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9988A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39988A KR20240139988A KR1020240031761A KR20240031761A KR20240139988A KR 20240139988 A KR20240139988 A KR 20240139988A KR 1020240031761 A KR1020240031761 A KR 1020240031761A KR 20240031761 A KR20240031761 A KR 20240031761A KR 20240139988 A KR20240139988 A KR 202401399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rear lens
- light source
- unit
-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33 diameter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실시예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변조기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렌즈;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후단렌즈; 및 상기 제1 후단렌즈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후단렌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단렌즈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유효경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를 개시한다.The embodiment discloses a projector device including: a light source unit; an optical modulator that modulat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 diffusion unit arranged between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light source unit; an intermediate lens arrang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a first rear lens arrang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optical modulator; and a second rear lens arranged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optical modulator, wherein an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is larger than an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rear lens.
Description
실시예는 프로젝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혹은 그 기술 자체를 말한다.Virtual Reality (VR) refers to a specific environment or situation, or the technology itself, that is similar to reality but not real, created using artificial technology such as computers.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ynthesizes virtual objects or information into the real environment to make them appear as if they existed in the original environment.
혼합현실 (Mixed Reality, MR) 혹은 혼성현실 (Hybrid reality)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합쳐서 새로운 환경이나 새로운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한다. 특히, 실시간으로 현실과 가상에 존재하는 것 사이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할 때 혼합현실이라 한다.Mixed reality (MR) or hybrid reality refers to the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or new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virtual world and the real world. In particular, it is called mixed reality when it refers to real-time interaction between things that exist in reality and virtual worlds.
이 때,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이러한 환경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이러한 환경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reated virtual environment or situation stimulates the user's five senses and allows them to freely move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by experiencing spatial and temporal experiences similar to reality. In addition, users can interact with things implemented in this environment by not only simply immersing themselves in this environment, but also using real devices to operate or give commands.
최근, 이러한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장비(gear, devic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장비에 대한 소형화와 광학 성능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Recently, research on the equipment (gear, device) used in these technical field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need for miniaturization and improvement of optical performance of these equipment is emerging.
실시예는 AR(Augment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프로젝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조리개 또는 스탑(stop)의 위치에 확산부를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섞여진 백색광을 광 변조기에 제공하는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projecto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 easily mixed white light to a light modulator by arranging a diffusion portion at the position of an aperture or stop when using a projector device used for AR (Augmented Reality)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1개의 패널의 광원과 확산부를 통해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이루어진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jecto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an be provided that are miniaturized and compact through the light source and diffusion part of one panel.
또한, 각 구성요소 간의 상이한 유효경을 통해 수차 성능이 개선된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ject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through different effective diameters between each component.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solution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also included.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변조기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렌즈;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후단렌즈; 및 상기 제1 후단렌즈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후단렌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단렌즈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유효경보다 크다.A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an optical modulator that modulate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a diffusion unit arranged between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light source unit; an intermediate lens arrang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a first rear lens arrang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optical modulator; and a second rear lens arranged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optical modulator; wherein an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is larger than an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second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과 비가 1:3.4 내지 1:4.1일 수 있다.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first rear lens may have a ratio of 1:3.4 to 1:4.1 to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second rear lens.
상기 제2 후단렌즈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 상기 광변조기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reflector arranged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light modulator; and a prism arranged between the light modulator and the reflector.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제1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중간렌즈와 상기 확산부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제1 후단렌즈와 상기 제2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후단렌즈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first rear lens may be greater than at least one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diffusion uni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reflector.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제1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1㎜ 내지 5㎜일 수 있다.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bove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rear lens may be 1 mm to 5 mm.
상기 확산부의 크기는 상기 중간렌즈 및 상기 제1 후단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최대 유효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size of the above diffusion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effectiv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유효경은 상기 반사부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or.
상기 중간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후단렌즈 및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상기 확산부는 스탑(stop)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above diffusion portion may be positioned at or adjacent to the stop.
상기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은 상기 광원부를 향해 볼록 또는 오목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light source.
상기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은 상기 반사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The reflective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reflective side.
상기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의 곡률반경의 크기는 상기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의 곡률반경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은 상기 광원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source.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은 상기 반사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The reflective side surface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reflective side.
실시예는 AR(Augmented Reality) 등에 사용되는 프로젝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사용함에 있어, 스탑(stop)의 위치에 확산부를 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섞여진 백색광을 광 변조기에 제공하는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한다.The embodiment implements a projector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 easily mixed white light to a light modulator by arranging a diffusion part at a stop position when using a projector device used for AR (Augmented Reality) and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1개의 패널의 광원과 확산부를 통해 소형화 및 컴팩트화가 이루어진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miniaturized and compact projector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through the light source and diffusion section of one panel.
또한, 각 구성요소 간의 상이한 유효경을 통해 수차 성능이 개선된 프로젝트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Additionally, project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can be implemented through different effective diameters between each component.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dvantageous and benefici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의 일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3에서 AA’로 절단하여 바라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nded reality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drawing taken along line AA' in Figure 3.
Figures 6 and 7 are drawings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the housing removed;
Figure 8 is an optical system for a lighting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optical system for a lighting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optical system for an illumination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among the embodiments can be selectively combined or substituted for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that can b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nd term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 and/or at least one (or more) of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combinations that can be combined with A, B, C.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include not only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arranged "above or below" each component, above or below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arrang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above or below", it can include the meaning of the downward direction as well as the up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현실 전자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tended reality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확장현실 전자 디바이스(20)는 무선 통신부(21), 입력부(22), 센싱부(23), 출력부(24), 인터페이스부(25), 메모리(26), 제어부(27) 및 전원 공급부(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전자 디바이스(2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2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extended reality electronic device (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an input unit (22), a sensing unit (23), an output unit (24), an interface unit (25), a memory (26), a control unit (27), and a power supply unit (28).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thus, the electronic device (20)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위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21)는, 전자 디바이스(2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전자 디바이스(20)와 다른 전자 디바이스 사이, 또는 전자 디바이스(2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21)는, 전자 디바이스(2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above compon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another electronic device, or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an external serv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electronic device (2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21)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p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입력부(22)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2) may include a camera or a video input unit for inputting a video signal, a microphone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e.g.,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22)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into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23)는 전자 디바이스(20) 내 정보, 전자 디바이스(2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23)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electronic device (20),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user information.
예를 들어, 센싱부(23)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촬영수단),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디바이스(2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2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e.g., a photographing device), a microphone,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 gas detection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recognition sensor, etc.). Meanwhile, the electronic device (20)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in combination.
출력부(24)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틱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증강현실 전자 디바이스(2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수단으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증강현실 전자 디바이스(2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4)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ation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an audio output unit, a haptic module, and an optical output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formed as a layer structure with a touch sensor or formed as an integral part,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This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means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20)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25)는 전자 디바이스(2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25)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20)는 외부장치로부터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다양한 입력 신호, 센싱 신호,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상호 인터랙션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25) serves as a passageway between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5),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receive virtual reality or augmented reality conten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an perform mutual interaction by exchanging various input signals, sensing signals, and data.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5)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face unit (25)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또한, 메모리(26)는 전자 디바이스(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6)는 전자 디바이스(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전자 디바이스(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디바이스(2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전자 디바이스(20)상에 존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26) stores data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memory (26) can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that run on the electronic device (20),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can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can exist on the electronic device (2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basic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 (e.g., incoming and outgoing call functions, message reception and outgoing functions).
제어부(27)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전자 디바이스(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7)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operations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control unit (27)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control unit (27) can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iscussed above.
