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8054A -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 Google Patents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8054A
KR20240158054A KR1020230054952A KR20230054952A KR20240158054A KR 20240158054 A KR20240158054 A KR 20240158054A KR 1020230054952 A KR1020230054952 A KR 1020230054952A KR 20230054952 A KR20230054952 A KR 20230054952A KR 20240158054 A KR20240158054 A KR 20240158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assembly
attachment
abacus
sub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9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요셉
박예석
박연규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미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에이치디현대미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8054A/en
Publication of KR20240158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8054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bo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은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주판 적치장;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까지 연장된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에서 상기 작업대에 주판을 이송하는 주판 이송장치; 상기 작업대의 측방향에 위치하는 소부재 준비대에 상기 주판에 상응하는 소부재를 이송하는 소부재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를 상기 주판 상에 배치하는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 및 상기 주판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 및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bench; a plate stacking unit position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workbench; first rai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workbench and extending to the plate stacking unit; a plate transfer device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nd transferring a plate from the plate stacking unit to the workbench; a part transfer device transferr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 to a part preparation unit position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workbench; a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arranging the part on the par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ate transfer device, the part transfer device, and the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Description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의존적인 소조립의 선별, 배열 및 취부용접 공정을 자동화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subassembly assembly assembly system that automates the selection, arrangement, and assembly welding processes of subassemblies that are dependent on workers.

선체의 건조는 크게 강재 절단하여 성형 및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및 탑재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소조립 공정은 평판 강재를 바닥에 놓고 보강재들을 용접하여 소조립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소조립은 소부재를 주판에 배열 후 취부용접을 수행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hull is largely carried out in the order of steel cutting, forming, subassembly, mid-assembly, major assembly, and loading. The subassembly process is the process of laying flat steel on the bottom and welding reinforcing materials to make subassemblies. Subassembly is the process of arranging sub-materials on the main plate and then performing attachment welding.

소부재를 취부하는 방법은 주판을 바닥에 배치하고, 작업자는 소부재를 가져와 주판에 수직방향으로 소부재를 배치 및 고정지그에 고정한다. 취부공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하거나 크레인을 조작하여 위치의 이동 및 고정한다. 이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취부용접을 수행한다. The method for attaching the sub-assembly is to place the main board on the floor, and the worker brings the sub-assembly, places the sub-assembly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main board, and fixes it to the fixing jig. The attachment process is done manually by the worker or by operating a crane to move and fix the location. After that, the worker performs the attachment welding manually.

상기 방법은 수작업에 의존하는 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 결과물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작업자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장 대비 수동 작업의 실시 속도는 제한적이므로 작업량 확대에 어려움이 있다. The above method relies on manual work, and the quality of the work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If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upply of workers, the work is difficult, and the speed of manual work is limited compared to the work site, making it difficult to expand the amount of work.

또한, 소조립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부자재 관리가 자동화되지 않아 실적/물량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bassembly process is done manually, material management is not automated, making it difficult to manage performance/quantity.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에 의존적인 소조립 공정을 자동화 하기 위해 소조립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ubassembly automation system to automate a subassembly process that is dependent on workers.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은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주판 적치장;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까지 연장된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에서 상기 작업대에 주판을 이송하는 주판 이송장치; 상기 작업대의 측방향에 위치하는 소부재 준비대에 상기 주판에 상응하는 소부재를 이송하는 소부재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를 상기 주판 상에 배치하는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 및 상기 주판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 및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bench; a plate stacking unit positioned in a first direction of the workbench; first rail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workbench and extending to the plate stacking unit; a plate transfer device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nd transferring a plate from the plate stacking unit to the workbench; a part transfer device transferring a part corresponding to the part to a part preparation unit position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workbench; a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arranging the part on the par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ate transfer device, the part transfer device, and the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상기 주판 이송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갠트리; 상기 제1 갠트리의 제1 수평빔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판이 부착되는 주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bacus transport device may include a first gantry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coupling plate vertically movably coupled to a first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gantry; and an abacus coupling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coupling plate and to which the abacus is attached.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빔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joining plate can move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beam.

상기 주판 결합부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abacus coupling par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상기 주판 이송장치는 상기 제1 갠트리 하부에 위치하는 주판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인식한 주판의 위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주판 이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abacus transport device includes a first camera that recognizes the abacus located below the first gantry,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abacus transport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bacu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인식한 주판에 결합할 소부재를 상기 소부재 준비대로 이송하도록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mall part transport device to transport the small part to be combined with the main board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to the small part preparation unit.

상기 제1 레일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가 이동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소부재 준비대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rail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ail and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mall part transport device moves, and the small part preparation stand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는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주행부; 상기 레일 주행부에서 연장된 클램프암(clamp arm); 및 상기 클램프암의 단부에 연결된 팔레트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may include a rail running member that moves along the second rail; a clamp arm extended from the rail running member; and a pallet clamp connected to an end of the clamp arm.

상기 팔레트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암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변화할 수 있다. The above pallet clamp can move horizontally along the clamp arm and its height can be changed vertically.

상기 클램프암은 상기 레일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 clamp arm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ail running part.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갠트리; 상기 제2 갠트리의 제2 수평빔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이동블록;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comprises: a second gantry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horizontal movement block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to a second horizontal beam of the second gantry;

상기 수평이동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직빔; 및A vertical beam tha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상기 수직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부재 준비대에 거치된 소부재를 잡는 소부재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sub-assembly clamp positioned below the vertical beam and holding a sub-assembly placed on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상기 수직빔과 상기 소부재 클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rota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 beam and the sub-assembly clamp.

