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51004A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자동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51004A KR20240151004A KR1020230046928A KR20230046928A KR20240151004A KR 20240151004 A KR20240151004 A KR 20240151004A KR 1020230046928 A KR1020230046928 A KR 1020230046928A KR 20230046928 A KR20230046928 A KR 20230046928A KR 20240151004 A KR20240151004 A KR 202401510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food
- alignment
- moving
- packa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6—Putting meat on skew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4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the bottom or a part of th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57—Rotating movement in the plane of the rotating pa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30—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eries of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에 삽입된 막대를 일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부와, 정렬부에서 정렬된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품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공정을 통해 냉동 꼬치류 식품을 대량으로 포장할 수 있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묵, 소시지, 핫바, 닭꼬치 등 다양한 꼬치 제품은 꼬치 대상물을 스틱에 꽂아 물에 익히거나 구이 등을 하여 먹을 수 있는 먹거리로, 종래에는 꼬치 생산 공정에서 수작업으로 스틱을 직접 꽂아서 시중으로 유통되어 왔다.
예를 들어 스틱에 판 어묵을 주름지게 꽂아서 파는 어묵꼬치의 경우, 어묵꼬치 생산 공장에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단이 뾰족하게 이루어진 스틱에 판 어묵을 주름지게 끼워서 생산하였는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 능률이 저하됨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꼬지류 식품은 가조리된 후 막대가 삽입된 상태로 급속 냉동되고, 냉동된 상태에서 포장이 이루어지는데, 냉동된 식품을 정렬하여 포장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684호(2013. 02. 15. 공개, 발명의 명칭: 핫도그 손잡이바아 삽설지지 고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화 공정을 통해 냉동 꼬치류 식품을 대량으로 포장할 수 있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는: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에 삽입된 막대를 일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정렬된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하나씩 이동시키는 정렬이동부; 상기 정렬이동부에 형성되고, 식품을 일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유도부; 상기 정렬이동부에 형성되고, 정렬된 식품을 낙하시키는 정렬낙하부; 및 상기 정렬낙하부에서 낙하된 식품을 상기 포장부로 배출하는 정렬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이동부는 이동지지부; 상기 이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동회전부; 상기 이동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순환하는 이동체인부; 및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상승시키는 이동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유도부는 상기 정렬이동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지지하는 유도지지부; 및 상기 정렬이동부에 장착되고, 식품에 삽입된 막대를 들어 올리는 유도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배출부는 상기 정렬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낙하된 식품을 일시 저장하는 배출저장부; 및 상기 배출저장부에 저장된 식품을 밀어내어 상기 포장부로 배출하는 배출푸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정렬부에서 배출되는 식품을 이송하는 포장라인부; 및 상기 포장라인부를 통해 이송되는 식품을 개별 포장하는 포장성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는: 상기 정렬부에서 배출되는 식품을 상기 포장부로 옮기는 로봇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는 냉동된 꼬치류 식품이 공급부를 통해 이송부에 공급되고, 정렬부에서 막대 방향이 정렬되며, 포장부에서 포장이 완료되어 후공정으로 이동됨으로써, 꼬치류 식품의 자동화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겹침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포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겹침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포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1)는 공급부(10)와, 이송부(20)와, 정렬부(30)와, 포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10)는 로터리 방식으로 다량의 식품(100)을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급부(10)에는 꼬치용 막대(200)가 삽입된 핫바, 소시지, 어묵 등과 같은 식품(100)이 냉동된 후 다량으로 투입되고, 투입된 식품(10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다.
이송부(20)는 공급부(10)와 연결되고, 식품(100)을 일렬로 이송할 수 있다. 일예로, 이송부(20)는 공급되는 식품(100)이 과적되지 않도록 상당한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외, 복수개의 컨베이어가 다단으로 연장되어 이송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송부(20)에서는 식품(100)이 길이방향으로 직렬 배치되고, 이송부(20)는 식품(100)의 길이방향으로 식품(100)이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정렬부(30)는 이송부(20)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100)을 정렬할 수 있다. 일예로, 정렬부(30)는 이송부(20)와 연결되어 식품(100)을 개별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정렬부(30)는 막대(200)가 일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식품(100)을 정렬시킬 수 있다.
