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7033A -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7033A KR20240157033A KR1020247030230A KR20247030230A KR20240157033A KR 20240157033 A KR20240157033 A KR 20240157033A KR 1020247030230 A KR1020247030230 A KR 1020247030230A KR 20247030230 A KR20247030230 A KR 20247030230A KR 20240157033 A KR20240157033 A KR 202401570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ci state
- tci
- terminal
- coreset
- tr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복수의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중의 CORESET 에서 제1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을 포함하는 제1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에서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상태 (state) 인덱스를 상기 CORESET 과 상기 제1 DCI 에 포함된 TCI 필드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 (unified TCI state) 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의 빔 관리 동작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빔 할당 관련 기술에서는, 매체 접근 제어-제어 요소(MAC-CE) 신호 전송 지연보다 빠르게 빔 변경을 지시하는 것이 어렵고, 탐색 공간 특성에 관계없이 각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 동일한 빔이 집단적으로 적용되는 단점으로 인해 유연한 PDCCH 빔 운영을 달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각 CORESET에 동일한 빔을 적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유연한 PDCCH 빔 구성 및 운영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게다가, 기존의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기술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빔 제어 및 빔 변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지만, 이는 단일 송수신 포인트(TRP)와 단말 간의 통신을 전제로 하고 있어, 다수의 TRP와 단말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다중 TRP 시스템에는 적용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공통 빔 제어 기반 빔 제어 기술에서는 TCI 상태 업데이트 지시를 위한 ACK 정보를 통해 빔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므로, 빔 제어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단일 TRP뿐만 아니라 다중 TRP를 고려한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개시는 적어도 상기 언급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을 해결하고, 아래에 설명된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개시의 한 측면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빔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다중 TRP 기반 시스템에서 빔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한 측면은 다중 TRP 운영 모드에서 단말에 대해 기지국 또는 TRP가 공통 빔 기반 빔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 동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은 다수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 중 하나의 CORESET에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포함하는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 CORESET과 제1 DCI에 포함된 전송 구성 지시(TCI) 필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TCI 상태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송수신기 및 송수신기와 결합되고, 다수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 중 하나의 CORESET에서 제1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포함하는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고, CORESET과 제1 DCI에 포함된 전송 구성 지시(TCI) 필드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를 식별하고,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TCI 상태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한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수행하는 방법은 DCI에 포함된 TCI 필드와 다수의 CORESET에 포함된 CORESET을 식별하는 단계, 여기서 TCI 필드와 CORESET이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와 관련됨, CORESET에서 TCI 필드를 포함한 DCI를 포함하는 제1 PDCCH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TCI 상태와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은 송수신기 및 송수신기와 결합되고, DCI에 포함된 TCI 필드와 다수의 CORESET에 포함된 CORESET을 식별하고, 여기서 TCI 필드와 CORESET이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와 관련됨, CORESET에서 TCI 필드를 포함한 DCI를 포함하는 제1 PDCCH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TCI 상태와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중 TRP 기반 시스템에서 빔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제어영역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설정에 따른 기지국 빔 할당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TCI state 할당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CORESET(control resource set) 및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빔 설정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구성 및 자원 할당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 값이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 값이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I을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하나의 공통 빔이 사용되는 경우, DCI을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bits의 TCI field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TRP 별 후보 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RESET 별 TCI 필드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state 지시 및 업데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19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20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제어영역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설정에 따른 기지국 빔 할당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TCI state 할당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CORESET(control resource set) 및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빔 설정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구성 및 자원 할당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 값이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 값이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I을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하나의 공통 빔이 사용되는 경우, DCI을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bits의 TCI field을 통해 표현할 수 있는 TRP 별 후보 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RESET 별 TCI 필드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state 지시 및 업데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19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20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또는 LTE-A 시스템을 일예로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의 5G는 기존의 LTE, LTE-A 및 유사한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plink; UL)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User Equipment) 또는 MS(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또는 base station(BS))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통상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기계형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초신뢰 저지연 통신(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등이 있다.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한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한다. 또한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된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를 요구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라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 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갖는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ransmit Time Interval, TTI)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될 수 있다.
5G의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5G는 전술한 세가지 서비스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가로축은 시간 영역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시간 및 주파수 영역에서 자원의 기본 단위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 101)로서 시간 축으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102) 및 주파수 축으로 1 부반송파(Subcarrier)(103)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 (일례로 12)개의 연속된 RE들은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104)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영역에서 개의 연속된 OFDM 심볼들은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 11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프레임(Frame, 200), 서브프레임(Subframe, 201), 슬롯(Slot, 202) 구조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1 프레임(200)은 10ms로 정의될 수 있다. 1 서브프레임(201)은 1ms로 정의될 수 있으며, 따라서 1 프레임(200)은 총 10개의 서브프레임(201)으로 구성될 수 있다. 1 슬롯(202, 203)은 14개의 OFDM 심볼로 정의될 수 있다(즉 1 슬롯 당 심볼 수()=14). 1 서브프레임(201)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슬롯(202, 20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1 서브프레임(201)당 슬롯(202, 203)의 개수는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설정 값 μ(204, 205)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도 2의 일 예에서는 부반송파 간격 설정 값으로 μ=0(204)인 경우와 μ=1(205)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μ=0(204)일 경우, 1 서브프레임(201)은 1개의 슬롯(202)으로 구성될 수 있고, μ=1(205)일 경우, 1 서브프레임(201)은 2개의 슬롯(2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부반송파 간격에 대한 설정 값 μ에 따라 1 서브프레임 당 슬롯 수()가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 1 프레임 당 슬롯 수()가 달라질 수 있다. 각 부반송파 간격 설정 μ에 따른 및 는 하기의 표 1로 정의될 수 있다.
