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5202A -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5202A KR20240125202A KR1020230017945A KR20230017945A KR20240125202A KR 20240125202 A KR20240125202 A KR 20240125202A KR 1020230017945 A KR1020230017945 A KR 1020230017945A KR 20230017945 A KR20230017945 A KR 20230017945A KR 20240125202 A KR20240125202 A KR 20240125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s
- exhaled
- flow
- sensor
- analysi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08000019693 Lung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title description 1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13125 spiromet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241 respir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6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557 Nafi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6545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5069 pulmonary fib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827 Alzheim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99 Col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68 gas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99 lung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928 nas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169 periodo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128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Evaluation by breath analysis, e.g.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xhaled brea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7—Devices for facilitating collection of breath or for directing breath into or through measu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기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3way 밸브; 상기 제1 및 제2 3way 밸브의 사이에 연결되는 샘플링 루프; 상기 제2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기 제3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를 분석하는 센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을 통해 호기 가스의 유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폐포 가스의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샘플링 루프에 보관된 호기 가스를 상기 센서 측으로 흐르게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lation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screening for lung diseases,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3-way valves forming a path for exhaled gas; a sampling loop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3-way valves; a flow sensor measuring a flow rate of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3-way valve; a sensor analyzing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third 3-way valve; a processor controlling the path for exhaled gas by switching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pump which, in an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causes exhaled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to flow toward the sensor by drawing in outside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침습적으로 폐질환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기 내 폐포 가스를 추출하고 그 가스 성분을 분석함과 동시에 호기의 유량 측정을 통해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noninvasively screening for lung disease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screening for lung diseases, which extracts alveolar gas in expiratory air, analyzes the gas components thereof, and simultaneously measures lung capacity by measuring the flow rate of expiratory air.
일반적으로 폐활량 측정 장치는 사람이 숨을 내쉬기 시작하는 공기의 용적과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폐활량 측정은 일반적인 생리학적인 연구나, 특정인 환자의 진단 해석에 대해서 중요하다. Spirometry devices typically measure the volume and flow rate of air that a person begins to exhale. The above spirometry is important for general physiological studies and for diagnostic interpretation of specific patients.
예컨대 사람의 호흡에는 건강상태와 질병에 관한 다양한 생체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호기(날숨)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에 대한 바이오마커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치주질환, 지방연소, 당뇨, 폐암, 폐결핵, 천식, 신장질환, 대장질환, 및 알츠하이머 등을 대략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or example, human breath contains various bio-information about health and disease, and it is known that periodontal disease, fat burning, diabetes, lung cancer, pulmonary tuberculosis, asthma, kidney disease, colon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can be roughly diagnosed using biomarker analysis technology for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emitted in exhaled breath.
상기 호기 가스(Exhaled gas)는 인체의 호흡 작용 중 날숨 시에 구강 또는 비강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의미하며, 인체의 신진 대사 등에 관련된 각종 가스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호기 분석 장치는 이러한 호기 가스를 분석하는 장치로서, 호기 가스 중에 특정 가스의 성분 및 그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인체의 질환 등에 대한 대략적인 추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above exhaled gas refers to gas discharged through the oral cavity or nasal cavity during exhalation during the respiration of the human body, and contains various gas components related to metabolism of the human body, etc. Therefore, the exhaled gas analysis device is a device that analyzes such exhaled gas, measures the components and concentrations of specific gases in the exhaled gas, and can make rough estimates of human diseases, etc. using the measured values.
