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3919A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3919A KR20240153919A KR1020240046728A KR20240046728A KR20240153919A KR 20240153919 A KR20240153919 A KR 20240153919A KR 1020240046728 A KR1020240046728 A KR 1020240046728A KR 20240046728 A KR20240046728 A KR 20240046728A KR 20240153919 A KR20240153919 A KR 202401539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isture absorption
- drying process
- drying
- dishwasher
- tub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6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7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14 silicon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1—Drying arrangements by using water absorbent materials, e.g. Zeoli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3—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8—Air 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1—Air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터브에 대한 공급유로가 제1 공급유로 및 제2 공급유로로 분기되도록 구성하고, 제1 공급유로의 토출구 및 제2 공급유로의 토출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식기에 대한 건조 효과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 랙에 대한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터브에 대한 공급유로가 제1 공급유로 및 제2 공급유로로 분기되도록 구성하고, 제1 공급유로의 토출구 및 제2 공급유로의 토출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식기에 대한 건조 효과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 랙에 대한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 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 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 행정 중에 터브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수한 후 터브로 재공급하여 하여 세척대상물에 대한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흡습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등록공보 제7,846,270호(선행문헌 001)에는, 건조 행정 중에 흡습제를 통해 흡습된 기류를 단일 공급유로를 통해 터브로 재공급하는 흡습장치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때, 선행문헌 001의 흡습장치에 구비되는 히터는 건조 행정 중에는 작동되지 않으며, 세척행정이나 헹굼행정 중에 습기를 흡습한 흡습제를 건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흡습제가 한계 흡습량에 도달하게 되면 계속 흡습과정이 진행되어도 식기의 건조가 진행될 수 없기 때문에 식기에 대한 건조의 완전성이 보장되기 힘들고 에너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흡습장치를 통해 흡습된 공기가 하부 랙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터브로 공급되고, 기 때문에 상부 랙에 대한 건조 효과가 하부 랙에 비해서 미비할 수밖에 없다. 즉, 식기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국소적으로 건조 효과가 상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터브에 대한 공급유로가 제1 공급유로 및 제2 공급유로로 분기되도록 구성하고, 제1 공급유로의 토출구 및 제2 공급유로의 토출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식기에 대한 건조 효과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 랙에 대한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하되, 흡습건조 과정으로부터 가열건조 과정의 전환 시점을 흡습량 또는 기류의 온도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건조 행정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되는 터브; 및 흡습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가열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흡습건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열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기류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흡습제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1 공급유로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흡습제를 거쳐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2 공급유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및 상기 흡습건조 과정 또는 상기 가열건조 과정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1 공급유로와 상기 제2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습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가열부의 작동은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가열부가 작동되어 상기 기류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공급유로의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토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하부 랙; 및 상기 세척공간에 상기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상부 랙;을 더 포함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상부 랙과 상기 하부 랙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하부 랙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와 상기 제2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공통 토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하부 랙; 및 상기 세척공간에 상기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상부 랙;을 더 포함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통 토출구는 상기 하부 랙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되는 터브; 및 흡습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가열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흡습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으로서, 건조 행정 중에 상기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 또는 상기 건조 행정 중에 상기 흡습건조 과정과 상기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건조 행정이 진행될 세척코스에 관한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호출된 상기 세척코스에 관한 정보에 상기 복합 건조모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과 상기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의 진행 중에,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흡습건조장치로 도입되는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류로부터의 상기 흡습건조장치에 흡습된 습기의 흡습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흡습량과 소정의 목표 흡습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흡습량이 상기 소정의 목표 흡습량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가열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장치에서 유동하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을 비교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에 대한 비교 결과에 따라 달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달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설정시간보다 작은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보다는 더 크고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는 더 작거나 같은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설정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고 제2 설정시간보다 더 작은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상기 제2 설정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설정시간보다 더 큰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행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가열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터브에 대한 공급유로가 제1 공급유로 및 제2 공급유로로 분기되도록 구성하고, 제1 공급유로의 토출구 및 제2 공급유로의 토출구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식기에 대한 건조 효과의 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부 랙에 대한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단일 흡습제와 단일 히터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하되, 흡습건조 과정으로부터 가열건조 과정의 전환 시점을 흡습량 또는 기류의 온도에 따라 결정함으로써, 건조 행정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개시된 흡습건조장치의 예시적 세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흡습건조장치의 예시적 세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진행되는 행정 진행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개시된 흡습건조장치의 예시적 세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개시된 흡습건조장치의 예시적 세부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흡습건조장치에 의해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진행되는 행정 진행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들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세척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세척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세척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회전하면서 하부 랙(51)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터브(20)의 하부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건조행정 진행 시에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수한 후에 공기를 다시 터브(20)로 재공급하는 흡습건조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장치(80)는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81)와,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82)와, 터브(2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83)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수하는 흡습제(85)와, 터브(20)의 내부에 배치되며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가이드(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부면(25)에는 흡습건조장치(80)를 통해 수증기가 제거된 공기가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
흡습건조장치(80)의 실시예별 세부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흡습건조장치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1)의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는, 터브(20)로부터 흡입되고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82)와, 흡습제(85) 또는 터브(20)에 공급될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831)를 구비하는 가열부(83)와,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송풍부(82)와 가열부(83)의 하류에 배치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는 다수의 흡습제(85)와, 내부에 가열부(83)와 흡습제(85)를 수용하는 하우징(84)과, 터브(20)의 공기흡입홀과 송풍부(82)를 연결하는 흡입덕트(81)와, 터브(20)의 내부에 노출되고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가이드(8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부(82)는, 가열부(83) 및 흡습제(85)에 대해서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고, 흡입덕트(81)의 하류 측에 배치되며, 터브(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흡습제(85)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821)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미도시)는 함께 모듈화되어 팬하우징의 내부 또는 흡입덕트(81)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흡습건조장치(80)에 적용되는 송풍팬(821)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시로코팬 형식으로 송풍팬(821)이 구비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821)의 회전축의 연장방향은 전후방향이 될 수 있다.
