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9040A -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 Google Patents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9040A
KR20240159040A KR1020230055849A KR20230055849A KR20240159040A KR 20240159040 A KR20240159040 A KR 20240159040A KR 1020230055849 A KR1020230055849 A KR 1020230055849A KR 20230055849 A KR20230055849 A KR 20230055849A KR 20240159040 A KR20240159040 A KR 2024015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protrusion
inclined surface
dental implant
crown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구
김진태
조영우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23005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9040A/ko
Publication of KR2024015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904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몸체,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링형 돌출부, 및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 몸체, 원통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탄성 레그 및 탄성 레그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탄성 레그의 외경이 원통 몸체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 레그의 외면이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CROWN CONNECTOR FOR DETACHABLE DENTAL IMPLANT AND DISTANCE FIXING PART THEREFOR}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공치아 등의 보철물에 스크류 홀을 형성하지 않고도 보철물을 용이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철물로 가해지는 다양한 충격 이벤트에 의해서 보철물이 어버트먼트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의 크라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 및 어버트먼트에 접합되는 보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철물은 인공치아로서 치과용 시멘트 등의 접착제에 의해서 어버트먼트와 일체로 결합되며, 보철물에는 스크류 홀을 형성하여 어버트먼트와 함께 보철물을 픽스츄어에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37219호 등을 보면, 어버트먼트를 픽스츄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멘트로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결합하고, 보철물에 형성된 스크류 홀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예를 들어, 연결나사의 파절이나 다른 여러 다양한 이유로 치과 현장에서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픽스츄어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공치아에 연결나사와 이어지게 스크류 홀을 다시 뚫는 작업, 연결나사를 풀거나 제거하는 작업, 인공치아, 어버트먼트 등을 교체하는 작업, 연결나사를 다시 체결하는 작업, 뚫린 구멍을 레진 등으로 다시 메꾸는 작업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323729호에는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캡에 수직으로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어버트먼트의 외면으로 C-링 형상의 이탈방지부 및 링-형상의 실링부가 제공되어 캡과 어버트먼트 간의 완전한 밀착을 방해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와 실링부가 어버트먼트의 외면에서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기 때문에, 어버트먼트를 5mm 또는 그 이하의 치수로 소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면접촉을 형성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등록특허 제10-2418760호 및 제10-2421810호에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탄성 레그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를 이용하여 원주 형상의 홈에 돌기를 고정하는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거리 고정부에서 탄성 레그의 과도한 변형에 의해서 탄성 레그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탄성 레그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크라운 커넥터의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의 측부를 충분히 덮음으로써 탄성 레그의 소성 변형을 막을 수 있고, 탄성 레그의 외면이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탄성 레그의 탄성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거리 고정부를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함에 있어서도 원통 몸체의 외면만 링형 돌출부의 내면에 닿아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용이한 삽입이 가능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링형 돌출부가 거리 고정부의 주변을 충분한 길이로 덮기 때문에, 링형 돌출부의 경사면과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경사면이 충분한 마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몸체,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링형 돌출부, 및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 몸체, 원통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탄성 레그 및 탄성 레그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탄성 레그의 외경이 원통 몸체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탄성 레그의 외면이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를 보호할 수 있다.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의 1/2 이상을 덮을 수 있는데,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의 측부를 충분히 덮음으로써 탄성 레그의 변형을 막을 수 있고, 탄성 레그의 외면이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탄성 레그의 탄성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거리 고정부를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함에 있어서도 원통 몸체의 외면만 링형 돌출부의 내면에 닿아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탄성 레그의 외면까지 닿는 경우보다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링형 돌출부가 거리 고정부의 주변을 충분한 길이로 덮기 때문에, 링형 돌출부의 경사면과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경사면이 충분한 마찰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링형 돌출부는 상부 경사면, 하부 경사면 및 상부 경사면과 하부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기둥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둥형 돌출부의 외면은 링형 돌출부의 축선에 나란할 수 있으며, 기둥형 돌출부가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내부 경사면의 원통형 홈과 맞물려 크라운 커넥터의 회전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링형 돌출부는 상부 각기둥면 및 상부 각기둥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부 각기둥면, 예를 들어 육각기둥면이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육각기둥 홈과 맞물려 크라운 커넥터의 회전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어머트먼트 구조는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으로 외부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크라운 커넥터에 형성된 수용 공간의 내면에는 외부 경사면과 접할 수 있는 마찰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의 외부 경사면은 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뿔대 형상이라 함은 원뿔대(truncated cone) 또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버트먼트 구조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형성된 경우에도 익스터널 방식, 인터널 방식 또는 기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술한 크라운 커넥터를 위한 거리 고정부는 원통 몸체, 원통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탄성 