하지만, 종래의 호기 분석 장치는 구취 등과 관련된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천식 등과 관련된 기관지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는 정도가 개발되어 있을 뿐, 폐질환과 관련된 깊은 폐 내에서 발생하는 폐포 가스 성분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추가적인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해 호기량, 폐활량, 및 폐용적 등의 폐기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폐활량 장치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breath analysi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only to the exten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gas generated in the oral cavity related to bad breath, etc., and gas generated in the bronchial tubes related to asthma, etc., and it is impossible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alveolar gas generated in the deep lungs related to lung diseas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spirometric device must be additionally used to measure lung function such as expiratory volume, lung capacity, and lung volume for additional lung disease screening.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465031호(2022.11.04. 등록, 개인 휴대형 폐활량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465031 (registered on November 4, 2022, personal portable spirometry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호기 내 폐포 가스를 추출하고 그 가스 성분을 분석함과 동시에 호기의 유량 측정을 통해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screening for lung diseases, which can extract alveolar gas in expiratory air, analyze the gas components thereof, and measure lung capacity by measuring the flow rate of expiratory air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는, 호기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제2, 및 제3 3way 밸브; 상기 제1 및 제2 3way 밸브의 사이에 연결되는 샘플링 루프; 상기 제2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기 제3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를 분석하는 센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을 통해 호기 가스의 유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폐포 가스의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샘플링 루프에 보관된 호기 가스를 상기 센서 측으로 흐르게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comprises: first, second, and third 3-way valves forming a path for exhaled gas; a sampling loop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3-way valves; a flow sensor measuring a flow rate of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3-way valve; a sensor analyzing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third 3-way valve; a processor controlling the path for exhaled gas by switching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depending on an operation mode; and a pump which, in an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causes exhaled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to flow toward the sensor by drawing in outside ai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기 내 가스 성분을 분석함과 동시에 호기의 유량 측정을 통해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easurement of lung capacity by analyzing gas components in expired air and simultaneously measuring the flow rate of expired air.
또한 본 발명은 호기(날숨) 가스 중 폐질환과 관련된 폐포 가스 성분을 추출하고 분석함으로써 비침습적으로 폐질환을 스크리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noninvasive screening of lung disease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alveolar gas components related to lung diseases in expired (exhaled) ga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폐활량 측정기 및 호기 분석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활량 측정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폐활량 측정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a spirometry device and an expiratory analysis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of FIG. 2 operates in spirometry mode.
FIG. 4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in the lung capacity measurement mode in FIG. 3.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of FIG. 2 operates in the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FIG. 6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in the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in FIG. 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of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lung disease scree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and the size of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폐활량 측정기 및 호기 분석 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폐활량 측정기를 사용하는 상황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1의 (b)는 천식을 스크리닝하는 호기 분석 장치를 사용하는 상황을 보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ing a spirometry device and an expiratory analysis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Figure 1 (a)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 spirometry device is used, and Figure 1 (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ituation in which an expiratory analysis device for screening asthma is u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에 입을 대고 바람을 불면 호기의 유량 또는 가스 성분을 분석하여 폐질환을 스크리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ure 1, when a user blows air into the mouthpiece, the flow rate or gas composition of the exhaled air is analyzed to screen for lung diseases.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활량 측정기의 경우, 호기의 유량을 감지하여 호기량, 폐활량, 및 폐용적 등을 측정하게 되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기 분석 장치의 경우, 호기의 가스 성분을 분석하여 천식의 정도를 스크리닝하게 된다. In the case of a spirometry device as shown in (a) of Fig. 1, the flow rate of exhaled air is detected to measure expiratory volume, lung capacity, and lung volume, and in the case of an expiratory analysis device as shown in (b) of Fig. 1, the gas components of exhaled air are analyzed to screen for the degree of asthma.
이 때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섬유증, 및 폐렴 등과 같은 폐질환 스크리닝하기 위해서는 폐 내부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폐포 가스 성분을 추출하여 분석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폐 내부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폐포 가스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유량 제어와 샘플링 기술이 요구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screen for lung disease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ulmonary fibrosis, and pneumonia, alveolar gas components generated deep inside the lungs must be extracted and analyzed. However, in order to analyze alveolar gas components generated deep inside the lungs as described above, appropriate flow control and sampling techniques are required.
