacuum suction state without continuously pressing the footrest when performing work for a long time, by controlling vacuum su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and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to be fixed while the footrest is pressed.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배관이나 덕트의 구조 없이 흡입된 먼지를 바로 흡입하여 공기는 정화하여 배출하고 미세 먼지는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can directly suck in sucked dust without a complex pipe or duct structure, purify and discharge the air, and capture and process fine dust.

또한, 본 발명은 의류용 진공 테이블에서 테이블의 높낮이, 진공흡입제어 및 먼지 집진을 하나의 테이블에 일원화하면서 자동화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lothing vacuum table system that maximizes convenience of use by automating the table height adjustment, vacuum suction control, and dust collection in a single table.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전체 정면 예시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전체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각 요부를 보인 전체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높낮이 작동수단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높낮이 작동수단을 보인 요부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댐퍼의 구성을 보 예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댐퍼의 작동 전후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댐퍼제어수단을 보인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도 7의 댐퍼제어수단의 작동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작업대에 전기 제어 스위치가 설치되어 자동화가 가능한 진공테이블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우마대에서 진공흡입에 따른 감지센서가 설치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작업대에서 진공흡입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우마대에서 진공흡입을 보인 단면 예시도,
Figures 1 to 12 are examples showing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full frontal example of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ll cross-sectional example of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each part of the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height-lowering operating means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eight-lowering operating means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mper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a damper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damper control means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are example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amper control means of Figure 7.
Figure 9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vacuum table capable of automation with an electric control switch installed on a work table according to the clothing vacuum tab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according to vacuum suction in a horse-riding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example showing vacuum suction on a work table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example showing vacuum suction in a garment vacuum tab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보인 실시 예이다.Figures 1 to 9 are embodiments showing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은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부재(100)와; 상기 다리부재(100)의 상부에서 의류가 올려져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작업대(200)와;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서 필요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의 일부가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300)와; 상기 작업대(200) 및 우마대(300)의 하측에 연계 설치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400)와; 상기 진공흡입장치(400)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면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장치(500)와; 상기 다리부재(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흡입장치(400)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200)의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발판(60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1 to 9, the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leg members (100)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height-adjustable; a work table (200) installed so that clothing can be lifted and vacuum-suck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members (100); a step (300)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hen necessary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200) so that a part of the clothing can be vacuum-sucked; a vacuum suction device (40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portions of the work table (200) and the step (300) so as to generate suction pressure; a dust collector (50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to collect dust while filtering the sucked air; a foot plate (600) installed between the leg members (100) connected horizontally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to control whether the work table (200) is sucked; It will consist of:

여기서, 상기 다리부재(100)는 높낮이 작동수단(14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600)은 진공흡입시에 작업대(200)와 우마대(300)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6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leg member (100) is installed so that its height can be adjusted by a height-adjusting operating means (140), and the footrest (600) can further include a damper control means (630) that selectively operates the work table (200) and the horse platform (300) when vacuum suction is performed.

상기 다리부재(100)는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110)과; 상기 받침프레임(110)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프레임(130)과; 상기 구동프레임(130)의 일측에서 랙구조로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낮이 작동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The above-mentioned bridge member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height-adjustable while being supported on a floor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frame (110) that supports the floor; a vertical frame (120) that extends a certain length upward from the support frame (110); a driving frame (130)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installed so as to be height-adjustable; and a height-adjusting operating means (140)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linked in a rack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driving frame (130).

여기서, 본 발명의 다리부재(100)는 작업대(2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지지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총 4군데로 설치되거나 2군데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군데로 설치되어 높낮이 작동수단에 의해 동시에 용이하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Here, the leg memb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worktable (200)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and may be installed in a total of four places or in two places. Preferably, it may be installed in two places so that it can be easily raised or lowered at the same time by a height-lowering operation means.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20)에는 상측 단부에 일정 길이 가이드 홈(12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121)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랙바가 보이도록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a guide groove (121) of a certain length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At this time, the rack bar is installed so that it is visibl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121).

또한, 상기 구동프레임(130)에는 상단으로 작업대(200)와 고정되는 고정단(131)이 형성되며, 구동프레임(130)의 길이 방향 일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가이드 홈(121)의 안쪽에서 보이도록 설치되는 랙바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바는 나사 체결로 결합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구동프레임(130)과 일체로 제작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frame (130) is formed with a fixed end (131) that is fixed to the work table (200) at the top, and a rack ba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ing frame (130) so that it is visible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groove (121) of the vertical frame (120). At this time, the rack bar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by screw fastening, and can also be manufactured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driving frame (130).

