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6307A -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6307A
KR20240146307A KR1020230041102A KR20230041102A KR20240146307A KR 20240146307 A KR20240146307 A KR 20240146307A KR 1020230041102 A KR1020230041102 A KR 1020230041102A KR 20230041102 A KR20230041102 A KR 20230041102A KR 20240146307 A KR20240146307 A KR 20240146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test
hearing
hearing test
volu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에스오
Priority to KR102023004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6307A/ko
Publication of KR20240146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630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5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objective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42Operational features adapted to measure environmental factors, e.g. temperature, poll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력검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경 소음의 지속시간, 주파수 및 음량 등을 고려하여 그 속성에 따라 검사 중지, 소음 상쇄 또는 검사음 주파수 등을 조정함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청력 검사가 가능하며, 또한 설문결과, 순음 청력검사 및 이미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청력 검사 도출이 가능하고,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청력 검사의 검사음 주파수 및 음량을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청력 검사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Hearing test device and hearing test method using kiosk}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피검자가 설문에 대한 응답, 순음청각검사 및 귀 내부 영상 촬영을 실시하여, 보다 정확한 청각검사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력검사는 소리를 듣는 능력을 평가하여 청력의 손실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검사로서, 청력 검사를 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의사, 청각사)가 변경할 수 있는 크기와 주파수의 순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기인 청력계(Audiometer)를 사용하여 청력을 측정하여 측정된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검사자의 청력 정도의 진단을 내린다.
음청력검사는 음의 전달과정에 따라, 음이 공기로 전달되는 공기전도 청력검사(air condition)와 음이 뼈를 통해 전달되는 골도검사(bone condition)로 구분된다. 골도검사의 경우, 귀 뒤에 위치한 유양돌기에 진동자를 위치시키고 두개골을 진동시켜 달팽이관을 직접 자극하여 청력을 측정하며, 난청의 유형과 진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검사이나 골도검사시, 국내외 모든 청력검사기관에서 골진동자가 일측에만 위치한 종래의 단방향 모델을 사용하므로, 피검자는 한쪽 귀의 검사 후 반대편 귀를 검사하기 위해서 골진동자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피검자의 신체적 조건은 다양한데 반하여, 기존 골도검사장치는 획일화된 규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검자가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없어, 골진동자의 검사위치가 변동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공기전도 청력검사(air condition)에서는 250Hz에서 8kHz 범위의 주파수에 중점을 두는데 그 이유는 이 범위가 일상생활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소리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청력 검사할 때 사용되는 청력검사기는 각 주파수별로 큰 소리를 발생시킨 후 점차 그 크기를 감소시켜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최소 데시벨이 청력도에 기록되고 이렇게 기록된 청력도를 바탕으로 검사자의 청력의 상태를 진단한다. 청력 검사에서 25dB 이상의 손실이 있을 때 일반적으로 난청이라 하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난청 인구는 더 늘어나 70세 이상이 되면 81% 정도에서 난청을 가지게 된다. 난청환자가 이비인후과 방문환자들 중에 약 25%에 달하므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도의 청력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난청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청력 검사는 방음 부스 시설이 갖춰진 장소에서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 의사 또는 청력사 등 전문가의 통제 하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청력 상태를 주기적으로 판단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따라 스마트폰이나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임상 외 환경에서의 청각 검사장치를 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환경 소음으로 인한 문제점과 검사 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으로 인한 피검자의 집중도 저하 문제 등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11266330호에서는 청각 검사 과정에서 환경 소음이 일정 레벨을 넘어서는 경우 청각 검사를 재시작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나 환경 소음은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청각 검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특정 dB을 넘어서는 경우 검사를 재시작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21-023363호에서는 순음 청력검사에 오랜 시간 소요되는 관계로 피검자가 집중도가 낮아질 수 있음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력 검사장치의 헤드폰에 진동자를 구비하여, 검사 중 진동을 일으켜 사용자가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별도의 진동은 오히려 검사 집중도를 떨어 뜨릴 수 있고 진동자가 구비된 별도의 헤드폰을 제작 및 활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7359호에서는 주위 소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 위상의 소음 상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소음 상쇄 신호와 상기 청력 검사 원음 신호를 더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소음 저감부를 구비하고, 핸드 스위치부를 통해 소음 상쇄 신호의 크기를 제어함에 따라 환경 소음을 상쇄시키는 방식의 청력 검사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환경 소음은 지속적으로 주파수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핸드 스위치부를 통해 상쇄 신호의 크기를 제어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11266330호 일본 공개특허 제2021-0233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573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피검자가 설문에 대한 응답, 순음청각검사 및 귀 내부 영상 촬영을 실시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른 청각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자의 연령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의 귀속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 피검자에게 입력받은 특정 주파수 및 음량값에 대한 가청 여부 및 촬영한 귀속 이미지 데이터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한 검사결과를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력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부, 음향출력부, 피검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터치 조작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피검자의 귓속 이미지를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청력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력 검사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환경 소음의 지속시간, 주파수 및 음량 등을 고려하여 그 속성에 따라 검사 중지, 소음 상쇄 또는 검사음 주파수 등을 조정함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청력 검사가 가능하다.
