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37951A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37951A KR20240137951A KR1020230031392A KR20230031392A KR20240137951A KR 20240137951 A KR20240137951 A KR 20240137951A KR 1020230031392 A KR1020230031392 A KR 1020230031392A KR 20230031392 A KR20230031392 A KR 20230031392A KR 20240137951 A KR20240137951 A KR 202401379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mobile terminal
- door
- driving information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은, 제1 휴대 단말이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제3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의 이동 정보의 획득과 스마트 키의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은 인공위성에서 송신된 전파를 이용하여 지상 목표물의 위치정보를 산출하는 측위 시스템이다. GNSS는 교통수단의 위치 확인 등 민간 분야는 물론 군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들 수 있다.
GPS는 지상 목표물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된 L1 및 L2 반송파를 이용한 삼각 측량 방식을 사용하여, 지상 목표물의 절대 위치정보를 산출한다.
정확한 차량의 주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와 같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행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야 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스마트 키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해 차량의 디지털 키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고 GPS 모듈을 이용해 차량의 이동 시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 단말을 통해, 차량에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차량의 주행 정보를 기록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은, 제1 휴대 단말이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제3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신호를 전송하는 제6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을 잠금하는 제7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8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1 주행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로 이관하는 제11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제13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14 단계;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제1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5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신호를 전송하는 제16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을 잠금하는 제17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18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상기 제2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19 단계;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2 주행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제20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0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휴대 단말의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모바일 앱을 통해 차량 주행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반납을 요청하여 승인받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1 주행 정보와 상기 제2 주행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차량의 전체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키를 제어할 수 있는 디지털 키를 통해 차량의 문을 잠그거나 잠금 해제를 할 수 있으며, 디지털 키 제어를 위해서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을 사용하고, 휴대용 단말의 위치 정보 수집이 가능한 GPS 모듈을 이용하여 디지털 키와 차량에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차량 주행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 도어 제어 장치 H/W(이하, 제어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도어락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S/W(모바일앱)가 사용되나, 자동 도어 제어 장치는 위치 인식과 기록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바일 앱이 설치된 휴대폰의 GPS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자동차 도어 제어를 주로 한다는 특성을 활용하여, 자동차 도어 제어 단계와 주행 정보 기록 단계를 결합하였으며, 모바일 앱은 블루투스, LTE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차 도어 잠금/해제 동작을 요청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는 요청에 따라 도어의 잠금과 해제 동작을 수행하여, 잠금과 해제 동작의 성공 여부를 무선 통신을 통해 응답한다. 이와 같은 도어 잠금 해제 성공시, 모바일 앱은 주행 정보 기록을 시작하고, 도어 잠금시 기록을 중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시스템은 휴대 단말(100) 및 차량(300)에 설치되는 디지털 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스마트 단말로서, 위치 정보 수집 및 통신이 가능한 모듈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비와 통신하여 명령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 정보(위도, 경도)와 위치정보 수집 시간, 이동 속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는 차량(300) 내부에 위치하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 문의 잠금 및 해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차량의 문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수행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디지털 키 장치(200)로부터 키 동작 제어 수행 결과를 받아 GPS 정보 저장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차량 잠금 해제가 수행된 후 GPS 정보 저장을 실행하여 주기적으로 GPS 정보를 저장하고, 차량(300)의 잠금이 수행된 후 GPS 위치 정보 저장을 종료한다.
이후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이 가능하며, 상기 차량 예약 시스템의 승인에 의해 상기 차량(300)의 이용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모듈과 GPS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300)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200)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는 상기 차량(300)의 문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장치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의 문의 잠금과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300)의 문을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또는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또는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300)의 이동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휴대 단말(110)이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300)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획득하여 차량을 배차 받는다(S310).
이후에는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300)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200)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한다(S315).
이후,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을 해제하고(S320),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110)로 전송한다(S325)
그에 따라,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S330),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GPS 정보의 수집을 시작하고(S335), GPS 정보의 수집을 반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S340).
이후에는, 차량(300)의 이동이 완료되어,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300)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200)으로 차량의 문 잠금 신호를 전송하면(S345),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문 잠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을 잠금하고(S350), 상기 차량(300)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110)로 전송한다(S355).
따라서,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차량(300)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S360),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상기 제1 사용자(111)가 탑승한 상기 차량(300)의 이동 정보의 획득을 종료한다(S365).
이후,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1 주행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주행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1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후부터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휴대 단말(110)이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300)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획득하여 차량을 배차 받는다(S410).
이후,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300)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200)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110)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한다(S415).
이후에는,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GPS 정보의 수집을 시작하고, GPS 정보의 수집을 반복하여 상기 제1 사용자(111)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S420).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1 주행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제1 주행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고(S425),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1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26).
이후,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이 제1 사용자(111)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제2 사용자(121)의 제2 휴대 단말(120)로 이관할 수 있다(S430).
따라서,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이 상기 제2 사용자(12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300)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200)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디지털 키 장치(200)가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휴대 단말(120)로 전송하며, 그에 따라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이 상기 차량(300)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한다(S435).
이와 같은 차량(300)의 문의 제어 이후에는,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이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GPS 정보의 수집을 시작하고, GPS 정보의 수집을 반복하여 상기 제2 사용자(121)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한다(S440).
이후에는,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2 주행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제2 주행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고(S445),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2 주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450).
