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7415A - Airbag cushion Protector - Google Patents

Airbag cushion Prot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7415A
KR20240157415A KR1020230054211A KR20230054211A KR20240157415A KR 20240157415 A KR20240157415 A KR 20240157415A KR 1020230054211 A KR1020230054211 A KR 1020230054211A KR 20230054211 A KR20230054211 A KR 20230054211A KR 20240157415 A KR20240157415 A KR 2024015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inflator
gas discharge
hole
prot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이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7415A/en
Publication of KR2024015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7415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021/2172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the cover being connected to the surrounding part and to the module, e.g. floating mou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형성되어 인플레이터의 스터드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 및 통공에 형성되어 스터드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립돌기, 인플레이터의 가스토출부를 감싸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 쿠션은 가스토출부를 감싸는 덮개부에 의해 고온, 고압의 가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coupled to an inflator,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through which a stud of the inflator can pass, an assembly projection formed in the through hole to restrict movement of the stud,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a gas discharge portion of the infl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bag cushion can be protected from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by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gas discharge portion.

Description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Airbag cushion Protector}Airbag cushion protector {Airbag cushion Protector}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작동 시 분사되는 가스로부터 에어백 쿠션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bag cushion protector for protecting an airbag cushion from gas injected when an airbag is activated.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사고 발생 시 충돌센서의 신호에 따라 가스가 순식간에 분출되어 수축되어 있던 에어백 쿠션이 급속히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운전자 에어백 장치, 글로브박스의 상측에 장착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시트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airbag devices protect passengers by rapidly expanding the airbag cushion that had been contracted by instantly releasing gas in response to a signal from a crash sensor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These airbag devices may include a driver airbag device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a passenger airbag device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love box, and a side airbag device mounted on the side of the seat.

그 중,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이 시트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팽창 전개되어 가슴에서 엉덩이에 이르는 탑승자의 측면을 차량의 도어 구조물로부터 보호하는 장치이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Cushion), 에어백 쿠션을 팽창시키도록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Inflator) 및 인플레이터를 지지하며, 에어백 쿠션에 인플레이터를 고정시키는 프로텍터(Pro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Among these, the side airbag device is a device in which the airbag cushion is inflated and deployed forward from the side of the seat to protect the side of the passenger from the chest to the buttocks from the door structure of the vehicle. The side airbag device may include an airbag cushion, an inflator that supplies gas to the inside of the airbag cushion to inflate the airbag cushion, and a protector that supports the inflator and secures the inflator to the airbag cushion.

특히,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서 생성되어 가스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직접 접촉하여 에어백 쿠션에 멜팅홀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 쿠션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에 결합되어 인플레이터의 가스토출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된다.In particular, the protector serves to protect the airbag cushion so that 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in the inflator and discharged from the gas discharge port does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airbag cushion,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melting hole in the airbag cushion. This protector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connected to the inflator and surrounds the gas discharge port of the inflator.

종래의 프로텍터는 가스토출부의 일부만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프로텍터가 가스토출부를 감싸지 못하는 부분은 디퓨저백 및 히트실드를 사용하여 보호하거나, 에어백 쿠션의 직물재질을 여러 겹 덧대는 방식으로 보호를 하는 실정이다. 디퓨져백과 같은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여 에어백 장치를 생산할 경우 생산단가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다. Conventional protectors have a shape that covers only a part of the gas discharge part. The part that the protector does not cover the gas discharge part is protected by using a diffuser bag and a heat shield, or by adding multiple layers of fabric material to the airbag cushion. If an airbag device is produced by adding a separate component such as a diffuser bag,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퓨저백 및 히트실드와 같은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인플레이터에서 토출되는 가스로부터 에어백 쿠션을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capable of protecting an airbag cushion from gas discharged from an inflator without adding separate components such as a diffuser bag and a heat shiel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플레이터에 프로텍터가 결합되어 인플레이터에서 가스토출시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 which a protector is coupled to an inflator to prevent the prot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flator when gas i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in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플레이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토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토출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직접 분사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cluding: a housing coupled to an inflator; a co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to surround a gas discharge portion of the inflator and prevent discharged gas from being directly sprayed onto an airbag cushion;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형성되는 스터드가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a stud formed in the inflator may pass.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cover portion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s below the lower end of the inflator.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일면이 폐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덮개부의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양면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cover part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dispo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protrudes is closed. Alternatively, both sides of the cover par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may be formed so as to be open.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스토출부를 감싸는 면이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cover part may be formed so that the surface surrounding the gas discharge part is tap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protrudes.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통공에는 조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n assembly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hole formed in the housing.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형성된 상기 스터드가 상기 조립돌기를 밀면서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assembly protrus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stud formed on the inflator is coupled by pushing the assembly protrusion.

