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1499A -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 Google Patents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1499A KR20240151499A KR1020230047586A KR20230047586A KR20240151499A KR 20240151499 A KR20240151499 A KR 20240151499A KR 1020230047586 A KR1020230047586 A KR 1020230047586A KR 20230047586 A KR20230047586 A KR 20230047586A KR 20240151499 A KR20240151499 A KR 202401514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or
- dropper
- container
- contents
- paragrap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6 tooth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4610 toothpaste Drug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로퍼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퍼는, 캡; 상기 캡과 결합하며 내용물의 유로가 형성된 피펫 바디; 및 상기 피펫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홀더는 상기 피펫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개방단을 포함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 내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A dro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and a dropper coupled with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opper includes a cap; a pipette body coupled with the cap and having a flow path for the contents formed; and an applicator holder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wherein the applicator hold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ipette body; a holding portion extended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n open end; and an applicator that delivers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rotation within the holding portion.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as determined through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드로퍼에 어플리케이터가 결합되어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 뿐만 아니라 도포까지 가능한 드로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pper container including an applic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pper container in which an applicator is coupled to a dropper to enable not only suction and discharge of contents but also application.
용기 내의 내용물을 정량으로 토출하기 위해서, 용기에 조립되어, 내용물을 자동으로 추출하거나 수동으로 추출하는 드로퍼(dropper)가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quantitatively dispense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a dropper is used that is assembled into the container and automatically or manually extracts the contents.
일반적인 드로퍼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와,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드로퍼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퍼는 용기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하는 기구물로서, 자동 충진 타입이나 수동 충진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동으로 내용물을 추출하는 드로퍼는 가압 펌프와 같은 기구물이 결합될 수 있고, 수동으로 내용물을 추출하는 드로퍼는 스포이트와 같은 인출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A typical dropper container may include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and a dropper for discharging the stored contents to the outside. The dropper is a mechanism for discharging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may be classified into an automatic filling type or a manual filling type. A dropper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contents may be combined with a mechanism such as a pressurized pump, and a dropper for manually extracting contents may be combined with a withdrawal means such as a dropper.
사용자는 드로퍼를 사용하여 내용물, 예를 들어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이나 손등에 한 방울씩 떨어트린 후, 손으로 화장료를 문질러 도포함으로서, 피부를 케어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드로퍼는 내용물의 토출 기능에 제한되어, 도포를 위한 다른 도구가 필요하거나 도포 시 손을 이용하게 되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Users can care for their skin by using a dropper to drop the contents, such as cosmetics, onto their skin, especially the face or the back of their hands, and then rubbing the cosmetics onto their hands. However, these conventional droppers are limited in their ability to dispense contents, so they require other tools for application or require the use of hands when applying, which is unsanitary.
또한, 종래의 드로퍼는 얼굴이나 손등 케어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구조라서, 사용 범위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시야에서 보이지 않는 특정 인체부위 케어에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conventional droppers are designed to be conveniently used for face or hand care, their scope of use may be limited. In particular, they may cause inconvenience when caring for specific body parts that are not visible to the us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로퍼에 어플리케이터가 결합되어, 얼굴이나 손등 케어 뿐만 아니라, 두피 케어에도 사용이 용이한 드로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pper container in which an applicator is combined with a dropper, so that it is easy to use not only for face or back of hand care, but also for scalp c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로를 추가 구성함에 따라 내용물의 유동성이 우수한 드로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pper container having excellent fluidity of contents by additionally configuring a eur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홀더를 피펫 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 충진 드로퍼 뿐만 아니라, 벌브형 수동 드로퍼에도 어플리케이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드로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pper container in which an applicator can be easily applied not only to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but also to a bulb-type manual dropper by configuring a holder including an applicator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pipette body.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술한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로퍼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퍼는, 캡; 상기 캡과 결합하며 내용물의 유로가 형성된 피펫 바디; 및 상기 피펫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홀더는 상기 피펫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개방단을 포함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 내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s, a dropp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for storing contents; and a dropper coupled with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ntent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opper includes: a cap; a pipette body coupled with the cap and having a flow path for the contents formed; and an applicator holder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wherein the applicator holder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pipette body; a holding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n open end; and an applicator that delivers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rotation within the hold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드로퍼는 내용물의 흡입과 토출 