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4779A -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 Google Patents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4779A
KR20240144779A KR1020230039324A KR20230039324A KR20240144779A KR 20240144779 A KR20240144779 A KR 20240144779A KR 1020230039324 A KR1020230039324 A KR 1020230039324A KR 20230039324 A KR20230039324 A KR 20230039324A KR 20240144779 A KR20240144779 A KR 20240144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folding
urine
unit
huma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9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정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욱 filed Critical 정재욱
Priority to KR1020230039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4779A/ko
Publication of KR2024014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477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가 남성 소변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방 소변 배수구 또는 변기 테두리 부 내측에 접하여, 상기 하방 소변 배수부의 변기 테두리 부 또는 소변기 하부 턱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남성 소변기의 인체감지 잔뇨 방지 폴딩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감지 센서부로 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폴딩부 인체감지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컨트롤러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로부터 폴딩부 인체감지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남성 소변기 본체의 주위로 비산하는 잔뇨를 받아내고 폴딩 부가 개폐되는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 및 상기 폴딩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폴딩 작동 전원부와 인체 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된 폴딩부에 의하여 소변의 잔뇨의 흘림을 방지하여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소변기의 주변 청소를 위한 물의 사용량을 줄여서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소변기 주변의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도록 하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소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Sensing Urine Urine with F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남성들이 소변 시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소변기 좌우 또는 하면부일측에 전자로 작동되는 소변 잔뇨 가림턱인 폴딩 접철부를 구성하여
소변의 비산을 원천적으로 막는 폴딩 작동 전원부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소변배출시 소변이 소변기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소변기로 완전히 수집되도록 하는 데 있어서는 종래의 양 측면 가림 턱만으로 한계가 있고, 소변을 보는 사람이 소변기에 바짝 가까이 다가서서 소변을 보아야 소변이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특히 소변 자가 소변기에 가까이 다가서지 않고 일정거리 떨어져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소변이 끝날 즈음에 배출되는 잔뇨는 소변기의 하부를 이탈하여 화장실 바닥에 떨어진다
이로 인해 소변기 주변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소변기 바로 앞의 바닥이 소변으로 오염되어 바닥 타일 색상이 요산에 의하여 누렇게 변색하기 때문에 수시로 소변기 앞을 청소하여야 하는 등의 화장실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청소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남성용 남성 소변기에 기능성 보조 기능적으로 부가되도록 설치되는 소변 비산 방지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변기의 전방 소변기에 착 탈 가능하게 부가되도록 설치된 잔뇨 방지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 소변기는 남성의 소변을 받기 위한 변기로 서서 소변을 보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소변기는 소변이 내벽과의 충돌로 인해 비산 되거나, 잔뇨의 흘림 등에 의해 본인의 신발을 오염시키고, 나아가서 화장실 바닥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소변 줄기가 강할수록 더 많이 비산되어 소변을 볼 때 소변 줄기의 강약을 조절하거나, 소변 줄기의 방향을 틀어서 소변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데 신경을 써야만 하고, 잔뇨의 흘림 방지를 위하여 소변기에 더욱 다가서야 함으로써 소변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발생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소변기 주변의 바닥은 비산 되거나, 늘 흘린 소변으로 인해 질퍽하여 불쾌하고, 많은 악취를 발생시킴으로써 최근 요구되는 쾌적한 화장실 문화의 실현의 장애가 되고 있으며, 청소를 위해 많은 물을 사용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발명 제20-0267763호의 소변기가 개시된 바 있다. 