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4454A -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4454A KR20240124454A KR1020230016665A KR20230016665A KR20240124454A KR 20240124454 A KR20240124454 A KR 20240124454A KR 1020230016665 A KR1020230016665 A KR 1020230016665A KR 20230016665 A KR20230016665 A KR 20230016665A KR 20240124454 A KR20240124454 A KR 20240124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per
- elastic material
- nonwoven fabric
- pad
- vib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41001669679 Eleotr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10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7 bo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31 aramid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49 butyl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6—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저면에 부직포가 부착된 광폭침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갈도상에 사용되는 방진패드를 설치한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직포 융착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에 의해 열차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가 침목 하부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에서 중간 부착재가 직모형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9b는 중간 부착재가 컬형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진동 가압 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침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a에 도시된 진동 가압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사진이다.
110: 발포 탄성재 120: 중간 부착재(부직포)
121: 직모형 부직포 122: 컬형 부직포
200: 침목 210: 진동 가압장치
220: 간격재 230: 자갈
240: 레일 250: 레일체결장치
300: 자갈도상 400: 열차
211: 가압판 212: 손잡이
213: 진동모터
Claims (16)
- 침목(200) 저면에 침목에 매입 부착되는 중간 부착재로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 형성시 상부에 형성되는 부직포(120); 및 내부에 균질하게 기포를 생성하도록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발포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부직포(120)와 일체화되어 상기 침목(200) 저면에 노출되는 발포 탄성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120)는 침목용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가압하여 매입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상기 부직포(120)가 침목(200)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침목(200)과의 부착력이 확보되며;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를 이용하여 상기 침목(200) 표면에 일정 깊이로 균일하게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20)는 밀실한 재질 표면을 갖는 직모형 부직포(121) 또는 컬(Curl)형 부직포(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20)는 발포된 탄성재료로 만든 발포 탄성재(110) 상에 본딩, 함침 또는 가열가압을 통하여 상기 발포 탄성재(110)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탄성을 갖는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내부에 균질하게 기포를 생성하여 발포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상기 침목(200) 끝단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발포 탄성재(110)를 재단하여 형성되고, 레일(240)에 의해 하중이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부위에만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는 가압판(211), 손잡이(212) 및 진동모터(213)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재(220)는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의 가압판(211) 저면에 상기 발포 탄성재(110)가 접하고,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를 하방으로 가압시 상기 간격재(220)가 콘크리트 표면에 접하면서 상기 부직포(120)가 매입되며, 상기 발포 탄성재(110)가 상기 간격재(220)에 의하여 일정한 깊이로만 매입되도록, 상기 간격재(220)는 상기 가압판(211) 양 단부에 블록 형태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 a) 발포 탄성재(110) 상에 중간 부착재인 부착용 부직포(120)가 형성된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를 제작하는 단계;
b) 침목(200) 제작을 위해 침목용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c) 상기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의 중간 부착재(120)가 매입되도록 진동 가압장치(210)를 사용하여 상기 침목용 거푸집에 타설된 경화전 콘크리트 표면을 가압하는 단계;
d)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의 중간 부착재(120)가 상기 침목(200) 저면에 부착되어 일체화되는 단계; 및
e) 상기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가 저면에 부착된 상기 침목(200)을 자갈도상(300)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120)는 침목(200) 저면에 침목에 매입 부착되는 중간 부착재로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 형성시 상부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내부에 균질하게 기포를 생성하도록 탄성재료를 사용하여 발포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부직포(120)와 일체화되어 상기 침목(200) 저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 양측에 간격재(220)를 설치하는 단계;
c-2)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를 상기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 및 간격재(220) 상부에 배치하는 단계; 및