또한, 제어부(27)는 메모리(2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여 사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27)는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전자 디바이스(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 can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by driving th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6) to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to the user or process a function.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27) can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또한, 제어부(27)는 센싱부(23)에 포함된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력 센서, 모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는 센싱부(23)에 포함된 근접센서, 조도센서, 자기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광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나 사용자 주변으로 다가오는 대상체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제어부(27)는 전자 디바이스(20)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컨트롤러에 구비된 센서들을 통해서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 can detect the movement of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user by using a gyroscope sensor, a gravity sensor, a motion sensor, etc.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27) can detect an object approaching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user by using a proximity sensor, a light sensor, a magnetic sensor, an infrared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 light sensor, etc.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23).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 can als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by using sensors provided in a controller that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
또한, 제어부(27)는 메모리(26)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디바이스(2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27) can perform operations (or func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20)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6).
전원 공급부(28)는 제어부(27)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 디바이스(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8)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내장형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28) receives external power 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7)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power supply unit (28)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provided in a built-in or replaceable form.
위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전자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메모리(26)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전자 디바이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the electronic device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26).
이하,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설명되는 전자 디바이스는 HMD(Head Mounted Display)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실시예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HMD 이외에도 워치형 단말기(smart watch)와 컨택트 렌즈(Contact lens), VR/AR/MR Glass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lectronic devic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mbodiment applied to an HMD (Head Mounted Display). However, embodiments of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nd a wearable device. In addition to an HMD,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smart watch, a contact lens, VR/AR/MR Glass,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전자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gmented reality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프레임(100), 프로젝트 장치(200) 및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ame (100), a projector device (200), and a display unit (300).
전자 디바이스는 글라스 타입(smart glass)으로 마련될 수 있다. 글라스 타입의 전자 디바이스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케이스, 하우징 등)(100)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be provided as a glass type (smart glass). The glass type electronic device is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head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case, housing, etc.) (100) for this purpose. The frame (10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wearing.
프레임(100)은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에는 프로젝트 장치(200),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음향 출력부(140)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frame (100) is supported on the head and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various components. As illustrate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rojector device (200), a user input unit (130), or an audio output unit (140) may be mounted on the frame (100). In addition, a lens covering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eyes may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frame (100).
프레임(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중 안면에 착용되는 안경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착용되는 고글 등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frame (100) may have a form of glasses worn on the face of the user's body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have a form such as goggle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face.
이와 같은 프레임(10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면 프레임(110)과, 전면 프레임(110)과 교차하는 y 방향(도 2에서)으로 연장되어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Such a frame (100) may include a front frame (110) having at least one opening, and a pair of side frames (120) that extend in the y direction (in FIG. 2) intersecting the front frame (110) and are parallel to each other.
프레임(100)은 x 방향으로 길이(DI)와 y 방향으로 길이(LI)가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The frame (100)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length (DI) in the x direction and length (LI) in the y direction.
프로젝트 장치(200)는 전자 디바이스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프로젝트 장치(200)는 ‘광 출력 장치’, ‘광 프로젝트 장치’, ‘광 조사 장치’, ‘광학 장치’ 등과 혼용될 수 있다.The project device (200) is provided to control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The project device (200)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optical output device’, ‘optical projector device’, ‘light irradiation device’, ‘optical device’, etc.
프로젝트 장치(200)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가 연속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 장치(200)는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이미지 소스 패널과 이미지 소스 패널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 및 수렴하는 복수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jector device (200) can generate an image or a video of a series of images that are displayed to the user. The projector device (200) can include an image source panel that generates an image and a plurality of lenses that diffuse and converge light generated from the image source panel.
프로젝트 장치(200)는 두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장치(200)는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 내측 또는 외측에 고정되거나, 어느 하나의 측면 프레임(1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프로젝트 장치(200)가 전면 프레임(110)에 고정되거나 전자 디바이스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project device (200) may be secured to either of the two side frames (120). For example, the project device (200) may be secur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either of the side frames (12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being built into the inside of either of the side frames (120). Alternatively, the project device (200) may be secured to the front frame (11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electronic device.
디스플레이부(3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전자 디바이스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0)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0)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안 우안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3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e HMD form refers to a display method that is mounted on the head and directly shows an image in front of the user's eyes. When the user wears the electronic device, the display unit (300)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eyes so that the image can be directly provided in front of the user's eyes. In this drawing, the display unit (300) is position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eye so that the image can be output toward the user's right eye.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ositioned for both the left and right eyes.
디스플레이부(300)는 사용자가 외부 환경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면서, 동시에 프로젝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0)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00) can allow the user to visually perceive the external environment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the user to see an image generated by the projector device (200).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can project an image onto the display area using a prism.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00)는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가 동시에 보이도록 하기 위해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00)는 반투명일 수 있으며, 글라스(Glass)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display unit (300) may be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projected image and the general field of view in front (the range that the user sees through his eyes) can be viewed simultaneously.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300) may be translucent and formed of an optical member including glass.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00)는 전면 프레임(110)에 포함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거나, 개구부의 배면[즉 개구부와 사용자 사이]에 위치하여, 전면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개구부의 배면에 위치하여, 전면 프레임(110)에 고정된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부(300)는 프레임(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 및 고정될 수 있다.And the display unit (300) may be inserted and fixed into an opening included in the front frame (110), or may be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ning (i.e., between the opening and the user) and fixed to the front frame (110). In the drawing, the display unit (300) is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opening and fixed to the front frame (110) as an example, but the display unit (300) may be positioned and fix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frame (100).
전자 디바이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장치(200)에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광을 디스플레이부(300)의 일측으로 입사시키면, 이미지광이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타측으로 출사되어, 프로젝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when the electronic device projects image light from the projector device (200) to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300), the image light is emitted to the other side through the display unit (300), allowing the user to see the image generated from the projector device (20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프레임(10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보면서 동시에 프로젝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함께 볼 수 있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opening of the frame (100) and at the same time view the image generated by the projector device (200). That is,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300) can be seen to overlap with the general field of view. By utilizing these display characteristics, th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augmented reality (AR) that superimposes a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background and shows it as a single image.
나아가, 이러한 구동 이외에 사람이 인식하지 못하는 짧은 시간 동안 외부 환경과 프로젝트 장치(200)에서 생성된 이미지가 시간차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프레임 내에서 일 구간에서는 외부 환경이 사람에게 제공되고, 다른 구간에서는 프로젝트 장치(200)로부터의 영상이 사람에게 제공될 수 있다.Furthermore, in addition to these drives, image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projector device (20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ith a time difference for a short period of time that is not recognized by the person. For example, in one frame,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person in one section, and images from the projector device (200) can be provided to the person in another section.
또는, 오버랩과 시간차가 모두 제공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both overlap and time difference may be provided.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후술하는 구조를 갖거나, 해당 구조에 도파관 또는/및 글래스를 더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프로젝트 장치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프로젝터 또는 프로젝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or may be formed of a structure further including a waveguide or/and glass in the structure. In addition, the projector device may include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projector or projector device.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의 일 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3에서 AA’로 절단하여 바라본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200)는 하우징(210),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 광변조기(280), 투사 렌즈부(290) 및 차단부재(TP)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a projector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210), a light source unit (220),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 prism (270), a light modulator (280), a projection lens unit (290), and a blocking member (TP).
하우징(210)은 프로젝트 장치(200)의 각 구성요소가 수용 또는 배치되는 공간 또는 하우징 홈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의 프로젝트 장치(2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에는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 광변조기(280), 그리고 투사 렌즈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210) may have a space or housing groove in which each component of the projector device (200) is accommodated or placed. The housing (210)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projector device (200). For example, a light source unit (220),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 prism (270), a light modulator (280), and a projection lens unit (290) may be placed in the housing (210).