포장부(40)는 정렬부(30)에서 정렬된 식품(100)을 포장할 수 있다. 일예로, 포장부(40)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포장지를 이용하여 식품(100) 및 식품(100)에 삽입된 막대(200)를 포장할 수 있다.
한편, 공급부(10)와, 이송부(20)와, 정렬부(30)와, 포장부(40)는 스탠드부(300)에 장착되고, 막대(200)가 삽입되고 냉동된 식품(100)은 공급부(10)와, 이송부(20)와, 정렬부(30)와, 포장부(40)를 순차로 이동하면서 정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부(10)는 제1공급부(11)와, 제2공급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급부(11)는 다량의 식품(100)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제1공급부(11)는 호퍼 형상을 하고, 작업자 또는 설비를 통해 다량의 식품(100)을 공급하는 제1공급호퍼부(111)와, 제1공급호퍼부(111)로 투입된 식품(100)을 상방 이동시키는 제1공급컨베이어부(112)와, 제1공급컨베이어부(112)에서 낙하되는 식품(100)을 제2공급부(12)로 유도하는 제1공급낙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급컨베이어부(112)는 체인을 따라 무한궤도 방식으로 이동되는 돌기가 식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공급부(12)는 제1공급부(11)에서 제공되는 다량의 식품(100)을 회전시켜 하나씩 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제2공급부(12)는 이송부(20)와 연결되고, 식품(10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공급부(10)에는 제1공급부(11)와 제2공급부(12)가 생략되고, 제3공급부(13)만 사용될 수 있다. 제3공급부(13)는 이송부(20)와 직접 연결되고, 작업자 또는 설비가 낱개로 막대(200)가 삽입되고 냉동된 식품(100)을 제3공급부(13)에 공급할 수 있다. 제3공급부(13)는 공급된 식품(100)을 이송부(20)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의 분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12)는 제2내부테이블부(70)와 제2외부테이블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내부테이블부(7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투입된 식품(10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는 제2내부테이블부(7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내부테이블부(70)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 식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는 제2내부테이블부(7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제2내부테이블부(70)에서 유입된 식품(100)이 제2내부테이블부(70)의 둘레를 따라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는 제2내부테이블부(70)의 둘레에 환형의 이동궤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는 상단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내부테이블부(70)에 투입된 식품(100)들은 원심력에 의해 제2내부테이블부(70)의 직방향 일측으로 이동된 후 제2외부테이블부(80)의 상단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외부테이블부(80)가 회전됨에 따라 식품(100)들이 환형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에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제2외부테이블부(80)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식품(100)을 이송부(2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내부테이블부(70)는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1)는 식품(100)들이 반경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3)는 상부 플레이트(131)에서 흘러내린 식품(100)이 제2외부테이블부(80) 측으로 흘러내리도록 그 둘레부에 슬라이드 경사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경사부(135)는 하부 플레이트(133)의 둘레부에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1)는 돔형이거나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3)는 체결부재나 용접 등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131)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1)의 중심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므로, 상부 플레이트(131)에 공급되는 식품(100)들이 상부 플레이트(131)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 후 하부 플레이트(133)의 둘레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33)의 슬라이드 경사부(135)와 이동 트랙부(143)의 상단부가 동일한 위치에 도달되며,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식품(100)들이 이동 트랙부(143)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일측은 제2외부테이블부(80)의 하측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타측은 이동 트랙부(143)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133)의 식품(100)들이 슬라이드 경사부(135)에서 제2외부테이블부(80) 측으로 이동되고, 슬라이드 경사부(135)의 직경방향 타측에 배치된 식품(100)들이 이동 트랙부(143)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외부테이블부(80)는 아우터 하우징(141) 및 이동 트랙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3)가 수용되고, 구동부(17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동 트랙부(143)는 아우터 하우징(141)의 상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33)에서 이동되는 식품(100)을 배출부(5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상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동 트랙부(143)는 아우터 하우징(141)의 상단부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41)은 이동 트랙부(14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체결부재나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41)의 회전시 이동 트랙부(143)가 환형 궤적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회전구동장치(160)는 제2내부테이블(70)와 제2외부테이블부(8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구동부(170)는 제1구동부(171),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제2구동부(176), 제2구동축부(177) 및 동력전달부(17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171)는 스탠드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구동축부(172)는 제1구동부(171)에 연결될 수 있다. 유니버셜 조인트부(173)는 제1구동축부(17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종동축부(174)는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고, 제2내부테이블부(7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구동부(176)는 제1구동부(171)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스탠드부(3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구동축부(177)는 제2구동부(176)에 연결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78)는 제2구동축부(177)와 제2외부테이블부(80)에 연결될 수 있다.된다.
