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3508A -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3508A
KR20240143508A KR1020230038933A KR20230038933A KR20240143508A KR 20240143508 A KR20240143508 A KR 20240143508A KR 1020230038933 A KR1020230038933 A KR 1020230038933A KR 20230038933 A KR20230038933 A KR 20230038933A KR 20240143508 A KR20240143508 A KR 20240143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end
conduit
joint
stop flang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금진
황월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황월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황월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비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3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43508A/ko
Priority to PCT/KR2023/006877 priority patent/WO2024204909A1/ko
Publication of KR2024014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3508A/ko
Priority to KR1020250041227A priority patent/KR202500492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관(10), 가동 부재(20), 밸브 모듈(30) 및 조인트(40)를 포함한다. 도관은 제1 개방 단부(11)가 입수관(91)과 연결된다. 가동 부재는 도관의 유로(P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밸브 모듈은 유로의 개폐를 위한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를 가진다. 밸브 시트와 밸브 보디는 가동 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가 밀착되거나 이격된다. 조인트는, 제1 접속 단부(41)가 도관의 제2 개방 단부(12)에 접속되고, 제2 접속 단부(42)가 출수관(95, 95A)과 연결된다. 가동 부재는 입수관으로부터의 물에 의해 가압되는 제1 스톱 플랜지(23) 및 조인트의 가압부(PS)에 의해 가압되는 제2 스톱 플랜지(24)를 가지고, 가동 부재의 이동 방향은 제1 스톱 플랜지에 작용하는 힘과 제2 스톱 플랜지에 작용하는 힘에 따라 결정된다. 제1 개방 단부의 끝면(13)은 제1 스톱 플랜지를 수용하는 제1 홈을 가진다. 밸브 시트와 밸브 보디는 제1 홈에 의해 보호된다.

Description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VALVE APPARATUS FOR SANITARY APPLIAN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을 위생 기구(예: 세면기, 양변기 등)에 공급하는 급수 라인 상에 적용되어 급수 라인을 개폐하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위생 기구용 급수 라인 상에 제공되는 도관(101 및 102 참조), 그리고 도관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또는, 작업자 등)에 의해 조작되는 개폐 조작 모듈(103)을 포함한다. 도관은, 급수 라인의 입수관과 연결되는 공급 도관(101), 그리고 급수 라인의 출수관과 연결되는 배출 도관(102)을 포함한다. 배출 도관(102)은 내부의 배출 유로가 공급 도관(101)의 내부의 공급 유로와 직교하도록 공급 도관(101)의 둘레에 접속된다. 공급 도관(101)은 공급 유로에 형성된 밸브 시트(104)를 가지고, 개폐 조작 모듈(103)은 밸브 시트(104)와 짝을 이루는 밸브 보디(105)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물이 입수관으로부터 공급 도관(101)으로 유입되고 배출 도관(102)을 통해 출수관으로 유출될 수 있고, 개폐 조작 모듈(103)의 조작에 따라 공급 도관(101)으로부터 배출 도관(102)으로 물 도입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입수관은 규격화된 소형의 수도 배관(내경 약 20㎜의 금속관을 많이 사용)이고, 공급 도관(101)은 연결 단부(수나사 구비, 101e)가 이러한 수도 배관의 말단(암나사 구비)과 나사 결합으로 연결됨에 따라 수도 배관의 규격이 고려된 크기의 외경 및 이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공급 도관(101)은 수도 배관과의 연결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점, 수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는 점, 수도 배관에 대한 연결과 분리 시 사용되는 공구(예: 렌치, 스패너 등)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야 하는 점 등에 따라 합성수지로 제조되지 못하고 금속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공급 도관(101)의 밸브 시트(104)는 공급 유로와 배출 유로가 물의 흐름을 직각으로 변경하는 앵글 밸브의 구조를 제공하는 점 등에 따라 공급 도관(101)의 내부의 깊숙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은, 공급 도관(101)의 내경이 작고(예를 들어, 약 20㎜ 미만), 공급 도관(101)의 재질이 금속이기 때문에, 밸브 시트(104)를 공급 도관(101)의 내부의 깊숙한 위치에 보다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보다 정밀하게 형성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공급 도관(101)을 주조로 제조하고, 밸브 시트(104)를 주조 과정에서 공급 도관(101)의 공급 유로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하면, 주조의 특성상 주물의 표면이 거칠어서 후처리 공정으로서 밸브 시트(104)의 표면에 대한 연마를 수행해야, 밸브 시트(104)와 밸브 보디(105)와 간의 밀착도를 향상시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밸브 보디(105)가 거친 밸브 시트(104)에 의해 손상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공급 도관(101)의 내경이 작고, 밸브 시트(104)가 공급 도관(101)의 내부의 깊숙한 위치에 배치된 점에 의하면, 밸브 시트(104)의 표면을 정밀하게 연마하기 힘들어 후처리에 고비용과 장시간이 소요되는 데다, 밸브 시트(104)의 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워 밸브 시트(104)에 대한 검사 공정 및 유지 보수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다른 예로, 금속 관재를 준비하고, 관재에 대한 절삭 가공 등을 수행하여 공급 유로에 밸브 시트(104)가 형성된 공급 도관(101)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공급 도관(101)의 내경이 작고, 밸브 시트(104)가 공급 도관(101)의 내부의 깊숙한 위치에 배치된 점에 의하면, 밸브 시트(104)의 표면을 정밀하게 절삭하기 힘들고, 고가의 정밀 가공 기계가 요구되며, 밸브 시트(104)에 대한 검사 및 유지 보수에 고비용과 장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한편, 종래 기술은, 거치적거림 또는 미관 저해를 방지하기 위해, 대체로 눈에 잘 띄지 않게 배치(예를 들어, 세면기의 하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반면에, 공급 도관(101)의 공급 유로를 개폐하려면 사용자가 개폐 조작 모듈(103)의 핸들을 손으로 직접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 및 유지 보수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 종래 기술은, 특정 종류의 출수관만을 연결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출수관을 연결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43130호(1998.08.17.)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9762호(2002.03.25.)