뿐만 아니라 도포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포를 위한 별도의 기구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얼굴이나 손등 뿐만 아니라 두피 케어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피에 내용물을 토출시킨 뒤 어플리케이터를 문지름으로서, 두피에 내용물(예 ; 화장료)을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not only suction and discharge of contents but also application,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hygienic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a separate device for appl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easily used for scalp care as well as face or back of hand. For example, after discharging contents onto the scalp, contents (e.g., cosmetics) can be applied to the scalp by rubbing the applicat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홀더가 피펫 바디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자동 충진 드로퍼 뿐만 아니라, 벌브형 수동 드로퍼에도 어플리케이터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생산성과 작업 효율이 매우 높아지고, 생산 비용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어플리케이터를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der including an applicator is detachably coupled to a pipette body, so that the applicator can be easily applied not only to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but also to a bulb-type manual dropper. Accordingly,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are greatly increased,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user can detach and replace the applicator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 내측의 채널부에 의해 어플리케이터와 홀더의 유격이 유지됨으로써, 어플리케이터가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내용물의 효과적인 유동이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applicator and the holder is maintained by the channel portion inside the applicator holder, thereby stably supporting the applicator and enabling effective flow of the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추가 유로가 형성되어, 점도가 높은 제형의 내용물도 유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flow path is formed in the applicator holder, so that even contents of a high viscosity formulation can flow,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가 축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방향성에 제한 없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도포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 application is possible because the applicator is not fixed to an axis and can rotate without directionality restriction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충진 드로퍼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충진 드로퍼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가 피펫 바디로부터 분리된 자동 충진 드로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가 피펫 바디로부터 분리된 수동 충진 드로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바디와 어플리케이터 홀더가 분리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삭제된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가 수용된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 내부의 채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어플리케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nual filling dropper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with the applicator holder separated from the pipette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b is a front view showing a manual filling dropper with the applicator holder separated from the pipette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pipette body and the applicator holder are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with the applicator re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containing an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nnel portion inside an applicator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or mounted on an applicator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of using a drop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disclosure.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described as currently used general terms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is disclosure, but these may mean various other term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engineers engaged in the relevant field, precedents,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etc.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not be interpreted solely based on the names of the terms, bu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overall contents of this disclosure.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Also, while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included. 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is not limited by the terms.
본 개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The appearance of phrases such as “in one embodiment” and the like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is disclosure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충진 드로퍼 타입의 드로퍼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pper container of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ty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 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100)와, 용기(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방출하기 위한 드로퍼(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내용물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유체로서, 화장품의 화장료, 의약품 내용물 또는 치약과 같은 의약 외품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펫 바디(400)를 통해 흡입 및 방출가능한 모든 종료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0)는 병 타입으로 예시되지만, 이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유형, 예를 들어 튜브형의 용기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A, a dropper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ainer (100)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and a dropper (200) for releas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100). For example, the contents may be a liquid or gel-like fluid, such as a cosmetic, a pharmaceutical content, or a non-medicinal product such as toothpast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type of material that can be inhaled and released through the pipette body (400). In addition, the container (100) is exemplified as a bottle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for example, a tube-shaped container, may be appli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퍼(200)는 캡(300)과, 피펫 바디(400) 및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펫 바디(400)의 일단은 캡(300)과 결합되고, 타단은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와 결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ropper (200) may include a cap (300), a pipette body (400), and an applicator holder (500).