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9928A - 전력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9928A
KR20240149928A KR1020247030084A KR20247030084A KR20240149928A KR 20240149928 A KR20240149928 A KR 20240149928A KR 1020247030084 A KR1020247030084 A KR 1020247030084A KR 20247030084 A KR20247030084 A KR 20247030084A KR 20240149928 A KR20240149928 A KR 2024014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current
voltage
measurement
seri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렌스 스완스
막스 앤더슨
요아킴 월맨
Original Assignee
엘렉트디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렉트디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엘렉트디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4014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992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2Measuring effective values, i.e. root-mean-square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by converting frequency into phase shi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30)의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을 보정하는 방법(1100)이 제시된다. 교류 전기 신호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 720; 920)을 통해 공급되어(1100) 동작 지점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구동한다. 무선 전력 장치에서 상기 교류 전기 신호 또는 그 결과의 전류 신호에 대한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 수행된다(1120). 전압 측정과 전류 측정으로부터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 생성된다(1130).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으로부터 전력 값이 계산된다(1140). 이어서 본 방법은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1150).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본 방법은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 또는 일련의 전류 값 중 하나에 보상적 변화를 도입하여 상기 동작 지점에서 전압 측정과 전류 측정 간의 위상 변이를 고려하고(1160),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에 대해 보상적 변화를 저장한다(1170). 이로써,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은 상기 동작 지점에서 상기 사양과 일치하는 무선 전력 측정 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력 보정 방법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분야, 구체적으로는 무선 전력 전송 장비의 시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높은 작동 주파수에서의 전력 측정은 수행하기 어렵다는 것이 상식이다. 이는 두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 전압 측정과 전류 측정 사이의 근본적인 차이로 인해 이들의 측정량 사이에 위상 변이가 발생하고, 이 위상 변이는 주파수에 따라 변한다. 둘째, 신호의 고조파 성분이 관측된 전력 값에 크게 기여하고, 이를 무시하거나 예측할 수 없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이므로, 사용자가 전력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두 가지 측정이 모두 필요하다. 주기적인 신호의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평균을 구하는 것은 신호의 기본 주파수인 T=1/f 보다 훨씬 큰 주기 동안 이루어져야 한다.
순수한 정현파 신호는 다음과 같이 간략히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V와 I는 전압과 전류의 RMS 값이고, φ는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 변이이다.
고조파 성분은 입력 신호의 푸리에 변환을 사용(주기적인 시계열을 모든 주파수의 합으로 분해)하고 각 주파수의 위상 변이를 판단하여 확인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FFT의 빈(bin)의 개수이다.
전력 측정이 매우 자주 활용되는(안전 및 에너지 효율성 때문) 관련 분야는 무선 전력 전송이다. 무선 전력 전송은 모바일 단말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오디오 플레이어, 전동 칫솔, 무선 헤드셋, 및 스마트 워치와 같은 모바일 장치들 및 기타 다양한 소비자 제품 및 기기의 무선 배터리 충전을 위해 더욱 대중화되고 있다.
WPC(Wireless Power Consortium)는 치(Qi) 라고 알려진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을 개발했다. 기타 알려진 무선 전력 전송 계획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와 PMA(Power Matters Alliance)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적용될 선호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치'라고 알려진 WPC의 무선 전력 전송 표준을 참조하여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방식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전력 전송 표준 또는 계획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치를 준수하는 장치의 동작은 평판형 코일 사이의 자기 유도에 의존한다. 여기에는 두 종류의 장치가 사용되는데, 즉, 무선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전력 송신기 제품'으로 지칭), 즉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 와 무선 전력을 소비하는 장치('모바일 장치' 또는 '전력 수신기 제품'으로 지칭), 즉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그것이다. 전력 전송은 베이스 스테이션에서 모바일 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베이스 스테이션은 1차 코일을 포함하는 서브시스템(전력 송신기)을 포함하고, 모바일 장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서브시스템(전력 수신기)을 포함한다. 작동에 있어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코어리스 공진형 트랜스포머(coreless resonant transformer)를 절반씩 구성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베이스 스테이션은 평면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그 상부에 하나 이상의 모바일 장치를 배치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상에 배치된 모바일 장치에 대해 무선 충전을 하거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다.
