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24949A -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 Google Patents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4949A
KR20240124949A KR1020247022891A KR20247022891A KR20240124949A KR 20240124949 A KR20240124949 A KR 20240124949A KR 1020247022891 A KR1020247022891 A KR 1020247022891A KR 20247022891 A KR20247022891 A KR 20247022891A KR 20240124949 A KR20240124949 A KR 2024012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am
fibers
meltblown
polymer
polymer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네스 비. 클로스
에이프릴 몬토야 바베르카
제프리 크루거
데이비드 트레바토스키
캐시디 에이. 셈쿨리
안드레스 제이. 가르시아 파라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12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494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0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ontaining absorbing substances, e.g. activated carb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having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e.g. natural fibres, prestretched or fibrillated artificial fibres
    • D04H1/26Wood pulp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in association with fibre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부드럽고 강한 부직포 웹 물질 및 형성 방법이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웹을 형성하는 방법은 흡수성 물질의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병합된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단계, 병합된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수집된 병합된 스트림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멜트블로운 섬유의 스트림은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병합된 스트림을 수집된 병합된 스트림 상에 수집하여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본 발명은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에 관한 것이다.
때때로 코폼 웹으로 불리는, 멜트블로운 열가소성 섬유 물질 및 이차 섬유 물질의 매트릭스의 복합물로서 형성된 부직포 웹은 흡수 용품, 흡수성 건식 와이프, 습식 와이프, 및 대걸레를 포함하는 매우 다양한 응용예에서 흡수층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많은 종래의 코폼 웹은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로 형성된 멜트블로운 열가소성 섬유 물질을 사용한다. 폴리에틸렌 동종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폴리에틸렌 함량은 코폼 웹의 증가된 연성을 제공할 수 있지만 또한 감소된 강도에도 기여한다. 코폼 웹의 연성 및 강도의 지속적인 개선이 계속해서 요구된다.
제1 실시예에서,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3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2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여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형성 표면을 기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은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상기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gf 이상 및 312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측면들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를 위한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개시 내용을, 첨부 도면이 참조되는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예시적인 부직포 웹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직포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부직포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부직포 웹 형성 장치의 특정 특징부를 도시하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웹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섬유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고;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다양한 부직포 웹들에 대한 강도 및 연성 값들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원에서의 참조 문자의 반복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부 또는 요소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제, 하나 이상의 예가 후술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참조할 것이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서 제공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어 또 다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수정과 변경을 커버하려는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부직포 직물 또는 웹"은, 편직 직물에서와 같이 규칙적이거나 식별가능한 방식이 아니라 인터레이드(interlaid)된 개별적인 섬유들 또는 스레드들의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이는 또한 섬유화되거나, 천공되거나, 달리 직물과 같은 특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된 발포체 및 필름을 포함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예를 들어, 멜트블로잉 공정, 스펀본딩 공정, 수력엉킴 공정, 및 본디드 카디드 웹 공정 등의 많은 공정들로부터 형성되었다. 부직포의 평량은, 일반적으로 제곱야드당 재료의 온스(osy) 또는 제곱미터당 그램(gsm)으로 표현되며, 섬유 직경은 일반적으로 μm로 표현된다.
본원에 사용된 대로, 용어 "마이크로섬유"는 약 75μm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예를 들면 약 0.5μm 내지 약 50μm의 평균 직경을 갖는,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약 2μm 내지 약 40μm의 평균 직경을 갖는 작은 직경의 섬유를 의미한다. 섬유 직경의 또 다른 빈번하게 사용되는 표현은 데니어이며, 이는 섬유의 9,000m당 그램으로서 정의되고, μm 제곱 단위의 섬유 직경에 그램/cc 단위의 밀도를 곱하고, 0.00707을 곱하여 계산될 수 있다. 더 낮은 데니어는 더 미세한 섬유를 나타내고 더 높은 데니어는 더 두껍거나 더 무거운 섬유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5μm로 주어진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경은 제곱하고, 그 결과에 0.89g/cc를 곱하고, 0.00707을 곱함으로써 데니어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15μm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약 1.42(152Х0.89Х0.00707=1.415)의 데니어를 갖는다. 미국 이외에서, 측정 단위는 보다 일반적으로 "텍스(tex)"이고, 이것은 섬유의 킬로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된다. 텍스는 데니어/9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멜트블로운 섬유 재료"라는 용어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을, 복수의 미세한 일반적으로 원형의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필라멘트를 감쇠시켜 필라멘트의 직경을 마이크로섬유 직경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고속 수렴 가스(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 내에 용융된 스레드 또는 필라멘트로서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멜트블로운 섬유 재료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수집 표면 위에 놓여서 무작위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 물질의 웹이 형성된다. 멜트블로운 섬유 재료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며,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10μm 미만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중합체 처리량"은 다이를 통한 중합체의 처리량을 의미하며, 시간당 다이 폭(pih)의 인치당 중합체 용융물 파운드 또는 분당 홀당 중합체 용융물 그램(ghm)으로 특정된다. ghm 단위로부터 pih 단위의 처리량을 계산하려면, ghm에 섬유 형성 다이의 인치당 섬유 방출 구멍의 수(홀/인치)를 곱한 다음, 7.56으로 나눈다.
본 발명은 이전의 코폼 웹보다 우수한 연성 및 강도 조합을 달성하는, 본원에서 코폼 웹으로 불리는 열가소성 섬유상 물질 및 이차 섬유상 물질을 조합한 부직포 웹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코폼 웹을 형성하기 위해, 멜트블로운 섬유 재료는 하나 이상의 이차 섬유 재료 및/또는 입자 내에서 혼합된다. 혼합물은 섬유상 부직포 웹의 형태로 수집되며, 이는 접합되거나 처리되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응집성 부직포 물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각 성분의 특성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한다. 이들 혼합물은 형성 단계에서 2개 이상의 재료를 단일 구조로 조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코폼" 재료로 지칭된다. 이러한 코폼 재료 및 공정에 관한 추가 세부 사항은 본원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코폼 웹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멜트블로운 섬유(본원에서 다성분 섬유로도 불리는 "이성분 섬유") 및 제1 동종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 멜트블로운 섬유(본원에서 일성분 섬유로도 불리는 "동종 섬유")를 포함한다. 용어 "이성분 섬유"가 본원에서 사용되지만, 이러한 섬유를 단지 2개의 중합체 성분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이러한 이성분 섬유는 적어도 2개의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지만, 추가 중합체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200 및 도 300)을 통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는 이차 섬유 재료와 함께 층상 방식으로 조합되어 층상 코폼 구조를 생성할 수 있으며, 그 예시적인 개략적인 단면은 도 1을 참조하여 볼 수 있다.
도 1의 예시적인 단면은 제1 외부 영역(102), 제2 외부 영역(104), 및 중앙 영역(106)을 갖는 부직포 웹(100)을 보여준다. 제1 외부 영역(102) 및 제2 외부 영역(104)은 각각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과 함께 도 1의 실시예에서 이차 섬유상 물질-섬유들(101)로 형성된다. 중앙 영역(106)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과 함께 이차 섬유상 물질, 예를 들어 섬유들(101)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들(101)은 직선형, 편평한 선으로 도시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더 두꺼운 물결선으로 도시되고,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더 얇은 물결선으로 도시된다. 이들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실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형성된 웹들 내에서,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더 길 고 더 많은 연속 섬유로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과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 사이에 교차 또는 연결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은 외부 영역들(102, 104)이 실질적으로 더 높은 농도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을 포함하는 반면, 중앙 영역(106)은 실질적으로 더 높은 농도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을 포함한다는 일반적인 개념을 도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특정 농도는 형성된 웹들(100)에서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이러한 농도는 웹들(100)의 형성 공정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1의 부직포 웹(100)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웹(100)이 약 20gsm 내지 약 150gsm의 전체 평량을 갖는 것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웹(100)은 약 50gsm 내지 약 125gsm, 또는 약 50gsm 내지 약 80gsm의 전체 평량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앙 영역(106)이 웹(100)의 전체 평량의 20% 내지 80%,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약 30% 내지 약 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부 영역(102) 및 제2 외부 영역(104)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80% 내지 약 20%, 또는 약 70% 내지 약 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부 영역(102) 및 제2 외부 영역(104)은 일부 실시예에서 동일한 평량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웹(100)의 전체 평량이 100gsm이고,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이 전체 평량의 50%의 조합된 평량을 갖는 경우, 제1 외부 영역(102) 및 제2 외부 영역(104) 각각은 25gsm의 평량을 가질 것이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의 평량은 상이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외부 영역(102) 또는 제2 외부 영역(104)의 평량은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의 합한 평량의 약 35% 내지 약 65%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예로서, 부직포 웹(100)이 100gsm의 평량을 갖는 경우,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은 전체 평량의 50%의 조합된 평량을 가지고, 제1 외부 영역(102)은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의 조합된 평량의 65%의 평량을 갖는 경우, 제1 외부 영역(102)은 32.5gsm인 50gsm의 65%의 평량을 가질 것이다. 제2 외부 영역(104)은 본 실시예에서 17.5 gsm의 평량을 가질 것이다.
각각의 영역들(102, 104, 및 106) 내에서, 웹(100)의 성분들의 평량은 웹(100)의 원하는 연성 및 강도 특성을 유도하는 데 특히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영역(106)은 유리하게는 섬유(101)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105)와 같은 이차 섬유상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영역(106) 내에서, 섬유(101)는 중앙 영역(106)의 전체 평량의 약 55% 내지 약 85%의 평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중앙 영역(106)의 전체 평량의 약 15% 내지 약 45%의 평량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섬유들(101)은 중앙 영역(106)의 전체 평량의 약 60% 내지 약 75%의 평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중앙 영역(106)의 전체 평량의 약 25% 내지 약 50%의 평량으로 배치될 것이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은 유리하게는 이차 섬유상 물질, 예를 들어 섬유들(101), 및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 각각은 각각의 영역(102, 104)의 전체 평량의 약 50% 내지 약 80%의 평량으로 배치된 섬유들(101)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 영역(102)은 제1 외부 영역(102)의 전체 평량의 약 55% 내지 약 70%인 섬유들(101)의 평량을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영역(104)은 제2 외부 영역(104)의 전체 평량의 약 50% 내지 약 80%, 또는 약 55% 내지 약 70%인 섬유들(101)의 평량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은 각각 각각의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의 전체 평량의 약 20% 내지 약 50%의 평량으로 배치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은 각각 각각의 영역(102, 104)의 전체 평량의 약 30% 내지 약 45%의 평량으로 배치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 예 중 적어도 일부에서,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은 중앙 영역(106)의 멜트블로운 섬유, 예를 들어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105)보다 제1 및 제2 외부 영역(102, 104)의 평량의 더 큰 퍼센트로 배치된 멜트블로운 섬유, 예를 들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를 가질 수 있고, 중앙 영역(106)의 평량의 퍼센트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은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의 전체 평량의 약 25% 이상의 평량으로 배치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가질 수도 있고, 중앙 영역은 중앙 영역(106)의 평량의 약 20% 미만의 평량으로 배치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갖는다. 다른 예에서,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은 제1 및 제2 외부 영역들(102, 104)의 전체 평량의 약 30% 이상의 평량으로 배치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가질 수도 있는 반면, 중앙 영역은 중앙 영역(106)의 평량의 약 30% 미만의 평량으로 배치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갖는다.