[표 1]
도 3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의 제어영역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파수 축으로 단말의 대역폭부분(UE bandwidth part)(310), 시간축으로 1 슬롯(320) 내에 2개의 제어영역(제어영역#1(301), 제어영역#2(302))이 설정되어 있는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영역(301, 302)는 주파수 축으로 전체 단말 대역폭부분(310) 내에서 특정 주파수 자원(303)에 설정될 수 있다. 시간 축으로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OFDM 심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를 제어영역 길이(Control Resource Set Duration, 304)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의 도시된 예를 참조하면, 제어영역#1(301)은 2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제어영역#2(302)는 1 심볼의 제어영역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제어영역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MIB(Master Information Block),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단말에게 제어영역을 설정한다는 것은 제어영역 식별자(Identity), 제어영역의 주파수 위치, 제어영역의 심볼 길이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하기 표 2의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 2]
표 2에서 tci-StatesPDCCH(간단히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로 명명함) 설정 정보는, 대응되는 제어영역에서 전송되는 DMRS와 QCL(Quasi Co Located) 관계에 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S(Synchronization Signal)/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Block) 인덱스 또는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인덱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state 설정에 따른 기지국 빔 할당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서로 다른 N개의 빔에 대한 정보를 서로 다른 N개의 TCI state들을 통하여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3인 경우, 기지국은 세 개의 TCI states(400, 405, 410)에 포함되는 qcl-Type2 파라미터가 서로 다른 빔에 해당하는 CSI-RS 혹은 SSB에 연관되며 QCL type D로 설정되도록 하여 상기 서로 다른 TCI state 400, 405, 혹은 410을 참조하는 안테나 포트들이 서로 다른 spatial Rx parameter 즉 서로 다른 빔과 연관되어 있음을 공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TCI state 할당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시스템)에서는 PDCCH 빔에 대한 동적 할당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 시그널링 방법을 지원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RRC 시그날링(500)을 통하여 N개의 TCI states(505, 510, ..., 520)들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 중 일부를 CORESET을 위한 TCI state로 설정할 수 있다(525). 이후 기지국은 CORESET을 위한 TCI states(530, 535, 540) 중 하나를 MAC CE 시그날링을 통하여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545). 이후 단말은 상기 MAC CE 시그날링에 의해 지시되는 TCI state가 포함하는 빔 정보를 기반으로 PDCCH를 수신한다.
도 6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CORESET(control resource set) 및 탐색 공간(search space)의 빔 설정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CORESET(예를 들어, CORESET #1)(600)에 대한 설정에 포함되는 TCI state list 중 하나(예를 들어, TCI state #1)(605)를 MAC CE 시그널링을 통하여 지시할 수 있다. 이후 또 다른 MAC CE 시그널링을 통하여 다른 TCI state가 해당 CORESET에 지시되기 전까지, 단말은 상기 CORESET(60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search space(610, 615, 620)에는 모두 같은 QCL 정보(beam #1)가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설명한 PDCCH beam 할당 방법은 MAC CE 시그널링 delay보다 빠른 빔 변경을 지시하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search space 특성에 관계없이 CORESET 별로 모두 같은 빔을 일괄 적용하게 되는 단점이 있어 유연한 PDCCH beam 운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 들에서는 보다 유연한 PDCCH beam 설정 및 운용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특정 CORESET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TCI state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TCI state 중에서 하나를 MAC CE 활성화 명령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1에 TCI state로 {TCI state#0, TCI state#1, TCI state#2}가 설정되어 있고, 기지국은 MAC CE를 통해 CORESET #1에 대한 TCI state로 TCI state#0을 가정하도록 활성화하는 명령을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MAC CE로 수신한 TCI state에 대한 활성화 명령에 기반하여, 활성화된 TCI state 내의 QCL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CORESET의 DMRS를 올바르게 수신할 수 있다.
인덱스가 0으로 설정된 CORESET(CORESET #0)에 대하여, 만약 단말이 CORESET #0의 TCI state에 대한 MAC CE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단말은 CORESET #0에서 전송되는 DMRS에 대하여 초기 접속 과정 또는 PDCCH 명령으로 트리거(Trigger)되지 않은 비컨텐션(Non-contention) 기반 랜덤 엑세스 과정에서 식별된 SS/PBCH 블록과 QCL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인덱스가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설정된 CORESET(CORESET #X)에 대하여, 만약 단말이 CORESET #X에 대한 TCI state를 설정 받지 못했거나, 하나 이상의 TCI state를 설정 받았지만 이 중 하나를 활성화하는 MAC CE 활성화 명령을 수신하지 못하였다면, 단말은 CORESET #X에서 전송되는 DMRS에 대하여 초기 접속 과정에서 식별된 SS/PBCH 블록과 QCL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셀, 캐리어 집성(carrier aggregation),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경우 기지국과 단말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725, 770), NR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730, 765), NR RLC(Radio Link Control 735, 760), NR MAC(Medium Access Control 740, 7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NR SDAP(725, 770)의 주요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기능(transfer of user plane data),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의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a QoS flow and a DRB for both DL and UL),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 대해서 QoS flow ID의 마킹 기능(marking QoS flow ID in both DL and UL packets), 및 상향 링크 SDAP PDU들에 대해서 reflective QoS flow를 데이터 베어러에 맵핑시키는 기능(reflective QoS flow to DRB mapping for the UL SDAP PD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SDAP 계층 장치에 대해 단말은 RRC 메시지로 각 PDCP 계층 장치 별로 혹은 베어러 별로 혹은 로지컬 채널 별로 SDAP 계층 장치의 헤더를 사용할 지 여부 혹은 SDAP 계층 장치의 기능을 사용할 지 여부를 설정 받을 수 있으며, SDAP 헤더가 설정된 경우, SDAP 헤더의 N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NAS reflective QoS)와 AS QoS 반영 설정 1비트 지시자(AS reflective QoS)에게 단말이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의 QoS flow와 데이터 베어러에 대한 맵핑 정보를 갱신 혹은 재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DAP 헤더는 QoS를 나타내는 QoS flow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QoS 정보는 원할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우선 순위, 스케쥴링 정보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NR