또한, 상기 높낮이 작동수단(140)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랙바(141)와; 상기 랙바(141)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142)와; 상기 피니언 기어(142)를 축으로 연결하는 장축(143)과; 상기 장축(143)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142)와 동일하게 회전하는 연동기어(144)와; 상기 연동기어(144)와 모터축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팬벨트(145)와; 상기 팬벨트(145)를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146)와; 상기 장축(143)의 타측에 축 연결되어 함께 구동하는 보조기어(147)와; 상기 보조기어(147)와 다른 보조기어(147a)를 연결하는 보조벨트(14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lowering operating means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ack bar (14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a pinion gear (142) installed to drive the rack bar (141) up and down; a long shaft (143) connecting the pinion gear (142) with an axis; a linkage gear (144)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ng shaft (143) and rotating in the same manner as the pinion gear (142); a fan belt (145) connecting the linkage gear (144) and a motor shaft to transmit driving force; a driving motor (146) installed to drive the fan belt (145); an auxiliary gear (147) axi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long shaft (143) and driven together; and an auxiliary belt (148) connecting the auxiliary gear (147) and another auxiliary gear (147a).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46) 하나와 연동기어(144)가 팬벨트(145)로 연결 설치되고, 구동모터(146)의 구동력이 팬벨트(145)를 거쳐 연동기어(144)로 전달되어 장축(143)이 구동되면서 피니언 기어(142)가 회전함으로써 랙바(141)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작동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Here, one of the above driving motors (146) and a linkage gear (144) are installed connected to a fan belt (145),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146) is transmitted to the linkage gear (144) through the fan belt (145), so that the long shaft (143) is driven and the pinion gear (142) rotates, thereby allowing the rack bar (141) to move up and down.

한편, 구동되는 장축(143)에 축 결합된 보조기어(147)와 다른 보조기어(147a)가 보조벨트(148)로 연계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른 구동프레임(130)에 설치된 랙바(141)를 피니언 기어(143)를 통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구동프레임(130)이 수직프레임(120) 내측에서 수직 상승 또는 수직 하강하도록 작동하여 작업대(200)의 높낮이 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장축(143)은 전후가 한 쌍으로, 장축(143)의 좌우 끝단부에 각각의 피니언 기어(143)가 적어도 4개로 형성되고, 구동프레임(130)에 형성되는 랙바(141)도 모두 4개 정도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by configuring the auxiliary gear (147) coupled to the driven long shaft (143) and another auxiliary gear (147a)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auxiliary belt (148), the rack bar (141) installed on another driving frame (130) can be operated up and down via the pinion gear (143), so that the driving frame (130) as a whole can be operated to vertically rise or fall inside the vertical frame (120), thereby enabling the height-lowering operation of the worktable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ng shaft (143) is formed as a pair in the front and rear, and that at least four pinion gears (143) are formed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 shaft (143), and that about four rack bars (141) formed on the driving frame (130) are also installed.

즉, 하나의 구동모터(146)로 장축(143)과 팬벨트(145), 보조기어(147) 및 보조벨트(148)를 통해 피니언 기어(142)를 구동하여 랙바(141)를 구동케하여 4개의 구동프레임(130)을 한 번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구동은 전기 스위치(700) 제어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을 조정할 수 있다.That is, by driving the pinion gear (142) through the long shaft (143), fan belt (145), auxiliary gear (147), and auxiliary belt (148) with one drive motor (146), the rack bar (141) is driven, so that four drive frames (130) can b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raised and lowered at once. At this time, the drive can be adjusted for raising and lowerin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switch (700).

상기 작업대(200)는 의류가 올려지는 구성되는 베이스(201)와; 상기 베이스(201)의 내부에는 진공흡입장치(400)의 진공압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공간(20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진공흡입구멍(203)이 형성되어 하부에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400)의 공기흡입이 작업대(200)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work table (200)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201) on which clothing is placed; a space (202) for generating vacuum pressure of a vacuum suction device (400) is formed inside the base (201), and a vacuum suction hole (203) is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air suction of a vacuum suction device (400) installed at the bottom can be transmitted to the work table (200).

상기 우마대(300)는 상기 작업대(200)의 일측에서 필요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의 일부가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의류 일부가 올려져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베이스(301)와; 상기 베이스(301)의 하단부와 연결 고정되고 작업대(20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봉(302)과; 상기 작업대(200)의 베이스(201)에 관통 결합 설치되고 상기 수직봉을 수용하여 일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관통 접속관(30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horse stand (300) is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hen necessary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200) so that a part of clothing can be vacuum-sucked, and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se (301) on which a part of clothing is placed and work is performed; a vertical bar (302) that is fixed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ase (301) and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work table (200); and a through-connection pipe (303)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hrough the base (201) of the work table (200) and accommodates the vertical bar so as to be temporarily rotatable.

여기서, 상기 수직봉(302)은 관통 접속관(303)과 플랜지 접속으로 수직봉이 밑으로 빠지지 않고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원활한 회전을 위해 플랜지 상에 베어링 구조로도 설치 가능하다. Here, the vertical bar (302) is connected to a through-connector (303) and a flange so that the vertical bar can rotate without falling down, and can also be installed as a bearing structure on the flange for smooth rotation.

