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6686A -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6686A
KR20240156686A KR1020230053120A KR20230053120A KR20240156686A KR 20240156686 A KR20240156686 A KR 20240156686A KR 1020230053120 A KR1020230053120 A KR 1020230053120A KR 20230053120 A KR20230053120 A KR 20230053120A KR 20240156686 A KR20240156686 A KR 20240156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spection
space
unit
lea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헌
Original Assignee
박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헌 filed Critical 박정헌
Priority to KR102023005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6686A/ko
Publication of KR20240156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668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7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은,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의 누설 및 누수를 검사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시스템으로서,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위치공간과 검사된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검수공간으로 구분되는 안착장치,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를 상기 위치공간으로 운송하거나 상기 검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운송하는 운송장치, 상기 안착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위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를 상기 검수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장치 및 내측에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밸브에 수압을 이용하여 누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AUTOMATED INSPECTION SYSTEM TO VALVE LEAKAGE}
본 발명은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에 누설 및 누수가 발생하는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가 이동되는 유로는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유체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까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유체가 필요한 장소까지 유체를 이동시키는 유로 배관을 설치하고, 설치된 유로를 따라 유체가 이동하여 유체가 필요한 장소에서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작업장, 생활하수 등 다양한 것들에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유체를 단순히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한 지점까지 이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이동을 제한하여 공급되는 양과 이동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배관에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에는 다량의 유체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틈새가 제대로 밀폐되지 않으면 밸브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밸브가 수압 혹은 공압에 잘 견디는지와 물 혹은 공기가 새어나가지는 않는지 검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의 누설 및 누수 검사하기 위해서 일정량 이상의 수압 혹은 공압을 가해 밸브의 반대편으로 누설 및 누수가 발생되는 것은 아닌지 검사하는 과정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며, 이는 밸브에 의한 다양한 사고들을 예방하는 것에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누설 및 누수가 발생되었다고는 하나 굉장히 적은 양이라 가시적으로 확인이 불가능하거나 분리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누설 및 누수가 발생했으나 정상으로 판단되어 출하되는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존재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과정에서 가시적으로 확인하기 힘든 과정을 일련적으로 수행하면서도 오차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에 누설 및 누수가 발생하는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은,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의 누설 및 누수를 검사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시스템으로서,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위치공간과 검사된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검수공간으로 구분되는 안착장치,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를 상기 위치공간으로 운송하거나 상기 검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운송하는 운송장치, 상기 안착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위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를 상기 검수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장치 및 내측에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밸브에 수압을 이용하여 누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장치는,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상기 위치공간을 형성하는 대기유닛 및 상기 대기유닛과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상기 검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수공간을 형성하는 벨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그리퍼장치는, 바아유닛, 상기 바아유닛의 일단부에서 상기 밸브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유닛 및 상기 밸브가 상기 파지유닛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파지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아유닛과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다수개가 서로가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파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밸브가 상기 파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파지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고, 각각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밸브에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의 