상기 소부재 클램프는 중앙에 위치하는 틸팅부; 및 상기 틸팅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sub-clamp may include a tilting portion positioned at the center; and elastic portions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tilting portion.

상기 소부재 클램프는 한 쌍을 포함하며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변화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sub-clamps include a pair and the spac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hanged.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는 상기 수직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잡고 있는 소부재와 주판의 결합부를 취부용접하는 용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may include a welding devic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for attaching and welding the joint between the sub-assembly held by the sub-assembly clamp and the main plate.

상기 용접장치는 상기 소부재와 상기 주판의 결합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용접부 이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welding device may include a welding part moving device that can move along the joint between the above sub-assembly and the main plate.

상기 용접장치는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상기 소부재를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1차 취부용접 후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상기 소부재의 클램핑 해제 상태에서 2차 취부용접할 수 있다. The above welding device can perform the first attachment welding while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clamp is clamping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and then perform the second attachment welding while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clamp is releasing the clamping of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조립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작업자 숙련도에 의존적이지 않고 일정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ng the sub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of constant quality without depending on worker skill.

소조립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의 향상이 기대되며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한 인력수급변화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the assembly process is automated, production speed is expected to increase compared to manual work, and the impact of changes in labor supply and demand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minimized.

소조립 공정의 스마트화에 따라, 작업 실적 집계 및 자재 관리 등 공정관리에 용이하다.As the assembly process becomes smarter, it is easy to manage the process, such as compiling work performance and managing materials.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의 주판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주판 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의 소부재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소부재 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의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소부재 용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abacus transport device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ferring abacuses in the small assembly autom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small part transport device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porting small parts in a small assembly autom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sub-assembly parts and a mounting device of the sub-assembly mounting autom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to 10 are process flow diagram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sub-assembly automation process for welding sub-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it.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is specification, duplicate descriptions of identical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herein are only used to describe particular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only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multiple listed items or any one of multiple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can include 'A', 'B', or 'both A and B'.

선체의 건조는 크게 강재 절단하여 성형 및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및 탑재 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중 소조립 공정은 주판에 소부재를 용접하여 소 조립체를 만드는 공정으로 취부, 용접 및 사상 순으로 이루어진다. 소부재(20)를 취부하는 방법은 주판(10)을 바닥에 배치하고, 작업자는 소부재(20)를 가져와 주판(10)에 수직방향으로 소부재(20)를 배치 및 고정지그에 고정한다. 소부재의 배치 및 고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을 하거나 크레인을 조작하여 위치의 이동 및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주판과 소부재 사이의 연결부에 취부용접을 수행한다. The construction of the hull is largely carried out in the order of steel cutting, forming and subassembly, medium assembly, large assembly, and loading. Among these, the subassembly process is a process of welding sub-assemblies to the main plate to make sub-assemblies, and i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attachment, welding, and finishing. The method of attaching the sub-assembly (20) is as follows: the main plate (10)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worker brings the sub-assembly (20), and places the sub-assembly (20) vertically on the main plate (10) and fixes it to a fixing jig. The worker can place and fix the sub-assembly by hand or by operating a crane to move and fix the location. After that, the worker performs attachment welding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plate and the sub-assembly.

종래의 소조립 공정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 및 속도가 달라지며, 부품의 관리 등에 어려움이 있다. 작업자 숙련도에 의존적이지 않고 일정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 속도의 향상하고자 소조립 공정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The conventional subassembly process relies on manual labor, so the quality and speed vary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managing parts, etc. In order to produce products of consistent quality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and to improve the production speed, it is necessary to automate the subassembly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the small 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는 작업대(150), 주판 적치장(153), 제1 레일(141), 주판 이송장치(110), 소부재 이송장치(120),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를 포함한다. The small 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ork table (150), a main board storage area (153), a first rail (141), a main board transport device (110), a small part transport device (120), and a small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작업대(150)는 소부재(20)와 주판(10)을 용접하는 용접공정이 수행되는 장소로서, 컨베이어 벨트나 복수개의 롤러(151)를 이용하여 조립전 주판(10)과 조립 후 주판(10)을 이송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151)를 이용하면 이송하고 싶은 위치의 주판(10) 하부의 롤러(151)만 구동하여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ork table (150) is a place where a welding process for welding a sub-assembly (20) and a main plate (10) is performed, and a conveyor belt or multiple rollers (151) can be used to transport the main plate (10) before assembly and the main plate (10) after assembly. Using multiple rollers (151) has the advantage of selectively transporting the main plate (10) by driving only the rollers (151) below the main plate (10) at the desired transport location.

작업대(150)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주판(10)이 이동할 수 있다.The work table (150) may have a shape that is elong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ain plate (10) may move along the first direction.

작업대(150)의 좌우에 한 쌍의 제1 레일(1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141)은 일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으나 주판(1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다리로 지지하는 갠트리 형태가 안정적이므로 한 쌍의 제1 레일(141)을 포함할 수 있다.A pair of first rails (141) may be inclu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orktable (150). The first rail (141) may be located on only one side, but since a gantry type supported by a pair of legs is stable in orde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main plate (10), a pair of first rails (141) may be included.