이는 모바일 장치(110)(또는 전력 수신기 제품), 즉,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로 무선 전력 전송을 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를 도시한 도 1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장치(110)는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예, 스마트폰)(110a), 태블릿 컴퓨터(110b)(예, 서프패드), 노트북 컴퓨터(110c), 스마트워치(110d), 카메라, 오디오 플레이어, 충전식 칫솔, 무선 헤드셋, 또는 다른 종류의 소비자 제품 또는 기기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치(Qi) 표준을 준수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므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는 치 용어에서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전력 송신기 제품이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른 무선 전력 전송 표준 또는 방식에도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는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124)이 있는 무선 전력 송신기(122)를 포함하고 전력 컨트롤러(126)로 조종된다. 이에 상응하여, 모바일 장치(110)는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114)이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112)를 포함한다. 각 코일(114, 124)은 저항 요소가 있는 인덕터이다. 작동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는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124)과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114)을 통한 자기 유도(118)를 통하여 모바일 장치(110)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114)에 의해 수신된 전력은 모바일 장치(110)의 부하(116)를 구동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부하(116)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같은 충전지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는 모바일 장치(110)에 대한 무선 전력 충전기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경우에서, 부하(116)는 모바일 장치의 전자 회로일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120)는 모바일 장치(110)에 대한 무선 전원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충전은 무선 전력 전송의 일례로, 즉, 한 종류로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을 활용함에 있어서, 전력 송신 장치에서 나가는 전력의 양(전자기 복사(electromagnetic radiation)의 형태) 또는 전력 수신 장치에서 흡수되는 전력의 양(전자기 복사의 형태)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전력 측정은 무선 전력 전송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이물질 검출과 관련된 안전 양상이 아니더라도, 무선 전력 시스템의 효율 측정 및 판단을 위해서도 정확한 전력 측정이 필요하다. EnergyStar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장치 성능의 신뢰할 만한 정격은 무선 전력 전송을 제공하는 제품에 대한 경쟁력 양상이 된다. 이러한 요구는 모바일 장치의 개발자, 제조자 또는 공급자;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의 개발자, 제조자, 또는 공급자; 무선 전력 전송 분야의 시험 또는 규제 조직; 및 소비자 제품 안전 분야의 시험 또는 규제 조직과 같은 다양한 이해 집단에 존재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정확한 전력 측정은 여러 양상에서 통상적인 AC 전력 측정 장비보다 일반적으로 어렵다. 신호 주파수는 100 Hz보다 매우 높은 약 100 kHz로 1,000배나 높다. 또한, 정현파(sine wave)가 아닌 구형파(square wave)이므로 고조파 왜곡이 매우 높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특성상, 피상 전력 대비 유효 전력의 비율이 낮다(또는 다르게 표현하면, 충전은 이상적인 저항성 부하와 차이가 많이 나므로, 상당한 양의 리액티브성 전력이 존재한다).
전력 측정의 일반적인 문제는 전압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와 전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회로의 특성이 서로 다르다는 점이다. 실제 전압과 측정된 값 사이의 이른바 전달 함수는 실제 전류와 측정된 값 사이의 전달 함수와 다른 동적 거동을 보인다. 따라서 값이 곱해질 때 이미 신호에 (동등하지 않은) 위상 변이가 발생하여 전력 측정에 오차가 발생한다.
고조파 성분이 많을수록 이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정현파 대비 구형파) 또한 복잡한 부하가 있는 경우(저항성 부하 대비 유도성 또는 용량성 부하)에도 마찬가지이다.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위상 변이가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고조파 성분은 당연히 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각 주파수마다 고유한 위상 변이가 발생하는데, 고조파 성분이 많을수록 고려해야 할 주파수가 더 많아진다.
복잡한 부하의 영향은 저항성 부하(φ=0°)에서 작은 위상 오류를 고려할 때와 매우 유도성인 부하(φ=85°)를 고려할 때 명확히 보인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85도 위상 변이에서 1도의 변화는 전력 값에 100배 이상의 큰 영향을 미친다. 이는 y = cos(x) 함수의 반 주기를 나타내는 그래프(210)가 포함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x가 0도에 가까울 때 그래프(210)는 도면 부호 220에서 볼 수 있듯이 기울기가 평평하지만, x가 90도에 가까울 때 그래프(210)의 기울기는 도면 부호 230에서 볼 수 있듯이 매우 가파르다.
무선 전력 전송을 활용하려면 인덕터(전력 코일)로 유입되거나 인덕터로부터 유출되는 전력을 측정해야 한다는 점을 상기하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복잡한 문제가 강조된다:
● 신호는 위상 오류에 매우 민감하다(90도에 가까울수록 오류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짐).