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pipette body (400) may be coupled with the cap (3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with the applicator holder (5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300)은 용기(100)를 닫는 커버 부재로서, 자동으로 충진하기 위한 미도시된 펌프 기구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충진을 위한 캡(300)은 펌프 기구물을 가압하기 위한 푸쉬 버튼(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충진 드로퍼 타입은 캡(300)을 용기에 결합하면 내용물이 자동으로 충진되어, 캡(300) 개방 후 다시 내용물을 흡입할 필요 없이, 푸쉬 버튼(310)을 가압하여 바로 내용물을 토출 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300) is a cover member for closing the container (100) and may include a pump mechanism (not shown) for automatic fill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p (300) for automatic filling may include a push button (310) for pressurizing the pump mechanism. For example,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type automatically fills contents when the cap (30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immediately by pressing the push button (310) without having to suck up the contents again after opening the cap (300).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바디(4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어, 공급된 내용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ipette body (400) is formed in a tube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may include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upplied contents flow.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어플리케이터를 수용하는 부재로서, 어플리케이터 홀더(500) 내부에서 어플리케이터의 회전(구름 동작) 및 정지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피펫 바디(400) 또는 용기(100)에서 제공된 내용물의 유로를 제공하는 부재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is a member that accommodates an applicator, and allows rotation (rolling motion) and stopping motion of the applicator within the applicator holder (500). In addition, the applicator holder (500) may be a member that provides a path for contents provided from a pipette body (400) or a container (100).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충진 드로퍼 타입의 드로퍼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pper container of a manual filling dropper ty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200)는 도 1a에 도시된 드로퍼(200)와 비교하여, 캡의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b, the dropp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dropper (200) illustrated in FIG. 1a in that only the structure of the cap is different, and the remaining structure is the same. Therefore,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a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will be o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퍼(200)는 수동 드로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퍼(200)는 수동 충진을 위하여 캡(300)에 벌브(3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벌브(320)를 가압했다 가압을 해제하면서 내용물을 충진하고, 벌브(320)를 다시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ropper (200) may be a manual dropper. In one embodiment, the dropper (200) may include a bulb (320) in the cap (300) for manual filling. A user may pressurize the bulb (320), depressurize it to fill the contents, and then pressurize the bulb (320) again to discharge the contents.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500)가 피펫 바디(400)로부터 분리된 자동 충진 드로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가 피펫 바디(400)로부터 분리된 수동 충진 드로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피펫 바디(400)와 어플리케이터 홀더(500)가 분리된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FIG. 2a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with an applicator holder (500) separated from a pipette body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2b is a front view showing a manual filling dropper with an applicator holder separated from a pipette body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where a pipette body (400) and an applicator holder (500) are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피펫 바디(400), 구체적으로 피펫 바디(400)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can be coupled to a pipette body (400), specifically,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와 피펫 바디(400)의 결합 구조는 홈과 돌기의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피펫 바디(400)의 일단 외주면에 돌기(411)와 홈(412)으로 이루어진 착탈부(410)가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의 내면에 결합 홈(512)과 결합 돌기(511)로 이루어진 결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oining structure of the applicator holder (500) and the pipette body (400) may include a joining structure of a groove and a projection. For example, a detachable portion (410) formed of a projection (411) and a groove (412) may be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pipette body (400), and a joining portion (510) formed of a joining groove (512) and a joining projection (5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pplicator holder (5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와 피펫 바디(400)의 결합구조는 강제끼움 결합, 나사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결합 방식이 나사결합인 경우, 복수 개의 홈과 돌기 대신에 복수 개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joint structure of the applicator holder (500) and the pipette body (400) can be applied in various joint methods such as forced-fit joint and screw joint. When the joint method is screw joint, a plurality of screw threads can be formed instead of a plurality of grooves and projections.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는 피펫 바디(400) 단부에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제조가 가능함에 따라, 자동 충진 드로퍼 뿐만 아니라, 벌브형 수동 드로퍼에도 어플리케이터를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자는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제조한 뒤, 자동 충진 드로퍼 또는 벌브형 수동 드로퍼 등 종류에 무관하게 피펫 바디(400)에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체결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가 적용된 드로퍼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과 작업 효율이 매우 높고, 생산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since the dropper can be manufactured by fastening the applicator holder (500) to the end of the pipette body (400), the applicator can be easily applied not only to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but also to a bulb-type manual dropper. For example, after manufacturing the applicator holder (500), the manufacturer can easily manufacture a dropper to which the applicator is applied by fastening the applicator holder (500) to the pipette body (400), regardless of the type, such as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or a bulb-type manual dropper. Therefore, productivity and work efficiency can be very high, and production costs can be reduced.