한 쌍의 제1 레일(141)에 각각 결합한 한 쌍의 기둥과 한 쌍의 기둥을 연결하는 수직빔으로 이루어진 제1 갠트리(111)를 포함하는 주판 이송장치(110)를 이용하면 주판(10)을 주판 적치장(153)에서 작업대(150)로 이송이 용이하다. By using a plate transfer device (110) including a first gantry (111) consisting of a pair of columns each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rails (141) and a vertical beam connecting the pair of columns, the plate (10) can b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plate storage yard (153) to the work table (150).

주판(10)이 작업대(150)에 거치된 후에 주판(10)에 결합할 소부재(20)를 소부재 이송장치(120)를 이용하여 작업대(150) 옆으로 이송할 수 있다. 소부재(20)는 크기가 작고 주판(1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취부용접하므로 작업대(150) 위에 놓인 주판(10)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팔레트(21)에 수납될 수 있다. After the main board (10) is placed on the work table (150), the sub-assembly (20) to be joined to the main board (10) can be moved to the side of the work table (150) using the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120). The sub-assembly (20) is small in size and is placed vertically to the main board (10) for attachment welding, so it can be stored on a pallet (21) so as to form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main board (10) placed on the work table (150).

하나의 팔레트(21)는 하나의 주판(10)에 조립할 복수개의 소부재(20)가 수납될 수 있으며,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팔레트(21)를 작업대(150) 옆의 소부재 준비대(155)로 이송하여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가 소부재(20)를 클램핑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A single pallet (21) can accommodate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20) to be assembled on a single main board (10), and a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120) can transport the pallet (21) to a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155) next to a workbench (150) and place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at a position where the sub-assembly (20) can be clamped.

주판 이송장치(110)는 주판 적치장(153)에서 작업대(150)로 이송하며, 주판(10)이 작업대(150)에 올라가면 작업대(150)를 따라 이송가능한 바, 주판 적치장(153)에서 작업대(150)의 일측부분 까지만 이동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주판의 적치, 선별 및 이송 영역은 작업대의 일측까지만 포함될 수 있다.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transports the abacus from the abacus storage yard (153) to the work platform (150). When the abacus (10) is placed on the work platform (150), it can be transported along the work platform (150). Therefore, it is sufficient to move only to one side of the work platform (150) from the abacus storage yard (153). 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area for loading, sorting, and transporting the Abacus can only include one side of the work platfor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작업대(150)의 측방향에 위치한 소부재 준비대(155)로 이송하기 위해 제2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며, 한 쌍의 작업대(150)가 이웃하여 배치한 경우 하나의 소부재 이송장치(120)가 그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B. 소부재 적치/선별/ 이송 구간은 진행방향인 제1 방향에서 A 및 B 구간과 중첩되지 않는다. As shown in Fig. 2, th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moves along the second rail (142) to transport the small parts to the small parts preparation stand (155) located laterally of the work table (150), and when a pair of work tables (150) are arranged adjacently, on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can move between them. B. The small parts stacking/selection/transport section does not overlap with sections A and B i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movement.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주판(10)에 비해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소부재 팔레트(21)를 이송하므로 하나의 레일 주행부(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레일 주행부(121)가 기울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한 쌍의 제2 레일(142)에 동시에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transports a small parts pallet (21) that is relatively light in weight compared to the main plate (10), so it may include one rail running part (121), and may have a form in which one rail running part (121) i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pair of second rails (142) so that it moves stably without tilting.

소부재 이송장치(120)가 주판 이송장치(110) 및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 레일(141)과 제2 레일(142)은 소부재 준비대(155)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2 레일(142)은 제1 레일(141)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small part transport device (120) and the main board transport device (110) and the small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the first rail (141) and the second rail (142) can be arranged so that the small part preparation stand (155) is positioned between the small part transport device (120) and the second rail (14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ail (141).

주판(10)을 작업대(150)에 올린 이후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가 소부재 준비대(155)에 위치하는 소부재(20)를 주판(10) 위로 이송할 수 있다. 주판 이송장치(110)와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의 이동범위가 제1 레일(141) 상에서 중첩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작업대(150)는 주판(10)을 작업대(150)를 작동하여 C. 소부재(20) 선별/배열/취부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After the abacus (10) is placed on the worktable (150),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can transfer the sub-assembly (20) located on the sub-assembly preparation table (155) onto the abacus (10). The movement ranges of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and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overlap on the first rail (141), but the worktable (150) can move the abacus (10) to the C. sub-assembly (20) selection/arrangement/attachment section by operating the worktable (150)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제1 레일(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주판(10) 상에 복수개의 소부재(20)를 각각의 설계 위치에 따라 배열 및 취부용접할 수 있다.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can move along the first rail (141) and can arrange and attach and weld a plurality of subassemblies (20) on the main plate (10)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design positions.

주판 이송장치(110), 소부재 이송장치(120) 및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모두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한 정보를 기초로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th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and the small parts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all include a camera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each device based on information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주판 이송장치(110)의 제1 카메라(117)를 통해 주판(10)의 형상, 배치 및 주판(10)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이를 기초로 해당 주판(10)에 결합할 소부재(20)를 추출할 수 있다. Information on the shape, arrangement, and type of the abacus (10) can be extracted through the first camera (117) of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and the control unit can extract a small part (20) to be combined with the abacus (10) based on this.