또한, 하우징(210)은 일측이 개구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상술한 각 구성요소가 개구된 영역 또는 면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210)의 개구된 영역 또는 면에는 후술하는 차단부재(TP)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2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ccordingly,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may be assembled through the opened area or surface. Furthermore, a blocking member (TP) described later may be placed in the opened area or surface of the housing (210).
하우징(2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210)은 육면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전자 장치에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소형화 또는 콤팩트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using (21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housing (210) may have a hexahedral structure. Accordingly, the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easily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easily miniaturized or compactized.
광원부(220)는 하우징(2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20)는 하우징(21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placed within the housing (210).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be plac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210).
광원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광원부(220)는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부(220)는 하나의 패널로 이루어진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광원부(22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출사하는 광원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널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In an embodiment,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include one light source.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use a light source formed of one panel. That is, the light source unit (220) may include a light source of one panel formed of light sources that emit red, green, and blue light.
다른 예로, 광원부(220)가 복수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 개의 광원은 서로 다른 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광원은 서로 상이한 파장 대역 또는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광원은 녹색(green) 파장의 광을 출사하거나, 또는 적색(Red), 청색(Blue)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광원에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광은 중심 파장에서의 광에 대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light source unit (220) is composed of multiple light sources, the multiple light sources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on different surfaces. And the multiple light sources may emit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 bands or colors. For example, the multiple light sources may emit light of a green wavelength, or light of red and blue. For example, the light of red, green, and blue from each light source may correspond to light of a central wavelength.
또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제1 방향은 도면 상에서 ‘X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광원부(220)에서 투사 렌즈부(290)를 향한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방향은 도면 상으로 Y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방향은 도면 상으로 ‘Z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X-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It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toward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Furthermore, the secon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Y-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secon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third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Z-axis direction’ in the drawing.
중간렌즈(230)는 광원부(2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간렌즈(230)는 광원부(220)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중간렌즈(230)는 광원부(220)에서 광원부(220)의 출사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unit (220).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220). Alternatively,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positioned on the light source unit (220) in the emission direction side of the light source unit (220).
그리고 중간렌즈(230)는 확산부(240)와 광원부(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intermediate lens (230) can be plac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light source unit (220).
확산부(240)는 중간렌즈(23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확산부(240)와 광원부(220 사이에는 중간렌즈(230)가 위치하며, 확산부(240)는 중간렌즈(230)와 후단렌즈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확산부(240)는 중간렌즈(230)와 프리즘(2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확산부(240)는 중간렌즈(23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확산부(240)는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lens (230). The intermediate lens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rear lens group (250). In addition,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prism (270). In addition,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Alternatively,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그리고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스탑(stop)의 위치는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탑(stop)의 위치는 중간렌즈(23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스탑(stop)의 위치는 중간렌즈(230)와 후단렌즈군(2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광학적 스탑(stop) 또는 스탑(stop)은 광 또는 빛의 다발이 뭉치는 영역(또는 교차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스탑(stop)의 위치는 상이한 파장의 광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예컨대, 스탑(stop)은 조리개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스탑(stop)은 어퍼쳐 스탑(Aperture Stop), 필드 스탑(Field Stop) 등일 수도 있다. 이로써, 광원부(220)로부터 출사된 각 색상의 광 또는 레이를 하나로 합친 영역에 확산부(240)를 통해 광변조기(28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집광을 통한 프로젝트 장치의 소형화가 보다 용이하게 구현되며, 하나의 패널의 광원을 사용하더라도 빛다발을 모아 확산부를 통해 출사하므로 소형화에도 광 손실 저감을 억제할 수 있다.And in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top may be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The position of the stop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stop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rear lens group (250). Accordingly, the optical stop or stop may be an area where light or a bundle of light is gathered (or an area where they intersect).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top may correspond to a portion where light of different wavelengths intersects each other. For example, the stop may correspond to the position of the aperture. The stop may be an aperture stop, a field stop, etc. In this way, the light or rays of each color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0) can be combined into one area and provided to the light modulator (280) through the diffusion unit (240). That is, miniaturization of the projector device through light collection is more easily realized, and even when using a light source of one panel, the light bundle is collected and emitted through the diffusion unit, so that light loss can be suppressed even with miniaturization.
나아가, 스탑(stop)의 위치는 조명계와 투사계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탑(stop)의 위치는 조명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stop may exist in each of th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projection system. In th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top is described based on the illumination system.
확산부(240)는 디퓨져(diffuser)일 수 있다. 예컨대, 확산부(240)는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확산부(240)는 난반사 등을 통해 백색(white)광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확산부(240)가 스탑(stop)의 위치와 인접하거나 스탑(stop)의 위치 상에 배치되어, 집광된 3색의 광을 백색광으로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a diffuser. For example, the diffusion unit (240) may include a micro lens array. Accordingly, the diffusion unit (240) may provide white light through diffuse reflection, etc. Furthermore,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or on the position of the stop, so as to effectively diffuse the collected three-color light into white light.
후단렌즈군(250)은 확산부(24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후단렌즈군(250)과 중간렌즈(230) 사이에는 확산부(240)가 위치할 수 있다. The rear lens group (25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diffusion unit (240). Accordingly, the diffusion unit (2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lens group (250) and the intermediate lens (230).
나아가, 후단렌즈군(250)은 확산부(24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후단렌즈군(250)은 확산부(240)(또는 광원부, 중간렌즈)와 프리즘(또는 반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rear lens group (2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Also, the rear lens group (25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or light source unit, intermediate lens) and the prism (or reflector).
이러한 후단렌즈군(250)은 제1 후단렌즈(251)와 제2 후단렌즈(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단렌즈(252)는 제1 후단렌즈(251)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단렌즈(251)는 확산부(240)와 광변조기(또는 반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후단렌즈(252)는 제1 후단렌즈(251)와 광변조기(또는 반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ar lens group (250) may include a first rear lens (251) and a second rear lens (252). The second rear lens (252)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ear lens (251). In addition,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light modulator (or reflector). In addition, the second rear lens (25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light modulator (or reflector).
중간렌즈(230)와 후단렌즈군(250)은 릴레이 렌즈 및/또는 콜리메이터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중간렌즈(230)는 콜리메이터 렌즈일 수 있다. 그리고 후단렌즈군(250)은 릴레이 렌즈일 수 있다.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rear lens group (250) may include relay lenses and/or collimator lenses. For example,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a collimator lens. And the rear lens group (250) may be a relay lens.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의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과 제1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과 프리즘(270)(또는 광변조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reflector (26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or (260)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direction (X-axis direction) side of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or (26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lens group (250)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flector (26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lens group (250) and the prism (270) (or light modulator).
그리고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 대비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로부터 투과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예컨대, 후단렌즈군(250을 통과한 광은 반사부(260)에서 반사되어, 광 경로가 투사 렌즈부를 향하다가 하부의 프리즘 또는 광변조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And the reflector (260)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or (260) can reflect light transmitted from the rear lens group (250). For example, light passing through the rear lens group (250) can be reflected by the reflector (260), and the light path can be directed toward the projection lens unit and then reflected toward the prism or light modulator below.
반사부(260)는 후단렌즈군(250)또는 제1 방향 등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제2 방향으로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The reflector (260) can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ar lens group (250) or the first direction, etc. By this configuration, the length of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be minimized in the second direction.
추가 렌즈(263)는 반사부(26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 렌즈(263)는 반사부(2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렌즈(263)는 반사부(260)와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The additional lens (263)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reflector (260). However, it may not be present as shown. The additional lens (263)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reflector (260). The additional lens (263) may overlap at least partially with the reflector (260) in the second direction.
