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0444A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Google Patents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0444A KR20240160444A KR1020230057265A KR20230057265A KR20240160444A KR 20240160444 A KR20240160444 A KR 20240160444A KR 1020230057265 A KR1020230057265 A KR 1020230057265A KR 20230057265 A KR20230057265 A KR 20230057265A KR 20240160444 A KR20240160444 A KR 202401604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block
- heavy equipment
- transmission path
- transmission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02F3/3681—Rot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유닛, 상기 탈착유닛에 형성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에 탈부착되는 후크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1 전달블록과 제2 전달블록과 제3 전달블록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형성된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의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장비와 상기 후크구동유닛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2 전달블록을 통해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of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rm of the heavy equipment, a detaching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ttachment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a hook driving unit formed on the detaching uni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according to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a rotating unit that rotatably couples the detach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and in which a first transmission block, a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a third transmission block ar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of the rotating unit ar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a fluid flowing between the heavy equipment and the hook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lows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장비용 퀵커플러 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탈착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유압의 작용에 따라 탈착유닛이 어태치먼트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which enables a detachable unit to stably hold an attachment by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when a detachable unit is rotatably coupled with a connecting unit.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heavy equipment such as excavators use work tools such as breakers, buckets, and crushers to dig the ground, process the soil dug out of the ground, or crush rocks, etc., and these work tools ar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work being done.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훅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훅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훅은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A conventional device for coupling a work tool comprises a coupler coupled to the tip of an arm of an excavator by a pair of coupling pins, a fixed hook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er, a movable hoo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and the movable hook is configured to rotate by the operation of a cylinder mounted within the coupler.
그리고 회전식 퀵커플러의 경우, 웜기어를 이용한 회전 방식에서 원활한 회전을 위해 볼베어링이 삽입되는데, 볼베어링은 실린더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체의 복수 개의 유로를 형성해야 한다. 그런데 볼베어링은 복수 개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유로를 씰링(sealing)할 수 있는 씰링구조를 형성해야 한다.And in the case of a rotary quick coupler, a ball bearing is inserted for smooth rotation in a rotation method using a worm gear, and the ball bearing must form multiple flow paths for the fluid that provides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However, in order to form multiple flow paths, the ball bearing must form a sealing structure that can seal multiple flow paths.
그런데 종래의 회전식 퀵커플러는 1중관 관로에 복수 개의 유로를 씰링하기 위한 씰링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볼베어링의 길이를 길게 형성해야 했고, 볼베어링의 길이가 길어서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회전식 퀵커플러에 하중이 작용하면, 볼베어링이 쉽게 파손됨에 따라 잦은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However, in order to form a sealing structure for sealing multiple channels in a single-pipe conduit, the conventional rotary quick coupler had to form the ball bearing length long, an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strength was low because the ball bearing length was long. In other words, when a load was applied to the rotary quick coupler, the ball bearing was easily damaged, resulting in frequent breakdowns, and as a result, a lot of cost and time were required for maintenanc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식 퀵커플러는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rotary quick coup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d weak strength, so there was a limit to the types of attachments that could be used.
따라서 종래의 회전식 퀵커플러는 볼베어링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연구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있었다.Therefore, there was a need for research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enhance the strength of ball bearings in conventional rotary quick couple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3중관 관로로 형성하여 볼베어링 부분의 길이를 극소화하기 위한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that forms a fluid flow path as a triple-pipe conduit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ball bearing portion.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유닛,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유닛, 상기 탈착유닛에 형성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에 탈부착되는 후크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1 전달블록과 제2 전달블록과 제3 전달블록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형성된 회전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의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장비와 상기 후크구동유닛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2 전달블록을 통해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closed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ng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rm of the heavy equipment, a detaching unit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attachment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a hook driving unit formed on the detaching unit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ttachment according to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a rotating unit that rotatably couples the detaching unit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unit, and in which a first transmission block, a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a third transmission block are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of the rotating unit ar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a fluid flowing between the heavy equipment and the hook driv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lows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3중관 관로로 형성함에 따라 높이 길이를 극소화하여 강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height length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by forming the fluid flow path as a triple-pipe conduit.
