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6973A - Comfort bucket seat - Google Patents

Comfort bucket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6973A
KR20240146973A KR1020230042263A KR20230042263A KR20240146973A KR 20240146973 A KR20240146973 A KR 20240146973A KR 1020230042263 A KR1020230042263 A KR 1020230042263A KR 20230042263 A KR20230042263 A KR 20230042263A KR 20240146973 A KR20240146973 A KR 2024014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eat
pad
seat cushion
boa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22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형진
최선우
김길주
윤상휘
홍성학
박상도
남가배
임전진
배일환
정봉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4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6973A/en
Publication of KR2024014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697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4Hydro-pneumatic adjustments of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23Coach-like constructions
    • B60N2/7035Cushions
    • B60N2/7047Springs
    • B60N2/7082Springs with air or fluid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주행 및 선회 주행시 운전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버킷 시트에 공압 장치 및 통풍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슬림 경량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압 장치에 의한 컴포트 성능 및 통풍 장치에 의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that can maintain a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while improving comfort performance by the pneumatic device and convenience by the ventilation device by easily installing a pneumatic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on the bucket seat to maintain a stable driver's posture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urning.

Description

컴포트 버킷 시트{COMFORT BUCKET SEAT}COMFORT BUCKET SEAT

본 발명은 컴포트 버킷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주행 및 선회 주행시 운전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버킷 시트에 공압 장치 및 통풍 장치를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써, 컴포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fort bucket seat,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in which a pneumatic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are easily installed on a bucket seat to maintain a stable driver's posture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urning, thereby improving comfort performance.

일반적으로, 레이싱을 위한 차량을 비롯하여 스포츠 세단 및 스포츠 쿠페 등을 포함하는 스포츠 카 등과 같은 고성능 차량에는 안정적인 운전 자세를 제공하기 위한 버킷 시트가 장착되고 있다.Typically, high-performance vehicles such as sports cars, including sports sedans and sports coupes, as well as vehicles for racing, are equipped with bucket seats to provide a stable driving position.

상기 버킷 시트는 차량의 고속 주행 또는 고속 선회 주행 중, 운전자의 안정적인 운전 자세 유지 및 좌우 쏠림 방지 등을 위하여 운전자의 신체를 감싸줄 수 있는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The above bucket seat is manufactured with a complex shape that can wrap around the driver's body to maintain a stable driving posture and prevent the vehicle from leaning to the left or right during high-speed driving or high-speed turning.

더욱이, 상기 버킷 시트의 경우 일반 차량에 적용되는 컴포트 시트와 달리 다이나믹한 주행감을 느끼는 동시에 안정적인 운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단하고 좁은 착좌감을 제공하는 슬림형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Moreover, unlike comfort seats used in general vehicles, the bucket seats are manufactured with a slim structure that provides a firm and narrow seating feel to maintain a stable driving position while providing a dynamic driving feel.

그러나, 상기 버킷 시트의 경우 일반 차량의 컴포트 시트에 비하여 폭은 좁고 두께는 얇은 슬림 경량화 구조로 제작됨에 따라, 운전자의 안정적인 운전 자세 유지 및 좌우 쏠림 방지 등을 위하여 운전자의 신체를 타이트하게 감싸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트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쿠션 지지감을 제공하는 공압 장치 및 냉방 공기를 제공하는 통풍 장치 등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ucket seat, since it is manufactured with a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that is narrower and thinner than the comfort seats of general vehicle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ightly wrap the driver's body to maintain a stable driving posture and prevent the driver from leaning left and right,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seat is narrow, making it impossible to install a pneumatic device that provides cushion support and a ventilation device that provides cooling air.

