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8752A - 하지 재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지 재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8752A
KR20240158752A KR1020230104753A KR20230104753A KR20240158752A KR 20240158752 A KR20240158752 A KR 20240158752A KR 1020230104753 A KR1020230104753 A KR 1020230104753A KR 20230104753 A KR20230104753 A KR 20230104753A KR 20240158752 A KR20240158752 A KR 2024015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r
guide
auxiliary bar
b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5535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10961B1/ko
Application filed by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230104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8752A/ko
Priority to PCT/KR2023/021941 priority patent/WO2024225568A1/ko
Publication of KR2024015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875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7Exercise mats for personal use, with or without hand-grips or foot-grips, e.g. for Yoga or supine floor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밴드 걸이가 구비된 보조바와; 상기 보조바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홀더와; 상기 바 홀더를 둘러싸면서 상기 밴드 걸이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밴드와; 상기 바 홀더가 안착되는 가이드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스쿼트 운동이나 런지 운동과 같이 어느 하나의 운동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지 재활 운동기구{Lower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하지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는 단순하면서 스쿼트, 런지 등을 포함한 하지 재활에 관한 다양한 운동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하지 재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이나 다리의 근력약화로 인해 근골격계 질환 등이 발생되는 경우, 환자의 운동조절 능력과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실시하여야 한다.
이에, 병원에서는 하지마비 환자 및 하지 근력이 약화된 환자들에게 재활 치료를 위해 보조기구 및 물리 치료사의 도움을 통한 근력강화 훈련, 스트레칭, 균형훈련 등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하지 재활 치료를 돕는 다양한 종류의 하지 단련 운동기구 및 장치들이 만들어져 환자의 하지 재활 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하지 단련 운동기구로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를 반복하는 스쿼트 운동을 위한 기구와, 다리를 골반 너비만큼 벌리고 가슴을 편 상태에서 한 쪽 발을 앞으로 내딛으면서 양다리를 모두 90도 정도 굽혀 앞발에 힘을 주어 몸을 뒤로 밀면서 처음 자세로 되돌아오는 것을 반복하는 런지 운동을 위한 기구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스쿼트 운동기구나 런지 운동기구 등은 각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해당 운동만을 할 수 있을 뿐 다른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는 한계가 있고, 해당 운동이 일상적인 생활 내에서의 인체의 실제 움직임과 유사하지 않아서 해당 운동의 기술이 일상생활의 움직임에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209461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쿼트, 런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재활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과 사용 방법이 쉬우며, 일상생활의 실제 움직임과 유사한 형태의 운동을 하게 하여 해당 운동의 기술이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도록 하는 하지 재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는 밴드 걸이가 구비된 보조바와; 상기 보조바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홀더와; 상기 바 홀더를 둘러싸면서 상기 밴드 걸이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밴드와; 상기 바 홀더가 안착되는 가이드 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 매트에는 다수의 발바닥 문양과 QR코드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보조바의 외측면에 한 쌍의 보조다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바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봉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바의 내부에는 수용통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통 내부에 수납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봉을 수용통 안쪽으로 밀어 상기 보조다리가 보조바의 외측면 쪽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은 보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중앙홀의 상단에서 인접한 가이드홀 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거치홀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에서 상기 상부 거치홀과 같은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거치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바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다리의 회동을 차단하는 회동억제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다리의 내측면에는 제1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상부 거치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자석과 밀착되는 제2자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바 홀더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하지 재활 운동기구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스쿼트 운동이나 런지 운동과 같이 어느 하나의 운동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바를 앞으로 밀면서 밴드 위에 얹은 엉덩이를 뒤로 빼면 자연스레 스쿼트 운동이 되고, 이러한 운동 양상은 일상생활의 움직임과 비슷하여 운동기술이 일상생활에 용이하게 전이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조다리를 회동시켜 보조다리의 하단을 가이드 매트에 접촉시키면 보조바를 잡아당기더라도 그 당기는 힘을 보조다리가 버티므로, 보조바가 기울어지지 않고 가이드 매트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다른 형태의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자석과 제2자석을 부착시키면 보조바의 외측면에 보조다리가 밀착되어 보조다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는 보조바(10)와, 상기 보조바(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홀더(20)와, 상기 바 홀더(20)를 둘러싸는 보조밴드(30)와, 상기 바 홀더(20)가 안착되는 가이드 매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바(10)는 스틸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과 같이 일정한 강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외측면에 밴드 걸이(11)가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바(1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봉 형태로 길게 제작된다.