PDCP(730, 765)의 주요 기능은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ser data),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및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초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바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735, 760)의 주요 기능은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및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의미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740, 755)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단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및 패딩 기능(Padd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NR PHY 계층(745, 750)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캐리어(혹은 셀) 운영 방식에 따라 세부 구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기지국이 단일 캐리어(혹은 셀)을 기반으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및 단말은 700과 같이 각 계층 별 단일 구조를 가지는 프로토콜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반면 기지국이 단일 TRP에서 다중 캐리어를 사용하는 CA(carrier aggregation)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및 단말은 710과 같이 RLC 까지는 단일 구조를 갖지만 MAC layer를 통하여 PHY layer를 multiplexing 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또 다른 예시로 기지국이 다중 TRP에서 다중 캐리어를 사용하는 DC(dual connectivity)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 및 단말은 720과 같이 RLC 까지는 단일 구조를 가지지만 MAC layer를 통하여 PHY layer를 multiplexing 하는 프로토콜 구조를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은 달리 높은 전송속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뿐만 아니라 매우 짧은 전송 지연을 갖는 서비스 및 높은 연결 밀도를 요구하는 서비스를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다수의 셀들,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들, 또는 빔들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각 셀, TRP 또는/및 빔 간의 협력 통신(coordinated transmission)은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를 늘리거나 각 셀, TRP 또는/및 빔 간 간섭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다양한 서비스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합동 전송(Joint Transmission: JT)은 상술한 협력 통신을 위한 대표적인 전송 기술로서 하나의 단말에게 다수의 서로 다른 셀들, TRP들 또는/및 빔들을 통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이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 또는 처리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이 때 각 셀, TRP 또는/및 빔과 단말 간 채널은 그 특성이 크게 다를 수 있으며, 특히 각 셀, TRP 또는/및 빔 간 비-코히런트(Non-coherent) 프리코딩(precoding)을 지원하는 비-코히런트 합동 전송(NC-JT, Non-Coherent Joint Transmission)의 경우 각 셀, TRP 또는/및 빔과 단말 간 링크 별 채널 특성에 따라 개별적인 프리코딩, MCS, 자원 할당, TCI 지시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NC-JT 전송은 PDSCH, PDCCH,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중 적어도 한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PDSCH 전송 시 프리코딩, MCS, 자원 할당, TCI 등의 전송 정보는 DL DCI로 지시되며, NC-JT 전송을 위해서는 상기 전송 정보가 셀, TRP 또는/및 빔 별로 독립적으로 지시되어야 한다. 이는 DL DCI 전송에 필요한 페이로드(payload)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며, 이는 DCI를 전송하는 PDCCH의 수신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PDSCH의 JT 지원을 위하여 DCI 정보량과 제어 정보 수신 성능 간 트레이드 오프(tradeoff)를 주의 깊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를 전송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 구성 및 자원 할당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를 참조하면, 각 셀, TRP 또는/및 빔 간 코히런트(Coherent) 프리코딩을 지원하는 코히런트 합동 전송(Coherent Joint Transmission, C-JT)에 대한 예시(800)가 도시된다.
C-JT의 경우에, TRP A(805) 및 TRP B(810)가 단일 데이터(PDSCH)를 단말(815)에게 전송하며, 다수의 TRP들에서 합동(joint) 프리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TRP A(805) 및 TRP B(810)가 동일한 PDSCH을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DMRS 포트들을 통해 DMRS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RP A(805) 및 TRP B(810) 각각은 DMRS port A 및 DMRS B를 통해 단말에게 DM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말은 DMRS port A 및 DMRS B를 통해 전송되는 DMRS에 기초하여 복조되는 하나의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DCI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PDSCH 전송을 위해 각 셀, TRP 또는/및 빔 간 비-코히런트(Non-coherent) 프리코딩을 지원하는 비-코히런트 합동 전송(Non-Coherent Joint Transmission, NC-JT)의 예시(820)가 도시된다.
NC-JT의 경우, 각 셀, TRP 또는/및 빔 별(825, 830)로 PDSCH를 단말(835)에게 전송하며, 각 PDSCH에는 개별 프리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 각 셀, TRP 또는/및 빔이 각기 다른 PDSCH 또는 각기 다른 PDSCH 레이어를 단말에게 전송하여 단일 셀, TRP 또는/및 빔 전송 대비 처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셀, TRP 또는/및 빔이 동일 PDSCH를 단말에게 반복 전송하여 단일 셀, TRP 또는/및 빔 전송 대비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셀, TRP 또는/및 빔을 이하 TRP로 통칭한다.
이 때 PDSCH 전송을 위해 다수의 TRP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이 모두 동일한 경우(840), 다수의 TRP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이 전혀 겹치지 않는 경우(845), 다수의 TRP들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및 시간 자원의 일부가 겹치는 경우(850)와 같이 다양한 무선 자원 할당이 고려될 수 있다.
NC-JT 지원을 위하여, 하나의 단말에게 동시에 다수의 PDSCH들을 할당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 구조 및 관계의 DCI들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협력 TRP”는 실제 적용 시 “협력 패널(panel)” 또는 “협력 빔(beam)” 등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NC-JT가 적용되는 경우”라 함은 “단말이 하나의 BWP에서 동시에 하나 이상의 PDS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이 하나의 BWP에서 동시에 두 개 이상의 TCI(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indication을 기초로 PDSCH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이 수신한 PDSCH가 하나 이상의 DMRS 포트 그룹(port group)에 연관(association) 된 경우” 등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해석되는 것이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상 한 가지 표현으로 사용하였다.
본 개시에서 NC-JT를 위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는 TRP 전개 시나리오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협력 TRP 간 backhaul 지연이 없거나 작은 경우 도 7의 710과 유사하게 MAC layer multiplexing에 기초한 구조를 사용하는 방법(CA-like method)이 가능하다. 반면에, 협력 TRP들 간 backhaul 지연이 무시할 수 없을 만큼 큰 경우(예를 들어 협력 TRP들 간 CSI, scheduling, HARQ-ACK 등의 정보 교환에 2 ms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 도 7의 720과 유사하게 RLC layer 부터 TRP 별 독립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지연에 강인한 특성을 확보하는 방법(DC-like method) 또한 가능하다.
