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0604A - Tamper Evident Indicator for Product Case - Google Patents
Tamper Evident Indicator for Product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0604A KR20240160604A KR1020247032630A KR20247032630A KR20240160604A KR 20240160604 A KR20240160604 A KR 20240160604A KR 1020247032630 A KR1020247032630 A KR 1020247032630A KR 20247032630 A KR20247032630 A KR 20247032630A KR 20240160604 A KR20240160604 A KR 202401606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case
- packaging material
- tear
- area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8—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opening of the lid opens simultaneously an inner package within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제품 케이스용 개봉 흔적 표시기로서, 이는 포장 재료로 제조된 제품 케이스; 포장 재료에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 -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은 제품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되고 제품 케이스 표면의 뚜껑 영역의 경계를 규정함 -; 및 포일 재료로 제조된 개방 스트립을 포함하고, 개방 스트립은 포장 재료의 실질적으로 전체 뚜껑 영역에 부착되고,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덮어 밀봉하고, 제품 케이스의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해당하는 포장 재료의 찢김을 생성하며, 개방 스트립을 제품 케이스로부터 잡아당기는 결과로, 뚜껑 영역의 포장 재료를 제품 케이스로부터 제거한다.A tamper-evident indicator for a product case, comprising: a product case made of a packaging material; at least a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 area comprising a structure embossed in the packaging material, wherein the at least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 area is located on a surface of the product case and defines a boundary of a lid area of the product case surface; and an opening strip made of a foil material, wherein the opening strip is attached to substantially the entire lid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covers and seals at least the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 area, creates a tear in the packag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 area of the product case, and, as a result of pulling the opening strip from the product case, removes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lid area from the product c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봉 흔적 표시를 가능케 하는 엠보싱된 구조를 갖는 찢김 영역을 포함하는 제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현에 있어서, 개봉 흔적 표시기는 제품 케이스의 첫 개봉 시에 가청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packag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duct case including a tear region having an embossed structure enabling a tamper evident indicato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amper evident indicator may generate an audible signal upon first opening of the product case.
포장 산업에서는 소비자가 처음으로 제품을 풀기 전에 포장된 제품이 부정개봉되지 않았음을 소비자에게 보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은 가령, 초콜릿, 캐비어, 견과류 등의 식품, 가령, 보석 등의 하드웨어 제품, 전자 제품, 자동차 산업용 스패어 부품, 가령, 담배 및 시가 등의 흡연 제품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제품용 포장까지 확대된다.In the packaging industry, there is a need to assure the consumer that the packaged product has not been tampered with before the consumer first unpacks it. This need extends to packaging for all types of products, including food products such as chocolate, caviar, nuts, hardware products such as jewelry, electronic products, spare parts for the automotive industry, and smoking products such as cigarettes and cigars.
담배 산업에서 가져온 예로서, 국제 공개공보 WO 2021/122559 A1에는 포장체, 및 제 1부착 섹션을 통해 포장체에 부착된 뚜껑을 포함하는 흡연 제품용 포장이 개시되어 있다. 뚜껑은 제 2부착 섹션에서 포장체에 추가로 부착되며, 제 2부착 섹션은 내부면, 및 내부면과 대향하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제 2부착 섹션은 파단 가능하며, 적어도 제 1 및 제 2파단선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파단선은 외부면에 도달하지 않고 내부면에서부터 외부면을 향해 연장되며, 또 다른 파단선은 내부면에 도달하지 않고 외부면에서부터 내부면을 향해 연장된다. 제 2부착 섹션은 내부면에서 외부면까지 미리 결정된 폭을 가지며, 제 1 및 제 2파단선 및/또는 절단선은 모두 상기 폭의 50% 이상 연장된다. 제 2부착 섹션은 개봉 흔적 표시를 가능케 하는 수단으로, 외부 오버랩 재료에 대한 필요성을 생략하도록 만들 수 있다.As an example from the tobacco industry,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21/122559 A1 discloses a packaging for a smoking article comprising a packaging body and a lid attached to the packaging body via a first attachment section. The lid is further attached to the packaging body by a second attachment section, the second attachment section comprising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opposite the inner surface. The second attachment section is breakable and comprises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break line, wherein one break line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towards the outer surface without reaching the outer surface, and another break line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towards the inner surface without reaching the inner surface. The second attachment sec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inner surface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first and second break lines and/or the cut line both extend by at least 50% of said width. The second attachment section may be a means for enabling a tamper evident indication, thereby eliminating the need for an outer overlapping material.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개봉 흔적 표시수단에 대한 대안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by providing an alternative to the tamper evident indicating means known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은 개봉 흔적 표시수단에 의해 보호되는 포장된 제품의 첫 개봉 시에 소비자에게 특징적이고 결정된 감각적인 경험을 전달할 수 있게 하는 개봉 흔적 표시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amper-evident indication means capable of conveying a characteristic and determined sensory experience to a consumer upon first opening of a packaged product protected by the tamper-evident indication means.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품 케이스용 개봉 흔적 표시기 (tamper-evidence)를 제공하며, 이는 포장 재료로 제조된 제품 케이스; 포장 재료에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은 제품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되고 제품 케이스 표면의 뚜껑 영역의 경계를 규정함 -; 및 포일 재료로 제조된 개방 스트립을 포함하고, 개방 스트립은 포장 재료의 실질적으로 전체 뚜껑 영역에 부착되고,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덮어 밀봉하고, 제품 케이스의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해당하는 포장 재료의 찢김을 생성하며, 개방 스트립을 제품 케이스로부터 잡아당기는 결과로, 뚜껑 영역의 포장 재료를 제품 케이스로부터 제거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mper-evidence device for a product case, comprising: a product case made of a packaging material; at least a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comprising a structure embossed in the packaging material, wherein the at least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is located on a surface of the product case and defines a boundary of a lid area of the product case surface; and a release strip made of a foil material, wherein the release strip is attached to substantially the entire lid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covers and seals the at least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creates a tear in the packag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at least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of the product case, and, as a result of pulling the release strip away from the product case, removes the packaging material in the lid area from the product cas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봉 흔적 표시기는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과 평행한 제 2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더 포함하고, 뚜껑 영역은 제 1 및 제 2긴형상의 찢김 영역과 포장 재료의 테두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amper evident indicator further comprises a second elongated tear region parallel to the first elongated tear region, the lid region being b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tear regions and a border of the packaging material.