상기 제2 전달블록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유닛측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탈착유닛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관통된 중앙홀이 형성된 제2 블록몸체부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홀로 개구된 제3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홀로 개구되고, 상기 제3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3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4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일측부로 개구된 제5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일측부로 개구되고,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5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6 전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comprises a second block body part having one end positioned on the connection unit side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detachment unit side, and a central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 third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hrough the central hole, a four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hrough the central hole, and is spaced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and is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a fif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a fif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hrough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connected to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t may include a six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spaced apart from the fifth transmission path, and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fifth transmission path.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2 전달블록을 통해 제1 전달블록과 제3 전달블록으로 유체를 유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1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중앙홀을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transmission block can be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central hole of the above second transmission block.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2 전달블록으로부터 제1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흐르며 제1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rotatably coupling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1 전달블록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한 제1 블록몸체부와, 일단부로 상기 제3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1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후크구동유닛과 연통하는 제1 전달유로와, 일단부로 상기 제4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1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후크구동유닛과 연통하고, 상기 제1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2 전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transmission block may include a first block body portion penetrating the central hole, a first transmiss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transmission passage at one end, penetrating the first block body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ok driving unit at the other end, and a second transmiss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ourth transmission passage at one end, penetrating the first block body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ok driving unit at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ssage, and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ssage.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2 전달블록으로부터 제1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흐르며 제1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rotatably coupling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third transmission block can be rotatably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2 전달블록으로부터 제3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흐르며 제3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nd allowing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는 제3 블록몸체부와, 일단부로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통하는 제7 전달유로와, 일단부로 상기 제6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통하고, 상기 제7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7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8 전달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transmission block may include a third block body portion that surrounds an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fth transmission passage at one end, passes through the third block body por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attachment at the other end, and an eighth transmission passag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ixth transmission passage at one end, passes through the third block body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attachment at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and is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2 전달블록으로부터 제3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흐르며 제3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nd allowing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2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한 제1 유로터널과,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2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터널과 이격되며 오목한 제2 유로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cave first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a concave second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uro tunnel.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1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제2 전달블록에서 제1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while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1 전달유로와 상기 제3 전달유로는 상기 제1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고, 상기 제2 전달유로와 상기 제4 전달유로는 상기 제2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transmission path and the above third transmission path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euro tunnel, and the above second transmission path and the above fourth transmission path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above second euro tunnel.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1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제2 전달블록에서 제1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while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상기 제2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한 제3 유로터널과, 상기 제2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터널과 이격되며 오목한 제4 유로터널을 포함할 수 있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cave third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nd a concave fourth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euro tunnel.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3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제2 전달블록에서 제3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while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상기 제7 전달유로는 상기 제3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고, 상기 제6 전달유로와 상기 제8 전달유로는 상기 제4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fth transmission path and the above-mentioned seventh transmission path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third Eurotunnel, and the above-mentioned sixth transmission path and the above-mentioned eighth transmission path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fourth Eurotunnel.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제3 전달블록이 제2 전달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제2 전달블록에서 제3 전달블록으로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fluid to flow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while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3중관 관로로 형성함에 따라 높이 길이를 극소화하여 강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height length and reinforcing the strength by forming a fluid flow path as a triple-pipe condu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회전유닛과 탈착플레이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1 및 제2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를 절단하여 제1 및 제2 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를 절단하여 제3 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5를 절단하여 제4 유료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3, 제4, 제5, 제6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5를 절단하여 제6 및 제8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5를 절단하여 제5 및 제7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7 및 제8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eft sid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rotating unit and the detachable plate in Figure 1.
Figure 6 is a left side view of Figure 5.
Figure 7 is a plan view of Figure 5.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5.
FIG. 9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paths inside are visible.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filaments by cutting through Figure 5.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euro by cutting through Figure 5.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urth payload by cutting through Figure 5.
FIG. 13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transmission paths inside visible.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xth and eighth transmission paths by cutting through Figure 5.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fth and seventh transmission paths by cutting through Figure 5.
FIG. 16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eventh and eighth transmission paths inside visible.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related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s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can be interposed between them. Also,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cont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Whe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components,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또한,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it is stated that a first element (or component) operates or is executed on a second element (o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operates or is execut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operates or is executed, or that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operates or is executed through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therewith.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 component consisting of a program or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component, device or system includes hardware (e.g., memory, CPU, etc.) or other programs or software (e.g., an operating system or drivers necessary to operate the hardware) necessary for the program or software to execute or operate, even if no explicit mention is made of it.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when implementing an element (o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or componen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hardware, or both software and hardwar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words "comprises" and/or "comprising" as used herei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FIG. 1,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FIG.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중장비의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하기 위한 부품이다.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connecting an attachment to an arm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는 연결유닛(10)과, 탈착유닛(20)과, 후크구동유닛(30)과, 회전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10), a detachment unit (20), a hook driving unit (30), and a rotation unit (100).