또한, 상기 폐질환 스크리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폐활량 측정을 하게 될 경우, 별도의 폐활량 측정기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움과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additional spirometry is perform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above lung disease scree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spirometry device must be used, which causes inconvenience and additional costs.
이에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는, 호기 내 가스 성분을 분석함과 동시에 호기의 유량 측정을 통해 폐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즉,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폐활량 측정 및 폐포 가스 성분을 분석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특징이 있다.Accordingly,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characteristic of resolving the above problem (i.e., the problem of having to use a separate device to measure spirometry and analyze alveolar gas components) by simultaneously analyzing gas components in expiratory air and measuring expiratory flow rate to measure expiratory air capacit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는, 가스 주입구(110), 제1 필터(120), 제1 3way 밸브(130), 샘플링 루프(140), 제2 3way 밸브(150), 제1 및 제2 유량 센서(160, 260), 제2 필터(210), 제3 3way 밸브(220), 나피온 튜브(230), NO(일산화질소) 센서(240), 온습도 센서(250), 펌프(270), 및 프로세서(300)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as inlet (110), a first filter (120), a first 3-way valve (130), a sampling loop (140), a second 3-way valve (150), first and second flow sensors (160, 260), a second filter (210), a third 3-way valve (220), a Nafion tube (230), a NO (nitrogen monoxide) sensor (240),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0), a pump (270), and a processor (300).
상기 프로세서(300)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의 동작 모드(예 : 폐활량 측정 모드, 폐포 가스 추출/분석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130, 150, 220)의 유로(유체 흐름의 방향)를 제어한다.The above processor (300) controls the flow path (direction of fluid flow) of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130, 150, 2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e.g., spirometry mode, alveolar gas extraction/analysis mode) of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130, 150, 220)는 3포트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세서(300)의 제어에 따라, 유로(유체 흐름의 방향)를 스위칭 한다.The above first to third 3-way valves (130, 150, 220) use 3-port solenoid valves to switch the flow direction (direction of fluid flow)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00).
상기 제1 필터(120)는 상기 가스 주입구(110)를 통해 사용자가 불어내는 호기에 포함된 침이나 이물질을 걸러낸다.The above first filter (120) filters out saliva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exhaled breath of the user through the gas inlet (110).
상기 제2 필터(210)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이물질을 걸러낸다.The above second filter (210) filters out dus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상기 샘플링 루프(140)는 긴 튜브(또는 관)가 둥글게 말린 형태로 형성되어 가스를 샘플링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호기의 마지막 부분에 배출되는 폐포 가스를 보관한다.The above sampling loop (140)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with a long tube (or pipe) to sample gas, and in this embodiment, stores alveolar gas discharged at the end of expiration.
상기 나피온 튜브(230)는 습기를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NO(일산화질소) 센서(240)로 배출되는 폐포 가스의 습도를 감소시킨다.The above Nafion tube (23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moisture, thereby reducing the humidity of alveolar gas discharged to the NO (nitrogen monoxide) sensor (240).
상기 펌프(270)는 외부 공기를 빨아 당겨 상기 NO(일산화질소) 센서(240)에 일정한 세기로 가스의 흐름을 유지시킨다.The above pump (270) draws in outside air and maintains a constant flow of gas to the NO (nitrogen monoxide) sensor (240).
상기 제1 및 제2 유량 센서(160, 260)는 사용자가 불어낸 호기 가스의 유량(또는 세기)을 측정하며, 온습도 센서(250)는 상기 호기 가스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고, 상기 NO 센서는 상기 호기 가스에 포함된 일산화질소(NO)를 검출한다. The first and second flow sensors (160, 260) measure the flow rate (or intensity) of the exhaled gas blown out by the use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0) detect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xhaled gas, and the NO sensor detects nitrogen monoxide (NO) contained in the exhaled gas.