제1구동부(171)와 제2구동부(176)는 제2외부테이블부(8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부(171)의 제1회전축(미도시)과 제2구동부(176)의 제2회전축(미도시)은 수직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축부(172)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고, 제1종동축부(174)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에 결합되므로, 제2내부테이블부(70)이 제2외부테이블부(80)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가 수직축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부(171)와 제1구동축부(172)를 수직축에 나란하도록 세팅한 후에 제1구동축부(172)의 상측에서 유니버셜 조인트부(173)와 제1종동축부(174)를 조립하고, 제2구동부(176)와 제2구동축부(177)를 수직축에 나란하도록 세팅한 후에 동력전달부(178)를 스탠드부(300의 상측에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부(300의 상측에서 제1종동축부(174)에 제2외부테이블부(80)와 제2내부테이블부(70)를 조립할 수 있다. 이처럼,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동력전달부(178), 제2외부테이블부(80) 및 제2내부테이블부(70)가 스탠드부(300)에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 조립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구동축부(172)는 수직축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제1종동축부(174)는 제1구동축부(172)에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구동축부(172)와 제1종동축부(174)가 유니버셜 조인트부(173)를 매개로 연결되므로, 제2내부테이블부(70)가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와 제1구동부(171)를 수직축에 나란하게 배치할 수 있다.
구동부(170)는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및 제1종동축부(174)를 둘러싸도록 수직하게 배치되는 리테이너부(175)와, 제1종동축부(174)를 지지하도록 리테이너부(175)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서포터부(17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종동축부(174)의 외측면에는 서포터부(175a)에 지지되도록 플랜지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는 제2내부테이블부(7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리테이너부(175)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외부테이블부(80)의 하측에는 복수의 배수구(142)가 형성되고, 복수의 배수구(142)는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의 외측에 배치된다.
리테이너부(175)와 서포터부(175a)가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및 제1종동축부(174)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므로, 제2내부테이블부(70)와 제2외부테이블부(80)를 세척할 때에 세척수가 제2외부테이블부(80)의 배수구(142)를 통해 배수되더라도 제1구동축부(172), 유니버셜 조인트부(173), 제1종동축부(174), 제1구동부(171)에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170), 제2내부테이블부(70) 및 제2외부테이블부(80)을 분해하지 않고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178)는 제2구동축부(177)에 연결되는 제2기어부(178a)와, 제2기어부(178a)에 연결되는 제3기어부(178b)와, 제3기어부(178b)에 연결되고, 리테이너부(175)가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외부테이블부(80)을 지지하는 제2종동축부(17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기어부(178b)는 제2종동축부(178c)의 하측에 조립되며 제2종동축부(178c)와 거의 같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178a)와 제3기어부(178b)는 제2구동부(176)의 감속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구동부(176)가 구동되면, 제2구동축부(177)가 회전됨에 따라 제2기어부(178a) 및 제3기어부(178b)가 맞물려 회전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가 제2내부테이블부(70) 보다 저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스탠드부(300)에 지지되는 제2외부가이드부(81)는 제2외부테이블부(80)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2외부테이블부(80)를 따라 이동되는 식품(100)을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제2외부가이드부(81)는 스탠드부(300)에 장착되는 제2가이드장착부(811)와, 제2가이드장착부(811)에 결합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의 상방에 배치되어 제2외부테이블부(80)의 가장자리에 안착된 식품(100)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지지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가이드지지부(812)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식품(100)의 크기와 상응하는 제2가이드지지부(812)가 제2가이드장착부(811)에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겹침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12)는 제2겹침방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겹침방지부(90)는 제2외부테이블부(80)를 통해 이동되는 식품(100)의 겹침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겹침방지부(90)는 제2방지몸체부(91)와, 제2방지구동부(92)와, 제2방지축부(93)와, 제2방지돌기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지몸체부(91)는 제2외부테이블부(8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방지몸체부(91)는 스탠드부(300)에 장착되는 몸체고정부(911)와, 몸체고정부(911)의 상단부에 지지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의 상방에 배치되는 몸체하우징부(9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지구동부(92)는 제2방지몸체부(91)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방지구동부(92)는 몸체하우징부(912)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가 될 수 있다.