중장비의 암대에서 단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의 연결유닛(10)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부와 제2결합홀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a first coupling ho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for attachment/detachment with a connection unit (10) of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어태치먼트는 암대의 단부에 결합되어 관련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이다. 어태치먼트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퀵커플러의 탈착유닛(20)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한 제1핀과 제2핀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An attachment is a component that is connected to an end of a rocker to perform a related task. The attachment may have a first pin and a second pi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connection and detachment with a detachment unit (20) of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연결유닛(10)은 중장비의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 (1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rm of the heavy equipment.
연결유닛(10)은 암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블록은 탈착유닛(2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연결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12)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12)에는 암대와의 결합을 위한 제1연결홀부와 제2연결홀부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ing unit (10) may include a connecting block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rm. The connecting block may include a connecting bracket (1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detachable unit (20) so as to face the detachable unit. The connecting brackets (1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connecting bracket (12) may have a first connecting hole and a second connecting hole for connection with the arm arranged in a spaced apart state.
연결유닛(10)은 암대에 구비된 제1결합홀부와 제1연결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연결핀과, 암대에 구비된 제2결합홀부와 연결블록에 구비된 제2연결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연결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핀과 제2연결핀의 결합 관계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pin for detachably connecting a first connection hole provided in the female member and the first connection hole, and a second connection pin for detachably connecting a second connection hole provided in the female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provided in the connection block. Various known forms may be applied to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in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탈착유닛(20)은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etachable unit (2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an attachment connected to heavy equipment.
탈착유닛(20)은 연결유닛(1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블록과, 탈착블록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태치먼트에 구비된 제1핀의 걸림 결합 여부를 선택하는 가동후크(24)와, 탈착블록의 타측에 구비되어 어태치먼트에서 제1핀과 이격 배치된 제2핀이 걸림 결합되는 고정후크(25)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블록은 연결유닛(10)과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는 탈착플레이트(21)와, 탈착플레이트(21)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탈착브라켓은 한 쌍이 상호 마주보도록 이격되어 탈착플레이트(21)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탈착블록의 일측에서 탈착플레이트(21)에는 가동후크(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탈착블록의 타측에서 탈착브라켓에는 고정후크(2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tachment unit (20) may include a detachment block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unit (10), a movable hook (24)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ment block to select whether or not to engage a first pin provided in an attachment, and a fixed hook (25)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etachment block to engage a second pi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in in the attachment. The detachment block may include a detachment plate (21)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unit (10) to engage a second pin. The detachment bracke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etachment plate (21) so that a pair of the detachment brackets face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a movable hook (24)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detachable plate (21), and on the other side of the detachable block, a fixed hook (25) can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tachable bracket.
탈착플레이트(21)에는 후술하는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이 결합되기 위한 탈착결합홀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detachable plate (21) may be provided with a detachable coupling hole for coupling a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described later.
탈착유닛(20)은 탈착블록의 일측에서 탈착브라켓에 구비되어 제1핀이 안착되는 가동지지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가동후크(24)가 가동지지부(23)를 향해 회전하는 경우, 제1핀은 가동지지부(23)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하게 된다. 또한, 가동후크(24)가 가동지지부(23)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1핀은 가동지지부(23)와 가동후크(24) 사이에서 이탈 가능할 수 있다.The detachment unit (20) may further include a movable support member (23) provided on the detachment bracket at one side of the detachment block and on which the first pin is secured. Then, when the movable hook (24) rotates toward the movable support member (23), the first pin is caught and engaged with the movable hook (24) while being secured to the movable support member (23). In addition, when the movable hook (24) rotates away from the movable support member (23), the first pin may be detachable between the movable support member (23) and the movable hook (24).
후크구동유닛(30)은 유압의 작용에 따라 탈착블록에서 가동후크(24)를 정역 회전시킬 수 있다.The hook drive unit (30) can rotate the movable hook (24) in the detachable block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hydraulic pressure.
후크구동유닛(30)은 실린더축부를 매개로 탈착유닛(20)에서 고정후크(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실린더(31)와, 가동축부에서 이격되어 가동후크(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피스톤축부를 매개로 후크실린더(3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피스톤(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후크실린더(31)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가동후크(24)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제1핀이 가동후크(24)에 걸림 결합되고, 후크실린더(31)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는 경우, 가동후크(24)의 역방향 회전에 따라 제1핀이 가동후크(24)에서 걸림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hook drive unit (30) may include a hook cylinder (31)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fixed hook (25) in a detachment unit (20) via a cylinder shaft portion, and a hook piston (32)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a movable hook (24) while being spaced from the movable shaft portion and reciprocally coupled to the hook cylinder (31) via a piston shaft portion. Then,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hook cylinder (31) in a forward direction, the first pin is caught and coupled to the movable hook (24)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vable hook (24), and when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hook cylinder (31) in a reverse direction, the first pin can be released from the caught and coupled to the movable hook (24) according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vable hook (24).