둘레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밸브가 상기 그립부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작업공간 혹은 상기 검수공간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검수공간에서 상기 밸브가 항상 동일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된 상기 밸브의 결과에 대해 검사데이터를 형성하여 상기 검사데이터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달하고, 순차적으로 검사된 상기 밸브에 대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검수공간에서 상기 밸브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유닛은,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정상과 불량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검수공간에는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정상으로 판단되는 상기 밸브가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그리퍼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상기 밸브가 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가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위치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벨트유닛은, 상기 검수공간에서 검수가 완료된 상기 밸브가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부, 상기 궤도부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검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서로 구획시키는 구획부 및 상기 궤도부의 일측과 타측 구비되어 상기 궤도부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면서 상기 밸브를 상기 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은,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에 누설 및 누수가 발생하는지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안착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벨트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구획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그리퍼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파지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밸브가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그립부가 밸브를 파지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검사가 완료된 밸브를 분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V)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밸브(V)가 선택적 개폐과정에서 유로를 폐쇄한 경우,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밸브(V)의 누수에 대해 자동으로 검사하는 자동화 밸브(V) 누설 및 누수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대략적인 구성 및 효과와 기능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안착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벨트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구획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그리퍼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파지유닛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V)의 누설 및 누수 를 검사하는 자동화 밸브(V) 누설 및 누수 검사시스템으로서,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위치공간(A1)과 검사된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검수공간(A2)으로 구분되는 안착장치(100),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V)를 상기 위치공간(A1)으로 운송하거나 상기 검수공간(A2)에 위치된 상기 밸브(V)를 운송하는 운송장치(200), 상기 안착장치(10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위치공간(A1)에 위치된 상기 밸브(V)를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공간(A3)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V)를 상기 검수공간(A2)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장치(300) 및 내측에 상기 작업공간(A3)이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장치(300)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A3)으로 이동되는 상기 밸브(V)에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누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장치(100)는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상기 위치공간(A1)을 형성하는 대기유닛(120) 및 상기 대기유닛(120)과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상기 검사장치(40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V)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수공간(A2)을 형성하는 벨트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사장치(400)에서 검사된 상기 밸브(V)마다 검사데이터에 따른 정보로 상기 밸브(V)가 불량으로 판단된 경우, 불량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거치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상황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안착유닛에 생산이 완료된 상기 밸브(V)를 상기 대기유닛(120)으로 상기 운송장치(200)가 이동시키고, 상기 운송장치(200)에서 상기 대기유닛(120)으로 상기 그리퍼장치(300)를 통해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밸브(V)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밸브(V)를 상기 검사장치(400)의 상기 작업공간(A3)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상기 밸브(V)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검사장치(400)에서 상기 밸브(V)의 누수 여부에 대한 상기 검사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상기 그리퍼장치(300)가 상기 밸브(V)를 상기 검수공간(A2) 혹은 상기 거치유닛(160)에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또 다른 도면과 추후 상술할 상황적인 설명의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유닛(120), 상기 벨트유닛(140) 및 상기 거치유닛(160)을 포함할 수 있고, 검사 이전에는 상기 대기유닛(120)에 상기 밸브(V)가 위치되어 있으나,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된 이후 상기 밸브(V)는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벨트유닛(140)의 상기 검수공간(A2)으로 