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8361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8361A
KR20240118361A KR1020230010710A KR20230010710A KR20240118361A KR 20240118361 A KR20240118361 A KR 20240118361A KR 1020230010710 A KR1020230010710 A KR 1020230010710A KR 20230010710 A KR20230010710 A KR 20230010710A KR 20240118361 A KR20240118361 A KR 20240118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er
inner case
cloth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김재형
장진혁
김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1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18361A/ko
Priority to AU2024212180A priority patent/AU2024212180A1/en
Priority to PCT/KR2024/001257 priority patent/WO2024158247A1/ko
Publication of KR20240118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836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06F58/40Control of the initial heating of the drying chamber to its operat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8Operation mode; Program pha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2Humidity or dryness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하고, 압축기의 구동 중에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를 함께 구동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A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팀과 열풍을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의 살균, 구김제거, 탈취, 건조 등 리프레쉬(refresh) 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 중 회전하는 드럼을 구비하는 건조기와, 의류를 부유 상태로 거치하는 이너케이스를 구비하는 의류관리기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에 생긴 구김이나 주름은 함습율, 온도, 물리력의 3가지 요소가 모두 충족되어야 제거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건조기와 의류관리기는 건조행정에서 상기 3가지 요소를 모두 만족시키는 구간을 확보하기 어렵게 설정된다.
그 결과, 상기 건조기와 의류관리기는 열풍을 공급하면서 의류를 건조할 수 있지만, 상기 의류에 존재하는 구김이나 주름은 쉽게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도1은 의류의 구김이 제거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의류(L)를 구성하는 섬유는 1,2,3,4,5의 순서로 짜여진 상태일 수 있다. 즉, 섬유1, 섬유2, 섬유3, 섬유4, 섬유5는 물리적 결합(I)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섬유는 내부 화학구조에 따라 서로 마찰되거나 접촉되면 각 섬유간의 공유결합, 수소결합, 분자간 결합 등의 화학적 결합(II)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섬유1과 상기 섬유3은 물리적 결합(I)으로 연결되진 않지만 화학적 결합(II)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섬유3과 섬유5도 물리적 결합(I)으로 연결되지 않지만, 화학적결합(II)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학적 결합(II)이 의류(L)에 적어도 일부 집중되어 발생되며, 상기 화학적결합(II)이 발생한 섬유간에 배열이나 배치가 달라지게 되고, 결국 구김이나 주름이 발생한다.
상기 구김 및 주름은 화학적 결합(II)이 발생하여 생성된 것이므로 단순 물리적인 힘만으로는 제거될 수 없다. 상기 구김 및 주름은 상기 화학적결합(II)을 해소해야만 제거될 수 있다.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구김 및 주름이 제거되기 위해서는 우선 화학적 결합(II)을 해제할 수 있는 수분이 필요하다. 상기 섬유간의 화학적 결합(II) 사이에 물이 투입되면 상기 화학적결합(II)이 약해지거나 해소될 수 있다.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수분량은 의류의 함습율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45퍼센트 사이의 함습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5~45퍼센트의 합슴율을 제거함습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거함습율 보다 더 많은 수분이 의류에 함습되면, 상기 물이 오히려 섬유들을 추가적으로 결합시켜 구김 및 주름 제거 효과가 없고, 상기 제거함습율 보다 더 적은 수분이 의류에 존재하면, 상기 섬유간의 화학적결합(II)을 제거할 수 없어 구김 및 주름 제거 효과가 없다.
도1(c)를 참조하면, 상기 구김 및 주름이 제거되기 위해서는 화학적결합(II)을 해소하는데 필요한 열 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상기 섬유간의 화학적 결합(II)은 열을 공급받으면 화학적 결합(II)된 섬유들의 결합이 약해질 수 있다. 구김 및 주름이 제거되기 위한 열 또는 에너지는 상기 섬유가 접촉되는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온도는 상온 보다는 높은 온도에 해당하며, 예를들어 36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섬유간에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설정온도 이상의 고온 환경에 도달하면, 상기 화학적 결합(II)은 매우 약해질 수 있다.
도1(d)를 참조하면, 상기 구김 및 주름이 제거되기 위해서는 상기 섬유의 배열을 변경시킬 수 있는 물리력이 필요하다. 상기 물리력은 상기 섬유가 물리적결합(I)으로 연결된 순서대로 배치시킬 수 있는 인장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리력을 제거물리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1(e)를 참조하면, 상기 의류(L)를 구성하는 섬유에 화학적 결합(II)이 발생하여 의류에 구김과 주름이 형성되어 있을 때, 제거함습율, 설정온도, 제거물리력의 조건이 모두 만족되면, 상기 화학적결합(II)은 제거되고, 각 섬유들이 물리적결합(I)으로 연결된 순서에 따라 정배열 될 수 있다. 그 결과, 주름 과 구김이 제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거함습율, 설정온ㄷ, 제거물리력이 구김과 주름의 제거조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도2는 건조기에서 의류가 건조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건조기는 드럼(D)에 의류를 수용하고,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건조행정의 초기에는 의류(L)의 함습율은 제거함습율 이상의 함습율에 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드럼(D) 내부에 충분한 열(H)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드럼(D)이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함습율이 높은 의류가 서로 뭉쳐있으므로 상기 의류에 제대로 된 인장력이 가해지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건조행정의 초기에는 제거조건을 달성하지 못하여 의류의 구김이 제거될 수 없다.
도2(b)를 참조하면, 건조행정의 중반에는 의류(L)의 함습율은 제거함습율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L)에 함유된 수분이 다량으로 기화되므로, 상기 드럼(D) 내부에 공급된 열(H)을 기화열로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D) 내부에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에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행정의 중반에도 제거조건을 전부 달성하지 못하므로 의류의 구김이 제거될 수 없다.
도2(c)를 참조하면, 건조행정의 말기에는 상기 의류(L)에 함유된 수분이 대부분 증발되어 기화열로 흡수하는 열량이 급속도로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D) 내부의 온도는 설정온도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하여 제거온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가 건조된 상태이므로 회전하는 드럼(D)에서 의류들은 서로 분리되어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거물리력 조건도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의류(L)는 대부분 건조가 진행되었으므로 의류의 함습율은 제거함습율 보다 낮은 상태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건조행정 말기에도 제거조건을 달성하지 못하므로 의류의 구김이 제거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건조기에서 건조가 진행되는 전체 과정에서는 제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구간이 형성되기 어렵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로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의류의 구김이 제거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 결과, 사용자가 구김을 제거하기 위해 의류를 별도로 다림질 하거나, 건조행정 말기에 제거함습율 조건을 만족시키 드럼 내부에 얼음 등을 투입시키는 등의 행동을 요구하는 한계가 있었다.
근자에는 건조행정 말기에 제거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건조행정 말기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구김은 제거할 수 있으나, 건조행정 말기에 건조된 의류에 추가적인 수분을 공급하고 다시 이를 건조시켜야 하므로 건조행정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에너지 낭비가 필연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히터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허용전력량 이상의 전력소모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해야 한다는 제어적인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스팀을 공급하여 다시 압축기를 구동하여 건조하거나, 건조행정 도중에 압축기를 중단시킨 뒤에 스팀 공급 후 다시 구동해야 하므로 건조행정 지연 뿐만 아니라 건조효율이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건조행정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스팀을 공급하여도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 없이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과정에서 제거조건을 만족하는 구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행정에서 에너지효율을 유지하고 건조지연을 방지하면서도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이너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는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부와 스팀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제습하고 다시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와, 상기 스팀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2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 중에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를 함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는 항율구간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설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제한온도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를 단속적으로 반복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변화폭이 특정범위 이하인 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다시 기준값 보다 높아지기 이전에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목표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양이 적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에서 발생하는 스팀발생량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제습되는 제습량의 50~15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며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동하는 무빙행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 또는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로 구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로 기준시간 동안 구동하면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높아지거나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무빙행어를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주파수는 상기 제3주파수 보다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를 더 빨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이 차단되면,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지 않거나 상기 무빙행어를 느리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이 종료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제1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에 도달한 이후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로 설정시간 구동한 이후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주파수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는 가장 빠른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를 상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스팀공급부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공급부가 구동하는 구간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공급부가 구동한 이후에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조행정이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 중에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히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를 먼저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먼저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종료되어도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행정 과정에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스팀을 공급하여도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 없이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 과정에서 제거조건을 만족하는 구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행정에서 에너지효율을 유지하고 건조지연을 방지하면서도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구김과 주름의 제거조건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건조기의 제거조건 달성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열공급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송풍팬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입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히터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부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로 구조를 도식화 한 것이다.