● 전력 코일 자체의 손실이 보상되어야 한다.
○ 코일 자체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전력 송신 코일의 측정값에서 빼야 한다.
○ 코일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전력 수신기 코일의 측정값에 더해야 한다.
○ 전력 코일의 손실은 코일의 신호 주파수, 고조파 성분, 임피던스(주파수의 함수로서) 및 온도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별도로) 복잡한 함수이다.
● 전압이 사각형 파형인 경우(H-브리지 인버터가 사용되는 경우에 전형적) 전류는 삼각형 파형이 된다. 이는 전압의 고조파 성분이 전류의 고조파 성분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사항들의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전송 장비에 대한 전력 측정의 향상을 제공하고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의 활용(최종 사용자 제품, 시험 도구 등)에서 전력 측정을 위한 보정 방법이다. 본 방법은 전력 측정 응용 분야에서 독립적인 측정 회로에 의해 유발되는 위상 변이(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음)를 보상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을 고려하여,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본 방법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통해 교류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동작 지점에서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무선 전력 장치에서 교류 전기 신호 또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전류 신호에 대해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으로부터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은 또한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에서 전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사양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본 방법은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 또는 일련의 전류 값에 보상적 변화를 도입하여 상기 동작 지점에서의 전압 측정과 전류 측정 사이의 위상 변이를 고려하고, 무선 전력 장치에 대한 보상적 변화를 저장한다. 이로써, 저장된 보상적 변화를 활용함으로써,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은 상기 동작 지점에서 상기 사양과 일치하는 무선 전력 측정 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된 실시예의 다른 측면,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 상세한 설명, 첨부된 종속항뿐만 아니라 도면에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이하에서 명시적으로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청구항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하나의/상기 [요소, 장치, 구성, 수단, 단계 등]"에 관한 모든 표현은, 명시적으로 다르게 서술되어 있지 않는 한, 적어도 하나의 요소, 장치, 구성, 수단, 단계 등을 의미하도록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모든 방법의 단계는, 명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개시된 순서대로만 수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특징, 이점은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다.
도 1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로 무선 전력 전송을 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코사인 함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력 계산 목적으로 전류와 전압의 측정에 활용될 수 있는 측정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아날로그 및 시간 이산 형태의 전류, 전압, 및 전력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전력 측정 기능이 있는 무선 전력 장치의 제1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무선 전력 장치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전력 보정 방법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와 함께 동작하는, 전력 측정 기능이 있는 무선 전력 장치의 제2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무선 전력 장치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전력 보정 방법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이고 보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와 함께 동작하는, 전력 측정 기능이 있는 무선 전력 장치의 제3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무선 전력 장치에 대해 수행 가능한 전력 보정 방법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돼야 한다.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기재가 완전하도록 제공된 것이며, 당업자들은 기재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빗금 친 상자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빗금이 있는 특정 도면에서 선택적인 것을 의미한다.
발명에 대한 서론 및 체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응용 분야(최종 사용자 제품, 시험 도구 등)에서의 전력 측정 보정에 관한 것이다. 보정은 전력 측정을 활용할 때에 독립적인 측정 회로에 의해 유발되는 위상 변이의 보상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전력 코일의 손실을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의 본 발명과 그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특정 활동(또는 기능성)에 대해서 언급될 것이다. 예를 들어, VRMS 및 IRMS의 보정은 전압 및 전류 측정의 오류를 줄이는 일반적인 측정 장비의 모든 절차를 포함한다. 또한, 위상 변이에 대한 보상은 예컨대 전류 측정 값의 시계열에 인위적인 지연을 추가하여
● RMS 값이 변하지 않고,
● 계산된 송신/수신 전력 값이 원하는 값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또한, 동작 지점을 변경하는 것은 동작 주파수, 부하 저항, 코일 전류, 코일 전압, 고조파 성분, 온도 등의 임의의 변경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측정 배열(300)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측정 배열(300)의 토폴로지는 모든 실제적인 면에서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측정 배열(300)이 전류 측정 회로망(320) 및 전압 측정 회로망(340)을 포함하고, 두 회로망 모두 전압원(310)에서 요소들(312, 314)을 통해 공급되고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류 측정 회로망(320)은 회로 요소들(322-338)을 포함하고 전류 신호(339)를 출력한다. 전압 측정 회로망(340)은 회로 요소들(342-346)을 포함하고 전압 신호(349)를 출력한다. 전력 계산을 목적으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는 전자 회로망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토폴로지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전류 신호(339)와 전압 신호(349)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에 의해 샘플링 되고, ADC는 실제(아날로그) 전압을 숫자로 변환하여 디지털로 처리될 수 있게 한다.