또한 설문결과, 순음 청력검사 및 이미지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청력 검사 도출이 가능하며,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청력 검사의 검사음 주파수 및 음량을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청력 검사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다른 순음청력검사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청각 검사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자의 연령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의 귀속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 피검자에게 입력받은 특정 주파수 및 음량값에 대한 가청 여부 및 촬영한 귀속 이미지 데이터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한 검사결과를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력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설문은 피검사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성별, 연령, 보청기 착용 유무 외에 청력 검사 결과에 보충적인 결론 도출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질문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주파수가 높은 영역에서의 청력 저하를 사전 확인하기 위해서 "새소리가 잘 안들리시나요?" 라는 질문 및 이에대한 응답과 같이 일상 생활에서 겪는 청각 경험에 대한 질문일 수 있다.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특정 주파수는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로 선택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6개의 주파수 대역, 즉,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검자의 귀속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카메라는 내시경 카메라로서 촬영 이미지를 통해 색상과 미세병변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성능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이외도와 고막의 상태를 검사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기 절차에 따라 획득한 설문에 대한 답변, 피검자에게 입력받은 특정 주파수 및 음량값에 대한 가청 여부 및 촬영한 귀속 이미지 데이터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한 검사결과를 제공한다.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는 의료 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임상 데이터 또는 본 발명의 활용에 따라 축적된 측정 결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존에 다른 피검자들에 의해 수행된 청력 검사에 대한 결과를 의미한다. 청력 검사결과 제시에는 각 주파수대별 청력 임계치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표 외에 기존의 이미지 또는 검사결과에 의해 수행된 전문가의 임상 소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자에게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가청 주파수별 청력 임계값을 획득할 때까지 주파수 및 음량을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시행되며, "n+1차로 피검자에게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의 음량"은 n차까지 입력받은 가청 여부에 대한 응답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청력 검사결과에서 최종 도출된 특정 주파수의 임계치값의 ±10dB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이 일치하는 사례가 복수의 건인 경우 복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종 도출된 특정 주파수의 임계치값이 가장 많은 순서대로 선택하여 검사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n차까지 입력받은 가청 여부에 대한 응답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이 일치하는 데이터가 1000건인 경우 1000건의 데이터베이스의 n+1차 테스트의 결과 중에서 임계치값이 가장 많은 값이 1000hz 45dB라고 가정한다면, 1000hz 45dB, 1000hz 55dB, 1000hz 55dB 중 어느 하나를 n+1차 테스트값으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하여 검사자가 음을 뚜렷하게 들을 수 있는 높은 레벨(강도)에서 차차 레벨을 낮춰 가며 측정하는 하강법(descending method)과, 들리지 않는 약한 레벨에서 차츰 높여 가며 측정하는 상승법(Ascending method)의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최소 청각 역치 결정시에 상승법보다 하강법이 5~10dB 정도 낮은 결과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따라 하강법과 상승법의 청각 역치 결정의 차이를 보완하는 혼합법이 있는데, 이는 상승법을 실시하여 초기 역치를 결정하고 이후 하강법을 실시하여 최종 역치를 결정하거나, 그 반대로 하강법을 실시하여 초기 역치를 결정한 후 상승법을 실시하여 최종 역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높은 레벨에서 점점 레벨을 감소시키면서 역치를 결정하는 하강법, 낮은 레벨에서 점점 레벨을 증가시키면서 역치를 결정하는 상승법의 경우, 각 주파수 별로 역치까지의 모든 읍압레벨을 사용자에게 들려주어야 하므로, 검사 시간이 길어지고, 상승법과 하강법 간의 역치의 차이가 존재하며, 상승 후 하강 또는 하강 후 상승에 의한 혼합법의 경우, 상승법 또는 하강법에 비해 약 2배의 검사 시간이 필요하여, 사용자의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균일한 크기의 음압차로 상승 혹은 하강을 진행하면, 사용자가 다음 검사음의 크기를 예측하여 실제 듣지 못하더라도 마치 들리는 것과 같은 착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n+1차로 피검자에게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의 음량은 n차까지 입력받은 가청 여부에 대한 응답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청력 검사결과에서 최종 도출된 특정 주파수의 임계치값의 ±10dB 범위 이내 제시함에 따라 보다 적은 횟수의 테스트를 통해 청력 검사 결과를 도출 할 수 있다. 즉 청력 검사를 실시하는 단계에서 테스트 횟수인 n수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과 일치하는 데이터의 수가 줄어들면서 보다 가까운 값의 임계치값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피검자에게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가청 주파수별 청력 임계값을 획득할 때까지 주파수 및 음량을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시행되며, n+1차로 피검자에게 출력되는 검사음의 주파수값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측정된 환경소음의 최대 음량에 해당하는 주파수 값과 가장 차이가 큰 값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환경소음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영역과는 차이가 큰 수파수의 검사음이 출력되므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환경소음에서 측정된 음량의 피크값이 1000hz 영역에 존재하고, 기 설정된 검사음 주파수 영역대가 250Hz, 500Hz, 1000Hz, 2000Hz, 4000Hz, 8000Hz 라고 가정한다면 가장 차이가 큰 8000Hz를 선택할 수 있으나 만약 8000Hz 영역의 테스트가 이미 종료된 