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517호(2006.01.11.)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000호(2012.11.26.)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7012호(2018.07.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층 향상된 제조성을 기대할 수 있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이나 유지 보수 면에서 보다 편리한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급수 라인과의 연결과 관련하여 개선된 작업성이나 호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 및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상기 제2 개방 단부 사이의 유로를 가지며, 물을 위생 기구로 공급하는 급수 라인의 입수관이 상기 제1 개방 단부에 연결되는 도관과;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와; 상기 도관과 상기 가동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밸브 시트 및 다른 하나에 제공된 밸브 보디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가 서로 밀착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 모듈과; 제1 접속 단부, 제2 접속 단부 및 내부에서 상기 제1 접속 단부와 상기 제2 접속 단부를 연결하는 접속 통로를 가지며, 상기 제1 접속 단부가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접속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급수 라인의 출수관이 상기 제2 접속 단부에 연결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입수관으로부터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상기 입수관과 대향) 및 상기 조인트의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상기 가압부와 대향)를 가져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조인트가 상기 도관과 분리되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는 상기 가동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유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설정 거리 이내에서 이동되고, 상기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상기 제1 접속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외주를 감싸는 도관 커버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외주를 따라 제공되어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외주와 상기 도관 커버의 내주 사이에 개재된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관 커버는 상기 조인트를 상기 도관과 분리 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설정 거리를 초과하는 거리로 이동되어야 상기 실링 부재가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외주와 상기 도관 커버의 내주 사이로부터 벗어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로드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개방 단부를 통해 상기 유로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 로드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통해 상기 유로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 로드와;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제2 로드가 서로 대향하는 내측 단부를 결합하는 착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의 이동 거리는 양쪽으로 제공된 스톱 플랜지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로드의 외측 단부에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끝면과 대향하는 이면과 맞은편의 표면을 가지는 제1 스톱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로드의 외측 단부에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끝면과 대향하는 이면과 맞은편의 표면을 가지는 제2 스톱 플랜지가 마련되어, 이동 거리가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와 상기 제2 스톱 플랜지에 의해 상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표면에 상기 제1 피가압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2 스톱 플랜지의 표면에 상기 제2 피가압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에 제공되고,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이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은 상기 제1 스톱 플랜지를 수용하여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와 함께 상기 밸브 시트 및 상기 밸브 보디를 보호하는 제1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홈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시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상기 표면이 상기 제1 홈의 입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제1 깊이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1 홈은 깊이가 상기 제1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1 깊이에 비해 깊어 상기 제1 스톱 플랜지를 항상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은 상기 제2 스톱 플랜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스톱 플랜지를 보호하는 제2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홈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시 상기 제2 스톱 플랜지의 상기 표면이 상기 제2 홈의 입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제2 깊이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2 홈은 깊이가 상기 제2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제2 깊이에 비해 깊어 상기 제2 스톱 플랜지를 항상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1 접속 단부 측의 내주 영역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관은 상기 제1 개방 단부 측의 외주 영역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 측의 외주 영역에 각각 상기 입수관의 암나사 및 상기 제1 접속 단부의 암나사와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관과 상기 조인트의 나사 결합에 의하면, 상기 조인트는 상기 도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는 상기 도관에 대한 상기 조인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격 간격의 조절을 통해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삽입 단부, 수나사 단부 및 내부에서 상기 삽입 단부와 상기 수나사 단부를 연결하는 연통로를 가지며, 상기 삽입 단부가 상기 제2 접속 단부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출수관은 상기 수나사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가진 