강도 및 연성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 및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의 양 및 유형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웹(100)에 강도를 제공하는 특성을 갖는 제1 중합체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중합체 성분은 강한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강한 섬유는 웹(100)에 강도를 제공한다. 제1 중합체 성분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하나의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웹(100)에 연성을 제공하는 특성을 갖는 제2 중합체 성분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중합체 성분은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멜트블로운 섬유는 웹(100)에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하나의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별도의 성분일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중합체 성분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를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고,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하나의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고,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다른 성분들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다양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통상적으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에 강도를 제공하는 데 이용될 것이고, 반면에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에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중합체 성분, 또는 제1, 제2 및 제3 중합체 성분의 상대량은 웹(100)의 큰 드라이버 전체 강도 및 연성일 수 있다. 웹(100)에 연성을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 예를 들어 이들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제2 성분의 유익한 양은 부직포 웹(100)의 전체 중량의 0.1중량% 내지 5중량%인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웹(100)에 연성을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이 부직포 웹(100)의 전체 중량의 0.25중량% 내지 4중량%, 또는 0.4중량% 내지 3중량%, 또는 0.6중량% 내지 2.5중량%인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부직포 웹(100)에 강도를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 또는 성분들, 예를 들어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1 중합체 성분과 제3 중합체 성분의 조합은 부직포 웹(100)의 전체 중량의 20중량% 내지 40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부직포 웹에 강도를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들)이 부직포 웹(100)의 전체 중량의 23중량% 내지 37중량%, 또는 25중량% 내지 35중량%, 또는 27중량% 내지 33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본원에서 제1 또는 제1 및 제3 중합체 성분으로 지칭되는, 웹(100)에 강도를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 또는 성분들, 및 본원에서 제2 중합체 성분으로 지칭되는, 웹(100)에 연성을 제공하는 중합체 성분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내에 특정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내부 성분으로서 배치되고,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외부 성분으로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서 덮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대로 코어-시스 또는 캣-아이 단면 구성을 가지고, 제2 중합체 성분(301)은 제1(또는 제3) 중합체 성분(303)을 둘러싼다.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이러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성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바다 속 섬 형성 단면과 같은 제2 중합체 성분이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둘러싸는 시스-코어 또는 캣-아이 형성 단면 또는 다른 유사한 형성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둘러싸는 제2 중합체 성분을 갖지 않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은 여전히 본 발명의 고려되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B-A 형성 단면을 갖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멜트블로운 공정의 일부로서 형성된 섬유들의 연신/감쇠 동안, A 성분, 예를 들어 제2 중합체 성분이, B 성분, 예를 들어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팽창시키고 둘러싼 상태에서 특히 잘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중합체 성분을 둘러싸는 제2 중합체 성분을 갖지 않는 단면을 형성하는 것은 제2 중합체가 실제로 제1 또는 제3 중합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덮는 단면 구성을 갖는 섬유를 초래할 수 있다. A-B 단면과 같은 단면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웹들(100)의 유익한 성능 결과를 또한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제2 중합체 성분이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더욱 실질적으로 둘러싸고 덮을 수 있게 하고 A 성분의 더 낮은 전체 양에서 그렇게 할 수 있게 하는 다른 멜트블로운 섬유 형성 단면의 정도는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형성 단면은 멜트블로잉 다이(216)의 다이 팁의 오리피스로 이어지는 채널 내의 중합체 성분의 단면 구성이다. 이러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주요 고려 사항은 Haynes 등의 미국 특허 제6,474,967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이러한 단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이한 섬유 단면 및 기술은 Pike의 미국 특허 제5,935,883호에 기재되어 있고, 그것들은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474,967호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하는 데 유용한 예시적인 다이 및 브레이커 플레이트를 설명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중합체 성분들의 점도가 충분히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을 추가로 설명한다.
다성분 섬유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 방법은 Taniguchi 등의 미국 특허 제4,789,592호, Strack 등의 미국 특허 제5,336,552호, Kaneko 등의 제5,108,820호, Kruege 등의 제4,795,668호, Pike 등의 제5,382,400호, Strack 등의 제5,336,552호, 및 Marmon 등의 제6,200,669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문이 모든 목적을 위해 이에 참고로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유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불규칙 단면 형상을 갖는 다성분 섬유는 Hogle 등의 미국 특허 제5,277,976호, Hills의 제5,162,074호, Hills의 제5,466,410호, Largman 등의 제5,069,970호, 및 Largman 등의 제5,057,368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은 그 전문이 모든 목적을 위해 이에 참고로 본원에 원용된다.
웹(100)의 강도와 연성의 최상의 조합을 만들기 위해서, 제1 (또는 제1 및 제3) 및 제2 중합체 성분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양으로 배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과 제2 중합체 성분의 특정 비율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 실시예에서, 바람직한 양의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의 약 1.5중량% 내지 약 25중량%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5%, 또는 약 1.5% 내지 약 10%의 제2 중합체 성분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제2 중합체 성분이 10중량%만큼 적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또는 심지어 1.5%와 같이 더 낮은 중량으로 포함하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제2 중합체 성분이 여전히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 주위에 비교적 상당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 예를 들어, 코어-시스 단면 구성을 형성하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를 발생시킬 수 있고, 코어-시스 형성 단면으로 형성되든지 또는 이러한 코어-시스 단면 구성으로 형성되든지 상이한 형성 단면(예컨대, 일 예로서 A-B-A 형성 단면)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 제2 중합체 성분이 실질적으로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덮고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 유익한 연성 느낌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을 가능한 한 많이 형성하는 상태에서 가능한 한 강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동종 섬유
본 발명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바람직하게는 약 1μm 내지 25μm,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μm 내지 약 20μm, 또는 약 2μm 내지 약 10μm, 또는 약 2μm 내지 약 5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멜트블로운 섬유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섬유는 단일 압출기로 형성된다.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은 일반적으로 불연속 섬유들일 수 있고, 그들의 종횡비 - 예를 들어, 길이 대 직경 비는 - 약 1,000:1 초과, 또는 5,000:1 초과, 또는 7,500:1 초과, 또는 20,000;1 초과, 또는 20,000;1 초과, 또는 약 30,000:1 초과, 또는 약 50,000:1 초과하고,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부직포 웹(100)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성분 섬유
본 발명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은 바람직하게는 1μm 내지 25μm,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2μm 내지 약 20μm, 또는 약 2μm 내지 약 10μm, 또는 약 2μm 내지 약 5μm 범위의 직경을 갖는 멜트블로운 섬유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섬유는 2개 이상의 압출기로 형성된다.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는 일반적으로 불연속 섬유일 수 있고, 그들의 종횡비 - 예를 들어 길이 대 직경 비는 - 약 1,000:1 초과, 또는 5,000:1 초과, 또는 7,500:1 초과, 또는 20,000;1 초과, 또는 20,000;1 초과, 또는 약 30,000:1 초과, 또는 약 50,000:1 초과하고,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부직포 웹(100)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일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차 섬유성 물질
섬유들(101)을 형성하는 이차 섬유 물질은 하나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예를 들어, 레이온 섬유 및 목재 펄프 섬유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래 섬유, 예를 들어, 시스 코어 다성분 섬유와 같은 다성분 섬유, 실크 섬유, 울 섬유 또는 면 섬유와 같은 천연 섬유 또는 전기 전도성 섬유 또는 이러한 이차 섬유 물질의 2개 이상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섬유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다른 유형의 이차 섬유 재료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다른 유형의 이차 섬유 재료의 배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섬유 재료는 마이크로섬유일 수 있거나, 이차 섬유 재료는 약 300 μm 내지 약 1,000 μm의 평균 직경을 갖는 마크로섬유일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웹(100)의 섬유(101)를 형성하는 이차 섬유 물질은 일부 실시예에서 흡수성 섬유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이러한 흡수성 섬유는 크래프트 펄프, 아황산염 펄프, 열기계적 펄프 등의 다양한 펄핑 공정에 의해 형성된 펄프 섬유일 수도 있다. 펄프 섬유는 1mm 보다 큰, 특히 길이-중량 평균을 토대로 약 2 내지 5mm의 평균 섬유 길이를 가지는 침엽수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침엽수 섬유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북부의 침엽수, 남부 침엽수, 미국 삼나무, 붉은 삼나무, 독미나리, 소나무(예컨대, 남부 소나무), 가문비나무(예컨대, 검은 가문비나무), 그것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활엽수 섬유, 예컨대, 유칼립투스, 단풍나무, 자작나무, 사시나무 등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소정의 경우에, 유칼립투스 섬유들은 웹의 연성을 증가시키는 데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유칼립투스 섬유는 또한 웹의 위킹(wicking)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웹의 명도를 증강시키고, 불투명도(opacity)를 증가시키며, 기공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재활용된 물질로부터 얻은 이차 섬유들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문 인쇄용지, 재생 판지, 사무용지 폐기물 등의 소스들로부터의 섬유 펄프를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아바카, 사바이 풀, 밀크위드 실, 파인애플 잎 등과 같은 다른 천연 섬유도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합성 섬유가 활용될 수 있다.
펄프 섬유와 함께, 섬유, 입자, 겔 등의 형태인 초흡수성 물질과 같은 추가 흡수성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초흡수성 물질은 수팽윤성 물질이며, 0.9중량% 염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수성 용액에서, 자신의 중량의 적어도 약 20 배, 어떤 경우에는, 자신의 중량의 적어도 약 30 배를 흡수할 수 있다. 초흡수성 물질은, 천연, 합성, 및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 초흡수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아크릴산)과 폴리(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알파-올레핀과의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모폴리논),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것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초흡수성 물질로는, 천연 중합체와 개질된 천연 중합체, 예컨대,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된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된 전분, 메틸 셀룰로오스, 키토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천연 검, 예컨대, 알긴산염, 잔탄 검, 로커스 빈 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초흡수성 중합체와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합성 초흡수성 재료의 혼합물도 유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3 중합체 성분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중합체 성분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이며, 부직포 웹(100)에 유익한 강도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제1 및/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강한 중합체 섬유를 생성하는 중합체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부직포 웹(100)의 제1 및/또는 제3 중합체 성분에 적합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중합체 물질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나일론 6(폴리아미드 6)을 포함한다. 물론, 폴리프로필렌 또는 다른 열거된 중합체 물질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갖거나 유사한 특성을 갖는 섬유를 생산하는 제1 및/또는 제3 중합체 성분에 대해 또 다른 적합한 중합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및/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상기 중합체 물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거나, 함께 배합되고 단일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중합체 물질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부직포 웹(100)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을 형성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중합체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제1 중합체 성분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합체 성분과 제3 중합체 성분 모두를 갖는 웹(100)의 실시예에서, 제1 중합체 성분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을 형성하고,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의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제1 및 제3 중합체 성분들은 상기 중합체 물질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상이한 중합체 물질일 수 있다.