남성 소변기는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하여 내벽에 소변 구멍을 형성하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간 부를 형성하여 소변 실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와 연결하며, 상부에 소변 세척수 분출 부재는 내벽과 공간 부로 흐를 수 있게 구성한 것이 전술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그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고, 관리 제조 단가 역시 증가하게 되며,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해 오히려 유지 및 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기존의 소변기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0-0082783호에는 소변기의 소변기 부에 섬유 물의 투과성 수용 부를 커튼 형태로 설치하여 소변 비산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장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공보에 제안된 투과성 수용부 장착기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나일론 등과 같은 섬유질로 이루어지므로, 소변기에 착 탈 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세척 및 소독을 위한 탈 거와 교체 설치가 불편하고 번거로워 편의성과 실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20-2010-0006256호에는 소변기의 내 벽면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소변 비산 현상을 방지하고자 제안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공보 제20-0267763호에는 소변기의 내벽 면에 소변 구멍을 형성하여 배뇨시 소변 줄기를 유도함으로써 소변 비산 현상을 방지하고자 제안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각 발명공보에 소변 비산 현상을 방지하고자 제안된 기술 내용은 이용자의 배뇨시 소변 줄기의 속도에 의해 소변기의 정면 벽이나 측면 벽 및 바닥면에 소변이 부딪혀 소변이 비산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59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5591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0143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2783호
(특허문헌 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1566호
(특허문헌 6)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20-2012-0006162호
본 발명은 남성 소변기의 폴딩 작동 전원부 인체 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의 잔뇨의 흘림을 방지하여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남성 소변기의 폴딩 작동 전원부 인체 감지 잔뇨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변의 잔뇨의 흘림을 방지하여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악취 발생을 방지하며, 소변기의 주변 청소를 위한 물의 사용량을 줄여서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소변기 주변의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도록 하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그뿐만 아니라, 기존의 소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남성용 소변기는, 사용자의 소변이 인입되는 소변기부의 사용자 방향으로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남성용 소변기로서, 폴딩 장치 본체에 부착된 인체감지 센서부로부터 획득한 인체 접근 데이터를 제어부 및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제어부 및 컨트롤러는 상기 폴딩 장치 본체에 모터를 작동시키어 폴더를 즉시 소변을 보는 남성 정면쪽으로 개방하고 소변을 본 후에는 폴딩 접철부가 원상태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는, 상기 소변기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소변 분출을 정면으로 대향하는 면과 인접하여 장착되어 소변의 접촉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인체감지 센서부가 제어부 및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거리 검출기가 소변기 하부에 배치되고 소변보는 남성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제어부 및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상기 폴딩 접철부가 개폐되어 소변의 비산을 막는데 본원의 목적이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체감지 센서부로 터 상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폴딩부 인체감지 센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컨트롤러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로부터 폴딩부 인체감지 센서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남성 소변기 본체의 주위로 비산하는 잔뇨를 받아내고 폴딩부 상기 인체 감지 센서부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 및 상기 폴딩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폴딩 작동 전원부와 인체 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폴딩 장치 본체가 소변기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방 소변 배수부의 소변기 테두리 부 내측에 접하여, 상기 하방 소변 배수부 또는 변기 테두리 부 또는 소변기 하부 턱에 연장되도록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변기의 폴딩 작동 전원부와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가 제공되며 상기 본체의 앞쪽 상부에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는 상면과 좌우 측에 날개를 가지고 소변이 잘 흐르도록 "V 및 U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폴딩 장치 본체는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앞쪽에 해당하는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어 꺽이는 접철 하부 플레이트가 설치되게된다.
이로써 남성 소변기 본체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인체감지 센서부는 상기 소변기 상측에 기설치된 전자식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와 본원의 폴딩 장치 본체를 서로 연동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남성용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는, 남성용 남성 소변기의 전방 소변기부에 신축적으로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용자의 배뇨시 상기 소변기 부의 외부로 소변이 비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훌륭한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남성 소변기에서 배뇨 용무시 소변기의 외부로 소변이 비산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의 위생성과 청결 유지에 대해 미화관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소변의 잔뇨의 흘림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발이나 소변기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쾌적한 화장실 문화의 실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다.