결합 단부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매개로 상기 제2 접속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단부는 상기 제2 접속 단부로 끼워지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제2 접속 단부로 끼워진 상기 삽입 단부에 대한 구속 및 구속 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관(10)의 제1 개방 단부(11)가 입수관(91)과 연결되고, 조인트(40)의 제1 접속 단부(41)가 도관(10)의 제2 개방 단부(12)와 접속되며, 조인트(40)의 제2 접속 단부(42)가 출수관(95, 95A)과 연결되기 때문에, 도관(10), 조인트(40), 입수관(91) 및 출수관(95, 95A)이 일렬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물의 에너지 손실률을 낮출 수 있고, 수압으로 인한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인트(40)가 도관(10)에 결합되면, 제2 피가압부(22)가 조인트(40)의 가압부(PS)에 의해 가압되어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가 서로 이격되어 도관(10)의 유로(내부 관로, P1)가 개방된다. 반대로, 조인트(40)가 도관(10)과 분리되면, 제1 피가압부(21)가 입수관(91)으로부터의 물의 힘(수압)에 의해 가압되어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가 서로 밀착되어 도관(10)의 유로(P1)가 폐쇄된다. 이렇듯, 조인트(40)가 도관(10)에 결합되면 도관(10)의 유로(P1)가 개방되고, 조인트(40)가 도관(10)과 분리되면 도관(10)의 유로(P1)가 폐쇄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를 수행하거나 유지 보수의 수행 후 다시 사용하는 때 유로(P1)를 별도로 개폐할 필요가 없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관 커버(51)는, 조인트(40)를 도관(10)과 분리하는 때, 설정 거리(가동 부재가 이동 가능한 거리, R1)를 초과하는 거리로 이동되어야 실링 부재(55)가 도관(10)과 도관 커버(51) 사이로부터 벗어나는 길이(R2)로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조인트(40)를 도관(10)과 분리하는 때,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가 서로 밀착되어 도관(10)의 유로(P1)가 폐쇄되어야 실링 부재(55)가 도관(10)과 도관 커버(51) 사이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도관(10)의 유로(P1)로 유입된 물이 조인트(40)를 도관(10)과 분리하는 과정에서 도관(10)과 조인트(40) 사이로부터 세차게 분출되고 주위로 비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동 부재(20)가 도관(10)의 제1 개방 단부(11)를 통해 유로(P1)에 삽입되는 제1 로드(20A) 및 도관(10)의 제2 개방 단부(12)를 통해 유로(P1)에 삽입되는 제2 로드(20B)로 분할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1 로드(20A)의 내측 단부와 제2 로드(20B)의 내측 단부가 착탈 수단(20C)에 의해 결합되며, 제1 로드(20A)의 외측 단부와 제2 로드(20B)의 외측 단부에 가동 부재(20)의 이동 거리를 설정 거리(R1)로 제한하는 스톱 플랜지(23, 24)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동 부재(20)가 도관(10)의 유로(P1)를 따라 설정 거리(R1) 이내에서 이동 가능한 구성을 저비용으로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어느 하나가 도관(10)의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에 제공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어느 하나가 제1 로드(20A)의 스톱 플랜지(23)의 이면(제1 개방 단부의 끝면과 대향하는 면)에 제공되기 때문에, 가동 부재(20)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도관(10)의 유로(P1)가 개폐되는 구성을 저비용으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의 유지 보수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니플(96)이 구비된 삽입 단부를 보유하는 출수관(95)은 니플(96)을 조인트(40)의 제2 접속 단부(42)에 끼워 조인트(40)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너트(99)가 구비된 결합 단부를 보유하는 출수관(95A)은 삽입 단부(61)와 수나사 단부(62)를 가진 커넥터(60)를 매개로 하여 조인트(40)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60)의 삽입 단부(61)를 조인트(40)의 제2 접속 단부(42)에 끼우고, 너트(99)를 커넥터(60)의 수나사 단부(62)와 결합하여 출수관(95A)을 조인트(40)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종류의 출수관(95, 95A)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효과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급수 라인 상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조립된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조립된 상태 및 분해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도 6 등에 도시된 가동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A 부분과 도 7의 B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5, 도 6 등에 도시된 조인트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의 개폐 작동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이나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고, 유사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기에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용어에 대해서는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때, 이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된다고 하는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한편, 도면에서 구성 요소의 크기나 형상,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물을 위생 기구로 공급하는 급수 라인 상에 적용되어 급수 라인을 개폐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생 기구는 세면기, 샤워기, 소변기, 양변기, 싱크(세탁용 또는 주방용)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급수 라인은 물을 위생 기구의 수전 등으로 공급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의 구성, 작동 등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도관(10), 가동 부재(20), 밸브 모듈(30), 조인트(40) 및 실링 모듈(50)을 포함한다.
도관(10)의 재질은 금속일 수 있다. 도관(1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도관(10)은 직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관(10)은, 직선 구조가 아니라,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선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관(10)은, 길이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배치된 제1 개방 단부(11),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배치된 제2 개방 단부(12), 그리고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와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 관로(유로, P1)를 가진다.