ADC는 샘플링 주파수 fsample에서 측정 샘플들을 취하며, 이는 두 개의 연속 샘플이 시간상 Tsample = 1/fsample 초만큼 떨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연속 시간 신호 v(t)를 이산 시계열 v(n)으로 변환하는데, 여기서 n은 시간 t에서 얻은 순간 값이다. 이 시계열은 매 Tsample 초마다 값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의 표현이 된다. 도 4는 연속선이 연속 시간 신호 v(t), i(t), 및 p(t)를 나타내고, 줄기 그래프(stem plots)가 이들 신호의 이산 시계열 v(n), i(n), 및 p(n)을 나타내는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100 kHz 신호와 1 MHz 샘플링 주파수를 사용한다. 전압 신호(410)와 전류 신호(420) 사이의 위상 변이는 60도이며, 이는 전력 신호(430)의 평균값을 취하고 이를 아래의 함수와 비교하면 확인될 수 있다:
500 μs 동안에 평균을 내는 경우에 연속 시간 신호의 평균값(average value)은 7.4995 W이다. 같은 시간 동안 평균을 내는 경우에 이산 시계열의 평균값(average value)은 7.4948 W이다. 이는 단순히 길이가 500 μs인 시계열의 평균 값(mean value)을 취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특정 측정 장치에서 신호가 겪는 위상 변이를 보상하기 위해 시계열 중의 어느 것이라도 하나가 조정된다.
예를 들어, 전류의 시계열(도 4의 도면 부호 420에 있는 줄기 그래프 참조)는 인위적인 위상 변이를 통해 수정되어 t = k·Tsample 마다 i(n) = i(t)로 정의된 원 시계열이 t = k·Tsample 마다 i(n) = i(t + ε)으로 변환된다.
i(t + ε)에 대한 값은 샘플 i(t0)과 i(t1) 사이의 선형 보간을 통해 구해질 수 있다.
ε 값을 조정함으로써, 계산된 전력 값이 RMS 전류에 대한 결과에 영향이 없이 조정될 수 있다.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방법(1100)이 제공된다. 본 방법(1100)에 따라 보정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 및 그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의 다양한 비한정적인 예시들은 도 5,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이와 연관된 방법(1100)의 각 실시예는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방법(1100)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통해 교류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동작 지점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구동하는 단계(1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의 예는 도 5, 도 7, 및 도 9의 도면 부호 520, 720, 및 920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방법(1100)은 무선 전력 장치에서 상기 교류 전기 신호 또는 그로부터 생성된 전류 신호에 대한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1120)를 더 포함한다.
본 방법(1100)은 이어서 전압 측정과 전류 측정으로부터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을 생성하고(1130)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으로부터 전력 값을 계산한다(1140).
이어서, 본 방법(1100)은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파악한다(1150). 이는 계산된 전력 값을 예상 전력 값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계산된 전력 값이 오차 범위 내로 벗어나지 않거나 정확도의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사양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상 전력 값은 '치'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표준에 의해 규정된 요구 사항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도 7 및 도 8에 후술되는 바와 같은)에서, 예상 전력 값은 무선 전력 장치와 함께 동작 중인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에 의해 결정된 수신 전력 값에 정해진다.
계산된 전력 값이 단계 1150에서 파악된 바와 같은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 또는 일련의 전류 값 중 하나에 보상적 변화(앞서 설명한 값 ε 참조)를 도입하여 상기 동작 지점에서 전압 측정값과 전류 측정값 간의 위상 변이를 고려한다(1160). 보상적 변화는 무선 전력 장치에 대해 저장된다(1170). 이로써, 무선 전력 장치(예: 510; 710; 940)의 전력 측정 기능(예: 516; 716; 946)은 저장된 보상적 변화를 사용하여 위상 변이를 보상함으로써 상기 동작 지점에서 상기 사양과 일치하는 무선 전력 측정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선택적이지만 바람직하게, 본 방법(1100)의 단계들은 복수의 동작 지점에 대해 반복된다. 이는 도 11의 도면 부호 1180에 나타나 있다.