후크실린더(31)의 일측에는 후크구동주입부가 구비되고, 후크실린더(31)의 타측에는 후크구동배출부가 구비될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구동주입부에 유체가 공급되고 후크구동배출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후크실린더(31)에 정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후크구동배출부에 유체가 공급되고 후크구동주입부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후크실린더(31)에 역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게 될 수 있다. 후크실린더(31)는 중장비의 운전석에 구비된 조작모듈에 연결되는 유압포트를 내부에 형성하여 일체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퀵커플러의 회전 및 작업자의 작업 시 간섭 형상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퀵커플러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A hook-driven injection un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ok cylinder (31), and a hook-driven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ok cylinder (31). Accordingly, when fluid is supplied to the hook-driven injection unit and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hook-driven discharge unit,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hook cylinder (31) in a forward direction. In addition, when fluid is supplied to the hook-driven discharge unit and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hook-driven injection unit, hydraulic pressure may be applied to the hook cylinder (31) in a reverse direction. The hook cylinder (31)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body by forming a hydraulic port inside that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module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heavy equipment. Therefore, rotation of the quick coupler and interference shape during the worker's work are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safety of the worker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quick coupler, etc.
도 5는 도 1에서 회전유닛과 탈착플레이트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저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1 및 제2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를 절단하여 제1 및 제2 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5를 절단하여 제3 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5를 절단하여 제4 유료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3, 제4, 제5, 제6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5를 절단하여 제6 및 제8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5를 절단하여 제5 및 제7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전달블록만을 내부의 제7 및 제8 전달유로가 보이도록 투명하게 도시한 투명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rotating unit and the detachable plate in FIG. 1,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FIG. 5, FIG. 7 is a plan view of FIG. 5, FIG. 8 is a bottom view of FIG. 5, FIG. 9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channels inside are visible,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and second channels by cutting through FIG. 5,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third channel by cutting through FIG. 5,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ourth channel by cutting through FIG. 5, FIG. 13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transmission channels inside are visible,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xth and eighth transmission channels by cutting through FIG. 5,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fth and seventh transmission paths by cutting through FIG. 5, and FIG. 16 is a transparent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eventh and eighth transmission paths inside are visible.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100)은 연결유닛(10)을 기준으로 탈착유닛(20)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16, the rotation unit (100) can rotatably connect the detachment unit (2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unit (10).
회전유닛(100)은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과 제1 커버부(140)와 제2 커버부(150)와 제3 커버부(160)를 형성할 수 있다.The rotating unit (100) can form a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a first cover part (140), a second cover part (150), and a third cover part (160).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은 회전유닛(100)의 회전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은 중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후크구동유닛(30) 등과 같은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부분에 전달할 수 있다.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에는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전달유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압전달블록(110, 120, 130)은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을 형성할 수 있다.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can be formed to be rotatable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100). 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can transmit fluid supplied from heavy equipment to a part operated by hydraulic pressure, such as a hook drive unit (30).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ths forming a fluid movement path can be formed penetrating 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The hydraulic transmission block (110, 120, 130) can form a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a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제1 전달블록(110)은 회전유닛(100)의 정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 전달블록(120)의 정중앙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달블록(110)은 후크구동유닛(30)과 연통하는 두 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달블록(110)은 제1 블록몸체부를 형성하고, 제1 전달블록(110)에 형성된 두 개의 유로는 제1 전달유로(111)와 제2 전달유로(112)일 수 있다. 제1 블록몸체부는 제2 전달블록(120)의 정중앙부를 관통하고 기둥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달유로(111)는 제1 블록몸체부의 일측부로부터 하단부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달유로(112)는 제1 전달유로(111)와 이격되고, 제1 블록몸체부의 타측부로부터 하단부로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달유로(111)와 제2 전달유로(112)는 서로 길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is formed to be rotatable at the exact center of the rotation unit (100) and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exact center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In additio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may form two channels that communicate with the hook driving unit (30).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forms a first block body, and the two channels formed i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may be a first transmission channel (111) and a second transmission channel (112). The first block body may penetrate the exact center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form a pillar shape.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111)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from one side of the first block body to the lower part.