상기 통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hole can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상기 통공에 형성된 조립돌기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assembly protrusions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hole can be formed so that a pair faces each other.

상기 조립돌기는 적어도 일면에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assembly protrusion can be formed to have a curved shape on at least one side.

상기 통공은 장공 형상으로서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hole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and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so that one side is open.

일측면이 개방되게 연장된 상기 통공에는 복수의 조립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can be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hole extended so that one side is op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플레이터의 가스토출부를 감싸도록 덮개부가 형성되어 디퓨저백 및 히트실드와 같은 별도의 구성 없이 에어백 쿠션을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portion is formed to surround a gas discharge portion of an inflator, thereby protecting an airbag cushion from gas without separate components such as a diffuser bag and a heat shiel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 및 통공에 형성된 조립돌기를 통해 인플레이터의 스터드가 결합되므로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ud of the inflator is coupl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assembly protrusion formed in the hole, the prote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inflator.

본 발명의 다양하고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arious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와 인플레이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와 인플레이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의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nd an inflator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mbined appearance of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nd an infl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erforation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ugh hole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erforation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Als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we say "connected," this does not only mean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that they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well as physically connected, or that they are referred to by different names depending on location or function but are one.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above or below,”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와 인플레이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nd an inflator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는 인플레이터(50)에 결합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일측에 배치된 덮개부(20) 및 하우징에 형성된 통공(30)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0)는 인플레이터(50)의 가스토출부(51)를 감싸는 형태로서 고온, 고압의 가스에 의해 에어백 쿠션에 멜팅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 coupled to an inflator (50), a cover part (20) arrang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a hole (30) formed in the housing. The cover part (20) is formed to surround a gas discharge part (51) of the inflator (50) and can prevent a melting hole from being formed in the airbag cushion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gas.

여기서 가스토출부(51)는 일반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방사방향으로 가스가 토출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20)의 형상은 해당 가스토출부(51)의 방사방향을 따라 가스토출부(51)를 감싸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덮개부(20)의 형상을 원기둥 형태로 예시하였으나, 덮개부(20)의 형상은 가스토출부(51)의 방사방향을 모두 감싸는 구조이기만 하면 그 형태에 제한이 없다.Here,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generally has a cylindrical shape and gas is discharged in a radial direction. Therefore,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20)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In this embodiment,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20) is exemplified as a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2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entire radial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덮개부(20)가 하우징(10)과 접하는 면의 단면적은 가스토출부(51)에서 토출된 가스가 원활하게 에어백 쿠션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인플레이터 몸체(52)의 횡방향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덮개부(20)는 인플레이터 몸체(52)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출된 가스는 인플레이터 몸체(52)의 하단과 덮개부(20)의 하단 사이 공간을 통해 에어백 쿠션을 전개시킬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rface where the cover part (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using (10) may be formed to have a wid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flator body (52) so that the gas discharged from the gas discharge part (51) can flow smoothly into the airbag cushion. Referring to FIG. 2, the cover part (20)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flator body (52), and thus the discharged gas can deploy the airbag cushion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inflator body (52) and the lower end of the cover part (20).

덮개부(20)는 인플레이터(50)의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방향에 배치된 일면이 폐쇄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스토출부(51)를 통해 토출된 가스는 인플레이터의 몸체(5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20) may have a closed shape on one sid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51) of the inflator (50) protrudes. In this case,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part (51) can move toward the body (52) of the inflator.

덮개부(20)는 인플레이터(50)의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방향에 배치된 일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토출부(51)를 통해 토출된 가스는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방향 및 인플레이터의 몸체(52) 방향 모두로 이동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20) may be formed so that one side thereof, which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51) of the inflator (50) protrudes, is open. In this case, the gas discharged through the gas discharge part (51) can move in bo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51) protrudes and the direction of the body (52) of the inflator.

이와 같이, 덮개부(20)의 일면을 폐쇄하거나 양면을 개구되도록 하여 가스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으며, 에어백 쿠션의 전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ath of gas movement can be controlled by closing one side of the cover part (20) or opening both sides, and the direction of deployment of the airbag cushion can be adjusted.