도1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과 물의 이동방향을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의 작동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의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19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가 작동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처리하는 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2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는 도22의 건조행정의 진행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건조코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은 도24의 제어방법이 수행될 때 의류처리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건조코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4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바디(410)와, 상기 본체바디(4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바디(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에서 상기 캐비닛(100)의 후방을 향하여 단차(430)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바디(4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바디(410)의 후방에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차(430)는 핸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본체바디(410)와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깔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바디(420)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발광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반투명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3(b)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20)을 구비하는 이너케이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전방에 의류가 출입하는 개구부(2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210)는 상기 도어(4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플라스틱 수지 계열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온의 공기 보다 높은 온도의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이하, 열풍)과 스팀 또는 수분에도 변형되지 않는 강화플라스틱 수지계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높이가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접히거나 구겨지지 않는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22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수용공간(220)에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행어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어부(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면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의류를 상부에서 하부로 늘어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는 구겨지지 않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어부(1000)는 복수의 의류를 거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부(100)는 복수의 의류를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으로 이격시키면서 거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수용된다고 하더라도 서로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 없이 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의류가 손상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풍 및 스팀에 의류 전체가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행어부(1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단순 거치부로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상기 수용공간(220) 내부에 부유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행어부(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무빙행어(100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서 왕복이동하거나,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무빙행어(100)에 거치된 의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서 흔들리면서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고, 공급되는 스팀이나 열풍에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의 자세한 구조와 기능은 후술한다.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는 의류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520)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고정되어 의류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522)와, 상기 지지부(522)에 지지된 의류를 가압하는 압박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를 향하여 이동하거나 상기 지지부(522)에서 멀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압박부(521)는 상기 지지부(522) 또는 상기 도어(400)의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압박부(521)와 상기 지지부(522)는 상기 의류의 양면을 가압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 의도한 주름(crease)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20)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의 외부공기를 흡수하고 정화하거나 제습한 뒤 배출할 수 있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기계실(3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에는 의류처리장치를 컨트롤할 수 있는 제어부가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4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전장품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PCB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분리 또는 구획되어 배치되되,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비중이 작은 열풍과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열풍과 스팀이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열공급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는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공기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제습 및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steam)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직접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20)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300)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수용공간(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기계실(300)로 유입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231)과, 상기 유입홀(231)과 이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기계실(300)에서 생성된 열풍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토출시키는 배출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전면 또는 도어(400) 보다 배면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또는 배면 사이에 지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232)은 상기 무빙행어(100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풍이 상기 의류를 향하여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면 중 배면 보다 전방 또는 도어(40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231)은 상기 배출홀(232)과 가장 멀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배출홀(232)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의류에 도달하지 못하고 바로 유입홀(231)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스팀공급부(8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하는 스팀홀(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유입홀(231) 보다 상기 배출홀(232)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홀(233)은 상기 배출홀(23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통(30)과, 상기 열공급부(340)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수집되는 배수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과 상기 배수통(40)은 상기 기계실(300)의 전방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급수원 또는 배수원과 제한 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300)은 전방으로 인출입되며 별도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드로워(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로워(50)는 스팀발생장치 또는 다리미가 보관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4(a)는 상기 기계실(300)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4(b)는 상기 기계실(300)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상기 기계실(300) 내부에는 의류처리공간에 열풍을 공급하거나, 의류처리공간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의류처리공간에 스팀을 공급하거나, 캐비닛 외부의 공기를 청정하기 위한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는 각종 장치들을 지지하거나 설치되는 공간을 배치하는 베이스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순환덕트(3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340) 중 일부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340)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후술하는 열교환기(341,343)와 상기 열교환기에 고온 고압의 냉매를 공급하는 압축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341,343)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할수도 있고,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가 캐비닛(100) 외부에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방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덕트(3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외기덕트(370)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의 전면에는 상기 급수통과 배수통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급수통(30)과 배수통(40)은 상기 외기덕트(37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베이스부(3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베이스부(310)와 상기 순환덕트(320)가 사출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유입홀(231)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커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231)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을 차폐하여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하부와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유로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결하는 유입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362)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를 전달하는 흡기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급수통(30)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여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공급부(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의 상부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상기 순환덕트(320)를 흐르는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유입부(362)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유입부(362)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300)은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이너케이스(200)을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팬설치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의 공기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송풍팬(353)과,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상기 순환덕트(32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는 팬하우징(3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는 상기 순환덕트(320)와 상기 배출홀(232)를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3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덕트(352)는 상기 팬하우징(351)에서 단면이 상기 배출홀(232)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상기 배출홀(232)을 향해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베이스커버(36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한 다음 상기 팬설치부(350)를 통해 다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열교환기(341,343)에 냉매를 공급하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압축기 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설치부(31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310)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상기 제어부(7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어부설치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 상기 스팀공급부(800), 상기 송풍팬(353) 등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모든 전장품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베이스부(310)에 삽입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무빙행어(1000) 또는 상기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상기 제어부(700)까지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거나, 감쇠되어 상기 제어부(7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300)에 설치된 모든 전장품과 이격거리가 가까워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제어적인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에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배치되며, 순환덕트(320)의 하부에는 제어부(70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덕트(320)가 상기 스팀공급부(800)과 상기 제어부(700) 사이에서 직선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순환덕트(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 상기 외기덕트(370), 스팀공급부(800), 제어부(700), 열공급부(340)는 상기 베이스부(310)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부(310)는 하나의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부(310)가 상기 기계실(30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인출입 되면서, 대부분의 전장품이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 보수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실 베이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5(b)와 도5(c)는 상기 베이스부(310)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가 그 자체로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지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바닥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바닥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의 바닥면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순환덕트(320)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에서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바디(321)와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증발기(341) 또는 응축기(343)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과, 상기 덕트바디(321)의 후방에 구비되어 덕트바디(321)의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덕트바디(32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직경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너비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팬하우징(350)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323)에서 배출된 공기는 팬하우징(350)을 통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덕트바디(321)의 전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외기흡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는 상기 외기덕트(37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기흡입부(322)의 전방에 상기 외기덕트(37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외기흡입부(322)를 개폐하는 댐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의 개폐를 통해 외기가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상기 압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기 설치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바닥부(311)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를 지지할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베이스부(310)의 후방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 설치부(312)는 공기배출부(323)과 너비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설치부(312)는 압축기(342)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돌기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제어부(700)가 설치되는 제어부 설치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설치부(313)는 베이스바닥부(311)와 순환덕트(320)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 설치부(313)는 순환덕트(320)의 하부에서 전방과 후방 중 어느 하나 개방된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순환덕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베이스바닥부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증발기(341)와 응축기(34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열교환기 설치부(3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는 상기 덕트바디(321)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부면이 개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개구부를 통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가 투입되어 설치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의해 개구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커버(360)와 상기 덕트바디(321)는 순환유로(320)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바디(321)의 전방면은 상기 베이스바닥부(311)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베이스바닥부(311)는 상술한 급수통(30) 또는 배수통(40) 및 외기덕트(370)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지지되는 지지면(3111)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공급부(340)는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증발기(341)와, 상기 증발기(34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로 구비되는 응축기(343)와, 상기 응축기(343)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를 공급하며 상기 순환덕트(3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342)와, 상기 응축기(34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시켜 냉각시키는 팽창밸브(34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가 베이스부(310)에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높이도 더 많이 확보될 수 있고,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높이도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전후방향의 폭을 축소할 수도 있어,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배관의 수를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증발기(341) 길이와 응축기(343) 길이의 합은 열교환기 설치부(3212) 의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전후방향 길이는 덕트바디(321)의 길이의 절반과 같거나 절반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설치부(3212)가 상기 외기흡입부(322)에서 충분히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에 외기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덕트바디(321)의 내부는 상기 열교환기 설치부(3212)와 상기 열교환시 설치부(3212) 외부를 구분하는 설치격벽(3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격벽(3211)은 상기 덕트바디(321)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341)의 전방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바디(321)는 상기 설치격벽(3211)을 기준으로 너비가 확장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열교환기 설치부(3212)의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환덕트(320) 너비는 베이스부(310)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43) 너비 및 증발기(341) 너비 또한 베이스부(310) 전체 너비의 절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응축기(343) 및 증발기(341)의 너비가 확보되면, 열교환 용량을 충분이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팬하우징(350)은 응축기(343) 또는 증발기(34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341) 및 응축기(343)를 통과한 공기는 유로의 꺾임 없이 팬하우징(35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순환덕트(320)로 유입된 공기는 팬하우징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로의 꺾임이 없어 유동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순환덕트(3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1)와, 상기 열공급부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매센서(S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S1)는 순솬덕트(320) 내벽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센서(S2)는 압축기(342)의 토출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7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공기배출부(323)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310)는 처리된 공기를 팬하우징을 향해 배출하는 공기배출부(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 또는 상기 덕트바디(321)와 팬하우징(350)을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은 벨마우스(bell mouth)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벨마우스 형상으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공기 순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323)의 상기 공기배출관(3232)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며, 파팅라인(3233)을 기준으로 금형 제거 과정에서 파팅라인(3233)의 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전방으로 인출되고, 파팅라인(3233)의 후방에 배치되는 금형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팬설치부(350)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공기배출관(3232)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결합홀에 상기 송풍팬(353)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은 상기 송풍팬(353)의 외주면 또는 외측에서 상기 배출홀(232)로 연장되는 배출덕트(3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351)과 상기 배출덕트(352)는 내부에 상기 송풍팬(353)을 수용하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3)을 회전시키는 모터는 상기 팬하우징(3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8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순환덕트(320)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연통시키는 유입바디(361)와,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덕트(320)를 차폐하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덕트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유입홀(231)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차폐바디(363)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와 마주하지 않도록 상기 증발기(34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격벽(3211)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덕트(320)로 이동시키는 유입덕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는 내부에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입부(36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리브(362a)와, 상기 제1리브(362a)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바디(361)의 너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리브(36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높이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바디(361)의 전방모서리와 상기 제1리브(362a)는 제1유입구(36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브(362a)와 상기 제2리브(362b)는 상기 제2유입구(3622)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리브(362b)와 상기 유입바디(361)의 후방모서리는 제3유입구(36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는 서로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유입구(36222)는 상기 제1유입구(3621)과 