제2방지축부(93)는 제2방지구동부(92)에 의해 회전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방지축부(93)는 제2방지구동부(92)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방지축부(93)는 제2가이드지지부(812)의 내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방지돌기부(94)는 제2방지축부(93)에 장착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를 통과하는 식품(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방지돌기부(9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성형되고, 제2외부테이블부(80)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식품(1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방지돌기부(94)는 식품(1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겹쳐지는 식품(100)을 제거할 수 있다. 식품(10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제2방지축부(93)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적합한 길이를 갖는 제2방지축부(93)로 교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방지돌기부(94)는 제2돌기삽입부(941)와 제2돌기날개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기삽입부(941)은 상부에 홈이 형성되어 제2방지축부(93)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돌기삽입부(941)는 중앙부에 홈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을 할 수 있다. 그 외, 제2돌기삽입부(941)는 제2방지축부(93)와 조립 가능한 다양한 형상 채택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돌기날개부(942)는 제2돌기삽입부(941)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일예로, 제2돌기삽입부(942)는 날개 형상을 하고, 식품(1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공급부(12)는 제2감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지부(60)는 제2내부테이블부(70)에 저장된 식품(100)을 감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2감지부(60)는 스탠드부(300)에 장착되고 제2내부테이블부(7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2감지고정부(61)와, 제2감지고정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2내부테이블부(70)에서 회전되는 식품(100)에 걸려 회전 가능한 제2감지걸림부(62)와, 제2감지걸림부(62)의 회전을 측정하는 제2감지측정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감지측정부(63)의 측정 유무에 따라 제2내부테이블부(70)와 제1공급부(11)의 작동이 일시 정지되어 식품(100)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는 이송컨베이어부(21)와, 이송선별부(22)와, 이송슈팅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이송컨베이어부(21)는 공급부(10)와 연결되어 식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부(21)가 연이어 배치되고 개별적으로 이송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 외, 상당한 길이를 갖는 하나의 이송컨베이어부(21)가 식품(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선별부(22)는 이송컨베이어부(21)와 연결되고, 이송컨베이어부(21)를 통과한 식품(100) 중 일부를 선별할 수 있다. 일예로, 이송선별부(22)는 불량인 식품(100)을 이송라인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송선별부(22)는 이송컨베이어부(21)와 연결되어 식품(100)을 이송하는 선별컨베이어부(221)와, 선별컨베이어부(221) 방향으로 돌출되어 선택된 식품(100)을 선별컨베이어부(221)의 측방향으로 밀어내는 선별작동부(222)와, 선별컨베이어부(221)의 측면부에 배치되고 선별작동부(222)에서 밀려난 식품(100)을 수거하는 선별수거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선별감지부(224)가 식품(100)의 상태를 촬영하고 식품(100)의 불량이 판별되면, 선별작동부(222)가 선별컨베이어부(221)의 이송경로 상으로 돌출되어 불량인 식품(100)을 선별수거부(223)로 배출시킬 수 있다. 선별작동부(222)는 작동가변부(2221)와, 작동가변부(2221)의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스탠드부(3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작동차단부(222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차단부(2222)는 선별컨베이어부(221)의 이송경로 상에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이송경로에서 벗어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송슈팅부(23)는 이송선별부(22)를 통과한 식품(100)을 정렬부(30)로 공급할 수 있다. 일예로, 이송슈팅부(23)는 한 쌍의 컨베이어가 경사지게 배치되어 알파벳 'V'자 형상을 하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식품(100)을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20)는 이송조절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조절부(24)는 이송선별부(22)와 이송슈팅부(23) 사이에 배치되고, 식품(100)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이송조절부(24)는 정렬부(30)의 식품(100) 누적 여부를 감지하여 이송되는 식품(1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송조절부(24)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부(21) 사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부(30)는 정렬이동부(31)와, 정렬유도부(32)와, 정렬낙하부(33)와, 정렬배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이동부(31)는 이송부(20)에서 공급되는 식품(100)을 하나씩 이동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정렬이동부(31)는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송슈트부(23)를 통해 공급되는 식품(100)을 상향 경사지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정렬유도부(32)는 정렬이동부(31)에 형성되고, 식품(100)을 일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일예로, 식품(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삽입된 막대(200)가 정렬이동부(31)에 공급되면, 정렬유도부(32)는 모든 막대(200)가 식품(10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식품(100)을 정렬할 수 있다.
