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41264A -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 Google Patents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41264A
KR20240141264A KR1020247026971A KR20247026971A KR20240141264A KR 20240141264 A KR20240141264 A KR 20240141264A KR 1020247026971 A KR1020247026971 A KR 1020247026971A KR 20247026971 A KR20247026971 A KR 20247026971A KR 20240141264 A KR20240141264 A KR 2024014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ntoon
hull
structures
hull structure
colum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6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레드릭 아르비드손
원강 리우
요아킴 닐손
로베르트 루드비그손
지미 본데손
Original Assignee
바소에 테크놀로지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2250022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837C2/en
Priority claimed from SE2250021A external-priority patent/SE2250021A1/en
Priority claimed from SE2250755A external-priority patent/SE2250755A1/en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1037940.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6443192A/zh
Priority claimed from SE2251139A external-priority patent/SE545506C2/en
Application filed by 바소에 테크놀로지 아베 filed Critical 바소에 테크놀로지 아베
Publication of KR2024014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4126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07Semi-submersibles; Small waterline area multiple hull vessels and the like, e.g. SW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003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ansporting very large loads, e.g. offshore structu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63B77/1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power plants, e.g. wind turbines or tidal turbine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03D13/256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on a floating support, i.e. floating win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2001/04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with a small waterline area compared to total displacement, e.g. of semi-submersi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2001/128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underwater connectors between th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6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wind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41/00Design characteristics
    • B63B2241/20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41/24Designs or arrangements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for facilitating transport, e.g. hull shape with limited dim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7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ubmerg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 (100)을 위한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에 관한 것이며, 선체 구조(10)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2, 3);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제2 및 제3 세장형 잠수 폰툰 구조들(11, 12, 13)을 포함하고; 선체 구조(10)는 수평면 내에 삼각형의 일반 형상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삼각형의 변들을 형성하고; 폰툰 구조들(11 내지 13)은 그의 하부 부분들(1c, 2c, 3c)에서 칼럼들(1 내지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에 연결되고; 제3 폰툰 구조(13)는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13a)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상부 측면(11a, 12a)보다 수평 방향으로 하위 레벨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 위에 상기 유형의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유형의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운반하기 위한 해양 선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본 발명은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hull structur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 위에 상기 유형의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유형의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운반하기 위한 해양 선박에 관한 것이다.
해상 풍력, 즉 전기를 생산하는 해상 기반 풍력 발전소들/터빈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풍력 터빈은 고정된 수중 기초(foundation)를 가질 수 있거나, 특히 약 50 내지 60 m보다 더 큰 수심들에서, 하단에 정착된(anchored) 부유 플랫폼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부유 풍력 터빈 플랫폼은 풍력 터빈 타워가 배열되는 반잠수 선체 구조를 포함하는 반잠수 유형일 수 있다. 선체 구조는 전형적으로 잠수 부력 폰툰들(pontoons) 또는 다른 연결 부재들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안정화 부력 칼럼들(columns)로 구성된다. 터빈 타워는 일반적으로 칼럼들 중 하나 위에 배열된다.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의 일 예는 WO2021/219787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플랫폼들은 대형 구성들이다. 예를 들어, 10 MW 풍력 터빈 플랫폼의 각각의 칼럼은 30 m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칼럼들 사이의 거리는 60 내지 80 m일 수 있다. 선체 구조의 총 중량은 3000 톤 초과일 수 있다. 터빈 타워는 해발 150 m까지 연장될 수 있고 각각의 터빈 블레이드는 100 m 초과 길이일 수 있다.
해상 풍력 분야의 과제는 반잠수 플랫폼들의 제조, 운송 및 설치이다. 풍력 터빈 타워 및 블레이드들 등이 설치된 플랫폼의 견인은 복잡하고 어려우며, 이러한 완전한 플랫폼에 대한 견인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터빈 타워 및 터빈 블레이드들 등이 최종 해상 위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보호 위치 내의 선체 구조 위에 설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운송 문제는 선체 구조가 보호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건설 현장에서 제조되면, 예를 들어 보호 위치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이용가능한 이러한 크고 무거운 선체 구조들에 적절한 건설 현장이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체 구조들은 상대적으로 긴 거리로 운송될 필요가 있다.
반잠수 풍력 발전 터빈 플랫폼들에 관한 추가 과제는 플랫폼이 가혹한 해상 조건들 하에도 견고하고 안정적이도록 그리고 플랫폼이 이러한 조건들 하에 수년간의 동작을 견디도록 선체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다.
물론, 더 추가 과제는 플랫폼 또는 선체 구조의 제조, 운송, 설치, 운영 등이 해상 풍력에 대한 관심을 유지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비용 효율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 구조가 해양 운송 선박 위로의 적하(stowing)/적재(loading)와 관련하여 개선된 특성들을 나타내는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선체 구조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국 선체 구조들의 더 비용 효율적인 운송을 제공한다. 추가 목적은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 위에 이러한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체 구조는 반잠수 풍력 발전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에 관한 것이며, 선체 구조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 및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세장형 잠수 부력 폰툰 구조들을 포함하고; 선체 구조는 수평면 내에 삼각형의 일반 형상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폰툰(pontoon) 구조들은 삼각형의 변들을 형성한다.
제1 폰툰 구조는 제1 및 제2 칼럼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제1 폰툰 구조는 제1 및 제2 칼럼들 각각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제2 폰툰 구조는 제2 및 제3 칼럼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제2 폰툰 구조는 제2 및 제3 칼럼들 각각의 하부 부분에 연결된다. 추가로, 제3 폰툰 구조는 그의 하부 부분들에서 제1및 제3 칼럼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한다.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 각각은 상방을 향한 상부 측면을 갖는다.제3 폰툰 구조는 그의 상부 측면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상부 측면보다 하위 레벨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요컨대 본 개시의 선체 구조는 주로 수평면 내의 Δ 형상과 유사하며 3개의 부유 폰툰 구조들은 삼각형의 변들을 형성하고 삼각형/Δ 형상의 코너들에 위치된 3개의 칼럼들을 연결한다. 풍력 터빈 타워는 3개의 칼럼들 중 하나 상에, 또는 대안적으로 선체 구조 위에 배열된 추가 칼럼 또는 지지대 상에 배열될 수 있다. Δ 형상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플랫폼의 양호한 안정성 및 견고성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선체 구조의 특정 배열은제3 폰툰 구조에서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상부 측면보다 수평 방향으로 하위 레벨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는 것이다. 전형적인 예에서, 3개의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수평면 내에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바람직하게는 또한 3개의 칼럼들의 하부 측면들과 정렬되어 전체 선체 구조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부 측면을 형성한다(이는 따라서 생산 동안 평평한 지면 상에 안정되게 유지됨). 제3 폰툰 구조의 높이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높이 미만이라면, 이러한 전형적인 선체 구조 예에 대해서는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상부 측면보다 수평 방향으로 하위 레벨에 위치될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특정 배열, 즉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상부 측면보다 하위 레벨 상에 있는 경우는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로 그리고 이 위에 인접한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제2 선체 구조(즉, 제2 칼럼이 위치되는 Δ 형상의 에지)를 부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해양 운송 선박 위에 효율적으로 상기 유형의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하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제2 선체 구조는 이러한 방식으로 적하될 때, 수평면 내에 약간 경사 위치를 점유하고 제1 선체 구조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되고(제3 폰툰 구조 및 예를 들어 제1 선체 구조의 특정 지지 표면은 제2 선체 구조를 지지함) 해양 선박의 갑판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된다(제2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및 가능하게는 또한 그의 제1 및 제3 칼럼들은 갑판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됨). 몇 개의 Δ 형상 선체 구조들의 로우(row)는 이러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적하될 수 있으며, 로우 내의 적어도 제2, 제3, 제4 등의 선체 구조는 약간 경사 위치를 점유하고 로우 내의 제1 선체 구조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지 않을 수 있다. 적하 배열의 구조 및 적하를 달성하기 위한 절차는 아래에 추가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위에 주어진 바와 같은 선체 구조를 설계하는 주요 효과는 예를 들어, 건설 현장에서 풍력 터빈이 설치될 보호 위치까지의 운송을 위해 더 높은 수의 플랫폼들이 동일한 해양 운송 선박 위에 적재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결국 운송 비용들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Δ 형상 선체 구조들은 해양 운송 선박들 상에 임의의 특별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적하되도록 적응되지 않는다. 운송이 논의되는 경우, 하나의 아이디어로는 다른 선체 구조 옆의 선체 구조를 해양 선박 위에 단순히 배치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효율적인 적하가 아니다. 종래의 Δ 형상 선체 구조들의 3개의 연결 또는 폰툰 구조들은 전술된 유형의 효율적인 적재를 허용하기에 너무 많이 크고 높다.