추가 렌즈(263)는 릴레이 렌즈(Relay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렌즈(263)는 반사부(260)로부터 반사된 광을 투과할 수 있다. 추가 렌즈(263)는 광선을 일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추가 렌즈(263)는 광선의 경로를 정렬 또는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추가 렌즈(263)는 조명계에서 제공되는 조명 또는 이미지(광선의 최대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거나, 광학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The additional lens (263) may include a relay lens. The additional lens (263) may transmit light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260). The additional lens (263) may transmit light from one location to another. That is, the additional lens (263) may align or change the path of the light. Furthermore, the additional lens (263) may adjust the size of the light or image (maximum area of the light) provided by the illumination system, or compensate for optical differences.
프리즘(270)은 후단렌즈군(25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270)은 추가 렌즈(263)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즘(270)은 후단렌즈군(250)과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270)은 반사부(26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프리즘(270)은 추가 렌즈(263) 또는 반사부(26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프리즘(270)은 추가 렌즈(263) 또는 반사부(260)와 제2 방향으로 일부 중첩될 수 있다. 나아가, 프리즘(270)은 일부 영역이 추가 렌즈(263) 또는 반사부(260)와 제2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프리즘(270)은 추가 렌즈(263)로부터 출사된(또는 투과된) 광을 투과하고 투광된 광이 광변조기(280)에 입사되어 다시 출사된 광을 투사 렌즈부(290)로 반사할 수 있다.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rear lens group (250). In addition, 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additional lens (263). In addition, 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lens group (25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In addition, 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reflector (26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Furthermore, 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additional lens (263) or the reflector (260). The prism (270) may partially overlap with the additional lens (263) or the reflector (260) in the second direction. In addition, the prism (270) may not overlap with the additional lens (263) or the reflector (260) in the second direction in some areas. By this configuration, the prism (270) can transmit light emitted (or transmitted) from the additional lens (263), and the transmitted light can be incident on the light modulator (280) and reflected back to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프리즘(270)은 전반사 프리즘(Total Internal Reflection Prism, TIR Prism)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2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선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리즘(270)은 광선에 대한 투과와 반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리즘(270)은 반사부(260)(또는 추가 렌즈(263))로부터 출사된(또는 투과된) 광을 투과하고, 광변조기(28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270)은 광원부(220)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과하고, 광변조기(280)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즘(270)은 광변조기(280)로부터 출사된 광을 투사 렌즈부(290)로 반사할 수 있다. 이에, 광의 경로 또는 광의 진행 방향이 제1 방향에 대응하다가, 반사부(260)에서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변경되고, 다시 제1 방향 또는 투사 렌즈부를 향해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의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ism (270) may include a total internal reflection prism (TIR prism). The prism (270) may change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light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prism (270) may perform transmission and reflection of light. Specifically, the prism (270) may transmit light emitted (or transmitted) from the reflection unit (260) (or additional lens (263)) and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modulator (280). In addition, the prism (270) may transmi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modulator (280). For example, the prism (270) may reflec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modulator (280) to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Accordingly, the path of light or the direction of light propagation may correspond to the first direction, change to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direction at the reflector (260), and then be converted back toward the first direction or the projection lens unit. By this configuration, miniaturization of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chieved.
프리즘(270)은 조명계에서는 프리즘(27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리즘(270)은 투영계에서는 광변조기(28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원에서 출사된 광은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 광변조기(280), 프리즘(270) 및 투사 렌즈부(290)를 지나 최종적으로 스크린 또는 도파관(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될 수 있다.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prism (270) in th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prism (27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light modulator (280) in the projection system. In other word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may pass through the intermediate lens (230), the diffusion unit (240),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ion unit (260), (additional lens (263)), the prism (270), the light modulator (280), the prism (270), and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and finally be provided to the screen or waveguide (display unit).
이에, 광 경로 상 프리즘(270)은 광변조기(280)와 투사 렌즈부(2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프리즘(270)은 추가 렌즈(263)와 광변조기(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a prism (270) on the optical path may be placed between the optical modulator (280) and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Additionally, the prism (270) may be placed between the additional lens (263) and the optical modulator (280).
그리고 광변조기(280)는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 예컨대, 광변조기(280)는 기판(SB)을 통해 입사된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영상 또는 이미지를 출사 또는 투영할 수 있다. 즉, 광변조기(280)는 광원부(220)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할 수 있다.And the light modulator (280) can reflect the incident light to project an image. For example, the light modulator (280) can emit or project an image or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that is incident through the substrate (SB). That is, the light modulator (280) can modulat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실시예에 따른 광변조기(280)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바이스(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변조기(280)는 각 파장의 광에 대한 가중치(weight)를 상이하게 적용하여 이미지를 투사 또는 프로젝팅할 수 있다. 실시예로 광변조기(280)는 복수의 소형의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각 거울은 신호(예, 디지털 신호)에 따라 빛을 반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변조기(280)는 기판(SB)을 통해 인가된 영상 신호를 기반으로 각 거울의 상태를 제어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한 이미지(또는 영상)을 투영 또는 프로젝트할 수 있다. 예컨대, 거울의 제어에 의해 광을 반사하면 밝은 이미지 영역이 출사되고, 광을 차단하면 어두운 이미지 영역이 출사될 수 있다. The optical modulator (28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digital micromirror device (DMD). And the optical modulator (280) may project an image by applying different weights to light of each wavelength. As an embodiment, the optical modulator (28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mall mirrors. For example, each mirror may reflect or block light according to a signal (e.g., a digital signal). In other words, the optical modulator (280) may control the state of each mirror based on an image signal applied through the substrate (SB) to project or project an image (or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For example, when light is reflected by the control of the mirror, a bright image area may be output, and when light is blocked, a dark image area may be output.
투사 렌즈부(290)는 프리즘(270) 및 광변조기(28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광변조기(280)에서 출사된 광이 프리즘(270)에서 반사된 경우, 프리즘(270)에서 반사된 광이 투사 렌즈부(290)로 입사될 수 있다. 투사 렌즈부(290)에서 상술한 광이 투사될 수 있다. 투사 렌즈부(290)는 프로젝트 장치에서 출사되는 광을 스크린 또는 도파관(또는 디스플레이부)로 투영할 수 있다.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may be placed at the rear end of the prism (27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When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modulator (280) is reflected by the prism (270), the light reflected by the prism (270) may be incident on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The light described above may be projected from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may project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device onto a screen or waveguide (or display unit).
실시예에서 투사 렌즈부(290)는 도파관 등의 유효 스탑(stop) 직경(entrance pupil diameter, EPD)내로 광선이 입사되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can adjust the size of the image so that light is incident within the effective stop diameter (entrance pupil diameter, EPD) of the waveguide or the like.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투사 렌즈부(290)는 렌즈 배럴(291)과 렌즈 배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L1 내지 L4)(또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lens barrel (291) and a plurality of lenses (L1 to L4) (or optical systems) arranged within the lens barrel.
복수의 렌즈(L1 내지 L4)는 프리즘(270)과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enses (L1 to L4)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prism (270) in the first direction.
차단부재(TP)는 하우징(210)의 일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하우징(210) 내에 각 구성요소가 수용된 이후에 각 구성요소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하우징(210)의 홈에 대응하여 하우징(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TP)는 각 구성요소를 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단부재(TP)는 하우징(210)의 구성요소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타광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 또는 프로젝트 장치의 이미지 투영이 보다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TP) may be arrang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Accordingly, it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component after each component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10). As an example, it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210) corresponding to a groove of the housing (210). And the blocking member (TP) may cover each componen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blocking member (TP) may easily block foreign substances or light from entering the components of the housing (210). Accordingly, image proje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or a projector may be implemented more accurately.
