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4237A -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 Google Patents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4237A
KR20240154237A KR1020230050578A KR20230050578A KR20240154237A KR 20240154237 A KR20240154237 A KR 20240154237A KR 1020230050578 A KR1020230050578 A KR 1020230050578A KR 20230050578 A KR20230050578 A KR 20230050578A KR 20240154237 A KR20240154237 A KR 20240154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cover
cover body
socke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암
Original Assignee
이수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암 filed Critical 이수암
Priority to KR102023005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4237A/ko
Publication of KR20240154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423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07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screw-in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마련하여 천장에 설치된 소켓에 플러그가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고, 소켓에 커버를 체결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원터치 방식에 의해 커버를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커버를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킴에 따라 중량물인 천장등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Plug breakaway prevention ceiling lamp}
본 발명은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등에 설치된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플러그가 소켓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각종 가전제품이나 전기제품을 접속시켜 사용하는 수단이 되므로 건물 내의 여러 곳에 다수 설치되고 있다.
상기 콘센트는 통상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됨에 따라 실내 인테리어를 위해 구비되는 가구나 서랍장 등에 의해 쉽게 가려지게 되고, 콘센트가 이렇게 가려질 경우에는 전기제품을 사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게 되며, 더욱이 강당과 같은 대형 공간의 경우 중심위치에서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져 전기제품을 용이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실험실이나 연구소, 학교 등에서 사용되는 콘센트는 수시로 전기기구를 연결하거나 제한된 장소를 움직이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선의 길이가 짧을 경우 별도의 콘센트가 요구되고 있다.
즉, 학교 관공서나 오피스텔 등 많은 인원이 생활하는 장소 또는 회의장, 대강당 등 여러 사람을 상대하는 설명회에서 각자의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자료 화면인 프리젠테이션을 보여주고자 할 경우에는 각자에게 전원을 연결하는 다수의 콘센트가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콘센트에 탭을 꽂아 계속적으로 분기시키고, 여기에 플러그를 꽂아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고 있는바, 탭 등으로 분기되는 전선은 실내의 바닥면을 따라 배선되어 사용상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기 배선은 하나의 콘센트에 다수의 전기 기구가 연결됨으로써 과다한 전력의 사용으로 인해 화재의 발생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배선 상태를 이루게 되어 해당되는 전기 기구의 플러그를 꽂거나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시키는 것이 불편하고, 특히,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등의 설치하는 경우 콘센트가 천장의 바닥면을 향해 설치되고, 여기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게 되므로 플러그가 콘센트로부터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는, 천장에 매입되어 콘센트의 승강 작동을 유도하는 콘센트 승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승강장치는 천장에 고정 장착되는 상판과, 상판 양쪽 외연부로부터 수직 하향 배치되어 그 내측이 보호될 수 있는 양 측판을 포함하여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측판에서 제1회전체에 직렬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모터와, 상기 감속모터의 내측 공간부에서 고정결합되고,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한 쌍으로 배치하여 체결볼트를 관통시키는 제1,2체결공이 천공되며, 제1회전체와 제2회전체 사이 공간에 개재되는 환형돌부로 이루어진 회전축과, 중앙에 감속모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통공이 천공되고, 전선을 권취하기 위한 전선권취드럼이 일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등 간격으로 배열한 다수의 너트케이싱과, 전선의 와인딩 상태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된 제1회전체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 수용되도록 통공을 천공하되, 통공의 외연부는 양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각각 제1,2부싱으로 구성하고, 제1부싱으로부터 등 간격 이격된 지점에 다수의 볼트인입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제2부싱 주변 공간에는 방사형의 동선유입홀이 배치되는 제2회전체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 수용되도록 통공을 천공하고, 전원의 공급을 위하여 다수의 전선들을 전도체로 고정 체결한 접점부가 배열되며, 고정부재가 인입될 수 있게 일정 공간을 이격시켜 형성한 한 쌍의 수용돌기가 다수 배치된 고정판은 제2회전체의 제2부싱에 끼워지고, 본체의 일 측판을 통해 유입되는 다수의 고정부재를 수용돌기의 중심 공간에 각각 끼움 결합시켜 너트를 인출함으로써 접점부가 동선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구성된 고정판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콘센트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콘센트 안전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한 쌍의 콘센트단자를 포위하는 원통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원통곡면형의 한 쌍의 측벽부를 포함하며, 한 쌍의 안내 홈이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상기 한 쌍의 콘센트단자보다 낮지 않은 높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회동안내부재 및 한 쌍의 제1 플러그단자 삽입공이 형성된 원판형 안전커버의 가장자리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한 쌍의 활주 팔이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안내 홈에 활주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한 쌍의 탄성다리가 상기 한 쌍의 활주팔의 일측에서 일체로 각각 상기 한 쌍의 측벽부의 외측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연장되고 말단부가 상기 회동안내부재의 하부에 고정되는 안전커버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4138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5371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9-01433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장에 설치된 소켓에 플러그를 안정되게 결합시켜 플러그가 소켓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에 꽂아진 플러그를 천장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소켓과 플러그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은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된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가 상기 소켓본체(111)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소켓본체(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본체(151); 상기 커버본체(15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나사산(113)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나사부(152); 상기 커버본체(15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러그받침돌기(153);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인서트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공간부(154); 상기 커버본체(151)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고정볼트구멍(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은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켓부재(110)의 외면에 돌출된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고정레버(164)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본체(111)에는 상기 커버부재(150)의 커버본체(161)가 록킹되게 외측으로 걸림돌기(11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컷부재(110)와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161)와, 상기 커버본체(16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레버(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본체(161)에는 양측에 결합홈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2)에는 상기 고정레버(1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고정축(163)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레버(164)는 상기 고정축(1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돌기(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에 의하면, 천장에 설치된 소켓에 플러그가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고, 소켓에 커버를 체결하여 소켓과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원터치 방식에 의해 커버를 간편하게 설치 및 분리시킬 수 있고, 커버를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시킴에 따라 중량물인 천장등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은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와,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와,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된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와,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가 상기 소켓본체(111)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소켓본체(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13)을 구비한다.