가열부(83)는,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전술한 송풍부(82)와 흡습제(85) 사이로서 하우징(84)을 구성하는 히터수용부(841)에 배치되며,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기 위해 또는 흡습제재생 과정 진행 시에 흡습제(85)를 건조 및 재생시키기 위해 공기의 기류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제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히터(831)에 전력이 공급되어 기류를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건조 과정에서 저온의 기류(FL)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히터(831)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31)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때, 저온의 기류(FL) 및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송풍팬(821)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흡습건조장치(80)에 구비되는 히터(831)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히터(83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832)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832)는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를 통과하여 외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히터(831)에 인접한 위치로서 히터수용부(841)에는 히터(831)의 과열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써모스탯(TH)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로서 기능하는 써미스터(ST)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써미스터(ST)는 히터(831)의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84)의 흡습제수용부(842)를 관통하여 흡습제수용부(842)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유로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써미스터(ST)는 히터(831)를 통과한 기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써미스터(ST)의 출력신호는 후술할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써미스터(ST)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하우징(84)의 내부유로에서 유동하는 기류의 온도를 판단할 수 있다.
흡습제(85)는, 흡습건조장치(80)의 흡습건조 과정 진행 시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고, 흡습건조장치(80)의 흡습제재생 과정 진행 시 흡수한 습기를 기류에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흡습제(85)는 작동온도 범위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흡수한 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가역적 흡습 물질(reversibly dehydratabl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가역적 흡습 물질은, 알루미늄 산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카겔(silica gel), 알루미나 실리카 또는 제올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조합을 갖는 조성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에는 예시적으로 알루미늄 산화물과 실리콘 산화물을 포함하는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재질을 갖는 흡습제(85)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흡습제(85)가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알루미나 실리카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는 흡습제(85)는, 공기의 기류(F)에 대한 접촉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소정의 입경을 갖는 입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수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물 재질로 제작되는 흡습제에 비해서 보다 낮은 온도범위에서 흡습 작용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낮은 온도범위에서 재생 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공기의 기류는 입자 형태로 구비되는 다수의 흡습제(85) 사이를 통과하면서 흡습제(85)와 접촉하여 습기가 흡수되거나, 흡습제(85)로부터 배출되는 습기를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흡습제(85)는 공기의 기류에 대한 유동저항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공극이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최적의 흡습 효율을 확보할 수 있도록 흡습제(85)의 입경이 선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 2mm 내지 6mm 범위의 입경을 갖는 흡습제(85)가 선택 및 적용될 수 있다.
한편, 흡습제(85)는,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송풍부(82) 및 가열부(83)의 하류로서 하우징(84)을 구성하는 흡습제수용부(842)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는, 흡습제(85)는 송풍부(82) 및 가열부(83)의 하류에 형성되는 흡습제수용부(842)의 내부에 한 쌍의 흡습제홀더(86)를 통해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흡습제홀더(86)에는 공기의 기류가 통과할 수 있는 메쉬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흡습건조장치(80)의 하우징(84)은 전술한 가열부(83) 및 흡습제(85)를 수용하며, 히터(831)를 통과한 기류의 유동을 안내하는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4)은 히터(831)를 수용하는 히터수용부(841)와, 흡습제(85)를 수용하는 흡습제수용부(8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84)의 내부유로는 흡습제수용부(842)와 히터수용부(841)의 경계에서 제1 공급유로(881C)와 제2 공급유로(882C)로 분기될 수 있다.
제1 공급유로(881C)는 기류가 흡습제(85)를 통과하는 유로가 될 수 있으며, 제2 공급유로(882C)는 흡습제(85)를 통과하지 않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제1 공급유로(881C)는 후술하는 제1 공급덕트(881)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공급유로(882C)는 후술하는 제2 공급덕트(882)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부유로의 형성을 위해, 하우징(84)을 구성하는 히터수용부(841)와 흡습제수용부(842)는 중공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흡습건조장치(80)는, 하우징(84)의 흡습제수용부(842)와 터브(20)의 하부면을 연통시키는 제1 공급덕트(881)와,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와 터브(20)의 양측면 또는 후방면을 연통시키는 제2 공급덕트(8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덕트(881)는,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가 하우징(84)의 흡습제수용부(842)에 연통되고 후단부가 터브(20)의 하부면을 통과하여 세척공간(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공급덕트(881)의 내부에는 흡습제(85)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1 공급유로(881C)가 형성될 수 있다.