결국, 기존의 버킷 시트에 상기 공압 장치 내지 통풍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없음에 따라, 버킷 시트의 컴포트 성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Ultimate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fort performance of the bucket seat is bound to be reduced because the pneumatic device or ventilation device cannot be easily installed on the existing bucket sea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속 주행 및 선회 주행시 운전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버킷 시트에 공압 장치 및 통풍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슬림 경량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컴포트 성능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that can maintain a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while improving comfort performance and convenience by easily installing a pneumatic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on the bucket seat to maintain a stable driver's posture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urn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 헤드레스트 패드가 일체로 형성된 시트백 패드; 상부에 헤드레스트 보드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의 배면에 부착되는 시트백 보드; 및 시트쿠션 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시트쿠션 패드;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omprising: a seatback pad having a headrest pad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seatback boar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eadrest boar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back pad; and a seat cushion pad mounted on a seat cushion frame;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와 헤드레스트 보드 사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 사이 및 상기 시트쿠션 패드와 시트쿠션 프레임 사이에 컴포트 지지감을 제공하는 공압 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를 비롯하여 상기 시트쿠션 패드 및 시트쿠션 패드의 저부 공간에 냉방 공기 토출을 위한 통풍 장치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neumatic device providing comfort support between the headrest pad and the headrest board, between the seatback pad and the seatback board, and between the seat cushion pad and the seat cushion frame, and a ventilation device for discharging cooling air to the seatback pad and the seatback board, as well as the seat cushion pad and the lower space of the seat cushion pad.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와 헤드레스트 보드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에어셀; 상기 헤드레스트 보드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에어셀; 상기 시트백 보드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2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 상기 시트쿠션 패드의 전단쪽 저면부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에어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 위에 부착되어 상기 제3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3지지판; 상기 제1에어셀, 제2에어셀 및 제3에어셀과 에어호스로 연결되는 에어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neumatic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air cell expanded and contracted between the headrest pad and the headrest board; a first support plate attached to a front portion of the headrest board and supporting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first air cell; a second air cell expanded and contracted between the seatback pad and the seatback board; a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a front portion of the seatback board and supporting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ell; a third air cell expanded and contracted on a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pad; a third support plate attached on the seat cushion frame and supporting an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third air cell; and an air pump connected to the first air cell, the second air cell, and the third air cell via an air ho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판, 제2지지판 및 제3지지판은 경량화를 위해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support plate,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third support plat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ade of foamed polypropylene material for weight reduction.

또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양측부에 형성된 볼스터부의 내면부에는 상기 에어펌프와 에어호스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에어셀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t back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air cell is further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lster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by an air hose.

상기 통풍 장치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제1에어분배유로; 상기 제1에어분배유로와 연통되도록 시트백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에어경유홀; 상기 시트백 보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경유홀에 연결되는 백덕트; 상기 시트쿠션 패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 상기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과 연통되도록 시트쿠션 패드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제2에어분배유로; 상기 제2에어분배유로와 연통되는 에어공급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 패드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에어누출 차단판; 및 상기 백덕트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의 에어공급홀에 에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블로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ntilation device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first air distribution channel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back pad; an air passage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back pa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ir distribution channel; a back duc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back board and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hole; a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formed vertically penetrating through the seat cushion pad; a second air distribution channel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pad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an air leak blocking plate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cushion pad, the air supply hole be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air distribution channel; and an air blower connected to the back duct and the air supply holes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so as to be able to supply air.

또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정면부에는 복수의 제1에어토출홀을 갖는 백 테이프가 상기 에어토출유로를 커버하며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part of the seat back pad is characterized in that a back tap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discharge holes is attached to cover the air discharge path.

또한, 상기 에어블로워는 양방향 토출관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양방향 토출관 중 제1토출관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의 에어공급홀에 연결되고, 제2토출관은 상기 백덕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ir blower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ucture having a two-way discharge pipe,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ipe among the two-way discharge pipes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back duct.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블로워의 제2토출관과 상기 백덕트는 벨로우즈 타입의 연결덕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discharge pipe of the air blower and the back duct are connected by a bellows-type connecting duct.

또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에어경유홀과 상기 백덕트 간의 연결부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합성고무 재질의 씰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ir passage hole of the seat back pad and the back duct is characterized by being equipped with a sealing made of synthetic rubber material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버킷 시트의 헤드레스트, 시트백 및 시트쿠션에 에어셀을 포함하는 공압 장치를 내설하여 운전자 및 승객이 원하는 시트 포지션에 맞게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킷 시트의 컴포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comfort performance of the bucket seat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a pneumatic device including air cells in the headrest, seatback, and seat cushion of the bucket seat so that the air cells can be inflated or deflated to suit the desired seat position of the driver and passenger.

둘째, 버킷 시트의 시트백 및 시트쿠션에 냉방풍을 토출시키기 위한 통풍 장치를 내설함으로써, 버킷 시트가 운전자 및 승객을 타이트하게 감싸줌에 따른 땀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쾌적한 시트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다.Second, by installing a ventilation device to blow cooling air into the seat back and seat cushion of the bucket seat, sweating caused by the bucket seat tightly wrapping the driver and passengers can be prevented,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seat feeling.