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112) can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th (111) and connec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block body to the lower part. And the first transmission path (11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112) can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제2 전달블록(120)은 제1 전달블록(110)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고, 제3 전달블록(130)의 정중앙을 관통하며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달블록(120)은 연결유닛(10)측에서 중장비와 연통하는 네 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달블록(120)은 제2 블록몸체부를 형성하고, 제2 전달블록(120)에 형성된 네 개의 유로는 제3 전달유로(121)와 제4 전달유로(122)와 제5 전달유로(123)와 제6 전달유로(124)일 수 있다. 제3 전달유로(121), 제4 전달유로(122), 제5 전달유로(123), 제6 전달유로(124)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may be formed to be fixedly formed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In additio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may form four channels that communicate with the heavy equipment on the connection unit (10) side.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forms the second block body, and the four channels formed i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may be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121),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122), the fifth transmission channel (123), and the sixth transmission channel (124).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121),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122), the fifth transmission channel (123), and the sixth transmission channel (12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2 블록몸체부는 일단부를 연결유닛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를 탈착유닛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블록몸체부는 정중앙에 관통된 중앙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달블록(110)은 제2 블록몸체부의 중앙홀을 관통하게 결합할 수 있다.The second block body part may have one end positioned on the connection unit side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detachment unit side. In addition, the second block body part may form a central hole penetrating the center.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may be coupled to penetrate the central hole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제3 전달유로(121)는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중장비와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유로(121)는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유로(121)는 중앙홀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홀로 개구된 제3 전달유로(121)는 제1 전달블록(110)의 제1 전달유로(111)로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유로(121)와 제1 전달유로(111)가 연통하는 부분에는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의 경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제1 유로터널(17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유로(121)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제1 유로터널(171)을 통해 제1 전달유로(111)로 이동할 수 있다.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can be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and communicate with heavy equipment. And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can penetrate the second block body. And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can be opened to a central hole. And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opened to the central hole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transmission path (111)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a ring-shaped first flow tunnel (171) can be formed concavely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t a portion where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and the first transmission path (111) communicate.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can move to the first transmission path (111) through the first flow tunnel (171).
제4 전달유로(122)는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중장비와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달유로(122)는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달유로(122)는 중앙홀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홀로 개구된 제4 전달유로(122)는 제1 전달블록(110)의 제2 전달유로(112)로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달유로(122)는 제3 전달유로(121)와 이격되고, 제3 전달유로(121)와 서로 길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달유로(122)와 제2 전달유로(112)가 연통하는 부분에는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의 경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제2 유로터널(17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전달유로(122)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제2 유로터널(172)을 통해 제2 전달유로(112)로 이동할 수 있다.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can be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and communicate with heavy equipment.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can penetrate the second block body.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can be opened to a central hole.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opened to the central hole can be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112)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and can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121). And a ring-shaped second transmission tunnel (172) can be formed concavely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t a portion where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112) communicate. And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22) can move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112) through the second euro tunnel (172).
제1 유로터널(171)과 제2 유로터널(172)은 서로 이격되고, 제1 유로터널(171)의 상측과 하측 및 제2 유로터널(172)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는 씰링(sealing)을 위한 복수 개의 밀폐링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uro tunnel (171) and the second Euro tunnel (17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aling rings can be formed for sealing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Euro tunnel (171)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Euro tunnel (172).
제5 전달유로(123)는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중장비와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전달유로(123)는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전달유로(123)는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일측부로 연통할 수 있다.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can be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and communicate with heavy equipment. In addition,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can penetrate the second block body. In addition,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can communicate with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block body.
제6 전달유로(124)는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중장비와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전달유로(124)는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달유로(124)는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타측부로 연통할 수 있다.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can be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and communicate with heavy equipment. In addition, 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can penetrate the second block body. In addition, 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can communicate with the oth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block body.