흡습제(85)를 통과한 기류가 도입될 수 있도록, 제1 공급덕트(881)의 선단부는 흡습제(85)를 수용하는 흡습제수용부(842)의 출구단 측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공급덕트(881)의 후단부에는, 제1 공급유로(881C)를 통과한 기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1 토출가이드(891)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토출가이드(891)에는 세척공간(21)을 향해 개방되는 제1 토출구(893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토출구(893a)는, 터브(20)의 하부면을 향해 개방되거나 터브(20)의 후방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터브(20)의 하부면 및 터브의 후방면 모두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가이드(891) 및 제1 토출구(893a)는 하부 랙(5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습건조 과정 및 흡습제재생 과정 진행 시에 흡습제(85)를 통과한 기류는 제1 토출구(893a)를 통해서 하부 랙(51)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2 공급덕트(882)는,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가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에 연통되고 후단부가 터브(20)의 측면 또는 후방면을 통과하여 세척공간(21)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882)의 내부에는 흡습제(85)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유동하는 제2 공급유로(882C)가 형성될 수 있다.
흡습제(85)를 통과하지 않은 기류가 도입될 수 있도록, 제2 공급덕트(882)의 선단부는, 제1 공급덕트(881)의 선단부보다 더 상류 측이 되는 히터수용부(841)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882)의 후단부에는, 제2 공급유로(882C)를 통과한 기류의 유동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 토출가이드(892)가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토출가이드(892)는 제1 토출가이드(891)와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토출가이드(891)와 제2 토출가이드(892)는 서로 호환가능한 공용품이 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토출가이드(892)의 상하방향 위치가 제1 토출가이드(891)의 상하방향 위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랙(51)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제2 토출가이드(892)의 상하방향 위치가 더 높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토출가이드(892)에는 세척공간(21)을 향해 개방되는 제2 토출구(893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토출가이드(892) 및 제2 토출구(893b)는 하부 랙(5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 그리고 상부 랙(52)보다는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토출가이드(892)와 제2 토출구(893b)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랙(52)과 하부 랙(5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히터(831)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기류(FH)는, 제2 공급덕트(882)를 거쳐 제2 토출가이드(892)의 제2 토출구(893b)를 통해서 상부 랙(52)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흡습건조 과정에서 하부 랙(51)보다 건조가 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상부 랙(52)에 대해서 고온의 기류(FH)가 집중적으로 공급됨으로써 상부 랙(52)에 대한 건조의 완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한편, 흡습건조장치(80)는, 흡습건조 과정 또는 가열건조 과정의 진행에 따라 제1 공급유로(881C)와 제2 공급유로(882C)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부(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84)의 내부유로는 히터(831)를 경유한 후에 히터수용부(841)와 흡습제수용부(842) 사이에서 제1 공급유로(881C)와 제2 공급유로(882C)로 분기될 수 있다.
댐퍼부(87)는 이와 같이 분기된 제1 공급유로(881C)와 제2 공급유로(882C)를 흡습건조 과정 또는 가열건조 과정 진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패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 달리 설명하지 않는 한, 선택적으로 개폐한다는 의미는 제1 공급유로(881C)의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2 공급유로(882C)는 폐쇄하고, 제1 공급유로(881C)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제2 공급유로(882C)가 개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87)는 제1 공급유로(881C)의 선단부와 제2 공급유로(882C)의 선단부 사이로서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댐퍼부(87)는 흡습제(85)보다는 상류 측에 제1 공급유로(881C)를 폐쇄하는 위치와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습건조 과정 또는 가열건조 과정 진행 상태에 따른 댐퍼부(87)의 선택적 개폐 작용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댐퍼부(87)는 도시되지 않은 전동모터 또는 솔레노이드 등과 같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한 수단이 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를 통해 위치가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흡습건조장치(80)는,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선단부가 터브(20)의 공기흡입홀(20h)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에 연통되며, 공기흡입홀(20h)을 통해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하우징(84)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흡입덕트(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덕트(81)의 내부에는 공기의 기류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중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흡입덕트(81)는, 터브(20)의 상부면에 인접해서 형성되는 공기흡입홀(20h)과, 터브(20)의 하부면(25)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홀(20h)에는 그릴캡(811)이 결합될 수 있으며, 그릴캡(811)은 공기흡입홀(20h)을 통과하여 흡입덕트(81)의 입구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릴캡(811)에 의해서 터브(20)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흡입덕트(81)의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흡입덕트(81)에는, 전술한 써미스터(ST)와 유사하게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고 기류의 습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온습도센서(SH)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온습도센서(SH)는, 터브(20)로부터 유입되는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공기흡입홀(20h)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습도센서(SH)는 공기흡입홀(20h)에 근접하여 흡입덕트(81)의 선단부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덕트(81)를 관통하여 흡입덕트(81)의 내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는 후술할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에는 온습도센서(SH)와 써미스터(ST)가 모두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건조행정의 진행 중에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건조 과정에서 저온의 기류(FL)를 공급하는 상태 및 가열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기류(FH)를 공급하는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가 흡습건조 과정에서 저온의 기류(FL)를 공급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 과정에서 댐퍼부(87)는,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시키고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댐퍼부(87)가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면, 송풍부(82)에 전력이 공급되어 송풍팬(821)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흡습건조 과정에서는 저온의 기류(FL)가 생성될 수 있도록 가열부(83)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히터(831)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821)의 작동이 개시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로부터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습기를 함유한 기류가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를 향해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될 수 있다. 