셋째, 고속 주행 및 선회 주행시 운전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버킷 시트의 슬림 경량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압 장치에 의한 컴포트 성능 및 통풍 장치에 의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the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of the bucket seat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the driver's stable posture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urning, while improving comfort performance through a pneumatic device and convenience through a ventil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공압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공압 장치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공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가 공압 장치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되는 방향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장치의 에어블로워와 백덕트가 연결덕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의 시트백 패드에 백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의 시트쿠션 패드에 에어누출 차단판이 부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장치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neumatic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pneumatic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anded or contracted by a pneumatic devic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blower and back duct of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duct.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back tape attached to a seat back pad of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showing an air leak blocking plate attached to a seat cushion pad of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첨부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공압 장치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통풍 장치를 나타낸다.The attached drawings 1 and 2 illustrate a pneumatic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 5 illustrates a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시트(10)는 일반 차량에 적용되는 컴포트 시트와 달리 다이나믹한 주행감을 느끼는 동시에 안정적인 운전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단하고 좁은 착좌감을 제공하는 슬림형 구조로 제작된다.As shown in FIGS. 1, 2 and 5, the bucket seat (10) is manufactured with a slim structure that provides a firm and narrow seating feel to maintain a stable driving posture while feeling a dynamic driving feel, unlike a comfort seat applied to a general vehicle.

이를 위해, 상기 버킷 시트는 상부에 헤드레스트 패드(20)가 일체로 형성된 슬림형 시트백 패드(30)와, 상부에 헤드레스트 보드(42)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배면에 부착되는 시트백 보드(40)와, 시트쿠션 프레임(60) 위에 장착되는 슬림형 시트쿠션 패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bucket sea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m seat back pad (30) having a headrest pad (20)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seat back board (40) having a headrest board (42)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 back pad (30), and a slim seat cushion pad (70) mounted on a seat cushion frame (60).

또한,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양측부에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체 측부를 감싸주며 지지하는 볼스터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bolster part (22) that wraps around and supports the upper body side of the driver or passenger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back pad (30).

물론, 상기 시트백 패드(30)와 시트백 보드(40)는 시트백 커버(50)로 커버링되고, 상기 시트쿠션 패드(70)는 시트쿠션 커버(80)로 커버링된다.Of course, the seat back pad (30) and the seat back board (40) are covered with a seat back cover (50), and the seat cushion pad (70) is covered with a seat cushion cover (80).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보드(40)는 시트백 패드(30)를 지지하는 골격체로서 소정의 얇은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eat back board (40) may be provided as a plastic injection molded product having a predetermined thin thickness as a skeleton supporting the seat back pad (3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조의 버킷 시트에 공압 장치 및 통풍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슬림 경량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압 장치에 의한 컴포트 성능 및 통풍 장치에 의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point that by easily installing a pneumatic device and a ventilation device in a bucket seat hav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the comfort performance by the pneumatic device and the convenience by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a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상기 공압 장치는 헤드레스트의 팽창 및 수축, 볼스터부의 팽창 및 수축, 시트백 패드의 허리지지부의 팽창 및 수축, 시트쿠션의 전단부의 틸팅을 위한 팽창 및 수축을 통하여 운전자 및 승객에게 컴포트 지지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20)와 헤드레스트 보드(42) 사이, 상기 시트백 패드(30)와 시트백 보드(40) 사이 및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와 시트쿠션 프레임(60) 사이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 pneumatic device can provide comfort support to the driver and passengers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headrest,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bolste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lumbar support of the seatback pad, and expanding and contracting for tilting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and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headrest pad (20) and the headrest board (42), between the seatback pad (30) and the seatback board (40), and between the seat cushion pad (70) and the seat cushion frame (60).

상기 공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20)와 헤드레스트 보드(42)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에어셀(110)과, 상기 헤드레스트 보드(42)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에어셀(110)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150)과, 상기 시트백 패드(30)와 시트백 보드(40)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에어셀(120)과, 상기 시트백 보드(40)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2에어셀(120)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160)과,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의 전단쪽 저면부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3에어셀(130)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60) 위에 부착되어 상기 제3에어셀(130)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3지지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neumatic device comprises: a first air cell (110)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drest pad (20) and the headrest board (42); a first support plate (150)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headrest board (42) and support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first air cell (110); a second air cell (120) that is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seatback pad (30) and the seatback board (40); a second support plate (160) that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atback board (40) and support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second air cell (120); a pair of third air cells (130) that ar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nd are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low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ad (70); and a second air cell (130) that is attached to the seat cushion frame (60) and support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of the third air cell (130). It is composed of a third support plate (170).

