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4881A -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 Google Patents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4881A KR20240154881A KR1020230051361A KR20230051361A KR20240154881A KR 20240154881 A KR20240154881 A KR 20240154881A KR 1020230051361 A KR1020230051361 A KR 1020230051361A KR 20230051361 A KR20230051361 A KR 20230051361A KR 20240154881 A KR20240154881 A KR 202401548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 ball
- earthquake
- cylinder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2009/186—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arrangements for damping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나 전선관, 배관설비 등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지지헹거에 익스펜션조인트를 구성하여 내진과 제진에 대응하도록 한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에 관한 것으로, 헹거의 어느 한곳에 익스펜션조인트를 구성한 것과; 상기 헹거를 절단하여 두개로 구분하고 각각의 단부에 볼을 일체로 구성한 것과; 상기 익스펜션조인트는, 절단된 헹거의 각각 단부에 형성된 볼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측에서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내장되는 실린더로 구성한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를 완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나 전선관, 배관설비 등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는 지지헹거에 익스펜션조인트를 구성하여 내진과 제진에 대응하도록 한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터널은 물론 건축물에 전선을 배선하거나 각종배관을 하기 위하여 시설물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들 시설물을 건물의 천정이나 벽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헹거이다.
이와 같은 헹거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천정에 일단이 고정되고 직 하방으로 연장시켜 작업 구조물 예컨대, 공조시설이나 배기/급기시설, 시스템 에어컨에서 천정형 실내기, 전기공사 현장에서의 트레이(tray), 배선용 덕트(raceway), 건물 완공 후 텍스와 같은 천정 마감재, 천장 스프링클러에 용수를 공급하는 파이프 등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에 지금까지 개발된 각종 설비용 시설물에 대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지금 까지 개발된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헹거들은 단순히 천정이나 건축물에 고정하는 데에만 목적을 함으로써 내진이나 제진에 대한 대응이 미흡한 것이 현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헹거의 어느 한 곳에 익스펜션조인트를 구성하여 내진이나 제진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이 건축물에 고정되고 타단에 시설물을 설치하는 헹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헹거의 어느 한 곳을 절단하여 건축물측헹거와 시설물측헹거로 구분하여 익스펜션조인트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건축물측헹거와 시설물측헹거의 각각 단부에 볼을 일체로 구성한 것과; 상기 익스펜션조인트는, 건축물측헹거와 시설물측헹거 각각 단부에 형성된 볼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측에서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 탄발스프링이 내장되는 실린더로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양단에 결합되어 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린더캡을 구성하되, 상기 실린더캡은 중앙에 헹거의 외경보다는 크고 볼 외경의 1/2 이하의 직경을 갖는 작동공을 구성하며, 상기 작동공은 내주면이 볼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원호상 마찰부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일 측단에 작동공을 형성한 실린더캡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 결합부를 형성한 2개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하우징조인트로 나합하여 단일 실린더로 구성하거나 상기 2개로 분할된 실린더를 서로 대응하는 암수 나사를 형성하여 직접 결합하도록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캡 측 내경이 볼의 외경보다 플러스공차를 갖도록 하여 볼의 요동을 최소화 하며, 실린더캡과 볼 사이에는 볼의 요동을 규제하는 마찰부시를 구성하면 그 기능은 배가된다 할 것이다.
상기 볼은 중앙에 헹거를 결합하는 결합공을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결합공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헹거를 나사결합 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볼은 홈을 형성하고 헹거의 단부를 꽂아서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발스프링은 볼 내부로 진입하여 탄지하도록 구성하거나 헹거의단부에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캡은 실린더에 별도의 볼트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측헹거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며 서로 분할되는 클립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헹거를 구성함에 있어서, 헹거의 어느 한 곳에 익스펜션조인트를 구성하여 내진이나 제진에 대응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한 효과를 갖는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일부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 일부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일캡을 구성한 실린더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실린더조인트로 결합한상태 예시도.
도 7은 탄발스프링이 볼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실린더캡을 별도의 볼트로 고정한 상태 예시도.
도 9는 도 6의 다른실시상태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익스펜션조인트에 시설물 설치용 클립을 구성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예시한 일부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예시한 일부분리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일캡을 구성한 실린더의 구성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린더를 실린더조인트로 결합한상태 예시도.