다른 아이디어는 예를 들어, 폰툰 구조들 중 하나가 각각의 단부에서 칼럼에 아직 연결되지 않은 별도의 부분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적하 효율을 증가시키는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에서만 선체 구조들을 운송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거나 적어도 복잡하거나 비용이 많이 드는 운송 후에 고급 조립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선체 구조는 종래의 방식으로 설계되고 해양 선박 위에 나란히 배치되었으면 유사한 크기의 2개의 선체 구조들만을 운반할 수 있는 해양 선박 상에 약 4개 내지 5개의 선체 구조들을 운송하는 것을 제공한다. 대형 선체 구조들의 운송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운송 선박이 더 많은 수의 선체 구조들을 가지고 있게 함으로써 상당한 비용 효율이 달성될 수 있다.
플랫폼 및 선체 구조가 반잠수인 것은 동작 중일 때 플랫폼/선체 구조가 수면 아래에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전체 폰툰 구조들 및 칼럼들의 부분들은 전형적으로 표면 아래에 위치되어야 한다. 하단에 플랫폼/선체 구조의 정착/고정은 상이한 방식들, 예를 들어 커티너리(catenary) 계류(mooring), 타우트-레그(taut-leg) 계류 또는 텐던(tendon) 계류로 배열될 수 있다.
폰툰 구조가 칼럼의 하부 부분에 배열되는 것은 칼럼의 하부 영역 어딘가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반드시 칼럼의 가장 낮은 단부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칼럼들의 하부 영역, 및 따라서 폰툰 구조들은 전형적으로 플랫폼이 동작 중일 때 잠수될 것이다.
제3 폰툰 구조의 폭 및 길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을 갖고,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수평면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전체 선체 구조의 밑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을 갖고,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이들보다 하위 레벨에 위치된다.
이러한 플랫폼들은 전술된 것과 동일한 효율적인 방식으로 적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들이 경사 위치 내에 적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적하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에 따라, 제1 플랫폼의 제2 칼럼은 플랫폼들이 적하될 때, 제2 플랫폼의 제3 폰툰 구조 위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유사한 플랫폼들의 로우의 단부에 위치된 플랫폼과 같이, 이용가능한 제3 폰툰 구조가 없을 때 수평 위치 내에 이러한 플랫폼을 유지하기 위해, 제2 칼럼 아래에 별도의 지지 구조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제2 부력 안정화 칼럼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의 (제1) 부분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의 다른(제2) 부분은 하위 레벨에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하위 레벨에 위치된 (제2) 부분은 제3 폰툰의 밑면뿐만 아니라 제1 및 제3 칼럼들 각각의 밑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제1 플랫폼은 제2 플랫폼에 가깝게 적하될 수 있으며 그 하부 측면의 제1 부분은 제2 플랫폼의 제3 폰툰 위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 칼럼의 하부 측면의 제2 저레벨(low-level) 부분은 수평 위치 내에 플랫폼을 유지하는 지면(또는 선박 갑판)을 향해 지지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은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은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 각각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의 다른 부분은 상위 레벨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높이 미만이며, 즉 수직 방향에서의 제3 폰툰 구조의 두께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두께 미만이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선체 구조들을 효율적으로 적하하는 절차를 단순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적용들에서 유용하다. 추가로, 칼럼들은 제3 폰툰 구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아래로 길게 연장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일부 적용들에서, 전형적으로 폰툰 구조들의 높이/두께가 상대적으로 낮은/작은 경우,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높이 미만이 아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의 75%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이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의 높이는 약 7 m인 한편,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약 3 m이며, 따라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높이의 50% 미만이다. 추가 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2 내지4 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봐 더 작은 적어도 1 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 또는 적어도 3 m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선체 구조는 정삼각형의 일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 구조는 i) 제1 폰툰 구조의 중심 세로 축과 제2 폰툰 구조의 중심 세로 축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1 각도; 및 ii) a) 제1 안정화 칼럼의 중심점과 제2 안정화 칼럼의 중심점 사이의 제1 가상선과 b) 제2 안정화 칼럼의 중심점과 제3 안정화 칼럼의 중심점 사이의 제2 가상선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2 각도를 나타내며, 제2 각도는 제1 각도보다 더 크다.
이것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이 제2 및 제1 또는 제3 칼럼의 중심점들 사이의 대응하는 가상 직선을 따라 또는 이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칼럼들의 중심점들에 의해 주어진 방향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2 각도가 제1 각도보다 더 큰 것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연장의 편향 방향이 직선 폰툰 구조가 제2 칼럼의 외부 측면 부분으로부터 제1 또는 제3 칼럼의 내부 측면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더 의미하며, 여기서 "외부" 및 "내부"는 수평면 내의 선체 구조의 중심점을 지칭하지만, 직선 폰툰 구조가 제2 칼럼의 내부 측면 부분으로부터 제1 또는 제3 칼럼의 외부 측면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위에 언급된 중심점들은 그의 하부 부분들과 연관된 레벨에서 칼럼들의 센트로이드들(centroids)에 대응한다.