소부재 이송장치(120)의 제2 카메라(127)는 제어부에서 지정한 소부재(20)가 수납된 팔레트를 탐지하여 작업대(150) 옆에 위치하는 소부재 준비대(155)로 이송할 수 있다. The second camera (127) of the spare parts transport device (120) can detect a pallet containing spare parts (20) designated by the control unit and transport it to the spare parts preparation stand (155) located next to the work table (150).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주판(10)의 위치에 따라 결합할 소부재(20)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받아 소부재(20)를 클램핑하고, 주판(10)상 정확한 위치에 소부재(20)의 배열 및 취부용접공정을 수행한다.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receives information on sub-assemblies (20) to be combined from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ain plate (10), clamps the sub-assemblies (20), and performs the arrangement and attachment welding process of the sub-assemblies (20) at the correct position on the main plate (10).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복수개의 소부재(20)를 배열 및 취부용접해야 하므로 작업량이 많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주판 이송장치(110)나 소부재 이송장치(120) 보다 더 많은 대수를 구비할 수 있다.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작업대(15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 배치하여 동시에 복수개의 소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requires a large amount of work since it must arrange and attach multiple sub-assemblies (20). Therefore, as shown in Fig. 1,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be provided in greater numbers than the main plate transport device (110) or the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120).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uni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table (150) to perform multiple sub-assembly processes simultaneously.

이하에서는 각 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Below, we will examine the configuration of each device in more detail, and each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in more detail.

[주판 이송장치][Abacus transport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의 주판 이송장치(11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주판(10) 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ain board transport device (110) of an automated subassembly install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transporting a main board (10) of an automated sub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주판 이송장치(110)는 상기 한 쌍의 제1 레일(141)에 하단이 결합된 한 쌍의 지지부(1111)와 한 쌍의 지지부(1111)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 수평빔(1112)을 포함하는 제1 갠트리(111)를 포함한다. 제1 갠트리(111)는 제1 레일(141)을 따라 제1 방향(y축)이동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gantry (111) includ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1111) whose lower ends are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rails (141) and a first horizontal beam (1112)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111). The first gantry (111) moves in a first direction (y-axis) along the first rail (141).

제1 수평빔(111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 플레이트(115)를 포함한다. 결합 플레이트(115)는 상측에 제1 수직빔(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직빔(114)와 제1 수평빔(11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이동 블록(113)를 포함할 수 있다.It includes a coupling plate (115) that moves horizontally along a first horizontal beam (1112) and moves vertically. The coupling plate (115) may include a first vertical beam (114) on the upper side and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movement block (113)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vertical beam (114) and the first horizontal beam (1112).

제1 수평이동 블록(113)는 제1 수평빔(111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고 제1 수직빔(114)는 제1 수평이동 블록(113)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결합 플레이트(115)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x축)과 수직방향(z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block (113) can move horizontally along the first horizontal beam (1112), and the first vertical beam (114) can mov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block (113), so that the joining plate (115) can move in a second direction (x-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in a vertical direction (z-axis).

결합 플레이트(115)는 하부에 복수개의 주판 결합부(116)를 포함하며 주판 결합부(116)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금속재질의 철판을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다. The coupling plate (115) includes a plurality of main plate coupling parts (116) at the bottom, and the main plate coupling parts (116) can attach and detach a metal plate using an electromagnet.

결합 플레이트(115)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117)는 주판(10)을 인식하고 주판(10)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7)의 위치는 결합 플레이트(115)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수평빔(1112)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복수개가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first camera (117) located at the edge of the joining plate (115) can recognize the main plate (10)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ain plate (10) to the control unit. The first camera (117) may be located at the joining plate (115) or at the first horizontal beam (1112). A plurality of cameras may be positioned at different locations.

주판 적치장(153)으로 주판 이송장치(110)를 이동하고(S111), 주판 적치장(153) 상에 위치하는 주판(10)을 인식하여 형상, 배치 및 주판(10)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S112). 주판(10)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고(S113), 주판(10)에 결합할 소부재(20)를 확인하여 작업대상항목을 확인한다(S114).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is moved to the abacus storage yard (153) (S111), the abacus (10) located on the abacus storage yard (153) is recognized, and information on the shape, arrangement, and type of the abacus (10) is extracted (S112). Information on the abacus (1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S113), and the sub-assembly (20) to be combined with the abacus (10) is confirmed to confirm the work target item (S114).

주판 적치장(153)에 위치하는 주판(10)이 복수개의 주판 결합부(116)가 최대로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 플레이트(115)를 배치되도록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주판 이송장치(110)를 움직인 후, 결합 플레이트(115)를 하강시키고 주판 결합부(116)를 작동하여 주판(10)을 부착할 수 있다. After moving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abacus (10) located in the abacus storage area (153) is positioned so that the coupling plate (115) can be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multiple abacus coupling parts (116) can be coupled to the maximum extent, the coupling plate (115) can be lowered and the abacus coupling part (116) can be operated to attach the abacus (10).

이후 결합 플레이트(115)를 상측으로 올린 후에 작업대(150)로 이동하고 주판 결합부(116)의 전자석의 자력을 제거하여 주판(10)을 작업대(150) 상에 안착할 수 있다(S115). Afterwards, the joining plate (115) is raised upward and moved to the work table (150), and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of the main plate joining part (116) is removed so that the main plate (10) can be placed on the work table (150) (S115).