도 7은 탄발스프링이 볼 내부로 삽입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발명의 실린더캡을 별도의 볼트로 고정한 상태 예시도.
도 9는 도 6의 다른실시상태 예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익스펜션조인트에 시설물 설치용 클립을 구성한 예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이 건축물(50)에 고정되고 타단에 시설물(60)을 설치하는 헹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헹거(10)의 어느 한 곳을 절단하여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로 구분하여 익스펜션조인트(20)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각각 단부에 볼(15)을 일체로 구성한 것과;
상기 익스펜션조인트(20)는,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 각각 단부에 형성된 볼(15)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측에서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 탄발스프링(26)이 내장되는 실린더(21)로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는 양단에 결합되어 볼(15)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린더캡(22)을 구성하되, 상기 실린더캡(22)은 중앙에 헹거(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볼(15) 외경의 1/2 이하의 직경을 갖는 작동공(23)을 구성하며, 상기 작동공(23)은 내주면이 볼(15)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원호상 마찰부(24)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1)는 일 측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실린더캡(22)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 결합부(25)를 형성한 2개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하우징조인트(28)로 나합하여 단일 실린더(21)로 구성하거나 상기 2개로 분할된 실린더(21)를 서로 대응하는 암수 나사를 형성하여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21)의 실린더캡(22) 측 내경이 볼(15)의 외경보다 플러스공차를 갖도록 하여 볼(15)의 요동을 최소화 하고 실린더캡(22)과 볼(15) 사이에는 볼(15)의 요동을 규제하는 마찰부시(27)를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하면 그 기등은 배가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볼(15)은 중앙에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를 결합하는 결합공(16)을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결합공(16)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를 나사결합 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볼(15)은 홈을 형성하고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를 꽂아서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발스프링(26)은 볼(15) 내부로 진입하여 탄지하도록 구성하거나 헹거(10)의단부에 끼워서 지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캡(22)은 실린더(21)에 별도의 볼트로 결합하도록 구성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며 서로 분할되는 클립(13)을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이 건축물(50)에 고정되고 타단에 시설물(60)을 설치하는 헹거(10)의 어느 한곳에 익스펜션조인트(20)를 구성기 위해서는, 먼저 헹거(10)의 어느 한 부분을 절단하여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각의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 단부에 볼(15)을 일체로 구성한다.
이때 볼(15)을 일체로 구성함에 있어서는, 헹거(10)가 볼(15)에 정확하게 직립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볼(15)에 홈을 형성하고 헹거(10)를 나눈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를 각각 다른 볼(15)에 꽂아서 용접하는 방법을 실시하거나, 볼(15)에 결합공(16)을 형성하고 결합공(16) 내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헹거(10)를 나눈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를 나사 결합하는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볼(15)에 결합공(16)을 뚫고 그 내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헹거(10)를 상기 결합공(16)에 나사결합하는 방법을 실시하여 조립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볼(15)에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를 나사 결합함에 있어서는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가 볼(15)을 뚫고 돌출되어 돌출된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단부가 탄발스프링(26)을 지지하도록 하거나 탄발스프링(26)이 볼(15)의 결합공(16)으로 삽입되도록 하면 이상적이다.