추가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200)는 기판(SB), 체결부재(SC1, SC2), 보강판(ST1, ST2)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jec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substrate (SB), fastening members (SC1, SC2), and reinforcing plates (ST1, ST2).
기판(SB)은 광원부(220)및 광변조기(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광원부(220) 및 광변조기(280)는 기판(S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SB)은 하우징(2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기판(SB)은 하우징(2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substrate (SB)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can be placed on the substrate (SB). And the substrate (SB) can be placed in the housing (210). For example, the substrate (SB) can be plac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210).
기판(SB)을 통해 광변조기(280), 광원부(22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기판(SB)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부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기판(SB)을 통해 외부의 제어 신호는 프로젝트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트 장치는 송신된 제어 신호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light modulator (280) and the light source unit (22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substrate (SB). The substrate (SB) can communicate with a control unit of an external device, etc., wirelessly or by wire. For example, an external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device through the substrate (SB). And the projector device can output an image based on the transmitted control signal.
체결부재(SC1, SC2)는 기판(S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기판(SB), 하우징(210), 광원부(220) 및 광변조기(28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기판(SB)이 하우징(2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조립 또는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s (SC1, SC2)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SB). Accordingly,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ubstrate (SB), the housing (210),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may be improved. Furthermore, the substrate (SB)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210), thereby improving the freedom of assembly or design.
보강판(ST1, ST2)은 기판(S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보강판(ST1, ST2)은 스티프너(stiffener)로 금속, 복합재료, 수지(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판(ST1, ST2)은 기판(SB)의 외측에 배치되어 기판(SB) 및 하우징의 강성과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광원부(220) 및 광변조기(280)의 위치에 대응하여 기판(S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에 의해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한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보강판(ST1, ST2)는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프로젝트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SC1, SC2)는 보강판(ST1, ST2)을 관통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체결부재는 각 보강판을 관통하여, 기판과 하우징(210) 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s (ST1, ST2)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SB). Furthermore, the reinforcing plates (ST1, ST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composite materials, and resin (plastic) as a stiffener. The reinforcing plates (ST1, ST2) may be arranged on the outside of the substrate (SB) to improve the rigidity and strength of the substrate (SB) and the housing. For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on the substrate (SB)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By this configuration, deformation due to heat generated by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etc., may be suppressed. Furthermore, the reinforcing plates (ST1, ST2) may protect the projector device from external impact, etc.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s (SC1, SC2) may penetrate the reinforcing plates (ST1, ST2). For example, each fastener can penetrate each reinforcing plate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housing (210).
변형예로, 보강판은 기판(SB)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아니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판은 광원부(220)에서 광변조기(280)까지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s a variation,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integrally rather than in multiple pieces corresponding to the substrate (SB).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to the light modulator (280).
또한, 기판도 각 광원과 광변조기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도 복수의 기판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재는 각각이 복수의 기판을 모두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기판을 하나의 체결 부재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의 개수는 홀수 또는 짝수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s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light source and light modulator. In addition, the fastening members may be arranged respectively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s. Or, each of the fastening members may penetrate all of the plurality of substrate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ubstrates may be joined to each other with one fastening member. Accordingly, the number of fastening members may be variously set to an odd number or an even number.
도 6 및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이다.Figures 6 and 7 are drawings of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th the housing removed.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는 조명계(illuminating system)과 투영계(projecting system)(또는 프로젝팅계, 프로젝팅부, 투사부, 투영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A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illuminating system and a projecting system (or a projecting system, a projecting unit, a projection unit, a projection unit, etc.).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젝트 장치는 조명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계(illuminating system)는 하우징(210),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조명계에서 프리즘(27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광변조기(280)로 입사될 수 있다. 이에, 조명계는 광변조기(280)까지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project device may include an illumin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llumination system may include a housing (210), a light source unit (220),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nd a prism (270). Furthermore, light emitted from the prism (270) in the illumination system may be incident on a light modulator (280). Accordingly, the illumination system may include up to the light modulator (280).
이러한 조명계는 프리즘(270)을 구성요소로 포함하며, 광원 광(조명 광)을 받아들이고 소정의 방향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조명 광은 투영계의 광변조기(280)로 전달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This lighting system includes a prism (270) as a component, and can receive light from a light source (illumination light) and emit ligh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illumination light can be transmitted or provided to a light modulator (280) of the projection system.
도 7을 더 참조하면, 투영계(projecting system)는 프리즘(270), 광변조기(280), 투사 렌즈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영계는 프리즘(27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리즘(270)은 조명계와 투영계의 일 요소일 수 있다. 나아가, 투영계는 조명계에서 발생한 조명 광을 광변조기(280)를 통해 변조하고 프리즘(270) 및 투사 렌즈부(290)를 통해 소정의 방향으로 출사하거나 발산할 수 있다.Referring further to FIG. 7, the projection system may include a prism (270), a light modulator (280), and a projection lens unit (290). The projection system may include the prism (270) as a component. In an embodiment, the prism (270) may be an element of the illumination system and the projection system. Furthermore, the projection system may modulate illumination light generated in the illumination system through the light modulator (280) and emit or diverg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rough the prism (270) and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그리고 프로젝트 장치에서 광변조기(280)는 조명 광을 패턴화된 광 등으로 반사하고, 패턴화된 광은 투사 렌즈부(290)를 통과하여 프로젝트 장치의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And in the projector device, the light modulator (280) reflects the illumination light into patterned light, etc., and the patterned light can pass through the projection lens unit (290) and be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projector device.
또한, 프로젝트 장치의 출력부와 도파관 또는 파장 가이드(웨이브가이드)의 입력부 사이에는 광학 폴딩 부재가 존재할 수도 있다. 광학 폴딩 부재는 패턴화된 광의 광학 경로를 적어도 2개의 다른 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tical folding member may be present between the output of the project device and the input of the waveguide or waveguide. The optical folding member may be formed to fold the optical path of the patterned light in at least two different directions.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다.Figure 8 is an optical system for an illumination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광학계(1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을 포함하며, 프리즘(270) 후단에 위치하며 광이 입사되는 광변조기(280)가 광학계에서 상(image)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optical system (10A)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220) from which light is emitted,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nd a prism (270), and an optical modulator (280)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rism (270) and onto which light is incident can correspond to an image in the optical system.
본 프로젝트 장치에서 스탑(stop)의 위치는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서 위치하며, 특히 확산부(240)가 스탑(stop)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광원에서 출사된 광 또는 빛다발이 확산부(240)의 위치에서 모이고, 확산부(240)를 통해 용이하게 섞여 백색의 광이 광변조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1개의 패널로 이루어진 광원을 사용하여 사이즈 감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확산부(240)로 인해 중간렌즈를 통과한 광다발의 진행각도가 새로 설계될 수 있다. 즉, 확산부(240)가 가상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In this project device, the position of the stop is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 (220) and the light modulator (280), and in particular, the diffusion unit (240) can be placed at the position of the stop. Accordingly, light or a light bundle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collected at the position of the diffusion unit (240), and can be easily mixed through the diffusion unit (240) to provide white light to the light modulator. Accordingly, size reduction can be easily achieved by using a light source composed of one panel. In addition, the propagation angle of the light bundle passing through the intermediate lens can be newly designed due to the diffusion unit (240). That is, the diffusion unit (240) can be used as a virtual plane.
또한, 중간렌즈(230)는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과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중간렌즈(230)에서 광원부(220)를 향한 면일 수 있다.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은 중간렌즈(230)에서 광변조기(280)를 향한 면일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광원부측면은 해당 구성요소에서 광원부를 향한 면에 대응한다. 반사부측면은 해당 구성요소에서 반사부를 향한 면에 대응한다. In addition,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include a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a reflection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a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facing the light source (220).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a surface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facing the light modulator (280). Furthermore,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described below corresponds to a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facing the light source. The reflection side surface corresponds to a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facing the reflection.