한편 상기 관통 접속관(303)을 관통하는 수직봉(302)은 그 내부가 공간(304)으로 제공되어 그 내부에서 진공흡입장치(400)의 진공압력이 발생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400)의 공기흡입이 우마대(300)의 베이스(301)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rtical bar (302) penetrating the above-mentioned through-connection pipe (303) is formed so that the interior thereof is provided as a space (304) so that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is generated therein, and the air suction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connected and installed at the bottom can be configured so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base (301) of the horse saddle (300).

상기 진공흡입장치(400)는 상기 작업대(200) 및 우마대(300)의 하측에 연계 설치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대(200)의 중심 하측에 결합되어 진공흡입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흡입덕트(410)와; 상기 흡입덕트(410)의 바로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대(200)에서 흡입 압력으로 집진장치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덕트(430)와; 상기 통로덕트(430)의 통로상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송풍팬(440)(440A)과; 상기 통로덕트(43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우마대(300)에서 흡입 압력이 발생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 연결덕트(450)와; 상기 통로덕트(430) 및 우마대 연결덕트(450)의 통로 상에 설치되어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각각의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vacuum suction device (400)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side of the work table (200) and the horse stand (300) to generate suction pressure, and comprises: a suction duct (410) installed to form a vacuum suction port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work table (200); a passage duct (430) connected immediately below the suction duct (410) to discharge air from the work table (200) to the dust collector with suction pressure; a pair of left and right blower fans (440) (440A) installed in multiple numbers on the passage of the passage duct (430); a horse stand connecting duct (45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one side of the passage duct (430) to generate suction pressure in the horse stand (30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damper (470) and a second damper (490) installed on the passage of the above passage duct (430) and the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450)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또한 상기 흡입덕트(410)는 상측이 확장되고 하측이 좁아지는 플레이트 구조 형태로서 흡입압력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이때 상측은 자바라 형태로 제공되어 흡입압력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 suction duct (410) may be a plat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is expanded and the lower side is narrowed, and it is sufficient if it is a structure that can quickly transmit suction pressure. In this case, the upper sid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Javara to adjust the suction pressure distance.

또한, 통로덕트(430)는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이동 통로 공간(431)으로 형성되며, 각 연결은 플랜지 연결을 통해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통로덕트는 자바라 형태의 연결 구조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passage duct (430) is formed as a moving passage space (43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 and discharged, and each connection can be configured through a flange connection. At this time, the passage duct may also have a Javara-shaped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송풍팬(440)(440A)은 좌우 한 쌍으로 상기 통로덕트(430)의 통로상에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송풍팬이나 블로워 팬 모두 설치 가능하다. 이때 기존의 고마력 모터를 쓰던 것을 저마력 모터로 좌우로 배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전개하면서도 소음과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fans (440) (440A) can be installed in multiple pairs on the passage of the passage duct (430) on the left and right. Both general blower fans and blower fans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a structure can be provided that can reduce noise and power consumption while rapidly spreading the air flow by placing low-horsepower motors on the left and right instead of the existing high-horsepower motors.

또한, 우마대 연결덕트(450)는 우마대(300)와 연결되는 자바라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통로덕트(430)의 일측면에 플랜지 접속으로 결합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se ram connection duct (45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Javara connected to the horse ram (300), and can be installed to be fixed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assage duct (430) with a flange connection.

한편, 상기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를 구성하되,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댐퍼(470)는 상기 통로덕트(430) 상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발판(600)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동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댐퍼(490)는 상기 우마대 연결덕트(430) 상에 설치되어 다른 발판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are configured, and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damper (470) is formed as a left and right pair on the passage duct (430) and installed so as to be simultaneously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 foot plate (600), and the second damper (490) is installed on the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430) and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nother foot plate.

또한, 상기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471)(491)과; 상기 개폐판(471)(49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힌지 회전하는 힌지축(472)(492)과; 상기 개폐판(471)(491)과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473)(493)와; 상기 링크부재(473)(493)의 일측을 당기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475)(495)와; 상기 개폐판(471)(491)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주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되는 탄성수프링(477)(49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댐퍼의 개폐판과 제2 댐퍼의 개폐판은 원형 또는 사각일 수 있으며, 그 형태를 반듯이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조상 덕트의 통로가 원형 또는 사각에 맞추어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pening/closing plate (471)(491) for opening/closing a passage; a hinge shaft (472)(492) that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closing plate (471)(491) and rotates at a hinge; a link member (473)(493) hinge-connected to the opening/closing plate (471)(491); an operating rod (475)(495) installed to pull one side of the link member (473)(493); and an elastic spring (477)(497) installed to provide elastic force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ning/closing plate (471)(491). At this time, the opening/closing plate of the first damper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of the second damper may be circular or square, and their shape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and the structural passage of the duct may be manufactured to fit a circular or square shape.