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와 피펫 바디(40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t is also possible for the applicator holder (500) and the pipette body (400) to be formed integral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피펫 바디(4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피펫 바디(400)의 단부에 결합했다가 다시 분리가 가능하며, 분리 후 다시 피펫 바디(40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피펫 바디(400)로부터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분리하여, 다른 종류의 피펫 바디(400)에 교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어플리케이터를 재사용하거나, 다른 형태의 드로퍼에 어플리케이터를 교체 적용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터(또는 홀더)와 피펫 바디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분리 배출도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400). That is, the applicator holder (500) can be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400) and then detached again, and can also be remounted to the pipette body (400) after being detached. For example, a user can detach the applicator holder (500) from the pipette body (400) and replace it with a different type of pipette body (400). Accordingly, the applicator can be reused or the applicator can be replaced and applied to a different type of dropper, and if the applicator (or holder) and the pipette body are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they can also be separated and discharg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B)가 삭제된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B)가 수용된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500) 내부의 채널부(5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500) from which an applicator (B) has been dele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500) in which an applicator (B) is accommod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nnel portion (530) inside an applicator holder (5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결합부(510), 네크부(520), 채널부(530), 홀딩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일단에 결합부(510)가 형성되고, 타단에 홀딩부(54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510)와 홀딩부(540) 사이에 네크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네크부(520)가 생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510), a neck portion (520), a channel portion (530), and a holding portion (5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may have the coupling portion (510) formed at one end, and the holding portion (540) formed at the other e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neck portion (520) may be form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510) and the holding portion (5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may omit the neck portion (5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510)는 피펫 바디(40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외주면에 결합 홈(512)과 결합 돌기(511)가 번갈아 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510) is a portion coupled with the pipette body (400), and may have coupling grooves (512) and coupling protrusions (511) formed alternately on the outer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크부(520)의 내부 공간은 원통형으로, 홀딩부(540)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ternal space of the neck portion (520) is cylindrical and can extend toward the holding portion (5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는 결합부(510)(또는 네크부(520))와 홀딩부(540) 사이, 구체적으로는 결합부(510)(또는 네크부(520))와 홀딩부(540) 사이 내부 공간에 채널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holder (500) may include a channel portion (530) in the internal space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510) (or neck portion (520)) and the holding portion (540), specifically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510) (or neck portion (520)) and the holding portion (5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부(530)는 적어도 일부가 어플리케이터(B)와 접하며, 내용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널부(530)는 적어도 일부가 어플리케이터(B)와 접하며 어플리케이터(B)를 지지함으로써 어플리케이터(B)와 홀딩부(540)의 유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채널부(530)는 내용물의 유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nnel portion (5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at least in part and may form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ntents flow. Specifically, the channel portion (530) may be in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at least in part and may support the applicator (B) so that a clearance between the applicator (B) and the holding portion (540) is maintained. In addition, the channel portion (530) may function as a flow path for the conten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부(530)는 가압 돌기(53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nnel portion (530) may include a pressure projection (531) and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531)는 홀딩부(540) 내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가압 돌기(531)는 어플리케이터(B)와 접촉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B)를 개방단(540c)쪽으로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 돌기(531)는 항시 어플리케이터(B)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be in a form that protrudes into the holding portion (540).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provide a force to push the applicator (B) toward the open end (540c) while in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always mainta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531)는 어플리케이터(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면서, 어플리케이터(B)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돌기(531)는 어플리케이터(B)와 홀딩부(540)의 유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터(B)에 의해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B)의 회전과 정지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essure projection (531) can support the applicator (B)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pplicator (B). In addition, the pressure projection (531) can ensure that the clearance between the applicator (B) and the holding portion (540) is maintained constant. Accordingly, the flow pat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by the applicator (B), and the movement of the contents can be performed smoothly without being impeded. In addition, the rotation and stopping operations of the applicator (B) can be performed stab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531)는 어플리케이터(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게 배치되어서, 어플리케이터(B)가 홀딩부(540) 내면(540b)과 면접촉이 가능하게 하는 푸쉬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돌기(531)는 어플리케이터(B)의 외면과 점접촉 또는 면접촉가능한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가압 돌기(531)는 원형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be a push portion that is position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pplicator (B) so that the applicator (B) can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540b) of the holding portion (540). 