히터(831)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류는 가열되지 않으며 저온의 기류(FL)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히터(831)를 통과한 저온의 기류(FL)는, 개방된 제1 공급유로(881C)를 따라 흡습제(85)가 수용된 흡습제수용부(842)로 도입될 수 있으며, 흡습제(85)를 통과하면서 기류에 포함된 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흡습제(85)를 통과하면서 흡습된 저온의 기류(FL)는 제1 공급덕트(881) 및 제1 토출가이드(891)를 거쳐 제1 토출구(893a)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토출구(893a)는 하부 랙(5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흡습된 저온의 기류(FL)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저온의 기류(FL)는 하부 랙(51) 및 상부 랙(52)을 거치면서 고르게 식기로부터 다시 습기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식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면서 습해진 저온의 기류(FL)는 다시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식기 및 세척공간(21)의 습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식기에 대한 건조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가 가열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기류(FH)를 공급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면 댐퍼부(87)는, 제1 공급유로(881C)를 폐쇄시키고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댐퍼부(87)가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면, 히터(831)에 전력이 공급되어 히터(831)의 구동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흡습건조 과정과 동일하게 송풍팬(821)의 작동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831)의 구동이 개시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로부터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습기를 함유한 기류가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되는 기류는 흡습건조 과정에서의 기류보다는 더 낮은 절대습도를 가질 수 있다.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를 향해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될 수 있다.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에 의해서 가열되며 고온의 기류(FH)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831)를 통과한 고온의 기류(FH)는, 개방된 제2 공급유로(882C)를 따라 흡습제(85)를 거치지 않고 제2 공급덕트(88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882)로 유입된 고온의 기류(FH)는 제2 토출가이드(892)를 거쳐 제2 토출구(893b)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토출구(893b)는 상부 랙(52)과 하부 랙(51) 사이의 위치에서 고온의 기류(FH)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고온의 기류(FH)는 상부 랙(5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흡습건조 과정에서 하부 랙(51)보다 낮은 건조 상태가 형성될 수 있는 상부 랙(52)에 고온의 기류(FH)가 공급되면서 상부 랙(52)에 거치된 식기에 묻어 있는 습기 또는 물기가 빠르게 증발될 수 있다.
상부 랙(52)을 통과한 고온의 기류(FH)는 다시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식기 및 세척공간(21)의 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식기에 대한 고온의 기류(FH)를 통한 증발 건조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1)의 개략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1 공급유로(881C)를 통과한 기류와 제2 공급유로(882C)의 통과한 기류를 터브(20)를 향해 배출시키는 공통 토출구(893)를 구비할 수 있다.
공통 토출구(893)는, 제1 공급유로(881C)가 형성되는 제1 공급덕트(881)의 후단부와, 제2 공급유로(882C)가 형성되는 제2 공급덕트(882)의 후단부가 함께 연결되는 공통의 토출가이드(89)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의 토출가이드(89)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1 토출구(893a)를 구비하는 제1 토출가이드(891)와 유사하게 하부 랙(5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통 토출구(893), 공통의 토출가이드(89), 및 제2 공급덕트(882)에 관한 구성을 제외하고 제2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건조 과정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부(87)는,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시키고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댐퍼부(87)가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면, 송풍부(82)에 전력이 공급되어 송풍팬(821)의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흡습건조 과정에서는 저온의 기류(FL)가 생성될 수 있도록 가열부(83)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히터(831)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821)의 작동이 개시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로부터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습기를 함유한 기류가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를 향해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될 수 있다. 히터(831)는 구동이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류는 가열되지 않으며 저온의 기류(FL)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히터(831)를 통과한 저온의 기류(FL)는, 개방된 제1 공급유로(881C)를 따라 흡습제(85)가 수용된 흡습제수용부(842)로 도입될 수 있으며, 흡습제(85)를 통과하면서 기류에 포함된 습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흡습제(85)를 통과하면서 흡습된 저온의 기류(FL)는 제1 공급덕트(881) 및 공통의 토출가이드(89)를 거쳐 공통 토출구(893)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공통 토출구(893)는 하부 랙(51)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서 흡습된 저온의 기류(FL)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저온의 기류(FL)는 하부 랙(51) 및 상부 랙(52)을 거치면서 고르게 식기로부터 다시 습기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식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하면서 습해진 저온의 기류(FL)는 다시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식기 및 세척공간(21)의 습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식기에 대한 건조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도 12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습건조장치(80)가 가열건조 과정에서 고온의 기류(FH)를 공급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건조 과정에서 댐퍼부(87)는, 제1 공급유로(881C)를 폐쇄시키고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댐퍼부(87)가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이동되면, 히터(831)에 전력이 공급되어 히터(831)의 구동이 개시될 수 있다.
이 때, 흡습건조 과정과 동일하게 송풍팬(821)의 작동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831)의 구동이 개시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로부터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습기를 함유한 기류가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되는 기류는 흡습건조 과정에서의 기류보다는 더 낮은 절대습도를 가질 수 있다.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를 향해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될 수 있다.
하우징(84)의 히터수용부(841)의 내부유로로 도입된 기류는 히터(831)에 의해서 가열되며 고온의 기류(FH)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831)를 통과한 고온의 기류(FH)는, 개방된 제2 공급유로(882C)를 따라 흡습제(85)를 거치지 않고 제2 공급덕트(88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공급덕트(882)로 유입된 고온의 기류(FH)는 공통 토출가이드(89)를 거쳐 공통 토출구(893)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토출구(893)는 하부 랙(51)보다 낮은 위치에서 고온의 기류(FH)를 배출하기 때문에, 배출된 고온의 기류(FH)는 하부 랙(51)에 먼저 공급되고 하부 랙(51)을 거쳐 상부 랙(52)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흡습건조 과정에서 국지적으로 미건조 상태 형성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에 고온의 기류(FH)가 공급되면서 하부 랙(51) 및 상부 랙(52)에 거치된 식기에 묻어 있는 습기 또는 물기가 빠르게 증발될 수 있다.