상기 집진장치(500)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510)와; 상기 케이스(510)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는 팬모터(520)와; 상기 팬모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되는 필터부재(530)와; 상기 팬모터의 전방에 다수로 관통되어 흡입된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540)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쌓이는 먼지를 포집하여 일시에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먼지 수거통(5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dust collector (5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se (510)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fan motor (520) installed inside the case (510) to suck air from the vacuum suction device; a filter member (53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fan motor to filter fine dust;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540) that penetrate the front of the fan motor and discharge the sucked internal air; and a dust collection bin (55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to collect accumulated dust and discharge it all at once.

여기서 집진장치(500)는 후방에서 상기 진공흡입장치(400)의 통로덕트(430)와 플랜지 구조로 연결 설치되며, 일반적인 공기청정기 구조이면 족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dust collector (500)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connected to the passage duct (430)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with a flange structure. Since a general air purifier structure is sufficient,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발판(600)은 상기 다리부재(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봉(610)과; 상기 설치봉(610)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판(620)과; 상기 설치봉에 연계 설치되어 누름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누름판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제어수단(6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footing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stallation rod (610) installed between the leg members (100) that are connected horizontally; a pressing plate (620)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rod (610)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and a damper control means (630)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installation rod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late and to fix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또한, 상기 누름판(620)은 진공흡입시에 상기 작업대(200)의 제1 댐퍼(470)를 제어하는 제1 누름판(621)과, 상기 우마대(300)의 제2 댐퍼(490)를 제어하는 제2 누름판(62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누름판(621)과 제2 누름판(622)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와 연결되는 작동로드(475)(495)를 걸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620) may be formed by a first pressing plate (621) that controls the first damper (470) of the work table (200) when vacuum suction is performed, and a second pressing plate (622) that controls the second damper (490) of the horse stand (300). At this time, an operating rod (475) (495)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may be installed on one end of the first pressing plate (621)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622).

여기서,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의 개폐작동을 통해 작업대(200) 및 우마대(300)가 진공 상태가 되거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발판(600)을 밟게 되면 각 작동로드(475)(495)가 당겨지게 되면서 각각의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가 개방되고 그로인해 모터의 흡입이 작업대(200) 및 우마대(300)의 진공흡입구멍에 전달되게 되면서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발판(600)에서 발을 떼게 되면 작동로드(475)(495)는 탄성수프링(477)(497)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를 닫히도록 작동할 수 있다.Here, the work table (200) and the horse stand (300) can be brought into a vacuum state or released from the vacuum state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That is, when the footrest (600) is stepped on, each operating rod (475)(495) is pulled, opening each of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and thereby the suction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vacuum suction holes of the work table (200) and the horse stand (300), thereby creating a vacuum state. Then, when the footrest (600) is removed again, the operating rods (475)(495)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springs (477)(497), and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can be operated to close.

또한, 상기 발판(600)은 다리부재(100)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형태의 설치봉(610)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발판(6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댐퍼제어수단(630)에 의해 작업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ootrest (600) is installed on an installation bar (610) that horizontally connects the leg members (100), and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by a damper control means (63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ootrest (600).

여기서, 상기 발판(600)에서 진공흡입시에 작업대(200)와 우마대(300)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630)은 작업대(200) 및 우마대(300)에 설치되는 제1 댐퍼(470) 및 제2 댐퍼(49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한가지로 통일하여 설명한다. 이때 댐퍼제어장치는 발판(600)의 좌우에 연계하여 각각 배치하여 따로 작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전기적으로 구동모터를 연계하여 전기적 스위치에 의해 댐퍼제어수단을 자동으로 설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Here, the damper control means (630) for selectively operating the work platform (200) and the horse platform (300) when vacuum-sucking from the footrest (600) controls the first damper (470) and the second damper (490) installed on the work platform (200) and the horse platform (300), and all are described as one with the same configuration. At this time, the damper control device may be arranged separately in connection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ootrest (600) and may be operated separately, and in some cases, the damper control means may be automatically installed and provided by an electric switch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riving motor.

상기 댐퍼제어수단(6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판(600)의 일측 설치봉(61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발판(600)을 밟은 상태에서 발판(60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발판(600)을 누르지 않고도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구성이다.The above damper control means (630)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tallation rod (610) of the footrest (600) as shown in FIG. 7, and is configured to maintain a vacuum state without the worker having to continuously press the footrest (600)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footrest (600) while the footrest (600) is stepped on.

상기 댐퍼제어수단(630)은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봉(610)에 고정하는 클램프(631)와; 상기 클램프(63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632)과; 상기 지지판(632)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수평 설치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633)과; 상기 작동축(633)의 한쪽 끝부분에 설치되어 누름판(620)의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지지되는 지지블록(634)과; 상기 지지블록(634)과 지지판(632)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블록(634)을 누름판(6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635)과; 상기 작동축(633)에 일체로 형성되어 스프링(635)의 반대편에서 지지판(632)에 지지되어 스프링(635) 복원력을 지지하는 스톱퍼(636)와; 상기 지지블록(634)의 반대편 작동축(633)에 형성되어 작동축(633)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작동판(637);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above damper control means (630) specifically comprises, as illustrated in FIG. 7, a clamp (631) fixed to an installation rod (610); a support plate (632) formed to exte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lamp (631); an operating shaft (633) installed horizontally so as to protrud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632) and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support block (634) installed at one end of the operating shaft (633) and supported in a manner to be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a pressing plate (620); a spring (635)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lock (634) and the support plate (632) to push the support block (634) toward the pressing plate (620); a stopper (636)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rating shaft (633)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632)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635) to suppor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35); It can be configured with an operating plate (637) formed on the operating shaft (633) opposite the above support block (634)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operating shaft (633).