둘째, 소변기에 착 탈 가능하게 부가되도록 설치되는 적은 비용으로 설치 가능하므로 화장실의 위생성과 청결 유지를 위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부품 형태의 착탈식 부가 구조에 의해 세척 및 소독을 위한 탈부착이 용이하여 편의성과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변기 주변의 청소를 위한 물의 사용량을 줄여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다양한 디자인 구조를 가지는 남성용 남성 소변기에 대해 호환 가능한 디자인 설계 제작이 가능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리 보수가 불필요할 정도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화장실의 위생 및 청결 유지를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소변기에 대해 설치 및 수거 작업이 용이하여 가변성과 신속성을 지니므로 대규모 행사나 공연 등을 위한 대중용 화장실의 집중적이고 일시적인 위생 청결의 유지 및 확보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여섯째,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측 전자식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와 연동되어 작동할수있으며 기존의 소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일곱째, 폴딩 장치 본체에 대중을 위한 광보 및 홍보를 위한 광고판으로도 겸용할 수 있어서 부수적인 경제적 효과 창출은 물론 배뇨 용무시 광고 및 홍보 판에 대해 인식을 통하여 주의와 집중도를 높이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종래 남성용 소변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폴딩 장치와 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기어식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벨트식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기어식 폴딩 장치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
도 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은 상기한바 대로 남성용 남성 소변기에서 배뇨 용무시 소변기의 외부로 소변이 비산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화장실의 위생성과 청결 유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소변기에 착 탈 가능하게 부가되는 기능성 남성용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로서, 남성 소변기 본체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로부터 사용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인체감지 센서부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가 본원의 소변 잔뇨 폴딩 장치를 개방하여 소변후 나오는 잔뇨를 방지하는데 목적이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남성용 남성 소변기에서 배뇨 용무시 소변기의 외부로 소변이 비산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보 및 홍보를 위한 광고판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남성용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종래 남성용 소변기를 도시한 정면도로 종래의 통상적인 남성 소변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를 도시한 정면도로 이를 설명하면;
남성용 소변기에 있어서
남성이 소변을 누는 남성 소변기부(40)와 소변이 흘러내리는 하방 소변 배수부(60)와; 이물질방지를 위해 끼워지는 하방 소변 배수캡(80)과;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태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와; 상기 소변기 본체(20) 상면 부에 설치되어 소변용무 시작과 용무가 끝났을 때 인체를 감지하여 물을 내리는 상측 소변 물내림 세척부재(120)로 이루어진 남성 소변기 본체(20)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20)의 하면 부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 일측에 부착되며
남성이 소변 용무를 보려고 변기에 다가서면 이를 인지한 센서가 상하로 작동하고 폴딩 접철부 및 입출 구(220)로 개방되는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이와 연통된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이를 변기에 고정하는 폴딩 장치 결합부 재(320)가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를 동작하는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인 폴딩 부재 전원부(140)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전선(340)과; 상기 폴딩 부재 전원부(140)전력으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 모터 부(280)가 회전하면 이동력을 폴딩 접철 기어및 벨트부(300)가 폴딩
장치 본체(200)에 구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체감지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가 감지한 인체 감지 값을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에 전달하여 이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의 명령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가 들어 올려지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넨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개략적인 사시 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폴딩 장치와 구동부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이를 첨언하면;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 일측에 설치된 인체 감지센서부(160)는 소변을 보려고 다가오는 사람이 기설정한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로 송출하게 된다. 그리하면 인체감지 센서부(160)로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폴딩 작동 전원부(140)에 전원을 공급받아 접혀있는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를 펴는 제어부및 컨트롤러(180)가 작동 하게된다.