상부 랙(52)을 통과한 고온의 기류(FH)는 다시 공기흡입홀(20h)을 거쳐 흡입덕트(81)의 내부로 도입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식기 및 세척공간(21)의 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이를 통해 식기에 대한 고온의 기류(FH)를 통한 증발 건조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다.
[제어부의 구성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제어부(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각 기능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컴,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는 버튼부(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부(34)를 통해 사용자의 전원 온-오프 조작입력, 및 세척코스 선택입력이 입력되면 버튼부(34)는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버튼부(34)의 전기적 신호가 수신되면 식기세척기(1)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선택된 세척코스에 따라 행정이 진행되도록 식기세척기(1)의 작동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버튼부(34) 이외에 사용자 단말기 등과 같은 다른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흡습건조장치(80)를 통과하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ST)와,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습도센서(SH)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센서(ST)를 구성하는 써미스터는 하우징(84)의 흡습제수용부(842)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히터(831)를 통과한 기류의 온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온습도센서(SH)는 흡입덕트(81)에 설치될 있으며, 터브(20)로부터 배출되어 흡입덕트(81)로 도입되는 기류의 온도 및 습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온도센서(ST)와 온습도센서(SH)는 모두 함께 구비되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도센서(ST)의 출력신호 또는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는 흡습건조 과정의 진행 중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 및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흡습제(85)를 건조 및 재생시키기 위해 흡습제(85)로 공급될 공기의 기류(F)를 가열하는 가열부(83)의 히터(831)에 직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는 가열부(83)가 제어부(100)를 거쳐 간접적으로 전력공급부(48)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가열부(83)가 직접 전력공급부(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100)가 전력공급부(48)의 전력공급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후술하는 전력공급부(48)로부터 가열부(83)에 공급되는 전력을 단속하여 히터(831)를 구동시키거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100)는 흡습건조 과정에서는 저온의 기류(FL)를 생성하기 위해 히터(83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가열건조 과정에서는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831)의 구동을 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세척 행정(S2) 또는 가열헹굼 행정(S4)의 진행 중에 흡습제재생 과정에서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여 히터(831)의 구동을 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8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건조 행정(S5) 중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의 진행이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전력공급부(48)의 전력을 송풍부(82)로 전달하여 저온의 기류(FL) 또는 고온의 기류(FH)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 공급유로(881C) 및 제2 공급유로(882C)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부(87)에, 보다 상세히는 댐퍼부(87)의 액추에이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하고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하도록 댐퍼부(87)를 구동하여 댐퍼부(87)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제1 공급유로(881C)를 폐쇄하고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하도록 댐퍼부(87)를 구동하여 댐퍼부(87)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술한 가열부(83), 댐퍼부(87) 및 송풍부(82) 등에 공급되기에 적합한 수준으로 전력을 변환하는 전력공급부(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선택된 세척코스의 행정 진행에 대응하여 가열부(83), 댐퍼부(87) 및 송풍부(82) 등에 공급될 전력을 단속하여 이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메모리 및 타이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모리에 세척코스별로 미리 저장된 행정별 운전조건 및 시간조건 등을 호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척코스에 따른 행정의 진행 및 종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세척코스에는 건조행정 시 흡습건조장치(80)를 통해서 진행될 건조모드에 관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모드는, 건조행정 동안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와,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각각의 행정별 경과시간 등을 연산하고,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행정별 시간조건과 비교하여 각각의 행정의 완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행정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세척 행정(S2), 세척 행정(S2), 헹굼 행정(S3), 가열헹굼 행정(S4) 및 건조 행정(S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예시적으로 예비세척 행정(S1), 세척 행정(S2), 헹굼 행정(S3), 가열헹굼 행정(S4) 및 건조 행정(S5) 순으로 진행되는 식기세척기(1)의 행정 진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예비세척 행정(S1)은 세제공급장치를 통해 세제를 투여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펌프(45)를 구동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키고 섬프(41)에 구비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통해 오염량을 측정하는 행정이며, 세척 행정(S2)은 세제공급장치를 통해 세제를 투여한 상태로 세척수를 순환시켜 식기를 세척하는 행정이다.
헹굼 행정(S3) 및 가열헹굼 행정(S4)에서는 세제공급장치에서 린스를 투여하여 세척수를 순환시켜 식기에 잔류된 세제를 제거하는 행정이다.