또한,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양측부에 형성된 볼스터부(22)의 내면부에는 상기 제4에어셀(140)이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더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ourth air cell (140) is further positioned in the inner part of the bolster part (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back pad (30) so as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이때, 상기 제1에어셀(110), 제2에어셀(120), 제3에어셀(130) 및 제4에어셀(140)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에어호스(182)을 매개로 에어 공급 및 배출 동작을 위하여 구동되는 에어펌프(180)가 연결된다.At this time, an air pump (180) driven to supply and discharge air through an air hose (18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first air cell (110), the second air cell (120), the third air cell (130), and the fourth air cell (140).

한편, 상기 제1지지판(150)은 제1에어셀(110)의 배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제1에어셀(110)의 팽창이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을 향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지지판(160)은 제2에어셀(120)의 배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제2에어셀(120)의 팽창이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허리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3지지판(170)은 제3에어셀(130)의 저면부에 밀착 지지되어 제3에어셀(130)의 팽창이 상방향(운전자 또는 승객의 무릎 및 허벅지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first support plate (15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air cell (110)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110) so that it can be directed forward (to the head of the driver or passenger),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air cell (120)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120) so that it can be directed forward (to the waist of the driver or passenger), and the third support plate (17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air cell (130)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130) so that it can be directed upward (to the knees and thighs of the driver or passeng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지지판(150), 제2지지판(160) 및 제3지지판(170)은 경량화를 위해 발포폴리프로필렌(EPP: Expanded Polypropylene) 재질을 이용하여 소정 면적의 판체 형상로 제작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upport plate (150),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and the third support plate (170) can be manufactur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area using expanded polypropylene (EPP: Expanded Polypropylene) material to reduce weight.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포트 버킷 시트에 설치되는 공압 장치의 작동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면부호 24는 헤드레스트 패드(20)의 전면부에 부착되어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에 대하여 쿠션감을 제공하는 스폰지 패드를 지시한다.The attached drawin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pneumatic device installed in a comfort bucket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ference numeral 24 designates a sponge pad attached to the front of a headrest pad (20)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head of a driver or passenger.

상기 에어펌프(180)의 구동에 의하여 에어호스(182)를 통해 상기 제1에어셀(110)에 에어가 공급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셀(110)이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을 향하여 팽창되는 동시에 상기 제1지지판(150)이 제1에어셀(110)의 배면부에 밀착 지지되면서 제1에어셀(110)의 팽창이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을 향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When air is supplied to the first air cell (110) through the air hose (182) by driving the air pump (180), as shown in FIG. 3, the first air cell (110) expands toward the front (head of the driver or passe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upport plate (150)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air cell (110), thereby guiding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110) to be toward the front (head of the driver or passenger).

이에, 상기 제1에어셀(110)의 팽창에 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머리부에 대한 헤드레스트의 전후 포지션 및 지지력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orward/backward position and support force of the headrest for the driver's or passenger's head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evel by the expansion of the first air cell (110).

또한, 상기 에어펌프(180)의 구동에 의하여 에어호스(182)를 통해 상기 제2에어셀(120)에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제2에어셀(120)이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허리부분)을 향하여 팽창되는 동시에 상기 제2지지판(160)이 제2에어셀(120)의 배면부에 밀착 지지되면서 제2에어셀(120)의 팽창을 전방(운전자 또는 승객의 허리부분)으로 안내하게 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셀(120)의 팽창에 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허리부분에 대한 시트백의 전후 포지션 및 지지력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air cell (120) through the air hose (182) by driving the air pump (180), the second air cell (120) expands toward the front (the waist of the driver or passeng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upport plate (160) is closely support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ir cell (120)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120) toward the front (the waist of the driver or passenger), so that, as illustrated in FIG. 4, the front-rear position and support force of the seatback for the waist of the driver or passenger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evel by the expansion of the second air cell (120).