하우징(10)에 형성된 통공(30)은 인플레이터(50)에 형성된 스터드(4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다. 스터드(40)는 통공(30)을 관통하여 차체 프레임 또는 에어백 모듈의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통공(30)은 스터드(40)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플레이터(50)에서 가스토출시 프로텍터가 인플레이터(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30) formed in the housing (10) is a hole through which the stud (40) formed in the inflator (50) can pass. The stud (40) can be connected to the housing of the body frame or the airbag module by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30).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30) can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tud (40). Through this, the prote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flator (50) when gas is discharged from the inflator (50).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와 인플레이터가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nd an inflator combin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덮개부(20)는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방향으로 테이퍼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over part (20) of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ructure tap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51) protrudes.

덮개부(20)가 테이퍼진 구조를 가질 경우, 가스토출부(51)에서 방사방향으로 토출된 가스는 덮개부(20)에 있는 경사를 따라 덮개부(20)의 전, 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4에 표시된 화살표는 이러한 가스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테이퍼진 구조를 통해 프로텍터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에어백 쿠션이 빠르게 전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cover part (20) has a tapered structure, the gas discharged radially from the gas discharge part (51) can easi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slope of the cover part (20). The arrows shown in Fig. 4 indicat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gas. Through the tapered structur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otector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 of the airbag cushion being rapidly deployed can be obtained.

덮개부(20)의 테이퍼진 구조는 원뿔의 일부분과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반구의 일부분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덮개부(20)의 테이퍼진 구조는 그 규격에 제한이 없으며, 토출된 가스가 용이하게 에어백 쿠션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pered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20) may have a shape like a portion of a cone, or alternatively, may have a shape like a portion of a hemisphere. The tapered structure of the cover portion (20) is not limited in its size, and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allows the discharged gas to easily move to the airbag cush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5 is a drawing illustrating a perforation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하우징(10)은 인플레이터(50)에 형성된 스터드(40)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3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housing (10) of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through hole (30) through which a stud (40) formed in an inflator (50) can pass.

통공(30)은 장공형상일 수 있으며, 통공(30)에는 스터드(40)의 이동을 구속하는 조립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립돌기(31)는 스터드(40)에 의해 밀어지면서 스터드(40)가 통공(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hrough hole (30) may be in the shape of a hole, and an assembly projection (31) that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stud (40) may be formed in the through hole (30). The assembly projection (31) is pushed by the stud (40) so that the stud (40) can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0).

조립돌기(31)는 적어도 일면에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인해 스터드(40)가 조립돌기(31)를 밀며 결합할 때, 조립돌기(31)가 휘어들어가며 스터드(40)가 용이하게 통공(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립돌기(31)의 형상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스터드(40)가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assembly protrusion (31) may have a curved shape on at least one side, and thus, when the stud (40) pushes against the assembly protrusion (31) and is coupled, the assembly protrusion (31) may bend, allowing the stud (40) to be easily coupled to the hole (30).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assembly protrusion (31), and any structure in which the stud (40) is coupled and movement can be restricted may be inclu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의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through hole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하우징(10)에 형성된 통공(30)에는 한 쌍의 조립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pair of assembly protrusions (131) may be formed in a hole (30) formed in a housing (10) of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한 쌍의 조립돌기(131)는 마주보는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립돌기(131)는 적어도 일면에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조립돌기(131)가 마주보면서 동시에 스터드(40)를 구속하여 하우징(10)과 스터드(4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A pair of assembly protrusions (131) can be arranged in a facing manner, and the assembly protrusions (131) can include a curved surface on at least one side. When a pair of assembly protrusions (131) face each other, they can simultaneously restrain the stud (40)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10) and the stud (4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에 형성된 통공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7 is a drawing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perforation formed in an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하우징(10)에 형성된 통공(30)은 장공형상으로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erforation (30) formed in the housing (10) of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and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s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통공(30)은 가스토출부(51)가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인플레이터(50)에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결합할 시, 인플레이터(50)의 길이방향으로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를 밀어 넣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통공(30)이 개방된 면에 스터드(40)를 위치하게 하고 단순히 밀어 넣기만 하면 되어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의 결합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The perforation (30) may be exten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rotrus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51), and may have an open shape in the extended direction. In this case, when attaching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to the inflator (50), a method of pushing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50) may be adopte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ttachment of the airbag cushion protector is simplified by simply positioning the stud (40) on the surface where the perforation (30) is open and simply pushing it in.

