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41389A -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Google Patents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41389A KR20240141389A KR1020230035659A KR20230035659A KR20240141389A KR 20240141389 A KR20240141389 A KR 20240141389A KR 1020230035659 A KR1020230035659 A KR 1020230035659A KR 20230035659 A KR20230035659 A KR 20230035659A KR 20240141389 A KR20240141389 A KR 202401413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ing
- arrangement
- wainscoting
- guide member
- contamin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이 제공된다.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은,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는 배치부와, 배치부를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배치부 슬라이드 결합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난간에 웨인스코팅이 배치되어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않도록 함으로써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에 의해 건물의 외벽에 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이란 높은 기단(건물의 기초), 마루 끝, 계단, 다리 등의 가장자리 또는 양 옆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운 구조물이다. 상기 난간의 높이는 안전규칙에서 90c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렇게 난간을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이나 건물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난간은 아파트와 같은 다층 건물의 경우, 실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햇빛이나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형성된 베란다에 설치되고, 2~3층 건물의 경우, 건물 옥상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난간은 상면이 비교적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눈 또는 비가 난간의 상면에 쌓인 오염물질과 섞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이 생성되므로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건물의 외벽에 생성된 물이 흐른 자국을 없애기 위해 주기적으로 페인트칠을 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520호에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건물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 외벽을 타고 흐르지 않도록 하는 옥상용 얼룩방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에는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측몸체, 상기 외측몸체 끝에 하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빗물이 떨어질 때 건물 외벽에서 멀어지도록 방향성을 부여하도록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빗물안내부, 상기 외측몸체의 가장 외측에서 30 ~ 50mm 내측에 난간 외벽에 밀착되도록 직각으로 하향되어 형성되는 난간외벽밀착부재,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빗물안내부와 상기 난간외벽밀착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부재, 상기 외측몸체와 맞물려 조립되고, 일단에는 외측몸체의 외측걸림홈과 외측걸림돌기에 맞물리는 내측걸림홈과 내측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바닥이 평평하여 옥상의 난간 상면에 밀착되며 난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몸체, 상기 내측몸체의 끝에 형성되고, 30 ~ 50mm의 폭을 가지면서 높이가 20 ~ 30mm 이며 둥그럽게 형성되어 상기 외측몸체나 내측몸체에 떨어진 빗물이 내측으로 흐르는 것을 차단되고 외측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는 빗물막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옥상의 난간에 설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의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는 있으나, 내측몸체와 외측몸체의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원활하기 흘러내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측몸체와 외측몸체의 상면에 위치한 빗물이 마를 경우,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않도록 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지 않음으로 건물의 외벽에 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은,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는 배치부와, 상기 배치부를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배치부 슬라이드 결합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치부는, 상기 난간에 배치되는 배치부재와, 상기 배치부재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난간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면 배치부재 및 상기 배치부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배치부재와 대응되도록 배치부재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배치부재와 난간 사이에 배치되는 수분유입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흐름안내부는, 상기 배치부를 수용하는 흐름안내부재와, 상기 흐름안내부재의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배치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상면 배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안내부재 및 상기 상부 안내부재 일측에서 연장되어 측면 배치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측부 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내부재 및 측부 안내부는 경사지거나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안내부재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면 배치부재 또는 배치부재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에 의하면, 건물의 난간에 웨인스코팅이 배치되어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않도록 함으로써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에 의해 건물의 외벽에 얼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눈이 녹은 물 또는 빗물에 의해 건물의 외벽에 얼룩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외관이 미려함은 물론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배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치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100), 건물의 난간(10)에 배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배치부(110), 고정부재(120), 흐름안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110)는 건물의 난간(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110)는 건물 난간(1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110)는 