정렬낙하부(33)는 정렬이동부(31)에 형성되고, 정렬된 식품(100)을 낙하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정렬낙하부(33)는 정렬된 식품(100)이 정렬이동부(31)의 고점에서 목적지로 낙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정렬배출부(34)는 정렬낙하부(33)에서 낙하된 식품(100)을 포장부(40)로 배출할 수 있다. 일예로, 정렬배출부(34)는 하나씩 낙하된 식품(100)을 포장부(40)로 밀어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이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이동부(31)는 이동지지부(311)와, 이동회전부(312)와, 이동체인부(313)와, 이동수납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지지부(311)는 스탠드부(300)이 장착되고,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이동지지부(311)는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되, 어느 하나의 이동지지부(311) 하단부는 개방되어 이송슈팅부(23)에서 이동되는 식품(100)이 통과할 수 있다.
이동회전부(312)는 이동지지부(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각각의 이동지지부(311)에 한 쌍의 이동회전부(312)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어느 하나는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될 수 있다.
이동체인부(313)는 이동회전부(312)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순환하고, 이동수납부(314)는 이동체인부(313)에 장착될 수 있다. 이동수납부(314)는 이동체인부(313)와 연동되어 식품(10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일예로, 이동수납부(314)는 구획된 공간을 제공하도록 돌출되어 각각의 식품(100)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유도부(32)는 유도지지부(321)와 유도변경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지지부(321)는 정렬이동부(31)에 장착되고 식품(100)을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유도지지부(321)는 이동지지부(311)에 장착되고, 이동수납부(314)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지지부(321)는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이동수납부(314)의 중앙부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경사 또는 굴곡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지지부(321)에는 세워지는 식품(100)이 걸려 식품(100)의 회전이 유도될 수 있다.