제3 전달블록(130)은 제2 전달블록(120)의 둘레를 감싸게 형성되고, 제1 커버부(140)의 정중앙을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달블록(130)은 후크구동유닛(30) 또는 어태치먼트에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부분과 연통하는 두 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전달블록(130)은 제3 블록몸체부를 형성하고, 제3 전달블록(130)에 형성된 두 개의 유로는 제7 전달유로(131)와 제8 전달유로(132)일 수 있다. 제7 전달유로(131), 제8 전달유로(13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may be formed to be rotatable while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first cover portion (140). In addition,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may form two passages that communicate with a hydraulically operated part of the hook drive unit (30) or the attachment.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forms a third block body, and the two passages formed in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may be a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131) and an eighth transmission passage (132). The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131) and the eighth transmission passage (1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3 블록몸체부는 제2 전달블록(120)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block body part can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제7 전달유로(131)는 제3 블록몸체부의 내측 둘레의 일측부로부터 제5 전달유로(123)와 연통하고,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7 전달유로(131)는 제3 블록몸체부의 하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후크구동유닛(30) 또는 어태치먼트의 일측부에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7 전달유로(131)와 제5 전달유로(123)가 연통하는 부분에는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의 경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제3 유로터널(17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전달유로(123)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제3 유로터널(173)을 통해 제7 전달유로(131)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venth transmission path (131) communicates with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block body and can penetrate the third block body. In addition, the seventh transmission path (131) can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hook drive unit (30) or the attachmen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hird block body and the other end. In addition, a ring-shaped third transmission path tunnel (173) can be formed concavely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at the portion where the seventh transmission path (131) and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communicate. In additio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fifth transmission path (123) can move to the seventh transmission path (131) through the third transmission path tunnel (173).
제8 전달유로(132)는 제3 블록몸체부의 내측 둘레의 일측부로부터 제6 전달유로(124)와 연통하고,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8 전달유로(132)는 제3 블록몸체부의 하단부를 통해 타단부로 후크구동유닛(30) 또는 어태치먼트의 일측부에 연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8 전달유로(132)와 제6 전달유로(124)가 연통하는 부분에는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의 경계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링형상의 제4 유로터널(17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전달유로(124)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제4 유로터널(174)을 통해 제8 전달유로(132)로 이동할 수 있다.The eighth transmission path (132) communicates with 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hird block body and can penetrate the third block body. In addition, the eighth transmission path (132) can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hook drive unit (30) or the attachment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third block body and the other end. In addition, a fourth transmission path (174) in the shape of a ring that is concavely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can be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eighth transmission path (132) and 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communicate. In additio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sixth transmission path (124) can move to the eighth transmission path (132) through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174).
제7 전달유로(131)와 제8 전달유로(132)는 서로 길이가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제3 유로터널(173)과 제4 유로터널(174)은 서로 이격되고, 제3 유로터널(173)의 상측과 하측 및 제4 유로터널(174)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는 씰링(sealing)을 위한 복수 개의 밀폐링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venth transmission path (131) and the eighth transmission path (132) may have different lengths. In addition, the third euro tunnel (173) and the fourth euro tunnel (17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ealing rings may be formed for sealing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hird euro tunnel (173)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ourth euro tunnel (174).
제3 전달블록(130)은 하부의 둘레부를 따라 연장된 결합지지부(133)를 형성할 수 있다. 결합지지부(133)는 하부에 탈착플레이트(21)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지지부(133)는 탈착플레이트(21)에 형성된 탈착결합홀부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탈착플레이트(21)를 결합지지부(133)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지지부(133)는 단부에 기립되게 절곡된 절곡부(134)를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134)는 외측 둘레부에 톱니를 형성할 수 있다.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can form a coupling support portion (133) that extends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133) can couple a detachable plate (21) to the lower portion.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133) can couple the detachable plate (21) to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133) by fastening a fastening member to a detachable coupling hole portion formed in the detachable plate (21). In addition, the coupling support portion (133) can form a folded portion (134) that is bent so as to stand up at an end. The folded portion (134) can form sawtooth on the outer circumference.
제1 커버부(140)는 제3 전달블록(130)을 상측에서 커버하도록 제1 커버부(140)의 절곡부(134)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부(140)는 절곡부(134)의 외측 둘레부에 형성된 톱니와 대응하도록 내측 둘레부에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버부(140)는 절곡부(134)와 기어 결합하여 제3 전달블록(130)이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part (140) can be joined to the folded part (134) of the first cover part (140) so as to cover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from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art (140) can have teeth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to correspond to the tee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olded part (134).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art (140) can be gear-coupled with the folded part (134) so as to enable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to rotate.