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have any shape that can make point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pplicator (B). For example, the pressure projection (531) may have a circular shap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부(530)는 가압 돌기(531)를 중심으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hannel portion (530) may include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centered around the pressure projection (53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는 가압 돌기(531)를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어플리케이터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may serve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pressure projection (531) to the applicator holder (500) and pressing it against the applicat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는 어플리케이터 홀더(500)와 가압 돌기(531) 사이에 다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압 돌기(531)를 어플리케이터(B)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532)는 가압 돌기(531)를 중심으로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가압 돌기(531)를 향해 가압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is formed in a bridge-like shape between the applicator holder (500) and the pressure projection (531) and can provide a force for pressing the pressure projection (531) toward the applicator (B).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532) can be formed so that its height increases in the outer direction centered on the pressure projection (531), so that a pressing force is provided toward the pressure projection (53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거나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어플리케이터(B)의 회전 동작이나 상하 방향의 가압력에 의한 충격을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 돌기(531)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터(B)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ome elasticity or softness, so as to flexibly absorb impact caused by rotational motion or up-down pressure of the applicator (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lasticity may be provided to the pressure projection (531)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applicator (B).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는 비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532)는 소정의 두께로 유로 형성에 방해받지 않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532)는 대략적으로 90도 각진 부분이 적어도 한 개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ortions (532) can be formed in a non-linear shape.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 (532)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formation of a flow path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the connecting portion (532) can be formed in a shape that includes at least one approximately 90 degree angled por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32)의 두께나 형상, 재질 또는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가압 돌기(531)에 제공하는 힘(예를 들어, 탄성력)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orce (e.g., elastic force) provided to the pressurizing protrusion (531) can be efficient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shape, material, or distance between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53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532)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연결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유로(533)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의 점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연결부(532)의 두께나 형상, 또는 서로 이격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제1유로(533)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portions (532) are formed in multiple pieces, and at least one first passage (533) can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ze of the first passage (53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thickness or shape of each connecting portion (532) or the distance between them, taking into account the viscosity of the contents.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는 내부에 어플리케이터(B)를 수용하며, 어플리케이터(B)가 수용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B)의 회전(구름 동작, rolling)이나 정지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540) accommodates an applicator (B) therein, and with the applicator (B) accommodated therein, rotation (rolling motion) or stationary motion of the applicator (B) can be enabl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와 어플리케이터(B) 사이의 간격을 통해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는 채널부(530)와 가장 원거리 부분에 외부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단(540c)(opened end)을 포함할 수 있고, 개방단(540c)을 통해서 내용물이 어플리케이터(B)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ents can be mov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holding portion (540) and the applicator (B). In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540) can include an open end (540c) that is open in an outward direction at a portion most distant from the channel portion (530), and the content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rotation of the applicator (B) through the open end (540c).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는 외면(540a)과 내면(540b)을 포함하고, 홀딩부(540)의 내면(54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로(550)(flow path)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540) includes an outer surface (540a) and an inner surface (540b), and at least one second flow path (55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540b) of the holding portion (540).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or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는 내면에 채널부(530)에서 개방단(540c)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로(5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5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flow path (550) extending from the channel portion (530) to the open end (540c) on the inner sur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로(550)는 내용물이 흡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때 이동하는 공간으로서, 예를 들어, 용기(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피펫 바디(400)로 흡입될 때 또는 채널부(530)를 경유한 내용물이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터(B)의 구름 동작에 따른 내용물의 이동 공간이 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passage (550) is a space in which contents move when they are sucked in or discharg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it can be a space in which contents accommodated in a container (100) are sucked into a pipette body (400), contents passing through a channel portion (530) are stored, or contents move according to the rolling motion of an applicator (B).