이처럼 인체 감지센서부(160)의 신호를 수신하여,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주위로 비산하는 잔뇨를 받아내는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와; 상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와;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 및 상기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의 폴딩 접철 모터 부(280)에 전력을 공급하여 본원의 폴딩 장치가 구비된 잔뇨 방지 장치가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의 사용되는 인체감지 센서부(16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구성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폴딩 작동 전원부(140)는 주 전원 및 보조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원은 상기 주 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주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 재개될 때까지 상기 주 전원을 대체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는 상기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 또는 상기 폴딩 전원부(140)가 작동을 개시한 후 연속으로 작동한 누적 작동 시간을 카운트 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폴딩 전원부(140)로 하여금 상기 폴딩 접철동작을 중지하고 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이를 설명하면; 남성이 소변 용무를 보는 남성 소변기부(40)와 소변이 흘러내리는 하방 소변 배수부(60)와;
이물질 방지를 위해 끼워지는 하방 소변 배수캡(80)과;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 형태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와; 상기 소변기 본체(20) 상면 부에 설치되어 소변용무 시작과 용무가 끝났을 때 인체를 감지하여 물을 내리는 상측에 위치한 전자식 소변물 내림 세척부재(120)로 이루어진 남성 소변기 본체(20)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20)하면 부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 일측에 상하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인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폴딩 장치 결합부 재(320)와; 이를 동작하는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인 폴딩 부재 전원부(140)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 전선(340)과;
이 전력으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 모터 부(280)와; 폴딩 접철 벨트및 기어 부(300)가 폴딩 장치 본체(200)에 구성되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가 감지한 인체 감지 값을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에 전달하여 이 제어부 및 컨트롤러의 명령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가 들어 올려지게되는것이다.
이와같이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는 상기 소변기 상측에 기설치된 전자식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연통 되어 이기기의 동작에 따르거나 본원의 폴딩 장치 본체(200)와 서로 연동하여 작동 가능하는것도 매우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이 잘 빠지는 경사각을 이루며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하방 또는 테두리 부(100)와 결합하거나 고정하도록 결속되는 폴딩 장치 결합 부재(320)를 구비한 성형 체로 이루어진 것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기어식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벨트식 폴딩 장치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로 이를 첨언하면;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폴딩 작동 전원부(140)의 전원이 인가되면 폴딩 접철 벨트 및 기어부(300)가 동작하여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가 전개되는데 상기 폴딩 접철 수단의 하나로 기어부가 설치되어 상기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를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벨트식으로 이를 작동시키는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 하부 또는 테두리 부(100)일 측에 끼움 식, 나사식, 접착식으로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와 동일 재질인 요산에 강한 도기가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도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잔뇨가 소변기에 잘 흐르도록 급경사와 양측에 커버가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되며, 그 신축 상태에 따라 상기 폴딩 장치 결합부재(320)가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하방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일 측에 탄력적으로 결속되어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게된다.
더불어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도기 외의 재질이었으면 소변의 요산에 산화되지 않는 강한 코팅 막이 외피에 형성되며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 하방 또는 테두리 부(100에 돌출 연장되도록 어느 일측으로 편향되게 절곡된 상태로 세팅되는 탄성 리브형 플랜지부로 이루어짐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에 설치된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및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는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작동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기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연통하면 본원의 폴딩 장치에 별도의 감지센서나 제어부 등을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본원의 폴딩 장치를 연결하여 이를 대신 수행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기어식 폴딩 장치 구성의 또 다른 실시한 예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은(200) 폴딩 장치 본체(200)의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의 잔뇨 소변 유입가이드는 소변이 튀지 않도록 상면과 좌우 측에 날개가 구성되며 소변이 소변기로 잘 흐르도록 V, U, 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전방 소변기부(40)의 하방 부를 일정한 높이만큼 차단한 형태로 직립 배치되게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은 소변 잔뇨를 받아내는 폴딩 장치 본체(200)와;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와;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이와 연결되는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폴딩 장치 결합부가 변기에 구성되게 된다.
