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28278A - Relay Power Saving Circuit - Google Patents

Relay Power Saving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8278A
KR20240128278A KR1020230021262A KR20230021262A KR20240128278A KR 20240128278 A KR20240128278 A KR 20240128278A KR 1020230021262 A KR1020230021262 A KR 1020230021262A KR 20230021262 A KR20230021262 A KR 20230021262A KR 20240128278 A KR20240128278 A KR 2024012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node
switch
circuit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2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강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맥스이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맥스이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맥스이브이
Priority to KR102023002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28278A/en
Publication of KR2024012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8278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1Functional circuits, e.g. logic, sequencing, interlock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lay Circuits (AREA)

Abstract

릴레이 제어 회로는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릴레이, 제 1 릴레이의 다른 일단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스위치, 제 2 스위치의 다른 일단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2 릴레이, 및 1 릴레이와 제 1 스위치가 연결된 제 3 노드와 제 2 스위치와 제 2 릴레이가 연결된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와 다이오드 구성만으로 릴레이 사용 시 제어용 코일에서 소모하는 전력과 열을 저감시키면서도, 릴레이의 소형화 및 제어용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까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The relay control circuit includes a first rela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node,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lay and a second node, a second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second rela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node, and a diode connected between a third node to which the first relay and the first switch are connected and a fourth node to which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relay are connect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ower and heat consumed by a control coil when using the relay can be reduced with only the switch and diode configuration, while also miniaturizing the relay and reducing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control coil.

Description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 {Relay Power Saving Circuit}Relay Power Saving Circuit {Relay Power Saving Circuit}

본 발명은 릴레이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릴레이의 전력 저감 회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control circui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ower reduction circuit of a relay.

전기 자동차 충전기 등에서 사용되는 릴레이의 접점을 닫기 위해서는 릴레이 코일에 많은 전력을 공급해야 하나, 접점을 닫은 후 접점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코일에 공급해야 할 필요 전력은 대폭 감소한다. 이에 따라, 접점을 닫은 후 릴레이 코일에 공급하는 전력을 줄여 주지 않으면 필요 이상으로 릴레이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In order to close the contacts of a relay used in an electric vehicle charger, a large amount of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 relay coil, but the required power to be supplied to the coil to maintain the contacts closed after closing the contacts is greatly reduced. Accordingly, i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lay coil after closing the contacts is not reduced, more power will be supplied to the relay coil than necessary.

도 1은 종래 릴레이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이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기본적인 Relay 제어 방식에 따른 회로 중 개별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회로로서, Relay Coil에 Vdc가 Full로 걸리게 되어 전력소모가 크고 발열이 심하다. 이 회로의 소모 전력은 2*Vdc2/Rcoil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circuit, and Fig. 2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each control section of Fig. 1. The circuit shown in Fig. 1 is a circuit that uses an individual control method among circuits according to a basic relay control method, and since Vdc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at full power,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heat generation is seve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is circuit is 2*Vdc 2 /Rcoil.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릴레이의 구동 전력과 발열을 줄이기 위한 전력 저감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력 저감 기술은 회로가 복잡하거나, 전원이 두 개이거나, 노이즈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power reduction devices are used to reduce the driving power and heat generation of relays. However, conventional power reduction technologies have problems such as complex circuits, dual power supplies, and a lot of noise.

도 3은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이다. 도 3은 Relay 제어 회로에 PWM Duty를 주어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식을 위한 회로 중 개별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회로로서, PWM 제어에 따른 스위칭 노이즈가 System 성능 및 EMC 특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회로의 소모 전력은 Vdc2/Rcoil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and Fig. 4 is a table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s of each control section of Fig. 3. Fig. 3 is a circuit that uses an individual control method among circui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giving PWM Duty to a relay control circuit, but has a problem in that switching noise according to PWM control adversely affects system performance and EMC characteristics. The power consumption of this circuit is Vdc 2 /Rcoil.

도 5는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이다. 도 5는 DC-DC의 Feedback을 조정하여 Relay 전압을 가변하는 방식을 위한 회로 중 동시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회로로서, DC-DC를 추가로 써야 하고, DC-DC의 스위칭 노이즈가 System 성능 및 EMC 특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회로의 소모전력은 ½*Vdc2/Rcoil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and Fig. 6 is a table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s of each control section of Fig. 5. Fig. 5 is a circuit using a simultaneous control method among circuits for varying the relay voltage by adjusting the feedback of the DC-DC, but has a problem in that an additional DC-DC must be used, and the switching noise of the DC-DC has a bad effect on the system performance and EMC characteristics. The power consumption of this circuit is ½*Vdc 2 /Rcoil.