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로(550)는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유로(550)는 2개 내지 8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flow paths (550) may be formed in multiple equal intervals or symmetrically. For example, the second flow paths (550) may be formed in two to eight piec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로(550)는 홀딩부(540) 내면(540b)에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되어(recessed)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유로(550)는 제1깊이로 리세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깊이는 개방단(540c)과 채널부(530) 부근에서 가장 깊고, 개방단(540c)과 채널부(530) 사이의 중간 부분(540d)에서 가장 얇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깊이는 개방단(540c)에서 중간 부분(540d)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얇아지고, 중간 부분(540d)에서 채널부(530)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깊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flow path (550) may be formed by being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inner surface (540b) of the holding portion (54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flow path (550) may be recessed to a first depth.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depth may be deepest near the open end (540c) and the channel portion (530), and may be thinnest at a middle portion (540d) between the open end (540c) and the channel portion (5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depth may be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open end (540c) to the middle portion (540d), and gradually becomes deeper from the middle portion (540d) toward the channel portion (5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딩부(540)는 내면(540b)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560)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채널부(530)에서 개방단(540c)까지 연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lding portion (54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560) on the inner surface (540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protrusion (560)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nd may extend from the channel portion (530) to the open end (540c).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560)는 어플리케이터(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부분으로서, 제2유로(550)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560)는 복수 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돌출부(560)는 홀딩부(540) 내면(540b)에서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560)는 2개 내지 8개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t least one protrusion (560) may be formed as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pplicator (B) to provide a second path (5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protrusions (56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protrusions (56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540b) of the holding portion (540)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For example, the protrusions (560) may be formed in two to eight piec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돌출부(560)는 각각의 제2유로(55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protrusion (560)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second channels (550).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돌출부(560)는, 제2유로(550)와 대면하는 양측면(561,562) 사이에 형성되고 어플리케이터(B)와 면접촉하는 상면(56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면(561,562)은 평면이고, 상면(563)은 곡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563)은 어플리케이터(B)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면(563)이 곡률을 포함하기 때문에, 상면(563)과 어플리케이터(B)의 적어도 일부 간에는 면접촉이 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protrusion (560)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563) formed between opposite side surfaces (561, 562) facing the second channel (550) and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In one embodiment, the opposite side surfaces (561, 562) may be flat, and the upper surface (563) may be curved. In one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563)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applicator (B). Since the upper surface (563) includes curvature, surface contact may be made betwee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563) and the applicator (B).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돌출부(560)는 제1두께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두께는 개방단(540c)과 채널부(530) 부근에서 가장 두껍고, 개방단(540c)과 채널부(530) 중간 부분(540d)에서 가장 얇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두께는 개방단(540c)에서 중간 부분(540d)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고, 중간 부분(540d)에서 채널부(530)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560)의 두께 변화에 의해 어플리케이터(B)와의 면접촉 및 유로를 통해 흐르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protrusion (560) may protrude with a first thickn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hickness may be thickest near the open end (540c) and the channel portion (530), and may be thinnest at a middle portion (540d) between the open end (540c) and the channel portion (5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thickness may be gradually reduced from the open end (540c) to the middle portion (540d), and may gradually increase from the middle portion (540d) to the channel portion (530). By changing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560), the surface contact with the applicator (B) and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ontents flowing through the path may be effectively controlled.
종래의 드로퍼는 내용물이 어플리케이터(예를 들어, 볼)와 홀더 사이의 간격만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점도가 높은 제형의 내용물은 유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 홀더(500) 내면에 제2유로(550)가 형성되어, 점도가 높은 제형도 원활하게 유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Conventional dropper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high viscosity formulations cannot flow because the contents flow only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pplicator (e.g., ball) and the holder. Howe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flow path (550) is formed inside the applicator holder (500), so that even high viscosity formulations can flow smoothly.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 홀더에 어플리케이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licator mounted on an applicator hold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B)는 피부에 내용물을 전달할 수 있는 부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전 동작으로 내용물을 전달할 수 있는 롤러볼 타입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터(B)는 홀딩부(540) 내에서 회전하며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터(B)는 축과 같은 구성에 고정되지 않아, 회전방향에 제한 없이, 홀딩부(540) 내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내용물의 효과적인 배출과 도포가 가능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B) means a member capable of delivering contents to the skin. For example, it may be a rollerball type capable of delivering contents by a rotating motion. The applicator (B) rotates within the holding portion (540) to discharge contents or apply them to the sk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licator (B) is not fixed to a configuration such as an axis, and thus can rotate 360 degrees within the holding portion (540) without any restri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Therefore, effective discharge and application of contents are possible.