한편, 남성 소변기 본체 (20)는 소변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가이드 하는 소변기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소변을 흐르게 하고 배출관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는 하방 소변 배수부(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스툴형 소변기를 나타내나, 본원은 이에 반드시 한하지 않고, 벽걸이형 소변기나, 벽걸이 스툴형 소변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타입의 소변기에 본원을 널리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실시 예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한편, 남성 소변기 본체(20)는 하방 소변 배출구(60)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의 내측에 끼워지기 위하여 변기와 같은 재질인 도기도 가능하고 어느 정도 변형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 예컨대 고무나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아크릴 수지나 실리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남성 소변기 본체(20)는 본 실시한 예에서처럼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짐으로써 다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방 소변 배출구(60)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가 평면구조가 다각형 구조나 이에 유사한 구조를 이루는 경우, 이러한 하방 소변 배출구(60)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내 측에 밀착되게 장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앞쪽에 해당하는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240)의 하면에 부착되어 꺾이는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는 본 실시 예에서처럼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적어도 3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는 상단에서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연결되는 부위가 곡률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앞쪽 상부에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240)는 잔뇨가 쉽게 유입될 수 있도록 소변유입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변 유입가이드는, 소변이 튀지 않도록 상면과 좌우 측에 날개를 가지며 "V, U 지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폴딩 장치 본체(200)에는 소변 유입가이드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 및 소변기부(40)의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를 설치될 수 있고, 재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굽혀지거나 펼쳐지는 힘에 대한 복원력, 즉 텐션을 가짐으로써 소변기부(40)의 소변기 밑면이나 테두리 부(100)측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앞쪽 상부에 접철 프런트 플레이트(24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소변이나 잔뇨의 유입을 유도하여 이들의 수집을 가이드 하는 소변 유입가이드 폴딩 접철부 및 입출 구(22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 유입가이드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에 의해 잔뇨의 흐름 예방이 뛰어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남성 소변기의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에 따르면, 소변 잔뇨의 흘림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발이나 소변기에 소변이 묻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변기의 주변이 오줌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쾌적한 화장실 문화의 실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소변기 주변으로 소변의 비산이나 흘림으로 인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남성 소변기의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에 따르면 소변기의 주변 청소를 위한 물의 사용량을 줄여서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소변기 주변의 청소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으며, 적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소변기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유지 및 관리가 간편하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하기의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남성용 수세식 남성 소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소변 비산 현상으로 인하여 주변의 위생성과 청결유지를 위해 잦은 세척과 소독 등 그 관리 유지를 위한 투입 인력과 노력 및 시간 등이 배가되므로, 환경 미화에 대해 관리 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림막과 같은 추가적인 구조물 없이 소변기 주변으로의 소변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소변기에 대해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통상적인 남성용 수세식 남성 소변기는 정면의 소변기부가 완전 개방된 상태로 노출되므로, 이용자의 배뇨 용무시 소변 줄기의 속도에 의해 소변기의 정면 벽이나 측면 벽 및 바닥면에 소변이 부딪혀 소변기부의 외부로 튀면서 비산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변 비산 현상은 소변기 및 주변 바닥의 오염 변색이나 악취 발생 등으로 인해 비위생적인 환경을 유발하게 되므로, 화장실의 위생성과 청결 유지를 위한 미화관리의 효율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통상의 소변기는 통상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제작되어 바닥면에는 소변이 소변기 바닥면 또는 측면에 부딪힌 후 사용자의 옷이나 소변기 또는 소변기의 주위로 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는 사용자 개인의 위생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 내부를 점차 오염시켜 악취를 발생시키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소변기의 양 측면에 다양한 양태의 가림막을 설치하는 방안이 모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 방안은 기존의 소변기에 추가로 구조물을 부착하는 방식이어서 그 구조물로 인해 불필요하게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림막 자체도 시간이 지남이 따라 비산 되는 소변에 의해 점차 오염되고, 오염된 가림막의 세척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 대로 남성용 남성 소변기에 기능성 보조 기능적으로 부가되도록 설치되는 소변 비산 방지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기의 전방 소변기에 착 탈 가능하게 부가되도록 설치된 잔뇨 방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 남성 소변기 전체에 이를 확대실시 할수있는 것이다.