상기 바 홀더(20)는 보조바(1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매트(4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바 홀더(2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21)가 구비된다. 따라서 바 홀더(20)를 가이드 매트(40)의 상면에 놓으면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상기 보조밴드(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보조바(10)를 포위한 후 양 끝단을 묶는다. 이때 보조밴드(30)는 밴드 걸이(1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보조바(10)를 따라 하측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 매트(40)는 운동을 할 때 운동하는 사람이 올라가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약간의 쿠션감을 제공하고 가급적 미끄럼이 방지되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매트(4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발바닥 문양(41)과 QR코드(42)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 발바닥 문양(41)에 맞춰 그 위에 발을 올려놓으면 스쿼트 운동의 시작자세를 잡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휴대폰으로 QR코드(42)를 찍으면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운동에 대해 알려주는 자료나 동영상이 노출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스쿼트 운동을 한다고 할 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운동하는 사람은 보조바(10)을 밀면서 엉덩이를 뒤로 빼면 보조밴드(30)가 늘어나면서 스쿼트 자세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운동하는 사람이 보조밴드(30)에 몸을 기대거나 보조밴드(30)를 잡아당기거나 또는 보조바(10)를 잡아당길 때 보조바(10)가 당기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이를 이용한 다른 형태의 운동을 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하지 재활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이다.
당기는 힘에 의해 보조바(10)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바(10)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보조다리(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한 쌍의 보조다리(50)를 회동시켜 벌린 후 보조다리(50)의 하단을 가이드 매트(40)에 안착시키면 보조바(10)와 한 쌍의 보조다리(50)가 삼각 형태로 배열되기 때문에 보조다리(50)에 당기는 힘을 작용시키더라도 보조바(10)가 넘어지지 않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보조바(10)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고, 보조다리(50)에는 가이드홀(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봉(51)이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바(10)의 내부에는 수용통(60)이 구비되고, 가이드봉(51)의 외측면에는 수용통(60) 내부에 수납되는 스프링(7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70)은 가이드봉(51)을 수용통(60) 안쪽으로 밀어서 보조다리(50)가 보조바(10)의 외측면 쪽으로 당겨지도록 한다.
부연하면, 스프링(70)은 수용통(60) 내부에 수용되는데, 스프링(70)의 일측 끝단은 가이드봉(51)의 끝단에 구비된 플랜지(51a)에 접촉되고, 스프링(70)의 타측 끝단은 수용통(60)의 입구부분 안쪽면에 접촉된다. 이때 스프링(70)은 팽팽하게 신장된 상태로서 곡면 형상인 보조다리(50)를 원기둥 형상인 보조바(10)의 외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다리(50)를 잡고 들어 올리면 스프링(70)이 압축되면서 보조바(10)의 외측면에 붙어있던 보조다리(50)가 보조바(10)의 외측면에서 이격되고, 이러한 보조다리(50)를 하측으로 잡아당긴 후 회동시켜 가이드 매트(40)의 상면에 보조바(10)와 한 쌍의 보조다리(50)에 의한 삼각형태의 접점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보조다리(50)를 보조바(10)에서 하측으로 잡아당기고 회동시키기 위해서 형성시킨 것이 가이드홀(12)인데, 상기 가이드홀(12)은 보조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홀(12a)과, 상기 중앙홀(12a)의 상단에서 인접한 가이드홀(12) 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상부 거치홀(12b)과, 상기 중앙홀(12a)의 하단에서 상부 거치홀(12b)과 같은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하부 거치홀(12c)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홀(12) 내에서 가이드봉(51)이 슬라이딩되는데, 가이드봉(51)이 상부 거치홀(12b)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보조다리(50)가 보조바(1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이고, 보조다리(50)가 하부 거치홀(12c)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보조바(10)와 한 쌍의 보조다리(50)가 가이드 매트(40)에 삼각 접점을 이루는 상태이다.
그리고, 보조바(10)의 외측면에는 보조다리(50)의 회동을 차단하는 회동억제돌기(13)가 돌출 형성된다.