주판(10)이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더라도 추후 검토할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가 회전 가능하므로 주판(10)의 정 위치에 소부재(20)를 결합할 수 있다. Even if the abacus (10) is not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the abacus (20) can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abacus (10) because the arrangement of the sub-assemblies and the attachment device (130) to be examined later are rotatable.

[소부재 이송장치][Small and Medium Material Transport Device]

도 5는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의 소부재 이송장치(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소부재(20) 이송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ll part transport device (120) of a small part assembly autom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small part (20) transport method of a small part assembly autom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제2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주행부(121), 레일 주행부(121)에서 연장된 클램프암(123)(clamp arm) 및 클램프암(123)의 단부에 연결된 팔레트 클램프(125)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small-material transport device (120) includes a rail running part (121) that moves along a second rail (142), a clamp arm (123) extended from the rail running part (121), and a pallet clamp (125) connected to an end of the clamp arm (123).

전술한 주판 이송장치(110)에 비해 소부재(20)의 무게는 가벼우므로 하나의 지지부인 레일 주행부(121)를 이용할 수 있으며 레일 주행부(121)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소부재(20)가 실장된 팔레트(21)를 이송할 수 있다. Since the weight of the small member (20) is lighter than that of the abacus transport device (110) described above, a rail travel unit (121) as a single support unit can be used, and the rail travel unit (121)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and transport a pallet (21) on which the small member (20) is mounted.

클램프암(12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팔레트 클램프(125)는 클램프암(12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고 팔레트 클램프(125)가 클램프 암을 따라 이동하며 소부재(20) 적치장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소부재 팔레트(21) 중 작업대상항목에 대응하는 소부재 팔레트(21) 상에 팔레트 클램프(125)가 위치하도록 배치할 수 잇다. The clamp arm (123) extends horizontally and the pallet clamp (125) can move horizontally along the clamp arm (123). The pallet clamp (125) can be moved along the second rail (142) and the pallet clamp (125) can be moved along the clamp arm so that the pallet clamp (125) is positioned on a pallet (21) corresponding to a work item among a plurality of pallets (21) located in a pallet (20) storage area.

또한, 클램프 암은 레일 주행부(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레일(142)의 양측에 위치하는 소부재 팔레트(21) 중 선택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고 제2 레일(142) 양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소부재 준비대(155)에 하나의 소부재 이송장치(120)로 모두 이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amp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 running section (121) so as to selectively clamp one of the small-material pallets (21)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ail (142) and can transport all of the small-material preparation stands (155)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rail (142) with one small-material transport device (120).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주판 이송장치(110)에서 인식한 주판(10)에 상응하는 소부재(20)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수신하고(S121) 제2 레일(142)을 따라 소부재(20) 적치장으로 이동한다(S122). 소부재 이송장치(120)의 제2 카메라(127)를 이용하여 작업대상인 소부재 팔레트(21)를 확인한다(S123). 제2 카메라(127)의 위치는 팔레트 클램프(125)에 결합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암(123)과 팔레트 클램프(125)가 결합된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Th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receives the small parts (20)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board (10) recognized by the main board transport device (110) from the control unit (S121) and moves to the small parts (20) storage area along the second rail (142) (S122). The small parts pallet (21), which is the work target, is confirmed using the second camera (127) of the small parts transport device (120) (S123). The second camera (127) may be coupled to the pallet clamp (125), or may be located at the part where the clamp arm (123) and the pallet clamp (125) are coupled, as shown in FIG. 5.

소부재 팔레트(21)를 클램핑 할 수 있는 위치로 팔레트 클램프(125)를 배치한 후에 팔레트 클램프(125)를 하부로 이동시켜 소부재 팔레트(21)를 클램핑한다(S124). 다른 소부재 팔레트(21)와 간섭되지 않도록 팔레트 클램프(125)는 상측으로 이동한 후에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제2 레일(142)을 따라 이동하여 소부재 준비대(155)로 소부재 팔레트(21)를 이송한다(S125).After positioning the pallet clamp (125) to a position where it can clamp the small-part pallet (21), the pallet clamp (125) is moved downward to clamp the small-part pallet (21) (S124). To avoid interference with other small-part pallets (21), the pallet clamp (125) is moved upward, and then the small-part transport device (120) moves along the second rail (142) to transport the small-part pallet (21) to the small-part preparation stand (155) (S125).

소부재 팔레트(21)에는 한 종류의 소부재(20)가 수납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판(10)에 결합할 소부재(20)가 하나의 팔레트에 수납될 수 있다. 소부재 이송장치(120)는 소부재 팔레트(21)를 이송하여 한번에 주판(10)에 결합할 소부재 세트를 소부재 준비대(155)로 이송할 수 있다. A single type of small part (20) may be stored in a small part pallet (21), but as shown in Fig. 5, small parts (20) to be combined with one main plate (10) may be stored in one pallet. A small part transport device (120) can transport a small part pallet (21) to transport a set of small parts to be combined with the main plate (10) at one time to a small part preparation stand (155).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Arrangement and attachment of small parts]

도 7은 본 발명의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100)의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7 is a drawing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sub-assembly parts and the attachment device (130) of the sub-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제1 레일(141)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지지부(1311)을 포함하는 제2 갠트리(131)와 한 쌍의 지지부(1311)의 상측을 연결하는 제2 수평빔(131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이동블록(133)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second gantry (131) includ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1311) that move along a first rail (141) and a horizontal movement block (133) that is horizontally movably coupled to a second horizontal beam (1312) that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311).