유도변경부(322)는 정렬이동부(31)에 장착되고, 식품(100)에 삽입된 막대(200)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일예로, 유도변경부(322)는 이동지지부(311)에 장착되고, 이동수납부(314)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수납부(314)를 정면으로 바로볼 때 유도지지부(321)가 이동수납부(314)의 좌측에 배치되면, 유도변경부(322)가 이동수납부(314)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변경부(322)는 하단부가 막대(200)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단부로 갈수록 이동수납부(314)의 중앙부를 지나 이동수납부(314)의 좌측으로 치우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경사 또는 굴곡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변경부(322)는 이동되는 막대(200)를 세워서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부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더 길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배출부(34)는 배출저장부(341)와 배출푸시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저장부(341)는 정렬이동부(31)의 하부에 배치되고, 낙하된 식품(100)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배출저장부(341)는 정렬낙하부(33)를 통해 배출되는 식품(100)을 일시 저장하기 위해 출구를 폐쇄하는 형상을 하고 외력에 의해 변형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낙하된 식품(100)이 포장부(4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푸시부(342)는 배출저장부(341)에 저장된 식품(100)을 밀어내어 포장부(100)로 배출할 수 있다. 일예로, 배출푸시부(342)는 모터 구동에 의해 자체 길이가 가변되거나 이동되어 배출저장부(341)에 안착된 식품(100)을 밀어낼 수 있다. 이때 배출저장부(341)가 변형되면서 식품(100)이 포장부(4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포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부(40)는 포장라인부(41)와 포장성형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라인부(41)는 정렬부(30)에서 배출되는 식품(100)을 이송할 수 있다. 일예로, 포장라인부(41)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대상물을 이송하는 라인컨베이어부(411)와, 라인컨베이어부(411)를 일부 커버하여 식품(100)을 가이드하는 라인가이드부(412)와, 라인컨베이어부(411)에 장착되고 정렬배출부(34)에서 배출된 식품(100)이 안착되는 라인안착부(413)와, 라인컨베이어부(411)에 장착되고 막대(200)를 지지하는 라인지지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성형부(42)는 포장라인부(41)를 통해 이송되는 식품(100)을 개별 포장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성형부(42)는 대상물을 개별 포장하는 통상적인 장치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1)는 로봇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봇부(50)는 정렬부(30)에서 배출되는 식품(100)을 포장부(40)로 옮길 수 있다.
일예로, 로봇부(50)는 싱글그립 방식과 멀티그립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싱글그립 방식인 경우, 정렬부(30)에서 막대(200)의 방향 전환이 삭제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멀티그립 방식인 경우, 막대(200)의 방향 전환이 완료된 식품(100)을 다수 파지하여 포장라인부(41)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급부(10)를 통해 식품(100)이 이송부(20)로 공급되고, 이송부(20)는 식품(10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정렬부(30)로 공급한다. 이러한 식품(100)은 냉동된 상태이며, 막대(200)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공급부(10)가 제1공급부(11)와 제2공급부(12)를 포함하는 경우, 제1공급부(11)를 통해 다량의 식품(100)이 제2공급부(12)에 투입되더라도, 제2공급부(12)가 식품(100)을 회전시키면서 하나씩 이송부(20)로 배출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급부(10)가 제3공급부(13)를 포함하는 경우, 작업자가 제3공급부(13)로 낱개의 식품(100)을 투입하면, 제3공급부(13)가 이송부(20)로 식품(100)을 배출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부(21)는 개별 동작되어 식품(100)의 과적을 방지하고, 이송선별부(22)는 불량인 식품(100)을 제거한다. 이송선별부(22)와 이송슈팅부(23)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조절부(24)는 정렬부(30)의 정렬 상태에 따라 이송속도가 조절된다.
이송슈팅부(23)에 의해 정렬이동부(31)로 공급된 식품(100)은 경사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정렬유도부(32)에 걸려 막대(200)의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렬된다.
정렬된 식품(100)이 정렬낙하부(33)로 낙하되면, 정렬배출부(34)가 작동하여 포장라인부(41)로 식품(100)을 배출한다. 포장라인부(41)로 배출된 식품(100)은 포장성형부(42)에 의해 포장이 완료되어 후공정으로 이동된다.