선체 구조가 상기에 따라 제1 및 제2 각도들을 나타내도록 선체 구조를 배열하는 효과는 적하 효율을 더 개선하는 것이며; 선체 구조들은 훨씬 더 단단히 적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각도들 및 그들의 관계가 실제로 이러한 효과를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래에 더 설명되고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은 적어도 그 길이의 주요 부분을 따라, 제2 안정화 칼럼의 하부 부분의 폭 미만인 폭을 갖는다. 즉,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일반 폭은 폰툰 구조들이 연결되는 제2 칼럼의 부분에서 제2 칼럼의 폭 미만이다. 제2 칼럼은 원뿔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안정화 칼럼의 하부 부분의 폭은 각각의 폰툰 구조의 세로 축에 수직인 방향의 폭을 의미한다. 제2 안정화 칼럼의 하부 부분의 폭은 원형 단면을 가지면 제2 칼럼의 직경이거나, 더 일반적으로 단면이 예를 들어 다각형이면 대향 측면들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은 또한 제1 및 제3 칼럼의 폭 미만인 폭을 갖는다.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이 제2 칼럼보다 더 좁은 것은 위에 언급된 제1 및 제2 각도들을 배열하는 것과 조합하여 특히 유용하다. 그 다음, 이들 각도들은 외부 측면, 즉 선체 구조로부터 옆으로 멀리 향하는 폰툰 구조의 측면이 제2 칼럼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제1 거리에 위치되는 한편 폰툰 구조의 내부 측면(그의 외부 측면에 대향함)이 제2 칼럼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제2 거리에 위치되도록 제1 또는 제2 폰툰 구조를 위치시킴으로써 배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보다 더 짧다. 그 다음, 폰툰 구조의 다른 단부는 제2 각도가 제1 각도보다 더 커지도록 제1 또는 제3 칼럼에 적절히 위치되어야 한다. 폰툰 구조의 이러한 다른 단부는 제1 또는 제3 칼럼에 대해 중심에 위치될 수 있거나, 제1 및 제2 각도들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또는 제3 칼럼의 내부 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은 선체 구조로부터 옆으로 멀리 향하는 외부 측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측면은 제2 안정화 칼럼의 외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폰툰 구조의 외부 측면은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지면) 제2 칼럼의 구부러진 측면 섹션과 실질적으로 접선이거나 (예를 들어, 다각형 단면을 가지면) 제2 칼럼의 평면 표면 섹션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또는 제3 칼럼의 내부 측면에 가깝거나 이와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1 또는 제3 칼럼에 폰툰 구조의 다른 단부를 배열하는 것과 조합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및 제2 각도들 사이의 큰 차이를 제공하고 적하 효율을 개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각각은 선체 구조로부터 옆으로 멀리 향하는 외부 측면 및 선체 구조를 향해 내부로 안쪽으로 향하는 내부 측면을 가지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의 내부 측면이 제2 안정화 칼럼의 외부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안정화 칼럼의 측면에 대해 위치되는 것보다 그의 외부 측면이 제2 안정화 칼럼의 대응하는 외부 측면에 더 가깝게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폰툰 구조는 제2 칼럼의 중앙에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외부 측면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폰툰 구조의 외부 측면은 제2 안정화 칼럼의 외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제1 및 제2 각도들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칼럼에 폰툰 구조의 고정은 전형적으로 폰툰 구조의 외부 측면과 칼럼 사이에 약간의 거리가 있으면, 즉 폰툰 구조의 외부 측면들과 칼럼이 완전히 정렬되지 않으면 단순화된다. 폰툰 구조의 외부 측면들 및 제2 칼럼을 완전히 정렬하지 않는 추가 이유는 약간의 거리가 운송 선박 위에 적하된 인접한 선체 구조들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소망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의 적어도 외부 부분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경사는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의 외부 부분이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의 내부 부분보다 상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내부 부분은 외부 부분보다 제2 안정화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따라서, 경사 표면은 약간 경사 위치에서 해양 선박 위에 적하될 때 선체 구조를 위한 지지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 상에 제공된다. 지지 표면의 경사는 적하된 선체 구조의 경사 위치에 대응해야 한다. 이러한 기울기의 정확한 측정은 선체 구조의 정확한 측정들에 의존하고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선체 구조의 크기 및 유형에 따라 변한다. 5 내지 15° 간격의 경사 각도는 대부분의 적용들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가능하게는, 8 내지 10°가 적절한 간격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3 안정화 칼럼들의 하부 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며, 경사는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제1 및 제3 칼럼들이 운송 선박의 갑판 위에 위치되면, 선체 구조는 또한 제1 및 제3 칼럼들에 경사 지지 표면이 제공되는 경우 더 잘 지지된다. 선체 구조들의 크기 및 운송 선박의 폭에 따라, 제1 및 제3 칼럼들은 선체 구조들이 선박 위에 배열될 때, 그의 대향 측면들 상에서, 갑판 외부에 위치되게 하는 것일 있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제1 및 제3 칼럼들에 경사 지지 표면들을 제공할 시에 장점이 여전히 있을 수 있는 데, 이는 간단히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동일한 경사를 갖는 표면들을 연결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기 때문임).
일 실시예에서,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경사는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의 외부 부분이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의 내부 부분보다 하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내부 부분은 외부 부분보다 제2 안정화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것은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상에 경사 지지 표면을 형성한다. 그것은 해양 운송 선박 위에 적하될 선체 구조들의 로우 내의 적어도 제1 선체 구조에 이러한 경사 지지 표면이 제공되면 장점인 데, 왜냐하면 이는 제1 선체 구조가 로우 내의 다른 선체 구조를 위한 경사 지지 표면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선박 위에 수평으로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은 본 실시예에서 수평일 수 있다.
하부 측면 상의 경사 지지 표면에 대해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또한 상부 지지 표면의 경사는 적하된 선체 구조, 즉 "다음" 선체 구조의 경사 위치에 대응해야 한다. 또한, 경사는 5 내지 15°, 또는 8 내지 10°일 수 있다. 로우를 따르는 "다음" 선체 구조 및 추가 선체 구조들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선체 구조들의 하나의 세트 또는 로우 내의 하나 초과의 선체 구조에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상의 경사 지지 표면을 제공할 시에 임의의 장점이 없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로우 내의 제1 선체 구조는 선박의 갑판 위에 배열된 특수 지지대들을 사용하여 경사 위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선체 구조들의 하나의 세트 또는 로우 내의 선체 구조들 중 어느 하나에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상의 경사 지지 표면을 제공할 시에 임의의 장점이 아닐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 구조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의 제2 안정화 칼럼에 배열된 지지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구조는 선체 구조를 전체적으로 강화할 뿐만 아니라 지지 구조가 제공된 선체 구조에 그리고 이 위에 부분적으로 적하된 추가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을 위한 지지 표면을 제공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지지 구조에는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높이에 배열된 지지 표면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 표면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상부 측면들 아래에 위치될 것이다. i)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하부 부분들 사이의 제2 칼럼에서의 이러한 지지 표면 및 ii)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의 조합은 지지 구조가 제공된 선체 구조에 그리고 이 위에 부분적으로 적하된 추가 선체 구조를 위한 양호한 지지를 함께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 구조는 물에 떠 있을 때 선체 구조의 경사의 제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가능한 밸러스트(ballast)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가능한 밸러스트 시스템이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의 동작 동안 유용할 뿐만 아니라,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해양 운송 선박 위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전에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배열할 때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수면 아래의 일부에서 하부 위치로 하강되고 상부 위치로 상승되고 선박 위의 수면에 위치되는 선박 화물 위에 적재되도록 구성된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 위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상기 유형의 적어도 제1 및 제2 선체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해양 선박들 그와 같이 공지되어 있다. 운송 동안, 선체 구조들은 수면 위에 위치된다.