본 실시예의 경우 연장된 통공(30)에 복수개의 조립돌기(231)가 형성되어 스터드(40)와 하우징(1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통공(30)에 형성된 조립돌기(231)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으며, 통공(30)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조립돌기(231)의 형상 및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며, 스터드(40)가 결합되어 이동이 구속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231) are formed in the extended hole (30) to firmly connect the stud (40) and the housing (10). The assembly protrusions (231) formed in the hole (30) may face each other, and may be formed in a parallel manner with a space between them on one side of the hole (30).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assembly protrusions (231), and any structure in which the stud (40) is connected and movement is restricted may be inclu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 : 하우징
20 : 덮개부
30 : 통공
31 : 조립돌기
131 : 조립돌기
231 : 조립돌기
40 : 스터드
50 : 인플레이터
51 : 가스토출부
52 : 인플레이터 몸체
10 : Housing
20 : Cover
30 : Public
31: Assembly protrusion
131 : Assembly protrusion
231 : Assembly protrusion
40 : Stud
50 : Inflator
51: Gas discharge part
52: Inflator body

Claims (9)

인플레이터에 결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토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토출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에 직접 분사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a housing coupled to the inflator; and
A cover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bove housing to cover the gas discharge part of the inflator and prevent the discharged gas from being directly sprayed onto the airbag cushion;
Airbag cushion protecto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형성되는 스터드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the first paragraph,
An airbag cushion protecto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through which a stud formed in the inflator penetrat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하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over portion i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formed b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infla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에 배치된 일면은 폐쇄되어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ver part i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formed by having one side positio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protrudes clos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양면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ver part i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formed so that both sid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flator are open.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가스토출부를 감싸는 면이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either of paragraphs 4 and 5,
The above cover part is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 which the surface covering the gas discharge part is formed to be tap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discharge part protrud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에는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결합 시 상기 조립돌기가 상기 스터드에 의해 일방으로 밀어지면서 결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인플레이터와 상기 하우징이 결합된 후 상기 스터드의 이동을 구속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Article 6,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 which an assembly projection is formed in the above hole so that when the inflator and the housing are combined, the assembly projection is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stud and combined, and the assembly projection restricts movement of the stud after the inflator and the housing are combin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며, 상기 조립돌기는 적어도 일면에 곡면 형상을 가지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Article 7,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hole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the above-mentioned assembly protrusions are formed in a pair facing each other, and the above-mentioned assembly protrusions have a curved shape on at least one sid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스토출부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반향으로 연장되어 일측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복수개의 상기 조립돌기가 형성되는 에어백 쿠션 프로텍터.
In Article 8,
An airbag cushion protector in which the above-mentioned hole is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s formed so that one side is open by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gas discharge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assembly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above-mentioned hole.
KR1020230054211A 2023-04-25 2023-04-25 Airbag cushion Protector Pending KR2024015741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11A KR20240157415A (en) 2023-04-25 2023-04-25 Airbag cushion Pro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211A KR20240157415A (en) 2023-04-25 2023-04-25 Airbag cushion Prot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7415A true KR20240157415A (en) 2024-11-01

Family

ID=9345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211A Pending KR20240157415A (en) 2023-04-25 2023-04-25 Airbag cushion Prot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741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5705B2 (en) Roof airbag apparatus
US8480124B2 (en) Seat bolster chamber
US8491002B2 (en) Airbag covers, airbag modules including such covers, and methods of making airbag covers for use with airbag modules
US10173630B2 (en) Airbag device
US20080082236A1 (en) Airbag apparatus
KR20200029022A (en) Passenger protection
US20080106128A1 (en) Airbag for side collision, airbag device for side collision, and vehicle seat
US7398992B2 (en) Air bag
KR20000069038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crew member of automobile when collision of side portion thereof occurs
KR20150054575A (en) Airbag Of Vehicle
WO2019179848A1 (en) Airbag module, steering wheel and motor vehicle
CN112550203B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20030189320A1 (en) Air bag cushion energy diverter
KR20130083264A (en) Passenger air bag module
KR20240157415A (en) Airbag cushion Protector
KR100503296B1 (en) Side air bag
US20150054262A1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US7178827B2 (en) Occupant ejection prevention assembly
KR20150054573A (en) Airbag Of Vehicle
US20070057498A1 (en) Airbag device
KR102785651B1 (en)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KR102742146B1 (en) Side airbag device for seat
US7118128B2 (en) Low leakage airbag module
KR20080008460A (en) Cushion of airbag unit
KR100503297B1 (en) Side air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