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스트립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도 부착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 strip is additionally attached to one or more elongated tear regions.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스트립은 하나 이상의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넘어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의해 뚜껑 영역과 분리된 포장 재료의 테두리 영역 위로 연장되는 경계 영역을 포함하고, 재밀봉 가능한 접착 시스템 (re-sealable adhering system)에 의해 테두리 영역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 strip comprises a border region extending over a border reg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separated from the lid region by an elongated tear region beyond one or more elongated tear regions and removably attached to the border region by a re-sealable adhering system.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품 케이스는 제품 박스에 담겨 있고, 제품 박스는 닫았을 때 뚜껑 영역을 덮는 힌지형 뚜껑 (hinged lid)을 포함하며, 개방 스트립은 힌지형 뚜껑의 테두리 중 하나에 부착되고 힌지형 뚜껑을 개방하면, 제품 케이스로부터 당겨진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oduct case is contained in a product box, the product box including a hinged lid that covers the lid area when closed, and the opening strip is attached to one of the rims of the hinged lid and is pulled away from the product case when the hinged lid is opened.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봉 흔적 표시기는 포장 재료에 개방 스트립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더 포함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tamper evident indicator further comprises an adhesive that adheres the tamper evident strip to the packaging material.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엠보싱된 구조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홈에 순서대로 배치되고, 홈은 포장 재료의 두께의 적어도 절반의 깊이를 갖는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embossed structures are arranged in sequence in one or more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tear region, the grooves having a depth of at least half the thickness of the packaging material.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엠보싱된 구조는 개방 스트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포장 재료에서 돌출되는 형상이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embossed structure is a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packaging material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pen strip.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엠보싱된 구조는 포장 재료를 관통한 개구이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embossed structure is an opening through the packaging material.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엠보싱된 구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찢김 영역에 위치되어 0.5㎜ 내지 5㎜ 범위의 주기를 갖고 정렬되므로, 개방 스트립을 제품 케이스로부터 당기면, 미리 결정된 주파수의 가청음을 생성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embossed structure is positioned at least partially in the tear area and aligned with a period in the range of 0.5 mm to 5 mm, so that when the open strip is pulled from the product case, an audible sound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is produced.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스트립은, 이 개방 스트립을 잡고서 제품 케이스로부터 잡아당기는 그립 요소를 더 포함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ing strip further comprises a gripping element for grasping the opening strip and pulling it away from the product ca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1c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의 구현예를 포함하는 사시도로, 개방 스트립은 찢김 영역을 넘어서 연장되는 경계 영역을 포함한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의 추가 구현예를 포함하는 사시도로, 이는 2개의 평행한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포함한다.
도 3은 폐쇄 상태의 담배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를 갖는 담배 박스를 일부 절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의 특정 구현예를 포함하는 담배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내부 라이너의 개방 스트립이 담배 박스의 뚜껑에 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개봉 흔적 표시기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개방 스트립을 당기면, 추가로 가청 효과를 생성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찢김 영역에서 엠보싱 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엠보싱 툴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대한 엠보싱 구조의 표면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에 따른 긴형상의 찢김 영역 및 선형으로 정렬되는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개방 스트립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에 따른 긴형상의 찢김 영역 및 선형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개방 스트립의 추가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카세트 조립체의 분해도를 포함한 2개의 롤러를 포함하는 엠보싱 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에 의해서,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얻기 위해 엠보싱되는 제품 케이스의 포장 재료에 대한 추가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도시된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언급하는 데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Figures 1a to 1c are perspective views including embodiments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pen strip includes a boundary region extending beyond the tear region.
FIGS. 2a to 2d are perspective views including further embodiments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wo parallel elongated tear regions.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garette box in a closed st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cut away showing a cigarette box having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garette box including a specific embodiment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n opening strip of an inner liner is attached to the lid of the cigarette box.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tamper evident indicator shown in FIGS. 2A to 2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pulling the open strip produces an additional audible effect.
FIGS. 7A and 7B are perspective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an embossing tool used to create an embossing structure in a torn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to 8D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surface distributions of embossing structures for elongated torn areas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and 9b are schematic drawings illustrating embodiments of an open strip including an elongated tear region and linearly aligned embosse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to 10C are schematic drawings illustrating additional exemplary embodiments of an open strip including an elongated tear region and a plurality of linearly aligned embossed struct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1a and 11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embossing device including two rollers, including an exploded view of a cassette assembly used to create an elongated tear reg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rther example of packaging material for a product case being embossed to obtain an elongated tear region by a pair of embossing rollers.
The same reference numbers will b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to refer to identical or similar feature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의 구현예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이 예에서는 담배 박스(100)를 사용하지만, 고려하는 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적절한 그의 구성으로 조정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배경기술 장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유형들 중 임의의 한가지 유형 같은 임의의 다른 유형의 포장을 고려할 수 있다.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n embodiment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xample, a cigarette box (100) is used, but instead of adjusting its configuration appropriately to package the product under consideration, any other type of packaging may be considered, such as, for example, any one of the types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chapter.