헹굼 행정(S3) 및 가열헹굼 행정(S4) 진행 시에는 가열된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가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헹굼 행정(S3) 및 가열헹굼 행정(S4) 완료 후 진행될 건조 행정(S5)에서 식기의 건조 효율이 향상되고 건조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들 각각 행정은 세척코스 설정 및 옵션에 따라 생략되거나, 중복해서 진행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행정 사이에는 각각의 행정 진행 시 사용한 세척수의 배수과정 및 새로운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비세척 행정(S1) 전에는 급수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비세척 행정(S1)과 세척 행정(S2) 사이, 세척 행정(S2)과 헹굼 행정(S3) 사이, 및 가열헹굼 행정(S4)과 헹굼 행정(S3) 사이에 배수과정 및 급수과정이 진행될 수 있고, 가열헹굼 행정(S4)과 건조 행정(S5) 사이에 배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급수부(43)에 구비되는 아쿠아스탑(미도시)을 제어하여 급수유로를 통해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급수과정이 진행될 수 있고, 섬프(41)에 연결된 배수부(44)를 제어하여 배수유로를 통해 식기세척기(1)의 외부로 세척수를 배수함으로써 배수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15에는 건조 행정(S5) 중에 진행될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제어방법은, 건조 행정의 진행 중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 또는 건조행정 중에 흡습건조 과정과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는 건조 행정이 개시(S51)된 후에 건조 행정의 종료(S53) 전 수행되는 S52 단계의 세부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전술한 버튼부(34)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선택된 사용자의 세척코스 선택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S520)
세척코스 선택에 관한 정보가 호출되면, 제어부(100)는 선택된 세척코스에 포함된 건조모드가 기본 건조모드인지 또는 복합 건조모드인지 판단한다. (S521)
만약 S521 단계에서 선택된 세척코스에 복합 건조모드의 진행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먼저 복합 건조모드에 포함되는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댐퍼부(87)를 구동시켜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하고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하는 위치로 댐퍼부(87)의 위치를 전환한다. (S522)
S522 단계에서 댐퍼부(87)의 위치가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타이머를 통해 댐퍼부(87)가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된 진행시간(t)의 측정을 개시한다. (S523)
여기서 댐퍼부(87)가 전환된 시점부터의 진행시간(t)은, 실시예에 따라 흡습건조 과정을 통해서 식기에 대한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및 가열건조 과정을 통해서 식기에 대한 가열건조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S523 단계에서 진행시간(t)의 측정이 개시된 후에, 제어부(100)는 송풍부(82)에 전력을 공급하여 송풍팬(821)을 구동시켜 기류(F)를 생성한다. (S524)
이 때, 제어부(100)는 가열부(83)에 대해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가열부(83)의 작동은 정지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흡습건조장치(80)를 통해 저온의 기류(FL)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저온의 기류(FL)는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흡습제(85)를 경유하여 제1 토출구(893a)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되며,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흡습제(85)를 경유하여 공통 토출구(893)를 통해 터브(2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20)로 공급된 기류는 식기로부터 습기를 흡수한 후 공기흡입홀(20h) 및 흡입덕트(81)를 거쳐 흡습건조장치(8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온의 기류(FL)의 순환에 따라 세척공간(21) 및 세척공간(21)에 수용된 식기의 습도는 진행시간(t)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흡습제(85)에 포집되는 습기량, 즉 흡습량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한편 S524 단계에서 송풍팬(821)의 구동이 개시되어 저온의 기류(FL)의 순환이 개시된 후에, 제어부(100)는 저온의 기류(FL)가 순환함에 따라 식기에 대한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 즉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525)
후술하는 바와 같이, 흡습건조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덕트(81)에 배치되는 온습도센서(SH) 또는 하우징(84)의 흡습제수용부(842)에 배치되는 온도센서(ST)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흡입덕트(81)에 구비되는 온습도센서(SH)를 이용하여 흡습건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세부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합 건조모드의 진행 중 흡습건조 과정을 통해 식기에 대한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100)는 온습도센서(SH)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5251a)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에는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온도에 관한 정보 및 습도에 관한 정보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S5251a 단계에서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초기 절대습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초기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5252a)
S5252a 단계에서 초기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가 연산되고 저장된 후에, 제어부(100)는 온습도센서(SH)로부터 출력신호를 재수신한다. (S5253a)
S5253a 단계에서 온습도센서(SH)의 출력신호가 재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수신된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현재 터브(20)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현재 절대습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현재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5254a)
S5254a 단계에서 현재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가 연산되고 저장된 후에, 제어부(100)는 저장된 초기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 및 현재 절대습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흡습건조 과정에서 흡습제(85)의 흡습량(△H)을 연산한다. (S5255a)
흡습제(85)의 흡습량(△H)은, 초기 절대습도 및 현재 절대습도에 대한 차이값과, 송풍부(82)에 의한 단위 시간당 송풍량 및 타이머를 통해서 측정된 현재까지의 진행시간(t)을 곱한 값으로 연산될 수 있다.