레그 및 탄성 레그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레그의 외경이 원통 몸체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탄성 레그의 외면과 원통 몸체의 외면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탄성 레그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는 크라운 커넥터의 링형 돌출부가 탄성 레그의 측부를 충분히 덮음으로써 탄성 레그의 소성 변형을 막을 수 있고, 탄성 레그의 외면이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탄성 레그의 탄성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거리 고정부를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함에 있어서도 원통 몸체의 외면만 링형 돌출부의 내면에 닿아 마찰을 일으키기 때문에 용이한 삽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는 링형 돌출부가 거리 고정부의 주변을 충분한 길이로 덮기 때문에, 링형 돌출부의 경사면과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경사면이 충분한 마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및 크라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어버트먼트 구조 및 크라운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와 크라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및 크라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어버트먼트 구조 및 크라운 커넥터의 결합 구조를 단면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임플란트와 크라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임플란트(100)와 보철물(20)을 임플란트(100)에 결속시키기 위한 크라운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식립부(110)와 어버트먼트 구조(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립부(110)와 어버트먼트 구조(120)는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식립부와 어버트먼트 구조는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식립부(110)를 이용하여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조이며, 임플란트(100)가 식립되면 상부의 어버트먼트 구조(120)를 통해서 인공치아인 보철물(2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보철물(20)과 크라운 커넥터(200)는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접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보철물(20)은 크라운 커넥터(200)를 매개로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분리가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 및 크라운 커넥터(200) 등은 티타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보철물(20)은 복합 레진이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어버트먼트 구조(120)는 임플란트(1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식립부(110)는 나사 형식으로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100)는 치조골에 식립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조건이나 수술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식립된 이후에도 안정화되는 과정에서도 그 식립된 위치나 각도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합력에 의해 식립부의 골유착의 조건이 변경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120)는 뿔때 형상의 외부 경사면(122) 및 상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130)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어버트먼트 구조에서도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공간이 존재하지만, 종래의 어버트먼트부에서 해당 공간은 보철물을 거쳐 스크류가 통과하기 위한 공간인 반면, 본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130)은 거리 고정부(250)가 진입하여 크라운 커넥터(200)와 어버트먼트 구조(120) 간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크라운 커넥터(200)는 하부로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210),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링형 돌출부(240) 및 링형 돌출부(240)의 내면에 삽입 고정되는 거리 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라운 커넥터(200)는 보철물(20)과 접합될 수 있으며, 보철물(20)과의 접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커넥터 몸체(210)의 외면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 몸체(210)는 뿔대 형상의 어버트먼트 구조(1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같은 뿔대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외부 경사면(122)과 전면적으로 면접촉을 형성하는 마찰 경사면(230)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 공간의 천장 중앙에는 중공형의 링형 돌출부(2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링형 돌출부(240)의 외면은 상부 경사면(242) 및 상부 경사면(242)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24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경사면(242)과 하부 경사면(244) 사이에는 원통형 돌출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돌출부(246)의 외면은 링형 돌출부(240)의 축선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링형 돌출부(240)에 대응하여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내부 공간(130)에도 상부의 제1 내부 경사면(142)과 하부의 제2 내부 경사면(14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형 돌출부(246)에 대응하여 제1 내부 경사면(142)과 제2 내부 경사면(144) 사이에 원통형 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의 내벽으로 제1 내부 경사면과 원통형 돌출부 사이에 헥사 모양의 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헥사 모양의 홈은 어버트먼트 구조를 식립부에 고정할 때 헥사 모양의 도구가 결합되는 용도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공간(130)에서 원주 홈(248)의 아래로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암나사부는 힐링 캡이나 임프레션 코핑 등을 이용할 때, 거리 고정부가 아닌 나사 형태의 결합을 이용하여 해당 부속을 임시로 고정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링형 돌출부(240)의 외면과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내부가 서로 밀착 결합하여 마찰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원통형 돌출부(246)와 원통형 홈(146)은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대한 크라운 커넥터(200)의 회전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대한 크라운 커넥터(200)의 흔들림도 제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형 돌출부(240)의 외면으로 상부 경사면(242)와 하부 경사면(244) 사이로 원통형 돌출부(246)가 형성되고, 경사면의 각도로 동일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경사면의 각도가 상이할 수 있고, 원통형 돌출부 없이 상하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를 보면, 거리 고정부(250)는 원통 몸체(252), 원통 몸체(25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탄성 레그(254) 및 탄성 레그(254)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56)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 몸체(252)에 탄성 레그(254)는 캔틸레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탄성 레그(254)가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6개의 탄성 레그가 형성될 수 있다.
거리 고정부(250)는 높은 탄성력을 갖는 니켈-티타늄(Nickel Titanium, Ni-Ti)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링형 돌출부(240)의 내부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될 수 있다.
크라운 커넥터(200)가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결합될 때 탄성 레그(254)와 돌기(256)가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제1 내부 경사면(142)과 제2 내부 경사면(144)을 타고 진입할 수 있다.