한편, 로봇부(50)가 정렬부(30)를 통과한 식품(100)을 파지하여 포장부(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로봇부(50)의 파지방식에 따라 정렬부(30)가 막대(200)의 방향 정렬과정이 포함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 자동 처리장치(1)는 냉동된 꼬치류 식품(100)이 공급부(10)를 통해 이송부(20)에 공급되고, 정렬부(30)에서 정렬되며, 포장부(40)에서 포장이 완료되어 후공정으로 이동됨으로써, 꼬치류 식품(100)의 자동화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부 20 : 이송부
21 : 이송컨베이어부 22 : 이송선별부
23 : 이송슈팅부 24 : 이송조절부
30 : 정렬부 31 : 정렬이동부
32 : 정렬유도부 33 : 정렬낙하부
34 : 정렬배출부 40 : 포장부
41 : 포장라인부 42 : 포장성형부
50 : 로봇부 60 : 제2감지부
70 : 제2내부테이블부 80 : 제2외부테이블부
90 : 제2겹침방지부 100 : 식품
200 : 막대 300 : 스탠드부
21 : 이송컨베이어부 22 : 이송선별부
23 : 이송슈팅부 24 : 이송조절부
30 : 정렬부 31 : 정렬이동부
32 : 정렬유도부 33 : 정렬낙하부
34 : 정렬배출부 40 : 포장부
41 : 포장라인부 42 : 포장성형부
50 : 로봇부 60 : 제2감지부
70 : 제2내부테이블부 80 : 제2외부테이블부
90 : 제2겹침방지부 100 : 식품
200 : 막대 300 : 스탠드부
Claims (7)
-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통해 제공되는 식품에 삽입된 막대를 일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부; 및
상기 정렬부에서 정렬된 식품을 포장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되는 식품을 하나씩 이동시키는 정렬이동부;
상기 정렬이동부에 형성되고, 식품을 일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유도부;
상기 정렬이동부에 형성되고, 정렬된 식품을 낙하시키는 정렬낙하부; 및
상기 정렬낙하부에서 낙하된 식품을 상기 포장부로 배출하는 정렬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이동부는
이동지지부;
상기 이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이동회전부;
상기 이동회전부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순환하는 이동체인부; 및
상기 이동체인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상승시키는 이동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도부는
상기 정렬이동부에 장착되고 식품을 지지하는 유도지지부; 및
상기 정렬이동부에 장착되고, 식품에 삽입된 막대를 들어 올리는 유도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배출부는
상기 정렬이동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낙하된 식품을 일시 저장하는 배출저장부; 및
상기 배출저장부에 저장된 식품을 밀어내어 상기 포장부로 배출하는 배출푸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정렬부에서 배출되는 식품을 이송하는 포장라인부; 및
상기 포장라인부를 통해 이송되는 식품을 개별 포장하는 포장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에서 배출되는 식품을 상기 포장부로 옮기는 로봇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자동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6928A KR20240151004A (ko) | 2023-04-10 | 2023-04-10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6928A KR20240151004A (ko) | 2023-04-10 | 2023-04-10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51004A true KR20240151004A (ko) | 2024-10-17 |
Family
ID=9328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6928A Pending KR20240151004A (ko) | 2023-04-10 | 2023-04-10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51004A (ko) |
-
2023
- 2023-04-10 KR KR1020230046928A patent/KR20240151004A/ko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47931A (en) | Apparatus for automatic delivery from a receiver of adjacently hanging loops of sausages | |
US4052838A (en) | Apparatus for packaging nested, uniformly shaped articles | |
US4421222A (en) | Apparatus for arranging workpieces in a predictable relationship and grouping | |
US4630725A (en) |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3933085A (en) | Potato coring machine | |
KR101759450B1 (ko) | 원통형 선별기 | |
EP0209652A1 (en) | A process and system for automatic handling of yarn reels | |
US5333718A (en) | Apparatus for handling plastic eating utensils | |
KR20240151004A (ko)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
KR20240151003A (ko) | 식품 자동 처리장치 | |
CN112058673B (zh) | 一种餐具自动分拣生产线及分拣方法 | |
GB2077577A (en) | Apparatus for peeling crops, such as bulbs or tubers | |
KR20240151002A (ko) | 식품 자동 공급장치 | |
KR20240151001A (ko) | 식품 자동 공급장치 | |
US4789055A (en) | Apparatus for arrang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 |
US1964152A (en) | Egg feeding machine | |
JPH0624408A (ja) | 食品のコンテナ詰め装置 | |
US3233718A (en) | Bottle discharge apparatus | |
US2955696A (en) | Article separating mechanism | |
US3297131A (en) | Parts feeder | |
CA2427998C (en) | Adjustable apparatus for orienting containers | |
KR102814921B1 (ko) | 식품 정량 공급장치 | |
US2890784A (en) | Feeder for packaging machines | |
KR102725941B1 (ko) | 포장물품 자동 이송장치 | |
KR102725940B1 (ko) | 포장물품 자동 이송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