상술한 multi-TRP 시스템에서는, TRP는 CORESET 또는 RS(reference signal) 자원 인덱스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ORESET 별로 상위 인덱스인 CORESETPoolIndex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CORESETPoolIndex에서 해당하는 CORESET에서 PDCCH를 전송하는 TRP가 구분될 수 있다. 즉, CORESETPoolIndex가 동일한 CORESET들의 집합에서는 동일 TRP가 PDCCH를 전송한다고 간주할 수 있으며, 동일 TRP가 PDSCH를 스케줄하는 PDCCH를 전송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한편, CORESETPoolIndex가 설정되지 않은 CORESET의 경우, CORESETPoolIndex의 기본값(예를 들어, 0)으로 설정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TRP 별로 SRS resource set가 설정되고, DCI 내 2개의 SRI 필드 각각은 SRS resource set의 SRS resource를 지시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SRI 필드는 첫 번째 TRP에 대해 설정된 SRS resource set 내 SRS resource를 지시하고, 두 번째 SRI 필드는 두 번째 TRP에 대해 설정된 SRS resource set 내 SRS resource를 지시할 수 있다. 단말은 SRS resource set 별로 SRI 필드에 의해 지시된 SRS resource 즉, RS 자원 인덱스와 연관된 PUSCH를 전송함으로써, TRP를 구분하여 PUSCH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URLLC 서비스와 높은 전송률을 요구하는 eMBB 서비스의 상반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 다수의 송수신 노드를 통해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는 다중 송수신 노드 기법(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이하 m-TRP)이 제안되었다. 또한, 다수의 송수신 노드를 통해 PDCCH, PDSCH, PUCCH 및 PUSCH 등 다양한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또한 제안되었다. 상술한 m-TRP 기법은 하나의 제어 정보를 통해 다수의 노드를 통한 송수신을 제어하는 단일 제어 정보 기법(single-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s-DCI)과 각 노드에 대한 정보를 따로 전달하는 다중 제어 정보 기법(multiple-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이하 m-DCI)로 구분될 수 있다. s-DCI 기법은 다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만이 단말 제어를 수행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네트워크, 작은 영역에서의 통신을 담당하는 셀 또는 기지국에서 사용되기 적합한 기법이다. 이와 달리, m-DCI 기법은 다수의 노드가 단말 제어를 수행하는 구조의 네트워크,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각 노드 간 거리가 먼 네트워크에서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m-TRP 기법에 대응되는 단말의 통신 기법으로, 다중 패널 기반 통신 기법이 제안되었다. 다중 패널 기반 통신 기법은 단말이 독자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기법으로, 각 어레이 별 독립적인 동작 및 각 어레이 간 협력 동작을 통해 전체 전송 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을 갖는 빔을 통한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더하여, 빔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 정보의 송수신 부담을 줄이고,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을 단순화하여 전체 복잡도를 줄이는 방안으로, 공통 빔 (common beam)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본 개시에서 공통 빔은 공통 TCI state (common TCI state)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공통 빔을 사용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하나 이상 다수의 채널 또는 신호의 송수신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빔과 연관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index)를 단말에 지시함으로써, 공통 빔 관련 빔 제어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빔 제어 정보로부터 TCI state에 대한 정보(TCI state index)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TCI state가 단말이 기억(또는, 저장)하고 있는 공통 TCI state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다르다면, 단말은 공통 TCI state를 상기 획득한 TCI state로 변경(업데이트)하고, 기지국에 ACK 정보를 전송하여 TCI state 지시의 수신을 성공하였음을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경된 공통 TCI state는 이후 채널 및 신호의 송수신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공통 TCI state 적용의 일 예로, 지정된 공통 TCI state에 의해 PDCCH, PDSCH, PUCCH 및/또는 PUSCH의 송수신 빔이 제어되는 경우가 도시되었다.
도 9에 도시된 예시는, 기지국은 단말에 대하여 {0, 1, 2}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 와 대응되는 후보 빔을 설정하고, TCI state 0와 대응되는 빔이 초기 사용 빔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한편,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한 것이지 본 개시가 도 9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기지국이 PDCCH(901)을 통해 신규 TCI state x 인 {1}을 지시하는 제어 정보(예를 들어, DCI)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의 전송에는 기본 TCI state = {0}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TCI state = {1}로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1}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903)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이후(예를 들어, 빔 적용 시간(beam application time, BAT) 이후), 단말과 기지국은 새로운 빔(즉, 변경된 공통 TCI state ={1}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PDCCH(905), PDSCH(907), PUCCH, 및/또는 PUSCH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단일 TRP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이 단말 빔 제어를 지원하는 상기 공통 빔 기반 통신 기법에 따르면, 기지국과 단말이 단일 빔을 사용함으로써 빔 형성 및 빔 제어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빔 제어 정보량 또한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해, PDCCH로 명시되는 제어 채널의 빔 제어를 PDCCH 통해 전달되는 동적 제어 정보(dynamic control informatio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수행하므로, 채널이 빠르게 변화는 환경에서도 제어 채널의 빔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이 다수의 TRP와 통신을 수행하는 m-TRP 시스템의 경우, 상술한 공통 빔 기반 통신 기법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이 다수의 송수신 노드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단말과 각 노드 간 통신은 각기 다른 빔을 통해 수행되며, 기지국은 TRP 별 빔 정보 또는 다수의 빔에 대한 정보를 다수의 TCI state 정보의 형식으로 단말에 전달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가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TRP 1에 대해서는 {0, 1, 2}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에 대해서는 {3, 4, 5}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다만, 본 개시가 도 10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0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TRP가 PDCCH(1003)를 전송함으로써, 각기 다른 TRP에서 전송되는 두 개의 PDSCH(1004, 1005)에 대한 스케줄링을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PDCCH(1003) 및 PDSCH(1004)의 수신을 위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0})와 나머지 PDSCH(1005)의 수신을 위한 또 다른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5})을 사전에 PDCCH의 DCI(1001)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적용(1002)하고 있어야 한다.