또한, 상기 에어펌프(180)의 구동에 의하여 에어호스(182)를 통해 상기 제3에어셀(130)에 에어가 공급되면, 상기 제3에어셀(130)이 상방향(운전자 또는 승객의 무릎 및 허벅지 부분)을 향하여 팽창되는 동시에 상기 제3지지판(170)이 제3에어셀(130)의 저면부에 밀착 지지되면서 제3에어셀(130)의 팽창을 상방향(운전자 또는 승객의 무릎 및 허벅지 부분)으로 안내하게 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제3에어셀(130)의 팽창에 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무릎 및 허벅지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쿠션의 전단부 틸팅각 및 지지력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third air cell (130) through the air hose (182) by driving the air pump (180), the third air cell (130) expands upward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knees and thighs) and at the same time, the third support plate (170) is closely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air cell (130) to guide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130) upward (to the driver's or passenger's knees and thighs), so that, as illustrated in FIG. 4, the tilting angle and support force of the front end of the seat cushion that supports the driver's or passenger's knees and thighs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evel by the expansion of the third air cell (130).

또한, 상기 에어펌프(180)의 구동에 의하여 에어호스(182)를 통해 상기 제4에어셀(140)에 에어가 공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에어셀(140)의 팽창에 의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체 측부를 지지하는 볼스터부(22)의 지지력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pplied to the fourth air cell (140) through the air hose (182) by driving the air pump (180), as shown in FIG. 4,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olster part (22) supporting the upper body side of the driver or passenger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level by the expansion of the fourth air cell (140).

이와 같이, 상기 버킷 시트의 헤드레스트, 시트백 및 시트쿠션에 에어셀을 포함하는 공압 장치를 내설하여 운전자 및 승객이 원하는 시트 포지션에 맞게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킷 시트의 컴포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installing a pneumatic device including an air cell in the headrest, seatback, and seat cushion of the bucket seat so that the pneumatic device can be inflated or deflated to suit the seat position desired by the driver and passenger, the comfort performance of the bucket seat can be improved.

상기 통풍 장치는 버킷 시트가 운전자 및 승객을 타이트하게 감싸줌에 따른 땀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쾌적한 시트 착좌감을 제공하고자, 시트백 및 시트쿠션을 통해 운전자 및 승객의 신체쪽으로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백 패드(30)와 시트백 보드(40)를 비롯하여 상기 시트쿠션 패드(70) 및 시트쿠션 패드(70)의 저부 공간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 ventilation device is intended to prevent sweating due to the bucket seat tightly wrapping the driver and passengers while providing a comfortable seat feeling by discharging air toward the bodies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through the seat back and seat cushion, and can be installed across the seat back pad (30) and seat back board (40), as well as the seat cushion pad (70) and the lower space of the seat cushion pad (70).

상기 통풍 장치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을 통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상체쪽으로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제1에어분배유로(31)와, 상기 제1에어분배유로(31)와 연통되도록 시트백 패드(30)의 하부에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에어경유홀(32)과, 상기 시트백 보드(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경유홀(32)에 연결되는 백덕트(44, Back duc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5 to 8, the ventilation device comprises a first air distribution passage (31)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atback pad (30) to discharge air toward the upper bodies of the driver and passenger through the seatback, an air passage hole (32) formed forward and backwar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back pad (3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ssage (31), and a back duct (44)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back board (40) and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hole (32).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제1에어분배유로(31)는 시트백 전체 표면으로 에어를 고르게 분배하도록 "U"자형의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of the seat back pad (30) is formed in a “U”-shaped concave groove shape to evenly distribute air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at back.

특히,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정면부에는 복수의 제1에어토출홀(33)을 갖는 백 테이프(34)가 상기 제1에어분배유로(31)를 커버하며 부착된다.In particular, a back tape (34)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discharge holes (33)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at back pad (30) to cover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이때, 상기 백 테이프(34)는 운전자 또는 승객의 기대는 신체 하중이 상기 시트백 패드(30)에 작용됨에 따라 시트백 패드(30)의 제1에어분배유로(3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제1에어분배유로(31)를 흐르는 에어를 제1에어토출홀(33)을 통해 시트백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At this time, the back tape (34) has the function of preventing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of the seatback pad (30) from being deformed as the driver's or passenger's expected body load is applied to the seatback pad (30), and also has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to the front of the seatback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hole (33).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백 패드(30)의 에어경유홀(32)과 상기 백덕트(44) 간의 연결부분에는 에어 누출 방지 즉, 기밀 유지를 위한 합성고무(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재질의 씰링(36)이 장착된다.Preferably, a sealing (36) made of synthetic rubber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ir passage hole (32) of the seat back pad (30) and the back duct (44) to prevent air leakage, i.e. to maintain airtightness.