제2 중합체 성분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중합체 성분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이고, 부직포 웹(100)에 유익한 연성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제2 중합체 성분은 폴리에틸렌과 같은 부드러운 느낌의 중합체 섬유를 생산하는 중합체 물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물론, 폴리에틸렌과 유사한 특성을 갖고/갖거나 유사한 특성을 갖는 섬유를 생산하는 제2 중합체 성분에 대해 또 다른 적합한 중합체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중합체 물질 중 단일 물질을 포함할 수 있거나, 함께 배합되고 단일 압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이러한 중합체 물질의 조합일 수 있다. 하지만, 이성분 섬유의 일부인 경우, 제2 중합체 성분을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압출기는 이성분 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다른 상이한 중합체 성분을 배출하는 제2 압출기와 긴밀하게 협력하여 작동할 수 있다.
웹 예시
다양한 예시적인 웹들(100)을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형성하고, 연성, 강도 및 가요성의 관점에서 특정 특성을 결정하도록 시험하였다. 제1 예시적인 웹은 대안적인 방법(200)에 따라 형성되었고, 여기서 외부 멜트블로잉 다이들(216)은 압출기들(14, 14'')에 연결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멜트블로잉 다이들(218)은 압출기들(14')에 연결되고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22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래의 층상 실시예(LE) 1-6으로 표지된 이들 제1 실시예의 형성에서, 제1 웹 구조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 뿐만 아니라 이차 섬유 물질(232) 모두를 포함하는 제1 형성 장치(예를 들어, 형성 장치(210a))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는 장치(210a)의 공기 스트림(234)에 비해 멜트블로잉 다이(214)의 배치로 인해 형성 표면(254)에 근접하여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되었다. 그런 다음,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제2 혼합물뿐만 아니라, 제2 형성 장치(예를 들어, 형성 장치(210b))에 의해 형성된 이차 섬유 물질(232)을 최종 웹 구조, 예를 들어, 실시예 LE1-6을 형성하는 이러한 제1 웹 구조에 적용하였다. 장치(210b)의 공기 스트림(234)의 배치로 인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가 제1 웹 구조로부터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되도록 제2 혼합물을 피착하였다.
실시예 LE1-6은 70gsm의 총 평량을 가지고 형성되었고, 사용된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펄프 플러프되었다. 폴리프로필렌을 제1 중합체 성분으로서 사용하였고, 폴리에틸렌을 제2 중합체 성분에 사용하였고, A-B-A 형성 단면을 갖는 이성분 섬유를 형성하였다. 별도의 제3 중합체 성분은 사용되지 않았다. 제1 장치(210a)에 의해 형성된 제1 외부층과 제2 장치(210b)에 의해 형성된 제2 외부층의 평량은 각각 예시적인 웹의 전체 평량의 대략 25%였다. 펄프 플러프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221)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장치들(210a, 210b) 모두에 의해 형성된 물질을 나타내는 중앙층의 평량은 예시적인 웹들의 전체 평량의 대략 50%였다.
LE1-6 예시적인 웹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웹의 특정 특성 및 측정된 성능 특성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표 1은 이차 섬유상 물질(예를 들어, 펄프 플러프), 제1 중합체 성분(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또는 PP), 및 제2 중합체 성분(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또는 PE)의 총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 1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내의 폴리에틸렌의 중량 퍼센트(PE 중량%)를 추가로 보고한다. 예를 들어, 5%의 중량% 값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의 폴리에틸렌 성분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의 총 중량의 대략 5%를 형성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치는 형성된 예시적인 웹 LE1-6에서 측정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이러한 중량% 값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제2 중합체 성분에 대한 제1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과 같은 형성 공정 조건으로부터 쉽게 결정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말하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은 5중량%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따라서, 95중량%는 폴리프로필렌이다). 웹 메트릭의 총 PE%는 웹에 존재하는 폴리에틸렌의 총량을 웹의 총 중량의 %로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10cm의 길이 및 20cm의 폭을 가지고 70gsm의 평량을 갖는 웹 구조는 1.4g의 중량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1.5%의 웹 값의 총 PE%는 웹이 총 1.4 g x 0.015 = 0.021 g의 PE를 함유함을 의미한다.
표 2는 예시적인 웹 LE1-6의 성능 메트릭을 보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적인 웹 LE1-6을 본원에 기술된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른 강도에 대해, 본원에 기술된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른 연성에 대해, 및 본원에 기술된 컵 크러쉬 시험 방법에 따른 가요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표 2는 또한 정규화된 강도 파라미터를 보고한다. 이러한 정규화된 강도 파라미터는 예시적인 웹의 총 중합체 함량으로 나눈 예시적인 웹의 CDT 강도 값이다. 총 중합체 함량이 실시예 및 비교예 웹에 대해 다양하기 때문에, 이 메트릭은 예시적인 웹의 중합체 함량의 양에 대해 달성된 CDT 강도 값을 보고 예시적인 웹의 고유 강도 특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수 있고, 중합체 함량은 CDT 강도 값의 주요 다이버이다. 예를 들어, 더 높은 정규화된 강도 값은 주어진 수준의 중합체 함량에 대해 달성된 비교적 더 높은 CDT 강도 값을 나타낸다.
도 1의 웹 구조(100)와 상이한 제2 예시적인 웹이 형성되었다.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와 이차 섬유 물질(232)의 균질한 조성을 갖는 이들 제2 예시적인 웹을 형성하였다. 이하 HE1-3으로 표지된 이들 제2 예시적인 웹은 이차 섬유상 물질(232)용 펄프 플러프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중합체 성분용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각각 사용하였다. 실시예 HE1-3이 장치(210a)와 같은 단일 장치로부터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웹 HE1-3은 실시예 LE1-6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HE1-3 예의 경우, 장치(210a)는 공기 스트림(234)의 양 측면 상에 멜트블로잉 다이(216)를 가졌고, 각각은 압출기(214, 214")에 결합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와 펄프 플러프의 복합 혼합물을 형성 표면(258) 상에 수집하여 예시적인 웹 HE1-3을 생성하였다. 예시적인 웹 HE1-3은 대략 70gsm으로 형성되었고, 펄프는 전체 70gsm 평량 중 대략 42gsm을 나타내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는 전체 70gsm 평량 중 대략 28gsm을 나타낸다.
2개의 예시적인 대조군 웹도 형성하였다. 제1 대조군 웹(CW1)은 펄프 플러프의 동종 웹 및 폴리프로필렌만을 포함하는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이다. CW1 실시예는 HE 1-3 실시예 웹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제2 대조군 웹(CW2)은 펄프 플러프의 동종 웹 및 폴리에틸렌만 포함하는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이다. CW2 실시예는 CW1 실시예 웹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되었다. CW1 및 CW2 실시예에 대한 0% 및 100%의 PE 중량% 값은, 멜트블로운 섬유가 동종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되도록 CW1 실시예 웹을 폴리에틸렌 없이 형성하였고, 멜트블로운 섬유가 동종 폴리에틸렌 섬유가 되도록 CW2 실시예 웹을 폴리프로필렌 없이 형성하였음을 나타낸다.
비교예 웹도 형성되고 측정되어 LE1-6, CW1, CW2, 및 HE1-3 실시예와 동일한 강도, 연성, 및 가요성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아래의 비교예 1 내지 3으로 표지된 이들 제1 비교예 웹은 동종 폴리에틸렌 섬유의 외부층 및 동종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중앙층을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구조를 설명하는 Amundson 등의 미국 특허 제6,028,018호의 측면에 따라 형성되었다. 이들 비교예 1-3 웹은 3개의 별도의 형성 장치(310a-c)를 이용하여 본원에 개시된 방법(300)에 따라 형성되었다. (100% PE 중량% 값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동종 폴리에틸렌 섬유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3 형성 장치(310a, 310c)를 구성하고, 동종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형성하도록 제2 형성 장치(310b)를 구성하였다. 제1 및 제3 형성 장치(310a, 310c)의 멜트블로운 및 펄프 혼합물(예컨대, 형성된 웹의 외부 영역 형성)은 비교예 1 실시예 웹의 경우 20gsm이었고, 제1 및 제3 형성 장치(310a, 310c)는 비교예 2 및 3 실시예 웹의 경우 25gsm의 혼합물을 형성하였다.
예시적인 웹 LE1-6 및 HE1-3은 2.0 내지 3.0 PIH의 시간당 다이 폭의 인치당 중합체 용융물 파운드의 처리량(PIH)으로 형성되었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약 1.0 PIH 내지 6.0 PIH의 표 2와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유사한 웹이 제조되었다. 190°C 내지 235°C의 공기 온도 및 20 kPa 내지 45 kPa의 압력을 사용하였다. PP의 용융 온도; 수지 의존성 420-430 380-390; 수지의 용융 온도 기준 380-440.