20: 남성 소변기 본체 : 40: 남성 소변기부
60: 하방 소변 배 수부 80: 하방 소변 배수캡
100: 소변기 테두리 부 120: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
140: 폴딩 작동 전원부 160: 인체감지 센서부
180: 제어부 및 컨트롤러 200: 폴딩 장치 본체
220: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 240: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
260: 접철 하부 플레이트 280: 폴딩 접철 모터 부
300: 폴딩 접철 벨트 및 기어부 320: 폴딩 장치 결합 부재
340: 연결전선

Claims (17)

  1. 남성용 소변기에 있어서
    남성이 소변을 누는 남성 소변기부(40)와 소변이 흘러내리는 하방 소변 배수부(60)와; 이물질방지를 위해 끼워지는 하방 소변 배수캡(80)과;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태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와; 상기 소변기 본체(20) 상면 부에 설치되어 소변 용무 시작과 용무가 끝났을 때 인체를 감지하여 물을 내리는 상측 소변 물내림 세척 부재(120)로 이루어진 남성 소변기 본체(20)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20)하면 부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 일측에 상하로 작동하고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와;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이와 결합하는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폴딩 장치 결합부 재(320)와; 이를 동작하는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인 폴딩 부재 전원부(140)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전선(340)과;
    이 전력으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 모터 부(280)와; 폴딩 접철 기어 및 벨트 부(300)가 폴딩 장치 본체(200)에 구성되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가 감지한 인체 감지 값을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에 전달하여 이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의 명령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 일측에 설치된 인체 감지센서부(160)는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와;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폴딩 작동 전원부(140)에 전원을 공급받아 접혀있는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를 펴는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인체 감지센서부(160) 신호를 수신하여,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주위로 비산하는 잔뇨를 받아내는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와; 상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 및 상기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의 폴딩 접철 모터 부(28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및 마이크로파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작동 전원부(140)는 주 전원 및 보조 전원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전원은 상기 주 전원에 장애가 발생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된 경우 상기 주 전원에 의한 전력 공급이 재개될 때까지 상기 주 전원을 대체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는, 상기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 또는 상기 폴딩 전원부(140)가 작동을 개시한 후 연속으로 작동한 누적 작동 시간을 카운트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 상기 폴딩 전원부(140)로 하여금 상기 폴딩 접철 동작을 중지하고 대기 상태로 들어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7. 남성이 소변 용무를 보는 남성 소변기부(40)와 소변이 흘러내리는 하방 소변 배수부(60)와; 이물질방지를 위해 끼워지는 하방 소변 배수캡(80)과;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태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와; 상기 소변기 본체(20) 상면 부에 설치되어 소변용무 시작과 용무가 끝났을 때 인체를 감지하여 물을 내리는 상측 소변 물내림 세척부재(120)로 이루어진 남성 소변기 본체(20)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20)하면 부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 일측에 상하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인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접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폴딩 장치 결합 부재(320)와; 이를 동작하는 배터리 또는 상시 전원인 폴딩 부재 전원부(140)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전선(340)과;