또한, 상기 통풍 장치는 시트쿠션을 통하여 운전자 및 승객의 하체쪽으로 에어를 토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72)과, 상기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72)과 연통되도록 시트쿠션 패드(70)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제2에어분배유로(74)와, 상기 제2에어분배유로(74)와 연통되는 에어공급홀(76)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에어누출 차단판(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leak blocking plate (78)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ad (70) and configur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72) are formed vertically penetrating the seat cushion pad (70) to discharge air toward the lower bodies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through the seat cushion, a second air distribution channel (7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ad (70)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72), and an air supply hole (76)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air distribution channel (74).

이때,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78)은 시트쿠션 패드(70)의 제2에어분배유로(74)로 공급된 에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air leak blocking plate (78) serves to prevent air supplied to the second air distribution path (74) of the seat cushion pad (70)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의 제2에어분배유로(74)는 시트쿠션 전체 표면으로 에어를 고르게 분배하도록 "H"자형의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Preferably, the second air distribution path (74) of the seat cushion pad (70) is formed in an “H”-shaped concave groove shape to evenly distribute air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eat cushion.

또한, 상기 통풍 장치는 상기 백덕트(44)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78)의 에어공급홀(76)에 에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블로워(9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device includes an air blower (90) that is connected to the back duct (44) and the air supply hole (76)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78) so as to be able to supply air.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블로워(90)는 양방향 토출관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양방향 토출관 중 제1토출관(91)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78)의 에어공급홀(76)에 에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토출관(92)은 상기 백덕트(44)에 에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Preferably, the air blower (90)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having a two-way discharge pipe, such that the first discharge pipe (91) of the two-way discharge pipes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76)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78) so as to be able to supply air,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92) is connected to the back duct (44) so as to be able to supply air.

한편, 상기 에어블로워(90)가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됨에 따라 에어블로워(90)와 시트백 보드(40)에 형성된 백덕트(44)가 일정 각도 및 거리로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에어블로워(90)의 제2토출관(92)과 시트백 보드(40)에 형성된 백덕트(44)는 소정 각도로 휘어짐 가능한 벨로우즈 타입의 연결덕트(94)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air blower (90) is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the back duct (44) formed on the air blower (90) and the seat back board (40) is spaced apart at a certain angle and distance, so the second discharge pipe (92) of the air blower (90) and the back duct (44) formed on the seat back board (40)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duct (94) of a bellows type that can be bent at a certain angle.

따라서, 상기 에어블로워(90)의 구동에 따른 에어가 제2토출관(92) 및 연결덕트(94)로 토출되면, 에어가 시트백 보드(40)에 형성된 백덕트(44) 및 시트백 패드(30)의 하부에 형성된 에어경유홀(32)을 차례로 통과하여, 시트백 패드(30)의 전면부에 형성된 제1에어분배유로(31)로 흐르게 되고, 연이어 제1에어분배유로(31)로부터 상기 백 테이프(34)의 제1에어토출홀(33)을 통해 시트백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92) and the connecting duct (94)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er (90), the air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back duct (44) formed in the seat back board (40) and the air passage hole (32)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t back pad (30), flows into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seat back pad (30), and can the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seat back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hole (33) of the back tape (34) from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31).

이에, 상기 백 테이프(34)의 제1에어토출홀(33)을 통해 시트백의 전방으로 토출된 에어가 시트백 커버에 형성되는 미세홀(미도시됨)을 통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상체쪽으로 최종 토출됨으로써, 버킷 시트의 시트백이 운전자 및 승객을 타이트하게 감싸줌에 따른 땀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쾌적한 시트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seat back through the first air discharge hole (33) of the back tape (34) is finally discharged toward the upper body of the driver or passenger through micro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seat back cover, thereby preventing sweating due to the seat back of the bucket seat tightly wrapping the driver and passenger, and providing a comfortable seat feeling.

또는, 상기 에어블로워(90)의 구동에 따른 에어가 제1토출관(91)을 통해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78)의 에어공급홀(76)로 토출되면, 에어가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의 제2에어분배유로(74)로 흐른 후 제2에어토출홀(72)을 통해 시트쿠션의 상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91) to the air supply hole (76)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78)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er (90), the air may flow to the second air distribution path (74) of the seat cushion pad (70) and then be discharged upward of the seat cushion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hole (72).