후단렌즈군(250)에서 제1 후단렌즈(251)는 광원부측면(S3)과 반사부측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은 후단렌즈군(250)에서 광원부(220)를 향한 면일 수 있다.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S4)은 후단렌즈군(250)에서 광변조기(280)를 향한 면일 수 있다.In the rear lens group (250), the first rear lens (251) may include a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and a reflection side surface (S4).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a surface facing the light source (220) in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4)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a surface facing the light modulator (280) in the rear lens group (250).
그리고 후단렌즈군(250)에서 제2 후단렌즈(252)는 광원부측면(S5)과 반사부측면(S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5)은 후단렌즈군(250)에서 광원부(220)를 향한 면일 수 있다.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S6)은 후단렌즈군(250)에서 광변조기(280)를 향한 면일 수 있다.And in the rear lens group (250), the second rear lens (252) may include a light source side surface (S5) and a reflection side surface (S6).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5)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a surface facing the light source (220) in the rear lens group (250).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6)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a surface facing the light modulator (280) in the rear lens group (250).
또한, 실시예에서 제1 후단렌즈(251)의 유효경은 제2 후단렌즈(252)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후단렌즈(251)에서 광원부측면(S3)과 반사부측면(S4)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경은 제2 후단렌즈(252)에서 광원부측면(S5)과 반사부측면(S6) 중 적어도 하나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제1 후단렌즈(251)의 반사부측면(S2)의 유효경은 제2 후단렌즈(252)의 광원부측면(S3)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rear lens (252). The effectiv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and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4)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5) and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6) of the second rear lens (252). For example,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2)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larger than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second rear lens (252).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후단렌즈(251)를 통해 유효경 제어가 이루어지므로 제2 후단렌즈(252)의 유효경 크기를 작게 가져가 수차 성능의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effective diameter control is achieved through the first rear lens (251), so the effective diameter size of the second rear lens (252) can be made small,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improving aberration performance.
나아가, 제1 후단렌즈(251)의 반사부측면(S2)의 유효경은 제2 후단렌즈(252)의 광원부측면(S3)의 유효경과 비가 1:3.4 내지 1:4.1일 수 있다. 상기 비가 1:1.34보다 작으면 수차 성능이 저하되고, 1:4.1보다 크면 제2 후단렌즈의 제작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Furthermore,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have a ratio of 1:3.4 to 1:4.1 to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side (S3) of the second rear lens (252). If the ratio is less than 1:1.34, aberration performance deteriorates, and if it is greater than 1:4.1,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second rear lens.
나아가,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는 하기 표 1(구성요소 정보) 및 표 2(비구면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each component can be applied with the contents of Table 1 (component information) and Table 2 (aspherical data) below.
여기서,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왼쪽 또는 광원부측면의 두께는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또는 제2 후단렌즈)의 두께(굴절률(index), 아베수(Abbe) 등)를 의미한다.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오른쪽 또는 광변조기 측 면의 두께는 다음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Air'는 인접한 2개의 element 사이의 추가 이격 거리이다. 따라서 제1 후단렌즈와 제2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2.948㎜(2.741+0.207)일 수 있다. 나아가, 두께, 길이에 대한 단위는 ㎜일 수 있다. 또한, 확산부와 반사부에서의 두께는 후단의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로, 광원부(220)에서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까지의 거리(D1+D2)는 5.5㎜ 내지 9㎜일 수 있다. 이 때, 광원부(220)에서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까지의 거리(D1+D2)가 5.5㎜ 보다 작을 경우 조립이 힘들고, 광원부(220)에서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까지의 거리(D1+D2)가 9㎜ 보다 클 경우 소형화가 힘들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Here, the thickness of the left side or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thickness (refractive index, Abbe number, etc.)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or the second rear lens). The thickness of the right side or the light modulator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next component. In addition, 'Air' is an addition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elements.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may be 2.948 mm (2.741 + 0.207). Furthermore, the unit for thickness and length may be m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art and the reflection part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r component. As an example, the distance (D1 + D2) from the light source part (220) to the reflection part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5.5 mm to 9 mm. At this time, if the distance (D1+D2) from the light source (220) to the reflective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is less than 5.5 mm, assembly is difficult, and if the distance (D1+D2) from the light source (220) to the reflective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is greater than 9 mm,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광원부(220)에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까지의 거리(D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제1 후단렌즈의 두께(D6) 또는 제2 후단렌즈의 두께(D8)보다 작을 수 있다.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1) from the light source unit (220) to the light source unit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In addition,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or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그리고 중간렌즈(230)의 반사부측면(S2)은 확산부(240)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확산부(240)와 중간렌즈(230)의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간의 이격 거리(D3)는 15㎛ 내지 10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확산부(240)와 중간렌즈(230)의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 간의 이격 거리(D3)는 15㎛ 내지 50㎛일 수 있다.And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diffusion side (240). For example, the distance (D3) between the diffusion side (240) and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can be 15 ㎛ to 100 ㎛. Preferably, the distance (D3) between the diffusion side (240) and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can be 15 ㎛ to 50 ㎛.
그리고 중간렌즈(230)의 반사부측면(S2)과 확산부(240)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확산부(240)와 후단렌즈군(250) 사이의 이격 거리(D5)보다 작을 수 있다.And the distance (D3) between the reflective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diffusion part (24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5) between the diffusion part (240) and the rear lens group (250).
또한, 확산부(240)의 두께(D4)는 확산부(240)와 중간렌즈(230)의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간의 이격 거리(D3)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확산부(240)의 두께(D4)에 따라 확산부(240)와 중간렌즈(230)의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간의 이격 거리(D3) 이상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D4) of the diffusion portion (240)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D3) between the diffusion portion (240) and the reflective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However, depending on the thickness (D4) of the diffusion portion (240), the distance (D3) between the diffusion portion (240) and the reflective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D4) between the diffusion portion (240) and the reflective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확산부(240)에서 제1 후단렌즈(251)의 광원부측면(S3)까지의 이격 거리(D5)는 1㎜ 내지 5㎜일 수 있다. 확산부(240)에서 제1 후단렌즈(251)의 광원부측면(S3)까지의 이격 거리(D5)가 1㎜보다 작으면 조립이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확산부(240)에서 제1 후단렌즈(251)의 광원부측면(S3)까지의 이격 거리(D5)가 5㎜보다 크면 소형화가 어려운 점이 존재한다.The distance (D5) from the diffusion part (240) to the light source side (S3)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1 mm to 5 mm. If the distance (D5) from the diffusion part (240) to the light source side (S3) of the first rear lens (251) is less than 1 mm, there is a limitation that assembly is difficult. If the distance (D5) from the diffusion part (240) to the light source side (S3) of the first rear lens (251) is greater than 5 mm, there is a limitation that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또한, 확산부(240)와 제1 후단렌즈(251) 사이의 이격 거리(D5)는 중간렌즈(230)와 확산부(240) 사이의 이격 거리(D3), 제1 후단렌즈(251)와 제2 후단렌즈(252) 사이의 이격 거리(D7) 및 제2 후단렌즈(252)와 반사부(260) 사이의 이격 거리(D9)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확산부에서 광 다발에 대한 포커싱을 통한 효율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D5)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greater than at least one of the separation distance (D3)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diffusion unit (240), the separation distance (D7) between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9)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reflector (26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efficiency improvement through focusing of the light bundle in the diffusion unit.