다만 본 실시 예에 기재된 상기 센서들(160, 240, 250, 260)은, 단지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에 필요한 센서가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으로서, 이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을 위해 다양한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However, the sensors (160, 240, 250, 260)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re merely exemplified as sensors necessary for the basic operation of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it should be noted that sensors for detecting various components for extracting and analyzing alveolar gas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활량 측정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Below, a method for operating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spirometry mode is described.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활량 측정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 폐활량 측정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of FIG. 2 operates in spirometry mode, and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in spirometry mode of FIG. 3.
상기 폐활량 측정 모드에서 폐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최대로 불어내는 호기의 유량을 감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주입구(110)를 통해 입력되는 호기 가스가 제1 유량 센서(160)로 전달되어야 한다. In order to measure lung capacity in the above spirometry mode, the flow rate of the exhaled gas blown out to the maximum by the user must be detected, and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3, the exhaled gas input through the gas inlet (110) must be delivered to the first flow rate sensor (160).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가스 주입구(110)를 통해 입력되는 호기 가스가, 도 3에 도시된 방향으로 진행되어, 상기 제1 유량 센서(160)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3way 밸브(130, 150)를 제어한다. The above processor (300) controls the first and second 3-way valves (130, 150) so that the exhaled gas input through the gas inlet (110) proceeds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3 and is delivered to the first flow sensor (160).
이 때 제3 3way 밸브(220)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떤 방향으로 스위칭되어도 상관없지만, 추후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상기 NO 센서(240)에 일정한 세기로 폐포 가스의 흐름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위칭(①번 스위칭)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기 제2 유량 센서(260)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ird 3-way valve (220) is not used, so it does not matter in which direction it is switched, but in order to maintain the flow of alveolar gas at a constant intensity to the NO sensor (240) in the subsequent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to the second flow sensor (260) through switching (switching 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제1 3way 밸브(130)의 스위칭(①번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1 필터(120)를 통과한 호기 가스가 샘플링 루프(140)로 흐르게 한다.Referring to FIG. 4, the processor (300) causes the exhaled gas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120) to flow into the sampling loop (140) through switching (switching ①) of the first 3-way valve (130).
또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제2 3way 밸브(150)의 스위칭(①번 스위칭)을 통해, 상기 샘플링 루프(140)를 통과한 호기 가스가 상기 제1 유량 센서(160)로 흐르게 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300) causes the exhaled gas passing through the sampling loop (140) to flow to the first flow sensor (160) through switching (switching ①) of the second 3-way valve (150).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불어낸 호기 가스가 제1 유량 센서(160)를 통과하면서 유량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제1 유량 센서(160)를 통해 측정된 유량을 바탕으로, 복수의 폐활량 파라미터(예 : FVC, FEV1, FEV1/FVC, FEF 25%~75%, PEF 등)를 산출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of the exhaled gas blown by the user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rate sensor (160), and the processor (300) calculates multiple lung capacity parameters (e.g., FVC, FEV1, FEV1/FVC, FEF 25% to 75%, PEF, etc.) based on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irst flow rate sensor (160).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how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es in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가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로 동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폐포 가스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of FIG. 2 operates in the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and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states of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in the alveolar gas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of FIG. 5.
먼저, 폐포 가스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we will explain the method of extracting alveolar gas.
참고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섬유증, 및 폐렴 등의 폐질환과 관련된 호기 가스 내 바이오마커는 일산화질소(NO)로 알려져 있다.For reference, nitric oxide (NO) is known as a biomarker in exhaled gas associated with lung disease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ulmonary fibrosis, and pneumonia.
그런데 상기 일산화질소(NO)가 충분한 농도로 호기를 통해 배출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최대 세기(유속)로 호기를 불어내야 하는 상기 폐활량 측정 때와는 달리, 적정 세기(유속)로 일정하게 불어내야 한다. However, in order for the nitric oxide (NO) to be exhaled through expiration at a sufficient concentration, unlike the spirometry where the user must blow exhalation at maximum force (flow rate), the user must blow exhalation at a constant, appropriate force (flow rate).