제1 개방 단부(11)는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를 둘러싸는 끝면(13)을 가진다. 제2 개방 단부(12)는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어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를 둘러싸는 끝면(14)을 가진다. 내부 관로(P1)는 도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이 각각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 및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와 연결된다.
도관(10)은 물을 위생 기구의 수전으로 공급하는 급수 라인의 입수관(91)과 연결된다. 입수관(91)은 제1 개방 단부(11)에 접속되어, 입수관(91)으로부터의 물은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를 통해 내부 관로(P1)로 유입된다. 입수관(91)은 규격화된 소형의 수도 배관(예: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내경 약 20㎜의 금속관)일 수 있다. 도관(10)과 입수관(91)은 서로 나사 결합이 될 수 있다. 도관(10)과 입수관(91)의 접속을 위해, 도관(10)은 제1 개방 단부(11)의 외주에 수나사(15)가 형성될 수 있고, 입수관(91)은 제1 개방 단부(11)의 수나사(15)와 결합되는 암나사를 가질 수 있다.
가동 부재(20)는 도관(10)의 내부 관로(P1)를 따라 설정 거리(R1) 이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가동 부재(20)는, 내부 관로(P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개방 단부(11) 측으로부터 제2 개방 단부(12) 측을 향하는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반대로 제2 개방 단부(12) 측으로부터 제1 개방 단부(11) 측을 향하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부재(20)는, 제1 피가압부(21) 및 제2 피가압부(22)를 가진다. 제1 피가압부(21)는 가동 부재(2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 가압되고, 제2 피가압부(22)는 가동 부재(2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에 의해 가압된다. 이에, 가동 부재(20)는, 힘이 제1 피가압부(21)에 작용하면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고, 힘이 제2 피가압부(22)에 작용하면 제2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힘이 제1 피가압부(21)와 제2 피가압부(22)에 함께 작용하면, 가동 부재(20)는 제1 피가압부(21)에 작용하는 힘과 제2 피가압부(22)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 차이에 따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동 부재(2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로드를 포함하고, 로드는 길이 방향의 양쪽으로 각각 마련된 제1 스톱 플랜지(23) 제2 스톱 플랜지(24)를 포함한다. 로드는 도관(10)에 비해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 부재(20)는 조립성 개선, 유지 관리의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해 로드가 길이를 따라 복수로 분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가동 부재(20)는,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를 통해 내부 관로(P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1 로드(20A), 그리고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를 통해 내부 관로(P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2 로드(20B)를 포함한다. 또한, 가동 부재(20)는, 분할된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가 서로 대향하는 내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수단(20C)을 더 포함한다. 착탈 수단(20C)에 의해 서로 결합된 제1 로드(20A)와 제2 로드(20B)는 도관(10)의 내부 관로(P1)를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제1 스톱 플랜지(23)는 제1 로드(20A)의 외측 단부에 제공된다. 제1 스톱 플랜지(23)는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과 대향하는 이면 및 맞은편의 표면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제1 스톱 플랜지(23)의 이면은,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에 대해 접근되고,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면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에 대해 이격된다. 제2 스톱 플랜지(24)는 제2 로드(20B)의 외측 단부에 제공된다. 제2 스톱 플랜지(24)는 제2 개방 단부(12)의 끝면(14)과 대향하는 이면 및 맞은편의 표면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제2 스톱 플랜지(24)의 이면은,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제2 개방 단부(12)의 끝면(14)에 대해 이격되고,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면 제2 개방 단부(12)의 끝면(14)에 대해 접근된다. 가동 부재(20)는 이동 거리가 이러한 제1 스톱 플랜지(23)와 제2 스톱 플랜지(24)에 의해 설정 거리(R1)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제1 개방 단부(11)는 제1 스톱 플랜지(23)를 수용하는 제1 홈을 가지고, 제2 개방 단부(12)는 제2 스톱 플랜지(24)를 수용하는 제2 홈을 가진다. 제1 홈은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에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고, 제2 홈은 제2 개방 단부(12)의 끝면(14)에 제2 개방 단부(12)의 개구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다.