경우라면 그 다음으로 차이가 큰 4000Hz 영역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같이 n차 검사 결과에 따라 추정된 임계값에 가까운 음량 또는 주변 소음에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주파수 영역대를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검사시간을 단축하면서 동시에 이와 같이 균일한 크기의 음압차 또는 정해진 주파수 순서에 따라 검사음을 출력하여 청력 검사를 실시함에 따라 피검자가 들리는 것과 같은 착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한 주변소음의 음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청력 검사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청력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한 주변소음의 음량 및 지속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주변 소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 위상의 소음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음 상쇄 신호와 상기 검사음을 더하여 검사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주변 소음은 일정 지속시간 유지되는 소음과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소음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시적인 소음의 경우 검사음을 소음의 주파수 범위 밖으로 회피하거나 잠시 검사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소음의 경우에는 반대 위상의 소음을 발생시켜 상쇄시키는 방식을 통해 소멸시킬 수 있다. 즉 소음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정 dB 이하인 경우에는 무시할 수 있으며, 방음부를 구비하여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으며, 예컨대 30dB 이하의 소음인 경우 방음부를 통해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소음 측정에 따른 무조건적인 테스트의 중단 또는 상쇄신호 발생을 통한 소음 제거가 아닌 소음의 특성(주파수 범위, 지속성 등)을 파악하여 이에따른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의 출력에 앞서 예비 검사음을 출력하고 이에 대한 피검자의 가청 입력을 받은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예비음으로 출력되는 검사음은 대부분의 검사자가 인지할 수 있는 주파수 및 음량일 것이 요구되며, 예비음의 길이는 검사음보다는 길거나 짧아 명확히 구분이 가능할 것이 요구된다. 예비음에 대한 가청 여부를 입력 받음에 따라 피검자가 집중도가 떨어져서 특정 주파수 및 음량에 대한 테스트를 놓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검사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피검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이에대한 피검자의 인지 여부를 입력 받은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을 통해 수행 될 수 있다. 예비음을 검사음과 혼동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피검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이에대한 피검자의 인지 여부를 입력 받는 방식으로 집중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인 경우에는 보다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애니메이션 등을 디스플레이에 제시함에 따라 집중을 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부, 스피커부, 내시경 카메라부; 상기 마이크부, 스피커부 및 내시경 카메라부와 연동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청력 검사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청력 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청력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어느 하나이고 주변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음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는 방음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각 주파수별로 소리 강도를 조절해가며 순음을 출력하고, 상기 피험자로부터 가청 여부의 피드백을 입력받아 주파수별 최소역치를 구하고, 상기 판단된 주파수별 최소역치를 기반으로 최소가청역치를 구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최소 가청역치를 구하기 위해 상기 언급한 청각 검사 방법에 따른 주파수 및 음량을 선택하여 검사음을 출력하고 청력 검사 결과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스피커부는 상기 전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로부터 청력 검사음을 수신하여 출력한다. 스피커부는 헤드폰 또는 이어폰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사용할 때 스피커 성능에 따라 검사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마이크부에 접촉하고 연속적인 주파수별 음량을 출력하여, 마이크를 통해 받아들여진 주파수별 음량을 고려하여, 기준값에 미달하는 주파수별 음량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여 검사 환경을 표준화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장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 입력부, 통신부, 전력 관리부, 배터리, 출력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자 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전자 장치의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또는 전자 장치의 처리 결과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청력 검사시 필요한 파라미터 입력, 조정 및 결과 표시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신체 또는 터치펜의 직간접적인 터치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입력부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조작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음부는 피험자의 귀에 접촉하는 헤드셋의 부분에 형성되어, 헤드셋을 착용한 피험자의 귀를 감쌀 수 있다. 