또한, 폐질환과 관련된 호기 가스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호기의 마지막 부분에 배출되는 폐포 가스를 추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호기를 적정 세기로 일정하게 불어내는지를 모니터링하고, 호기의 마지막 부분에 배출되는 폐포 가스만을 추출하여 잠시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exhaled gas related to lung disease, the alveolar gas emitted at the end of exhalation must be extracte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onitor whether the user blows exhalation consistently at an appropriate force, and to extract and temporarily store only the alveolar gas emitted at the end of exhalation.
참고로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수단(예 : 사운드 모니터링 수단,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상기 사운드 모니터링 수단은 호기의 세기에 따라 음색(또는 볼륨)을 다르게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니터링 수단은 호기의 세기에 따라 그래프(또는 수치)를 출력할 수 있다.For reference,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monitoring means (e.g., sound monitoring means, display monitoring means) (not shown) for the above monitoring may be further included. For example, the sound monitoring means may output a tone (or volum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exhalation, and the display monitoring means may output a graph (or number)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exhalation.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모니터링 수단(미도시)을 통해 사용자가 일정한 세기로 호기를 불어내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above processor (300) can induce the user to blow air at a certain intensity through the monitoring means (not shown).
한편 사용자가 일정한 세기로 호기를 불어내다가 호흡이 끝날 때쯤이 되면, 상기 제1 유량 센서(160)의 세기가 급격하게 0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 때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130, 150, 220)의 스위칭 전환(즉, ①번 스위칭에서 ②번 스위칭으로의 전환)을 시켜 호기의 유입을 중단시키고 펌프의 빨아당기는 힘을 통해 샘플링 루프에 보관된 호기 가스가 제2 유량 센서(260)로 흐르게 한다.Meanwhile, when the user exhales at a constant rate and the breathing ends, the rate of the first flow sensor (160) drops sharply to 0, and at this time, the processor (300) switches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130, 150, 220) (i.e., switching from ① to ②) to stop the inflow of exhaled gas and causes the exhaled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to flow to the second flow sensor (260)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pump.
참고로 상기 사용자의 호기의 주입이 끝나는 순간, 상기 샘플링 루프(140) 내에는 호기의 마지막 부분에 배출된 폐포 가스가 보관된다.For reference, at the moment when the user's expiration ends, the alveolar gas exhaled at the end of the expiration is stored within the sampling loop (140).
즉, 상기 제2 3way 밸브(150)의 스위칭 전환(즉, ①번 스위칭에서 ②번 스위칭으로의 전환)을 통해, 상기 샘플링 루프(140) 내에 보관된, 상기 호기의 마지막 부분에 배출된 폐포 가스가 상기 제1 유량 센서(160)로 흐르지 않고, 상기 제3 3way 밸브(220) 방향으로 유로가 전환되어 상기 NO 센서(240)가 있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That is, through the switching change of the second 3-way valve (150) (i.e., from switching ① to switching ②), the alveolar gas discharged at the end of the expiration stored in the sampling loop (140) does not flow to the first flow sensor (160), but instead, the flow path is switched toward the third 3-way valve (220) and flows toward the NO sensor (240).
이 때 상기 제3 3way 밸브(220)는, 상기 제2 3way 밸브(150)가 스위칭 전환(즉, ①번 스위칭에서 ②번 스위칭으로 전환)되기 직전에는 ①번 스위칭 상태에 있다가, 상기 제2 3way 밸브(150)가 스위칭 전환(즉, ①번 스위칭에서 ②번 스위칭으로의 전환)되는 순간에 동시에 ②번 스위칭 상태로 전환된다. 그 이유는 펌프(270)를 통해 외부 공기를 빨아 당겨 상기 NO 센서(240)에 일정한 세기로 가스의 흐름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At this time, the third 3-way valve (220) is in the switching state ① just before the second 3-way valve (150) is switched (i.e., switched from switching ① to switching ②), and is switched to the switching state ② at the same time as the second 3-way valve (150) is switched (i.e., switched from switching ① to switching ②). The reason for this is to maintain the flow of gas at a constant intensity to the NO sensor (240) by sucking in outside air through the pump (270).