하나의 TRP는 PDCCH(1001)을 통해 PDCCH(1003) 및 PDSCH(1004)를 위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0})와 나머지 PDSCH(1005)를 위한 또 다른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5})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TCI state = {0}로 TRP 1에 대응되는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5}로 TRP 2에 대응되는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공통 TCI state를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002)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이후(예를 들어, BAT 이후), 단말과 기지국은 새로운 빔(즉, 변경된 공통 TCI state 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PDCCH(1003), PDSCH(1004, 1005), PUCCH, 및/또는 PUSCH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TCI state = {0}에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PDCCH(1003) 및 PDCCH(1003)의 DL grant에 기초하여 스케줄된 PDSCH(1004)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5}에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PDCCH(1003)의 DL grant에 기초하여 스케줄된 PDSCH(1005)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m-TRP 동작을 위해 두 개의 TCI state 값이 지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TRP 1에 대해서는 {0, 1, 2}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에 대해서는 {3, 4, 5}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다만, 본 개시가 도 11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0과 달리, 도 11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TRP가 PDCCH(1103)를 전송함으로써, 다른 TRP로부터 전송되는 PDSCH(1104)에 대한 스케줄링을 단말에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단말은 PDCCH(1103)의 수신을 위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0})과 PDSCH(1104)의 수신을 위한 또 다른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5})을 사전에 PDCCH의 DCI(1101)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적용(1102)하고 있어야 한다.
하나의 TRP는 PDCCH(1101)을 통해 PDCCH(1103)를 위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0})와 PDSCH(1104)를 위한 TCI state(예를 들어, TCI state = {5})를 지시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DCI를 통하여 두 개의 TCI state 값들이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은 수신된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TCI state = {0}로 TRP 1에 대응되는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5}로 TRP 2에 대응되는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공통 TCI state를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102)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이후(예를 들어, BAT 이후), 단말과 기지국은 새로운 빔(즉, 변경된 공통 TCI state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PDCCH(1103), PDSCH(1104), PUCCH, 및/또는 PUSCH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TCI state = {0}에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PDCCH(110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5}에 대응되는 빔을 통하여 PDCCH(1103)의 DL grant에 기초하여 스케줄된 PDSCH(1104)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이 m-TRP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TCI state 값을 통해 빔 제어를 수행하는 기존의 공통 TCI state 기반 빔 제어 기법과 비교하여, 기지국이 DCI을 통해 단말에 지시하여야 하는 TCI state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해, 하나 이상의 TRP를 고려한 m-TRP 시스템의 기지국이 DCI을 통해 표현하여야 하는 TCI state 경우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I를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0 및 도 11의 예시와 같이 TRP 1(1201)에 대해서는 {0, 1, 2}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1202)에 대해서는 {3, 4, 5}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만약, TRP 1(1201)이 PDCCH(1203)를 전송하여 TRP 1(1201)의 PDSCH 스케줄링 및 TRP 2(1202)의 PDSCH 스케줄링을 단말에 지시함으로써, 단말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s-DCI 모드 동작의 경우, PDSCH/PUSCH(1204) 송수신에 repetition이 고려되지 않고 TRP selection 만이 고려되는 시나리오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는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8가지가 될 수 있다. 한편, DCI 내 TCI를 지시하는 TCI 필드는 최대 3bits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를 모두 표현하는 것은 어렵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하나의 공통 빔이 사용되는 경우, DCI를 통해 지시 가능한 TCI state 조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TRP 1(1301)에 대해서는 {0, 1, 2}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1302)에 대해서는 {3, 4, 5}와 같이 세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TRP 1(1301)이 PDCCH(1303)를 전송하여 TRP 1(1301)의 PDSCH 스케줄링 및 TRP 2(1302)의 PDSCH 스케줄링을 단말에 지시함으로써, 단말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s-DCI 모드 동작의 경우, PDSCH/PUSCH(1304)의 repetition이 없는 시나리오에서, TRP 별 하나의 공통 빔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기지국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는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1가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최대 3 bits의 TCI 지시 필드로는 위와 같은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를 모두 표현하는 것은 어렵다. 이와 같이, 각 TRP 별 3개의 후보 빔 또는 3개의 active TCI state을 가지는 경우와 같이 m-TRP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DCI format으로는 기지국이 수많은 경우의 수에 따른 TCI state를 선택하여 이를 단말에 지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만약, 기존의 DCI format 변경 없이 m-TRP 동작을 위한 TCI state 설정을 PDCCH 통해 지원하고자 한다면, TRP 별로 후보 빔 또는 active TCI state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 bits의 TCI 필드를 통해 표현할 수 있는 TRP 별 후보 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DCI format을 변경하지 않고, TRP 별 최대 2개의 후보 빔 또는 active TCI state을 할당하거나, 또는 각 TRP 별 하나의 공통 TCI state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TRP 1(1401)에 대해서 2개, TRP 2(1402)에 대해서 3개, 이렇게 총 5개의 후보 빔 또는 active TCI state을 할당함으로써, 기지국이 단말에 지시할 수 있는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빔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의 수 자체를 줄이는 것이므로, 기지국이 적절한 TCI state를 단말에 지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기존 s-TRP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active TCI state의 수가 TRP 별 8개 인 것을 감안한다면, 이는 빔 제어에 실질적인 제한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에서는 CORESET 별 TCI indication field(TCI field)의 내용을 다르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다양한 후보 빔 조합을 DCI을 통해 지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CORESET 별 TCI 필드 설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TRP 1(1501)에 대해서는 {0, 1, 2, 3} (1511) 와 같이 네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 (1502)에 대해서는 {4, 5, 6, 7, 8} (1512) 와 같이 다섯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었다.