도 7은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이다. 도 7은 외부에서 Vdc, 1/2Vdc 2개의 DC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위한 회로 중 중 동시 제어 방식을 이용하는 회로로서, ½Vdc 전원을 추가로 만들어야 주어야 해서 비용 상승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회로의 소모전력은 ½*Vdc2/Rcoil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and Fig. 8 is a table illustrating the operating states of each control section of Fig. 7. Fig. 7 is a circuit using a simultaneous control method among circuits for supplying two DC power sources, Vdc and 1/2Vdc, from the outside,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causes an increase in cost because an additional ½Vdc power source must be provid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is circuit is ½*Vdc 2 /Rcoil.

KRKR 102142459102142459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릴레이 사용 시 제어용 코일에서 소모하는 전력과 열을 저감시키면서도, 릴레이의 소형화 및 제어용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릴레이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ims to provide a relay control circuit capable of reducing power and heat consumed by a control coil when using a relay, while also miniaturizing the relay and reducing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control co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릴레이 제어 회로는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릴레이, 제 1 릴레이의 다른 일단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스위치, 제 2 스위치의 다른 일단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2 릴레이, 및 1 릴레이와 제 1 스위치가 연결된 제 3 노드와 제 2 스위치와 제 2 릴레이가 연결된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lay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lay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first node,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lay and a second node, a second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second rela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node, and a diode connected between a third node to which the first relay and the first switch are connected and a fourth node to which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relay are connect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와 다이오드 구성만으로 릴레이 사용 시 제어용 코일에서 소모하는 전력과 열을 저감시키면서도, 릴레이의 소형화 및 제어용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까지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ower and heat consumed by the control coil when using the relay can be reduced using only the switch and diode configuration, while also miniaturizing the relay and reducing the electrical noise generated from the control coil.

이때, 제 1 노드 또는 제 2 노드에 연결된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두 개의 릴레이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a third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node or the second nod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with this configuration, two relays can be controlled simultaneously.

또한, 제 1 릴레이와 제 1 노드 또는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와 제 2 노드 또는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5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두 개의 릴레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lay and the first node or the third node, and a fifth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relay and the second node or the fourth nod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wo relays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이 닫힌 후 다이오드 브릿지를 이용하여 제어용 코일에 걸리는 전압을 절반으로 낮춤으로써, 소모전력을 ¼로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용 코일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낮아짐으로써,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¼ by reduc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trol coil by half using a diode bridge after the relay contact is closed. In addition, by reducing the power consumed by the control coil, it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relay.

또한, 열을 낮추어 릴레이 소형화와 시스템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DC 방식 제어를 함으로서 종래의 PWM 제어방식에서 발생시키는 전기적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이오드 브릿지를 이용한 DC 제어 방식으로, 단순 DC 제어 방식이나 2개의 DC 전원 공급 방식에 비해 비용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enabling relay miniaturization and system miniaturization by lowering heat.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not generating electrical noise generated by the conventional PWM control method by using the DC method control. In addition, it provides the effect of lowering cost compared to the simple DC control method or the two DC power supply method by using the DC control method using the diode bridge.

도 1은 종래 릴레이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
도 3은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
도 5는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
도 7은 종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의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
8은 도 7의 제어구간별 동작상태를 도시한 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1-Vdc Diode Bridge 전력 저감 개별제어)의 회로도.
도 10은 도 9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에 대한 각 제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1-Vdc Diode Bridge 전력 저감 동시 제어)의 회로도.
도 12는 도 11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에 대한 각 제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
Figure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circuit.
Figure 2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ng status by control section of Figure 1.
Figure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Figure 4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ng status by control section of Figure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operating status by control section of Figure 5.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Table 8 shows the operating status by control section of Fig. 7.
FIG. 9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1-Vdc Diode Bridge power reduction individual contr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each control section of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of Fig. 9.
FIG.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simultaneous control of 1-Vdc Diode Bridge power red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each control section of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of Fig. 1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1-Vdc Diode Bridge 전력 저감 개별제어)의 회로도이다. 도 9에서,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는 RY1과 RY1을 제어하기 위한 Q1, RY2와 RY2를 제어하기 위한 Q2, 및 RY1과 RY2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D1을 포함한다.Fig. 9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1-Vdc Diode Bridge power reduction individual contro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includes RY1 and Q1 for controlling RY1, RY2 and Q2 for controlling RY2, and D1 for connecting RY1 and RY2 in series.