즉, 상기 샘플링 루프(140)에 보관된 폐포 가스를 상기 NO 센서(240)로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펌프(270)로 갑자기 빨아 당기면, 상기 NO 센서(240)의 측정 초기에 갑작스런 가스 흐름으로 인해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불안정한 상태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 전환되기 전후에 가스 흐름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목적이다.That is, when the alveolar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140) is suddenly sucked in by the pump (270) in order to be measured by the NO sensor (240), the initial measurement of the NO sensor (240) becomes unstable due to the sudden gas flow, so the purpose is to maintain the gas flow constant before and after the switching is performed in order to eliminate the unstable state.
이하 상기 추출된 폐포 가스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a method for analyzing the extracted alveolar gas is described.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130, 150, 220)가 스위칭 전환(즉, ①번 스위칭에서 ②번 스위칭으로 전환)되면, 상기 샘플링 루프(140)에 보관된 폐포 가스는 상기 펌프(270)에 의해 빨아 당겨짐으로써, 나피온 튜브(230), NO 센서(240), 온습도 센서(250), 및 제2 유량 센서(260)로 흐르게 된다. When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130, 150, 220) are switched (i.e., switched from switching ① to switching ②), the alveolar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140) is sucked by the pump (270) and flows to the Nafion tube (230), the NO sensor (240),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50), and the second flow sensor (260).
즉, 호기 가스의 흐름이 도 5에 도시된 방향으로 진행된다. That is, the flow of respiratory gas proceeds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5.
이 때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펌프(270)의 제어를 통해 일정한 세기로 호기 가스가 흐르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NO 농도, 온습도,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processor (300) controls the pump (270) to allow the exhaled gas to flow at a constant rate, thereby stably measuring the NO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flow rate.
예컨대 상기 NO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폐섬유증, 및 폐렴 등의 폐질환에 이상이 있다고 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bove NO concentration exceeds the standard valu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in lung disease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ulmonary fibrosis, and pneumonia.
한편 상기 NO 센서(240)의 특성상 온습도의 변화에 따라 측정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온습도에 의한 측정치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온습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NO 센서(240)로 흐르는 호기 가스가 일정한 세기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유량을 모니터링하여 펌프(270)의 세기를 조정할 수도 있다. Meanwhile, since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NO sensor (240) may vary depending on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processor (300) may monitor temperature and humidity to compensate for changes in the measurement value due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ay also monitor the flow rate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pump (270) to confirm whether the exhaled gas flowing to the NO sensor (240) is maintained at a constant strength.
참고로 상기 나피온 튜브(230)는 습기를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NO 센서(240)로 흘러가는 폐포 가스의 습도를 감소시킨다.For reference, the above Nafion tube (230)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absorbs moisture, thereby reducing the humidity of the alveolar gas flowing to the NO sensor (240).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는 호기 가스 중 폐질환과 관련된 폐포 가스 성분을 추출 및 분석하여 비침습적으로 폐질환을 스크리닝할 수 있고, 동시에 폐활량도 같이 측정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호기 분석과 폐활량 측정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 향상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 can noninvasively screen for lung disease by extracting and analyzing alveolar gas components related to lung disease in exhaled gas, and simultaneously measure lung capacity, thereby enabling both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to be performed with a single devic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reducing costs.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tent claims. In addition, the implementation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ethod or process, a device, a software program, a data stream, or a signal. Even if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a single form of implementation (e.g., discussed only as a method), the implementation of the discussed feature can also be implemented in other forms (e.g., a device or a program). The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appropriate hardware, software, and firmware. The method can be implemented in a device such as a processor, which generally refers to 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for example, a computer, a microprocessor, an integrated circuit, or a programmable logic device. The processor also include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omputer, a cell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other devices that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end-users.