이동되고,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불량인 경우에는 상기 거치유닛(160)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밸브(V)는 선택적으로 유로를 개폐해야하므로 누설 및 누수가 발생될 경우, 수압 혹은 공압에 의한 문제로 상기 밸브(V)가 제대로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상기 밸브(V)에 수압 혹은 공압을 가해 기 설정된 수압 혹은 공압을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고, 불량인 경우, 틈새가 불량일 수도 있고, 내구성이 약하거나 조립상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대기유닛(120), 상기 벨트유닛(140), 상기 거치유닛(160)은 상기 그리퍼장치(300)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벨트유닛(140)은 상기 작업공간(A3)을 형성하는 상기 검사장치(400)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대기유닛(120), 상기 벨트유닛(140), 상기 거치유닛(160) 및 상기 검사장치(400)와 함께 상기 그리퍼장치(30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형태를 띌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그리퍼장치(300)에 의해 상기 밸브(V)의 이동경로를 효율적으로 설정하기 위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유닛(120) 및 상기 거치유닛(160)은 상기 밸브(V)의 대기 장소에 해당되므로 별도의 장치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검사과정에 따라 상기 밸브(V)를 회전시키거나 적층시키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될 수 있으며 반드시 설명된 바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다만, 상기 벨트유닛(140)은 상기 밸브(V)가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가 완료되었고, 정상으로 판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벨트유닛(140)에 위치된 상기 밸브(V)는 출하과정을 수행해야하므로 이를 위한 다양한 구성들이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유닛(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수공간(A2)에서 검수가 완료된 상기 밸브(V)가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부(142), 상기 궤도부(142)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검수공간(A2)에 위치된 상기 밸브(V)를 서로 구획시키는 구획부(144) 및 상기 궤도부(142)의 일측과 타측 구비되어 상기 궤도부(142)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면서 상기 밸브(V)를 상기 운송장치(200)에 안착시키는 동력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궤도부(142) 및 상기 동력부(146)는 일반적인 무한궤도의 벨트를 활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밸브(V)가 상기 궤도부(142)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끄럼방지 코팅을 수행하거나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밸브(V)가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되는 과정에서 수압을 통해 검사되므로 상기 밸브(V)가 상기 궤도부(14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검수공간(A2)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물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상기 궤도부(142)에 미끄럼방지 코팅이나 다수의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획부(144)는 상기 궤도부(142)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상기 검수공간(A2)을 서로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설명하겠지만 상기 검사장치(400)에서 검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V)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데이터가 형성되고, 상기 검사데이터 이외에 상기 밸브(V)가 어디에 위치될지를 결정하는 고유번호를 각각 부여하여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된 상기 밸브(V)가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상기 거치유닛(160) 혹은 상기 검수공간(A2)에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서로 구획된 상태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검사데이터를 작업자가 확인하고,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서로 구획된 공간의 상기 검수공간(A2)에 각각 배치된 상기 밸브(V)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고유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에 상기 검사데이터에 오류가 발생된 상기 밸브(V)의 위치를 보다 빠르게 확인하여 효율적인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획부(144)는 상기 검수공간(A2)을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144)는 앞서 돌출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상기 검수공간(A2)이 서로 구획되어 상기 고유번호에 따른 상기 밸브(V)를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는 반드시 상술된 바에 제한되지는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부(14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V)의 크기 및 상기 궤도부(142)의 폭에 따라 다수가 구비될 수 있지만, 상기 구획부(144)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거나 상기 밸브(V)의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송장치(200)는 상기 위치공간(A1)으로 상기 밸브(V)가 이동되도록 상기 그리퍼장치(300)를 향해 이동되거나 상기 동력부(146)에 의해 상기 궤도부(142)가 회전되면서 상기 운송장치(200)의 상부에 자동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궤도부(142)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생산이 완료된 상기 밸브(V)를 상기 위치공간(A1)으로 이동하는 과정 및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작업이 완료되어 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V)가 출하되는 과정에 각각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운송장치(200)는 상부에 상기 밸브(V)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궤도부(142)의 회전에 따른 이동이 아니더라도 상기 밸브(V)가 위치될 수 있는 서로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거나 상기 밸브(V)가 상기 운송장치(200)의 상부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리퍼장치(300)는 상기 위치공간(A1), 상기 검수공간(A2) 및 상기 작업공간(A3) 사이에서 상기 밸브(V)가 검사과정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안착장치(100) 및 상기 검사장치(400)에 둘러 