방법은: 물에 떠 있는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해양 선박이 그하부 위치에 있을 때 해양 선박 위의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 및 해양 선박 위에 선체 구조들의 로우를 적재하기 위해 해양 선박을 그 상부 위치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는 제2 선체 구조가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3 칼럼들보다 제1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2 선체 구조가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에서 제1 선체 구조에 인접한 위치에 부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경사 위치 내에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예를 들어 밸러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제1 선체 구조는 다소 수평으로 위치되고 약간 더 깊은 흘수(배수심, draught)로 적재될 수 있는 한편, 제2 선체 구조는 제3 폰툰 구조가 수면 아래의 약간의 거리에 위치되도록 그리고 제2 선체 구조의 하부 측면이 수면에 가깝게 위치된 상태에서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이 상승되도록 경사 위치 내에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는 선체 구조 위에 배열된 제어가능한 밸러스트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제2 선체 구조를 제1 선체 구조에 가까운 위치 내에 견인한 후에, 2개의 선체 구조들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행 내의 제2 선체 구조에 인접하여 위치될 제3 선체 구조는 유사한 경사 위치 내에 설정되고, 제 자리로 견인되고 제2 선체 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유사한 절차는 예를 들어, 5개의 선체 구조들의 로우를 형성하기 위해 제4 및 제5 선체 구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내의 제1 선체 구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의 제2 안정화 칼럼에 배열된 지지 구조가 제공되며, 방법은: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을 제1 폰툰 구조의 지지 구조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는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지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체 구조들의 세트 내의 모든 선체 구조들에는 이러한 지지 구조가 제공된다. 그 다음, 방법은: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을 제1 선체 구조의 지지 표면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2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을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선체 구조는 인접한 제1 선체 구조의 지지 표면 및 제3 폰툰 구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선체 구조들이 선박 위에 적재될 때, 제2 구조는 또한 선박의 갑판 위에 위치되는 그 자체 제3 폰툰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내의 제1 선체 구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상에 경사 지지 표면이 제공된다. 그 다음, 제1 선체 구조는 적절한 경사 지지 표면을 여전히 제공하면서 선박 위에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추가 지지 부재는 로우 내의 다음 선체 구조를 위한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내의 제2 선체 구조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및 가능하게는 또한 제1 및 제3 칼럼들의 하부 측면들) 상의 경사 지지 표면이 제공된다. 그 다음, 제2 선체 구조는 적절한 경사 지지 표면이 선박의 갑판을 향하는 상태에서 선박 위로의 약간 경사 위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은 인접한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가로,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에 가까운 제1 선체 구조의 지지 표면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는: 제2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가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3 칼럼들보다 제1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운반하는 해양 선박에 관한 것이며,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상기 유형의 적어도 제1 및 제2 선체 구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로우 내에 배열되며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제2 선체 구조는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 위로(위에) 위치되며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3 칼럼들보다 제1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제1 선체 구조의 위에 언급된 지지 표면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선박 위에 적재될 때, 선체 구조들의 로우 내의 적어도 제3 선체 구조는 인접한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의 지지 표면 및 상부 측면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선박의 갑판 위에 위치되는 그 자체 제3 폰툰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체 구조가 해양 운송 선박 위로의 적하/적재와 관련하여 개선된 특성들을 나타내는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선체 구조의 견고성 및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결국 선체 구조들의 더 비용 효율적인 운송을 제공한다. 추가 목적은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 위에 이러한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에 주어진 본 발명의 설명에서, 이하의 도면이 참조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제2 실시예의 상면도(도 2a) 및 종단면도(도 2b)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제3 실시예의 상면도(도 3a) 및 종단면도(도 3b)를 도시한다.
도 4는 풍력 터빈 타워를 위한 지지대가 더 제공된, 도 3a 및 도 3b의 선체 구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의 제1 세트를 개략적인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의 제2 세트를 개략 측면도들로 도시하며(도 6b), 우측에 대한 제1 선체 구조는 특수 설계를 갖는다(도 6a).
도 7a 및 도 7b는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의 세트의 제1 및 제2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a 및 도 7b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 위에 배열하는 방법을 단계별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상이한 선체 구조 설계를 갖는 선체 구조들의 세트들 사이의 적하 효율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를 포함하는 반잠수 풍력 발전 터빈 플랫폼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추가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로우 내에 적하된 도 12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1에 따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로우 내에 적하된 도 14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선체 구조의 더 추가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100)을 위한 선체 구조(10)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선체 구조(10)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2, 3) 및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세장형(elongated) 잠수 폰툰(pontoon) 구조들(11, 12, 13)을 포함한다. 선체 구조(10)는 수평면 내에 삼각형의 일반 형상을 가지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삼각형의 변들을 형성한다. 이 예에서,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선체 구조는 대략 설명하면, 각각의 코너에 칼럼과 정삼각형을 형성한다.
크기의 일 예로서, 칼럼(1, 2, 3)은 약 30 내지 35 m의 높이 및 약 13 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폰툰 구조들(11, 12, 13) 각각은 대략 50 내지 70 m의 길이 및 6 내지 10 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높이는 6 내지 9 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폰툰 구조(11)는 제1 및 제2 칼럼(1, 2)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제1 폰툰 구조(11)는 제1 및 제2 칼럼들(1, 2) 각각의 하부 부분(1c, 2c)에 연결된다. 제2 폰툰 구조(12)는 제2 및 제3 칼럼(2,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제2 폰툰 구조(12)는 제2 및 제3 칼럼들(2, 3) 각각의 하부 부분(2c, 3c)에 연결된다. 제3 폰툰 구조(13)는 제1 및 제3 칼럼(1,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제3 폰툰 구조(13)는 제1 및 제3 칼럼들(1,3) 각각의 하부 부분(1c,3c)에 연결된다. 칼럼들(1, 2, 3)의 하부 부분들(1c, 2c, 3c)은 이 경우에 칼럼들의 가능한 가장 낮은 부분이다. 모든 3개의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이 경우에 부력 폰툰 구조들이다.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11b, 12b, 13b)을 갖는다. 이들 하부 측면들(11b, 12b, 13b)은 수평면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또한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2, 3)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1b, 2b, 3b)과 정렬된다.
추가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제2 안정화 칼럼(2)의 하부 부분(2c)의 폭 미만인 폭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직선이고 불변 폭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은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3 폰툰 구조(13)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높이 미만인 높이를 갖는다. 도 1의 폰툰 구조들은 동일한 레벨 상에 배열되기 때문에, 제3 폰툰 구조(13)는 그 상부 측면(13a)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상부 측면(11a, 12a)보다 수평 방향으로 하위 레벨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3 폰툰 구조(13)의 특정 구조 및 배열의 주요 목적은 해양 운송 선박 상에 선체 구조들의 더 공간 효율적인 적하를 허용하고 선박이 더 높은 수의 선체 구조들을 운반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제3 폰툰 구조(13)의 높이는 약 3 m인 반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높이는 약 7 m이다. 따라서, 제3 폰툰 구조(13)의 높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50% 미만이다.
선체 구조(10)에는 물에 떠 있을 때 선체 구조(10)의 경사의 제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가능한 밸러스트 시스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더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선체 구조들의 실시예들은 주로 도 1에 도시된 선체 구조(10)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조화되고, 따라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모든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사용되었다.
도 2a 및 도 2b는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100)을 위한 선체 구조(20)의 제2 실시예의 상면도(도 2a) 및 종단면도(도 2b)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구조(20)는 제1 폰툰 구조(11)의 중심 세로 축(11c)과 제2 폰툰 구조(12)의 중심 세로 축(12c)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1 각도(α)(즉,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중심선 축들 사이의 각도)를 나타낸다. 선체 구조(20)는 a) 제1 안정화 칼럼(1)의 중심점과 제2 안정화 칼럼(2)의 중심점 사이의 제1 가상선(21)과 b) 제2 안정화 칼럼(2)의 중심점과 제3 안정화 칼럼(3)의 중심점 사이의 제2 가상선(22)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2 각도(β)를 더 나타낸다. 도 2a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각도(β)는 제1 각도(α)보다 더 크다. 이것은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체 구조들의 적하의 공간 효율을 더 개선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은 경사 표면(130)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경사는 수평면에 대해 각도(γ)를 갖고,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외부 부분이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내부 부분보다 상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지향되며, 내부 부분은 외부 부분보다 제2 안정화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경사 표면(130)은 운송 선박의 갑판 위의 약간 경사 위치로(각도(γ)로) 적하될 때 선체 구조(20)를 위한 지지 표면을 형성하며, 이는 아래에 더 설명된다. 또한, 제1 및 제3 안정화 칼럼들(1, 3)의 하부 측면(1b, 3b)의 일부는 경사 표면(130)에 대응하도록 수평면에 대한 각도(γ)로 경사진다.