이에, 상기 시트쿠션 패드(70)의 제2에어토출홀(72)을 통해 시트쿠션의 상방향으로 토출된 에어가 시트쿠션 커버에 형성되는 미세홀(미도시됨)을 통하여 운전자 또는 승객의 하체쪽으로 최종 토출됨으로써, 버킷 시트의 시트쿠션이 운전자 및 승객을 타이트하게 감싸줌에 따른 땀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쾌적한 시트 착좌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second air discharge hole (72) of the seat cushion pad (70) is finally discharged toward the lower body of the driver or passenger through micro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seat cushion cover, thereby preventing sweating due to the seat cushion of the bucket seat tightly wrapping the driver and passenger, and providing a comfortable seat feeling.

이와 같이, 고속 주행 및 선회 주행시 운전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버킷 시트의 슬림 경량화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공압 장치에 의한 컴포트 성능 및 통풍 장치에 의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lim and lightweight structure of the bucket seat can be maintained to maintain a stable driver posture during high-speed driving and turning, while improving comfort performance through a pneumatic device and convenience through a ventilation device.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버킷 시트 20 : 헤드레스트 패드
22 : 볼스터부 24 : 스폰지 패드
30 : 시트백 패드 31 : 제1에어분배유로
32 : 에어경유홀 33 : 제1에어토출홀
34 : 백 테이프 36 : 씰링
40 : 시트백 보드 42 : 헤드레스트 보드
44 : 백덕트 50 : 시트백 커버
60 : 시트쿠션 프레임 70 : 시트쿠션 패드
72 : 제2에어토출홀 74 : 제2에어분배유로
76 : 에어공급홀 78 : 에어누출 차단판
80 : 시트쿠션 커버 90 : 에어블로워
91 : 제1토출관 92 : 제2토출관
94 : 연결덕트 110 : 제1에어셀
120 : 제2에어셀 130 : 제3에어셀
140 : 제4에어셀 150 : 제1지지판
160 : 제2지지판 170 : 제3지지판
180 : 에어펌프 182 : 에어호스
10 : Bucket seat 20 : Headrest pad
22: Bolster part 24: Sponge pad
30: Seatback pad 31: 1st air distribution path
32: Air passage hole 33: 1st air discharge hole
34: Back tape 36: Sealing
40: Seatback board 42: Headrest board
44: Back duct 50: Seat back cover
60: Seat cushion frame 70: Seat cushion pad
72: Second air discharge hole 74: Second air distribution path
76: Air supply hole 78: Air leak blocking plate
80: Seat cushion cover 90: Air blower
91: 1st discharge pipe 92: 2nd discharge pipe
94: Connecting duct 110: 1st air cell
120: 2nd air cell 130: 3rd air cell
140: 4th air cell 150: 1st support plate
160: 2nd support plate 170: 3rd support plate
180 : Air pump 182 : Air hose

Claims (9)