여기에, 담배 박스(100)는 개방 위치로 도시한 박스 뚜껑(101)을 포함한다. 박스 뚜껑(101)은, 도 1a에서는 볼 수 없는 담배 박스(100)의 뒷면에서 작동되는, 도 1a에 화살표로 나타낸 접힘부(102)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폐쇄 위치(도 1a에는 도시 생략)에서 개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담배 박스(100)는 제품 케이스(103), 가령, 내부 라이너를 포함하며, 이는 담배 박스(100)의 내부에 꼭 맞게 끼워져서 제품, 이 경우에 도 1a에 도시하지 않은 담배 같은 복수의 담배 제품을 보호한다. 제품 케이스(103)는 포장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개방 스트립(104)은 제품 케이스(103)에 의해 보호되는 제품에 대한 접근을 커버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개방 스트립(104)은 폐쇄 위치에 있다. 개방 스트립(104)은 제품 케이스(103)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 둘레에, 이 특수한 경우에는 제품 케이스(103)의 상부면(107)에서 전면(106)까지 맞게 조정하기 위해, 이를 유연하게 만드는 포일 재료를 포함한다. 개방 스트립(104)은 잡고서 제품 케이스(103)에서 멀어지도록 개방 스트립(104)을 잡아당겨 제품 케이스(103)에 의해 보호되는 제품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옵션의 그립 요소(1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개방 스트립(104)을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잡아당긴 결과로, 개방 스트립(104)이 개방 위치에 있는 예를 나타낸다. 제품 케이스(103)에 의해 보호되는 제품(108)은, 이 구성에서 소비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소비자)가 접근할 수 있다. 제품 케이스(103)의 포장 재료 조각(109)이 제품 케이스(103)의 뚜껑 영역(110)에서 제거된다. 조각(109)은 개방 스트립(104)의 내측에 부착된다. 포장 재료 조각(109)은, 제품 케이스(103)의 표면에 위치되고 제품 케이스(103)의 표면에서 뚜껑 영역(110)의 경계를 규정하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을 따라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찢어지게 된다. 포장 재료 조각(109)은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의 일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은 포장 재료에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며, 이는 더 나은 가독성을 위해 도 1b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다음의 설명 과정 및 도면에서 설명하고 언급하기로 한다. 이 지점에서,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에는 개방 스트립(104)의 개방 시점에 비가역적인 찢김이 가해졌다고 할 수 있다. 찢어지지 않았다면, 즉 개방 스트립(104)을 개방하기 전에는, 제품 케이스(103)와 함께 비개봉 흔적 (non-tampering)의 증거를 구성한다.Here, the cigarette box (100) comprises a box lid (101) shown in an open position. The box lid (101) is rotated from a closed position (not shown in FIG. 1a) to an open position, or vice versa, by rotating around a folding member (102)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1a, which is actu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igarette box (100), not visible in FIG. 1a. The cigarette box (100) comprises a product case (103), e.g., an inner liner, which fits snugly into the interior of the cigarette box (100) to protect a product,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obacco products, such as cigarettes, not shown in FIG. 1a. The product case (103) may comprise packaging material. An opening strip (104) covers access to the product protected by the product case (103), i.e., the opening strip (104)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opening strip (104) comprises a foil material that is flexible so as to conform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hape of the product case (103), in this particular case from the upper surface (107) to the front surface (106) of the product case (103). The opening strip (104) may comprise an optional gripping element (105) that allows the opening strip (104) to be grasped and pulled away from the product case (103) to access the product protected by the product case (103). Figure 1b shows an example of the opening strip (104) being in the open position as a result of pulling the opening strip (104) away from the product case (103). The product (108) protected by the product case (103) is accessible to a consumer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onfiguration. A piece of packaging material (109) of the product case (103) is removed from a lid area (110) of the product case (103). A piece (109)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strip (104). The piece of packaging material (109) is torn from the product case (103) along an elongated tear area (111) that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case (103) and defines a boundary of a lid area (110)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case (103). The piece of packaging material (109) may include a portion (112) of the elongated tear area (111). The elongated tear area (111) includes a structure embossed in the packaging material, which is not shown in FIG. 1b for better readability, but will be described and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At this point, it can be said that an irreversible tear is applied to the elongated tear area (111) at the time of opening the opening strip (104). If it is not torn, i.e. before opening the opening strip (104), it constitutes evidence of non-tampering together with the product case (103).
도 1c는 제품 케이스(103) 및 개방 스트립(104)을 갖는 담배 박스(100)의 상부를 추가로 나타낸다. 이 도면은 개방 스트립(104)을 통해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파선으로 나타낸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을 추가로 도시한다.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은 제품 케이스(103)의 일부이며, 일반적으로 개방 스트립(104)으로 이 영역이 덮여 있을 때는 눈에 띄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개방 스트립(104)은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덮어 이를 밀봉하도록, 다시 말해, 개방 스트립(104)이 제품 케이스(103) 상에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를 불투과성으로 만든다.Figure 1c further illustrates the upper portion of the cigarette box (100) having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ing strip (104). The drawing further illustrates an elongated tear region (111) shown in dashed lines to show that it is transparent through the opening strip (104). The elongated tear region (111) is a part of the product case (103) and may or may not be visible when this region is covered by the opening strip (104). However, the opening strip (104) covers the elongated tear region to seal it, i.e., make it impermeable when the opening strip (104) is in a closed position on the product case (103).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 흔적 표시기의 추가 구현예를 포함하는 사시도이다. 담배 박스(100)는 다시 제품 케이스(103), 가령, 내부 라이너를 포함한다. 포일 재료로 제조되고, 옵션인 그립 요소(201)를 갖는 긴형상의 개방 스트립(200)은 제품 케이스(103)의 뚜껑 영역에 해당하는 제품 케이스(103)의 표면에서 연장된다. 뚜껑 영역은 긴형상의 개방 스트립(200)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도 2a에서는 볼 수가 없다. 개방 스트립은 실질적으로 전체 뚜껑 영역의 포장 재료에 부착된다. 도 2b에는 긴형상의 개방 스트립(200)이 이미 제품 케이스(103)에서 부분적으로 당겨져 나간 뚜껑 영역(202)의 찢어진 부분인 조각(203)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b와 유사하게, 제품 케이스(103)의 포장 재료 조각(203)이 제품 케이스(103)의 뚜껑 영역(202)에서 제거된다. 조각(203)은 개방 스트립(200)의 내측에 부착된다. 포장 재료 조각(203)은 제품 케이스(103)의 표면에 위치되고 제품 케이스(103)의 표면에서 뚜껑 영역(202)의 경계를 규정하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을 따라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찢어지게 된다. 포장 재료 조각(203)은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의 부분(206, 207)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영역(202)은 제품 케이스(103)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으므로, 개방 스트립(200)을 제품 케이스(103)에서 완전히 당기면,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포장 재료의 상단 부분(208)이 제품 케이스(103)와 분리된다.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으며, 뚜껑 영역(202)은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과 포장 재료의 테두리(도 2a 및 2b에는 도시 생략)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Fig. 2a is a perspective view including a further embodiment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igarette box (100) again comprises a product case (103), for example an inner liner. An elongated opening strip (200), made of foil material and having an optional grip element (201), extends from a surface of the product case (103) corresponding to the lid area of the product case (103). Since the lid area is covered by the elongated opening strip (200), it is not visible in Fig. 2a. The opening strip is attached to the packaging material of substantially the entire lid area. Fig. 2b shows a torn piece (203) of the lid area (202) in which the elongated opening strip (200) has already been partially pulled out of the product case (103). Also, similarly to Fig. 1b, a piece of packaging material (203) of the product case (103) is removed from the lid area (202) of the product case (103). A piece (203)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strip (200). The piece of packaging material (203)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case (103) and is torn from the product case (103) along an elongated tear area (204, 205) defining a boundary of a lid area (202)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case (103). The piece of packaging material (203) may include portions (206, 207) of the elongated tear areas (204, 205). The lid area (202) may extend to surround the entire perimeter of the product case (103), so that when the opening strip (200) is completely pulled away from the product case (103), an upper portion (208) of the packaging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product case (103). The elongated tear regions (204, 205) can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lid region (202) is bounded by the elongated tear regions (204, 205) and the edge of the packaging material (not shown in FIGS. 2a and 2b).