앞서 기재한 것처럼 가이드 매트(40) 위에 보조바(10)와 한 쌍의 보조다리(50)에 의해 삼각 접점이 형성되면, 그 이후에는 보조다리(50)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해야 삼각 점점 상태가 유지된다. 바로 이 상황에서의 보조다리(50)의 회동을 막기 위하여 보조바(10)에 회동억제돌기(13)를 돌출 형성시킨다.
즉, 보조다리(50)가 일정각도 이상 회동한 이후에는 보조다리(50)의 측단부분이 회동억제돌기(13)에 막혀 더 이상 회동하지 못한다.
더불어, 보조다리(50)의 내측면에는 제1자석(52)이 구비되고, 보조바(10)의 외측면에는 제2자석(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제1자석(52)과 제2자석(14)이 자력에 의해 밀착되면 보조다리(50)는 보조바(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데, 이때 가이드봉(51)은 가이드홀(12)의 상부 거치홀(12b)에 삽입된 상태이다.
즉, 가이드봉(51)을 중앙홀(12a)의 상단까지 밀어 올린 후 상부 거치홀(12b)에 삽입시키면 제1자석(52)과 제2자석(14)이 밀착되어, 곡면 형상인 보조다리(50)가 보조바(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10: 보조바 11: 밴드 걸이
12: 가이드홀 12a: 중앙홀
12b: 상부 거치홀 12c: 하부 거치홀
13: 회동억제돌기 14: 제2자석
20: 바 홀더 21: 미끄럼 방지패드
30: 보조밴드 40: 가이드 매트
41: 발바닥 문양 42: QR코드
50: 보조다리 51: 가이드봉
51a: 플랜지 52: 제1자석
60: 수용통 70: 스프링

Claims (1)

  1. 밴드 걸이(11)가 구비된 보조바(10)와; 상기 보조바(1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홀더(20)와; 상기 바 홀더(20)를 둘러싸면서 상기 밴드 걸이(11)에 의해 지지되는 보조밴드(30)와; 상기 바 홀더(20)가 안착되는 가이드 매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바(10)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보조다리(5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보조바(10)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다리(50)에는 상기 가이드홀(12)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봉(51)이 구비되며,
    상기 보조바(10)의 내부에는 수용통(60)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봉(51)의 외측면에는 상기 수용통(60) 내부에 수납되는 스프링(70)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가이드봉(51)을 수용통(60) 안쪽으로 밀어 상기 보조다리(50)가 보조바(10)의 외측면 쪽으로 당겨지도록 하며,
    상기 바 홀더(2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패드(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1020230104753A 2023-04-27 2023-08-10 하지 재활 운동기구 Pending KR20240158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753A KR20240158752A (ko) 2023-04-27 2023-08-10 하지 재활 운동기구
PCT/KR2023/021941 WO2024225568A1 (ko) 2023-04-27 2023-12-28 하지 재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358A KR102610961B1 (ko) 2023-04-27 2023-04-27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1020230104753A KR20240158752A (ko) 2023-04-27 2023-08-10 하지 재활 운동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358A Division KR102610961B1 (ko) 2023-04-27 2023-04-27 하지 재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8752A true KR20240158752A (ko) 2024-11-05

Family

ID=9346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753A Pending KR20240158752A (ko) 2023-04-27 2023-08-10 하지 재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8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610B1 (ko) 2018-08-24 2020-03-27 정형민 스쿼트 운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610B1 (ko) 2018-08-24 2020-03-27 정형민 스쿼트 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961B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US6063013A (en) Resistive ankle exercise device
US9795818B2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e
EP1778371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7931575B2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KR101724327B1 (ko) 탈부착식 구조를 갖는 리포머 포스쳐용 kem 보드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US11154751B2 (en) Exercise apparatus
KR101875338B1 (ko)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안전 스쿼트 운동기구
KR101252723B1 (ko) 하체강화 슬라이딩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KR20240158752A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20240158751A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20240158749A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20240158750A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20240158748A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101946465B1 (ko)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WO2024225567A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WO2024225564A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WO1995021664A1 (en) Gymnastic means
WO2024225565A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WO2024225566A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WO2024225568A1 (ko) 하지 재활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8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3042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3005535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30810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