제2 커버부(150)는 제1 커버부(140)와 제3 전달블록(130)의 결합된 경계부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버부(150)는 제1 커버부(140)와 제3 전달블록(130)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제1 커버부(140)와 제3 전달블록(130)의 경계부의 상측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할 수 있다.The second cover part (15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ined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14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The second cover part (150) can seal the bond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14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and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cover part (14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제3 커버부(160)는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의 결합된 경계부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커버부(160)는 제1 전달블록(1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블록 단턱(113)과 제3 전달블록(130)의 하단 내측 둘레부에 형성된 제3 블록 단턱(135)에 걸린 상태로 제2 전달블록(120)의 하단을 지지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3 커버부(160)는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을 견고히 결합하면서 제1 전달블록(110)과 제2 전달블록(120)과 제3 전달블록(130)의 경계부의 하측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밀봉할 수 있다.The third cover part (16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mbined boundary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The third cover part (160) can be coupled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while being caught by the first block step (113)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and the third block step (135) formed at the lower inner periphery of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The third cover part (160) can seal the lower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while firmly coupling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110),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120),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130) to block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lower par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etc.,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연결유닛
12: 연결브라켓
20: 탈착유닛
21: 탈착플레이트
22: 탈착브라켓
23: 가동지지부
24: 가동후크
30: 후크구동유닛
31: 후크실린더
32: 후크피스톤
100: 회전유닛
110: 제1 전달블록
111: 제1 전달유로
112: 제2 전달유로
113: 제1 블록 단턱
120: 제2 전달블록
121: 제3 전달유로
122: 제4 전달유로
123: 제5 전달유로
124: 제6 전달유로
130: 센서부
131: 제7 전달유로
132: 제8 전달유로
133: 결합지지부
134: 절곡부
135: 제3 블록 단턱
140: 제1 커버부
150: 제2 커버부
160: 제3 커버부
171: 제1 유로터널
172: 제2 유로터널
173: 제3 유로터널
174: 제4 유로터널10: Connection Unit
12: Connecting bracket
20: Detachable unit
21: Detachable plate
22: Detachable bracket
23: Movable support part
24: Movable hook
30: Hook drive unit
31: Hook cylinder
32: Hook piston
100: Rotating unit
110: 1st Transmission Block
111: 1st transmission route
112: Second transmission route
113: Block 1 step
120: 2nd transmission block
121: Third Transmission Euro
122: 4th transmission route
123: 5th Transmission Euro
124: 6th Transmission Euro
130: Sensor section
131: 7th Transmission Euro
132: 8th Transmission Euro
133: Joint support
134: Bend section
135: 3rd block step
140: 1st cover section
150: 2nd cover section
160: Third Cover Section
171: Eurotunnel 1
172: Eurotunnel 2
173: Third Eurotunnel
174: Eurotunnel 4
Claims (10)
상기 중장비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착유닛;
상기 탈착유닛에 형성되고, 유압의 작용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에 탈부착되는 후크구동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을 기준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제1 전달블록과 제2 전달블록과 제3 전달블록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게 형성된 회전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유닛의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중장비와 상기 후크구동유닛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는 상기 제2 전달블록을 통해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으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A connecting unit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arm of heavy equipment;
A detachable unit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an attachment connected to the above heavy equipment;
A hook drive unit formed in the above detachable unit and detachable from the attachment according to the action of hydraulic pressure; and
A rotation unit that rotatably connects the detachable unit based on the connection unit and in which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of the above rotation unit ar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flowing between the heavy equipment and the hook drive unit flows through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to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2 전달블록은,
일단부가 상기 연결유닛측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상기 탈착유닛측에 위치하고, 중앙부에 관통된 중앙홀이 형성된 제2 블록몸체부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홀로 개구된 제3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중앙홀로 개구되고, 상기 제3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3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4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일측부로 개구된 제5 전달유로와,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일단부로 개구되어 상기 중장비와 연통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2 블록몸체부의 외측 둘레부의 일측부로 개구되고,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5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6 전달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1,
The above second transmission block is,
A second block body part having one end positioned on the connection unit side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on the detachment unit side, and a central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third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asses through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opens into the central hole,
A four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opens to the central hole, is spaced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and is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third transmission path,
A fif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is opened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ixth transmission path that is opened to one end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and communicates with the heavy equipment, penetrates the second block body part, opens to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block body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fifth transmission path, and is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fifth transmission path.