TRP 1 (1501) 이 4개의 active TCI state (1511) 을, 그리고 TRP 2 (1502) 가 5개의 active TCI state (1512)을 가지는 경우, DCI가 각 TRP에 대하여 하나의 TCI state 만을 지시한다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4가지의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가 존재하게 된다. CORESET에 대하여 TCI indication filed의 codeword 별로 다른 값을 할당함으로써, 최대 3 bits 크기의 TCI 필드로도 위와 같은 TCI state 선택 경우의 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TCI state (또는, TCI state index) 와 TCI field (또는, TCI indication filed)의 값 간에는 매핑 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매핑 관계는 CORESET (또는, CORESET index) 별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매핑 관계는 . TCI state (또는, TCI state index) 와 TCI field (또는, TCI indication filed)의 값 및 DCI가 수신된 CORESET (또는, CORESET index), TCI field 의 값 및 매핑 관계로부터 TCI state가 획득될 수 있다. CORESET 별 TCI 필드 설정 (또는 매핑 관계)는 RRC 시그널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CORESET에 대하여 TCI indication field의 codeword 별로 다른 값이 할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표를 참조하면, 기지국이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3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1(1513)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TCI state = {3}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TCI state index = 3을 지시하는 DCI가 CORESET #3(1515)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TCI state = {3, 4}가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단말이 다수의 TCI state을 할당 받고 이를 관리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도 CORESET 별 TCI 필드의 codeword 별로 다른 값을 할당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제1 TCI state, 제2 TCI state 와 같이 TRP에 무관하게 다수의 TCI state을 할당 받고 관리하는 경우, 제1 TCI state 및 제2 TCI state에 대한 정보를 CORESET 별 TCI 필드 codeword value에 매핑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TRP는 DCI 내 TCI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TCI 필드 codeword value 및 상기 DCI가 전송되는 CORESET을 고려하여, 제1 TCI state 또는 제2 TCI state를 단말에 지시할 수 있으며, 단말은 사용할 TCI stat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TCI state 지시 방법은 공통 TCI sate 지시 및 업데이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state 지시 및 업데이트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TRP 1에 대해서는 {0, 1, 2, 3}와 같이 네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에 대해서는 {4, 5, 6, 7 8}와 같이 다섯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1의 초기 공통 TCI state = {0}, TRP 2의 초기 공통 TCI state = {4}로 설정된 예시가 도시되었다. 한편,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정한 것이지 본 개시가 도 16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1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지국은 DCI(1601)을 통해 TCI state index = 3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CORESET #1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TCI state = {3}으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3}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651)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602)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2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2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1, 5}가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TCI state = {1}로 TRP 1의 공통 TCI state을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5}로 TRP 2의 공통 TCI state을 업데이트하고, 지시된 TCI state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652)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603)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4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3를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 5}가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TCI state = {3}으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5}로 TRP 2의 공통 TCI state을 업데이트하고, 지시된 TCI state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653)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는 단말이 도 15의 표를 참조하여 지시된 TCI state 값을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CORESET 별 TCI 필드의 codeword 별 값이 도 15의 표와 상이한 표에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PDCCH가 지시하는 TCI state의 값에 따라, 상기 PDCCH가 스케줄링하는 PDSCH의 수신 빔 또는 PUSCH의 전송 빔 또는 TCI state가 결정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이 TRP 1에 대한 제1 TCI state 및 TRP 2에 대한 제2 TCI state을 할당 받아 이를 관리하는 경우 또는 단말이 제1 TCI state 및 제2 TCI state을 할당 받고 관리하는 경우와 같이 단말이 구분 가능하고 MAC CE (medium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또는 DCI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다시 업데이트 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다수의 TCI state을 할당 받고 관리하는 경우에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서, 단말이 PDSCH 또는 PUSCH을 스케줄링하는 PDCCH을 통해 TRP 1에 대한 TCI state 또는 제1 TCI state의 업데이트를 지시받는다면, 단말은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신 또는 PUSCH의 송신을 TRP 1의 TCI state 또는 제1 TCI state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단말이 PDSCH 또는 PUSCH을 스케줄링하는 PDCCH을 통해 TRP 2의 TCI state 또는 제2 TCI state의 업데이트를 지시받는다면, 단말은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신 또는 PUSCH의 송신을 TRP 2의 TCI state 또는 제2 TCI state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TRP 1에 대해서는 {0, 1, 2, 3}와 같이 네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에 대해서는 {4, 5, 6, 7 8}와 같이 다섯 개의 TCI state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1의 초기 공통 TCI state = {0}, TRP 2의 초기 공통 TCI state = {4}로 설정된 예시가 도시되었다. 도 17은 도 16의 예시에 PDCCH의 스케줄링에 따른 PDSCH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를 더 고려한 예시이다. 또한 모든 PDCCH 전송은 TRP 1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다만, 본 개시가 도 17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701)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3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1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즉,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TCI state ={3}으로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받은 것이므로, 단말은 TRP 1의 공통 TCI state 인 TCI state={0}를 통해 상기 DCI(1701)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721)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3}으로 TRP 1의 공통 TCI state 값을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3}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751)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702)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2를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2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1, 5}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즉,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TCI state ={1}, TRP 2의 공통 TCI state를 TCI state ={5}로 각각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받은 것이므로, 단말은 PDCCH(1702)의 수신은 TRP 1의 공통 TCI state인 TCI state={3}의 빔을 통해 수행하나, 상기 PDCCH(1702)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722)의 수신은 TRP 2의 공통 TCI state인 TCI state={4}를 통해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1}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5}로 TRP 2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지시된 TCI state와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752)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703)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4를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3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 5}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즉,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TCI state ={3}, TRP 2의 공통 TCI state를 TCI state ={5}로 각각 업데이트할 것을 지시받은 것이므로, 단말은 TRP 1의 공통 TCI state={1}을 통해 PDCCH(1703)을 수신하고, TRP 2의 공통 TCI state={5}를 통해 상기 PDCCH(1703)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72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3}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지시된 TRP 2의 TCI state = {5}은 기존의 TRP 2 TCI state 값과 동일하므로,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지시된 TCI state와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753)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PDSCH 또는 PUSCH를 스케줄링 하는 PDCCH가 매핑된 CORESET에 따라, PDSCH 또는 PUSCH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빔 또는 TCI state를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 또는 PUSCH을 스케줄링 하는 PDCCH가 CORESET 1 또는 CORESET 2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단말이 TRP 1의 TCI state 또는 제1 TCI state을 통해 PDSCH의 수신 또는 PUSCH의 송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PDCCH가 CORESET 3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에는 스케줄링 된 PDSCH의 수신 또는 PUSCH의 송신이 TRP 2의 TCI state 또는 제2 TCI state을 통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RP 별 공통 TCI 업데이트 지시 및 PDSCH 스케줄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TRP 1에 대해서는 {0, 1, 2, 3}와 같이 네 개의 TCI state 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2에 대해서는 {4, 5, 6, 7 8}와 같이 다섯 개의 TCI state 에 대응되는 후보 빔이 설정되고, TRP 1의 초기 공통 TCI state = 0, TRP 2의 초기 공통 TCI state = 4로 설정된 예시가 도시되었다. 