제1 후단렌즈(251)의 두께(D6)는 제2 후단렌즈(252)의 두께(D8)보다 클 수 있다. 제1 후단렌즈(251)의 두께(D6)와 제2 후단렌즈(252)의 두께(D8)는 중간렌즈(230)의 두께(D2)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후단렌즈(251)의 두께(D6)와 제2 후단렌즈(252)의 두께(D8)는 중간렌즈(230)의 두께(D2)보다 작을 수 있다.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252). 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252) may be greater than or less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In an embodiment, 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252)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반사부(260)에서 광변조기(280)까지의 거리(D10)는 확산부(240)와 후단렌즈군(250) 사이의 이격 거리(D5)보다 클 수 있다. 나아가, 반사부(260)에서 광변조기(280)까지의 거리(D10)는 중간렌즈(230)의 두께(D2), 제1 후단렌즈(251)의 두께(D6) 또는 제2 후단렌즈(252)의 두께(D8)보다 클 수 있다.The distance (D10) from the reflector (260) to the light modulator (280) may be grea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5) between the diffusion unit (240) and the rear lens group (250). Furthermore, the distance (D10) from the reflector (260) to the light modulator (28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251), or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252).
또한,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에서 반사부(260)까지의 거리(D6+D7+D8+D9)는 5㎜ 내지 12㎜일 수 있다.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에서 반사부(260)까지의 거리(D6+D7+D8+D9)가 5㎜보다 더 작아지면 조립이 힘든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에서 반사부(260)까지의 거리(D6+D7+D8+D9)가 12㎜ 이상이면 소형화가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소형화를 위해서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에서 반사부(260)까지의 거리(D6+D7+D8+D9)가 5㎜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ance (D6+D7+D8+D9) from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end lens to the reflection part (260) may be 5 mm to 12 mm. If the distance (D6+D7+D8+D9) from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end lens to the reflection part (260) is smaller than 5 mm, there is a limitation that assembly is difficult. In addition, if the distance (D6+D7+D8+D9) from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end lens to the reflection part (260) is 12 mm or m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Preferably, for miniaturization, the distance (D6+D7+D8+D9) from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end lens to the reflection part (260) may be 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나아가, 확산부(240)에서 반사부(260)까지의 이격 거리(D5+D6+D7+D8+D9)는 11.7㎜ 내지 12.3㎜일 수 있다. 예컨대, 확산부(240)에서 반사부(260)까지의 이격 거리(D5+D6+D7+D8+D9)가 11.7㎜보다 작은 경우 포커싱 설계 및 렌즈 형상 설계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확산부(240)에서 반사부(260)까지의 이격 거리(D5+D6+D7+D8+D9)가 12.3㎜보다 큰 경우 소형화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Furthermore, the distance (D5+D6+D7+D8+D9) from the diffusion portion (240) to the reflection portion (260) may be 11.7 mm to 12.3 mm. For example, if the distance (D5+D6+D7+D8+D9) from the diffusion portion (240) to the reflection portion (260) is smaller than 11.7 mm, there is a problem that focusing design and lens shape design are difficult. In addition, if the distance (D5+D6+D7+D8+D9) from the diffusion portion (240) to the reflection portion (260) is larger than 12.3 mm, there is a problem that miniaturization is difficult.
또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광원부(220)를 향해 볼록 또는 오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광원부(220)를 향해 오목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or concave toward the light source (220). In an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cave toward the light source (220).
또한,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은 광변조기(280) 또는 반사부(26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다른 말로,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은 광원부(220)를 향해 오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3색의 적색(R), 녹색(G), 청색(B)의 광이 백색 광으로 섞인 상태로 반사부(260)에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modulator (280) or the reflection part (260). In other words,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cave toward the light source part (220). By this configuration, the three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light may be effectively provided to the reflection part (260) in a state of being mixed into white light.
특히,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이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반사부(260)로의 백색광의 제공이 개선된 효율로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Accordingly, white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reflection side (260) with improved efficiency.
또한,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3)은 광원부(22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S4)은 광변조기 또는 반사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반사부(260)의 소형화를 제공하고, 조명 성능에 대응하여 거리 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3)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source (220). And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4) of the first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modulator or refl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reflection side (260) can be miniaturized, and distance adjus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in response to lighting performance.
제2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S5)은 반사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제2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은 반사부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5) of the second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reflector. In addition, the reflection side surface of the second rear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reflection.
그리고 광원부(220)로부터 출사된 광의 광축(OX)은 반사부(260)의 반사면과 이루는 각도(θa)가 42도 내지 48도일 수 있다. 예컨대, 반사부(260)에서 광에 대한 반사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소형화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광축(OX)이 반사부(260)의 반사면과 이루는 각도는 프리즘(270)의 굴절률에 의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광축(OX)은 제1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And the optical axis (OX)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220) may form an angle (θa) of 42 to 48 degrees with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eflection surface (260). For example, it may correspond to the reflection angle of the light in the reflection surface (260). By this configuration, miniaturization may be more easily achieved. And the angle formed by the optical axis (OX) with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reflection surface (260) may be adjusted by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sm (270). The optical axis (OX)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확산부(240)의 크기는 중간렌즈(230) 및 제1 후단렌즈(251) 중 적어도 하나의 최대 유효경보다 작을 수 있다. 확산부(240)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micro lens array)인 경우, 전체 유효 영역(Active Area, AA)이 확산부(240)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스탑에서 확산부(240)에 의한 광 다발의 섞임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확산부(240)에서 출사되는 백색광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diffusion part (240)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effectiv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and the first rear lens (251). When the diffusion part (240) is a micro lens array, the entire active area (AA)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diffusion part (240). With this configuration, mixing of the light bundle by the diffusion part (240) at the stop may be easily perform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part (240) may be increased.
또한, 제1 후단렌즈(251)의 유효경은 반사부(260)의 유효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소형화된 광학계 또는 프로젝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251) may be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or (260). Accordingly, a miniaturized optical system or projector device can be provided.
나아가, 중간렌즈(230)의 굴절률은 제1 후단렌즈(251) 및 제2 후단렌즈(252)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Furtherm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second rear lens (252).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다.Figure 9 is an optical system for an illumination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광학계(10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을 포함하며, 프리즘(270) 후단에 위치하며 광이 입사되는 광변조기(280)가 광학계에서 상(image)에 대응할 수 있다. 본 프로젝트 장치에서 스탑(stop)의 위치는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서 위치하며, 특히 확산부(240)가 스탑(stop)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프로젝트 장치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ptical system (10B)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220) from which light is emitted,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nd a prism (270) as described above, and an optical modulator (280)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rism (270) and onto which light is incident can correspond to an image in the optical system. In the present projector device, the position of the stop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optical modulator (280), and in particular, the diffusion unit (240) can be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stop. Furthermore,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projector device can be equally applied, except for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는 하기 표 3(구성요소 정보) 및 표 4(비구면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be applied with the contents of Table 3 (component information) and Table 4 (aspherical data) below.