상기 제3유입구(3622)의 면적 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부(362)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댐퍼부(364)와, 상기 댐퍼부(364)에 결합되어 상기 댐퍼부(364)의 개폐를 제어하는 구동부(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퍼부(364)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1댐퍼부(3641)와, 상기 제3유입구(3623)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2댐퍼부(36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댐퍼부(3641)은 상기 제1유입구(3621)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유입구(3621)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댐퍼부(3642)는 상기 제3유입구(3622)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유입구(3622) 내부에서 상기 유입바디(361)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입구(3622)는 공기는 통과하지만 미세먼지, 린트 등의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차단필터(3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2)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입구(362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를 구획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제2유입구(3622)에서 상기 순환덕트(320)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필터(366)는 상기 수분까지 여과할 수 있는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차단필터(366)는 헤파 필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유입구(3622)는 상기 차단필터(366)가 삽입되면 상기 제2유입구(3622)를 차폐하는 차폐부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제1댐퍼부(364)와 상기 제2댐퍼부(36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공기는 상기 제1유입구(3621)를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고, 상기 제3유입구(3623)을 따라 상기 순환덕트(3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를 모두 개방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입구(3611)와 상기 제3유입구(3623)을 모두 차폐하도록 상기 제1댐퍼(3641)과 상기 제2댐퍼(364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65)는 상기 제1댐퍼(3641)와 상기 제2댐퍼(3642)를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 상기 제1댐퍼와 상기 제2댐퍼에 결합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기어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에서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341)와 상기 응축기(343)를 차폐할 수 있는 차폐바디(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바디(363)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유입바디(361)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유입후크(3612)를 통해 상기 순환덕트(320)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덕트(320)는 상기 유입후크(36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9은 스팀공급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되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발생기(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고정할 수 있는 설치브라켓(8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베이스커버(36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스팀발생기(81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하부패널(871)과 상기 하부패널(871)에서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측면패널(8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측면패널(872)에서 연장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고정클립(8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873)은 스팀발생기(81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 보다 하부에는 상기 압축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압축기에서 발생한 열 또는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브라켓(870)은 상기 압축기(342)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가 스팀공급부(800)로 전이되는 것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360)는 상기 차폐바디(363)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공급부(8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36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631)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 물이 다량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커버(36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810)가 상기 순환덕트(320)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와의 거리가 더 짧아지므로,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생성된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도달하기전에 응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0는 상기 스팀공급부의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0(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스팀발생기(810)와,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히터(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부가 개구된 케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히터(840)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결합되어 상기 스팀히터(84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커버(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850)와,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물을 저장하고 스팀히터(840)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바디(8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각종 부품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잇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히터(840)가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히터삽입홀(8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바디(811)는 내부에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는 회수관(8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수관(814)는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수관(814)는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의 잔수를 제거할 때만 개방되도록 차폐마개(814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차폐마개(8141)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차폐마개(8141)를 상기 회수관(81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차폐클립(8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발생기(800)를 수리하거나, 상기 스팀발생기(800)의 동파 등을 예방할 때, 상기 회수관(814)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800)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수관(814)는 급수통(30)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바디(811) 내부에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지지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히터고정부(8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고정부(830)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831)과, 상기 지지클립(831)을 상기 케이스바디(811)에 고정시키는 클립체결부재(8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831)은 상기 스팀히터(8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8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급수통(30)에 연통되어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는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구비되거나,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15)을 통해 물이 다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여 발생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관(8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도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물이 스팀관(813)로 임의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수위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 수위센서홀(8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삽입되어 물에 침지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이상의 접촉돌기(852)와, 상기 접촉돌기(852)를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서 부유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위센서홀(854)에 결합되거나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지지되는 센서바디(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바디(851)는 센서체결부재(853)를 통해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상기 스팀센서(860)가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8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삽입홀(864)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861)와, 상기 감지장치(861)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고정시키는 지지대(863)와, 상기 지지대(863)를 상기 케이스커버(82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8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861)는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로 구비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서 스팀이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커버(820)는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커버(860)에 결합될 수 있는 커버후크(8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커버(820)의 후방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하부 또는 별도의 스팀배출부(900)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돌기(822)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는 상기 히터삽입홀(8111)에 삽입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수용되며 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는 시스히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에 의해 구동과 정지가 반복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는 제1전력을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1히터(841)와, 제1전력 보다 더 작은 공급받아 물을 가열하는 제2히터(842)를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제1히터(841) 보다 더 적은 양의 물을 가열하여 더 많은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스팀히터(840)에 허용되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히터(841)가 최대 히터전력량의 일부를 소모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제2히터(842)는 상기 최대 히터전력량의 나머지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히터(840)에 허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최대 히터전력량이 1500w 인 경우, 상기 제1히터(841)는 88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히터(842)는 600w를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20w는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더 적게 배분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팀히터(840)는 3개 이상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히터(841), 상기 제2히터(842), 상기 제3히터(843)는 최대 히터전력량을 나누어 소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히터(3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u자 형태의 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고정하고 상기 히터관통홀(8111)을 실링할 수 있는 히터실러(84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단자부(8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844)는 상기 제1히터(841)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단자(844a)와 제2히터(842)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자(84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같은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발생하는 스팀량과, 소모되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11는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며 스팀히터(840)를 수용하는 가열공간(8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급수관(815)과 연결된 급수호스(8151)를 통해 스팀을 생성할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여 발생한 스팀은 상기 스팀배출관(813)을 통해 상기 스팀호스(8131)를 따라 스팀공급부(8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호스(8131)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스팀홀(233)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가열공간(817)과 수위센서(850)를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격벽(81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격벽(812)는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수위센서(850)를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바디(811)의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850)는 상기 분리격벽(812)과 상기 케이스바디(811)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물이 끓을 때 발생하는 물이 진동이 수위센서(8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스팀히터(840)에서 발생한 열이 직접적으로 상기 수위센서(85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2은 상기 스팀히터가 설치된 스팀공급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12(a)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스팀히터(840) 보다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의 온도 등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센서(860)는 상기 물이 100도 또는 고온으로 도달하면 스팀이 발생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는 상기 지지클립(832)으로 지지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바닥면 등에 상기 스팀히터(840)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클립(831)으로 상부가 둘러쌓여 상기 스팀히터(840)가 배치된 수위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2(b)를 참조하면, 상기 스팀히터(840)의 히터실러(844)는 제1히터(841)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1지지홀(8441)과 상기 제2히터(842)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2지지홀(84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홀(8441)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1길이(L1)와 상기 제2지지홀(8442)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된 제2길이(L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지지홀(8441)과 상기 제2지지홀(8442)의 직경은 서로 다를지라도 설치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일한 수위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스팀공급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관(813)을 통해 바로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관(813)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스팀이 바로 공급되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수용된 물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가열된 물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가 열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발생한 스팀을 전달받아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하는 스팀노즐(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형성된 스팀만 공급받고,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노즐(900)은 스팀발생기(810) 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스팀관(81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생성된 스팀은 밀도 차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스팀관(813)을 따라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고,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수용된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스팀관(813) 또는 상기 스팀노즐(900)로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바닥면과 상기 스팀발생기(8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스팀홀(233)에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급수통(30)에서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공급하는 급수펌프(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펌프(880)로 안내할 수 있는 공급관(8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스팀공급부(800)로 안내하는 급수관(8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15)은 고무와 같은 급수호스(8151)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급수펌프(880)는 급수통(30)과 연결되는 공급관(890)에서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펌프(880) 급수관(881)을 통해 상기 스팀공급부(800)에 물을 공급하도록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800)는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공급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급수펌프(880)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공급관(890)은 상기 급수통(30)과 상기 급수펌프(880)를 연결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급수관(881)은 상기 급수펌프(880)에 결합되는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관(815)은 상기 급수펌프(880)와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직접 공급되어, 상기 스팀히터(840)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관(813)을 통해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되어 이너케이스(20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관(815)은 상기 급수펌프(880)와 상기 스팀노즐(900)을 직접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스팀발생기(810)가 아니라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스팀노즐(900)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88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88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와 상기 스팀노즐(900)을 통해 연통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급수펌프(880)를 통해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발생기(810) 보다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된 물을 자동으로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급수통(30)에 수용된 물을 상기 급수펌프(880)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900)는 상기 스팀노즐(900)과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연결하는 회수관(8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관(815)은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수용된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노즐(900)로 스팀이 유입되는 스팀관(813)과,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물이 배출되는 회수관(815)은 별개의 유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관(815)은 U자 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수관(815)의 양단 보다 그 사이에 있는 일부의 영역이 높이가 낮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수관(815)에 워터 트랩과 같은 물이 일정 고여있을 수 있어, 상기 회수관(81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공급되는 스팀이나 물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스팀노즐(900)과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연결하는 스팀호스(8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호스(8131)은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관(815)는 상기 스팀관(813)과 별도로 구비되고, 상기 스팀관(813)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과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연결하는 회수호스(8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호스(8151)는 고무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는 물을 전달받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급수펌프(88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유입된 물이 상기 급수펌프(880)로 역류할 가능성이 없다.
또한,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발생기(810) 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노즐(900)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와 상기 회수관(815)을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된 물은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급수펌프(880)로 역류할 가능성이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급수펌프(800)와 상기 스팀노즐(900) 또는 상기 스팀발생기(810) 사이에 체크밸브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관(881)은 하나의 급수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부(900)에 물을 공급하는 유로가 간단해질 수 있고, 상기 유로에서 누수될 가능성이 그만큼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펌프(800)를 통해 상기 스팀노즐(900)로 다량의 물이 상당한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스팀노즐(900)에 적체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번식되는 세균 등은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되는 물에 씻겨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로 씻겨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900)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스팀의 유동이 방해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공급된 스팀이 응축되면 응축된 물은 상기 회수관(81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급수펌프(800)에서 공급되는 물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회수될 수 있고,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로 재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급수통(30)의 수위가 급격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낭비도 방지할 수 있다.
도14은 본 발명 스팀공급부의 유로구조를 도식화 한 것이다.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급수관(881)을 따라 스팀노즐(9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공급받은 물을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회수관(815)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스팀히터(840)로 인해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관(813)을 따라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회수관(815)과 상기 스팀관(813)을 서로 분리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0에서 응축된 스팀은 다시 회수관(81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재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10)는 상기 스팀노즐(900)에 연결된 회수관(815)과 스팀관(813) 외에는 외부와 연결된 호스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펌프(880)는 상기 스팀발생기(8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급수펌프(800)와 상기 스팀발생기(810)를 연결하는 호스를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과 관련된 유로를 급수관(881)과, 회수관(815), 스팀관(813) 만 구비하면되므로, 유로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노즐(900)이 상기 스팀발생기(81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노즐(900)로 공급된 물은 별도의 체크밸브 없이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전부 안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급스펌프(880)에서 공급된 물은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되면, 상기 스팀노즐(900)에 공급되는 물은 전부 상기 스팀발생기(810)로 안내되므로, 상기 스팀노즐(900)에서 상기 급수펌프(880)로 물이 역류할 가능성이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펌프(880)와 상기 스팀노즐(900) 사이에 체크밸브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관(880)에 상기 체크밸브가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급수관(880)이 복수개로 구비될 필요가 없이 하나의 호스로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로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뿐만 아니라, 유로의 설치 및 수리도 간편해지며, 누수의 가능성도 더욱 감소할 수 있다.