당업자는 조정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효율적인 고속 생산을 위해, 멜트블로운의 연속 스트림을 유지하기 위해 감쇠 공기 설정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언더와이어 진공:
용융 온도:
기류:
코드 웹 평량 (gsm) PE 중량% 웹의 총 PE% 펄프 (gsm) PE (gsm) PP (gsm)
LE1 70 1.5% PE 0.23% 49 0.16 20.84
LE2 70 3% PE 0.46% 49 0.32 20.69
LE3 70 5% PE 0.76% 49.0 0.53 20.5
LE4 70 10% PE 1.50% 49.0 1.05 20.0
LE5 70 15% PE 2.26% 49.0 1.58 19.4
LE6 70 20% PE 3.00% 49.0 2.10 18.9
CW1 70 0%PE 0% 49 0 21
CW2 70 100% PE 30.0% 49.0 21.0 0.00
HE1 70 10% PE 4.0% 42.0 2.80 25.2
HE2 70 15% PE 6.0% 42.0 4.20 23.8
HE3 70 20% PE 8.0% 42.0 5.60 22.4
비교예 1 70 100% PE 27.1% 42.0 19.0 9.00
비교예 2 80 100% PE 25.0% 51.0 20.0 9.00
비교예 3 80 100% PE 18.8% 56.0 15.0 9.00
코드 CDT 강도 (gf) 정규화된 강도 (CDT (gf)/중합체 gsm) 연성(TS7) 컵 크러쉬 가요성 (gf*mm)
LE1 312 14.9 3.86 1240
LE2 311 14.8 3.39 1358
LE3 280 13.3 3.60 1085
LE4 274 13.0 3.32 980
LE5 242 11.5 3.25 930
LE6 228 10.8 2.83 903
CW1 349 16.6 4.71 1634
CW2 100 4.8 2.69  
HE1 347 12.4 4.66  
HE2 283 10.1 3.47  
HE3 237 8.5 3.56  
비교예 1 205 7.3 3.35
비교예 2 211 7.3 3.11
비교예 3 192 8.0 3.34
표 1 및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E1-6 예시적인 웹은 HE1-3 예시적인 웹뿐만 아니라 비교예 1-3 예시적인 웹 모두에 비해 우수한 연성 및 강도 조합을 달성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비교예 1 내지 3 예시적인 웹은 211gf 초과의 CDT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없었다. 전형적인 상업적으로 허용 가능한 CDT 강도 값은 일부 제품의 경우 225gf 초과, 또는 심지어 250gf 초과이다. 역으로, LE1-6 예시적인 웹의 전부는 225gf 초과의 CDT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LE 1-4는 250gf 초과의 CDT 강도 값을 달성하였다. 또한, 모든 HE1-3 예시적인 웹이 225gf 초과의 CDT 강도 값을 달성하였지만, HE1-3 예시적인 웹은 LE1-6 예시적인 웹과 비교하여 TS7 연성 메트릭에 대해 열등하게 수행하였다.
LE1-6 예시 웹은 비교예 1-3 예시 웹 및 HE1-3 예시 웹보다 우수한 강도 및 연성 조합 둘 다를 달성하였지만, 일부 상황에서는 HE1-3 예시 웹과 구성적으로 유사한 웹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E2는 LE5 예시적인 웹보다 더 높은 CDT 강도 값 및 단지 약간 더 낮은 TS7 연성 값을 가졌고, LE5 및 H2 예시적인 웹 둘 모두는 15중량%의 폴리에틸렌을 갖는 이성분 섬유들(103)을 이용하였다. 또한, 강도 및 연성 모두에서 LE2가 HE2보다 우수하게 수행되었지만, 가공성 등과 같은 다른 고려 사항은 일부 경우에 HE2를 더 선호하게 할 수 있다.
정규화된 강도 파라미터는 또한 LE1-6 예시적인 웹의 고유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LE1-6 예시적인 웹은 모두 비교예 1-3 예시적인 웹에 비해 더 높은 정규화된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있었고, 거의 모두 HE1-3 예시적인 웹보다 더 큰 정규화된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LE4-6 예시적인 웹 각각은 동일한 PE 중량% 값을 갖는 대응하는 HE1-3 예시적인 웹보다 더 높은 정규화된 강도 값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는 LE1-6 예시적인 웹(및 특히 LE4-6 예시적인 웹)이 대안적인 웹 구조에 비해 주어진 중합체 수준에서 더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어서, LE1-6 예시적인 웹에 따른 웹 구조에서 비교적 적은 중합체 함량이 원하는 강도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직포 웹(100)은 약 50gsm 내지 약 80gsm의 전체 평량을 가지고, 흡수성 물질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60% 내지 약 80%를 포함한다. 동종 섬유들(105)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17% 내지 약 37%를 포함하고, 이성분 섬유들(103)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3% 내지 약 20%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종 섬유들(105)은 제1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이성분 섬유들(103)은 제2 중합체 성분 및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웹(10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0.2% 내지 약 5% 사이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0.2% 내지 약 4%, 또는 약 0.2% 내지 약 3%, 또는 약 0.2% 내지 약 2.5%이다. 따라서, 조합된 제1 중합체 성분과 제3 중합체 성분(존재하는 경우)의 총 중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95% 내지 약 99.8%, 또는 약 96% 내지 약 99.8%, 또는 약 97% 내지 약 99.8%, 또는 약 97.5% 내지 약 99.8%이다.
또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5%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들(103)의 총 중량의 약 75% 내지 약 98.5%, 또는 약 80% 내지 약 98.5%, 또는 약 85% 내지 약 98.5%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예시적인 웹은 약 228gf 이상, 또는 약 274gf 이상, 또는 약 311gf 이상, 또는 약 228gf 내지 약 312gf, 또는 약 242gf 내지 약 312gf, 또는 약 274gf 내지 약 312gf, 또는 약 280gf 내지 약 312gf의 CDT 강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CDT 강도 값과 조합하여, 이들 예시적인 웹은 약 3.86 이하, 또는 약 3.60 이하, 또는 약 3.39 이하, 또는 약 3.25 이하, 또는 약 3.86 내지 약 2.83, 또는 약 3.60 내지 약 2.83의 TS7 연성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보다 구체적 예는 약 228gf 내지 약 312gf의 CDT 강도 값 및 약 2.83 내지 약 3.86의 TS7 연성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인 예에서, 약 2.83 내지 약 3.60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CDT 강도 값은 228 gf 내지 311 gf일 수 있거나, 약 2.83 내지 약 3.60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CDT 강도 값은 약 242 gf 내지 약 280 gf일 수 있다. 이들 연성 및 강도 값 중 어느 하나와 조합하여, 이들 제1 실시예는 추가로 약 903 gf*mm 내지 약 1358 gf*mm, 또는 약 903 gf*mm 내지 약 1240 gf*mm, 또는 약 903 gf*mm 내지 약 1085 gf*mm의 컵 크러쉬 가요성 값을 가질 수 있다(더 낮은 수는 더 많은 가요성을 나타냄).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직포 웹(100)은 약 80gsm 내지 약 120gsm의 전체 평량을 가지고, 흡수성 물질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65% 내지 약 85%를 포함한다. 동종 섬유들(105)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12.5% 내지 약 33%를 포함하고, 이성분 섬유들(103)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2.5% 내지 약 17.5%를 포함한다.
이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종 섬유들(105)은 제1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이성분 섬유들(103)은 제2 중합체 성분 및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웹(10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0.2% 내지 약 3.5%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0.2% 내지 약 3%, 또는 약 0.2% 내지 약 2.5%, 또는 약 0.2% 내지 약 2.0%이다. 따라서, 조합된 제1 중합체 성분과 제3 중합체 성분(존재하는 경우)의 총 중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96.5% 내지 약 99.8%, 또는 약 97% 내지 약 99.8%, 또는 약 97.5% 내지 약 99.8%, 또는 약 98% 내지 약 99.8%이다.
또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5%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들(103)의 총 중량의 약 75% 내지 약 98.5%, 또는 약 80% 내지 약 98.5%, 또는 약 85% 내지 약 98.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직포 웹(100)은 20gsm 내지 50gsm의 전체 평량을 가지고, 흡수성 물질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50% 내지 약 70%를 포함한다. 동종 섬유들(105)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25% 내지 약 45%를 포함하고, 이성분 섬유들(103)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5% 내지 약 25%를 포함한다.
이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동종 섬유들(105)은 제1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이성분 섬유들(103)은 제2 중합체 성분 및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웹(100)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1.0% 내지 약 7.0%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7.0%, 또는 약 2.0% 내지 약 7.0%, 또는 약 2.5% 내지 약 7.0%이다. 따라서, 조합된 제1 중합체 성분과 제3 중합체 성분(존재하는 경우)의 총 중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93% 내지 약 99%, 또는 약 93% 내지 약 98.5%, 또는 약 93% 내지 약 98%, 또는 약 93% 내지 약 97.5%이다.
또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5%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20% 또는 약 1.5% 내지 약 1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들(103)의 총 중량의 약 75% 내지 약 98.5%, 또는 약 80% 내지 약 98.5%, 또는 약 85% 내지 약 98.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직포 웹(100)은 약 50gsm 내지 약 80gsm의 전체 평량을 가지고, 흡수성 물질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60% 내지 약 75%를 포함한다. 제4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동종 섬유들(105)을 갖지 않고 부직포 웹(100)을 통해 균질한 방식으로 배치된 이성분 섬유들(103)을 갖는다. 이들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성분 섬유들(103)은 웹(100)의 전체 평량의 약 25% 내지 약 40%를 포함한다.
이들 제4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성분 섬유들(103)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다. 웹(100)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2% 내지 약 15%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3% 내지 약 12.5%, 또는 약 4% 내지 약 10%, 또는 약 4% 내지 약 8%이다. 따라서, 제1 중합체 성분의 총 중량은 웹(100)의 총 중량의 약 85% 내지 약 98%, 또는 약 87.5% 내지 약 97%, 또는 약 90% 내지 약 96%, 또는 약 92% 내지 약 96%이다.
또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103)의 총 중량의 약 5% 내지 약 30%를 포함한다. 이들 제1 실시예의 보다 구체적인 예에서, 제2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들(103)의 총 중량의 약 7.5% 내지 약 25% 또는 약 10% 내지 약 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은 이성분 섬유들(103)의 총 중량의 약 70% 내지 약 95%, 또는 약 75% 내지 약 92.5%, 또는 약 80% 내지 약 90%를 포함한다.
이들 제4 예시적인 웹은 약 237gf 이상 또는 약 283gf 이상, 또는 약 237gf 내지 약 347gf, 또는 약 237gf 내지 약 283gf, 또는 약 283gf 내지 약 347gf의 CDT 강도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CDT 강도 값과 조합하여, 이들 예시적인 웹은 약 4.66 이하, 또는 약 3.56 이하, 또는 약 4.66 내지 약 3.47, 또는 약 4.66 내지 약 3.56, 또는 약 3.27 내지 약 3.56의 TS7 연성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실시예 중 보다 구체적인 예는 약 237gf 내지 약 283gf의 CDT 강도 값 및 약 3.47 내지 약 3.56의 TS7 연성 값을 가질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인 예에서, CDT 강도 값은 약 283gf 내지 약 347gf일 수 있고 약 3.47 내지 약 4.66의 TS7 연성 값을 갖는다.