도 10은 도 9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에 대한 각 제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간1에서 RY1, RY2는 OFF 상태에 있다. 구간2에서 Q3, Q4를 ON 한다. RY1, RY2는 계속 OFF 상태에 있다. 구간3에서 Q1을 ON하여 RY1 Coil에 Pickup Voltage 이상의 Vdc 전압이 걸리게 하여 RY1을 ON 한다. 구간4에서 Q2를 ON하여 RY2 Coil에 Pickup Voltage 이상의 Vdc 전압이 걸리게 하여 RY2를 ON 한다. Fig. 10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each control section of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of Fig. 9. Referring to Fig. 10, in section 1, RY1 and RY2 are in the OFF state. In section 2, Q3 and Q4 are turned ON. RY1 and RY2 remain in the OFF state. In section 3, Q1 is turned ON to apply a Vdc voltage higher than the Pickup Voltage to the RY1 Coil, thereby turning RY1 ON. In section 4, Q2 is turned ON to apply a Vdc voltage higher than the Pickup Voltage to the RY2 Coil, thereby turning RY2 ON.

구간5에서 Q3, Q4를 동시에 OFF하게 되면 Vdc에서 RY1을 통하여 D1을 거쳐 RY2로 전류 Path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RY1과 RY2 각각에 걸리는 ½Vdc 전압이 걸리게 된다. (D1이 이상적일 경우로 가정) 이때가 RY1, RY2의 접점 유지 구간이며 RY1, RY2 Coil의 저항 성분에 의해 열이 많이 발생하는 구간으로 각각에 Vdc가 걸릴 경우보다 전력소모가 ¼로 줄어들게 되고 그만큼 발열이 줄어들게 된다.In section 5, if Q3 and Q4 are turned off simultaneously, a current path is created from Vdc through RY1 to D1 to RY2. At this time, ½Vdc voltage is applied to each of RY1 and RY2. (Assuming that D1 is ideal) This is the section where RY1 and RY2 maintain contact, and this is the section where a lot of heat is generated due to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RY1 and RY2 coils. Compared to when Vdc is applied to each,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¼, and heat generation is reduced by that much.

전력소모는 P=V2/R에 따라 계산되는 값으로서, 2개의 Relay에 각각 Vdc가 걸릴 경우는 Vdc2/Rcoil이, 각각의 Relay에서 소모되어 2개의 Relay 소모전력의 합은 2* Vdc2/Rcoil이 되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회로에서 2개의 Relay에 각각 1/2Vdc가 걸릴 경우는 (1/2*Vdc)2/Rcoil이 각각의 Relay에서 소모되어, 2개의 Relay 소모전력의 합은 ½*Vdc/Rcoil이 된다. 즉, ½Vdc가 걸릴 경우 Vdc가 걸릴 경우보다 전력소모가 ¼로 줄어들게 된다. Power consumption is a value calculated according to P= V2 /R. When Vdc is applied to each of the two Relays, Vdc2 /Rcoil is consumed by each Relay, and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wo Relays becomes 2* Vdc2 /Rcoil. In the circuit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1/2Vdc is applied to each of the two Relays, (1/2*Vdc) 2 /Rcoil is consumed by each Relay, and the sum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wo Relays becomes ½*Vdc/Rcoil. That is, when ½Vdc is applie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¼ compared to when Vdc is applied.

마지막으로, 구간6에서 Q1, Q2 중 하나를 먼저 또는 동시에 OFF하게 되면 RY1, RY2도 동시에 OFF하게 된다. Finally, in section 6, if either Q1 or Q2 is turned OFF first or simultaneously, RY1 and RY2 will also be turned OFF simultaneously.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1-Vdc Diode Bridge 전력 저감 동시 제어)의 회로도이다. 도 11에서,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는 접점을 형성하는 2개의 릴레이부와 릴레이 접점 제어를 위한 스위치부와 전력 저감 달성을 위한 다이오드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 is a circuit diagram of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simultaneous control of 1-Vdc Diode Bridge power red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includes two relay parts forming contacts, a switch part for relay contact control, and a diode bridge part for achieving power reduction.

도 12는 도 11의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에 대한 각 제어 구간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릴레이 제어 스위치부를 도통하여 릴레이 초기 단락을 가능하게 하고, 단락이 형성된 후에는 제어 스위치부를 차단하고 대신 다이오드를 통해서 공급 전압이 두 릴레이 코일에 반반 분배되게 하여 소모전력을 ¼로 낮추면서 접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ig. 12 is a table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each control section of the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of Fig. 11. As in Fig. 12, the relay control switch section is made conductive to enable initial short-circuiting of the relay, and after the short-circuiting is formed, the control switch section is cut off and instead, the supply voltage is distributed half and half to the two relay coils through a diode,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to ¼ and maintaining the contact point.