도15은 상기 스팀노즐의 유로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스팀케이스(810)에서 스팀을 공급받거나, 상기 급수펌프(880)에서 물을 공급받아 수용할 수 있는 공급용기(9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물 또는 스팀을 전달받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81)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 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공급용기(91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공급용기(910)의 측면에 상기 급수관(881)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관(881)로 역류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881)은 상기 회수관(815) 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공급용기(9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회수관(815)은 일단이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81)에 공급된 물을 자동으로 상기 회수관(815)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관(815)는 내부에 일정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U자형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수관(815)은 상기 급수관(881)과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11)으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공급용기(810)에 잔류하지 않고 신속하게 상기 스팀케이스(81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관(813)은 일단이 상기 공급용기(9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스팀발생기(810)의 상단 또는 스팀커버(8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발생기(810)에서 발생한 스팀이 밀도차에 의해 자동으로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될 수 있따.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공급용기(910)에서 상기 회수관(815) 보다 높은 곳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회수관(815) 보다 상기 급수관(881)에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된 물이 상기 스팀관(813)으로 역류되지 않고 상기 회수관(815)으로 더 많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은 상기 회수관(815)이 결합된 곳이 낮고 상기 스팀관(813)이 결합된 부분이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위해, 상기 공급용기(910)의 바닥면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거나,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노즐(900)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용기커버(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920)는 상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스팀분사홀(9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23)은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는 상부가 개구된 상자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용기커버(920)는 상기 공급용기(91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을 통해 공급된 스팀은 상기 스팀분사홀(923)을 통해 배출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스팀분사홀(932)과 상기 공급용기(9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32)은 상기 급수관(881)과 상기 스팀관(8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수관(815)과 상기 스팀관(8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분사홀(932)로 배출되지 못하고 응축된 스팀은 상기 공급용기(910) 내부에 잔류하지 않고 상기 회수관(81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32)은 상기 용기커버(920)의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커버(920)는 상기 공급용기(910)와 후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용기커버(920)와 상기 공급용기(910)를 결합시키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용기(910)는 상부가 개구되어 구비되므로, 내부에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유리할 수 있고, 상기 용기커버(920)는 하부에 다양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홀(932)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관(881)과 상기 회수관(815)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공급용기(910)의 타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급수관(881)과 상기 회수관(815)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스팀관(813)은 상기 회수관(815) 보다 상기 급수관(881)에서 더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급수관(881)으로 이동하는 물은 I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용기(910)에 공급되는 물은 즉시 II방향을 따라 회수관(815)으로 배출되어 상기 스팀발생기(8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스팀관(813)에서 공급되는 스팀은 III 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용기(910)로 공급되어 상기 스팀분사홀(932)로 배출될 수 있고, 응축된 물은 II방향을 따라 회수관(815)으로 배출되어 스팀발생기(810)에 재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0)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를 왕복 직선이동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직선왕복이동하며 흔들릴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의류를 다양한 주파수로 주기적으로 흔들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무빙행어(1000)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5890호 와 같은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왕복 회전시키면서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의류를 이너케이스에서 흔들 수만 있다면 상기 무빙행어(1000)는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0)가 상기 의류를 왕복회전시키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이너케이스의 상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무빙행어(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옷걸이(1900)를 흔들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 하부에는 상기 옷걸이(1900)가 안착되거나 거치될 수 있는 걸이부(1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움직이면 상기 걸이부(170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 걸이부(1700)에 거치된 옷걸이부(1900)가 흔들리면서 상기 의류가 털어지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결합되는 걸이부(1700)도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대응되는 개수 만큼 다량의 의류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거치되어 리프레쉬 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1200)는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비되므로, 스팀이나 열풍에 노출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200)는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과 상기 캐비닛(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220)에 노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부(1200)에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걸이부(17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을 관통하고 수용공간(22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하단은 상기 수용공간(220)에 노출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상단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보다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길이가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막대형상, 관 형상 또는 판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은 상기 동력전달부(1400)와 상기 구동부(1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는 의류가 거치되어 움직이며, 상기 구동부(1200)의 하중도 상대적으로 무겁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면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지지부(1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캐비닛(1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00)는 내구성이 강하고 변형이 어려운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와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지지부(1800)에 안착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지지부(180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22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1200)는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는 동력으로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움직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이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충분한 변위로 흔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움직일 수 있는 충분한 변위(위치의 변화량)를 생성하는 변위생성부(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구동부(120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구동부(1200)의 동력을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더 큰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편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은 상기 구동부(1200)의 회전축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축(1240)에 편심되어 결합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일정범위를 왕복하여 움직이게 하는 변위를 생성할 수 있다면 어떤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자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구동부(1200)가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에서 생성되는 동력은 상기 변위생성부(1300)의 변위를 생성시키고,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의 변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직접 움직이게 할 수 있으나, 추가 구성을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왕복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직선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정 각도범위에서 왕복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정위치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거치된 의류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무빙행어(100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지만, 좌측 또는 우측 등으로 위치가 가변되며 이동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400)로 인해 의류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무게 중심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0)가 작동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급감할 수 있고, 소음발생도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 또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인 회전 에너지를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왕복회전 운동으로 전환하는 왕복회전부(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와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와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상기 이너케이스(200) 보다 상부에서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수용공간(220)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의류가 상기 왕복회전부(1500)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 중 어느 하나만 왕복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동력전달부(1400)만 회전하게 되면,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에 거치된 의류는 다른 동력전달부(1400)에 거치된 의류에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이 상기 무빙행어(1000)에 전달되어 상기 무빙행어(100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모두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4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동일한 각도로 일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끼리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0)에서 생성되는 동력은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모든 동력전달부(1400)의 회전시키는데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1200)가 각각의 동력전달부(1400)에 모두 직접적인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구동부(1200)와 모든 동력전달부(1400)를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200)가 복수개로 구비되거나, 상기 구동부(1200)에서 모든 동력전달부(1400)를 연결하는 구성들이 복수개로 구비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또는 상기 지지부(1800)에 과도한 하중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동부(1200)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도 초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부(12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변위생성부(1300)와 상기 왕복회전부(1500)가 모든 동력전달부(1400)에게 각각 전달하도록 연결되면, 상기 변위생성부(1300) 및 상기 왕복회전부(1500)의 배치 및 구조가 복잡해져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빙행어(1000)는 하나의 구동부(1200)가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에서 생성된 동력이 일부의 동력전달부(1400) 또는 일부의 왕복회전부(1500)에 우선적으로 전달되고, 나머지 동력전달부(1400) 또는 나머지 왕복회전부(1500)가 상기 동력을 2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구동부(1200) 또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일부의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하나의 왕복회전부(1500)에 집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비되어, 동력전달 구조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고, 동력손실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에서 전달된 동력을 하나의 왕복회전부(1500)에 전달하여, 상기 왕복회전부(1500)에 연결된 특정 동력전달부(14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행어(1000)는 특정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된 동력을 다른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부(16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어느 하나의 동력전달부(1400)가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160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모두 회전시킬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 무빙행어가 작동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구동부(1200)가 작동하면 상기 왕복회전부(1500)에 의해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60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1400)들도 다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구동부(1200)가 더 작동하면 상기 왕복회전부(1500)에 의해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600)와 연결된 동력전달부(1400)들도 다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회전할 때 전후 좌우로는 위치변화가 없도록 상기 지지부(18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너비방향을 기준으로는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동력전달부가 연장되는 상하방향 또는 높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1200)가 구동하면, 상기 걸이부(17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축으로 하여 좌우로 왕복회전되고, 위치이동은 없을 수 있다.
도17(c)를 참조하면, 상기 옷걸이부(1900)는 상기 걸이부(1700)에 거치되는 고리부(1910)와 상기 고리부(1910)에 결합되는 안착부(1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950)의 표면에는 의류가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표면부(9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950)는 상기 고리부(191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부(1900)는 상기 안착부(1950)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걸이부(1700)에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왼쪽으로 회전하면 상기 옷걸이부(1900)는 상기 고리부(1910)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1950)의 좌측은 왼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안착부(1950)의 우측은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1950)의 좌측이 회전하는 각도(I)는 상기 안착부(1950)의 우측이 회전하는 각도(세타)와 동일하게 되고, 상기 안착부(1950)의 좌측이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안착부(1950)의 우측이 이동하는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190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동일하여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더라도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1900)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무게 및 힘이 동일하여 서로 상쇄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옷걸이부(1900)에 가해지는 힘들은 서로 상쇄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옷걸이부(1900)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력 또는 가진력, 관성력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에서 발생하는 관성력 등이 최소화되어 상기 무빙행어(1000)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1) 전체에서 진동이나 소음 발생이 급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동부(1200)가 최대출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무빙행어(1000) 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크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상기 옷걸이부(1900)에 거치된 옷의 표면들의 각각은 좌우로 회전하며 털어지므로, 털이력은 크게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서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좌우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하 좌우로 위치는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상부 뿐만 아니라 하부도 상하 좌우로 위치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회전중심이 고정된 상태에서 1회전 미만으로 일정각도 왕복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아무리 빨리 회전하더라도, 상기 옷걸이부(19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일단은 일측으로 타단은 타측으로 회전 또는 이동하므로, 상기 동력전달부(1400)로 전달되는 힘과 진동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400), 걸이부(1700), 및 옷걸이부(1900)가 발생시키는 진동 및 소음은 최소화 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1200)를 더 높은 rpm으로 회전시켜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더 빠른 주파수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동력전달부(1400)는 제자리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것처럼, 상기 옷걸이부(900)가 아무리 빨리 회전하더라도, 상기 옷걸이부(1900)와 의류에서 발생하는 진동 또는 관성력은 상기 동력전달부(1400)로 전달될 때 서로 상쇄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를 특정 RPM 이상으로 상승시키더라도, 상기 무빙행어(1000)가 파손되지 않을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에서 한계값 이상의 진동이나 소음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1200)를 기존 무빙행어를 사용한 의류처리장치 보다 더 빠르게 구동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더 빠른 주파수로 구동하여 의류를 더 강하게 흔들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통해 의류에 묻은 이물질을 더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의류의 구김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를 더 빠르게 가진시켜 공급되는 스팀에 더 많이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동부(1200)의 RPM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동력전달부(1400)의 구동주파수 또는 구동주기를 코스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 무빙행어(10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상기 구동부(1200)의 동력을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 중 어느 하나에만 전달하고, 상기 연결부(1600)를 통해 특정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된 동력을 나머지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 또는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하나의 구동부(1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하나의 동력전달부(1400)에 집중적으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특정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된 동력을 모든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강체로 구비되어 길이가 가변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고, 모든 동력전달부(1400)를 전부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모든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연결부(1600)가 움직이면 같은 방향, 같은 각도로 일시에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무빙행어(1000)는 하나의 구동부(1200)로 복수의 동력전달부(1400)를 동시에 또는 일시에 같은 각도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부가 움직이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00)와,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200)에서 상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방향이 반복적으로 바뀌도록 회전하는 복수의 왕복회전부(1500)와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1500)를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왕복회전부(1500)를 일체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링크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단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들을 모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왕복전달부(1500)들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연결부(1600)를 상기 지지부(1800) 보다 상부에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왕복회전부(150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변위생성부(1300)와 상기 구동부(1200)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왕복회전부(150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나머지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구동부(120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너비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150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0)는 회전축(1210)을 회전시키는 모터(1210)와, 상기 회전축(1210)이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동력축(1240)과, 상기 동력축(1240)과 상기 회전축(1210)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1210)의 회전력을 상기 동력축(1240)에 전달하는 전달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21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축(122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회전축(1220)은 상기 모터(1210)에서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왕복 회전시키는 적정주기 보다 너무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축의 RPM을 낮추면 상기 모터(1210)의 출력을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전달부(1230)는 상기 회전축(1220)의 출력을 그대로 동력전달부(1400)에 전달하되, 상기 회전축(1220)의 RPM을 낮추어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1230)는 상기 회전축(1220)에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1220) 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달부(1230)는 상기 회전축(1220)의 RPM 보다는 느리게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1220)의 토크는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축(1240)은 상기 전달부(123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축(1230)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회전시키는 왕복레버(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1510)는 회전중심이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되는 리브 또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151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상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일부의 왕복레버(1510)는 상기 전달부(1230)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1210)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1510)는 상기 전달부(1230)가 상기 모터(1210)에 의해 회전하면 일정각도 왕복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왕복레버(510)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레버(151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왕복레버(1510)는 연결부(1600)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복수의 왕복레버(151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왕복레버(1510) 중 어느 하나의 왕복레버(1510)라도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1600)가 이동하여 상기 복수의 왕복레버(1510)가 동시 및 일시에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 및 왕복레버(1510)는 상기 지지부(1800)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210) 및 전달부(1230)도 상기 지지부(1800)에 지지될 수 있다.