도 2c는 개방 스트립(200)을 제품 케이스(103)에서 완전히 당겨낸 후의 담배 박스(100)를 보이는 것으로, 상단 부분(208)은 제품 케이스(103)와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제품 케이스(103) 내부에 있는 제품(108)을 보여준다.Figure 2c shows the cigarette box (100) after the open strip (200) has been completely pulled out of the product case (103), with the upper portion (208) separated from the product case (103). This shows the product (108) inside the product case (103).
도 2d는 제품 케이스(103) 및 개방 스트립(200)을 갖는 담배 박스(100)의 상부를 추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은 개방 스트립(200)을 통해 투명하게 보이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파선으로 나타낸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을 추가로 나타낸다.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은 제품 케이스(103)의 일부이며, 일반적으로 개방 스트립(200)이 이들 영역을 덮으면, 눈에 띄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개방 스트립(200)은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을 덮어 이들을 밀봉하도록, 다시 말해 개방 스트립(200)이 제품 케이스(103) 상에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를 불투과성으로 만든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스트립(200)은 추가로 긴형상의 찢김 영역(204, 205)에도 부착된다.FIG. 2d is a perspective view further show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igarette box (100) having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ing strip (200). The drawing further shows elongated tear areas (204, 205) which are shown in dashed lines to indicate that they are transparent through the opening strip (200). The elongated tear areas (204, 205) are part of the product case (103) and would normally be visible or invisible if the opening strip (200) covered them. However, the opening strip (200) covers the elongated tear areas (204, 205) to seal them, i.e. make them impermeable when the opening strip (200) is in a closed position on the product case (103).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opening strip (200) is further attached to the elongated tear areas (204, 205).
도 3은 박스 뚜껑(101)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담배 박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igarette box (100) with the box lid (101) in the closed position.
도 4는 도 3과 동일한 담배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그 아래에 무엇이 있는지, 다시 말해 제품 케이스(103)에 의해 보호되는 제품(108)을 보이기 위해, 박스 뚜껑(101)의 일부, 개방 스트립(104)의 일부, 뚜껑 영역(도 1b에는 참조 번호 109로 알려져 있음)의 일부, 또는 더 정확하게는, 포장 재료 조각(109)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지웠다. 도 4는 추가로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을 나타낸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me cigarette box as Fig. 3, with parts of the box lid (101), parts of the opening strip (104), parts of the lid area (known as reference numeral 109 in Fig. 1b), or more precisely, parts of the packaging material piece (109) intentionally erased to show what is underneath, namely the product (108) protected by the product case (103). Fig. 4 additionally shows an elongated torn area (111).
도 5는 제품 케이스(103)용 개봉 흔적 표시기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이는 개방 스트립(104)의 테두리 측면(500)이 박스 뚜껑(101)에 고정되고 박스 뚜껑(101)이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서 그의 개방 위치로 회전되면, 개방 스트립(104)이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당겨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 5는 개방 스트립(104) 상의 옵션인 경계 영역(501)도 나타내는데, 이는 개방 스트립(10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을 넘어 긴형상의 찢김 영역(111)에 의해 뚜껑 영역과 분리된 포장 재료의 테두리 영역 위로 연장되어, 제품 케이스(103) 상의 테두리 영역에, 즉 재봉합 가능한 접착 시스템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개방 스트립(10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품(108)의 신선도를 보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옵션 기능은 도 1a 내지 1c에 도시된 개방 스트립에도 제공할 수 있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a tamper evident indicator for a product case (103), which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1a to 1c, except that when a border side (500) of the open strip (104) is secured to the box lid (101) and the box lid (101) is rotated from its closed position (as seen in FIG. 3) to its open position, the open strip (104) is pulled away from the product case (103). FIG. 5 also shows an optional border area (501) on the open strip (104), which extends over a border area of the packaging material separated from the lid area by the elongated tear area (111) beyond the elongated tear area (111) when the open strip (104)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is configured to be releasably attached to the border area on the product case (103), i.e. by a resealable adhesive system, so as to preserve the freshness of the product (108) when the open strip (104)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se optional features can also be provided in the open strips illustrated in FIGS. 1a to 1c.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봉 흔적 표시기는 포장 재료에 개방 스트립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amper evident indicator may include an adhesive that adheres the tamper evident strip to the packaging material.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개방 스트립(200)을 떼어내면, 찢김 영역이 찢어짐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소리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개방 스트립을 통상적인 속도 (가령, 전형적으로 0.1m/s 내지 1.0m/s)로 당기면, 포장 재료가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구성하는 엠보싱된 구조들 사이에서 기계적으로 파단되는 과정에서 저주파 및 중주파 (가령, 전형적으로 50㎐ 내지 500㎐)의 소리를 발생하도록 간격을 두고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따라 엠보싱된 구조를 배치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는 제품 케이스(103)의 찢김 지점을 가리키는 귀와 음파면 심볼로 도시하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6, when the open strip (200) is pulled,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generated as the tear region tears. This is achieved by spacing out the embossed structures along the elongated tear region so that when the open strip is pulled at a conventional speed (e.g., typically 0.1 m/s to 1.0 m/s), the packaging material is mechanically fractured between the embossed structures forming the elongated tear region, thereby generating low and mid-frequency (e.g., typically 50 Hz to 500 Hz) sounds. This is illustrated by the ear and sound plane symbols indicating the tear points in the product case (103).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서 엠보싱된 구조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엠보싱 툴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이 예에서, 엠보싱 툴은 한 쌍의 엠보싱 롤러를 포함한다.Figures 7a and 7b are perspective and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embossing tool used to create an embossed structure in an elongated tear reg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xample, the embossing tool includes a pair of embossing rollers.