선체 구조(20)에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의 제2 안정화 칼럼(2)에 배열된 지지 구조(5)가 더 제공된다. 지지 구조(5)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및 또한 전체 선체 구조(20)을 연결한다. 지지 구조(5)는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에 연장되는 지지 표면(6)을 포함한다. 지지 표면(6)은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운송 선박 위에 적하할 때 인접한 선체 구조를 위한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한다.
선체 구조(20)에는 폰툰 구조들(11, 12, 13)과 주로 유사한 방식으로 칼럼들(1, 2,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브레이스들(7)이 더 제공되지만, 브레이스들은 칼럼들(1, 2. 3)의 상부 부분들 사이에 배열된다. 제1 및 제3 칼럼들(1, 3) 사이의 브레이스는 선체 구조가 운송을 위해 적하될 때(적하되어야 할 때) 그것이 가까운 적하를 방해하기 때문에 장착되지 않는다. 그러한 브레이싱의 단부 부분들은 제1 및 제3 칼럼들에 프리픽스될 수 있고, 나머지 부분은 운송 후에 장착될 수 있다. 운송 후에 브레이스의 조립은 일반적으로 너무 복잡하지 않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b의 선체 구조들 사이의 추가 차이는 도 2a 내지 도 2b의 선체 구조(20)의 제2 칼럼(2)이 제1 및 제3 칼럼(1, 3)에 비해 (직경이) 약간 더 크다는 것이다. 이것의 목적은 제2 칼럼(2) 위에 풍력 터빈 타워를 배열하기 위해 더 양호한 지지 조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 목적은 제2 칼럼의 더 큰 직경이 더 큰 단면적을 의미하기 때문에 선체 구조의 세로 부유 중심(longitudinal center of flotation, LCF)을 조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선체 구조/플랫폼이 동작 중일 때 제2 칼럼이 다른 칼럼들보다 더 큰 수면 구역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고, 폰툰 구조들은 수면 아래에 위치되고 칼럼들은 수면을 통해 연장된다. LCF의 위치는 칼럼의 수면 구역들에 의존하고 LCF를 조정하는 것은 공해에서의 동작 동안 선체 구조/플랫폼의 움직임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선체 구조(30)의 제3 실시예의 상면도(도 3a) 및 종단면도(도 3b)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b의 선체 구조(30)는 주로 도 2a 내지 도 2b의 선체 구조(20)와 유사하다. 차이는 주로 선체 구조(30)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이 제1 각도(α)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제2 각도(β)와 제1 각도(α)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키도록 배열된다는 것이다. 제1 각도(α)는 더 큰 직경을 갖는 제2 칼럼을 사용함으로써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선체 구조(30)로부터 옆으로 멀리 향하는 외부 측면(11d, 12d)을 갖는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은 각각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외부 측면(11d, 12d)이 제2 안정화 칼럼(2)의 외부 측면(2d)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대향 단부들은 각각 제1 및 제3 안정화 칼럼(1, 3)의 내부 측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제2 각도(β)와 제1 각도(α) 사이의 이러한 추가 증가된 차이는 선체 구조(30)가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해양 운송 선박 위에 적하될 능력을 더 개선한다.
도 4는 제2 안정화 칼럼(2)의 상단에 배열된 풍력 터빈 타워를 위한 인터페이스/지지대(101)가 더 제공되는, 도 3의 선체 구조(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65)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20, 30)의 제1 세트, 이 예에서 5개의 선체 구조들을 개략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5의 선체 구조들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유형일 수 있다. 모든 5개의 선체 구조들은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 상의 경사 표면(130)에 대응하는 경사 각도(γ)를 갖는 경사 위치를 점유한다. 맨 오른쪽의 선체 구조는 선박의 갑판(65) 상에 배열된 지지대(66)에 의해 그 제2 칼럼(2) 아래에 지지된다. 나머지 선체 구조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적하되고 지지되며, 즉, 제2 칼럼(2)은 인접한 선체 구조의 지지 표면(6)에 의해 지지되고 경사 지지 표면(130)은 갑판(65)과 같은 높이이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추가로, 이들 나머지 선체 구조들 모두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은 인접한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13) 위에 위치되고 이에 의해 지지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해양 운송 선박의 갑판(65)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20, 30, 40)의 제2 세트, 이 예에서 5개의 선체 구조들을 개략 측면도들로 도시하며(도 6b), 우측에 대한 제1 선체 구조(40)는 특수 설계를 갖는다(도 6a). 나머지 4개의 선체 구조들(20, 30)은 도 2a 또는 도 3a에 도시된 유형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 선체 구조(40)에는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 상의 임의의 경사 표면(130)이 제공되지 않으며; 대신에 하부 측면(13b)은 평평하다. 그러나, 선체 구조(40)의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은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상부 경사 표면(140)을 형성하기 위해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경사는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의 외부 부분이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의 내부 부분보다 하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며, 내부 부분은 외부 부분보다 제2 안정화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이것은 특수 선체 구조(40)가 갑판(65) 위에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고 배치되어야 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 구조들의 로우 내에 단부 구조("제1"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형성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이러한 제1 선체 구조(40)는 갑판(65) 위의 매우 안정적인 위치 내에 설정되고, 어떠한 추가 갑판 지지대(66)도 경사 위치 내에 이러한 선체 구조를 설정하기 위해 필요하지 않다. 제1 선체 구조(40)에 인접한 다음(제2) 선체 구조(20, 30)는 경사 위치를 점유하고, 도 5에서와 같이 제1 선체 구조(40)의 상부 경사 표면(140)뿐만 아니라 그 자체 하부 경사 표면(130)에 의해 지지된다. 추가 지지대(67)는 제2 선체 구조(20, 30)의 제2 칼럼(2) 아래에 배열될 수 있다. 나머지 3개의 선체 구조들(20, 30)은 도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하된다.