도19는 본 발명 무빙행어(1000)가 이너케이스(200)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걸이부(17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상기 동력전달부(1400) 마다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동력전달부(140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부(1200)와 쉽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 및 상기 왕복회전부(15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160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1400) 또는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150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부(1600)는 복수의 상기 동력전달부(1400) 또는 복수의 상기 왕복회전부(1500) 전체를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왕복레버(1510)에 결합되는 지지축(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축(1410)은 상기 지지부(180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1800)의 상부 또는 이너케이스(200)의 상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보조지지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420)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걸이부(1700)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1420)는 상기 지지축(1410)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1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축(1410)이 상기 왕복레버(1510)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된 보조지지부(1420)도 회전하여 상기 걸이부(1700)도 좌우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왕복레버(1510)는 상기 구동부(1200)에서 동력을 직접 전달받아 왕복회전하는 메인레버(1511)와 상기 메인레버(1511)에서 연결부(1600)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보조레버(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레버(1511)는 단수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200)에서 동력을 직접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200)에서, 상기 모터(1210)는 상기 지지부(1800)에 결합되는 수직모터(1211)와, 상기 수직모터(1211)에 의해 회전하는 수직회전축(12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1230)는 상기 수직회전축(1221)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회전축(1221)과 함께 회전하는 동력풀리(1231)과, 상기 동력축(124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축(1240)을 회전시키는 전달풀리(1232)와, 상기 동력풀리(1231)와 상기 전달풀리(1232)의 외주면 중 일부를 연결하는 벨트(1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1230)는 상기 동력축(1240)과 상기 전달풀리(12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지지부(1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지지부(1224)는 상기 전달풀리(1232)가 상기 동력풀리(1231)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800)에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잇다.
상기 동력축(1240)은 상기 메인레버(1511)의 양단 중 일단에 상기 회전축(1220)에서 전달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메인레버(1511) 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레버(1511)를 상기 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에 편심되어 결합되어 상기 동력축(124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일정반경 회전하는 편심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메인레버(1511)의 말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메인레버(1511)의 말단을 상기 지지축(41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00)는 상기 메인레버(1511)의 양단 중 상기 동력축(1240) 또는 상기 변위생성부(1300)에 연결되지 않은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1512)의 일단을 연결하는 링크바(1610, b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레버(1512)는 상기 메인레버(1511)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지지축(14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지지축(1410)과 결합된 부분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바(161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1610)는 상기 메인레버(1511)의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1512)들의 일단을 연결하는 직선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레버(1511)의 일단과 상기 보조레버(1512)의 일단은 상기 링크바(1610) 또는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1610)는 단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레버(1511)와 상기 보조레버(1512)를 각각의 지지축(1410)을 중심으로 동시 및 일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는 상기 지지부(1800) 중 일부가 안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를 수용공간(220)에 노출시키는 관통홀(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면(22)에 상기 관통홀(23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배치된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230)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30)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너비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상기 캐비닛(100)의 모서리 또는 이너케이스(20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배치되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유지시키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800)는 양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20)에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부면(220)에 불필요한 충격이나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0은 본 발명 무빙행어(1000)의 작동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20(a)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레버(1511)는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바(1610)와 결합되는 메인바디(15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5111)은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14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메인 중심홀(15115)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인중심홀(15115)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5111)는 일단에 구동부(1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메인수신홀(15112)이 구비될 수 있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바(161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메인전달홀(15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5111)은 상기 중심홀에서 상기 메인수신홀(15112)으로 연장되되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부(15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5111)는 상기 단차부(15114)로인해 상기 메인바디(15111)의 일단 또는 상기 메인전달홀(15113)이 상기 메인중심홀(15115) 보다 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메인중심홀(15115)의 상부에 배치된 동력축(1240) 또는 상기 편심축(1310)이 상기 전달부(1230)에서 연장되는 길이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레버(1512)는 상기 지지축(1410)에 결합되는 보조중심홀(15125)과, 상기 보조중심홀(15125)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링크바(1610)와 결합하는 보조전달홀(15123)을 구비하는 보조바디(15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바디(15121)는 상기 메인바디(15111) 보다 길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중심홀(15115)에서 상기 메인전달홀(15113)까지의 거리는 상기 보조종심홀(15125)에서 상기 보조전달홀(15123)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링크바(1610)는 상기 보조전달홀(15123)과 상기 메인전달홀(15113)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보조레버(1512)와 상기 메인레버(151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20(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200)는 상기 동력축(1240)이 상기 메인수신홀(15112)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동력축(1240)을 직접 회전시켜 상기 메인수신홀(15112)을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동력축(1240)이 회전만으로는 상기 메인수신홀(15112)을 상기 메인중심홀(15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시키기에는 충분한 변위가 생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축(1240)의 회전반경 보다 큰 변위를 생성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의 제자리 회전운동을 일정 범위를 왕복하여 움직이는 변위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변위운동이 상기 왕복회전부(1500)에 전달되어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왕복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변위생성부(1300)는 상기 동력축(1240)에 연장되어 일정반경을 따라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상기 편심축(1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1310)은 상기 동력축(1240) 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고, 상기 동력축(1240)의 회전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동력축(1240)에 결합되거나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편심축(1310)은 상기 동력축(1240)이 회전하면 상기 동력축(1240)과 이격된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1310)의 직경은 상기 메인수신홀(15112)의 직경 또는 너비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편심축(1310)은 상기 메인수신홀(15112)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편심축(1310)이 회전하는 일정반경은 상기 메인수신홀(15112)의 너비 또는 직경보다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편심축(13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수신홀(15112)은 상기 편심축(1310)에 밀려 상기 메인중심홀(15115)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편심축(1310)이 특정방향(x)으로 회전하면 상기 메인바디(1511)의 메인수신홀(15112)도 일정방향(y)를 따라 왕복회전하고, 그 결과, 상기 메인바디의 중심홀(15115)도 메인수신홀(15112)과 같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메인전달홀(15113)은 상기 일정방향과 반대방향(z)으로 왕복회전할 수 있다.
상기 편심축(13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중심홀(15115)과 함께 상기 지지축(1410)이 왕복회전하여 상기 동력전달부(1400)가 왕복회전할 수 있고, 상기 메인전달홀(15113)도 왕복회전하여 상기 링크바(1610)를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조레버(1521)도 보조중심홀(15125) 및 상기 지지축(1410)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레버(1521)에 결합된 동력전달부(1400)도 왕복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지지축(1410)의 상부에 둘레를 따라 나사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전달홀(1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15125)은 상기 지지축(1410)에 나사선 등을 이용하여 직접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부(1400)는 상기 지지축(1410)은 상기 메인전달홀(1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15125)을 그대로 관통한 뒤, 상기 지지축(1410)을 상기 메인전달홀(15113)과 상기 보조중심홀(15125)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축(1410)의 나사선에 결합되는 전달결합부(14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결합부(1415)로 인해 상기 지지축(1410)과 상기 왕복레버(1510)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축(1410)과 왕복레버(151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700)가 임의의 코스를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를 처리하는 코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으로서 허용전력량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700)는 허용전력량 이상을 소모하는 것을 감지하면,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 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히터(840) 전체와 상기 압축기(342)는 동시에 구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된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압축기(342)의 구동 중에는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없으며,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 중에는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할 수 없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이너케이스 내부에 열풍이 공급 중에는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스팀을 함께 공급하는 것 불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허용전력량은 상기 제2히터(842)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할 때 소모되는 전력량보다는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압축기(342)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히터와 상기 압축기(342)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압축기(342)가 구동하지 않으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는 동시에 구동하여,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는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스팀을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하면서 동시에 열풍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고, 열풍을 공급하면서 동시에 스팀을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초기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스팀발생기(810) 내부에서 물을 빠르게 가열하여 스팀을 우선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상기 물의 온도를 끓는 점 등으로 유지하여 스팀 생성을 지속시킬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할 때보다 스팀의 분사량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 만을 구동하여 스팀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실크 또는 캐시미어와 같이 수분과 온도에 취약한 소재에도 소량의 스팀만 공급하여 충분히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이너케이스 내부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스팀공급에 필요한 전력사용량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스팀을 공급할 때 상기 압축기(342)를 함께 구동시킴으로서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젖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코스, 의류의 살균, 탈취, 구김제거 등을 수행하는 리프레쉬 행정 등을 빠르게 완료할 수 있다.
도21(a)는 본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하는 리프레쉬 코스 또는 표준코스가 수행되면, 스팀히터를 구동하여 물을 가열하는 스팀준비단계(A1)와, 상기 스팀준비단계(A1) 수행 중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스팀을 의류에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A2)를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프레쉬 행정은 건포 상태의 의류에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의류에 분사되는 스팀량이 많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준비단계(A1)와, 스팀분사단계(A2) 모두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준비단계(A1)와, 스팀분사단계(A2)에서, 허용전력량을 고려하여, 상기 압축기(342)는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가 공급된 스팀으로 수분을 함습하는 시간을 제공하는 대기단계(A3)를 수행한다.
상기 대기단계(A3)를 일정시간 수행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압축기의 구동 전에 의류의 표면온도를 더 낮추어 송풍팬만 가동하는 냉각단계(A4)를 수행한다. 상기 냉각단계(A4)를 통해 의류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감소되고, 의류의 함습량이 충분하면, 본 발 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342)와 송풍팬(351)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하는 건조단계(A5)를 수행한다.