상기 소켓부재(110)의 소켓본체(111)는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는 플러그부재(130)를 꽂아 연결할 수 있게 플러그결합구멍(11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소켓본체(111)의 외면에는 커버부재(150)가 체결될 수 있게 나사산(113)이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부재(130)는 천장등(미도시)에 전원이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플러그본체(131)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본체(131)에는 플러그결합구멍(112)에 끼워질 수 있게 플러그(13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본체(131)에는 전선(133)이 연결된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본체(151)와, 상기 커버본체(15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나사산(113)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나사부(152)와, 상기 커버본체(15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러그받침돌기(153)와,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인서트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공간부(154)와, 상기 커버본체(151)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고정볼트구멍(155)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150)의 커버본체(151)에는 소켓부재(110)의 나사산(113)에 체결될 수 있게 나사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151)의 하부에는 플러그부재(130)를 안정되게 받칠 수 있게 플러그받침돌기(153)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또 상기 나사부(152)에는 플러그부재(130)가 인서트될 수 있게 플러그삽입공간부(154)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1)의 상부에는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게 고정볼트구멍(155)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소켓부재(110)의 외면에는 걸림돌기(115)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150)는 커버본체(151)와 상기 커버본체(151)를 걸림돌기(115)에 록킹시키는 록킹러버(1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와,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본체(111)에는 상기 커버부재(150)의 커버본체(161)가 록킹되게 외측으로 걸림돌기(11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15)는 소켓본체(111)의 양측에 대칭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컷부재(110)와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161)와, 상기 커버본체(16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레버(164)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본체(161)에는 걸림돌기(115)에 대응되는 결합홈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2)는 커버본체(161)의 상면에서부터 소정 높이까지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161)에는 양측에 결합홈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2)에는 상기 고정레버(1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고정축(163)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레버(164)는 상기 고정축(1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돌기(1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부(162)에는 록킹레버(16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고정축(16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163)에는 록킹레버(164)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록킹레버(164)에는 걸림돌기(115)에 대응되게 록킹돌기(165)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본체(161)의 중앙에는 플러그삽입공간부(166)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본체(161)에는 고정볼트구멍(167)이 형성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소켓부재(110)의 소켓본체(111)는 천장에 설치되고, 상기 천장등(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게 플러그부재(130)의 플러그(132)를 플러그결합구멍(112)에 끼워 결합시킨다.
상기 소켓부재(110)와 커버부재(130)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150)의 나사부(152)를 나사산(113)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50)의 나사부(152)는 소켓부재(110)의 나사산(113)에 체결되며, 상기 커버부재(150)의 플러그삽입공간부(154) 내부에는 소켓부재(110)와 플러그부재(130)가 수용된다.
상기 커버부재(150)의 고정볼트구멍(155)에는 고정볼트(미도시)를 천장에 체결하며, 이에 상기 소켓부재(110)와 플러그부재(130)는 커버부재(150)에 의해 천장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61)는 결합홈부(162)를 걸림돌기(115)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플러그삽입공간부(166) 내에 소켓부재(110)와 플러그부재(130)를 인서트시킨다.