이때 상기 볼(15)에 나사결합된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는 볼(15)과 분리 되거나 위치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칭이나 용접 등으로 서로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에 볼(15)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실린더(21)의 내부에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 각각 단부에 형성된 볼(15)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측에서 삽입하되, 이들 사이에 탄발스프링(26)이 내장되도록 하여 상기 실린더(21)는 양단에 결합되어 볼(15)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린더캡(22)을 결합하여 헹거(10)에 익스펜션조인트(20)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캡(22)은 중앙에 헹거(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볼(15) 외경의 1/2 이하의 직경을 갖는 작동공(23)을 구성하며, 상기 작동공(23)은 내주면이 볼(15)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원호상 마찰부(24)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공(23)을 헹거(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볼(15) 외경의 1/2 이하의 직경을 갖도록 함은 헹거(10)가 지진등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적절히 대응하여 과잉진동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21)의 구성을, 일 측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실린더캡(22)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 결합부(25)를 형성한 2개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실린더조인트(28)로 나합하여 단일 실린더(21)로 구성하거나 상기 결합부(25)가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 하면 생산의 용이함과 조립의 용이함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함은 물론, 외관미 또한 향상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21)의 실린더캡(22) 측 내경이 볼(15)의 외경보다 플러스공차를 갖도록 하여 볼(15)의 요동을 최소화 하고, 실린더캡(22)과 볼(15) 사이에는 볼(15)의 요동을 규제하는 마찰부시(27)를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한다면 내진과 제진에 보다 완벽하게 대응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가 될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며 서로 분할되는 클립(13)을 일체로 구성하면 시설물을 설치하는데 시간을 절약하는 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10: 헹거 11: 건축물측헹거 12: 시설물측헹거
13: 클립 15: 볼 16: 결합공
20: 익스펜션조인트 21: 실린더 22: 실린더캡
23: 작동공 24: 마찰부 25: 결합부
26: 탄발스프링 27: 마찰부시 28: 실린더조인트
50: 건축물 60: 시설물
13: 클립 15: 볼 16: 결합공
20: 익스펜션조인트 21: 실린더 22: 실린더캡
23: 작동공 24: 마찰부 25: 결합부
26: 탄발스프링 27: 마찰부시 28: 실린더조인트
50: 건축물 60: 시설물
Claims (10)
- 일단이 건축물(50)에 고정되고 타단에 시설물(60)을 설치하는 헹거(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헹거(10)의 어느 한 곳을 절단하여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로 구분하여 익스펜션조인트(20)로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의 각각 단부에 볼(15)을 일체로 구성한 것과;
상기 익스펜션조인트(20)는, 건축물측헹거(11)와 시설물측헹거(12) 각각 단부에 형성된 볼(15)이 서로 대응하도록 양측에서 삽입되고 이들 사이에 탄발스프링(26)이 내장되는 실린더(2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는 양단에 결합되어 볼(15)의 이탈을 방지하는 실린더캡(22)을 구성하되, 상기 실린더캡(22)은 중앙에 헹거(10)의 외경보다는 크고 볼(15) 외경의 1/2 이하의 직경을 갖는 작동공(23)을 구성한 것과;
상기 작동공(23)은 내주면이 볼(15)의 외주면과 일치하는 원호상 마찰부(24)를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는 일 측단에 작동공(23)을 형성한 실린더캡(22)을 일체로 형성하고 타측에 결합부(25)를 형성한 2개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실린더조인트(28)로 나합하여 단일 실린더(2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15)은 중앙에 헹거(10)를 결합하는 결합공(16)을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결합공(16) 내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헹거(10)를 나사결합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15)은 홈을 형성하고 헹거(10)의 단부를 꽂아서 일체로 용접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스프링(26)이 볼(15) 내부로 진입하여 탄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캡(22)을 실린더(21)에 별도의 볼트로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개로 분할된 실린더(21)를 서로 대응하는 암수 나사를 형성하여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측헹거(12)의 단부에 회동가능하며 서로 분할되는 클립(13)을 일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 제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의 실린더캡(22) 측 내경이 볼(15)의 외경보다 플러스공차를 갖도록 하여 볼(15)의 요동을 최소화 한 것과;
실린더캡(22)과 볼(15) 사이에는 볼(15)의 요동을 규제하는 마찰부시(27)를 구성한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헹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1361A KR20240154881A (ko) | 2023-04-19 | 2023-04-19 |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1361A KR20240154881A (ko) | 2023-04-19 | 2023-04-19 |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4881A true KR20240154881A (ko) | 2024-10-28 |
Family
ID=9328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51361A Pending KR20240154881A (ko) | 2023-04-19 | 2023-04-19 |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54881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9624A (ko) | 1997-12-18 | 2007-04-12 |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연마제 |