상기 건조단계(A5)를 통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하면서 의류의 탈취, 구김제거 등의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A5)는 이전에 수행된 모든 단계 보다 지속시간이 가장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단계(A2)에서 압축기가 구동하지 못하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없다. 따라서, 건조단계(A5)에 도달하기 까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와 상기 열공급부(400)를 유동하는 냉매온도는 상대적으로 저온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전술한 제어방법에서는 건조단계(A5)가 상대적으로 길게 지속되어야만 의류의 완전건조, 살균, 탈취, 구김제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등의 리프레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도21(b)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히터가 복수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일부 히터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팀히터(840)가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포함하므로,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압축기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으로 리프레쉬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히터와 압축기를 건조단계 이전에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건조단계 이전에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어, 의류의 완전건조, 살균, 탈취, 구김제거에 필요한 온도와 시간을 더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을 이전 보다 감축할 수 있다. 또한,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은 리프레쉬 행정에서 가장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의 지속시간을 감축함으로써 전체 리프레쉬 행정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구동시간을 감축함으로써 에너지효율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리프레쉬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임의의 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스팀히터(840)를 전부 구동하는 스팀준비단계(b1)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준비단계(b1)는 상기 스팀이 빠르게 생성될수록 리프레쉬 행정시간을 감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의 모든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스팀준비단계(B1)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스팀히터(840)의 최대 전력을 사용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로 구성되어 있다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스팀준비단계(B1)에서 감지장치(860)를 통해 스팀케이스(810) 내부에 스팀이 생성된 것을 감지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히터(840)의 일부만을 구동하는 예열단계(B2)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스팀이 생성된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도, 상기 스팀은 지속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단게(B2)에서부터 상기 스팀으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의류의 함습량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스팀히터(840)의 일부만 사용하므로 여분의 전력량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B2)에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압축기(342)과 상기 송풍팬(351) 중 하나 이상을 구동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도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압축기(342) 및 송풍팬(351)과 상기 스팀히터(840)의 일부가 중첩되어 함께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과 열풍이 동시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가 동시에 구동되면, 상기 리프레쉬 행정 초기부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증발기(341)에 더 고온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증발기(341)의 열교환 성능이 강화되어 상기 응축기(343)가 더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더 높은 온도의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가 리프레쉬 행정에 필요한 최적온도 또는 최소온도에 더 빨리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리프레쉬 행정의 수행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열공급부(340)의 전체의 성능계수(cop)도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예열단계(B2)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과,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구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는 구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구간도 존재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압축기(342) 만 구동하는 구간은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는 구간 이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압축기(342) 구동 전에 상기 증발기(341)에 열용량이 높은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열공급부(340)를 구동하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스팀히터(840)를 통해 상기 스팀이 이너케이스(200)에 공급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절대습도도 높아지게 되어 상기 증발기(341)에 열용량이 높은 공기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예열단계(B2)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압축기(342)를 구동하는 제1구간과,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압축기(342)만 구동하는 제2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을 통해 이너케이스(200)에 열풍과 스팀을 공급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와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량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을 통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을 본격적으로 공급하여 의류가 탈취, 구김제거, 살균 등의 리프레쉬를 수행할 수 있는 최소온도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B2)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가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히터(841)를 구동할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스팀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와,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공기의 열량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예열구간(B2)에서는 상기 제2히터(841)가 구동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예열구간(B2)는 상기 이너케이스(200)의 내부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고, 상승된 온도를 더 길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살균 등에 필요한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수분에 의류가 높은 습도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거나, 상기 압축기(34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한계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상기 제1히터(841)과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가 구동과 중단(ON/OFF)을 반복하여 구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매의 온도가 한계온도에 가까워지거나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구동되는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고, 상기 냉매의 온도가 한계온도 보다 낮은 안전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히터(840)를 다시 구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의 내부 온도가 목표온도에 가까워지거나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구동되는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고, 상기 내부온도가 목표온도 보다 더 낮은 냉각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히터(840)를 다시 구동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히터(840)가 단속적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기 예열구간(B2)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빠르게 상승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정지되는 시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B2)는 정해진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온도 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가 일정 온도를 일정시간 이상 유지하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예열구간(B2)이 완료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본격적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단계(B3)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B3)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가 동시에 구동되어 다량의 스팀을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에 거치된 의류가 예열단계(B2)에서 일정수준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스팀분사단계(B3)가 수행되므로, 상기 의류 전체에 함습율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B3)는 이전에 예열단계(B2)를 수행하지 않는 스팀분사단계(A2) 보다는 더 짧게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예열단계(B2)에서 이미 일정수준의 스팀을 이미 공급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공급될 스팀양이 적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분사단계(B3)는 의류가 충분히 함습될 수 있는 보장시간이 경과하면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스팀분사단계(B3)가 종료되면, 상기 의류를 열풍으로 건조하는 건조단계(B6)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팀분사단계(B3)가 종료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로 분사된 스팀이 의류 전체에 침투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시간 대기하는 먼저 대기단계(B4)가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B4)는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B4)를 통해 이너케이스 내부에 분사된 스팀이 상기 의류에 함습되기 전에 바로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스팀으로 인해 의류 표면온도가 상승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열풍공급에 의해 의류의 표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B6)는 압축기(342)를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에 본격적인 열풍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안전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열풍이 공급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한계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의류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건조단계(B6)의 수행 전에 상기 송풍팬(352)을 구동하는 냉각단계(B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B5)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송풍팬(352)은 구동하지만,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스팀히터(340)는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B5)에서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공기는 순환덕트(200)를 따라 순환하며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안전온도 이하로 내려가거나, 상기 냉각단계(B5)가 필요시간 동안 수행되면, 상기 냉각단계(B5)는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단계(B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B6)는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함습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또는 상기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여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에 함습율이 높은 경우에는 상기 건조단계(B6)를 수행하여도, 상기 기화열로 인해 순환덕트(320)로 다시 유입되는 온도는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더라도 급격히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의류가 대부분 건조되어 함습율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기화열이 적으므로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온도는 급격히 상승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열풍의 온도와 대응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냉매의 온도도 상기 순환덕트(320)에 유입되는 온도와 유사한 패턴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낮아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건조가 충분히 달성되고 리프레쉬에 필요한 최소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건조단계(B6)를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의류가 최소 건조 온도조건 이상에 노출된 시간이 최소시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건조단계(B6)를 종료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건조단계(B6) 전에 예열단계(B2)를 더 배치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최소조건온도 이상에 도달하는 전체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건조단계(B6)의 지속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예열구간(B2)에서 압축기(342)가 구동되었다가 중단된 이후에 상기 건조단계(B6)의 수행 전까지 압축기(342)의 구동이 중단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22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제1단계 또는 가열단계, 제2단계 또는 항율단계, 제3단계 또는 감율단계, 제4단게 또는 냉각단계 순서로 수행되는 건조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너케이스(200) 내부에는 젖은 의류 또는 함습율이 제거함습율 보다 높은 의류가 거치될 수 있다.
도22(a)를 참조하면, 제1단계가 수행되면 압축기(342)와 송풍팬(352) 중 하나 이상이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냉매는 가열되면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기도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숭퐁팬(352)에 의해 상기 공기는 점점 더 온도가 높아지면서 상기 이너케이스(200)와 상기 순환덕트(320)를 순환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의류의 수분은 증발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22(b)를 참조하면, 제1단계가 일정시간 지속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상기 의류의 수분을 기화시킬 수 있는 고온의 공기(열풍)이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도 점점 더 많이 증발하면서 상기 열풍에서 더 많은 기화열을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는 항율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준값은 1분당 1도 또는 1분 당 0.3도 상승하는 비율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는 일실시예 일뿐, 제1단계와 제2단계를 구분할 수 있다면 어떤 시간대비 온도상승율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2단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에 거치된 옷걸이부(1900)는 왕복이동 또는 진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항율단계에서 제거물리력 조건은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함습율은 100퍼센트에서 점점 낮아지므로 제거함습율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너케이스(200) 내부 공기에서 기화열을 흡수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는 설정온도 보다는 낮다.
상기 설정온도는 의류의 구김제거가 시작될 수 있는 온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설정온도는 섭씨 37도에 해당할 수 있다.
도22(c)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계가 일정시간 이상 수행되면,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 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때부터, 상기 의류에서 증발하는 수분의 양은 급격히 감소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공기에서 흡수하는 기화열도 작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제3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가 시작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는 설정온도 이상에 도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단계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는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건조온도는 5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의류는 거의 건조가 완료된 상태이므로, 상기 의류의 함습율은 5 % 미만 까지 떨어져 제거함습율 보다 훨씬 낮아지게 된다.
상기 제3단계가 일정시간 이상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건조코스를 마무리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은 중단하고,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낮은 안전온도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상기 송풍팬(352)을 구동하는 제4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전온도는 상온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안전온도는 25도로 설정될 수 있다.
도22(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를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서 상기 의류의 함습율은 제거함습율로 다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여 상기 의류에 제거물리력을 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거단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스팀히터(840)와 상기 무빙행어(1000)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거단계는 제4단계 이후에 추가적으로 수행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는 설정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거단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의 구동은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 보다 낮은 안전온도까지 낮추는 냉각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에서는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압축기(342)는 구동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거단계와 상기 냉각단계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스팀히터(840)에서 공급된 수분을 건조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342)가 재구동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4단계까지 의류의 건조를 전부 완료한 다음, 상기 제거단계를 추가로 수행하여 상기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도23는 도22의 건조코스의 진행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23(a)와 도23(b)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압축기(342)는 구동이 시작될 수 있고, 건조코스가 종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은 중단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할때는 상기 송풍팬(352)도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건조코스 수행 중에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냉매의 온도가 상승할 때까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는 점점 높아지는 상기 제1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냉매의 가열이 완료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이 공급되어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기화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상기 기준값 보다 낮아지는 제2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의류의 기화열로 인해 설정온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5퍼센트 미만에 도달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온도는 설정온도를 통과하여 상기 건조온도 이상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제4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342)가 항상 구동이 유지되므로, 상기 스팀히터(342)의 구동은 차단되어 전체 의류처리장치의 전력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코스에서는 상기 의류에 함습율이 높은 상태이므로 상기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는 구동되어 상기 의류를 흔들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도 털어낼 뿐만 아니라, 의류전체를 열풍에 고르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단계과 같이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 보다 높은 구간에는 상기 의류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상기 무빙행어(1000)의 구동은 차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김제거 단계가 수행되지 않으면, 도22와 도23에 도시된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단계까지는 제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구간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조코스 제어방법 실시예에서는 의류의 건조는 빠르게 수행될 수 있으나, 의류의 구김과 주름이 제거되지 못할 수 있다.