상기 클램프(631)와 지지판(63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63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봉(610)을 절반씩 감싸는 형태의 상부클램프(631a)와 하부클램프(632b)로 분할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은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봉(610)에 분리 결합이 용이하고, 다른 한쪽은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나사결합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클램프(631)가 설치봉(610) 상에서 수평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위치 및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631)의 설치각도를 통해 작동축(633)의 설치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누름판(620)의 구조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The above clamp (631) and the support plate (632) are formed integr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lamp (631) is formed by dividing into an upper clamp (631a) and a lower clamp (632b) that each wrap around the installation rod (610). In addition, one side is connected by a hinge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attachment to the installation rod (610), and the other side is structured to be fixed through a screw connection. That is, since the clamp (631) can move horizontally and rotate on the installation rod (610) when not screwed,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installation angle can be freely adjusted. Therefore, by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perating shaft (633) through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lamp (631), it can be applied to suit the structure of the pressing plate (620).

또한, 상기 지지판(632)은 상부클램프(631a)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동축(633)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632)의 일측에는 작동축(633)을 안내 지지하도록 한 가이드부싱(6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싱(638)을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여 작동축(633)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632) is formed on the upper clamp (631a) and has a hole formed through it so that the operating shaft (633)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a guide bushing (638)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632) to guide and support the operating shaft (633). The guide bushing (638)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that the operating shaft (633) can be stably supported and move smoothly.

또한, 상기 작동축(633)은 지지판(632)에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지지판(632)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작동축(633)의 양쪽 끝에는 각각 지지블록(634)과 작동판(637)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shaft (633) is connected in a form that penetrates the support plate (632), and is installed so as to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plate (632) and move horizontally. In addition, a support block (634) and an operating plate (637) are formed at each end of the operating shaft (633).

또한, 상기 지지블록(634)은 작동축(633)의 누름판(620)방향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동시 누름판(620)의 상부에 올려지는 형태로 지지되어 누름판(620)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판(637)은 작동축(633)을 움직이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누름판(620) 고정을 원하지 않을때 지지블록(634)이 누름판(620)의 상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동시킨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634)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plate (620) of the operating shaft (633), and is supported in a form that is placed on top of the pressing plate (620) during operation, so that the pressing plate (620) is maintained in a pressed state. In addition, the operating plate (637) moves the operating shaft (633), so that when the pressing plate (620) is not desired to be fixed, the support block (634) is moved so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ressing plate (620).

그리고 상기 스프링(635)은 지지블록(634)과 지지판(632)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블록(634)을 누름판(620)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635)의 힘에 의해 지지블록(634)이 안정적으로 누름판(620)의 상부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635)이 결합됨에 따라 작동축(633)에는 스프링(635)의 복원력을 지지해주는 스톱퍼(6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635)는 스프링(635)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지지판(632)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지지판(632)에 형성된 가이드부싱(638)에 맞닿은 형태가 된다.And the spring (635)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block (634) and the support plate (632) and serves to push the support block (634) toward the push plate (620). The support block (634) is stably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ush plate (620) by the force of the spring (635). As the spring (635) is combined, a stopper (638) is formed on the operating shaft (633) to support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635). The stopper (635)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pring (635)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632), and is in a form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uide bushing (638) formed on the support plate (632).

아울러, 상기 지지블록(634)은 작동축(633)의 끝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지지블록(634)이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경우 누름판(620)의 경사진 면에 맞게 지지블록(634)의 각도 역시 회전하게 되어 지지블록(634)의 바닥면 전체가 누름판(620)에 접촉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lock (634) be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operating shaft (633). When the support block (634) is combined in a rotatably manner in this way, the angle of the support block (634) also rotates to match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ssing plate (620), so that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63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620), thereby allowing it to be stably supported.

먼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제어수단(63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7도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누름판(620)을 고정하기 전에서 지지블록(634)이 누름판(6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Firs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amper control means (6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plained through drawings. First, referring to FIGS. 7 and 8, before fixing the pressing plate (620), the support block (634)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ressing plate (620).

그리고 나서 누름판(62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누름판(620)을 누르면서 작동판(637)을 바깥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작동판(637)과 연결된 작동축(633)과 지지블록(634)도 함께 이동하면서 지지블록(634)이 누름판(620)의 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Then, in order to fix the pressing plate (620), the operating plate (637) is moved outward while pressing the pressing plate (620). Then, the operating shaft (633) and the support block (634) connected to the operating plate (637) also move together, causing the support block (634) to be removed from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620).