또한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수평이동블록(133)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수직빔(134) 및 제2 수직빔(134) 하부에 위치하며 소부재 준비대(155)에 거치된 소부재(20)를 잡는 소부재 클램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second vertical beam (134) that is vertically movably connected to a horizontal movement block (133) and a subassembly clamp (135) that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and holds a subassembly (20) placed on a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155).

소부재(20)의 무게 자체는 크지 않으나, 취부용접 중에 안정적으로 소부재(20)를 잡고 있기 위해 한 쌍의 제1 레일(141) 상에 위치하는 지지부(1311)를 포함하는 제2 갠트리(131)를 이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weight of the sub-assembly (20) itself is not large, a second gantry (131) including a support member (1311) positioned on a pair of first rails (141) can be used to stably hold the sub-assembly (20) during attachment welding.

제2 갠트리(131)는 제1 레일(141)을 따라 제1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갠트리(131)에 수직방향인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수평빔(1312)은 제2 갠트리(131)의 레일 상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1311)에서 소부재 준비대(155)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gantry (131) can move in the first direction (y-axis direction) along the first rail (141). The second horizontal beam (1312)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gantry (131) can be further extended toward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ge (155) from a pair of support members (1311) positioned on the rail of the second gantry (131).

제2 수평빔(1312)을 따라 소부재 클램프(135)가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소부재 준비대(155)와 작업대(15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The sub-assembly clamp (135) can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x-axis direction) along the second horizontal beam (1312) and move between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155) and the work table (150).

소부재 클램프(135)는 제2 수직빔(134)에 연결되고, 소부재 클램프(135)는 제2 수직빔(134)과 제2 수평빔(131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평이동 블록(133)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수직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The sub-clamp (135) is connected to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and the sub-clamp (135) can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rough the second horizontal movement block (133) located between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and the second horizontal beam (1312).

제2 수직빔(134) 하부에 위치하는 소부재 클램프(135)는 도 7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전술한 팔레트 클램프(125)와 달리 판형 부재를 잡을 수 있도록 소부재(20)의 양면에서 눌러주는 형태의 클램프이다. The small member clamp (135)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is a clamp that presses on both sides of the small member (20) so that it can hold a plate-shaped member, unlike the pallet clamp (125)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7.

소부재 클램프(135)는 소부재(20)를 안정적으로 클램핑 하기 위해 한 쌍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소부재 클램프(135)는 회전부(136)를 통해 제2 수직빔(13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소부재 클램프(135)의 배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The sub-assembly clamps (135) can be arrang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stably clamp the sub-assembly (20). In addition, the sub-assembly clamps (135)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through the rotating part (136) so tha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sub-assembly clamps (135) can be changed.

따라서 주판(10) 상에 대각선 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소부재(20)도 주판(10) 상에 자유롭게 배치 가능하다. 주판(10)의 길이방향이 제1 방향에서 조금 어긋나더라도 소부재 클램프(135)가 회전하여 정확한 위치에 소부재(20)를 배치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ub-assembly (20) arranged diagonally or vertically on the abacus (10) can also be freely arranged on the abacus (10). Even i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acus (10)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first direction, the sub-assembly clamp (135) can rotate to place the sub-assembly (20) in an accurate position.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소부재(20)의 정확한 배열을 위해 제3 카메라를 비롯하여 근접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various sensors, including a third camera and proximity sensors, can be provided for precise arrangement of the subassemblies (20).

한 쌍의 소부재 클램프(135)의 수평방향의 각도가 변화할 수 있도록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틸팅부(13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부재(20)가 틸팅되더라도 소부재(20)를 하측방향, 즉 주판(10)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틸팅부(137)의 양측에 탄성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tilting member (137) so that the horizontal angle of a pair of sub-assembly clamps (135) can be changed, and elastic members (138) may be included on both sides of the tilting member (137) so that the sub-assembly (20) can be pressed downward, i.e., toward the main plate (10), even when the sub-assembly (20) is tilted.

소부재 클램프(135)가 잡은 소부재(20)의 양측면에서 소부재(20)와 주판(10) 사이의 결합부를 취부용접하는 용접장치(139)가 구비될 수 있다. 용접장치(139)는 소부재 클램프(135)와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 welding device (139) may be provided to attach and weld the joint between the sub-assembly (20) and the main plate (10) on both sides of the sub-assembly (20) held by the sub-assembly clamp (135). The welding device (139)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b-assembly clamp (135) and may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소조립 자동화 공정의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가 수행하는 소부재(20) 배열 및 취부용접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정흐름도이다.Figures 8 to 10 are process flow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rranging and attaching welding small parts (20) performed by a small part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of a small assembly autom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작업할 주판(10) 및 소부재(20)에 관한 작업항목 정보를 수신한다(S131). 작업대(150) 상에 주판(10)의 배치를 인식하고 작업을 위한 기준좌표계를 설정한다(S132). 수신된 정보와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가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주판(10) 상에 배열할 소부재(20)의 배열정보, 즉 좌표를 계산한다(S133).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receives work item information about the main board (10) and sub-assembly (20) to be worked on (S131). The arrangement of the main board (10) on the worktable (150) is recognized and a reference coordinate system for the work is set (S132).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the arrangement information, i.e., coordinates, of the sub-assembly (20) to be arranged on the main board (10) is calculated (S133).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130)는 소부재 준비대(155)를 향해 제2 방향으로 소부재 클램프(135)를 이동하고 소부재 준비대(155)에 위치하는 소부재 팔레트(21)에서 작업할 소부재(20)를 피킹한다(S134). 피킹한 소부재(20)를 다시 작업대(150)로 이동하고, 계산된 좌표의 주판(10) 상에 배열한다(S135).The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130) moves the sub-assembly clamp (135) in the second direction toward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155) and picks sub-assemblies (20) to be worked on from the sub-assembly pallet (21) located on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155) (S134). The picked sub-assemblies (20) are moved back to the work stand (150) and arranged on the main board (10) of the calculated coordinates (S135).