도24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건조코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를 통해 건조코스를 수행할 때 초기 구간에서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의류에 함습율이 높은 상태일 때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도 의류의 함습율이 크게 증가되지 않거나 거의 유지되므로 상기 스팀에 의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상기 스팀은 기화열 등으로 열을 빼앗기지 않으므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 초기에 스팀을 공급하여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제거조건을 달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의 구김과 주름은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24(a)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압축기(342)와 송풍팬(352)을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가열되는 공기를 공급하는 제1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 구동 중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를 먼저 구동한 다음,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압축기(342)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팀케이스(381)에 수용된 물을 먼저 가열한 다음,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먼저 구동한 다음, 상기 압축기(342)를 나중에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하기 시작 전에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는 구동이 중단되므로,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 중에는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42)가 먼저 구동 중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하나가 구동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단계 중 적어도 일부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열풍과 스팀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제1단계에서 부터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1단계가 시작할 때부터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지만, 제1단계가 시작한 이후 일정시간 뒤에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하나와 상기 압축기(842)를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제1단계 초반에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고 압축기(342) 구동은 차단하여 물을 먼저 끓는 시간을 확보하거나, 제1단계 초반에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의류의 함습율이 너무 높은 초기단계에서 부터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으로 인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제한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한온도는 스팀이 공급되지 않고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더라도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감소되지 않는 것을 보장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한온도는 특정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고, 초기온도 대비 일정 % (섭씨 0도 기준), 또는 일정온도가 상승한 온도로 정의돌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한온도는 섭씨 45도에 해당하거나, 초기 온도 대비 100% 또는 30도 상승한 온도에 해당될 수 있다.
도24(b)를 참조하면, 제1단계가 통과하고 제2단계에 진입하면, 상기 의류의 함습율은 제거함습율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단계는 스팀공급과 열풍공급이 동시에 수행되므로, 제1단계 중에서 의류가 제거함습율에 도달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단계와 제2단계에 걸쳐 특정 구간에 의류가 제거합습율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단계에서도 초기구간에는 스팀이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기화열로 인해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제2단계에서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의류에 제거물리력을 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700)는 제1단계에서 부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단계에서는 구김제거 조건이 모두 만족될 수 있다.
도24(c)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계가 수행되어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제3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런데, 제2단계에서 구김이 전부 제거되었으므로, 제3단계는 의류에 구김과 주름이 없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에서는 의류의 함습율이 낮으므로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는 건조온도 이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는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의 구동이 전부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건조된 의류의 합슴율을 다시 높이는 불필요한 행정을 생략할 수 있고,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24(d)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의류의 건조를 담보할 수 있는 건조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건조온도 이상에서 건조시간 만큼 경과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이전에 서술한 제4단계를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단계에서 제4단계를 수행하여 의류가 건조된 이후에 추가적인 구김제거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 내에 구김제거 단계를 포함하거나 구김제거 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를 수행하면서 자동으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함습율이 5% 이하로 떨어진 이후에 스팀을 추가로 공급하고 이를 다시 건조하는 행정 자체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코스의 종료 시 까지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모두 구동하기 위해 압축기의 구동을 중단하고 재구동하는 것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거함습율 이하의 구간에서 다시 의류의 함습율을 상승시키는 비효율적인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건조코스 중에서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지연이 발생하거나, 건조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별도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제거하기 위해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을 생략시킬 수 있다.
도25은 도24의 제어방법이 수행될 때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단계에서 압축기(342)의 구동 중에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 중 어느하나를 상기 압축기(342)와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더 빠르고 더 높게 상승할 수 있다. 그 결과, 의류의 함습율이 너무 높아 제거함습율에 아직 도달하지 않더라도 제1단계에서 부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히터(840)와 압축기(342)의 동시 구동으로 인해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더 상승하여 제한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므로, 제1단계의 수행시간이 더 길게 설정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제1단계가 높은온도에서 마무리되므로, 제2단계와 제3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단축되는 효과도 도출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상적으로 압축기(342)가 구동하기 시작하여 구동 rpm이 최대 rpm에 도달하는 제1시간(t1)에 제1단계가 종료된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시간(t1) 이후 제3시간(t3)까지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은 기준값 이상에 해당하므로, 상기 제1단계는 제3시간(t3)까지 수행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3시간(t3) 이후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작아지기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제2단계는 제3시간(t3) 부터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제7시간(t7) 부터 온도상승율이 다시 기준값 이상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제3단계는 제7시간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고, 제8시간부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건조온도를 초과하므로, 상기 제3단계는 제7시간(t7) 부터 제8시간(t8)까지 수행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제8시간부터 압축기(342)의 구동이 종료되는 제9시간까지 수행될 수 있다.
본래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지 않은 건조코스의 실시예에서는 제9시간 이후에도 감율단계가 수행 중이나, 초기에 스팀과 열풍을 동시에 공급하는 건조코스의 실시예에서는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 보다 높게 유지하므로 제8시간에 건조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 즉 도24의 실시예는 도22의 실시예 보다 건조코스의 수행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
도25(a)와 도25(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된 초기시간(t0) 이후에 건조코스가 종료되는 제9시간(t9)까지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를 초기시간 (t0)부터 구동하여 건조코스가 종료되는 제9시간(t9) 까지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단계에서 제3단계까지 상기 압축기(342)와 송풍팬(352)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고, 제4단계에서는 상기 송풍팬(352)은 구동하되 상기 압축기(342)는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25(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하기 전에 상기 스팀히터(840)를 먼저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초기시간(t0) 보다 더 빨리 상기 스팀히터(840) 전체를 최대전력으로 구동하여 상기 스팀케이스(810)에 수용된 물을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압축기(342) 구동 전에 상기 제어부(700)는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팀을 최대한 빨리 생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스팀이 생성되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가 구동할 때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하고 나서 이후에 제1히터(841)와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초기시간(t0) 보다 더 이전에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를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물을 어느 수준까지 가열하고, 초기시간(t0)에 도달하면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면서 물을 더 가열하면서 압축기(34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342)를 초기시간(t0)에서 먼저 구동한 다음, 상기 제1히터(841)와 상기 제2히터(842) 중 어느 하나를 초기시간(t0) 이후에 구동시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42)가 구동 중에 스팀히터(840) 중 일부가 구동하여 물이 가열되고, 제1시간(t1)에 도달하면 비로서 스팀이 생성되어 제1시간(t0) 부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든, 압축기(342)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제3단계까 종료될 때까지 압축기(342)의 구동은 차단되지 않으며, 열풍이 먼저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되고 이후에 스팀이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단계에서부터 스팀히터(840)를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때까지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이후에도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더 높은 제한온도까지 상승할 때까지 제1히터(842)와 상기 제2히터(842) 중 구동하는 히터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라고 하더라도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중단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의류에서 수분이 증발하면서 기화열을 흡수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다시 설정온도 밑으로 하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부(700)는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더라도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하에 해당하는 제2단계에 진입할 때까지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의 구동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단계와 제2단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의류에 구김과 주름이 제거되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제2단계가 진입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제2단계가 진입하거나,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의 함습율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거나, 감소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700)는 제2단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까지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의 구동을 유지하여 스팀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의 함습율은 상기 제1단계에서부터 의류가 건조되기 시작하므로 제1단계에서 부터 낮아지기 시작한다.
초기 이너케이스(200)에 거치된 의류가 완전히 젖은 상태이므로 함습율이 100%라고 하더라도, 제2단계에 진입하는 제3시간 이전인 제2시간(t2)부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에 진입할 수 있다. 즉, 제1단계에서 부터 의류의 함습율은 45퍼센트까지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시간(t2)부터 제2단계에 해당하는 제6시간(t6) 또는 제6시간 보다 빠른 제5시간(t5)에 의류의 함습율은 45%~5%에 해당할 수 있고 제거함습율 조건을 그대로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제3단계가 수행되는 제7시간 이전인 제6시간 이전에 제거함습율을 이탈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단계와 제2단계에 해당하는 제2시간부터 제6시간 사이에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고, 의류가 제거함습율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2시간 부터 제6시간 사이인 제1단계의 일부구간과 제2단계 일부구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여 제거물리력까지 의류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시간 부터 제6시간 사이인 제1단계의 일부구간과 제2단계 일부구간에서는 제거조건을 모두 만족하므로, 상기 구간을 구김제거구간(A)으로 설정할 수있다.
즉, 구김제거구간(A)는 의류가 배치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에 해당되는 구간으로서 제거물리력만 가해지면 제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적어도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는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에서 구동하는 스팀히터(840)를 단속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를 ON/OFF를 반복하며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과도한 스팀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도 방지하며, 압축기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른 관점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높은 제한온도에 해당하면 상기 스팀히터(840)를 단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한온도는 압축기(342)에 투입되는 냉매 또는 압축기(342)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온도가 압축기(342)의 신뢰성을 위협하는 한계온도로 만들 수 있는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한계온도는 섭씨 90도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제한온도 이상의 온도구간에서는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상기 제2히터(842)를 단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으나, 구김제거구간(A)가 종료되는 제6시간(t6) 보다 더 빠른 시간인 제3시간(t3)에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써, 구김제거구간(A)에서 불필요하게 이너케이스(200) 내부 습도가 증가하거나, 에너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김제거구간(A)는 제2시간부터 제6시간 사이로 설정될 수 있으나, 제2시간과 제6시간 사이에서 구김이 제거될 수 있는 최소한의 시간인 설정시간을 포함하기만 하면 그 보다 더 짧게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즉, 상기 구김제거구간(A) 내에 설정시간 동안 상기 제어부(700)는 무빙행어(1000)를 흔들거나,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스팀히터(84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설정시간 까지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고, 설정시간 경과 후에는 제6시간 이전이라도 스팀히터(840)의 구동은 차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설정시간은 15분에 해당될 수 있다.