방음부가 피험자의 귀를 감싸 청력 검사를 위한 검사음 출력시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력 검사를 위한 적합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피검자의 연령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설문에 대한 답변을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피검자의 귀속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설문에 대한 답변, 피검자에게 입력받은 특정 주파수 및 음량값에 대한 가청 여부 및 촬영한 귀속 이미지 데이터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에 대한 검사결과를 피검자에게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력검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가청 주파수별 청력 임계값을 획득할 때까지 주파수 및 음량을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시행되며, n+1차로 피검자에게 출력되는 특정 주파수의 음량값은 n차까지 입력받은 가청 여부에 대한 응답과 청력 검사 결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응답 값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청력 검사결과에서 최종 도출된 특정 주파수의 임계치값의 ±10dB 범위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항에 있어서 피검자에게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가청 주파수별 청력 임계값을 획득할 때까지 주파수 및 음량을 변경하여 반복적으로 시행되며, n+1차로 피검자에게 출력되는 검사음의 주파수값은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측정된 환경소음의 최대 음량에 해당하는 주파수 값과 가장 차이가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한 주변소음의 음량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청력 검사를 중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청력 검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한 주변소음의 음량 및 지속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주변 소음 신호의 위상과 반대 위상의 소음 상쇄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음 상쇄 신호와 상기 검사음을 더하여 검사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의 출력에 앞서 예비 검사음을 출력하고 이에 대한 피검자의 가청 입력을 받은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자에게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특정 주파수 및 음량의 검사음을 출력하고 피검자의 가청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는 피검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이에대한 피검자의 인지 여부를 입력 받은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방법.
  8.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마이크부, 스피커부, 내시경 카메라부; 상기 마이크부, 스피커부 및 내시경 카메라부와 연동하여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는 청력 검사에 사용되는 데이터와 청력 검사 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청력 검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청력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중 어느 하나이고 피검자의 귀를 감싸 주변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음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 및 마이크부는 방음부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 검사 장치.
KR1020230041102A 2023-03-29 2023-03-29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Pending KR20240146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102A KR20240146307A (ko) 2023-03-29 2023-03-29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1102A KR20240146307A (ko) 2023-03-29 2023-03-29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6307A true KR20240146307A (ko) 2024-10-08

Family

ID=9311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102A Pending KR20240146307A (ko) 2023-03-29 2023-03-29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630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30B1 (ko) 2005-10-20 2013-05-27 에이씨에스 도브파 에스. 피. 에이. 베타-락탐 생성물의 정제
KR101757359B1 (ko) 2015-12-24 2017-07-12 한국기계연구원 청력 검사 장치 및 청력 검사 방법
JP2021023363A (ja) 2019-07-31 2021-02-22 リオン株式会社 聴力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30B1 (ko) 2005-10-20 2013-05-27 에이씨에스 도브파 에스. 피. 에이. 베타-락탐 생성물의 정제
KR101757359B1 (ko) 2015-12-24 2017-07-12 한국기계연구원 청력 검사 장치 및 청력 검사 방법
JP2021023363A (ja) 2019-07-31 2021-02-22 リオン株式会社 聴力検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488B2 (en) Auditory device assembly
US20210120326A1 (en) Earpiece for audiograms
US65229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hearing examination using calibrated local machine
US8675900B2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ear-level device and control device applied therein
CN102456348B (zh) 声音补偿参数计算方法和设备、声音补偿系统
KR20150104626A (ko) 자율 관리 음향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2273683B2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EP4078995A1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 stress evaluator
US20130303940A1 (en) Audiometric Testing Devices and Methods
JP4114392B2 (ja) 検査センター装置、端末装置、聴力補償方法、聴力補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聴力補償方法のプログラム
CN111820909A (zh) 听力测试方法及系统
Kapul et al. Pure-tone audiometer
CN111768834A (zh) 一种可穿戴智能听力综合检测分析康复系统
CN114830692A (zh) 包括计算机程序、听力设备和压力评估设备的系统
Masalski The hearing test app for android devices: distinctive features of pure-tone audiometry performed on mobile devices
Masalski et al. Self-assessment of bone conduction hearing threshold using mobile audiometry: comparison with pure tone audiometry
AU2010347009B2 (en) Method for training speech recognition, and training device
JP2021197635A (ja) 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システム、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方法、補聴器フィッティング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22989A (ko) 기도 및 골도 순음청력검사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240146307A (ko) 키오스크를 이용한 청각 검사장치 및 청각 검사 방법
KR20230074059A (ko) 원격 청력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6831567A (zh) 一种快速听力筛查方法及系统
KR20070099749A (ko) 정확한 재택 청력 검사를 위한 자동 사운드 캘리브레이션시스템 및 그 방법
Berampu et al. Accuracy and pitfalls in the smartphone-based audiometry examination
KR100925021B1 (ko) 청력도 기반 이퀄라이제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