도 18은 도 16의 예시에 PDCCH의 스케줄링에 따른 PDSCH 송수신이 수행되는 경우를 더 고려한 예시이다. 또한, 각 PDCCH가 PDSCH을 스케줄링하고, 모든 PDCCH 전송은 TRP 1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또한, CORESET 1 또는 2을 통해 PDCCH 수신 시,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신 및/또는 PUSCH의 송신에는 TRP1 TCI state가 사용되며, CORESET 3을 통해 PDCCH 수신 시, 상기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의 수신 및/또는 PUSCH의 송신에는 TRP 2 TCI state가 사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다만, 본 개시가 도 18의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PDCCH(1801)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3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1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만약, PDCCH(1801)에 포함된 DCI가 PDSCH 스케줄링을 동반하는 경우, 단말은 TRP 1의 공통 TCI state={0}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상기 DCI(1801)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821)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3}으로 TRP 1의 공통 TCI state 값을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 {3}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851)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1802)에 포함된 DCI을 통해 TCI state index = 2을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2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1, 5}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만약, PDCCH(1802)에 포함된 DCI가 PDSCH 스케줄링을 동반하는 경우, 단말은 TRP 1의 공통 TCI state={3}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상기 DCI(1802)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82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1}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TCI state ={5}로 TRP 2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하고, 지시된 TCI state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852)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PDCCH(1803)에 포함된 DCI를 통해 TCI state index = 4를 단말에 지시하였고 상기 DCI가 CORESET #3을 통해 수신되었다면, 단말은 도 15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I state = {3, 5}이 TRP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만약, PDCCH(1803)에 포함된 DCI가 PDSCH 스케줄링을 동반하는 경우, 단말은 TRP 2의 공통 TCI state={5}에 대응되는 빔을 통해 상기 DCI(1803)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1823)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TCI state = {3}으로 TRP 1의 공통 TCI state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때, 신규 지시된 TRP 2의 TCI state = {5}은 기존의 TRP 2 TCI state 값과 동일하므로, 업데이트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지시된 TCI state에 대응되는 빔으로 송수신 빔을 변환하였음을 지시하는 ACK 정보를 PUCCH(1853)를 통해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19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 방법(1900)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동작 1901에서, 단말은 복수의 CORESET들 중의 CORESET에서 DCI를 포함하는 PDCCH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903에서, 단말은 CORESET의 인덱스 및 DCI에 포함된 TCI 필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 CORESET의 인덱스 및 TCI 필드의 값 간의 매핑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매핑 관계, CORESET의 인덱스 및 TCI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905에서,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unified) TCI state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TCI state에 기초하여 PDCCH 수신, PDSCH 수신, PUCCH 송신, 또는 PUSCH 송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20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기지국의 동작 방법(2000)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01에서, 기지국은 DCI 에 포함되는 TCI 필드와 복수의 CORESET 들 중의 CORESET 을 식별할 수 있다. TCI 필드와 CORESET 은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index 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 및 TCI 필드의 값 간의 CORESET 별 매핑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매핑 관계 및 TCI 필드의 값 및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에 기초하여 CORESET의 인덱스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03에서, 기지국은 CORESET 에서 TCI 필드를 포함하는 DCI 를 포함하는 PDCCH를 송신할 수 있다.
동작 2005에서,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TCI state 인덱스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unified) TCI state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TCI state에 기초하여 PDCCH 송신, PDSCH 송신, PUCCH 수신, 또는 PUSCH 수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의 순서도는 본 개시의 원칙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설명하며, 이 순서도에 나타난 방법들에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로 표시되어 있지만, 각 도형의 다양한 단계들은 겹치거나, 병렬로 발생하거나, 다른 순서로 발생하거나, 여러 번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부 단계는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1는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를 참조하면, 단말(2100)은 송수신부 (2110), 제어부 (2120), 메모리 (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1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110)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1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2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1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2110) 또는 메모리(2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212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기지국과 송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2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130)는 상기 송수신부(21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21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2은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을 참조하면, 기지국(2200)은 송수신부 (2210), 제어부(2220), 메모리(2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202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22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210)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2210) 또는 메모리(22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20)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정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22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230)는 상기 송수신부 (22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22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m-TRP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한 터미널 빔 제어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공통 빔 기반의 빔 제어 기술은 하나의 TRP가 PDDCH를 전송하는 s-DCI 기술과 여러 TRP가 PDCCH를 전송하는 m-DCI 기술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공통 빔 기반 빔 제어 기술과 비교하여 고속 빔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여러 TRP를 고려하여 모든 TCI 상태 선택의 경우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DCI 포맷 내에서 TCI 상태를 나타내는 TCI 필드의 비트 폭을 늘리지 않고도 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통신 환경에 적합한 빔 사용을 위해 TCI 상태를 더욱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지시할 수 있어 PDCCH 신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개된 m-TRP 시스템에서는 어느 빔(예: TRP의 공통 빔)을 통해 PDCCH를 수신하고, PDCCH에 의해 스케줄된 PDSCH를 수신하며, PDCCH에 의해 스케줄된 PUSCH를 전송하는지에 대한 기지국과 터미널의 구체적인 동작이 제공되어 공통 빔 기반의 빔 제어 기술이 m-TRP 시스템에도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식의 각 블록 및 블록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됨으로써 도식 블록 또는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장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컴퓨터 사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어, 특정 방식으로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작동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이는 도식 블록 또는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명령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 품목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에 로드되어, 컴퓨터나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에서 실행되는 일련의 운영 단계를 수행하게 하여, 도식 블록 또는 블록에서 지정된 기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식의 각 블록은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블록에서 언급된 기능이 순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표시된 두 블록이 실제로는 거의 동시에 실행되거나, 기능에 따라 블록이 역순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도 1부터 도 20까지의 도면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즉, 도 1부터 도 20까지에서 설명된 모든 구성 요소, 엔티티 또는 작업이 본 개시의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일부 구성 요소만 포함하더라도 본 개시의 본질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지국이나 단말의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네트워크 엔티티,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특히 설명되고 제시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청구항 및 그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중의 CORESET 에서 제1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을 포함하는 제1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에서 수신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상태 (state) 인덱스를 상기 CORESET 과 상기 제1 DCI 에 포함된 TCI 필드에 기초하여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 (unified TCI state) 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와 상기 TCI 필드의 값 간의 매핑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핑 관계는 CORESET 당 설정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가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CI 에 의하여 스케줄된 데이터의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는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제1 PDCCH 의 수신을 위하여 사용된 TCI 상태 인덱스와 동일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단말을 위하여 설정된 복수의 후보 TCI 상태 인덱스에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후보 TCI 상태 인덱스는 하나 이상의 제1 후보 TCI 상태 인덱스와 하나 이상의 제2 후보 TCI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후보 TCI 상태 인덱스에 포함되는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 또는 두 개의 TCI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가 상기 두 개의 TCI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제1 TCI 상태 인덱스 중의 제1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후보 TCI 상태 인덱스에 포함되고, 상기 두 개의 TCI 상태 인덱스 중의 제2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후보 TCI 상태 인덱스에 포함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2 DCI 를 포함하는 제2 PDCCH 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DCI 에 의하여 스케줄된 데이터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가 상기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인 경우, 상기 제2 PDCCH 는 상기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제2 DCI 에 의하여 스케줄된 데이터는 상기 하나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통합 TCI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가 상기 두 개의 TCI 상태 인덱스인 경우, 상기 제2 PDCCH 는 상기 제1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통합 TCI 상태에 기초하여 수신되고 상기 제2 DCI 에 의하여 스케줄된 데이터는 상기 제2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통합 TCI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후보 TCI 상태 인덱스는 제1 TRP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에 대응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후보 TCI 상태 인덱스는 제2 TRP 에 대응하는, 방법. -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중의 CORESET 에서 제1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을 포함하는 제1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에서 수신;
하나 이상의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상태 (state) 인덱스를 상기 CORESET 과 상기 제1 DCI 에 포함된 TCI 필드에 기초하여 식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 (unified TCI state) 에 기초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단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와 상기 TCI 필드의 값 간의 매핑 관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설정되고,
상기 매핑 관계는 CORESET 당 설정되는, 단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가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기초하여 업데이트 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를 전송하도록 더 설정되는, 단말.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는 상기 단말을 위하여 설정된 복수의 후보 TCI 상태 인덱스에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후보 TCI 상태 인덱스는 하나 이상의 제1 후보 TCI 상태 인덱스와 하나 이상의 제2 후보 TCI 상태 인덱스를 포함하는, 단말. -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에 포함되는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필드 및 복수의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에 포함되는 CORESET 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TCI 필드와 상기 CORESET 은 하나 이상의 TCI 상태 (state) 인덱스와 관련됨;
상기 CORESET 내에서 상기 TCI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DCI 를 포함하는 제1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 (unified TCI state) 와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TCI 필드와 상기 CORESET 은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와 상기 TCI 필드의 값 간의 CORESET 당 매핑 관계에 기초하여 식별되는, 방법.
-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에 포함되는 TCI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필드 및 복수의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에 포함되는 CORESET 을 식별, 상기 TCI 필드와 상기 CORESET 은 하나 이상의 TCI 상태 (state) 인덱스와 관련됨;
상기 CORESET 내에서 상기 TCI 필드를 포함하는 상기 DCI 를 포함하는 제1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를 전송; 및
상기 하나 이상의 TCI 상태 인덱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통합 TCI 상태 (unified TCI state) 와 관련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기지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683 | 2022-03-08 | ||
KR20220029683 | 2022-03-08 | ||
PCT/KR2023/002958 WO2023171990A1 (en) | 2022-03-08 | 2023-03-03 | Method and device for bea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7033A true KR20240157033A (ko) | 2024-10-31 |
Family
ID=87931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30230A Pending KR20240157033A (ko) | 2022-03-08 | 2023-03-03 |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92328A1 (ko) |
KR (1) | KR20240157033A (ko) |
CN (1) | CN118743161A (ko) |
WO (1) | WO2023171990A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757410B (zh) * | 2018-02-11 | 2022-11-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下行信道的接收方法、发送方法、终端和基站 |
CN110719139B (zh) * | 2018-07-13 | 2020-08-1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搜索空间参数确定方法和终端设备 |
WO2021162334A1 (ko) * | 2020-02-10 | 2021-08-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부터의 하향링크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2023
- 2023-03-03 US US18/117,144 patent/US20230292328A1/en active Pending
- 2023-03-03 KR KR1020247030230A patent/KR20240157033A/ko active Pending
- 2023-03-03 WO PCT/KR2023/002958 patent/WO202317199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3-03 CN CN202380025797.8A patent/CN118743161A/zh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171990A1 (en) | 2023-09-14 |
US20230292328A1 (en) | 2023-09-14 |
CN118743161A (zh) | 2024-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284280A1 (en) |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inter-cell movement based on l1 and l2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06848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패널 동시 전송을 고려한 위상 추적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
KR20240044762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플릿 베어러 운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2024033452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w indication-based packet discar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KR2024004496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이중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드 선택 방법 및 장치 | |
KR2023013231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제어 리피터 동작 방법 및 장치 | |
KR20240157033A (ko) | 통신 시스템에서 빔 제어 방법 및 장치 | |
US202403406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sr forma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3037019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f adaptive polar coding configuration | |
US2024034075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curity key for performing continuous conditional pscell chang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4001154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일된 빔 기법을 적용할 때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활성화하는 MAC CE를 적용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6982A (ko) | 네트워크 협력통신에서 통합 전송 설정 지시자 결정 방법 및 장치 | |
KR20240127772A (ko) |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측정 리포트 트리거 이벤트 설정 및 시그널링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9313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bsr 포맷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21475A (ko) | 네트워크 협력통신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24016338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속적인 조건부 PSCell 변경을 위한 설정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 |
KR2025004605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2025001146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능력에 따른 harq 코드북 설계 방법 및 장치 | |
KR2024012087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패널 동시 전송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 |
KR20240150249A (ko) |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 길이 정렬 방법 및 장치 | |
KR20250023789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된 tci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향상된 하나의 pdcch 기반 복수의 trp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740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지시에 따라 패킷을 버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4739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지시에 따라 패킷을 버리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20240161349A (ko) |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 기술 공존 방법 및 장치 | |
KR2024000388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검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9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