도25(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김제거구간(A) 중 적어도 설정시간 동안은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전에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았다면,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무빙행어(1000)를 적어도 설정시간 동안은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1000)가 구동되면,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이 종료되어도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면, 설정시간이 경과하기 까지 일정시간 동안 상기 무빙행어(1000)는 구동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히터(840)는 설정시간 동안 구동하지 않더라도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는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무빙행어(1000)는 설정시간 동안 구동해야만 제거물리력 조건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히터(840)는 제3시간(t3)에 구동이 차단될 수 있지만, 적어도 상기 무빙행어(1000)는 제6시간(t6) 까지는 더 구동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어방법을 무빙행어(1000)와 스팀히터(840)의 구동관점에서 분석하면 아래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스팀히터(740)가 구동하는 구간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적어도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히터(841) 또는 제2히터(842)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전에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1rpm)로 구동하였다면,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는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2rpm)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0)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더 빨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았다면,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구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 상기 의류에 제거 물리력 이상의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거조건을 더욱 만족시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3rpm)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코스에서 무빙행어(1000)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1주파수는 제3주파수 보다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함습율이 높아 무게가 높은 의류를 흔들기 위해 무빙행어(1000)가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처리장치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거나 상기 무빙행어(1000)를 느리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구동하는 구간과 상기 무빙행어(1000)가 제2주파수로 구동하는 구간을 적어도 일부 중첩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구동한 이후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제1단계와 제2단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거나 가장 빠르게 구동하고, 그 이전에는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거나 가장 느리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무빙행어(1000)의 구동을 중심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제1주파수로 구동하거나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기준시간 동안 구동하면, 이후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높아지거나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무빙행어(1000)를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1000)의 구동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제1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에 도달한 이후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설정시간 구동한 이후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주파수(2rpm)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는 가장 빠른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보다 더 낮아지면 상기 제3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이 다시 기준값 보다 커지는 구간에 해당한다. 상기 구김제거구간(A)는 상기 제3단계 이전에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히터(840)는 제3단계 이전에 종료될 수 있고, 제3단계와 그 이후에는 스팀히터(840)가 구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342)의 구동은 중단하고 송풍팬(352)의 구동은 적어도 일부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구김제거구간(A)가 포함되어 있는 건조코스에서 스팀히터(840)를 압축기(342)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에 제2히터(842)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더 적은 스팀이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여 의류의 함습율이 오히려 높아지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만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에 집중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842)의 전력량은 상기 제2히터(842)에서 발생하는 스팀량이 증발기가 제습할 수 있는 제습량의 50~150%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킬 때 사용하는 물의 양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히터(840)는 적어도 제2단계 중에 구동이 중단되고, 제2단계는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이하이거나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변화폭이 특정범위 이하인 구간에 해당하므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변화폭이 특정범위 이하인 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 구동을 중단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특정범위는 5도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어방법에서 제3단계 이후에는 스팀공급을 차단하므로, 건조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스팀히터의 구동을 차단한다고 볼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수행되는 건조코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구김제거구간(A)에서 상기 스팀히터(840)와 상기 압축기(342)를 동시에 구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항상 최대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고, 상기 스팀히터(840)가 제1히터와 제2히터가 아닌 단일 히터로 설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면 상기 압축기(342)를 구동하여 열공급부(340)을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준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는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 RPM을 최대 RPM으로 상승하여 상기 냉매의 온도를 건조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목표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는 a시간(ta)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준비단계가 수행되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히터(840)를 구동하는 제1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단일히터로 구비되어 있다면 단일 히터를 최대출력으로 구동하고, 스팀히터(840)가 복수개 히터로 구비되어 있다면 전체 히터를 구동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가 최대출력으로 구동되면 압축기(342)와 동시에 구동될 수는 없다. 다만, 상기 스팀히터(840)가 최대출력으로 구동되어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를 더 신속하게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인 보장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보장온도는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이 중단되고 다시 압축기(342)가 구동될 때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설정시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을 담보할 수 있는 온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는 b시간(tb) 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항상 유지할 수도 있지만, 스팀히터(840)를 단속적으로 반복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700)는 스팀히터(840)의 구동을 차단하고, 상기 압축기(342)와 송풍팬(352)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352)이 구동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되므로 기화열을 흡수하여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는 하강하여 c시간(tc)에 이르기 까지는 설정온도 보다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이전에 수행된 예열단계와 압축기(342)가 구동됨으로 인해 열풍이 공급되어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는 하강을 멈추고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c시간 부터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는 설정온도 보다 다시 높아질 수 있다.
상기 b시간(tb) 부터 c시간(tb)과 이후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상에 해당하는 d시간(tb)까지는 온도상승율이 항상 기준값 이하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b시간(tb) 부터 d시간(tb)까지를 제2단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김제거구간(A)은 상기 제2단계 진행 중에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만족될 수 있다.
구김제거구간(A)는 의류가 배치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며,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에 해당되는 구간으로서 제거물리력만 가해지면 제거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적어도 2번째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시작하면 구김제거구간(A)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구김제거구간(A)는 상기 제2단계에서 만족된다. 즉, 제2단계에서 의류의 함습율이 제거함습율을 만족하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는 설정온도 이상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0)는 건조코스 중 적어도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에 제거물리력을 부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제거조건이 전부 달성되므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구김제거구간(A)는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커지는 제3단계 진입구간인 d시간(tb)에 이전에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의 온도가 건조온도 이상으로 도달한 f시간(tf)까지 제3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3단계까지는 상기 압축기(342)의 구동은 유지될 수 있고, 상기 스팀히터(840)는 구동이 차단될 수 있다.
도28(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전에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았다면,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서 무빙행어(1000)를 적어도 설정시간 동안은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무빙행어(1000)는 적어도 일부 중첩하여 구동하지만, 상기 압축기(342)와 상기 스팀히터(840)는 중첩하여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1000)는 동시에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 전, 구동 후에 상기 무빙행어(1000)는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전에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1rpm)로 구동하였다면, 상기 구김제거단계(A)에서는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2rpm)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김제거구간(A)에 상기 의류에 제거물리력 이상의 물리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거조건을 더욱 만족시켜 의류의 구김과 주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구김제거구간(A)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의 구동을 중단하거나,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3rpm)로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건조코스에서 무빙행어(1000)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상기 제1주파수는 제3주파수 보다 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함습율이 높아 무게가 높은 의류를 흔들기 위해 무빙행어(1000)가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처리장치 전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히터(840)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840)의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는 적어도 일부 구간은 상기 무빙행어(1000)를 더 빠르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그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느리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스팀공급부(800)가 구동한 이후에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항율단계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거나 가장 빠르게 구동하고, 그 이전에는 무빙행어(1000)를 구동하지 않거나 가장 느리게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무빙행어(1000)의 구동을 중심으로 기재하면 다음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제1주파수로 구동하거나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2번째 진입하는 구간부터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설정시간 동안 구동하면, 이후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높아지거나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무빙행어(1000)를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무빙행어(1000)의 구동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로 2번째 상승하여 도달할 때까지 제1주파수로 구동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2번째 상승하여 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에 도달한 이후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무빙행어(1000)를 상기 제2주파수로 설정시간 구동한 이후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주파수(2rpm)는 상기 코스 수행 중에 상기 무빙행어가 구동하는 가장 빠른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200) 내부 온도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압축기(342)의 구동은 중단하고 송풍팬(352)의 구동은 적어도 일부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200 이너케이스
300 기계실
341 증발기
342 압축기
343 응축기
800 열공급부
841 제1히터
842 제2히터
1000 무빙행어

Claims (2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일정거리 이격시켜 거치시키도록 구비되는 행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부와 스팀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코스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이너케이스 또는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제습하고 다시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와,
    상기 스팀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코스가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압축기의 구동 중에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를 설정온도 이상까지 상승시키도록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코스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설정시간 동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제한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변화폭이 특정범위 이하인 구간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다시 기준값 보다 높아지기 이전에 상기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높아진 이후에는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는 상기 제1히터 보다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양이 적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터에서 발생하는 스팀발생량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제습되는 제습량의 50~150%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며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동하는 무빙행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 또는 상기 제1히터 또는 제2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를 제1주파수로 구동하거나 정지하고,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인 구간에서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1주파수 보다 빠른 제2주파수로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제2주파수로 기준시간 동안 구동하면 상기 제2주파수 보다 낮은 제3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상승율이 기준값 보다 높아지거나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보다 높은 건조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상기 무빙행어를 제2주파수 보다 느린 제3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는 상기 제3주파수 보다 더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의류를 거치하되 상기 의류를 흔들도록 구동하는 무빙행어;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부와 스팀공급부, 상기 무빙행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제습하고 다시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와,
    상기 스팀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건조코스가 종료되거나 상기 의류의 건조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유지하고,
    상기 무빙행어를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과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에는 상기 무빙행어를 더 빨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기 전에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이 차단되면,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구간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지 않거나 상기 무빙행어를 느리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팀히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무빙행어를 구동하면,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이 종료되면 일정시간 동안 상기 무빙행어의 구동속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는 중에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이너케이스;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부와,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가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부와 스팀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코스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와,
    상기 스팀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코스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제습하고 다시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먼저 구동한 뒤에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가 구동하는 도중에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에서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덕트와, 상기 순환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제습하고 다시 가열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 하도록 구비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코스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코스의 종료시 까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유지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코스는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이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하로 감소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이너케이스 내부 온도 상승율이 기준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단계 이전에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3단계 진행 중 또는 제3단계 이후에는 상기 스팀히터를 구동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단계 또는 제2단계 진행 중에 상기 스팀히터의 구동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히터와 상기 압축기는 적어도 일부 구간 중첩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물을 저장하는 스팀케이스와,
    상기 스팀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1히터와, 상기 제1히터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상기 물을 가열하여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제2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히터와 상기 제2히터를 먼저 구동하고,
    상기 압축기와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상기 제2히터의 구동이 종료되어도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10710A 2023-01-27 2023-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ending KR20240118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710A KR20240118361A (ko) 2023-01-27 2023-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24212180A AU2024212180A1 (en) 2023-01-27 2024-01-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4/001257 WO2024158247A1 (ko) 2023-01-27 2024-01-26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0710A KR20240118361A (ko) 2023-01-27 2023-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8361A true KR20240118361A (ko) 2024-08-05

Family

ID=9197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0710A Pending KR20240118361A (ko) 2023-01-27 2023-01-2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118361A (ko)
AU (1) AU2024212180A1 (ko)
WO (1) WO20241582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109B2 (ja) * 2005-02-04 2010-12-22 株式会社東芝 乾燥機
KR101265598B1 (ko) * 2006-06-23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의류 처리 시스템
KR101443614B1 (ko) * 2007-08-03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6520B1 (ko) * 2016-10-04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777305B1 (ko) * 2019-12-24 202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의 움직임에 기반한 무빙행거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58247A1 (ko) 2024-08-02
AU2024212180A1 (en) 2025-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579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EP2133460A2 (en) Laundry dryer
EP210715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EP44846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56305A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11836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118362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20250179721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JP7706666B2 (ja) 衣類処理装置及び前記衣類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276734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767342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5002564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82449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5002564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528017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50108273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4516980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40003157A (ko) 의류처리장치
EP4538448A1 (en) Clothing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1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