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로퍼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 method of using a dropp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드로퍼를 용기로부터 분리한 뒤, 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인체의 특정 부분(예를 들어, 손등, 두피 등)에 토출시킨다. 그 다음, 드로퍼 끝단의 어플리케이터(B)를 피부에 마사지하듯 롤링함으로써, 내용물을 도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user separates the dropper from the container, then presses the button to dispense the contents onto a specific part of the body (e.g., the back of the hand, the scalp, etc.). Then, the contents can be applied by rolling the applicator (B) at the end of the dropper on the skin as if massaging it.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have been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e not been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용기
200: 드로퍼
300: 캡
310: 푸쉬 버튼
320: 벌브
400: 피펫 바디
410: 착탈부
411: 돌기
412: 홈
500: 홀더
510: 결합부
511: 결합 돌기
512: 결합 홈
520: 네크부
530: 채널부
531: 가압 돌기
532: 연결부
533: 제1유로
540c: 개방단
540b: 내면
540a: 외면
540d: 중간 부분
540: 홀딩부
550: 제2유로
560: 돌출부
563: 상면
561,562: 양측면
B: 어플리케이터100: container 200: dropper
300: Cap 310: Push Button
320: Bulb 400: Pipette Body
410: Detachable part 411: Protrusion
412: Home 500: Holder
510: Joint 511: Joint projection
512: Combination Home 520: Neck
530: Channel section 531: Pressurized protrusion
532: Connector 533: Euro 1
540c:
540a:
540: Holding 550: Second Euro
560: protrusion 563: top surface
561,562: Both sides B: Applicator
Claims (14)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및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드로퍼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퍼는,
캡;
상기 캡과 결합하며 내용물의 유로가 형성된 피펫 바디; 및
상기 피펫 바디의 단부에 결합되는 어플리케이터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 홀더는
상기 피펫 바디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개방단을 포함하는 홀딩부;
상기 홀딩부 내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내용물을 외부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터를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dropper container,
A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nd
Combined with the above container, it includes a dropper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The above dropper,
cap;
A pipette body combined with the cap above and having a passage for the contents formed; and
Including an applicator holder coupled to an end of the pipette body,
The above applicator holder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above pipette body;
A holding portion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ortion and including an open end;
A dropper container including an applicator that delivers the contents to the outside by rotation within the holding portion.
상기 결합부와 상기 홀딩부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접하며, 내용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채널부를 더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dropper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channel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applicator and forms a first path through which the contents flow.
상기 채널부는
상기 홀딩부 내로 돌출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는 가압 돌기; 및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channel section
A pressing projection protruding into the holding portion and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applicator; and
A dropper container comprising at least one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an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centered on the above-described pressure projection.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유로는 상기 연결부 사이에 형성되는, 드로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multiple pieces,
The above first euro is a dropper container formed between the above connecting parts.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 돌기를 중심으로 외주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는, 드로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A dropper container, wherein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its height increases in the outer direction centered on the above pressurizing projection.
상기 연결부는 비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third paragraph,
A dropper container wherein the abov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non-straight shape and provides elasticity so that the pressure projec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pplicator.
상기 홀딩부는,
내면에 상기 채널부로부터 상기 개방단까지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로를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holding part,
A dropper container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passage extending from said channel portion to said open end within said interior.
상기 제2유로는 상기 홀딩부 내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리세스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드로퍼 용기.In Article 7,
A dropper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euro is formed in a recess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상기 홀딩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유로 사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Article 7,
The above holding part,
A dropper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between at least one second euro.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유로와 대면하는 양측면; 및
상기 양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외주면과 면접촉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드로퍼 용기.In Article 9,
The above protrusion
Both sides facing the second euro; and
A dropper container, comprising an upper surface formed between the two sides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pplicator.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홀딩부 내면에서 제1두께로 돌출되되,
상기 제1두께는
상기 개방단과 상기 채널부 부근에서 가장 두껍고,
상기 개방단과 상기 채널부 부근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가장 얇으며,
상기 개방단에서 상기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고, 상기 중간 부분에서 상기 채널부 부근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드로퍼 용기.In Article 9,
The above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with a first thickness,
The above first thickness is
It is thickest near the above open end and the above channel section,
It is thinnest in the middle part between the above open end and the vicinity of the channel section,
A dropper container, wherein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nner from the open end to the middle part, and the thickness gradually becomes thicker from the middle part to the vicinity of the channel part.