110 : 가스 주입구 120 : 제1 필터
130 : 제1 3way 밸브 140 : 샘플링 루프
150 : 제2 3way 밸브 160 : 제1 유량 센서
210 : 제2 필터 220 : 제3 3way 밸브
230 : 나피온 튜브 240 : NO(일산화질소) 센서
250 : 온습도 센서 260 : 제2 유량 센서
270 : 펌프 300 : 프로세서110 : Gas inlet 120 : 1st filter
130: 1st 3way valve 140: Sampling loop
150: 2nd 3way valve 160: 1st flow sensor
210: 2nd filter 220: 3rd 3way valve
230: Nafion tube 240: NO (nitrogen monoxide) sensor
250: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260: Second flow sensor
270 : Pump 300 : Processor
Claims (1)
상기 제1 및 제2 3way 밸브의 사이에 연결되는 샘플링 루프;
상기 제2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
상기 제3 3way 밸브에서 배출되는 호기 가스를 분석하는 센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3way 밸브의 스위칭을 통해 호기 가스의 유로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폐포 가스의 추출 및 분석 모드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샘플링 루프에 보관된 호기 가스를 상기 센서 측으로 흐르게 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폐질환 스크리닝을 위한 호기 분석 및 폐활량 측정 장치.First, second, and third 3-way valves forming the flow path of the respiratory gas;
A sampling loop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3-way valves;
A flow senso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second 3-way valve;
A sensor that analyzes the exhaled gas discharged from the third 3-way valve;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flow of the exhaled gas by switching the first to third 3-way valv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n expiratory analysis and spirometry device for screening for lung diseases, comprising: a pump for drawing in outside air and causing exhaled gas stored in the sampling loop to flow toward the sensor side, in the extraction and analysis mode of alveolar ga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7945A KR20240125202A (en) | 2023-02-10 | 2023-02-10 |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7945A KR20240125202A (en) | 2023-02-10 | 2023-02-10 |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5202A true KR20240125202A (en) | 2024-08-19 |
Family
ID=9256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7945A Pending KR20240125202A (en) | 2023-02-10 | 2023-02-10 |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5202A (en) |
-
2023
- 2023-02-10 KR KR1020230017945A patent/KR20240125202A/en active Pen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23632B (en) | The method and device of the component of measurement expired gass | |
US953273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gas in exhaled air | |
US20150025407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artificial exhalation profile | |
US20190137480A1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gases in exhaled air and measurement procedure used | |
US2007012379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irway obstruction | |
JP2012510319A5 (en) | ||
JP2016510107A (en) | Sampling and storage registry device for breath analysis | |
JP5896609B2 (en) | Respiratory function testing device | |
EP2185928A1 (en) | Apparatus and method | |
CN11099679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ff-line collection of breath samples for nitric oxide measurement | |
JP361637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 vivo measurement of carbon monoxide production rate | |
WO2020103281A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exhaled gas and detection method | |
CN205263092U (en) | Measurement device for expiration nitric oxide and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 |
JP2016531696A (en) | Neonatal carbon dioxide measurement system | |
WO2023155612A1 (en) | Multi-respiratory-tract gas det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JP7189011B2 (en) | Exhaled gas detection device | |
JP4855803B2 (en) | Respiratory function testing device | |
US11033202B2 (en) | Method to determine indices of ventilation inhomogeneity e.g. lung clearance index (LCI) of a paediatric test subject | |
CN218391088U (en) | Gas detection system of many respiratory tracts | |
JPH1048206A (en) | Expired gas sampler/analyzer | |
CN113777244A (en) | Alveolar gas concentra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air passage | |
CN111358466A (en) | Exhaled gas detection equipment and detection method | |
KR20240125202A (en) | Apparatus of exhaled-breath analysis and lung capacity measurement for lung diseases screening | |
JP6946264B2 (en) | Respiratory gas analysis and capnograph device | |
CN215993964U (en) | Prevent tongue and block up type breather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