쌓인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리퍼장치(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유닛(320), 상기 바아유닛(320)의 일단부에서 상기 밸브(V)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유닛(340) 및 상기 밸브(V)가 상기 파지유닛(34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V)를 파지하도록 상기 밸브(V)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파지유닛(34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아유닛(320)은 상기 그리퍼장치(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위치공간(A1), 상기 검수공간(A2), 상기 작업공간(A3), 상기 거치유닛(160)에 상기 밸브(V)를 이동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V)의 누수, 누설 검사를 자동화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파지유닛(340)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제어유닛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위치공간(A1) 혹은 상기 작업공간(A3)에 위치된 상기 밸브(V)가 상기 파지유닛(34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유닛(340)을 제어하여 상기 밸브(V)를 파지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밸브(V)의 위치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V)를 파지하는 상기 파지유닛(340)의 파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밸브(V)가 상기 위치공간(A1)에서 이동되어 상기 작업공간(A3)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상기 검수공간(A2) 혹은 상기 거치유닛(160)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밸브(V)가 항상 동일한 위치 및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파지유닛(340)을 제어하여 상기 밸브(V)의 위치를 상기 검수공간(A2), 상기 거치유닛(160)에서 항상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검사장치(400)를 통해 상기 고유번호 및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상기 밸브(V)를 위치시켜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불량으로 판단되거나 정상으로 판단되는 상기 밸브(V)를 빠르게 찾아 검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유닛(3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아유닛(320)과 결합되는 회전부(342), 상기 회전부(342)의 하부에 다수개가 서로가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공간(348)을 형성하는 그립부(344) 및 상기 그립부(344)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파지공간(348)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밸브(V)가 상기 파지공간(348)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4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그립부(344)를 통해 상기 밸브(V)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V)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밸브(V)의 그립위치를 수정할 수 있도록 상기 그립부(344)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밸브(V)가 상기 위치공간(A1) 혹은 상기 작업공간(A3)에 위치된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립부(344)는 서로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그립부(344) 사이의 반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는 상기 밸브(V)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밸브(V)의 그립위치가 서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346)는 상기 파지공간(348)에 위치된 상기 밸브(V)를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V)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그립부(344)에서 상기 파지공간(348)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밸브(V)와 맞닿는 일단부에는 다수의 돌기 혹은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346)에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는 앞서 상술한 상기 궤도부(142)와 유사하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는 상기 밸브(V)의 둘레에 다수의 굴곡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346)의 일단부가 상기 밸브(V)의 둘레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함몰과 돌출이 반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V)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상기 밸브(V)를 검사하기 때문에 물에 의해 낙하하거나 미끄러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이탈방지부(346)에 의해 상기 밸브(V)의 낙하와 미끄러지는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를 바탕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통해 본 발명의 자동화 밸브(V) 누수, 누설 검사시스템의 상황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밸브가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그립부가 밸브를 파지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검사가 완료된 밸브를 분류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구획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의 검사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송장치(200)에 의해 생산이 완료된 상기 밸브(V)가 상기 그리퍼장치(300)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그리퍼장치(300)에 의해 상기 밸브(V)는 상기 대기유닛(12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위치공간(A1)에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그리퍼장치(300)를 통해 상기 밸브(V)가 위치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상기 밸브(V)가 위치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리퍼장치(300)에 의해 상기 밸브(V)가 상기 위치공간(A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공간(A3)으로 상기 밸브(V)를 이동시키되 상기 위치공간(A1)에서 상기 밸브(V)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파지유닛(340)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밸브(V)가 상기 위치공간(A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리퍼자이가 접근하고, 상기 파지공간(348)의 내측으로 상기 밸브(V)가 