전형적으로, 동작 지점은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 교류 전기 신호의 기본 주파수;
● 교류 전기 신호의 고조파 성분;
● 부하 저항;
● 교류 전기 신호의 공칭 RMS 전류 값;
● 교류 전기 신호의 공칭 RMS전압 값; 및
● 작동 온도
신뢰성 있는 보정이 확실히 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방법(1100)은 무선 전력 장치(예: 510; 710; 940)의 전력 측정 기능(예: 516; 716; 946)이 지정된 정확도로 RMS 전압 값과 RMS 전류 값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독립적으로 파악하는 단계(도 6의 단계 612 내지 단계 614; 도 8의 단계 812 내지 단계 814; 도 10의 단계 1012 내지 단계 1014) 및 필요한 경우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단계(도 6의 단계 618; 도 8의 단계 818; 도 10의 단계 1018)의 초기 단계들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방법(1100)의 단계 1130에서, 일련의 전압 값은 무선 전력 장치의 전압 측정 회로망(도 3의 340)에 의해 구해진 바와 같은 전압 측정을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 하여 생성된 시계열이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전류 값은 무선 전력 장치의 전류 측정 회로망(320)에 의해 구해진 바와 같은 전류 측정을 상기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 하여 생성된 시계열이다.
보상적 변화는 이러한 시계열에 추가된 인위적인 지연 형태를 편리하게 취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시계열 중 하나에 인위적인 지연 ε을 적용하여 보상적 변화가 본 방법(1100)의 단계 1160(도 6의 단계 630, 도 8의 단계 830, 도 10의 단계 1030에 해당)에 도입되어, t = kTsample마다 원 시계열 i(n) = i(t) 또는 v(n) = v(t)에 대해(여기서, Tsample은 샘플링 속도의 역수) 인위적인 지연 ε이 적용되어 보상된 시계열 i(n) = i(t+ε) 또는 v(n) = v(t+ε)을 산출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인위적인 지연 ε은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상기 한 시계열에 바람직하게 적용되어 RMS 값이 변하지 않게 하고 보상된 시계열과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다른 시계열로부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거나 상기 사양에 더 가까워지도록 한다.
예시적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1100)의 제1 실시예(600)로 보정될 수 있는 전력 측정 기능(516)을 갖춘 무선 전력 장치(510)의 제1 예시를 제시한다.
도 5의 무선 전력 장치(510)는 무선 전력 전송(약자로 WPT)에 대한 시험 도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 1의 모바일 장치(110)(예: 110a-110d)와 같은 최종 사용자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를 검사하기 위해 설계된 종류이다. 무선 전력 장치(510)는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을 구비하고 H-브리지 인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생성기(512)에 의해 구동되는 무선 전력 송신기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은 무선 전력 장치(51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예: 유도 전달 등을 통해)된다.
일반적인 시험 동안에, 무선 전력 장치(510)는 '치'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해당 표준을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준수하는지 여부를 검사할 목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있는 상태에서 서로 상이한 동작 지점에서 작동되게 된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 장치(510)는 검사 환경의 매개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온도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한다.
동작 지점은 예컨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에 의해 생성된 필드의 주파수, 형상, 방향, 및/또는 크기, 하나 이상의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표면 온도, 또는 그 조합이나 파생과 관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장치(510)는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에 작동적으로 결합되고,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에 흐르는 전기 신호의 전압과 전류를 포함하는, 다양한 측정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판단하도록 구성된 측정 기능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이러한 전기 신호가 전력 생성기(512)에서 공급되는 구동 신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시험 동안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와의 전자기(또는 유도)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측정 기능에는 예컨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측정 배열(300)처럼 구현될 수 있는 전압 및 전류 측정을 위한 회로망(514)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장치(510)의 검사 기능의 일환으로, 회로망(514)에 의해 제공된 전압 및 전류 측정값으로부터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전력 계산 기능(516)이 있다.
무선 전력 장치(510)는 예를 들어 소재의 nok9 AB에서 상업적으로 제공하는 CATS II Mobile Device Tester에 의해 구현되거나 이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장치(510)는 예컨대 " 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The Qi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Power Class 0 Specification, Part 3: Compliance Testing (version 1.2.4, 2018년 2월)의 제4장에 기재된 테스트 파워 트랜스미터(Test Power Transmitter) 또는 이 사양의 호환되는 후속 버전을 따를 수 있다.