도 7a 내지 도 7b는 수면 아래의 일부에서 하부 위치로 하강되고 상부 위치로 상승되어 선박 위의 수면에 위치되는 선박 화물 위에 적재되도록 구성된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의 형태인 해양 운송 선박(60)의 갑판(65) 위에 로우로 적하된 선체 구조들의 세트의 제1 및 제2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의 선체 구조들의 로우는 도 6a에 도시된 유형의 제1 선체 구조(40) 및 4개의 추가 선체 구조들(30a 내지 30d)을 포함하며, 유형 각각은 도 4에 도시된다(그러나, 제1 및 제3 칼럼들(1, 3) 사이의 브레이싱(7)의 중간 부분이 제거됨). 도 7a 내지 도 7b의 선체 구조들은 도 6b의 선체 구조들과 주로 유사한 방식으로 갑판(65) 위에 적하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7a 내지 도 7b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해양 운송 선박(60)의 갑판(65) 위에 배열하는 방법을 단계별 방식으로 도시한다.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60) 위에 선체 구조들(40, 30a 내지 30d)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하의 단계들, 즉
- 물에 떠 있는 선체 구조들(40, 30a 내지 30d)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도 8a 내지 도 8d);
- 해양 선박이 하부 위치에 있을 때 해양 선박(60) 위의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40, 30a 내지 30d)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도 8e); 및
- 해양 선박(60) 위에 선체 구조들(40, 30a 내지 30d)의 로우를 적재하기 위해 해양 선박(60)을 그 상부 위치로 상승시키는 단계(도 8f)를 포함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 내에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 -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적어도 제1 선체 구조(40) 및 제2 선체 구조(30a)를 포함함 - 는 제2 선체 구조(30a)가 제1 선체 구조(40)의 제3 폰툰 구조(13) 위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40, 30a)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선체 구조(30a)의 제2 칼럼(2)은 제1 선체 구조(40)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에 위치되고, 제2 선체 구조(30a)의 제2 칼럼(2)은 제1 선체 구조(40)의 제1 및 제3 칼럼들(1, 3)보다 제1 선체 구조(40)의 제2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경사 위치 내에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 중 적어도 하나(이 경우에 제2 선체 구조(30a), 도 8a 참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제2 선체 구조(30a)가 제1 선체 구조(40)의 제3 폰툰 구조(13) 위에서 제1 선체 구조(40)에 인접한 위치에 부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제1 선체 구조(40)를 약간 더 큰 흘수로 하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8b에 도시됨). 제어가능한 밸러스트 시스템은 경사 위치 내에 제2 선체 구조(30a)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도 8b 내지 도 8e, 및 또한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제2 선체 구조(30a)의 제2 칼럼(2)을 제1 선체 구조(40)의 지지 구조(5, 6, 67)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머지 선체 구조들(30b, 30c, 30d)은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40, 30a)에 대해 전술된 것과 주로 동일한 방식으로 로우 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로우 내의 제3 선체 구조(30b)는 경사 위치 내에 설정되고 대응하는 경사 위치에 이미 위치된 인접한 제2 선체 구조(30a)에서의 위치로 이동/견인된다. 제2 및 제3 선체 구조들(30a,30b)이 서로 경사지지 않기 때문에, 추가 지지대(67)에 대한 어떠한 요구도 없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제3 선체 구조(30b)는 제3 폰툰 구조(13) 및 제2 선체 구조(30a)의 지지 표면(6)에 의해 지지된다(또는 선박(60)이 상승될 때 지지될 것임). 제3 선체 구조(30b)는 또한 갑판(65) 위에 위치되는 자체의 제3 폰툰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행 내에 제4 및 제5 선체 구조(30c, 30d)를 배열하기 위한 절차가 유사하다.
선체 구조들(40, 30a 내지 30d)은 선박(60)을 상승시키기 전에 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요소들 또는 유사한 것은 손상들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 구조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상이한 선체 구조 설계 A 내지 D를 갖는 선체 구조들의 세트들 사이의 적하 효율의 비교를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제1 각도(α)가 제2 각도(β)와 동일한 선체 구조 설계들 A 내지 C를 도시한다(β > α인 경우들에 대해서는 도 2a 및 도 3a 참조).
설계들 A 내지 C의 차이는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위치이다. 설계 A에, 그들은 칼럼들의 내부에 위치되고(도 9a); 설계 B에서, 그들은 칼럼들의 외부에 위치되고(도 9b); 설계 C에서, 그들은 도 1에 도시된 선체 구조(10)와 유사하게, 칼럼들 중앙 위에 위치된다(도 9a).
설계 D는 예를 들어, β > α인 경우 도 3a에 도시된 선체 구조(30)와 유사한 선체 구조의 일 예를 형성한다.
모든 설계들 A 내지 D는 동일한 칼럼 직경들 및 폰툰 구조 너비/폭을 갖는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60)의 갑판의 주어진 길이 상에 적하될 수 있는 선체 구조들의 수는 설계 A에 대해서는 3개, 설계들 B 및 C에 대해서는 4개, 및 설계 D에 대해서는 5개이다. 따라서, β > α이도록 선체 구조를 배열하는 것은 이러한 유형의 Δ 형상 선체 구조들(즉, 하부 제3 폰툰 구조를 갖는 적하가능한 Δ 형상 선체 구조들)의 적재 효율을 더 개선하는 것은 분명하다.
도 9a 내지 도 9c의 얇은 선들은 상이한 설계들의 5개의 전체 구조들의 대응하는 길이를 도시하기 위해 도 9a의 제4 및 제5 선체 구조들 및 도 9b 및 도 9c의 제5 선체 구조를 표시한다. 이들 표시된 추가 선체 구조들은 선박(60)에 맞지 않는다.
도 10은 도 4에 따른 선체 구조(30)를 포함하는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100)을 도시한다. 플랫폼(100)에는 3개의 블레이드들(103)(뿐만 아니라 발전기 등, 이는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가 차례로 제공된 풍력 터빈 타워(102)가 제공된다.
도 11 내지 도 16은 전술된 것과 유사한 선체 구조(50, 51)의 실시예들을 도시하지만,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11b, 12b)을 갖고,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은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이들보다 하위 레벨에 위치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선체 구조(50)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은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2)의 전체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선체 구조(51)에서,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은 제2 부력 안정화 칼럼(2)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의 일부와만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2)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의 다른 부분(2e)은 하위 레벨에 위치된다. 도 14에 최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레벨에 위치된 (제2) 부분(2e)은 제3 폰툰(13)의 밑면(13b)뿐만 아니라 제1 및 제3 칼럼들(1, 3) 각각의 밑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도 13은 로우 내에 적하된 도 12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도시하고, 도 15는 로우 내에 적하된 도 11 및 도 14에 따른 선체 구조들의 세트를 도시한다.
플랫폼이 유사한 플랫폼들의 로우의 끝에 또는 조립 동안 위치될 때와 같이, 사용가능한 지지 제1 폰툰이 없을 때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 내에 도 12에 따른 선체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제2 칼럼 아래에 별도의 지지 구조(52)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3을 참조한다.
도 11 및 도 14에 따른 선체 구조는 제3 폰툰(3)의 밑면, 제1 및 제3 칼럼들(1, 3)의 밑면 및 제2 칼럼(2)의 밑면의 (제2) 부분(2e)이 서로 정렬되기 때문에 임의의 별도의 지지 구조(52) 없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되며, 도 1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한다.