제1 홈은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 때 제1 스톱 플랜지(23)를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수용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1 홈은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 때 제1 스톱 플랜지(23)의 표면이 제1 홈의 입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깊이 또는 이를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은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때 제2 스톱 플랜지(24)를 외부로 돌출됨이 없이 수용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2 홈은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된 때 제2 스톱 플랜지(24)의 표면이 제2 홈의 입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깊이 또는 이를 초과하는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홈과 제2 홈에 의하면, 제1 스톱 플랜지(23)와 제2 스톱 플랜지(24)를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1 스톱 플랜지(23)와 제2 스톱 플랜지(24)의 손상 우려가 적으므로 제1 스톱 플랜지(23)와 제2 스톱 플랜지(24)를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로드(20A)의 내측 단부와 제2 로드(20B)의 내측 단부는 끼움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착탈 수단(20C)은, 제1 로드(20A)의 내측 단부와 제2 로드(20B)의 내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끼움부 및 제1 로드(20A)의 내측 단부와 제2 로드(20B)의 내측 단부 중 다른 하나에 끼움부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탈 수단(20C)은, 끼움부와 수용부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끼움부의 외주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5) 및 수용부의 내부에 결합 돌기(25)가 끼워질 수 있게 마련된 결합 구멍(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 돌기(25)는 끼움부의 중심 측과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부는 결합 돌기(25)의 주변에 형성된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실시 조건 등에 따라서는, 결합 돌기(25) 대신 수나사가 적용되고, 결합 구멍(26) 대신 암나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입수관(91)으로부터 내부 관로(P1)로 유입되는 물은 내부 관로(P1)의 내주와 가동 부재(20)의 외주 사이로 흐를 수 있다. 보다 원활한 물의 흐름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로드(20A)는, 둘레에 유입구(27)가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입구(27)와 연통하는 제1 유출 통로(28a)가 내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물이 내측 단부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드(20B)는, 내부에 내측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까지 연장되어 제1 유출 통로(28a)와 연통하는 제2 유출 통로(28b)가 형성됨으로써, 물이 제1 유출 통로(28a)로부터 유입되고 외측 단부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제1 로드(20A)는 제1 피가압부(21)를 가진다. 제2 로드(20B)는 제2 피가압부(22)를 가진다. 제1 피가압부(21)는 제1 스톱 플랜지(23)의 표면에 제공되고, 제2 피가압부(22)는 제2 스톱 플랜지(24)의 표면에 제공된다. 제1 피가압부(21)는 제1 스톱 플랜지(23)의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피가압부(22)는 제2 스톱 플랜지(24)의 표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모듈(30)은 내부 관로(P1)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를 포함한다.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어느 하나는 도관(10)에 제공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다른 하나는 가동 부재(20)에 제공된다.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는 서로가 밀착되어 내부 관로(P1)를 폐쇄한다.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면,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는 서로의 밀착이 해제(즉, 이격)되어 내부 관로(P1)를 개방한다.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어느 하나는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에 제1 개방 단부(11)의 개구의 주위를 따라 제공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다른 하나는 제1 로드(20A)의 제1 스톱 플랜지(23)의 이면에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도록 제공되어,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는 서로 대향한다. 예를 들어, 밸브 시트(31)는 제1 개방 단부(11)의 끝면(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 보디(35)는 수밀성이 우수한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인트(4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다. 조인트(40)는 직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조인트(40)의 횡단면이 대체적으로 원형일 수 있음을 예시하고, 도 3b는 조인트(40)의 횡단면이 대체적으로 사각형일 수 있음을 에시한다. 이러한 조인트(40)는, 길이 방향의 어느 한쪽으로 배치된 제1 접속 단부(41),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배치된 제2 접속 단부(42), 그리고 제1 접속 단부(41)의 개구와 제2 접속 단부(42)의 개구를 연결하는 내부의 접속 통로(P2)를 가진다. 제1 접속 단부(41)는 도관(10)의 제2 개방 단부(12)에 제2 방향(D2)으로 접속된다. 제2 접속 단부(42)는 급수 라인의 출수관(95)과 연결된다. 접속 통로(P2)는 조인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양단이 각각 제1 접속 단부(41)의 개구 및 제2 접속 단부(42)의 개구와 연결된다. 이러한 조인트(40)는 제1 접속 단부(41)에서 제2 방향(D2)의 힘을 제2 피가압부(22)에 가하는 가압부(PS)를 가진다.
제1 접속 단부(41)는 내주에 암나사(46)가 형성된다. 제2 개방 단부(12)는 외주에 제1 접속 단부(41)의 암나사(46)와 나사 결합이 되는 수나사(16)가 형성된다.
제2 개방 단부(12)의 수나사(16)와 제1 접속 단부(41)의 암나사(46)가 결합되면, 조인트(40)는 도관(10)에 대해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다. 가압부(PS)는 제2 로드(20B)의 제2 피가압부(2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조인트(40)가 도관(10)에 결합되면, 가압부(PS)는 제2 피가압부(22)를 가압하여 가동 부재(2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2 피가압부(22)는 조인트(40)의 가압부(PS)에 의해 가압되는 것이고, 가동 부재(20)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피가압부(22)에 가해지는 힘은 가압부(PS)의 가압력인 것이다.