웹 형성
본 발명에 따른 코폼 웹(100)은, 웹을 형성하는 동안 흡수성 재료가 첨가되는 슈우트 가까이에 적어도 하나의 멜트블로운 다이 헤드(예컨대, 2개)가 배치된 공정에 의해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코폼 기술의 일부 예는 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4,100,324호; Georger 등의 제5,350,624호; 및 Georger 등의 제5,508,102호뿐만 아니라 Keck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3/0200991호 및 Dunbar 등의 제2007/004915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모든 목적을 위해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웹들(100)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200)이 도시되어 있다. 방법(200)은 본 발명의 코폼 웹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장치(210a)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장치(210a)는 중합체 성분 또는 중합체 성분 배합물이 도입될 수 있는 압출기(214, 214', 214'')의 펠릿 호퍼(212, 212', 212')를 각각 포함한다. 압출기들(214, 214', 214'')은 각각 종래의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압출 스크류(미도시)를 갖는다. 중합체 성분이 압출기들(214, 214', 214'')을 통해 전진함에 따라, 중합체 성분은 구동 모터에 의한 압출 스크류의 회전으로 인해 용융된 상태로 점진적으로 가열된다. 가열은, 압출기들(214, 214', 214'')의 개별 가열 구역들을 통해 2개의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들(216, 218)을 향해서 각각 전진함에 따라 그 온도가 점진적으로 상승되는 복수의 개별 단계들로 달성될 수 있다. 멜트블로잉 다이들(216, 218)은, 중합체 성분의 온도가 압출을 위해 상승된 수준으로 유지되는 또 다른 가열 구역일 수 있다.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216, 218)는, 스레드가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에서 작은 구멍들 또는 오리피스들(224)을 빠져나갈 때 다이마다 2개의 가스 감쇠 스트림이 수렴해서 용융된 중합체 스레드(220)를 연행하고 가늘게 하는 단일 가스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용융된 중합체 스레드들(220)은 일반적으로 오리피스들(224)의 직경 미만인 작은 직경의 섬유로 형성되고, 이 섬유는 감쇠 정도에 따라 마이크로파이버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216 및 218)는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연행된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하는 기체(226 및 228)의 대응하는 단일 스트림을 갖는다.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예를 들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및/또는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를 함유하는 기체 스트림들(226 및 228)은 충돌 구역(230)에서 수렴하도록 정렬된다. 통상적으로, 멜트블로잉 다이들(216 및 218)은 Georger 등의 미국 특허 제5,508,102호 및 제5,350,62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형성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배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멜트블로운 다이들(216 및 218)은 2개의 다이들(216 및 218)에 접하는 평면 "A"로부터 측정했을 때 각도 q로 배향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 "A"는 일반적으로 형성 표면(258)에 평행하다(도 2). 전형적으로, 각각의 다이(216 및 218)는 약 30 내지 약 75도, 추가 실시예들에서는 약 35° 내지 약 60°, 및 심지어 추가 실시예들에서는 약 40° 내지 약 55° 범위의 각도로 설정된다. 다이 헤드(216 및 218)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각도로 배향될 수 있다. 실제로, 코폼 웹의 질감은 실제로 하나의 다이를 다른 다이와 상이한 각도로 배향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216 및 218)는 거리 α만큼 분리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거리 α의 범위는 최대 약 41 cm(16 인치)일 수 있다. 일부 측면에서, α는 약 13 cm(5 인치) 내지 약 25 cm(10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α는 약 15 cm(6 인치) 내지 약 21 cm(8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중요하게는, 멜트블로잉 다이 사이의 거리 α와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의 각도 θ는 형성 구역(230)의 위치를 결정한다.
형성 구역(230)으로부터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의 선단까지의 거리(즉, 거리 X)는 섬유들의 각각의 일차 공기 스트림(226 및 228)의 분산을 최소화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거리의 범위는 최대 약 41 cm(16 인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거리는 6 cm(2.5 인치) 초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약 6 cm(2.5 인치) 내지 16 cm(6 인치) 범위의 거리 X의 경우, 각각의 멜트블로잉 다이 배열의 선단으로부터 형성 구역(230)까지의 거리는 식을 사용하여 다이 선단 α와 다이 각도 θ 사이의 분리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스트림(256)이 형성 표면(258)과 접촉하기 전에 적절한 수직 형성 거리(즉, 거리 β)를 선택함으로써 스트림(256)의 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β는 멜트블로잉 다이(216, 218)의 선단으로부터 형성 표면(258)까지의 거리이다.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더 짧은 수직 형성 거리가 바람직하다. 이는 형성 표면(258)과 접촉하기 전에 압출된 섬유가 그들의 점착성 반-용융 상태로부터 고형화될 필요성에 의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예를 들어, 수직 형성 거리 β는 멜트블로운 다이 팁으로부터 약 7 cm(3 인치) 내지 약 38 cm(15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직 거리 β는 다이 팁으로부터 약 10 cm(4 인치) 내지 약 28 cm(11 인치)일 수 있다.
수직 형성 거리 β의 중요한 구성요소는 형성 구역(230)과 형성 표면(258) 사이의 거리(즉, 거리 Y)이다. 형성 구역(230)은, 혼입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분산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합 스트림이 형성 표면(258)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하는 최소 거리(Y)만을 갖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형성 구역으로부터 형성 표면까지의 거리(Y)는 최대 약 31 cm(12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돌 지점으로부터 형성 표면까지의 거리(Y)는 약 5 cm(3 인치) 내지 약 18 cm(7 인치) 인치의 범위일 수 있다. 형성 구역(230)과 형성 표면(258)으로부터의 거리는 수직 형성 거리(β)로부터 결정될 수 있고, 다이 팁(β)과 다이 각도(θ) 사이의 분리는 다음 식을 이용한다:
가스 연행된 이차 섬유 물질은 노즐(244)로부터 나오는 스트림(234)을 통해 형성 구역(230) 내로 도입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노즐(244)은 그의 수직 축이 형성 표면(258)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위치한다.
일부 상황에서, 이차 공기 스트림(234)을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차 공기 스트림(234)을 냉각시키면 용융되거나 점착성인 멜트블로운 섬유의 퀀칭을 가속화할 수 있고, 섬유 분산을 최소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멜트블로잉 다이 팁과 형성 표면(258) 사이에 더 짧은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온도는 약 65 내지 약 85°F로 냉각될 수 있다.
멜트블로운 섬유들의 스트림들(226 및 228)과 이차 공기 스트림(234), 멜트블로잉 다이들의 원하는 다이 각도 θ, 수직 형성 거리(β), 멜트블로잉 다이 팁들 사이의 거리(α), 형성 구역과 멜트블로잉 다이 팁들 사이의 거리(X), 및 형성 구역과 형성 표면(Y) 사이의 거리의 균형을 맞춤으로써, 멜트블로운 섬유 스트림들 내에 이차 섬유 물질의 제어된 통합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차 섬유상 물질(232)이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및 221)의 2개의 스트림(226 및 228)에 각각 첨가되고, 충돌 구역(230)에서 스트림(226, 228 및 234)의 난류 혼합을 형성한다.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들(220 및 221)의 2개의 스트림(226 및 228) 내에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각각 도입하여, 통합된 공기 스트림을 형성하도록 설계되어서, 멜트블로운 섬유들의 조합된 스트림(226 및 228) 내에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점진적 분포를 생성한다. 이는 3개의 가스 스트림 모두가 제어된 방식으로 수렴되도록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221)의 2개의 스트림(226, 228) 사이에 이차 섬유 물질(232)을 함유하는 이차 가스 스트림(234)을 병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형성 후 비교적 점착성이고 반-용융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221)는 이차 섬유 물질(232)과 접촉 시 동시에 접착되고 엉켜서 응집성 부직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섬유들의 병합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차 섬유들의 매트 또는 속솜(240)을 개별 섬유 물질로 분리하도록 된 복수의 치형부(238)를 갖는 피커 롤(236) 배열체와 같은 임의의 종래의 장비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피커 롤(236)에 공급되는 이차 섬유상 물질(240)의 매트 또는 속솜은 펄프 섬유의 시트(중합체 섬유와 이차 펄프 섬유의 이성분 혼합물이 바람직한 경우), 스테이플 섬유의 매트(중합체 섬유와 이차 스테이플 섬유의 이성분 혼합물이 바람직한 경우), 또는 펄프 섬유의 시트와 스테이플 섬유의 매트(중합체 섬유, 이차 스테이플 섬유 및 이차 펄프 섬유의 삼성분 혼합물이 바람직한 경우)일 수 있다.
사용될 때, 이차 섬유 물질(232)의 시트들 또는 매트들(240)은 롤러 배열체(242)에 의해 피커 롤(236)에 공급된다.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가 섬유들의 매트를 별도의 이차 섬유상 물질(232)로 분리한 후, 개별 섬유들은 노즐(244)을 통해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및 221)의 2개의 스트림(226 및 228)을 향해 운반된다. 하우징(246)은 피커 롤(236)을 둘러싸고,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의 표면과 하우징(246) 사이에 통로 또는 간극(248)을 제공한다. 가스, 예를 들어, 공기는 가스 덕트(250)를 통해 피커 롤(236)의 표면과 하우징(246) 사이의 통로 또는 간극(248)에 공급된다.
가스 덕트(250)는 노즐(244)의 접합부(252)와 간극(248)에서 통로 또는 간극(248)에 진입할 수 있다. 예시적인 측면에서, 이중 원형 매니폴드는, 공기를 가스 덕트(250) 내로 전달하는 균일한 공기 분포를 제공하는 희석 공기 팬(272)으로서 사용된다. 가스는 노즐(244)을 통해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운반하기 위한 매질로서 기능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공급된다. 덕트(250)로부터 공급된 가스는 또한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로부터 이차 섬유 물질(232)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첨가제 및/또는 기타 물질이 가스 스트림에 첨가되거나 연행되어서 이차 섬유 물질(232)을 처리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별도의 스트리퍼 에어 팬(274)이 접합부(252)에서 시스템에 진입하는 이차 스트리퍼 기류를 제공하여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로부터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제거하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된다. 별도의 희석 공기 팬(272) 및 스트리퍼 공기 팬(274)은 이용되어 작동자가 스트리퍼 공기 흐름의 균형을 맞출 수 있게 하여 치형부(238)로부터 최적의 섬유 방출을 가능하게 하고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개별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이차 섬유상 물질(232)이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를 떠나는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노즐(244)을 통해 운반된다. 즉,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를 떠나고 노즐(244)에 진입할 때 피커 롤(236)의 치형부(238)를 떠난 지점에서 크기와 방향 모두에서 일반적으로 속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배열은 Anderson 등의 미국 특허 제4,100,324호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다.