KR20120025970A (ko) | 2010-09-08 | 2012-03-16 |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 절삭 지석 |
KR20180048105A (ko) | 2016-11-02 | 2018-05-10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벤트 알림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099548A (ko) | 2017-12-15 | 2020-08-24 | 바이엘 애니멀 헬스 게엠베하 | 구충제 4-아미노-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
2023
- 2023-04-19 KR KR1020230051361A patent/KR20240154881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9624A (ko) | 1997-12-18 | 2007-04-12 |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연마제 |
KR20120025970A (ko) | 2010-09-08 | 2012-03-16 |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 절삭 지석 |
KR20180048105A (ko) | 2016-11-02 | 2018-05-10 | 주식회사 케이티 | 이벤트 알림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KR20200099548A (ko) | 2017-12-15 | 2020-08-24 | 바이엘 애니멀 헬스 게엠베하 | 구충제 4-아미노-퀴놀린-3-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특허출원 제10-2005-0077318호(2005.08.23)는 전선을 배선하거나 배선용 파이프 등을 설치할 때에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찬넬(Channel)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착평철의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에 코일스프링을 끼워 체결너트편의 너트공에 나사 결합시키되, 압착평철의 저면과 체결너트편의 상면에서 각 체결공 및 너트공의 외주에는 환상V홈을 대향 되게 형성하여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과의 사이에서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이 각 환상V홈에 장전되도록 하고,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에 형성된 각 환상V홈에는 복수의 결속공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의 상단과 하단에 결속절곡편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볼트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을 상/하측의 환상V홈에 장전시킬 때에 코일스프링의 상/하단에 형성된 결속절곡편을 압착평철과 체결너트편에 형성된 각 결속공 중에서 소정 위치의 결속공에 삽입시켜 주도록 된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
특허출원 제10-2006-0087112호(2006.09.09)는 공동주택내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트레이를 용이하게 행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 또는 분해할 수 있게 한 공동주택내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천정에 상단이 고정되는 행거의 하부가 사각파이프의 행거홀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에 있어서, 양측단에 볼트홀이 형성되는 사각파이프; 사각파이프의 양측단에 각각 고정볼트로 고정되고, 사각파이프들 사이에 다수개의 트레이바가 위치하도록 트레이바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측면바; 원통체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행거홀이 형성되어 행거가 삽입되어 사각파이프 상면에 위치되고, 원통체의 중간부에 스풀이 형성되며, 스풀의 권취부에 강판의 일단이 고정되어 권취되고, 강판에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원통체의 상부에 둘레에 행거홀까지 관통되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원통체가 고정되는 측면커버어셈블리; 강판의 장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두개의 걸림편이 연결봉으로 연결 고정되고, 측면어셈블리의 강판이 풀린 상태에서 강판의 단부를 다른 측면어셈블리의 강판과 겹친 상태에서 장공에 삽입하여 고정되는 강판체결구; 측면커버어셈블리가 고정되지 않은 행거와 펼쳐진 강판을 고정하되 장공을 통해 고정되는 체결끈;으로 구성되는 공동주택내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구조를 제공한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2803B1 (ko) |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 |
US11118727B2 (en) | Bracket assembly for bracing two structures | |
KR102109580B1 (ko) | 전산볼트용 내진 커플러 | |
KR101860056B1 (ko) | 내진형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 |
KR101578438B1 (ko) | 천장판넬 내진시공장치 | |
JP7190159B2 (ja) | 支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施工方法 | |
KR101485906B1 (ko) |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 |
KR102252231B1 (ko) | 볼트 일체형 내진행거 및 그의 조립방법 | |
KR20240154881A (ko) | 내진 및 제진구조를 갖는 각종 시설물 지지행거 | |
JP2017125332A (ja) | 減震構造体、及び減震構造体の施工方法 | |
KR101733211B1 (ko) | 내진형 와이어 웨이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
JP6148099B2 (ja) |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1957822B1 (ko) |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벽체구조 | |
KR102651890B1 (ko) |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 |
US20130174500A1 (en) | Seismic resistant grid ceiling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1707559B1 (ko) |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 |
KR200492628Y1 (ko) | 배선용 덕트와 이를 이용한 조명설비 어셈블리 및 조명설비 어셈블리가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 |
KR20220049184A (ko) | 풀림방지 기능과 높낮이 조절부가 있는 풀림방지 건축행거 | |
KR102616647B1 (ko) | 전산볼트 구조체 | |
KR20220086352A (ko) | 천장시스템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마찰감쇠 장치 | |
KR102712616B1 (ko) | 내진용 행거장치 | |
JP6835686B2 (ja) | 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構造及び配線・配管材布設具の設置装置 | |
KR102683297B1 (ko) | 비구조요소 내진용 다관절형 행거 | |
KR20210014026A (ko) | 시공이 용이한 내진구조를 갖는 마루틀 시스템 | |
KR101957823B1 (ko) | 내진성능을 가지는 아파트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