상기 록킹레버(164)의 록킹돌기(165)는 걸림돌기(115)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커버본체(161)의 고정볼트구멍(167)에는 고정볼트(미도시)를 천장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커버부재(150)의 내측에는 소켓부재(110)와 플러그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천장에 고정볼트로 고정됨에 따라 천장에 설치된 소켓으로부터 플러그(132)가 임의로 빠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소켓부재 111: 소켓본체
112: 플러그결합구멍 113: 나사산
115: 걸림돌기
130: 플러그부재 131: 플러그본체
132: 플러그 133: 전선
150: 커버부재 151: 커버본체
152: 나사부 153: 플러그받침돌기
154: 플러그삽입공간부 155: 고정볼트구멍
161: 커버본체 162: 결합홈부
163: 고정축 164: 록킹레버
165: 록킹돌기 166: 플러그삽입공간부
167: 고정볼트구멍

Claims (7)

  1.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된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이탈되지 않게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가 상기 소켓본체(111)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소켓본체(111)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50)는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본체(151);
    상기 커버본ㅔ(15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나사산(113)에 체결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나사부(152);
    상기 커버본체(151)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플러그받침돌기(153);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인서트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의 내측에 형성되는 플러그삽입공간부(154);
    상기 커버본체(151)가 천장에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커버본체(151)에 형성되는 고정볼트구멍(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4. 플러그부재(130)에 전원을 연결할 수 있게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소켓부재(110);
    상기 소켓부재(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사기 소켓부재(110)에 결합되는 플러그부재(130);
    상기 플러그부재(130)가 상기 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기 소켓부재(110)에 체결되는 커버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켓부재(110)의 외면에 돌출된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고정레버(164)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11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되는 소켓본체(111);
    상기 소켓본체(1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플러그결합구멍(1112);을 포함하며,
    상기 소켓본체(111)에는 상기 커버부재(150)의 커버본체(161)가 록킹되게 외측으로 걸림돌기(115)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50)는 상기 소컷부재(110)와 상기 플러그부재(130)의 외면에 결합되는 커버본체(161)와, 상기 커버본체(161)가 상기 소켓부재(110)의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레버(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61)에는 양측에 결합홈부(16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162)에는 상기 고정레버(16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고정축(163)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레버(164)는 상기 고정축(1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115)에 록킹되는 록킹돌기(16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KR1020230050578A 2023-04-18 2023-04-18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Pending KR20240154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578A KR20240154237A (ko) 2023-04-18 2023-04-18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578A KR20240154237A (ko) 2023-04-18 2023-04-18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4237A true KR20240154237A (ko) 2024-10-25

Family

ID=932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578A Pending KR20240154237A (ko) 2023-04-18 2023-04-18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423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383A (ko) 2009-04-08 2009-04-28 김찬주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
KR20160053717A (ko) 2014-11-05 2016-05-13 신우몰드 주식회사 콘센트 안전장치
KR20190143374A (ko) 2018-06-19 2019-12-30 김노은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383A (ko) 2009-04-08 2009-04-28 김찬주 천장 매입형 콘센트 승강장치
KR20160053717A (ko) 2014-11-05 2016-05-13 신우몰드 주식회사 콘센트 안전장치
KR20190143374A (ko) 2018-06-19 2019-12-30 김노은 직착등 장착용 마운팅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049B1 (en) Ceiling fixture light/fan quick connect and release
US7064269B2 (en) Quick connect electrical junction box assembly
US6325654B1 (en) Quick connect device for mounting a suspended electrical fixture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8062072B2 (en) Tamper resistant convenience outlet
US20080305649A1 (en) Rotatable Magnetic Electrical Connector
JP7332476B2 (ja) 埋め込み式電気器具のためのクイック接続装置
US20070123075A1 (en) Remote receptacle control
US10826236B2 (en) Disconnecting and supporting quick release electrical fixtures
US20090035970A1 (en) Swivellable Electric Socket-Plug Combination
US8480420B2 (en) Outlet and light assembly with internal wiring connection
US11569624B2 (en) Electrical fixture quick connect mount
US8702447B2 (en)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US9458998B2 (en) Electrical fixtur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the same component for electrical as well as structural connections
KR20240154237A (ko) 플러그 이탈방지형 천장등
US6227903B1 (en) Circuit connector block
US9859671B2 (en) Canopy structurally and electrically mating with a plate for attaching an electrical fixture to an electrical source
US11171447B2 (en) Plug and socket assemblies that operatively associate by way of a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plugging and unplugging of electrical fixtures
US11394207B1 (en) System for powering and controlling furniture-mounted light fixtures
EP1109270A2 (en) Socket-outlet for lighting fixture
KR102027234B1 (ko) 전극 레일용 연결 어셈블리
KR102511478B1 (ko)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용이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장치
EP2662617B1 (en) Luminaire socket
EP2662616B1 (en) Luminaire socket
BR102013017645A2 (pt) Interface móvel tomada-plugue multifuncional para caixa de passagem de parede, teto, e/ou outro ponto de sustentação convencional ou n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4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