일반적인 시험과 달리, 무선 전력 장치(510)는 도 6의 보정 방법(600)을 수행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없는 상태에서 작동되게 된다. 이하, 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방법(600)의 목적은 앞서 도 11의 방법(1100)에서 설명한 단계 1160과 1170에서 언급된 보상적 변화를 위한 보상 데이터(예: ε 값)을 생성하는 것이다. 도 6의 방법(600)은 신뢰성 있는 보정이 확실히 되게 하기 위한 초기 단계들(610 내지 618)로 시작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단계들에서는 무선 전력 장치(510)의 전력 측정 기능(전력 계산 기능(516))이 지정된 정확도로 RMS 전압 값과 RMS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독립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무선 전력 장치의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한다. 도 6의 보정 방법(600)이 수행되는 경우에 무선 전력 장치(510)은 단독으로 작동되므로(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존재하지 않음), RMS 전압 값과 RMS 전류 값은 이상적으로 0이어야 하고, 지정된 정확도를 초과하는 0에서의 편차는 모두 검증된 보정 능력을 가진 일부 외부 장비를 사용하여 단계 618의 보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단계들 이후에, 단계 622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 주변에 송신기 제품(무선 전력 장치(520))의 일부가 아닌 전기 전도성 또는 자기 투과성 물질이 없는 것을 확인한다. 이 단계는 인간 시험 운영자에 의한 수동(육안) 검사 또는 디지털 이미지 캡처 및 분석 등을 활용한 자동 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방법(600)의 단계 624 내지 단계 630에서, 본 발명의 보정 방법(1100)의 주 기능, 즉 앞서 설명한 방법의 단계 1110 내지 단계 1160은 하나의 동작 지점에서 무선 전력 장치(510)를 작동함으로써 수행된다. 결정된 임의의 모든 보상적 변화(ε 값)는, 본 발명의 보정 방법(1100)의 단계 117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632에서 저장되게 된다. 결정된 보상적 변화의 저장은 무선 전력 장치(510)의 내부에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된 임의의 모든 저장 수단에 가능하다. 예를 들어, ROM, RAM, SRAM, DRAM, FLASH, DDR 또는 SDRAM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내부 메모리, 또는 SSD나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보조 저장소, 또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W-CDMA, GSM, UTRAN, HSPA, LTE, LTE Advanced, 5G 등의 무선 통신, 단순 전기 배선과 같은 유선 통신, USB, 이더넷과 같은 직렬 통신과 같은 로컬 또는 광역 통신 수단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원격(예: 클라우드 기반) 저장소일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로써, 저장된 보상적 변화를 전력 계산 기능(516)이 임의의 모든 전력 측정 결과를 계산할 때에 적용함으로써, 무선 전력 장치(510)의 전력 측정 기능(전력 계산 기능(516))은 일반적인 시험(즉,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가 있는 상태)을 위한 무선 전력 장치(510)의 후속 동작 동안에 상기 동작 지점에서 관련 사양과 일치하는 무선 전력 측정 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단계 624 내지 단계 630의 절차는 단계 634 내지 단계 638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동작 지점에 대해 반복되고, 각 보상적 변화는 무선 전력 장치(510)의 각 동작 지점에 대해 단계 632에서 저장된다.
방법(600)은 모든 동작 지점이 실행된 경우에 단계 644에서 종료된다.
요약하면, 도 5와 도 6의 제1 예시 및 실시예에서, 방법(600)의 모든 단계는 무선 전력 장치(510)에 의해 수행되고;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은 무선 전력 장치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고;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은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이 없는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을 통해 공급된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계산된 전력 값이 0 전력으로부터 지정된 오류 한계 내에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1100)의 제2 실시예(800)로 보정될 수 있는 전력 측정 기능(716)을 갖춘 무선 전력 장치(710)의 제2 예시를 제시한다. 도 5 및 도 6의 제1 예시(510)/제1 실시예(600)와의 주요 차이는 무선 전력 장치(710)가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과 함께 작동된다는 것이다.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750)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된다.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는 부하(742) 및 전압 및 전류 측정을 위해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750)에 결합된 회로망(744)을 포함한다. 회로망(744)은 예컨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측정 배열(300)처럼 구현될 수 있다.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는 또한 회로망(744)에 의해 제공된 전압 및 전류 측정으로부터 전력을 계산하는 전력 계산 기능(746)을 가지고 있다.