먼저 도 7a를 살펴보면, 이는 제품 케이스 (제품 케이스 자체는 도 7a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전에 논의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103으로 알려져 있음)로부터 포장 재료(703)를 엠보싱하는 제 1엠보싱 툴(701) 및 제 2엠보싱 툴(702)를 포함하는 엠보싱 장치(7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엠보싱 툴(701)은, 제 1엠보싱 툴(701)의 제 1평균 표면(706)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패트릭스 유형의 엠보싱 구조(704)를 갖고 있다. 제 2엠보싱 툴(702)은, 제 2엠보싱 툴(702)의 제 2평균 표면(707)에서 움푹 들어간 대응하는 매트릭스 유형의 엠보싱 구조(705)를 포함한다. 엠보싱된 구조(708)를 포장 재료에 엠보싱할 때의 엠보싱 구조(704, 705)가 도시되어 있으며, 엠보싱된 구조(708)는 제품 케이스(도 7a에는 도시 생략)의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위한 것이다. 도 7a를 보면, 포장 재료가 압축되어 엠보싱된 구조(708)가 수득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진다. 찢김 영역의 생산 공정에서, 엠보싱 툴은 적절한 찢김 영역을 얻기 위해 배치된 복수의 엠보싱 구조를 포함한다 (7a에는 이를 도시하지 않음).First, looking at FIG. 7A, this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ssing device (700) including a first embossing tool (701) and a second embossing tool (702) for embossing a packaging material (703) from a product case (the product case itself is not shown in FIG. 7A, but is known by reference numeral 103 in the drawings previously discussed). As can be seen in the enlarged view, the first embossing tool (701) has at least a matrix-type embossing structure (704) extending from a first average surface (706) of the first embossing tool (701). The second embossing tool (702) includes a corresponding matrix-type embossing structure (705) recessed in a second average surface (707) of the second embossing tool (702). Embossing structures (704, 705) are illustrated when embossing an embossed structure (708) into a packaging material, and the embossed structure (708) is for an elongated tear area of a product case (not illustrated in FIG. 7a). Looking at FIG. 7a, it becomes clear that the packaging material is compressed to obtain the embossed structure (708).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tear area, the embossing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embossing structures arranged to obtain an appropriate tear area (not illustrated in FIG. 7a).
이제 도 7b를 살펴보면, 이는 제품 케이스로부터 포장 재료(703)를 엠보싱하는 제3 엠보싱 툴(709) 및 제4 엠보싱 툴(710)을 포함하는 엠보싱 장치(715)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3 엠보싱 툴(709)은, 이 제3 엠보싱 툴(709)의 제3 평균 표면(712)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패트릭스 유형의 엠보싱 구조(711)를 갖고 있다. 제4 엠보싱 툴(710)은, 이 제4 엠보싱 툴(710)의 평탄한 제4 평균 표면(713)을 나타낸다. 엠보싱된 구조(714)를 포장 재료에 엠보싱할 때의 엠보싱 구조(711) 및 제4 평탄한 표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엠보싱된 구조는 제품 케이스(도 7b에는 도시 생략)의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위한 것이다. 도 7b를 살펴보면, 포장 재료가 엠보싱된 구조(714)를 얻기 위해 압축되고 있는 것이 명백해지며, 이는 포장 재료(703)의 관통, 즉 포장 재료(703)를 통해 홀이 개구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엠보싱 툴은 적절한 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얻기 위해 배치된 복수의 엠보싱 구조를 포함한다 (도 7b에는 이를 도시하지 않음).Referring now to FIG. 7b, this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ssing device (715) including a third embossing tool (709) and a fourth embossing tool (710) for embossing a packaging material (703) from a product case. The third embossing tool (709) has at least a pattern-type embossing structure (711) extending from a third average surface (712) of the third embossing tool (709). The fourth embossing tool (710) has a flat fourth average surface (713) of the fourth embossing tool (710). The embossing structure (711) and the fourth flat surface are illustrated when embossing the embossed structure (714) into the packaging material, wherein the embossed structure is for an elongated tear region of the product case (not illustrated in FIG. 7b). Inspection of FIG. 7b makes it clear that the packaging material is being compressed to obtain an embossed structure (714), which may result in penetration of the packaging material (703), i.e., opening of a hole through the packaging material (703).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n elongated tear region, the embossing tool includes a plurality of embossing structures arranged to obtain an appropriate elongated tear region (not shown in FIG. 7b).
도 8a 내지 도 8d는 찢김 영역에서 엠보싱된 구조(800, 801)의 표면 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찢김 영역 자체는 도시하지 않았다. 엠보싱된 구조는 각 경우에 제품 케이스의 포장 재료에 포함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Figures 8a to 8d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surface distributions of embossed structures (800, 801) in a torn area. The torn area itself is not show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ssed structures are included in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case in each case.
도 8a에서 엠보싱된 구조(800)는 점으로 나타냈지만, 임의의 개별적인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엠보싱된 구조(800)는 점선으로 나타낸 평행 격자 선들(g1, g2, g3, g4, g5)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기적으로 거리(p)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평행 격자 선들(g1, g2, g3, g4, g5)은 격자 선 거리(d)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각 엠보싱된 구조(800)는 그의 격자 선을 따라 길이(l)와 폭(w)을 갖는다.In FIG. 8a, the embossed structure (800) is represented by dots, but may have any individual geometric shape. The embossed structure (800) is distributed by parallel grid lines (g1, g2, g3, g4, g5) represented by dotted lines, which are period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p). The parallel grid lines (g1, g2, g3, g4, g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rid line distance (d). Each embossed structure (800) has a length (l) and a width (w) along its grid lines.
도 8b에서, 엠보싱된 구조(801)는 점선으로 나타낸 추가 평행 격자 선들(j1, j2, j3, ??)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 선들은 주기적으로 거리(p1)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하나의 격자 선에서 다음 격자 선으로, 예를 들어, 선(j1)에서 선(j2)으로, 엠보싱된 구조는 거리(p1/2)만큼 시프트된다. 평행 격자 선들(j1, j2, j3)은 제 1격자 선의 거리(d1)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각 엠보싱된 구조(801)는 격자 선을 따라 거리(p1/2)에 해당하는 길이(l1)와 폭(w1)을 갖는다. In Fig. 8b, the embossed structure (801) is distributed with additional parallel grid lines (j1, j2, j3, ??) indicated by dotted lines, which are period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p1). From one grid line to the next, for example, from line (j1) to line (j2), the embossed structure shifts by a distance (p1/2). The parallel grid lines (j1, j2, j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1) of the first grid line. Each embossed structure (801) has a length (l1) and a width (w1)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p1/2) along the grid line.
도 8c에서 엠보싱된 구조(800) 역시 더 나은 가독성을 위해 나타내지 않은 평행 격자 선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 선들은 주기적으로 거리(p2)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하나의 격자 선에서 다음 격자 선으로 엠보싱된 구조는 거리(p2/2)만큼 시프트된다.The embossed structure (800) in Fig. 8c is also distributed in parallel grid lines, not shown for better readability, which are period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p2). From one grid line to the next, the embossed structure is shifted by a distance (p2/2).
도 8d에서, 엠보싱된 구조(801) 역시 평행 격자 선들로 분포되어 있으며, 이 격자 선에서 이들은 주기적으로 서로 떨어져 연속적인 직선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는 주기(p)와 길이가 동일하여, 엠보싱된 구조가 폭(w)의 연속 홈을 형성하는 특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선들 (즉, 엠보싱 홈들)은 서로 거리(d)만큼 떨어져 있다.In Fig. 8d, the embossed structure (801) is also distributed with parallel grid lines, in which they are period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form continuous straight lines. This example represents a specific case where the period (p) and the length are equal, so that the embossed structure forms continuous grooves of width (w). The lines (i.e., the embossing groov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d).