c-3)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의 진동모터(213)를 구동하여 균일하게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는 가압판(211), 손잡이(212) 및 진동모터(213)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재(220)는 상기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의 가압판(211) 저면에 상기 발포 탄성재(110)가 접하고,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를 하방으로 가압시 상기 간격재(220)가 콘크리트 표면에 접하면서 상기 부직포(120)가 매입되며, 상기 발포 탄성재(110)가 상기 간격재(220)에 의하여 일정한 깊이로만 매입되도록, 상기 간격재(220)는 상기 가압판(211) 양 단부에 블록 형태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20)는 침목용 거푸집에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에 가압하여 매입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면서 상기 부직포(120)가 침목(200)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침목(200)과의 부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20)는 밀실한 재질 표면을 갖는 직모형 부직포(121) 또는 컬(Curl)형 부직포(1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120)는 발포된 탄성재료로 만든 발포 탄성재(110) 상에 본딩, 함침 또는 가열가압을 통하여 상기 발포 탄성재(110)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상기 진동 가압장치(210)를 이용하여 상기 침목(200) 표면에 일정 깊이로 균일하게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탄성을 갖는 EPDM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을 내부에 균질하게 기포를 생성하여 발포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탄성재(110)는 상기 침목(200) 끝단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발포 탄성재(110)를 재단하여 형성되고, 레일(240)에 의해 하중이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부위에만 부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시멘트 몰탈인 시멘트계 접착제가 상기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100)의 부착 전에 흡수될 수 있도록 상기 시멘트계 접착제를 상기 부직포(120)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6665A KR20240124454A (ko) | 2023-02-08 | 2023-02-08 |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6665A KR20240124454A (ko) | 2023-02-08 | 2023-02-08 |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4454A true KR20240124454A (ko) | 2024-08-19 |
Family
ID=9256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6665A Pending KR20240124454A (ko) | 2023-02-08 | 2023-02-08 |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24454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548B1 (ko) | 2005-08-31 | 2007-03-2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
KR20150111547A (ko) | 2014-03-25 | 2015-10-0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
KR102363912B1 (ko) | 2020-03-17 | 2022-02-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부직포와 일체화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KR102394041B1 (ko) | 2021-07-23 | 2022-05-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부직포 융착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
2023
- 2023-02-08 KR KR1020230016665A patent/KR20240124454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9548B1 (ko) | 2005-08-31 | 2007-03-23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철도 자갈궤도용 방진침목패드 |
KR20150111547A (ko) | 2014-03-25 | 2015-10-0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아스팔트 노반상 직결궤도용 광폭침목 및 그 시공 방법 |
KR102363912B1 (ko) | 2020-03-17 | 2022-02-2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부직포와 일체화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KR102394041B1 (ko) | 2021-07-23 | 2022-05-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부직포 융착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20752B2 (ja) | レール用弾性支持ブロックアセンブリ | |
KR102363912B1 (ko) | 부직포와 일체화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47236B1 (ko) | 탄성 레일 지지 블럭 조립체 제조방법 | |
KR102719815B1 (ko) | 고무패드 양면에 부직포와 일체화되는 침목패드와 그 제작 및 시공 방법 | |
KR102701744B1 (ko) | 보강재가 매립된 고무패드를 이용한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그 제작 및 시공 방법 | |
KR20240124454A (ko) | 발포 탄성재와 부직포 일체형 침목패드 및 이를 구비한 침목의 시공방법 | |
KR100613412B1 (ko) |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 |
KR100598894B1 (ko) |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보수방법 | |
JPH10306409A (ja) | 間隙介装材及び伸縮性ジョイント構造 | |
KR100643204B1 (ko) | 콘크리트 도상의 방진침목 교체 시공방법 | |
JP4603189B2 (ja) | まくら木の補修方法および敷設方法 | |
KR102394040B1 (ko) | 천공형 고무패드를 이용한 침목패드 및 그 시공방법 | |
JPH03125701A (ja) | ブロック埋め込み式防振直結軌道構造 | |
KR100844965B1 (ko) | 레일 지지 구조 | |
KR20250014021A (ko) | 발포형 패드 및 그 시공방법 | |
KR100396349B1 (ko) | 철도 레일 받침 | |
JP3361254B2 (ja) | 有道床軌道構造、及び有道床軌道の防振方法 | |
JPH09328701A (ja) | 枕 木 | |
KR102665114B1 (ko) | 초속경 하이브리드 충진패드 궤도구조 시스템 및 그 급속시공 방법 | |
KR100321819B1 (ko) | 철도레일 지지용 완충판 | |
RU2834327C1 (ru) | Строение однопутного участка трамвайного пути с плитой | |
JP3929413B2 (ja) | まくら木 | |
JPH1129901A (ja) | まくら木の補修方法 | |
JP2004244919A (ja) | まくら木の補修方法 | |
KR200273436Y1 (ko) | 폐타이어가 매설된 철로 노반 기초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