여기서,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왼쪽 또는 광원부측면의 두께는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또는 제2 후단렌즈)의 두께(굴절률(index), 아베수(Abbe) 등)를 의미한다.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오른쪽 또는 광변조기 측 면의 두께는 다음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Air'는 인접한 2개의 element 사이의 추가 이격 거리이다. 따라서 제1 후단렌즈와 제2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2.948㎜(2.741+0.207)일 수 있다. 나아가, 두께, 길이에 대한 단위는 ㎜일 수 있다. 또한, 확산부와 반사부에서의 두께는 후단의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광원부(22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이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반사부(260)로의 백색광의 제공이 개선된 효율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of the left or light source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thickness (refractive index, Abbe number, etc.)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or the second rear lens). The thickness of the right or light modulator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next component. In addition, 'Air' is an addition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elements.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may be 2.948 mm (2.741 + 0.207). Furthermore, the unit for thickness and length may be m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art and the reflection part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r component. In th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id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source part (220).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ight source sid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ion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Accordingly, white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reflection side (260) with improved efficiency.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제1 후단렌즈(251)와 제2 후단렌즈(252) 사이의 이격 거리(D7) 및 제2 후단렌즈(252)와 반사부(260) 사이의 이격 거리(D9)보다 작을 수 있다.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7) between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9)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reflector (260).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조명계에 대한 광학계이다.Fig. 10 is an optical system for an illumination system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광학계(10C)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이 출사되는 광원부(220), 중간렌즈(230), 확산부(240), 후단렌즈군(250), 반사부(260), 추가 렌즈(263), 프리즘(270)을 포함하며, 프리즘(270) 후단에 위치하며 광이 입사되는 광변조기(280)가 광학계에서 상(image)에 대응할 수 있다. 본 프로젝트 장치에서 스탑(stop)의 위치는 광원부(220)와 광변조기(280) 사이에서 위치하며, 특히 확산부(240)가 스탑(stop)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후술하는 내용을 제외하고 상술한 프로젝트 장치의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projector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optical system (10C) includes a light source unit (220) from which light is emitted, an intermediate lens (230), a diffusion unit (240), a rear lens group (250), a reflection unit (260), an additional lens (263), and a prism (270) as described above, and an optical modulator (280)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prism (270) and onto which light is incident can correspond to an image in the optical system. In the present projector device, the position of the stop is positioned between the light source unit (220) and the optical modulator (280), and in particular, the diffusion unit (240) can be arranged at the position of the stop. Furthermore,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projector device can be equally applied, except for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나아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는 하기 표 5(구성요소 정보) 및 표 6(비구면 데이터)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Furthermore, in a projec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ach component may be applied with the contents of Table 5 (component information) and Table 6 (aspherical data) below.
여기서,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왼쪽 또는 광원부측면의 두께는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또는 제2 후단렌즈)의 두께(굴절률(index), 아베수(Abbe) 등)를 의미한다. 중간렌즈와 제1 후단렌즈에서 오른쪽 또는 광변조기 측 면의 두께는 다음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Air'는 인접한 2개의 element 사이의 추가 이격 거리이다. 따라서 제1 후단렌즈와 제2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2.948㎜(2.741+0.207)일 수 있다. 나아가, 두께, 길이에 대한 단위는 ㎜일 수 있다. 또한, 확산부와 반사부에서의 두께는 후단의 구성요소와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광원부(220)를 향해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이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예컨대,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플랫한 평탄면일 수 있다. 이에,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곡률반경이 무한대(infinite)일 수 있다. 이로써, 반사부(260)로의 백색광의 제공이 개선된 효율로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thickness of the left or light source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thickness (refractive index, Abbe number, etc.)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or the second rear lens). The thickness of the right or light modulator sid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next component. In addition, 'Air' is an addition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elements. Therefo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may be 2.948 mm (2.741 + 0.207). Furthermore, the unit for thickness and length may be mm.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art and the reflection part mean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rear component. In the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id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convex toward the light source part (220). In addition,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great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ion side surfac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be a flat surface. Accordingly, the light source side surfac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have an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Accordingly, white light may be provided to the reflection side (260) with improved efficiency.
또한,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S1)은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이 증가함에 따라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S2)의 곡률반경의 크기의 절대값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curvature radius of the light source side (S1) of the intermediate lens increases, the absolute value of the size of the curvature radius of the reflective side (S2) of the intermediate lens may decrease.
또한,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제1 후단렌즈(251)와 제2 후단렌즈(252) 사이의 이격 거리(D7) 및 제2 후단렌즈(252)와 반사부(260) 사이의 이격 거리(D9)보다 작을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7) between the first rear lens (251) and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separation distance (D9)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252) and the reflector (260).
그리고 중간렌즈(230)의 두께(D2)는 제1 후단렌즈의 두께(D6) 또는 제2 후단렌즈의 두께(D8)보다 작을 수 있다.And the thickness (D2) of the intermediate lens (23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D6) of the first rear lens or the thickness (D8) of the second rear lens.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exemplifi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example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examples,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xamples belong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xamples.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5)
상기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변조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변조기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렌즈;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후단렌즈; 및
상기 제1 후단렌즈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후단렌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단렌즈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유효경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light source;
A light modulator that modulates light emitted from the above light source;
A diffusion unit disposed between the above optical modulator and the light source unit;
An intermediate lens dispos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light source unit;
A first rear lens disposed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optical modulator; and
A second rear lens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optical modulator;
A project device in which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second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의 유효경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first rear lens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second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의 유효경은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과 비가 1:3.4 내지 1:4.1인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first rear lens and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second rear lens have a ratio of 1:3.4 to 1:4.1.
상기 제2 후단렌즈와 상기 광변조기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
상기 광변조기와 상기 반사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reflecto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optical modulator;
A project device including a prism disposed between the optical modulator and the reflector.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제1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중간렌즈와 상기 확산부 사이의 이격 거리, 상기 제1 후단렌즈와 상기 제2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 및 상기 제2 후단렌즈와 상기 반사부 사이의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ion unit and the first rear lens is greater than at least on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diffusion uni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ear lens and the reflector.
상기 확산부와 상기 제1 후단렌즈 사이의 이격 거리는 1㎜ 내지 5㎜인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 device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diffusion portion and the first rear lens is 1 mm to 5 mm.
상기 확산부의 크기는 상기 중간렌즈 및 상기 제1 후단렌즈 중 적어도 하나의 최대 유효경보다 작은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 device in which the size of the above diffusion portion is smaller than the maximum effectiv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intermediate lens and the first rear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유효경은 상기 반사부의 유효경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 device in which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first rear lens is larger than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reflector.
상기 중간렌즈의 굴절률은 상기 제1 후단렌즈 및 상기 제2 후단렌즈의 굴절률보다 작은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ntermediate lens is lower tha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rear lens and the second rear lens.
상기 확산부는 스탑(stop)의 위치에 배치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는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ffusion unit is a project device positioned at or adjacent to the stop position.
상기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은 상기 광원부를 향해 볼록 또는 오목한 프로젝트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is a convex or concave projector device toward the light source.
상기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은 상기 반사부를 향해 볼록한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 device in which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is convex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상기 중간렌즈의 광원부측면의 곡률반경의 크기는 상기 중간렌즈의 반사부측면의 곡률반경의 크기보다 큰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lection side of the above intermediate lens.
상기 제1 후단렌즈의 광원부측면은 상기 광원부를 향해 볼록한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light source side of the first rear lens is convex toward the light source.
상기 제1 후단렌즈의 반사부측면은 상기 반사부를 향해 볼록한 프로젝트 장치.In paragraph 4,
A projector device in which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first rear lens is convex toward the reflective surf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4/002893 WO2024186129A1 (en) | 2023-03-06 | 2024-03-06 | Pro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33847 | 2023-03-15 | ||
KR1020230033847 | 2023-03-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9988A true KR20240139988A (en) | 2024-09-24 |
Family
ID=9292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31761A Pending KR20240139988A (en) | 2023-03-06 | 2024-03-06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39988A (en) |
-
2024
- 2024-03-06 KR KR1020240031761A patent/KR20240139988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02838B1 (e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two lens-prisms | |
US20210223550A1 (en) | Optical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240139988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0824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36249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41547A (en) |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0858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7584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4585996A1 (en) | Pro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20240140859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4571394A1 (en) | Pro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20240140860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0861A (en) | Light guid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54444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54443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50092063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54441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54442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6596A (en) |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98986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34614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46601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154415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21085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50034879A (en) | Projec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