최종적으로 작동판(637)을 놓게 되면, 스프링(635)의 힘에 지지블록(634)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면서 누름판(62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Finally, when the operating plate (637) is placed, the support block (634)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force of the spring (635), there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6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댐퍼제어수단(630)은 작업자의 발을 통해 작동을 제어하기 때문에 작동편의성이 우수하고, 클램프(631)를 통해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의 의류용 진공 테이블에도 적용 가능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amper control means (6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operational convenience because it controls operation through the operator's feet, and because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freely adjusted through the clamp (631), it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being applicable to vacuum tables for clothing of various structure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서 발판에 연계되는 댐퍼제어수단은 발판 작동에 따른 수동 방식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에 전기 스위치(700)에 조작으로 상기 댐퍼제어수단(630)에서 작동판(637)에 랙바(701)를 연결 설치하고 피니언 기어(702)에 구동모터(703)로 수평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전자동으로 댐퍼제어수단을 조정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mper control means connected to the footrest may be operated manual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ootrest, or as shown in FIG. 9, the damper control means (630)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ng plate (637) by operating an electric switch (700) on the work table, and the rack bar (701) may be installed and installed so as to enable horizontal and straight movement by a driving motor (703) on the pinion gear (702), thereby automatically adjusting the damper control means only by operating the switch.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마대(300)에 하측에 회전제어 감지센서를 제공하여 우마대(3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을 제공하여 우마대가 회전시 감지센서(800)에 의해 작업대(200)의 댐퍼를 일시 차단하는 자동화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rotation control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se stand (300) to detect the rotation of the horse stand (300) and provide a damper control means that operates, so that an automatic method can be provided to temporarily block the damper of the work table (200) by the detection sensor (800) when the horse stand rotates.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ollowing description follows the structural description above.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작업대에서 진공흡입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에 따른 우마대에서 진공흡입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vacuum suction on a work table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vacuum suction on a horse table according to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작업대(200)에서 다림질 등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전원스위치 또는 전기 제어 스위치(700)의 조작으로 진공흡입장치(400)에서 제1 댐퍼(470)가 오픈된 상태에서 송풍팬(440)(440A)가 회전하는 것으로 진공흡입이 이루어지면서 작업이 이루어진다.First, when ironing or other work is performed on a workbench (200), the work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power switch or electric control switch (700) so that the first damper (470)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400) is opened and the blower fan (440) (440A) rotates, thereby performing vacuum suction.

다음, 진공흡입된 먼지는 집진장치(500)를 통해 먼지를 걸러주고 공기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Next, the vacuum-sucked dust can be filtered through a dust collector (500) and the air can be discharged outside.

또 다음으로, 우마대(300)를 사용하여 의류의 일부를 다림질할 경우 일시적인 우마대(300)의 회전을 통해 감지센서(800)에 의해 전자 제어를 통해 우마대(300)를 연결하는 우마대 연결덕트(450)에 설치된 제2 댐퍼(490)를 개방함과 동시에 작업대(200)의 제1 댐퍼(470)을 닫히도록 차단하여 송풍팬(440)(440A)을 통해 우마대(300)에서 진공흡입이 이루어지도록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발판(600)의 댐퍼제어수단(630)을 통해 수동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댐퍼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next, when ironing a part of clothing using the ironing board (300), the second damper (490) installed in the ironing board connecting duct (450) connecting the ironing board (300) is opened through electronic control by the detection sensor (800) through the temporary rotation of the ironing board (30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amper (470) of the work table (200) is closed to block the opening, so that vacuum suction is performed in the ironing board (300) through the blower fan (440) (440A). At this time, the damper control means (630) of the foot plate (600) can be used to enable manual or automatic damper control by a driving motor.