원하는 경우, 이차 가스 스트림(234)의 속도는 상이한 특성의 코폼 구조를 달성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가스 스트림의 속도가 충돌 구역(230)에서 접촉 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및 221)의 각 스트림(226 및 228)의 속도보다 크도록 조정될 때, 흡수성 섬유(232)는 코폼 부직포 웹에 구배 구조로 포함된다. 즉,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외부 표면에서보다 코폼 부직포 웹의 외부 표면 사이에서 더 높은 농도를 갖는다. 한편, 이차 가스 스트림(234)의 속도가 충돌 구역(230)에서 접촉 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및 221)의 각 스트림(226 및 228)의 속도보다 작을 때,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실질적으로 균질한 방식으로 코폼 부직포 웹에 포함된다. 즉,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농도는 코폼 부직포 웹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는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저속 스트림이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들의 고속 스트림 내로 흡인되어,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일관된 분포를 초래하는 난류 혼합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220, 221) 및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복합 스트림(256)을 코폼 부직포 구조(254)로 변환하기 위해, 수집 장치가 복합 스트림(256)의 경로에 위치한다. 수집 장치는 롤러(260)에 의해 구동되고 도 2의 화살표(262)로 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형성 표면(258)(예를 들어, 벨트, 드럼, 와이어, 직물 등)일 수 있다. 화살표(262)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260)에 의해 구동되는 형성 표면(258)은 기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와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병합된 스트림들은 형성 표면(258)의 표면 상의 섬유들의 응집성 매트릭스로서 수집되어 코폼 부직포 구조(254)를 형성한다.
섬유의 피착은 부압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언더 와이어 진공에 의해, 또는 와이어 배기 시스템(280) 아래에서 보조될 수 있다 (도 4 참조). 언더 와이어 진공은 종래의 기계와 달리 기계 방향으로 다수의 구역, 예를 들어 3개의 구역을 가질 수 있다. 3개의 구역이 사용되는 경우, 제1 구역은 형성 구역(230)의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위치하고, 제2 구역은 노즐(244) 및 형성 구역(230) 바로 아래에 있고, 제3 구역은 형성 구역(230)의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있다. 예시적인 측면에서, 제2 구역은 가장 높은 기류를 갖고, 제1 구역은 가장 적은 양의 기류를 가지며, 제3 구역은 제1 구역보다 더 높지만, 제2 구역보다 더 적은 기류를 갖는다. 구역은 또한, 최적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동일한 양의 기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장치(210a) 및 관련 공정에 따르면, 이차 섬유상 물질은 중합체 섬유와 이차 섬유상 물질의 기계적 엉킴에 의해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 내에 고정 유지된다. 중합체 섬유와 이차 섬유 물질의 기계적 엉킴 및 상호연결만으로는 응집성 통합 섬유 구조(예를 들어, 코폼 부직포 구조(254))를 형성할 수 있다. 응집성 통합 섬유 구조는 2개의 상이한 유형의 섬유 사이에 임의의 접착제 또는 분자 또는 수소 결합 없이 중합체 섬유 및 이차 섬유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200)은 장치(210a)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제2 장치(210b)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10b)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장치(210a) 내 동일한 구성 요소로서 장치(210b)에 대해 도 2에 유사하게 표시됨). 또한, 장치(210b)는 장치(210a)의 설명된 작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물론, 장치들(210a, 210b)이, 예를 들어, 정확히 동일한 공정 설정을 이용하여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설정 - 예를 들어 기류 속도; 재료 처리량; 진공 수준 등은 원하는 특성을 갖는 상이한 코폼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장치(210a, 210b) 사이에서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웹들(100)과 관련하여, 장치들(210a, 210b)은 함께 동작해서 설명된 층상 또는 균질한 웹 구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방법(200)에 따르면, 도 1의 웹(100)의 층상 구조를 형성하는데 일조하도록 상이한 섬유가 멜트블로잉 다이(216, 218)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법(200)에서, 장치(210a)의 제1 다이(216)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의 스트림(226)을 생성할 수 있고, 압출기(214, 214'')는 다이(216)에 공급한다. 압출기(214)는 제1(또는 제3) 중합체 성분을 압출할 수 있는 반면, 압출기(214'')는 이차 중합체 성분을 압출할 수 있고, 제1(또는 제3) 및 제2 중합체 성분은 제1 다이(216) 내에서 함께 결합하여 이성분 섬유를 형성한다. 압출기(214')는 제1 중합체 성분을 압출할 수 있어서, 제1 중합체 성분이 제2 다이(218)를 통해 압송됨에 따라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스트림(228)을 형성할 수 있다. 멜트블로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의 스트림(226)은 웹(100)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를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스트림(228)은 웹(100)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105)를 형성한다.
이성분 섬유들(220)의 스트림(226)이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함유하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하여 상류에 위치함에 따라,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은 형성 표면(258)에 가장 가깝게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되고 웹 구조(254)의 제1 외부 영역을 형성하여 - 궁극적으로 웹(100)의 제1 외부 영역(102)을 형성한다.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스트림(228)이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함유하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면,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는 웹 구조(254)의 이차(예를 들어, 최상부) 표면에서 형성 표면(258)으로부터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된다.
웹 구조(254)는 장치(210a)에 의해 형성된 중간 구조이고, 그 다음 방법(200)에 따른 공정에서 장치(210b)로 이송된다. 장치(210b)는 압출기(214')가 장치(210b)의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해 상류에 위치하는 반면에 압출기(214, 214'')는 장치(210b) 내에서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하류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장치(210a)와 상이할 수 있다. 장치(210b) 내에서, 장치(210a)의 압출기(214') 및 다이(218)와 유사한 압출기(214') 및 다이(218)는 제1 중합체 성분을 압출하고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장치(210b)의 압출기(214, 214'') 및 다이(216)는 장치(210a)의 압출기(214, 214") 및 다이(216)와 마찬가지로, 제1(또는 제3) 및 제2 중합체 성분을 압출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를 형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2 장치(210b)의 압출기(214') 및 다이(218)가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상류에 위치하고 복합 공기 및 재료 스트림(256)이 장치(210a)로부터 나오는 웹 구조(254) 상에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제2 장치(210b)에 의해 형성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는 웹 구조(254)의 이차 표면에 근접하여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된 웹 구조(254)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와 제1 및 제2 장치(210a, 210b)의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조합된 물질은 도 1에 가장 명확히 볼 수 있듯이 최종 웹(100)의 중앙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2 장치(210b)의 압출기(214, 214'') 및 다이(216)가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하류에 위치하고 복합 공기 및 재료 스트림(256)이 장치(210a)로부터 나오는 웹 구조(254) 상에 물질을 적용하는 경우, 제2 장치(210b)에 의해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는 웹 구조(254)의 이차 표면으로부터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된 웹 구조(254)에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장치(210b)의 조합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이차 섬유상 물질(232)은 형성된 웹(100)의 외부 영역을 형성한다. 웹 구조(254)에 적용된 제2 장치(210b)로부터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 및 이차 섬유상 물질(232)로, 부직포 웹(100)이 형성된다.
따라서, 방법(200)은 제1 외부 영역, 중앙 영역, 및 제2 외부 영역을 갖는 부직포 웹(100)과 같은 부직포 웹 구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외부 영역은 중앙 영역에서보다 더 높은 농도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한다. 중앙 영역은 제1 및/또는 제2 외부 영역 중 어느 하나보다 더 높은 농도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외부 영역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고, 중앙 영역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압출기(214, 214', 214'')를 통한 재료(들)의 '처리량'은 최종 웹(100) 내의 다이들(216, 218)로부터 나오는 재료의 양, 예를 들어 동종/이성분 섬유의 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웹(100)에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의 평량은 압출기들(214, 214', 214'')을 통한 중합체 성분들의 처리량을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214, 214'') 및 다이(216)를 통해 제1(또는 제3) 및 제2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스트림(226)에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의 양, 및 따라서 최종 형성된 웹(100)에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양(103)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마찬가지로, 압출기(214') 및 다이(218)를 통한 제1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스트림(228)에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양, 따라서 최종 형성된 웹(100)에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105)의 양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처리량을 감소시키면 최종 형성된 웹(100)에서 섬유(103, 105)의 상대적인 양을 감소시킬 것이다.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105) 및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의 바람직한 상대량 및/또는 섬유(103, 105)를 형성하는 제1 및 제3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의 바람직한 상대량이 본원에서 상세히 설명되었고, 이러한 수준은 압출기(214, 214', 214'') 및 다이(216, 218)를 통한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을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출기(214, 214'') 및 다이(216)를 통해 서로에 대한 제1(또는 제3) 또는 제2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총 중량 기준 제1(또는 제3) 및 제2 중합체 성분의 다양한 백분율을 갖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출기(214)를 통한 제1(또는 제3) 중합체 성분에 대해 압출기(214'')를 통한 제2 중합체 성분의 처리량을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내의 제2 중합체 성분(및 따라서, 웹(100) 내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103))의 양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총 중량의 약 1.5% 내지 약 30%가 되도록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부직포 웹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들(210a, 210b)의 다른 구성들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장치(210a)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이(216)만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장치(210b)는 다이(216) 및 다이(218) 둘 모두를 포함하여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단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형성하고, 다이(216)는 다이(218)의 하류에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210b)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다이(216)만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장치(210a)는 다이(216) 및 다이(218) 둘 모두를 포함하여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단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형성하고, 다이(216)는 다이(218)의 상류에 배치된다.
방법(30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 웹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공정을 나타낸다. 방법(300)은, 방법(300)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3개의 형성 장치(310a, 310b, 310c)를 이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방법(200)과 유사하다. 장치(310a, 310b, 310c)는 각각 전술한 장치(210a)와 유사하다. 장치(310a, 310b, 310c) 내의 유사하게 표지된 구성 요소는 장치(210a)에 대해 설명된 대응하는 구성 요소와 동일하다.
도 3의 방법은 방법(200)과 유사한 방식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장치(310a)의 제1 다이(216)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해 상류에 위치하고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의 스트림(226)을 생성하며, 압출기(214, 214'')는 다이(216)에 공급한다.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함유하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해 상류에 위치하는 이성분 섬유(220)의 스트림(226)을 이용하여,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는 웹 구조(254)의 제1 외부 영역을 형성하는 형성 표면(258)에 가장 가깝게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웹(100)의 제1 외부 영역(102)을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310a)에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의 스트림(228)은 이차 섬유상 물질(232)을 함유하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고, 따라서 장치(310a)에 의해 형성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는 웹 구조(254)의 이차(예를 들어, 최상부) 표면에서 형성 표면(258)으로부터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된다.