도 9a 및 도 9b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 및 선형으로 정렬되는 엠보싱 구조를 포함하는 개방 스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 9a는 제품 케이스(103)에서 이미 부분적으로 당겨진 개방 스트립(900)을 갖는 담배 박스(100)를 나타낸다. 도면의 우측에 있는 확대도는 횡단면 선 A-A를 포함하는 제품 케이스(103)의 포장 재료에 대한 평면도이며, 더 정확하게는 뚜껑 영역(909)의 경계를 정하는 제품 케이스(103)에서 긴형상의 찢김 영역(901, 902)의 일부를 도시한다. 각 긴형상의 찢김 영역(901, 902)은 점선으로 나타낸 직선(904, 905)을 따라 각 긴형상의 찢김 영역 내부에 정렬되는 엠보싱된 구조(903)를 포함한다. 엠보싱된 구조(903)는 각각 길이(l)와 폭(w)을 갖는 타원형 형상이며, 주기적인 거리(p)만큼 주기적으로 간격을 두고 있다. 하나의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엠보싱된 구조는 거리(p/2)만큼 시프트된다.Figures 9a and 9b are schematic drawings showing exemplary embodiments of an open strip comprising an elongated tear region and an embossed structure aligned linearly. In this sense, Figure 9a shows a cigarette box (100) having an open strip (900) already partially pulled out of a product case (103). The enlarged view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 plan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case (103) along the cross-sectional line AA, more precisely showing a part of an elongated tear region (901, 902) in the product case (103) which defines the boundary of the lid area (909). Each elongated tear region (901, 902) comprises an embossed structure (903) aligned within the respective elongated tear region along a straight line (904, 905) indicated by a dashed line. The embossed structures (903) are each elliptical in shape with a length (l) and a width (w) and are periodically spaced apart by a periodic distance (p). The embossed structures are shifted from one elongated tear region to another by a distance (p/2 ) .
도 9b는 단면 A-A에서 개방 스트립(900)과 제품 케이스(103)를 지나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추가로 엠보싱된 구조(903)를 지나는 단면도, 및 접착제(906)에 의해 이루어진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900) 간의 연결을 도시한다.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900) 사이에는 엠보싱 구조가 없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의 일부에서 공극 공간(907)이 발생할 수 있다. 옵션인 밀봉 재료(908)를 사용하여 뚜껑 영역(909) 외측에서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900)을 밀봉할 수 있다.FIG. 9b illustrates a cross-section through the open strip (900) and the product case (103) in section A-A. It additionally illustrates a cross-section through the embossed structure (903)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900) formed by the adhesive (906). A void space (907) may occur between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900) in a portion of the elongated tear region without the embossed structure. An optional sealing material (908) may be used to seal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900) outside the lid region (909).
도 10a 내지 도 10c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 및 선형으로 정렬되는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개방 스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 10a는 제품 케이스(103)에서 이미 부분적으로 당겨진 개방 스트립(1000)을 갖는 담배 박스(100)를 도시한다. 도면의 우측에 있는 확대도는 횡단면 선 B-B를 포함하는 제품 케이스(103)의 포장 재료에 대한 평면도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제품 케이스(103)에서 뚜껑 영역(1009)의 경계를 정하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1001, 1002)의 일부를 나타낸다. 각 긴형상의 찢김 영역은 점선으로 나타낸 복수의 직선(1004, 1005)을 따라 각 긴형상의 찢김 영역 내부에 정렬되는 엠보싱된 구조(1003)를 포함한다. 엠보싱된 구조(1003)는 각각 길이(l)와 폭(w)을 갖는 타원형 형상이며, 주기적으로 격자 선에서 주기적인 거리(p)만큼 간격을 두고 있다. 각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서 하나의 선에서 다른 선으로 엠보싱된 구조는 거리(p/2)만큼 시프트되어 있는 반면, 복수의 직선(1004, 1005)의 개별 선은 거리(p/4)만큼 분리되어 있다.Figures 10a to 10c are schematic drawings showing exemplary embodiments of an open strip comprising an elongated tear region and embossed structures aligned linearly. In this sense, Figure 10a shows a cigarette box (100) having an open strip (1000) already partially pulled out of a product case (103). The enlarged view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a plan view of the packaging material of the product case (103) including the cross-sectional line BB, more precisely, a part of an elongated tear region (1001, 1002) defining a border of a lid area (1009) in the product case (103). Each elongated tear region comprises an embossed structure (1003) aligned within the respective elongated tear region along a plurality of straight lines (1004, 1005) indicated by dotted lines. The embossed structures (1003) are each elliptical in shape with a length (l) and a width (w), and are periodically spaced from the grid lines by a periodic distance (p). In the tear region of each elongated shape, the embossed structures are shifted from one line to another by a distance (p/2 ) , while individual lines of the plurality of straight lines (1004, 1005) are separated by a distance (p/4).
도 10b는 선 B-B를 따라 개방 스트립(1000)과 제품 케이스(103)를 지나는 단면도를 보여준다. 이는 추가로 엠보싱된 구조(1003)를 지나는 단면도, 및 접착제(1006)에 의해 이루어진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1000) 간의 연결을 보여준다.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1000) 사이에는 엠보싱 구조가 없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의 일부에서 공극 공간(1007)이 발생할 수 있다. 옵션인 밀봉 재료(1008)는 뚜껑 영역(1009)의 외측에서 제품 케이스(103)와 개방 스트립(900)을 밀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FIG. 10b shows a cross-section through the open strip (1000) and the product case (103) along line B-B. It additionally shows a cross-section through the embossed structure (1003)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1000) formed by the adhesive (1006). A void space (1007) may occur between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1000) in a portion of the elongated tear region without the embossed structure. An optional sealing material (1008) may be used to seal the product case (103) and the open strip (900) at the outside of the lid region (1009).
도 11a 및 11b는 각각 제 1 및 제 2롤러(1101, 110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엠보싱 장치(11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도로, 도 11a는 조립된 도면을 도시하는 한편, 다른 도면, 즉 11b는 카세트 조립체(1103)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제품 케이스(103)의 포장 재료에서 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구조를 엠보싱하는 데 사용한다. 제 1롤러(1101)는 카세트 조립체(1103)에서 제 1롤러(1101)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브래킷(1104)에 유지되는 한편, 제 2롤러(1102)는 역시 카세트 조립체(1103)에서 제 2롤러(1102)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하는 자체 브래킷(1105)에 유지된다.FIGS. 11A and 11B are perspective and exploded views, respectively, of an exemplary embossing device (1100) comprising first and second rollers (1101, 1102), wherein FIG. 11A depicts an assembled view, while the other view, namely 11B, depicts an exploded view of a cassette assembly (1103) used to emboss a structure into an elongated tear region in a packaging material of a product case (10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er (1101) is held in a bracket (1104) that allows the first roller (1101) to be individually removed from the cassette assembly (1103), while the second roller (1102) is held in its own bracket (1105) that also allows the second roller (1102) to be individually removed from the cassette assembly (1103).