끝으로, 작업이 끝난 후에는 집진장치(500)에서 먼지 수거통(550)을 수거하여 먼지 뒤처리를 할 수 있다.Finally, after work is completed, the dust collector (550) can be collected from the dust collector (500) to allow for dust dispos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은 진공흡입을 하는 2중 팬 구조로 모터 용량과 소음을 최소화하고 먼지 집진기를 테이블과 함께 배치하여 복잡한 설치 구조 없이 간편하게 작업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식 높낮이 작동수단을 제공하여 작업 테이블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신장이나 작업환경에 맞게 조절하여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ual fan structure that performs vacuum suction, minimizes motor capacity and noise, and arranges a dust collector together with the table so that the work table can be used easily without a complicated installation structure. In addition, an electric height-lowering operation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work tabl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thereby increasing work convenience by adjusting i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orker or the work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의 작동이나 전기적 구동모터에 의해 진공흡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되, 발판을 누른 상태에서 발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을 수행할 때 발판을 지속적으로 누르지 않고도 진공흡입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배관이나 덕트의 구조없이 흡입된 먼지를 바로 흡입하여 공기는 정화하여 배출하고 미세 먼지는 포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uum table system for clothing that can control vacuum suction by the operation of a foot plate or an electric drive motor, but can maintain a vacuum suction state without the worker having to continuously press the foot plate when performing work for a long time through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foot plate while pressing the foot plate, and can directly suck in sucked dust without a complex pipe or duct structure, thereby purifying and discharging the air and capturing and processing fine dust.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 다리부재
110 : 받침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130 : 구동프레임
140 : 높낮이 작동수단
200 : 작업대
300 : 우마대
301 : 베이스
302 : 수직봉
303 : 관통 접속관
400 : 진공흡입장치
410 : 흡입덕트
430 : 통로덕트
440, 440A : 송풍팬
450 : 우마대 연결덕트
470 : 제1 댐퍼
490 : 제2 댐퍼
500 : 집진장치
510 : 케이스
520 : 팬모터
540 : 배출구
550 : 먼지 수거통
600 : 발판
610 : 설치봉
620 : 누름판
630 : 댐퍼제어수단
700 : 작동 스위치
800 : 감지센서
100 : Absence of bridge
110 : Support frame
120 : Vertical frame
130 : Drive Frame
140 : Height-adjusting operating means
200 : Workbench
300 : Umadae
301 : Base
302 : Vertical bar
303 : Penetrating connector
400 : Vacuum suction device
410 : Suction duct
430 : Passage duct
440, 440A: Blower fan
450: Umadae connection duct
470: 1st damper
490: 2nd damper
500 : Dust collector
510 : Case
520 : Fan motor
540 : exhaust port
550 : Dust bin
600 : Foothold
610 : Installation rod
620 : Push plate
630: Damper control means
700 : Operation switch
800 : Detection sensor

Claims (10)

수직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의 상부에서 의류가 올려져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서 필요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의 일부가 진공흡입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와;
상기 작업대 및 우마대의 하측에 연계 설치되어 흡입 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되는 진공흡입장치와;
상기 진공흡입장치와 연결 설치되어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면서 먼지를 포집하는 집진장치와;
상기 다리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어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작업대의 흡입여부를 제어하는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재는 높낮이 작동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판은 진공흡입시에 작업대와 우마대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댐퍼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A plurality of leg members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vertically;
A work table installed so that clothing can be lifted and vacuum-suck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ove leg member;
A saddle mounted on one side of the workbench that can be rotated when necessary to allow a portion of clothing to be vacuum-sucked;
A vacuum suction devic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lower side of the work table and the horse stand to generate suction pressure;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above vacuum suction device and filters the suctioned air while capturing dust;
It is composed of a foot plate installed between the above leg members horizontally an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to control whether the workbench is sucked;
The above leg member is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a height-up and down operation means, and the foot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damper control means that selectively operates the work table and the horse platform when vacuum suction is performed.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바닥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프레임(130)의 일측에서 랙구조로 연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높낮이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ridge material
A support frame that supports the floor;
A vertical frame formed to extend a certain length to the upper side of the above support frame;
A driving fram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bove vertical frame and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eight-lowering driving means installed so as to be linked with a rack structure on one side of the above driving frame (130).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작동수단은
상기 수동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랙바와;
상기 랙바를 상하로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축으로 연결 설치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팬벨트와;
상기 팬벨트를 구동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height-adjusting operating means
A rack bar installed to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bove manual frame;
A pinion gear installed to drive the above rack bar up and down;
A fan belt tha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and shaft and transmits driving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riving motor installed to drive the above fan belt.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팬벨트를 연결하는 축은 장축 구조로서,
장축의 좌우 단부에 각 한 쌍의 피니언 기어 및 팬벨트로 구성되어 하나의 장축 구동에 의해 좌우 피니언 기어 및 팬벨트가 동시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The shaft connecting the above pinion gear and fan belt is a long shaft struc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eft and right pinion gears and fan belts are driven simultaneously by one long shaft drive, and each pair of pinion gears and fan belts are configure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ng shaft.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상기 작업대의 중심 하측에 결합되어 진공흡입구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흡입덕트의 바로 하부에 연결되어 작업대에서 흡입 압력으로 집진장치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덕트와;
상기 통로덕트와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우마대에서 흡입 압력을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우마대 연결덕트와;
상기 통로덕트의 통로상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통로덕트 및 우마대 연결덕트의 통로 상에 설치되어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vacuum suction device
A suction duct installed to form a vacuum suction port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above work table;
A passage duct connected immediately below the above suction duct for discharging air from the work table to the dust collector under suction pressure;
A horse pedestal connecting duc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ssage duct and installed to discharge suction pressure from the horse pedestal;
A plurality of blower fans installed on the passage of the above passage duc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damper and a second damper installed on the passage of the above passage duct and the horse saddle connecting duct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passage.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구성하되,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통로덕트 상에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발판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동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우마대 연결덕트 상에 설치되어 다른 발판과 연결된 작동로드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clause 5,
The above first damper and second damper are configured,
The above first damper is formed as a pai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n the passage duct and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simultaneously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the foot plate.
The above second damp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addle connecting duct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ng rod connected to another foot plate.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및 제2 댐퍼는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과 힌지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일측을 당기도록 설치되는 작동로드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작동로드의 끝단부는 탄성력을 주도록 탄성수프링으로 형성되어 작동로드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판에 복원력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Article 6,
The above first damper and second damper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passage;
A link member connected to the above opening/closing plate by a hinge;
Consisting of an operating rod installed to pull one side of the above link member,
The end of the above operating rod is formed as an elastic spring to provide elasticity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opening/closing plate rotated by the operating rod.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제어수단은 작업대에 설치되는 전기 스위치에 조작으로 상기 댐퍼제어수단에서 작동판에 랙바를 연결 설치하고 피니언 기어에 구동모터로 수평 직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전자동으로 댐퍼제어수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amper control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adjust the damper control means only by operating the switch by connecting the rack bar to the operating plate of the damper control means by operating the electric switch installed on the work table and installing the damper control means to be able to move horizontally and straight by the driving motor on the pinion gear.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장치는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에서 공기를 흡입하도록 설치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의 후방에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설치되는 필터부재와;
상기 팬모터의 전방에 다수로 관통되어 흡입된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쌓이는 먼지를 포집하여 일시에 배출하도록 설치되는 먼지 수거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ust collector
A case in which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fan motor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suck air from the vacuum suction device;
A filter memb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above fan motor to filter fine dust;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formed in front of the fan motor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sucked i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ust collection bin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ase to collect and discharge accumulated dust at once.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다리부재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사이에 설치되는 설치봉과;
상기 설치봉에 설치되어 상기 진공흡입장치의 댐퍼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누름판과;
상기 설치봉에 연계 설치되어 누름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누름판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댐퍼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누름판은 진공흡입시에 상기 작업대의 댐퍼를 제어하는 제1 누름판과, 상기 우마대의 댐퍼를 제어하는 제2 누름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댐퍼제어수단은 상기 제1 누름판 및 제 2 누름판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진공 테이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oothold is
An installation rod installed between the above bridge members to connect them horizontally;
A press plate is installed on the above installation rod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the damper of the vacuum suction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amper control means installed in a manner that supports the upper part of the pressing plate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plate by being connected to the above installation rod.
The above pressing plate is formed of a first pressing plate that controls the damper of the work table when vacuum suctioning, and a second pressing plate that controls the damper of the horse stand, and the damper control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Vacuum table system for garments.
KR1020230057551A 2023-05-03 2023-05-03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Pending KR2024016079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551A KR20240160795A (en) 2023-05-03 2023-05-03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7551A KR20240160795A (en) 2023-05-03 2023-05-03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0795A true KR20240160795A (en) 2024-11-12