인입되면,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밸브(V)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회전부(342)를 통해 상기 그립부(344)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밸브(V)의 둘레부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상기 그립부(344)가 위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파지유닛(340)이 제어되어 상기 그립부(344)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밸브(V)를 파지하도록 하여 상기 밸브(V)의 파손은 물론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밸브(V)의 형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여 보다 손쉽게 상기 밸브(V)의 검사과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상기 밸브(V)의 검사가 수행되고 나면, 상기 검사장치(400)는 상기 밸브(V)에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검사데이터를 형성하고, 상기 검사데이터와 함께 상기 밸브(V)에 상기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검수공간(A2) 혹은 상기 거치유닛(160)으로 상기 밸브(V)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브(V)가 상기 작업공간(A3)에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상기 그립부(344)와 상기 회전부(342)는 상기 제어유닛이 인지하는 상기 밸브(V)의 형태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밸브(V)의 항상 동일한 위치를 파지할 수 있고, 상기 검수공간(A2)과 상기 거치유닛(160) 상에서 서로 동일한 배치관계를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제어유닛이 상기 밸브(V)를 감지하거나 출하되거나 혹은 작업자에 의해 검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밸브(V)의 형태에 따라 작업이 늦춰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V)는 상기 위치공간(A1)에서 상기 작업공간(A3)으로, 상기 작업공간(A3)에서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검수공간(A2) 혹은 상기 거치유닛(160)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V)가 생산되는 과정 이외에 상기 운송장치(200)에 의해 운송되고, 상기 그리퍼장치(300)에 의해 상기 밸브(V)가 공간에서 공간으로 이동하며, 상기 검사장치(400)에서 수압을 통해 상기 밸브(V)의 누설 및 누수상태를 검사하고,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되는 일련의 과정이 별도의 작업자의 요청이나 지시가 없더라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부(142)에 형성되는 상기 구획부(144)는 상기 궤도부(142)에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상기 검수공간(A2)의 둘레를 따라 격벽을 형성하는 함몰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밸브(V)가 상기 검수공간(A2)에 위치된 상태에서 서로 다른 상기 밸브(V)와 구분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예시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검사장치(400)에는 상기 밸브(V)를 검사하기 위한 상기 작업공간(A3)이 한 쌍이 형성되어 더 빠른 검사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작업공간(A3)과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벨트유닛(140)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벨트유닛(140)은 상기 검사장치(400)에 의해 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V)가 위치되는 공간이므로 상기 벨트유닛(140)은 상기 검사장치(400)가 형성하는 상기 작업공간(A3)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검사장치(400)에는 상기 작업공간(A3) 외에도 회수공간(A4)이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공간(A3)에서는 상기 밸브(V)의 검사가 진행되고, 상기 작업공간(A3)과 상기 회수공간(A4)을 형성하는 테이블이 회전되면서 상기 작업공간(A3)에 위치되었던 상기 밸브(V)는 상기 회수공간(A4)에 위치되고, 상기 회수공간(A4)에 위치되었던 상기 밸브(V)는 상기 작업공간(A3)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V)를 회수하는 공간과 상기 밸브(V)를 검사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그리퍼장치(300)는 상기 작업공간(A3)에 상기 밸브(V)를 위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회수공간(A4)에 상기 밸브(V)를 위치시키거나 상기 회수공간(A4)에서 상기 검수공간(A2)으로 상기 밸브(V)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밸브(V)를 파지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안착장치(100), 상기 운송장치(200), 상기 그리퍼장치(300) 및 상기 검사장치(400)를 통해 상기 밸브(V)를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이와 같이 변형될 수 있는 예시를 소개한 것이며, 상기 밸브(V)를 검사하는 일련의 과정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변형예시는 제시된 바에만 제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검사장치(400)에서는 상기 밸브(V)에 대한 검사결과를 저장하고 있다고 하였으므로, 상기 검사장치(400)를 통해서 검사된 상기 밸브(V)가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검사데이터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되고,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검사장치(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열람 및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V)에 대한 검사 내용에 대해서 수압 혹은 공압에 따른 누설 및 누수에 대한 검사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밸브(V)의 내구성, 누설 및 누수에 대한 검사결과, 조립상태 등 다양한 정보가 상기 검사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작업자는 상기 밸브(V)의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검사데이터 중 원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다수의 상기 고유번호 중 일부의 상기 고유번호를 선택하여 일부의 상기 밸브(V)에 대한 상기 검사데이터만을 열람 혹은 출력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에 대해 상기 밸브(V)는 검사가 종료되어 출하를 앞두고 있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V)에 대해서 검사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자동 출력하여 상기 밸브(V)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고, 반드시 설명된 바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A1: 위치공간
A2: 검수공간
A3: 작업공간
V: 밸브
100: 안착장치
120: 대기유닛
140: 벨트유닛
142: 궤도부
144: 구획부
146: 동력부
160: 거치유닛
200: 운송장치
300: 그리퍼장치
320: 바아유닛
340: 파지유닛
342: 회전부
344: 그립부
346: 이탈방지부
400: 검사장치

Claims (10)