S5255a 단계에서 초기 절대습도 및 현재 절대습도에 대한 차이값을 기초로 하여 흡습제(85)의 흡습량(△H)이 연산되면, 제어부(100)는 연산된 흡습량(△H)이 목표 흡습량(△Hp)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5256a)
여기서 목표 흡습량(△Hp)에 관한 정보는, 흡습제(85)의 용량 및 재질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목표 흡습량(△Hp)에 관한 정보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목표 흡습량(△Hp)은, 흡습건조장치(80)에 구비되는 흡습제(85)가 포집할 수 있는 최대 흡습량보다는 더 작은 값이 되나, 세척 행정(S2) 또는 가열헹굼 행정(S4)이 지연되지 않고 흡습제(85)가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는 수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S5256a 단계에서 연산된 흡습량(△H)이 목표 흡습량(△Hp)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흡습제(85)가 적정 수준의 흡습을 진행한 것으로 판단하고, 복합 건조모드에서 현재 진행 중인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를 결정한다. (S5256a)
S5256a 단계에서 흡습건조 건조 과정의 완료가 결정되면, 후술하는 가열건조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습건조 과정에서 흡습제(85)를 통해 포집된 흡습량(△H)이, 세척 행정(S2) 또는 가열헹굼 행정(S4)의 진행 중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세척 행정(S2)이나 가열헹굼 행정(S4)이 지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S5256a 단계에서 연산된 흡습량(△H)이 목표 흡습량(△Hp)보다 더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S5253a 단계로 복귀하여 이후 단계들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로서 흡습건조장치(80)에 온습도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구성에 따라 흡습건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세부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예는 흡습건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흡습건조장치(80)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온도센서(ST)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복합 건조모드의 진행 중 흡습건조 과정을 통해 식기에 대한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100)는 온도센서(ST)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S5251b)
S5251b 단계에서 수신된 출력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831)를 통과하는 저온의 기류(FL)에 대한 온도를 연산 및 검출하고, 검출된 기류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S5252b)
S5252b 단계에서 기류의 온도가 검출되면, 제어부(100)는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호출하고 검출된 기류의 온도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을 비교한다. (S5253b)
여기서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은, 제1 설정온도(Tp1)보다 더 크게 되는 제1 온도구간, 제1 설정온도(Tp1)보다는 작거나 같고 제2 설정온도(Tp2)보다는 더 크게 되는 제2 온도구간, 및 제2 설정온도(Tp2)보다 더 작거나 같은 제3 온도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S5253b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어부(100)는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1 온도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즉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p1)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결정된 제1 설정시간(tp1)보다 더 작은 시간동안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도록 결정한다. (S5254b)
따라서 제어부(100)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진행시간(t)을 호출하고, 진행시간(t)이 제1 설정시간(tp1)보다 작은 시간 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합 건조모드에서 현재 진행 중인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를 결정한다. (S5257b)
한편 S5253b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어부(100)는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2 온도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즉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Tp1)보다 작거나 같고 제2 설정온도(Tp2)보다 더 큰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결정된 제1 설정시간(tp1)보다 더 크거나 같고 미리 결정된 제2 설정시간(tp2)보다 더 작은 시간동안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도록 결정한다. (S5255b)
따라서 제어부(100)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진행시간(t)을 호출하고, 진행시간(t)이 제1 설정시간(tp1)보다 크거나 같고 제2 설정시간(tp2)보다 더 작은 시간 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합 건조모드에서 현재 진행 중인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를 결정한다. (S5257b)
한편 S5253b 단계에서의 비교의 결과, 제어부(100)는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3 온도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즉 검출된 기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Tp2)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결정된 제2 설정시간(tp2)보다 더 큰 시간동안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되도록 결정한다. (S5255b)
따라서 제어부(100)는 타이머로부터 현재 진행시간(t)을 호출하고, 진행시간(t)이 제2 설정시간(tp2)보다 큰 시간 구간에 도달하게 되면,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복합 건조모드에서 현재 진행 중인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를 결정한다. (S5257b)
통상적으로 기류의 온도가 높을수록 흡습제(85)가 적정 흡습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기류의 온도가 속하는 범위에 따라 흡습건조 과정의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건조 행정(S5)이 지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S5257a 또는 S5257b 단계에서 복합 건조모드에서의 현재 진행 중인 흡습건조 과정의 완료가 결정되면, 제어부(100)는 복합 건조모드에 포함되는 가열건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댐퍼부(87)를 구동시켜 제1 공급유로(881C)를 폐쇄하고 제2 공급유로(882C)를 개방하는 위치로 댐퍼부(87)의 위치를 전환한다. (S526)
S526 단계에서 댐퍼부(87)의 위치가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고온의 기류(FH)를 생성하기 위해 가열부(83)에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831)의 구동을 개시한다. (S527)
이와 같이 S527 단계에서 히터(831)의 구동이 개시됨에 따라 가열건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가열건조 과정의 진행된 후에 제어부(100)는, 가열건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머로부터 현재까지의 진행시간(t)을 호출하고, 호출된 진행시간(t)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목표 건조시간(tp)을 비교한다. (S528)
S528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현재까지의 진행시간(t)이 목표 건조시간(tp)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복합 건조모드에서의 가열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가열건조 과정을 완료하기 위해 송풍부(82) 및 가열부(83)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송풍부(82) 및 가열부(83)의 구동을 중단한다. (S529)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복합 건조모드에서의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건조 과정이 완료됨으로써 건조 행정(S5)의 진행이 종료될 수 있다.