배치부재(111), 상면 배치부재(112), 측면 배치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난간(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난간(10)의 상단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난간(10)의 상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난간(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내부가 관통되지 않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배치부재(111)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강부재는 배치부재(111)의 외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부재(111)의 외면에 보강부재가 배치되어 보강됨으로써 배치부재(111)의 형상이 변경되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면 배치부재(112)는 배치부재(111)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면 배치부재(112)는 배치부재(111)의 상면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면 배치부재(112)의 폭은 난간(10)의 폭과 같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면 배치부재(112)가 난간(10)의 상면을 덮도록 안착되거나 난간(10)의 일부를 덮도록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 배치부재(113)는 배치부재(111)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난간(10)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서 측면 배치부재(113)는 배치부재(111)의 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측면에 밀착되거나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 배치부재(113)는 배치부재(111)의 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 배치부재(113)는 배치부재(111)의 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10)의 측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면 배치부재(113)는 제2 측면 배치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배치부재(114)는 측면 배치부재(113)와 대응되도록 배치부재(111)의 저면에 수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 측면 배치부재(114)와 측면 배치부재(113)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공간으로 부품이 장착됨은 물론 장착된 부품은 제2 측면 배치부재(114)와 측면 배치부재(113)에서 돌출된 돌기에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부품이 돌기와 돌기 사이의 홈에 끼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실예에서 배치부(110)는 수분유입방지부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실예에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5)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면 배치부재(112)와 난간(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분유입방지부재(115)가 난간(10)의 상면에 안착된 후, 상면 배치부재(112)의 저면이 수분유입방지부재(115)의 상면을 가압하여 난간(10)의 상면과 상면 배치부재(112) 사이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난간(10)의 상면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5)는 압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착돌기는 수분유입방지부재(115)의 상면 또는/및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압착돌기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수분유입방지부재(115)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압착돌기는 상면 배치부재(112)가 수분유입방지부재(115)를 가압할 때, 상면 배치부재(112)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면 배치부재(112)와 난간(10)의 상면 사이를 좀더 견고하게 밀폐시킴으로써 수분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5)는 난간(10)의 측면과 배치부재(111) 사이에 배치되어 난간(10)의 측면과 배치부재(111)의 마찰력을 높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0)는 배치부(110)를 난간(10)에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0)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는 앵커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0)는 상면 배치부재(112)에 관통된 통공으로 결합되어 난간(1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배치부재(111)를 난간(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0)는 배치부재(111) 또는 측면 배치부재(113)에 관통된 통공으로 결합되어 난간(10)의 측면에 고정됨으로써 배치부재(111)를 난간(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20)는 상면 배치부재(112)와 배치부재(111) 또는 측면 배치부재(113)에 관통된 통공으로 결합되어 난간(10)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배치부재(111)를 난간(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130)는 배치부(110)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빗물은 눈이 녹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130)는 흐름안내부재(131), 슬라이드 안내홈(132), 슬라이드 안내편(13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재(131)는 배치부(110)를 수용할 수 있는 몸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재(131)는 상부 안내부재(131a), 측부 안내부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안내부재(131a)는 상면 배치부재(112)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안내부재(131a)는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안내부재(131a)는 수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안내부재(131a)는 타측 방향 하향으로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부 안내부재(131a)를 통해 빗물이 건물의 옥상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안내부재(131b)는 측면 배치부재(113)의 외부에 위치는 부재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안내부재(131b)는 상부 안내부재(131a)의 일측 방향 단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안내부재(131b)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측부 안내부재(131b)는 하향으로 경사지거나 만곡되게 형성될 수 도 있다. 