  1.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밸브의 누설 및 누수를 검사하는 자동화 밸브 누수 검사시스템으로서,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위치공간과 검사된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검수공간으로 구분되는 안착장치;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를 상기 위치공간으로 운송하거나 상기 검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운송하는 운송장치;
    상기 안착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위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공간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를 상기 검수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그리퍼장치; 및
    내측에 상기 작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그리퍼장치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으로 이동되는 상기 밸브에 수압 혹은 공압을 이용하여 누수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장치는,
    검사 이전의 상기 밸브가 위치되는 상기 위치공간을 형성하는 대기유닛; 및
    상기 대기유닛과 서로 다른 공간에서 상기 검사장치와 인접하게 구비되고,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가 종료된 상기 밸브가 위치되도록 상기 검수공간을 형성하는 벨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장치는,
    바아유닛;
    상기 바아유닛의 일단부에서 상기 밸브를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파지유닛; 및
    상기 밸브가 상기 파지유닛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를 파지하도록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파지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바아유닛과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다수개가 서로가 기 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파지공간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상기 그립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파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밸브가 상기 파지공간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파지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의 위치를 감지하고, 각각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밸브에 기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밸브의 둘레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밸브가 상기 그립부에 의해 파지되어 상기 작업공간 혹은 상기 검수공간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작업공간 및 상기 검수공간에서 상기 밸브가 항상 동일한 위치와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상기 작업공간에서 검사된 상기 밸브의 결과에 대해 검사데이터를 형성하여 상기 검사데이터를 상기 제어유닛에 전달하고, 순차적으로 검사된 상기 밸브에 대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검수공간에서 상기 밸브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정상과 불량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상기 검수공간에는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정상으로 판단되는 상기 밸브가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상기 그리퍼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장치는,
    상기 검사데이터에 따라 상기 밸브가 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량으로 판단된 상기 밸브가 상기 고유번호에 따라 위치되는 거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유닛은,
    상기 검수공간에서 검수가 완료된 상기 밸브가 일방향으로 배치되는 궤도부;
    상기 궤도부 상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검수공간에 위치된 상기 밸브를 서로 구획시키는 구획부; 및
    상기 궤도부의 일측과 타측 구비되어 상기 궤도부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면서 상기 밸브를 상기 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KR1020230053120A 2023-04-24 2023-04-24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Pending KR20240156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120A KR20240156686A (ko) 2023-04-24 2023-04-24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120A KR20240156686A (ko) 2023-04-24 2023-04-24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6686A true KR20240156686A (ko) 2024-10-31

Family

ID=93286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120A Pending KR20240156686A (ko) 2023-04-24 2023-04-24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6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208497U (zh) 一种截止阀自动组装检测设备
TWI601945B (zh) Leak detection system and its use of the leak detection method
US12358729B2 (e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AMHS) rail methodology
WO19970210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k testing vehicle wheels
JP6206745B2 (ja) 車両用キャニスター検査装置
CN114055116A (zh) 一种空气弹簧原拆原装检测检修方法
CN104296928B (zh) 一种pu阀气密性检测设备
CN103335796B (zh) 全自动两通气密性检测装置
KR101827414B1 (ko) 플랜지 자동 검사 장치
KR20240156686A (ko) 자동화 밸브 누설 및 누수 검사 시스템
CN111433510B (zh) 高压气罐的自动校准方法
KR101189776B1 (ko) 고무 호스의 마킹 및 클램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0121481A (ja) リークテスト方法およびリークテスト装置
JP2780151B2 (ja) 検査機構
KR20050101146A (ko) 자동탭핑기에서 탭핑검사장치
KR20230142170A (ko) 핀 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16013807A (zh) 气瓶自动化系统
JPH0533883A (ja) バルブ検査装置
JP4114049B2 (ja) 密着確認装置
JP7394435B2 (ja) アイジョイント金具付きホースの気体式検査方法
KR20050064137A (ko) 캠샤프트의 전후자세 및 기종검사장치
JP2019219975A5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KR20210051750A (ko) 스마트 팩토리에 최적화된 워크 자동 검사장치 및 워크 자동 검사 시스템
KR20070069952A (ko) 턴 오버 모듈에서 웨이퍼 얼라인 불량 검출장치
KR20230094361A (ko) 반송장치의 동작특성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