각각의 제 1 및 제 2엠보싱 롤러(1101, 1102)는, 예를 들어 도 7a 및 7b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엠보싱 툴과 같은 엠보싱 툴로서 작동한다. 다음에, 제품 케이스(103)는 엠보싱 시에 2개의 롤러 사이에서 조절되는 닙(1106)에서 엠보싱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mbossing rollers (1101, 1102) operates as an embossing tool, such as the embossing tool partially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for example. Next, the product case (103) is embossed at a nip (1106) that is adjusted between the two rollers during embossing.
도 12는 한 쌍의 엠보싱 롤러(1201,1202)에 의해서, 제품 케이스(103)로부터 차단 종이일 수 있는 포장 재료를 엠보싱하여 긴형상의 찢김 영역(1200)이 수득되고 있는 추가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제품 케이스(103)는 롤러들 사이의 닙(1203)에서 엠보싱된다. 도면의 좌측 상단에 있는 확대도는 롤러의 엠보싱 구조, 즉 제 2롤러(1202) 상에서 패트릭스 유형의 엠보싱 구조(1204)와 제품 케이스(103)에서 긴형상의 찢김 영역(1200)에 위치되는 엠보싱된 구조를 가져오는 대응하는 매트릭스 유형의 엠보싱 구조(1205)의 예를 나타낸다. 찢김 영역은 제품 케이스(103)에서 U자 형상이며, 점선으로 나타낸 대응하는 엠보싱 U자 형상(1206)의 각 롤러에 위치된 엠보싱 구조에서 생성된다. 도면의 좌측 하단에 있는 확대도는 긴형상의 찢김 영역이 우연히 타원형인 엠보싱된 구조(1208)의 2개의 선(1207)을 포함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우측 상단에 있는 확대도는 그들의 차단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차단 종이와 같은 포장 재료를 엠보싱하는 데 바람직한 예인 미리 결정된 구조가 긴형상의 찢김 영역(1200) 외측에서 제품 케이스(103)에 엠보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예를 들어, 도면의 우측 하단에 도시한 것과 같은 벌집 유형의 토포그래피 (topography) (1209)을 가져올 수 있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urther example in which a packaging material, which may be a barrier paper, is embossed from a product case (103) by a pair of embossing rollers (1201, 1202) to obtain an elongated tear area (1200). The product case (103) is embossed at the nip (1203) between the rollers. The enlarged view at the upper left of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of an embossing structure of the rollers, i.e. a matrix-type embossing structure (1204) on the second roller (1202) and a corresponding matrix-type embossing structure (1205) which results in an embossed structure positioned in an elongated tear area (1200) in the product case (103). The tear area is U-shaped in the product case (103) and is created in the embossing structure positioned on each roller of the corresponding embossing U-shaped structure (1206)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The enlarged view at the lower left of the drawing schematically illustrates that the elongated tear region includes two lines (1207) of an embossed structure (1208) that are coincidentally oval in shape. The enlarged view at the upper right of the drawing shows that a predetermined structure can be embossed into the product case (103) outside the elongated tear region (1200), which is a desirable example for embossing packaging materials such as barrier paper without impairing their barrier function. This can result in, for example, a honeycomb-type topography (1209) such as that illustrated at the lower right of the drawing.
이상에서 주어진 종방향 형상의 찢김 영역에 있는 엠보싱 구조의 예에서, 엠보싱된 구조들의 길이, 폭, 그들 간의 주기적 거리, 여러 평행 격자 선이 엠보싱된 구조로 채워질 때의 선의 거리, 및 2개의 연속적인 엠보싱된 구조들 사이의 간격(p-l)은 예를 들어,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범위에 있을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embossed structures in the tear region of the longitudinal shape given above, the length, width, periodic distance between the embossed struct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lines when several parallel grid lines are filled with the embossed structures, and the gap (p-l) between two consecutive embossed structures can be, for example, in the ranges shown in Table 1 below: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포장 재료는 다음의 목록에 있는 항목 중 어느 하나이며, 이 목록은: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ackaging material is any one of the items in the following list, which list includes:
- 대략 40g/㎡ 내지 100g/㎡의 평량 (grammage), 및 50㎛ 이상 15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차단 종이 시트, - 이는 - A blocking paper sheet having a grammage of about 40 g/㎡ to 100 g/㎡ and a thickness of 50 ㎛ to 150 ㎛, - which
수분, 산소, 열, 향 등의 차단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그의 표면에 적어도 또 다른 재료 (가령, 래커, 바니시 또는 수계, 용매계, 진공 증착 또는 핫멜트 코팅)의 보호층을 지닌 종이계 포장 시트 재료를 포함함 -;Comprising a paper-based packaging sheet material, preferably having on its surface at least a protective layer of another material (e.g., lacquer, varnish or water-based, solvent-based, vacuum-deposited or hot melt coating) to provide a barrier effect against moisture, oxygen, heat, odor, etc.;
- 30g/㎡ 이상 150g/㎡ 이하의 평량, 및 40㎛ 이상 180㎛ 이하의 두께를 갖는 종이 시트;- Paper sheets having a basis weight of 30 g/㎡ or more and 150 g/㎡ or less and a thickness of 40 ㎛ or more and 180 ㎛ or less;
- 10㎛ 이상 80㎛ 이하의 두께를 갖는 금속 포일;- Metal foil having a thickness of 10㎛ or more and 80㎛ or less;
- 종이와 플라스틱막을 포함하고 20 이상 90g/㎡ 이하의 평량을 갖는 적층체;- A laminate containing paper and plastic film and having a basis weight of 20 to 90 g/㎡;
- 각각 30 이상 100g/㎡ 이하의 평량을 갖는 금속화된 종이 또는 금속화된 플라스틱막; 및- Metallized paper or metallized plastic film having a basis weight of 30 or more and 100 g/㎡ or less, respectively; and
- 6㎛ 이상 125㎛ 이하의 두께를 갖는 금속화된 플라스틱막을 포함한다.- Contains a metallized plastic film having a thickness of 6㎛ or more and 125㎛ or less.