장치(310a)에 의해 형성된 웹 구조(254)는 방법(300)에 따른 공정 내에서 장치(310b)로 이송된다. 장치(310b)는, 장치(310b)가 이차 섬유상 물질(232)의 스트림과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만을 조합한 복합 스트림(256)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장치(310a)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장치(310b)는 압출기(214') 및 다이(218)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중합체 성분이 압출되어 다이(218)를 통과하여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형성한다. 따라서, 장치(310b)에 의해 형성되고 장치(310a)에 의해 형성된 웹 구조(254)에 적용된 복합 섬유상 물질은 이차 섬유상 물질(232)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만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정(300)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부직포 웹들(100)에 더 큰(예를 들어, 더 두꺼운; 더 높은 평량) 중심 영역(106)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치(310b)의 압출기(214')에서 제1 중합체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장치(310a)(및/또는 310c)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의 형성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중합체 성분(또는 중합체 배합물)이 장치(310b)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장치(310b)로부터의 물질이 장치(310a)에 의해 형성된 웹 구조(254)에 적용된 후 - 제2 중간 구조(254')를 형성하고 - 제2 중간 구조(254')는 장치(310c)에 공급된다. 장치(310c)는 방법(200)의 장치(210b)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장치(310c)는 장치(310c)의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상류에 위치하는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압출기(214') 및 다이(218)를 갖는다. 압출기들(214, 214'') 및 다이(216)는 장치(310c)의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하류에 위치한다. 따라서, 장치(310c)에 의해 형성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는 형성된 웹 구조(254')에 근접하여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되고 최종 형성된 웹(100)에서 중앙 영역(106)의 평량에 기여하는 웹 구조(254')에 적용된다. 마찬가지로, 장치(310c)에 의해 형성된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는 웹 구조(254')로부터 이격되어 더 높은 농도로 배치된 웹 구조(254')에 적용되고, 최종 형성된 웹(100)의 외부 영역(102, 104)을 형성한다.
따라서, 방법(300)은 제1 외부 영역, 중앙 영역, 및 제2 외부 영역을 갖는 부직포 웹(100)과 같은 부직포 웹 구조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외부 영역은 중앙 영역에서보다 더 높은 농도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한다. 중앙 영역은 제1 및/또는 제2 외부 영역 중 어느 하나보다 더 높은 농도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외부 영역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고, 중앙 영역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를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방법(200)에 대한 방법(300)의 장점은, 방법(300)이 중앙 영역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데 전용인 전체 형성 장치(예를 들어, 장치(310b))를 가짐으로써 방법(200)보다 중앙 영역에 대해 더 높은 평량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방법(200)은 중앙 영역을 형성하는 데 일조하기 위해 2개의 별도의 형성 장치의 일부분에만 의존한다.
설명된 방법(300)에 대한 대안예도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제1 대안적인 방법(300)에서, 제1 장치(310a)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와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221)를 모두 형성하기 보다는, 제1 장치(310a)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만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실시예에서, 제1 장치(310a)는 이차 공기 스트림(234)의 양쪽(예를 들어, 상류 및 하류)에 배치된 압출기(214, 214'') 및 다이(316)를 포함할 것이다. 그런 다음, 중간 웹 구조(254)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이차 섬유상 물질(232)만을 포함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장치(310c)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만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3 장치(310c)는 도 3의 실시예에 대해 유사하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중간 웹 구조(254')에 적용된 물질은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220) 및 이차 섬유상 물질(232)만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웹 구조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을 형성하는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 및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221)의 양과 평량을 더욱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공정(200 또는 300)은 대안적인 부직포 웹(100)을 제조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르면, 형성 장치들(210a, 210b, 또는 310a-c)은 각각 임의의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221) 없이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220)만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정(200 또는 300)은 층상 부직포 웹들(100)보다는 동종 부직포 웹들을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 웹들(100)은, 이러한 웹들이 동종 멜트블로운 섬유들(105)를 갖지 않을 것이고 비교적 균질한 배치로 웹(100) 구조의 두께 전체에 걸쳐 배치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들(103)을 가질 것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웹(100)과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된 공정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HE1-3 예시적인 웹을 형성하였다.
본 개시는 결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형성 표면의 이동 방향을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 표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이 헤드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치로, 즉 형성 표면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어서, 이렇게 생성된 멜트블로운 섬유가 형성 표면 상으로 직접 블로잉된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Dunbar 등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049153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상이한 크기의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다수의 멜트블로잉 다이 헤드를 사용하지만, 단일 다이 헤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의 예는, 예컨대, 모든 목적을 위해 참고로 그 전문이 본원에 원용되는, 미국특허 제7,168,932호(Lassig 등)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상 부직포 웹(100)은 액체를 함유하는 물티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체는 물티슈 베이스 시트(예컨대, 웹(100)) 안으로 흡수될 수 있는 어떠한 액체일 수 있고, 원하는 세정 특성을 제공하는 어떠한 적합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물, 진정제, 계면활성제, 향료, 보존제, 킬레이트제, pH 완충제 또는 그것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체는 또한 로션, 약제, 및/또는 다른 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각각의 물티슈 내에 함유된 액체의 양은, 물티슈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사용되는 액체의 유형, 물티슈들을 보관하도록 사용되는 용기의 유형, 및 물티슈의 원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물티슈는, 개선된 닦기를 위해 티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50 내지 약 450 중량%의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물티슈 내에 함유된 액체의 양은 물티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300 내지 약 400 중량%이다. 액체의 양이 전술한 범위보다 적으면, 물티슈는 너무 건조해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액체의 양이 전술한 범위보다 큰 경우, 물티슈는 과포화되어 흠뻑 젖을 수 있고, 액체는 용기의 바닥에 고일 수 있다.
각각의 물티슈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펼쳐진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티슈는 약 2.0 내지 약 80.0cm,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cm의 펼쳐진 길이 및 약 2.0 내지 약 80.0cm,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5.0cm의 펼쳐진 폭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개별 물티슈는 접힌 구성으로 배열되고, 상하로 적층되거나 물티슈의 적층체를 제공하도록 천공을 갖는 연속 재료 스트립으로 적층된다. 물티슈의 적층체는 용기, 예컨대, 플라스틱 통 내부에 놓이고 소비자에게 최종 판매를 위한 물티슈 포장을 제공하도록 분배를 위해 적층체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은 대안적으로 매우 다양한 용품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100)은 물 또는 다른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 용품" 안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흡수 용품의 예시로는,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인용 위생 흡수용품, 예컨대 기저귀, 훈련 팬티, 흡수성 팬티, 실금 용품, 여성용 위생 제품(예컨대 생리대), 수영복 등; 의료 흡수 용품, 예컨대 의류, 창호재, 언더패드, 베드패드, 붕대, 흡수 드레이프 및 의료용 티슈; 의류 용품; 파우치 등을 포함한다. 그런 용품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물질 및 공정은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흡수 용품의 여러 가지 예는 DiPalma 등의 미국특허 제5,649,916호; Kielpikowski의 미국특허 제6,110,158호; Blaney 등의 미국특허 제6,663,611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든 목적을 위해서 참고문헌으로서 그 전문이 본원에서 원용된다. 또 다른 적절한 용품들은 Fell 등의 미국특허출원공개 제2004/0060112 A1호 뿐만 아니라 Damico 등의 미국특허 제4,886,512호; Sherrod 등의 미국특허 제5,558,659호; Fell 등의 미국특허 제6,888,044호; Freiburger 등의 미국특허 제6,511,465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모든 목적을 위해서 참고문헌으로서 그 전문이 본원에서 원용된다. 흡수 용품에 사용될 때, 본 발명의 부직포 웹(100)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의 구성요소 또는 흡수 용품의 임의의 다른 흡수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술한 바를 이해함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대체예, 변형예, 균등예를 쉽게 구상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로서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제시된 임의의 주어진 범위는 그보다 적은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범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45 내지 90의 범위는 또한 50 내지 90; 45 내지 80; 46 내지 89 등을 포함할 것이다.
CDT 강도 시험 방법
CDT 강도 시험 방법은 피크 하중 값 - 시편이 파단되도록 당겨질 때 시편에 의해 생성되는 최대 힘을 측정한다. 샘플은 다이 커터를 사용하거나 JDC Precision Sample Cutter(Thwing-Albert Instrument Company,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모델 번호 JDC 3-10, Ser. 제37333호)와 참조하고 같은 샘플 커터를 사용하여 25 mm의 폭 및 152 mm의 길이로 절단되고, 시험 전에 적어도 4시간 동안 23 ± 2°C 및 50 ± 5% 상대 습도에서 컨디셔닝하고, 동일한 주변 조건에서 시험한다. 샘플의 길이 치수는 샘플이 절단되는 웹의 교차 기계 방향으로 연장되어야 한다. CDT 강도 값은 샘플이 당겨져 파열될 때 그램-힘 단위의 피크 하중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CDT 강도 값은 샘플이 샘플의 기계 방향 배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향된 힘으로 당겨질 때의 피크 하중이다.
인장 강도 시험 기기는 MTS 기준 41 또는 43 및 MTS TestSuite Elite™ (MTS Systems Corp., Research Triangle Park, NC)이다. 테스트 중인 샘플의 강도에 따라, 로드 셀이 선택되어서, 피크 부하 값은 로드 셀의 전체 스케일 로드의 10 내지 90%에 있고, 50 뉴턴 또는 100 뉴턴 최대 부하 셀이 통상적으로 적합할 수 있다. 게이지 길이는 76 mm이고, 조 폭은 76 mm이고, 대략적인 높이는 12.7 mm이다. 크로스헤드 속도는 305 mm/분이며, 파단 감도는 70%로 설정한다.
샘플을 계측기의 조에 놓고 더 긴 치수가 부하 적용 방향에 평행한 상태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중심에 놓인다. 조들은 공압 작용(pneumatic-action)을 이용해서 동작되고 코팅된 고무이다. 테스트가 그후 시작되며 시험편이 파단될 때에 종료된다. 피크 하중은 샘플의 CDT 강도 값으로서 0.1 gf에 가장 가까운 값으로 결정되고 보고된다. 5개의 대표적인 시험편이 테스트되며, 테스트된 모든 개별적인 시험편의 산술 평균은 제품을 위한 인장 강도이다.
TS7 연성 시험 방법
부직 웹의 연성은 EMTEC 티슈 연성 분석기 ("TSA") (Emtec Electronic GmbH, 독일 라이프치히 소재), 특히 TS7 값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TSA는 정의된 접촉 압력을 가하여 시험편에서 회전하는 수직 블레이드를 갖는 로터(rotor)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직 블레이드 및 상기 시험편 간의 접촉으로 인해 진동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진동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센서는 공정 및 디스플레이를 위해 PC에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신호는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표시된다. TS7 값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를 100 mN의 부하로 샘플에 대해 가압하고, 블레이드의 회전 속도는 초당 2 회전이다.
TS7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 TS7 값으로 기록되는 7 kHz에서 발생하는 피크의 진폭을 가지고, 약 1 kHz 내지 10 kHz의 범위에서 주파수 분석을 수행한다. TS7 값은 샘플의 연성을 나타내고 낮은 진폭은 더 유연한 샘플과 상관관계가 있다. TS7 값은 dB V2 rms 단위를 가진다.