    이 전력으로 작동하는 폴딩 접철 모터 부(280)와; 폴딩 접철 벨트및 기어 부(300)가 폴딩 장치 본체(200)에 구성되며;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가 감지한 인체 감지 값을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에 전달하여 이 제어부 및 컨트롤러의 명령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가 들어 올려지며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전방의 기준 거리 이내로 사용자가 근접한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는 상기 소변기 상측에 기설치된 전자식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연통 되어 이 기기의 동작에 따르거나 본원의 폴딩 장치 본체(200)와 서로 연동하여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8. 청구항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이 잘 빠지는 경사각을 이루며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하방 또는 테두리 부(100)와 결합하거나 고정하도록 결속되는 폴딩 장치 결합 부재(320)를 구비한 성형 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 하부 또는 테두리 부(100)일 측에 끼움 식, 나사식, 접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
  10. 청구항 제1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와 동일 재질인 도기,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금속 중 선택된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1. 청구항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잔뇨가 소변기에 잘 흐르도록 급경사를 갖으며 신축 가능한 탄성체로 형성되며, 그 신축상태에 따라 상기 폴딩 장치 결합부 재(320)가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하방 또는 소변기 테두리 부(100)일 측에 탄력적으로 결속되어 착 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2. 청구항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의 요산에 산화되지 않는 강한 코팅 막이 외피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3. 청구항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소변기 하방 또는 테두리 부(100에 돌출 연장되도록 어느 일측으로 편향되게 절곡된 상태로 세팅되는 탄성 리브형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4.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에 설치된 입력부인 인체감지 센서부(160)및 제어부 및 컨트롤러(180)는 상측 소변 물 내림 세척 부재(120)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5. 청구항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의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의 잔뇨 소변 유입가이드는 소변이 튀지 않도록 상면과 좌우 측에 날개가 구성되며 V, U, 자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6. 청구항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장치 본체(200)는 남성 소변기 본체(20)의 전방 소변기부(40)의 하방 부를 일정한 높이만큼 차단한 형태로 직립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17. 청구항 제14항에 있어서,
    남성용 소변기에 있어서
    남성이 소변을 누는 남성 소변기부(40)와 소변이 흘러내리는 하방 소변 배수부(60)와; 이물질방지를 위해 끼워지는 하방 소변 배수캡(80)과;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날개형태의 소변기 테두리 부(100)와; 상기 소변기 본체(20) 상면 부에 설치되어 소변용무 시작과 용무가 끝났을 때 인체를 감지하여 물을 내리는 상측 소변 물내림 세척부재(120)로 이루어진 남성 소변기 본체(20)에 있어서,
    소변 잔뇨를 받아내는 폴딩 장치 본체(200)와; 폴딩 접철부 및 입출구(220)와;
    접철 상부 프런트 플레이트(240)와; 이와 연결되는 접 철 하부 플레이트(260)와 폴딩 장치 결합부가 소변기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KR1020230039324A 2023-03-25 2023-03-25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Pending KR20240144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324A KR20240144779A (ko) 2023-03-25 2023-03-25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9324A KR20240144779A (ko) 2023-03-25 2023-03-25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4779A true KR20240144779A (ko) 2024-10-04

Family

ID=9311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324A Pending KR20240144779A (ko) 2023-03-25 2023-03-25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447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035B1 (en) Urinal anti-splashback screen
CN112302126B (zh) 自动马桶清洁器和包括自动马桶清洁器的自动清洁马桶
JP4882410B2 (ja) 便器装置
KR102468558B1 (ko) 반려동물용 대소변분리배출 배변장치
KR20240144779A (ko) 폴딩 구조를 갖는 자동식 위생 소변기
KR20240140543A (ko) 폴딩 구조가 적용된 인체 감지 잔뇨 방지 소변기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KR102328090B1 (ko) 수세 겸용 소변기
JP2007191909A (ja) 洋式便器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JP4313362B2 (ja) 衛生洗浄装置
RU2371553C2 (ru) Писсуар для унитаза
KR100989201B1 (ko) 매립형 양변기
JP2002143009A (ja) 洗面化粧台
JP5915970B2 (ja) 小便器
KR102646068B1 (ko) 절수형 소변기
KR102646062B1 (ko) 악취방지 남성용 소변기
KR102209000B1 (ko) 소변기
JP3786130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8159202A (ja) 水洗大便器
JP3556212B1 (ja) 排泄物排出装置
KR200240467Y1 (ko) 좌변기의 위생보조장치
JP3877177B1 (ja) オストメイト用汚物流しユニット
JP2008284043A (ja) 汚物流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