반면, 가동 부재(2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피가압부(21)에 가해지는 힘은 입수관(91)으로부터 도관(10)의 내부 관로(P1)를 향하는 물의 힘(수압)이다. 입수관(91)으로부터의 수압이 제1 피가압부(21)에 작용하더라도, 조인트(40)가 도관(10)에 결합된 상태라면, 가동 부재(20)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지 않고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된다. 물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도 서로 이격되어 내부 관로(P1)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실링 모듈(50)은, 제1 접속 단부(41)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1 접속 단부(41)가 제2 개방 단부(12)에 접속된 때 제2 개방 단부(12) 측 외주를 감싸는 도관 커버(51), 그리고 제2 개방 단부(12) 측에 외주를 따라 제공되어 도관(10)의 외주와 도관 커버(51)의 내주 사이에 개재된 실링 부재(55)를 포함한다. 실링 부재(55)는 오링일 수 있고, 도관(10)은 제2 개방 단부(12) 측의 외주에 실링 부재(55)로서 오링이 놓이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관 커버(51)는 제2 개방 단부(12)에 대한 제1 접속 단부(41)의 접속이 해제되는 때(조인트가 도관과 분리되는 때) 조인트(40)가 제1 방향(D1)으로 설정 거리(R1) 이상으로 이동되어야 실링 부재(55)가 제2 개방 단부(12) 측의 외주와 도관 커버(51)의 내주 사이로부터 벗어나는 길이(R2)로 형성된다(즉, R1 < R2). 이에 의하면, 도관(10)의 내부 관로(P1)로 유입된 물이 조인트(40)를 도관(10)으로부터 분리하는 초기에 도관(10)으로부터 외부로 거세게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출수관(95)은 제2 접속 단부(42)로 끼워져 제2 접속 단부(42)에 접속되는 삽입 단부(96, 97, 98 참조)를 가진다. 조인트(40)는 제2 접속 단부(42)로 끼워진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에 대한 구속 및 구속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인트(40)의 작동을 도 9 내지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9a, 도 10a 및 도 11a는 횡단면도이고, 도 9b, 도 10b 및 도 11b는 종단면도이다.
출수관(95)의 삽입 단부는 니플(96), 로크 플랜지(97) 및 오링(98)을 포함한다. 로크 플랜지(97)와 오링(98)은 각각 니플(96)의 외주에 적용된다. 로크 플랜지(97)는 니플(96)의 외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수밀 작용을 수행하는 오링(98)은 니플(96)의 선단 부분과 기단 부분 사이인 중간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로크 플랜지(97)는 니플(96)의 중간 부분과 기단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인트(40)는 조인트 하우징(40A), 로크 플레이트(40B), 탄성력 부여 수단(40C) 및 푸시 플레이트(40D)를 포함한다.
제1 접속 단부(41)는, 조인트 하우징(40A)의 길이 방향의 한쪽으로 배치되고, 도관(10)의 제2 개방 단부(12)가 삽입된다. 제2 접속 단부(42)는, 조인트 하우징(40A)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으로 배치되고, 출수관(95)의 삽입 단부가 삽입된다. 접속 통로(P2)는 조인트 하우징(40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조인트 하우징(40A)은 접속 통로(P2)와 교차하도록 접속 통로(P2)의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어 접속 통로(P2)를 출수관(95)의 삽입 단부가 출입되는 출입 영역(P21) 및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의 로크 플랜지(97)가 수용되는 수용 영역(P22)으로 구분하는 관통 공간(TS)을 가진다. 관통 공간(TS)은 조인트 하우징(40A)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크 플레이트(40B)는, 관통 공간(TS)에 관통 공간(TS)의 관통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출수관(95)의 삽입 단부가 통과 가능한 관통 구멍(43)을 가져, 이동 방향에 따라 관통 구멍(43)이 접속 통로(P2)와 일치되거나 불일치되면서 수용 영역(P22)에 대한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관통 구멍(43)은 내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조인트 하우징(40A)으로 진입되는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와 접촉 가능한 경사면(43s)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구멍(43)의 경사면(43s)은 조인트 하우징(40A)에 대한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의 진입 방향에 해당하는 제2 방향(D2)으로 오르막 경사질 수 있다. 이렇게 관통 구멍(43)을 구성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플레이트(40B)는 조인트 하우징(40A)에 진입되는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의 니플(96)이나 로크 플랜지(97)가 관통 구멍(43)의 경사면(43s)과 접촉하고 경사면(43s)을 압박하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43)이 접속 통로(P2)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로크 플레이트(40B)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출수관(95)의 삽입 단부를 조인트(40)의 제2 접속 단부(42)에 끼워 접속할 수 있다.
탄성력 부여 수단(40C)은 로크 플레이트(40B)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로크 플레이트(40B)를 관통 구멍(43)과 접속 통로(P2)가 불일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푸시 플레이트(40D)는, 로크 플레이트(40B)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로크 플레이트(40B)의 앞쪽 단부 또는 뒤쪽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조인트 하우징(40A)의 둘레 한쪽에 배치되고, 로크 플레이트(40B)와 함께 이동되며,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이 된다.