정리하면, 본 발명은 릴레이 제어 시 전력 저감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회로를 직접 개폐하는 릴레이부와, 릴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부와 DC 전력 저감을 위한 다이오드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릴레이 유지 전압이 릴레이 정격전압의 1/2보다 낮은 값인 것에 착안하여, 2개의 릴레이를 연동하여 제어 시 각각의 릴레이 제어를 위한 스위치를 연결하고, 2개의 릴레이 사이를 다이오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summ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duction circuit during relay control,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lay section for directly opening and closing an electric circuit, a switch section for controlling the relay, and a diode bridge section for reducing DC powe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relay holding voltage is lower than 1/2 of the relay rated voltag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nnecting a switch for each relay control when controlling two relays in conjunction, and connecting a diode between the two relays.

이에 따라, 릴레이 동작상태에서 각각의 릴레이 제어용 스위치를 차단하게 되면 두 릴레이 사이에 위치한 다이오드가 도통하게 되어, 각각의 릴레이에 정격의 약 1/2 전압이 걸리게 되고 전력소모는 약 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줄어든 전력소모에 따라서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열 또한 ¼로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며, 열이 줄어듬으로써 릴레이 부품의 소형화 및 시스템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 방식은 DC 전압 제어 방식으로 노이즈를 유발하지 않아 노이즈 제거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ly, when each relay control switch is blocked in the relay operating state, the diode located between the two relays becomes conductive, so that about 1/2 of the rated voltage is applied to each relay,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to about ¼.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duced power consumption, the heat generated from the relay is also reduced to ¼, and the reduced heat enables the miniaturization of relay components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since this method does not cause noise as a DC voltage control method, it provides the effect of suppressing additional cost increases for noise removal.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hereby, but should extend to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above embodiments as support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3)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1 릴레이;
상기 제 1 릴레이의 다른 일단과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
상기 제 1 노드에 일단이 연결된 제 2 스위치;
상기 제 2 스위치의 다른 일단과 상기 제 2 노드 사이에 연결된 제 2 릴레이; 및
상기 1 릴레이와 상기 제 1 스위치가 연결된 제 3 노드와 상기 제 2 스위치와 상기 제 2 릴레이가 연결된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
A first relay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node;
A first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lay and the second node;
A second swit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node;
a second rela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said second switch and said second node; and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iode connected between a third node to which the first relay and the first switch are connected and a fourth node to which the second switch and the second relay are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 또는 상기 제 2 노드에 연결된 제 3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
In claim 1,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switch connected to the first node or the second n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릴레이와 상기 제 1 노드 또는 상기 제 3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스위치; 및
상기 제 2 릴레이와 상기 제 2 노드 또는 상기 제 4 노드 사이에 연결되는 제 5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전력 저감 회로.

In claim 1,
a fourth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relay and the first node or the third node; and
A relay power reduction circuit further comprising a fifth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relay and the second node or the fourth node.

KR1020230021262A 2023-02-17 2023-02-17 Relay Power Saving Circuit Pending KR202401282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262A KR20240128278A (en) 2023-02-17 2023-02-17 Relay Power Saving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262A KR20240128278A (en) 2023-02-17 2023-02-17 Relay Power Saving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8278A true KR20240128278A (en) 2024-08-26

Family

ID=9259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262A Pending KR20240128278A (en) 2023-02-17 2023-02-17 Relay Power Saving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2827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59B1 (en) 2019-02-27 2020-08-10 한국자동차연구원 Apparatus for driving relay and method threr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459B1 (en) 2019-02-27 2020-08-10 한국자동차연구원 Apparatus for driving relay and method threr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2001B2 (en) DC switch and electrical equipment using DC switch
JP2012028193A (en) Dc switch
CN115102392B (en) Switching Converters
JP5606233B2 (en) Hybrid relay
KR20240128278A (en) Relay Power Saving Circuit
CN212992184U (en) Power supply circuit and composite robot
JP7030879B2 (en) Power supply
US20010020836A1 (en)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on a power output stage
JP4453006B2 (en) Relay drive circuit
JP6992014B2 (en) A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he DC-DC voltage converter circuit
JP4098625B2 (en) Driving circuit
JP4752747B2 (en) Relay control device
JP2002184284A (en) Coil drive circuit for electromagnetic relay
WO2019163080A1 (en) Voltage switching-type dc power supply
CN113841213B (en) Electromagnetic operating device
JP2022107369A (en) Switch device
JP2022088018A (en) Control device
WO2024142650A1 (en) Power supply switching device
JP4216627B2 (en) Automatic voltage controller
CN115469703B (en) Linear voltage stabilization circuit, work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7483817B2 (en) Power Supplies
JP7483816B2 (en) Power Supplies
JP2011204555A (en) Hybrid relay
JP2021010280A (en) Power circuit
JP2025025690A (en) Charge/discharge control method, charge/discharge control device, and charge/discharge control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