상기 어플리케이터 홀더는 피펫 바디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드로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pplicator holder is a dropper contain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pipette body.
상기 드로퍼는 자동 충진 드로퍼 또는 벌브형 수동 드로퍼 중 어느 하나인 드로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ropper is a dropper container, either an automatic filling dropper or a bulb type manual dropper.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롤러볼이며, 상기 롤러볼은 상기 홀딩부 내부에서 회전 방향에 제한없이 360도 회전가능한, 드로퍼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applicator is a rollerball, and the rollerball is a dropper container that can rotate 360 degrees without restriction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within the hold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586A KR20240151499A (en) | 2023-04-11 | 2023-04-11 |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
PCT/KR2024/002234 WO2024214943A1 (en) | 2023-04-11 | 2024-02-21 | Dropper container comprising applic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7586A KR20240151499A (en) | 2023-04-11 | 2023-04-11 |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1499A true KR20240151499A (en) | 2024-10-18 |
Family
ID=9305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7586A Pending KR20240151499A (en) | 2023-04-11 | 2023-04-11 |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51499A (en) |
WO (1) | WO2024214943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190B1 (en) * | 2012-10-04 | 2014-08-20 | (주)연우 | A spuit type cosmetic vessel |
KR101730876B1 (en) * | 2015-12-01 | 2017-04-28 | (주)연우 | Cosmetic vessel capable of easily applying contents |
KR101775945B1 (en) * | 2016-01-04 | 2017-09-08 | (주)아모레퍼시픽 | Spuit container for preventing a backward flow having a check valve |
KR200491741Y1 (en) * | 2018-04-04 | 2020-05-27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Cosmetic tips with rolling ball and cosmetic container applying thereof |
US11219292B2 (en) * | 2019-06-23 | 2022-01-11 | Toly Managment Ltd. | Cosmetic applicator with heat transfer component |
-
2023
- 2023-04-11 KR KR1020230047586A patent/KR20240151499A/en active Pending
-
2024
- 2024-02-21 WO PCT/KR2024/002234 patent/WO2024214943A1/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214943A1 (en) | 2024-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7684B1 (en) | Puff integral liquid cosmetic container with rotation closure | |
CN100506110C (en) | Applicators and devices for applying cosmetics | |
US7293930B2 (en) | Dispenser head for fluid container | |
JP2885676B2 (en) | Dispenser for liquid to paste-like substances with coating tips | |
CN102511984B (en) | Dispenser with thermal storage tip | |
EP3078295B1 (en) | Cosmetic container having application member detachably attached to side of button member | |
KR102209696B1 (en) | Cosmetic container for scalp care with selective emission | |
KR20140031235A (en) | Cosmetic dispenser | |
WO2008072823A1 (en) | A dispenser container provided with an applier | |
US11844411B2 (en) | Dropper package for dispensing a fluid product | |
KR20190035802A (en) | Liquid dispenser | |
KR20190126293A (en) | Liquid dispenser with discharge sponge | |
KR20150040442A (en) | Tube type cosmetic receptacle having a flexible brush | |
JP6848090B2 (en) | Cosmetic container with refillable inner container | |
KR20240151499A (en) | Dropper container with applicator | |
MD3416747T2 (en) | Dispenser with articulated dispensing tube | |
KR101010154B1 (en) | pipette | |
CN111558508A (en) |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 |
US20150104236A1 (en) | Liquid applicator | |
CN209863588U (en) | Push type face cleaning pumping mechanism and push type face cleaner | |
KR200304045Y1 (en) | A make up brush easy to discharge of powder | |
KR102604245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simultaneous discharge structure of multiple contents | |
KR102833283B1 (en) | Content-dispensing cosmetic tool | |
KR20120109137A (en) | Receptacle for liquid cosmetics formed with puff as one | |
KR102527875B1 (en) | Cosmetic dispens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