소부재(20)가 주판(10)에 밀착되도록 제2 수직빔(134)를 하강하여 소부재(20)를 푸싱한다(S136). 용접장치(139)가 소부재(20)와 주판(10)의 결합부에 위치하도록 용접장치(139)를 하강한 후에 취부용접을 수행한다(S137). 소부재(20)는 판형 부재이므로 결합부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용접장치(139)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1차 취부용접한다(S138). The second vertical beam (134) is lowered to push the sub-assembly (20) so that the sub-assembly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plate (10) (S136). After the welding device (139) is lowered so that it is positioned at the joint of the sub-assembly (20) and the main plate (10), attachment welding is performed (S137). Since the sub-assembly (20) is a plate-shaped member, the joint also extends horizontally, so the welding device (139) is moved horizontally and the first attachment welding is performed (S138).

이후 소부재 클램프(135)를 해제한 후에 2차 용접을 수행한다(S139). 2차 취부용접은 소부재 클램프(135)가 잡고 있는 상태에서 용접이 어려운 부위를 취부용접하거나, 꺾어진 부위를 취부용접하기 위해서는 용접장치(139)가 소부재 클램프(135)의 방향에 독립적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소부재 클램프(135)의 클램핑을 해제한 후에 추가적으로 2차 취부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secondary welding is performed after releasing the sub-assembly clamp (135) (S139). In order to perform secondary attachment welding on a part that is difficult to weld while the sub-assembly clamp (135) is holding it, or to perform attachment welding on a part that is bent, the welding device (139) must move independently in the direction of the sub-assembly clamp (135). Therefore, the secondary attachment welding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after releasing the clamping of the sub-assembly clamp (13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조립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작업자 숙련도에 의존적이지 않고 일정한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ng the subassembly proces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roduct of a constant quality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skill of the worker.

소조립 공정의 자동화에 따라, 수작업 대비 생산 속도의 향상이 기대되며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한 인력수급변화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the assembly process is automated, production speed is expected to increase compared to manual work, and the impact of changes in labor supply and demand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can be minimized.

소조립 공정의 스마트화에 따라, 작업 실적 집계 및 자재 관리 등 공정관리에 용이하다.As the assembly process becomes smarter, it is easy to manage the process, such as compiling work performance and managing materials.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coming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embrac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110: 주판 이송장치 111: 제1 갠트리
1112: 제1 수평빔 113: 제1 수평이동 블록
114: 제1 수직빔 115: 결합 플레이트
116: 주판 결합부 117: 제1 카메라
120: 소부재 이송장치 121: 레일 주행부
123: 클램프암 125: 팔레트 클램프
127: 제2 카메라
130: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 131: 제2 갠트리
1312: 제2 수평빔 133: 제2 수평이동 블록
134: 제2 수직빔 135: 소부재 클램프
136: 회전부 137: 틸팅부
138: 탄성부 139: 용접장치
141: 제1 레일 142: 제2 레일
150: 작업대 153: 주판 적치장
155: 소부재 준비대 10: 주판
20: 소부재 21: 소부재 팔레트
100: Small assembly and installation automation system
110: Abacus transport device 111: First gantry
1112: 1st horizontal beam 113: 1st horizontal movement block
114: First vertical beam 115: Joining plate
116: Abacus joint 117: First camera
120: Small-scale transport device 121: Rail travel unit
123: Clamp arm 125: Pallet clamp
127: Second camera
130: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for subassemblies 131: Second gantry
1312: 2nd horizontal beam 133: 2nd horizontal movement block
134: 2nd vertical beam 135: Sub-assembly clamp
136: Rotating part 137: Tilting part
138: Elastic part 139: Welding device
141: 1st rail 142: 2nd rail
150: Workbench 153: Abacus storage area
155: Preparatory Unit for Absence 10: Abacus
20: Absence 21: Absence Palette