당업자는 접착제(906 (도 9b에서와 같이), 1006 (도 10B에서와 같이))의 경우, 예를 들어 WO1992018577에 개시된 폴리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계 아크릴 에멀전을 사용할 수 있다.The skilled person can use, for example, polyurethane resin-based adhesives disclosed in WO1992018577 or commercially available water-based acrylic emulsions for the adhesive (906 (as in FIG. 9B), 1006 (as in FIG. 10B)).
또는, 당업자는 옵션인 밀봉 재료(908 (도 9b에서와 같이) 및 1008 (도 10b에서와 같이))의 경우, 일반적으로 낮은 점착성의 제거 가능한 접착제, 예를 들어 PRIMAGRIP 38-638 등의 합성 반압력 민감성 핫멜트 접착제 (synthetic semi-pressure sensitive hotmelt adhesive), 또는 TOBACOLL ZD 4404-01 등의 수계 폴리에틸렌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Henkel & Cie AG사로부터 이용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killed person can use, for the optional sealing material (as in FIG. 9b) and 1008 (as in FIG. 10b)), a generally low tack removable adhesive, for example a synthetic semi-pressure sensitive hotmelt adhesive such as PRIMAGRIP 38-638, or a waterborne polyethylene adhesive such as TOBACOLL ZD 4404-01, both available from Henkel & Cie AG.
Claims (10)
포장 재료로 제조된 제품 케이스;
포장 재료에 엠보싱된 구조를 포함하는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은 상기 제품 케이스의 표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품 케이스 표면의 뚜껑 영역의 경계를 규정함 -; 및
포일 재료로 제조된 개방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스트립은,
상기 포장 재료의 실질적으로 전체 뚜껑 영역에 부착되고,
상기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덮어 밀봉하고,
상기 제품 케이스의 상기 적어도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포장 재료의 찢김을 생성하며, 상기 개방 스트립을 상기 제품 케이스로부터 잡아당기는 결과로, 상기 뚜껑 영역의 포장 재료를 상기 제품 케이스로부터 제거하며,
상기 제 1긴형상의 찢김 영역과 평행한 제 2긴형상의 찢김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 영역은 상기 제 1 및 제 2긴형상의 찢김 영역과 상기 포장 재료의 테두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개봉 흔적 표시기.As a tamper-evidence indicator for product cases,
Product case manufactured from packaging material;
At least a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comprising an embossed structure in the packaging material, - at least the first longitudinally shaped tearing zone is located on a surface of the product case and defines a boundary of a lid area of the surface of the product case; and
Comprising an open strip manufactured from foil material,
The above open strip is,
attached to substantially the entire lid area of the above packaging material,
Covering and sealing at least the first longitudinal tear area above,
generating a tear in said packaging material corresponding to said at least first longitudinal tear area of said product case, and as a result of pulling said opening strip from said product case, removing said packaging material in said lid area from said product case;
A tamper evident indicato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ongated tear region parallel to the first elongated tear region, wherein the lid region is bounded by the first and second elongated tear regions and the edge of the packag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159783.4A EP4238891A1 (en) | 2022-03-02 | 2022-03-02 | Tamper-evidence for a product casing |
EP22159783.4 | 2022-03-02 | ||
PCT/IB2023/051892 WO2023166435A1 (en) | 2022-03-02 | 2023-03-01 | Tamper-evidence for a product cas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0604A true KR20240160604A (en) | 2024-11-11 |
Family
ID=8062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2630A Pending KR20240160604A (en) | 2022-03-02 | 2023-03-01 | Tamper Evident Indicator for Product Case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2) | EP4238891A1 (en) |
KR (1) | KR20240160604A (en) |
WO (1) | WO2023166435A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246958B (en) | 1991-04-23 | 1994-12-01 | Morton Int Spa | ADHESIVE TO COUPLE A PLASTIC FILM TO CARRY OUT A PLASTIC SUPPORT FOR PLASTIFICATION, SUITABLE FOR PARTICULARLY COUPLING PLASTIC FILM WITH PAPER OR SHEET CARDBOARD |
GB0717974D0 (en) * | 2007-09-14 | 2007-10-24 | Innovia Films Ltd | Film, packaging and method for making them |
GB201322051D0 (en) * | 2013-12-13 | 2014-01-29 | British American Tobacco Co | Packaging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
WO2021122559A1 (en) | 2019-12-18 | 2021-06-24 | Jt International Sa | Tamper evident packaging |
-
2022
- 2022-03-02 EP EP22159783.4A patent/EP4238891A1/en not_active Withdrawn
-
2023
- 2023-03-01 EP EP23713429.1A patent/EP4486665A1/en active Pending
- 2023-03-01 KR KR1020247032630A patent/KR20240160604A/en active Pending
- 2023-03-01 WO PCT/IB2023/051892 patent/WO20231664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86665A1 (en) | 2025-01-08 |
WO2023166435A1 (en) | 2023-09-07 |
EP4238891A1 (en) | 2023-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08559B2 (en) | Resealable container with tactile elements | |
US5445454A (en) | Tubular bag packaging | |
JP3742773B2 (en) | Container for smoking articles | |
EP3253663B1 (en) | Container with tamper evident portion | |
EP2471725A1 (en) | Package with resealable cover layer | |
US5118203A (en) | Resealable package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ame | |
ITTO940361A1 (en) | OPENING DEVICE FOR FLEXIBLE CONTAINERS, CONTAINER FITTED WITH THIS DEVICE AND PROCEDURE FOR ITS APPLICATION. | |
EP2389320A1 (en) | Reclosable container | |
EP2114777B1 (en) | Reclosable portable consumable product package | |
MX2012010992A (en) | Packaging. | |
TW201632430A (en) | Wrapper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 |
JP2019524568A (en) | Resealable container with improved resealable adhesive label | |
US10308412B2 (en) | Packaging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GB2538267A (en) | Package | |
KR20240160604A (en) | Tamper Evident Indicator for Product Case | |
WO2015087079A1 (en) | Packaging for tobacco industry products | |
EP3074321B1 (en) | Packaging with easy opening feature | |
US20050155877A1 (en) | Films for envelopment of package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 |
WO2017148962A1 (en) | Container comprising a re-sealable inner package | |
JP3955261B2 (en) | Packs for smoking articles such as cigarettes | |
ITBO20120371A1 (en) | METHOD AND PROCESSING UNIT OF A SHEET OF PAPER THAT IS STARTINGLY EMBOSSED. | |
WO2016102917A1 (en) | Package | |
EP3261956A1 (en) |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having a uniform lid surface | |
GB2564419A (en) | Pack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9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