도 11 내지 도 16에 따른 선체 구조는 제1 및 제2 폰툰들과 인접한 선체 구조들의 상부 측면(13a) 사이에 크리빙을 허용하기 위해 제1 폰툰(11b) 및 제2 폰툰(12b)의 하단의 밑면의 작은 단차 또는 경사 부분을 가지고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11 내지 도 16에 따른 선체 구조는 크리빙이 제1 폰툰(11b) 및 제2 폰툰(12b)의 하단의 밑면과 인접한 선체 구조들의 상부 측면(13a)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작은 경사(예를 들어, 1 내지 2도)로 위치될 수 있고 가변 높이의 웨지 형상은 제3 폰툰(13b)의 밑면 아래에 배열된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6의 실시예들에서, 폰툰들(11, 12, 13)은 칼럼들(1, 2, 3)의 하부 부분에 연결되며, 즉, 폰툰들은 전형적으로 풍력 터빈 플랫폼이 동작 중일 때 표면 아래에 위치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선체 구조에서, 제1 및 제3 칼럼들(1, 3)의 하부 측면은 하위 레벨에 위치된 하나의 부분(1e, 3e) 및 상위 레벨에 위치된 다른 부분(도 16에 1b 및 3b로 표시됨)을 갖는다. . 이 예에서, 하부 부분들(1e, 3e)은 제3 폰툰(13)의 하부 측면(13b)과 정렬되고, 상부 부분들(1b, 3b)은 제1 및 제2 폰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과 정렬된다. 상부 부분들(1b, 3b)은 예를 들어 소위 자체 추진 모듈 운송기들을 사용하여 육지에서 플랫폼을 승강시키고 이동시키는 데 유용한 지점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선체 구조들 중 어느 것에는 이러한 상부 부분들/리프팅 지점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들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폰툰 구조의 높이는 더 클 수 있고, 칼럼들 및 폰툰 구조들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칼럼들 및 원형 또는 다각형 폰툰 구조들과 같이, 예시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1 - 제1 부력 안정화 칼럼
2 - 제2 부력 안정화 칼럼
3 - 제3 부력 안정화 칼럼
1a, 2a, 3a - 칼럼들의 상부 측면
1b, 2b, 3b - 칼럼들의 하부 측면
1c, 2c, 3c - 칼럼들의 하부 부분
2d - 제2 칼럼들의 외부 측면
1e - 1b의 하위 레벨
2e - 2b의 하위 레벨
3e - 3b의 하위 레벨
5 - 지지 구조
6 - 지지 구조(5) 상의 지지 표면
7 - 브레이싱
10, 20, 30, 40, 50, 51 - 선체 구조
11 - 제1 세장형 잠수 폰툰 구조
12 - 제2 세장형 잠수 폰툰 구조
13 - 제3 세장형 잠수 폰툰 구조
11a, 12a, 13a - 폰툰 구조들의 상부 측면
11b, 12b, 13b -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
11c, 12c -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중심 세로 축
11d, 12d -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외부 측면
α -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의 중심 세로 축들 사이의 수평면의 제1 각도
21 - 제1 및 제2 안정화 칼럼들의 중심점들 사이의 제1 가상선
22 - 제2 및 제3 안정화 칼럼들의 중심점들 사이의 제2 가상선
β - 제1 및 제2 가상선들 사이의 수평면의 제2 각도
52 - 지지 구조
60 - 해양 운송 선박
65 - 해양 운송 선박 상의 갑판
66 - 제1 추가 지지대
67 - 제2 추가 지지대
100 -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
101 - 풍력 터빈 타워를 위한 지지대
102 - 풍력 터빈 타워
103 - 풍력 터빈 블레이드
130 -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 상의 경사 표면
140 -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 상의 경사 표면
γ - 경사 각도

Claims (33)

  1.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100)을 위한 선체 구조(10, 20, 30, 30a 내지 30d, 40, 50, 51)로서, 상기 선체 구조(10)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2, 3); 및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세장형 잠수 부력 폰툰 구조들(11, 12, 13)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 구조(10, 20, 30, 40)는 수평면 내에 삼각형의 일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상기 삼각형의 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폰툰 구조(11)는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칼럼(1, 2)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폰툰 구조(11)는 상기 제1 및 제2 칼럼들 각각의 하부 부분(1c, 2c)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폰툰 구조(12)는 상기 제2 및 상기 제3 칼럼(2,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2 폰툰 구조(12)는 상기 제2 및 제3 칼럼들(2, 3) 각각의 하부 부분(2c, 3c)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폰툰 구조(13)는 상기 하부 부분들(1c, 3c)에서 상기 제1 및 제3 칼럼(1, 3) 사이에 연장되고 이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 각각은 상방을 향한 상부 측면(11a, 12a, 13a)을 갖고;
    상기 제3 폰툰 구조(13)는 상기 상부 측면(13a)이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상부 측면(11a, 12a)보다 하위 레벨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선체 구조(10, 20, 30, 30a 내지 30d, 40, 50, 5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11b, 12b, 13b)을 갖고,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의 하부 측면들은 상기 수평면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선체 구조(10, 20, 30, 4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의 하부 측면들(11b, 12b, 13b)은 제1, 제2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2, 3)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1b, 2b, 3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선체 구조(10, 20, 30, 4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하방을 향한 하부 측면(11b, 12b)을 갖고,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은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거나, 이들보다 하위 레벨에 위치되는, 선체 구조(50, 5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은 상기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2)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선체 구조(50, 5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의 하부 측면들(11b, 12b)은 상기 제2 부력 안정화 칼럼(2)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2 부력 안정화 칼럼들(2)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2b)의 다른 부분은 하위 레벨에 위치되는, 선체 구조(50, 51).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13b)은 상기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3)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1b, 3b)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선체 구조(50, 51).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의 하부 측면(13b)은 상기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3)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들(1e, 3e) 각각의 일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및 제3 부력 안정화 칼럼들(1, 3) 각각의 하방을 향하는 하부 측면(1b, 3b)의 다른 부분은 상위 레벨에 위치되는, 선체 구조(50, 5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폰툰 구조(13)는 상기 제 1 및 제 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의 높이 미만인 높이를 갖는,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의 75%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인,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높이는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높이보다 적어도 1 m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 또는 적어도 3m 더 작은,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폰툰 구조들(11, 12, 1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는,
    i) 상기 제1 폰툰 구조(11)의 중심 세로 축(11c)과 상기 제2 폰툰 구조(12)의 중심 세로 축(12c)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1 각도(α); 및
    ii) a) 상기 제1 안정화 칼럼(1)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의 중심점 사이의 제1 가상선(21)과 b)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의 중심점과 상기 제3 안정화 칼럼(3)의 중심점 사이의 제2 가상선(22) 사이의 수평면에서의 제2 각도(β)를 나타내고,
    상기 제2 각도(β)는 상기 제1 각도(α)보다 더 큰,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적어도 그 길이의 주요 부분을 따라,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의 하부 부분(2c)의 폭 미만 폭을 갖는,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각각은 상기 선체 구조(30)의 옆으로 멀리 향하는 외부 측면(11d, 12d)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측면(11d, 12d)은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의 외부 측면(2d)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선체 구조(30, 40).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적어도 외부 부분은 경사 표면 (13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는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외부 부분이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내부 부분보다 상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지향되고,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외부 부분보다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선체 구조(20, 3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안정화 칼럼들(1, 3)의 하부 측면(1b, 3b)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는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하부 측면(13b)의 경사에 대응하도록 배열되는, 선체 구조(20, 30).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은 상부 경사 표면(14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는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의 외부 부분이 상기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의 내부 부분보다 하위 수직 레벨 상에 위치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내부 부분은 상기 외부 부분보다 상기 제2 안정화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선체 구조(40).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의 제2 안정화 칼럼(2)에 배열된 지지 구조(5)를 포함하는, 선체 구조(20, 30, 40) .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5)에는 상기 제3 폰툰 구조의 상부 측면(13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높이로 배열된 지지 표면(6)이 제공되는, 선체 구조(20,30,40).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는 물에 떠 있을 때 상기 선체 구조의 경사의 제어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제어가능한 밸러스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체 구조(10, 20, 30, 40, 50, 51).