또한, 상기 제1 휴대 단말(110)의 제1 사용자(111) 또는 상기 제2 휴대 단말(120)의 제2 사용자(121)의 제어에 의해 모바일 앱을 통해 차량 주행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반납을 요청하여 승인받고(S455, S460),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반납된 차량(300)의 모든 이용 정보를 취합하여(S465),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1 주행 정보와 상기 제2 주행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차량의 전체 주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70).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 단말
110: 제1 휴대 단말
111: 제1 사용자
120: 제2 휴대 단말
121: 제2 사용자
200: 디지털 키 장치
300: 차량
110: 제1 휴대 단말
111: 제1 사용자
120: 제2 휴대 단말
121: 제2 사용자
200: 디지털 키 장치
300: 차량
Claims (5)
- 제1 휴대 단말이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제3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신호를 전송하는 제6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을 잠금하는 제7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1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8 단계;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상기 제1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9 단계; 및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1 주행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제10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휴대 단말이 제1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차량 예약 시스템에 접속하여 차량의 이용을 위한 차량 이용 권한을 제2 사용자의 제2 휴대 단말로 이관하는 제11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전송하는 제12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 잠금을 해제하는 제13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14 단계;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 잠금 해제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GPS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획득하는 제1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5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휴대 단말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키 장치 측으로 차량의 문 잠금 신호를 전송하는 제16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문 잠금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문을 잠금하는 제17 단계;
상기 디지털 키 장치가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상기 제2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18 단계;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차량의 문의 잠금의 수행 결과를 수신하여 모바일 앱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GPS 모듈을 통한 상기 제2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의 획득을 종료하는 제19 단계; 및
상기 제2 휴대 단말이 상기 GPS 모듈을 통해 획득한 상기 차량의 이동 정보를 취합하여 구성한 제2 주행 정보를 생성하여 차량 주행 정보 서버로 전송하는 제20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0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제1 휴대 단말의 제1 사용자 또는 상기 제2 휴대 단말의 제2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모바일 앱을 통해 차량 주행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반납을 요청하여 승인받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주행 정보 서버가 상기 제1 주행 정보와 상기 제2 주행 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차량의 전체 주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1392A KR20240137951A (ko) | 2023-03-09 | 2023-03-09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PCT/KR2024/002965 WO2024186149A1 (ko) | 2023-03-09 | 2024-03-07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1392A KR20240137951A (ko) | 2023-03-09 | 2023-03-09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7951A true KR20240137951A (ko) | 2024-09-20 |
Family
ID=9267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1392A Pending KR20240137951A (ko) | 2023-03-09 | 2023-03-09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37951A (ko) |
WO (1) | WO2024186149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974B1 (ko) | 2013-05-08 | 2014-09-23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차량주행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26130A (ko) * | 2001-09-24 | 2003-03-31 | 임태형 |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상태확인 장치 |
KR20140033293A (ko) * | 2012-09-08 | 2014-03-18 | 인포뱅크 주식회사 | 자동차 및 그의 단말기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
KR20130041865A (ko) * | 2013-03-25 | 2013-04-25 | 조성문 | 스마트폰 어플을 이용한 자동차 대여시스템 |
KR20140142787A (ko) * | 2013-06-04 | 2014-12-15 | 자동차부품연구원 | 전기차 카쉐어링 서비스 운영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KR102317090B1 (ko) * | 2014-03-15 | 2021-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마트 키의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JP6627661B2 (ja) * | 2016-06-28 | 2020-01-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施解錠システム、携帯端末、プログラム、施解錠方法 |
-
2023
- 2023-03-09 KR KR1020230031392A patent/KR20240137951A/ko active Pending
-
2024
- 2024-03-07 WO PCT/KR2024/002965 patent/WO2024186149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2974B1 (ko) | 2013-05-08 | 2014-09-23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차량주행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186149A1 (ko) | 2024-0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7318B2 (en) | Parking assistance service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same, control method for terminal of user,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CN107206966B (zh) | 用于控制车辆的锁定/解锁和/或启动的装置 | |
US9160838B2 (en) | Cell-phone-based vehicle locator and “path back” navigator | |
US20190130343A1 (en) | Baggage collection and delivery system | |
CN102013137A (zh) | 一种汽车租赁的预约系统与方法 | |
US926919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toll information in a road-toll system | |
CN107123300A (zh) | 服务器及其进行车辆定位的方法、装置和系统 | |
US11370318B2 (en) | Electric vehicle support system | |
CN104808172A (zh) | 一种地下车库自动定位与寻车系统 | |
CN203397527U (zh) | 一种车辆位置查询系统 | |
CN105122326A (zh) | 用于提供关于停放的机动车的至少一条位置信息的方法和机动车 | |
JP2020198012A (ja) | 車両管理装置、および、車両管理方法 | |
CN106886844A (zh) | 提高导航效率的方法、装置和移动终端 | |
KR20240137951A (ko) | 자동차 도어 잠금 제어를 이용한 주행 정보 기록 방법 | |
KR102114244B1 (ko) | 차량 탑재 시스템 | |
KR102214989B1 (ko) | 개인이동수단 위탁 및 대여반납 시스템 | |
JP2010010815A (ja) | 位置検知システム及び位置管理サーバ | |
CN113734150A (zh) | 一种泊车控制方法、装置、控制设备及汽车 | |
CN105721616A (zh) | 一种电动交通工具控制系统 | |
CN115393001A (zh) | 车辆借还管理方法、装置、系统、停车桩和共享车辆 | |
KR102507929B1 (ko) | 단말 장치, 후방 서버, 차량 탑재 트랜스폰더, 판정 시스템, 판정 방법, 및 프로그램 | |
JP6465458B2 (ja) | ドライバ判定システム | |
US10807565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KR20210071506A (ko) | 전동 킥보드 대여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230274343A1 (en) | Management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management ser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