이때 탄성 레그(254)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축선과 크라운 커넥터(200)의 축선이 20도 내외 또는 그 이하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크라운 커넥터(200)가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결합될 때까지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크라운 커넥터(200)가 어버트먼트 구조(120)에 밀착하도록 접근되면, 거리 고정부(250)의 돌기(256)가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원주 형상의 홈(248)에 결속되어 크라운 커넥터(200)와 어버트먼트 구조(120) 간의 거리를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탄성 레그(254)의 외경이 원통 몸체(25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외면에 일정 높이(g)만큼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통 몸체(252)가 링형 돌출부(240)의 내면에 억지 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 레그(254)의 외면은 링형 돌출부(240)의 내면으로부터 단차 높이(g)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레그(254)는 단차 높이(g)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외부로만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 레그(254)가 과도하게 외부로 꺾여 소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형 돌출부(240)는 원통 몸체(252)의 아래로 연장되어 탄성 레그(254)의 길이(h)의 1/2 이상을 덮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링형 돌출부(240)가 탄성 레그(254)의 측부를 충분히 덮음으로써 탄성 레그(254)의 변형을 막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링형 돌출부(240)의 상부 경사면(242), 하부 경사면(244), 원통형 돌출부(246)를 포함한 충분한 깊이 및 면적에서 마찰 결합을 형성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 구조(120)의 외부 경사면(122)과 크라운 커넥터(200)의 마찰 경사면(230)은 중력 이외의 고정력에 의해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외부 경사면(122)과 마찰 경사면(230)은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뿔대(truncated pyrami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경사면(122)과 마찰 경사면(230)은 전면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이전 실시예와 같이 링형 돌출부(240)의 외면으로 상부 경사면(242), 원통형 돌출부(246) 및 하부 경사면(244)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링형 돌출부(240)의 내부로 탄성 레그와 돌기가 형성된 거리 고정부(25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링형 돌출부의 외면으로 상부의 육각기둥면(342) 및 하부의 하부 경사면(344)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링형 돌출부의 내부로 탄성 레그와 돌기가 형성된 거리 고정부(350)를 장착할 수 있다. 육각기둥면(342)이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 육각기둥 홈과 맞물릴 수 있으며, 하부 경사면(344)은 제2 내부 경사면과 유사한 경사면과 접하여 맞물릴 수 있다. 육각기둥면(342)은 어버트먼트 구조의 내부 공간에서 결속되어 크라운 커넥터의 회전 저항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치과용 임플란트 110 : 식립부
120 : 어버트먼트 구조 122 : 외부 경사면
130 : 내부 공간 200 : 크라운 커넥터
210 : 커넥터 몸체 240 : 링형 돌출부
250 : 거리 고정부

Claims (6)

  1.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에 있어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구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몸체;
    상기 수용 공간의 천장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중공의 링형 돌출부; 및
    상기 링형 돌출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 몸체, 상기 원통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탄성 레그 및 상기 탄성 레그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거리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레그의 외경이 상기 원통 몸체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 레그의 외면이 상기 링형 돌출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돌출부가 상기 탄성 레그의 1/2 이상 덮어 상기 탄성 레그의 파손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돌출부는 상부 경사면, 하부 경사면 및 상기 상부 경사면과 상기 하부 경사면 사이에 형성된 기둥형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형 돌출부의 외면은 상기 링형 돌출부의 축선에 나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돌출부는 상부 각기둥면 및 상기 상부 각기둥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부 경사면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 공간의 내면에 마찰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크라운 커넥터를 위한 거리 고정부에 있어서,
    원통 몸체, 상기 원통 몸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탄성 레그 및 상기 탄성 레그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레그의 외경이 상기 원통 몸체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커넥터용 거리 고정부.
KR1020230055849A 2023-04-28 2023-04-28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Pending KR20240159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849A KR20240159040A (ko) 2023-04-28 2023-04-28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849A KR20240159040A (ko) 2023-04-28 2023-04-28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9040A true KR20240159040A (ko) 2024-11-05

Family

ID=93462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849A Pending KR20240159040A (ko) 2023-04-28 2023-04-28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90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5564922A (en) Universal joint for dental abutment implant
RU2555384C2 (ru) Модульное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наклонных зубных имплантатов
IL268492A (en) Fixation unit for a dental device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20040023594A (ko) 이식물
KR101953301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AU2001262170B2 (en) Post-shaped element for determining spatial position, especially of an implant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240159040A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크라운 커넥터 및 거리 고정부
JP2010537682A (ja) 一時的な歯冠のための支持体
KR102562231B1 (ko) 고정 요소 상에 장착하기 위한 캡
KR102719125B1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719124B1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418760B1 (ko) 착탈형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KR10235644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KR102765912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2739552B1 (ko) 무접착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08556B1 (ko) 임플란트 구조체 및 어버트먼트
KR20250009290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크라운 제거방법 및 크라운 제거장치
KR20240169971A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200231270Y1 (ko) 인공치근
WO2006019225A1 (en) Dental implant, impression coping and lab analog for the dental implant
KR102765913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20240169972A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