  22. 수면 아래 일부에서 하부 위치로 하강되고 상부 위치로 상승되어 선박 위의 수면에 위치되는 선박 화물 위에 적재되도록 구성된 반잠수 화물 운반 해양 선박(60) 위에 선체 구조들(10, 20, 30, 30a 내지 30d, 40, 50, 51)의 세트를 적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제1항 내지 제20항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제1 선체 구조(40, 30a) 및 제2 선체 구조(30a, 30b)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물에 떠 있는 선체 구조들(30a 내지 30d, 40)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해양 선박이 하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해양 선박(60) 위의 로우 내에 상기 선체 구조들(30a 내지 30d, 40)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 및
    - 상기 해양 선박(60) 위에 상기 선체 구조들(30a 내지 30d, 40)의 로우를 적재하기 위해 상기 해양 선박(60)을 그 상부 위치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내에 상기 선체 구조들(30a 내지 30d, 40)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는,
    -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가 상기 제1 선체 구조(40, 30a)의 제3 폰툰 구조 위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40, 30a, 30b)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의 제2 칼럼은 상기 제1 선체 구조(40, 30a)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의 제2 칼럼은 상기 제1 선체 구조(40, 30a)의 제1 및 제3 칼럼들보다 상기 제1 선체 구조(40, 30a)의 제2 칼럼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가 상기 제1 선체 구조(40, 30a)의 제3 폰툰 구조 위에서 상기 제1 선체 구조에 인접한 위치로 부유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경사 위치 내에 상기 제1 및 제2 선체 구조(40, 30a, 30b)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구조(30a)는 제20항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2 칼럼을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지지 표면(6)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또는
    -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을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구조(40)는 제18항에 따라 배열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라 배열되는, 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내에 상기 선체 구조들(50, 51)의 세트를 배열하는 단계는,
    - 상기 제2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11, 12)가 상기 제1 선체 구조의 제3 폰툰 구조(13) 위에 위치되도록 서로 인접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을 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은 상기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선체 구조의 제2 칼럼(2)은 상기 제1 선체 구조의 제1 및 제3 칼럼들(1, 3)보다 상기 제1 선체 구조의 제2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방법.
  29. 선체 구조들(10, 20, 30, 30a 내지 30d, 40, 50, 51)의 세트를 운반하는 해양 선박(60)으로서, 상기 선체 구조들의 세트는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배열된 적어도 제1 및 제2 선체 구조(40, 30a, 30b, 50, 51)를 포함하는, 해양 선박(60).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구조 세트(30a 내지 30d, 40, 50, 51)의 세트는 로우 내에 배열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선체 구조들(40, 30a, 30b, 50, 51)은 서로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2 선체 구조(30b)는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3 폰툰 구조(13) 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2 칼럼(2)은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11, 1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2 칼럼(2)은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1 및 제3 칼럼들(1,3)보다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2 칼럼(2)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해양 선박(60).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체 구조(30a)는 제19항에 따라 배열되며,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2 칼럼은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지지 표면(6) 위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선체 구조(30b)의 제1 및 제2 폰툰 구조들은 상기 제1 선체 구조(30a)의 제3 폰툰 구조(13)의 상부 측면(13a) 위에 위치되는, 해양 선박(60).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선체 구조(40)는 제18항에 따라 배열되는, 해양 선박(60).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체 구조(30a, 30b)는 제19항 또는 제20항에 따라 배열되는, 해양 선박(60).
KR1020247026971A 2022-01-14 2022-10-10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Pending KR20240141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250023-5 2022-01-14
SE2250024 2022-01-14
SE2250023 2022-01-14
SE2250022A SE545837C2 (en) 2022-01-14 2022-01-14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SE2250022-7 2022-01-14
SE2250021-9 2022-01-14
SE2250024-3 2022-01-14
SE2250021A SE2250021A1 (en) 2022-01-14 2022-01-14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related loading method and vessel for transportation of said hull structure
SE2250755A SE2250755A1 (en) 2022-01-14 2022-06-20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SE2250755-2 2022-06-20
CN202211037940.9 2022-08-26
CN202211037940.9A CN116443192A (zh) 2022-01-14 2022-08-26 一种半潜式风电平台的船体结构
SE2251139A SE545506C2 (en) 2022-01-14 2022-09-30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SE2251139-8 2022-09-30
PCT/EP2022/078157 WO2023134889A1 (en) 2022-01-14 2022-10-10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41264A true KR20240141264A (ko) 2024-09-26

Family

ID=840476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6971A Pending KR20240141264A (ko) 2022-01-14 2022-10-10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KR1020247026970A Pending KR20240141263A (ko) 2022-01-14 2022-10-10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KR1020247026972A Pending KR20240141265A (ko) 2022-01-14 2023-01-11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6970A Pending KR20240141263A (ko) 2022-01-14 2022-10-10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KR1020247026972A Pending KR20240141265A (ko) 2022-01-14 2023-01-11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20250065993A1 (ko)
EP (5) EP4463362A1 (ko)
JP (1) JP2025502273A (ko)
KR (3) KR20240141264A (ko)
AU (2) AU2022433835A1 (ko)
CA (1) CA3241736A1 (ko)
WO (5) WO2023134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25413B (en) * 2023-09-04 2025-05-07 Baywa R E Offshore Wind Gmbh Semi-submersible floating platform for a wind turbine
CN118205824B (zh) * 2024-05-21 2024-09-13 上海惠生海洋工程有限公司 半潜式漂浮风机基础的批量运输结构、运输及组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20107T3 (es) * 2011-12-05 2017-06-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parato de generación de turbina eólica de tipo flotante y método de instalación del mismo
WO2014031074A1 (en) * 2012-08-23 2014-02-27 Keppel Offshore & Marine Ltd Semi-submersible integrated port
CN107539433A (zh) * 2017-07-03 2018-01-05 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七0八研究所 一种半潜式风机平台
CN108715214A (zh) * 2018-05-14 2018-10-30 重庆大学 一种船形半潜式风机平台
KR102253904B1 (ko) * 2019-02-12 2021-05-21 에이커 솔루션즈 에이에스 풍력 에너지 발전소 및 구성 방법
SE544127C2 (en) 2020-04-30 2022-01-04 Bassoe Tech Ab Floating semi-submersible wind energy platform with t-shaped pontoon and its assembly
NO347048B1 (en) * 2020-06-19 2023-04-24 Ocean Ventus AS Floating support structure for offshore wind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5164A1 (en) 2023-07-20
US20250058857A1 (en) 2025-02-20
AU2022433835A1 (en) 2024-07-11
EP4463363A1 (en) 2024-11-20
US20250065993A1 (en) 2025-02-27
CA3241736A1 (en) 2023-07-20
WO2023134889A1 (en) 2023-07-20
EP4463366A1 (en) 2024-11-20
WO2023135165A1 (en) 2023-07-20
JP2025502273A (ja) 2025-01-24
EP4463362A1 (en) 2024-11-20
WO2023134888A1 (en) 2023-07-20
EP4463364A1 (en) 2024-11-20
US20250065994A1 (en) 2025-02-27
KR20240141263A (ko) 2024-09-26
US20250084830A1 (en) 2025-03-13
KR20240141265A (ko) 2024-09-26
EP4463365A1 (en) 2024-11-20
WO2023135166A1 (en) 2023-07-20
AU2022433412A1 (en) 202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2699A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KR101812041B1 (ko) 연안 구조물을 위한 부양 지지부
SE2250755A1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KR20240141264A (ko) 반잠수 풍력 터빈 플랫폼을 위한 선체 구조
KR102192116B1 (ko) 스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WO2025003138A1 (en) Barge for assembly of a floating support structure
SE2250021A1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related loading method and vessel for transportation of said hull structure
AU2023296641A1 (en) Assembly, transportation and installation of floating wind turbines
NO20220736A1 (en) Spar-type offshore wind turbine assembly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119072434A (zh) 一种半潜式风电平台的船体结构
EP2440709B1 (en) Buoyant stabilizing device
CN116443192A (zh) 一种半潜式风电平台的船体结构
SE545506C2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JP2025011444A (ja) 浮体式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CN118922349A (zh) 一种半潜式风电平台的船体结构
WO2024218286A1 (en) Load out method and system for an offshore floating wind turbine
SE2250022A1 (en) Hull structure for a semi-submersible wind power turbine platform
NO347991B1 (en) Metho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floating wind turbines
CN118369265A (zh) 用于海上风力涡轮机的运输、安装和维护的结构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