도 7의 무선 전력 장치(710)는 무선 전력 전송에 대한 시험 도구이다.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8의 보정 방법(800)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는 점을 제외하곤, 도 5의 무선 전력 장치(510)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8의 보정 방법(800)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의 전력 계산 기능(746)에 의해 판단된 수신 전력 값에 의해 제공된 예상 전력 값과 계산된 전력 값을 비교하여 단계 826과 단계 830에서 보상적 변화(ε 값)가 결정된다는 점을 제외하곤 도 6의 보정 방법(600)과 동일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단계 626과 달리, 예상 전력 값은 0 값이 아니게 된다.
요약하면, 도 7 및 도 8의 제2 예시와 제2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이고;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720)은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고; 방법(800)의 모든 단계들은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에 의해 수행되고(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으로부터 수신 전력 값을 제공하는 점은 제외);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은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의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750)이 있는 상태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720)을 통해 공급된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계산된 전력 값이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에 의해 판단된 수신 전력 값과 지정된 오류 한계 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1100)의 제3 실시예(1000)로 보정될 수 있는 전력 측정 기능(946)을 갖춘 무선 전력 장치(940)의 제3 예시를 제시한다.
제3 예시/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의 역할이 제2 예시/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바뀌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가 이미 보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에 대한 보상적 변화가 결정될 수 있었던 반면, 도 9 및 도 10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가 도 7 및 도 8의 제2 예시/실시예에 따라 또는 도 5 및 도 6의 제1 예시/실시예에 따라 이미 보정되어 있는 사실을 활용한다. 따라서 보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는 예컨대 베이스 스테이션(예: 무선 치 충전기)의 검사를 위해 설계된 WPT 시험 도구일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에 대한 보상적 변화를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요약하면, 도 9및 도 10의 제3 예시와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력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950)이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이고;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920)은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고; 도 11의 방법(1100)의 공급 단계(1110)는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의해 수행되고; 도 11의 방법(1100)의 기타 모든 단계들은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에 의해 수행되고;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92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의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950)을 통해 수신된 결과적인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계산된 전력 값이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의해 판단된 송신 전력 값으로부터 지정된 오류 한계 이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을 주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라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에 개시된 것들과 다른 실시예들도 동등하게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10)

  1.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을 보정하는 방법(1100)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 720; 920)을 통해 교류 전기 신호를 공급하여 동작 지점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구동하는 단계(1110);
    상기 무선 전력 장치에서 상기 교류 전기 신호 또는 그 결과의 전류 신호에 대한 전압 측정 및 전류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1120);
    상기 전압 측정과 상기 전류 측정으로부터 일련의 전압 값과 일련의 전류 값을 생성하는 단계(1130);
    상기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과 상기 생성된 일련의 전류 값으로부터 전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1140);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사양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1150);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생성된 일련의 전압 값 또는 상기 생성된 일련의 전류 값 중 하나에 보상적 변화를 도입하여 상기 동작 지점에서 상기 전압 측정과 상기 전류 측정 간의 위상 변이를 고려하는 단계(1160); 및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에 대해 상기 보상적 변화를 저장하여 상기 무선 전력 장치의 상기 무선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이 상기 동작 지점에서 상기 사양과 일치하는 무선 전력 측정 결과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단계(1170)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상기 단계들은 복수의 동작 지점에 대해 반복되는(118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지점은:
    상기 교류 전기 신호의 기본 주파수;
    상기 교류 전기 신호의 고조파 성분;
    부하 저항;
    상기 교류 전기 신호의 공칭 RMS 전류 값;
    상기 교류 전기 신호의 공칭 RMS전압 값; 및
    작동 온도 중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상기 전력 측정 기능(516; 716; 946)이 지정된 정확도로 RMS 전압 값과 RMS 전류 값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독립적으로 파악하는 단계(612-614; 812-814; 1012-1014); 및
    필요한 경우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상기 전력 측정 기능을 보정하는 단계(618; 818; 1018)를 포함하는 초기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전압 값은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전압 측정 회로망(340)에 의해 구해진 상기 전압 측정을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 하여 생성된 시계열이고,
    상기 일련의 전류 값은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 710; 940)의 전류 측정 회로망(320)에 의해 구해진 전류 측정을 상기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 하여 생성된 시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상기 시계열 중 하나에 인위적인 지연 ε을 적용하여 상기 보상적 변화가 도입되어(1160; 630; 830; 1030), t = kTsample마다 원 시계열 i(n) = i(t) 또는 v(n) = v(t)에 대해(여기서, Tsample은 상기 샘플링 속도의 역수임) 상기 인위적인 지연 ε이 적용되어 보상된 시계열 i(n) = i(t+ε) 또는 v(n) = v(t+ε)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위적인 지연 ε은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상기 한 시계열에 적용되어 RMS 값이 변하지 않게 하고 상기 보상된 시계열과 전류 값 또는 전압 값의 다른 시계열로부터 계산된 상기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거나 상기 사양에 더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상기 무선 전력 장치(51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520)은 상기 무선 전력 장치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고,