상기 제1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중앙홀을 관통하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2,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while penetrating the central hole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1 전달블록은,
상기 중앙홀을 관통한 제1 블록몸체부와,
일단부로 상기 제3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1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후크구동유닛과 연통하는 제1 전달유로와,
일단부로 상기 제4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1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후크구동유닛과 연통하고, 상기 제1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2 전달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3,
The above first transmission block is,
The first block body part penetrating the central hole,
A first transmission path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transmission path at one end, penetrating the first block body, and communicating with the hook drive unit at the other end;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path that communicates with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at one end, penetrates the first block body, communicates with the hook drive unit at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th, and is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first transmission path.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2,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is rotatably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상기 제3 전달블록은,
상기 제2 전달블록의 외측 둘레부를 감싸는 제3 블록몸체부와,
일단부로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통하는 제7 전달유로와,
일단부로 상기 제6 전달유로와 연통하고, 상기 제3 블록몸체부를 관통하고, 타단부로 상기 어태치먼트와 연통하고, 상기 제7 전달유로와 이격되며, 상기 제7 전달유로와 다른 크기로 형성된 제8 전달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5,
The above third transmission block is,
A third block body part that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 seventh transmission path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fth transmission path at one end, passes through the third block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attachment at the other end,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ighth transmission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sixth transmission passage at one end, penetrating the third block body, communicating with the attachment at the other end, spaced apart from the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and formed with a different size from the seventh transmission passage.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2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한 제1 유로터널과,
상기 제1 전달블록과 상기 제2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터널과 이격되며 오목한 제2 유로터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4,
A concave first Eurotunnel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transmission block and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uro tunnel and being concave.
상기 제1 전달유로와 상기 제3 전달유로는 상기 제1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고,
상기 제2 전달유로와 상기 제4 전달유로는 상기 제2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7,
The above first transmission path and the above third transmission path are connected through the above first Eurotunnel,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ransmission path and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euro tunnel.
상기 제2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된 오목한 제3 유로터널과,
상기 제2 전달블록과 상기 제3 전달블록 사이의 경계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3 유로터널과 이격되며 오목한 제4 유로터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6,
A concave third Eurotunnel form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ourth euro tunnel formed along a boundary between the second transmission block and the third transmission block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euro tunnel and being concave.
상기 제5 전달유로와 상기 제7 전달유로는 상기 제3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고,
상기 제6 전달유로와 상기 제8 전달유로는 상기 제4 유로터널을 통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커플러.In claim 9,
The above 5th transmission line and the above 7th transmission line are connected through the above 3rd Eurotunnel,
A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ixth transmission path and the eighth transmission path are connected through the fourth transmission path.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7265A KR20240160444A (en) | 2023-05-02 | 2023-05-02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7265A KR20240160444A (en) | 2023-05-02 | 2023-05-02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0444A true KR20240160444A (en) | 2024-11-11 |
Family
ID=93459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7265A Pending KR20240160444A (en) | 2023-05-02 | 2023-05-02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0444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430B1 (en) | 2018-05-14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Quick couple |
-
2023
- 2023-05-02 KR KR1020230057265A patent/KR2024016044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0430B1 (en) | 2018-05-14 | 2019-03-20 | 주식회사 제이케이 | Quick coup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7205B1 (en) | Fastening device for piping inlet and rotary quick coupler with them | |
US5465513A (en) | Device for quick connection of hydraulic tubings | |
JP3747178B2 (en) | Quick coupler for excavator | |
US11142881B2 (en) | Excavator having rotatable arm | |
EP2230435A1 (en) | Extendable fluid coupler | |
KR101640387B1 (en) | Arm for excavator with rotating device | |
US20150053450A1 (en) |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 |
US10156055B2 (en) | Integrated excavator pin grabber quick coupler | |
KR102226956B1 (en) | Hydraulic quick-coupler automatic coupling device of heavy equipment or industrial machinery and workshop value | |
US20130115034A1 (en) | Pin position sensor mounting assembly | |
KR102226955B1 (en) | Automatic hydraulic line connection for heavy equipment or industrial machinery and work unit connections | |
KR20240160444A (en) | 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 |
KR102226954B1 (en) | Automatic hydraulic connections for heavy equipment or industrial machinery and work unit automatic connections | |
KR20200028125A (en) | Excavator bucket tilting unit | |
KR102577312B1 (en) | Rotation type coupler | |
US20210348364A1 (en) | Device for conducting hydraulic fluid | |
EP3192928A1 (en) | Arm for construction machine | |
KR20220121559A (en) | excavator | |
CN112178325A (en) | Fitting fixing device for a hydraulic hose coupling,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 |
KR20210007658A (en) | Rotatable Multi Link | |
KR101739779B1 (en) | Sagging preventing device for smart tongs in excavator | |
US7966754B2 (en) | Adapter for attaching a tool to a machine | |
JP3677905B2 (en) | Construction machine work equipment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 |
KR102713421B1 (en) | Handle apparatus for wheel excavator | |
JP4580144B2 (en) | Excavator with a drive device for ro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