상부에 헤드레스트 패드가 일체로 형성된 시트백 패드; 상부에 헤드레스트 보드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백 패드의 배면에 부착되는 시트백 보드; 및 시트쿠션 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시트쿠션 패드;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와 헤드레스트 보드 사이,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 사이 및 상기 시트쿠션 패드와 시트쿠션 프레임 사이에 컴포트 지지감을 제공하는 공압 장치를 장착하고,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를 비롯하여 상기 시트쿠션 패드 및 시트쿠션 패드의 저부 공간에 냉방 공기 토출을 위한 통풍 장치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omprising: a seatback pad having a headrest pad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 seatback boar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headrest board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atback pad; and a seat cushion pad mounted on a seat cushion frame;
A pneumatic device is installed to provide comfort support between the headrest pad and the headrest board, between the seatback pad and the seatback board, and between the seat cushion pad and the seat cushion frame.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by having a ventilation device for discharging cooling air in the seat back pad and seat back board, as well as in the seat cushion pad and the lower space of the seat cushion pa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압 장치는:
상기 헤드레스트 패드와 헤드레스트 보드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에어셀;
상기 헤드레스트 보드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시트백 패드와 시트백 보드 사이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에어셀;
상기 시트백 보드의 정면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2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
상기 시트쿠션 패드의 전단쪽 저면부에 팽창 및 수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3에어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 위에 부착되어 상기 제3에어셀의 팽창 및 수축 동작을 지지하는 제3지지판; 및
상기 제1에어셀, 제2에어셀 및 제3에어셀과 에어호스로 연결되는 에어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1,
The above pneumatic device:
A first air cell positioned between the headrest pad and the headrest board so as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 first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front part of the headrest board to suppor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first air cell;
A second air cell positioned between the seat back pad and the seat back board so as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A second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front part of the seat back board to suppor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second air cell;
A third air cell that is arranged to be expandable and contractib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above seat cushion pad;
A third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seat cushion frame to suppor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third air cell; and
An air pump connected to the first air cell, the second air cell, and the third air cell via an air hose;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 제2지지판 및 제3지지판은 경량화를 위해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2,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upport plate, the second support plate, and the third support plate are made of foamed polypropylene material for weight redu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양측부에 형성된 볼스터부의 내면부에는 상기 에어펌프와 에어호스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4에어셀이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2,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fourth air cell is further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lster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back pad and connected by the air pump and air ho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풍 장치는:
상기 시트백 패드의 정면부에 형성되는 제1에어분배유로;
상기 제1에어분배유로와 연통되도록 시트백 패드의 하부에 형성되는 에어경유홀;
상기 시트백 보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경유홀에 연결되는 백덕트;
상기 시트쿠션 패드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
상기 다수의 제2에어토출홀과 연통되도록 시트쿠션 패드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제2에어분배유로;
상기 제2에어분배유로와 연통되는 에어공급홀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시트쿠션 패드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에어누출 차단판; 및
상기 백덕트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의 에어공급홀에 에어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블로워;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1,
The above ventilation device:
A first air distribution channel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above seat back pad;
An air passage hol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at back pa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air distribution path;
A back duct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above seat back board and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hole;
A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formed vertically penetrating the above seat cushion pad;
A second air distribution channel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a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second air discharge holes;
An air leak blocking plate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cushion pad, which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n air supply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ir distribution path is formed; and
An air blow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of the above back duct and the air leak blocking plate so as to be able to supply air;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정면부에는 복수의 제1에어토출홀을 갖는 백 테이프가 상기 에어토출유로를 커버하며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5,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back tap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air discharge holes is attached to the front part of the seat back pad to cover the air discharge path.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어블로워는 양방향 토출관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양방향 토출관 중 제1토출관은 상기 에어누출 차단판의 에어공급홀에 연결되고, 제2토출관은 상기 백덕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5,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blower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having a two-way discharge pipe, wherein the first discharge pipe among the two-way discharge pipes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le of the air leak blocking plat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back duc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어블로워의 제2토출관과 상기 백덕트는 벨로우즈 타입의 연결덕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7,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ischarge pipe of the air blower and the back duct are connected by a bellows-type connecting duc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패드의 에어경유홀과 상기 백덕트 간의 연결부분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합성고무 재질의 씰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컴포트 버킷 시트.
In claim 5,
A vehicle comfort bucket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synthetic rubber seal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air passage hole of the seat back pad and the back duct to maintain airtightness.
KR1020230042263A 2023-03-30 2023-03-30 Comfort bucket seat Pending KR202401469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3A KR20240146973A (en) 2023-03-30 2023-03-30 Comfort bucket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2263A KR20240146973A (en) 2023-03-30 2023-03-30 Comfort bucket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6973A true KR20240146973A (en) 2024-10-08

Family

ID=9311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2263A Pending KR20240146973A (en) 2023-03-30 2023-03-30 Comfort bucket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697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0318A (en) Vehicle seats
KR100445845B1 (en) A device for ventilating vehicle chairs
JP5419218B2 (en) Ducted seat cushion
US11364828B2 (en) Seat assembly having cushion supports with integrated air bladders for pneumatic activation
US20050285438A1 (en) Vehicle seat
CN112440846B (en) Waist curve adjusting device and car seat
US20180065525A1 (en) Vehicle seat
CN110406439B (en) Ventilated vehicle seat with passive ventilation board
KR20210064712A (en) Ventilation chamber and Car seat including the same
JP6963189B2 (en) Seating device
JP7663803B2 (en) Vehicle seats
US20220055512A1 (en) Softness adjusting device for vehicle seat, vehicle seat, and vehicle
US11850981B2 (en) Lightweight cushion suspension and seating surface
US11858387B2 (en) Seat assembly
KR20240146973A (en) Comfort bucket seat
JP4259218B2 (en) Storage sheet
CN211765074U (en) Hardness adjusting device for automobile seat and automobile seat
JP2020023328A (en) Vehicle seat
CN219360885U (en) Seat and vehicle
US12337738B2 (en) Fluid system for a vehicle seat assembly
KR20240146972A (en) Seat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KR20230001834A (en) Ventilation apparatus of vehicle seat
KR19980026291U (en) Car seat
JPH0528246U (en) Hardness and shape adjustable headless
CN118254658A (en) Leaving point adjustable seat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