Claims (17)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제1 방향에 위치하는 주판 적치장;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까지 연장된 제1 레일;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주판 적치장에서 상기 작업대에 주판을 이송하는 주판 이송장치;
상기 작업대의 측방향에 위치하는 소부재 준비대에 상기 주판에 상응하는 소부재를 이송하는 소부재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를 상기 주판 상에 배치하는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 및
상기 주판 이송장치,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 및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bench;
A board storage area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above workbench;
A first rail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above workbench and extending to the above abacus storage area;
An abacus transport device that moves along the first rail and transports the abacus from the abacus storage yard to the workbench;
A small-part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a small-part corresponding to the main plate to a small-part preparation stand located laterally on the above worktable;
A device for arranging and attaching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ies on the above-mentioned main board; and
An automated subassembly and attachment system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above-mentioned plate transport device,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and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arrangement and attach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판 이송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1 갠트리;
상기 제1 갠트리의 제1 수평빔에 수직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판이 부착되는 주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bacus transport device
A first gantry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coupling plate vertically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horizontal beam of the first gantry; and
A subassembly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abacus join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joining plate and to which the abacus is attach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빔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joining plate moves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long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bea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판 결합부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자동화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A subassembly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acus coupling part includes an electro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판 이송장치는 상기 제1 갠트리 하부에 위치하는 주판을 인식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인식한 주판의 위치, 크기를 기초로 상기 주판 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abacus transport device includes a first camera that recognizes the abacus located below the first gantry,
A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bacus transport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bacu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인식한 주판에 결합할 소부재를 상기 소부재 준비대로 이송하도록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자동화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above control unit
A subassembly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subassembly transport device to transport the subassembly to be combined with the abacus recognized by the first camera to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가 이동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소부재 준비대는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It includes a second rail that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rail and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in which the small-material transport device moves.
An automated subassembly and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ail and the second rai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재 이송장치는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레일 주행부;
상기 레일 주행부에서 연장된 클램프암(clamp arm); 및
상기 클램프암의 단부에 연결된 팔레트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7,
The above-mentioned small and medium-sized transport device
A rail driving unit that moves along the second rail;
A clamp arm extended from the above rail running section; and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allet clamp connected to an end of the clamp ar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클램프는 상기 클램프암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수직방향으로 높이가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8,
A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pallet clamp is horizontally movable along the above clamp arm and has a variabl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암은 상기 레일 주행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8,
A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mp arm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ail driving s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는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갠트리;
상기 제2 갠트리의 제2 수평빔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평이동블록;
상기 수평이동블록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직빔; 및
상기 수직빔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부재 준비대에 거치된 소부재를 잡는 소부재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rrangement of the subassemblies and attachment devices
A second gantry moving along the first rail;
A horizontal movement block that is horizontally movably connected to the second horizontal beam of the second gantry;
A vertical beam that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block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bassembly clamp positioned below the vertical beam and configured to hold a subassembly placed on the subassembly preparation sta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빔과 상기 소부재 클램프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1,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otating part positioned between the vertical beam and the subassembly clamp.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재 클램프는
중앙에 위치하는 틸팅부; 및
상기 틸팅부의 좌우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포함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1,
The above-mentioned sub-clamp
A tilting part located in the center; and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including elastic membe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mentioned tilting memb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재 클램프는 한 쌍을 포함하며 수평방향으로 간격이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1,
An automated subassembly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subassembly clamps include a pair and have variable horizontal spac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부재 배열 및 취부장치는
상기 수직빔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잡고 있는 소부재와 주판의 결합부를 취부용접하는 용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1,
The above arrangement of the subassemblies and attachment devices
A subassembly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elding devic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beam and welding the joint between the subassembly member held by the subassembly member clamp and the main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는 상기 소부재와 상기 주판의 결합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용접부 이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5,
A subassembly and attachment autom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device includes a welding part moving device that can move along the joint of the sub-assembly and the main plat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는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상기 소부재를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1차 취부용접 후
상기 소부재 클램프가 상기 소부재의 클램핑 해제 상태에서 2차 취부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조립 취부 자동화 시스템.
In Article 15,
The above welding device
After the first attachment welding,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clamp is clamping the above-mentioned sub-assembly.
An automated subassembly and attach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assembly clamp performs secondary attachment welding while the subassembly is in a clamping release state.
KR1020230054952A 2023-04-26 2023-04-26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Pending KR202401580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52A KR20240158054A (en) 2023-04-26 2023-04-26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52A KR20240158054A (en) 2023-04-26 2023-04-26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8054A true KR20240158054A (en) 2024-11-04

Family

ID=9345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952A Pending KR20240158054A (en) 2023-04-26 2023-04-26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805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09778B (en)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the position of plate-shaped parts
JP4546964B2 (en) Laser processing equipment for integrated loading / unloading of workpieces
US8544159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parts using a manufacturing cell
CN107994494A (en) A kind of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ssembling high-tension switch cabinet
EP1473214A1 (en) Vehicle body assembling method
CN103464913A (en) Middle trough welding system
KR101873304B1 (en) Auto welding system for rack with high precision
JPH06226494A (en) Automatic welding method for steel-frame joints parts and equipment therefor
MXPA98000433A (en) Process for cutting and / or welding metal sheet and installation to implement tal proc
US11618180B2 (en) System for manufacture of roof trusses or equivalent structures
JP3364464B2 (en) Automatic processing equipment
CN114012324B (en) Full-automatic reinforcing steel bar sheet forming production line and using method thereof
KR20240158054A (en) Automation system for mounting of sub-assembly
CN207853292U (en) A kind of system of automatic assembling high-tension switch cabinet
JP2002239787A (en) Welding method and welding system
CN110446419B (en) In-line automatic placement equipment, system and method
CN216633140U (en) Full-automatic forming production line for steel bar sheet
KR101779142B1 (en) Consistent manufacturing facility for transporting boxes
KR102479596B1 (en) Automatic manufacturing system of blanks
JP2002239729A (en) Welding method and welding system
CN114918585B (en) Welding system for pallet fork fixture of carrier
CN119522149A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workpieces
CN116618894A (en) Automatic welding production line and production method for movable arm of excavator
CN212314905U (en) Multi-station automatic measuring equipment
EP4415937A1 (en) A machine for assembling wooden floorplates, wooden fences or wooden pack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