    상기 전압 측정 및 상기 전류 측정은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을 통해 공급된 상기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0 전력으로부터 지정된 오류 한계 이내에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이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720)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고,
    상기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71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전압 측정 및 상기 전류 측정은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의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750)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720)을 통해 공급된 상기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보정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740)에 의해 판단된 수신 전력 값과 지정된 오류 한계 이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7항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950)이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된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이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920)은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포함되거나 갈바닉 결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고,
    상기 공급하는 단계(1110)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의해 수행되고,
    기타 모든 단계들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전압 측정 및 상기 전류 측정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코일(920)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교류 전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장치(940)의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 코일(950)을 통해 수신된 결과적인 교류 전기 신호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사양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파악은 상기 계산된 전력 값이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 장치(910)에 의해 판단된 송신 전력 값으로부터 지정된 오류 한계 이내에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47030084A 2022-02-11 2023-02-13 전력 보정 방법 Pending KR20240149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250139-9 2022-02-11
SE2250139 2022-02-11
PCT/SE2023/050117 WO2023153995A1 (en) 2022-02-11 2023-02-13 Method for power cali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9928A true KR20240149928A (ko) 2024-10-15

Family

ID=8756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0084A Pending KR20240149928A (ko) 2022-02-11 2023-02-13 전력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50138066A1 (ko)
EP (1) EP4476555A1 (ko)
JP (1) JP2025507334A (ko)
KR (1) KR20240149928A (ko)
CN (1) CN118647885A (ko)
WO (1) WO20231539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5942B2 (en) * 2001-09-25 2004-11-09 Landis+Gyr, Inc. Self-calibrating electricity meter
US7515884B2 (en) * 2005-03-02 2009-04-07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f-calibrating transmit power
ES2838648T3 (es) * 2012-10-16 2021-07-02 Koninklijke Philips Nv Transferencia de potencia inductiva inalámbrica
TWI489729B (zh) * 2013-11-18 2015-06-21 Richtek Technology Corp 適用於無線電力系統的電力計算的方法
US10031165B2 (en) * 2013-12-23 2018-07-24 Qualcomm Technologies International, Ltd. Wireless charging performance measurement
SE541339C2 (en) * 2014-12-19 2019-07-16 Nok9 Ip Ab A mobile device tester for precise inductive power measurement and a calibration unit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476555A1 (en) 2024-12-18
US20250138066A1 (en) 2025-05-01
CN118647885A (zh) 2024-09-13
WO2023153995A1 (en) 2023-08-17
JP2025507334A (ja) 202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2325B2 (ja) 入力寄生金属の検出
EP4092862B1 (en) Wireless charging circuit, wireless charg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05812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eign objection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systems
US20190229561A1 (e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inductive power transfer field
US9806769B2 (en) Electromagnetically-coupled state detection circui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ontact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electromagnetically-coupled state detection method
TWI875027B (zh) 位置相依的非接觸式電壓及電流測量
JP2013519355A5 (ko)
JP6659349B2 (ja) 正確な誘導電力計測のためのモバイル装置テスタ及びこのテスタ用の較正ユニット
KR20240149928A (ko) 전력 보정 방법
KR102788765B1 (ko) 무선 전력 측정 정확도의 평가를 위한 보조 참조 제공 및 테스트 중인 무선 전력 측정 장치의 전력 측정 정확도 평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76094A1 (en) Alternating-current energy detection apparatus
US20240372407A1 (en) A testing device for testing a wireless power device, and an associated method
EP4428546A1 (e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current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dc current
EP4428549A1 (e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current measurement system gain control
US20240302443A1 (e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current measurement system
US20240302472A1 (en)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current measurement system calibration
Shin Bluetooth Low-Energy Current Sensor Compensated Using Piecewise Linear Model
CN119619975A (zh) 三相高压电能表测试装置、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Colina et al. Effect of frequency and load on efficiency of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Kon et al. Characterization of high-accuracy, wideband transconductance amplifiers up to 100 kHz
Kon et al. Verification and uncertainty evaluation of an ac shunt calibration system at power frequ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