따라서, 측부 안내부재(131b)를 통해 빗물이 지면으로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재(131)는 가압부재(1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상부 안내부재(131a) 저면에 돌출되어 상면 배치부재(112) 또는 배치부재(111)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상부 안내부재(131a)의 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상부 안내부재(131a)의 저면에 상부 안내부재(131a)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측부 안내부재(131b) 내면에 돌출되어 측면 배치부재(113) 또는 배치부재(111)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측부 안내부재(131b)의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31c)는 측부 안내부재(131b)의 측면에 측부 안내부재(131b)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재(131)는 가이드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편은 흐름안내부재(131)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편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가이드편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안내홈(132)은 흐름안내부재(131)의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안내홈(132)은 상부 안내부재(131a)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측부 안내부재(131b)의 하측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하는 슬라이드 안내편(133)에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안내편(133)은 배치부재(111)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안내편(133)은 상면 배치부재(112)와 측면 배치부재(113) 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안내편(133)에 슬라이드 안내홈(132)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안내편(133)은 측면 배치부재(113) 단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는(130)는 마감부재(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부재(134)는 마감부재(134)에 돌출된 결합돌기가 흐름안내부재(131)에 요입된 결합홈에 결합되면서 흐름안내부재(131)의 측면에 장착되어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흐름안내부(130)는 연결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35)는 흐름안내부재(131)와 이웃하는 흐름안내부재(131')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흐름안내부재(131)와 이웃하는 흐름안내부재(131')를 연결부재(135)로 연결하여 난간(10)의 길이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110: 배치부
111: 배치부재
112: 상면 배치부재
113: 측면 배치부재
114: 제2 측면 배치부재
115: 수분유입방지부재
120: 고정부재
130: 흐름안내부
131: 흐름안내부재
131a: 상부 안내부재
131b: 측부 안내부재
131c: 가압부재
132: 슬라이드 안내홈
133: 슬라이드 안내편
134: 마감부재
135; 연결부재
110: 배치부
111: 배치부재
112: 상면 배치부재
113: 측면 배치부재
114: 제2 측면 배치부재
115: 수분유입방지부재
120: 고정부재
130: 흐름안내부
131: 흐름안내부재
131a: 상부 안내부재
131b: 측부 안내부재
131c: 가압부재
132: 슬라이드 안내홈
133: 슬라이드 안내편
134: 마감부재
135; 연결부재
Claims (8)
-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건물의 난간에 배치되는 배치부;
상기 배치부를 난간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배치부 슬라이드 결합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안내부를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는,
상기 난간에 배치되는 배치부재;
상기 배치부재에서 수평으로 돌출되어 난간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면 배치부재; 및
상기 배치부재에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난간의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배치부재를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배치부재와 대응되도록 배치부재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 측면 배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 배치부재와 난간 사이에 배치되는 수분유입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안내부는,
상기 배치부를 수용하는 흐름안내부재;
상기 흐름안내부재의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홈; 및
상기 슬라이드 안내홈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배치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편을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안내부재는,
상기 상면 배치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안내부재; 및
상기 상부 안내부재 일측에서 연장되어 측면 배치부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측부 안내부재를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부재 및 측부 안내부는 경사지거나 만곡되어 형성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안내부재의 저면에 돌출되어 상면 배치부재 또는 배치부재 상면에 안착되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659A KR20240141389A (ko) | 2023-03-20 | 2023-03-20 |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5659A KR20240141389A (ko) | 2023-03-20 | 2023-03-20 |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1389A true KR20240141389A (ko) | 2024-09-27 |
Family
ID=9291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5659A Pending KR20240141389A (ko) | 2023-03-20 | 2023-03-20 |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4138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1520B1 (ko) | 2015-10-20 | 2017-05-30 | 백종원 |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
-
2023
- 2023-03-20 KR KR1020230035659A patent/KR20240141389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1520B1 (ko) | 2015-10-20 | 2017-05-30 | 백종원 |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7960B2 (en) | Deck flashing trim system | |
KR20240141389A (ko) | 오염차단 기술을 가진 웨인스코팅 | |
KR101741520B1 (ko) | 옥상 난간용 얼룩방지장치 | |
JP2524310B2 (ja) | 縦葺き屋根構造及びその施工法 | |
KR102020875B1 (ko) | 오염 방지 조인트 복합패널을 포함하는 구조물 및 설치방법 | |
KR102229783B1 (ko) | 건물 옥상바닥 코너부의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847057B1 (ko) | 건축용 외부 마감재 | |
KR200472551Y1 (ko) | 채광 패널 구조물 | |
KR200279221Y1 (ko) | 난간 | |
KR200169887Y1 (ko) | 난간용 두겁대 | |
KR102636328B1 (ko) |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 |
KR200237923Y1 (ko) | 한옥용 지붕마루 부재 | |
JP3883545B2 (ja) | 屋外床板接続具及びそれを用いた屋外床並びに屋外床の施工方法 | |
KR102278358B1 (ko) | 데크 및 이를 이용한 난간구조 | |
JP6871033B2 (ja) | 雪止部材、屋根構造および建物 | |
JP7144985B2 (ja) | 屋根構造及び屋根板 | |
JP6233951B2 (ja) | 笠木用水切り部材 | |
JPS6337363Y2 (ko) | ||
JP7144984B2 (ja) | 建築板 | |
KR20240010210A (ko) | 마감재를 이용한 난간 시공구조 | |
JP3528706B2 (ja) | 屋根の止水構造 | |
KR100777866B1 (ko) | 건축물 시공용 난간 지주어셈블리 | |
JPH0524741Y2 (ko) | ||
JPH1113131A (ja) | バルコニー笠木の取付構造 | |
JP2019044527A (ja) | 階段の踊場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