탄성력 부여 수단(40C)은 로크 플레이트(40B)의 양옆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판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관통 공간(TS)에는 푸시 플레이트(40D)가 눌린 때 로크 플레이트(40B)와 함께 이동되는 판 스프링(탄성력 부여 수단) 각각과 접촉되어 판 스프링의 휨 변형을 유도하는 걸림 턱부(44)가 각각 형성된다. 탄성력 부여 수단(40C)에 의하면, 로크 플레이트(40B)는 관통 구멍(43)이 조인트 하우징(40A)의 접속 통로(P2)와 불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조인트 하우징(40A)에는 푸시 플레이트(40D)가 수용되는 홈부(45)가 형성된다. 홈부(45)에 수용된 푸시 플레이트(40D)는 탄성력 부여 수단(40C)에 의해 복원된 때 홈부(45)로부터 돌출됨이 없이 조인트 하우징(40A)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수관(95)은, 삽입 단부가 조인트(40)의 제2 접속 단부(42)로 끼워진 때, 오링(98)이 접속 통로(P2)의 내주에 밀착되어 수밀 작용을 수행한다.
조인트(40)는 제2 로드(20B)의 제2 피가압부(22)와 대향하는 부분에 제1 접속 단부(41)의 개구를 둘러싸는 고리 구조의 패킹(47)이 제공된다. 이에, 조인트(40)의 가압부(PS)는 패킹(47)에서 제2 피가압부(22)와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조인트(40)가 도관(10)에 결합된 때, 제2 로드(20B)의 제2 피가압부(22)가 대향하는 조인트(40)의 가압부(PS)에 의해 가압되어 가동 부재(20)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도 서로 이격되어 내부 관로(P1)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입수관(91)으로부터의 물은, 서로 이격된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 사이를 통해 도관(10)의 내부 관로(P1)로 유입되고, 유출 통로(28a, 28b)를 경유하여 출수관(95)으로 유출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조인트(40)가 도관(10)과 분리되는 때, 조인트(40)의 가압부(PS)가 퇴피되는 만큼 가동 부재(20)가 제1 방향(D2)으로 이동되는바, 가동 부재(20)가 이동되어 밸브 시트(31)와 밸브 보디(35)가 서로 밀착(즉, 내부 관로 폐쇄)되어야 실링 부재(55)가 도관(10)과 도관 커버(51) 사이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도관(10)의 내부 관로(P1)로 유입된 물이 조인트(40)를 도관(10)과 분리하는 과정에서 도관(10)과 조인트(40) 사이로부터 세차게 분출되고 주위로 비산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는 너트(99) 구비의 출수관(95A)을 조인트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60)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커넥터(60)는, 길이 방향 양쪽의 삽입 단부(61)와 수나사 단부(62) 및 삽입 단부(61)와 수나사 단부(62)를 연결하는 내부의 연통로를 가지며, 삽입 단부(61)가 제2 접속 단부(42)로 끼워져 제2 접속 단부(42)에 접속된다. 커넥터(60)의 삽입 단부(61)는 제1 실시예에서 살펴본 출수관(95)의 삽입 단부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16은 커넥터(60)의 연통로가 도 15의 직선 형태에서 곡선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6a와 도 16b는 삽입 단부(61)와 수나사 단부(62) 사이가 원형 형태이거나 사각 형태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출수관(95A)은 수나사 단부(62)에 결합되는 너트(99)가 구비된 결합 단부를 가진다. 즉, 제2 실시예의 경우, 출수관(95)은 삽입 단부 대신 너트(99) 구비의 결합 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60)에 의하면, 너트 부재(99)를 포함하는 출수관(95)도 조인트(4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이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10: 도관
11: 제1 개방 단부
12: 제2 개방 단부
20: 가동 부재
20A: 제1 로드
20B: 제2 로드
20C: 착탈 수단
21: 제1 피가압부
22: 제2 피가압부
23: 제1 스톱 플랜지
24: 제2 스톱 플랜지
25: 결합 돌기
26: 결합 구멍
30: 밸브 모듈
31: 밸브 시트
35: 밸브 보디
40: 조인트
40A: 조인트 하우징
40B: 로크 플레이트
40C: 탄성력 부여 수단
40D: 푸시 플레이트
41: 제1 접속 단부
42: 제2 접속 단부
50: 실링 모듈
51: 도관 커버
55: 실링 부재
60: 커넥터
91: 입수관
95, 95A: 출수관
P1: 내부 관로
P2: 접속 통로
P3: 연통로
PS: 가압부

Claims (4)

  1. 유로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개방 단부가 위생 기구용 급수 라인의 입수관에 연결되는 도관과;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접속 단부, 상기 급수 라인의 출수관과 연결되는 제2 접속 단부, 상기 제1 접속 단부와 상기 제2 접속 단부를 연결하는 통로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조인트와;
    상기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는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끝면과 대향하는 이면 및 맞은편에서 상기 입수관과 대향하는 표면을 갖는 제1 스톱 플랜지와,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끝면과 대향하는 이면 및 맞은편에서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는 표면을 갖는 제2 스톱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 결합 시 상기 제2 스톱 플랜지의 상기 표면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인트 분리 시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상기 표면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 부재와;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과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상기 이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된 밸브 시트와 나머지에 제공된 밸브 보디를 가지며,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가 상기 유로 개폐를 위해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제1 방향 이동 시 밀착되고 