한편, S521 단계에서 선택된 세척코스에 복합 건조모드의 진행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기본 건조모드에 포함되는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 댐퍼부(87)를 구동시켜 제1 공급유로(881C)를 개방하고 제2 공급유로(882C)를 폐쇄하는 위치로 댐퍼부(87)의 위치를 전환한다. (S530)
S530 단계에서 댐퍼부(87)의 위치가 전환되면, 제어부(100)는 타이머를 통해 댐퍼부(87)가 전환된 시점부터 경과된 진행시간(t)의 측정을 개시한다. (S531)
S531 단계에서 진행시간(t)의 측정이 개시된 후에, 제어부(100)는 송풍부(82)에 전력을 공급하여 송풍팬(821)을 구동시켜 기류를 생성한다. (S532)
이 때, 제어부(100)는 가열부(83)에 대해서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이에 따라 가열부(83)의 작동은 정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S532 단계에서 송풍부(82)의 구동이 개시됨에 따라 기본 건조모드에서의 흡습건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흡습건조 과정의 진행된 후에 제어부(100)는, 흡습건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머로부터 현재까지의 진행시간(t)을 호출하고, 호출된 진행시간(t)과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목표 건조시간(tp)을 비교한다. (S533)
S533 단계에서의 비교 결과, 현재까지의 진행시간(t)이 목표 건조시간(tp)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가열건조 과정에서의 판단과 유사하게 제어부(100)는 기본 건조모드에서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가열건조 과정을 완료하기 위해 송풍부(82)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여 송풍부(82)의 구동을 중단한다. (S534)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기본 건조모드에서의 흡습건조 과정이 완료됨으로써 건조 행정(S5)의 진행이 종료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흡습건조장치
90: 베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흡습건조장치
90: 베이스
Claims (20)
-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되는 터브; 및
흡습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가열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흡습건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공기의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부;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송풍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기류를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열부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의 기류 중에 포함된 습기를 흡수하는 흡습제;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흡습제를 거치지 않고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1 공급유로와, 상기 가열부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흡습제를 거쳐 상기 터브로 안내하는 제2 공급유로를 구비하는 공기유로; 및
상기 흡습건조 과정 또는 상기 가열건조 과정의 진행에 따라 상기 제1 공급유로와 상기 제2 공급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부;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흡습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흡습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가열부의 작동은 정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댐퍼부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식기세척기.
- 제4 항에서,
상기 가열건조 과정 진행 시에 상기 가열부가 작동되어 상기 기류가 가열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제1 토출구와, 상기 제2 공급유로의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제2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제1 토출구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6 항에서,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하부 랙; 및
상기 세척공간에 상기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상부 랙;
을 더 포함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토출구는 상기 상부 랙과 상기 하부 랙 사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7 항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토출구는 상기 하부 랙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흡습건조장치는,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와 상기 제2 공급유로를 통과한 기류를 상기 터브를 향해 배출시키는 공통 토출구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 제9 항에서,
상기 세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하부 랙; 및
상기 세척공간에 상기 하부 랙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기가 거치되는 상부 랙;
을 더 포함하고,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통 토출구는 상기 하부 랙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세척공간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되는 터브; 및
흡습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흡습건조 과정, 및 가열된 공기의 기류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는 가열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흡습건조장치;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으로서,
건조행정 중에 상기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 또는 상기 건조행정 중에 상기 흡습건조 과정과 상기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건조행정이 진행될 세척코스에 관한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및
호출된 상기 세척코스에 관한 정보에 상기 복합 건조모드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과 상기 가열건조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3 항에서,
상기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의 진행 중에,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4 항에서,
상기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터브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흡습건조장치로 도입되는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류의 온도 및 습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류로부터의 상기 흡습건조장치에 흡습된 습기의 흡습량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흡습량과 소정의 목표 흡습량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5 항에서,
상기 복합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된 흡습량이 상기 소정의 목표 흡습량보다 더 크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가열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4 항에서,
상기 소정의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장치에서 유동하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와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을 비교하고,
상기 미리 결정된 온도구간에 대한 비교 결과에 따라 달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7 항에서,
상기 달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제1 설정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구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설정시간보다 작은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제2 설정온도보다는 더 크고 상기 제1 설정온도보다는 더 작거나 같은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설정시간보다 더 크거나 같고 제2 설정시간보다 더 작은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기류의 온도가 상기 제2 설정온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설정시간보다 더 큰 진행시간 동안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8 항에서,
상기 진행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흡습건조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흡습건조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가열건조 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 제11 항에서,
상기 기본 건조모드 또는 복합 건조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흡습건조 과정만 진행되는 기본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4/005059 WO2024219781A1 (ko) | 2023-04-17 | 2024-04-16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50085 | 2023-04-17 | ||
KR20230050085 | 2023-04-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3919A true KR20240153919A (ko) | 2024-10-24 |
Family
ID=9328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46728A Pending KR20240153919A (ko) | 2023-04-17 | 2024-04-05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53919A (ko) |
-
2024
- 2024-04-05 KR KR1020240046728A patent/KR20240153919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4274922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nd dishwasher | |
EP2846675B1 (en) |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configured as a program-operated machine, and a corresponding dishwasher | |
KR102367064B1 (ko) | 식기세척기 | |
JP2010094247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WO2013081868A1 (en) | Batch dishwasher having a dry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ch dishwasher of this kind | |
US20110197926A1 (en) |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 |
CA2879031A1 (en) | Dishwasher appliance having energy recovery features | |
ES2391249T3 (es) | Procedimiento para el funcionamiento de un lavavajillas | |
KR20240153919A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09717814B (zh) | 餐具清洗机 | |
KR20250045217A (ko) | 식기세척기 | |
KR100946856B1 (ko) | 식기 세척기 | |
TW200824631A (en) | Dishwasher | |
KR20250039620A (ko) | 식기세척기 | |
KR20250046802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895A (ko) | 식기세척기 | |
KR20250046801A (ko) |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240341560A1 (en) | Dishwasher | |
KR101629295B1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739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908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907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738A (ko) | 식기세척기 | |
KR20250038986A (ko) | 식기세척기 | |
KR20250041443A (ko) | 식기세척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