시험 샘플을 112.8mm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샘플을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TSA 시험을 완료하기 전에 적어도 24시간 동안 TAPPI 표준 온도 및 습도 조건에서 모든 샘플이 평형이 되도록 했다. 샘플은 샘플의 공기 측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TSA에 배치된다 (형성 와이어에 수집된 샘플 측이 아래로 향함). 샘플을 고정시키고, PC를 통해 측정을 시작한다. PC는 표준 TSA 프로토콜에 따라 모든 데이터를 기록, 가공, 저장한다. 보고된 값은 5번 반복의 평균으로, 새로운 샘플마다 각각 한번이다.
컵 크러쉬 시험 방법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컵 크러쉬"는 컵 크러쉬 시험에 따라 결정되는 부직포 시트의 연성의 하나의 척도를 지칭한다. 컵 크러쉬 시험은 피크 하중("컵 크러쉬 하중" 또는 단지 "컵 크러쉬"로도 불림) 및 시편을 크러싱하고 이어서 시편의 연성을 정량화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측정함으로써 직물 강성을 평가한다. 도 XX 및 YY는 컵 형성 어셈블리(1102)를 포함하는 컵-크러시 시험 시스템(1100)을 보여준다. 시스템은 로드(1105)의 자유 말단에 위치하는 45mm 직경(경량 나일론 또는 금속으로 형성됨)을 갖는 반구형 풋(1108)을 더 포함한다. 시편은, 예를 들어 다이 커터 또는 JDC Precision Sample Cutter(Thwing-Albert Instrument Company,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 모델 번호 JDC 3-10, Ser. 제37333호)와 같은 샘플 커터를 사용하여 178mm의 변을 갖는 정사각형으로 샘플을 절단하여 제조되었다. 샘플은 23 ± 2°C 및 50 ± 5% 상대 습도의 표준 실험실 분위기에서 컨디셔닝되고, 시험은 수행되어야 한다.
어셈블리(1102)는 시트(1202)(예를 들어, 샘플)를 적어도 4개의 지점에서 파지하는 정합하는, 탑 햇(top-hat) 형상의 형성 컵(1110, 1112)을 포함한다. 형성 컵(1110)은 65mm의 직경을 가지고 65mm 높이이다. 어셈블리(1102)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1202)는 형성 컵(1112) 위에 위치하고, 파지 링은 형성 컵(1112) 상에 위치한다. 형성 컵(1110)은 시트(1202) 위에 배치되고 형성 컵(1112) 아래로 서서히 미끄러져 샘플(1112)을 컵 형상으로 만든다. 형성 컵(1110)은 링(1114)과 접촉할 때까지 미끄러지고 시트(1202)의 4개의 모서리(1106)는 어셈블리(1102)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링(1114)과 컵(1110) 사이에 끼인다. 컵(1112)은 시트(1202)를 컵 형상으로 형성한 후에 제거된다. 링(1114)과 형성 컵(1110) 사이에 간극이 있을 수 있지만, 적어도 네 개의 모서리(1106)가 그 사이에 고정적으로 끼여야 한다.
형성 컵(1110), 그리퍼 링(1114)에 의해 형성 컵(1110)에 보유된 시트(1202), 및 시편을 이어서 인장 시험기 상에 장착되는 하중 플레이트 상에 배치한다. 연장 인장 시험기의 일정한 속도는 압축 모드에서 2개의 소정의 거리(15 내지 60mm)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초당 20 데이터 포인트의 최소 데이터 캡처 속도로 피크 부하 및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는 컴퓨터화된 데이터 획득 시스템(예를 들어, MTS Systems Corp., Research Triangle Park, NC의 MTS TestSuite Elite™)이 장착된 MTS 기준 42일 수 있다.
풋(1108) 및 컵(1110)은 판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컵 벽들과 풋 간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정렬된다. 풋(1108)은 부하 플레이트로부터 대략 75mm에 위치한다(예, 게이지 길이). 크로스헤드 속도는 406.4mm/분으로 설정되고,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해 풋(1108)은 형성 컵(1110)의 개방 단부를 통해 하강하고 "크러시"되며 컵 형상 시트(1202)를 내측으로 비튼다. PC에 연결된 인장 시험기에 의해 측정했을 때 시작부터 15mm와 60mm 사이의 풋(1108) 이동의 피크 하중은 그램 힘(gf)으로 기록되고 그램 힘 길이(gf-mm)로 측정된 에너지로 기록된다. 풋(1108)은 데이터를 60mm의 이동거리에서 캡처하도록 시작부터 적어도 62mm까지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는 재료의 강성을 나타낸다. 재료가 단단할수록 피크 부하 및 에너지 값이 더 높아진다. 재료가 부드러울수록 값이 낮아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실시예 1: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3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2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여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섬유는, 상기 이성분 섬유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양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방법.
실시예 3: 실시예 2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전체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0.2% 이상 및 3% 이하인, 방법.
실시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멜트블로운 섬유의 평량은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전체 평량의 15% 이상 및 45% 이하인, 방법.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25% 이상 및 45% 이하인, 방법.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2 복합 스트림의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30% 이상 및 60% 이하인, 방법.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섬유는, 상기 이성분 섬유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양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5중량% 이상 및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방법.
실시예 8: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형성 표면을 기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은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8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전체 중합체 함량의 0% 초과 및 20%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전체 중합체 함량의 0% 초과 및 20%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로 형성된 단일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0: 실시예 9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내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1: 실시예 9 또는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 gf 이상 및 312 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2: 실시예 8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은 제3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단일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이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기 제1 복합 스트림과 상기 제2 복합 스트림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은 상기 제3 복합 스트림 상에 직접 수집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3: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모두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둘 모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4: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내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5: 실시예 13 또는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 gf 이상 및 312 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실시예 16: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상기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gf 이상 및 312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각각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방법.
실시예 18: 실시예 16 또는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각각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5중량% 이상 및 15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방법.
실시예 19: 실시예 16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다수의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다수의 스트림 각각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예 20: 실시예 16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 내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방법.

Claims (20)

  1.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3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3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형성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수집된 제2 복합 스트림 상에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을 수집하여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섬유는, 상기 이성분 섬유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양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전체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0.2% 이상 및 3% 이하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멜트블로운 섬유의 평량은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전체 평량의 15% 이상 및 45% 이하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의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25% 이상 및 45% 이하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제2 복합 스트림의 평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전체 평량의 30% 이상 및 60% 이하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섬유는, 상기 이성분 섬유 내의 제2 중합체 성분의 양이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5중량% 이상 및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는, 방법.
  8.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 표면을 기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상기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은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멜트블로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전체 중합체 함량의 0% 초과 및 20%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은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전체 중합체 함량의 0% 초과 및 20%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3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로 형성된 단일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내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 gf 이상 및 312 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2. 제8항에 있어서,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을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및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기계 방향으로 하류에 배치된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3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은 제3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하여 상기 제3 복합 스트림이 상기 기계 방향으로 상기 제1 복합 스트림과 상기 제2 복합 스트림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은 상기 제3 복합 스트림 상에 직접 수집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모두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5 스트림은 모두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4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6 스트림의 이성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내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 gf 이상 및 312 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 층상 부직포 웹 물질.
  16.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 표면 상에 수집하는 단계;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상기 수집된 제1 복합 스트림 상에 수집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TS7 연성 시험 방법에 따라, 2.83 이상 및 3.86 이하의 TS7 연성 값을 가지고,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은, 상기 CDT 강도 시험 방법에 따라, 228gf 이상 및 312gf 이하의 CDT 강도 값을 갖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각각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0중량% 초과 및 20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1 스트림과 병합하여 제1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흡수성 물질의 제1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1 스트림 및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제2 스트림은 각각 제1 중합체 성분 및 제2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이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은 상기 이성분 섬유의 총 중합체 함량의 5중량% 이상 및 15중량% 이하를 형성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하나 이상의 제2 스트림과 병합하여 상기 제2 복합 스트림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흡수성 물질의 제2 스트림을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다수의 스트림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블로운 중합체 섬유의 다수의 스트림 각각은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또는 상기 제1 중합체 성분 및 상기 제2 중합체 성분 중 어느 하나와 상이한 제3 중합체 성분으로 형성된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 내 상기 제2 중합체 성분의 총 함량은 상기 층상 부직포 웹 물질의 총 중량의 0중량% 초과 및 3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22891A 2021-12-16 2021-12-16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Pending KR202401249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63692 WO2023113792A1 (en) 2021-12-16 2021-12-16 Sof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4949A true KR20240124949A (ko) 2024-08-19

Family

ID=867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2891A Pending KR20240124949A (ko) 2021-12-16 2021-12-16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50019876A1 (ko)
KR (1) KR20240124949A (ko)
CN (1) CN118525115A (ko)
GB (1) GB2629118A (ko)
MX (1) MX2024006221A (ko)
WO (1) WO202311379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249B1 (ko) * 2010-10-20 2013-01-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피트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장섬유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03144368B (zh) * 2012-12-07 2015-09-09 博爱(中国)膨化芯材有限公司 多组压光处理的用于液体吸收的薄型无尘纸、其制造方法及用途
EP3317447B1 (en) * 2015-06-30 2020-10-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Enhanced co-formed/meltblown fibrous web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11148867B (zh) * 2017-09-29 2023-06-16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弹性性能改善的双组分纤维及其非织造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25115A (zh) 2024-08-20
US20250019876A1 (en) 2025-01-16
MX2024006221A (es) 2024-07-24
GB2629118A (en) 2024-10-16
WO2023113792A1 (en) 2023-06-22
GB202410043D0 (en) 202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24805B2 (en)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20220325440A1 (en) Process for making fibrous structures
EP0590307B1 (en) Abrasion resistant fibrous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4741949A (en) Elastic polyetherester nonwoven web
US20050170727A1 (en) Soft extensible nonwoven webs containing fibers with high melt flow rates
KR20100129742A (ko) 개선된 물리적 특성을 갖는 섬유상 부직 구조물 및 제조 방법
CN117940624A (zh) 具有短纤维的共成形材料和用于形成共成形材料的方法
KR20240124949A (ko) 연성 흡수성 코폼 부직포 웹
US20250066961A1 (en) Sof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US20250027239A1 (en) Sof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
CN114729483A (zh) 具有增加的cd强度的非织造纤维网
WO2024144790A1 (en) Soft absorbent coform nonwoven webs
WO2024144789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coform nonwoven webs
US20230349084A1 (en) Nonwoven Web Containing a High Strength Spunblown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