상기 제2 방향 이동 시 이격되는 밸브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은 상기 제1 스톱 플랜지를 수용하는 제1 홈을 가지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상기 가동 부재의 상기 제2 방향 이동 시 상기 제1 스톱 플랜지의 상기 표면이 상기 제1 홈의 입구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는 제1 깊이 이상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 단부의 상기 끝면은 상기 제2 스톱 플랜지를 수용하는 제2 홈을 가지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부는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나사 결합이 되어, 상기 조인트는 상기 도관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보디는 상기 도관에 대한 상기 조인트의 이동 거리에 따라 이격 간격이 조절되는,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KR1020230038933A 2023-03-24 2023-03-24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Ceased KR20240143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933A KR20240143508A (ko) 2023-03-24 2023-03-24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PCT/KR2023/006877 WO2024204909A1 (ko) 2023-03-24 2023-05-19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KR1020250041227A KR20250049241A (ko) 2023-03-24 2025-03-31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8933A KR20240143508A (ko) 2023-03-24 2023-03-24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41227A Division KR20250049241A (ko) 2023-03-24 2025-03-31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3508A true KR20240143508A (ko) 2024-10-02

Family

ID=929069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8933A Ceased KR20240143508A (ko) 2023-03-24 2023-03-24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KR1020250041227A Pending KR20250049241A (ko) 2023-03-24 2025-03-31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50041227A Pending KR20250049241A (ko) 2023-03-24 2025-03-31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240143508A (ko)
WO (1) WO202420490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30A (ko) 1998-05-29 1998-08-17 이홍구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269762Y1 (ko) 2001-12-04 2002-03-25 오승일 호스 연결장치
KR200405517Y1 (ko) 2005-10-24 2006-01-11 홍인숙 관 붙이용 앵글밸브
KR20120008000U (ko) 2011-05-16 2012-11-26 김창호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KR101387012B1 (ko) 2014-03-21 2014-04-21 황경원 관붙이 앵글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779Y1 (ko) * 2007-01-16 2008-09-05 주식회사 거영산업 온수보일러 호스 연결 커넥터
KR200460076Y1 (ko) * 2009-09-15 2012-05-02 우명배 자동잠금기능을 가지는 배관용 조인트
KR200461766Y1 (ko) * 2011-02-11 2012-08-20 김영훈 원터치형 수도 꼭지
KR20160097746A (ko) * 2015-02-10 2016-08-18 주식회사 삼진텍 세면대용 가압 개방형 밸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130A (ko) 1998-05-29 1998-08-17 이홍구 밸브기능을 갖는 관체 연결구
KR200269762Y1 (ko) 2001-12-04 2002-03-25 오승일 호스 연결장치
KR200405517Y1 (ko) 2005-10-24 2006-01-11 홍인숙 관 붙이용 앵글밸브
KR20120008000U (ko) 2011-05-16 2012-11-26 김창호 작동이 용이한 관붙이 앵글밸브
KR101387012B1 (ko) 2014-03-21 2014-04-21 황경원 관붙이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49241A (ko) 2025-04-11
WO2024204909A1 (ko) 2024-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0121B2 (en) Combined shower
US7077153B2 (en) Side control faucet with diverter assembly
CA2882762C (en) Faucet waterway
US20240159027A1 (en) Faucet spray head alignment system
AU2015369720A1 (en) Sensor-operated pull-out faucet
KR102333040B1 (ko) 스프레이 헤드 어셈블리, 스프레이 헤드 장치 및 무인 항공기
JP6592936B2 (ja) 水栓カウンター
US20220080432A1 (en) Shower apparatus
KR102038138B1 (ko) 수도관과 수전 연결장치
KR20240143508A (ko)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EP1195547B1 (en) Remote shut-off valve
KR102602091B1 (ko) 위생 기구용 밸브 장치
KR20150088463A (ko) 앵글밸브
CN110332335A (zh) 一种水龙头
CN112413177B (zh) 一种双出水龙头以及双出水装置
JP4639181B2 (ja) ガスソケット
KR102305473B1 (ko) 배수트랩 어셈블리
CN210345590U (zh) 一种吸油烟机及其储水杯
CN110230833B (zh) 一种吸油烟机及其储水杯
CN109153558A (zh) 饮料龙头装置
EP3884198A1 (en) Push-fit fitting and end bushing for use therewith
KR20200082950A (ko) 위생기구용 관 조인트
KR102230180B1 (ko) 수전금구용 원터치 연결밸브
CN106090294B (zh) 一种阀芯座组件
US7111820B2 (en) Inline connector for a plumbing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