Family

ID=9345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7551A Pending KR20240160795A (en) 2023-05-03 2023-05-03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6079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505Y1 (en) 1996-01-22 1998-12-01 이남귀 Leveling plate
KR200182435Y1 (en) 1998-01-16 2000-06-01 이덕창 Vacuum Suction Ironing Boar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7505Y1 (en) 1996-01-22 1998-12-01 이남귀 Leveling plate
KR200182435Y1 (en) 1998-01-16 2000-06-01 이덕창 Vacuum Suction Ironing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67545Y (en) Frying equipment integrated with frying, smoke-filtering and smoke-discharging functions
CN114412811A (en) Energy-saving environment-friendly noise-reducing air blower for cement plant
KR101398911B1 (en) Scrap collector
CN107877615A (en) Wood chip collection device is used in a kind of timber cutting
KR20240160795A (en) Vacuum table system for the clothing
CN206525508U (en) A kind of soybean automatic screening equipment
KR20250017017A (en) Vacuum table for clothing having the fan structure among 2 and dust collector
CN207578536U (en) A kind of high-precision Cloth Cutting device
KR20250017020A (en) Clothing vacuum lathe part having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using the fan motor
CN212688309U (en) A textile machine dust collection device
CN114182473B (en) Shearing machine
CN213804520U (en) Tailoring is with blowing hair device convenient to adjust
CN113911620A (en) Intelligent wardrobe
CN209759653U (en) Cotton edulcoration device is used in fabrics production
CN209039445U (en) A kind of device extracting grease from gutter oil
CN113522727A (en) Quick drying sorting device is used in tea processing
CN219793397U (en) Self-induced draft ironing table convenient for rapid cooling
CN213385032U (en) Dust collector of baling press
CN219032695U (en) Separate ironing table
CN217638506U (en) Testing arrangement is used in clothing production and processing
CN109156932A (en) A kind of drying machine
CN219464799U (en) Building structure perforating device
CN220719689U (en) Edge bond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showcase
CN219380924U (en) Dust collection type tenoning machine
CN217857383U (en) Adjustable domestic fungus siev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